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145B1 -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 Google Patents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145B1
KR960006145B1 KR1019930014139A KR930014139A KR960006145B1 KR 960006145 B1 KR960006145 B1 KR 960006145B1 KR 1019930014139 A KR1019930014139 A KR 1019930014139A KR 930014139 A KR930014139 A KR 930014139A KR 960006145 B1 KR960006145 B1 KR 96000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razinyl
compound
reaction
methy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라끼 우에다
히사시 미야모또
히로시 야마시따
히또시 토네
Original Assignee
오스카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오스카 아끼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카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오스카 아끼히꼬 filed Critical 오스카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930014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6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06Peri-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07D215/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본 발명은 일반식(1)로 표시되는 새로운 항생물질인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될수 있는 이것의 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중에서, R2가 치환될 수도 있는 5-9원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환, R4는 저급알킬, R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며, R3l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X는 할로겐원자이다.
일반식(1)의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그 염은 많은 그램양성균과 그램음성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며, 각종의 병원균에 의하여 발생되는 사람, 동물, 어류등의 감염성 질병에 대한 치료제로서 유용하며, 또한 의료용 기구등의 의용살균제로서나 소득제로서도 유용하다.
항박테리아제로서 유용한 4-옥소퀴놀린-3-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안하고 있는 문헌은 많다.
이러한 문헌중에서 유럽특허공고번호 178388은 다음 일반식의 1-사이클로프로필-7-파이퍼라지노 다이하이드로퀴놀린 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안하고 있다.
식중에서 Rl은 H 또는 저급알킬, R2는 H, 메틸, P-니트로(또는 아미노)-벤질, R3는 H, 메틸 또는 아미노메틸이고, Y는 Cl 또는 F이다.
일본국 특허 공개공고번호 469/1987은 다음 일반식의 1-사이클로프로필-다이하이드로퀴놀린 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안하고 있다.
식중에서 R은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피롤리디닐 또는 파이퍼라지닐이다.
WO 8606630은 다음 일반식의 1-사이클로알킬-1, 4-다이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안하고 있다.
식중에서 R1은 C3-C6사이클로 알킬이고, Y는 임의로 치환원 6원의 방향족기이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4,556,658은 다음 일반식의 7-아미노-1-사이클로프로필-3-퀴놀린 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안하고 있다.
식중에서 R1과 R2는 각기 치환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알킬이거나, 또는 N원자와 함께 서로 상호간에 결합하여 형성된 5 또는 6원의 헤테로사이클릭 환이다.
벨기에 특허 899399는 다음 일반식의 1-사이클로프로필-7-파이퍼라지닐-다이하이드로퀴놀린 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안하고 있다.
식중에서 R은 H 메틸 또는 P-니트로(또는 아미노)-벤질, R1은 H 또는 저급알킬이고, Y는 Cl, F, 메틸이다.
유사하게 1-치환-7-헤테로사이클릭기-치환 다이하이드로퀴놀린 카복실산 유도체도 또한 다른 많은 문헌상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들 공지의 문헌들에는 5위치에 알킬 치환체를 갖는 어떠한 화합물도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항미생를 활성 및 흡수성을 갖고 있는 일반식[1]의 새로운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그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성을 갖는 성분으로서 다양한 감염성 질병의 치료에 유용한 일반식[1]의 화합물 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이것의 염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설명을 통하여 이 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새로운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은 상기한 바와같이 일반식[I]을 갖으며, 제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이것의 염들을 포함한다.
명세서중에서의 "할로겐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예로 들 수 있다. "저급알킬"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t-부틸, 펜틸, 헥실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치환될 수도 있는 5-9원의 포화 또는 풀포화 헤테로사이클릭환"이라는 용어는 저급알킬; 사이클로알킬: 페닐환이 알콕시나 니트로 또는 아미노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저급알킬; 할로겐원자 또는 1-3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저급알킬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피리딜; 저급알킬, 저급알카노일, 사이클로알킬 또는 저급알콕시카보닐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수산, 저급알콕시 및 할로겐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기를 갖는 저급알킬, 저급알키닐; 1-7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저급알카노일; 할로겐원자 및 카복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기를 갖는 저급알케닐카보닐, 저급알콕시카보닐; 저급알킬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카보닐; 페닐저급알콕시카보닐; 페닐저급알콕시카보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저급알카노일; 저급알콕시카보닐 저급알킬; 카복시 저급알킬; 아닐리노카보닐 저급알킬; 저급알킬, 페닐저급알킬, 저급알콕시카보닐 또는 저급알카노일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수산; 1-3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저급알킬술포닐; 1-2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2(5H)-퓨라논; 술포저급알킬; 옥소; 저급알콕시: 저급알케닐: 할로겐원자, 저급알카노일옥시; 페닐; 또는 저급알킬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2-옥소-1,3-다이옥솔렌메틸; 사이클로알킬아미노; 페닐 또는 저급알킬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2-옥소-1,3-다이옥솔렌메틸아미노; 저급알킬티오; 또는 티오에 의해서 치환될 수도 있는 5-9원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사이클릭환을 나타내며, 더욱 상세히는 예를들면 파이퍼라지닐, 파이퍼라디닐, 피롤리디닐, 호모 파이퍼라지닐, 모오폴리노, 티오모오폴리노, 1,2,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 이미다졸릴, 1,4-다이아자비 사이클로[4,3,0]노난-4-일, 티오모오폴리노-4-옥사이드, 티오모오폴리노-4,4-다이옥사이드, 파이라졸리디닐, 헥사하이드로 파이리다지닐, 피리딜, 티아졸리디닐,2-티오-1-이미다졸리디닐, 2-옥소-1-이미다졸리디닐, 3,7-다이아자비사이클로[4,3,0]노난-3- 일, 4-메틸-1-파이퍼라지닐, 4-에틸-1-파이퍼라지닐, 4-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t-부틸-1-파이퍼라지닐, 4-펜틸-1-파이퍼라지닐, 4-헥실-l-파이퍼라지닐, 3-메틸-1-파이퍼라지닐, 3,4-다이메틸-1-파이퍼라지닐, 2,5-다이메틸-1-파이퍼라지닐, 2,4,5-트리메틸-1-파이퍼라지닐, 3,4,5-트리메틸-1-파이퍼라지닐, 3-에틸-1-파이퍼라지닐, 3-프로필-4-메틸-1-파이퍼라지닐, 2-n-부틸-5-메틸-1-파이퍼라지닐, 2-펜틸-5-헥실-1-파이퍼라지닐, 4-포밀-1-파이퍼라지닐, 4-아세틸-1-파이퍼라지닐, 4-프로피오닐-1-파이퍼라지닐, 4-부티릴-1-파이퍼라지닐, 4-펜타노일-1-파이퍼라지닐, 4-헥사노일-1-파이퍼라지닐, 4-(α,α,α-트리플루오로아세틸) -1-파이퍼라지닐, 4-β,β,β-트리플루오로-α,α-다이플루오로프로피오닐)-l-파이퍼라지닐, 4-(γ,γ,γ-트리플루오로-β,β-다이플루오로-α,α-다이플루오로부티릴)-1-파이퍼라지닐, 4-(α,α-다이클로로아세틸)-1-파이퍼라지닐, 4-(α-브로모아세틸)-1-파이퍼라지닐, 4-(α-요오도아세틸)-1-파이퍼라지닐, 4-(β-플루오로프로피오닐)-1-파이퍼라지닐, 4-(β-플루오로-α-플루오로프로피오닐)-1-파이퍼라지닐, 4-(6-플루오로헥사노일)-1-파이퍼라지닐, 4-(4-클로로펜타노일)-1-파이퍼라지닐, 4-벤질-1-파이퍼라지닐, 4-(2-페닐에틸)-1-파이퍼라지닐, 4-(1-페닐에틸)-1-파이퍼라지닐,4-(3-페닐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4-페닐부틸)-1-파이퍼라지닐, 4-(1,1-다이메틸-2-페닐에틸)-1-파이퍼라지닐, 4-(5-페닐펜틸)-1-파이퍼라지닐, 4-(6-페닐헥실)-1-파이퍼라지닐, 4-(2-메틸-3페닐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아미노-1-파이퍼라지닐, 2-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메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다이메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2-에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프로필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t-부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펜딜아미노-l-파이퍼라지닐, 2-헥실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디이에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N-메틸-N-n-부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N-메틸-N -펜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2-(-N -에틸-N-헥실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아세틸아미노-1- 파이퍼라지닐, 3-포밀아미노-1-파이퍼라지닐, 2-프로피오닐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부티릴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펜타노일아미노-1-파이퍼라지닐, 2-헥사노일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N-메틸-N-아세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N-에틸-N-프로피오닐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하이드록시-1- 파이퍼라지닐, 3-하이드록시-1-파이퍼라지닐, 2-하이드록시-1-파이퍼라지닐, 4-메틸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에틸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프로필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n-부틸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펜틸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헥실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트리플루오르메틸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2-플루오로에틸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3-플루오로프로필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 (4,4,4-트리플루오로부틸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술포닐-1-파이퍼라지닐, 4-(프탈라이드-3-일)-1-파이퍼라지닐, 4-(3,4-다이브로모-2(5H)-퓨라논-5-일) -1-파이퍼라지닐, 4-(3,4-다이클로로-2(5H) -퓨라논-5-일) -1-파이퍼라지닐, 4-(2(5H)-퓨라논-5-일)-1-파이퍼라지닐, 4-(3-클로로-2(5H)-퓨라논-5-일)-1-파이퍼라지닐, 4 -포밀-3-메틸-1-파이퍼라지닐, 4-아세틸-3-에틸-1-파이퍼라지닐, 4-아세틸-2- 메틸-1-파이퍼라지닐, 4-메틸-3-하이드록시메틸-1-파이퍼라지닐, 3-하이드록시메틸-1-파이퍼라지닐, 4-에틸-3-(2-하이드록시에틸)-1-파이퍼라지닐, 3-(3-하이드록시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메틸-2-(4-하이드록시부틸)-1-파이퍼라지닐, 4-에틸-3-(5-하이드록시펜틸)-1-파이퍼라지닐, 3-(6-하이드록시헥실)-1-파이퍼라지닐, 4 -(4-메톡시벤질)-1-파이퍼라지닐, 4-(3-에톡시벤질)-1-파이퍼라지닐, 4-(2-프로폭시벤질)-1-파이퍼라지닐, 4-(4-n-부톡시벤질)-1-파이퍼라지닐, 4-(3-펜틸록시벤질)-1-파이퍼라지닐, 4-(2-헥실록시벤질)-1-파이퍼라지닐, 4-(4-니트로벤질)-1-파이퍼라지닐, 4-(3-니트로벤질)-1-파이퍼라지닐, (4-아미노벤질)-1-파이퍼라지닐, 4-(2-아미노벤질)-1-파이퍼라지닐, 4-사이크로플로필-1-파이퍼라지닐, 4-사이크로부틸-1-파이퍼라지닐, 4-사이크로펜틸-1-파이퍼라지닐, 4-사이클로로헥실-1-파이퍼라지닐, 4-사이클로헵틸-1-파이퍼라지닐, 4- 사이클로옥틸-1-파이퍼라지닐,4-페닐-1-파이퍼라지닐, 4-(4 -플루오로페닐)-1- 파이퍼라지닐, 4-(3-브로모페닐)-1-파이퍼라지닐, 4-(2-클로로페닐)-1-파이퍼라지닐, 4-(4-요오도페닐)-1-파이퍼라지닐, 4-(4-메틸페닐)-1-파이퍼라지닐, 4-(3-에틸페닐)-1-파이퍼라지닐, 4-(2-프로필페닐)-1-파이퍼라지닐, 4-(4-m-부틸페닐)-1-파이퍼라지닐, 4-(3-펜틸페닐)-1-파이퍼라지닐, 4-(2-헥실페닐)-1-파이퍼라지닐, 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파이퍼라지닐, 4-[3-(2-클로로에틸)페닐]-1-파이퍼라지닐, 4-[2-(3,3-다이브로모프로필)페닐]-1-파이퍼라지닐, 4-[4-(4-클로로부틸)페닐]-1-파이퍼라지닐, 4-하이드록시메틸-1-파이퍼라지닐, 4-(2-하이드록시에틸)-1-파이퍼라지닐, 4-(3-하이드록시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3-클로로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브로모메틸)-l-파이퍼라지닐, 4-(2-플루오로에틸)-1-파이퍼라지닐, 4-(4-클로로부틸)-1-파이퍼라지닐, 4-(3-플루오로펜틸)-1-파이퍼라지닐, 4-(2,3-다이클로로헥실)-1-파이퍼라지닐, 4-(2,2,2-트리플루오로에틸)-1-파이퍼라지닐, 4-(트리플루오로메틸)-1-파이퍼라지닐, 4-(아미노메틸)-1-파이퍼라지닐, 4-(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2-에틸아미노에틸)-1-파이퍼라지닐, 4-(4-프로필아미노부틸)-1-파이퍼라지닐, 4-(5-n-부틸아미노펜틸)-1-파이퍼라지닐, 4- (6-펜틸아미노헥실)-1-파이퍼라지닐, 4-(N-메틸-N-에틸아미노메틸)-1-파이퍼라지닐, 4-(N-메틸-N-프로필아미노메틸)-1-파이퍼라지닐, 4-(2-다이에틸아미노에틸)-1-파이퍼라지닐, 4-(메톡시메틸)-1-파이퍼라지닐, 4-(에톡시메틸)-1-파이퍼라지닐, 4-(2-프로폭시에틸)-1-파이퍼라지닐, 4-(3-부톡시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4- 펜틸톡시부틸)-1-파이퍼라지닐, 4-(5-헥실록시펜틸-1-파이퍼라지닐, 4-(6-메톡시헥실) -1-파이퍼라지닐, 4-프로파아질-1-파이퍼라지닐, 4-(2-부티닐)-1-파이퍼라지닐, 4-(3-부티닐)-1-파이퍼라지닐, 4-(1-메틸-2-프로피닐)-1-파이퍼라지닐, 4-(2-펜티닐)-1-파이퍼라지닐, 4-(2-헥시닐)-1-파이퍼라지닐, 4-에티닐-1-파이퍼라지닐, 4-바아닐-1-파이퍼라지닐, 4-알릴-1-파이퍼라지닐, 4-(2-부테닐)-1-파이퍼라지닐, 4-(3-부테닐)-1-파이퍼라지닐, 4-(1-메틸알릴)-1-파이퍼라지닐, 4-(2-펜테닐) -1-파이퍼라지닐, 4-(2-헥세닐)-1-파이퍼라지닐, 2-옥소-1-파이퍼라지닐, 3-옥소-1-파이퍼라지닐, 4-옥소-4-메틸-1-파이퍼라지닐, 4,4-다이메틸-1-파이퍼라지닐, 4-(2-피리딜)-1-파이퍼라지닐, 4-(3-피리딜)-1-파이퍼라지닐, 4-(4-피리딜)-1-파이퍼라지닐, 4-카아바모일-1-파이퍼라지닐, 4-다이메틸아미노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에틸아미노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프로필아미노카보닐-2-파이퍼라지닐, 4-부틸아미노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펜틸아미노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헥실아미노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다이에틸아미노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N-메틸-N-프로필아미노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메톡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에톡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프로폭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t-부톡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펜틸록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헥실록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벤질록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2-페닐에톡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3-페닐프로폭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4-페닐부톡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5-페닐펜틸옥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6-페닐헥실옥시카보닐)-파이퍼라지닐, 4-(2-아미노아세틸)-1-파이퍼라지닐, 4-(3-아미노프로피오닐)-1-파이퍼라지닐, 4-(4-아미노부티릴)-1-파이퍼라지닐, 4-(5-아미노펜타노일)-1-파이퍼라지닐, 4-(6-아미노헥사노일)-1-파이퍼라지닐, 4-(2-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1-파이퍼라지닐, 4-[2-(2-페닐에톡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1-파이퍼라지닐, 4-[2-(3-페닐프로폭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1-파이퍼라지닐, 4-[2-(4-페닐부톡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1-파이퍼라지닐, 4-메톡시카보닐메틸-1-파이퍼라지닐, 4-에톡시카보닐메틸-1-파이퍼라지닐, 4-(2-에톡시카보닐에틸)-1-파이퍼라지닐, 4-(3-프로폭시카보닐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4-부톡시카보닐부틸)-1-파이퍼라지닐, 4-(5-펜틸옥시카보닐펜틸)-1-파이퍼라지닐, 4-(6-헥실옥시카보닐헥실)-1-파이퍼라지닐, 4-카보닐메틸-1-파이퍼라지닐, 4-(2-카복시에틸)-1-파이퍼라지닐, 4-(3-카복시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4-카복시부틸) 틸)-1-파이퍼라지닐, 4-(5-카복시펜틸)-1-파이퍼라지닐, 4-(6-카복시헥실)-1-파이퍼라지닐, 4-(아닐리노카보닐메틸)-1-파이퍼라지닐, 4-(2-아닐리노카보닐에틸)-1-파이퍼라지닐, 4-(3-아닐리노카보닐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4-아닐리노카보닐부틸)-1-파이퍼라지닐, 4-(5-아닐리노카보닐펜틸)-1-파이퍼라지닐, 4-(6-아닐리노카보닐헥실)-1-파이퍼라지닐, 4-(3-카복시아크릴로일)-1-파이퍼라지닐, 4-(3-카복시-2,3-다이클로로아크릴로일)-1-파이퍼라지닐, 4-메틸-1-파이퍼라지닐, 4-에틸-1-파이퍼라지닐, 4-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n-부틸-1-파이퍼라지닐, 4-펜틸-1-파이퍼라지닐, 4-헥실-1-파이퍼라지닐, 4-메톡시-1-파이퍼라지닐, 4-에톡시-1-파이퍼라지닐, 4-프로폭시-1-파이퍼라지닐, 4-n-부톡시-1-파이퍼라지닐, 4-펜틸옥시 -1-파이퍼라지닐, 4-헥실옥시-1-파이퍼라지닐, 4-아세틸옥시-1-파이퍼라지닐, 4-프로피오닐옥시-1-파이퍼라지닐, 4-부틸릴옥시-1-파이퍼라지닐, 4-펜타노일옥시-1-파이퍼라지닐, 4-헥사노일옥시-1-파이퍼라지닐, 4-메톡시카보닐옥시-1-파이퍼라지닐, 4-에톡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프로폭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n-부톡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펜틸옥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헥실옥시카보닐-1-파이퍼라지닐, 4-벤질-1-파이퍼라지닐, 4-(2-페닐에틸)-1-파이퍼라지닐, 4-(1-페닐에틸)-1-파이퍼라지닐, 4-(3-페닐프로필)-1-파이퍼라지닐, 4-(4-페닐부틸)-1-파이퍼라지닐, 4-(5-페닐펜틸)-1-파이퍼라지닐, 4-(6-페닐헥실)-1-파이퍼라지닐, 4-하이드록시-1-파이퍼라지닐, 3-하이드록시-1-파이퍼라지닐, 2-하이드록시 -1-파이퍼라지닐, 4-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아미노-1-파이퍼라지닐, 2-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다이메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메틸아미노-1-파이러라지닐, 3-에틸아니모-1-파이퍼라지닐, 2-프로필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 -n -부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펜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헥실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다이에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N-메틸-N-프로필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카아바모일-1-파이퍼라지닐, 3-카아바모일-1-파이퍼라지닐,3,5-다이메틸-1-파이퍼라지닐, 2,5-다이메틸-1-파이퍼라지닐, 4-옥소-1-파이퍼라지닐, 3-옥소-1-파이퍼라지닐, 3-하이드록시-1-피롤리디닐, 3-아미노-1-피롤리디닐, 2-하이드록시-1-피롤리디닐, 2-아미노-1-피롤리디닐, 3-메틸아미노-1-피롤리디닐, 3-다이메틸아미노-1-피롤리디닐, 2-에틸아미노-1-피롤리디닐, 3-프로필아미노-1-피롤리디닐, 2-n -부 틸아미노-1-피롤리디닐, 3-펜틸아미노-1-피롤리디닐, 2-헥실아미노-1-피롤리디닐, 3-다이에틸아미노-1-피롤리디닐, 3-(N-메틸-N-프로필아미노-1-피롤리디닐, 2-(N-에틸-N-n-부틸아미노)-1-피롤리디닐, 3-아세틸아미노-1-피롤리디닐, 3-프로피오닐아미노-1-피롤리디닐, 2-부티릴아미노-1-피롤리디닐, 3-펜타노일아미노-1-피롤리디닐, 2-헥사노일아미노-1-피롤리디닐, 3-하이드로메틸-1-피롤리디닐, 2-(2-하이드록시에틸)-1-피롤리디닐, 3-(3-하이드록시프로필)-1-피롤리디닐, 2-(4-하이드록시부틸)-1-피롤리디닐, 3-5-(5-하이드록시펜틸)-1-1-피롤리디닐, 3-(6-하이드록시헥실)-1-피롤리디닐, 3-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3-(2-아미노에틸)-1-피롤리디닐, 2-(3-아미노프로필)-1-피롤리디닐, 3-(4-아미노부틸)-1-피롤리디닐, 3-(5-아미노펜틸)-1-피롤리디닐, 3-(6-아미노헥실)-1-피롤리디닐, 3-(메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3(5-아미노펜틸)-1-피롤리디닐, 3(6-아미노헥실)-1-피롤리디닐, 3-(메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3-(2-에틸아미노에틸)-1-피롤리디닐, 3-(3-프로필아미노프로필)-1-피롤리디닐, 2-(4-n-부틸아미노부틸)-1-피롤리디닐, 3-(5-펜틸아미노펜틸)-1-피롤리디닐, 3-(6-헥실아미노헥실)-1-피롤리디닐, 3-(다이메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2-(N-메틸-N-에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3-(N-에틸-N-n-부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3-메틸아미노메틸-4-메틸-1-피롤리디닐, 3-메틸아미노메틸-4-플루오로-1-피롤리디닐, 3-메틸아미노-4-메틸 -1- 피롤리디닐, 3-메틸아미노-4-클로로-1-피롤리디닐, 3-메틸아미노메틸-4-클로로-1-피롤리디닐, 3-메틸아미노-4-플루오로-1-피롤리디닐, 3-에틸아미노메틸-4-에틸-1-피롤리디닐, 4-프로필아미노메틸-2-프로필-1-피롤리디닐, 3-n-부틸아미노메틸-2-플루오로-1-피롤리디닐, 4-펜틸아미노메틸-2-n-부틸-1-피롤리디닐, 4-헥실아미노메틸-2-클로로-1-피롤리디닐, 4-프로필아미노-2-클로로-1-피롤리디닐, 4-n-부틸아미노-2-헥실-피롤리디닐, 3-펜틸아미노-4-에틸-1-피롤리디닐, 3-헥실아미노-4-플루오로-1-피롤리디닐, 4-메틸-1-호모파이퍼라지닐, 4-에틸-1-호모파이퍼라지닐, 4-프로필-1-호모파이퍼라지닐, 4-n-부틸-1-호모파이퍼라지닐, 4-펜틸-1-호모파이퍼라지닐, 4-헥실-1-호모파이퍼라지닐, 4-포밀-1-호모파이퍼라지닐, 4-아세틸-1-호모파이퍼라지닐, 4-프로피오닐-1-호모파이퍼라지닐, 4-부티릴-1-호모파이퍼라지닐, 4-펜타노일-1-호모파이퍼라지질, 4-헥사노일-1-호모파이퍼라지닐, 2-메틸-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에틸-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프로필-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n-부틸-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펜틸-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헥실-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포밀-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아세틸-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프로피오닐-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부티릴-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펜타노일-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헥사노일-1-헥사하이드로피리다질, 2-메틸-1-피라졸리디닐, 2-에틸-1-피라졸리디닐, 2-프로필-1-피라졸리디닐, 2-n-부틸-1-피라졸리디닐, 2-펜틸-1-피라졸리디닐, 2-헥실-1-피라졸리디닐, 2-포밀-1-피라졸리디닐, 2-아세틸-1-피라졸리디닐, 2-프로피오닐-1-피라졸리디닐, 2-부티릴-1-피라졸리디닐, 2-펜타노일-1-피라졸리디닐, 2-헥사노일-1-피라졸리디닐, 3,5-디이메틸모오폴리노, 3-메틸모오폴리노, 3- 에틸모오폴리노, 2-포로필모오폴리노, 3-n-부틸모오폴리노, 3-펜틸-5-메틸모오폴리노, 3-헥실-5-에틸모오폴리노, 3-아미노메틸모오폴리노, 3-메틸아미노메틸모오폴리노, 2-에틸아미노메틸모오폴리노, 3-프로필아미노메틸모오폴리노, 3-n-부틸아미노메틸모오폴리노, 2-펜틸아미노메틸모오폴리노, 3-헥실아미노메틸모오폴리노, 3-(2-메틸아미노에틸)-모오폴리노, 3-(3-메틸아미노프로필)모오폴리노, 3-(4-메틸아미노부틸)모오폴리노, 2-(5-메틸아미노펜틸)모오폴리노, 2-(6-메틸아미노헥실)모오폴리노, 4-(5-메틸-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1-파이퍼라지닐, 4-(5-Z-부틸-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1-파이퍼라지닐, 4-(5-페닐-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1-파이퍼라지닐, 4-(2-옥소-1,3-다이옥솔렌-4-일)에틸-1-파이퍼라지닐, 3-(5-메틸-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1-피롤리디닐, 4-(5-메틸-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파이퍼리디닐, 3-(5-페닐-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모오폴리노, 3,5-다이메틸-1-파이퍼라지닐, 3,3-다이메틸-1-파이퍼라지닐, 4-아세틸-3-메틸-1-파이퍼라지닐, 3-에틸-1-파이퍼라지닐, 3-에틸-4-메틸-1-파이퍼리지닐, 3-(트리플루오로메틸)-1-파이퍼라지닐, 3-(플루오로메틸)-1-파이퍼라지닐, 3-메틸티오-1-파이퍼라지닐, 4-메틸티오-1-파이퍼라지닐, 3-에틸티오-1-파이퍼라지닐, 3-메틸티오모오폴리노, 4-플루오로-1-파이퍼리디닐, 3-플루오로-1-파이퍼라지닐, 3-클로로-1-파이퍼라지닐, 3-아미노-4-플루오로-1-피롤리디닐, 3-아미노-4-다이하이드록시-1-피롤리디닐, 3-아미노-4-메톡시 -1-피롤리디닐, 3-아미노-4-플루오로-1-파이퍼리디닐, 3-아미노-4-다이하이드록시-1-파이퍼리디닐, 3-아미노-4-메틸-1-피롤리디닐, 4-벤질-3-메틸-1-파이퍼라지닐, 3-플루오로메틸모오폴리노3-클로로메틸모오폴리노, 4-옥소-1-파이퍼리디닐, 3-옥소-1-파이퍼리디닐, 2-옥소-1-파이퍼리디닐, 3-아세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3-(N-에틸-N-아세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3-t-부톡시카보닐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3-에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4-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사이클로프로필 아미노-1-피롤리디닐, 4-사이클로펜틸아미노-1-파이퍼라지닐, 4-사이클로헥실아미노-1-파이퍼라지닐, 3-사이클로 헵틸아미노-1-피롤리디닐, 4-사이클로옥틸아미노-1-파이퍼리디닐, 4-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1-파이퍼리디닐, 3-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모오폴리노, 4-티오-l-파이퍼리디닐, 3-티오-1-파이퍼라지닐, 3-티오모오폴리노, 4-사이클로프로필아노메틸-1-파이퍼라지닐, 3-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4-사이클로프로필 아미노메틸-1-파이퍼리디닐, 3-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모오폴리노, 4-(2-사이클로펜틸아미노에틸)-1-파이퍼라지닐, 4-(3-사이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1-파이퍼라지닐, 3-(4-사이클로부틸아미노부틸)-1-피롤리디닐, 4-(5-사이클로옥틸아미노펜틸 )-l-파이퍼리디닐, 4- (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헥실)모오폴리노, 3-아세틸아미노메틸-l-피롤리디닐, 4-(2-프로피오닐아미노에틸)-1-파이퍼라지닐, 4-(3-부틸아미노프로필)-1-파이퍼라디닐, 3-(4-펜타노일아미노부틸)모오폴리노, 4-(5-헥사노일아미노펜틸)-1-파이퍼라지닐, 3-(6-아세틸아미노헥실)-1-피롤리디닐, 4-(N-아세틸-N-에틸아미노)메틸-1-파이퍼라지닐, 4-(N-사이클로프로필-N-아세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4-(메톡시카보닐아미노메틸)-1-파이퍼라지닐, 4-(2-에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1-파이퍼라디닐, 3-(3-프로폭시카보닐아미노프로필)모오폴리노, 3-(4-펜틸옥시카보닐아미노부틸)-1-피롤리디닐, 3-(5-헥실옥시카보닐아미노펜틸)-1-피롤리디닐, 4-(6-t-부톡시카보닐아미노헥실)-1-파이퍼라지닐, 3-(N-t-부톡시카보닐-N-에틸아미노에틸-1-피롤리디닐, 3-(N-t-부톡시카보닐-N-메틸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3-(N-t-부톡시카보닐-N-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1-피롤리디닐, 4-(메톡시카보닐-N-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1-파이퍼라지닐, 4-(N-프로폭시카보닐-N-사이클로헥실아미노메틸)-1-파이퍼라디닐 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페닐환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 니트로 또는 아미노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으여,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로 되어 있는 페닐알킬; 페닐환이 할로겐원자, 또는 1-3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 피리딜; 수산,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카노일, C3-C8사이클로 알킬 및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l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 및 할로겐 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체를 갓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알킬닐; 1-7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직선상 또는가지상인 C1-C6알카노일; 1-3개의 할로겐원자 또는 카복시로 치환된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알케닐-카보닐;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카보닐; 1 또는 2개의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카보닐; 알콕시 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콕시인 페닐알콕시카보닐; 알콕시 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콕시인 페닐 알콕시 카보닐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아미노알카노일; 알콕시 및 알킬부분이 각기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 및 알킬인 알콕시카보닐알킬;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인카복시알킬;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인 아닐리노카보닐알킬;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인 페닐알킬,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 알콕시-카보닐, 또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카노일 1 또는 2개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수산; 1-3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술포닐: 프탈라이드; 1 또는 2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2(5H)-퓨라논;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인 술포알킬; 옥소;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 ,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알케닐; 할로겐원자;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알카노일옥시; C3-C8사이클로 알킬아미노;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티오; 티오;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 또는 페닐로 치환될 수도 있는 2-옥소-1,3-다이옥솔렌메틸; 그리고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C1-C6알킬 또는 페닐로 치환될 수도 있는 2-옥소-1,3-다이옥솔렌메틸아미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체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5-9원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 사이클릭 환을 예로들 수 있다.
또한 "치환될 수도 있는 5-9원의 포화 또는 불포화헤테로 사이클릭환"으로서는 다음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기들도 포함한다.
일반식
여기서 Ra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b는 수소원자, 저급알킬, 저급알카노일, 페닐저급알킬 또는저급알킬로 치환된 2-옥소-1,3-다이옥솔렌메틸이며, Rc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다;
일반식
여기서 Rd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e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다;
일반식
여기서 Rf는 저급알킬 및 저급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또는 저급알킬 및 저급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또는 2개의 치환체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저급알킬이고, Rg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다;
일반식
여기서 Rh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고, R1는 수소원자, 수산, 할로겐원자 또는 옥소이며, Rj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다.
"사이클로알킬"로서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또는 사이클로 옥틸등의 C3-C8사이클로 알킬을 예로들 수 있다.
"페닐환이 저급알콕시, 니트로 또는 아미노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저급알킬"로서는 벤질, 2-페닐에틸, 1-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1,1-다이메틸-2-페닐메틸, 5-페닐펜틸, 6-페닐헥실, 2-메틸-3-페닐프로필, 4-메톡시벤질, 3-에톡시벤질, 2-프로폭시벤질, 4-n-부틸시벤질, 3-펜틸옥시벤질, 2-헥실옥시벤질, 4-니트로벤질, 3-니트로벤질, 4-아미노벤질, 2-아미노벤질, 2-(4-메톡시페닐)에틸, 1-(3-에톡시페닐)에틸, 3-(2-프로폭시페닐)프로필, 4-(4-n-부톡시페닐)부틸, 5-(2-니트로페닐)펜틸, 6-(3-아미노페닐)헥실 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 니트로 또는 아미노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고,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인 페닐알킬을 예로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 또는 1-3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저급알킬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로서는 페닐, 4-플루오로페닐, 3-브로모페닐, 2-클로로페닐, 4-요오드페닐, 4-메틸페닐, 3-에틸페닐, 2-프로필페닐, 4-n-부틸페닐, 3-펜틸페닐, 2-헥실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3-(2-클로로에틸)페닐, 2-(3,3-다이브로모프로필)페닐,4-(4-클로로부틸)페닐, 3-(5-요오드펜틸)페닐, 4-(6-플루오로헥실)페닐, 2-(1,2,2-트리플루오로에틸)페닐 또는 4-(2,2,2-트리플루오로에틸)페닐 등과 같은 페닐 환이 할로겐원자 또는 1-3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을 예로들 수 있다.
"저급알킬, 저급알카노일, 사이클로알킬 또는 저급알콕시카보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그리고 수산, 저급알콕시, 할로겐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체를 갖는 저급알킬"로서는, 하이드록시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1-하이드록시에틸, 3-하이드록시프로필, 4-하이드록시부틸, 5-하이드록시펜틸, 6-하이드록시헥실, 3-클로로프로필, 브로모메틸, 2-플루오로에틸, 4-클로로부틸, 3-플루오로펜틸, 2,3-다이클로로헥실,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미노메틸, 2-아미노에틸, 1-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 4-아미노부틸, 5-아미노펜틸, 6-아미노헥실, 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2-에틸아미노에틸, 4-프로필아미노부틸, 5-n-부틸 아미노펜틸, 6-펜틸아미노헥실, 메틸아미노메틸, 다이에틸아미노메틸, 2-다이프로필 아미노에틸,1-다이-n-부틸아미노에틸, 3-다이펜틸아미노프로필, 4-다이헥실아미노부틸, N -메틸-N-에틸아미노메틸, N-메틸-N-프로필아미노메틸,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2 -프로폭시에틸, 3-부톡시프로필, 4-펜틸옥시부틸, 5-헥실옥시펜틸, 6-메톡시헥실, 프로폭시메틸, 1-에톡시에틸, 2-헥실옥시에틸, 포밀아미노메틸, 아세틸아미노메틸, 2- 프로파노일아미노에틸, 3-부티릴아미노프로필, 4-펜타노일아미노부틸, 5-헥사노일아미노펜틸, 6-아세틸아미노헥실, 프로파노일아미노메틸, 1-아세틸아미노에틸, 2-헥사노일아미노에틸, N-아세틸-N-메틸아미노메틸, N-아세틸-N-에틸아미노메틸, N-아세틸-N-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 N,N-다이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 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 2-사이클로부틸아미노에틸, 3-사이클로펜틸 아미노프로필, 1-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에틸, 2-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4-사이클로헥실아미노부틸, 5-사이클로부틸아미노펜틸, 6-사이클로옥틸아미노헥실, N-메틸-N-사이 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 N-에틸-N-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 메톡시카보닐아미노메틸, 2-에톡시카보닐아미노메틸, 3-프로폭시카보닐 아미노프로필, 4-t-부톡시카보닐아미노부틸, 5-펜틸옥시카보닐아미노펜틸 6-헥실옥시카보닐 아미노헥실, t-부톡시카보닐아미노메틸, 2-t-부톡시카보닐 아미노에틸, 1-t-부톡시카보닐아미노에틸, N-t-부톡시카보닐-N-메틸아미노메틸, N-t-부톡시카보닐-N-에틸아미노메틸 또는 N-t-부톡시카보닐-N-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 등과 같은, 수산기;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카노일, C3-C8사이클로알킬 및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 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치환체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 및 할로겐원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3개의 치환체를 갖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을 예로들 수 있다.
"1-7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저급알카노일"로서는 포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틸릴, 펜타노일, 헥사노일, α,α,α-트리플루오로아세틸, β,β,β-트리플루오로-α,α-다이플루오로프로피오닐, γ,γ,γ-트리플루오로-β,β-다이플루오로-α,α-다이플루오로부틸리, α,α-다이클로로아세틸, α-브로모아세틸, α-요오도아세틸, β-플루오로프로피오닐, β-플루오로-α-플루오로프로피오닐, 6-플루오로헥사노일 또는 4-클로로 펜타노일, 3,3,3-트리플루오로프로피오닐 등과 같은 1-7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카노일을 예로 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와 카복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체를 갖는 저급알케닐카보닐"로서는, 3-카복시아크릴로일, 3-카복시 -2,3-다이클로로아크릴로일, 3-카복시-2,3-다이브로모아크릴로일, 4-카복시크로토노일, 4-카복시아이소크로토노일, 5-카복시-3-펜테노일, 6-카복시-4-헥세노일, 4-카복시-3-플루오로 크로로노일 또는 5-카복시-3,4-다이클로로-3-헥실노일 등과 같은, 할로겐원자와 카복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체를 갗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알케닐-카보닐을 예로들 수 있다.
"저급알콕시카보닐"로서는 메톡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프로폭시카브닐, 아이소프로폭시카보닐, 부톡시카보닐, t-부톡시카보닐, 펜틸옥시카보닐 또는 헥실옥시카보닐 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카보닐을 예로를 수 있다.
"저급알킬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카보닐"로서는 카보모일, 메틸아미노카보닐, 에틸아미노카보닐, 프로필아미노카보닐, n-부틸아미노카보닐, 펜틸아미노카보닐, 헥실아미노카보닐, 다이메틸아미노카보닐, 다이에틸아미노카보닐, 다이프로필아미노카보닐, 다이펜틸아미노 카보닐, 다이헥실아미노카보닐, N-메틸-N-프로필아미노카보닐, N-메틸-N-t-부틸아미노 카보닐 또는 N-에틸-N-펜틸아미노카보닐 등과 같은 1 또는 2개의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카보닐을 예로들 수 있다.
"페닐저급알콕시카보닐"로서는 벤질옥시카보닐, 2-페닐에톡시카보닐, 1-페닐에톡시카보닐, 3-페닐프로폭시카보닐, 4-페닐부톡시카보닐, 1,1-다이메틸-2-페닐에톡시카보닐, 5-페닐펜틸옥시카보닐, 6-페닐헥실옥시카보닐 또는 2-메틸-3-페닐프로폭시카보닐 등과 같은 알콕시 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인 페닐알콕시 카보닐을 예로들 수 있다.
"페닐저급알콕시카보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저급알카노일"로서는, 2-아미노아세틸, 3-아미노프로피오닐, 4-아미노부틸릴, 5-아미노펜타노일, 6-아미노헥사노일, 2 -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 2-(2-페닐에톡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 2-(3-페닐프로폭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 3-(4-페닐부톡사카보닐아미노)프로피오닐, 4-(1,1-다이메틸-2-페닐에톡시카보닐아미노)부티릴, 5-(5-페닐펜틸 옥시 카보닐아미노)펜타노일, 6-(6-페닐헥실옥시 카보닐아미노)헥사노일 또는 2-(2-메틸-3-페닐프로폭시카보닐아미노)아세틸 등과 같은, 알콕시 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콕시인 페닐알콕시카보닐로 치환될수도 있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아미노알카노일을 예로들 수 있다.
"저급알콕시카보닐저급알킬"로서는, 메톡시카보닐메틸, 에톡시카보닐메틸, 2-에톡시카보닐에틸, 3-프로폭시카보닐프로필, 4-부톡시카보닐부틸, 5-펜틸옥시카보닐펜틸, 6-헥실옥시카보닐헥실, 2 -메톡시카보닐에틸, 3-메톡시카보닐프로필, 3-에톡시카보닐프로필 또는 4-에톡시카보닐부틸 등과 같은 알콕시와 알킬부분이 각기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콕시와 알킬인 알콕시카보닐알킬을 예로들 수 있다.
"카복시저급알킬"로서는 카복시메틸, 2-카복시에틸, 3-카복시프로필, 4-카복시부틸, 5-카복시펜틸, 6-카복시헥실, 1-카복시에틸, 1,1-다이메틸-2-카복시에틸 또는 2-메틸-3-카복시프로필 등과 같은,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인 카복시알킬을 예로들 수 있다.
"아닐리노카보닐저급알킬"로서는 아닐리노카보닐메틸, 2-아닐리노카보닐에틸, 1-아닐리노카보닐에틸, 3-아닐리노카보닐프로필, 4-아닐리노카보닐부틸, 5-아닐리노카보닐펜틸, 6-아닐티노카보닐헥실, 1,1-다이메틸-2-아닐리노카보닐에틸 또는 2-메틸-3-아닐리노타보닐프로필 등과 같은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인 아닐리노카보닐알킬을 예로들 수 있다.
"저급알킬, 저급알카노일, 저급알콕시카보닐 또는 페닐저급알킬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로서는, 아미노,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t-부틸아미노, 펜틸아미노, 헥실아미노, 다이메틸아미노, 다이에틸아미노, 다이 -n -프로필아미노, 다이-t -부틸아미노, 다이펜틸아미노, 다이헥실아미노, N-메틸-n-부틸아미노, N-메틸-N-펜틸아미노, N-에틸-N-헥실아미노, 아세틸아미노, 포밀아미노, 프로피오닐아미노, 부티릴아미노, 펜타노일아미노, 헥사노일아미노, N-메틸-N-아세틸아미노, N-에틸-N-프로피오닐아미노, N-메틸-N-부틸릴아미노, N-n-프로필-N-펜타노일아미노, N-에틸 -N-헥사노일아미노, 메톡시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보닐아미노, 프로폭시카보닐아미 노, t-부톡시카보닐아미노, 펜틸옥시카보닐아미노, 헥실옥시카보닐아미노, 부톡시카보닐아미노, N-t-부톡시카보닐-N-메틸아미노, N-t-부톡시카보닐-N-에틸아미노, N -t -부톡시카보닐-N-벤질아미노, 벤질아미노, (2-페닐에틸)아미노, (1-페닐에틸)아미노, (3-페닐프로필)아미노, (4-페닐부틸)아미노 (5-페닐펜틸)아미노 또는(6-페닐헥실)아미노 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카노일,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 알콕시-카보닐 또는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인 페닐알킬이 1 또는 2개 치환될 수도 있는 아미노를 예로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 1 또는 2개로 치환될 수도 있는 2-(5H)-퓨라논"으로서는, 2(5H)-퓨라논-5-일, 3,4-다이브로모-2(5H)-퓨라논-5-일, 3,4-다이클로로-2(5H)-퓨라논-5-일, 3-클로로-2-(5H)-퓨라논-5-일, 4-플루오로-2(5H) -퓨라논-5-일 또는 3-요오드-2-(5H)-퓨라논-5-일 등과 같은, 할로겐원자 1 또는 2개로 치환될 수도 있는 2(6H)-퓨라논을 예로들 수 있다.
"술포저급알킬"로서는, 술포메틸, 2-술포에틸, 1-술포에틸, 3-술포프로필, 4-술포부틸, 5-술포펜틸, 6-술포헥실, 1,1-다이메틸-2-술포에틸 또는 2-메틸-3-술포프로필 등과 같은, 알킬부분이 직선상 또는 가지상의 C1-C6알킬인 술포알킬을 예로들 수 있다.
"1-3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저급알킬술포닐"로서는,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아이소프로필술포닐, n-부틸술포닐, 펜틸술포닐, 헥실술포닐, 트리플루오로메틸 술포닐, 2-플루오로에틸술포닐, 3-플루오로프로필술포닐, 4,4,4-트리플루오로부틸술포닐, 5-클로로펜틸술포닐, 6-브로모헥실술포닐, 6-요오드헥실술포닐, 2,2-다이플루오로에틸술포닐 또는 2,3-다이브로모프로필술포닐 등과 같은 1,3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술포닐을 예로들 수 있다.
"저급알콕시"로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아이소프로폭시, 부톡시, t-부톡시, 펜틸옥시 또는 헥실옥시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를 예로들 수 있다.
"저급알카노일옥시"로서는 아세틸옥시, 프로피오닐옥시, 부티릴옥시, 아이소부틸옥시, 펜타노일옥시 또는헥사노일 옥시 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알카노일옥시를 예로들 수 있다.
"저급알키닐"로서는 비닐, 알릴, 2-부테닐, 3-부테닐, 1-메틸알릴, 2-펜테닐 또는 2-헥세닐 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알케닐을 예로들 수 있다.
"저급알키닐"로서는 에티닐, 2-프로피닐, 2-부티닐, 3-부티닐, 1-메틸-2-프로피닐,2-펜티닐 또는2-헥시닐 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알키닐을 예로들 수 있다.
"페닐 또는 저급알킬로 치환될 수도 있는 2-옥소-1,3-다이옥솔렌메틸"로서는, (5-메틸-2-옥소-1,3-다이옥솔렌-3-일)메틸, (5-t-부틸-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 (5-페닐-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 (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 (5-헥실-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 (5-에틸-5-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 또는 (5-프로필-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 등과 같은, 페닐 또는 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로 치환될 수도 있는 2-옥소-1,3-다이옥솔렌메틸을 예로들 수 있다.
"페닐 또는 저급알킬로 치환될 수도 있는 2-옥소-1,3-다이옥솔렌메틸아미노"로서는 (5-메틸-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 (5-t-부틸-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 (5-페닐-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 (2-옥소 -1,3-다이옥솔렌-4-일) 메틸아미노, (5-펜틸-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 (5-헥실-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 (5-에틸-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 또는 (5-프로필-2-옥소-1,3-다이옥솔렌-4-일)메틸아미노 등과 같은 페닐 또는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로 치환될 수도 있는 2-옥소-1,3-다이옥솔렌 메틸아미노를 예로들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아미노"로서는 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 사이클로부틸아미노, 사이클로펜틸아미노, 사이클로헥실아미노, 사이콜로헵틸아미노 또는 사이클로옥틸아미노 등과 같은 C3-C8사이클로 알킬아미노를 예로들 수 있다.
"저급알킬티오"로서는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아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t-부틸티오, 펜틸티오 또는 헥실티오 등과 같은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티오를 예로들 수 있다.
"페닐환이 저급알콕시, 할로겐원자, 수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체로 치환될수도 있는 페닐기"로서는, 페닐, 4-메톡시페닐, 3-에톡시페닐, 2-프로폭시페닐, 4-n-부톡시페닐, 3-펜틸옥시페닐, 2-헥실옥시페닐, 3,4-다이메톡시페닐, 2,4,6-트리메톡시페닐, 2-플로오로페닐, 4-플루오로페닐, 3-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4-브로모페닐, 2-요오도페닐, 2,4-다이플루오로페닐, 2,6-다이플루오로페닐, 3,4-다이플루오로페닐, 2,5-다이플루오로페닐, 2,4-다이클로로페닐, 2,6-다이브로모페닐,2,4,6-트리플루오로페닐, 3,4,6-트리클로로페닐, 4-플루오로-2-메톡시페닐, 2-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 2-하이드록시페닐, 3-하이드록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2,3-다이하이드록시페닐, 2,3-다이하이드록시페닐 또는 2,4,6-트리하이드록시페닐 등과 같은 페닐환상에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콕시, 할로겐원자 그리고 수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체에 의하여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을 예로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 저급알카노일옥시 또는 수산으로 치환될 수도 있는 저급알킬"로서는, 하이드록시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1-하이드록시에틸, 3-하이드록시프로필, 4-하이드록시 부틸, 5-하이드록시펜틸, 6-하이드록시헥실, 3-클로로프로필, 브로모메틸, 2-플루오로에틸, 4-클로로부틸, 3-플루오로펜틸, 다이플루오로메틸, 2,3-다이클로로헥실,2,2,2-트리플루오로에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아세틸옥시메틸, 2-프로피오닐옥시에틸,3-부티릴옥시프로필, 4-펜타노일옥시부틸, 5-헥사노일옥시펜틸, 6-아세틸옥시헥실, 프로파노일옥시메틸, 1-아세틸옥시에틸, 2-아세틸옥시에틸 또는 2-헥사노일 옥시에틸 등과 같은, 상기한 바와같이 저급알킬외에도, 할로겐원자,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2-C6알카노일옥시 또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치환체에 의하여 치환된 직선상 또는 가지상인 C1-C6알킬을 예로들 수있다.
상기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여러가지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하나의 예를든다면, 다음의 반응도식에 나타낸 바와같은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반응도식-Ⅰ]
식중에서, R4및 X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같으며, R3는 수소원자, R2'는 할로겐원자 또는 R2기(R2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같다)이고, R5는 일반식 -COR10기(여기서 R10은 저급알킬) 또는 일반식 -COOR11기(여기서 Rl1은 저급알킬)이여, R6는 저급알킬이고, R7은 일반식기(여기서 R12와 R13은 각기 저급알킬) 또는 저급알콕시이며, X2와 X3는 각기 할로겐원자이고, R8와 R9은 각기 저급알킬이다.
화합물[2]의 할로겐화 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서 또는 용매없이 할로겐화 시약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로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다이클로로메탄, 크로로포름, 사염화탄소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다이메틸포름아미드(DMF)다이메틸술폭사이드(DMSO)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화 시약으로서는 카복시기의 수산기를 할로겐으로 치환활 수 있는 상용의 할로겐화 시약을 사용할수 있으머, 예를들면 염화티오일, 옥시염화인, 옥시브롬화인, 오염화인, 오브롬화인 등을 예로들 수 있다.
화합물[2]와 할로겐화 시약과의 혼합비율은 한정되지 않는 넓은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지만, 용매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반응을 행할 경우에는 할로겐화 시약을 과량으로 사용하며, 용매중에서 반응을 행할 경우에는 화합물[2]의 1몰당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2-4몰을 사용한다.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도 큰 제한은 없지만, 반응은 통상적으로 실온 -100℃ 정도에서 30분-6시간 정도로 행하여진다.
화합물[3]과 화합물[4]와의 반응은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이라면 어느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들면, 물, 다이에틸에테르,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모노글라임, 다이글라임등의 에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파놀 등의 알콜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헵탄, 사이클로헥산, 리그로인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피리딘, N,N-다이메틸아닐린 등의 아민류, 클로로포름, 다이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DMF, DMSO, 헥사메틸인산아마니드(HMPA)등의 아프로틱극성용매나 또는 이러한 것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또,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금속나드륨, 금속칼륨, 급속마그네슘, 수소화나트륨, 나트륨아마이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무기염기와 나트륨메틸레이트, 나트륨에틸레이트등의 금속알콜레이트류 그리고 피리딘, 파이퍼리딘, 퀴놀린, 트리메틸아민, N,N-다이메틸아닐린 등의 유기 염기등을 들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0-150℃, 바람직하게는 0-120℃ 정도의 온도에서 약 0.5-2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4]는 일반적으로 화합물[3]의 1몰당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2몰을 사용한다.
또한 염기성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화합물[3]의 1몰당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2몰을 사용한다.
화합물[5]에서 R5가 일반식 -COR10기인 경우, 이 화합물에서 -COR10기의 제거반응은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적당한 용매중에서 행하여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들면 다이에틸에테르,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모노글라임, 다이글라임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헵탄, 사이클로헥산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DMF, DMSO, HMPA 등의 아프로틱 극성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암모니아가스, 암모니아수용액, 염화암모늄 등의 암모늄염, 에틸아민, 다이에틸아민, 파이퍼리딘 등의 제1또는 제2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0-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실온 -100℃ 정도의 온도에서 약 1-2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5]에서, R5가 일반식 -COOR11기인 경우, 이 화합물에서 -COOR11기의 제거반응은 산촉매의 존재하에 수용액중에서 행하여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산촉매로서는 염산, 황산등의 무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산등을 들 수 있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0-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실온 -100℃ 정도에서 약 1-2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얻어진 R5기를 제거한 화합물과 화합물[6]과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수행된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상기의 R4제거반응에 사용되는 무수 초산등의 무수저급알칸산은 어느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반응은 통상적으로 0-200℃ 정도, 바람직하게는 0-150℃ 정도에서 0.5-1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6]의 사용량으로서는 화합물[5]의 1몰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동몰-과잉량으로 바람직하게는 동물-2배 몰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R7이 저급알콕시기인 화합물[6]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용매 이의에 무수초산등의 무수산을 용매로 사용할 수가 있으며, 그 반응온도도 일반적으로 0-200℃, 바람직하게는 0-170℃ 부근으로 하는 것이좋다.
화합물[7]과 화합물[8]과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행하여 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알콜류, 다이에틸에테르,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모노글라임, 다이글라임 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n-헥산, 헵탄, 사이클로헥산, 리그로인 등의 지방족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DMF, DMSO, HMPA 등의 아프로토닉 극성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0-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실온 -100℃ 정도에서, 0.1-15시 간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8]의 사용량으로서는 화합물[7]에 대하여 적어도 동몰량, 바람직하게는 동몰 -2몰량을 사용한다.
이 반응은 원한다면 염기성 화합물을 가해도 좋다.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상기의 화합물[3]과 화합물[4]와의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을 어느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9]의 환화반응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행하여 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어느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다이에틸에테르,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모노글라임, 다이글라임등의 에테르류, n-헥산, 헵탄, 리그로인등의 지방족탄화수소류, 크로로포롬, 염화메틸렌, 사염화탄소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DMF, DMOS, HMPA등의 아프로토닉 극성용매등을 들 수 있다.
또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금속나트륨, 금속칼륨, 수산화나트륨, 나트륨아마이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등의 무기염기, 나트륨메틸레이트, 나트륨 에틸레이트등의 금속 알콜레이트류,1,8-다이아자비사이클로[5,4,0]운덴슨-7(DBU), N-벤질트리메틸암모니움 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부틸암모니움하이드록사이드등의 유기염기등을 예로들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0-200℃, 바람직하게는 실온-150℃정도의 온도에서, 0.5-15시간정도로 수행된다.
염기성 화합물의 사용량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화합물[9]에 대하여 적어도 동몰량, 바람직하게는 동몰량 -2배몰량으로 사용된다.
화합물[a]의 가수분해 반응은, 일반적인 가수분해 반응의 조건을 적용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바륨, 탄산칼륨등의 염기성 화합물 황산 염산, 질산등의 무기산, 초산, 방향족 술폰산등의 유기산등의 존재하에서 물, 메탈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등의 알콜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등의 케톤류, 다이옥산, 에틸렌 글리콜등의 에테르류, 초산등의 용매 또는 이러한 것들의 혼합용매중에서 행하여진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실온 -200℃, 바람직하게는 실온 -150℃ 정도에서 진행시키며, 반응시간은 0.1-30시간정도이다.
이 반응에 의하여 화합물[1a']가 제조된다.
[반응도식 II]
식중에서 R2, R4및 X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X4할로겐원자이고, R14는 수소원자 또는 일반식기(여기서 R15와 R16은 각각 알킬이다)이다.
화합물[1b]와 화합물[11]과의 반응에 있어서, 두 화합물은 넓은 범위의 비율로 사용되며, 화합물[11]은 일반적으로 화합물 [1b]의 1몰당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5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반응은 불활성용매 구체적으로 물,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밀알콜, 아이소아밀알콜등의 알콜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다이글라임등의 에테류, 다이메틸아세테이트 아마이드, DMF, DMSO, HMPA, N-메틸 피롤리딘등의 용매 또는 이러한 것들의 혼합용매중에서 행하여진다.
이러한 용매들중에서 DMF, DMSO, HMPA 및 N-메틸피롤리딘등이 특히 좋다.
또한 반응은 산제거시약인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등의 무기탄산염류나, 피리딘, 퀴놀린, 트리에틸아민등의 유기염기류등의 존재하에서 행하여질 수도 있다.
또한 불화칼륨등의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을 반응혼합물에 첨가하여도 좋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1-20기압, 바람직하게는 1-10기압하에서 그리고 온도는 일반적으로 실온 -250℃정도, 바람직하게는 실온 -200℃의 온도에서 행하여지며, 일반적으로 10분-30시간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lb']에서, Rl4가 일반식기 인 경우에는 산 또는 염기로 처리하여 킬레이트 화합물을 분해시켜서 R14가 수소원자인 화합물[1b']로 변환시킬 수가 있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염산, 황산등의 무기산, 초산 p-톨루엔술폰산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염산, 황산등의 무기산, 초산 p-톨루엔술폰산등의 유기산을 들수 있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상화합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륨등의 무기염기와 트리에틸아민등의 유기염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0-150℃, 바람직하게는 0-100℃정도에서 잘 진행딘다.
산 또는 염기의 사용량으로서는 원료화합물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몰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1-10몰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도식 -I에 있어서 일반식[2]의 출발원료 화합물은 신규 또는 공지의 화합물일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다음의 반응도식 -III에 나타낸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도식 Ⅲ]
식중에서 X, R2', R4및 X2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같으며, X5및 X6는 각각 할로겐원자이고, R20은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이며, R21은 저급알킬이고, 여기서 R20과 R21은 서로 결합하여 5-7원의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M은 나트륨, 칼륨등의 알칼리금속 또는 은, 칼슘, 구리등의 금속이다.
화합물[16]의 R20과 R21이 서로 결합하여 5-7원의 환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합물[20]의 R20은 -R20-R21-H이다.
화합물[16]은 일반식[14]의 아닐린 유도체를 출발원료로하여 이것을 할로겐화 시약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얻어진 일반식[14a]의 화합물을 일반식[15]의 티오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으로 제조된다.
아닐린유도체[14]와 할로겐화 시약과의 반응은 일반적으로 적당한 용매중에서 행하여진다.
용매로서 반응에 바람직하지 못한 용향을 미치지 않는 통상의 각종 용매는 어느것이라도 사용되어질 수있다.
이러한 용매로서는예를들면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다이옥산, 다이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등의 저급알콜류, DMS, HMPA, 아세토니트릴등의 극성용매를 들 수 있다.
또한 위의 반응에 사용되는 할로겐화 시약은 통상적으로 할로겐화 반응에 사용되는 각종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는 N-브로모숙신이미드, N-클로로숙신이미드, 차아브롬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표백분, 염화티오닐, t-부틸 하이포클로라이드등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이 할로겐화 시약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출발원료 화합물 1몰에 대하여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약 1-6몰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온도는 일반적으로 -78℃, -실온, 바람직하게는 -60℃, -15℃ 정도이며, 반응은 몇분안에 완결된다.
이 반응에 의하여 일반식[14a]로 포시되는 중간물질이 생성된다. 결과로서 얻어진 화합물[14a]는 후속반응에 공급되기 의해서 반응혼합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 반응혼합물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일반식[15]의 티오화합물과 반응하도록 제공된다.
중간화합물[14a]와 화합물[15]와의 반응은, 적당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위에 언급한 용매와 동일한 용매하에서 그리고 동일한 온도조건하에서 행하여 진다.
이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염기성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나트륨아미이드, 수소화 나트륨등의 무기염기 및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피리딘, 퀴놀린등의 제3아민류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 있다.
화합물[15]는 일반적으로 중간화합물[14a]의 1몰에 대하여 최소한 1몰, 바람직하게는 1-1.5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실온 -150℃, 바람직하게는 실온 -100℃정도에서 1-50시간정도 수행된다.
화합물[16]과 화합물[17]과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또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행할 수 있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들면, 물, 에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등의 알콜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산, 다이글라임등의 에테르류, DMF, DMSO, HMPA, N-메틸피롤리던등의 극성용매나 이러한 것들의 혼합용매들을 예로들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등의 무기탄산염류, 피리딘,퀴놀린, 트리에틸 아민등의 유기염기류, 염화페닐트리에틸암모늄, 염화테트라메틸암모늄등의 상전이 촉매등을 예로들 수 있다.
화합물[17]의 사용량은 화합물[16]의 1몰에 대하여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2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실온 -200℃정도, 바람직하게는 실온 -180℃ 정도에서 일반적으로 -0.5-10시간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19]를 제조하기 위한 화합물[18]의 탈황반응은 일반적으로 적당한 촉매의 존재하에 용매중에서 행하여진다.
촉매로서는 예를들면 알루미늄-아말감, 리튬저급알킬아민, 래니니켈, 래니코발트, 트리에틸포스피트, 트리페닐포스핀 등을 예로들 수 있으며, 바람직한 것은 라니니켈이다.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등의 알콜류, 다이에틸에테르,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린 등의 에테르류등을 예로들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0-200℃, 바람직하게는 약 10분-5시간정도로 수행된다.
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화합물[18]에 대하여 약 1-10배의 중량으로 사용된다.
화합물[19]를 화합물[20]으로 전환시키는 반응은 산의 존재하에서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화합물[19]를 아질산나트륨, 아질산칼륨등의 아질산금속염과 반응시키고, 그 결과로서 얻어지는 생성물을 반응혼합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요오드화칼륨, 염화제(I)구리, 브롬화제(I)구리등의 할로겐화 금속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염산, 황산, 브롬화수소산등과 같은 무기산을 예로들 수 있다.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물, 초산등의 알칼산,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콜류, 클로로포름, 다이클로로메탄, 다이클로로에탄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등의 에테르류, DMF, DMSO, HMPA등의 극성용매 또는 이러한 것들의 혼합용매 등을 예로들 수 있다.
아질산금속염 및 할로겐화금속염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화합물[19]의 1몰에 대하여 각각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몰-1.5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0-150℃, 바람직하게는 0-100℃, 정도에서 10분-5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20]의 가수분해 반응은 적당한 가수분해촉매를 예를들면 염산, 브롬화수소산등의 할로겐화수소산, 황산, 인산등의 무기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등의 알칼리금속수산화물,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등의 알칼리금속탄산염 또는 중탄산염등의 무기알킬리 화합물의 존재하에 용매없이 또는 예를들면 물 또는 물과 메탄올, 에탄올등의 저급알콜류와의 혼합용매등의 적당한 용매하에서 행하여 진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50-200℃, 바람직하게는 70-180℃의 온도에서 1-1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반응도식 -II에 있어서, R14가 기인 일반식[1b]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다음의 반응도식 -IV에 나타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도식-IV]
식중에서 R4, X, X4, R15및 R16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6'는 저급알킬 또는 수소원자이고, R14'는 기이며, R22는 저급알킬이다.
화합물[1f]와 화합물[21]과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행하여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들면 상기의 반응도식 -I에 있어서 R5기를 제거시킨 화합물과 화합물[6]과의 반응에 사용되었던 용매를 예로들 수 있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실온 -200℃, 바람직하게는 실온 -150℃정도의 온도에서 약 10분-5시간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21]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화합물[1f]의 1몰에 대하여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10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응도식 - I 에서 사용되는 화합물[8]은 신규 또는 공지의 화합물일 수도 있지만 예를들면 다음의 반응도식 -V에 나타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도식-V]
식중에서 X7은 할로겐원자이고, R23은 페닐저급알콕시카보닐이며, R23'는 페닐저급알킬이고, m은 1-3의 정수이며, M'는 나트륨, 칼륨등의 알칼리 금속이고, M"는 수소원자 또는 M'이다.
화합물[22]와 화합물[23]과의 반응은 아마이드결합을 만드는 반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조건들 하에서 수행된다.
아마이드 결합을 만들기 위하여는 공지의 아미이드 결합을 만드는 반응조건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a) 혼합된 산무수물벌 : 카복실산 [2]에 알칼할로카복실산을 반응시켜 혼합된 산무수물을 얻은 다음 아자이드 [23]를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 (b) 활성에스테르법; 카복실산[2]을 P-니트로페닐에스텔,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또는 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에스테르등의 활성에스테르로 전환시키고, 그 다음에 이것에 아자이드[23]을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c) 카보다이이미드법; 카복실산 [22]에 아자이드[23]를 다이사이클로 헥실카보다이이미드 또는 카보닐다이이미다졸등의 활성화 시약의 존재하에 축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d) 그외의 다른 방법들; 카복실산 [22]을 무수초산등의 탈수제를 사용하여 카복실산 무수물로 전환시키고 얻어진 무수물과 아자이드[23]를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카복실산[22]과 저급알콜과의 에스테르에 아자이드[23]를 고온고압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또는 카복실산[22]의 산할로겐화물 즉, 아실할라이드에 아자이드[23]를 반응시키는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들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혼합된 산무수물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혼합된 산무수물은 통상적인 쇼톤-바우만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며, 통상적으로 이것을 반응혼합물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아자이드[23]와 반응시켜서 화합물[24]가 제조된다.
쇼톤-바우만 반응은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행하여 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쇼톤-바우만 반응에 일상적으로 쓰이는 화합물이 사용되며,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피리딘, 다이메틸아닐린, N-메틸모폴린, 1,5-다이아자비사이클로[4,4,0]노넨-5[DBN], 1,8-다이아자비사이클로[5,4,0]운덴센-7[DBU], 1,4-디이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DABCO]등의 유기염기,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나트륨등의 무기 염기등을 들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20-100℃정도, 바람직하게는 0-50℃정도에서 행하며, 반응시간은 5분-10시간 바람직하게 5분 -2시간이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혼합된 산무수물과 아자이드[23]와의 반응은 -20-150℃정도, 바람직하게는 0-50℃정도에서 행하여진다.
반응시간은 일반적으로 5분-10시간, 바람직하게는 5분-5시간이다.
혼합된 산무수물법은 일반적으로 용매중에서 행하여 진다.
사용되는 용매는 혼합된 산무수물법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는 어느것이라도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물,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다이클로로에탄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다이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메톡시에탄등의 에테르류, 초산메틸, 초산에틸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톤등의 케톤류, DMF, DMSO, HMPA등의 아프로틱 극성용매 또는 이러한 것들의 혼합용매를 예로들 수 있다.
혼합된 산무수물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알킬할로카복실산으로서는 예를들면 메틸클로로포메이트, 메틸브로모포메이트, 에틸클로로포메이트, 에틸브로모포메이트, 아이소부틸클로로포에이트등을 들 수 있다.
아자이드[23]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카복실산[22]이 몰에 대하여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1.5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아실할라이드에 아자이드[23]를 반응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그 반응은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적당한 용매중에서 행하여 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이미 알려져 있는 것이라면 어느것이라도 무방하며, 예를들면 위의 쇼톤-바우만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외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수소화칼륨, 탄산은과 나트륨메틸레이트, 나트륨에틸레이트등의 금속알콜레이트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들면 위의 혼합된 산무수물법에 사용되는 용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3-메톡시-1-부탄올, 에틸셀로솔브, 메틸셀로솔브등의 알콜류, 피리딘,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러한 것들의 혼합용매들을 들 수 있다.
아자이드[23]와 아실할라이드의 사용비율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아자이드[23]의 1몰에 대하여 아실할라이드를 적어도 1몰, 바랍직하게는 1-5몰의 양으로 사용한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30-180℃정도, 바람직하게는 0-150℃정도에서 5분-3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화합물[24]는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후속반응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화합물[24]와 화합물[25]의 반응은 용매없이 또는 적당한 용매중에서 일반적으로 0-150℃, 바람직하게는 실온 -l00℃부근에서 1-15시간정도 행하여 진다.
화합물[25]의 사용량은 화합물[24]의 1몰에 대하여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2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화합물[26]을 화합물[27]로 전환시키는 반응은 상기의 화합물[1]에 붙어 있는 헤테로사이클릭환으로부터 페닐저급알킬기 또는 페닐저급알콕시카보닐기의 제거반응에서 사용한 것과 똑같은 조건하에서 행하여질 수있다.
화합물[2]를 직접화합물[27]로 전환시키는 반응은 일반적으로 슈미트 반응이라고 불러워지는데 이 반응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산의 존재하에 행하여진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산으로서 염산, 황산등의 무기산, 옥시염화인, 오염화인, 산염화인, 오산화인등의 화합물, 티오닐 클로라이드, 염화제(II)철, 염화알루미늄, 염화제(II)주석, 술포초산, 인산등을 예로들 수 있다.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의 방향족 탄화탄소류, 클로로포름, 다이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0-150℃, 바람직하게는 0-100℃정도에서 0.5-1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23a]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화합물[22]의 1몰에 대하여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2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응도식 VI]
식중에서 R2', X, X5, X6, R20및 R21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화합물[57]과 할로겐화 시약과의 반응 및 화합물[l5]와의 후속반응은 상기의 화합물[14]와 할로겐화 시약과의 반응 및 화합물[15]와의 후속반응에서 적용된 바와 똑같은 반응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합물[59]를 제조하기 위한 화합물[58]의 탈황반응은 화합물[18]의 탈황반응에서 적용된 바와 똑같은 반응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합물[59]를 화합물[60]으로 전환시키는 반응은 화합물[46] 또는 [56]을 다이아조늄염으로 전환시키는 반응에서 적용된 바와 똑같은 반응조건하에서 상기의 화합물을 처리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그 다음 구리분말 또는 황산구리등의 구리화합물의 존내하에 MCN과 반응시키게 되며, 여기서 M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같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0-100℃정도, 바람직하게는 0-70℃ 정도의 온도에서 0.5-5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MCN은 일반적으로 화합물[59]의 1몰에 대하여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10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화합물[60]가수분해 반응은 상기의 화합물[20]의 가수분해 반응에 적용된 바와 똑같은 반응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도식-VII]
식중에서 X2, X3및 X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같으며, R32와 R33은 각각 저급알킬이다.
화합물[67]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염산, 황산등의 산, 티오닐 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 옥시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 펜타클로라이드, 포스포러스 트리클로라이드등의 할로겐화 시약의 존재하에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알콜중에서 수행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0-150℃정도, 바람직하게는 50-100℃정도의 온도에서 약 1-1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68]의 환원은 (i) 적당한 용매하에서 촉매환원제로 환원시키거나 또는 (ii) 금속 또는 금속 또는 금속염과 수산화물, 황화물 또는 암모늄염의 알칼리금속의 혼합물등의 환원제를 사용하여 적당한 불활성 용매중에서 환원시키는 것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수행된다.
(i)의 촉매환원법에 사용하는 경우, 이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초산,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등의 알콜류, 헥산, 사이클로헥산등의 탄화수소류, 다이에틸렌 글리콜다이메틸에테르,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에틸에테르등에 에테르류,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등의 에스테류,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등의 아프로틱 극성용매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촉매환원제로서는 예를들면 팔라듐, 팔라듐블랙, 팔라듐카본, 백금, 백금산화물,아크륨산염구리, 래니니켈등을 들 수 있다.
이 촉매는 일반적으로 화합물[45] 또는 [48]에 대하여 중량으로 0.02-1.00배의 양으로 사용된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20-150℃정도, 바람직하게는 0℃ -실온정도의 온도로 1-10기압의 수소압력하에서 0.5-1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ii)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환원제로서는 철, 아연, 주석 또는 염화제(II)주석과 염산, 황산의 무기산과의 혼합물, 철, 황산제(II)철, 아연 또는 주석과 수산화나트륨등의 알칼리금속수산화물, 암모늄설페이트등의 황산염, 수용성암모니아 또는 염화암모늄등과의 혼합물들을 들 수 있다.
불활성용매로서는 예를들면, 물, 초산, 메탄올, 에탄올, 다이옥산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환원반응의 반응조건은 사용되는 환원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면 염화제(II)주석과 염산을 조합한 환원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 반응은 0℃-실온정도의 온도에서 0.5-10시간정도로 양호하게 수행된다.
환원제는 일반적으로 출발원료 화합물의 1몰에 대하여 적어도 1몰, 바람직하게는 1-5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화합물[69]의 할로겐화 반응은 할로겐화 시약의 존재하에 적당한 용매중에서 수행된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할로겐화 시약으로서는 브롬, 염소, 염화요오드, 염화술루푸릴등의 할로겐, N-브로모숙신이미드, N-클로로숙신이미드등의 N-할로게노숙신이미드등을 들 수 있다.
이 할로겐화 시약은 일반적으로 화합물[69]의 1몰에 대하여 1-10몰, 바람직하게는 1-5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용매로서는 다이클로로메탄, 다이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초산, 프로피온산등의 저급알칸산, 물등을 예로들 수 있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0℃에서 용매의 비등점정도, 바람직하게는 0-10℃ 정도의 온도에서 약 0.1-10시간 정도로 수행된다.
화합물[70]을 화합물[71]로 전환시키는 반응은 화합물[46] 또는 [56]을 화합물[47] 또는 [53]으로 전환시키는 상기의 반응에서 적용된 바와 똑같은 반응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화합물[71]의 가수분해 반응은 화합물[1a]에 대한 상기의 가수분해 반응에서 적용된 바와 똑같은 반응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도식-I에 있어서의 화합물[1a]와 반응도식-II에 있어서의 화합물[1b] 및 [lb']는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1]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항미생물 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항미생물 제제로서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1]은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성 화합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염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산으로서는 예를들면 염산, 황산, 인산, 브롬화수소산등의 무기산, 옥살산, 말레인산, 푸말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 안식향산, 젖산, 메탄술폰산, 프로피온산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다.
염기로서는 예를를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분리방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정제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용매에 의한 추출법, 희석법, 재결정법, 컬럼크로마토그래피, 예비 얇은층 크로마토그래피(TLC)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합물[1] 또는 그 염은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Pseudomonasaemginosa), 염기성 박테리아, 각종의 항균제에 대한 내성균, 임상적으로 분리된 박테리아들, 엔테로코카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및 스타필로크카스 파이오젠스(Staphylococcus pyogenes)등의 그램음성균 및 그램양성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미생물 활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들에 의하여 유발된 질병의 치료에 대한 항미생물 제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이들 화합물들은 독성이 낮고 부작용이 적으며, 흡수성이 양호하고, 그 약효의 지속시간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소변으로의 배설율이 높기 때문에 요도 감염등의 치료에 유용하여, 또한 담즙을 통하여 배설되는 배설율이 높으므로 내장기관의 감염증에 대한 치료제로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1]에 있어서, R1은 치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사이클로프로필인 것이 바람직하고, X는 염소원자 및 불소원자가 바람직하여, 특히 바람직한 것은 불소원자이고, R4는 메틸, 에틸등의 저급압킬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한 것은 메틸이고, R3는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할로겐원자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등의 저급알킬,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불소원자등의 할로겐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불소원자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들면 젖산염, 염산염등의 염의 형태로 만들어 성체내로의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의약제제의 형태로 사용된다. 이 의약학적 제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제, 중량제, 결합제, 가습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택제등의 희석제나 조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의약제제로서는 다양한 형태의 제제가 치료목적을 위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정제, 환약제, 가루약제, 물약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캅셀제, 좌약제, 주사제로서의 물약제, 현탁제등을 예로들 수 있다.
정제의 형태로 제조할 때에는 어떠한 통상적인 담체도 사용될 수가 있으며, 예를들면 젖당, 백설탕, 염화나트륨, 포도당, 요소, 전분, 탄산칼륨, 카올린, 결정셀룰로오스, 규산등의 조형제, 물, 에탄올, 프로판올, 단시럽, 포도당액, 전분용액, 젤라틴용액,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셀락, 메틸 셀룰로오스, 인산칼륨, 폴리비닐피롤리딘등의 결합제, 건조시킨 전분, 알긴산나트륨, 한천분말, 라미나란본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라우릴황산나트륨, 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전분, 젖당등의 붕해제, 백설탕, 스테아린 카카오버터, 수소첨가유등의 붕해억제제, 제4차 암모니윰염, 라우릴황산나트륨등의 흡수촉진제, 글리세린, 전분등의 보습제, 전분, 젖당, 카올린, 벤토나이트, 콜로이달 규산등의 흡착제, 정제된 활석, 스테아린산의 염, 붕산의 분말, 폴리에틸렌글리콜등의 윤택제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정제는 통상적인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당고팅정제, 젤라틴 콘팅정제, 장속에서 껍질이 용해되도록 한 정제, 필름코팅정제 혹은 이중 또는 다중코팅정제의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환약제의 형태로 제조할 때에는 통상적인 담체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포도당, 젖당, 전분, 카카오버터, 경화식물유, 카올린, 활석등의 조형제, 아라비아고무분말, 트라가칸트분말, 제라틴, 에탄올등의 결합제, 라미나란, 한천등의 붕해제등을 들 수 있다.
좌약제의 형태로 제조할 때에는 통상적인 담체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카카오버터, 고급알콜류, 고급알콜의 에스테르류, 젤라틴, 반합성글리세라이드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로 조제되는 경우에는 본 화합물의 물약제, 유제 및 현탁제는 살균되며 또한 체액과 같은 등장액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약제, 유재 및 현탁제는 유효성분으로서의 화합물에 통상적인 희석제, 예를들면 물, 젖산수용액, 에틸알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톡시화 아이소스테아릴알콜, 폴리옥시화 아이소스테아릴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등을 첨가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제들은 체액과 등장액이 되도록 충분한 양의 식염, 포도당 혹은 글리세린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더구나 이러한 제제들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용화제, 완충제, 진통제등을 첨가할 수도 있으며, 게다가 필요에 따라 착색제, 보존제, 향료, 풍미제, 감미제등과 그 이외의 의약품을 의약제제중에 함유시켜도 좋다.
폐이스트, 크림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할 때에는 희석제로서 예를들면 백색바셀린, 파라핀, 글리세린,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사액중에 유효성분의 화합물이 침전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를면 메탄술폰산, 프로피온산, 염산, 호박산, 젖산등의 산을 적절히 가하여 주사액을 안정한 용액으로 보존시키는 것이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의약제제는 상기의 화합물[1] 또는 젖산 염등의 그 염 및 침전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산을 함유하는 주입용액 내지 주사용액으로 만들 수도 있다.
침전의 생성을 방지시켜주는 산으로서는 예를들면 젖산, 메탄술폰산, 프로피온산, 염산, 호박산등이 있으며,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젖산을 들 수 있다.
위의 주입용액 내지 주사용액에 함유시킬 수 있는 침전방지용 산의 양은 젖산을 사용할 경우에는 해당 용액중에 일반적으로 0.1-10중량 퍼센트 정도, 바람직하게는 0.5-2중량 퍼센트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젖산 이외의 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액중에 0.50-중량퍼센트 정도, 바람직하게는 0.3-2중량 퍼센트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위의 주입용액 내지 주사용액에는 필요에 따라 통상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으며, 예를들면 피막경화제, 흡수촉진제, 흡수억제제, 결정화방지제, 복합체형상제, 산화방지제, 등장용액제, 수화제등을 들 수 있다.
이 용액의 PH는 수산화나트륨등의 알칼리를 가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러한 용액의 PH는 2.5-7의 범위내에서 조절된다.
위의 주입용액 또는 주사용액은 안정성에 있어서 우수하며, 장기간 동안 용액상태로 비축, 보존될 수가 있다.
유효성분인 화합물[1] 또는 그 염의 양은 특별한 제한이 없이 넓은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제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70중량 퍼센트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의약제제의 투입방법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제제의 형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질환의 정도등에 따라서 알맞은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정제, 환약제, 물약제, 현탁제, 유제, 과립제 및 캡슐제의 경우에는 구강을 통하여 투여된다.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독으로 혹은 포도망, 아미노산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액과 혼합하여 정맥내로 투여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근육내로, 피부속 깊이로, 피하 또는 복강내로 투여된다. 좌약제의 경우에는 직장내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의약제제의 투여량은 용법,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질환의 정도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유효성분인 화합물[1] 또는 그 염의 양은 1일 기준으로 체중 1kg 당 약 0.2-100mg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제제는 1일에 2-4회 정도로 나누어서 투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을 다음의 참고예, 실시예등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 또는 조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하다.
(참고예 1)
에틸 2-(2-메틸-3,4,5,6-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3-에톡시 아크릴레이트(8.38g)의 에탄올(10ml) 용액에, 2S-2-아미노-1-프로판올(2.07g)의 에탄올(10ml) 용액을 얼음 냉각하에 교반하면서 적하했다. 그다음, 이 혼합물을 1시간 실온에서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여 에틸 2-(2-메틸-3,4,5,6-테트라플루오로벤조일)-3-(2S-3-하이드록시-2-프로필)아미노아크릴레이트(9.72g, 황색오일상)를 얻은 다음, 여기에 탄산칼륨(4.25g)을 가한 다이메틸 포름아마이드(40ml)를 140℃로 4시간 교반시키고, 반응후 혼합물을 얼음물에 붓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라피(다이클로로메틸)로 정제하여 융점이 216-217℃인 무색침상의 에틸 3S-9,10-다이플루오로-3,8-다이메틸-7-옥소-7H-피리도[1,2,3-데][1,4]벤조옥사진-6-카복실레이트(1.30g)를 얻었다.
(참고예 2)
에틸 3S-9,10-다이플루오로-3,8-다이메틸-7-옥소-7H-피리도[1,2,3-데][1,4]벤조옥사진-6-카복실레이트(1.25g)에 진한염산: 90% 초산(1:4)의 혼합물(20ml)을 가하고 l시간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침전물을 수세후 건조하여 융점이 249-251℃(분해)인 백색분말상의 3S(-)-9,10-다이플루오로-3,8-다이메틸-7-옥소-7H-피리도[1,2,3-데][1,4]벤조옥사진-6-카복실산(1.03g)을 얻었다.
(참고예 3)
3-(4-메틸-1-파이퍼라지닐)-4-플루오로-2,5-다이메틸-6-니트로-N-사이클로프로필아닐린(1.65g)에 다이에틸에톡시메틸렌말로네이트(1.45ml)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150℃에서 2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후 반응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다이클로로메탄 : 메탄올=100 : 1)로 정제하여 다이에틸[N-사이클로프로필-N-[3-(4-메틸-1-파이퍼라지닐)-4-플루오로-2,5-다이메틸-6-니트로페닐]아미노메틸렌]말로네이트(1.58g)를 얻었다.
이 생성물을 무수초산(7.9ml)에 용해시킨 다음 진한 황산(3.16ml)을 50-60℃에서 한방울씩 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얼음물 속에 붓고, 중화시킨 다음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10:1)로 정제하고, 에탄올-다이에틸 에테르로 재결정하여, 융점이 146-147℃인 황색결정상의 에틸 7-(4-메틸-1-파이퍼라지닐)-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5,8-다이메틸-1,4-다이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28mg)를 얻었다.
1H NMR(CDCl3)δ: 0.7-0.8(2H,m) 1.0-1.2(2H,m), 1.39(3H, t, J=7Hz), 2.39(3H, s), 2.59(3H, s), 2.4 -2.7(4H, br) , 2.75(3H, d, J = 2.9Hz), 3.1-3.4(4H, br), 3.8-4.0(1H, m), 4.38(2H, d, J = 7.lHz), 8.54(lH, s)
(참고예 4)
에틸 7-(4-메틸-1-파이퍼라지닐)-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5,8-다이메틸-1,4-다이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복실레이트(25mg)에 10% 수산화나트륨수용액(3ml)과 에탄올(3ml)을 가하고 이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냉각시킨후 이 반응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다이클로로 메탄으로 세정하였다.
수용액층을 초산으로 산성화시킨 후, 수용성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약알카리성으로 만들었다.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에 다이에틸에테르를 가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융점이 205-206℃인 황색결정상의 7-(4-메틸-1-파이퍼라지닐)-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5,8-다이메틸-1,4-다이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복실산(14mg)을 얻었다.
1H NMR(CDCl3)δ: 0.7-0.9(2H,m), 1.1-1.4(2H,m), 2.39(3H,s), 2.5-2.8(4H,br), 2.63(3H,s), 2.76(3H, d, J = 3Hz), 3.2 -3.5(4H, br), 4.0-4.2(1H, m), 8.85(1H, s), 14.3 -14.9(lH, br)
(참고예 5)
6,7-다이플루오로-1-사이클로프로필-5,8-다이메틸-1,4-다이플루오로-4-옥소퀴놀린-3-카복실산-B(OCOCH3)2킬레이트(1.24g)에 4-메틸-1-파이퍼라진(1.0g)과 다이메틸아세트 아마이드(6ml)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50℃에서 2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냉각시킨후 얻어진 잔류물을 아세톤(20ml)에 용해시킨 다음, 진한염산(5ml)을 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에 물을 가한 후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수용성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수용액층을 중화시키고,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킨후 다이에틸에테르와 에탄올의 혼합물을 잔류물에 가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융점이 205-206℃인 황색결정상의 7-(4-메틸-1-파이퍼라지닐)-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5,8-다이메틸-1,4-다이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복실산(0.1g)을 얻었다.
(참고예 6)
6,7-다이플루오로-1-사이클로프로필 -5,8-다이메틸 -1,4-다이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복실산(1.88g) 이 함유된 N-메틸피롤리돈(5ml)의 현탁액에 4-메틸-1-파이퍼라진(2.02g)을 가하고, 이 혼합물을 1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이 반응혼합물을 농축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3:1)로 정제한 다음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융점이 205-206℃인 황색 결정상의 7-(4-메틸-1-파이퍼라지닐)-1-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5,8-다이메틸-1,4-다이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복실산(0.05g)을 얻었다.
(실시예 1)
다이메틸 포름아마이드(5ml)중의 3S(-)-9,10-다이플루오로-3,8-다이메틸-7-옥소-7H-피리도[1,2,3-데][1,4]벤조옥사진-6-카복실산(0.295g) 현탁액에 4-메틸-1-파이퍼라진(0.30g)을 가하고 알곤기류하에서 120℃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종료 후 이 반응혼합뭍을 얼음물에 붓고 다이클로로 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수세, 건조 및 농축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다이클로로메탄:메탄올=30:1)로 정제하고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융점이 235-236.5℃(분해),=-125.9°(c=0.21, 클로로포름)의 무색프리즘상의 3S(-)-10-(4-메틸-1-파이퍼라지닐)-9-플루오로-3,8-다이메틸-7-옥소-7H-피리도[1,2,3-데][1,4]벤조옥사진-6-카복실산(0.055g)을 얻었다.
실험(체외(in vitro)에서의 항미생물 활성)
하기에 언급한 바와같은 시험화합물들의 항미생물 활성을 한천 평판상에 연속희석법으로 최소억제농도(MIC)를 측정 [케모더라피, 22, 1126-1128(1974) 참조]하여 시험하였다.
미생물들은 1×106세포/ml(O.D.660mμ,0.07-0.16,100배 희석)의 농도로 사용되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시험화합물]:
1. 3S(-)-10-(4-메틸-1-파이퍼라지닐)-9-플루오로-3,8-다이메틸-7-옥소-7H-피리도[1,2,3-데][1,4]벤조옥사진-6-카복실산.
[시험미생물]:
A:스타필로코카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FDA 209P
B:스타필로코카스 에루지노사(Staphylococcus aeruginosa) E-2
[표 1]
급성독성시험
12시간을 굶긴 숫쥐에 본 발명의 화합울을 정맥내 투여하여 독성시험을 했다. 얻어진 LD50값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2]

Claims (6)

  1. 하기 일반식(1)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것의 염
    상기식 중에서, R2는 일반식의 기이며(여기서 Ra는 수소원자 또는 C1-C6알킬기, R6는 수소원자, C1-C6알킬기, C1-C6알카노일기, 페닐(C1-C6) 알킬기 또는 C1-C6알킬기가 치환된 2-옥소-1,3-다이옥솔렌메틸기이며, Rc은 수소원자 또는 C1-C6알킬기임),|R4는 C1-C6알킬기,| R은 수소원자, R31은 C1-C6알킬기이고, X는 불소 원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1]의 화합물이 3S(-)-10-(4-메틸-1-파이퍼라지닐)-9-플루오로-3,8-다이메틸-7-옥소-7H-피리도[1,2,3-데][1,4]벤조옥사진-6-카복실산인 화합물.
  3. 하기 일반적의 화합물:
    (여기서, R2,R4,R31및 X는 제1항에서와 같으며, R3은 수소원자, X2는 할로겐원자, R6은 저급알킬기임)을 환화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여기서, R2,R4,R3l및 X는 제1항에서, 그리고 R6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상기의 화합물에 대한 가수분해 반응을 선택적으로 수행가능)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조헤테로사이클릭화합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항유하는 항균조성물.
  5. 하기의 일반식[1b]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것의 염
    상기중에서, R31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 R4는 저급알킬, R14는 수소원자, 저급알킬 또는 일반식(여기서, R15및 R16은 각각 알킬기이다)의 기이며, X 및 X4는 할로겐 원자이다.
  6.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여기서, R4, R31및 X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X4는 할로겐 원자이고, R14는 수소원자 또는 일반식의 기이며, 여기서 R15와 R16은 각각 알킬이다)을 일반식 R2H의 화합물(여기서, R2는 제l항에서와 같다)과 반응지켜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
    (여기서, R2,R4,R31및 X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R14는 전기한 바와 같으며, R14가 일반식의 기인 경우에는, R14가 수소원자인 화합물로의 변환반응을 선택적으로 수행가능)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9930014139A 1987-04-16 1993-07-26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KR96000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139A KR960006145B1 (ko) 1987-04-16 1993-07-26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9887 1987-04-16
JP87-94198 1987-04-16
JP10235187 1987-04-24
JP87-102351 1987-04-24
JP10836187 1987-04-30
JP87-108361 1987-04-30
JP87-126598 1987-05-22
JP12659887 1987-05-22
JP14954487 1987-06-16
JP87-149544 1987-06-16
JP87-176126 1987-07-14
JP17612687 1987-07-14
JP28377687 1987-11-09
JP87-283776 1987-11-09
JP28710887 1987-11-12
JP87-287108 1987-11-12
KR1019880004336A KR940002113B1 (ko) 1987-04-16 1988-04-16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KR1019930014139A KR960006145B1 (ko) 1987-04-16 1993-07-26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336A Division KR940002113B1 (ko) 1987-04-16 1988-04-16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145B1 true KR960006145B1 (ko) 1996-05-09

Family

ID=275728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336A KR940002113B1 (ko) 1987-04-16 1988-04-16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KR1019930014139A KR960006145B1 (ko) 1987-04-16 1993-07-26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336A KR940002113B1 (ko) 1987-04-16 1988-04-16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5) US5591744A (ko)
EP (3) EP0565132B1 (ko)
JP (2) JPH0696557B2 (ko)
KR (2) KR940002113B1 (ko)
CN (1) CN1053666C (ko)
CY (1) CY2050B1 (ko)
DE (4) DE3856515T2 (ko)
DK (2) DK170640B1 (ko)
ES (3) ES2091180T3 (ko)
HK (1) HK128797A (ko)
NL (1) NL980011I2 (ko)
SA (1) SA97180461A (ko)
SG (3) SG101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4392A (en) * 1987-10-16 1992-11-17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Quinoline derivatives and antibacterial agent containing them
IL88003A (en) * 1987-10-16 1992-11-15 Dainippon Pharmaceutical Co Quinoline derivatives,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NO885426L (no) * 1987-12-11 1989-06-12 Dainippon Pharmaceutical Co Kinolinderivater, samt fremgangsmaate ved fremstilling derav.
US4920120A (en) * 1988-01-25 1990-04-24 Warner-Lambert Company Antibacterial agents
US5585491A (en) * 1988-01-25 1996-12-17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Antibacterial agents
FI901201A0 (fi) * 1989-03-13 1990-03-09 Bristol Myers Squibb Co Antibakteriella 5-substituerade 1,4-dihydro-4-oxonaftyridin-3-karboxylatderivat och deras framstaellning.
DE3910663A1 (de) * 1989-04-03 1990-10-04 Bayer Ag 5-alkylchinoloncarbonsaeuren
CA2078444A1 (en) 1990-04-18 1991-10-19 Thomas P. Demuth, Jr. Antimicrobial quinolonyl lactams
US5342846A (en) * 1990-12-05 1994-08-30 Synphar Laboratories, Inc. 7-substituted-6-fluoro-1,4-dihydro-4-oxo-quinoline-3-carboxylic acid compounds and 7-(substituted triazolyl pyrrolidin-1-yl) 4-oxoquinoline-3-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eful as antibacterial agents
US5696132A (en) * 1991-05-28 1997-12-09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Pyrid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FR2692577B1 (fr) * 1992-05-26 1996-02-02 Bouchara Sa Nouvelles quinolones fluore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n renfermant.
CN1088586C (zh) * 1993-03-10 2002-08-07 大塚制药株式会社 白介素-1抑制剂
DE4329600A1 (de) * 1993-09-02 1995-03-09 Bayer Ag Pyrido [1,2,3-d,e] [1,3,4] benzoxadiazinderivate
ATE205209T1 (de) * 1993-10-28 2001-09-15 Kaken Pharma Co Ltd Chinolincarbonsäurederivate und ihre salze
DE4408212A1 (de) * 1994-03-11 1995-09-14 Bayer Ag 5-Vinyl- und 5-Ethinyl-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äuren
DE4431821A1 (de) * 1994-09-07 1996-03-14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rylaminoacrylsäurederivaten und die Verwendung so hergestellter N-Arylaminoacrylsäurederivate zur Herstellung von 4-Chinolon-3-carbonsäurederivaten
CA2210007A1 (en) * 1995-01-24 1996-08-01 Yasuo Ito Quinoline carboxylic acid
KR100516379B1 (ko) * 1996-11-28 2005-09-26 와쿠나가 세이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신규 피리돈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의약
DE19652239A1 (de) * 1996-12-16 1998-06-18 Bayer Ag Verwendung von 7-(2-Oxa-5,8-diazabicyclo[4.3.0]non-8-yl)-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äure-Derivaten zur Therapie von Helicobacter-pylori-Infektionen und den damit assoziierten gastroduodenalen Erkrankungen
ATE365152T1 (de) * 1998-09-14 2007-07-15 Otsuka Pharma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fluorierter benzoesäuren
EP1117406A1 (en) * 1998-09-30 2001-07-25 Alcon Laboratories, Inc. Antibiotic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the eye, ear and nose
US6716830B2 (en) * 1998-09-30 2004-04-06 Alcon, Inc. Ophthalmic antibiotic compositions containing moxifloxacin
US6395746B1 (en) 1998-09-30 2002-05-28 Alcon Manufacturing, Ltd. Methods of treating ophthalmic, otic and nasal infections and attendant inflammation
US6509327B1 (en) 1998-09-30 2003-01-21 Alcon Manufacturing,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tic, ophthalmic and nasal infections
DE19850788A1 (de) * 1998-11-04 2000-05-11 Claria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ifluorbenzoesäuren
AU3192700A (en) 1999-03-17 2000-10-04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Medicinal compositions
DE19962470A1 (de) * 1999-12-22 2001-07-12 Schulz Hans Herrmann Verwendung von Chemotherapeutika
US6608078B2 (en) 2000-05-08 2003-08-19 Wockhardt Limited Antibacterial chiral 8-(substituted piperidino)-benzo [i,j] quinolizines, process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US7098219B2 (en) 2000-08-01 2006-08-29 Wockhart Limited Inhibitors of cellular efflux pumps of microbes
AU2002239395A1 (en) * 2000-11-01 2002-06-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Hiv treatment with benzimidazoles
US6964966B2 (en) 2001-04-25 2005-11-15 Wockhardt Limited Generation triple-targeting, chiral, broad-spectrum antimicrobial 7-substituted piperidino-quinol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compositions and use as medicaments
US6878713B2 (en) 2001-04-25 2005-04-12 Wockhardt Limited Generation triple-targeting, chiral, broad-spectrum antimicrobial 7-substituted piperidino-quinol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compositions and use as medicaments
JP2005521712A (ja) * 2002-03-26 2005-07-21 アリゾナ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オン ビハーフ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アリゾナ 弱塩基の可溶化
WO2003099815A1 (en) 2002-05-28 2003-12-04 Wockhardt Limited Crystalline fluoroquinolone arginine salt form
SK2662004A3 (sk) 2002-11-20 2005-06-02 Japan Tobacco, Inc. Zlúčenina s obsahom 4-oxochinolínu a jej použitie ako inhibítora integráz
CA2537066C (en) 2003-09-04 2011-05-24 Wockhardt Limited Benzoquinolizine-2-carboxylic acid arginine salt tetrahydrate
PT1666477E (pt) * 2003-09-10 2013-08-28 Kyorin Seiyaku Kk Derivado de 7-(4-substituído-3-ciclopropilaminometil-1- pirrolidinil) quinolonecarboxílico
WO2005026145A2 (en) * 2003-09-12 2005-03-24 Warner-Lambert Company Llc Quinolone antibacterial agents
WO2007102499A1 (ja) 2006-03-06 2007-09-13 Japan Tobacco Inc. 4-オキソキノリン化合物の製造方法
AP2914A (en) 2006-03-06 2014-05-31 Japan Tobacco Inc Method for producing 4-oxoquinoline compound
AU2007301686B2 (en) 2006-09-29 2013-02-14 Cipla Limited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emozolomide and analogs
WO2008143343A1 (ja) * 2007-05-24 2008-11-27 Kyorin Pharmaceutical Co., Ltd. 14位置換基に複素芳香環カルボン酸構造を有するムチリン誘導体
WO2009064836A2 (en) * 2007-11-15 2009-05-22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Kynurenine-aminotransferase inhibitors
US20090270379A1 (en) * 2008-04-23 2009-10-29 Macielag Mark J Quinolone derivatives useful as antibacterial agents
CN106913569B (zh) * 2016-01-04 2022-04-22 广东工业大学 苯酞类化合物在制备抗耐药菌药物中的应用
CN112266326A (zh) * 2020-11-10 2021-01-26 杭州臻挚生物科技有限公司 二氯甲苯硝化物中间体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820B2 (ja) * 1979-02-26 1985-02-06 大塚製薬株式会社 キノリンカルボン酸誘導体
JPS5630964A (en) * 1979-08-22 1981-03-28 Kyorin Pharmaceut Co Ltd Novel substituted quinolinecarboxylic acid and its preparation
DE3142854A1 (de) * 1981-10-29 1983-05-11 Bayer Ag, 5090 Leverkusen 1-cyclopropyl-6-fluor-1,4-dihydro-4-oxo-7-piperazino-chinolin-3-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DE3142856A1 (de) * 1981-10-29 1983-05-11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4-dichlor-5-fluor-benzoylchlorid
JPS58174367A (ja) * 1982-04-07 1983-10-13 Tanabe Seiyaku Co Ltd キノリン誘導体及びその製法
DE3318145A1 (de) * 1983-05-18 1984-11-22 Bayer Ag, 5090 Leverkusen 7-amino-1-cyclopropyl-6,8-difluor-1,4-dihydro-4-oxo-3-chinolin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US4577473A (en) * 1983-10-17 1986-03-25 Hoshizaki Electric Co., Ltd. Ice product making machine
JPS60123837A (ja) * 1983-12-09 1985-07-02 Mitsubishi Paper Mills Ltd ハロゲン化銀写真乳剤
US4571396A (en) * 1984-04-16 1986-02-18 Warner-Lambert Company Antibacterial agents
DE3420770A1 (de) * 1984-06-04 1985-12-05 Bayer Ag, 5090 Leverkusen 1-cyclopropyl-6-fluor-1,4-dihydro-4-oxo-7-(3-oxo-1-piperazinyl)-3-chinolon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DE3502935A1 (de) * 1984-09-29 1986-04-10 Bayer Ag, 5090 Leverkusen 3-amino-2-benzoyl-acrylsaeurederivate und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S6191183A (ja) * 1984-10-11 1986-05-09 Kyorin Pharmaceut Co Ltd 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
DE3441788A1 (de) * 1984-11-15 1986-05-15 Bayer Ag, 5090 Leverkusen Alkyl-1-cyclopropyl-1,4-dihydro-4-oxo-3-chinolin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JPS61205258A (ja) * 1985-03-08 1986-09-11 Kyorin Pharmaceut Co Ltd 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4578473A (en) * 1985-04-15 1986-03-25 Warner-Lambert Company Process for quinoline-3-carboxylic acid antibacterial agents
US4657913A (en) * 1985-04-18 1987-04-14 Warner-Lambert Company Trifluoro- quinoline -3- carboxylic acids and their use as anti-bacterial agents
DE3522406A1 (de) * 1985-06-22 1987-01-02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8-verbrueckten 4-chinolon-3-carbonsaeuren
JPS62469A (ja) * 1985-06-27 1987-01-06 Dainippon Pharmaceut Co Ltd 新規キノロン誘導体、そのエステルおよびその塩
AU594983B2 (en) * 1985-10-29 1990-03-22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Novel quinoline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US4668680A (en) * 1985-12-12 1987-05-26 Warner-Lambert Company 5-amino-6,8-difluoroquinolones as antibacterial agents
EP0230053A3 (en) * 1986-01-17 1988-03-30 American Cyanamid Company 7-(substituted)piperazinyl-1-eth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ecarboxylic acids
JPH089597B2 (ja) * 1986-01-21 1996-01-31 杏林製薬株式会社 選択毒性に優れた8‐アルコキシキノロンカルボン酸およびその塩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S62215572A (ja) * 1986-03-17 1987-09-22 Kyorin Pharmaceut Co Ltd 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
EP0242789A3 (en) * 1986-04-25 1990-09-05 Dainippon Pharmaceutical Co., Ltd. Novel quinoline derivates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GB8612137D0 (en) * 1986-05-19 1986-06-25 Fujisawa Pharmaceutical Co Quinolone compounds
US4771055A (en) * 1986-07-28 1988-09-13 Warner-Lambert Company 7-[[3-(aminomethyl)-3-alkyl]-1-pyrrolidinyl]-quinoline-carboxylic acids
JPS63152318A (ja) * 1986-08-07 1988-06-24 Dainippon Pharmaceut Co Ltd 抗マイコプラズマ剤
GB8702508D0 (en) * 1987-02-04 1987-03-11 Fujisawa Pharmaceutical Co Quinoline compound
DE3711193A1 (de) * 1987-04-02 1988-10-13 Bayer Ag 5-substituierte 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aeure-derivate
YU46451B (sh) * 1987-04-08 1993-10-20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i Ter Mekek Gyara Rt. Postupak za dobivanje mešovitih anhidrida hinolin-karboksilne i borne kiseline
US4766844A (en) * 1987-05-28 1988-08-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Robotic tinning station for axial lead electronic components
US4929613A (en) * 1987-08-26 1990-05-29 Warner-Lambert Company Antibacterial agents
DE3811341A1 (de) * 1987-10-09 1989-04-27 Bayer Ag In 7-stellung c-verknuepfte chinolon- und 1,8-naphthyridin-4-on-carbonsaeure und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920120A (en) * 1988-01-25 1990-04-24 Warner-Lambert Company Antibacterial agents
US4945160A (en) * 1988-11-22 1990-07-31 Warner-Lambert Company Preparation of certain 7-substituted quinol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52936T3 (es) 2001-02-16
SA97180461A (ar) 2005-12-03
JPH01230558A (ja) 1989-09-14
JPH07138232A (ja) 1995-05-30
DK207688D0 (da) 1988-04-15
EP0287951A2 (en) 1988-10-26
EP0565132A3 (en) 1994-05-18
DE3856515D1 (de) 2002-03-21
HK128797A (en) 1997-09-19
EP0823413A2 (en) 1998-02-11
DK170640B1 (da) 1995-11-20
EP0565132A2 (en) 1993-10-13
SG49836A1 (en) 1998-06-15
DE3856434T2 (de) 2001-06-13
EP0823413B1 (en) 2002-02-13
DK171820B1 (da) 1997-06-23
JPH0696557B2 (ja) 1994-11-30
DK207688A (da) 1988-10-17
DE3856434D1 (de) 2000-11-30
US5495020A (en) 1996-02-27
DE3855388T2 (de) 1997-02-13
DE19775083I2 (de) 2001-06-13
DK101492D0 (da) 1992-08-13
CY2050B1 (en) 1998-04-30
US5723648A (en) 1998-03-03
JP2654537B2 (ja) 1997-09-17
US5591744A (en) 1997-01-07
DE3856515T2 (de) 2002-08-14
DE3855388D1 (de) 1996-08-08
ES2172734T3 (es) 2002-10-01
KR940002113B1 (ko) 1994-03-17
KR880012506A (ko) 1988-11-28
NL980011I2 (nl) 1998-10-01
CN1030237A (zh) 1989-01-11
EP0823413A3 (en) 1998-12-09
US5563138A (en) 1996-10-08
US5811576A (en) 1998-09-22
DK101492A (da) 1992-08-13
NL980011I1 (nl) 1998-05-06
EP0287951B1 (en) 1996-07-03
SG101541A1 (en) 2004-01-30
SG97777A1 (en) 2003-08-20
EP0287951A3 (en) 1990-06-13
CN1053666C (zh) 2000-06-21
EP0565132B1 (en) 2000-10-25
ES2091180T3 (es) 199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145B1 (ko) 벤조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US4855292A (en) 1-cyclopropyl-6-fluoro-8-alkyl-1,4-dihydro-4-oxo-quinoline-3-carboxylic acid derivatives
JPH07300416A (ja) 抗菌性医薬
JPH0635457B2 (ja) ピリドン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880002355B1 (ko) 카복실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290934A (en) Benzoheterocyclic compounds
WO2000021949A1 (en) Quinolones as t-rna synthetase inhibitors and antibacterial agents
JPH01160985A (ja) ベンゾヘテロ環化合物
JPH01193275A (ja) ベンゾヘテロ環化合物
NZ233087A (en) (s)-7-(3-amino-1-pyrrolidinyl)-1-cyclopropyl-6-fluoro-1,4-dihydro-4-oxo-1,8 naphthyridine-3-carboxylic acid, esters, sal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S60126284A (ja) ピリドンカルボン酸誘導体およびその塩
JPH0753715B2 (ja) ベンゾヘテロ環化合物
RU2142454C1 (ru) Производные 4-амино-3-ацилхинолина,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препарат на их основ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го препарата и промежуточ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970000950B1 (ko) 벤조헤테로사이클릭화합물의 제조방법
JP2523092B2 (ja) ベンゼン誘導体
RU2120940C1 (ru) Производные хинолин- или нафтиридин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KR940007309B1 (ko) 벤조헤테로 사이클릭 화합물
JPH03115264A (ja) 抗菌剤
JP2761566B2 (ja) ピリドンカルボン酸化合物
JPH03135930A (ja) ベンゼン誘導体
JPH0348682A (ja) ピリドンカルボン酸化合物
JPH0616678A (ja) キノリンカルボン酸誘導体
JPH0413355B2 (ko)
JPS6185382A (ja) 抗菌活性を有する7‐(ピリジニル)‐1‐アルキル‐1,4‐ジヒドロ‐4‐オキソ‐3‐キノリンカルボン酸及びその製造法
JPH0674262B2 (ja) ピリドンカルボン酸系抗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