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293B1 - 무선전화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293B1
KR950014293B1 KR1019880006333A KR880006333A KR950014293B1 KR 950014293 B1 KR950014293 B1 KR 950014293B1 KR 1019880006333 A KR1019880006333 A KR 1019880006333A KR 880006333 A KR880006333 A KR 880006333A KR 950014293 B1 KR950014293 B1 KR 95001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erating
channel
telephone number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785A (ko
Inventor
구니요시 마루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34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995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343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9955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1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탑재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a)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에 있는 음성다이얼부의 구성을 나타낸 불록도,
제4도(b)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의 음성다이얼부에 있는 음성인식부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5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의 음성다이얼부에 있는 음성인식 LSI의 구성을 나타낸 불록도,
제6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무선기의 음성다이얼부에 있는 음성합성 LSI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7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중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8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9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중 전원투입시의 동작을 나다낸 플로우차아트,
제10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중 초기화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11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중 초기화후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12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접속제어동작중 발신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13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음성다이얼등록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아트,
제14도는 이 자동차전화장치의 음성다이얼인식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 차아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차전화장치 200 : 안테나
300 : 무선기 310 : 무선부
312 : 복조기 314 : 변조기
316 : 파워앰프 318 : 송수신공용기
330 : 오디오제어부 331 : CPU
332 : 발진기/분주기 333 : 어드레스디코더
334 : ROM 335 : RAM
336 : 무선부 제어부 337 : 오디오부
338 : 제어신호처리부 339 : 오디오부 제어부
340 : 디지탈인터페이스 341 : 전원부 제어부
341 : 인더럽트콘트롤러 343 : 데이터버스
344 : 어드레스버스 345 : 콘트롤버스
350 : 음성다이얼부 350a : 음성인식부
350b : 음성합성부 350c : DTMF 수신부
351 : B/U변환기 351a : 밸런스라인
356 : 감쇄기 357 : 음성인식LSI
358 : RMA 359,360 : 랫치회로
361,361 : 게이트회로 363 : 어드레스디코더
364 : 음성합성LSI 365 : 랫치회로
366 : 증폭기 367 : 하이패스필터
368 : DTMF수신기 400 : 전화기
400a : 전화기본체 400b : 핸드셋트
411 : B/U 변환기 41la : 밸런스라인
41lb : 언밸런스라인 412,421 : U/B 변환기
412a : 언밸런스라인 412b : 밸런스라인
413,414 : 증폭기 415 : 잔향음 제거기
4l6,417 : 스위치 418 : 제어부
422 : 음성스위치부 423,424 : 스위치
430 : 키이부 450 : 표시부
452 : 액정표시기 454 : LCD 구동기
470 : 스위치부 472 : 후크스위치
474 : ON/OFF 스위치 490 : 음성입출력부
492 : 스피커 494 : 핸드프리마이크
496 : 핸드셋트마이크 498 : 핸드셋트리시버
500 : 자동차 502 : 트렁크
504 : 운전석 506 : 밧데리
508 : 퓨우즈 510 : 차양판
600 : 무선회선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컨내 자동차전화장치와 같은 무선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최근에는 자동차전화장치에 음성인식기능을 부가시켜줌으로써 다이얼 조작을 하지 않고 음성을 발성하여 발신을 하는 소위 음성다이얼링기능이 실현되고 있으나, 그러한 음성다이얼링기능을 이용하여 발신을 하는경우에는 정확한 전화번호로 발신하기 곤란한 점이 많이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정확한 전화번호로 발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중 제1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는, 음성입력수단과, 이 음성입력수단에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수단, 소정의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소정의 군(群)마다 기억하는 번호기억수단 및, 상기 음성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음성에 따른 전화번호를 상기 번호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해서 그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을 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번호기억수단으로부터의 전화번호의 호출을 상기 군마다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2발명은 음성입력수단과, 이 음성입력수단에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수단, 소정의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번호기억수단, 상기 음성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음성에 따른 전화번호를 상기 번호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해서 그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을 하는 발신수단 및, 음성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번호기억수단에 전화번호를 기억시킨 때 그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을 상기 음성발생수단에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3발명은 음성입력수단과, 이 음성입력수단에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수단, 소정의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번호기억수단, 상기 음성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음성에 따른 전화번호를 상기 번호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해서 그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을 하는 발신수단 및, 음성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번호기억수단으로부터 전화번호를 독출한 때 그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을 상기 음성발생수단에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4발명은 음성입력수단과, 이 음성입력수단에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수단, 소정의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번호기억수단, 상기 음성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음성에 따른 전화번호를 상기 번호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해서 그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을 하는 발신수단 및, 음성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번호기억수단으로부터 전화번호를 독출한 때 그 전화번호에 따른 음성을 상기 음성발생수단에서 발생시키도록 한 무선전화장치의 음성다이얼링방식에 있어서, 상기 음성발생수단이 전화전호에 따른 음성의 발생을 완료하기 전에 상기 발신수단에 강제적으로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을 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5발명은 음성입력수단과, 이 음성입력수단에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수단, 소정의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번호기억수단, 상기 음성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음성에 따른 전화번호를 상기 번호기억수단으로부더 독출해서 그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을 하는 발신수단 및, 이 발신수단이 상기 음성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음성에 따른 전화번호를 상기 번호기억수단에서 독출한 후 그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을 하기 전에 강제적으로 상기 음성인식수단을 재확인상태로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또한, 제6발명은 인간이 발한 음성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변환수단과, 상기 음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변환수단, 복수의 전화번호정보를 복수의 다른 어드레스정보로 대응되게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디지탈신호와 상기 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수단, 이 비교수단에서의 비교결과 디지탈신호와 어드레스정보가 동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판정된 경우 그 어드레스정보에 대응되게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독출해 내는 독출수단,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최소한 상기 독출수단에서 독출된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7발명은 인간이 발한 음성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변환수단과, 상기 음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변환수단,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제2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신호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전화번호정보중 어떤 전화번호정보를 나타내는가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채널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인식수단의 인식결과에 기초해서 최소한 상기 인간이 발한 음성에 대응되는 전화변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8발명은 인간이 발한 음성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변환수단과, 상기 음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변환수단,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제2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인간이 발한 음성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전화번호정보중 어떤 전화번호정보를 나타내는가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이 인식수단의 인식결과에 기초하여 인식된 전화번호정보를 통보하는 통보수단, 반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최소한 상기 통보수단에 의해 통보된 전화번호정보와 동일한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9발명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인간이 발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대응되는 전화번호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수단, 음성다이얼링 모우드 천이신호를 생성해 내기 위한 수동스위치,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 천이신호의 발생타이밍 및 상기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을 통해 최소한 상기 인간이 반한 음성이 나타내는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0발명은 인간이 발한 음성을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 수단과,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간이 발한 음성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전화번호정보중 어떤 전화번호정보를 나타내는가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이 인식수단의 인식결과에 기초하여 인식된 전화번호정보를 통보하는 통보수단, 발신중단지시신호를 생성해 내기위한 수동스위치,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고 발신신호송출가능 신호를 생성해 내는 선택수단, 상기 통보수단에 의한 전화번호정보의 표시후 소정시간내에 상기 발신중단지시신호가 생성되지 않고 또한 발신신호송출가능신호가 생성된 것에 기초하여 최소한 인식된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1발명은 인간이 발한 음성을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수단과,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간이 발한 음성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전화번호정보중 어떤 전화번호정보를 나타내는가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이 인식수단의 인식결과에 기초하여 인식된 전화번호정보를 통보하는 통보수단,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고 발신신호송출가능신호를 생성해 내는 선택수단 및, 상기 통보수단에 의한 통보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상기 발신신호송출가능신호가 생성된 것에 기초하여 최소한 인식된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을 통해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12발명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인간이 발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대응되는 전화번호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수단, 음성다이얼링모우드 천이신호를 생성해 내기 위한 수동스위치, 이 수동스위치에 의한 음성다이얼링모우드 천이신호의 생성에 기초하여 음성다이얼링모우드로 된 것을 통보하는 통보수단,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선택하는 선택수단 및,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 천이신호가 발생된 것 및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을 통해 최소한 상기 인간이 발한 음성이 나타내는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송출하는 송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작 용)
상기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정확한 전화번호로 발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자동차전화장치(100)는 안테나(200)와 무선기(300) 및 전화기(400)로 구성되는 바, 상기 안테나(200)는 제2도에 참조부호 100으로 도시된 것처럼 자동차(50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고 무선기(300)는 자동차(500)의 트렁크(502)내에 탑재되어 있으며, 전화기(400)는 자동차(500)내의 운전석(504)부근에 탑재되어 있다.
상기 무선기(300)는 안테나(200)를 통해 기지국(基地局 ;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과의 사이에서 무선회선(600)을 형성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 무선부(310)와, 본 무선전화장치전체의 통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오디오제어부(330),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등을 수행하는 음성다이얼부(350), ID 번호 및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 ID ROM(370) 및 자동차(500)에 탑제되어 있는 밧데리(506 : 제2도 참조)의 전력을 퓨우즈(508)를 통해 공급받아서 본 무선전화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는 전원부(390)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화기(400)는 오디오제어부(410)와, 소정의 키이입력이 행하여지는 키이부(430), 소정의 표시를 수행하는 표시부(450), 각종 전환이 수행되는 스위치부(470) 및 가청음의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음성입출력부(49)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전화기(400)는 전화기본체(400a)와 핸드셋트(400b)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전화기본체(400a)측에는 오디오제어부(410)의 일부와 스위치부(470)가 구비되어 있음과 더불어 음성입출력부(490)중의 스피커(492)가 구비되고 예컨대 운전석(504)근방의 차양판(510 ; sunvisor)등에 부착되는 핸드프리마이크(494)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셋트(400b)측에는 오디오제어부(410)의 일부와 키이부(430) 및 표시부(450)가 구비되어 있음과 더불어 음성입출력부(490)중의 핸드셋트마이크(496)와 핸드셋트리시버(498)가 구비되어 있다.
제3도는 상술한 무선기(300)의 구성을 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했듯이 무선부(310)는 복조기(312)와 변조기(314), 파워앰프(316), 송수신공용기(318) 밋 신디사이저(3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조기(312)는 무선회선(600)과 안테나(200) 및 송수신공용기(318)를 통해 입력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복조하게 되는데, 그러한 수신신호에는 가청음신호와 제어신호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변조기(314)는 오디오제어부(330)로부터 출력되는 가청음신호와 제어신호등을 변조시켜서 송신신호를 만든다.
파워앰프(316)는 변조기(314)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증폭시키게 되는데, 이 파워앰프(316)에 있어서의 증폭률은 예컨대 8단계로 전환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송수신공용기(318)는 무선회선(600)과 안테나(200)를 통해서 입력되는 수신신호를 복조기(312)로 송출함과 더불어, 변조기(314)와 파워앰프(316)를 통해서 입력되는 송신신호를 안테나(200)로 송출한다. 그리고 신디사이저(320)는 챈널선택용 국부발진기로서, 변조해야할 주파수를 지정하는 것인 바, 이 신디사이저(320)에 의해 지정되는 챈널은 예컨대 666 챈널정도이다.
오디오제어부(330)는 CPU(331)와 발진기/분주기(332), 어드레스디코더(333), ROM(334), RAM(335), 무선부 제어부(336), 오디오부(337), 제어신호처리부(338), 오디오부 제어부(339), 디지탈 인터페이스(340), 전원부제어부(341), 인터럽트콘트롤러(342)로 구성되어 있고, 도면의 참조부호 343은 예컨대 8비트의 데이터버스, 344는 어드레스버스, 345는 콘트롤버스를 나타낸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CPU(331)는 이 오디오 제어부(330)전체의 통괄적인 제어를 수행하게 되고, 발진기/분주기(332)는 CPU(331)에 클록을 공급함과 더불어 그 클록을 분주해서 타이밍신호로 각 회로부에 공급한다.
또한, 어드레스디코더(333)는 상기 CPU(331)로부터의 명령신호에 따라 각 회로부에 소정의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ROM(334)은 CPU(331)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이고, RAM(335)은 CPU(331)의 제어처리시에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한편, 무선부 제어부(336)는 CPU(331)의 명령에 기초하여 무선부(310)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 무선부 제어부(336)는 예컨대 신디사이저(320)가 지정해야 할 주파수와 파워앰프(316)가 증폭해야 할 증폭률 및 변조기(314)가 변조해야 할 변조도등을 지정함과 더불어, 오동작방지대책으로서 신디사이저(320)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어굿남신호와 파워앰프(316)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검출신호등을 입력해서 이것을 CPU(331) 로 전달한다.
그리고 오디오부(337)는 복조기(312)에서 복조된 수신신호중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처리부(338)로 송출하고, 가청음성실호를 음성다이얼부(350) 및 전화기(400)로 송출하며, 상기 제어신호처리부(33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함께 전화기(400) 및 음성다이얼부(350)로부터 출력되는 가청음신호를 변조기(314)로 송출한다.
이러한 오디오부(337)는 또한 제어신호처리부(338)로 송출하는 제어신호의 파형정형 및 변조기(314)로 송출해야 할 제어신호의 필터링기능도 갖추고 있다.
상기 제어신호처리부(338)는 오디오부(33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와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를 취하고, 직렬신호인 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데이터를 병렬신호로 바꾸어 주며, 한편 기지국으로 송출해야 할 병렬신호인 제어데이터를 직렬신호인 제어신호로 바꾸어서 오디오부(337)로 송출한다.
오디오부 제어부(339)는 수신신호를 오디오부(337)로부터 제어 신호처리부(338)와 음성다이얼부(350) 혹은 전화기(400)중 어딘가로 송출한 것인가를 제어하면서, 제어신호처리부(338)와 음성다이얼부(350) 혹은 전화기(400)로부더 출력되는 송신신호중 어떤 신호를 오디오부(337)로 거두어 들일지의 전환동작을 제어한다.
디지탈인터페이스(340)는 무선기(300)와 전화기(400)간의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것이고, 전원부 제어부(341)는 전원부(390)를 제어하는 것인데, 이 전원부 제어부(341)는 예컨대 밧데리(506)로부터 전원부(390)에 공급되는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설정하여 각 부분에 공급하는 것을 제어한다. 한편. 인터럽트콘트롤러(342)는 각 부분으로부터의 인터럽트 지령을 받아서 CPU(331)에 인터럽트를 거는 것이다.
제4도(a)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음성다이얼부(350)의 구성을 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이 음성 다이얼부(350)는 음성인식을 한 음성인식부(350a)와 음성합성을 하는 음성합성부(350b) 및 DTMF 신호를 수신하는 DTMF 수신부(350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350a)는 밸런스/언밸런스 변환기(351 ; B/U 변화기)와 하이패스필터(351), 증폭기(353), AGC 회로(354), 감쇄기(356), 음성인식 LSI(357), RAM(358), 랫치회로(359,360), 게이트회로(361,362) 및 어드레스디코더(363)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b)는 이러한 음성인식부(350a)의 일부구성을 더 상세하게 나타낸 회로도로서, 동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B/U 변환기(351)는 OP앰프(OP351)와 저항(R351a, R351b, R351c, R351d 등), 콘덴서(C351a, C351b) 및 기준전압(Vrefl)으로 구성되는 차동증폭회로이다.
여기에서 본 자동차전화장치(100)에 있어서 각 핸드프리마이크(494)와 핸드셋트마이크(496)의 직후에는 제 4 도(b)에 도시된 것과 같은 2조 OP앰프[OP412a(421a), OP412b(421b)]와 저항[R412a(421a), R412b(421b), R412c(421c), R412d(421d] 및 기준전압(Vref3)으로 구성되는 언밸런스/밸런스 변환기[412(421) ; U/B 변환기, 제7도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핸드프리마이크(494) 또는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는 U/B변환기[412(421)]에 의해 밸런스라인[351a(412b,421b)]상의 신호로 변환되어 이 밸런스라인[351a(412b,421b)]을 통해 본 음성인식부(350a)로 입력된다.
그리고 음성인식부(350a)에 입력된 밸런스라인(351a)상의 음선신호는 B/U 변환기(351)에 의해 언밸런스라인(351b)상의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 음성인식부(350a)를 위한 음성신호로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음성신호의 전송로인 밸런스라인[351a(412b,421b)]상에 실리는 공통모우드의 노이즈, 즉 밸런스라인을 구성하는 2개의 선로상에 실리는 동위상의 노이즈는 B/U 변환기(351)에 의해 지워져서 제거된다. 그리하여 그러한 노이즈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인식에러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 및 인식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하이패스필터(352)는 OP 앰프(OP352)와 저항(R352a, R352B, R352c), 콘덴서(C352a, C352b), 기준전압(Vrefl)으로 구성되는 것인데, 그 컷오프주파수(fc)가 600Hz정도로서 음성인식부(350a)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중 저주파성분의 제거를 도모하고 있다. 통상, 자동차(500)내의 노이즈는 저주파성분이 많아서 헨드프리마이크(494)나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는 이들 저주파성분이 노이즈로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저주파성분을 제거하여 음성인식을 함으로써 노이즈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인식에러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 및 인식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증폭기(353)는 OP 앰프(OP353)와 전송게이ㅌ트(TG353), 저항(R353a, R353b, R353c, R353d)로 구성되어 상기 하이패스필터(352)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것이다.
이러한 증폭기(353)는 오디오 제어부(330)의 제어를 받음으로써 전화기(400)에 있어 음성의 입력수단으로 핸드프리마이크(494)가 사용될 때에는 핸드셋트마이크(496)가 사용될 때에 비해 그 증폭률이 저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런 기능은 오디오 제어부(330)의 CPU(331)가 후술할 핸드셋트(400b)의 온후크 또는 오프후크를 검출하는 후크스위치(47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기초하는 상태플래그를 갖추고서, 예컨대 핸드셋트(400b)가 온후크인 상태, 즉 핸드프리마이크(494)의 사용시에는 상기 상태플래그가 상승하고, 이에 기초하여 CPU(331)로부터 디지탈 인터페이스(340)와 랫치회로(359)를 통해 전송게이트(TG353)의 제어측에 소정의 제어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실현되게 된다. 그리하여 핸드프리마이크(494)를 사용할 때에는 핸드셋트마이크(496)를 사용할 때에 비해 자동차(500)의 노이즈가 혼입되는 양이 많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핸드프리마이크(494)를 사용할 때에는 증폭률을 저하시킴으로서 노이스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인식에러에 의한 오동작의 방지가 도모되게 된다.
AGC 회로(354)는 OP 앰프(OP354a,OP354b)와 트랜지스터(Tr354), 저항(R354a,R354b, R354c, R354d등), 콘덴서(C354a, C354b, C354c), 다이오드(D354a, D354b) 및 기준전압(Vref2)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OP 앰프(OP354a)는 증폭기(353)에서 증폭된 음성신호와 기준전압(Vref2)의 차이를 취하고, 그 차성분이 다이오드(D354a, D354b)와 콘덴서(C354a)등에 의해 정류되는 값 OP 앰프(OP354b)로 구성되는 전압폴로워회로를 통하여 트랜지스터(Tr354)의 베이스측(제어측)에 입력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354)는 그 베이스에 입력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증폭기(353)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제어한다. 즉, AGC 회로(354)에 의해 증폭기(353)에서 증폭되는 음성신호의 양이 제어되어, 하이패스필터(352)로부터의 음성신호의 강약에 관계없이 항상 소정레벨의 음성신호가 증폭기(353)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이나믹레인지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음성레벨의 개인차가 흡수된다. 즉, 음성레벨의 강약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 개인의 통상적인 음성레벨을 음성인식을 할 수 있으므로, 인식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감쇄기(356)는 OP 앰프(OP356)와 전송게이트(TG356a, TG356b, TG356c) 및 저항(R356a, R356b, R356c)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증폭기(353)로 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는 전송게이트(TG356a)와 저항(R356a)이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 1 통로와 전송게이트(TG356b)와 저항(R356b)이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2통로, 전송게이트(TG356c)와 저항(R356c)이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3통로를 각각 거쳐서 OP 앰프(OP356)에 입력되고, 이 OP 앰프(OP356)의 출력이 음성인식LSI(357)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로 된다. 각 전송게이트(TG356a, TG356b, TG356c)에는 오디오 제어부(330)의 CPU(331)로부터 부여되는 ON/OFF지령 신호가 랫치회로(359)를 거쳐서 입력된다. 그리고 각 전송게이트(TG356a,TG356b,TG356c)는 상기 ON/OFF지령 신호에 따라 각각 ON/OFF 된다. 이리하여 감쇄기(356)의 감쇄율은 오디오 제어부(330)에 의해 제어되고, 그 감쇄율에 따라 감쇄된 음성신호가 음성인식LSI(357)에 입력된다. 이로써 후술할 음성다이얼링을 행하기 전의 등록동작시 음성등록에 있어서는 다른 음성신호의 레벨로 복수회 음성을 등록하는 것이 실현된다. 한편, 상기한 음성인식LSI(357)는음성신호를 인식하는 것이고, RAM(358) 은음성인식LSI(357)에서 인식시키고 싶은 단어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제5도는 상술한 음성인식LSI(357)의 구성을 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이 음성인식 LSI(357)는 2조의 증폭기(357a, 357b)와 4조의 밴드패스필터(357c, 357d, 357e, 357f), 다중화기(357g), A/D변환기(357h), CPU(357i), ROM(357j), RAM(357k), CPU인터페이스(3571) 및 RAM 인터페이스(357m)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증폭기(357a,357b)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것으로, 각 증폭기(357a, 357b)의 증폭률은 예컨대 10배로 되어 있다. 또한, 밴드패스필터(357c, 357d, 357e, 357f)는 증폭되는 음성신호를 여파하는 것인데, 각 밴드패스필터(357c, 357d, 357e, 357f)의 통과대역 중심주파수는 예컨대 각각 0.5KHz, 1KHz, 2KHz, 4KHz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중화기(357g)는 각 밴드패스필터(357c, 357d, 357e, 357f)로부터 출력되는 여파된 음성신호를 다중화하는 것이고, A/D 변환기(457h)는 그렇게 다중화된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상기한 CPU(357i)는 음성인식LSI(357)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고, ROM(357j)은 CPU(357i)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이며, RAM(357k)은 CPU(357i)의 제어시에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그리고 CPU 인터페이스(357l)는 오디오 제어부(330)와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것이고, RAM 인터페이스(357m)는 RAM(358)과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성인식시에는 증폭기(357a, 357b)와 밴드패스필터(357c, 357d, 357e, 357f), 다중화기(357g) 및 A/D 변환기(357h)를 통해 입력되는 표본화와 양자화 및 부호화된 음성신호가 상기한 RAM 인터페이스(357m)를 거쳐서 입력되어지는 미리 RAM(358)에 등록되어 있는 인식시키고 싶은 단어데이터와 비교된다. 또한, 인식시키고 싶은 단어를 등록하는 경우에,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표본화와 양자화 및 부호화된 등록해야 할 음성신호의 데이터는 RAM 인터페이스(357m)를 거쳐서 RAM(358)으로 송출되어 기억된다.
음성합성부(350b)는 오디오 제어부(330)로부터 송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음성을 발생시키는 음성합성LSI(364)와 랫치회로(365) 및 합성된 음성을 증폭시키는 증폭기(366)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는 상기한 음성합성LSI(364)의 구성을 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 음성합성LSI(364)는 발생시키는 언어의 어드레스를 소정의 코오드로 간접지령하기 위한 ROM(364a)과 음성파라메터를 격납하는 ROM(364b), 음성파라메터를 독출하기 위한 병렬/직렬 변환기(364c), 1프레임분의 파라메터를 격납하는 RAM(364d), 파라메터를 비선형적으로 복호화하는 ROM(364e), 파라메터를 소정시간마다 보간해 주는 보간회로(364f), 파라메터를 격납하여 연산을 하기 위한 레지스터(364g), 유성음원(364h), 무성 음원(364i), 격자형 디자탈필터(364j) 및 D/A 변환기(364k)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DTMF 수신부(350c)는 하이패스필터(367)와 DTMF 수신기(368)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DTMF 수신기(368)는 하이패스필터(367)를 통해 음성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TMF 신호를 입력하여 그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제7도는 상기한 전화기(400)의 구성을 더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본체(400a)는 B/U 변환기(411)와 U/B 변환기(412), 증폭기(413,414, 잔향음 제거기(415 : echo canceller) 및 스위치(416,417)로 이루어진 오디오 제어부(410)와 ; 핸드프리마이크(494) 및 스피커(492)로 이루어진 음성입출력부(490) ; 후크스위치(472)와 ON/OFF 스위치(474)로 이루어진 스위치부(470)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제1도 참조).
상기한 구성에서 B/U 변환기(411)는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 부터 밸런스라인(41la)을 통해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언밸런스라인(41lb)산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이 언밸런스라인(41lb)상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증폭기(413)에 의해 증폭되어 스피커(492)로 출력된다. 또한,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언밸런스 라인상의 신호이기 때문에, 이 오디오부(337)의 직후에 배치된 U/B 변환기(337a)에 의해 밸런스라인상의 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상기한 U/B 변환기(412)는 핸드프리마이크(494)에서 입력되어 증폭기(414)에서 중폭된 언밸런스라인(412a)상의 음성신호를 밸런스라인(412b)상의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 밸런스라인(412b)상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밸런스라인(412b)을 거쳐서 오디오부(337)로 송출된다.
또한,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언밸런스라인상의 신호이여야 하기 때문에 이오디오부(337)의 직전에 배치된 B/U 변환기(337b)에 의해 언밸런스라인상의 신호로 변환되고 있다.
잔향음 제거기(415)는 B/U 변환기(411)로부터 증폭기(413)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쇄시키는 감쇄기(415a)와 이 감쇄기(415a)의 감쇄율을 제어하는 감쇄기제어부(415b), 증폭기(414)로부터 U/B 변환기(412)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쇄시키는 감쇄기(415c), 이 감쇄기(415c)의 감쇄율을 제어하는 감쇄기제어부(415d) 및 각 라인상의 음성신호에 기초하여 각 감쇄기제어부(415b, 415d)의 제어량을 산출하는 제어량산출부(415e)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416)는 B/U 번환기(411)로부더의 음성신호를 스피커(492)로 출력시킬 것인가 아닌가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이고, 스위치(417)는 핸드프리마이크(494)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 송출할 것인가 아닌가의 전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들 스위치(416, 417)의 전환은 무선기(300)의 오디오 제어부(33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후크스위치(472)는 핸드셋트(400b)의 온후크 또는 오프후크를 검출하는 것인데, 이렇게 검출된 신호는 무선기(300)의 오디오 제어부(330)로 송출된다. 또한,ON/OFF 스위치(474)는 본 자동차전화장치(100)전제의 ON/OFF를 전환시키는 것인 바, 이 전환신호는 무선기(300)의 오디오 제어부(330)로 송출된다.
핸드셋트(400b) 는 제어부(418) 와 증폭기 (419a, 419b, 419c), 감쇄기 (420), U/B 변환기(421), 음성스위치부(422), 스위치(423, 424)등으로 이루어진 오디오 제어부(410)와, 액정표시기(452) 및 LCD 구동기(454)로 이루어진 표시부(450), 복수의 키이패드로 이루어진 키이부(430), 핸드셋트마이크(496)와 핸드셋트리시버(498)로 이루어진 음성입출력부(4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제어부(418)는 무선기(300)의 오디오 제어부(33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핸드셋트(400b) 전제를 통괄적으로 제어함과 더불어 키이부(430)로부더 입력되는 제어신호등을 무선기(300)의 오디오 제어부(330)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한 증폭기(419a, 419b)는 본체(400a)의 B/U 변환기(411)로부터 송출된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이고, 감쇄기(420)는 음성신호를 감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증폭기(419a)와 감쇄기(410) 및 증폭기(419b)를 거친 음성신호는 핸드셋트리시버(498)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중폭기(419c)는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이고, U/B 변환기(421)는 증폭된 언밸런스라인(421a)상의 음성신호를 밸런스라인(421b)상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이 밸런스라인(421b)상의 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밸런스라인(421b)과 본체(400a)상의 밸런스라인(421c)을 거쳐서 오디오부(337)로 송출된다.
스위치(423)는 B/U 변환기(411)로부터의 음성신호를 핸드셋트리시버(498)로 출력할 것인가 아닌가를 전환시키는 것이고, 스위치(424)는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무선기(300)의 오디오부(337)로 송출할 것인가 아닌가를 전환시키는 것이다. 이들 스위치(423,424)의 전환은 제어부(418)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실행되는데, 상술한 본체(400a)측의 스위치(416,417)와 연동해서 실행된다. 즉, 이 자동차전화장치(100)가 수신대기상태인 경우에는 모든 스위치(416,417,423,424)가 오프상태로 되고, 키이입력에 대한 확인음의 명동시(嗚動時)에는 스위치(416)가 온상태로 되면서 스위치(417,423,424)가 오프상태로 되며, 핸드셋트(400b)를 오프후크인 상태로 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423,424)가 온상태로 되면서 스위치(416,417)가 오프상태로 된다. 또한, 핸드셋트(400b)를 온후크인 상태로 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416,417)가 온상태로 되면서 스위치(423,424)가 오프상태로 된다.
음성스위치부(422)는 레벨검출기(422a)와 오아회로(422b) 및 스위치(422c)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레벨검출기(422a)는 핸드셋트마이크(496)에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신호레벨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신호레벨이 소정치 이하이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소정치 이상이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오아회로(422b)는 레벨검출기(422a)의 출력신호와 제어부(418)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제어신호의 논리합을 취하는 것이고, 스위치(422c)는 상기 오아회로(422b)로부터 로우레벨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온상태로 되어 음성신호의 라인(421a)이 접지레벨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핸드셋트마이크(496)로부터의 음성신호는 오디오부(337)로 전달되지 않고 핸드셋트마이크(496)는 오프상태로 된다.
또한 스위치(422c)는 상기 오아회로(422b)로부터 하이레벨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오프상태로 되어 핸드셋트마이크(496)가 온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오아회로(422b)의 한쪽에 입력되는 제어부(418)로부터의 제어신호는 수신대기시나 통상의 통화시등에는 로우레벨로 되고 후술할 음성다이얼링을 가증하게 하는 인식모우듯에는 하이레벨로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통화상태에서 발성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핸드셋트마이크(496)가 오프상태로 되어 자동차내(500)내의 소음이 상대방에게 송출되지 않는 쾌적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음성다이얼링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모우드시에 핸드셋트마이크(496)는 항상 온상태이기 때문에 레벨검출기(422a)에 의한 전환은 관계없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레벨검출기(422a)는 통화상태에서의 발성에 기초하는 전환시에 그 전환이 빈번히 발생함으로써 생기는 불쾌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시정수를 주는 콘덴서(도면에는 생략)를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 있어서는 음성다이얼링시에 그 콘덴서에 의해 음성의 어두(語頭)의 레벨이 저하되어 음성다이얼링 불확실하게 되어 있었지만, 본 자동차전화장치(100)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음성다이얼링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모우드시에 핸드셋트마이크(496)가 항상 온상태로 됨으로써 그러한 문제가 해소되어 확실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액정표시기(452)는 몇몇 자릿수의 숫자표시부(452a)와 각 기능의 표시부(452b)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LCD구동기(454)는 제어부(418)의 제어에 기초해서 액정표시기(452)를 구동시켜서 소정의 표시를 수행하는것이다. 또한 키이부(430)는 "0"∼"9"의 숫자키이와 "★", "#, "SEND", "STO", "END", "RCL", "FCN", "CLR", "EMR", "MUTE", "TONE"과 같은 기능키이의 키이패드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키이패드가 눌려지는 것은 제어부(418)에서 인식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자동차전화장치(100)의 동작을 플로우차아트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 자동차전화장치(100)이 접속제어동작을 제8도에 의거 설명한다.
전화기(400)에 있는 스위치(470)를 온시키면, 전원부(390)로부터 각 구성부분으로 전원이 투입된다(스텝801). 제9도는 그때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로서, 먼저 전원이 투입됨으로써 각 구성부분이 리셋토되고(스텝 901), 이들 각 구성부분의 리셋트의 완료되면 예컨대 액정표시기(452)의 전면이 점멸하거나 소정의 명동음(鳴動音)이 스피커(492)로부터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리셋트의 완료가 통지된다.
그후, 록크상태로 설정되어 있는가의 여부가 확인되는데(스템 902) 상기 록크상태라 함은 키이부(430)에서 소정의 키이조작을 하지 않으면 이후의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 이로써 부정사용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록크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정표시기(452)의 "LOCK"표시가 점등된다(스텝 903). 한편, 록크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액정표시기(452)의 "NO SVC" 표시가 점등된다(스텝 904).
위와 같은 리셋트가 완료되면, 초기화가 실행되는 바(스텝 802), 제10도는 그때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이다. 즉, 무선기(300)에 있는 오디오 제어부(330)는 복조기(312)에서 그 시스템에 미리 정해져 있는 제어챈널(이하 D챈널이라 약칭함)을 스캔함으로써(스텝 1001) 수신전계강도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D챈널중 전계강도가 가장 센 D챈널을 수신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 D챈널중 그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센 D챈널의 정보도 언어지고 있다.
그후, 제어신호처리부(338)가 수신하고 있는 D챈널과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 즉 워드동기를 취하고(스텝 1002)이 D챈널로부터 시스템정보를 얻는다(스텝 1003).
한편, 상술한 워드동기 혹은 시스템정보의 수신이 소정시간 경과해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센 D챈널에 의해 같은 동작이 실행된다(스텝 1004). 이 경우에 있어서 워드동기 혹은 시스템정보의 수신이 소정시간 경과해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복조기(312)에서의 D챈널의 스캔이 다시 실행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초기화가 완료되면, 제11도에 도시한 것처럼 착신신호등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챈널(이하, P챈널이라 약칭함)에 대해 스캔이 실행된다(제8도에서는 스텝 803).
즉, 무선기(300)에 있는 오디오 제어부(330)는 복조기(312)에서 각 P챈널을 스캔함으로써(스텝 1101) 수신전계강도정보를 얻은 후 P챈널중 전계강도가 가장 센 P챈널을 얻은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에는 P챈널중 그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센 P챈널의 정보도 얻어지고 있다.
그후, 제어신호처리부(338)가 수신하고 있는 P채널과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 즉 워드동기를 취하고(스텝 1102), 이 P챈널로부터 시스템정보를 얻는다(스템 1103).
한편, 상술한 워드동기 혹은 시스템정보의 수신이 소정시간 경과해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센 P챈널에 의해 같은 동작이 실행된다(스텝 1104). 이 경우에 있어서 워드동기 혹은 시스템정보수신이 소정시간 경과해도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또한, 시스템정보로부터 위치정보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이상의 접속제어에 의해 수신대기상태로 된다(스텝 804).
상기 수신대기상태에서 P챈널을 통해 착신신호가 수신되면 소정의 챈널로 응답신호를 반신(返信)함과 더불어(스텝 804) 통화회선을 확립시키기 위해 기지국과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챈널(이하, A챈널이라 약칭함)에서 상술한 D챈널 및 P챈널과 동일한 스캔이 실행된다.
즉, 무선기(300)에 있는 오디오 제어부(330)는 복조기(312)에서 각 A챈널을 스캔함으로써 수신전계강도정보를 얻고, 그 A챈널중 전계강도가 가장 센 A챈널을 수신하는 상태로 된다. 그후, 제어신호처리부(338)가 수신하고 있는 A챈널과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 즉 워드동기를 취하고 이 A챈널을 통해 통과챈널지정신호를 얻으면, 지정된 통화챈널로 전환된다(스텝 805).
그리고 그 통화챈널에서 호출신호의 수신대기상태로 된다(스텝 806).
또한 이 수신상태에서 종화상태(終話狀態)로 되면 상기 통화챈널에서의 수신상태가 해제되어(스텝 807), 송신기능이 정지상태로 된다(스텝 808).
그후 통화챈널에 의해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응답대기상태로 된다(스텝 809).
그리고 사용자가 오프후크 또는 "SEND" 키이를 누름으로써 호출에 응답하면 통화가 이루어지고(스텝810),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통화챈널에서의 수신상태가 해제되며(스텝 807), 송신기능이 정지상태로 된다(스텝 808) .
한편, 통화중에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다시 사용자의 응답대기상태로 된다(스텝 809).
한편, 상술한 통과챈널 수신상태(스텝 806)와 응답대기상태(스텝 809) 혹은 통화상태(스텝 810)에 있어서 소정시간 이상의 훼이딩(fading)이 발생하면, 송신기능이 정지상태로 된다(스텝 808). 그리고 송신기능이 정지상태로 되면(스텝 808), 다시 초기화가 실행된다(스텝 802)
다음에는 발신에 대해 설명하겠는데, 이 발신도 상술한 착신과 마찬가지로 수신대기상태로부터 실행된다(스텝 804, 스텝 811).
제12도는 발신동작을 더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차아트로서, 키이부(430)로부터 입력이 있거나 후술할 음성다이얼에 의해 발신요구가 있으면, 발신접수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가 셋트되는데(스텝 1201), 그 셋트시간은 예컨대 12초로 되어 있다. 그후 무선기(300)에 있는 오디오 제어부(330)는 복조기(312)에서 각 소정의 제어챈널을 스캔함으로써(스텝 1202) 수신전계강도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이들 제어챈널중 전계강도가 가장센 제어챈널을 수신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에는 제어챈널중 그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센 제어챈널의 정보도 얻어지고 있다.
다음에는 사용자가 발신의 의사가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1103). 이 기능은 사용자가 키이부(430)를 통해 발신하고 싶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설정한 후 "SEND"키이를 누름으로써 상태천이하는 발신 플래그가 "1"로 된다면 발신의 의사가 있다고 판단하고, 이와 달리 "SEND"키이를 누른 후 "END"키이를 누름으로써 발신프래그가 "0"으로 된다면 발신의 의사가 없다고 판단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발신의사가 없는 때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그후, 제어신호처리부(338)가 수신하고 있는 제어챈널과의 비트동기 및 프레임동기, 즉 워드동기를 취하고 그 제어챈널로부터 시스템정보를 얻는다(스텐 1204).
한편, 상기 워드동기가 취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으로 전계강도가 센 제어챈널에 의해 동일한 동작이 실시된다(스텝 1205). 이 경우에 있어서 워드동기가 취해지지 않는 때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802).
또한, 상기 싯점에서 다시 사용자의 반신의가 있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스텝 1206). 이 기능은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신플래그가 "1"이라면 발신의사가 있다고 판단하고, 발신플래그가 "0"이라면 발신의사가 없다고 판단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발신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때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상기한 과정 이후에 본 자동차전화장치(100)는 상술한 시스템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발신제어챈널을 포착한다(스텝 1207). 그리고 이 발신제어챈널의 포착에 의해 발신신호 송출가능플래그가 "0"으로부터 "1"상태로 천이된다. 또한, 발신제어챈널을 포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그리고 발신제어챈널의 포착이 지연된 경우에는(스텝 1208) 다시 발신의사의 확인이 실행된다(스텝 1206).
그리고 사용자의 발신의사가 있다고 판단되면(발신프래그가 "1"이고), 또 발신제어챈널이 포착된다면(발신신호 송출가능플래그가 "1"이라면), 그 발신제어챈널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상대방의 전화번호정보를 최소한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송출한다(스텝 1209).
그후,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챈널의 시스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스텝1201) 발신신호가 송출된 것을 인식한다. 또한 기지국측에서는 발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정보에 기초하여 상대방과의 회선접속을 실행한다.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챈널의 시스템정보에 의해 지정된 통화챈널(스텝 1211)에 통화상태로 된다. 한편, 통화챈널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초기화가 다시 실행된다(스텝 802).
위와 같이 하여 전술한 착신시와 동일한 통화가 실행되게 되고(스텝 810), 그후 통화가 종료된다.
다음에는 본 자동차전화장치(100)의 음성다이얼링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자동차전화장치(100)에서 음성다이얼링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미리 다이얼링해야 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등록시킬 필요가 있다. 제13도는 그러한 등록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로서, 이하 그 플로우차아트를 참조하여 등록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등록모우드로 설정하는데(스텝 1301), 이 단계는 키이부(430)에 있는 소정의 키이를 조작하므로서 실행되는 바(스텝 1302), 그 조작은 예컨대 "CLR", "X", "Y", "Z", "FCN", "#, "5"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X", "Y", "Z"은 언록크 코오드, 즉 미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암호코오드로서, 이처럼 언록크 코오드를 설정함으로써 제3자에 의한 부정등록이나,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파괴등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등록모우드로 설정되면, 본 자동차전화장치(l00)는 전화로서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즉, 착신 및 발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로써 착신등에 의해 등록동작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되고 옵바른 동록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처럼 등록 모우드로 설정되면, 액정표시기(452)에 있어서는 "LOCK"표시가 점열하고 "PWR"표시는 점등된다.
그후 상기와 같이 설정된 등록모우드를 해제할 것인지의 여부가 확인되는데(스텝 1303), 이 단계는 키이부(430)에 있는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러한 등록모우드 해제는 조작은 예컨내 "FCN", "CNR"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스텝 1304) 또한, 이러한 등록모우드의 해제가 실행되면 각 구성부분은 리셋트시의 상태로 된다(스텝 801). 한편, 상술한 해제조작을 실행하지 않는다면, 그 해제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등록모우드로 설정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등록모우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뱅크설정을 할 것인가의 여부가 확인되는 바(스텝 1305), 이 단계는 키이부(430)에 있는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즉, 뱅크설정의 조작은 "RCL", "#", "X"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스텝 1306). 여기에서 상기 "X"는 "1" 또는 "2"의 키이이고, "3"∼"9", "0","#", "★"는 금지키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뱅크설정이란 등록시켜야 할 데이터, 즉 전화번호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등록하고, 후술할 음성다이얼링시에 음성인식을 그룹(뱅크)단위로 실행하는 것을 뜻한다. 상술한 예에서 "X"가 "1"에 의해 뱅크설정이 이루어지면, 뱅크 '1'로 등록이 실행되고, "X"가 "2"에 의해 뱅크설정이 이루어지면 뱅크'2'로 등록이 실행된다. 그리고 음성인식시에 뱅크'1'을 지정하면 이 뱅크'1'만의 등록데이터에 기초해서 인식이 실행되고, 뱅크'2'를 지정하면 이 뱅크'2'만의 등록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식이 실행된다. 그래서 그러한 뱅크설정을 실행함으로써 1대의 자동차전화장치(100)로 복수의 사용자가 각 사람의 발성에 기초하는 데이터에 따라 음성다이얼링을 실행할 수 있어서 신속확실한 음성다이얼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1인의 사용자가 회사용/사용(私用)이라고 하는 것처럼 소정의 조건에 따라 뱅크를 분간하여 사용함으로써 음성다이얼링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음에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음성다이얼링을 해야 할 상대방의 데이터를 소거할 것인가의 여부가 확인되는데(스텝 1307), 그 소거는 키이부(430)에 있는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스텝 1308). 또한 키이조작이 실행되지 않는 때에 그러한 소거는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본 자동차전화장치(100)에 있어 상기 소거를 행하는 모우드로서는 일광소거모우드와 개별소거모우드가 있다. 그중 일광소거모우드를 설정하는 키이조작은 예컨내 "STO","#, "0"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일괄소거모우드로 설정함으로써 이미 등록되어 있던 모든 상대방데이터, 즉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관한 데이터 및 이에 대응되는 등록음성에 관한 데이터 전체가 일괄적으로 소거되게 된다. 이처럼 일괄소거가 가능하므로 일괄소거 이전의 데이터가 잔존하는 일이 없게 되어, 데이터의 잔존에 기인하는 다이얼링 에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개별소거모우드를 설정하는 키이조작은 예컨대 "STO", "X", "Y"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X", "Y"는 후술할 음성다이얼링을 해야 할 상대방의 데이터마다 설정되는 등록어드레스이다. 이처럼 개별소거가 가능하므로, 예컨대 이용빈도가 저하되었거나 이미 불필요하게 된 등록데이타를 개별적으로 소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음성다이얼링을 해야 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설정한다(스텝 1309). 이 단계는 키이부(430)에 있는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되는 바(스텝 1301), 그러한 키이조작은 예컨대 "0"∼"9"의 숫자키이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른다거나,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미리 단축다이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RCL"키이를 누른 뒤 단축다이얼을 ''0"∼"9"의 숫자키이로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그와 같이 해서 설정된 전화번호는 액정표시기(452)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후 상술한 것처럼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등록어드레스를 설정하는데(스텝 1311), 이 단계를 키이부(430)에 있는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스텝 1312). 그런 조작은 예컨대 "STO", "X", "Y"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상기 "X","Y"는 "0"∼"9"의 숫자키이로 표시되는 등록어드레스이다. 또, 이렇게 등록어드레스가 설정되면 스피커(492)로부터 소정의 명동음(嗚動音)이 출력되고 예컨대 9자리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2자리의 어드레스의 등록이 실행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진다.
위와 같이 하여 소정의 명동음이 출력되면, 그 다음에는 상술한 것처럼 설정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이름, 명칭등의 음성에 의한 등록이 실행되는데(스텝 1313), 그때 키이부(430)에 있는 키이를 아무거나 누르면(스텝 1314) 등록모우드설정시의 상태로 된다(스텝 1315, 1302). 이로써 사용자가 잘못된 발성을 한 경우등에 키이를 임의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등록모우드의 설정초기상태로 되돌아 간다.
음성의 등록은 2회의 음성발생에 의해 실행되는 바(스텝 1316,1317), 우선 첫번째로 사용자가 발성을 하게 되면, 예컨대 "오피스"라고 발성하게 되면, 그 발성시간이 소정시간(예컨대 1초간)이내에 있는 경우에 비이프음(beep音)이 2회 울린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첫번째 발성이 받아 들여졌다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사용자는 그러한 2회의 비이프음을 듣고 두번째 발성을 하는 바, 그 두번째의 발성도 받아 들여지면 음성등록이 실행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 예컨대 "Thank You"라는 메시지와 더불어 상술한 스텝 l309에서 설정한 전화번호가 음성합성에 의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음성등록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FCN" 및 "CLR"의 키이를 누러서 등록모우드를 해제한다. 이때 음성인식부(350a)에 있어서 첫번째의 음성발생시와 두번째의 음성발생시는 그 입력이 다른 것으로 하여 레벨이 다른 이들 신호를 각각 등록해야할 음성의 데이터로 한다.
위와 같이 하여 음성이 등록되면, 상술한 것처럼 전화번호가 액정표시기(452)에 표시됨과 더불어 그 전화번호의 음성이 음성합성부(350b)에서 생성되어 스피커(492)에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등록된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어, 잘못 등록된 것에 기인하는 오발신, 소위 틀린 전화가 방지된다.
다음에는 음성다이얼링동작을 제14도의 플로우차아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뱅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1401) 설정된 뱅크를 지정하는데(스텝 1402), 이 단계는 키이부(430)에 있는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런 키이조작은 예컨대 "RC1", "#", "X"의 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여기에서 "X"는 "1"또는 "2"의 숫자키이고 이들 "1" 및 "2"의 숫자키이는 각각 뱅크'1' 및 뱅크'2'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지정된 뱅크번호는 액정표시기(452)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하게 된다.
다음에는 음성다이얼링모우드(이하, 인식모우드라 칭함)로 설정한다(스텝 1403). 이 단계는 키이부(430)에 있는 소정의 키이를 조작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러한 키이조작은 예컨대 키이부(430)에 있는 임의의 텐키이(ten key)를 소정시간 이상(예컨대 1초 이상)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이렇게 하여 인식모우드로 설정되면 키이를 누르는 때의 명동음이 통상시의 음과 달리 되어, 인식모우드로 설정된 것이 스피커(492)로부터 명동음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려지게 됨(스텝 1404)과 더불어 소정시간(예컨대 6초간) 인식모우드가 계속된다. 이때소정의 키이조작에 의한 인식모우드 설정신호(하이레벨신호)는 제7도의 제어부(418)를 경유해서 오아회로(422b)에 입력된다.
상기한 것처럼 인식모우드로 설정되면, 모우드천이플래그의 상태가 "1"로 되어 사용자로부터 발성되는 음성을 인식하는 상태로 되는데, 그때 소정의 조작이나 소정의 조건에 따라 인식모우드의 재설정 혹은 인식모우드의 해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스텝 1405, 스텝 1406). 예컨대 키이부(430)에 있는 임의의 덴 키이를 소정시간 이상(예컨대 1초이상) 누르면 인식모우드의 재설정이 실행된다. 즉, 텐 키이가 소정시간 눌림으로써 그때까지의 음성인식결과는 모두 클리어되고, 다시 스피커(492)로부터 명동음이 발생한다. 이것은 음성인식중에 있어서도 가능하여(스텝 1407), 사용자가 잘못된 음성을 발성한 경우 발신행선지를 변경시키고 싶은 때에 간단히 인식모우드로 재설정되어 다시 음성다이얼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해제할 경우에는 임의의 텐 키이를 1초 미만 누름으로써 인식모우드는 해제된다.
사용자로부터 음성이 발성되면(스텝 1408), 그 음성인식부(350a)에 의해 인식되어 그에 따른 전화번호가 액세스되고, 사용자의 발신의지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여 발신플래그를 "1"로 한다(스텝 1409). 이와 같이하여 액세스된 전화번호가 액정표시기(452)에 표시됨과 더불어 그 전화번호의 음성이 음성합성부(350b)에서 생성되어 스피커(492)로부터 출력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소위 잘못걸리는 전화가 방지된다.
그후 액정표시기(452) 혹은 스피커(492)에 의해 통지되어 처음부터 소정시간(예컨대 3초)을 경과하면 상술한 것처럼 액세스된 전화번호에 의해 발신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스텝 1410,1411). 즉, 제12도의 스텝 1206에서 발신의지가 있다고 판단된 후에는 발신신호를 송출해야 할 챈널을 포착한 뒤, 발신의지를 확인한 다음 상기 챈널을 통해서 최소한 인성인식부(35a)에 의해 인식된 전화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발신신호를 송출하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처럼 인식된 결과를 통보한 후 소정시간이 지난 다음에 발신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시간의 사이에 상술한 사용자의 전화번호확인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식결과인 통보된 전화번호정보가 사용자가 소망하는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1409), 텐 키이를 소정시간 누름으로써 인식모우드의 재설정 혹은 해제를 실행하던가(스텝 1406), 또는 "END"키이를 누름으로써 발신을 취소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하고 발신중단지시신호를 생성해 낸다.
또한, 자동발신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키이부(430)에 관한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발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한 조작은 예컨대 자동발신이전에 "SEND"키이를 누름으로써 실행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화장치에 의하면, 정확한 전화번호로 발신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8)

  1. 사람의 반성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변환수단과, 음향신호를 상기 사람의 발성을 나타내는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변환수단, 다수의 전화번호데이터에 대응되는 다른 다수의 어드레스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디지탈신호와 상기 어드레스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수단,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결과로서 상기 디지탈신호의 내용과 동일한 내용의 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제1선택수단, 발신신호를 송출하는 위한 챈널을 선택하는 제2선택수단, 상기 제1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어드레스데이터에 대응되게 주어진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상기 제2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 사람의 발성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변환수단과, 음향신호를 상기 사람의 발성을 나타내는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변환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제2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신호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화번호데이터간의 대응관계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는 챈널선택수단, 상기 디지탈신호에 대응되게 인식된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3.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발하는 사람의 발성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변환수단과, 음향신회를 상기 사람의 발생을 나타내는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변환수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제2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신호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전화번호데이터간의 대응관계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 상기 인식수단에 의한 인식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람수단,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는 챈널선택수단, 상기 디지탈신호에 대응되게 인식된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이 인식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시각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수단이 인식결과를 음향으로 바꾸는 음향변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6.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발하는 사람의 발성에 응답하여 디지탈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데이터를 검색해 내기 위한 인식/검색수단,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동스위치,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챈널을 선택하고 그 하나 이상의 챈널의 선택에 응답하여 챈널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챈널선택수단,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와 상기 챈널선택신호 양쪽이 존재한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게 인식된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와 상기 챈널선택신호를 플래그신호로서 저장하기 위한 플래그메모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송출수단이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와 상기 챈널선택신호의 존재유무를 점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스위치가 더욱이 상기 인식/검색수단의 동작을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0.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발하는 사람의 발성에 응답하여 디지탈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데이터를 검색해 내기 위한 인식/검색수단,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동스위치,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고 그 챈널의 선택에 응답하여 챈널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챈널선택수단,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검색수단에 의한 인식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통보수단,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와 상기 챈널선택신호 양쪽이 모두 존재한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게 인식된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스위치가 더욱이 상기 인식/검색수단의 동작을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스위치가 소정시간 이상 눌려지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와 상기 초기화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수동적으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3.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발하는 사람의 발성에 응답하여 디지탈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데이터를 검색해내기 위한 인식/검색수단,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수동스위치,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고 그선택의 완료에 응답하여 챈널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챈널선택수단,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검색수단에 의한 인식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통보수단, 중단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수동스위치,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의 검출후 상기 챈널선택신호가 존재한다는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중단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게 인식된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4.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발하는 사람의 발성에 응답하여 디지탈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데이터를 검색해 내기 위한 인식/검출수단,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수단스위치,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고 그선택의 완료에 응답하여 챈널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챈널선택수단,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검색수단에 의한 인식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통보수단, 중단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수동스위치,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의 검출후 상기 챈널선택신호가 존재한다는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중단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채널상으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게 검색된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5.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발하는 사람의 발성에 응답하여 디지탈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데이터를 검색해내기 위한 인식/검색수단,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수동스위치, 발신신호를 송추루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고 그선택의 완료에 응답하여 챈널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챈널선택수단,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검색수단에 의한 인식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통보수단, 중단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수동스위치, 상기 통보수단에 의한 통보의 완료후 상기 챈널선택신호가 존재한다는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중단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게 검색된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6.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발하는 사람의 발성을 응답하여 디지탈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데이터를 검색해내기 위한 인식/검색수단, 상기 인식/검색수단에 의한 전화번호데이터의 검색에 응답하여 종료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종료신호발생수단,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수동스위치,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의 완료에 응답하여 챈널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챈널선택수단, 상기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검색수단에 의한 인식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통보수단, 호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수동스위치, 상기 종료신호 및 호출신호가 모두 존재한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디지탈신호에 대용되게 검색된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7.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발하는 사람의 발성에 응답하여 디지탈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데이터를 검색해내기 위한 인식/검색수단, 상기 전화번호데이터의 검색에 응답하여 종료신호를 발생시기키 위한 종료신호발생수단, 음성다이얼링모우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수동스위치,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의 완료에 응답하여 챈널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챈널선택수단, 호출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수동스위치, 상기 종료신호와 호출신호 및 챈널선택신호가 모두 존재한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게 검색된 전화번호데이터를 상기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8. 적어도 1인 이상의 사용자가 발하는 사람의 발성에 응답하여 디지탈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인식하여 그 인식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데이터를 검색해내기 위한 인식/검색수단,상기 전화번호데이터의 검색에 응답하여 종료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종료신호발생수단,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챈널을 선택하고 그 선택의 완료에 응답하여 챈널선택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챈널선택수단, 상기종료신호와 상기 챈널선택신호가 모두 존재한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챈널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챈널상으로 디지탈신호에 대응되게 검색된 전화번호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발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KR1019880006333A 1987-05-29 1988-05-28 무선전화장치 KR950014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34328 1987-05-29
JP62134329A JPS63299559A (ja) 1987-05-29 1987-05-29 無線電話装置
JP62134328A JPS63299558A (ja) 1987-05-29 1987-05-29 無線電話装置
JP134329 1987-05-29
JP62-134329 1987-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785A KR880014785A (ko) 1988-12-24
KR950014293B1 true KR950014293B1 (ko) 1995-11-24

Family

ID=2646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333A KR950014293B1 (ko) 1987-05-29 1988-05-28 무선전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59850A (ko)
EP (1) EP0293258B1 (ko)
KR (1) KR950014293B1 (ko)
CA (1) CA1298877C (ko)
DE (1) DE388565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7193B1 (en) * 1987-09-11 1993-11-18 Kabushiki Kaisha Toshiba Telephone apparatus
JPH02305159A (ja) * 1989-05-19 1990-12-18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US5175759A (en) * 1989-11-20 1992-12-29 Metroka Michael P Communications device with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US5148471A (en) * 1989-11-20 1992-09-15 Motorola, Inc.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JP2974709B2 (ja) * 1990-01-26 1999-11-10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制御装置
JP2964518B2 (ja) * 1990-01-30 1999-10-18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制御方式
JPH04207341A (ja) * 1990-11-30 1992-07-29 Sony Corp 無線電話装置
CA2053410A1 (en) * 1990-12-17 1992-06-18 Paul Edward Duffy Multiple-mode cellular telephone control device
CA2104098C (en) * 1992-01-21 1999-09-07 Michael P. Metrok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keyless control
US5297183A (en) * 1992-04-13 1994-03-22 Vcs Industries, Inc. Speech recognition system for electronic switches in a cellular telephone or 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
US5450525A (en) * 1992-11-12 1995-09-12 Russell; Donald P. Vehicle accessory control with manual and voice response
US5905789A (en) * 1996-10-07 1999-05-18 Northern Telecom Limited Call-forwarding system using adaptive model of user behavior
US5917891A (en) * 1996-10-07 1999-06-29 Northern Telecom, Limited Voice-dialing system using adaptive model of calling behavior
US6167117A (en) * 1996-10-07 2000-12-26 Nortel Networks Limited Voice-dialing system using model of calling behavior
US5912949A (en) * 1996-11-05 1999-06-15 Northern Telecom Limited Voice-dialing system using both spoken names and initials in recognition
US6208713B1 (en) 1996-12-05 2001-03-27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desired record in a plurality of records in an input recognizing telephone directory
US6005927A (en) * 1996-12-16 1999-12-21 Northern Telecom Limited Telephone directory apparatus and method
GB2321823B (en) * 1997-02-04 1999-05-12 Sack Chan Audio sending device for a mobile telephone
US6236715B1 (en) 1997-04-15 2001-05-22 Nortel Network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the control channel in telecommunications systems for voice dialing
US6993321B1 (en) * 1997-06-19 2006-01-31 Nilsson Byard G Wireless telephone system with mobile instruments for outgoing calls
US6167118A (en) * 1997-12-30 2000-12-26 Dsc Telecom L.P. Method and a system for by-passing a receiver-off-hook timer for voice dialing systems and for supporting spoken digit dialing
KR100259918B1 (ko) * 1998-03-05 2000-06-15 윤종용 핸즈프리키트의 쇼트메시지 음성합성 장치 및 방법
KR100277060B1 (ko) * 1998-09-16 2001-01-15 윤종용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 안내 메시지 제공 방법
US6434403B1 (en) 1999-02-19 2002-08-13 Bodycom,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wireless telephone
KR100345537B1 (ko) * 1999-07-27 2002-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송수화음 및 키톤 레벨조절방법
US7174293B2 (en) * 1999-09-21 2007-02-06 Iceberg Industries Llc Audio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7194752B1 (en) 1999-10-19 2007-03-20 Iceberg Industr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input audio and/or video streams
US6356209B1 (en) * 1999-12-20 2002-03-12 Robert P. Mitchell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ndicating receipt of a radio communication directed to a uniquely identified vehicle
JP2001186571A (ja) * 1999-12-27 2001-07-06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U2002211343A1 (en) * 2000-10-02 2002-04-15 Motorola, Inc. Integrated hearing assistant device in a communication unit
US7174191B2 (en) * 2002-09-10 2007-02-06 Motorola, Inc. Processing of telephone numbers in audio streams
KR100664105B1 (ko) * 2003-12-04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음성 인식 방법
US9390167B2 (en) 2010-07-29 2016-07-12 Soundhound, Inc. System and methods for continuous audio matching
US9047371B2 (en) 2010-07-29 2015-06-02 Soundhound, Inc.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a query against a broadcast stream
US9035163B1 (en) 2011-05-10 2015-05-19 Soundbound, Inc. 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content based on identified audio and multimedia
US10957310B1 (en) 2012-07-23 2021-03-23 Soundhound, Inc. Integrated programming framework for speech and text understanding with meaning parsing
US9507849B2 (en) 2013-11-28 2016-11-29 Soundhound, Inc. Method for combining a query and a communication command in a natural language computer system
US9292488B2 (en) 2014-02-01 2016-03-22 Soundhound, Inc. Method for embedding voice mail in a spoken utterance using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mputer system
US11295730B1 (en) 2014-02-27 2022-04-05 Soundhound, Inc. Using phonetic variants in a local context to improve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US9564123B1 (en) 2014-05-12 2017-02-07 Soundhound, Inc.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an integrated user profi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6804A (en) * 1965-06-11 1974-04-23 Martin Marietta Corp Radio telephone system having automatic channel selection
JPS5223202A (en) * 1975-08-15 1977-02-22 Fuji Xerox Co Ltd Utterance timing display device for voice recognition
GB1569450A (en) * 1976-05-27 1980-06-18 Nippon Electric Co Speech recognition system
US4348550A (en) * 1980-06-09 1982-09-07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poken word controlled automatic dialer
US4450319A (en) * 1981-07-31 1984-05-22 Controlonics Corporation Infrared telephone extension control system
JPS5870287A (ja) * 1981-10-22 1983-04-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音声認識装置
JPS6059846A (ja) * 1983-09-13 1985-04-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認識自動ダイヤル装置
FR2571191B1 (fr) * 1984-10-02 1986-12-26 Renault Systeme de radiotelephon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EP0235127B2 (en) * 1985-09-03 1993-05-05 Motorola, Inc. Hands-free control system for a radiotelephone
US4873714A (en) * 1985-11-26 1989-10-10 Kabushiki Kaisha Toshiba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an accurate recogni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5654T2 (de) 1994-04-14
CA1298877C (en) 1992-04-14
US4959850A (en) 1990-09-25
KR880014785A (ko) 1988-12-24
EP0293258B1 (en) 1993-11-18
EP0293258A1 (en) 1988-11-30
DE3885654D1 (de) 199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293B1 (ko) 무선전화장치
KR960014230B1 (ko) 무선전화장치에서의 데이터소거방식
KR910006053B1 (ko) 전화 장치
US5239586A (en) Voice recognition system used in telephone apparatus
EP0319210B1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JPH04271526A (ja) 遠隔プログラム可能な無線電話機
GB2361149A (en) Operating portable phone by voice recognition
KR20000051317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JPH08205237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KR960009907B1 (ko) 음성인식시스템
US20020010005A1 (en) Method for performing voice dialing through ear-microphone in a mobile terminal
KR100225358B1 (ko) 수신음량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JPH07147694A (ja) 携帯電話装置
KR950004416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의 기지국 자동선택 방법
JPS63299559A (ja) 無線電話装置
JPS63299558A (ja) 無線電話装置
KR970024782A (ko) 디지탈 전화기의 음성인식 시스템 및 음성인식방법
JPH01259635A (ja) 移動局装置
JPS63299556A (ja) 無線電話装置におけるデ−タ消去方式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KR19980041438A (ko) 사용자 음성레벨에 따른 수신음량 자동조정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0026786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음성메시지확인방법.
KR100301101B1 (ko) 셀룰라폰의음성다이얼방법
JPH01300722A (ja) 移動局装置
KR20000067091A (ko) 휴대폰의 음성인식 조작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