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2270B1 -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2270B1
KR930012270B1 KR1019930002723A KR930002723A KR930012270B1 KR 930012270 B1 KR930012270 B1 KR 930012270B1 KR 1019930002723 A KR1019930002723 A KR 1019930002723A KR 930002723 A KR930002723 A KR 930002723A KR 930012270 B1 KR930012270 B1 KR 930012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using
sheet member
forming apparatu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오 고야마
Original Assignee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Manual Feeding Of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한 구체예로서 형성장치본체로부터 공급유닛체를 이탈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장치본체의 일부를 제1도의 오른쪽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장치본체에 공급유닛체를 장착한 상태로 나타낸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형성장치본체 4 : 공급유닛체
6 : 하우징 8 : 하부하우징
12 : 개폐하우징 18 : 회전드럼
22 : 대전용 코로나방전기 24 : 현상장치
26 : 전사용 코로나방전기 32 : 전사구역
38 : 광학유닛 56 : 반송기구
70 : 수동공급수단 72 : 자동공급수단
146 : 공급하우징 156 : 카세트
160 : 송출개구 164 : 테이블
178 : 안내돌출편 182 : 도입개구
본 발명은 레이저빔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레이저빔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반송경로를 통해서 반송되는 사이에 기록지와 같은 시트부재의 표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형성장치본체와, 그 형성장치본체의 반송경로에 시트 부재를 공급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형성장치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급유닛체를 포함하는 것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형성장치본체는 표면에 감광체를 가진 회전드럼과 같은 상담지수단(image bearing means)과, 감광체의 표면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수단과, 전사구역에 배치된 전사수단과 기록지와 같은 시트부재를 전사구역을 통해서 반송하는 반송경로를 규정하는 반송기구와 시트부재를 하우징에 규정된 도입개구를 통해서 반송기구에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공급수단은 도입개구에 배치된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으며, 테이블 위에 위치결정된 시트부재는 그 위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도입개구를 통해서 하우징내에 규정된 반송경로에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유닛체는 시트부재를 1매씩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을 구비하며, 그 공급수단에서 공급된 시트부재가 공급하우징에 규정된 송출개구를 통해서 공급하우징 밖으로 송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공급수단의 테이블을 형성장치본체에서 분리하고 이 테이블 대신 공급유닛체를 장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공급유닛체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조작이 비교적 번잡한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조작으로 공급유닛체를 장착할 수 있는 개량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한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해서 레이저빔프린터와 같은 도시한 화상형성장치는 전체를 번호(2)로 표시한 형성장치본체와, 번호(4)로 표시하는 공급유닛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 공급유닛체(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형성장치 본체(2)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된다.
[장치본체의 개요]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형성장치본체(2)는 직육면체형상의 장치하우징(6)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6)은 하부하우징(8),상부하우징(10) 및 개폐하우징(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하우징(12)은 지지축(14) (제2도)를 중심으로해서 패쇄위치(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내는 위치)와 개폐위치의 사이를 선회할 수 있게 상부하우징(10)이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6)의 거이 중앙부에는 프로세스유닛(15)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프로세스유닛(15)은 하우징(6)내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는 유닛틀(16)을 구비하며, 이 유닛틀(16)에 상담지수단을 구성하는 회전드럼(18)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럼(18)의 주위표면에는 정전사진 감광체가 배치되어 있다.
화살표(2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드럼(18)의 주위에는 대전용코로나 방전기(22), 현상장치(24), 전사수단을 구성하는 전사용코로나 방전기(26) 및 크리닝장치(28)가 배치되며, 대전용코로나방전기(22), 현상장치(24) 및 크리닝장치(28)가 상기 유닛틀(16)에 장착되어 있다.
대전용코로나 방전기(22)는 회전드럼(18)위의 감광체를 특정극성으로 대전한다.
현상장치(24)는 자기브러쉬기구(30)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서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한다.
또한, 전사구역(32)에 배치된 전사용코로나 방전기(2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송경로(69)를 통해서 반송되는 시트부재의 뒷면에 코로나 방전을 실시한다.
크리닝장치(28)는 감광체표면에 작용하는 탄성블레이드(34)를 구비하여, 감광체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해서 토너회수실(36)에 회수한다.
하우징(6)내의 상부, 즉, 프로세스유닛(15)의 위쪽에는 광학유닛(38)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광학유닛(38)은 상자모양의 유닛하우징(4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하우징(40)내에는 레이저광원(도시생략), 소정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다면경(42), 제1의 결상렌즈(44), 제2의 결상렌즈(46), 제1의 반사경(48), 제2의 반사경(50) 및 원통형렌즈(52)가 배치되어 있다.
레이저광원(도시생략)은 예를들면 컴퓨터에서 출력된 화상정보에 의한 레이저광을 회전다면경(42)를 향해서 조사한다.
회전다면경(42)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은 제1도에 실선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결상렌즈(44) 및 제2의 결상렌즈(46)를 지나서 제1의 반사경(48)에 이르고, 이 제1의 반사경(48) 및 제2의 반사경(50)에 반사된 후 다시 원통형렌즈(52)를 지나서 투사구역(54)에서 회전드럼(18)의 표면에 투사된다.
하우징(6)내의 하부, 즉 프로세스유닛(15)의 아래쪽에는 전체를 번호(56)으로 나타내는 반송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반송기구(56)는 한쌍의 반송롤러(58), 안내판(60), 안내판(62), 한쌍의 장차롤러(64), 안내고리(66) 및 한쌍의 반송롤러(68)를 구비하고, 이들에 의해 기록지와 같은 시트부재를 반송하는 반송경로(69)의 주요부를 규정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반송경로(69)의 상류단부는 2개로 부기되어 있으며, 그 한쪽은 직선형으로 오른쪽으로 뻗어있으며, 그 상류단부에는 수동공급수단(70)이 배치되어 있고, 그 다른쪽은 만곡해서 아래쪽으로 뻗으며, 그 상류단부, 즉, 상세하게는 반송기구(56)의 아래쪽이며, 하우징(6)내의 저부에는 자동공급수단(72)이 배치되어 있다.
자동공급수단(72)는 시트부재가 적충상태에 장전되는 카세트(8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카세트(84)는 장치하우징(6), 즉, 상세하게는 하부하우징(8)의 좌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86)를 통해서 장치하우징(6)의 저부에 규정된 카세트받이부(88)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카세트 받이부(88)의 위쪽에는 공급롤러(9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롤러(90)가 화살표(9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카세트(84)내의 시트부재가 1매씩 송출되며, 이렇게 송출된 시트부내는 하부하우징(8)의 직립벽부(94)에 형성된 안내돌조(96) 및 벽(98)에 형성된 안내돌조(100)에 안내 되어서 반송롤러(58)에 인도된다.
또한 수동송급수단(79)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반송경로(69)의 하류단부도 둘로 분기되어 이쓰며, 이에 관련해서 개폐하우징(12)의 일부, 즉 개폐커버(102)가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의 위치와 제1도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제2의 위치의 사이를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개폐커버(102)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때에는 한쌍의 반송롤러(68)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부재는 다시 위쪽으로 반송되어, 개폐커버(102)와 개폐하우징(12)의 벽(104)의 사이를 지나서 한쌍의 배출롤러(106)으로 인도되며, 이 한쌍의 배출롤러(106)의 작용에 의해 장치하우징(6)의 상면에 설치된 받이부(109)에 배출된다.
한편 개폐커버(102)가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한쌍의 반송롤러(68)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부재는 위쪽으로 반송되는 일없이 직접하우징(6)밖으로 배출되어 개폐커버(102)의 내면(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상면)에 받아들여진다.
구체적인예에 있어서의 받이부(108)는 상기벽(104) 및 그 벽(104)의 하단부에서 제1도에서 오른쪽으로 향해서 위로 경사지게 뻗는 경사윗벽(110)에 의해 규정되며, 한쌍의 배출롤러(106)의 작용에 의해 배출된 시트부재는 경사윗벽(110)의 상면에 받아 들여지며, 상기한 벽(104)에 의해 그 후단부가 가지런히 정돈된다.
이 받이부(108)의 상단부, 바꾸어 말하면 경사윗벽(110)의 상단부에는 보조받이체(112)가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보조받이체(112)는 플레이트형부재(114)로 구성되며, 플레이트형부재(114)의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16) (제1도 및 제3도에 한쪽만을 표시)가 핀(118)을 통해서 경사윗벽(110)의 상단부에 화살표(120) 및 (122) (제1도)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형 부재(14)의 한쪽면(제1도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오른쪽면)에는 한쌍의 지지돌조(124)(제2도)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받이체(112)는 사용시, 즉, 시트부재를 받아들일 때에는 제1도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위치에 위치결정되면 1쌍의 지지돌조(124)가 개폐하우징(12)의 윗벽(126)에 맞닿으므로서 화살표(12)로 타나내는 방향의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상기한 제1의 위치에 있을때에는 플레이트형부재(114)의 다른면은 경사윗벽(110)의 상단부로부터 제1도에서 오른쪽을 향해서 위로 경사지게 뻗는다. 또한 보조받이체(112)는 불사용시, 즉, 받이부(108)에 수납할 때에는 보조받이체(112)를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제3도에 표시), 제2의 위치에 위치결종되면 플레이트형부재(114)의 기부가 경사윗벽(110)의 일부에 맞닿으므로서 화살표(122)로 나타내는 방향의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상기한 제2의 위치에 있을때에는 플레이트형부재(114)는 경사윗벽(110)의 상단부 윗쪽에서 이것에 거의 평행하게 뻗으며, 이렇게해서 보조받이체(112)는 상부받이부(108)의 상부에 필요한 대로 수납된다.
개폐하우징(12)에는 상기 받이부(108)를 덮기위한 커버체(128)가 정착되어 있다(제2도에서는 커버체128를 도시생략함).
도시한 커버체(128)는 거의 플레이트형이며, 대략 중앙부가 양간 구부러져 있다.
이 커버체(128)의 기부 양단부에는 돌기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기부(130)가 핀(132)을 통해서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제1도와 제3도에서는 그들의 한쪽만을 표시). 또한 커버체(128)의 자유단부에는 정지부(134)가 설치되며, 그 정지부(134)의 선단부에는 파지돌출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파지 돌출부(136)를 손으로 파지해서 화살표(138)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선회시키므로서, 커버체(128)를 제1도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개방위치로 할 수가 있다.
이렇게 개방위치로하면, 커버체(128)가 거의 수직하게 위쪽으로 뻗어서 받이부(108)의 위쪽을 개방하여, 보조받이체(112)의 상기 선회운동이 허용된다.
또한, 상기한 파지돌출부(136)를 손으로 파지해서 화살표(140)로 나타낸 방향으로 선회시키므로서, 이 커버체(128)를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위치에 위치결정되면 커버체(128)의 정지부(134)가 개폐하우징(12)의 위벽(142)에 맞닿으므로서 화살표(140)로 나타내는 방향의 선회운동이 저지된다.
이렇게 폐쇄위치로 하면, 이 커버체(128)가 받이부(108)의 위쪽을 덮어서, 받이부(108)에 먼지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된다.
그리고 커버체(128)를 폐쇄위치시키는 데에는 보조받이체(112)를 상기 제2의 위치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장치본체(2)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드럼(18)이 화살표(20)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대전용코로나 방전기(22)가 회전드럼(18)의 감광체를 대전하고, 이어서 투사구역(54)에서 광학유닛(38)의 레이저광원(도시생략)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을 감광체위에 투사되어, 감광체표면에 화상정보에 대응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런후에 현상장치(24)의 자기브러쉬기구(30)가 감광체위의 정전잠상에 토너를 처리하여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형성하며, 이렇게해서 대전용코로나 방진기(22), 광학유닛(38) 및 현상장치(24)로 이루어진 화상형성 수단의 작용에 의해 회전드럼(18)위에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수동공급수단(70)에서 공급된 시트부재(또는 급지 유닛체(4)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입된 시크부재) 또는 자동공급수단(72)에서 공급된 시트부재가 반송경로(69)의 전사구역(32)에서 감광체에 접촉되어, 전사용코로나 방전기(26)의 작용에 의해 감광체위의 토너상에 시트부재에 전산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부재는 회전드럼(18)에서 박리되고, 이어서 한쌍의 정착롤라(64)으로 반송되며, 한쌍의 장착롤러(64)의 작용에 의해 토너상이 시트부재의 표면에 정착된다.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부내는 한쌍의 반송롤러(68)에 반송되며, 개폐커버(102)가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대로 개폐커버(102)이에 배출된다.
시트부재가 상기 개폐커버(102)위에 배출될때에는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된 면을 위로해서 배출된다.
이에 대해, 개폐커버(102)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때에는 한쌍의 반송롤러(68)에 반송된 시트부재는 개폐커버(102)와, 벽(104)의 사이를 지나서 다시 위쪽으로 반송되어 한쌍의 배출롤러 (106)의 작용에 의해 개폐하우징(12)에 설치된 받아부를 행해서 배출된다.
시트부재가 상기 받이부(108)을 향해서 배출될 때에는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상이 형성된 면을 아래로 해서 배출된다.
또한 시트부재가 이와같이 받이부(108)에 배출될 때에는 커버체(128)는 상기 개방위치로 유지되고, 또한 보조받이체(112)는 상기 제1의 위치에 유지된다.
[공급유닛체의 개요]
다시 제1도를 참조해서 도시한 공급유닛체(4)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급유닛체(4)는 거의 직육면체 형상의 공급하우징(146)을 구비하며, 이 공급하우징(146)에 공급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공급수단은 공급하우징(146)내에 규정된 카세트받이부(148)을 포함하며, 카세트 받이부(148)의 위쪽에는 화살표(150)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공급롤러(152)가 배치되어 있다.
공급하우징(146)의 제1도에서 오른쪽면에는 장착개구(154)가 규정되어 있으며, 상자모양의 카세트(156)는 상기 장착개구(154)를 통해서 카세트 받이부(148)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카세트(156)내에는 스프링과 같은 치우침수단(도시생략)의 작용에 의해 후단부를 지지점으로 해서 위쪽으로 치우치는 탑재판(158)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탑재판(158)위에 적층상태에의 시트부재가 필요한 대로 장전된다.
한편, 공급하우징(146)의 제1도에서 왼쪽면에는 송출개구(160)가 규정되어 있다.
상기 송출개구(160)와 카세트받이부(148)의 사이에는 송출경로를 규정하는 1상의 안내편(16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공급유닛체(4)에 있어서, 공급롤러(152)가 화살표(150)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카세트(156)내의 최상위의 시트 부재가 공급롤러(152)의 작용에 의해 카세트(156)내에서 공급되고, 이와같이 공급된 시트부재는 1쌍의 안내판(162)사이를 지나, 송출개구(160)에 반송되어 상기 송출개구(160)를 통해서 급지하우징(146)밖으로 송출된다.
[수동공급수단 및 공급유닛체의 장착 및 이탈조작]
다음에 장치본체(2)에 있어서의 수동공급수단(7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수동공급수단(70)은 수동용 테이블(164)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164)은 플레이트형의 테이블본체(166)를 구비하고, 테이블본체(166)의 양측단부에는 측벽(168)이 설치되어 있다(제2도 참조).
상기한 측벽(168)의 내면은 시트부재를 삽입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으로서 작용한다.
측벽(168)의 일단부(시트부재의 삽입방향 하류단부이며, 제1도에서 좌단부)에는 제1도에서 좌측으로 돌출하는 지지돌출부(170)가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한 지지도출부(170)가 지지된(172)를 통해서 개폐하우징(12)의 하단부, 즉 상세하게는 개폐하우징(12)의 우측벽(174)의 내면에 장착된 브래킷부재(도시생략)에 선회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는 테이블본체(166)의 기부(시트부재의 삽입방향 하류단부)에는 이 테이블본체(166)에서 거의 수직으로 뻗는 접합부(176)가 설치되며, 상기 접합부(176)가 설치되며, 상기 접합부(176)의 선단부에는 또 안내돌출편(178)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동공급수단(70)에 의해 시트부재를 공급할 때에는 테이블(164)은 제1도에 나타내는 공급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테이블(164)을 화살표(180)로 나타내는 아래쪽으로 선회시키면, 테이블(164)의 접합부(176)이 하부하우징(8)의 벽(98)에 맞닿으므로서 테이블(164)은 상기 공급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기한 공급위치에 있을때에는 테이블본체(166)의 윗면은 장치하우징(6)의 우측면에 규정된 도입개구(182), 즉, 상세하게는 하부하우징(8)의 벽(98)과 상부 개폐하우징(12)의 벽(174)의 사이에 규정된 도입개구(182)를 향해서 거의 수평으로 뻗는다.
따라서, 테이블본체(166)의 윗면에 시트부재를 위치결정하는 측벽(168)의 내면을 따라 이동시키면, 이 시트부재는 상기도입 개구(182)를 통해서 장치하우징(6)내에 도입된다.
그리고 이렇게 도입된 시트부재는 벽(98)에 형성된 안내돌조(100)의 상부 가장자리와 안내판(184)의 사이를 지나서 반송경로(69)로 공급되고, 상기 반송경로를 통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된다.
한편, 상기한 수동공급수단(70)의 불사용시에 있어서 테이블(164)을 수납할때에는 테이블(164)은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된다.
테이블(164)을 화살표(186)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상기 공급 위치에서 거의 90도 위쪽으로 선회시키면, 테이블(164)의 측벽(168)의 상부 가장자리가 개폐하우징(174)에 맞닿으므로서 테이블(164)은 상기 수납위치에 유지된다.
상기한 수납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164)이 실질상 개폐하우징(12)의 벽(174)을 따라 거의 수직하게 바로 위쪽으로 뻗어서 벽(174)의 외측에 필요한 대로 수납된다.
상기 테이블(164)을 이와같이 수납위치시키면, 제2도와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164)의 아래쪽, 즉, 테이블(164)의 접합부(176)의 하측에서 도입개구(182)가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인 예에서는 테이블(164)이 상기 공급위치와 상기 수납위치의 사이를 선회할 수 있게 한 것에 관련하여, 공급유닛체(4)가 장치하우징(6)에 있어서의 도입개구(182)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공급유닛체(4)를 장착하는데에는 테이블(164)를 상기와 같이 상기 수납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이어서 공급유닛체(4)를 화살표(188)(제1도)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3도에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그런후에 해제가능한 로크수단(도시생략)에 의해 형성 장치본체(2)와 공급유닛체(4)를 상호연결하면 된다.
상기, 로크수단(도시생략)으로서는 장치본체(2)의 일부에 결합되는 로크위치와 상기 결합이 해제하는 비로크위치의 사이를 선회할 수 있는 예를들면 결합부재를 구비한 것이면 된다.
이와같이 공급유닛체(4)를 장착하면,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하우징(146)에 규정된 송축개구(160)가 테이블(164)의 아래쪽에서 외부로 노출된 도입개구(182)에 접속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송출개구(160)에서 송출된 시트부내는 상기 도입개구(182)를 통해서 장치하우징(6)내의 도입되어, 안내돌조(100)의 위가장자리 및 안내판(184) 사이를 통해서 반송경로(69)에 공급된다.
또한, 이렇게하면 테이블(164)의 제3도에서 밑가장자리, 즉, 접합부(176) 및 안내돌출편(178)와 공급하우징(146)의 위벽(190)의 일부(190a)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 이러한 공간의 좌단부도 상기 도입개구(182)에 접속되고, 송출개구(160)도 도입개구(182)의 하부에 접속되고, 상기 공간은 도입개구(182)의 상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형성된 공간은 시트부재를 수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삽입개구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삽입개구를 통해서 삽입되는 시트부재는 위벽(190)의 일부(190a)와 안내돌출편(178) 및 접합부(176)의 사이에 안내되어, 도입개구(182)를 통해서 반송경로(69)에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유닛체(4)를 제거하는 데에는 로크수단(도시생략)에 의한 로크를 해재한 후 공급유닛체(4)를 화살표(188)로 나타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수동공급수단(70)을 사용할 때에는 테이블(164)을 상기 수납위치에서 상기 공급위치로 하면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테이블(164)를 분리하는 일없이 수납위치에 위치결정 하므로서 공급유닛체(4)의 장착이 허용되고, 이것에 관련해서 공급유닛체(4)의 장착 및 이탈을 위한 조작이 대단히 간단하고도 용이한 것이다.

Claims (3)

  1. 시트부재를 반송하는 반송경로(69)와 시트부재를 장치하우징(6)에 규정된 도입개구(182)를 통해서 상기 반송경로(69)에 공급하기 위한 수동공급수단(70)을 구비한 형성장치본체(2)와, 공급하우징(146)에 규정된 송출개구(160)을 통해서 시트부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형성장치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공급유닛체(4)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수동공급수단(70)은 공급위치와 수납위치의 사이를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테이블(164)를 구비하며, 상기한 테이블(164)은 상기 공급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입개구(182)를 향해 뻗어서 그 상면에 위치결정된 시트부재를 상기 도입개구(182)를 통해서 상기 반송경로(69)에 인도하며, 상기 수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장치하우징(6)을 따라 위치해서 도입개구(182)를 외부로 노출시키며, 상기한 공급유닛체(4)는 상기 테이블(164)이 상기 수납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형성장치본체(2)에 부착이 허용되어 상기 형성장치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면, 상기 공급하우징(146)의 상기 송출개구(160)가 상기 도입개수(182)에 접속되며, 이렇게 해서 상기 공급수단의 작용에 의해 상기 송출개구(160)를 통해서 송출된 시트부재는 상기 도입개구(182)를 통해서 상기 반송경로(69)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테이블(164)은 거의 수평으로 뻗는 상기 공급위치와 상기 공급위치에서 윗쪽으로 거의 90도 선회하여 거의 수직으로 뻗는 상기 수납위치의 사이를 선회가능하게 하며, 상기 테이블(164)을 그 수납위치로하면 상기 테이블(164)의 아래쪽으로 상기 도입개구(182)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테이블(164)의 기부에는 안내돌출편(17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블(164)을 상기 수납위치에서 위치결정한 후, 상기 공급유닛체(4)를 상기 형성장치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면, 상기 공급하우징(146)의 위벽의 일부와 상기 안내돌출편(178) 사이에 시트부재를 상기 도입개구(182)를 통해서 상기 반송경로(69)로 인도하기 위한 삽입개구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30002723A 1987-11-10 1993-02-26 화상 형성장치 KR930012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282201 1987-11-10
JP62282201A JP2551438B2 (ja) 1987-11-10 1987-11-10 画像形成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797A Division KR930006449B1 (ko) 1987-11-10 1988-11-10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270B1 true KR930012270B1 (ko) 1993-12-28

Family

ID=1764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723A KR930012270B1 (ko) 1987-11-10 1993-02-26 화상 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51438B2 (ko)
KR (1) KR930012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1265B2 (ja) * 1990-03-09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1489Y2 (ko) * 1973-05-18 1978-10-06
JPH0348107Y2 (ko) * 1984-12-19 1991-10-15
JPS61267630A (ja) * 1985-05-21 1986-11-27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記録装置の給紙装置
JPS62230538A (ja) * 1986-03-29 1987-10-09 Mita Ind Co Ltd 複写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51438B2 (ja) 1996-11-06
JPH01127528A (ja) 198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354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assembly having a top frame adapted to swing open and closed with respect to a bottom frame and having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ed in the main assembly
US7349649B2 (en)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898391B2 (en) Process cartridge, electric contac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4702587A (en) Shell-type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KR930006449B1 (ko) 화상형성장치
US5157416A (en) Laser scanner protecting mechanism
JPH1020595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930002014B1 (ko) 화상 형성장치
JP2000231321A (ja) 画像形成装置
KR930012270B1 (ko) 화상 형성장치
JP2898332B2 (ja) 電子写真装置
JPH09292811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S62209546A (ja) 電子写真装置
JPH06138799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H0622856Y2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JPH0822705B2 (ja) 画像生成装置
JP2514381B2 (ja) 画像形成装置
KR930012268B1 (ko) 화상 형성장치
JP2000187430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930012269B1 (ko) 화상 형성장치
JPH0778667B2 (ja) 画像形成装置
JP2632326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2913Y2 (ko)
JPH0545940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8374A (ja) 画像読取印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