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384Y1 -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 Google Patents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384Y1
KR950010384Y1 KR2019910010567U KR910010567U KR950010384Y1 KR 950010384 Y1 KR950010384 Y1 KR 950010384Y1 KR 2019910010567 U KR2019910010567 U KR 2019910010567U KR 910010567 U KR910010567 U KR 910010567U KR 950010384 Y1 KR950010384 Y1 KR 950010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polarity inversion
current holding
exchang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0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832U (ko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Lg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g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Lg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0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384Y1/ko
Publication of KR930003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제1도는 종래의 국선 정합회로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전류 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의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임피던스 정합회로의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다른 국선 정합회로의 블럭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류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의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및 수신레벨 조정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전류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 2A : 임피던스 정합회로
2B : 임피던스 정합 및 수신레벨 조정부 3 : A/D 및 D/A 겸용 컨버터
4 : 링 신호 감지신호 5 : 극성 반전 감지부
6 : 정전압부 7 : 펄스 송출 제어부
8 : 가변 전압부 9 : 수신 레벨 조정부
10 : 임피던스 매칭부 OP1, OP2 : 연산증폭기
RYA, RYB, RYC: 릴레이 T1 : 트랜스 포머
T2 : 정합 트랜스 포머
본 고안은 사설 교환기의 국선 정합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능동소자를 사용하여 통화로 유지 및 펄스발생을 위한 전류제어회로와, 임피던스 정합 및 수신레벨 조정부를 구성하는 국선 정합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국선 정합회로의 블럭구성도로서, 펄스 송출을 단속하는 릴레이(RYA)와, 릴레이(RYA)의 단자 한측에 접속되어 국설측에서 들어오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감지회로(4)와, 링 신호 감지회로(4)에 접속되어 펄스 송출시 트랜스 포머에 의한 역기전력을 억제하기 위한 릴레이(RYB)와, 일정한 직류전압을 유지해 주며 그 직류 전압의 극성을 감지하는 전류유지 및 극성반전 감지회로(1A)와, 상기 전류유지 및 극성반전 감지회로(1A)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사설교환기측으로 송부하고 사설교환기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류유지 및 극성반전 감지회로(1A)로 송부하는 A/D 및 D/A 겸용 컨버터(3)와,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어 상기 전류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1A)의 신호를 왜곡없이 A/D 및 D/A 겸용 컨버터(3)에 전송하는 임피던스 정합회로(2A)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종래의 국선정합회로를 첨부한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종래의 국선 정합회로의 전류유지 및 극성반전 감지회로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트랜스 포머(T1), 다이오드(D1) 및 포토 트랜지스터(TP1)에 의해 국설측의 단자(LA, LB)에 공급되는 전원(직류전압-48V)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3도는 종래의 국선 정합회로의 임피던스 정합회로와 A/D 및 D/A겸용 컨버터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정합 트랜스 포머(T2), 저항들, 라이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설과 사설교환기 간에 통화 통로가 형성될려면, 우선 국설교환기측에서 단자(LA, LB)로 링신호를 인가시키면 사설교환기측에서 링신호 감지회로(4)를 통해 링신호를 감지하면 릴레이(RYA)의 단자 스위치가 절환되어 루프가 형성됨으로써 상호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설교환기에서 국설교환기측으로 통화를 할려면 릴레이(RYA,RYB)를 절환시켜 루프를 형성하고 릴레이(RYA)를 일정한 비율로 재 절환함으로써 국설측에서 공급하는 직류전원이 단속되어 펄스 디지트가 송출되면 국설축 가입자가 응답하여 상호 통화하게 된다.
국설교환기와 사설교환기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 음성신호가 제3도에서 정합 트랜스 포머(T2)의 A부에서 B부로 아날로그 신호가 왜곡없이 통과한 신호는 A/D 및 D/A겸용 컨버터(3)의 A/D 컨버터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송신 PCM 라인으로 보내고 또한, 음성신호가 수신 PCM라인을 통해 들어온 디지탈 신호는 A/D 및 D/A겸용 컨버터(3)의 D/A 컨버터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정합 트랜스 포머(T2)의 B부에서 A부로 음성신호가 왜곡없이 전송된다. 그리고 정항(Re)는 송ㆍ수신 음성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트랜스 포머에 의한 직류유지 회로가 제품을 차지하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펄스 발생시 역기전력을 억제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릴레이는 상당히 고가이고, 그리고, 송ㆍ수신 음성레벨을 조정하는 수단이 일체로 되어 있어 국설측으로 보내는 음성 신호레벨을 쉽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류 유지회로에서 수동소자를 능동소자로 대치하여 트랜스 포머에 의해 차지되었던 면적을 줄일수 있고 또는 펄스 발생시 릴레이를 단속할 필요가 없는 국선 정합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임피던스 정합회로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어 왜곡없이 A/D 및 D/A겸용 컨버터에 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에코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국선 정합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송ㆍ수신 음성레벨을 별개로 조정할 수 있는 국선 정합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서술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국선 정합회로의 블럭구성도로서, 단자 스위치를 절환하여 통화시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는 릴레이(RYC)와, 상기 릴레이(RYC)의 단자 한측에 접속되어 국설측에서 들어오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 신호 감지회로(4)와, 상기 릴레이(RYC)의 단자 타측과 상기 링 신호 감지회로(4)에 접속되어 일정한 직류 전압을 유지해 주고 사설 교환기측에서 국설 교환기측으로의 통화시 제어신호에 의해 펄스 디지트를 형성하며, 상기 전압의 극성을 감지하는 전류 유지 및 극성반전 감지회로(1B)와, 상기 전류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1B)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사설교환기측으로 전송하고 사설교환기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류유지 및 극성 반전회로(1B)로 전송하는 A/D 및 D/A겸용 컨버터(3) 및, 상기 전류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1B)의 신호를 왜곡없이 상기 A/D 및 D/A겸용 컨버터에 전송하는 한편 송ㆍ수신 신호 레벨의 조정을 개별적으로 할 수 있으며 에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임피이던스 정합 및 수신레벨 조정부(2B)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국선 정합회로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설과 사설 교환기간에 통화 통로가 형성될려면, 우선 국선 전화기측에서 단자(LA,LB)로 링신호가 인가되면 사설 교환기측에서 링신호 감지회로(4)를 통해 링 신호를 감지하면 릴레이(RYC)의 단자 스위치가 1에서 2로 절환되어 루프가 형성되어 상호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때, 전류 유지 및 극성 반전 회로(1B)는 국설측에서 공급되는 전압원을 일정하게 유지해준다.
사설 교환기 측에서 국설측으로 통화를 할려면 릴레이(RYC)의 단자 스위치를 절환시켜 루프를 닫아 제어 신호에 의해 포토 트랜지스터를 단속시켜서 펄스를 발생케하여서 국설측 가입자가 응답하여 서로 통화할 수 있다.
첨부한 제5도를 참조하여 상기에 기술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국선 정합 회로의 전류 유지 및 극성 반전 회로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 일정한 전압원을 형성하는 정전압부(6)와, 사설교환기측에서 오는 제어 신호에 따라 단속됨으로서 펄스 발생을 하는 펄스 발생부(7)와, 펄스 발생부(7)의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원을 형성하는 가변 전압부(8)로 구성된다.
상기 정전압부(6)는 브릿지 다이오드(D1-D4) 및 제너다이오드(D5)로 이루어지고, 트랜지스터(Q4,Q2,Q1), 포토르랜지스터(PT), 다이오드(D6) 및 저항들(Ra,R1,R3)은 펄스 발생부(7)를 형성한다.
가변전압부(8)는 트랜지스터(Q3), 저항(R6) 및 캐패시터(C)로 구성된다. 제5도에서 정전압부(6)는 브릿지 다이오드(D1~D4)에 의해 국설측에서 공급하는 전원의 극성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전원을 유지해주며 제너 다이오드(D5)에 의해 과전압을 보호해 준다. 펄스 발생부(7)에서 국설측으로부터 온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4)가 ON상태로 되어 다이오드(D6)이 도통되므로 포토트랜지스터(PT) 또한 도통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흐르는 전류는 포토트랜지스터(PT)를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흘러 들어가 트랜지스터(Q2)가 ON상태로 되어 2의 에미터로 전류가 흐른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들(Q1, Q2)은 다링턴 회로를 형성하므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흐르는 전류를 에미터 공통 순방향 이득(hfe)의 자승만큼 증폭하게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따라 변한다. 즉, 전류 I가 과전류이거나 너무 작게 흐름에 따라 트랜지스터(Q3)의 코렉터-에미터 간의 전압(V)가 변한다.
포토 트랜지스터(PT)는 사설 교환기측에서 국설측으로 펄스 발생시 이를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그 단속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의 상태에 따른다.
만약 제어 신호의 상태가 "1"이라면 트랜지스터(Q4)가 동작되어 다이오드(D6)에 전류가 흘러 포토 트랜지스터(PT)의 콜렉터와 에미터간이 연결되어 단자(a)와 (b)에 전류가 흐른다.
만약 제어 신호의 상태가 "0"이라면 트랜지스터(Q4)가 동작하지 않아서 다이오드(D6)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포토 트랜지스터(PT)의 콜렉터와 에미터가 개방상태로 되며, 이때 트랜지스터(Q1,Q3)도 동작하지 않아 단자(a), (b)에 흐르는 루프는 단자(a)에서 저항(Ra,Rb)를 통해 단자(b)로 형성되는데, 이때 저항(Ra,Rb)의 값은 수십 ㏀이상 이어서 단자(a), (b)에 흐르는 전류는 거의 없이 개방상태와 거의 같게 된다. 극성 반전 감지부(5)는 단자(a), (b)에 공급되는 전위의 극성이 바뀜에 따라 로직 "0", "1"상태를 감지하여 사설교환기측으로 전송한다.
제6도는 본 고안의 국선 정합 회로의 임피이던스 정합 및 수신레벨 조정부의 상세도이고 A/D 및 D/A겸용 컨버터와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임피이던스 정합 및 수신레벨 조정부(2B)는 상기 전류 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1B)로부터의 디지탈 전송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전류 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1B)측과의 임피던스를 매칭시켜주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10)와, 상기 A/D 및 D/A겸용 컨버터(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10)에 가변전압을 인가하여 수신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신레벨 조정부(9)로 크게 구성되어지며, 그 구성 요소들은 정합 트랜스 포머(T2), 저항들(R3,R4,R5,R6,R8) 및 연상증폭기(OP1,OP2)로 이루어지며 저항(Re)는 송신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정합 트랜스 포머(T2)의 A부에서 B부로 음성신호가 넘어갈때 저항(R4)값과 B부에서 A부를 바라본 임피던스(ZL)값이 같으면 A부의 신호는 B부로 왜곡없이 통과하여 저항(Re)에서 레벨을 조정, A/D 및 D/A 컨버터(3)의 A/D 컨버터로 송부되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다음에 송신 PCM라인으로 보낸다. 반대로, 수신 PCM라인을 통해 들어온 음성 신호는 A/D 및 D/A 컨버터(3)의 D/A 컨버터로 송부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다음에 수신 레벨 조정부(9)의 연산증폭기(OP1)을 통과한다. 이때, 연산증폭기(OP1)의 신호 증폭되는 1+이다. 통과한 신호는 절점(V+)에 주어지고 연산증폭기(OP2)는 연산증폭기(OP1)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켜 그의 출력 신호를 절점(V-)에 주어진다.
이때, 연산증폭기(OP2)의 신호 증폭도는이다. B에서 A부를 바라본 임피던스(ZL)가 저항(R3 = R4 = R5)와 같으면 변환된 음성신호는 왜곡 없이 정합 트랜스 포머(T2)의 B부에서 A부로 넘어간다.
A/D 및 D/A컨버터(3)의 D/A컨버터에서 나온 신호는 정합 트랜스 포머(T2)의 B부에서 A부로 그대로 넘어가고 다시 저항(Re)로 넘어가는 신호(에코신호)는 부하저항이 600Ω으로 가정할 때 20log[(V±V-)-V+]≒0㏈가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정전압부를 트랜스 포머 대신에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로 된 능동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적은 면적은 차지하고 많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전원유지 및 제어를 수동소자인 트랜스 포머에 비해 능동소자를 사용하므로 거리에 따른 보상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일정전류를 유지할 수 있고 펄스송출시 릴레이를 단속하지 않고 루프를 닫은 상태에서 트랜지스터를 제어함으로써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 노이즈 효과를 줄일수 있으며 릴레이 접점의 채터링(Chattering)을 없앨수 있다. 펄스릴레이를 고가, 고품질이 아닌 일반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 절감의 효과도 가져온다.

Claims (3)

  1. (정정) 단자 스위치를 절환하여 통화시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는 릴레이소자와 ; 상기 릴레이소자의 단자 한측에 접속되어 국설측에서 들어오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 감지회로와 ; 상기 릴레이소자의 단자 타측과 상기 링 신호 감지회로에 접속되어 일정한 직류 전압을 유지해 주고 사설 교환기 측에서 국설 교환기측으로의 통화시 제어신호에 의해 펄스 디지트를 형성하며, 상기 전압의 극성을 감지하는 전류 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와 ; 상기 전류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사설교환기측으로 전송하고 사설교환기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류유지 및 극성 반전회로로 전송하는 A/D 및 D/A겸용 컨버터 ; 및 상기 전류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의 신호를 왜곡없이 상기 A/D 및 D/A겸용 컨버터에 전송하는 한편 송ㆍ수신 신호 레벨의 조정을 개별적으로 할 수 있으며 에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임피이던스 정합 및 수신레벨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 정합 회로.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 회로는 일정한 전압원을 형성하는 정전압부와 ; 사설교환기측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단속됨으로써 펄스 디지트를 형성하는 펄스 발생부 ; 및 상기 펄스 발생부의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원을 형성하는 가변 전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3. (신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정합 및 수신레벨 조정부는 상기 전류 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로 부터의 디지탈 전송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전류 유지 및 극성 반전 감지회로측과의 임피던스를 매칭시켜주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와 ; 상기 A/D 및 D/A겸용 컨버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에 가변전압을 인가하여 수신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수신레벨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KR2019910010567U 1991-07-10 1991-07-10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KR950010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567U KR950010384Y1 (ko) 1991-07-10 1991-07-10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567U KR950010384Y1 (ko) 1991-07-10 1991-07-10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32U KR930003832U (ko) 1993-02-26
KR950010384Y1 true KR950010384Y1 (ko) 1995-12-11

Family

ID=1931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0567U KR950010384Y1 (ko) 1991-07-10 1991-07-10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3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32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8485A (en) Transformerless telephone line circuit
US4866768A (en) Station line interface circuit f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4357495A (en) Telephone line feed
US3708630A (en) Telephone circuits utilizing active elements
KR930002588B1 (ko) 제한된 전지전압에서 왜곡이 없는 음성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전화선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
KR950010384Y1 (ko) 능동소자를 이용한 국선정합회로
CA1160780A (en) Trunk interface circuit with current compensation
US4400589A (en) Subscriber station network
JPH0425745B2 (ko)
JP2847841B2 (ja) 極性反転回路
US4440989A (en) Key telephone area voice paging circuit and method
KR200202421Y1 (ko) 전화기용 선로 인터페이스 회로
KR100342241B1 (ko) 전화기용 선로 인터페이스 회로
KR910003391B1 (ko) 반이중 음성 송수신회로
KR0145481B1 (ko) 전원잡음 제거기능을 갖는 전자식 교환시스템
KR940007129Y1 (ko) 키폰 전화기
KR890004321B1 (ko) 자석식/반공전식 전화기의 국선, 간선 교환용 인터페이스 회로
KR940000451B1 (ko) 롱-루프시 잡음신호 감소회로
JPH0810994Y2 (ja) 電話装置
JPS63202164A (ja) 電話機
KR950002111Y1 (ko) 전화기에서의 수신감도 자동조절회로
KR0173954B1 (ko) 교환기 가입자 정합 회로의 ac 피딩 회로
RU366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принимаемых телефонным аппаратом сигналов
JP2659357B2 (ja) ハンドフリー型電話機
JPH0683299B2 (ja) 電話機−拡声形インタ−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