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660Y1 - 스타터 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660Y1
KR950007660Y1 KR2019950009650U KR19950009650U KR950007660Y1 KR 950007660 Y1 KR950007660 Y1 KR 950007660Y1 KR 2019950009650 U KR2019950009650 U KR 2019950009650U KR 19950009650 U KR19950009650 U KR 19950009650U KR 950007660 Y1 KR950007660 Y1 KR 950007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gear
bracket
clutc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조 이소즈미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4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gearing including a speed reducer
    • F02N15/04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gearing including a speed reducer of the planeta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2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 F02N15/02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of the overrunn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타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타터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따른 요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기어 감속 장치 및 연동체부분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해 스타터 장치를 나타내는 제2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기어 감속 장치 및 연동체 부분의 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스타터 장치의 종단면도.
제7도는 종래 스타터 장치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 : 이동 레버 44a : 하단부
51 : 직류 전동기 57 : 중간 브래킷
57b : 돌출부 57c : 안내 돌기부
61 : 피니언 62 : 스토퍼
64 : 연동체 64a : 로드부
64b : 아암부 71 : 중간 기어
74 : 내치기어 80 : 오버런닝 클러치
81 : 클러치 아웃터 82 : 클러치 인너
92 : 중간 브래킷 92b : 돌출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차량에 사용되는 감속 장치 부착 스타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니언을 전방 브래킷의 전방에 돌출시킨 오버행 타입의 스타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스타터 장치는 전방 브래킷으로부터 전방으로 피니언을 전진 돌출시키고, 이를 기관의 링기어에 결합시켜 시동 회전되는 오버행 타입의 감속 장치 부착 스타터 장치이다.
제7도는 종래 스타터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은 직류 전동기이고,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2는 계자철심으로 계자 장치(3)를 장착하고 있다. 계자장치(3)는 영구자석 또는 계자 코일을 갖는 자극으로 구성된다. 4는 전기자 철심으로 전기자 코일(5)을 장착하고, 전기자축(6)에 고착되어 있다. 6a는 전기자축(6)에 형성된 스( )기어로 구성딘 태양기어, 7은 정류자, 8은 브러시 장치, 9는 계자 철심(2)에 장착된 후방브래킷으로서 베어링(10)을 거쳐 전기자축(6)의 후단측을 지지하고 있다.
12는 계자철심(2)에 장착된 전방 브래킷이다. 14는 직류 전동기(1)와 동축으로 배치된 유성기어 감속 장치이며, 15는 전방 브래킷(12)에 고정되고 내치기어(15a)가 형성된 내치틀, 16은 태양기어(6a)와 내치기어(15a)에 결합하여 자전과 감속 공전을 실행하는 복수의 유성 기어로서, 베어링(18)을 거쳐 지지핀(17)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핀(17)은 출력축(19)에 설치된 플랜지부로 구성딘 캐리어(19a)에 고착되어 있다.
전기자축(6)은 전단부가 베어링(20)을 거쳐 출력축(19)의 구멍부에 지지되고, 전단이 강구(21)를 거쳐 출력축(19)에 축방향으로 대응하고 있다. 출력축(19)은 후단측이 베어링(22)을 거쳐 내치틀(15)에 지지되어 있다.
24는 오버런닝 클러치이며, 클러치 아웃터(25)는 출력축(19)에 형성된 헬리컬스플라인(19b)에 스플라인 결합되며 클러치 인너(26)는 로울러(27)를 거쳐 결합되어 있다. 클러치 인너(26)의 전단부에는 피니언(28)이 형성되어 있다. 29는 클러치 아웃터(25)에 장착된 환상 부재이다.
클러치 인너(26)는 베어링(30)을 거쳐 전방 브래킷(12)에 지지되고, 베어링(31)을 거쳐 출력축(19)의 전방부를 지지하고 있다. 32는 출력축(19)의 단부에 고정된 스토퍼로서, 오버런닝 클러치(24)의 전진 이동을 클러치 인너(26)의 계단부(26a)에 접촉시키므로써 정지시킨다.
34는 계자철심(2)에 장착된 전자 스위치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35는 보빈에 권취된 여자 코일, 36은 고정철심, 37은 상기 고정 철심에 대응하는 가동철심으로 구성된 플런저, 38은 고정철심(36)을 관통하여 지지된 가동 지지봉으로서 가동 접점(39)을 절연체를 거쳐 지지하고 있다. 40은 절연체로 이루어진 캡(41)에 장착되고 가동접점(39)에 대향하는 대향의 고정접점, 42는 고정 러심(36)과 플런저(37)사이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으로서 플런저(37)를 전진 위치에 복귀시킨다. 43은 플런저(37)내에 지지되고 선단 결합부(43a)에 결합되고 아래측으로 연장되는 다른쪽 단부는 클러치 아웃터(25)에 장착된 환상부재(29)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45는 플런저(37)내에 삽입된 가압 스프링으로서 후크(43)를 후퇴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스타터 장치에서, 여자코일(35)에 통전하면, 플런저(37)가 고정철심(36)측에 흡인된다. 그러면, 후크(43)에 의하여 이동 레버(44)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오버런닝 클러치(24)를 전진시킨다. 이에 의하여, 피니언(28)이 엔진의 링기어에 결합된다. 동시에 직류 전동기(1)가 시동되고, 전기자축(6)의 회전이 유성기어 감속 장치(14)에 의하여 감속된 후 출력축(19)에 전달된다. 상기 회전은 오버런닝 클러치(24)를 거쳐 피니언(28)에 전달되어 기관을 시동 회전시킨다.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타터 장치에서 이동 레버(44)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는 오버런닝 클러치(24)는, 피니언(28)을 가지고 있어 중량이 크고, 피니언(28)을 링기어에 삽입할 때의 가압 스프링(45)의 스프링력의 설정이 작은 경우에는 피니언(28)이 링기어에 정상으로 맞물리지 않고, 링기어의 단면을 절삭시키면서 결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합 불량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피니언(28)을 가지는 오버런닝 클러치(25)의 중량에 대응하도록 가압 스프링(45)의 스프링력을 크게 하면 되지만, 이 경우, 상기 스프링력, 즉 저항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자 스위치(34)의 전자력의 증가가 필요하고, 전자 스위치(34)가 대형화하고, 엔진에 대한 스타터의 장착 제약이 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피니언(28)은 클러치 인너(26)가 연장되는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피니언(28)의 내주부(28b)는 스토퍼(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경이 커야 하므로, 피니언 치저의 두께상치의 크기나 갯수에 제약이 가해지며, 작은 치형이나 적은 치수로는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피니언(28)의 치형이나 치수를 크게 하는 경우는 상술한 바와같이 내주부(28b)를 크게 설치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클러치 인너(26)의 전단부의 외경도 커지므로, 오버런닝 클러치의 중량이 증대하고, 상술한 바와같이 전자 스위치가 대형화된다. 따라서, 피니언(28)의 치형이나 치수가 스타터의 구조에 따라 결정되므로, 링기어와 피니언(28)의 기어비가 한정되고, 기관의 시동성을 고려한 설계 자유도에 제한이 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 스위치가 소형화되고, 피니언의 링기어로의 결합성이 향상되고, 피니언 치수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는 스타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고안의 스타터 장치는 축단에 피니언을 장착한 소직경의 출력축을 이동 레버에 의하여 연동체를 거쳐 전진 이동시키고, 전기자축의 전단에 형성된 소기어와 오버런닝 클러치의 클러치 아웃터축에 연결지지된 내치기어와 중간 브래킷에 고정된 지지핀에 지지되고 상기 소기어와 내치 기어에 결합하여 내치기어를 감속 회전시키는 중간 기어로 기어 감속 장치를 구성하고, 출력축의 외주에 배치된 오버런닝 클러치에 의하여 내치기어의 감속 회전을 출력축에 전달하고, 피니언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고안에서는 출력축의 복귀 위치에서의 장착을, 전방 브래킷에 지지되고 내치기어와 오버런닝 클러치 사이에 축방향으로 설치된 베어링에 의하여 피니언, 오버런닝 클러치를 거쳐 구성하고, 상기 베어링을 중간 브래킷과 전방 브래킷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고정한 구성을 취한다.
청구범위 제3항의 고안에서는 이동 레버의 하단부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전진되고, 출력축을 전진시키는 연동체의 아암부를 중간 브래킷의 창(window)으로 통하게 하고, 중간 브래킷에는 상기 창을 따르는 축방향으로 안내 돌기부를 설치하고, 전진 후퇴하는 연동체의 아암부를 미끄럼 가능하게 안내한 것이다.
[작용]
본 고안에서는 이동 레버의 하단부와 이것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이동되는 연동체의 아암부가, 감속 장치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연동체와 출력축 및 피니언은 중량이 가볍고 관성이 작으므로, 피니언의 링기어로의 결합성능이 향상되고, 전자 스위치는 용량이 작아 양호하게 소형화된다.
그러므로, 피니언은 출력축의 축단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으며,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의 고안에서는 이동 레버가 후퇴측으로 회전되면, 연동체로의 전진가압이 해제되고, 복귀 스프링에 의하여 출력축이 후퇴되고, 중간 브래킷과 전방 브래킷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베어링에 의하여, 출력축은 피니언, 오버런닝 클러치를 거쳐 복귀 위치에 고정되고, 전기자축에 영향받지 않으므로, 출력 회전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체를 감속 장치내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의 고안에서는 연동체는 전진, 후퇴에 있어서 중간 브래킷의 창(window)의 안내 돌출부에 의하여 아암부가 습동 안내되고, 원활하게 이동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의한 스타터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로서 출력축(60)의 절반부는 후퇴 복귀 상태를, 다른 절반부는 전진 상태를 나타낸다. 제1도, 제2도에서 도면 부호 3 내지, 5, 7 내지 10, 34, 37, 41, 43-45, 43a는 종래 장치와 동일한 부품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51은 직류 전동기, 52는 계자철심이다. 전기자축(53)의 전단부에는 소기어(53a)가 형성되어 있다. 55는 계자철심(52)의 전단에 결합된 전방 브래킷이고, 계자철심(52)과 후방 브래킷(9)을 통하여 볼트(56)에 의해 결합된다. 57은 전방 브래킷(55)내에 고정된 중간 브래킷이고, 베어링(58)을 거쳐 전지자축(53)의 전방부측을 지지하고 있다.
60은 출력축이고, 그 단부에는 피니언(61)이 스플라인 결합되며, 스토퍼(62)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63은 피니언(61)을 전방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다. 64는 연동체로서 로드부(64a)가 출력축(60)의 후방단부구멍내에 삽입되고, 로드부(64a)로부터 후방으로 두 갈래의 아암부(64b)가 형성된다. 이 아암부(64b)의 단부는 이동레버(44)의 두갈래의 하단부(44a)에 축방향에 전진방향으로 결합된다. 65는 출력축(60)의 후단구멍안쪽에 배치된 볼(예를들면 강구)이고, 압축 스프링(66)에 의하여 가압 지지되어 있다.
70은 전기자축(53)에 동축으로 설치된 기어 감속 장치이고,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71은 소기어(53a)에 결합되어 감속 회전되는 대향의 중간 기어이고, 중간 브래킷(57)에 고착된 지지핀(72)에 베어링(73)을 거쳐 지지되어 있다. 74는 중간 기어(71)에 결합되어 감속 회전되는 내치 기어이다.
76은 베어링(77)을 거쳐 전방 브래킷(5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보스체이고, 내치기어(74)와 스플라인 결합되며, 정지륜(78)에 의하여 빠짐방지되어 있다.
80은 기어 감속 장치(70)의 전방부에 동축으로 배치된 오버런닝 클러치이고, 81은 보스체(76)에 고착 지지되어 감속 회전이 전하여지는 클러치 아웃터이고, 로울러(83)를 거쳐 클러치 인너(82)와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인너(82)의 전단부는 베어링(85)을 거쳐 브래킷(55)에 지지되고, 그 후단부는 베어링(86)을 거쳐 클러치 아웃터(81)에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인너(82)는 내주의 헬리컬 스플라인에 의하여 출력축(60)의 후단부 외주의 헬리컬 스플라인에 결합하여 회전을 전달한다. 87은 출력축(60)과 클러치 인너(82)사이에 삽입되고 출력축(60)을 상시 후퇴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이다.
상기 전방 브래킷(55)에 지지되어 반경 방향의 하중을 받는 베어링(77)은 중간 브래킷(57)으로부터 전방으로 설치된 복수의 돌루부(57b)와 전방 브래킷(55)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출력축(60)은 복귀 스프링(87)에 의하여 상시 후퇴 복귀되어 있다. 출력축(60)의 복귀 위치에서의 고정은 스토퍼(62), 피니언(61), 클러치 인너(82) 및 클러치 아웃터(81)의 계단부(81a)를 거쳐 베어링(77)에 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브래킷(57)의 돌출부(57b)는,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소 설치했지만, 환상 형태로 하나의 원주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는 별도의 환상의 돌출체로 하고, 베어링(77)을 축방향으로 끼우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기어 감속 장치(70) 및 연동체(64)를 제3도에 측단면도로서 나타낸다. 제3도에서, 연동체(64)의 아암부(64b)는 각 중간기어(71)를 피한 중간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중간 브래킷(57)에는 각각의 아암부(64b) 및 이동 레버(44)의 각 하단부(44a)를 축방향으로 통하는 창(window)(57a)을 설치하고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레버의 하단부(44a) 및 아암부(64b)는 후퇴 복귀 상태로부터 전진 이동사이에 창(57a)을 통과한다. 또한 창(57a)은 하단부(44a), 아암부(64b)의 통과에 지장이 없는 한, 작게 하여 베어링 그리스 등이 전동기(51)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스타터에서, 전자 스위치(34)의 여자 코일(35)(제7도 참조)이 통전되면, 플런저(37)가 흡입되어 후크(43)에 의하여, 이동레버(4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이동레버(44)의 하단부(44a)가 연동체(64)의 아암부(64b) 단부에 결합하고, 축방향으로 전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출력축(60)이 전진되어 피니언(61)을 링기어에 결합시킨다. 동시에 직류 전동기(51)의 전기자축이 감속회전되고, 오버런닝 클러치(80)를 거쳐 출력축에 회전이 전하여지고, 피니언(61)의 회전에 의해 기관이 시동된다.
축방향 이동체를 형성하는 연동체(64) 및 출력축(60)은 상기 종래의 축방향 이동체를 형성하는 오버런닝 클러치(24) 보다 중량이 감소되며, 가압 스프링(45)의 스프링력이 작아도 피니언(61)은 원활하게 링기어에 결합되고, 전자스위치(34)는 전자력이 작아서 좋고,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관이 시동되면, 전자 스위치(34)가 절환되며, 이동 레버(44)가 후퇴측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출력축(60)은 복귀 스프링(87)에 의하여 후퇴되고, 피니언(61), 오버런닝 클러치(80)를 거쳐 베어링(77)에 의하여, 복귀 위치로 고정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제2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기어 감속 장치 및 연동체부의 측단면도이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중간 브래킷(57)의 창(57a)에서 전방으로 안내 돌기부(57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돌기부(57c)에 의하여 연결체(64)의 아암부(64b)가 축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안내 지지되고, 원활하게 전진, 후퇴된다.
제2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중간 브래킷(57)에 안내 돌기부(57c)를 설치한 것외는 상기 제1도의 장치와 동일하다.
상기 안내 돌기부(57c)는 중간 브래킷(57)에 일체로 설치했지만, 독립된 부재로 형성하여, 압입, 나사 조임등에 의하여 중간 브래킷(57)에 설치하여도 좋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스타터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90은 전방 브래킷(55)내에 고정된 칸막이 브래킷이고, 베어링(91)을 거쳐 전기자축(53)의 전방부측을 지지하고 있으며, 전동기(51)내측과 기어 감속 장치(70)측을 칸막이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기어측의 그리스나 마모분이 전동기(51)내로 칩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92는 전방 브래킷(55)내에 고정된 중간 브래킷이고, 지지핀(72)을 고착하고 있다. 92b는 복수개의 돌출부이다. 또한 상기 구성품 외의 구성은 상기 제1도 및 제4도의 실시예와 같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간 기어(71)를 2개 설치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이어도 좋고, 연동체(64)의 아암부(64b)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는 한,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자 스위치(34)의 가압 스프링(45)은 플런저(37)내에 배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 레버의 지점부, 하단부에 배치하고, 피니언(61)의 결합시 가압하여도 좋다.
[고안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자축의 전단부의 소기어와 중간 브래킷에 고착된 지지핀에 지지되고 상기 소기어에 결합되는 중간 기어와 상기 중간 결합되어 감속 회전되는 내치 기어로 기어 감속 장치를 구성하고, 축단에 피니언을 장착한 소경의 출력축을 이동 레버에 의하여 연동체를 거쳐 전진 이동하고, 피니언을 링기어에 결합하고, 출력축의 외주에 오버런닝 클러치를 배치하고, 전기자축의 회전을 기어 감속 장치로 감속 회전하여 오버러닝 클러치를 거쳐 출력축에 전달하여 피니언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중량이 가벼운 출력축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자스위치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고 소형화될 수 있으며, 기관에 대한 장착 제한이 완화된다. 따라서, 피니언 치수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의 고안에서는 출력축의 후퇴 복귀 위치에서의 고정을 중간 브래킷과 전방 브래킷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 베어링에 의하여 피니언, 오버런닝 클러치를 거쳐 이루어졌으므로, 출력축이 전기자에 영향받지 않고 복귀되기 때문에 출력 회전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동체를 감속 장치내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3항의 고안에서는 중간 브래킷의 창에 전방으로의 안내 돌출부를 설치하고, 연동체의 아암부를 습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였으므로, 연동체가 원활하게 전진, 후퇴된다.

Claims (3)

  1. 직류 전동기(51)의 계자철심(2)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전방 브래킷(55)과, 전기자 축(53)의 전방에 동축으로 배치된 출력축(60)과, 상기 출력축의 전단부에 장착되고 출력측의 전진에 의하여 기관의 링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61)과, 전방 단부가 상기 출력축의 후방단부에 대응하는 로드부(64a)와 상기 로드부(64a)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두 갈래의 아암부(64b)로 형성되고 전자 스위치(34)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동 레버(44)의 하단부(44a)에 상기 아암부(64b)의 단부가 축방향으로 대응하며 상기 이동 레버(44)의 하단측의 전진측 회전에 의하여 전진되어 상기 출력축을 전진 이동시키는 연동체(64)와, 상기 전기자축의 전단부에 형성된 소기어(53a)와 상기 전방브래킷(57)내에 고정된 중간 브래킷에 고착된 지지판(72)에 지지되고 상기 소기어(53a)에 치합하는 중간 기어(71)와 그리고 상기 중간 기어(71)에 치합하여 감속 회전되는 내치 기어(74)로 이루어진 기어 감속장치(70)와, 상기 출력축의 외주에 배치되고 클러치 아웃터(81)가 후단부에서 상기 내치기어(74)를 결합하고 있으며 클러치 인너(82)가 내주부에서 상기 출력축의 후단부 외주에 헬리컬 스플라인 결합한 오버런닝 클러치(80)를 갖추고 있어서, 기어 감속 장치에서의 감속 회전을 상기 출력축에 전하여 상기 피니언(61)을 회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장치 부착 스타터 장치.
  2. 직류 전동기(51)의 계자철심(52)의 전방단부에 결합된 전방 브래킷(55)과, 전기자축(53)의 전방에 동축으로 배치된 출력축(60)과, 상기 출력축의 전단부에 스토퍼(62)에 의해 고정되고 출력축의 전진에 의하여 기관의 링기어에 치합하는 피니언(61)과, 전방 단부가 상기 출력축의 후방단부에 대응하는 로드부(64a)와 상기 로드부(64a)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두 갈래의 아암부(64b)로 구성되고 전자 스위치(34)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동 레버(44)의 하단부(44a)에 상기 아암부의 단부가 축방향으로 대응하며 상기 이동 레버(44)의 하단축의 전진측 회전에 의하여 전진되어 상기 출력축을 전진 이동시키는 연동체(64)와, 상기 전기자축의 전단부에 형성된 소기어(53a)와 상기 전방 브래킷내에 고정된 중간 브래킷(57)에 고착된 지지판(72)에 지지되고 상기 소기어(53a)에 치합하는 중간기어(71)와 그리고 상기 중간 기어(71)에 치합하여 감속 회전되는 내치 기어(74)로 이루어진 기어 감속 장치(70)와, 상기 출력축의 외주에 배치되고, 클러치 아웃터(81)가 후단부에서 상기 내치 기어(74)를 결합하고 있으며 클러치 인너(82)가 내주부에서 상기 출력축의 후단부 외주에 헬리컬 스플라인 결합한 오버런닝 클러치(80)와, 상기 클러치 인너의 내주 전방부와 출력축의 외주 후방부사이에 장착되고 출력축을 상시 후퇴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87)과, 상기 전방 브래킷(55)에 지지되어 상기 클러치 아웃터(81)를 지지하고 상기 중간 브래킷(57)과 전방 브래킷(55)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된 베어링(77)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77)에 의하여 상기 피니언(61), 오버런닝 클러치(80)를 거쳐 출력축의 후퇴를 복귀 위치로 고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중간 브래킷(57)에 형성되고, 연동체(64)의 각 아암부(64b)를 각각 통하는 창(57a)을 따라 축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아암부(64b)를 축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안내돌기부(57c)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장치.
KR2019950009650U 1990-10-15 1995-05-09 스타터 장치 KR9500076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76625 1990-10-15
JP90-293817 1990-10-30
JP1766091 1991-10-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660A Division KR920008333A (ko) 1990-10-15 1991-10-09 스타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660Y1 true KR950007660Y1 (ko) 1995-09-20

Family

ID=1195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650U KR950007660Y1 (ko) 1990-10-15 1995-05-09 스타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6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2417A (en) Starter for engine
KR920003824B1 (ko) 동축형 시동기
JPH0236944Y2 (ko)
KR920000337B1 (ko) 동축형 스타터 장치
JPH0633743B2 (ja) 同軸形スタ−タ装置
EP0702148B1 (en) Starter
EP0375129B1 (en) A starter motor for an engine
US5197342A (en) Pinion stopper for starter
EP0482628B1 (en) Intermediate gear type starter
US5156057A (en) Starter
JP4085056B2 (ja) スタータ
JP4134903B2 (ja) スタータ
US5767585A (en) Starter
JPH0419667U (ko)
EP0115852B1 (en) Starting device
KR950007660Y1 (ko) 스타터 장치
JP2555492B2 (ja) 中間歯車付始動電動機
JP3750896B2 (ja) 始動電動機
EP0935067B1 (en) Starter with pinion rotation restricting member
JPH06100169B2 (ja) ピニオンシフト装置
US4868407A (en) Engine starter motor
KR920006224B1 (ko) 스타터 장치
JPH041191B2 (ko)
JP3663691B2 (ja) 出力軸摺動型スタータ
JPH063189Y2 (ja) 同軸形スタ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