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513Y1 - 철도 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 Google Patents

철도 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513Y1
KR970002513Y1 KR2019930001951U KR930001951U KR970002513Y1 KR 970002513 Y1 KR970002513 Y1 KR 970002513Y1 KR 2019930001951 U KR2019930001951 U KR 2019930001951U KR 930001951 U KR930001951 U KR 930001951U KR 970002513 Y1 KR970002513 Y1 KR 970002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ocket
grid
panel
mosaic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550U (ko
Inventor
임진섭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1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513Y1/ko
Publication of KR940020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5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13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철도 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제1도는 종래 모자이크 판넬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이크 판넬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그리드와 소켓의 조립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그리드와 베이스의 조립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1a : 후크편
4 : 소켓 4a : 후크편
5 : 그리드
본 고안은 철도 운행 및 신호관제를 위한 철도 종합 감시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시반에 설치되는 모자이크 판넬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철도운행 감시반은 열차가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전조건과 운전상태 등을 지시 또는 표시하여 상대측으로 전달하는 기기로서, 상기 철도운행 감시반에는 역구내의 선로 모양 및 설비의 수량과 위치에 따라 다수개의 모자이크 판넬이 설치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 모자이크 판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모자이크 판넬은 벌집 모양의 다수의 칸막이가 있는 알루미늄재질의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결합된 카버 플레이트(16)와,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차례로 결합된 공통접속관(13) 및 소켓(14)과, 상기 공통접속관과 베이스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판(12)과, 상기 한 복수개의 베이스를 지지고정하는 그리드(Grid) (1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버플레이트(16)는 금속재질로 된 상판과 중판 및 하판 등 3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판의 표면에는 선로모양아니 설비의 약도가 프린팅되며, 표시램프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또 상기와 같은 모자이크 판넬은 조립시 먼지 베이스(11)의 후면에 절연판(12), 공통접속관(13), 소켓(14)을 차례로 접속시켜 이들을 스크류로 고정한 후 조립된 다수의 베이스를 그리드(15)에 스크류로 고정하고, 그리드에 고정된 각각의 베이스에 카버플레이트(16)를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된 종래의 모자이크 판넬은 베이스와 소켓의 결합을 위해 하나의 판넬당 2개의 스크류가 필요하고 또 하나의 판넬을 그리드에 결합하기 위해 4개의 스크류가 필요하게 되므로 조립작업이 극히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그리드에 9개의 판넬이 조립된다고 가정할 때 총 54개의 스크류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또한 카버플레이트가 금속재질로 됨에 따라 표면에 녹이 발생하게 되고 휨 때문에 조립상태가 미려하지 못하며, 알류미늄의 베이스와 공통접속편 사이의 쇼트가 빈번하여 시스템의 작동이 불안정해지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스크류와 금속의 사용을 최대한으로 억제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품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인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이크 판넬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모자이크 판넬은 카버플레이트와 베이스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된 일체형 베이스(1)와, 상기 일체형 베이스의 후면에 결합된 절연판(2)과, 공통접속판(3) 및 소켓(4)과, 상기 일체형 베이스 및 소켓이 지지고정되는 그리드(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리드(5)의 교차점에는 복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판(2)에는 외향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2a)가 형성되어 있고 일체형 베이스(1)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홈(도시는 생략함)이 형성되어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절연판을 일체형 베이스의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의 후방에는 복수개의 후크편(1a)의 연장 형성되어 있고 소켓(4)의 전면 양측에는 후크편(4a)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의 후크편과 소켓의 후크편은 조립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리드(5)의 전면에는 일체형 베이스(1)를 삽입하여 후크편(1a)이 격자모양으로 형성된 그리드 후단면에 걸리게 한 후 그리드(5)의 후면에 소켓(4)을 삽입하여 소켓의 후크편(4a)이 그리드 선단면에 걸리게하여 주기만하면 모자이크 판넬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일체형 베이스(1)와 소켓(4)이 그리드(5)에 체결된 상태에서 그리드(5)에 형성된 나사공(5a)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제의 크로스바(도시는 생략함)를 나사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와 소켓을 그리드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많은 스크류를 필요로 했던 종래 구조에 비해 작업성의 향상과 제조원가의 절감을 가져오게 되고 베이스와 카버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성형됨에 따라 작업성이 더욱 개선됨은 물론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베이스와 카버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일체형 베이스(1)와, 상기 일체형 베이스에 결합되는 절연판(2) 및 전원공급을 위한 공동접속판(3)과, 발광체가 삽입되는 소켓(4)과, 상기 일체형 베이스와 소켓을 지지고정하는 그리드(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2. (신설)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베이스(1)와 소켓(4)이 후크편(1a)(4b)에 의해 그리드(5)와 결합되게 한 철도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3. (신설)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베이스(1)에 형성된 후크편(1a)과 소켓(4)에 형성된 후크편(4a)이 서로 엇갈려 간섭되지 않도록 한 철도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4. (신설)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5)는 일체형 베이스와 소켓이 삽입될 수 있도록 격자모양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철도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KR2019930001951U 1993-02-13 1993-02-13 철도 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KR970002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951U KR970002513Y1 (ko) 1993-02-13 1993-02-13 철도 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951U KR970002513Y1 (ko) 1993-02-13 1993-02-13 철도 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550U KR940020550U (ko) 1994-09-17
KR970002513Y1 true KR970002513Y1 (ko) 1997-03-26

Family

ID=1935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951U KR970002513Y1 (ko) 1993-02-13 1993-02-13 철도 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5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550U (ko) 199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506Y2 (ja) 両面表示装置用ケース
GT199200062A (es) Medios para entrelazar tableros
ATA172089A (de) Befestigungselement zur fixierung von isolier- bahnen oder -platten auf einem festen unterbau
KR970063635A (ko) 수직형 퍼티스용 보트(Boat)
KR970002513Y1 (ko) 철도 종합 감시반용 모자이크 판넬
CN110953816B (zh) 冰箱用照明组件和冰箱
CN218208770U (zh) 一种基于多轨道多功能led显示屏
GB2134944A (en) Framework
KR200174975Y1 (ko) 요철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CN219118494U (zh) 一种建筑装饰幕墙组件
DE59401308D1 (de)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von parallel liegenden Profilleisten
KR910005968Y1 (ko) 음향기기의 전면케이스
JPH0528794Y2 (ko)
KR960009406Y1 (ko) 벽판넬의 조립구조
KR960003933Y1 (ko) 분해조립식 안전표시판
KR960003004Y1 (ko) 협지용 탄성편을 형성한 도선결속용 단자대
KR200174997Y1 (ko) 인쇄회로기판(pcb) 고정 구조물
KR0140162Y1 (ko) 육각테이블의 프레임구조
KR950004220Y1 (ko) 교환기용 외측판넬 고정프레임 구조
KR960005911Y1 (ko) 조립식 욕실의 천정판 조립구조
KR200142983Y1 (ko)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 플레이트 장착구조
KR960000509Y1 (ko) 벽판넬의 연결프레임
KR960014627B1 (ko) 천정용 판재의 고정방법
KR0123838Y1 (ko) 멀티비젼 적층용 조립대
JP2616304B2 (ja) 可動間仕切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