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727Y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727Y1
KR960003727Y1 KR2019940002466U KR19940002466U KR960003727Y1 KR 960003727 Y1 KR960003727 Y1 KR 960003727Y1 KR 2019940002466 U KR2019940002466 U KR 2019940002466U KR 19940002466 U KR19940002466 U KR 19940002466U KR 960003727 Y1 KR960003727 Y1 KR 960003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necting member
link
button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875U (ko
Inventor
허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아프리카
허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아프리카, 허인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아프리카
Priority to KR2019940002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727Y1/ko
Publication of KR950024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
제1도는 본 고안의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3a, b, c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로서,
a도는 버턴작동부의 종단면도이고,
b도는 손잡이봉이 절첩되기전의 횡단면도이며,
c도는 손잡이봉이 절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7a, b도는 본 고안의 요부작동도.
제8a, b도는 본 고안의 요부작동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전개된 상태의 우측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반절첩된 상태의 우측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절첩된 상태의 우측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반절첩된 상태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요부작동사시도.
제14도는 본 고안의 연결간의 사시도.
제15도는 본 고안의 완전절첩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팔걸이 2 : 앞다리
3 : 전륜 4 : 뒷다리
5 : 후륜 6 : 지지봉
6A : 긴구멍 7 : 핀
8 : 연결판 9 : 핀
10 : 슬라이더관 10A : 걸림턱
10B : 구멍 11 : 고정봉
11A : 긴구멍 12 : 이동구
12A : 구멍 13 : 스프링
14 : 받침발 14A : 요입부
15 : 손잡이봉 15A : 돌기
16 : 버턴지지체 17 : 버턴
18 : 레버 19 : 와이어
20 : 핀 21 : 고정구
22 : 핀 23 : 연결부재
24 : 핀 25 : 좌석지지부재
25A : 돌편 26 : 핀
27 : 핀 28 : 좌석연결부재
29 : 핀 30 : 고정구
31 : 핀 32 : 핀
33 : 뒷다리연결부재 34 : 제1연동링크
35 : 제2연동링크 36 : 핀
37 : 스프링 38 : 연결체
38A : 걸림돌편 39 : 축
40 : 안내원통관 40A : 안내구멍
41 : 핀 42 : 연결간
42A : 절곡부 43 : 관절체
43A : 요부 44 : 핀
45 : 회전체 45A : 돌부
46 : 핀 47 : 핀
본 고안은 전, 후 및 좌, 우로 간단히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절첩된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의 선실용신안원 실용신안공보 제643호, 공고번호 83-3058호의 유모차와 실용신안공보 제647호, 공고번호 84-186호의 유모차의 난간절첩기구의 고안의 미비점을 보완하여 사용하기에 더욱 편리하도록 개량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실용신안은 전, 후 및 좌, 우로 동시에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최소폭으로 절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차체의 좌, 우폭을 좁게 절첩시 손잡이를 직접 손으로 돌려 지지봉의 간격을 좁혀야 되는 불편이 있음과 아울러 잠금장치를 풀려고하면 양손으로 양쪽의 록크를 당겨서 풀어야 하고, 절첩완료시에는 자체 하부측에만 잠금장치가 되어 있어 손으로 들고 이동시에 손잡이 폭이 벌어지는 현상이 생기게 되고, 잠금장치가 2중으로 안정장치가 되지 못하여 불안정한 위험성이 따르게 됨과 아울러 연동링크는 단순히 연결부재에다 핀으로 유착하여서 된 것이므로 절첩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완전 절첩시킨 상태에서 벽등에 기대 세우지않고서는 수직으로 세울 수 없는 문제가 따르게 되었으며, 또한 유모차의 절첩상태록크기구가 일본공개 실용신안공보 59-172065호로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유모차를 완전절첩시킨 상태에서 전각의 앞바퀴와 후각의 뒤바퀴가 횡으로 놓여진 상태로 되므로 절첩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록크기구의 구조가 복잡하여 작동상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킬수 있도록 한 매우 합리적인 구조로 구성한 유모차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쌍의 팔걸이(1) 전면에 전륜(3)이 유착된 앞다리(2)를 회전가능하게 유착한 뒷쪽 대각선상으로 후륜(5)이 유착된 뒷다리(4)를 유착하고, 팔걸이(1) 후면에는 지지봉(6)을 핀(7)으로 유착하여 지지봉(6)과 하부뒷다리(4)에는 걸림턱(8A)을 형성한 연결판(8)을 핀(9)으로 유착하여, 상기의 걸림턱(8A)에는 지지봉(6)에 끼운 슬라이더관(10)의 걸림턱(10A)이 걸려지게하고, 지지봉(6)의 하부내에는 긴구멍(11A)에 이동구(12)가 스프링(13)으로 탄력된 고정봉(11)을 끼워 슬라이더관(10)의 구멍(10B)과 지지봉(6)의 긴구멍(6A) 및 이동구(12)의 구멍(12A)을 핀(20)으로 관통시켜 고정하고, 손잡이봉(15)의 중간에는 버턴(17)에 의하여 작동되는 한쌍의 레버(18)를 유착한 버턴지지체(16)를 개재하여 레버(18)와 이동구(12)를 와이어(19)로 연결하여 슬라이더관(10)를 상승시켜 걸림턱(10A)을 걸림턱(8A)에서 탈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양앞다리(2)에 고정한 고정구(21)에는 서로 핀(22)으로 유착된 한쌍의 연결부재(23)를 핀(24)으로 유착하고, 지지봉(6)에 연결판(8)을 유착한 전면은 앞다리(2)에 핀(26)으로 유착시켜 돌편(25A)에는 서로 핀(27)으로 유착된 좌석연결부재(28)를 핀(29)으로 유착하고, 좌석연결부재(28)와 서로 핀(32)으로 유착되어 뒷다리(4)의 고정구(30)에 핀(31)으로 유착된 뒷다리연결부재(33)와의 사이에는 서로 "X"자형으로 교차되게 제1연동링크(34) 및 제2연동링크(35)를 유착하고 교차부에는 핀(36)으로 유착하여 좌석연결부재(28)와 뒷다리연결부재(33)의 각각 접힘운동을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버턴(17)에는 제어편(17A)을 일체로 형성하여 스프링(37)를 탄발시키고, 손잡이봉(15)에는 결합돌편(38A)을 형성한 연결체(38)를 고정하여, 상기의 연결체(38)를 버턴지지체(16)에 축(38)으로 유착하여 제어편(17A)을 걸림돌편(38A)에서 벗어나게 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하여 유모차를 완전히 전개시켜 사용시에는 제3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턴지지체(16)와 연결체(38) 및 손잡이봉(15)은 나란한 일직선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유모차를 절첩시킨 상태에서는 연결체(38)는 버턴지지체(16)에서 90°각도로 꺾인상태에서 연결체(38)의 걸림돌편(38A)은 제3c도와 같이 버턴(17)의 제어편(17A)에 제어되어 접힘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지지봉(6)에는 안내구멍(40A)를 뚫은 안내원통관(40)을 핀(41)으로 고정하여, 상기의 안내구멍(40A)에는 손잡이봉(15)의 돌기(15A)를 끼워 손잡이봉(1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좌석지지부재(25)에 유착한 연결간(42)으로 절곡부(42A)를 연결부재(23)에 회전가능하게 제13도와 같이 유착하여 유모차를 절첩시킬 때 좌석지지부재(25)가 핀(26)을 축점으로하여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연결간(42)을의 상승으로 고정구(21)에 핀(24)으로 유착된 연결부재(23)는 연결간(42)에 당겨 핀(22)을 축점으로 회전되어 위로 접히도록하여 차체는 좌, 우 좁은폭으로 접히도록 하고, 제1연동링크(34)와 제2연동링크(35)의 단부에는 요부(43A)를 형성한 관절체(43)를 핀(44)으로 고정하고, 관절체(43)의 요부(43A)에는 회전체(45)의 돌부(45A)를 끼워 핀(45)으로 유착하고, 회전체(45)는 좌석연결부재(28)와 뒷다리연결부재(33)에 제4도와 같이 핀(47)으로 유착하여 좌석연결부재(28)와 뒷다리연결부재(33)에 핀(47)으로 유착된 회전체(45)는 제7도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360°회전 가능토록하고, 회전체(45)에 핀(46)으로 유착된 관절체(43)는 제8도와 같이 핀(46)을 축점으로 상, 하로 이동되게 하여 유모차의 전개 및 절첩시에 수평 및 수직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지지봉(6)은 핀(9)부 하방으로 상당한 길이로 연장시키고 요입부(14A)를 형성한 받침발(14)을 고정하여 유모차를 절첩시킨 상태에서 제11도와 같이 세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4B는 돌기이고, 49는 고무카버이며, 50은 케이스이고, 51은 스톱퍼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도 및 제1도에 도시된 유모차의 전개된 상태에서 연결체(38)와 손잡이봉(15)이 보턴지지체(16)와 나란한 상태로 되고, 중간에서 접혀지게 된 연결부재(23)와 좌석연결부재(28) 및 뒷다리연결부재(33)가 완전히 직선으로 펼쳐진상태에서 유모차를 작은 부피로 절첩하고자 할때는 버턴(17)을 제3a도의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버턴(17)의 상승에 의하여 제3b도와 같이 버턴(17)의 제어편(17A)에 걸려 제어되어있던 연결체(38)의 걸림돌편(38A)은 제어편(17A)의 제어력이 해제되어 제3c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능 상태로 됨과 동시에 버턴(17)에 유착된 레버(18)는 버턴(17)의 상승력에 의하여 돌기(48)에 접촉 제어되어 수평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레버(18)와 와이어(19)로 연결된 이동구(12)는 와이어(19)에 당겨져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더관(10)의 구멍(10B)과 지지봉(6)의 긴구멍(6A) 및 이동구(12)의 구멍(12A)에는 핀(20)이 관통되어 고정되었으므로 이동구(12)가 상승하면 슬라이더관(10)도 동시에 상승하게 되므로 슬라이더관(10)의 상승으로 연결판(8)의 걸림턱(8A)에 제9도와 같이 걸려져 있던 슬라이더관(10)의 걸림턱(10A)은 연결판(8)의 걸림턱(8A)에서 벗어나게 된다.
연결판(8)의 걸림턱(8A)에서 슬라이더관(10)의 걸림턱(10A)이 벗어난 상태에서 연결판(8)은 제10도 및 제12도와 같이 회전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접을 수 있는 상태로 되는데, 이때 팔걸이(1)와 연결판(8)이 회전되어 전, 후 폭이 좁혀짐과 동시에 제1연동링크(34) 및 제2연동링크(35)에 의하여 좌석연결부재(28)와 뒷다리연결부재(33)는 용이하게 접히게 되고, 단부가 핀(9)에 유착되어 핀(26)을 축점으로 하여 회전되는 좌석지지부재(25)의 회전력에 의하여 연결간(42)으로 연결된 연결부재(23)는 제13도와 같이 연결간(42)에 당겨 단부는 고정구(21)에 고정된 상태에서, 핀(22)을 축점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접히게 되며, 이때 연결간(42)의 단부는 절곡부(42A)로 형성하여 연결부재(23)에 유착하였으므로 연결간(42)의 직선부에서 발생되는 수직당김력에 대하여 절곡부(42A)에서는 원호회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이의 원호회전력에 의하여 연결부재(23)는 돌리게되므로 큰저항을 받음이 없이 연결부재(23)는 매우 원활하게 접어지고 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작동에 있어서 좌석연결부재(28)와 뒷다리연결부재(33)에는 제7도와 같이 360°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회전체(45)을 핀(47)으로 유착하고, 회전체(45)의 돌부(45A)에는 관절체(43)의 요부(43A)를 끼워 핀(46)으로 유착하여 제6도와 같이 상, 하로 작동되게 하여, 상기의 관절체(43)에 제1연동링크(34) 및 제2연동링크(35)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므로 유모차의 수평절첩과 수직절첩의 부하가 동시에 다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에 매우 양호히 적용됨과 동시에 제2연동링크(35)는 ""형으로형성되었으므로 관절체(43) 및 회전체(45)를 달리 제조할 필요가 없이 동일한 관절체(43)와 회전체(45)를 제1연동링크(34) 및 제2연동링크(35)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다.
그리고 버턴(17)을 제3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제어편(17A)은 상승되어 연결체(38)의 걸림돌편(38A)을 벗어나게 되므로 절첩되어 유모차의 좌우폭이 좁혀지는 것에 따라 제3a도의 상태에서 버턴지지체(16)에 핀(39)으로 유착된 연결체(38)는 제3c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고, 연결체(38)가 90°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버턴(17)에서 손을 떼게되면 스프링(37)의 탄발력에 의하여 버턴(17)이 하강됨과 동시에 버턴(17)의 제어편(17A)은 연결체(38)의 걸림돌편(38A)에 제3c도와 같이 걸려져 버턴지지체(16)에 대하여 연결체(38) 및 손잡이(15)은 90°방향으로 회전된채 고정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손잡이봉(15)의 단부는 지지봉(6)에 핀(41)으로 고정된 안내원통관(40)내에 회전자유롭게 끼워져 돌기(15A)는 안내원통관(40)의 안내구멍(40A)에 끼워진 상태임으로 손잡이봉(15)이 회전시 돌기(15A)는 안내구멍(40A)을 따라 회전케되므로 손잡이봉(15)이 회전작동에 있어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게 될 염려가 없다.
완전히 절첩시킨 상태는 제11도 및 제16도의 상태인데 슬라이더관(10)의 걸림턱(10A)과 연결판(8)의 걸림턱(8A)은 완전히 어긋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연결판(8)이 핀(9)으로 유착된 지지봉(1)의 하방은 길게 연장되어 받침발(14)이 고정되었으므로 벽등에 기대지 않고도 세울수 있는 것이다.
제11도 및 제16도의 절첩된 상태에서 제9도 및 제1도와 같이 전개시키고자 할 때는 버턴(17)을 제3a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버턴(17)의 제어편(17A)은 연결체(38)의 걸림돌편(38A)에서 벗어나게 되어 제3c도의 상태에서 제3a도의 상태로 회전가능 상태로 되며, 이 상태에서 유모차를 완전히 전개시키면 지지봉(6)의 하방에 고정된 받침발(14)의 요입부(14A)는 뒷다리(4)에 접촉되고 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하여 이동구(12) 및 슬라이더관(10)은 하강되어 슬라이더관(10)의 걸림턱(10A)은 제9도와 같이 연결판(8)의 걸림턱(8A)에 걸려지고 버턴(17)의 제어편(17A)은 연결체(38)가 버턴지지체(16)와 나란한 제3b도의 상태에서 걸림돌편(38A)에 걸려저 유모차는 견고한 전개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매우 합리적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하여 유모차를 최대한 작은 부피로 매우 신속하게 절첩시키거나 전개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전, 후륜이 종으로 놓여지게 절첩시킨 상태에서 벽면에 기대지 않고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팔걸이(1) 전면에는 전륜(3)이 유착된 앞다리(2)를 유착하고, 뒷쪽대각선상으로 후륜(5)이 유착된 뒷다리(4)를 유착하고, 팔걸이(1) 후면에는 지지봉(6)을 유착하여 지지봉(6)과 하부뒷다리(4)에는 걸림턱(8A)을 형성한 연결판(8)을 핀(9)으로 유착하여, 상기의 걸림턱(8A)에는 지지봉(6)에 끼운 슬라이드관(10)의 걸림턱(10A)이 걸려지게하고, 앞다리(2)와 뒷다리(4)는 연결부재(23) 및 뒷다리연결부재(33)로 연결하고, 좌석지지부재(25)는 좌석연결부재(28)로 연결하고, 뒷다리연결부재(33)와 좌석연결부재(28)를 제1연동링크(34) 및 제2연동링크(35)를 "X" 자형으로 교차시켜서 연결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버턴(17)이 설치된 버턴지지체(6)와 손잡이봉(15)에 고정한 연결체(38)를 축(39)으로 유착하여 손잡이봉(15)의 단부는 안내원통관(4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좌석지지부재(25)의 단부와 연결부재(23)를 연결간(42)으로 연결하여서 된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버턴(17)에는 제어편(17A)을 일체로 형성하고, 연결체(38)에는 걸림돌편(38A)을 형성하여 접탈되도록 하여서 된 유모차.
  3. 제1항에 있어서, 안내원통관(40)에는 안내구멍(40A)을 뚫고 손잡이봉(15)에는 돌기(15A)를 돌출하여 돌기(15A)를 안내구멍(40A)에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된 유모차.
  4. 제1항에 있어서, 제1연동링크(34)와 제2연동링크(35)의 단부에 요부(43A)를 형성한 관절체(43)를 핀(44)으로 고정하고, 요부(43A)에는 회전체(45)의 돌부(45A)를 핀(46)으로 유착하여 좌석연결부재(28) 및 뒷다리연결부재(33)에 유착하여서 된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제1연동링크(34) 및 제2연동링크(35) 중 하나를 ""형으로 절곡시켜서 된 유모차.
  6. 제1항에 있어서, 연결판(8)이 핀(9)으로 유착된 지지봉(6)의 하방측을 길게 연장하고 ""형의 받침발(14)을 고정하여 절첩시 세울 수 있는 버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유모차.
KR2019940002466U 1994-02-05 1994-02-05 유모차 KR960003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466U KR960003727Y1 (ko) 1994-02-05 1994-02-05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466U KR960003727Y1 (ko) 1994-02-05 1994-02-05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75U KR950024875U (ko) 1995-09-15
KR960003727Y1 true KR960003727Y1 (ko) 1996-05-06

Family

ID=1937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466U KR960003727Y1 (ko) 1994-02-05 1994-02-05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7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542B1 (ko) * 2005-09-30 2014-10-2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6881B2 (ja) * 1999-10-12 2010-02-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JP4937473B2 (ja) * 2001-08-09 2012-05-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KR102569972B1 (ko) * 2021-09-27 2023-08-31 주식회사 알엠시 E-모빌리티의 접이식 차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542B1 (ko) * 2005-09-30 2014-10-2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75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28350B (zh) 一种折叠婴儿推车
US6964429B2 (en) Stroller
JP4937473B2 (ja)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CN108068871B (zh) 婴儿车
TW544419B (en) Stroller
JP5963394B2 (ja) 折畳式乳母車
US20110221169A1 (en) Stroller
JPH0329625B2 (ko)
KR20020002238A (ko) 베이비-카
GB2139161A (en) Foldable baby carriage
WO2000037297A1 (fr) Poussette
WO2007071141A1 (fr) Poussette pour enfant en bas age
TWI659878B (zh) Baby carriage
JP2003063409A (ja) 3つ折りタイプのベビーカー
KR100364558B1 (ko) 쇼핑 카트와 같은 형태를 가지는 노인차
KR960003727Y1 (ko) 유모차
CN109910980B (zh) 一种推车车架
CN210101723U (zh) 一种适应性更广的折叠童车
JP4549712B2 (ja) ベビーカーのハンドルロック連動装置
CN209956049U (zh) 一种推车车架
KR20040058000A (ko) 유모차
CN107140001B (zh) 一种婴幼儿推车
CN214689708U (zh) 快速折叠婴儿车架
JP6357095B2 (ja) 車椅子
JP4159868B2 (ja)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