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436B1 - 디지탈 음장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음장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436B1
KR940002436B1 KR1019910002402A KR910002402A KR940002436B1 KR 940002436 B1 KR940002436 B1 KR 940002436B1 KR 1019910002402 A KR1019910002402 A KR 1019910002402A KR 910002402 A KR910002402 A KR 910002402A KR 940002436 B1 KR940002436 B1 KR 940002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arameter
input
determined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018A (ko
Inventor
장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436B1/ko
Priority to JP4018967A priority patent/JPH04365300A/ja
Priority to DE4204289A priority patent/DE4204289A1/de
Publication of KR92001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2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our-channel type, e.g. in which rear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two-channel stereo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음장제어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DSP의 기능적 블럭도.
제3도는 제1,2필터의 기능적 블럭도.
제4도는 제1반사음 발생부의 기능적 블럭도.
제5도는 키보드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도.
제6도는 실제 연주공간의 개념도.
제7도는 실제 연주공간의 반사음 특성도.
제8도는 반사음 발생부의 반사음 출력 특성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장 재생공간의 스피커와 청취자의 위치도.
제10도는 지연값에 따른 직접음과 제1반사음 및 기타 반사음의 변화 특성도.
제11도는 홀 크기에 다른 반사음간의 간격변화 특성도.
제12도는 인텐시티에 따른 반사음의 레벨변화 특성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다른 키 판독 흐름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 판독 흐름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설정 흐름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레벨 조정 흐름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레벨 조정 흐름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홀 크기 설정 흐름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원과 벽면과의 거리설정 흐름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울림제어 흐름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감쇄 특성 설정 흐름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멥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ADC(Analog to Digital Convortor) 102 : 램
103 : 키보드 104 : 마이콤
105 : 디스플레이부
106 : DSP(Digital Signal Processor) 107 : FDAC(Front DAC)
108 : RDAC(Rear DAC) 200 : 메트릭스 회로
DR : 지연기
본 발명은 음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로 변환하여 음장을 부여하는 디지탈 음장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장 제어 장치는 아날로그 지연소자등의 소자를 이용한 회로에 의해 실현되고, 1차의 단순음만을 재현하기 때문에 임장감이 상당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장제어 기능을 디지탈 신호처리를 이용 그 특성이 뛰어나고 고차 반사음까지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그 특성을 임의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장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장의 제어시 고차의 반사음까지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음장 변화 상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로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C(101)와, 입력신호를 일정기간 저장했다가 다시 출력하는 램(102)과 ,상기 ADC(101)의 출력을 받아 상기 램(102)과 데이타를 주고 받으면서 소정 계수 데이타를 받아 그에 의해 입력신호를 4상태 즉, FR', FL', RR', RL'로 분리하고 그들을 제어하여 음장감을 부여하는 DSP(106)와, 소정 디스플레이 데이타를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05)와, 음장제어 기능을 위한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이들이 선택될시 대응된 디지탈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키보드(103)와, 상기 키보드(103)로 부터 키데이타를 받아 그에 대응하여 처리한 후 상기 DSP(106)에 해당 계수 데이타를 출력하므로 상기 키데이타에 따라 상기 DSP(106)가 입력신호에 음장감을 가변하면서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키데이타를 판독 그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5)가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그에 디스플레이 데이타를 전송하는 마이콤(104)과, 상기 DSP(106)의 4상태 출력을 받아 아나로그 신호로 환원하는 FDAC(107) 및 RDAC(108)로 구성한다.
제5도는 상기 키보드(103)의 본 발명에 따른 키 구성도로서, 지연시간키(501)와 홀크기키(502)와 입력레벨키(503)와 저역필터키(504)와 고역필터키(505)와 출력레벨키(506)와 프로그램키(507)와 인텐시티키(508)와 파라미터업키(509)와 파라미터다운키(510)로 구성한다.
제13도~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파워 공급시 각부에 초기화 데이타를 출력한후 이어 키 입력이 있을시 그 키를 판독하고 그에따라 분기하는 키판독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키입력을 판독한 결과 파라미터업키 또는 파라미터다운키일시 그때의 파라미터를 판별하여 그에따라 분기하는 파라미터 판별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키입력을 판독한 결과 프로그램키로 판독되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별과정에서 파라미터가 프로그램으로 판별되었을시 실 연주공간의 각 장소에 대응되는 음장상태를 키입력에 따라 세팅하는 프로그램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키입력을 판독한 결과 입력레벨키로 판독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입력레벨로 판별되었을시 입력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입력레벨 제어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 키데이타가 출력레벨키로 판별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출력레벨로 판별되었으면 출력레벨을 제어하는 출력레벨 제어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 데이타가 홀크기 키로 판별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별과정에서 파라미터가 홀크기로 판별되면 각 반사음의 시각 간격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홀크기를 제어하는 홀크기 제어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 데이타가 지연시간키로 판별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별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지연시간으로 판별되면 직접음과 반사음간의 간격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음원과 벽면과의 거리를 제어하는 벽면거리 설정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데이타가 인텐시티키로 판별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별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인텐시티로 판별되면 각 반사음의 패턴의 크기를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반사음의 울림을 제어하는 울림제어 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 데이타가 저역 또는 고역 필터키로 판별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저역 또는 고역으로 판별되면 저역 또는 고역의 감쇄특성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실 연주공간의 반사면의 재질등에 의한 저역 또는 고역의 감쇄특성을 제어하는 벽면 감쇄 제어과정으로 구성한다.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멥도로서, 마이콤(104) 내부에 있는 메모리의 영역을 설정한 것으로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영역을 할당하여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원리적인 면을 간단히 살펴본다.
실제의 홀등의 연주공간에서 청취자에게는 제6도에서와 같이 음원(S)에서 발생한 직접음(DR) 외에 홀의 벽면이나 바닥, 천정등에서 반사되는 반사음 ER0,ER1,ER2,ER3,...등도 함께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청취자는 직접음 외에 그 연주공간의 반사음을 듣게 되고, 이것이 청취자로 하여금 임장감을 느끼게 하는 요소로 작용된다. 또한 실제의 연주공간에서 상기 반사음 ER0,ER1,ER2,ER3,...등은 각 연주공간마다 다르며 이를 통해서 청취자는 각 연주공간의 차이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제7도는 연주공간의 임펄스 응답을 나타낸 것인데, 직접음(DR)이 있은 후 시간 t1 후에 ER1,ER2,ER3,...등이 나타난다. 만일 재생장치에서 실제의 연주공간과 똑같은 반사음의 패턴 즉, 상기 제7도와 같은 반사음 패턴을 만들 수 있다면, 그 음은 실제 연주공간의 음과 똑같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이하 제1도~제22도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아나로그 입력신호 L, R은 ADC(101)에 입력되어 디지탈 오디어 데이타(L',R')로 변환되고 그 출력은 DSP(106)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DSP(106)는 키보드(103)에 의해 제어되는 마이콤(104)으로부터 각 계수 데이타를 받아 그에 의해 상기 ADC(101)의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 (L',R')에 음장감을 부여하고 그 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DSP(106)가 음장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입력데이타를 소정시간 지연하는 기능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램(102)은 상기 DSP(106)와 상호 데이타를 주고 받으면서 상기 DSP(106)가 입력신호에 음장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입력신호를 일정시간 저장했다가 다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보드(103)는 DSP(106)의 제어를 위해 통상적으로 필요한 키는 물론 제5도에 도시한 키들을 부가적으로 갖으며, 이들이 선택되면 그에 상응하는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마이콤(104)에 출력한다.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DSP(106)를 제어함과 동시에 각종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부(105)에 출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5)가 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DSP(106)의 출력은 전방 채널(FL',FR')과 후방 채널(RL',RR')로 분할 출력되는데, 전방채널 출력 디지탈 데이타는 FDAC(107)에 입력되어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로 복원되고, 후방 채널 출력 디지탈 데이타는 RDAC(108)에 입력되어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로 복원된다.
상기 DSP(106)의 동작 및 기능은 본 발명의 핵심 내용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그 기능을 제2~4도와 같이 회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DSP(106)는 상기 마이콤(104)의 제어를 받아 수행되는 하나의 디지탈 시그날 프로세서칩이나, 실제 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DSP(106)가 아닌 소자들로 충분히 구현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제2~4도를 참조로 한다면 디스크리트한 회로 또는 ASIC화한 소자 등으로 충분히 대체할 수가 있다. 상기 DSP(106)는 실제 상기 제13~22도의 흐름을 갖는 상기 마이콤(104)에 의해 계수 데이타를 받고 그에 따라 각 기능이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DSP(106)의 기능을 상기 제2~4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입력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 L', R'은 승산기 m1, m2에 입력되어 그 레벨이 제어된다. 그리고 이때 과입력으로 인한 오버풀로우는 방지된다. 상기 승산기(m1,m2)의 출력은 승산기 m3~m6, 가산기 AD1, AD2로 구성되는 메트릭스 회로(200)에 입력되고, 메트릭스 회로(200)는 반사음 신호처리를 할 신호의 좌, 우 레벨 신호의 합과 차 신호를 발생한다.
승산기(m3~m6)의 제어 계수값을 m3=m4=m5=m6=0.5로 하면 상기 메트릭스 회로(200)의 L채널 출력은 L"=0.5L'+0.5R'가 되고, R채널 출력은 R"=0.5L'+0.5R'가 되어 L과 R 신호가 동일한 비율로 가산된 음이 된다.
그리고 상기 승산기(m3~m6)의 제어 계수값을 m3=m6=1, m4=m5=-1로 정하면 L"=L'-R', R"=R'-L'로 되어 L과 R 신호의 차신호음이 된다. 또한 제어 계수값 m3=m6=1, m4=m5=0로 정하면 L"=L', R"=R'으로 되어 L과 R 신호가 그대로 출력된다. 이와같이 상기 메트릭스 회로(200)에서 승산기 m3~m6의 계수값 상태와 가산기 AD1, AD2에 따라 반사음을 발생하는 소스음의 L과 R의 신호를 적절히 섞음으로서 실제 연주공간에서 음이 혼합되는 것을 시뮬레이트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같이 하여 제어된 상기 메트릭스 회로(200)의 출력 L", R"은 소스음의 주파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제2필터(210,220)에 입력되며, 상기 제1 및 제2필터(210,22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1차의 IIR 디지탈 필터가 2개 캐스캐이드 접속되어 마이콤(104)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수 데이타 A10~B21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필터로 그 특성이 결정된다. 표본화 주파수를 fs, 컷오프 주파수를 fc,π=3.141592라 할때, Tx=TAN(π×fc/fs)라 하면, 상기 제1 및 제2필터(210,220)가 하이패스 필터의 기능을 가질때 HPF의 계수 A10, A11, B11은 각각,
A10=1/(1+Tx)…………………………………………………1
A11=-1/(1+Tx)………………………………………………2
B11=-1(Tx-1)/(1+Tx)……………………………………3
으로 정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필터가 로우 필터의 기능을 가질때 LPF의 계수 A20, A21, B21은 각각,
A20=Tx/(1+Tx)…………………………………………………4
B21=-Tx/(1+Tx)………………………………………………5
B21=-(Tx-1)/(Tx+1)…………………………………………6
으로 정해진다.
상기 제1,2필터(210,220)는 소스음의 주파수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실제 음향 재생 공간의 벽면 특성을 시뮬레이트하는 것으로, 실제 연주공간의 벽면 재질은 저음을 흡수하거나 고음등을 흡수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상기 제1,2필터(210,220)의 특성을 로우패스 필터 또는 하이패스 필터로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연주공간의 벽면의 특성을 시뮬레이트 할 수 있다. 제2도에서 상기 제1필터(210)의 출력은 제1 및 제3반사음 발생부(230,250)에, 그리고 상기 제2필터(220)의 출력은 제2 및 제4반사음 발생부(240,260)에 입력된다. 제1~4반사음 발생부(230~26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각각의 계수는 서로 다르다. 상기 반사음 발생부들(230~260)은 제1도의 마이콤(104)에 제어되고 램(102)과 연동하여 제4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반사음 발생부들(230~260)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1반사음 발생부(230)인 제4도를 참조로 그 기능을 간단히 설명한다.
지연기(DL)는 상기 DSP(106)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램(10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연기(DL)의 데이타 라이트 번지 W10으로 지정되는 시간 t(W10)에 입력된 신호 데이타는 데이타 리드타임 번지 R(10)으로 지정되는 시간 t(R10)에 출력되며, 이 출력 신호는 반사음 레벨 제어용 승산기 G10을 거쳐 가산기 AD7에서 가산된다. 이때의 신호는 시간 tΔ(10)=t(R10)-t(W10)만큼 지연된 신호에 승산계수 G10)이 곱해진 신호이고, 계속해서 상기 지연기(DL)의 데이타 리드번지 R11로 지정되는 시간 t(R11)에 출력되는 신호는 승산기 G11을 거쳐 상기 가산기 AD7에서 가산된다. 이때의 신호는 시간 tΔ(11)=t(R11)-t(W10)만큼 지연된 신호에 승산계수 G11이 곱해진 신호이다. 동일한 원리로 R11~R21로 지정되는 시간 t(12)~t(21)에 출력되는 신호는 G12~G21 에 의해 연산이 이루어져 상기 가산기 AD7에서 가산된다. 결국 상기 제1반사음 발생부(230)의 출력은,
Figure kpo00001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반사음 발생부들(230~260)의 기능은 제7도와 제8도를 비교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상기 반사음 발생부들(230~260)의 출력은 제8도와 같으며, 이는 상기 실제 연주공간의 반사음 특성인 제7도의 연주공간에서 시간 t0에서 이득 ER0을 가지는 제1반사음을 포함 그 후와 동일하다.
따라서 어떤 오디오 신호를 제8도의 특성을 가지는 소정 유니트로 재생하면 제6도에 보인 실제 연주공간에 있는 것과 유사한 임장감을 재현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제2~4반사음 발생부(240~260)의 출력 FR", RL", RR"은 다음식과 같이 정의할 수가 있다.
Figure kpo00002
본 발명에서 반사음 발생을 전방의 FR, FL 및 후방의 RR, RL의 4채널로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은, 상기 제6도에서 청취자(603)가 전후 좌우 사방에서 반사음을 듣기 때문에 시뮬레이트하려면 무수히 많은 유니트가 필요하나, 제9도에서와 같이 4개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장을 합성함으로써 상기 제6도와 유사한 특성을 얻기 위함이다. 즉, 제9도에서 FL스피커(901)와 FR스피커(902) 및 RL스피커(904)와 RR스피커(905)는 각각의 채널에서 재생하는 반사음을 분할함으로써, 이 4개의 반사음이 합쳐지면 청취자(603)의 위치에서는 실제 연주공간과 유사한 음장이 재현된다. 상기 제1~4반사음 발생부(230~260)의 출력은 반사음 전체의 레벨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반사음 레벨제어용 승산기 m9,m10,m14,m15에 각각 공급되고, 상기 승산기 m9,m10의 출력은 직접음 레벨 제어용 승산기 m8,m11의 출력과 가산기 AD3 및 AD4에서 더해진다. 이는 상기 청취자(603)에게는 직접 도래하는 직접음(DR)이 있기 때문이며, 이경우 음의 주체는 상기 직접음(DR)이고 반사음은 음장감을 주기 위한 보조적인 신호로서 작용한다. 승산기 m12,m13,m16,m17는 출력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이콤(104)으로 부터 전송되는 계수 데이타에 따라 그 감쇄정도가 결정된다.
상기 제1~4도의 각 승산기 및 각 필터 계수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콤(104)에 의해 공급되는데,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제13~21도의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내부 롬에서 이들을 액세스하여 상기 각부에 공급한다.
상기 마이콤(104)의 내부 롬에 각 계수 데이타가 저장된 상태는 제22도에 도시하였고 그 설명은 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상기 마이콤이 어떻게 이용하는지 이해할 수 있으리라 사려되어 지면상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 마이콤(104)의 동작을 상기 제13~21도의 흐름을 참조로 살펴본다.
제13도는 사용자가 소정키를 입력할시 이를 인식하기 위한 키판독과정의 흐름도로서, 시스템의 전원이 공급되면 마이콤(104)은 제일 먼저 13a단계에서 상기 DSP(106)에 초기설정 데이타(기본모드 데이타)를 전송하고 제13B단계에서 키보드(103)로부터 키입력을 기다린다. 이때 파라미터업 또는 파라미터다운키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콤(104)는 13c~13k단계를 수행하면서 입력된 키를 분석하여 그에 대응된 과정으로 분기한다.
제14도는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 데이타가 파라미터업 또는 파라미터다운키로 판별되면 수행하는 파라미터 판독과정으로서, 상기 마이콤(104)은 14a단계에서 현재의 파라미터를 조사한 후 제14b~14i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제14a단계에서 조사된 결과에 따라 해당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과정으로 분기한다. 만일 아무키도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키입력 과정으로 리턴하여 계속 키입력을 점검한다. 그리고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키보드(103)의 본 발명에 따른 키에 1 대 1 대응된다.
제15도는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키입력이 프로그램키로 판별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별과정에서 파라미터가 프로그램키로 판별되면 상기 DSP(106)의 초기 음장상태를 세팅하기 위한 기능 프로그램과정의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음장모드 즉, 콘서트홀이나 교회 등의 임의로 상정된 음장공간을 재현할 수 있는 음장데이타를, 파라미터업 또는 파라미터다운키를 이용 선택하여 상기 DSP(106)에 공급, 상기 DSP(106)가 입력되는 디지탈신호에 따라 상기 상정된 음장공간에 대응되는 음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음장데이타는 상기 DSP(106)의 등가회로인 제2~4도의 각 계수 W10~W40, m8~m11, R10~R57, m3~m6, G10~G57, m14~m15에 공급될 데이타로 상기 마이콤(104)의 내부 롬에 저장되어 있는 제22도의 멥을 갖는 데이타를 의미한다.
먼저 상기 마이콤(104)은 제15a단계에서 파라미터업 또는 파라미터다운키가 입력되는가 점검하여 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키입력과정으로 리턴하고 해당키의 입력이 있으면 제15b단계에서 파라미터업키인지 파라미터다운키인지 점검한다. 그리고 파라미터업키이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5c단계에서 상기 상정된 음장공간이 갯수에 대응되는 소정 변수 PRG 값을 한스텝 증가시키고 그 값이 10보다 크거나 같은가 점검하여 크거나 같으면(제15d단계), 제15e단계에서 PRG=10으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PRG 값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15b단계에서 만일 입력키가 파라미터다운키로 판별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5f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PRG 값을 한스텝 감소시킨뒤, 그 값이 0보다 작거나 같은가 점검하여 0보다 작거나 같은면(제15f단계), 제15h단계에서 PRG=1로 세팅하고 0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PRG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 제15e단계 또는 상기 제15h단계를 수행하고 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5i단계로 진행하여 자체의 내부 롬에서 상기 PRG 값에 해당하는 각 데이타 W10~W40, m80~m11, R10~R57, m3~m6, G10~G57, m14~m15를 독출하여, 제15j단계에서 상기 제2~4도의 각부에 계수 데이타로 공급한다. 상기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5k단계에서 또다른 임의의 키가 입력되는가 점검한다. 그리고 소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제15a단계로 리턴하여 상기한 흐름을 되풀이 한다. 그러나 여기서 아무키도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키판독과정으로 리턴하여 키입력을 대기한다.
제16도는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가 입력레벨키로 판별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입력레벨로 판별되면 상기 DSP(106)의 입력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레벨 조절과정의 흐름도로서, 상기 DSP(106)에 과입력이 들어와서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상기 마이콤(104)은 제16a단계에서 파라미터 업 또는 다운키가 입력되는가 점검한다. 그리고 이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6b단계에서 파라미터업키인가 파라미터다운키인가 판별한다.
이때 파라미터업키이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6c단계에서 상기 DSP(106)의 입력레벨에 대응되는 소정 변수 INLVL 값을 한스텝 증가시킨후 제16d단계에서 그 값이 30보다 크거나 같은가 점검하여, 그 값이 크거나 같으면 제16e단계에서 상기 INLVL 값을 30으로 세팅하고, 작거나 같지 않으면 그 값을 그대로 유지킨다.
또한 이때 상기 제16b과정에서 입력키가 파라미터다운키로 판별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6f단계에서 상기 변수 INLVL 값을 한스텝 감소시킨뒤 제16g단계에서 그 값이 0보다 작거나 같은가 점검하여, 만일 작거나 같으면 제16h단계에서 상기 변 수 INLVL값을 0으로 세팅하고, 만일 작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INLVL 값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상기 제16e단계와 상기 제16h단계를 수행하고 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자체의 내부롬에서 상기 INLVL 값에 해당되는 각 데이타 m1, m2 데이타를 독출하여 상기 DSP(106)에 전송하여 상기 DSP(106)의 입력레벨을 세팅한다.
이후 상기 마이콤(104)은 이어 또다른 소정 키가 입력되는가 점검하여 아무 키도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키판독과정으로 다시 리턴하여 새로운 키의 입력을 대기하고 소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6a단계로 리턴하여 상술한 동작을 되풀이 하게된다.
제17도는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가 출력레벨키로 판별 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출력레벨로 판별되면 상기 DSP(106)의 출력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레벨 조절과정의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효과음의 레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다.
먼저 상기 마이콤(104)은 제16a단계에서 파라미터 업 또는 파라미터 다운키가 입력되는가 점검하여 그들키가 입력되면 제16b단계에서 파라미터 업키가 입력되는가 점검한다.
이때 파라미터 업키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7c단계에서 상기 DSP(106)의 출력레벨에 대응되는 소정의 변수 OUTLVL 값을 한 스텝 증가시키고 제17d단계에서 그값이 30보다 크거나 같은가 점검한다.
이때 상기 OUTLVL 값이 30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7e단계에서 상기 변수 OUTLVL 값을 30으로 세팅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그값을 그대로 가진다.
한편, 상기 제17b단계에서 입력키가 파라미터 다운키로 판별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변수 OUTLVL 값을 한 스텝 감소 시킨뒤 제17g단계에서 그값이 0와 같은가 점검한다. 이때 상기 변수 OUTLVL 값이 0와 같거나 작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7h단계에서 상기 변수 OUTLVL 값을 0으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값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상기 제17e단계 또는 상기 제17h단계를 수행후 상기 마이콤(104)은 내부 롬에서 상기 변수 OUTLVL 값에 대응하는 각 m12,m13,m16,m17를 독출하여 상기 DSP(106)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마이콤(104)은 또 다른 키의 입력이 있는가 점검하여 아무키도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키판도과정으로 리턴하고 어떠한 키라도 입력되면 상기 제17a단계로 리터하여 키입력에 따라 상술한 기능을 반복하게 된다.
제18도는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 데이타가 홀크기키로 판독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홀크기로 판독되면 상기 DSP(106)가 입력신호에 음장감을 부여할때 각반사음간의 시간 간격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홀의 크기를 제어하는 홀크기 설정과정의 흐름도로서, 먼저 상기 마이콤(104)은 제18a단계에서 파라미터 업키 또는 파라미터 다운키가 입력되는가 판별하여 아무키도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키판독과정으로 리턴하여 키입력대기 상태로 대기하고, 그들중 어느 한키가 입력되면 제18b단계에서 그가 파라미터 업키인가 점검한다. 이때 파라미터 키가 맞으면 제18c단계에서 홀크기에 대응하는 소정 변수 HSIZE 값을 한 스텝 증가시킨뒤, 제18d단계에서 그값이 20보다 크거나 같은가 점검한다. 이때 그값이 20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8e단계에서 상기 변수 HSIZE 값을 20으로 세팅하고 20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HSIZE 값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18b단계에서 파라미터 업키가 아니면, 제18f단계에서 상기 변수 HSIZE 값을 한 스텝 감소시킨뒤 그값이 5보다 작거나 같은가 점검한다. 이때 상기 변수 HSIZE 값이 5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8h단계에서 상기 HSIZE 값을 5로 세팅하고, 5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HSIZE 값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상기 제18e단계 또는 상기 제18h단계 수행후 제18i단계에서 상기 마이콤(104)은 제18i단계에서 내부의 롬에서 상기 HSIZE 값에 해당하는 데이타 HS 및 지연기(DL)의 데이타 독출시간 번지값 데이타 R(10)~R(57)을 독출한다.
상기 HS 값이 독출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4반사음 발생부(230~260)의 데이타 독출시간 번지값 R10~R57과 소정의 연산을 수행한다. 제18j단계에서는 반사음 발생부(230~260)의 데이타 독출시간 번지값을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n을 10으로 세팅하고 상기 제1~4반사음 발생부(230~260)를 구분하여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 s를 0으로 세팅한다. 제18k단계에서는 소정 변수 RX(n)을 RX(n)=R(n)으로 정의하고, 제18ℓ단계에서는 시간변화 Δt를 소정 변수 TR(n)으로 정의하고 그값을 RT(n)=R(n+1)-R(n)로 계산한다.
제18m단계에서는 RX(n+1)을 RX=RT(n)×HS+RX(n)로 계산하는데, RX(n+1)의 결과가 새롭게 생성되는 반사음 발생부의 데이타 독출시간 번지값이 된다. 이 계산이 끝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8n단계에서 n을 한 스텝 증가 시킨디 제18o단계에서 n=21+s인가 점검한다. 이때 n=21+s가 아니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제18l단계로 리턴하여 상기한 계산을 되풀이 한다. 이는 상기 제1~4반사음 발생부(230~260) 각각에 대해 데이타 독출시간 번지값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어 제1반사음 발생부(230)에 대한 새로운 데이타 독출 번지값을 계산해 보면, R10~R21이고 HS=2라 하면, 먼저 n=10이므로 RX(10)=R(10)이다.
또한 TR(11)=(R(11)-R(10)이고, RX(11)=RT(10)×HS+RX(10)=[R(11)-R(10)]×2+RX(10)가 된다.
n을 한 스텝 증가시키면, n=11이되고, n=21+s=21이 아니므로, 다시 RT(11)=RT(12)-R(11) 계산을 수행하면, RX(12)=RT(11)×HS+RX(11)=[R(12)-R(11)]×2+RX(11)이 된다.
같은식으로 반복하여 n=20일 경우, RX(21) 계산이 수행되고, n=21이므로 s=s+12=33이 된다. 이로서 상기 제1반사음 발생부(230)의 R10~R21(21)에 대한 계산이 완료되었고 새로운 데이타 독출 시간값 RX(10)~RX(21)이 계산된다.
상기 예와같이 하나의 반사음 발생부 즉, 제1반사음 발생부(230)의 새로운 데이타 리드시간 번지를 계산하고 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8p단계에서, 다시 s와 n을 s=12, n=22로 정의하고, 제18q단계에서 상기 s가 s=48인가 점검하여 상기 제4반사음 발생부(260)까지 모든 계산이 완료되었는가를 점검한다. 이때 만일 s가 48이 아닐경우, 상기 마이콤(104)은 모든 반사음 발생부(230~260)의 데이타 독출 번지값을 계산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8r단계에서 RX(n)을 R(n)으로 대치 즉, RX(22)=R(22)로 대치한뒤 상기 제18l단계로 리턴하여 이번에는 제2반사음 발생부반사음 발생부(240)의 데이타 독출 시간번지값 RX(22)~RX(33)을 계산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제1~4반사음 발생부(230~260)의 모든 데이타 독출 시간을 계산하고 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제18q단계에서 제18s단계로 분기하여 R(n)=RX(n)으로 재지정하여 상기에서 계산한 RX(10)~RX(57)의 값을 R(10)~R(57)로 바꾼뒤 제18t단계에서 상기 DSP(106)에 계수데이타로 전송한다.
제19도는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가 지연시간키로 판별 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지연시간으로 판별되면 직접음과 제1반사음간의 시간간격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음향적으로 음원과 벽면과의 거리를 제어하는 지연시간 설정 흐름도이다.
상기 마이콤(104)는 제1단계로 제19a단계에서 파라미터 업 또는 다운키의 입력이 있는가 판별하고 다음 제19b단계에서 그 파라미터 업키인가 판별한다. 이때 만일 파라미터 업키가 맞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9c단계에서 지연값에 대응되는 소정 변수 DLY을 한 스텝 증가시킨뒤 제19d단계에서 그값이 100보다 크거나 같은가 점검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DLY 값이 100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9e단계에서 상기 변수 DLY 값을 100으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9d단계의 값을 그대로 가진다.
한편, 상기 제19b단계에서 파라미터 업키로 판별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9f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수 DLY 값을 한 스텝 감소시키고 그값이 0보다 작거나 같은가 점검한다. 이때 상기 변수 DLY 값이 0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17h단계에서 그를 1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19f단계에서의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 제19b단계에서 상기 제19h단계까지의 동작은 상기 파라미터 업 또는 다운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DLY 값에 대응되는 반사음간의 지연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9e단계 또는 상기 제19h단계를 수행하고 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내부 롬에서 제17도의 OUTLVL 값에 해당하는 소정 데이타 RX 및 상기 반사음 발생부(230~260)의 데이타 독출 시간 데이타 R(10)~R(57)를 독출한다.
이후, 상기 마이콤(104)은 제19j단계에서 소정 변수 n을 n=10으로 설정하고, 제19k단계에서 제19m단계까지를 수행하여 상기 데이타 독출시간 데이타값 R(10)~R(57)에 상기 OUTLVL 값에 대응되는 데이타 RX를 더한다. 이를 마치고 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에서 새로이 계산한 상기 R(10)~R(57) 값을 상기 DSP(106)에 계수데이타로 전송한다. 그리고 이어 소정의 또다른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9a단계로 리턴하여 상술한 동작을 키입력에 따라 반복 수행하고, 아무키도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키판독과정으로 리턴하여 키입력을 대기한다.
제20도는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키입력이 인텐시티키로 판별 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인텐시티로 판별되면, 상기 DSP(106)가 입력신호에 임장감을 부여할때 각 반사음 패턴의 크기를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반사음의 울림을 제어하기 위한 울림제어 과정이다.
먼저 상기 마이콤(104)의 제20a단계에서 파라미터 업 또는 파라미터 다운키가 입력되면, 제20b단계에서 그가 파라미터 업키인가 점검한다.
이때 만일 파라미터 업키이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0c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인텐시티에 대응하는 소정 변수 ITS를 한 스텝 증가시킨후 제20d단계에서 그값이 20보다 크거나 같은가 점검한다. 그리고 여기서 만일 상기 변수 ITS 값이 20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변수 ITS 값을 20으로 세팅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ITS 값이 20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변수 ITS 값을 제20c단계의 값 그대로 유지시킨다.
상기 제20b단계에서 만일 파라미터 업키가 입력되지 않고 파라미터 다운키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0f단계에서 상기 변수 ITS 값을 한 스텝 감소시킨뒤, 제20g단계에서 그값이 0보다 작거나 같은가 점검하여 작거나 같으면, 제20h단계에서 그를 0으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제20f단계의 값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상기 제20e단계 또는 상기 제20f단계를 수행하고 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0i단계에서 자체내부의 롬에서 상기 변수 ITS 값에 해당하는 데이타 CX 및 상기 반사음 발생부(230~260)의 지연신호 레벨 제어용 승산기 계수값 G10~G57을 독출한다.
그리고 제20j단계에서는 소정 변수 n을 n=10으로 세팅하고, 제20k~20m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변수에 대응되는 상기 계수값 G(n)을 G(n)+CX로 계산하여 상기 반사음 발생부(230~260)의 레벨 제어용 승산기 계수값 G10~G57에 상기 CX를 각각 더 한다.
상기 덧셈을 모두 마치고 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0n단계에서 상기 DSP(106)에 새로 계산된 상기 승산기 계수값을 상기 DSP(106)에 전송한다. 그리고 이어 아무키나 입력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첫단계인 제20a단계로 리턴하여 상술한 동작을 되풀이 하게된다. 그러나 이후 아무키도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키판독과정으로 리턴하여 키입력대기 상태로 있는다.
제21도는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가 고역 또는 저역필터키로 판별 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고역 또는 저역필터로 판별되면, 상기 DSP(106)가 입력 디지탈 신호에 음장감을 부여할때 저역 또는 고역 감쇄특성을 조정하여 음향적으로 실연주공간을 상정한 반사면의 재질등에 의한 음의 감쇄특성을 제어하는 벽면감쇄 제어과정으로서, 먼저 마이콤(104)은 제21a단계에서 상기 파라미터 업 또는 파라미터 다운키가 입력되는가 점검되고, 이어 제21b단계에서 그가 파라미터 업키인가 점검한다. 이때 만일 파라미터 업키로 판별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1c단계에서 상기 저역 또는 고역필터에 대응되는 소정 변수 FLT 값을 한 스텝 증가시킨뒤 그값이 13보다 크거나 같은가 점검한다.
이때 만일 상기 FLT 값이 13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1e단계에서 상기 FLT 값을 13으로 세팅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FLT 값을 상기 제21c단계의 값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21b단계에서 만일 파라미터 업키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1f단계에서 상기 변수 FLT 값을 한 스텝 감소시킨후, 그값이 0보다 작거나 같은가 점검하여 그값이 0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마이콤(104)은 상기 FLT 값을 0으로 세팅시키고, 0보다 크거나 같지 않으면 상기 FLT 값을 상기 제21f단계의 값으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1e단계 또는 상기 제21h단계를 마치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1i단계에서 파라미터가 고역필터인가 점검한다. 이때 파라미터가 고역필터이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1j단계로 분기하여 자체 내부롬에서 FLT 값에 해당하는 HPF 데이타를 독출하여, 제21k단계에서 DSP(106)에 제3도의 A10,A11,B11에 대응되는 계수데이타로 전송한다. 또한 이때 만일 파라미터가 고역필터가 아니고 저역필터라면, 상기 마이콤(104)은 제21l단계로 분기하고, 이번에는 내부롬에서 저역필터에 대응되는 데이타를 독출하여 제21n단계에서 상기 DSP(106)에 제4도의 A20,A21,B21에 대응되는 계수데이타로 전송한다.
상기 제21k단계 또는 상기 제21n단계를 수행하고나면 상기 마이콤(104)은 이어 임의의 키가 또 입력되는가 점검하여 아무키도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키입력 점검과정으로 리턴하여 키입력을 대기하는 상태로 되고 소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21a단계로 리턴하여 상기한 동작을 되풀이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 모두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발명의 요지를 넘지않는 선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입력신호를 디지탈로 변화한뒤 DSP(106)에 입력하여 마이콤(104)를 통해 이를 제어함으로써, 입력신호에 음장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그 상태를 키보드(103)의 키를 이용하면 임의대로 상기 음장상태를 가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차의 반사음까지 생성이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해 음장감이 확연히 진일보하여 보다 생생한 음장감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오디오 음장제어장치에 있어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로 변환하는 ADC(101)와, 입력신호를 일정기간 저장했다가 다시 출력하는 램(102)과, 상기 ADC(101)의 출력을 받아 상기 램(102)과 데이타를 주고 받으면서 소정 계수데이타를 받아 그에의해 입력신호를 4상태로 분리하고 그들을 제어하여 음장감을 부여하는 DSP(106)와, 소정 디스플레이 데이타를 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105)와, 음장 제어 기능을 위한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고 이들이 선택될 시 대응된 디지탈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키보드(103)와, 상기 키보드(103)로부터 키데이타를 받아 그에 대응하여 처리한 후 상기 DSP(106)에 해당 계수데이타를 출력하므로서 상기 키데이타에 따라 상기 DSP(106)가 입력신호에 음장감을 가변하면서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키데이타를 판독 그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105)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디스플레이 데이타를 전송하는 마이콤(104)과, 상기 DSP(106)의 4상태 출력을 받아 아나로그 신호로 환원하는 FDAC(107) 및 RDAC(10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장 제어장치.
  2. 음장제어장치에 있어서, 파워 고급시 각부에 초기화 데이타를 출력한후 이어 키 입력이 있을시 그 키를 판독하고 그에따라 분기하는 키판독수단과, 상기 키판독수단의 키입력 판독에 의해 파라미터 업 또는 파라미터 다운키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판별하여 그에따라 분기하는 파라미터 판별수단과, 상기 키판독수단의 키입력 판독에서 프로그램키로 판독 또는 상기 파라미터 판별수단에서 판별된 파라미터가 프로그램 상태되면 실 연주공간의 각 장소에 대응되는 음장상태를 키입력에 따라 세팅하는 프로그램수단과, 상기 키판독수단의 키입력 판독에서 입력레벨키로 판독 또는 상기 파라미터 판독수단 판별된 파라미터가 입력레벨로 판별되면 입력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입력레벨제어수단과, 상기 키판독수단의 키입력판독 출력레벨키로 판독 또는 상기 파라미터 판독수단에서 파라미터가 출력레벨로 판별되면 출력레벨을 제어하는 출력레벨제어수단과, 상기 키판독수단의 키입력 판독에서 폴크기키로 판독 또는 상기 파라미터 판별수단에서 파라미터가 홀크기로 판별되면 각 반사음의 시각 간격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홀크기를 제어하는 홀크기 제어수단과, 상기 키판독수단의 키입력판독에서 지연시간키로 판별 또는 상기 파라미터 판별수단에서 파라미터가 지연시간으로 판별되면 직접음과 반사음간의 간격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음원과 벽면과의 거리를 제어하는 반사음 벽면거리 설정수단과, 상기 키판독수단의 키입력 판독에서 인텐시티키로 판별 또는 상기 파라미터 판별수단에서 파라미터가 인텐시티키로 판별되면 각 반사음의 패턴 크기를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반사음의 울림을 제어하는 울림제어 수단과, 상기 키판독수단의 키입력 판독에서 저역, 고역필터키로 판별 또는 상기 파라미터 판독수단에서 파라미터가 저역, 고역으로 판별되면, 저역, 고역의 감쇄특성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실연주공간의 반사면의 재질등에 의한 저역, 고역의 감쇄특성을 제어하는 벽면 감쇄 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장 제어장치.
  3. 음장 제어방법에 있어서, 파워 공급시 각부에 초기화 데이타를 출력한 후 이어 키입력이 있을시 그키를 판독하고 그에따라 분기하는 키판독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키입력을 판독한 결과 파라미터 업 또는 파라미터 다운키 일시 그때의 파라미터를 판별하여 그에따라 분기하는 파라미터 판벽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키입력을 판독한 결과 프로그램키로 판독되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별과정에서 파라미터가 프로그램으로 판별 되었을시 실 연주공간의 각 장소에 대응되는 음장상태를 키입력에 따라 세팅하는 프로그램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키입력을 판독한 결과 입력레벨키로 판독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입력레벨로 판별 되었을시 입력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입력레벨제어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 키데이타가 출력레벨키로 판별 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출력레벨로 판별 되었으면 출력레벨을 제어하는 출력레벨제어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 데이타가 홀크기키로 판별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별과정에서 파라미터가 홀크기로 판별되면 각 반사음의 시각 간격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홀크기를 제어하는 홀크기 제어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 데이타가 지연시간키로 판별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별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지연시간으로 판별되면 직접음과 반사음간의 간격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음원과 벽면과의 거리를 제어하는 반사음 벽면거리 설정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 데이타가 인텐시티키로 판별 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별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인텐시티로 판별되면 각 반사음의 패턴 크기를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반사음의 울림을 제어하는 울림제어 과정과, 상기 키판독과정에서 입력키 데이타가 저역 또는 고역 필터키로 판별 되었거나 상기 파라미터 판독과정에서 파라미터가 저역 또는 고역으로 판별되면 저역 또는 고역의 감쇄특성을 제어하여 음향적으로 실 연주공간의 반사면의 재질등에 의한 저역 또는 고역의 감쇄특성을 제어하는 벽면 감쇄 제어과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장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SP(106)는 상기 ADC(101)의 좌ㆍ우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의 진폭을 제어하는 입력감쇄용 승산기(m1,m2)와, 상기 입력감쇄용 승산기(m1,m2)의 출력에 의해 반사음 신호처리에 필요한 레벨신호의 합과 차를 논리연산하여 그에 대응한 제1, 제2매트릭스 신호를 출력하는 매트릭스 회로부(200)와, 연주공간의 벽면 특성을 시뮬레이트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매트릭스 신호를 소정 필터링하는 제1, 제2필터(210,220)와, 각 고유의 반사음 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필터(210,220)의 필터링된 제1, 제2매트릭스 신호에서 전방 좌우 채널 및 후방 좌우 채널의 4방향 반사음을 출력하는 제1~제4반사음 발생부(230~260)와, 제1~제4반사음 발생부(230~260)의 4방향 반사음 각각 크기를 논리 연산하여 실제 연주공간에서 4방향 반사음을 출력하는 논리 연산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음장 제어장치.
KR1019910002402A 1991-02-13 1991-02-13 디지탈 음장제어장치 및 방법 KR940002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402A KR940002436B1 (ko) 1991-02-13 1991-02-13 디지탈 음장제어장치 및 방법
JP4018967A JPH04365300A (ja) 1991-02-13 1992-02-04 ディジタル音場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DE4204289A DE4204289A1 (de) 1991-02-13 1992-02-13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gitalen steuerung eines schallfel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2402A KR940002436B1 (ko) 1991-02-13 1991-02-13 디지탈 음장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018A KR920017018A (ko) 1992-09-25
KR940002436B1 true KR940002436B1 (ko) 1994-03-24

Family

ID=1931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402A KR940002436B1 (ko) 1991-02-13 1991-02-13 디지탈 음장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4365300A (ko)
KR (1) KR940002436B1 (ko)
DE (1) DE4204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504B1 (ko) * 1991-12-07 1994-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2채널 음장재생 장치 및 방법
DE9400614U1 (de) * 1994-01-18 1994-03-31 Hauraton Betonwaren Lösbare Befestigung einer auf einem Grundkörper randseitig aufliegenden Abdeckung
DE19545623C1 (de) * 1995-12-07 1997-07-17 Akg Akustische Kino Geraet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ilterung eines Audiosignals
JP2001086600A (ja) * 1999-09-17 2001-03-30 Nec Home Electronics Ltd サラウン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79732D1 (de) * 1984-04-09 1990-10-25 Pioneer Electronic Corp Schallfeldverbesserungssystem.
JPS63183495A (ja) * 1987-01-27 1988-07-28 ヤマハ株式会社 音場制御装置
JPH0744759B2 (ja) * 1987-10-29 1995-05-15 ヤマハ株式会社 音場制御装置
US5065433A (en) * 1989-06-26 1991-11-1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Audio signal data processing system
JPH03127599A (ja) * 1989-10-12 1991-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場可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018A (ko) 1992-09-25
JPH04365300A (ja) 1992-12-17
DE4204289A1 (de) 199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0639A (en) Sound localization control apparatus
US5371799A (en) Stereo headphone sound source localization system
JP2988289B2 (ja) 音像音場制御装置
JP3722335B2 (ja) 残響付加装置
KR20070085479A (ko) 비자연 반향음
US6091894A (en) Virtual sound source positioning apparatus
US6035045A (en) Sound image loc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delay amount control apparatus, and sound image control apparatus with using delay amount control apparatus
KR100236447B1 (ko) 스테레오 음장확대장치
US5604809A (en) Sound field control system
GB2202111A (en) Reverb generator
KR940002436B1 (ko) 디지탈 음장제어장치 및 방법
JP3740670B2 (ja) ステレオ音像拡大装置
JPH10136497A (ja) 音像定位装置
JPH1066198A (ja) ステレオ音像拡大装置及び音像制御装置
JPH03220912A (ja) 信号切り換え装置
JPS6253100A (ja) 音響特性制御装置
JPH099398A (ja) 音像定位装置
JP2591111Y2 (ja) 音場可変再生装置
JP3581811B2 (ja) 3dデジタル・オーディオにおける耳間時間遅延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357218B2 (ja) ヘッドホン再生方法及び装置
JP3821417B2 (ja) 残響付加装置
KR970004173B1 (ko) 실내음향 처리방법
JP2542616Y2 (ja) 残響付加装置
JPH07319487A (ja) 音像制御装置
JP2023066419A (ja) オブジェクトベースのオーディオ空間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