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612Y1 -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612Y1
KR970000612Y1 KR2019940020998U KR19940020998U KR970000612Y1 KR 970000612 Y1 KR970000612 Y1 KR 970000612Y1 KR 2019940020998 U KR2019940020998 U KR 2019940020998U KR 19940020998 U KR19940020998 U KR 19940020998U KR 970000612 Y1 KR970000612 Y1 KR 970000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instrument panel
contact
protrus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850U (ko
Inventor
심종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0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612Y1/ko
Publication of KR9600078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제1도는 종래의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판넬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의 상세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스터의 저부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라 결합된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스트루먼트 판넬 2 : 클러스터
3 : 케이블 4 : 콘넥터
5 : 돌출부 6 : 수용홈
7 : 접촉단자 8 : 접촉편
9 : 베이스판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Instrument Panel)과 클러스터(Cluster)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클러스터가 결합된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 부분을 도시하였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클러스터(2)를 탈거할 때에는 취부용 스크루(도시하지 않음)를 제거하고 클러스터(2)를 앞으로 잡아당겨 인스트루먼트 판넬(1)로 부터 빼내고 케이블(3)에 연결된 콘넥터(4)와 인스트루먼트 판넬(1) 후면의 콘넥터(도시하지 않음)을 분리하여 탈거한다. 그리고 다시 인스트루먼트 판넬판넬(1)에 클러스터(2)를 장착할 때에는 전술한 탈거의 역순으로 장착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스트루먼트 판넬(1)과 클러스터(2)의 결합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우선 클러스터(2)를 인스트루먼트 판넬(1)로부터 앞으로 빼내기 위하여는 케이블(3)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야 하기 때문에 클러스터(2)가 인스트루먼트 판넬(1)에 장착되어 있을 때는, 케이블(3)이 인스트루먼트 판넬(1)안에서 복잡하게 엉켜서 존재하므로 타부품과 간섭을 일으키거나 또는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 클러스터(2)의 의 탈거 및 장착시 콘넥터(4)를 분리 및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탈거 및 장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본 고안은 클러스터의 탈거 및 장착이 용이하고, 클러스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에 의한 간섭이나 소음발생의 우려가 없는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케이블과 연결된 다수개의 접촉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와 끼워맞춤되는 수용홈과, 상기 다수개의 접촉단자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접촉편이 구비된 클러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6도에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판넬(1)과 클러스터(2)의 결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판넬(1)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가 구비되어 있으며, 클러스터(2)에는 상기 돌출부(5)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와 끼워맞춤되는 수용홈(6)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스트루먼트 판넬(1)에는 다수개의 접촉단자(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스터(2)에는 다수개의 접촉편(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접촉단자(7)는 소정의 개수만큼의 접촉단자(7)로 이루어지는데, 그 개수는 필요한 만큼의 케이블(도시하지 않음)과 상응하는 개수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와 상기 접촉단자(7)는 비도전성의 베이스판(9) 위에 고정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9)이 인스트루먼트 판넬(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단자(7)는 각각 소정의 케이블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편(8)은 상기 접촉단자(7)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는 데, 상기 클러스터(2)의 하부에 직접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7)와 접촉편(8)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 외의 임의의 공지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편의상 클러스터(2)를 장착하는 과정부터 설명한다.
장착시에는 단순히 클러스터(2)의 수용홈과 인스트루먼트 판넬(1)의 돌출부를 일치시켜 끼워맞춘다. 그러면, 상기 다수개의 접촉단자(7)와 상기 다수개의 베이스판(9)이 자동적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인스트루먼트 판넬(1)에 클러스터(2)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접촉단자(7)와 다수개의 접촉편(8)이 접촉되면 각각의 케이블과 클러스터(2) 내부의 필요한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클러스터(2)를 탈거할 때에도 단순히 인스트루먼트 판넬(1)로부터 클러스터(2)를 앞으로 잡아당겨 빼어냄으로써 상기 접촉단자(7)와 상기 접촉편(8)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판넬(1)에 구비된 돌출부(5)와 클러스터(2)에 구비된 수용홈(6)을 끼워맞추면, 접촉단자(7)와 접촉편(8)이 자동적으로 접촉되므로 케이블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고, 클러스터(2)가 인스트루먼트 판넬(1)에 장착되었을 때 케이블이 인스트루먼트 판넬(1)안에서 복잡하게 엉키지 않아 상기 케이블이 엉킴으로 인하여 타부품가 간섭이 일어나거나 또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며, 클러스터(2)의 탈거 및 장착시 콘넥터를 분리 및 연결할 필요가 없으므로 탈거 및 장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와, 케이블과 연결된 다수개의 접촉단자(7)가 구비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 판넬(1)과; 상기 돌출부(5)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부와 끼워맞춤되는 수용홈(6)과, 상기 다수개의 접촉단자(7)와 접촉되는 다수개의 접촉편(8)이 구비된 클러스터(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와 상기 접촉단자(7)는 비도전성의 베이스판(9) 위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9)이 인스트루먼트 판넬(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KR2019940020998U 1994-08-19 1994-08-19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KR970000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998U KR970000612Y1 (ko) 1994-08-19 1994-08-19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998U KR970000612Y1 (ko) 1994-08-19 1994-08-19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50U KR960007850U (ko) 1996-03-15
KR970000612Y1 true KR970000612Y1 (ko) 1997-01-30

Family

ID=1939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998U KR970000612Y1 (ko) 1994-08-19 1994-08-19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6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50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9424A1 (en) AC power cord
US5205758A (en) Communications distribution interface unit assembly
US4486058A (en) Power source terminal assembly
US5323296A (en) I/O device including circuit board non-rigidly supported by elastically deformable terminal pins extending from a connector strip
JP3679306B2 (ja) 室内装備取付ブラケット
KR970000612Y1 (ko) 인스트루먼트 판넬과 클러스터의 결합구조
JP2000133333A (ja) 電気部品
GB2059178A (en) Electric motor
GB2326030A (en) Cable harness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door or sunroof
US6034327A (en) Grommet and structure for taking out electric power from electric connection box by using grommet
JP2540392B2 (ja) ケ―ブルのフレ―ムグランド構造
JPH10189179A (ja) 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910005986Y1 (ko) 전기. 전자제품의 입출력 단자 고정용 브라켓
KR0138323Y1 (ko) 선풍기 모터의 코일 접속용 핀 콘넥터
JPH09306599A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KR0149591B1 (ko) 일체형으로 단자함이 설치된 키폰주장치
JPH08308065A (ja) ネットワーク集線装置
KR20220023241A (ko) 단자대
KR20220023242A (ko) 단자박스
KR200154489Y1 (ko) 단자삽입부재 고정장치
EP0247006B1 (en) A blade connector structure for electrical apparatus
JP3943172B2 (ja) ドアスイッチの組付構造
KR0133600Y1 (ko) 마이크 브라캣
KR200263423Y1 (ko) 자동차용 박스의 커넥터 조립구조
JPH05242928A (ja) コネ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