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222Y1 - 전원소켓 - Google Patents

전원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222Y1
KR940002222Y1 KR2019900015571U KR900015571U KR940002222Y1 KR 940002222 Y1 KR940002222 Y1 KR 940002222Y1 KR 2019900015571 U KR2019900015571 U KR 2019900015571U KR 900015571 U KR900015571 U KR 900015571U KR 940002222 Y1 KR940002222 Y1 KR 940002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piece
pin
contact piece
wir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5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지 마쯔모도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comprising a separated limit swi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소켓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소켓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전원소켓의 횡단 평면도.
제 3 도는 전원소켓의 배면도.
제 4 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소켓의 분해사시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전원소켓의 배면도.
제 6 도는 종래예의 분해사시도.
제 7 도는 종래예의 밑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디 2 : 핀
3 : 고정접편 4 : 가동접편
11b, 11d, 18b : 홈 13 : 플러그삽입, 빼기용의 구멍트인 곳
14 : 뒷벽부 15 : 핀삽입구멍
16 : 걸어맞춤고정체 16a : 걸어맞춤고정체의 지지벽부
16b : 걸어맞춤고정체의 걸어맞춤편 19 : 한쪽벽부
21 : 플러그접속부 22 : 단자부
31 : 고정접편의 평판부 31a : 고정접점
32 : 고정접편의 단자 33 : 걸림클릭(고정수단)
41 : 가동접점 42 : 좌판부
43 : 가동접편의 단자 44 : 걸림편(고정수단)
(A) :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
본 고안은 라디오나 테이프레코더, 비데오카메라 등에 장비되는 전원소켓에 관한 것이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 일본국 실공소 60-20308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전원 소켓이 표시되어 있다.
이 전원소켓은 배선기판(도시생략)에 실장되는 속이 빈 중공의 보디(100)와, 보디(100)에 장착되는 커버(110)와, 플러그접속부(121)와 단자부(122)가 L자 모양을 이루도록 성형된 핀(120)과, 고정접편 및 가동접편(어느것이나 도시생략)을 구비하고 있으며, 보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핀(120)의 플러그접속부(121)와 상기 고정접편 및 가동접편이 보디(100)의 높이방향, 즉 당해 전원소켓을 배선기판(도시생략)에 실장한 경우에 그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A)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B)에 병렬상태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전원소켓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110)가 보디(100)의 후단부에 장착되고, 커버(110)와 보디(100)의 뒷벽부(101)에 각각 형성된 핀삽입구멍(111), (102)에 상기 핀(120)의 플러그접속부(121)가 압입되며, 또한 그 핀(120)의 단자부(122)가 상기 배선기판을 향해서 돌출되는 동시에, 그 단자부(122)에, 커버(110)에 형성된 L자형의 걸어맞춤고정체(130)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 보디(100)의 뒷벽부(101)에 인접해서 그 하부에 형성된 구멍트인 곳(개구부)(103)으로부터 삽입된 고정접편과 가동접편이 그 구멍트인 곳(103)에 연결되는 공간부(104)에 배치되고, 또한 그들의 접편으로부터 뻗어나온 단자(141), (142)가 보디(100)에 형성된 잘린 형상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105), (106)으로부터 보디(100)의 외부로 도출되고, 또한 상기 배선기판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이들 단자(141), (142)에는 상기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105), (106)에 끼워 넣어진 커버(110)의 돌출편(112)이 꽉 눌려져 있고, 이 돌출편(112)에 의해서 상기 접편이 보디(10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105)으로부터 도출된 단자(141)를 꽉누르고 있는 돌출편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전원소켓에 있어서, 핀(120)의 플러그접속부(121)에 대해서 플러그(도시생략)를 삽입하거나 빼거나 하면, 그 플러그에 의해서 가동접편이 변위되어서 가동접편의 가동접점이 고정접편의 고정접점에 대해서 분리, 접촉되어, 접점이 개폐동작한다.
그런데, 최근의 라디오나 비데오카메라 등과 같은 전기기기류에서는 그들을 소형화하고, 또한 다종다양한 기능성을 구비시키는 일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선기판에 각종 전기부품이나 전자부품을 지극히 높은 밀도로 실장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전원 소켓에 대해서도 그 외형치수를 가급적 짧게 함으로써 초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의 요망이 강하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원소켓은 구조상의 이유에서 외형치수(구체적으로는 안길이치수)를 짧게 하는 것의 제약이 컸었다.
즉, 종래의 전원소켓은 보디(100)의 내부에 핀(120)의 플러그접속부(121)와 고정접편 및 가동접편이 배선기판을 따른 면방향(A)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B)에 병렬상태로 배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핀(120)의 단자부(122)를 배선기판을 향해서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핀(120)의 플러그접속부(121)와 단자부(122)와의 경계의 코너부분(a)을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의 후단부보다도 뒤쪽(제 6 도 및 제 7 도에서는 위쪽)에 위치시키고, 그렇게 함으로써 배선기판을 향해서 돌출되는 핀(120)의 상기 단자부(122)가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핀(120)의 플러그접속부(121)는 보디(100)의 내부에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정해져 있으며, 그것을 무제한으로 짧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코너부분(a)의 적절한 배치위치를 확보하는 데는 그 플러그접속부(121)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하지 않을 수 없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또, 커버(110)는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의 단자(141), (142)를 꽉 눌려서 그들의 접편을 보디(100)에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불가결하고, 커버(110)를 생략하여 걸어 맞춤고정체(130)를 보디(100)에 직접 설치하여 둔다고 하는 구조는 채용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전원소켓 전체의 안길이치수 L'는 보디(100)의 안길이치수 D'와 걸어맞춤고정체(130)의 나온 폭치수 H'에 커버(110)의 두께치수 T'를 더한 길이가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원소켓에서는 핀(120)의 플러그접속부(121)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점과, 커버(110)가 불가결한 부품인 점이 전원소켓 전체의 안길이치수 L'를 짧게 해서 그 초소형화를 도모하는 일의 큰 제약으로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핀의 플러그 접속부의 길이를 짧게 해서 그 단자부가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에 접촉하는 일없이, 또한 커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이 보디에 고정되고, 또 보디가 얇은 두께로 되게 도모하여도 필요한 강도가 확보되도록 연구함으로써, 초소형화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한 전원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의한 본원 고안의 전원소켓은, 배선기판에 실장되는 속이 빈 보디와, 상기 보디의 앞단부면에 형성된 플러그삽입 또는 빼기용의 구멍트인 곳과, 상기 구멍트인 곳에 대향하는 상기 보디의 후단면의 부위에 형성된, 핀삽입구멍을 지닌 뒷벽부와, 상기 핀삽입구멍을 개재해서 상기 보디의 속이 빈 공간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접속부와 상기 뒷벽부를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소켓이 실장되는 배선기판을 향해 돌출해서 상기 뒷벽부 및 걸어맞춤편에 의해 지지되는 단자부가 L자모양을 이루도록 성형된 핀과, 고정접점을 지닌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로부터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배선기판을 향해 상기 보디로부터 돌출되는 단자를 지니고, 상기 핀에 대해서 상기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고정접편과, 상기 고정접편에 형성되어 상기 보디에 대해 상기 고정접편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대략 U자모양으로 성형된 금속편으로 이루어져 그 금속편의 일단부쪽에는 상기 고정접점과 분리 또는 접촉하는 가동접점이 형성되고 또한 그 금속편의 타단부쪽에는 상기 배선회로를 향해 상기 보디로부터 돌출되는 단자가 뻗어나온 좌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에 대해서 상기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접속부에 삽입되거나 그 플러그접속부로부터 빠지는 플러그에 의해 변위되어 상기 고정접점과 분리 또는 접촉되도록 구성된 가동접편과, 상기 가동접편에 형성되어 상기 보디에 대해 상기 가동접편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뒷벽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상기 단자부의 뒤쪽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단자부를 보디에 고정하며, 상기 뒷벽부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지지벽부 및 이 지지벽부로부터 상기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돌출된 걸어맞춤편을 지닌 걸어맞춤고정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핀은 그 플러그접속부의 근본부분이 상기 지지벽부에 접촉되고, 상기 고정접편은 그 평판부가 상기 보디의 밑벽부와 이 밑벽부에 대향하는 윗벽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지지벽에 대면 접촉되고, 상기 가동접편은 그 좌판부가 상기 밑벽부와 상기 윗벽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디의 한쪽벽부의 내면에 대면접촉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선기판에 실장되는 보디의 내부공간에, 핀의 플러그접속부와 고정접편과 가동접편이 상기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나란히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기판을 향해서 돌출된 핀의 단자부가 상기 면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에 대해서 겹치는 배치상태로 설치되어도 그 단자부가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핀의 플러그 접속부와 단자부와의 경계의 코너부분을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의 후단부보다도 뒤쪽에 위치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또,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은 그들에 형성된 고정수단을 개재해서 보디에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예에서 설명한 커버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보디의 후단부에 장착할 필요가 없다.
또한, 걸어맞춤고정체의 지지벽부가 핀의 플러그접속부의 근본부분과 고정접편의 평판부와의 사이에서 유지되고, 보디의 뒷벽부가 핀의 단자부에 의해서 백업되고, 보디의 한쪽벽부가 가동접편의 좌판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그들 지지벽부나 뒷벽부나 한족벽부가 보강된다. 그 때문에, 지지벽부나 뒷벽부나 한쪽을 얇은 두께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도모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원소켓의 제 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전원소켓의 횡단평면도, 제 3 도는 전원소켓의 배면도이다.
속이 빈 보디(1)는 절연성 수지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도시생략한 배선기판에 맞닿거나 대향해서 설치되는 밑벽부(11)에 배선기판에 대한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디(1)의 전단부면에 플러그삽입, 빼기용의 구멍트인 곳(13)이 형성되어 있는데 대하여, 그 후단부면의 구멍트인 곳(13)과의 대향부위에 뒷벽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뒷벽부(14)에는 원형의 핀삽입구멍(15)이 구비되어 있다.
제 2 도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뒷벽부(14)에는 L자모양의 걸어맞춤 고정체(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고정체(16)는 뒷벽부(14)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지지벽(16a)과, 상기 핀삽입구멍(15)의 축심위치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그 지지벽(16a)으로부터 옆으로 향하고, 즉 당해 전원 소켓을 배선기판에 실장한 때의 배선기판을 따른 면방향(A)으로 돌출된 걸어맞춤편(16b)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뒷벽부(14)와 지지벽부(16a)와 걸어맞춤편(16b)의 연결면(16c)은 후술하는 핀(2)의 단자부(22)의 둘레면형상과 일치하는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핀삽입구멍(15)의 축심위치에 대하여 위쪽으로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뒷벽부(14)와 상기 지지벽부(16a)와의 연결면(16d)이 핀(2)의 플러그접속부(21)의 둘레면형상과 일치하고, 또한 상기 핀삽입구멍(15)의 내면의 일부에 단차없이 연속된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이 돌출벽부(17)에 의해서 상기 지지벽부(16a)와 뒷벽부(14)가 보강되어 있다. 또, 보디(1)의 밑벽부(11)와 이 밑벽부(11)에 대향하는 윗벽부(18)에는 뒤쪽에 돌출한 돌출편부(11a), (18a)가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돌출편부(11a), (18a)의 내면에는 상기 보디(1)의 밑벽부(11) 및 윗벽부(18)에 도달하는 좁은 홈(11b), (18b)이 형성되고, 또 밑벽부(11)쪽의 돌출편부(11a)에는 상기 좁은 홈(11b)에 근접해서 잘린 홈(1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밑벽부(11)쪽의 상기 돌출편부(11a)는 상기 지지벽부(16a) 및 걸어맞춤편(16b)에 연결되어서 그들을 보강하고 있는 한편, 상기 윗벽부(18)쪽의 돌출편부(18a)는 상기 지지벽부(16a) 및 돌출벽부(17)에 연결 되어서 그들을 보강하고 있다.
보디(1)의 뒷벽부(14)와 보디(1)의 한쪽벽부(19)와의 사이에 구멍트인 곳(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밑벽부(11)와 윗벽부(18)에는 상기 한쪽벽부(19)에 접하는 부분에 좁은 홈(11d), (18d)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핀(2)은 플러그접속부(21)와 단자부(22)가 L자모양을 이루도록 성형되어 있다. 이 핀(2)은 제 2 도 및 제 3 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단자부(22)를 옆방향, 즉 상기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A)으로한 상태에서 플러그 접속부(21)를 상기 핀삽입구멍(15)에 압입상태로 삽입해서 단자부(22)를 상기 걸어 맞춤편(16b)과 돌출벽(17)과의 사이에 끼워 넣은 후, 제 3 도에 화살표 X로 표시한 바와 같이 90도 회전시켜서 단자부(22)를 상기 뒷벽부(14)와 상기 걸어맞춤편(16b)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서 그 단자부(22)를 당해 전원소켓이 실장되는 배선기판을 향해서 돌출시켜 둔다. 이렇게 해두면, 상기 연결면(16c)에 의해서 핀(2)의 되돌이회전이 방지되는 것과, 상기 플러그접속부(21)가 핀삽입구멍(15)에 압입되어 있는 것과, 상기 단자부(22)에 그 뒤쪽으로부터 걸어맞추어져 있는 걸어맞춤편(16b)에 의해서 핀(2)의 후퇴(바져나감)가 저지됨으로써 핀(2)이 확실히 보디(1)에 고정된 상태로 되고, 플러그접속부(21)에 플러그를 삽입할 때 등에 가해지는 압압력에 의해서 그 플러그접속부(21)가 상기 걸어맞춤편(16b)을 뒤쪽으로 휘게 하면서 후퇴한다고 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접편(3)은 그 소정장소에 설정된 고정접점(31a)를 구비한 평판부(31)의 후단부에 단자(32)가 뻗어나오고, 또한 상기 평판부(31)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걸림클릭(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접편(3)은 그 평판부(31)의 하단부와 상단부와 상기 보디(1)의 좁은 홈(11b), (18b)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단자(32)가 상기 보디(1)의 잘린 홈(11c)을 통해서 당해 전원소켓이 실장되는 배선기판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클릭(33)이 좁은 홈(18b)의 홈면으로 파고들므로써 고정접편(3)이 보디(1)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평판부(31)가 상기 지지벽부에 대면접촉되어 있다.
가동접편(4)은 금속편을 대략 U자모양으로 성형하여 필요한 가공을 실시한 것이고, 그 금속편의 일단부쪽에 가동접점(41)이 형성되고 또한 그 타단부쪽에 좌판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판부(42)에 단자(43)가 뻗어나오고, 또한 비스듬히 바깥방향으로 잘라세워진 걸림편(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접편(4)은 그 좌판부(42)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상기 보디(1)의 좁은 홈(11d), (18d)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단자(43)가 상기 보디(1)의 밑벽부(11)에 형성된 잘린 홈(11e)을 통해서 당해 전원소켓이 실장되는 배선기판을 향해서 돌출되어있는 동시에, 가동접점(41)이 가동접편(4)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고정접편(3)의 고정접점(31a)에 접속하고, 또 상기 걸림편(44)이 보디(1)의 한쪽벽부(19)에 형성된 단차부(19a)에 걸어맞춤함으로써 보디(1)에 고정되고, 또한 좌판부(42)가 상기 한쪽벽부(19)의 내면에 대면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도시생략)가 구멍트인 곳(13)으로부터 플러그접속부(21)에 삽입되면, 그 플러그에 의해서 가동접편(4)이 그 탄성에 대향하여 변위해서 가동접점(41)이 고정접점(31a)으로부터 분리된다. 반대로, 플러그(도시생략)를 플러그접속부(21)로부터 빼내면, 가동접편(4)이 그 탄성에 의해 복원해서 가동접점(41)이 고정접점(31a)에 접촉된다.
이 전원소켓에 있어서, 제 2 도 및 제 3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핀(2)과 고정접편(3)과 가동접편(4)과는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A)에 있어서 겹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핀(2)의 단자부(22)는 고정접편(3)이나 가동접편(4)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 7 도에서 설명한 종래예와 비교하면, 핀(2)의 플러그접속부(21)와 단자부(22)와의 경계의 코너부(a)를 고정접편(3)이나 가동접편(4)의 뒤쪽에 위치시킬 필요가 없으며, 그만큼 플러그접속부(21)의 길이가 짧게 된다. 또, 고정접편(3)이나 가동접편(4)은 그들에 구비된 걸림클릭(33)이나 걸림편(44)과 고정수단에 의해서 보디(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예에서는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을 보디(100)에 고정하는데 불가결하였던 커버(110)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 때문에 제 2 도에 표시한 전원소켓 전체의 안길이치수 L이 종래예의 L'보다도 짧게 되고, 초박형(超薄型)의 전원소켓으로 된다. 동시에 전원 소켓전체의 박형화도 달성된다.
또, 제 2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고정체(16)의 지지벽부(16a)가 핀(2)의 플러그접속부(21)의 근본부분과 고정접편(3)의 평판부(31)에 의해 끼워져서 보강되고, 또 보디(1)의 한쪽벽부(19)에 가동접편(4)의 좌판부(42)가 대면접촉해서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지지벽부(16a)나 한쪽벽부(19)를 얇게 해도 필요한 강도가 용이하게 확보된다. 따라서, 얇은 두께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분만큼 가로폭치수를 짧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서 초소형화가 한층 촉진된 전원소켓으로 된다.
제 4 도 및 제 6 도는 고정접편(3)의 평판부(31)의 후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옆방향으로 판자형상부(34)를 돌출시키고, 이 판자형상부(34)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 고정체(16)와 돌출벽부(17)의 후단부면을 백업시킨 제 2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걸이맞춤고정체(16)의 걸어맞춤편(16b)이 상기 판자형상부(34)에 의해서 보강되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편(16b)을 얇은 두께로 해서 전원소켓전체의 안길이치수 L을 더 짧게 해도, 핀(2)의 플러그접속부(21)에 플러그를 삽입할 때 등에 가해지는 압압력에 의해서 그 플러그접속부(21)가 상기 걸어맞춤편(16b)을 뒤쪽으로 휘게 하면서 후퇴한다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제 4 도 및 제 5 도에 있어서, 고정접편(3)에 판자형상부(34)를 설치하고 있는 점 이외에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주요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각 부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핀의 플러그접속부의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종래에는 필요하였던 커버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전원소켓 전체의 안길이치수가 종래예보다도 짧은 초소형화된 전원소켓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그에 더하여,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보디의 뒷벽부나 한쪽벽부나 걸어맞춤고정체의 지지벽부가 전원소켓에 본래 필요한 부재인 고정접편이나 가동접편이나 핀에 의해서 보강되기 때문에, 사용부품의 수를 증대시키는 일없이 전체강도가 향상된다. 이것은 바꿔 말하면, 보디의 뒷벽부나 한쪽벽부나 걸어맞춤고정체의 지지벽부를 종래예보다 얇은 두께로 해도 필요한 강도가 확보된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와 같은 얇은 두께로 함으로써 전원소켓의 외형치수를 짧게 하여 그 초소형화가 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핀의 플러그 접속부와 고정접편과 가동접편과의 배치에 관계되는 특유의 구성과, 보디의 뒷벽부나 한쪽벽부나 걸어맞춤 고정체의 지지벽부의 얇은 두께로 하는 것을 도모하는 일이 가능한 특유의 구성에 의해서 한층 초소형화된 전원소켓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

  1. 배선기판에 실장되는 속이 빈 보디(1)와, 상기 보디의 앞단부면에 형성된 플러그삽입 또는 빼기용의 구멍트인 곳(13)과, 상기 구멍트인 곳(13)에 대향하는 상기 보디의 후단면의 부위에 형성된, 핀삽입구멍(15)을 지닌 뒷벽부(14)와, 상기 핀삽입구멍(15)을 개재해서 상기 보디의 속이 빈 공간으로 삽입되는 플러그접속부(21)와 상기 뒷벽부를 따라 연장되는 동시에 소켓이 실장되는 배선기판을 향해 돌출해서 상기 뒷벽부 및 걸어맞춤편(16b)에 의해 지지되는 단자부(22)가 L자모양을 이루도록 성형된 핀(2)과, 고정접점(31a)을 지닌 평판부(31) 및 상기 평판부(31)로부터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배선기판을 향해 상기 보디로부터 돌출되는 단자(32)를 지니고, 상기 핀(2)에 대해서 상기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고정접편(3)과, 상기 고정접편에 형성되어 상기 보디에 대해 상기 고정접편을 고정하는 고정수단(33)과, 대략 U자모양으로 성형된 금속편으로 이루어져 그 금속편의 일단부쪽에는 상기 고정접점(31a)과 분리 또는 접촉하는 가동접점(41)이 형성되고 또한 그 금속편의 타단부쪽에는 상기 배선회로를 향해 상기 보디로부터 돌출되는 단자(43)가 뻗어나온 좌판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에 대해서 상기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접속부(21)에 삽입되거나 그 플러그접속부로부터 빠지는 플러그에 의해 변위되어 상기 고정접점(31a)과 분리 또는 접촉되도록 구성된 가동접편(41)과, 상기 가동접편에 형성되어 상기 보디에 대해 상기 가동접편을 고정하는 고정수단(44)과, 상기 뒷벽부(14)상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상기 단자부의 뒤쪽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단자부를 보디에 고정하며, 상기 뒷벽부(14)상에 형성되어, 상기 핀의 상기 단자부의 뒤쪽에 걸어맞춤되어 상기 단자부를 보디에 고정하며, 상기 뒷벽부(14)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지지벽부(16a) 및 이 지지벽부로부터 상기 배선기판의 면을 따른 방향으로 돌출된 걸어맞춤편(16b)을 지닌 걸어맞춤고정체(1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2)은 그 플러그접속부(21)의 근본부분이 상기 지지벽부(16a)에 접촉되고, 상기 고정접편(3)은 그 평판부(31)가 상기 보디(1)의 밑벽부와 이 밑벽부에 대향하는 윗벽부에 형성된 홈(11b),(18b)에 삽입되어서 상기 지지벽부(16a)에 대면접촉되고, 상기 가동접편(4)은 그 좌판부(42)가 상기 밑벽부와 상기 윗벽부에 형성된 홈(11d), (18d)에 삽입되어서 상기 보디(1)의 한쪽벽부(19)의 내면에 대면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소켓.
KR2019900015571U 1989-10-12 1990-10-12 전원소켓 KR9400022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119276U JPH0753264Y2 (ja) 1989-10-12 1989-10-12 電源ソケット
JP119276(U) 1989-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222Y1 true KR940002222Y1 (ko) 1994-04-11

Family

ID=1475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5571U KR940002222Y1 (ko) 1989-10-12 1990-10-12 전원소켓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07851A (ko)
JP (1) JPH0753264Y2 (ko)
KR (1) KR9400022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3681B1 (fr) * 1991-11-08 1994-02-11 Souriau Cie Connecteur electrique pour cable, a auto-bouclage.
DE4212150A1 (de) * 1991-11-12 1993-05-13 Amphenol Tuchel Elect Chipkartenlesegeraet mit einem endlagenschalter
GB9126802D0 (en) * 1991-12-18 1992-02-19 Re An Products Limited Electrical socke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421189A (en) * 1994-01-21 1995-06-06 Ciba Corning Diagnostics Corp.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electrochemical sensors
JP3064906B2 (ja) * 1996-06-12 2000-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US5741146A (en) * 1996-10-29 1998-04-21 The Whitaker Corporation Coaxial switch
JP3262018B2 (ja) * 1997-04-16 2002-03-04 ホシデン株式会社 電源ジャック
JP3551770B2 (ja) * 1998-01-13 2004-08-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US5980330A (en) * 1998-03-23 1999-11-09 Micro Contacta Inc. Snap fit contact assembly
FR2781919B1 (fr) * 1998-07-31 2000-09-01 Itt Mfg Enterprises Inc Interrupteur electrique, du type normalement ferme
FR2785097B1 (fr) * 1998-10-27 2001-03-23 Jia Sheng Lin Systeme de connexion ameliore d'un connecteur male et d'un connecteur femelle
US6676423B1 (en) * 1999-04-30 2004-01-13 Stewart Connector Systems, Inc.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electrostatic discharge upon insertion of a mating connector
DE19936848C1 (de) * 1999-08-05 2000-11-16 Framatome Connectors Int Kurzschlußkontaktträger für einen Steckansatz eines Zündersockels
TW476466U (en) * 2000-09-29 2002-0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SG105507A1 (en) * 2001-09-04 2004-08-27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TW542455U (en) * 2001-12-26 2003-07-11 Hon Hai Prec Ind Co Ltd Power connector
JP2004158242A (ja) * 2002-11-05 2004-06-03 Alps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電源供給装置
TWM267682U (en) * 2004-09-17 2005-06-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278863B1 (en) * 2006-04-26 2007-10-0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Receptacle connector
CN201072836Y (zh) * 2007-06-15 2008-06-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2183474U (zh) * 2011-07-01 2012-04-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008A (en) * 1980-04-01 1982-05-11 Braginetz Paul A High density connector module with tri-paddle contact elements
JPS5757035U (ko) * 1980-09-19 1982-04-03
JPS5928623Y2 (ja) * 1981-06-24 1984-08-17 昭和無線工業株式会社 ジヤツク
US4832614A (en) * 1987-12-22 1989-05-23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unt
NL8802434A (nl) * 1988-10-05 1990-05-01 Philips Nv Verbindingsorgaan.
JPH0425830Y2 (ko) * 1988-12-21 1992-06-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60779U (ko) 1991-06-14
US5007851A (en) 1991-04-16
JPH0753264Y2 (ja) 199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222Y1 (ko) 전원소켓
KR950003111Y1 (ko) 플랫 전기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7140896B2 (en) Connector
JP2591579Y2 (ja) コネクタ装置
EP0746062B1 (en) Surface engageable electrical connector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JP2003197323A (ja) オーディオジャック
JP3251849B2 (ja) シールド型コネクタ
JP2000113948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EP0251515A2 (en) Hinge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146177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ing device
US20010002346A1 (en) Battery connector
JP2001291547A (ja) 電気コネクタ
JPH09306576A (ja) バッテリィ用端子
US6406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mpression terminal module therein
JP3194215B2 (ja) 電気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とその嵌合保持力調整方法
US615277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liably secured shield
US6146172A (en) Electrical connector
JP3069636B2 (ja) コネクタ
JP2001357900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2042937A (ja) 電気コネクタ
JP4044822B2 (ja) コネクタ
JP3087810B2 (ja) 多極平形コネクタプラグ
JPH11185898A (ja) ライトアングルコネクタ
US20050112917A1 (en) Terminal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