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236B1 -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와 이를 적용한 프레스기계 및 왕복 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자동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와 이를 적용한 프레스기계 및 왕복 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자동조정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236B1
KR940008236B1 KR1019910018065A KR910018065A KR940008236B1 KR 940008236 B1 KR940008236 B1 KR 940008236B1 KR 1019910018065 A KR1019910018065 A KR 1019910018065A KR 910018065 A KR910018065 A KR 910018065A KR 940008236 B1 KR940008236 B1 KR 94000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ember
sliding member
shaft
pressing force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789A (ko
Inventor
기요떼루 사이끼
Original Assignee
도와 주식회사
반도 가즈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8050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5709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8051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57099A/ja
Application filed by 도와 주식회사, 반도 가즈히꼬 filed Critical 도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2000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0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7/00Hammers; Forging machines with hammers or die jaws acting by impact
    • B21J7/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7/10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with both drive and hammer connected to a fulcrumed lever, e.g. tail ham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94Press load monitor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486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force meas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와 이를 적용한 프레스기계 및 왕복 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자동조정방법
제1도는 종래의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의 가동상형(63)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록커암형 파워프레스의 가동상형(63)이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정단면도.
제3도는 이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의 가동상형(63)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프레스기계의 록커아암 부근을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한 프레스기계에서 왕복미끄럼부재의 조정장치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고자 록커아암 부근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제3도에 도시한 프레스기계에서 왕복미끄럼부재의 조정장치를 작동시켜서 왕복미끄럼부재를 상승시킨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7도는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에 대표적인 중 소형프레스기계에 의해 절단 및 절곡가공이 행해지는 IC의 리이드프레임 평면도.
제8도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록코아암형 파워프레스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의 록커아암 부근을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제8도에 나타낸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의 가압력 자동조정기구에서 조정작용을 설치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 2 : 아암 부재
4 : 커넥팅로드 3,5 : 연결부
6 : 미끄럼 부재 8 : 기대
10 : 고정 하형 14 : 기계본체
20 : 조정기구 21 : 회전축
22 : 베어링 23 : 워엄 휘일
24 : 워엄 기어 25 : 서보모터
26 : 커플링 63 : 가동상형
이 발명은 왕복 운동하는 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와, 그 조정장치를 적용한 프레스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기계의 램(ram)과 같은 미끄럼부재으 스트로크 길이나 다이 높이의 미묘한 조절을 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이 발명은 프레스기계의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함에 따라 그 가압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프레스기계도 포함한다.
최근에 정말기계의 부품 성형가공이나 IC(integrated circuit) 등의 전자부품 리이드프레임의 절단 혹은 절곡가공 등에 있어서 비교적 스트로크 길이가 짧은 중형 또는 소형의 프레스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중형 또는 소형의 프레스기계로서 주슬라이드를 크랭크기구로 운동시키는 크랭크프레스가 일반적이다.
이하, 종래 크랭크프레스의 일례로서 "프레스 편람, 일본 마루젠사 간, 207쪽"등에 시사된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에 대하여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록커암형 파워프레스는 그 본체에 고정된 축(10)을 중심으로 해서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 록커아암(2)와, 그 일단의 연결부(3)에서 축(31)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커넥팅로드(4)와, 록커 아암(2)의 타단 연결부(5)에서 축(54), 링크(55) 및 볼조인트(56)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미끄럼부재(6)을 갖추고 있다. 미끄럼 부재(6)는 볼조인트(56)에 직결된 슬라이드(64)와, 이 슬라이드(64)에곡정된 생크(61)와, 그 선단에 부착부재(62)를 개재하여 고정된 가동상형(63)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의 기대(8) 상면에 고정된 받침판(9)의 상면에는 고정하형(10)이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보유함에 따라 제1도에 나타낸 종래의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크랭크(40)에 의한 상하왕복 구동력(제1도의 화살표 A)이 커넥팅 로드(4)에 작용한다.
이 왕복구동력이 연결부(3)를 개재하여 록커아암(2)으로 전달됨에 따라 록커아암(2)은 축(1)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 록커 아암(20)의 요동에 의한 연결부(5)의 피봇은 생크(61)의 상하 왕복 운동(제1도의 화살표 B)으로 변환되어 가동상형(63)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파워프레스에 의하여 프레스가공을 행할 때에는, 먼저 가동사형(63)이 그 스트로크의 상단, 즉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제1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가동상형(63)과 고정하형(10)과의 사이에 피가공물(도시생략)이 삽입된다. 다음에 크랭크(40)가 작동하여 커넥팅로드(4)가 상승함에 따라 가동상형(63)이 하강하고, 가동상형(63)과 고정하형(10)과의 사이로 피가공물이 프레스되는 위치, 즉 하사점의 위치에 이른다(제 2 도에 나타낸 상태).
제1도에 도시한 간격(L)은 가동 상형(63) 혹은 미끄럼부재(6)의 스트로크 길이이며, 제2도에 도시한 간격(H)은 이른바 다이 높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다이 높이는 일반적으로는 가동상형이 하사점의 위치에 있는 상태로서, 프렛스 기계의 램 밑면과 받침판 상면 사이의 거리고 정의되는 것이나, 상기간격(H)은 이 발명의 실시예의 구조(제3도 참조)에 대응시켜서 슬라이드(램 ; 64)에 고정된 생크(61) 밑면과 받침대(9)의 상면 사이의 거리로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록코아암형 파워프레스로 대표되는 중형, 소형의 프레스기계 등에 있어서 미끄럼부재(6)의 스트로길이(L)는, 피가공물이 비교적 소형이고 통상 30-50mm로 설정된 것이 많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트로크길이(L)가 작은 프레스기계 등에 있어서, 그 금형(상기 종래예의 경우는 가동상형(63)과 고정하형(10) 내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그 금형 내에서 피가공물을 취출하는 작업이나 금형의 재조정, 폭은 기타 보수 점검 작업 등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레스기계 등에서는 이상 발생시에 피가공물의 취출작업이나 그 금형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하는 경우, 통상은 그 금형을 기계에서 일단 떼어내어 필요한 작업을 행하고, 그 후에 다시 그 금형을 부착시켜야 했다.
그러므로 금형을 떼어내는 작업과 다시 부착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재부착작업에 있어서 스트로크 혹은 미세조정 등에 많은 수고로움을 요하기 때문에 전체로서이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 상술한 스트로크 길이(L)가 비교적 작은 중형, 소형의 프레스기계만이 아니고, 대형의 프레스기계 등에 있어서도 다이높이(H)의 조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행해지고 있다.
먼저, 램(상기 종래예에서는 생크(61)등의 주왕복부재를 적당한 높이로 세트하여 피가공물의 프레스 가공을 행하고, 다음에 그 제품의 가공상태를 검사한 후에 다이 높이(H)의 수정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적당한 다이 높이를 결정하려면 통상, 상기한 가공, 검사, 수정으로 되는 조정작업을 여러번 행할 필요가 있고, 그 작업이 번거로움과 아울러 숙련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효율이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프레스기계 등에 과부하가 가해진 때 즉, 설정된 가압력의 상한을 넘은 때는 이것을 검출한 하중계가 전기적으로 클러치를 끊어서 기계의 작동이 비상정지되게 한 과부하 안전기구 등을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과부하가 가해진 때에 기계의 작동을 정지하면 그 다음의 재가동을 위한 잔손질을 필요로 하므로 이 역시 생산효율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 발명의 제1목적은 비교적 스트로크가 짧은 중형, 소형의 프레스기계 등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한 때에 그 금형 등을 기계 본체에서 떼어내지 않고 피가공물의 취출, 배출작업이나 금형 등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할 수 있게 한 왕복미끌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와, 이 조정장치를 갖춘 프레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제2목적은 피가공물을 가압하기 위하여 왕복운동하는 부재의 하사점에서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함에 따라 가압력을 적정하게 또한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프레스기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는 이 발명의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는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축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부재와, 이 아암부재의 일단에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아암부재를 그 중앙측 주위로 요동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용부재와, 아암부재의 타단에서 적어도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미끄럼부재를 갖추고 있다.
아암부재의 요동 중심으로 되는 축에는 그 축의 축심과 회전축심을 편심시켜서 회전부재가 고정되고, 그리고 이 회전부재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갖추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먼저 아암부재의 일단에 연결된 구동력 전달용부재를 개재시키고, 아암부재를 요동시킴에 따라 아암부재의 타단에 연결된 미끄럼부재를 왕복운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소위 록키아암형 파워프레스의 기능과 작용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부재가 회전되면 아암부재의 요동중심으로 되는 축이 회전부재의 회전축 축심을 중심으로 편심하여 피봇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 아암부재의 일단과 구동력 전달용부재와의 연결부는 마치 고정된 것 같은 상태로 달려 있기 때문에 아암부재와 그 일단을 지점으로 그 타단과 미끄럼부재와의 연결부를 피봇시키는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아암부재의 타단 연결부를 피봇시킴에 따라 미끄럼부재의 상하방향 위치가 이동하고, 그 스트로크길이를 변환할 수가 있다.
게다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부재는 워엄휘일을 포함하고, 회전부재의 회전구동은 워엄휘일에 맞물린 워엄기어를 구동수단이 회전구동함에 따라 행해진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는 프레스기계는 기대를 포함하는 본체 프레임에 상기 구조를 보유하는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를 조립하고, 미끄럼부재에 가동형을 또한 본체 프레임의 기대상에 고정형을 부착하여 미끄럼부재의 하사점에서 가동형이 고정형과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는 구성으로 함에 따라 실현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2목적을 달성하는 왕복미끄럼 부재의 부착위치 자동조정방법은 먼저 미끄럼부재의 하사점에서 그 미끄럼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을 검출한다. 다음에 검출된 가압력의 측정치가 가압력의 허용범위 상환과 하한 사이를 벗어나는 때는 이 가압력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미끄럼부재를 송정량 승강시킴에 따라 그 하사점에서 위치를 조정한다. 그로 인해 가압력이 허용범위 내로 놓이게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미끄럼부재의 하사점 가압력을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그 가압력이 허용범위를 벗어나고 있는 때는 자동적으로 미끄럼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압력이 허용범위 내에 높이도록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미끄럼부재의 하사점 가압력이 항상 적정하게 또한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는 이 발명의 프레스기계는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사점에서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미끄럼부재와, 이 미끄럼부재를 왕복 운동시키는 주왕복운동 기구와, 미끄럼부재의 하사점 가압력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가압력 자동검출부와, 이 가압력 자동검출부에 의해 얻어지는 가압력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하사점에서 미끄럼용 부재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승강시키는 자동승강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 구조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힘을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프레스기계를 실현할 수가 있다.
이 프레스기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그 왕복구동기구가 축을 중심으로 요동하는 아암부재와, 이 아암부재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력 전달용부재를 갖추고 있다.
또한 아암부재의 타단에는 피가공물을 가압하기 위한 미끄럼부재가 적어도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아암부재가 요동함에 따라 그 미끄럼부재를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더구나 이 프레스 기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동 승강기구는 아암부재의 요동 중심으로 되는 축에 워엄휘일의 회전축을 고저하고, 또 아암 부재의 요동 중심으로 되는 축의 축심과 워엄휘일의 회전축 축심을 편심시킴과 아울러 워엄휘일에 워엄기어를 맞물리고 또 워엄기어에 서보모터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에 따라 미끄럼부재에 의한 피가공물의 미묘한 가압력 조정을 자동적으로 정밀도 좋게 실현할 수가 있다.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7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도는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의 왕복운동부재가 상사점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관련된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는 축(1)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배치된 록커 아암으로서의 아암 부재(2)와, 그 일단의 연결부(3)에서 축(31)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커넥팅 로드(4)와, 아암부재(2)의 타단 연결부(5)에서 축(51) (53)과 링크(52)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미끄럼 부재(6)을 갖추고 있다.
미끄럼부재(6)는 프레스기계 본체의 상프레임(7)에 설치된 광통공(71)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생크(61)와, 그 선단에 부착된 부착부재(62)를 개재하여 고정된 가동 상형(63)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의 기대(8) 상면에 고정된 받침대(9)의 상면에는 고정 하형(10)이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포울상의 가이드부재(11) (11)가 기립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 부재(11) (11)를 타고 부착부재(62)의 피가이드부(62a) (62a)가 안내되어 미끄러진다.
부착부재(62)의 피가이드부(62a) (62a) 하단은 스프링(129)에 의해 상방으로 탄압되어 있다.
또, 기대(8)와 사이드프레임(13) 및 상프레임(7)에 의해 기계 본체(14)를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보유함에 따라 제3도에 나타낸 이 실시예의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구동원(도시 생략)에서의 상하왕복 구동력(제 3 도의 화살표 A)이 커넥팅 로드(4)에 작용한다.
이 구동원으로는 유압 등의 유체구동원이나 펄스모터 등의 전동구동원이 적용된다.
이 왕복구동력이 연결부(3)를 개재하여 아암부재(2)에 전달됨에 따라 아암부재(2)는 축(1)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 아암주재(2)의 요동에 의한 연결부(5)의 피봇은 생크(61)의 상하왕복 운동(제 3 도 화살표 B)으로 변환되어 가동상형(63)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킨다.
이와 같은 이 실시예의 파워프레스에 의해 프레스가고을 행할 때는, 먼저 가동 상형(63)이 그 스트로크의 상단, 즉 상사점에 위치하는 상태(제3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가동상형(63)과 고정하형(10)사이고 피가공물(도시 생략)이 삽입된다.
다음에 구동원이 작동하여 커넥팅로드(4)가 상승함에 따라 가동상형(63)이 하강하여 가동상형(63)과 고정하형(10) 사이에서 피가공물이 프레스되는 위치, 즉 하사점 위치에 이른다.
제3도에 도시한 간격(L)은 가동상형(63) 혹은 미끄럼부재(6)의 스트로크 길이이다.
이상의 구조 및 작동은 상술한 종래이 록커아암형 파워프레스에 비해 볼 때 실질적으로 특별히 변화된 것은 아니다.
이 실시예의 록코아암형 파워프레스가 상기 종래의 것과 크게 다른점은, 상프레임(7)상에 미끄럼부재(6)의 부착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20)를 갖추고 있는 점이다.
이 조정기구(20)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아암부재(2)의 축(1) 양단부에 고정된 회전축(21) (21)과, 이 회전축(21) (21)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2) (22)과, 회전축(21) (21)의 한쪽에 고정된 워엄휘일(23)과, 이 워엄휘일(23)에 맞물린 워엄기어(24)를 갖추고 있다.
또 워엄기어(24)을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서보모터(25)를 보유하고 있다. 아암부재(2)의 요동중심이 되는 축(1)은 제5도의 도시와 같이 그 축심(01)이 회전축(21)의 축심(02)에 대하여 소정거리 편심되게 회전축(21)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아암부재(2)는 축(1)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지만 보수점검시 등에 워엄휘일(23)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축(21)에 고정된 축(1)은, 회전축(21)의 축심(02)을 중심으로 편심된 상태로 피봇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워엄기어(24)와 서보모터(25)와의 사이에서 서보모터(25)의 회전구동력을 워엄기어(24)로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26)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가동상형(63)과 고정하형(10) 사이에서 이상이 발생한 때의 보수점검 작업을 행하는 경우나, 피가공물의 성형불량이 발생한 때에 그 피가공물을 취출하기 위한 작업을 행하는 경우 등에는, 조정기구(20)의 서보모터(25)를 작동시킴에 따라 가동상형(63)이 제6도의 도시와 같이 상방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어서 그와 같은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조정기구(20)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서보모터(25)를 동작시키면 워엄기어(24) 및 이에 맞물린 워엄휘일(23)이 회전한다. 워엄휘일(23)이 회전하면 그 회전축(21)의 축심(02)과 편심위치로 고정되어 있는 축(1)이, 축심(02)을 중심으로 편심해서 피봇하게 된다. 이 때, 아암부재(2)의 일단측 연결부(3)는 마치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아암 부재(2)는 연결부(3)를 지점으로 그 타단측의 연결부(5)가 피봇하게 된다.
그러므로 타단축 연구부(5)가 일단측 연결부(3)를 중심으로 피봇됨에 따라 가동상형(63)의 통상의 스트로크(L)보다도 길어지는 상방의치에서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가동상형(63) 및 고정하형(10)의 보수 점검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가동상형(63)과 고정하형(10)과의 사이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더구나 서보모터(25)를 회전시킴에 따라 가동상형(63)의 상하방향 위치를 임의로 또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동상형(63)의 스트로크(L) 미세조정 작업을 효율 좋고 확실하게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를 조정하는 장치를 갖춘 중형, 소형의 일반적인 프레스기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소형의 파가공물을 대상으로 하는 기타의 가공기계류에도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7도에 도시한 리이드프레임에서 2점 쇄선으로 구획된 장방형이 영역(C)상의 IC를 수지재료로 패키지한 전자부품의 리이드(27) 성형가공에도 이 실시예에 도시한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수지 패키지한 다음에 리이드프레임에서 타이 바(tie bar ; 28) 등의 불요부분을 절단 제거하거나, 리이드(27)의 절곡가공공정에 이 실시예의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를 갖춘 가공기계가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 중형, 소형의 프레스기계 등에 적용한 경우에는 그 금형의 이상 시에도 그 금형 등을 기계본체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피가공물의 취출과 배출 작업, 금형 기타의 보수점검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실용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계 본체에서의 금형 분해작업이나 기타 금형의 재부착시에 있어서 스트로크의 미세조정작업 등으로 많은 잔손질을 요함에 기인하여 생기는 전체적인 생산효율의 저하를 효율 좋고 확실하게 해소할 수가 있다.
다음의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제8도 내지 제10도에 따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록코아암형 파워프레스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조의 대부분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와 공통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공통의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가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것은 미끄럼부재(6)의 부악위치 조정기구(20)에, 미끄럼부재(6)의 하사점 가압력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가압력 자동검출부(29) (29)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압력 자동검출부(29) (29)에서 얻어진 가압력 검출신호(S)를 제9도에서 1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보모터(25)의 정역회전 신호로 출력한다.
즉, 제8도에 도시한 상하왕복구동력(화살표 A)에서 커넥팅로드(4)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하왕복운동(화살표 B)에 의해 가동상형(63)〔미끄럼부재(6)〕을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력의 반력으로서, 사이드프레임(13)이나 상프레임(7)등에는 이것을 인장하거나 압축하거나 혹은 서로 선택작용에 의해 변형(스트레인)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프레임(13)이나 상프레임(7)등의 적당한 부분에 스트레인게이질를가지는 가압력자동검출부(29) (29)를 장착한 것에 의해〔실시예의 도면에 있어서는 상프레임(7)의 근방에 장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이 가압력자동검출부(스트레인게이지) (29)가 상기 변형을 전기신호로서 검출하고 또, 이 가압력 검출신호(S)를 서보모터(25)의 정역회전신로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압력검출신호(S)를 서보모타(25)의 정역회전신호로서 출력할때까지의 신호경로로써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압력자동검출부(스트레인 게이지)29 ⇒ 증폭기 ⇒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서보모타 25
또, 이때, 상기 미끄럼부재(8)의 가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스트레인게이지의 저항치변화는 극히 적지만, 이것을 전기신호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가압력자동검출부(29)에서 출력되던 전기신호(전압)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피엘씨(programable logic controller)에 출력된다.
그래서, 피엘씨는 이미 설정되어 있는 설정치와 증폭기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를 비교하여 서보모타(25)에 그 정역회전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미끄럼부재(6)의 조정기구(20)에 관한 조정작용을 제10도에 도시한 플로우챠트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공정(200)은 통상의 프레스 가공작업을 행하는 공정이다.
이 프레스 가공작업에서 스트레게이지를 보유하는 가압력 자동걸이무(29)가 미끄럼부재(6) 및 가동상형(63)이 하사점에 있을 때의 가압력을 상기와 같이 검출함과 동시에, 공정(201)에서 그 가압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에서 하한의 범위 내에 있는가의 여부를 비교한다.
그리고 그것이 범위 외에 있을 때, 즉 상한을 넘거나 하한에 못미치는 때는 기계의 운전속행불가로 판단하여 비상정지하고(공정 (202)), 그것이 범위내에 있는 때는 기계의 운전 속행가능으로 판단하여 공정(203)으로 이행한다.
공정(203)에서는 가압력 자동검출부(29) (29)에서 검출된 가압력이 설정된 가압력의 상한에서 하한의 범위내에 있으면 가압력을 보정하지 않고 그대로 기계의 운전 속행여부를 판단한다. 즉, 그 검출가압력이 설정된 가압력의 상한에서 하한의 범위 내이고, 그리고 보정의 불필요한 범위 내에 있는 때는 기계의 운전 속행 가능으로 판단하여 공정(204)로 이행해서 운전을 속행한다.
또한 그 검출 가압력이 설정된 가압력의 상한에서 하한의 범위 내에 있지만 보정이 불필요한 범위를 벗어나 있는 때는, 가압력의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공정(205)로 이행한다.
공정(205)은 가압력을 보정하고자 서보모터(25)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공정(205)에서 검출 가압력이, 가압력의 보정이 필요하지 않은 범위의 상한을 벗어나 있는 때는 공정(206)으로 이행하여 서보모터(25)를 작동시킴에 따라 가압력의 보정이 불필요한 범위 내로 들어가도록 다이 높이(H)를 하강시킨다. 또한 검출 가압력이 가압력의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범위의 하한에 못미쳐 있는 때는 공정(207)으로 이행하여 서보모터(2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압력의 보정이 불필요한 범위로 들어가도록 다이 높이(H)를 상승시킨다.
공정(206) 혹은 공정(207)을 거친 후에는 어느 경우에도 다시 공정(203)으로 되돌려진다.
상술한 가압력의 자동조정작용은 피가공물의 프레스가공이 종료한 후, 다음 프레스가공의 개시 전에 행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프레스 가공공정의 종료마다 그 가압력을 자동적으로 검출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그 가압력의 수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프레스 가공 공정에서도 항상 적정한 가압력이 얻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스기계의 경우에 미끄럼부재의 하사점 가압력을 자동적으로 검출함과 아울러 이 검출된 가압력이 가압력의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범위를 벗어나 있는 때에 그 가압력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그 다이 높이를 자동적으로 승강시킴에 따라 미끄럼부재의 높이 방향 위치가 적정하게 또한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으로 되고 있는 다이 높이의 설정에 필요한 잔손질과 또 그 작업이 번거로운 숙련성을 필요로 하여 생산효율이 나빠지는 등의 원인을 효율 좋게 게다가 확실하게 해소할 수가 있다. 그리고 기계에 대하여 과부하가 걸려진 때에 종래와 같이 그 때마다 기계의 작동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더욱 생산성이 향상한다.
또 이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또 적당히 변경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6)

  1. 축(1)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부재(2)와, 이 아암부재(2)의 일단측 연결부(3)에 있어서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암부재(2)를 상기 축(1)의 주위로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용 부재(4)와, 상기 아암부재(2)의 타단측 연결부(5)에 있어서, 적어도 피봇이 가능하게 연결된 미끄럼부재(6)와, 상기 축(1)에 회전축심을 상기 축(1)의 축심에 대하여 소정량 편심시켜 고정된 워엄휘일(23)과, 상기 워엄휘일823)에 맞물리는 워엄기어(24)를 회전시켜 상기 워엄휘일(23)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5, 26)을 갖춘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용 부재(4)는 커넥팅 로드(4)를 포함하고, 이 커넥팅 로드(4)는 그 일단이 상기 연결부(3)에서 상기 아암부재(2)의 일단측과, 축(31)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원의 작용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되게 구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샹기 아암부재(2)의 타단측 연결부(5)는 링크(52)를 포함하고, 이 링크(52)는 그 일란이 상기 아암부재(2)의 타단측에선 축(53)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축(51)에 의해 상기 미끄럼부재(6)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하는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25, 26)은 서보모터(25)와, 이 서보모터(25)의 회전구동력을 상기 워엄기어(24)로 전달하는 커플링(26)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
  5. 기대(8)를 포함하는 기계본체(14)와,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한 축(1)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부재(2)와, 이 아암부재(2)의 일단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암부재(2)를 상기 축(1)의 주위로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젖달용 부재(4)와, 상기 아암부재(2)의 타단측의 연결부(5)에 있어서 일단이 적어도 피봇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에 가동상형(63)을 고정하고 상기 아암부재(2)의 요동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는 미끄럼부재(6)와, 상기 기계본체(14)의 기대(8)위에 고정되고 상기 미끄럼부재(6)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가동상형(63)과 피가공물을 압착하여 프레스 가공을 행하기 위한 고정하형(10)과, 상기 축(1)에 회전축심을 상기 축(1)의 축심에 대하여 소정량 편심시켜 고정된 워엄휠(23)과, 상기 워엄휘일(23)에 맞물리는 워엄기어(24)를 회전시켜 상기 워엄휘일(23)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5, 26)을 갖춘 프레스 기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본체(14)는 상기 기대(8) 사이드 프레임(13)을 개재시켜서 고정된 상프레임(7)을 보유하고, 상기 아암부재(2)는 이 상프레임(7)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미끄럼부재(6)는 일단측을 상기 아암부재(2)의 타단측과 연결부(5)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상프레임(7)에 설치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생크(61)와, 이 생크(61)의 타단에 가동상형(63)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62)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재(6)는 상기 기계 본체(14)의 기대(8)상에 고정된 가이드부재(11)를 타고 미끄러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본체(14)의 기대(8)는 소정수의 폴상 가이드 부재(11)를 보유하고, 상기 부착부재(62)는 상기 가이드부재(11)와 끼워 맞춰져서 상기 가이드부재(11)를 타고 미끄러지는 피가이드부(62a)를 보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
  9. 미끄럼부재(6)의 하사점에서 상기 미끄럼부재(6)에 의해 가재지는 가압력을 검출하는 가압력 검출단계와, 이 가압력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가압력의 측정치가 상기 가압력의 허용범위 상한과 하한 사이를 벗어난 때에, 이 가압력의 측정치에 의거하여 상기 미끄럼부재(6)를 소정량 승강시킴에 따라 그 하사점에서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갖춘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자동조정방법.
  1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검출단계에서 가압력 검출수단으로서 스트레인게이지를 적용하고, 이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얻어지는 가압력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서보모터(25)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미끄럼부재(6)를 자동으로 승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자동조정방법.
  11.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사점에서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미끄럼 부재(6)와, 이 미끄럼부재(6)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구동구(2, 3, 4, 5)와, 상기 미끄럼부재(6)의 하사점에서의 가압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가압력 자동검출부(29)와, 이 가압력 자동검출부(29)에 의해 얻어진 가압력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미끄럼 부재(6)의 하사점 위치를 자동으로 승강시키는 조정 기구(20)를 갖춘 프레스 기계.
  1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구동기구(2, 3, 4, 5)는 축(1)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배치된 아암부재(2)와, 이 아암부재(2)의 일단측에 피복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력 전달용부재(4)를 갖추고, 상기 아암부재(2)의 타단측에는 상기 미끄럼부재(6)가 적어도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
  1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20)는 축(1)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배치된 아암부재(2)와, 이 아암부재(2)의 일단측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력 전달용 부재(4)를 갖추고, 상기 아암부재(2)의 타단에는 상기 미끄럼부재(6)의 일단측이 적어도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아암부재(82)의 축(1) 축심과 상기 회전축(21)의 축심을 소정량 편심시켜서 상기 아암부재(2)의 축(1)에 워엄휘일(23)의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워엄휘일(23)에 워엄기어(24)가 맞물리며 또한 이 워엄기어(24)에 서보모터(25)가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
  1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용부재(4)는 커넥팅로드(4)를 포함하고, 커넥팅로드(4)는 그 일단측이 상기 아암부재(2)의 일단측과 축(31)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원의 작용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2)의 타단측 연결부(5)는 링크(52)를 포함하고, 이 링크(52)는 그 일단측이 상기 아암부재(2)의 상기 타단에서 축(53)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측이 축(51)에 의해 상기 미끄럼부재(6)와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
  1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검출부(29)는 스트레인게이지를 보유하고, 이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얻어지는 가압력 검출신호를 상기 서보모터(25)에 대하여 출력함에 따라 서보모터(25)를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기계.
KR1019910018065A 1990-10-17 1991-10-14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와 이를 적용한 프레스기계 및 왕복 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자동조정방법 KR940008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80509 1990-10-17
JP2280509A JPH04157098A (ja) 1990-10-17 1990-10-17 摺動部材取付位置の自動調整装置及びこの自動調整装置を備えたプレス機械
JP90-280510 1990-10-17
JP2-280509 1990-10-17
JP2280510A JPH04157099A (ja) 1990-10-17 1990-10-17 プレス機械等におけるラム位置の自動調整方法及びプレス機械
JP2-280510 1990-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789A KR920007789A (ko) 1992-05-27
KR940008236B1 true KR940008236B1 (ko) 1994-09-09

Family

ID=2655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065A KR940008236B1 (ko) 1990-10-17 1991-10-14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와 이를 적용한 프레스기계 및 왕복 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자동조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940008236B1 (ko)
GB (1) GB2250462B (ko)
HK (2) HK98595A (ko)
MY (1) MY107643A (ko)
NL (1) NL19491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1028B (zh) * 2016-07-27 2023-06-16 姜勇 一种具有偏心轴式压下机构的弯箍机
CN108687282A (zh) * 2018-05-21 2018-10-23 芜湖凯德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锻造机
CN112283313B (zh) * 2020-10-26 2022-02-11 西安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机械液压传动的摇臂联动装置
CN114850372B (zh) * 2022-07-05 2022-09-20 江苏圣贤锻造有限责任公司 一种共振式径向锻造机及其锻造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94911B (nl) 2003-03-03
HK98595A (en) 1995-06-30
HK98695A (en) 1995-06-30
GB2250462A (en) 1992-06-10
NL9101737A (nl) 1992-05-18
NL194911C (nl) 2003-07-04
GB9121354D0 (en) 1991-11-20
GB2250462B (en) 1995-01-18
KR920007789A (ko) 1992-05-27
MY107643A (en) 199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8845B1 (ko) 프레스기계의 가압력 자동제어 방법과 그 장치
US7069847B2 (en) Overload protection control method for pressing machine
KR100240033B1 (ko) 토글식 펀치구동장치(driving device for toggle press)
KR940008236B1 (ko) 왕복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조정장치와 이를 적용한 프레스기계 및 왕복 미끄럼부재의 부착위치 자동조정방법
CN110524593B (zh) 一种槽楔倒角切断一次性成型装置
JP3821549B2 (ja) サーボプレスの金型保護装置及びその方法
KR19980087432A (ko) 전동 프레스장치
KR100266383B1 (ko) 반도체팩키지리드성형용프레스장치
CN219600566U (zh) 一种瓦楞纸加工用瓦楞纸板压平装置
KR100210234B1 (ko) 반도체팩키지의 리드성형용 프레스장치
KR100241633B1 (ko) 반도체팩키지 성형용 기계식 프레스장치
JPH04157099A (ja) プレス機械等におけるラム位置の自動調整方法及びプレス機械
GB2275881A (en)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ciprocating member of a press
KR100915885B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프레스장치
JP3992600B2 (ja) 電動サーボプレスの機械保護方法
CN213001940U (zh) 一种模具精准矫正装置
JP3422411B2 (ja) ナックルプレスのスライド駆動装置
CN114932429A (zh) 一种工件加工设备
CN218197157U (zh) 一种拉伸液压机用水平校准装置
JP3929368B2 (ja) プレス機械のダイハイト検出方法
JPH10230545A (ja) 型締装置
KR890003733Y1 (ko) 모우터용 스테이터의 내경 보정장치
JPH04157098A (ja) 摺動部材取付位置の自動調整装置及びこの自動調整装置を備えたプレス機械
CN211221662U (zh) 可移动式硫化机
JP4763937B2 (ja) 取出機の異常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