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018B1 - 곡물재료에서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재료에서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018B1
KR940006018B1 KR1019890701391A KR890701391A KR940006018B1 KR 940006018 B1 KR940006018 B1 KR 940006018B1 KR 1019890701391 A KR1019890701391 A KR 1019890701391A KR 890701391 A KR890701391 A KR 890701391A KR 940006018 B1 KR940006018 B1 KR 94000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tified
platform
air
stratification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214A (ko
Inventor
로만 뮬러
Original Assignee
뷜러 Ag
크리스챤 리푼너·알폰스 기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H1110/88A external-priority patent/CH676209A5/de
Application filed by 뷜러 Ag, 크리스챤 리푼너·알폰스 기거 filed Critical 뷜러 Ag
Publication of KR89070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2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swinging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곡물재료에서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방법과 그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작은 작업대로 된 돌 선별기의 아주 간단한 형태.
제2도는 성층 작업대로의 생산물 공급.
제3도는 제1도와 같은 해결설비이지만, 특히 많은 생산물 관통에 이용되는 2개의 작업대 면을 갖추고 있다.
제4도는 제1도에 의한 해결설비이지만 순환공기 통로를 갖추고 있다.
제5도는 제3도에 의한 해결설비이지만 순환공기 통로를 갖추고 있다.
제6도는 제5도와 같은데, 순환공기 분리기를 갖추고 있다.
제7도는 제3도와 유사한 해결설비인데, 돌을 선별하는 것 이외에 추가적으로 2개의 무거운 성분이 형성되어 있다.
제8도는 제7도의 변이 형태.
제9도는 성층 작업대 표면위에서 돌이 모아지는 곳.
제10도는 제3도, 제7도, 제8도와 같은 설비인데, 상자를 관통하는 순환공기 통로가 갖추어져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별기 2 : 인입기
3 : 성층작업대 4 : 반출구
5 : 덮개 6 : 흡인여과구
7 : 진동체 8 : 진동발생기
9 : 스프링 10 : 받침대
11 : 밑바닥 12 : 두부
13 : 공기흡입관 14 : 공기량조절판
15 : 가변슬리브 16 : 유출모서리
17 : 분배상자 18 : 정지판
19 : 유도철판 20 : 재료유동체
21 : 망격자 22 : 미세공판
23 : 빈칸 24 : 정화체
25 : 중량층 26 : 경량층
27 : 제3성층 28 : 돌
29 : 무거운곡물 30 : 껍질부분
31 : 공기유동체 32 : 유동방향전환
33 : 역송풍유도체 34 : 양철쇄
35 : 경사조절장치 40 : 방출구
41 : 제어철판 42 : 유도판
43 : 생산물배출구 44 : 배출통로
45 : 돌배출구 50 : 폐쇄된상자
51 : 상부배기실 52 : 하부흡기실
53 : 순환공기통로 54 : 가변슬리브
55 : 역류공기도관 56 : 공기량조절판
57 : 생산물통로 60 : 순환공기분리기
61 : 흡인환기장치 62 : 모터추진장치
64 : 먼지배출관 65 : 분리용 접속관
66 : 작업실 천정 71 : 방출구
72 : 활송로 80 : 돌이모이는 곳
81 : 홈 82 : 천천히 유동되는 층의 화살표
83 : 빨리유동되는 층의 화살표 84 : 돌 관통구멍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곡물재료에서 특히 돌처럼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곡물재료가 성층작업대 위로 공급되어 층을 이룬상태에서 경사지고, 공기가 관류하며, 진동하는 그 성층작업대 표면을 통과하게 된다. 그래서 성층작업대 위에서 직접 상승하는 무거운 혼합물들이 성층작업대 상측으로 보내져 그 성층작업대의 상측 끝부분에서 분리되어 방출된다.
종래에는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곡물혼합물을 무거운 곡물류와 가벼운 곡물류로 분류하고자 시도하였다.
여기서 핵심적인 문제는 곡물재료로 부터 돌을 선별해 내는 것이다. 그 크기가 곡물의 중간크기와 다른 돌이나, 유리조각, 금속조각, 기타 다른 혼합물들은 체로서도 걸러진다.
주지하다시피 밀, 보리, 호밀, 귀리, 스펠트밀처럼 동일 곡물 계열에 속하는 것 뿐만아니라 커피콩, 코코아콩, 잠두, 씨앗, 꽃씨와 같은 종자류 등도 그 외관과 크기가 곡물 크기보다는 스펙트럼으로 볼때 비교적 인접해 있다.
따라서 구멍의 크기가 일정한 체를 이용하면 그 크기가 다른 이물질들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난제는 양질의 곡물재료와 크기가 유사한 이물질 성분을 선별해서 분리하는 일이다.
종래에는 종종 수조가 이용되었는데, 이 수조 안에서 곡물재료 보다 무거운 물질 성분들은 모두 수조바닥으로 침전되었다.
여기서는 중력효과 내지 물의 부력이 이용되었다. 또한 여기서 곡물재료가 동시에 세척되는 효과를 이 방법의 주요특징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러나 공급될 세척용 물과 부분적으로는 이와 관련해서 야기되는 세균학적 문제점 때문에, 수년 전부터 이 방법은 소위 건식정제법으로 거의 완전히 대체되었다.
건식정제법에서는 진동상태에서 성층작업대 표면위로 공기가 강하게 유동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볼때 세척물에서와 유사한 부유 효과가 생긴다.
실제로 지난 20년 동안 이미 본 발명인에 의해 제안된바 있으며, 유형이 동일한 돌 선별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는데, 최소한 선별도가 아주 높게 요구되는 곳에서 주로 이용되었다(DE-PS 1 913 707참조).
여기서는 예비 성층통로를 따라서 먼저 예비 성층이 이루어진다. 즉, 무거운 혼합물은 성층작업대와 가까운 부분에 가면 미리 가라앉는다. 이와동시에 성층작업대 표면위에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는 가벼운층이, 경사진상태의 하측에 위치한 끝부분 방향으로 보내지도록 혹은 가변운층보다 가벼운조각들이 적절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유도된다.
성층작업대 표면위에 있는 혼합물들은 그 작업대 표면의 진동운동 및 추진운동에 의해 성층작업대의 상측 끝부분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돌은 끝부분의 분리 구역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해당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런 기존의 해결책에서 나타나는 주요단점은 특별히 필요한 3각형 성층작업대인데, 이 3각형 성층작업대에서는 재료의 관통을 제한적으로 증가시킬 수 밖에 없다. 그 이후에 여러가지의 다른 해결책들이 시도되었지만, 결정적으로 실효를 거두지는 못했다. 대부분의 경우에, 서두에서 언급한 해결책에 제시된 선별방법으로서 나타나는 질에 미칠 수 없었다. 그래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하로 놓여진 2개의 작업대로 작동시키려고 해 보았는데, 여기서 상부 작업대는 가령 DE-OS 25 33 274에서 보는 바와같이 다각적으로 체기능과 성층기능을 한다. 이런 해결책에서는 특수한 구조물 등을 설치해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때에만, 근본적으로 완전한 돌 선별을, 즉 거의 100%에 가까운 돌 선별을 할수 있다.
GB-PS 1 536 905에서는 곡물분리기가 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경사지고 구멍이 난 재료더미 아래에 설치된 환기장치를 이용해 공기를 유동시킨다. 환기장치와 함께 전체분리기가 들어 있는 케이스가 견고하게 설치되어서, 작업대만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는 종래의 공기순환시스템이 공개되었지만, 설제적인 면에서 볼때 각각의 케이스 단면에 나타난 압력이 늘 문제시 되었다. 특히, 소위 잘못된 공기의 문제가 해결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볼때, 기존의 혼합곡물 분리방법에서, 특히 무거운 물질 선별 방법에서는 공기 유도가 문제로 남아 있는데, 이로 인해서 각별히 질 높은 선별을 하는 경우에 재료 및 공기 공급을 포함해 상호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재료 및 공기 유도는 관통력이 개선된다는 제약조건 하에서만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하는 방법을, 특히 새로운 돌 선별방법과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혹은 보다 많은 관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건식 중량물 선별시스템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과제는 유형에 맞는 방법으로 할 경우 재료가 가능한 한 넓게 퍼진 유동체로 성층작업대의 상측 끝에 있는 재료층 분리구역으로 공급됨으로서 해결된다. 이 새로운 발명 아이디어를 실용적으로 처음 시험해 본 결과, 두 가지 면에서 놀라운 효과를 나타냈다.
첫째로, 선별도가 상상외로 당장 높아졌고,
둘째로, 본 발명자는, 종래에 전문분야에서 검토한 모든 확신에 의해 잘못이라고 여겨질 수밖에 없었던 공급지점을 그대로 선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에 원했던 효과가 나타났다.
예비분리(DE-PS 1 913 707을 참조)라는 아이디어면에서 볼때, 지금까지는 공간과 시간적으로 나누어진 두 단계 방법을 생각해 왔다.
제1단계로 성층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성층작업대에 도달하기 전에는 모든 무거운 혼합물이 들어 있을 수밖에 없다. 비로서 그 다음 단계에서 통로를 통해 유도되는 예비성층이 지장없이 작업대 표면으로 보내지고, 돌은 돌 배출구로 보내져야 했다. 선별작업대의 상측 끝부분에 이르러야 비로서 효과적인 분리가 이루어지고 돌을 분리해서 배출시켰다. 통상적으로 무거운 혼합물에는 곡물재료가 몇 퍼센트 밖에 들어있지 않아서, 이에 상응하도록 최종 분리구역의 크기(3각형의 끝부분)가 가장 작았다. 그 이유는, 전체 생산물 중 작은 양만이 그때까지 전달되기 때문이다. 최종 분리구역이나 작업대 경사가 잘못 조절되거나-이런 경우 너무 많은 곡물재료가 이곳까지 도달할 수 있다. -공기 유동이 장소면에서 불리하게 선택되었을 경우, 돌 선별이 불량했거나 양질의 곡물이 돌과 함께 많이 빠져 나왔다. 그래TJ 최종 분리구역은 언제나 각별히 감시해야 할 지점이었다. 완전히 모순된 생각을 해서 아주 많은 양의 신선한 곡물재료를 돌 분리구역에서 작업대 위로 쏟아 부을려고 했었을 것이다.
이 지점에서 장애가 나타날 때마다 선별작업대의 작업방법이 악화되었다는 점이 당장 나타났다.
본 발명인은,
- 예비분리가 전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 무거운 혼합물이 분리될 때까지 시간과 경로가 요구된다.
- 작은 돌맹이는 어느것이나 최대의 분리기회를 갖는다는 견해에서 생산물을 작업대의 보다 큰 범위 위로 보내는 동안에 시간과 경로가 요구된다.
라는 종래의 모든 개념과 아울러 이로부터 파생된 자칭 불변의 자연법칙에서 벗어 남으로써 비로서 자유로운 생각을 해 아무런 부담없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현시킬 수 있었다. 이 아이디어는 특히 다음과 같은 점에 있다.
- 재료 공급은 가능한 한 넓은 면적의 재료유동체 이루어진다.
- 이 재료유동체는 상부작업대 끝에 있는 분리구역으로 직접 보내진다.
성층작업대는 하부에 있는 무거운 혼합물을 작업대 아랫쪽으로 보내도록 제작되어 양호한 성층작업대로 가동되어야 한다.
이런 방법으로 하면, 생산물이 작업대의 상측 끝으로 보내짐으로서, 대부분의 무거운 혼합물은 분리구역 범위내에 남는다. 그러나 이 무거운 혼합물이 약간 아랫쪽으로 떨어져 나오는 경우에는, 종래의 모든 해결책에서보다 훨씬 더 확실하게 다시 윗쪽으로 이동한다.
그래도 여전히 문제가 남아 있는데, 이 문제는 최종 분리구역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극대의 작업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공기량과 작업대 경사를 올바르게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하게 실용적으로 극대화 시키기 위해 아주 좋은 가정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는 넓게 퍼진 재료 유동체를 만듦으로써 불필요한 층 두께가 생기지 않은 채로 가능한 한 극대의 폭으로 최종분리가 이루어졌다.
이제 새로운 발명에서는 특히 장점이 많은 다른 형태가 가능해졌다. 그래서 성층작업대 위에서 균일한 성층유동체(무거운 것은 작업대 윗쪽으로, 가벼운 것은 작업대 아랫쪽으로)가 아주 우수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성층작업대의 상단 끝부분에서 유동방향이 전환되며, 생산물 유동체는 직접 유동방향 전환부분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가벼운 성분에 대한 유동방향 전환은 기존의 방법대로 실행 되는데, 이때 윗쪽으로 이어진 작업대 부분도 마찬가지로 공기가 관류되기 때문에, 가벼운 성분이 작업대 표면으로부터 위로 올라간다. 또한 거의 송풍장치 및 공기 충격장치식으로 작동하여 분리구역 위와 작업대 아랫쪽으로 공기가 유동함으로써, 돌을 제외한 생산물층이 계속해서 작업대 윗쪽으로 떠다니는 것이 방지된다(제2도를 참조).
아주 우수하게 실시한 다른 형태에서는, 재료가 우선 가장높이 있는 제1진동작업대로 공급되고, 그 작업대 윗쪽으로 유동하는 무거운 곡물재료와 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거운 재료성분 중 일부가 제1작업대의 상부 끝으로 보내지며, 그 무거운 재료성분은 동일한 공기가 관류하는 제1작업대 아래에 있는 하부의 제2성층작업대 표면의 상측 끝부분으로 공급된다. 이런 방법을 취하면, 약 절반 가량의 관통량을, 다시말해 모든 무거운 혼합물의 거의 100%를 무거운 성층으로 하부 작업대 위에 방출시킬 수 있다.
분리되어야 할 가장 무거운 혼합물을 근본적으로 분리하는 것은 이곳 하부 작업대 위에서 이루어진다 이런 식으로 해서 재료의 관통은 동일한 공기량으로 하나의 설비에서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더우기 분리하는 질에서 볼때 어떠한 손실도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재료가 상부 성층작업대에서는 하층 성층작업대에 비하여 보다 적은량이 상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는 재료중 가장 무거운 부분들이고, 그 다음으로 무거운 부분은 상부 성층작업대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성층작업대의 하측이나 그 중간 부위에 공급된다. 이것은 돌 선별이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볼때 두 단계로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생산물 유동체는 작업대 표면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된 유도철판 위로 공급되어 아주 유리하다.
이로인해서 생산물 유동체가 성층작업대의 전체표면 위로 보내지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서 생산물 유동체의 공급은 가벼운 곡물층의 유동방향으로(혹은 무거운 곡물층의 유동방향과 반대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고 있다. 발명된 방법을 우수하게 실행한 다른 형태에서는 일정한 형태를 갖춘 곡물로부터 가장 무거운 혼합물(돌)을 분리하기 위해, 작업대 윗쪽으로 부유하는 무거운 곡물이 유동방향을 분리구역으로 보낸다. 이렇게 하면, 가벼운 성분이나 곡물이 작업대 위에 있는 무거운 혼합물과 함께 윗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을 아주 유리하도록 실시한 다른형태에서는 유도철판과 성층작업대 사이에서 역송풍 기류가 통한다. 이 방법을 취하면, 공기 유동을 아주 용이하게 할수 있는데, 이로 인해서 곡물중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을 분리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유리하도록 실시한 다른 방법에서는 흡기와 배기를 분리조종하면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최소한 하나의 성층작업대가 이 작업대에 설치된 벽판과 함께 진동한다. 이렇게 하면, 전체 시스템에 자체 정화(청소) 효과가 나타나는 장점이 있다.
말하자면 쌓여진 곡물더미가 움직임으로서 가장자리에 묻어 있는 먼지들이 계속 떨어져 나간다. 이로써 시간이 소모되는 정화는 생략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유동로가 그 단면 안에 고착된 성분들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항상 동일한 유동상태가 보장될 수 있다.
개개의 부품들이 벽판(일정한 케이스)안에 설치되고 그 벽판이 전체적으로 함께 진동할 수 있는 한, 재료가 그 작업대 위로 공급될 때 재료도 함께 계속해서 진동한다. 재료분배장치와 함께 작업대도 동시에 진동함으로써, 분리과정에 필요하도록 성층작업대 위에서 재료가 근본적으로 베일형으로 넓은 폭으로 퍼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근본적으로 분리작업대에 필요한 부품들이 동일한 형태로 벽판안에 만들어져서, 기술 수준상 단점이 될수 있는 밀폐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아주 우수하게 실행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벽판이 성층작업대와 더불어 진동할 수 있도록 지탱된 상자를 이루며, 이 상자는 성층작업대와 함께 진동한다. 아주 우수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한 아이디어는, 재료가 가능한 한 넓게 퍼진 유동체로 작업대의 상측 끝에 있는 재료층의 분리구역으로 공급되고, 공기는 하부 성층작업대에서 넓게 퍼져 공급되어 성층작업대의 상부 중앙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렇게 하면, 처음부터 동일하게 하부로부터 전체 작업대에 걸쳐 공기가 골고루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자내에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데, 이때 바람직하지 못한 공기의 와류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콤팩트형으로 세련된 구조를 가지고 있고 필요한 진동이 모든 구성부품으로 전달됨으로써, 개개의 기능들을 서로 구별지어 유지하면서도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벽판을 밀폐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방법을 유리하게 실시한 다른 형태에서는 중앙 배기구와 하부흡기구 상부에서 먼지 성분을 털어내서 공기가 정화된다. 이로써 유동공기의 정화는 아주 유리하게 일정시점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시점에서 정화용 배기장치에 의해 바람직하지 못한 소용돌이가 형성되어 작업대에 작용하는 공기 유동체에 장애요인을 야기시키는 경우는 없다.
우수하게 실시한 또 다른 예에서는, 재료가 상부 성층작업대 위에서 함지 모양의 홈(돌과 재료가 들어가는 곳)으로 보내지고, 이때 홈에 도달한 무거운 곡물성분은 홈의 바닥 구멍을 거치고, 이어서 반대 방향으로 상부 성층작업대처럼 경사진 활송로를 거쳐 하부 성층작업대의 중앙밑바닥으로 보내지며, 이와반대로 상부 성층작업대의 함지형 홈에서 유동방향대로 유동하는 가벼운 성분들은 가벼운 곡물용 배출구로 보내진다.
이런 방법을 취하면, 무거운 성층부가 지속적으로 완전히 돌이 모이는 곳으로 가라 앉아 직접 아랫쪽으로 운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아주 무거운 혼합물에 대해서 아주 높은 선별도가 얻어지고, 또한 추가적으로 최소의 초과 지출만 해도 정화상태에서 분리할 수 있다. 아주 우수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성층작업대에 함께 진동하는 배기 덮개와 그 위에 설치된 정지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재료는 정지판 안에 있는 인입구를 거쳐서 공급되어, 가벼운 슬리브(sleeve)를 거쳐 배기 덮개와 함께 진동하는 공급통로의 분배상자 안으로 통해서, 그 분배상자로 부터 유도철판을 거쳐 폭포형으로 쏟아진다.
이로 인해서 성층작업대의 전체 폭에 걸쳐 동일하게 많은 유동량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생산물 유동체로 부터 무거운 혼합물을 분리하고 선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작업대의 상측 끝 부분으로 진동하는 진동체를 갖추고 공기가 관류하며 진동할 수 있는 경사진 성층작업대로 생산물 유동체를 공급함으로서 이와같은 공급통로 등을 이용해 곡물재료로 부터 돌을 분리, 선별해 내는 장치이다.
상술한 방법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된 과제들의 유형에 맞는 설비를 하기 위해서는 공급통로가 보다 높이 위치한 작업대 끝 부분으로 통함으로써 해결된다. 새로운 장치를 이용해 조사한 첫번째 결과는 아주 놀라울 정도로 우수했다. 그 까닭은, 동일한 선별도와 동일한 공기 소모량에서 볼때 재료의 흐름이 부분적으로 50% 이상 증가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이때에 새로운 장치를 위해 제작상 보다 많은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다. 이 장치의 우수한 실시형태에서는 성층작업대의 전체 폭에 걸쳐 공급통로가 구성된다. 이로 인해 분리되어야 할 재료를 넓고 크게 층으로 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주 우수한 실시형태에서는, 공급통로가 개구된 곳인 성층작업대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유도철판이 있다. 이 유도철판은 층을 이룬 재료를 성층작업대 위로 균일하게 분배하고 동시에 그 아랫면에 공기유동 조종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우수한 실시형태에서는, 공급통로에 분배상자 및 유도철판이 있는데, 이것들은 공급 생산물의 유동에 이용되며, 성층작업대의 전체폭에 걸쳐 유동체가 균일하게 낙하하도록 폭포형태를 이루고 있다.
아주 우수한 실시형태에서는, 유도 철판이 유동방향에 있는 그 끝부분에 유출 모서리와 그 하측의 개구부를 갖추고 있는데, 그 형태는 재료의 대부분이 넓게 퍼진 재료유동체로 성층작업대 위로 유동하고 무거운 혼합물로 하측 개구부를 통해 방출되도록 만들어 진다. 이런 유출 모서리를 이용하면, 생산물 유동체가 아주 넓게 퍼질 수 있다. 그 까닭은, 유출모서리 앞에 있는 함지 모양의 부분이 전체 폭에 걸쳐 구성된 다음에, 함지모양의 부분에 공급된 균일한 유동체가 그 아래에 있는 성층작업대로 조금씩 흘러 내리기 때문이다.
또 다른 우수한 실시형태에서는, 유도철판과 성층작업대의 표면 사이에 돌을 선별하기 위해 이용되는 말단분리구역이 갖추어져 있다. 보다 큰 관통력을 위해서는 함께 진동하는 두개의 성층작업대가 직접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어 동일한 공기가 관류되도록 조치함으로써 가능하다.
하부 성층작업대에는 상부 성층작업대 보다 큰 추진장치를 상부방향으로 갖추고 있어 유리한데, 여기서 그 표면은 상부 성층작업대의 표면보다 더 거칠다. 이로 인해서 상부 성층작업대는 예비 성층작업대로 아주 유리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부 성층작업대가 그 상측 끝부분에 공급통로로써 하부 성층작업대에 곡물이 공급되는 방출구로 구성되면 유리하다. 그래서 가장 무거운 재료성분은 하부 작업대의 상측 끝부분으로 직접 보내진다. 하부 성층작업대 위에서 재료를 균일하게 분배시키기 위해, 하부 성층작업대에 이용되는 공급통로가 상부 성층작업대의 전체 폭에 걸쳐 있어서 아주 유리하다. 양쪽의 성층작업대는 상부 성층작업대가 하부 성층작업대의 상측 끝부분으로 잘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유리하다.
이런 방법으로 해서, 분리될 재료의 전체량이 대부분 하부 성층작업대 지점에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곳에서 기대하지 않았던 좋은 분리가 이루어진다. 최소한 하나의 성층작업대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이 작업대와 함께 진동하는 상자의 일부가 된다면 아주 유리하다.
이렇게하면, 성층작업대 뿐만아니라 이와 결합된 상자도 함께 진동하는 장점이 있다. 이로써 자체 정화효과도 생겨서, 설비가 가동되는 동안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 성분들이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또한 전체의 시스템을 상자 내에서 흔히 발생하는 밀폐문제도 없이 설치할 수 있다. 그까닭은, 발명된 시스템이 외부에 대해 밀폐되어 있어서 공기를 내부에서 의도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상자내에서의 시스템이 외부공기에 대해 밀폐되어 있지 않다면, 전체적인 공기 조종시스템에 지장을 줄지도 모르는 부수적인 공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작업대의 하부에서 그 작업대 전체의 하부에 걸쳐서 공기를 미리 인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때 생산물 공급과 공기공급이 서로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상태에서, 공기를 동시에 극대로 공급하면서 넓게 퍼진상태에서 생산물을 극대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장치의 장점이 되는 실시형태에서는 재료 공급부가 상자의 일부이다. 이렇게 해서 재료 공급부가 상자와 함께 진동하고 또 이 진동운동에 의해 재료가 진동하는 작업대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흩어져서 소위 베일형태를 만듦으로서 재료가 작업대 위에서 더미로 쌓이지 아니한다. 이 베일형태로 인해 작업대 위에서 아주 넓게 분배되는 것이 보장된다.
추가적으로 진동운동을 바탕으로 동시에 정화할 때에는 재료공급물을 함께 정화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다른 우수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자내에 흡기실, 그리고 이 흡기실과 분리된 순환공기 통로가 갖추어져 있는데, 이 순환공기 공급통로는 최소한 1개의 성층작업대의 하측 끝부분에서 모아진다. 이로 인해서, 강하게 좁혀져 바람직하지 못한 소용돌이나 다른 불리한 유동효과를 야기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순환공기 공급통로 뿐만아니라 흡기실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전체의 공기 유동체는 아무런 장애없이 상자내에서 작업대를 통과할 수 있고, 특히 하부 작업대의 하부면 폭내에서 그 하부작업대 전체의 폭으로 균일하게 상자를 관통할 수 있다.
본원장치의 또 다른 우수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자의 윗면에 다음의 것이 설치되어 있다. 즉, 한 쪽 끝면에는 재료 인입구가 설치되고 중간부에는 배기판이 설치되며 맞은 편 끝면에는 순환공기 통로를 위한 역류공기 도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각 성층작업대를 통과하는 순환공기를 좋은 유동상태로 중앙에서 배출시킬 수 있는데, 공급된 재료에 의해 유동성에 지장을 줄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측면에서 재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공급되는 재료가 층을 이루는 성층작업대의 중앙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런 우수한 실시예에 의해 상측 중간부에서 무난히 배기시킬 수 있다. 아울러 재료가 공급될 때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소위 재료에 이용되는 배출구가 상대적으로 좁게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순환 공기 공급통로에 이용되는 공간이 충분히 남아 있다.
이로 인해서 성층작업대의 하부에서 곧 바로 아랫쪽으로 부터 공기가 통할 수 있는데, 이때 작업대의 전체 폭에 걸쳐 하부로 부터 성층이 이루어진다. 아주 우수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자가 진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받침대에 지탱되어 있는데, 이 받침대는 그 상부에 운동하지 않는 두부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두부는 공기 흡입관을 거쳐 순환공기 분리기와 결합되고 또한 가변 슬리브를 거쳐 상자와 연결되어 있다. 이런 세련된 구조로 인해 밀폐문제는 오직 상자 표면에 있는 3군데의 관에서만 생긴다. 그런데 이 관들은 가변 슬리브를 거쳐 진동하지 않는 받침대와 운동하지 않는 부분인 두부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오래전부터 그 성능이 보장된 가변슬리브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밀폐장치는 아주 확실하게 작동하도록 만들 수 있다. 밀폐장치가 확실하게 작동하면, 결과적으로 상자내에서 아무런 지장없이 유동이 진행된다.
또 다른 우수한 실시형태에서는 순환공기 분리가 여과 환기장치 및 먼지 제거관과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가는 껍질이나 먼지처럼 유동을 방해하는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나아가서 가는 먼지 필터에 이용되는 분리용 접속관을 순환공기 통로와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서 전체 설비내에 모여지는 먼지는 유리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고, 가동할 때의 안전성과 위생적인 면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순환공기를 가동시킴으로써, 전체 공기양 중 작은 양만이 가는 먼지 필터를 거칠 수 밖에 없다. 다른 우수한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작업대 면의 보다 낮은 부분에서 생산물 유동체를 무거운 성분과 가벼운 성분으로 추가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함지모양의 바닥에 관통구가 있는 함지모양의 홈(돌이나 재료가 모이는 곳)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추가적으로 돌 선별도가 높아지고, 또한 체로 걸러진 곡물재료 내에 있는 모든 무거운 이물체가 선별될 수 있다. 게다가 공기가 거의 소모되지 않아 유리하고, 방법과 설비면에서 볼때 간단하며, 특히 관통시 나타나는 진동에 대해 거의 예민한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도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한다.
우선 제1도와 제2도에 따라 설명하면 여기서 제1도에는 새로운 돌 선별기(1)에 대한 기본유형이 제시되어 있는데, 정선되지 아니한 곡물재료는 인입구(2)를 통해 성층작업대(3) 위로 보내져, 그곳으로부터 정화된 곡물재료가 되어 반출구(4)를 거쳐 방출된다. 성층작업대(3)위에는 폐쇄된 덮개(5)(벽판)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덮개(5)(벽판)는 흡인여과구(6)를 갖추고 있다.
덮게(5)(벽판)는 성층작업대(3)와 더불어 진동체(7)를 형성하는데, 이 진동체는 성층작업대(3)의 상측 끝방향으로의 진동성을 갖는 진동발생기(8)에 의해 진동을 하게 된다. 성층작업대(3)의 상측 끝부분은 유도철판(19)에 의해 말단 분리구역을 구성한다.
전체의 진동체(7)는 스프링(9)을 거쳐 견고하게 밑바닥(11)에 고정된 받침대(10)위에 지탱되어 있다. 또한 진동하지 않는 두부(12)는 받침대(10)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 두부 안에는 인입구(2)와 공기흡입관(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흡입관(13)에는 전체 돌 선별기(1)에 흡인된 공기를 조절하기 위해 공기량 조절판(14)이 설치되어 있다. 진동하는 부분, 즉 진동체(7)와 두부(12)의 연결은 가변슬리브(15)를 거쳐서 이루어지는데, 이 가변슬리브는 인입구(2)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평면도로 볼때, 성층작업대(3)가 최소한 장방형에 가까운 형태를 취해서 유리하다. 수리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성층작업대의 상단쪽에서 성층작업대(3)가 꺼내질 수 있다.
생산물의 공급은 작업대 전체폭에 걸쳐서 퍼져 있다. 그 폭은 제2도에 "B"로 표시되어 있고, 성층 두께는 "D"로 표시되어 있다.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재료유동체(20)가 넓게 퍼지는 것-베일형 재료라고도 한다-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진동하는 덮개(5)(벽판)의 일부로써 구성되는 분배 상자(17)안으로 새로운 곡물재료가 운반된다. 진동에 의해 분배상자(17)내에서 곡물재료가 고르고 넓게 분배되는데, 이 분배상자(17)는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 곡물재료가 아랫쪽으로 퍼지면서 폭포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분배상자(17)안에 갖추어진 정지판(18)이 동일한 목적으로 이용되어서, 곡물재료는 우선 넓게 퍼진 생산물 유동체로써 작업대 폭 전체에 걸쳐 있는 유도철판(19)으로 보내진 다음에 다시 균일하게 고루 퍼진 재료 유동체(20)로써 성층작업대(3)위로 보내진다.
재료유동체(20)가 넓게 퍼질때에는, 유도철판(19)이 그 비어있는 끝부분에 유출 모서리(16)을 갖추어 함지모양을 만듦으로써 보조작용을 받는다.
무거운 재료와 가벼운 재료를 예비분리하기 위해, 함지모양의 유도철판(19)은 보다 무거운 혼합물이 하측 개구부를 통해 방출되도록 구성한다. 성층작업대(3) 위에서 생산물 유동체가 넓고 고르게 퍼진 모습이 제2도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서는 의식적으로 과정해서 그린 성층이 제시되어 있다. 성층작업대(3)는 생산물 받침대로 이용되는 거친 망 격자(21)를 갖추어 기존의 방식대로 소위 샌드위치식 구조물 내에 만들어져 있다. 여기서 망 격자(21)는 작업대(3)의 상부면을 이루는데, 이는 벌집모양으로 설치된 양철쇄(34)에 의해 유지된다.
한편, 이 양철쇄(34)는 그 하측의 작은 구멍이 천공된 철판(22)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양철대(34) 사이에 있는 개개의 빈칸(23)에는 정화체(2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정화체는 망 격자(21) 뿐만아니라 천공 철판(22)을 청결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천공철판(22)이 공기저항을 받은 점이 여기서 중요한 사실인데, 이 공기 저항은 망 격자(21)의 공기 저항보다 훨씬 더 커서, 대략 그 비율이 1:10이 된다. 이런 방법을 취하면, 공기분배가 망 격자(21)의 성층두께에도 불구하고 성층작업대(3)의 전체표면 위로 거의 불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재료의 성층자체는 근본적으로 3개의 상이한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무건운 혼합물이 있는 하부의 중량층(25)은 기계적인 투척 진동운동에 의해 작업대 상측으로 보내지고 무거운 혼합물이 없어진 경량층(26)은 공기유동에 의해 흐트러진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망 격자(21) 위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부유하게 된다. 성층작업대(3)가 약간 경사져 있으나 상부의 경량층(25)은 직접 작업대 상측으로 향한 추진충격을 전혀 받지 않지만 진동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 경량층은 작업대 하측으로 부유해서 이동한다. 그 밖에 성층작업대(3)의 경사는 조절장치(3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제3의 성층(27)은 원래 무거운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부분 개개의 미립자, 개개의 이물체, 돌(28)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재료, 무거운 곡물(29), 가령 곡물과 같은 가벼운 성분, 껍질부분(30)은 각각 그에 상응하여 성층된 형태로 나타난다. 돌(28)이 있는 무거운 재료는 곧 바로 진동하고 있는 작업대 표면위로 가라앉아 진동에 의해그리고 망 격자(21)로 만들어진 거친 작업대 표면에 의해 작업대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올바르게 유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층작업대 폭 전체에 걸쳐 공기 유동체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균일하게 관류하는데, 이 공기 유동체의 유동방향은 화살표(31)로 표시되어 있다. 이 공기 유동체(31)에 의해 곡물재료가 강한 유동상태에 있게 된다. 아주 무거운 성분들, 즉 돌(28)만이 작업대의 상측 끝부분으로 분리되어 그곳으로부터 돌 배출구(45)로 보내져야 하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는 역송풍 유도체(33)가 생기는데, 이 역송풍 유동체(33)에 의해 가벼운 성분이나 곡물이 무거운 혼합물과 더불어 작업대의 상측으로 보내지는 것이 방지된다.
역송풍 유동체(33)는 주로 유도철판(19) 하부에서 이루어진, 유도철판(19)이 덮개(5)(벽판) 벽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면, 유도철판(19)과 성층작업대(3) 사이의 틈새로 통하는 공기가 역송풍 유동체(33) 방향으로만 빠져 나간다. 그래서 재료는 그 안에 있는 돌(28)이 말단 분리구역 앞에서 제거된 다음 계속해서 위쪽으로 더 진행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 제거된 돌(28)은 보다 높이 위치한 작업대 끝부분으로 그 운동을 계속할 수 있다.
상기 역송풍 유동체(33)에 의해 여기서 유동방향 전환(32)이 발생하며, 그 유동방향전환(32)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돌(28)이 제거된 무거운 곡물(29)이 강한 공기 유동체(31),(33)에 의해 작업대 표면에서 부유된 경량층(26)의 모든 가벼운 재료들과 더불어 자유로이 함께 유동하여 그중 가장 가벼운 성분들은 반출구(4)에서 곧 바로 방출되고 중간정도의 성분들은 경우에 따라서 작업대 윗쪽과 아랫쪽으로 여러번 순환하면서 부유운동을 할수도 있는데, 이것은 특히 한계곡물에 해당한다.
제1도와 제2도에서는 재료 유동체(20)가 직접 유동방향 전환(32)이 이루어지는 구역으로 공급된다. 유동방향 전환(32)은 작업대 윗쪽으로 이루어지는 기계적 추진운동, 상부 성층, 즉 경량층(27)이 작업대 아랫쪽으로 행하는 부유운동, 역송풍 유동(33)이라는 3가지 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3도가 제1도에 비해 구조상으로 크게 다른 점은, 제3도에서는 두개의 성층작업대, 즉 상부 성층작업대(3a)와 하부 성층작업대(3b)가 이용되는 데 있다. 근본적으로는 이 두개의 성층작업대(3a)와 (3b)가 동일한 구조를 갖는데, 이는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망격자(21)와 천공철판(2)으로 구성 되었다. 상부 성층작업대(3a)에서는 그 위에 유도철판(19)을 가지고 있지 아니하며 원칙적으로 역송풍 유동(33)이 없어서, 가장 무거운 혼합물 뿐만 아니라 중량층(25) 전체가 작업대 윗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배출통로(40)를 통해 제어 철판(41)을 거쳐 유도철판(19)위로 떨어질 수 있다.
성층작업대(3b)의 작동방법이 유도철판(19)부터는 제1도나 제2도의 성층작업대(3)의 작동방법과 같다. 새로 들어온 생산물 유동체(20)가 분배상자(17)에 의해 직접 중량층(25)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는 분배상자(17)와 성층작업대(3a) 사이에 유도철판(19)이 없고 유도판(42)이 설치되어 있다. 유동하기 시작한 생산물 유동체는 생산물 배출구(43)을 거쳐서 직접 하부 성층작업대(3b)의 배출통로(44)안으로 보내진다. 양쪽의 성층작업대(3a)와 (3b)에서 가장 무거운 혼합물이 제거된 양쪽의 재료유동체는 반출구(4)에서 다시 함께 이동한다.
돌(28) 등과 같이 가장 무거운 혼합물은 모두 중량층(25)과 더불어 상부 성층작업대(3a)에서 대략 분리된 다음 하부 성층작업대(3b) 위에서 완전하게 분리되어 돌(28)이 돌 배출구(45)를 거쳐 방출된다. 여기서 돌 선별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다시말해서, 우선 예를들어 전체 재료 통과량의 30%∼60%되는 모든 무거운 곡물이 상부 성층작업대(3a) 위에 모아지고, 그 다음에 감소된 재료 관통량으로 부터 돌과 다른 무거운 혼합물들이 선별되어 분리 방출된다.
생산물 유동면에서 볼때, 제4도는 제1도와 같고, 제5도는 제3도에 상응한다. 그러나 제4도와 제5도의 해결책에서는, 추가적으로 그 주변이 벽판으로 폐쇄된 상자(50)가 있는데, 이 상자(50)에는 하나의 성층작업대 혹은 복수의 성층작업대(3; 3a; 3b; 3c; 3d)들과 함께 진동하여 그 성층작업대들에 의해 상부 배기실(51)과 하부 흡기실(52)로 나누어진다. 하나의 성층작업대 혹은 복수의 성층작업대들의 하부 끝부분 측면에는 순환공기 통로(53)가 있는데, 이 순환공기 통로는 가변 호스(54)와 역류 공기관(55')을 거쳐 역류 공기도관(55)에 연결되어 있다.
제4도와 제5도에서는 상자(50) 자체가 스프링(9) 위에서 자리가 고정된 받침대(10) 위에 지탱되어 있다. 상자(50)의 상부에서는, 한쪽 끝에 재료인입구(2)에 접속된 재료인입관 연결부(2')가 설치되고, 중앙부근에 공기 흡입관(13)과 연결된 공기흡입 연결부(13')가 설치되며, 맞은 편쪽 끝에는 역류 공기도관(55)과 연결된 역류 공기관 연결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된 연결부(2'),(13'),(55')들은 가변슬리브(15),(24)를 거쳐 한 편에는 진동하지 않는 두부(12)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상자(50)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와같은 방법에 의해 진동하지 아니하는 두부(12)에 연결되어야 하는 상자(50)의 진동운동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제5도에 의한 2중의 기계에서는 두개의 반출구(4)가 파이프형의 생산물통로(57)로써(그림면과 수직이 되게) 양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두개의 생산물 통로(57) 사이에 있는 공간은 순환공기 통로(53)를 위해 남게된다.
제4도와 제5도에서는 상자(50)가 보다 잘 식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6도에서는 제4도와 제5도를 보충하기 위해 흡입환기장치(61)와 모터추진장치(62)를 갖춘 순환공기 분리기(60)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는 공기 흡입관(13)이 직접 순환공기 분리기(60) 내부로 통하는데, 이때 분질적으로 생기거나 지장을 초래하는 가는 껍질과 먼지 성분은 먼지 배출관(64)를 거쳐 공기유동체로 부터 떨어져 나간다. 순환공기가 이용되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그 까닭은, 이렇게 해야 전체설비에서 볼때 먼지가 쌓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가동면에서의 안전성과 위생적인 면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순환공기를 가동시키면 큰 장점이 있는데, 이는 극소의 공기량만이, 즉 순환하는 공기량의 10%만이 가는 먼지 필터를 거쳐 지나가기 때문이다. 게다가 분리용 접속관(65)이 갖추어져 이다. 순환공기 분리기(60)는 환기장치와 함께 직접 작업실 천정(66)에 고정할 수 있다.
제7도에서는 제3도에서와는 달리 다음과 같은점에서 근본적으로 차이점이 나타난다. 즉 제7도에는 소량의 재료만 상부 성층작업대(3c) 상측의 방출구(71)를 통해 전체의 작업대 폭에 걸쳐 하부 성층작업대(3d)의 유동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상부 구역으로 보내지고, 나머지 무거운 곡물의 대부분은 상부 성층작업대(3c)의 하측에서 활송로(72)를 거쳐 하부 성층작업대(3d)의 중앙부 근처로 보내져, 다시 작업대 전체의 폭에 걸쳐 보내진다. 수차에 걸쳐 측정을 해본 결과, 이 해결책에서는 대부분의 돌이 배출구(71)을 통해 직접 하부 성층작업대(3d)로 보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제7도와 제8도에 의한 해결책에서는, 상부 성층작업대(3c)가 하부 성층작업대(3d)보다 덜 거친 표면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은 제9도에 설명된 바와 같다. 그 반면에, 상부 성층작업대(3c)는 천공철판(22)으로, 하부 성층작업대(3d)는 망 격자(21)로 만들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대단히 흥미롭고 독자적인 것은 제8도와 제9도에 나타나 있다. 그것은 바로 상부 성층작업대(3c) 부분에서 돌이 모이는 곳(80)을 이용하는 것이다.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돌이 모이는 곳(80)은 함지모양의 홈(81)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홈은 성층작업대(3c)의 전체 폭에 걸쳐 있다.
제2도에서와 유사하게 제8도와 제9도에서도 서로 상이한 두개의 층이 만들어져 있는데, 다시말해 중량층(25)와 무거운 혼합물이 제거된 경량층(26)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부 성층작업대(3c)의 표면은 약간 거칠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윗쪽으로 유동하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최소한 중량층(25) 전체가 윗쪽으로 움직일 가능성은 없다. 하부 중량층(25)은 오히려 아주 천천히 작업대 아랫쪽으로 유동되는데, 이것은 화살표(82)로 표시한 바와 같다.
이에 반해서 경량층(26)은 빠른 속도로 화살표(83)와 같이 작업대 아랫쪽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나서 중량층(25)은 홈(81) 부분에 일단 도달했다가 필연적으로 돌이 모이는 곳(80)으로 가라 앉는다. 돌이 모이는 곳(80)은 그 바닥에 일정한 수의 관통구멍(84)을 갖추고 있는데, 이 관통구멍(84)에 의해 중량층(25)과 돌이 함께 지속적으로 그 아래에 있는 활송로(72)나 하부 성층작업대(3d)로 운반된다. 중량층(25)의 유동량을 고려해 효과적인 관통구멍(84)의 갯수가 제대로 맞을때, 중량층(25)이 지속적으로 돌이 모이는 곳(80)안으로 완전히 가라앉아 직접 하부로 운반되어 경량층과 중량층이 분리될 수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가장 무거운 혼합물(돌 등등)에 대한 선별도가 아주 높을 뿐만아니라 최소한의 추가 경비만 들여도 가장 무거운 혼합물과 청결한 무거운 성분(좋은곡물)으로 분리하고 그 나머지를 가벼운 곡물성분(껍질, 말라빠진 곡식과 부서진 곡식)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하나의 장치내에서 아주 우수하게 여러가지 기본성분들(돌 등등, 무거운 성분, 가벼운 성분)로 분리할 수 있다.
끝으로 제10도에는 제3도와, 제7도 그리고 제8도의 설비와 같은 원리에 의해 기능을 다하는 설비가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동일한 구성 부품을 반복해서 기술하는 것을 생략한다. 다만 순환공기 통로(53)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자(50)안에 설치되고, 또한 이렇게 되더라도 상자(50)내에서 공기의 유동성에 미칠 수도 있는 제약적인 영향이 배제될 수 있다는 점만은, 제10도의 설비가 앞에서 언급된 설비들과 다른 것이다.

Claims (33)

  1. 곡물재료에서 특히 돌(28)처럼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기 위하여, 성층작업대(3; 3b; 3d) 위로 공급된 재료가 경사지고 공기가 관류하고, 진동하는 성층작업대 표면 위로 층을 이룬상태로 이송되어, 성층작업대(3; 3b; 3d) 위에서 상승하는 무거운 혼합물이 성층작업대의 상측 끝부분에서 분리되어 방출되는 것에 있어서, 재료가 가능한 한 넓게 퍼진 유동체로 경사진 작업대의 상측 끝부분에 있는 재료층(25,26)의 분리구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재료에서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방법.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성층작업대(3; 3b; 3d)위에서 균일하게 성층된 유동체(25,26) <무거운 것(25)은 작업대 윗쪽으로, 가벼운 것(26)은 작업대 아랫쪽으로 >가 성층작업대(3; 3b; 3d)의 상측 끝부분에서 유동 방향전환(32) 현상이 일어나고, 생산물 유동체(20)가 직접 그 유동 방향전환구역(32) 부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가 우선 상부의 제1성층작업대(3a; 3c)로 공급되고, 작업대 윗쪽으로 유동하는 무거운 곡물재료(29)와 돌(28)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거운 재료성분(층)(25)중 최소한 첫번째 일부가 제1작업대(3a; 3c)의 상부 끝으로 보내진 다음 그 무거운 재료성분(25)은 동일한 공기가 관류하며, 제1작업대 아래에 있는 하부의 제2성층작업대(3b; 3d) 표면의 상부 끝부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하부 성층작업대(3b; 3d)보다 상부 성층작업대(3a; 3c)에서의 추진 성분이 보다 작게 윗쪽으로 이동하고, 두번째 층부분이 무거운 재료성분(25)은 상부 성층작업대(3a; 3c)의 하측 끝부분에서 하부 성층작업대(3b; 3d)의 중앙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작업대 표면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유도철판(19)위로 생산물 유동체(20)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가벼운 곡물층(26)의 유동방향으로(혹은 무거운 곡물층(25)의 유동방향과 반대로) 생산물 유동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곡물재료(29)로 부터 가장 무거운 혼합물(돌(28))을 분리하기 위해 작업대 윗쪽으로 부유하는 무거운 곡물(29)이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분리구역으로 기류(역송풍기류(33)을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역송풍기류(33)가 유도철판(19)과 성층작업대(3; 3b; 3d) 사이로 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범위 제8항에 있어서, 흡기와 배기를 분리조종하면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최소한 하나의 성층작업대(3; 3a; 3b; 3c; 3d)가 이 작업대에 설치된 벽판과 함께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벽판이 성층작업대(3; 3a; 3b; 3c; 3d)와 더불어 진동할 수 있도록 지탱된 상자(함체)(50)를 이루며, 이 상자(50)는 성층작업대(3; 3a; 3b; 3c; 3d)와 함께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범위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재료가 가능한 한 넓게 퍼진 유동체로 작업대 상단에 있는 재료층(25,26), 즉 유동방향전환구역(3)으로 공급되고, 공기는 성층작업대 하부에서 넓게 퍼져 공급되어 성층작업대의 상부 중앙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청구범위 제11항에 있어서, 공기가 중앙의 공기흡입관(13)과 하부 흡기부, 즉 빈칸(23) 상부에서 먼지 성분이 털어내저서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하로 직접 나란히 배열된 성층작업대(3c,3d)를 2개 갖추고 있고, 재료가 상부 성층작업대(3c) 위에서 함지모양의 홈(돌과 재료가 들어가는 곳(80)위로 보내지며, 이때 홈에 도달한 무거운 곡물성분(25)은 홈의 바닥구멍(84)을 거친 다음, 반대방향으로 상부 성층작업대(3c)처럼 경사진 활송로(72)를 거쳐 하부 성층작업대(3d)의 중앙부분으로 보내지고, 이와 반대로 상부 성층작업대(3c)의 함지형 홈(80)에서 유동방향대로 유동하는 경량층(26)은 가벼운 곡물용 배출통로(44)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성층작업대에 함께 진동하는 배기덮개(5)와 그 위에 설치된 두부(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서 재료는 두부(12)안에 있는 인입구(2)를 거쳐서 공급되어, 가변 슬리브(15)를 거쳐 배기덮개(5)와 함께 진동하는 공급통로의 분배상자(17)안으로 통해서, 그 분배상자(17)로 부터 유도철판(19)을 거쳐 폭포형으로 쏟아지고, 이로 인해서 성층작업대의 전체폭에 걸쳐 동일하게 많은 유동량이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재료 유동체(20)로 부터 무거운 혼합물을 분리하고 선별하고, 특히 성층작업대의 상측 끝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체(7)를 갖추며, 공기가 관류하고 진동할 수 있는 경사진 성층작업대(3; 3b; 3c)를 가지며 이에 생산물 유동체(20)를 공급하기 위해 공급통로를 이용해 보다 높이 위치한 작업대의 상측 끝 부분으로 모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곡물재료에서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장치.
  16. 청구범위 제15항에 있어서, 공급통로가 성층작업대(3; 3b; 3c)의 전체폭에 걸쳐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청구범위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공급통로가 구성되는 곳에 성층작업대(3; 3b; 3d)와 일정한 간격을 유도철판(19)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청구범위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공급 생산물의 유동에 이용되고, 성층작업대의 전체폭에 걸쳐 유동체가 폭포형태로 균일하게 낙하하도록 하는 분배상자(17)와 유도철판(19)을 공급통로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청구범위 제18항에 있어서, 재료의 대부분이 넓게 퍼진 형태의 유동체(20)로 성층작업대(3; 3b; 3c)위에 유동되고 그중 무거운 혼합물(28,29)은 하측 개측부를 통해 방출되도록 하기위한 유도철판(19) 끝부분의 유출모서리(16)와 그 하측의 개구부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청구범위 제19항에 있어서, 유도철판(19)과 성층작업대(3b)의 표면사이에 돌을 선별하기 위해 이용되는 말단 분리구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청구범위 제15항에 있어서, 함께 진동하는 2개의 성층작업대(3a; 3b; 3c; 3d)가 직접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어 동일한 공기가 관류되도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청구범위 제21항에 있어서, 상부 성층작업대(3b; 3d)에는 상부 성층작업대(3a; 3c)보다 큰 추진장치를 상부 방향으로 갖추고 있으며, 그 표면은 상부 성층작업대(3a; 3c)의 표면보다 더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청구범위 제22항에 있어서, 상부 성층작업대(3a; 3c)가 그 상측 끝부분에 하부 성층작업대(3b; 3d)로 이동되는 공급통로로서의 방출통로(40)와 방출구(71)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청구범위 제23항에 있어서, 하부 성층작업대(3b; 3d)에 이용되는 공급통로가 상부 성층작업대(3a; 3c)의 전체폭에 걸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청구범위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의 성층작업대(3a; 3b; 3c; 3d)는 상부 성층작업대(3a; 3c)가 하부 성층작업대(3b; 3d)의 상부 끝부분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청구범위 제15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공기순환성 성층작업대(3; 3a; 3b; 3c; 3d)가 상지(50)의 일부에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청구범위 제26항에 있어서, 재료의 인입구(2)가 상자(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청구범위 제27항에 있어서, 상자(50)내에 상부 배기실(51)과 이와 분리된 순환공기통로(53)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 순환공기 공급통로(53)는 최소한 1개의 성층작업대(3; 3b; 3d)의 하단 끝부분에서 모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청구범위 제28항에 있어서, 상자(50)의 상부 일측에는 재료인입구(2)가, 중앙부에는 공기흡입관(13)이, 그리고 타측에는 순환공기통로(53)로 통하는 역류공기 도관(5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청구범위 제29항에 있어서, 상자(50)가 진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받침대(10)에 지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운동하지 않는 두부(12)를 갖추고 있고, 그 두부(12)는 공기흡입관(13)을 거쳐 순환공기 분리기(60)와 연결되고 또한 가변슬리브(54)를 거쳐 상자(5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청구범위 제30항에 있어서, 순환공기 분리기(60)가 흡입환기장치(61) 및 먼지 제거관(64)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청구범위 제28항에 있어서, 순환공기 통로(53)가 미세한 먼지 필터로 이용되는 분리용 접속관(65)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청구범위 제32항에 있어서, 상부 작업대면(3a)이 보다 낮은 부분에 생산물 유동체를 무거운 성분(25)과 가벼운 성분(26)으로 추가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함지모양으로바닥에 관통구(84)가 있는 함지모양의 홈(돌이나 재료가 모이는 곳(80))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90701391A 1987-11-27 1988-11-28 곡물재료에서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방법과 그 장치 KR940006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462687 1987-11-27
CH4626/87-6 1987-11-27
CH1110/88A CH676209A5 (en) 1988-03-24 1988-03-24 Stone separator system from grain
CH1110/88-7 1988-03-24
PCT/EP1988/001079 WO1989004722A1 (en) 1987-11-27 1988-11-28 Process and device for separating heavy admixtures from gr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214A KR890701214A (ko) 1989-12-19
KR940006018B1 true KR940006018B1 (ko) 1994-07-02

Family

ID=256866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391A KR940006018B1 (ko) 1987-11-27 1988-11-28 곡물재료에서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방법과 그 장치
KR89071390A KR950011184B1 (en) 1987-11-27 1989-07-24 Process and device for separating mixed grain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9071390A KR950011184B1 (en) 1987-11-27 1989-07-24 Process and device for separating mixed grain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2) EP0318053B1 (ko)
JP (2) JP2530736B2 (ko)
KR (2) KR940006018B1 (ko)
CN (1) CN1014870B (ko)
AU (2) AU612451B2 (ko)
BR (2) BR8807330A (ko)
CZ (1) CZ280323B6 (ko)
DE (2) DE3873035D1 (ko)
ES (2) ES2033403T3 (ko)
HU (2) HU208501B (ko)
PL (1) PL161158B1 (ko)
SK (1) SK778288A3 (ko)
WO (2) WO19890047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59B1 (ko) * 2005-11-18 2007-05-17 태성개발(주) 밀폐형 진동스크린을 이용한 이물질의 분리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605C (fi) * 1995-09-18 1997-07-25 Sunds Defibrator Loviisa Oy Menetelmä ja laitteisto raskaiden aineosasten erottamiseksi keveämmistä
DE102004054275A1 (de) * 2004-11-09 2006-05-11 Bühler AG Vorrichtung zum Trennen von körnigem Gut
JP4829744B2 (ja) * 2005-11-25 2011-12-07 株式会社栗本鐵工所 選別装置
DE102006035260A1 (de) 2006-07-26 2008-01-31 Martin GmbH für Umwelt- und Energietechn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ennen von Reststoffen
WO2011147504A1 (de) * 2010-04-15 2011-12-01 Allmineral Aufbereitungstechnik Gmbh & Co. Kg Mehrdeck-luftsetzmaschine
KR101177824B1 (ko) * 2010-04-20 2012-08-29 김진수 진동 선별장치
MY164157A (en) * 2011-08-05 2017-11-30 Japan International Res Center For Agricultural Sciences Solid mixture separation apparatus
CN102430522B (zh) * 2011-12-29 2014-01-15 河北苹乐面粉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谷物重力分级去石机
DE102013004417B4 (de) 2013-03-15 2016-06-30 BEAR Mühlen & Behälter GmbH Verfahren und Anlage zur Sedimentation von Schwerteilen aus Kakaobohnen
CN104438085B (zh) * 2014-10-16 2016-08-31 山东禹王生态食业有限公司 一种豆类脱皮的电簸箕装置
CN106269502A (zh) * 2016-08-04 2017-01-04 东台市鑫富达机械有限公司 一种比重去石机
CN106238332B (zh) * 2016-08-26 2020-05-26 新昌县科宇机械有限公司 一种刨花分选装置
CN106391475A (zh) * 2016-11-22 2017-02-15 王杨 一种中药除尘装置
CN107136542B (zh) * 2017-05-10 2023-07-25 沧州正大生物制品股份有限公司 全自动宠物饲料生产线
CN107127047B (zh) * 2017-06-12 2023-04-18 云南奥福实业有限公司 咖啡鲜果分级去石机
CN107377391A (zh) * 2017-08-23 2017-11-24 西安交通大学 一种生活垃圾的气流异比重分选装置
CN108686956B (zh) * 2018-05-16 2024-05-03 华东理工大学 一种粉体颗粒分选装置及分选方法
CN108745897A (zh) * 2018-07-06 2018-11-06 合肥格骄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剔除稻谷中杂物的装置
CN110064487B (zh) * 2019-05-17 2021-07-06 安徽万朗磁塑股份有限公司 一种自控废磁条退磁生产线
CN110252481B (zh) * 2019-07-31 2020-12-08 博兴战新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隔音废棉废料分选回收装置
DE102022131974A1 (de) 2022-12-02 2024-06-13 Ifm Electron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von Fremdkörpern in einem Korngu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1624A (en) * 1925-02-05 1929-02-12 Martin J Lide Dry separator
US1813303A (en) * 1926-12-16 1931-07-07 Martin J Lide Dry separator
US2928545A (en) * 1956-07-16 1960-03-15 Arthur R Forsberg Gravity separator
GB1332724A (en) * 1970-01-14 1973-10-03 Forsberg R A Air cleaners
GB1536905A (en) * 1976-03-31 1978-12-29 Satake Eng Co Ltd Grain separator
WO1985005050A1 (en) * 1984-05-08 1985-11-21 Gebrüder Bühler Ag Installation and process for sorting heavy materials, in particular stones or the like from cereals or other bulk products
CH672440A5 (ko) * 1986-12-01 1989-11-30 Buehler Ag Ge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59B1 (ko) * 2005-11-18 2007-05-17 태성개발(주) 밀폐형 진동스크린을 이용한 이물질의 분리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T61914A (en) 1993-03-29
AU2810489A (en) 1989-06-14
EP0318053B1 (de) 1994-02-16
AU612451B2 (en) 1991-07-11
KR950011184B1 (en) 1995-09-29
WO1989004722A1 (en) 1989-06-01
BR8807330A (pt) 1990-03-01
HU208501B (en) 1993-11-29
KR890701213A (ko) 1989-12-19
HU204449B (en) 1992-01-28
AU2808289A (en) 1989-06-14
SK278526B6 (en) 1997-08-06
AU612759B2 (en) 1991-07-18
KR890701214A (ko) 1989-12-19
HUT54534A (en) 1991-03-28
PL161158B1 (pl) 1993-05-31
CZ280323B6 (cs) 1995-12-13
DE3887834D1 (de) 1994-03-24
JPH02502352A (ja) 1990-08-02
EP0318053A1 (de) 1989-05-31
JP2530736B2 (ja) 1996-09-04
ES2049741T3 (es) 1994-05-01
WO1989004721A1 (en) 1989-06-01
CZ778288A3 (en) 1995-09-13
SK778288A3 (en) 1997-08-06
BR8807331A (pt) 1990-03-01
HU893383D0 (en) 1992-02-28
EP0318054B1 (de) 1992-07-22
CN1014870B (zh) 1991-11-27
DE3873035D1 (de) 1992-08-27
EP0318054A1 (de) 1989-05-31
CN1035963A (zh) 1989-10-04
JPH02502351A (ja) 1990-08-02
ES2033403T3 (es) 1993-03-16
JP2525493B2 (ja) 1996-08-21
PL276049A1 (en) 198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018B1 (ko) 곡물재료에서 무거운 혼합물을 선별해 내는 방법과 그 장치
KR930008288B1 (ko) 곡물류의 건식 제분을 위한 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SU148075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делени т желых компонентов, в частности камней, из зерна и других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US4466542A (en) Separating contrivance for cereals
AU2003271008B2 (en) Dry separating table, a separator and equipment for the compound dry separation with this table
US5301811A (en)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grain material and the sorting out of heavy inclusions from grain material
US3687298A (en) Apparatus for sedimentation of solid impurities from liquids
US6561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ghtweight particulates during processing of a primary material
US20080093271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a liquid
AU2017306575B2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ry separation of particles
US2635753A (en) Air stratifier
CA10698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a mixture of mineral grains in water
US3204764A (en) Coal cleaning apparatus
US2332183A (en) Apparatus for process for separating finely divided intermixed materials
US2279590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 materials
US304220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granular solids into two or more end fractions
US518316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grain mixture
RU14146U1 (ru) Многопродуктовый гидроклассификатор
SU122069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тивоточного гравитационного обогащени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SU1090461A1 (ru) Аппарат дл классификаци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SU1685555A1 (ru) Сепаратор дл обогащени тонкозернистых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GB2381483A (en) Floatation separation with nozzles and weir
RU200810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зерновых смесей,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тбора тяжелых примесей, например, камней из зерн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US2261277A (en) Process and mechanism for separating intermixed divided materials
RU2042429C1 (ru) Классифик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