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218B1 - 운반차의 포대화물의 적재방법 - Google Patents

운반차의 포대화물의 적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218B1
KR930011218B1 KR1019890011106A KR890011106A KR930011218B1 KR 930011218 B1 KR930011218 B1 KR 930011218B1 KR 1019890011106 A KR1019890011106 A KR 1019890011106A KR 890011106 A KR890011106 A KR 890011106A KR 930011218 B1 KR930011218 B1 KR 93001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gage
bag
distance
load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611A (ko
Inventor
가즈야 히사에
요시오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닛꼬오 가부시끼가이샤
히가시다 하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378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865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4131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98580B2/ja
Application filed by 닛꼬오 가부시끼가이샤, 히가시다 하쓰오 filed Critical 닛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운반차의 포대화물의 적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운반차용의 포대화물의 적재장치의 일부 절결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불출부의 링크의 일부 절결 확대도.
제4도 내지 제8도는 각각 포대화물의 적재상태를 도시한 링크의 일부 절결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대화물 적재장치 15 : 불출부
F : 포대화물 N : 적하대
U : 운반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운반차의 적하대에 포대화물을 자동적으로 다수단 적층하는 운반차의 포대화물의 적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운반차의 적하대에, 예컨대 시멘트나 곡물 등을 포대로 포장한 포대화물을 다수단 적재하는 장치는 슈우트형상의 포대화물 적재부를 운반차의 적하대에 대하여 상하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하여, 적하대상에 포대화물을 순차 적재하여 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포대화물 적재장치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적재방법은 운전대측의 횡방향의 1열부터 포대화물을 인접시키면서 순차 적재하고 1단째를 적재 완료하면 2단, 또한 3단째로 겹쳐쌓으므로써 소정의 높이까지 적재하고, 1열째가 적재완료되면 적재부를 후퇴시켜, 이하 같은 방법으로하여 2열째, 3열째로 적하대 후부까지 순차 적재하여 가는 것이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포대화물을 적하대의 일측에서 인접하면서 순차 적재하여 가면, 시멘트 포대와 같은 외형이 변화하기 쉬운 포대화물은 인접하는 포대화물에 접촉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적재되는 일이 많고, 그 포대화믈 위에 다음에 포대화물을 적재할 수 없게 되는지, 또 적재하였다 하여도 올바르게 위치결정되어 있지 않아서 다수단 적재하면 짐이 무너지는 사태가 일어나기도 쉬웠다.
따라서, 운반차에 대한 포대화물 적재의 자동화가 되어도, 작업원이 적하대 위에서 포대화물의 적재위치를 수정하는 것이 현실이고, 완전자동화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포대화물을 운반차의 적하대상에 무너지는 일없이 적재하여 적재작업의 완전동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또한 포대화물을 효율좋게 운반차에 적재할 수 있는 운반차의 포대화물 적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이하는, 본 발명의 운반차의 포대화물의 적재방법의 1실시예이다. 포대화물 적재장치(1)는 시멘트나 곡물 등을 담은 포대화물(F)을 운반차(U)의 적하대(N)에 자동적으로 다수단 적재하도록 한 것이고,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포대화물 적재장치(1)의 네구석에 수직으로 설치한 지주(2) 사이에 견고한 승강체(3)를 승강가능하게 배설하고 있다. 승강체(3)는 제1도와 같이 그의 양단부에 로울러(4)를 배설하여 이 로울러(4)를 통하여 양단측의 지주(2)의 가이드 레일(5)을 따라서 승강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와 같이 가이드 레일(5)의 상단부에 배설한 스프로켓(6)에 걸려 회전하는 체인(7)의 일단부를 승강체(3)에, 그의 타단부를 무거운 추(8)에 설치하여, 지주(2)의 상단부에 배설한 승강용 구동모우터(9)의 정·역회전에 의해 스프로켓(6)을 통하여 승강체(3)를 상하로 승강자유롭게 하고 있다.
또 승강체(3)에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승강체(3)의 상면을 따라서 수평으로 주행레일(10)을 배설하고 있고, 그 주행레일(10) 위에 차륜(11)을 설치한 주행체(12)를 운반차(U)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즉 적하대(N)에 평행인 수평방향으로 주행이동 자유롭게 가설되어 있다. 주행체(12)에는 승강체(3)에 고정된 랙(13)과 맞물리는 기어가 추착된 주행용 구동모우터(14)를 탑재하고 있고, 이 주행용 구동모우터(14)의 정·역회전에 의해 주행체(12)를 수평이동자유롭게 하고 있다. 상기 주행체(12)에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후술하는 슈우트부(27)를 경사상으로 배설하여 그 하단부에 포대화물(F)을 적하대(N)에 불출하는 불출부(15)를 설치한 것으로, 이 불출부(15)의 하단의 양측에 제3도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개폐하는 불출게이트(16)를 배설하고 있다. 이 불출게이트(16)의 양측을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수평으로 절곡하여 수직으로 신장하기 위해 불출게이트(16)의 상기 슈우트부(27)의 대향 측면이 요동자재하게 축착되어 있고, 제2도와 같이 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18)의 선단에 부착된 링크(19)에 지지하여, 피스톤로드(18)의 신장에 의해 한쌍의 불출게이트(16)를 아래쪽으로 향하여 양측으로 열어 포대화물(F)을 불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18)을 당기면, 제1도,제2도와 같이 불출부(15)의 양측의 불출게이트(16)가 링크(19)로 끌어당겨져 수평상으로 절곡이 되어서, 슈우트부(27)로부터 이송되는 포대화물(F)을 불출게이트(16)상에 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18)를 신장하면, 제4도 이하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크(19)로 (도면상 링크(19)의 상방부는 잘려서 생략하고 있다) 아래쪽으로 밀어 넓혀져서, 수직상으로 열려, 불출게이트(16)에 탑재되어 있는 포대화물(F)을 낙하하여 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불출부(15)의 상부에는, 제1도와 같이 피측정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의 거리검출센서(20)를 고정금구(21)로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거리검출센서(20)는 소정개소에 배설한 제어부(22)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2)는 제1도와 같이 CPU(23)와 기억부(24)로 형성되어 있고, 거리검출센서(20)에서 발사된 초음파가 피측정물에 맞닿아서 반사되어 올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음속×소요시간/2를 CPU(23)로 연산함으로써 피측정물과 거리검출센서(20)와의 사이의 거리를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CPU(23)에는 각종 데이터를 미리 입력하는 설정입력부(25)를 접속하고 있고, 또 불출부(15)를 상하 좌우로 이동규제하는 제어유니트(26)도 접속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피측정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초음파센서를 채용하고 있으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을 채용하여도 지장은 없다.
한편, 포대화물(F)을 이송하는 슈우트부(27)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상기 불출부(15)와 일체화하여 주행체(12)에 고정되어 있고, 주행체(12)와 같이 좌우 및 상하로 이동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슈우트부(27)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포대화물(F)을 불출부(15)로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28)를 배설하고 있다.
상기 슈우트부(27)의 단부에는 제1도와 같이 포대화물(F)을 반송 공급하는 반송 컨베이어(29)를 설치하고 있고, 이 반송 컨베이어(29)는 상단부를 주행체(12)에 핀등이 삽입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부착됨과 동시에 하단부를 슬라이드 자유롭고 또한 회전자유롭게 지지하고, 승강체(3)의 승강에 의해 하단부를 슬라이드 시키면서 승강체(3)와 함께 승강하고, 또 주행체(12)의 횡방향의 이동과 함께 상단부가 횡방향 이동하고, 반송 컨베이어(29)의 상단부가 계속해서 슈우트부(27)의 투입부에 면하여 포대화물(F)을 슈우트부(27)에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30은 운반차(U)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운반차 이동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운반차(U)의 후륜부를 이동체(31)의 위에 얹어 놓고, 전후로 배설한 스프로켓(32,33)에 체인(34)을 걸어회전시키고, 이 체인(34)에 이동체(31)를 설치하여 전후용 구동모우터(35)를 구동하여 운반차(U)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포대화물 적재장치(1)는 포대화물(F)의 불출부(15)를 운반차(U)의 적하대(N)에 대하여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 하고, 또한 운반차(U)를 운반차 이동장치(30)에 의해 전후 이동자유롭게 함으로써 불출부(15)를 적하대(N)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자유롭게 하여, 포대화물(F)을 적하대(N)의 소정위치에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의 포대화물 적재장치를 사용하여 운반차의 적하대에 포대화물을 적재하는 방법을, 제3도 내지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운반차(U)의 적하대(N)에 포대화물(F)을 적재조작을 개시하기 전에 초기조작으로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출부(15)의 상부의 거리검출센서(20)에서 불출게이트(16)를 개방상태로 했을 때의 불출게이트(16)의 하단부까지의 거리(L1)에 불출부(15)가 지장없이 수평이동하는데 필요한 여유거리(L2)를 가한 거리(L)를 기억부(24)에 기억시켜둔다. 포대화물 적재장치(1)의 포대화물 불출부(15)에서 포대화물(F)을 불출하고 운반차(U)의 적하대(N)에 적재할 경우, 운전대측의 횡방향의 1열부터 순차 적층하여 적하대 후미로 적재하여가는 것이지만, 알기쉽게 포대화물(F)에 NO.1,NO.2,…로 적재순서를 표시하여 설명한다.
우선, 적하대(N)의 최하단의 포대화물(F)의 적재방법은 제4도와 같이 적하대(N)의 일단부에 불출부(15)를 위치시켜, 불출부(15)의 불출게이트(16)를 개방시키면서 강하시켜서 적하대면에 근접시킨다. 이때, 거리검출센서(20)에서 초음파를 발사하고, 거리검출센서(20)와 적하대면과의 거리를 CPU(23)에서 연산하여 측정하면서 강하시켜 측정된 거리가 기억부(24)에 미리 기억 정한 거리(L)와 같아지게 된 높이에서 제어유니트(26)를 제어하여 불출부(15)를 정지시켜서, 불출부(15)를 적하대(N)에 대하여 적정한 불출높이로 위치시킨다. 그리고, 불출게이트(16)를 일단 폐쇄하고나서 포대화물(F)을 불출부(15)에 공급하고, 이어서 불출게이트(16)를 개방하고, 제5도와 같이 불출게이트(16)로 안내하면서 NO.1의 포대화물(F)을 불출한다.
이 최하단의 포대화물(F)의 적재방법은, 1포대마다 1포대 걸러 적재하여 가는 것이지만, 불출부(15)를 다음의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제5도와 같이 NO.1의 포대화물을 불출했을 때에 거리검출센서(20)에 의해 NO.1의 포대화물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면서 불출부(15)를 상승시켜, 포대화물(F)의 상면까지의 거리가 기억부(24)에 설정 기억된 거리(L)와 같아지는 높이에 도달하면 상승을 정지하고, 불출게이트(16)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거리검출센서(20)와, NO.1의 포대화물(F)의 상면과의 거리가 기억설정된 거리(L)와 같아지는 높이로 되어서 불출부(15)의 상승을 정지시키면 NO.1의 포대화물(F)의 두께만큼 상승된 것으로 된다. 이때의 불출부(15)가 상승한 거리, 즉 포대화물 NO.1의 두께를 기억부(24)를 기억시켜둔다.
그리고, 불출부(15)를 수평이동하고 제5도와 같이 NO.2의 포대화물(F)의 상부까지 이동하고, 상기의 기억한 상승거리만큼 하강하여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정지하여 NO.2의 포대화물(F)을 불출한다. 이어서, 상기 NO.1의 포대화물(F)에서 NO.2의 포대화물(F)로 이동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6도와 같이 다음의 NO.3의 포대화물(F)을 불출하여 가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제6도와 같이 최하단의 포대화물(F)을 적재완료하면, 동일단의 한포대 걸러 적재한 포대화물 사이의 빈 스페이스에 불출부(15)를 이동시킨다. 이때에도, 거리검출센서(20)에 의해 NO.3의 포대화물(F)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면서 불출부(15)를 상승시켜, 측정한 거리가 상기 거리(L)와 같게 된 높이에서 정지시켜, 그후 수평이동하여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7도와 같이 불출게이트(16)를 개폐하여 NO.4의 포대화물(F)을 NO.2와 NO.3의 포대화물(F) 사이에 끼워넣고 계속하여 NO.5의 포대화물(F)을 불출하여 게이트(16)에 의해 안내하면서 NO.4의 포대화물(F)의 위에 불출한다. 이후의 포대화물(F)의 적재는 효율좋게 적재하기 위해 2포대씩 불출한다.
그리고, NO.4와 NO.5의 포대화물(F)을 불출하면, 제7도와 같이 거리검출센서(20)에 의해 NO.5의 포대화물(F)의 상면까지 거리를 측정하면서 불출부(15)를 상승시켜 측정한 거리가 기억된 거리(L)와 같은 높이에서 정지한다. 그때의 불출부(15)의 상승거리를 기억부(24)에 기억시켜 두고, 불출부(15)를 NO.1과 NO.2의 포대화물 사이에 빈 스페이스 상부로 수평이동시킨다. 불출부(15)가 빈 스페이스의 상부에 도달하면 미리 기억한 상승거리만큼 불출부(15)를 강하시켜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시켜, 제7도와 같이 NO.6과 NO.7의 포대화물(F)을 불출한다. 이와 같이, 동일단에 다음의 빈 스페이스가 있는 경우에는 불출부(15)를 그 빈 스페이스 위에 수평이동한 후, 전번에 기억한 상승거리만큼 강하시킴으로써 다음의 불출높이를 적정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후, 동일단의 빈 스페이스에 포대화물(F)을 불출할 때에는 같은 방법에 의해 행하여 가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NO.6과 NO.7의 포대화물(F)을 불출하고, 다음에 불출하는 포대화물(F)의 위치가 상부단으로 되는 경우에는, 거리검출센서(20)에서 초음파를 발사하여 NO.7의 포대화물(F)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면서 불출부(15)를 상승시켜 측정한 거리가 기억된 거리(L)와 같아진 높이에서 정지하고, 그후 수평이동하여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위치시켜, 도시한 바와 같이 NO.8과 NO.9의 포대화물(F)을 불출한다. 이와 같이, 다음의 포대화물(F)의 불출위치가 금번 불출한 위치보다 상단일 때는 불출부를 그의 빈 스페이스 위로 수평이동하여 강화시키지 않고 불출하는 것이다. 이 이후, 상부단의 빈 스페이스에 포대화물(F)을 불출할 때에는, 같은 방법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1열째의 포대화물의 적재가 완료되면 운반차(U)를 운반차 이동장치(30)에 의해 소정량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와 같이하여 2열째에 포대화물을 적재하고, 같이하여 3열째, 4열째,…로 차례차례로 포대화물의 적재를 행하고,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적하대의 전체에 포대화물을 적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접하는 양측의 포대화물이 가이드로 되어서 포대화물을 원활하게 빈 스페이스에 끼워넣고, 운반차의 적하대에 자동적으로 포대화물을 적재할 수가 있다. 특히, 포대화물의 바로 위에 다음의 포대화물을 불출하여 쌓아올려, 2포대씩 적층하면서 적재를 행하기 때문에 적재효율을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포대화물 사이의 빈 스페이스에 2포대씩 적층할 때에, 1포대째의 포대화물 사이의 빈 스페이스에 부드럽게 집어넣어 위치결정하고 2포대째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양측의 좌우대칭으로 개폐되는 불출게이트로 포대화물을 안내하여 적재하기 때문에 하단의 바로 위에 경사지는 일이 없고 올바른 자세로 적재할 수가 있고 짐이 무너지는 일이 없이 다수단 적층할 수가 있고, 작업원에 의한 수정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포대화물 적재장치의 완전자동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실시예에서는, 거리검출센서로 소요의 거리를 검출하여 불출부를 승강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불출부의 상승이동하는 거리를 포대화물의 두께에 따른 필요 최소거리로 할 수 있고, 적재시간을 될 수 있는대로 단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포대포장시에 들어가는 공기량이나 내용물의 비중등으로 포대화물의 두께가 변화하여도 포대에 대응한 높이를 유지하여 포대화물을 불출할 수가 있고, 항상 안정된 자세로 포대화물을 쌓아올릴 수가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적하대에 1열마다에 포대화물을 적재하도록 하였으나, 적당한 단마다에 적재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 운반차를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였으나 포대화물 장치를 레일들을 통하여 전후로 이송하든지, 주행체나 불출부를 전후로 이동자유롭게 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포대화물을 최하단에 1포대를 적재하고, 인접하는 빈 스페이스에 효율좋게 2포대씩 불출하도록 하였으나, 최하단에 2포대씩 적재하여 인접하는 빈 스페이스에 3포대씩 포대화물을 불출하는 등, 본 발명의 취지에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서 효율을 높이도록 응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포대화물을 1포대마다 적재함과 동시에 적재된 인접 포대화물 사이의 빈 스페이스에 포대화물을 적재하기 때문에 양측의 포대화물이 가이드로 되어서 원활하게 짐이 무너지지 않고 적재된다. 또, 포대화물의 위에 복수개씩 적층하면서 적재를 행하기 때문에, 적재의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거리검출센서를 통하여 포대화물의 불출부의 필요한 최소의 승강거리를 자동적으로 기억하여 포대화물의 불출을 행하도록 할 수가 있어, 포대화물의 적재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가 있고, 포대화물 포장시에 들어가는 공기량이나 내용물의 비중 등의 차이로 인해 포대화물의 두께가 변화하여도 포대의 두께에 대응한 높이를 유지하여 포대화물을 쌓아올릴 수가 있다.

Claims (3)

  1. 포대화물의 불출부를 운반차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자유롭게하여 운반차의 적하대에 포대화물을 다수단 적층하는 운반차의 포화물의 적재방법에 있어서, 포대화물의 불출부에 거리검출센서를 부착하여 소정의 제어부에 검출거리를 기억시키도록 하고, 불출게이트를 개방상태로 했을때의 거리센서와 불출게이트 하단부와의 거리(L)를 상기 제어부에 밀 기억시켜 두고, 불출부에서 포대화물을 불출했을 때에, 거리검출센서에 의해 포대화물 상면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면서 불출부를 상승시켜서 포대화물 상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기억된 거리(L)와 같은 높이에 도달하면 상승을 정지시켜 그때의 상승거리를 제어부에 기억시켜 두고, 계속하여 포대화물을 동일단에 불출하는 경우에는 불출부를 그의 빈 스페이스 위로 수평이동한 후, 상기 기억된 상승거리만큼 강하시켜서 다음의 포대화물을 불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의 포대화물 적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포대화물을 운반차의 적하대상에 1포대마다 걸러서 불출부로부터 불출하여 적재하고 이어서 불출부를 1포대 걸러놓은 포대화물 사이의 빈 스페이스의 바로 위에 위치시켜서 포대화물을 빈 스페이스에 불출하여 적재함과 동시에, 그 포대화물의 위에 불출부로부터 다음의 포대화물을 불출하여 하단보다도 1포대 이상 많이 적층하도록하여 순차적으로 적하대상에 포대화물을 다수단 적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의 포대화물 적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출부에 불출게이트를 아래쪽으로 향하여 양측으로 열리도록하여 포대화물을 불출하도록 하고, 포대화물을 최하단 보다 1포대 많은 2포대씩 적층하면서 적재할 때에 2포대째를 상기 불출게이트로 안내하여 위치 결정하면서 적재하여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의 포대화물의 적재방법.
KR1019890011106A 1988-09-21 1989-08-03 운반차의 포대화물의 적재방법 KR930011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37819A JPH0286516A (ja) 1988-09-21 1988-09-21 運搬車用袋荷積込み装置における袋荷積込み方法
JP63-237819 1988-09-21
JP237819 1988-09-21
JP41311 1989-02-20
JP1-41311 1989-02-20
JP1041311A JPH0798580B2 (ja) 1989-02-20 1989-02-20 運搬車用袋荷積込み装置における袋荷積込み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611A KR900004611A (ko) 1990-04-12
KR930011218B1 true KR930011218B1 (ko) 1993-11-29

Family

ID=2638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106A KR930011218B1 (ko) 1988-09-21 1989-08-03 운반차의 포대화물의 적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62B1 (ko) * 2014-04-11 2014-12-22 김재석 자동 적재장치
CN108996267B (zh) * 2018-09-30 2024-06-04 欧谷(鄂州)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袋装饲料投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611A (ko) 199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9481A (en) Top feeding and ejecting materials handling device and method
US3447699A (en) Warehouse system with an article labelling device
US3687312A (en) Warehousing system
JP4642614B2 (ja) 物品充填段積み搬送装置
JPH07115751B2 (ja) 運搬車用袋荷積込み装置における袋荷積込み方法
JP3183119B2 (ja) 層単位移載装置
JPH0286516A (ja) 運搬車用袋荷積込み装置における袋荷積込み方法
US3434602A (en) Pallet loading machine for sequentially delivered articles
KR930011218B1 (ko) 운반차의 포대화물의 적재방법
CN112811200A (zh) 一种纸箱自动堆垛***
US3561619A (en) Warehous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3417857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JP2660602B2 (ja) 自動倉庫
JPH0798580B2 (ja) 運搬車用袋荷積込み装置における袋荷積込み方法
JPH07196166A (ja) 物品の積付け方法及び装置
US3067891A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and system
JPH0312012B2 (ko)
JPH08133416A (ja) 荷搬出装置
JP3232978B2 (ja) 個装単位切出し装置
US20050138897A1 (en) Low profile conveyor for use in stretch wrapping operations
JP4090319B2 (ja) 荷姿変換方法および荷姿変換設備
JP3593299B2 (ja) 荷処理装置
JPH0617761Y2 (ja) 物品の荷揃え装置
JP2985621B2 (ja) 入出庫用搬送装置
JP3800961B2 (ja) 自動倉庫および自動倉庫の運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