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651Y1 -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651Y1
KR970000651Y1 KR2019930006984U KR930006984U KR970000651Y1 KR 970000651 Y1 KR970000651 Y1 KR 970000651Y1 KR 2019930006984 U KR2019930006984 U KR 2019930006984U KR 930006984 U KR930006984 U KR 930006984U KR 970000651 Y1 KR970000651 Y1 KR 970000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dust collector
needle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326U (ko
Inventor
황교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6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651Y1/ko
Publication of KR940024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6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제1도는 종래 공기정화기내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종래 공기정화기에서 공기가 전기집진기 통과시 먼지 입자의 극성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기집진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기집진기에 공기가 통과시 먼지 입자의 극성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중성화부가 집진기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프리필터 22 : 집진기
23 : 탈취필터 24 : 중성화부
24c : 니들판 24d : 대전침
본 고안은 전기집진식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배출되는 공기중의 먼지 입자가 중성을 띠도록, 집진기 후면에 중성화부를 부가시킨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정화기는 제1도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 하부의 흡입그릴(2) 내측에 전기집진장치(10)가 장치되어, 흡입그릴(2)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들이 전기집진장치(10)를 통해 걸러진 후, 청결한 공기가 브로워(3)의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어 취출그릴(4)로 취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기집진장치(10)는 전극침(11a)이 장치되고 집진극판(11b)으로 되는 집진기(11) 전면에 프리필터(12)가 부착되고, 집진기(11) 후면에 탈취필터(13)가 부착되어, 프리필터(12)가 비교적 큰 입자의 먼지를 여과해 주고, 집진기(11)가 전극침(11a)에 의해 고압을 발생시켜 0.01μ 이하의 미세한 먼지 입자를 걸려 주며, 탈취필터(13)가 냄새나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제2도는 프리필터(12)와 집진기(11) 및 탈취필터(13)를 통과하는 먼지의 흐름과, 각 부위에서의 먼지입자의 전기적 성격을 도시한 것으로서, 프리필터(12)에 걸러진 중성의 먼지 입자가 집진기(11)의 전극침(11a)에 의해 양극(+)으로 대전되며, 접지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양극(+)의 고압에 의해 상대적으로 음극성(-)을 띄는 집진극판(11b)에 달라붙게 된다. 또한, 집진기(11)를 통고하며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탈취필터(13)에 의해 냄새가 제거된후, 유로를 따라 본체(1)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종래 공기정화기는 전기집진장치(10)에 의해 여과된 공기중에,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먼지 입자가 양극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본체(1) 내부 유로의 벽이나 기타 부품에 잘 부착되어 내부를 오염시켰으며, 실내로 불려나온 먼지 입자도 취출그릴(4) 근처의 벽이나 천정에 부착되어 더럽혔다. 또한, 본체(1) 내부의 벽면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가, 가동시 풍압에 의해 일시에 취출그릴(4) 밖으로 밀려 나와, 주위를 더럽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집진기에는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7-4956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집진기 보다 한측 개량된 고안으로써, 대향전극판이 설치된 집진기에서 걸러지지 않는 먼지를 재 집진하기 위해 대향전극판과 집진필터 사이에 제2전리선을 구비하고, 집진필터와 송풍팬 사이에 제2전극판이 설치된 구성으로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재집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집진기 또한 정전기력을 이용함으로써, 본체의 취출 유로에 먼지등이 부착되는 종래의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집진기 후면에 중성화부를 부가시켜, 집진기에서 여과된 후 배출되는 공기중의 먼지 입자가 중성을 띠도록 하므로, 먼지가 취출 유로에 부착되지 않고 순환되도록 하여 청결한 공기를 공급하고 공기정화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전기집진장치를 통과하는 먼지의 흐름과 각 부위에서의 먼지 입자의 전기적 성향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극침(22a)이 장치된 집진기(22) 전면에 프리필터(21)가 부착되고, 집진기(22) 후면에 탈취필터(23)가 부착되며, 탈취필터(23) 후면에 대전침(24d)이 형성된 중성화부(24)가 부가되어, 집진기(22)에서 여과된 공기 중에서 양극성(+)을 띤 먼지 입자가 중성으로 바꾸어진 후, 취출되도록 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프리필터(21)에 걸러진 중성의 먼지 입자가 집진기(22)의 전극침(22a)에 의해 양극(+)으로 대전되어, 음극성(-)을 띄는 집진극판(22b)에 달라붙게 되고 집진기(22)를 통과한 공기중의 미세한 먼지 입자가 탈취필터(23)를 통과하며 냄새가 제거된다. 한편, 탈취필터(23)를 통과한 공기중의 미세한 먼지 입자가 중성화부(24)에서 대전침(24d)에 의해 중성으로 변환되어 유로를 따라 토출된다.
여기에서, 중성화부(24)는 제5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공 가능하게 몸체(24a)가 형성되고, 몸체(24a)의 각 코너에 절연체(24b)가 나사에 의해 고정되며, 절연체(24b)의 상단에 니들(needle)판(24c)이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니들판(24c)은 판재가 절개되어 통공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수개의 대전침(24d)들이 형성된다. 한편, 몸체(24a)는 측면에 후크(24e)가 부착되어 탈취필터(23) 양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러한 중성화부(24)는 대전침(24d)이 음극성(-)의 고압으로 대전되어, 탈취필터(23)를 통과한 양극성(+)을 띠는 미세한 입자들이 중성으로 전리된 후 유동되도록 한다.
한편,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성화부(24) 몸체(24a)의 절연체(24b) 상부에 방전선(24f)이 장치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방전선(24f)이 음극성(-)의 고압으로 대전되어, 탈취필터(23)를 통과한 양극성(+)을 띠는 미세한 먼지 입자들이 중성으로 전리된 후 유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집진기(22)를 통과한 먼지 입자를 중성으로 대전시킴으로서, 공기정화기 내부 유로의 벽이나 실내의 벽면이나 천정에 먼지 입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로 나온 먼지가 계속적인 순환으로 집진기의 집진극판(22b)에 모이게 되므로, 오염을 방지하고 청결한 공기공급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집진장치 후면에 중성화부를 부가시켜, 집진기에서 여과된 후 배출되는 공기중의 먼지 입자가 중성을 띠도록 하므로, 먼지가 취출 유로에 부착되지 않고 순환되도록 하여, 청결한 공기를 공급하고 공기정화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먼지를 여과시키기 위한 전기침이 구비된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의 후면부에는 여과된 공기중의 양극성(+) 먼지 입자를 중성으로 바꾸어 준후 취출되도록 하여 공기정화기 내부 유로의 벽이나 실내의 벽면이나 천정에 먼지 입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극성(-)의 고압으로 대전된 대전침이 갖추어진 중성화부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중성화부는 통공 가능하게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절연체가 고정되며, 상기 절연체의 상단에 대전침이 형성되는 니들판이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KR2019930006984U 1993-04-29 1993-04-29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KR970000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984U KR970000651Y1 (ko) 1993-04-29 1993-04-29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984U KR970000651Y1 (ko) 1993-04-29 1993-04-29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326U KR940024326U (ko) 1994-11-16
KR970000651Y1 true KR970000651Y1 (ko) 1997-02-05

Family

ID=1935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984U KR970000651Y1 (ko) 1993-04-29 1993-04-29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6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326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33515B1 (en) Air Purifier
JP2764711B2 (ja) 空気清浄機
EP0217554A1 (en) Electrostatic air cleaner
CA2290257C (en) Vacuum cleaner exhaust filter with ion generation stage
JP2003071321A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風装置
JP3092112B1 (ja) 吹出口/吸込口非分離型の空気清浄機
JP3970707B2 (ja) 空気清浄機
KR970000651Y1 (ko)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기
JP5098915B2 (ja) 集塵装置
JP2001096189A (ja) 空気清浄装置
KR102428401B1 (ko) 재생 가능한 정전 필터, 정전 필터 재생 시스템 및 정전 필터 재생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JP3946325B2 (ja) 空気清浄装置
JP3708798B2 (ja) 気体浄化装置
CN211854271U (zh) 一种快速除尘通风设备
KR100562273B1 (ko) 공기 정화장치
JP2007107804A (ja) 空気調和機
KR200318794Y1 (ko) 공기 정화용 필터 조립체
KR200364179Y1 (ko) 공기청정기
TWI730702B (zh) 靜電吸附裝置及包含靜電吸附裝置的空氣清淨機
CN2138762Y (zh) 静电型室内空气自净器
JPH0633936Y2 (ja) 空気清浄機
KR970004576Y1 (ko) 가습기의 공기청정장치
KR200216994Y1 (ko) 퍼스널 컴퓨터용 음이온 발생기
JPH07853A (ja) 空気清浄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ファンヒーター
JPH05774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