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230B1 -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230B1
KR960015230B1 KR1019930701691A KR930701691A KR960015230B1 KR 960015230 B1 KR960015230 B1 KR 960015230B1 KR 1019930701691 A KR1019930701691 A KR 1019930701691A KR 930701691 A KR930701691 A KR 930701691A KR 960015230 B1 KR960015230 B1 KR 96001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oll
conductive
electrolytic bath
ra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483A (ko
Inventor
앤소니 모드로우스키 토마스
에드워드 피스터 래리
앨런 레이벅 그레고리
올리버 스토드 다아트 쥬니어 제임즈
Original Assignee
유우에스엑스 엔지니어즈 앤드 컨설탄츠 인코포레이팃드
아아르 지이 도 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583302&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1523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우에스엑스 엔지니어즈 앤드 컨설탄츠 인코포레이팃드, 아아르 지이 도 랜스 filed Critical 유우에스엑스 엔지니어즈 앤드 컨설탄츠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93070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35In radia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및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금속 스트립을 전기도금하기 위한 종래 방사형 셀의 측면도.
제 2 도는 반사형 셀에 사용하기 위한 방사형 드럼 음극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금속 스트립을 전기도금하기 위한 방사형 셀의 측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개선된 전류 전송 장치의 축선을 통해 취해진 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실시예의 전류 전송장치의 축선을 통해 취해진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의 분야]
본 발명은 금속 스트림에 금속 피복물을 전기용착(electrodepositiion)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사형 셀형의 전기도금 장치에서 스트립으로의 전류 전송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 스트립(steel strip)은 부식을 초래할 수 있는 조건에 영향을 받는 많은 곳(모터 차량의 몸체 패널과 외부 빌딩 패널 같은)에 사용된다. 강 스트립의 내식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트립은 종종 아연이나 아연합금같은 내식성 물질로 도금된다. 이러한 피복은 용융도금 처리(hot dip process)를 통해 제공될 수 있지만, 큰 피복 접착력, 착색성, 및 형상성은 스트립에 금속 물질을 전기도금하므로써 얻어질 수 있다.
[배경기술]
전기도금 장치는 주로 수평헝, 수직형, 방사형 등등 여러 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사형 셀 전기도금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계된다.
이 장치에는 음극으로서 큰 회전드럼이 사용되며, 스트립은 전해질을 함유하는 탱크를 거쳐 음극 드럼의 원주 둘레로 전송된다. 전류는, 스트립이 전해욕을 회전 드럼 음극의 외주 주위를 지날때 하나 이상의 양극으로부터 전해액을 통해 스트립으로 흐르게 된다. 금속이 스트립의 드럼측에 도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해욕 위의 편향롤(deflector roll)들은 스트립을 방사형 드럼과 접촉하여 밀봉 결합을 이루도록 가압된다. 셀에 전송되는 전류의 양은 스트립이 전해욕에 잠기는 동안 그곳에 도금되는 피복의 두께를 결정한다. 피복을 보다 두껍게 하기 위해 또는 소정 두께의 피복을 시행할 동안 셀을 통과하는 스트립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더 높은 전류가 요구된다. 상업적 전기용착 동작에 요구되는 높은 도금속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높은 전류 밀도가 스트립에 적용되어야한다. 만일 전류가 스트립에 균일하게 제공되지 않는다면, 도전 드럼의 도전 밴드와 스트립 사이의 접촉영역이 국부적으로 가열되어, 스트립이 탈색[일반적으로"핫 스폿(hot spot)"이라 칭함]되거나 변형[일반적으로 "아크 스폿(arc spot)"이라 칭함]되는 매우 작은 영역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일반적으로 외관에 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는 이러한 것에 매우 민감하여 극히 가벼운 결점만 비쳐도 거부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피하기 위해, 도금 라인이 최적의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운행되지만, 이는 생산성 손실을 초래한다.
스트립과 도전 밴드 사이의 접촉의 균일성을 개선하는 한가지 방법은 스트립상의 장력을 증가시켜 도전드럼 주위에 더욱 단단한게 끌어 당기므로써 스트립을 도전 밴드에 더욱 단단하게 가압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강 스트립은 게이지가 낮으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항복 응력을 갖는다. 스트립-도전 밴드 접촉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수용가능한 장력은 표준 스트립 게이지[약 0.13∼0.25mm(0.005∼0.010인치)의 두께]의 항복 응력 바로 아래이며, 드로잉(drawing)에 사용되는 금간데가 없는 강(Interstitial Free steel : IF강)같은, 낮은 항복 응력 강 등급의 스트립과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지 스트립의 항복 응력 위이다. 그러므로, 이들 강은 이러한 처리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피복될 수 없다,
따라서, 방사형 전기도금 셀에 사용되는 도전 밴드와 스트립 사이의 전류 전송을 개선하여 전류에 의해 초래되는 결점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개선하면서 효율적인 전류 전송에 필요한 장력을 감소시키는 개선된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금속 스트립의 한쪽에 금속을 도금하는 개선된 방사형 전기도금 장치는 도금 전해욕을 보유하기 위한 저장조와, 상기 전해욕에 부분적으로 잠기고 스트립 폭보다 작은 폭의 중앙 도전 밴드와 비도전성의 유연한 엣지를 갖는 방사형 음극과, 상기 방사형 음극의 잠긴 부분 주위에 정렬된 양극과, 상기 전해욕 위에 위치되고 편향롤 사이에 있는 스트립의 부분에 금속 스트립을 방사형 음극의 도전 밴드에 스트립표면과 도전 밴드 표면에 수직한 힘으로 가압하는 장력을 가하기 위해 방사형 음극과 협동하는 편향롤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스트립과 도전 밴드 사이의 전류 전송을 개선하는 수단으로서, 스트립의 접촉점에 가장 가까운 스트립을 방사형 음극과 접속시키고, 스트립 표면에 수직한 접촉력을 부가해 스트립을 방사형 음극의 도전 밴드에 균일하게 가압하는 상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력은 스트립과 도전 밴드 사이에서의 균일한 전류 전송을 위해 필요한 장력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은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4,822,457호(본원에 참조되었음)에 기술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방사형 셀 전기도금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제 1 도는 정렬된 다른 도금 셀들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단일 방사형 전기도금 셀(10)을 예시하는것으로, 개별 도금 셀 시스템에 의해 용착되는 총 두께가 소망하는 두께가 되도록 각 셀내에서 스트립상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피복이 이루어진다. 각 도금 셀(10) 안에서 강 스트립(12)은 편향롤(16)의 외부의 주변 방향(14)으로 이송된다. 편향롤(16)은 탱크(22) 내부에 담긴 전해욕(20)에 부분적으로 잠긴 도전 롤(18) 둘레로 스트립을 하방으로 인도한다. 건조와 점결(caking)을 방지하기 위해 보통 물이나 전해액인 유체가 스프레이(23)를 통해 도전 롤(18)에 분사된다. 양극(24)은 전해욕(20) 내부의 도전롤(18)의 주위에 가까이 제공된다. 스트립(12)은 도전 롤(18)에 의해 도전 롤(18)과 양극(24)사이의 작은 갭(26)을 통해 이동된다. 그후 스트립은 상향으로 이동되어 배출 편향롤(28)을 지나 차후의 도금 셀이나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전 롤(18)의 직경은 대략 240cm(8피트)이며, 편향롤(16,28)의 직경은 약140cm(54인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도에는 도전 롤의 양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전 롤(18)은 도전 밴드(30)가 수축끼워 맞춤되는 단일의 강철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밴드(30)는 하스텔로이나 위스칼로이 합금같은 큰 내식성과 전기 도전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밸트(30)는 도금 셀(10)안에서 전기 도금될 가장 좁은 스트립의 폭보다 약간 작은 폭올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롤(18)의 엣지 부분(32)은 폴리우레탄 고무와 같은 유연한 물질로 덮인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롤(16,28)은 서로 협동하여 스트립(12)을 편향롤(16,28)의 사이에서 장력을 받게 한다. 스트립(12)이 접촉하는 도전 롤(18) 부분에 대해 상기 장력은, 스트립의 중심 부분은 도전 밴드(30)과 접촉하고 스트립의 엣지 부분들은 유연한 엣지 부분(32)에 단단히 유지되도록 스트립(12)을 도전 롤(18)에 단단하게 가압하는 수직력(33)으로 변환된다. 큰 전류 전송 영역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립과 도전 밴드는 균일하게 접촉되는 것이 요구되는데, 상기 영역은 핫 스폿이나 아아크 스폿과 같은 전류에 의한 결점을 발생케 한다. 통상적인 방사형 도금 셀에 이와 같은 균일한 접촉을 발생시키기 위해, 편향롤들 사이의 장력은 물질의 항복 응력에 매우 가까운 레벨로 유지되어야만 한다. 장력은 또한 스트립의 엣지가 도전 롤(18)외 엣지 부분(32)에서의 유연한 물질과 밀봉되는 것을 도와주며, 또한 차폐를 초래하므로써 전해질을 스트립(12)과 도전 롤(18) 사이에서 흐르지 않게 하여 도전 롤(18)과 접촉하는 스트립의 측면상에 도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력은 직류(D.C) 전원(34)에서 케이블(36)을 통해 도전 롤(18)에 공급된다. 케이블(38)은 D.C 전원(34)의 양극측을 양극 브릿지(39)를 통해 양극(24)에 접속시킨다. 제어된 레벨의 D.C 전류는 스트립에 도금될 금속 이온을 함유한 도전성 전기도금액을 통해 안내되어, 음극-용액-양극 회로를 생성한 후 강스트립 위에 금속 피복이 제어된 두께로 용착되게 한다. 양극은 사용된 진해질의 음이온에 따라 가용성이거나 불가용성일 수 있다(예, C1-는 용해가능, SO4 -는 용해 불가능). 용해 불가능 양극 시스템에서는 전해질을 보충하기 위해 도금 금속이나 합금이 주기적으로 부가되어야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연 양극은 가용성이며, 전기도금 중 용해된 아연은 최적의 전기도금 효율을 위해 전해액안에 소망하는 레벨의 금속 이온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것은 진해액은 아연 염화물 용액이다. 강 스트립 상에 이루어지는 10-20% Fe-Zn 합금의 전기도금에 관해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540,472호(본 명세서에 참조되 있음)에 기술되어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541,903호(본원에 참조되었음)에 예시된 유형의 아연-염화물 용액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폐이트나 다른 전해질 용액이 사용되는 시스템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사형 셀은 스트립 표면이 전해욕에 들어가기 전에 스트립(12)의 표면에 균일한 전해액 필름을 공급하는 헤더(40)를 포함하는게 바람직하다. 전해액을 공급하는 바람직한 방법과 헤더의 바람직한 형태는 미합증국 특허 제4,822,457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전해액을 스트립에 제공함으로써 이전 처리부에서 스트립에 이송된 필름의 도든 비균일성이 실질적으로 제거된다.
도전 롤(18)의 중성점(42)에는 도전 롤을 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보조하는 베어링과 케이블(36)을 도전 롤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 접속 수단(도시 안됨)이 제공된다. 상기 중심점(42)은 베어링의 밀봉과 전해질로 인한 접속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전해욕(20)의 레벨 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향롤(16,28)은 도전 롤(18)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은 스트립을 도전 롤(18) 주위에 180°를 약간 넘어서, 양호하기로는 186°, 감기도록 제공된다.
제 3 도에는 직렬로 정렬된 2개의 방사형 전기도금 셀(10)에 장착된 전류 전송 개선장치(44)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전류전송 개선장치(44)는 거의 스트립(12)의 접촉점(46)에 가까운 곳이나 도전 롤(18)과의 접선지점에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44)는 장치(44)와 스트립(12) 사이의 접촉점에서 스트립과 도전 롤에 수직한 힘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직력은 스트립을 도전 밴드에 균일하게 가압하여 도전 밴드와 스트립 사이에 전류가 균일하게 전송되게 한다. 이러한 수직력은 스트립을 편향률(16,28) 사이에서 장력을 받도록 위치시키므로써 제공되어야만 하는 수직력의 양을 감쇄시키고 셀(10)을 편향롤(16,28) 사이에서 작은 장력으로도 작동되도록 허용하며, 비교적 항복 응력이 낮은 등급의 강과 더 얇은 게이지 강 같은 낮은 항복 응력 물질의 전기도금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최소의 스트립 장력에 대해서는 설정되지 않았지만, 실험에 의하면 본 장치없이 사용될 경우 설정되는 선 장력(line tension)의 60% 이하에서 실험이 성공적으로 작동되었으며 심지어는 더 큰 감소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본 장치는 다른 장점을 제시한다. 보통 물이나 전해질인 유체가 스프레이(47)를 통해 도전 롤(18)에 분사되어 도전 밴드상의 건조와 점결을 방지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관련 파편이 스트립에 흠집을 남기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스프레이로부터의 유체는 스트립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스트립을 드럼면에서 상승시켜 스트립과 도전 밴드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발명의 장치는 유체 필름의 힘을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 도전 밴드에 스트립을 가압함으로써 이수상활주(hydroplaing) 를 방지한다.
상기 전류전송 개선장치(44)는 스트립(12)을 접점(46)과 상기 접점의 아래에서 1°이하에서의 접촉이 성공적으로 실시되었다. 이 범위에서 약간 벗어나는 것은 무방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상기 전류전송 개선장치(44)와 스트립 사이의 접촉 위치가 접점(46)위로 올라갈수록 전류전송 개선 장치(44)는 바람직하지 못한 휨 응력을 스트립에 부가하게 될 것이다. 전류전송 개선장치(44)의 형태에 따라, 이들 휨 응력은 전류전송 개선장치(44)에 의한 스트립의 주름발생이나 도전 롤(18)의 도전 밴드(30)와 스트립이 접촉에 의한 스트립의 주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치(44)와 스트립(18)의 바람직한 접촉 범위는 접점(46) 아래 0°와 1°사이이다.
제 3 도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예 따른 장치(44)는 각각의 도전 롤(18)의 측부에 제공된다. 장치(44)를 도전 롤(18)의 입구측(48)에만 사용하여도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것보다 개선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장치를 도전 롤(18)의 출구측(50)에만 사용한다면, 전해질이 계속해서 스트립(12)과 도전 롤(18)사이에서 흘러, 접촉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도전 롤(18)과 접촉하는 스트립측에 금속이 도금되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 장치(44)를 도전 롤 양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두 장치가 스트립(12)을 도전 롤(l8)에 단단하게 유지하여 스트립에 핫 스폿이나 아크 스폿을 발생시키지않으면서 더 큰 전기 도금용 전류의 사용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선 장력이 감소됨에 따라, 출구측(50)의 장치(44) 또한 도전 롤(18)에서의 스트립의 적절한 진행이 유지되는 것을 보조한다. 즉, 스트립이 도전 롤(18)의 중심 가까이에 유지된다.
억제 롤(holddown roll)로 언급될 수 있는 장치(44)는 프레임(52)과 같은 고정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며, 조절가능한 힘으로 스트림에 대해 편의된다.
지지체는 그 한쪽 단부가 장치(44)에 부착되며, 피봇점(56)에서 프레임(52)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된다. 편의 장치(58)는 프레임(52)과 장치(44) 사이에 부착되어 장치(44)를 스트립에 가압한다. 상기 편의 장치(58)는 측정가능하고 제어가능한 압력으로 장치(44)를 스트립(12)에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의력은 스트립 공급을 위해 해제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양호한 실시예에서, 편의 장치(58)는 유압 또는 공갑 실린더의 형태를 취한다.
편의력이 너무 작으면, 스트립 표면의 전류에 의한 결점들을 피할 정도로 도전 밴드와 스트립의 접촉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는다. 최소 편의력은 0.70kg/㎠(10psi)가 양호하다. 양호한 편의력 범위는 1.1 내지 3.2kg/㎠(15-45psi) 이다.
제 4 도는 스트립을 도전 롤(18)에 가압하기 위해 스트립(12)과 접촉하여 장착된 장치(44)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도전 롤(18)의 폭은 210-220cm(84-86인치)이다. 일반적으로 도전 밴드(30)는 폭이 대략 74cm(29인치)이고 도전 롤(18)의 주위에 장착된다. 장치(44)는 제 4 도에 예시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전 롤의 폭만큼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44)는 약 210-220cm(84-86인치)외 폭을 갖는다. 상기 장치는 도전 밴드(30)의 폭보다 약간 큰 폭으로 스트립(12)과 접촉하는 형태로 성공적으로 실험이 시행되었다. 이와 같이 스트립과 접촉하는 장치의 실시예가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의 다른 실시예(도시안됨)는 장치(44)와 스트립 사이에서 소망되는 접촉폭[예를 들어, 76cm(30인치)]만큼만 길이가 긴 장치일 것이다.
상기 장치(44)는 티타늄 바아 스톡같은 내식성 물질의 고체 중앙 맨드릴(60)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폴리우레탄같은 매우 부드러운 롤 물질(62)이 맨드릴과 회전하기 위해 맨드릴(60)의 주위에 장착된다. 상기 맨드릴은 베어링(도시안됨)을 사용해 지지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지지체에 장착된다.
스트립(12)이 장치(44)에 의해 접촉된 후 전해욕(20)에 들어가기 전에 스트립(12) 표면에 균일한 전해액 필름을 제공하기 위해 헤더가 장착된다.
이 방식에 의해 편향롤에 의해서나 장치(44)에 의해 야기되는, 종래 셀로부터 스트립에 실린 필름에 있어서의 여러 불규칙성이 제거되고 그 결과 전해액에서 제공된 금속 피복이 균일해진다. 특히, 제 5 도에 도시된 장치(44)의 실시예는 스트립의 중심 주위에는 얇은 전해질 필름을 남기고 스트립의 엣지 근처에는 두터운 필름을 남기는 스퀴지(squeegee) 역할을 한다. 또한 제 4 도의 전폭을 갖는 실시예의 경우는, 스트립을 상이한 폭으로 처리하면 스트립에 불균일한 필름을 발생시키는 미세한 홈을 장치(44)에 초래할 수 있다. 전기용착 피복에 대응한 불균일성을 초래할 수 있는 이들 불균일성은, 균일한 필름이 형성되도톡 스트립이 장치에 의해 접촉된 후 전해욕에 들어가기 전에 스트립에 전해질을 충분히 공급하므로써 제거된다.
동작시, 스트립(12)은 편향롤(16) 위에서 장치(44)와 도전 롤(18) 사이와 양극(24)과 도전 롤(18) 사이의 갭(26)을 통해, 도전 롤(18)의 출구측의 장치(44)와 도전 롤(18) 사이와 편향롤(28)을 거쳐 방향(14)으로 통과한다. 그 후 편의 장치(58)는 지지체를 통해 소정의 힘을 공급하게 결합되어 장치(44)를 스트립(12)에 가압하고 스트립(12)을 도전 롤(18)의 도전 밴드(30)에 소정의 힘으로 가압한다. 이 절차는 시스템의 각 도금 셀(10)에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편향롤(16, 28)은 회전하여 스트립(12)을 전해욕(20)을 통과하게 한다. D.C 전류는 양극(24)과 음극 인 도전롤(18) 사이에 공급된다. 전해질은 헤더(40)를 통해 흘러 스트립(12)과 접촉된다. 각각의 셀(10) 안에서, 금속 이온은 양극으로부터 탭(26)을 통해 이동하여, 스트립(12)에 도금되는 아연이나 아연 합금이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게 한다. 그런 후 스트립(12)은 피복 시스템의 다음 셀로 들어가게 되며, 이때 셀의 수는 그 라인에서 필요로 하는 총 피복 두께와 각 셀(10)의 피복능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양극(24)은 특정 전류로 정격화된다. 최대 전류에서, 획득가능한 최대 선 속도는 각 셀에서 획득될 피복의 두께와 전류 밀도의 계산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44)를 사용하므로써, 스트립은 장력이 감소된 상태로 도전 밴드(30)와 단단하게 접촉이 유지된다. 그러므로, 스트립과 도전 밴드(30)의 전폭(entire width) 사이의 접점에 상당히 균일한 전류 전송이 이루어져, 스트립에 전류를 크게 전송하는 작은 국부 영역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스트립 상의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결점의 빈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장치(44)는 스트립(12)을 유연한 엣지 부분(32)에 밀봉결합을 유지하게하여 전해질이 스트립(12)과 도전 롤(18) 사이에서 흐르지 못하도록 방지하므로써 도전롤(18)과 접촉하는 스트립 측이 도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두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편향롤(16,28) 사이에서 스트립에 가해져야만 하는 장력의 양이 감소되며, 그에 의해 금간 곳이 없는 강(IF 강)과 같은 두께가 얇고 폭이 넓으며 부드러운 강의 전기 도금이 가능해 진다.

Claims (10)

  1. 도금 전해욕을 구비한 저장조와, 상기 전해욕에 부분적으로 잠기고 스트립의 폭보다 작은 폭의 중앙도전 밴드와 비도전성의 유연한 엣지를 갖는 방사형 음극과, 상기 방사형 음극의 잠긴 부분 주위에 정렬된 양극과, 상기 전해욕 위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형 음극과 협동하여 편향롤 사이에 있는 스트립의 부분에 금속 스트립을 방사형 음극의 도전 밴드에 스트립 표면과 도전 밴드 표면에 수직한 힘으로 가압하여 장력을 가하는 펀향롤을 구비하여, 금속 스트립의 일측에 금속을 도금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에 있어서, 스트립과 도전 밴드 사이에서의 전류 전송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스트립의 접점 근처에서 스트립을 방사형 음극과 접촉시키고 스트립을 방사형 음극의 도전 밴드에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스트립면에 수직한 접촉력을 제공하는 전류전송 개선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력은 스트립과 도전 밴드 사이에서의 균일한 전류 전송에 요구되는 장력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송 개선수단은 억제 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송 개선수단은 스트립이 전해욕에 들어가기 전에 상기 스트립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송 개선수단은 스트립이 전해욕에서 나온 후 상기 스트립과 접촉하는 제 2 억제 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롤은 스트립의 전폭에 걸쳐 스트립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롤은 도전 밴드보다 넓은 스트립 부분에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스트립이 전해욕에 들어가기 전에 스트립 표면에 균일한 전해질 필름을 공급하는 헤더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가용성이고, 전해액은 염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비가용성이고, 전해액은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10. 중앙 도전 밴드 및 유연한 엣지를 갖는 방사형 음극 도전롤과, 전해욕과, 상기 전해욕 내에서 도전롤에 인접한 양극과, 상기 전해욕 위에 위치되는 제 1 및 제 2 편향롤을 포함하는 상기 도전 롤이 전해욕에 부분적으로 잠겨 있는 방사형 전기용착 장치를 사용하여, 제 1 편향롤 위에서 도전 롤의 외주를 거쳐 전해욕속의 도전롤과 양극 사이를 통해 전해욕 밖으로 나온 후 제 2 편향롤 위로 금속 스트립을 통과시키는 단계와, 스트립으로의 전류 전송을 위해 스트립이 도전 밴드에 가압될 장력 레벨로 제 1 편향롤과 도전 롤과 제 2 편향롤 사이에서 스트립에 장력을 가하는 단계와, 스트립이 전해욕을 통과하도록 편향롤들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 스트립에 금속 피복재를 전기용착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 용 전류전송 방법에 있어서, 스트립이 전해욕에 들어가기 전에 그 스트립을 스트립과 도전 롤 사이의 접촉 위치근처에서 접촉시키는 단계와, 스트립을 도전 밴드에 균일하게 가압하여 스트립상의 장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방법.
KR1019930701691A 1991-01-18 1991-08-23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및 방법 KR960015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44,065 US5069762A (en) 1991-01-18 1991-01-18 Appartaus for improved current transfer in radial cell electroplating
US644,065 1991-01-18
PCT/US1991/006051 WO1992013118A1 (en) 1991-01-18 1991-08-23 Apparatus for improved current transfer in radial cell electropl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483A KR930703483A (ko) 1993-11-30
KR960015230B1 true KR960015230B1 (ko) 1996-11-04

Family

ID=2458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691A KR960015230B1 (ko) 1991-01-18 1991-08-23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69762A (ko)
EP (1) EP0567466B2 (ko)
JP (1) JP2604531B2 (ko)
KR (1) KR960015230B1 (ko)
AT (1) ATE121467T1 (ko)
DE (1) DE69109133T3 (ko)
WO (1) WO1992013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6927A1 (de) * 1992-10-31 1994-05-05 Hans Josef May Vorrichtung zum einseitigen elektrolytischen Beschichten von Metallbändern
US20060243593A1 (en) * 2005-04-29 2006-11-02 Bowman Kenneth A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ntact between a web and a roll
JP5175992B1 (ja) 2012-07-06 2013-04-03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極薄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極薄銅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3378A (en) * 1939-04-28 1942-08-18 Carnegie Hlinois Steel Corp Device for holding metallic strip in contact with conductor rolls
US3483113A (en) * 1966-02-11 1969-12-09 United States Steel Corp Apparatus for continuously electroplating a metallic strip
US3634223A (en) * 1970-02-25 1972-01-11 United States Steel Corp Contact assembly
NL170027C (nl) * 1971-05-25 1982-09-16 Galentan Ag Verbetering van een om een vaste as draaibare elektrolyt-verdeelinrichting.
DE2324834C2 (de) * 1973-05-17 1978-09-07 Dr. Eugen Duerrwaechter Doduco, 7530 Pforzheim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selektiven Bandgalvanisieren
JPS6082700A (ja) * 1983-10-07 1985-05-10 Kawasaki Steel Corp ラジアルセル型めつき槽におけるカウンタ−フロ−装置
JPS62136596A (ja) * 1985-12-09 1987-06-19 Fuji Photo Film Co Ltd 金属ウエブへの連続電解処理装置
JPH08993B2 (ja) * 1987-03-17 1996-01-10 川崎製鉄株式会社 金属ストリツプの電解処理装置
FR2617869B1 (fr) * 1987-07-07 1989-12-15 Laminage Continu Ste Rouleau conducteur rotatif pour le depot electrolytique en continu sur des feuillards metalliques ou autres feuillards electroconducteurs
US4822457A (en) * 1988-01-25 1989-04-18 Usx Corporation Method of eliminating a fern-like pattern during electroplating of metal st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9133D1 (de) 1995-05-24
EP0567466B2 (en) 1999-10-13
KR930703483A (ko) 1993-11-30
EP0567466B1 (en) 1995-04-19
DE69109133T3 (de) 2000-05-25
JP2604531B2 (ja) 1997-04-30
JPH06504584A (ja) 1994-05-26
DE69109133T2 (de) 1995-11-30
EP0567466A1 (en) 1993-11-03
ATE121467T1 (de) 1995-05-15
US5069762A (en) 1991-12-03
WO1992013118A1 (en) 199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49770A (zh) 一种用于柔性薄膜基材表面电镀加工的水电镀设备
CN214991962U (zh) 一种用于柔性薄膜基材表面电镀加工的水电镀设备
JPH083155B2 (ja) ストリップの電解被覆装置及びその方法
US5425862A (en) Apparatus for the electroplating of thin plastic films
US6979391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electrolytic treatment of electrically conducting structures which are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electrically insulating film materials and use of the method
JPS6238436B2 (ko)
KR960015230B1 (ko) 방사형 셀 전기용착용 전류전송 장치 및 방법
GB1569994A (en) Process for the selective electrodeposition of metals
US45591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lateral electroplating of a moving metal strip
US45840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electrolytic treatment of a metal strip using insoluble horizontal electrodes
US3629077A (en) Process for plating of stripes on longitudinal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KR960004269B1 (ko) 금속스트립의 무흠집 전기도금방법
KR100340488B1 (ko) 고속도금용연속전기도금장치
CA133669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lectrolytic coating of one side of a moving metal strip
JP2004232063A (ja) 金属箔の表面メッキ装置
JP2801841B2 (ja) 金属ストリップの通電処理槽用電極装置
JPH05279893A (ja) 極薄金属箔めっき装置
JPH04157198A (ja) 連続着色装置の給電方法
Nomoto Recent Developments in Electrolytic Plating Technology for Steel Sheets
JPS62103393A (ja) 金属ストリツプの連続電気メツキ方法
JPS59123797A (ja) 帯板の表面処理に用いる電極
JPS63179081A (ja) ステンレス帯鋼の連続着色皮膜硬化工程におけるステンレス帯鋼への給電方法
JPH0533186A (ja) 電解めつき方法および装置
JPS6017094A (ja) 帯状導電材料のメツキ法
JPS63195290A (ja) 缶用メツキ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