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900B1 -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압출성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압출성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900B1
KR940009900B1 KR1019910021291A KR910021291A KR940009900B1 KR 940009900 B1 KR940009900 B1 KR 940009900B1 KR 1019910021291 A KR1019910021291 A KR 1019910021291A KR 910021291 A KR910021291 A KR 910021291A KR 940009900 B1 KR940009900 B1 KR 940009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screw
cross
flow path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538A (ko
Inventor
다케시 미야사카
구니오 하나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이도오아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도오아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filed Critical 미쓰이도오아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3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s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0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plasticising zone, e.g. by heating cylinders
    • B29C48/83Heating or cooling the cylinders
    • B29C48/832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1/00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1/04Phenop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압출성형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2 도는 다이스 입구측 및 출구측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제 3 도는 착탈가능한 형의 맨드릴의 부착방식의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열경화성수지인 페놀계수지제 파이프의 신규의 압출성형방법, 압출성형장치 및 압출성형물에 관한다. 열경화성수지의 성형방법으로서는 압축성형법, 트랜스퍼성형법, 사출성형법 및 압출성형법이 알려져, 각각의 성형방법에 적합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열경화성수지의 성형방법 중 압출성형법으로서는 플런저 압출성형이 일반적이며, 예를 들면, 특개소 48-83155호 공보, 플라스틱 Vol. 25, No. 3, P47에 의하면 환봉이나 파이프 등의 단순한 형상의 장척압출제품의 제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플런저 압출성형장치에 있어서는 금형부에 있어서의 압출압이 높고, 게다가 간헐압출이기 때문에 균일한 성형품을 얻는 것이 곤란하며 생산성도 낮다.
이러한 사정으로 소위 스크류형 압출성형장치를 이용하는 성형법이 예를 들면 특개소 54-23661호 공보, 혹은 특개소 49-189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압출기내에서 뒤섞여 용융된 열경화성수지를 경화반응이 진행되지 않도록 가능한한 단시간에 압출기에서 압출하고 어댑터 등을 통하여 금형에 인도하여 최종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성형장치에서는 수지유로(流路)가 복잡하게 변화하여, 약간의 온도나 압력의 차로 열경화반응이 급격하게 진행한다든지, 체류의 발생에 따라서 국부적으로 경화반응이 진행한다든지 함으로써, 연속하여 안정한 성형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즉, 예를 들면 특개소54-23661호 공보개시의 방법에 있어서는, 실린더내에서 가열용융된 수지는 어댑터를 거쳐 금형내에 인도되어 최종형상으로 성형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수지의 흐름은 어댑터로 일단 물기를 빼고 스파이터로 고정된 맨드릴의 둘레에 재전장(再展張)되는 등 수지의 유로가 복잡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수지의 체류가 일어나기 쉽고, 국부적으로 경화반응이 진행한다든지, 약간의 압력이나 온도의 변화로 경화반응이 급격하게 일어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또, 복잡한 유로에 의한 저항에 이겨 체류를 방지하면서 수지를 압출하기 위하여는, 강대한 압출압력을 요하며, 또한 특수한 압출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 이 종류의 장치에서는 맨드릴을 지지하는 스파이더부의 존재에 의한 스파이더마크 혹은 그것에 의한 용접부분에 기인하는 품질상의 장해를 회피할 수는 없었다.
또,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미국특허 4797242호에 선단에 평활부를 가지는 스크류형 압출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생산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있어서는 스크류 선단의 평활부가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기 때문에 파이프의 두께를 고려하면 스크류의 기계적 강도의 제약으로 외경 20㎜미만의 파이프의 성형은 곤란하다. 또 스크류 및 실린더가 그대로 금형, 즉 다이스의 역할을 다하고 있으므로, 파이프의 치수에 따라 그 때마다 스크류 및 실린더를 설계하여 고칠 필요가 있고, 특히 소량 다품종 생산에서는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또한, 특개소 54-23661호 공보에서 개시하는 압출성형장치에서 어댑터, 스파이더를 생략하여 공급스크류, 실린더, 다이스 및 맨드릴로 되며, 맨드릴이 스크류 축심의 연장상에 형성된 압출성형장치가 영국특허 제 208971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열가소성수지의 파이프성형장치로서 제안되어 있는 것이다. 즉 이 장치는 용해한 열가소성 폴리머 분자가 고속으로 좁은 통로를 흐를때, 그 방향에 배향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파이프의 내층과 외층에서 다른 방향으로 폴리머 분자를 배향시킴으로써 강도 밸런스를 얻는 파이프를 압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다른 방향에의 배향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급스크류의 연장으로서 토페드(torpede)를 장비한 압출기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이 장치는 사울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수지를 대상으로 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 장치를 열경화성수지인 페놀계수지의 성형에 이용한 경우, 다이스에서 파이프가 압출되기 시작하고부터 불과 시간후, 압출불능으로 되어 만족한 성형품을 얻을 수가 없었다. 다이스 입구부에 있어서의 부분경화의 진행이 압출불능에 이르는 원인중의 하나라 추측되었다.
이와 같이 열경화성수지의 압출성형방법으로서 충분히 만족스러운 기술은 완성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생산성이 뛰어난 페놀계수지제 파이프의 압출성형방법 및 압출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파이더마크 혹은 그것에 의한 웰드부분에 기인하는 품질상의 장해를 배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경 20㎜ 미만의 파이프의 성형체를 가능하게 하는 압출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페드를 사용한 경우에 생기는 다이스 입구부에 있어서의 부분경화에 기인하는 장해를 배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균일성에 뛰어난 페놀계수지제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스크류, 실린더, 다이스 및 맨드릴로 이루어지며, 맨드릴이 스크류 축심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장입되어 스크류 축선장에서 다이스내에 돌출시켜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또 스크류와는 별개로 자유회전이 될 수 있도록 부착되거나, 혹은 스크류와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스크류의 선단에 단단히 부착되고, 또 그 다이스의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외경치수를 R1, 유로단면적을 S1으로 하고, 다이스의 입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외경치수를 R2, 유로단면적을 S2로 하였을때, R1/R2=0.25~1.0 및 S1/S2=0.1~0.25이며, 더욱 다이스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이행하는 유로의 외측의 경사가 스크류의 축선에 대하여 35°이하인 압출성형장치를 사용하여, 다이스 입구 앞쪽의 실린더의 가열존의 온도를 120∼145℃로 하여, 더욱 다이스부의 온도를 150∼200℃로 하여 페놀계수지개료를 압출후 불융상태(不融)로 되는 정도까지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압출성형방법의 제공에 의하여 달성된다.
더욱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급부, 압축부 및 계량부로 되는 스크류, 그 공급부, 압축부 및 계량부에 대응하는 열공급기능을 가진 실린더부분, 실린더의 선단에 장착한 열공급기능을 가진 다이스 및 스크류의 축심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샤프트를 장입하여, 스크류 축선상에서 다이스내에 돌출시키든가, 혹은 스크류의 선단에 단단히 부착된 맨드릴로 되며, 또 그 다이스의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외경치수를 R1, 유로단면적을 S1으로 하고, 다이스의 입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외경치수를 R2,유로단면적을 S2로 하였을 때, R1/R2=0.25∼1.0 및 S1/S2=0.1∼0.25이며, 더욱 다이스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이행하는 유로의 외측의 경사가 스크류의 축선에 대하여 3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계수지 압출성형장치의 제공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방법에 의한 경우와 같이 수지유로의 복잡한 변화에 의거한 수지의 체류, 국부적인 경화도 없고, 난연성 및 내열성에 뛰어난 페놀계수지의 장척파이프를 용이하게 또 안정하게 생산성 좋게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자 등은 본 발명자의 한 사람이 먼저 개시한 미국특허 4797242호의 기술을 기초로 상기 장치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공급부, 압축부 및 계량부로 되는 스크류, 그 공급부, 압축부 및 계량부에 대응하는 열공급기능을 가지는 실린더 부분, 실린더의 선단에 장착한 열공급기능을 가진 다이스 및 스크류의 축심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샤프트를 장입하여, 스크류 축선상에서 다이스내에 돌출시키든가, 혹은 스크류의 선단에 단단히 부착된 맨드릴로 되는, 압출성형장치를 사용하여, 그 다이스내에 있어서 페놀계수지재료의 경화반응을 진행시켜, 압출후 자기형상을 보지할 수 있는 불융상태로 되는 정도까지 성형경화 시키도록 한 페놀계수지의 압출성형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미국특허 4797242호에 개시한 기술로서는 제조곤란하던 외경 20㎜ 미만의 파이프가 제조가능하게 되며, 더우기 다이스 및 맨드릴의 교환에 의하여 소량 다품종의 생산을 유리하게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압출장치로서는 단축스크류 압출장치 뿐만 아니고, 2축스크류 혹은 다축스크류 압출장치일지라도 선단부가 최종적으로 단축으로 집약되는 압출장치의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이들의 압출장치의 내부구조로서, 압출장치의 공급부에서 선단의 계량부에 이르는 사이에 탈기 구멍을 설치한다든지, 특수한 혼련구조를 설치하는 것은 아무런 지장이 없다. 또 다이스의 선단에 다이스 출구에서 매우작은 단면을 가진 장치를 장착하여 수지에 결리는 배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 스크류는 통상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에 사용되는 스크류가 사용되며, 선단까지 플래이트가 있는 풀플래이트형이라도, 스크류의 선단에 평활부를 가진 토피드형이라도 되고, 그 선단의 형상은 원주상이나 원추상이라도 된다.
페놀계수지재료의 압출성형방법을 제 1 도에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호퍼(1)에서 공급된 페놀계수지재료는 실린더(2)내에서 히터(3)에 의해 가열용융되어, 스크류(4)의 회전에 의하여 앞으로 보내어져 용융상태 그대로 다이스(5)에 도입된다. 다이스 입구에 있어서의 재료는 다이스 입구 앞쪽의 실린더의 가열존의 온도를 120∼145℃, 바람직하기는 125∼140℃로 함으로써 유로의 변경에 적합한 균일한 용융상태로 된다.
120℃ 미만의 가열에서는 재료의 균일한 용융에 불안이 있으며, 145℃를 넘으면 재료의 부분경화가 일어나 재료의 매끄러운 유로변경이 곤란하게 될 염려가 있다.
이어 재료는 다이스부에서 150∼185℃로 가열되어 경화가 촉진되어, 압출후 불융상태로 되는 정도에까지 성형된 성형품(7)으로 되어 압출된다.
다이스부에서의 가열온도는 파이프의 두께나 압출속도의 조합에 의하여 적절히 관리되나 150℃보다 낮은 경우는 경화반응이 충분히 진행하지 않고, 또 페놀계수지는 200℃까지의 온도에서 충분히 경화함으로 그 이상으로 가열할 필요는 없다. 제 2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이스의 수지입구측(10)의 단면형상은 압출기의 실린더와 스크류 선단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주상 단면과 같고, 출구측(11)의 단면은 소망의 제품형상이다. 다이스내의 수지의 유로는 이 사이에 매끄럽게 변화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다이스의 출구측(11)의 단면형상에 관하여는, 외경치수는 입구측(10)의 그것의 0.25∼1.0배, 즉 R1/R2=0.25∼1.0, 바람직하기는 0.3∼0.9배, 유로단면적은 입구측의 그것의 0.1∼2.5배, 즉, S1/S2=0.1∼2.5 바람직하기는 0.15∼0.2배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가 있다. 출구측단면의 외경이 입구측의 그것의 0.25∼1.0배의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혹은 출구측의 유로단면적이 입구측의 그것의 0.1∼2.5배의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와 같이 수지유로의 변화가 매끄럽지 않을 경우에는 수지의 흐름이 매끄럽게 행하여 지지않고, 수지의 부분체류의 발생등에 의하여, 경화가 너무 진행하여 압출이 곤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다이스의 입구측(10)에서 출구측(11)의 단면형상에 이행하는 유로변경부분(8)의 경사는 축방향에 대하여 35°이하, 바람직하기는 30°이하가 된다. 35°를 넘으면 유로변경이 급격하게 되기 때문에 수지의 유동이 매끄럽게 행할 수 없게 된다.
또, 다이스내의 맨드릴(6)은 예를 들면 제 3 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크류의 축심에 설치된 관통구멍(9)에 샤프트를 장입하여, 스크류 축선상을 다이스내에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다이스에 이용되고 있는 맨드릴을 지지하는 파이프가 필요 없으며, 용융수지의 유로의 장해로 되는 것은 전혀 없다. 다이스내에 도입된 수지는 용융상태 그대로 매끄럽게 변화하는 유로에 따라 이행하여, 출구단면에 같은 단면을 가진 유로에 있어서 다이스출구에 이르는 사이에 성형경화되어 성형품(7)이 압출된다.
여기서 출구단면에 같은 단면을 가진 유로의 길이는 두께, 사용되는 재료의 점성, 경화속도 등의 특성, 기타의 성형조건등의 조합에 의하여 바꾸는 것이 필요하지만, 통상 1D∼30D(여기서 D는 다이스의 내경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기는 5D∼25D, 더욱 바람직하기는 5D∼20D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가 있다.
이 유로의 길이가 1D 미만의 경우에는 경화가 충분히 행하여지기 어렵고 양호한 성형품이 얻기 어려운 경향이 있으며, 또 30D 이상으로 되는 경우, 배압이 너무 크게 되어 압출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압출기의 스크류 선단부 이후, 수지유로의 급격한 변화는 거의 없기 때문에 수지의 체류는 전혀 없고 국부적인 경화반응이나 압력, 온도의 변화에 의한 급격한 경화반응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압출된 성형품은 압출된 시점에서 이미 자기형상을 보지하여, 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하는 것이 없어지는 정도까지 성형조건을 제어하여 충분히 성형경화할 수가 있으므로 사용에 있어서 젖혀짐, 구부러짐, 부풀음 등의 현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다시 경화처리를 하는 것은 아무런 지장이 없다. 이 경우 열변형 온도의 향상을 기할 수가 있으며, 예를 들면 200℃ 이상과 같은 고온에서의 사용에도 적합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페놀계수지재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페놀계수지의 성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충전제, 이형제, 증점제, 착색제, 분산제, 발포제, 경화촉진제 등을 첨가할 수가 있다. 또 더욱 타종의 폴리머 혹은 유기 또는 무기의 섬유상물, 예를 들면 초자등을 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페놀계수지재료의 유동특성에 대하여는 JIS K 6911 압출식 흐름시험에 있어서 유출량이 0.05∼25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지 시험금형온도 140℃, 압출압력 150㎏ f/㎠의 조건에 의한다. 유출량이 0.05g보다 작은 경우는 실린더 부에 있어서 균일한 용융을 해치는 경향이 있으며, 또, 25g을 넘으면 용융은 용이하게 되지만 다이스부에서의 경화가 느리게 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거듭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구경 30㎜ L/D=12의 압출기로 공급부 7D, 압축부 1D, 계량부 4D, 압축비 1.5의 풀플레이트형 스크류의 축심에, 외경이 5㎜의 맨드릴을 장입하고, 실린더의 선단에 구경 9㎜, 길이 200㎜로 제 1 표에 나타내는 유로형상을 가진 다이스를 장착하여 압출성형을 하였다. 사용한 페놀계수지재료의 유동특성은 JIS K6911 압출식 흐름 시험에 있어서의 유출량이 5g이었다 (단지, 시험금형온도 140℃, 압출압력 150㎏ f/㎠의 조건에 의한다. 이하, 간단히 유출량이라 한다.
장치각부의 온도는,
C1(0∼2D) ‥‥‥‥‥‥‥‥‥‥‥‥‥‥‥‥‥‥ 수 냉
C2(3D∼6D) ‥‥‥‥‥‥‥‥‥‥‥‥‥‥‥‥‥‥ 80℃
C3(7D∼10D) ‥‥‥‥‥‥‥‥‥‥‥‥‥‥‥‥‥ 105℃
C4(11D∼12D) ‥‥‥‥‥‥‥‥‥‥‥‥‥‥‥‥‥ 130℃
다이스 ‥‥‥‥‥‥‥‥‥‥‥‥‥‥‥‥‥‥‥‥ 165℃
로 설정하여, 스크류회전수 8rpm로 압출을 하였다. 외경 9㎜, 두께 2㎜의 파이프가 연속하여 압출되었다. 제 1 표에 그 물성을 함께 나타낸다.
[실시예 2]
맨드릴의 외경을 8㎜, 구경이 12㎜로 길이 300㎜의 다이스 및 스크류회전수를 12rpm로 바꾼외는 실시예 1과 모두같이 압출성형 하였다. 제 1 표에 다이스 유로형상과 파이프의 물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3]
흐름시험에 있어서 유출량이 0.2g의 페놀계수지재료를 사용하여 맨드릴의 외경을 11㎜, 구경이 16㎜로 길이 300㎜의 다이스 및 스크류회전수를 15rpm로 바꾼외는 실시예 1과 모두같이 압출성형 하였다. 제 1 표에 다이스 유로 형상과 파이프의 물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4]
흐름시험에 있어서 유출량이 18g의 페놀계수지재료를 사용하여, 맨드릴의 외경을 18㎜, 구경이 24㎜로 길이 400㎜의 다이스 및 스크류회전수를 20rpm로 바꾼외는 실시예 1과 똑같이 압출성형 하였다. 제 1 표에 다이스 유로 형상과 파이프의 물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5]
흐름시험에 있어서 유출량이 4g의 페놀계수지재료를 사용하여, 구경 50㎜, L/D=12의 압출기로, 공급부 7D, 압축부 1D, 계량부 4D, 압축비 1.5의 풀플레이트형 스크류의 축심에, 외경이 22㎜의 맨드릴을 장입하여, 실린더의 선단에 구경 39㎜, 길이 508㎜로 제 1 표에 나타내는 유로형상을 가진 다이스를 장착하여 압출성형을 하였다.
C1(0∼2D) ‥‥‥‥‥‥‥‥‥‥‥‥‥‥‥‥‥‥ 냉 수
C2(3D∼5D) ‥‥‥‥‥‥‥‥‥‥‥‥‥‥‥‥‥‥ 80℃
C3(6D∼8D) ‥‥‥‥‥‥‥‥‥‥‥‥‥‥‥‥‥‥ 90℃
C4(9D∼10D) ‥‥‥‥‥‥‥‥‥‥‥‥‥‥‥‥‥ 100℃
C5(11D∼12D) ‥‥‥‥‥‥‥‥‥‥‥‥‥‥‥‥‥ 130℃
다이스 ‥‥‥‥‥‥‥‥‥‥‥‥‥‥‥‥‥‥‥‥ 170℃
로 설정하여, 스크류회전수 10rpm로 압출을 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여 외경 39㎜, 두께 8.5㎜의 파이프가 연속하여 압출되었다. 제 1 표에 그 물성을 함께 나타낸다.
[실시예 6]
맨드릴의 외경을 32로 바꾼외는 실시예 5와 똑같이 압출성형을 하였다. 제 1 표에 그 물성을 나타낸다.
[비교예 1]
맨드릴의 외경을 2㎜, 구경이 6㎜로 길이가 300㎜의 다이스 및 스크류회전수 6rpm로 바꾼외는 실시예 1과 같이 압출성형을 시도하였다. 압출개시 약 5분후에 압출부하가 급격히 상승하여 성형할 수 없게 되었다.
제 1 표에 다이스의 유로형상을 나타낸다.
[비교예 2]
맨드릴의 외경을 37㎜, 구경이 45㎜로 길이가 508㎜의 다이스, 스크류회전수 25rpm, 실린더(C4)의 온도를 135℃ 및 다이스온도를 175℃로 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압출성형을 시도하였다. 압출개시 약 4분후에 압출부하가 상승하여, 압출을 계속할 수가 없다.
제 1 표에 다이스의 유로형상을 나타낸다.
[비교예 3]
맨드릴의 외경을 6㎜, 구경이 8㎜로 길이가 300㎜의 다이스, 스크류회전수 6rpm, 실린더(C4)의 온도를 125℃, 다이스의 온도를 175℃로 한외는 실시예 3과 같이 압출성형을 시도하였다. 압출개시 약 5분후에 압출부하가 상승하여, 성형할 수 없게 되었다.
제 1 표에 다이스의 유로형상을 나타낸다.
[비교예 4]
맨드릴의 외경을 1㎜, 구경이 45㎜로 길이가 508㎜의 다이스, 스크류회전수 20rpm, 실린더(C5)의 온도를 140℃, 다이스온도를 160℃ 및 유출량이 5g의 페놀계수지를 사용한 외는 실시예 5와 같이하여 압출성형을 시도하였다. 압출개시 약 5분후에 압출부하가 상승하여, 성형할 수가 없게 되었다.
제 1 표에 다이스 유로형상을 나타낸다.
[비교예 5]
유로변경부의 경사각을 제 1 표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변경한 외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압출성형을 시도하였다. 압축부하가 안정하지 않고 균일한 품질의 파이프를 얻을 수가 없었다.
[비교예 6]
유출량이 35g의 페놀계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이하여 압출성형하였다. 제 1 표에 파이프 물성을 나타낸다. 연속성형은 가능하였지만, 파이프의 표면은 광택이 없고 거칠은 상태였다.
[비교예 7]
실린더(C4)의 온도를 110℃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압출성형을 시도하였다. 압출부하의 변동이 크고, 즉시 고부하로 되어 압출성형이 할 수가 없었다.
[비교예 8]
실리더(C4)의 온도를 155℃로 하고, 다이스 온도를 175℃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압출성형을 시도하였다. 압출개시 약 15분후에 압출부하가 상승하여 성형할 수가 없게 되었다.
[비교예 9]
실리더(C4)의 온도를 125℃로 하고, 다이스 온도를 140℃로 한 외는 실시예 1과 같이하여 압출성형 하였다. 제 1 표에 파이프 물성을 나타낸다. 얻어진 파이프는 경화가 불충분으로, 예를들면 135℃로 가열하면 작은 힘에도 변형하여 버렸다.
[비교예 10]
미국특허 4797242호 공보에 개시하는 기술에 따라서, 외경 16㎜로 두께 2.5㎜의 파이프의 압출성형을 시도하였다. 실시예 1에 사용한 것과 같은 페놀계수지재료를 사용하였다. 압출개시후, 광택이 있는 파이프가 압출기 선단에서 압되어 시작할때 스크류가 파손하여 성형을 계속할 수 없게 되었다.
주 1 : 길이 300㎜의파이프를 지점간거리 254㎜의 지지대에 얹어 파이프 중앙에 1㎜/min의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파이프가 파괴한 때의 강도를 나타낸다.

Claims (9)

  1. 공급스크류, 실린더, 다이스 및 맨드릴로 되며, 맨드릴이 스크류 축심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장입되어 스크류 축선상에서 다이스내에 돌출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또 스크류와는 별개로 자유회전이 될 수 있도록 취부되거나, 혹은 스크류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스크류의 선단에 단단히 취부되며, 또 그 다이스의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외경치수를 R1, 유로단면적을 S1으로 하고, 다이스의 입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외경치수를 R2, 유로단면적을 S2로 하였을때, R1/R2=0.25∼1.0 및 S1/S2=0.1∼0.25이며, 더욱 다이스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이해하는 유로의 외측의 경사가 스크류의 축선에 대하여 35도 이하인 압출성형장치를 사용하여, 다이스 입구 앞쪽의 실린더의 가열존의 온도를 120∼145℃로 하고, 또 다이스부의 온도를 150∼200℃로 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성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페놀계수지재료의 JIS K 6911 압출식 흐름 시험에 있어서의 유출량이 0.05∼25g인 압출성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스 입구 앞쪽의 실린더의 가열존의 온도를 125∼140℃로 하고, 또 다이스부의 온도를 150∼185℃로 하는 성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스의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외경치수를 R1, 유로단면적을 S1으로 하여, 다이스의 입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외경치수를 R2, 유로단면적을 S2로 하였을때, R1/R2=0.3∼0.9 및 S1/S2=0.15∼2.0인 성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스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이행하는 부분의 경사가 축방향에 대하여 30도 이하인 압출성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출구단면과 같은 단면을 가진 유로의 길이가, 다이스의 내경을 D로 한 경우, 1D∼30D의 범위인 성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다이스의 출구단면과 같은 단면을 가진 유로의 길이가 5D∼20D인 범위인 성형방법.
  8. 공급부, 압축부 및 계량부로 되는 스크류, 그 공급부, 압축부 및 계량부에 대응하는 열공급기능을 가진 실린더부분, 실린더의 선단에 장착한 열공급기능을 가진 다이스 및 스크류의 축심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샤프트를 장입하여, 스크류 축선상에서 다이스내에 돌출시키든가, 혹은, 스크류의 선단에 단단하게 취부된 맨드릴로 되며, 또 그 다이스의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외경치수를 R1, 유로단면적을 S1으로 하고, 다이스의 입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외경치수를 R2, 유로단면적을 S2로 하였을때, R1/R2=0.25∼1.0 및 S1/S2=0.1∼2.5이며, 또 다이스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이행하는 유로의 외측의 경사가 스크류의 축선에 대하여 3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압출성형방법.
  9. 공급스크류, 실린더, 다이스 및 맨드릴로 되며, 맨드릴이 스크류 축심에 설치된 관통구멍에 장입되어 스크류 축선상에서 다이스내에 돌출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스크류와는 별개로 자유회전이 될 수 있도록 취부되거나, 혹은 스크류와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스크류의 선단에 단단히 취부되며, 또 그 다이스의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외경치수를 R1, 유로단면적을 S1으로 하고, 다이스의 입구측의 단면형상에 있어서의 외경치수를 R2, 유로단면적을 S2로 하였을때, R1/R2=0.25∼1.0 및 S1/S2=0.1∼2.5이며, 더욱 다이스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의 단면형상에 이행하는 유로의 외측의 경사가 스크류의 축선에 대하여 35도 이하인 압출성형장치를 사용하여, 다이스 입구 앞쪽의 실린더의 가열존의 온도를 120∼145℃로 하고, 또 다이스부의 온도를 150∼200℃로 하여 페놀계수지재료를 압출후 불융상태로 되는 정도까지 성형하여 얻어지는 페놀계수지의 압출성형 파이프.
KR1019910021291A 1990-11-27 1991-11-26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압출성형방법 및 장치 KR940009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21190 1990-11-27
JP32119090 1990-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538A KR920009538A (ko) 1992-06-25
KR940009900B1 true KR940009900B1 (ko) 1994-10-18

Family

ID=1812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291A KR940009900B1 (ko) 1990-11-27 1991-11-26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압출성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04039A (ko)
EP (1) EP0489534B1 (ko)
JP (1) JP2500277B2 (ko)
KR (1) KR940009900B1 (ko)
CA (1) CA2056131C (ko)
DE (1) DE6911937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2698A1 (de) * 1993-09-25 1995-03-30 Huels Chemische Werke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fließ-, schäum- und härtfähigen Phenolresolharz-Mischungen
US5976432A (en) * 1996-09-09 1999-11-02 Plymouth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extrusion of block elements
US5823668A (en) * 1997-05-29 1998-10-20 Spirex Corporation Extruder and extrusion screw therefor
US6905667B1 (en) * 2002-05-02 2005-06-14 Zyvex Corporation Polymer and method for using the polymer for noncovalently functionalizing nanotubes
DE10251152B4 (de) * 2002-10-31 2007-10-04 Rehau Ag + Co. Extrudieren von peroxidischen vernetzbaren Formteilen aus Kunststoff
JP4684304B2 (ja) * 2008-01-23 2011-05-18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及び樹脂発泡体
US7975833B2 (en) * 2008-07-15 2011-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JP6451471B2 (ja) * 2015-04-10 2019-01-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DE102017106097B4 (de) 2017-03-21 2022-08-11 Technische Universität Chemnitz Extrudervorrichtung und Extrusionsverfahren
FI128422B (en) * 2019-01-11 2020-04-30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Single screw extruders and extrusion procedur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3194A (en) * 1959-06-16 1961-10-10 Perma Tubes Ltd Method of producing bituminous glass-fiber pipe
US3292213A (en) * 1964-09-23 1966-12-20 Dow Chemical Co Tube extrusion apparatus
US3317956A (en) * 1964-12-22 1967-05-09 Hedwin Corp Mixing device for extruding apparatus
US3387331A (en) * 1965-07-27 1968-06-11 Rexall Drug Chemical Apparatus for extruding seamless plastic tubing
DE2135549A1 (de) * 1971-07-16 1973-01-25 Krupp Gmbh Kunststoffstrangpressen
JPS5217057B2 (ko) * 1972-02-09 1977-05-13
JPS5436614B2 (ko) * 1972-06-06 1979-11-10
FR2216097B1 (ko) * 1973-02-07 1976-04-09 Pont A Mousson
US3870451A (en) * 1973-04-30 1975-03-11 Beloit Corp Apparatus for extruding foamed thermoplastic material
GB1453516A (en) * 1974-01-18 1976-10-27 Dainippon Toryo Kk Method for continuous extrusion moulding of thermosetting resins
US4001368A (en) * 1974-02-08 1977-01-04 Dai Nippon Toryo Co., Ltd. Method for continuous extrusion molding of thermosetting resins
JPS5423661A (en) * 1977-07-22 1979-02-22 Mitsubishi Chem Ind Ltd Continuous extrusion molding of thermosetting resin
US4240782A (en) * 1979-10-17 1980-12-23 The Gates Rubber Company Extruder head for making elastomer-fiber composite hose
IT1195267B (it) * 1980-04-15 1988-10-12 Abc Ist Biolog Chem Spa Derivati teofillinmetildiossolanici,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e relative composizioni farmaceutiche
FI803964L (fi) * 1980-12-19 1982-06-20 Proplast Oy Extruder foer framstaellning av plastroer
JPH0611514B2 (ja) * 1983-03-29 1994-02-16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の押出成形方法
NO173690C (no) * 1983-03-29 1994-01-19 Mitsui Toatsu Chemicals Fremgangsmaate ved fremstilling av roer ved ekstruderingsforming av en termoherdende harpiks
JPS60245898A (ja) * 1984-05-22 1985-12-05 Mitsui Petrochem Ind Ltd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製フレキシブルチユ−ブ、溶融流動性の悪い熱可塑性樹脂製チユ−ブ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S6116828A (ja) * 1984-07-03 1986-01-24 Mitsui Toatsu Chem Inc 熱硬化性樹脂のスクリユ−型押出成形装置
JPS6149823A (ja) * 1984-08-16 1986-03-11 Mitsui Toatsu Chem Inc 熱硬化性樹脂の押出成形方法
JPS6155152A (ja) * 1984-08-27 1986-03-19 Mitsui Toatsu Chem Inc 熱硬化性樹脂成形材料
JPS6155151A (ja) * 1984-08-27 1986-03-19 Mitsui Toatsu Chem Inc 熱硬化性樹脂成形材料
JPS6164748A (ja) * 1984-09-07 1986-04-03 Mitsui Toatsu Chem Inc フェノール樹脂の連続押出成形方法
JPS6164749A (ja) * 1984-09-07 1986-04-03 Mitsui Toatsu Chem Inc フェノール樹脂の連続押出成形方法
EP0213807B1 (en) * 1985-08-12 1991-01-02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Inflation film and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798696A (en) * 1987-05-08 1989-01-17 A/S Sonnichsen Rorvalseverket Method for extrusion of plastic tubes,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04039A (en) 1993-04-20
JP2500277B2 (ja) 1996-05-29
EP0489534B1 (en) 1996-05-08
DE69119375T2 (de) 1996-11-21
KR920009538A (ko) 1992-06-25
CA2056131C (en) 1994-06-28
EP0489534A1 (en) 1992-06-10
DE69119375D1 (de) 1996-06-13
JPH054268A (ja) 1993-01-14
CA2056131A1 (en)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729B2 (en) Nozzle insert for long fiber compounding
KR940009900B1 (ko) 페놀계수지 파이프의 압출성형방법 및 장치
EP1448354B1 (en) Apparatus for extrusion of thin-walled tubes
SK284796B6 (sk) Spôsob výroby plastových výrobkov pretláčaním a zariadenie na vykonávanie tohto spôsobu
EP2204272B1 (en) Plasticating screw with two helical threads of varying pitches and a plasticating apparatus comprising this
JPH0510211B2 (ko)
JPH01259039A (ja) カメラ鏡胴およびその材料と製造方法
JPS59178235A (ja) 熱硬化性樹脂の押出成形方法
KR101108893B1 (ko) 안테나 커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S6116828A (ja) 熱硬化性樹脂のスクリユ−型押出成形装置
JPS6144620A (ja) 熱硬化性樹脂の押出成形方法
JPS6144622A (ja) 熱硬化性樹脂のスクリユ−型押出成形装置
JPS6141521A (ja) 熱硬化性樹脂の押出成形方法
JPS60110420A (ja) 合成樹脂複合管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451844B1 (ko) 압출성형플라스틱제조품의제조방법및장치와,이플라스틱제조품
JPH0548169B2 (ko)
JPH0378053B2 (ko)
JPH07304086A (ja) フェノール系樹脂中空棒状体の連続成型方法および装置
US65927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uding pencils
JPH0565335B2 (ko)
JPS6144623A (ja) 熱硬化性樹脂のスクリユ−型押出成形装置
CN117162446A (zh) 一种pfa棒材挤出成型装置及成型方法
JPS60101023A (ja) 熱硬化性樹脂の押出成形方法及び装置
JP2005144834A (ja) 繊維強化合成樹脂製品と繊維強化合成樹脂粒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S6155151A (ja) 熱硬化性樹脂成形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