KR970004369B1 -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369B1
KR970004369B1 KR1019880010201A KR880010201A KR970004369B1 KR 970004369 B1 KR970004369 B1 KR 970004369B1 KR 1019880010201 A KR1019880010201 A KR 1019880010201A KR 880010201 A KR880010201 A KR 880010201A KR 970004369 B1 KR970004369 B1 KR 970004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ing material
main body
masking
metal structur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991A (ko
Inventor
세이노스께 호리끼
레이지 마끼노
Original Assignee
나고야 유까 가부시기가이샤
세이노스께 호리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0130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662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9249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2241B2/ja
Application filed by 나고야 유까 가부시기가이샤, 세이노스께 호리끼 filed Critical 나고야 유까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72Floor protection, e.g. from corrosion or scr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20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20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 B05B12/26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for masking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using means for protecting parts of a surface not to be coated, e.g. using stencils, res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61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covering undersurfaces of vehicles, e.g. wheel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장치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사시도.
제2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3도는 박리상태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의 사시도.
제5도-제7도는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제5도는 사시도.
제6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7도는 일체적으로 진공형성한 경우의 사시도.
제8도는 제4실시예의 사시도.
제9도는 제5실시예의 사시도.
제10도는 제6실시예의 사시도.
제11도는 제7실시예의 사시도.
제12도는 제8실시예의 사시도.
제13도는 제9실시예의 사시도.
제14도는 제10실시예의 사시도.
제15도-제18도는 제11실시예를 표시하며, 제15도는 사시도.
제16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17도는 다른 마스킹상태단면도.
제18도는 일체적으로 진공형성한 경우의 사시도.
제19도, 제20도는 제1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19도는 사시도.
제20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21도는 제13실시예의 사시도.
제22도는 제14실시예의 사시도.
제23도, 제24도는 제15실시예를 표시하며, 제23도는 사시도.
제24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25도, 제26도는 제16실시예를 표시하며, 제25도는 사시도.
제26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27도-제29도는 제17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27도는 사시도.
제28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29도는 마스킹재이탈상태도.
제30도, 제31도는 제18실시예를 표시하며, 제30도는 사시도.
제31도는 마스킹상태도.
제32도는 제19실시예의 사시도.
제33도는 제20실시예의 사시도.
제34도는 제21실시예의 사시도.
제35도는 제22실시예의 사시도.
제36도, 제37도는 제23실시예를 표시하며, 제36도는 사시도.
제37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38도는 제24실시예의 사시도.
제39도는 제25실시예의 사시도.
제40도는 제26실시예의 사시도.
제41도는 제27실시예의 사시도.
제42도는 제28실시예의 사시도.
제43도, 제44도는 제29실시예를 표시하며, 제43도는 사시도.
제44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45도, 제46도는 제30실시예를 표시하며, 제45도는 사시도.
제46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47도, 제48도는 제31실시예를 표시하며, 제47도는 사시도.
제48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49도는 제32실시예의 사시도.
제50도-제52도는 제33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50도는 사시도.
제51도는 마스킹상태단면도.
제52도는 마스킹재이탈상태단면도.
제53도는 제34실시예의 사시도.
제54도-제59도는 본 발명의 응용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54도는 자동차 차체사시도.
제55도는 A부 설명도.
제56도는 B부 설명도.
제57도는 C부 설명도.
제58도는 D부 설명도.
제59도는 E부 설명도이며,
제60도-제62도의 종래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60도는 도포전의 사용상태도.
제61도는 도포후의 사용상태도.
제62도는 박리후의 상태도.
제63도-제65도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63도는 도포전의 사용상태도.
제64도는 도포후의 사용상태도.
제65도는 박리후의 사용상태도.
제66도-제68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제66도는 도포전의 사용상태.
제67도는 도포후의 사용상태.
제68도는 박리후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금속구조물,(2) : 방청, 방음, 방진처리를 시행하지 않는 부분,
(4) : 도포층,(22) : 공부,
(23) : 비상부분,
(31)A, (32)A, (33)A, (34)A, (35)A, (36)A, (37)A, (38)A, (39)A, (310)A : 본체,
(31)B, (32)B, (33)C, (34)D, (35)D, (36)B, (37)B, (38)B, (39)B, (310)B : 점착층,
(31), (32), (33), (34), (35), (36), (37), (38), (39), (310) : 마스킹재 A,
(311)A, (312)A, (313)A, (314)A, (315)A, (316)A : 본체,
(311)B, (312)B, (313)B, (314)B, (315)B, (315)D, (316)B, (316)D : 악부(칼날부),
(311)C, (312)C, (313)C, (314)C, (315)E, (316)E : 점착층,
(311), (312), (313), (314), (315), (316) : 마스킹재,
(317)A, (318)A, (319)A, (320)A, (321)A, (322)A, (323)A, (324)A, (325)A, (326)A, (327)A, (328)A, (329)A, (330)A, (331)A, (332)A : 본체,
(317)B, (318)B, (319)B, (320)B, (321)B, (322)B, (323)B, (324)B, (325)B, (326)B, (327)B, (328)B, (329)B, (330)B, (331)B, (332)B : 악부(칼날부),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 마스킹재,
(333)A, (334)A : 본체,(333)B, (334)B : 감착홈,
(333), (334) : 마스킹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바닥이면, 교량, 공장기계 등의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의 바닥이면에는 방청, 방음 및 방진을 목적으로 하여 합성수지, 고무, 역청질 등의 점탄성체가 도포된다.
그 점탄성체는 전착 등의 도장표면을 피복하여 비석 등으로부터 도장표면을 보호하고 또 바닥이면판 마춤부분을 밀봉하여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고 방청성능을 높임과 아울러 금속표면의 진동이나 바닥이면에서의 소음을 흡수하여 방음, 방진효과를 거두는 것이다.
그 점탄성체는 따라서 금속표면에 있는 어느 정도의 두께(통상 500-2000μ)을 가지고 도포되는 것이 있으나 그 때문에 그 점탄성체의 도포층은 금속구조물에 볼트, 너트 등의 체결구, 브리케트, 프레임 등의 지지구 기타의 부착부품을 부착할 때에 잘 부착되지 않던가 느슨해지던가, 벗기어지는 등의 불편이 생기기 쉽다.
또 금속구조물에는 케이블이나 조작와이어 등을 통하게 하는 구멍이나 물빼기구멍 등의 구멍부가 설치되는 일이 많으나 점탄성체의 도포때에 이와 같은 구멍부로부터 점탄성체가 내부에 침입할 염려가 있다.
또, 자동차에서는 그 구멍으로부터 불어나온 그 점탄성체가 품질이 요구되는 외판에 부착하여 품질을 저하시키는 일도 있다.
그래서 금속구조물의 상기와 같은 부품부착개소나 구멍부에 마스킹재를 시행하고 나서 점탄성체를 도포하고 그 후에 마스킹을 제거한다고 하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마스킹을 시행함에는 점착테이프가 사용되고 있었다. 예컨대 제60도에 표시하는 금속구조물의 평판상의 부분(1)에 있어서는 점탄성체가 도포되어서는 아니될 개소(2)에 점착테이프(3)가 복수조 점착되어 제6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점탄성체의 도포층(4)를 형성한 후 그 점착테이프(3)을 제62도에 표하는 바와 같이 박리하여 제거하면 그 개소(2)에는 도포층(4)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제63도에 표시하는 금속구조물의 봉상(棒狀) 혹은 관상(管狀)의 부재(11)에 있어서는 점탄성체가 도포되어서 아니되는 개소(12)에 점착테이프(3)이 권착되어 제6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점탄성체의 도포층(4)을 형성한 후 그 점착테이프(3)를 제6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하여 제거하면 그 개소(12)에는 도포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제66도에 표시하는 금속구조물의 구멍부(5)를 가지는 부분(21)에 있어서는 점탄성체가 도포되어서는 아니되는 구멍부(5) 주위의 개소(22)에 점착테이프(3)가 복수조 점착되며 제6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점탄성체의 도포층(4)를 형성한 후 그 점착테이프(3)를 제6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하여 제거하면 그 개소(22)에는 도포층(4)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점착테이프(3)를 마스킹의 필요한 개소에 점착할 때 그 개소가 점착테이프의 폭보다도 큰 면적을 가지는 때에는 그 개소에는 복수조의 점착테이프(3)를 점착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또 봉상의 개소에는 점착테이프(3)을 몇겹으로 감지 않으면 아니되고 점착할 때에는 점착테이프(3)을 절단하지 않으면 아니되고 마스킹이 필요한 개소에 점착테이프(3)을 점착하고 그리고 박리할 때에는 점착성체중에 묻히는 일이 많고 그 발견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점탄성체가 부착한 점착테이프가 집기가 어렵고 큰 수고를 요하며 또 통상자동차의 바닥이면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에서는 자동차의 도장열처리공정전에 행하며 도장열처리공정에서 도장과 동시에 점탄성체의 도포층의 건조, 겔화 혹은 경화를 행하는 일이 많이 있으나 이와 같은 고온처리에 의하여 두께가 얇은 점착테이프(3)가 마스킹 개소에 늘어 붙어버려서 대단히 박리가 곤란하다고 하는 불편이 생긴다.
이와 같은 불편은 자동차생산과 같은 라인화된 공정에 있어서는 특히 중대한 지장으로 된다.
또 테이프 마스킹에서는 필요최소량의 마스킹범위로 억제하는 일이 어렵고 마스킹범위 즉, 점탄성체 미도장범위가 과대하게 되어 품질상의 불합리를 생기게 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금속구조물표면에 점탄성체를 도포함으로써 방청, 방음, 방진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사전에 그 방청, 방음, 방진처리가 시행되어서는 아니되는 금속구조물 부분에 마스킹을 시행하는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용기형상본체 (31)A, (32)A, (33)A, (34)A, (35)A, (36)A, (37)A, (38)A, (39)A, (310)A와 그 본체(31)A, (32)A, (33)A, (34)A, (35)A, (36)A, (37)A, (38)A, (39)A, (310)A,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31)B, (32)B, (33)C, (34)D, (35)D, (36)B, (37)B, (38)B, (39)B, (310)B로 된 마스킹재 A(31), (32), (33), (34), (35), (36), (37), (38), (39), (310),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용기본체(311)A, (312)A, (313)A, (314)A, (315)A, (316)A와, 그 본체(311)A, (312)A, (313)A, (315)A, (316)A의 상연외주에 형성된 악부(칼날부)(311)B, (312)B, (313)B, (314)B, (315)B, (316)B와 그 악부(칼날부)(311)B, (312)B, (313)B, (314)B, (315)B, (316)B 상면에 형성된 점착층(311)C, (312)C, (313)C, (314)C, (315)E, (316)E로 된 마스킹재 B, (311), (312), (313), (314), (315), (316),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이루어진 본체(317)A, (318)A, (319)A, (320)A, (321)A, (322)A, (323)A, (324)A, (325)A, (326)A, (327)A, (328)A, (329)A, (330)A, (331)A, (332)A와 그 본체(317)A, (318)A, (319)A, (320)A, (321)A, (322)A, (323)A, (324)A, (325)A, (326)A, (327)A, (328)A, (329)A, (330)A, (331)A, (332)A 상연외주에 형성된 악부(칼날부) (317)B, (318)B, (319)B, (320)B, (321)B, (322)B, (323)B, (324)B, (325)B, (326)B, (327)B, (328)B, (329)B, (330)B, (331)B, (332)B로 된 마스킹재 C,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이루어진 용기형상본체(333)A, (334)A와 그 본체(333)A, (334)A, 개구단에서 설치되는 감착홈(333)B, (334)B로 이루어진 마스킹재 D(333), (334)와를 사용하여 그 방청, 방음, 방전처리가 시행되지 아니할 그 금속구조물부분이 평판형상이라면 그 마스킹재 A 또는 그 마스킹재 B를 점착층을 개재하여 피복하고 구멍부라면 그 마스킹재 A 또는 그 마스킹재 B를 점착층을 개재하여 피복하던가 또는 그 마스킹재 C의 본체를 삽착하고 철부라면 그 마스킹재 B를 그 철부에 피착한 후에 그 점탄성체를 도포한 후 그 마스킹재 A, B, C, D를 제거하는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킹재 A, B, C, D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타크리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이루어지며 주로 그 프라스틱발포체의 시이트를 진공형성함으로서 제조되나 그 프라스틱의 발포성 비이스를 사용하여 비이스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되어도 좋다.
또,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 한쪽면 또는 양면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바람직하기로는 하이인팩트폴리스틸렌으로 된 열가소성 필름을 적층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필름을 적층한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를 발포압출하여 성형함과 아울러 그 열가소성을 한쪽면 또는 양면에 적층하던가 그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와 그 열가소성 프라스틱필름을 진공성형시에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된다. 또 유사형상품에 대하여 그것이 사용되는 마스킹 개소를 판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점탄성체 도장후 그 발견을 용이하게 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의하여 소정의 착색이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에 사용되는 그 점탄성체는 프라스틱, 고무, 아스팔트, 핏치 등으로 이루어지고 도포때에는 용액, 에멀젼, 디스퍼어젼, 용융물, 프레폴리머 등의 액상 또는 무화상(霧化狀)으로 된다.
이와 같은 액상 또는 무화상의 점탄성체를 예시하면 폴리염화비닐페이스트, 폴리염화비닐조올, 폴리아크릴산에스텔유기용제용액, 스틸렌브타디엔고무유기용제용액, 폴리초산비닐에멀젼, 폴리아크릴산에스텔에멀젼, 스틸렌브타디엔고무라텍스,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에멀젼, 폴리우레탄에멀젼, 아스팔트에멀젼, 석유수지에멀젼, 폴리에틸렌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용융물, 아스팔트용융물, 석유수지용융물, 폴리에틸렌용융물, 우레탄프로폴리머, 불포화폴리에스텔 등이며 이들은 2종 이상 혼합되어도 좋다.
금속구조물표면에 그 점탄성체를 도포하는데에는 스프레이도장, 딥핑도장 등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작용은 다음과 같다.
금속구조물표면에 점탄성체를 도포함으로써 방청, 방음, 방진처리를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방청, 방음, 방진처리를 시행하지 아니할 그 금속구조물부분이 이 평판형상이라면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이루어진 용기형상본체와 그 본체하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 된 마스킹재 A 또는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된 용기형상본체와 그 본체상연외주에 형성된 악부와 그 악부상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 된 마스킹재 B를 점착층을 개재하여 피복하고 구멍부하면 그 마스킹재 또는 그 마스킹재 B를 접착층을 개재하여 피복하던가 또는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된 용기형상본체와 그 본체상연외주에 형성된 악부로 이루어진 마스킹재 C의 본체를 삽착하고 박상이라면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된 용기형상본체도 그 본체개구단에서 설치된 감착홈으로된 마스킹재 D를 감착홈을 개재하여 감착하고 철부라면 그 마스킹재 B를 그 철부에서 피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마스킹재 A, B, C, D를 그 방청, 방음, 방진처리가 시행되어서는 아니되는 그 금속구조물부분에 부착 마스킹재를 시행한 후 그 금속구조물표면에 점탄성체를 도포하면 그 금속구조물의 마스킹부분에는 그 점탄성체의 도포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후 그 마스킹재 A, B, C, D는 손갈고리에 의하여 쑤셔서 제거하던가 또는 그 마스킹재 A, B, C, D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의 연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연화수축함으로써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마스킹재는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된 용기형상이므로 경량이고 운반, 취급이 용이하고 또 필요 최소한의 마스킹범위에 맞추어서 성형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마스킹재의 부착은 점착층을 개재하여 점착하던가 본체를 구멍부에 삽착하던가 감착홈을 개재하여 감착함으로서 극히 간단히 행하여지며 그리고 본체를 구멍부에 삽착하는 경우와 감착홈을 개재하여 감착하는 경우에는 그 마스킹재의 탄성에 의하여 강고하에 부착할 수가 있고 점탄성체를 도포하기 전에 마스킹재가 밀리던가 탈락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마스킹재를 제거하는 경우, 손갈고리 등에 의하여 찔러서 극히 용이하고 또 가열연화수축도 극히 용이하고 수축율도 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밑바닥이면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와 같은 라인화된 공정에 적용하면 종래 그 공정의 지정으로 되어 있던 마스킹재의 부착, 제거작업의 번잡이 해소되고 또한 필요 최소한의 마스킹범위, 즉 탄성체미도장범위를 확보할 수 있고 특히 방청재도장에 있어서 유효하다.
[실시예]
마스킹재 A
제1도-제3도에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가 표시된다.
도면에서 마스킹재(31)는 각상자형상본체(31)A와 그 본체(31)A 하면에 형성한 점착층(31)B로 이루어지고 그 점착층(31)B는 폴리에틸렌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이형지 등의 외형성시이트, (31)C에 의하면 피복되어 있다.
그리하고 그 마스킹재(31)은 점착층(31)B가 이형성시이트(31)C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으므로 적층할 수도 있고 수송, 보관에 편리하다.
그 마스킹재(31)은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조물(1)의 평판상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를 시행하지 아니할 부분(2)에 이형성시이트(31)C를 박리한 후에 점착된다.
그리고 스프레이 등에 의하여 점탄성체를 그 금속구조물(1)의 표면에 불러넣어서 도포를 행한다.
그 부분(2)에는 구멍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그 마스킹재(31)를 그 부분(2)에 점착함으로써 그 부분(2)을 보호한 후에 그 금속구조물(1)의 표면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또는 딥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점탄성체를 도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점탄성체의 도포층(4)를 형성한 후 가열처리전 또는 가열처리후에 예컨대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손갈고리(9)를 마스킹재(31)에 찔러서 마스킹재(31)을 박리한다.
혹은 마스킹재(31)은 손으로 직접 박리할 수도 있고 가열온도가 마스킹재(31)을 구성하는 프라스틱의 연화점보다도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마스킹재(31)은 수축하여 스스로 박리한다.
제4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2)에 있어서 본체(32)A는 원통용기형상이며 그 본체(32)A 하면에는 점착층(32)B가 형성되며 그 점착층(32)B는 이형성시이트(32)C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그 마스킹재(32)는 제1실시예의 마스킹재(31)과 동일하게 금속구조물의 평판상의 부분의 보호에 사용되며 그 부분에는 구멍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제5도 및 제6도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표시된다.
도면에서 마스킹재(33)는 각형상의 본체(33)A와 그 본체(33)A상엔 주위에 설치한 악부(33)B 그 본체(33)A 하면에 형성한 점착층(33)C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제층(33)C는 이형성시이트(33)D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그 마스킹재(33)도 제1실시예의 마스킹재(31)와 동일하게 금속구조물(1)의 평판상의 부분(2)에 적용되나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마스킹재(33)의 악부(33)B에 의하여 점탄성체의 도포층(4)가 절단되므로 그 마스킹재(33)는 그 도포층(4)에 방해되는 일없이 손갈고리 혹은 가열연화수축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탈된다.
그 마스킹재(33)은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부터 복수개의 마스킹재(33)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이 경우 마스킹재(33)의 악부(33)D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절결 또는 홈(33)E)를 설치하여 개개의 마스킹재(33)를 손으로 찢어낸다.
그 악부(33)B의 절결 또는 홈(33)E는 마스킹재(33)의 진공성형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진공성형후에 별도로 형성되어도 좋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도면에 있어서 마스킹재(34)는 각형상본체(34)A와 그 본체(34)A 상연주위에 설치한 악부(34)B와 그 악부(34)B에서 기립한 주벽(34)C와 그 본체(34)A 하면에 형성한 점착층(34)D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층(34)D는 이형성시이트(34)E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그 마스킹재(34)도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 마스킹재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그 마스킹재(34)의 악부(34)B에서 기립한 주벽(34)C)에 의하여 도장층을 제3실시예의 마스킹재(33)보다도 한층 완전하게 절단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 마스킹재(35)에 있어서는 본체(35)A는 원통용기형상이며 그 본체(35)A 상연에는 수직벽(35)C를 가지는 악부(35)B가 주위에 설치되며, 그 본체(35)A 하면에는 점착층(35)D가 형성되며 점착층(35)D는 이형시이트(35)E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악부(35)B의 수직벽(35)C에 의하여 도장층은 보다 안전하게 절단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6)은 저부로부터 각상자형상의 파수부(손잡이부) (36)D를 기립시킨 각상자형상의 본체(36)A와 그 본체(36)A 하면에 형성한 점착층(36)B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층(36)B은 이형성시이트(36)C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그 마스킹재(36)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되나 파수부(손잡이부)(36)D)를 가짐으로 착탈이 극히 용이하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7)에 있어서 본체(37)A는 원통용기형상이며 저부로부터 원통형상의 파수부(손잡이부)(37)D가 기립되어 있으며 그 본체(37)A 하면에는 점착층(37)B가 형성되며 그 점착층(37)B는 이형성시이트(37)C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마스킹재(38)은 저부로부터 각 상자형의 파수부(손잡이부)(38)D를 기립시킨 각상자형상의 본체(38)A와 그 본체(38)A 상면주위에 설치한 악부(38)E와 그 본체(38)A 하면에 형성한 점착층(38)B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층(38)B는 이형시이트(38)C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그 마스킹재(38)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되지만 파수부(손잡이부)(38)D를 가짐으로 착탈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마스킹재(39)는 저부로부터 각상자형상의 본체(39)A와 그 본체(39)A 상연주위에 설치한 악부(39)E와 그 악부(39)E에서 기립한 주벽(39)F와 그 본체(39)A 하면에 형성한 점착층(39)B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층(39)B은 이형성시이트(39)C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며 마스킹재(310)은 저부로부터 각상자형상의 파수부(손잡이부)(310)D를 기립시킨 각상자형상의 본체(310)A와 그 본체(310)A 상연주위에 설치한 악부(310)E와 그 플랜지(310)E에서 수설된 수직벽(310)F와 그 본체(310)A 하면에 형성한 점착층(310)B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층(310)B는 이형성시이트(310)C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그 마스킹재(310)는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되어 파수부(310)D에 의하여 착탈이 극히 용이하게 되며 또한 악부(310)D에서 수설된 수직벽(310)F에 의하여 도포층은 보다 안전하게 절단된다.
마스킹재 B
제15도 및 제16도에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가 표시된다.
도면에 있어서 마스킹재(311)는 각형용기형상의 본체(311)A와 그 본체(311)A 상연외주에 형성된 악부(311)B와 그 악부(311)B 상면에 형성된 점착층(311)C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층(311)C에는 이형성시이트(311)D가 피복된다.
그 마스킹재(311)는 제16도에 표시하는 이형성시이트(311)D를 박리하여 악부(311)B 상면에 점착층(311)C를 개재하여 금속구조물(1)의 평판상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를 시행하지 아니할 부분에 점착된다.
그리고 점탄성체를 도포하여 도포층(4)를 형성한 후는 손갈고리에 의하여 그 마스킹재(311)을 찔러서 제거하던가 혹은 가열연화수축시켜서 자연박리를 행한다.
그리고 그 부분(2)에는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11)은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조물(1) 표면의 일부(21)에 피착함으로서 그 철부를 보호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1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특히 추상(抽賞)되는 것은 제1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마스킹재(311)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일체적으로 진공성형하는 것이 소망스럽다.
이 경우는 이형성시이트(311)D에 절결(311)E를 넣고 또한 그것에 대응하여 마스킹재(311)의 악부(311)B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절결 또는 홈(311)F를 설치하여 개개의 마스킹재(311)을 손으로 찢기 쉽게 한다.
그 악부(311)B의 절결 또는 홈(311)F는 마스킹재(311)의 진공성형시에 일체적으로 성형하여도 좋고 진공성형후에 별도로 형성하여도 좋다.
제19도 및 제20도에는 본 고안의 제12실시예가 표시된다.
도면에 있어서 마스킹재(312)는 원통용기형상의 본체(312)A와 그 본체(312)A 상연외주에 형성된 절곡부(312)E와 악부(312)B 상면에 형성된 점착층(312)C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층(312)C에는 이형성시이트(312)D가 피복된다.
그 마스킹재(312)는 이형성시이트(312)D를 박리하여 악부(312)B 상면의 점착층(312)C를 개재하여 예컨대 금속구조물(1)의 구멍부(22)를 가지는 부분(2)에 점착되며 그 후 제2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점탄성체를 도포하여 도포층(4)를 형성하나 그 도포층(4)는 그 마스킹재(312)의 악부(312)B의 절곡부(312)E에 의하여 절단되기 때문에 그 마스킹재(312)는 그 도포층(4)에 방해되는 일없이 손갈고리 혹은 가열연화수축에 의하여 쉽게 탈리된다.
그리고 그 금속구조물(1)의 부분(2)에는 구멍부(22)가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가 표시된다.
도면에서 마스킹재(313)은 각형용기모양의 본체(313)A와 본체(313)A 상연외주에 형성된 악부(313)B와 그 악부(313)B 상연에 형성된 점착층(313)C로 이루어지며 또한 그 본체(313)A의 중앙부에는 파수(313)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점착층(313)C에는 이형성시이트(313)D가 피복된다.
그 마스킹재(313)도 제11실시예의 마스킹재(311)과 마찬가지로 사용되나 파수(손잡이)(313)E를 가지기 때문에 착탈이 극히 용이하다. 제22도에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가 표시된다.
도면에서 마스킹재(314)는 원통용기형상의 본체(314)A와 그 본체(314)A 상연외부에 형성된 악부(314)B와 또한 그 악부(314)B 외주에 형성된 절곡부(314)E와 그 악부(314)B 상면에 형성된 점착층(314)C로 이루어지며 다시 본체(314)A의 중앙부에는 파수구(314)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점착층(314)C에는 이형성시이트(314)D가 피복된다. 그 마스킹재(314)도 제1상의 마스킹재(312)와 마찬가지로 사용되나 파수(314)F를 가지기 때문에 착탈이 극히 용이하다.
제23도 및 제24도에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가 표시된다.
도면에서 마스킹재(315)는 각형용기형상의 본체(315)A와 그 본체(315)A 상연외주에 형성된 상악부(315)B와 그 상악부(315)B 주연으로부터 수하하는 주벽부(315)C와 그 주벽부(315)C 하연으로부터 차출되는 하악부(315)D와 그 상악부(315)B 상면에 형성된 점착층(315)E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층(315)E에는 이형성시이트(315)F가 피복된다.
그 마스킹재(315)도 제11실시예의 마스킹재와 동일하게 금속구조물(1)의 평판상의 부분(2)에 적용되나 그 마스킹재(315)의 주벽부(315)C와 하악부(315)D에 의하여 도포층(4)가 제2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완전하게 절단되므로 그 마스킹재(315)의 이탈은 그 도포층(4)에 방해되는 일 없이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제25도 및 제26도에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가 표시된다.
도면에 있어서 마스킹재(316)은 원통형상의 본체(316)A은 그 원통형상의 본체(316)A와 그 본체(316)A 상연외주에 형성된 상악부(316)B와 또한 그 상악부(316)B 주연으로부터 수하하는 내주벽부(316)C와 그 주벽부(316)C 하연에서 차출되는 하악부(316)D와 그 하악부(316)D 주연에서 기립하는 외주벽부(316)G와로 이루어지며 그 점착층(316)E에는 이형성시이트(316)F가 피복된다.
그 마스킹재(316)도 제12실시예의 마스킹재(312)와 동일하게 금속구조물(1)의 평판상의 부분(2)에 적용되나 제2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악부(316)D와 외주벽부(316)G와에 의하여 제4실시예보다도 더욱 완전하게 도포층(4)가 절단된다.
마스킹재 C
제27도-제29도에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17)은 용기형상의 본체(317)A와 그 본체(317)A의 상면외주의 형성되는 악부(317)B로서 이루어진다.
그 마스킹재(317)은 제2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조물(1)의 구멍부(22)에 본체(317)A를 개재하여 삽착함으로서 그 구멍부(22)의 내부를 보호하고 또한 악부(317)B에 의하여 그 구멍부(22)의 주위를 보호한다.
그 마스킹재(317)을 그 구멍부(22)에 삽착한 후 점탄성체를 도포하여 제2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포층(4)를 형성하나 구멍부(22) 내부와 그 구멍부(22) 주위에는 그 도포층(4)는 형성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그 마스킹재(317)은 통상 도포층(4)의 가열처리시에 가열연화수축하여 제2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연이탈하는데 물로 손갈고리 등으로 찔러서 이탈시켜도 좋다.
제30도 및 제31도에는 본 발명의 제18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킹재(318)은 용기형상본체(318)A와 그 본체(318)A의 상연보다 약간 하부외주에 형성된 악부(318)B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마스킹재(318)에 있어서는 제3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조물(1)의 구멍(22)에 그 마스킹재(318)을 삽착한 점탄성체를 도포함으로서 형성된 도포층(4)이 그 마스킹재(318)의 본체(318)A의 상연에 있어서 절단되므로 그 마스킹재(318)은 그 도포층(4)에 방해되는 일없이 원활하게 구멍부(22)로부터 이탈한다.
제32도에는 본 발명의 제19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19)는 제17실시예의 마스킹재(317)과 동일하게 용기형상본체(319)A와 그 본체(319)A의 상연외주에 형성되는 악부(319)B로서 이루어지나 악부(319)B의 폭을 제17실시예에 비하여 적게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폭이 적은 악부(319)B는 단순히 마스킹재(319)를 구멍부(22)에 계지하기 위한 것 뿐의 것이고 구멍부(22)의 주위를 처리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제33도에는 본 발명의 제20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마스킹재(320)는 저부로부터 파수부(손잡이부)(320)C를 기립시킨 용기본체(320)A와 그 본체(320)A의 상면외주에 형성되는 악부(320)B로서 이루어진다.
그 마스킹재(320)은 제17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파수부(320)C를 가지기 때문에 구멍부에의 착탈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제34도는 본 발명의 제21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킹재(321)은 저부로부터 파수부(321)C를 기립시킨 용기상본체(321)A와 그 본체(321)A의 상연으로부터 약간 하부외주로 형성된 악부(321)B로서 이루어진다.
그 마스킹재(321)은 제19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파수부(321)C를 가지기 때문에 구멍부에의 착탈이 극히 용이하다.
제35도에는 본 발명의 제22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22)는 제20실시예와 동일하게 저부로부터 파수부(322)C를 기립시킨 용기형상본체(322)A와 그 본체(322)A의 상연외주에 형성되는 악부(322)B로 이루어지나 악부(322)B의 폭을 제20실시예에 비하여 적게하고 있다.
그 마스킹재(322)는 제30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파수부(322)C를 가지기 때문에 구멍부에의 착탈이 극히 용이하다.
제36도 및 제37도에는 본 발명의 제23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23)은 원통용기형상본체(323)A와 그 본체(323)A의 상연에 형성되는 악부(323)B와 그 악부(323)B 외주에서 입설되는 기립부(323)C로 이루어진다.
그 마스킹재(323)은 제17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323)A를 게재하여 금속구조물(1)의 구멍부(22)에 삽착되나 악부(323)B 외주에서 기립부(323)C에 의하여 제3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포층(4)가 절단되며 그렇게 하여 그 마스킹재(323)의 이탈은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제38도에는 본 발명의 제24실시예가 표시된다.
도면에서 마스킹재(324)는 각형용기형상의 본체(324)A와 그 본체(324)A 상연외주에 형성된 악부(324)B로 이루어지며 그 본체(324)A 내면에는 철부(324)C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마스킹재(324)는 제17도에 표시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금속구조물(1) 표면의 철부(21)에 삽착되나 이때 그 마스킹재(324)는 본체(324)A에 형성된 철부(324)C의 탄성에 의하여 그 철부(21)에 밀착고정된다.
제39도에는 본 발명의 제25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25)는 십자형용기모양의 본체(325)A와 그 본체(325)A의 상연에 형성되는 악부(325)B와 그 악부(325)B 외주에서 입설되는 주벽부(325)C로 이루어진다.
그 마스킹재(325)는 제28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본체(325)A가 십자형상이기 때문에 본체(325)A 외주가 구멍내벽에 부분적으로만 당접하지 않으므로 가열연화수축 등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이탈이 용이하고 또 원통용기형상의 것에 비하여 재료가 절감된다.
제40도는 본 발명의 제26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26)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파수부(326)C에 의하여 이분되어 있는 용기형상본체(326)A와 그 본체(326)A 상면에 형성되는 악부(326)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26)은 제20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본체(326)A가 파수부(326)C에 의하여 이분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진공성형이 용이하며 본체(326)A 외주가 구멍부 내부에 부분적으로 당접하지 않으므로 이탈이 극히 용이하다.
제41도는 본 발명의 제27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27)은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수부(327)C은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파수부(327)C에 의하여 4분되어 있는 용기형상본체(327)A와 그 본체(327)A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악부(327)B로 이루어지며 제25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본체(327)A가 파수부(327)C에 의하여 4분되어 있기 때문에 제25실시예보다도 더욱 본체(327)A 외주의 구멍내부에 대한 접촉면적이 적어져서 이탈이 더욱 용이하다.
제42도에는 본 발명의 제28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28)은 십자형용기모양의 본체(328)A와 그 본체(328)A 상면에 형성되는 상악부(328)B와 또한 그 상악부(328)B 주연에서 수하되는 주벽부(328)C와 그 주벽부(328)C 하면에서 차출되는 하악부(328)D로 이루어지며 제24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그 주벽(328)C로부터 차출되는 하악부(328)D 때문에 점탄성체의 도포층이 보다 완전하게 절단되어서 이탈이 보다 한층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제43도 및 제44도에는 본 발명의 제29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29)는 용기형상본체(329)A와 그 본체(329)A의 상연에 형성되는 상악부(329)B와 그 상악부(329)B 주연에서 수하되는 주벽부(329)C와 그 주연부(329)C 하연에서 차출되는 하악부(329)D와 그 본체(329)A 저면중앙부에서 돌설되는 파수부(329)E와 그 본체(329)A 저면 및 그 상악부(329)B에 각각 형성되는 리브(329)F, (329)G로서 이루어지며 제20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제4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조물(1)에 피복되는 점탄성체의 도포층(4)의 절단은 주벽부(329)C 하연으로부터 차출되는 하악부(329)D에 의하여 일층 완전하게 행하여지며 구멍부(22)로부터의 마스킹재(329)의 이탈은 따라서 보다 완전하게 행하여진다.
또 그 마스킹재(329)는 본체(329)A 저면 및 상악부(329)B의 리브(329)F, (329)G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위약한 폴리스틸렌발포체를 재료로 한 경우에도 파괴되기 어렵다.
제45도 및 제46에는 본 발명의 제30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30)은 외주에 종리브(330)C를 형성한 원통용기형상본체(330)A와 그 본체(330)A 상면에 형성된 악부(330)B로 이루어진다.
그 마스킹재(330)은 제17실시예와 동일하게 제4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조물(1)의 구멍부(22)에 삽착되나 그 마스킹재(330)의 종리브(330)C가 그 구멍부(22)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압접하기 때문에 진동 등에 의하여 표면처리제나 처리중에 탈락하는 일없이 또한 그 종리브(330)C에 의하여 마스킹재(330)은 보강된다. 제47도 및 제48에는 본 발명의 제31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31)은 외주에 종리브(331)C를 형성하고 또한 저면에는 파수부(331)D를 돌설한 원통용기형상본체(331)A와 그 본체(331)A 상면에 형성된 악부(331)B로 이루어지며 그 마스킹재(331)은 제30실시예와 동일하게 제4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조물(1)의 구멍부(22)에 삽착되나 파수부(331)D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마스킹재(331)의 착탈은 용이하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31)에 있어서도 종리브(331)C는 제30실시예와 동일하게 마스킹재(331)을 보강하고 또 표면처리중 등에 있어서의 탈락을 방지한다.
제49도는 본 발명의 제32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32)는 외주에 종리브(332)E를 형성한 원통형상용기(332)A와 그 본체(332)A 상연에 형성된 상악부(332)B와 그 상악부(332)B 주연으로부터 수하하는 주벽부(332)C와 그 주벽부(332)C 하면으로 차출되는 하악부(332)D로서 이루어지며 제29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되나 주벽부(332)C 하연에서 차출되는 하악부(332)D에 의하여 점탄성체의 도포층이 완전히 절단되므로 그 마스킹재(332)가 구멍부에서 이탈하는 일이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32)에 있어서도 종리브(332)C는 제30, 제31실시예와 동일하게 마스킹재(332)를 보강하고 또 표면처리중 등에 있어서의 탈락을 방지한다.
마스킹재 D
제50도-제52도에는 본 발명의 제33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마스킹재(333)는 원통용기형상의 본체(333)A와 그 본체 A의 개구단에서 설치되는 감착홈(333)D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킹재(333)은 그 감합홈(333)B를 개재하여 제5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구조물(1)의 비상부분(23)에 감착되며 그 부분(23)을 방청, 방음, 방진처리로부터 보호하고 그 부분에는 점탄성체의 도포층(4)가 형성되지 않는다.
처리후는 그 마스킹재(333)는 손갈고리 등으로 쑤셔서 그 부분(23)으로부터 이탈시키던가 혹은 가열연화수축시켜서 제5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자연이탈시킨다.
제53도에는 본 발명의 제34실시예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의 마스킹재(334)는 각상자형상의 본체(334)A와 그 본체(334)A의 개구단에서 설치되는 감합홈(334)B로서 이루어지며 제33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된다.
제54도-제59도에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90)의 바닥이면(91)에 응용한 예가 표시된다.
제54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마스킹재는 차체(11)의 바닥이면(12)의 A, B, C, D, E 의 각부에 사용된다.
즉 제54도에 있어서 A부의 구멍(22)A은 전륜의 스프링축을 삽통하기 위한 구멍이며 구멍(22)A의 주위가 스프링의 자리로 되어 있으므로 마스킹재 C에 속하는 예컨대 제17도 실시예의 마스킹재(317)을 사용하여 구멍(22)A의 안쪽 및 그 주위를 보호하고 제56도에 있어서 B부의 부품부착용 볼트(21)A에는 마스킹재 B에 속하는 예컨대 제12실시예의 마스킹재(312)를 사용하여 볼트(21)A를 보호하고 제57도에 있어서 C부의 물빼기구멍(22)C에는 마스킹재 C에 속하는 예컨대 제20실시예의 마스킹재(320)을 사용하여 그물빼기구멍(22)C 내부를 보호하고 제58도에서는 D부의 부품부착용 브라케트(333)를 사용하여 그 브라케트(23)D를 보호하고 제59도에서는 E부의 부품부착용 나사구멍(22)E에는 마스킹재 A에 속하는 예컨대 제1실시예의 마스킹재(31)을 사용하여 그 나사구멍(91) 내부를 보호한다.

Claims (6)

  1. 금속구조물(1) 표면에 점탄성체를 도포함으로써 방청, 방음, 방진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사전에 그 방청, 방음, 방진처리를 시행하지 않은 그 금속구조물 부분에 마스킹을 시행하는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서 이루어지는 용기형상본체와 그 본체 하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서 된 마스킹재 A,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서 이루어지는 용기본체와 그 본체상연외주에 형성된 악부와 그 악부 상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서 이루어지는 마스킹재 B,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서 이루어지는 용기형상본체와 그 본체상연외주에 형성된 악부로서 이루어지는 마스킹재 C,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로 이루어진 용기형상본체와 그 본체개구단에서 설치되는 감착홈으로서 이루어지는 마스킹재 D를 사용하여 그 방청, 방음, 방전처리를 행하지 않을 그 금속구조물부분이 평판상이면 그 마스킹재 A 또는 그 마스킹재 B를 점착층을 개재하여 피복하고 구멍부라면 그 마스킹재 A 또는 그 마스킹재 B를 점착층을 개재하여 피복하던가 또는 그 마스킹재 C의 본체를 삽착하고, 비상(庇狀)이라면 그 마스킹재 D를 감착홈을 개재하여 감착하고, 철부라면 그 마스킹재 B를 그 철부에 피착한 후에 그 점탄성체를 도포한 후 그 마스킹재 A, B, C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그 열가소성 프라스틱발포체의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열가소성 프라스틱필름이 적층되는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금속구조물에 사전에 세정, 전착도장, 방청제도장이 실시되어 있는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그 금속구조물에는 사전에 세정, 전착도장, 중간도장, 방청제도장이 실시되어 있는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그 금속구조물에는 사전에 세정, 전착도장, 중간도장, 상층도장, 방청제도장의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 금속구조물은 자동차의 바닥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방법.
KR1019880010201A 1987-08-12 1988-08-10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장치 KR970004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01309A JP2566204B2 (ja) 1987-08-12 1987-08-12 金属構造物の防錆防音防振処理方法
JP62-?201309 1987-08-12
JP?62-201309 1987-08-12
JP62-?239249 1987-09-24
JP23924987A JP2612241B2 (ja) 1987-09-24 1987-09-24 金属構造物の防錆防音防振処理方法
JP?62-239249 1987-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991A KR890003991A (ko) 1989-04-19
KR970004369B1 true KR970004369B1 (ko) 1997-03-27

Family

ID=2651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201A KR970004369B1 (ko) 1987-08-12 1988-08-10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03268B1 (ko)
KR (1) KR970004369B1 (ko)
AU (1) AU606729B2 (ko)
CA (1) CA1300437C (ko)
DE (1) DE387903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706B2 (ja) * 1987-08-12 1995-10-11 名古屋油化株式会社 マスキング材および該マスキング材の成形型
US4856954A (en) * 1988-05-18 1989-08-15 Buell Industries, Inc. Method of thread masking and thread masked part
CA2003126A1 (en) * 1988-11-23 1990-05-23 Seinosuke Horiki Method of corrosion, sound, and vibration proofing of a metal structure
EP0410747B1 (en) * 1989-07-28 1994-09-21 Chomerics, Inc. Conductive masking laminate
JPH0374671U (ko) * 1989-11-22 1991-07-26
GB2254811B (en) * 1991-04-19 1994-11-30 Minnesota Mining & Mfg Masking methods using a foam web
EP0623688A1 (en) * 1993-05-04 1994-11-09 Nagoya Oilchemical Co., Ltd. Decomposable masking member
EP0884235B1 (de) 1997-06-11 2002-07-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n Durchführungsstopfen an einem beschichteten Blechteil und Maskierungsstopfen
GB9925537D0 (en) 1999-10-29 1999-12-29 British Aerospace Masking techniques for metal plating
FR2858944B1 (fr) * 2003-08-19 2007-03-16 Jean Marc Chanussot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a mise en place d'un revetement anti-gravillonnage sur des pieces d'automobil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51734A (fr) * 1965-10-25 1966-01-07 Metallgesellschaft Ag Plancher de voiture automobile
US3667988A (en) * 1969-07-09 1972-06-06 Nagoya Yukagaku Kogyo Kk Masking in surface treatment of articles
US4255482A (en) * 1978-07-05 1981-03-10 Takara Kenzai Seisakusho & Co. Vibration-absorbing fire-resisting floor for vehicles, vessels or the like
JPS59232818A (ja) * 1983-06-16 1984-12-27 Tokyo Seat Kk 圧空金型成形方法
CA1296179C (en) * 1985-06-27 1992-02-25 Seinosuke Horiki Mask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991A (ko) 1989-04-19
DE3879030T2 (de) 1993-07-01
CA1300437C (en) 1992-05-12
EP0303268B1 (en) 1993-03-10
AU2063488A (en) 1989-02-16
AU606729B2 (en) 1991-02-14
DE3879030D1 (de) 1993-04-15
EP0303268A1 (en) 198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369B1 (ko) 금속구조물의 방청, 방음, 방진처리장치
US4913786A (en) Method of corrosion, sound, and vibration proofing of a metal structure
EP0368615B1 (en) Masking member
US5902642A (en) Masking member made of engineering plastic
US5540880A (en) Corrosion, sound, and vibration-proof method for metal structure
JP2566204B2 (ja) 金属構造物の防錆防音防振処理方法
JP2612241B2 (ja) 金属構造物の防錆防音防振処理方法
EP1110619A1 (en) Masking material
AU675665B2 (en) Masking member
EP1033178B1 (en) Masking member
JPH0717415Y2 (ja) 嵌合式マスキング材
JPH03221172A (ja) 金属構造物の防錆防音防振処理方法
EP0370796A1 (en) A corrosion, sound, and vibration-proofing method for metal structures
JP3154547B2 (ja) マスキング材
JP2000167452A (ja) マスキング材
JP2000197838A (ja) マスキング材
KR100361610B1 (ko) 마스킹재
JP2001334185A (ja) マスキング材
JPH0231862A (ja) マスキング材
JPH03221173A (ja) 金属構造物の防錆防音防振処理方法
EP1305177A1 (en) Sealant bead
JPH047265B2 (ko)
WO2002094582A1 (en) A container or a lid of thermoplastic material and a method for treating them
AU2002316793A1 (en) A container or a lid of thermoplastic material and a method for treating them
JPH0725962U (ja) 塗装用マスキング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