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764B1 -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764B1
KR930010764B1 KR1019930003844A KR930003844A KR930010764B1 KR 930010764 B1 KR930010764 B1 KR 930010764B1 KR 1019930003844 A KR1019930003844 A KR 1019930003844A KR 930003844 A KR930003844 A KR 930003844A KR 930010764 B1 KR930010764 B1 KR 93001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ewatering device
dewatering
guid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오
Original Assignee
홍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오 filed Critical 홍상오
Priority to KR101993000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764B1/ko
Priority to TW082103683A priority patent/TW230765B/zh
Priority to US08/060,006 priority patent/US5503743A/en
Priority to JP5127405A priority patent/JPH08469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an endless pressing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B01D29/94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for continuously discharging concent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2Filtering elements having a conic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상체부 뚜껑을 분리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상체부 뚜껑을 분리한 다른 실시예 사시도.
제3도 (a)(b)는 제1도 및 제2도의 상체부 분리사시도, (c)는 (a)(b)의 제1원통형 케이스의 단면도, (d)는 (a)(b)의 제2원통형 케이스의 단면도.
제4a, b, c도는 제1도의 상체부 단면도와 그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d)는 제2도의 상체부 단면도이며, e도는 d도의 뚜껑을 제거한 함체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상체부와 기둥의 결합상태 요부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탈수장치에 제3탈수장치를 개재설치한 상태의 단면도로써, a도는 일반롤러 내장시의 단면도, b도는 특수롤러 내장시의 단면도, c도는 b도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d도는 제3탈수장치의 사시도, e도는 b, c도에 따른 롤러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를 2개 설치시의 평면도.
제8도는 제4c도에 따른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의 롤러설치시 외측단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 케이스의 양호한 배치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하체부 내부를 보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탈수장치 2 : 제2탈수장치
4 : 제3탈수장치 8 : 회전원통
10, 10A : 상체부 11 : 유입구
12 : 바닥판 13 : 구멍
14 :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 15 : 원반축
16 : 배출관 17 : 원통
18A : 안내편 20 : 하체부
21,23 :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22,24 : 제1 및 제2스크류콘베어
25 : 테이퍼부 26 : 배출구
26A : 요홈 30 : 기둥
31 : 유입공간부 32 : 격벽
33 : 가압롤러 34 : 콘베어
35 : 공간부 36 : 스크류콘베어
41 : 함체 42 : 상하롤러
43 : 진동기 44 : 방진패킹
45 : 원호형홈 46 : 상하롤러
M1,M2,M3,m1: 모터
본 발명은 상하수도 처리장, 제지, 식품 및 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주로 입자가 작은 슬러지 폐기물을 처리하기에 적합한 탈수장치로서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써 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상체부 또는 부품의 일부만을 교체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의 특징을 가지며, 처리물의 수분함량을 종래의 탈수장치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게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로는 롤러벨트식, 열가열식, 스크류가압식, 압착식 등 여러가지 방법등의 장치가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대형일뿐아니라 슬러지를 가압시 가압전후 슬러지간의 연계성으로 인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가압된 슬러지에 수분이 재흡수되는 폐단으로 탈수율이 매우 저조한 단점과 그 장치가 대형이므로 이의 작동시 막대한 에너지가 소비되는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늘날과 같이 폐기물의 증가로 인하여 날로 심각해지는 슬러지 폐기물을 경제적으로 용이하게 처리하기에는 미흡한 것이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슬러지를 가압시 모세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그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아주 작으면서도 처리 능력은 극히 우수하며 작동에 따른 에너지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으로 별도의 열원이 없이 슬러지 성분에 따라서 함수율을 40% 내외로 처리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아니라, 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상체부 및 부분품만을 호환성있게 착탈조립할 수 있게 한 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 또는 상부에 처리할 슬러지 폐기물의 유입구를 갖는 함체형의 내부에 제1탈수장치를 갖는 상체부를 가지며, 그 바닥면이 사귀의 기둥에 나사결합되어 패킹부재와 너트로 고정착탈케 하며, 상체부의 1차 탈수된 슬러지 폐기물을 파이프로 공급받는 제2탈수장치가 하체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탈수된 폐수는 배출관에 의해 하체부 내부의 중앙집수부에 모아 배출 폐기토록 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1도 및 제3도(a)에서와 같이 크게 상체부(10)와 하체부(20)로 구분되며 상체부는 사귀의 기둥(30)에 의해 하체부(20)상에 일정높이를 가지며, 이격설치되는데, 제5도에서와 같이 상체부 바닥면에 나사결합되어 돌출된 기둥(30) 상부에 패킹(30A)을 개재하여 너트(30B)로 밀폐되게 결합 또는 해제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하체부(20)의 내부에는 제10도에서와 같이 구동원인 모터(M2,M3)와 슬러지에서 탈수된 폐수의 배출관(16,16a,16b)등이 연결되는 중앙집수부(20A)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중요부는 기둥(30)에서 착탈분리할 수 있는 내부에 제1탈수장치(1)를 설치한 상체부(10)와 하체부(20)상에 구성되는 제2탈수장치 및 제2탈수장치에 선택적으로 개재설치되는 제3탈수장치에 있다.
먼저, 이 상체부(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도, 제3도(a) 및 제4도(a)에서와 같이 함체상의 측부 또는 상부로 처리할 슬러지의 유입구(11A,11B)를 가지며, 미세한 홀(12h)이 조밀하게 천공된 바닥판(12)의 중앙에 천공된 구멍(13) 하부로는 파이프(P)가 설치되어 상체부(10)의 저부로 관통배출되게 하며,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한 일정높이의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는 그 중심상면이 상체부 중앙에 장착되는 모터(M1)의 원반축(15)과 고정결합되어, 바닥판(12)에 밀접되게 설치하여 제1탈수장치(1)를 형성한다.
이때, 바닥판(12)의 하부인 함체 하부로는 폐수배출관(16)을 두어 하체부(20)내의 중앙집수부(20A)로 모아서 배출케 하며, 이렇게 제1탈수장치(1)에 의해 바닥판(12)의 중앙구멍(13)을 통해 파이프(P)로써 하부로 배출되는 슬러지는 제2탈수장치(2)를 경유하는데 이의 구성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상체부(10)의 제1탈수장치(1)는 처리할 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각기 약간의 구조적 변경이 가능한데, 먼저 제4도(b)에서와 같이 바닥판(12A)의 구조를 외부에서 중심으로 상향경사진 구성으로 하되,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A)도 바닥판(12A)에 밀접되는 상향경사진 구성으로 하여 제1탈수장치(1A)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4도(c)에서와 같이 바닥판(12B)의 구조를 상기와 반대인 외부에서 중심으로 하향경사진 구성이되 중앙에 구멍이 없으며, 처리될 슬러지의 유입구(11C)를 중앙으로 위치시키며, 상기 바닥판(12B)에는 역시 밀접되는 하향경사진 와권형 가이더(14B)로 구성하되 그 둘레에는 가이더의 회전반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높이는 낮은 원통(17)이 고정부착되고 그 외부둘레에는 일정간격을 가지며, 상기 가이더 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회전원통(18)이 바닥판(12B)에 얹혀지되 내경 소정위치에 안내편(18A)을 가지고 상기 원통(17)과 회전원통(18) 사이의 바닥판(12B) 소정위치에 구멍(13A)을 형성하여 파이프(P)가 연결구성된 제1탈수장치(1B)로 형성된다.
이때,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B)의 외측 선단에는 제8도에서와 같이 원통(17)의 내경과 접촉되는 롤러(14R)를 부설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슬러지의 밀어올림을 돕도록 롤러(14R)를 상하 경사지게 설치한다. 한편, 회전원통(18)은 함체내부에 모터 및 구동수단으로 회전케 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상 생략하였다. 상기 모든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14A,14B)는 제7도에서는 2개의 예를 들었으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일정간격을 갖게 중첩 개재시켜 모터(M1)의 원반축(15)과 고정하되 외측개구부는 원호상 등간격으로 위치되게 설치하므로써 탈수처리량의 증대는 물론 그 처리속도 또한 신속하게 한다.
한편, 상기의 바닥판들은 상체부의 내부면적으로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14A)의 회전반경 보다 큰 원판 또는 회전원통(18) 보다 큰 원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에는 상체부(10)의 바닥면에서 브래킷(19)등을 이용 지지설치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프링(도시안됨)을 지지설치하여 바닥판의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에 항시 밀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의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14A,14B)는 바닥판(12,12A,12B)에 밀접되어 수직된 단면의 와권형 평판의 구조이나, 와권중심측으로 오목한 호형단면을 가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의 면에도 미세홀을 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도, 제3도(b) 및 제4도(d)(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체부(10A) 구성으로 처리할 슬러지의 유입구(11b,11a)가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된 유입공간부(31)를 가지므로 일측이 돌출된 함체형의 상체부(10A) 내부 평면상에 지그재그상의 통로를 갖게 격벽(32)이 형성되고, 다수의 상하 한쌍의 가압롤러(33)를 가지는 콘베어(34)가 지그재그상 통로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롤링되게 순차 배열하되 슬러지의 지그재그상 이동을 위해 출구방향측의 공간부(35A)와 다음 순차의 콘베어(34) 입구측 공간부(35B)가 한 공간(35)으로 된 구성으로써 하부에는 미세홀(12h)이 천공된 바닥판(12C)과 그 하부 함체의 소정 위치에 제1도에 따른 구조에서와 같이 하체부(20)로 연결되는 배출관(16)을 갖는 구성의 제1탈수장치(1C)로 형성된다. 이때 슬러지를 제2탈수장치(2)로 보내기 위한 바닥판(12C)의 구멍(13B)과 파이프(P)는 최종 콘베어(34)의 출구측에 위치된다.(제4도(e)참조)
또한 콘베어(34) 각각의 출구 및 이와 연통되는 입구측의 공간부(35)에는 제2도에서와 같이 모터(m1)의 장치로 회전되는 스크류콘베어(36)를 부설하여 콘베어(34)로부터 가압송출된 슬러지를 다음 순차의 콘베어(34)로 유입되기 양호하게 보조이동을 시킬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따른 파이프(P)는 상체부(10,10A)의 호환성과 함께 각각 제2탈수장치로 연결되는데, 이 제2탈수장치(2)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3도 (a)(b)에서와 같이 상체부(10,10A)로부터의 파이프(P)로 후방에 연결되는 제1원통형 케이스(21)의 내부에 제3도(c)에서와 같이 제1스크류콘베어(22)를 종설하여 후단의 하체부(20)내에 설치되는 모터(M2)(제10도 참조)로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전방 상부 및 하부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유입을 위한 팬(21F)과 탈수를 위한 미세홀부(21h)를 갖는다. 이때, 미세홀부(21h)의 하부로 배출관(16a)을 설치하여 역시 하체부(20)로 관통된 구조로 하여 배수처리케 한다.
그리고, 이 제1원통형 케이스(21)와 대체로 직교되게 연결되는 제2원통형 케이스(23)의 구성은 그 내부에 제2스크류콘베어(24)를 종설하여 역시 하체부(20)에 내장설치되는 모터(M3)(제10도 참조)에 의해 구동되게 하며, 이 제2원통형 케이스(23)의 전방에는 협소해지는 테이퍼부(25)를 갖고 그 선단으로 내경 일정간격으로 홈(26A)을 종설한 슬러지 고형용 배출구(26)를 구비하여서 된다(제3도(d)참조). 이때, 홈(26A)은 돌부로 하여도 되며, 이는 단순한 설계적 변경사항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한편, 이 제1,제2원통형 케이스(21,23) 사이에는 슬러지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제3탈수장치(4)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6도(a)(d)에서와 같이 상하 한쌍의 롤러(42)를 내설한 함체(41)의 상하 또는 좌우로 진동기(43)를 두고 바닥에는 역시 미세홀(41h)이 천공되어 배출관(16b)으로써 하체부(20)내로 배관한 상태이며, 이 함체(41)는 제1,제2원통형 케이스(21,23) 사이에 방진패킹(44)을 개재하여 연결 설치한다.
또한, 이 롤러는 제6도 (b)(c)에서와 같이 제1스크류콘베어(22)에서 연장된 축부(22A)가 관통되게 제6도(e)와 같이 중앙둘레에 원호형 홈(45)을 갖는 롤러(46)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제6도(c)에서와 같이 제3탈수장치(4)를 관통한 연장 축부(22A)의 후방으로 스크류콘베어(22B)를 두고 이를 커버하는 연장케이스(21C)의 구성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제2원통형 케이스(23)로의 송출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롤러는 일정간격을 띄우고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하므로써 탈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진동기(43)를 그 롤러 사이의 함체 내벽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탈수된 폐수는 배출관(16,16a,16b)을 통하여 제10도에서와 같이 하체부(20)내의 중앙집수부(20A)로 모아 하나의 관로로 배출시키게 하므로써 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0은 제어변이고, 60은 슬러지 송출부인데, 유입구(11B,11C,11b)를 상부에 두면 호퍼등을 이용 유입시키므로써 필요치 않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1도 및 제4도(a)에서와 같이 슬러지 유입구(11A)로 유입된 슬러지 폐기물은 상체부(10)의 바닥판(12)상에 얹혀지고 제1탈수장치(1)에 의해 탈수되는데, 바닥판(12)의 홀(12h)로 슬러지자중에 의해 함침된 폐수가 배출됨과 동시에 제어변(50)의 조작으로 모터(M1)가 구동함으로써 원반축(15)이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의 중심에 고정된채로 이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이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의 최외측 개구부로부터 슬러지가 상대적으로 유입되어져 계속되는 회전과 함께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의 중심으로 안내 이송된다. 이때, 슬러지 유입구(11A)로 유입된 슬러지는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의 회전반경내의 외측에 유입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회전 유입되는 슬러지는 원심력에 의해 가이더의 외측내벽에 밀접되면서 가압력을 받음으로써, 슬러지에서 탈수된 폐수는 바닥판(12)의 홀(12h)을 통하여 상체부(10)내의 하부로 낙수된다. 이렇게 하여 1차 탈수가 끝난 슬러지는 상체부(10)의 중심인 구멍(13)에서 파이프(P)를 타고 제2탈수장치(2)로 유입되는데, 이의 작용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4도(b)에 따른 제1탈수장치(1A) 역시 바닥판(12A)의 경사구조를 외측에서 내부로 상향경사지게 하여 슬러지 유입구(11A)로부터의 처리할 슬러지 폐기물을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A)가 회전되면서 원심력과 함께 와권형으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입시키는데, 이때 원심력에 의해 외측의 일측 내벽에 밀접되면서 탈수되고, 이 탈수된 폐수는 바닥판(12A)의 홀(12h)로 낙수된다.
그리고 제4도(c)에 따른 제1탈수장치(1B)의 작용은 처리할 슬러지 폐기물을 중심으로 보내면서 와권형 가이더(14B)를 회전시킴에 따라 가이더의 중심으로부터 와권형의 배출되어지는데, 역시 회전원심력에 의해 일측 내벽에 밀접되면서 탈수된다. 이때 슬러지는 바닥판(12B)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구조에 의해 탈수와 동시 이 탈수된 폐수가 다시 슬러지에 흡수됨이 없이 경사진 하부로 흐르며 바닥판(12B)의 미세홀(12h)로 낙수되어 한층더 탈수의 효과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이렇게 하여 외측으로 배출되어진 1차 탈수된 슬러지는 상기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B)의 외측단 외면과 원통(17) 내면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원통(17)을 타고 넘어서 회전원통(18)과 원통(17) 사이의 바닥판(12B)에 있게 되는데, 이때 회전되는 안내편(18A)에 의해 구멍(13A)으로 1차 탈수된 이 슬러지를 파이프(P)를 통하여 제2탈수장치(2)로 보낸다. 이때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B) 외측단 외면에 부착될 수 있는 롤러(14R)는 상기 원통(17)의 내연과 접촉되어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B)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돕는 한편, 그 사이의 슬러지가 원통(17)을 타고 넘기에 용이하게 작용됨과 동시에 가압 탈수 작용을 한다.(제8도 참조)
그리고 상기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14A,14B)는 상호 일정간격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열구조를 가지며, 외측개구부가 원호상 등간격으로 위치되므로써, 처리할 슬러지의 신속한 유입과 처리량의 증대효과 및 가이더의 회전 균형을 유지케 작용된다.(제7도 참조)
또한 상기에서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14A,14B)의 단면이 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작동시 회전원심력에 의한 외부측으로의 유출을 막으며, 또한 가이더 벽면에 다수의 미세홀은 슬러지가 와권형으로 유입될 때 회전원심력을 받아 외측방으로의 탈수 작용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는 그 회전과 함께 바닥판의 미세홀에 슬러지의 이물질이 끼어 막히는 것을 청소하는 작용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체부(10A)에 따른 제1탈수장치의 작용을 제2도 및 제4도 (d)(e)에 따라 살펴보면, 슬러지 유입구(11b)로부터 들어오는 처리할 슬러지 폐기물이 유입공간부(31)에 적재되며, 모터(도시안됨) 구동으로 상하의 가압롤러(33)에 의해 콘베어(34)가 그들 사이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유입구(11b)로부터의 압력과 함께 콘베어(34) 사이로 압착되며 이송된다. 물론 이렇게 압착되어 분리되는 탈폐수는 콘베어(34) 양측과 상체부 내벽과의 틈새로 배출 낙하하여 바닥판(12C) 홀(12h)로 낙수되며,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그 하부에서는 배출관(16)을 통하여 하체부의 중앙집수부(20A)로 보내져 방출된다.
한편, 이렇게 하여 출구측 공간부(35A)로 보내진 슬러지는 계속 송출되는 가압력에 의해 차기 콘베어(34)의 입구측 공간부(35B)로 보내어져 다시 상기와 같은 가압작용을 하며, 역방향으로 보내지는 연속작용으로 지그재그상의 이동을 하게 된다. 이후 최종의 출구측 공간부(35A)의 하부바닥판(12C)의 구멍(13B)에 연결된 파이프(P)에 의해 제2탈수장치(2)로 공급된다. 한편, 이 슬러지들의 보다 양호한 이동을 위해 모터(m1)이 구동으로 스크류콘베어(36)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간부(35)에서 진행방향으로의 이동을 돕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체부에서의 1차 탈수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였으나, 지금부터는 공히 파이프(P)로 공급처리되는 제2탈수장치(2)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파이프(P)로부터 보내지는 1차 탈수처리된 슬러지가 제1원통형 케이스(21)의 후방측 상부로 유입되면 하체부(20) 내부의 모터(M2) 가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1스크류콘베어(22)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송출되어지며 으깨는 작용을 갖는다.
그리고, 후방으로 가면서 팬(21F)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건조와 함께 하부측의 미세홀부(21h)로는 송출압력과 함께 잔여 수분이 탈수되어 배출관(16a)에 의해 역시 하체부(20)의 중앙집수부(20A)로 유입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송출되는 슬러지는 제2원통형 케이스(23)로 보내어져 역시 하체부(20)에 내장된 모터(M3)의 가동으로 제2스크류콘베어(24)가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가압송출되어 테이퍼부(25)에서 보다 큰 가압력을 받으며 배출구(26)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구 내경의 홈(26A)은 압출고형화된 슬러지의 둘레면에 돌기를 주게 하여 적층보관이 양호하며 대기와의 접촉면적을 많게 하여 자연건조에 따른 수분증발을 빠르게 하는 작용을 갖는다.
한편, 상기의 원통형 케이스는 2개의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제1원통형 케이스(21)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도 직렬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9도에서와 같이 하체부(20)가 허용하는 면적내에서 효율적이게는 사각 와권형으로 배치함이 장치의 소형화에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제2원통형 케이스(21,23)의 사이에 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설치될 수 있는 제3탈수장치(4)의 작용을 살펴보면 제6도에서와 같이 제1원통형 케이스(21)로부터 송출되는 슬러지가 함체(41)내에 유입되면서 롤러(42) 사이에서 가압탈수되고 이때 중요하게는 진동기(43)의 진동에 의해 함체(41)에 진동을 발생시켜 그 탈수효율을 더욱 높인다. 이렇게 탈수된 폐수는 저부의 미세홀(41h)로 역시 배출관(16b)에 의해 하체부(20)로 보내지면서 탈수되는데 상기의 배출관(16,16a,16b)내에는 필터를 두어 폐수를 여과시켜 보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에는 함체(41)와 제1,제2원통형 케이스(21,23) 사이에 개재된 방진패킹(44)이 진동기(43)에 의한 함체(41)의 떨림이 다른 기구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호한다.
또한, 제6도(b)(c)에서와 같이 제1스크류콘베어(22)의 연장된 축부(22A)가 상하롤러(46) 사이의 원호형홈(45)으로 관통되어 가압송출할 수도 있게 하므로서 롤러가압면이 원둘레상으로 커지게 되어 소형으로 하면서도 규격이 큰 일반롤러의 가압면적과 같은 탈수효과를 가지며, 그 후방의 연장된 스크류콘베어(22B)가 연장케이스(21C)내에서 슬러지를 부가적으로 가압송출하여 제2원통형 케이스(23)로 송출되게 작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하롤러(42,46) 사이로 유입되는 슬러지는 이 슬러지의 유입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롤러(42,46)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 전방으로 보내는 작용을 가지므로써 제1원통형 케이스(21)내의 비교적 높은 함수율을 갖는 슬러지와 롤러에 의해 가압된 슬러지가 수제비 반죽을 뜯어내듯이 불연속 상태로 가압송출되므로써 롤러에 의해 가압된 슬러지에 그 이전의 슬러지가 연속된 상태에 의한 모세관현상에 의해 재흡수되는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상체부를 착탈설치하여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었으며, 그 구조 또한 간단하고 크기에 있어서도 소형으로써 작동시의 에너지 효율성이 양호하며 설치공정 및 단가가 저렴하며, 소형이면서도 그 처리량이 적지 않다는 점과 최종 처리된 슬러지 폐기물의 수분함유율이 실험결과치로 40% 내외임을 확인했다.
한편, 이 수분함유율은 30% 정도로도 가능케 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의 어느제품(약 60-80%)보다도 월등한 탈수율을 가지며 중요하게는 설비의 단가를 대폭 저렴히 함과 동시 대단위 처리장은 물론 소규모 공장 등에서도 슬러지 폐기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특출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슬러지 폐기물의 유입구(11A,11B,11C)를 갖는 함체형의 내부에 제1탈수장치(1,1A,1B)를 갖는 상체부(10)를 가지며, 그 바닥면의 사귀에 관통되는 기둥(30)에 패킹부재(30A)를 개재하여 너트(30B)로 고정착탈케 하며, 상체부에서 1차 탈수된 슬러지 폐기물을 파이프(P)로 공급받는 제1,제2원통형 케이스(21,23)가 대체로 직교되게 설치되는 제2탈수장치(2)가 하체부(20)의 상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탈수된 폐수는 배출관(16,16a)에 의해 하체부(20) 내부의 중앙집수부(20A)에 모여 배출 폐기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체부(10)는 일정직경의 바닥판(12)상에 미세홀(12h)을 가지며 함체 바닥면으로부터 브래킷(19)에 의해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중앙에 파이프(P)로 연통되는 구멍(13)을 구비하고 이 바닥판 상면에는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가 밀접되게 얹혀져서 함체상부측 모터(M)의 원반축(15)에 상기 가이더의 중심부가 고정된 제1탈수장치(1)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바닥판(12A)은 외부에서 중심으로 상향경사진 구배를 가지며,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A)가 밀접되게 얹혀져서 된 제1탈수장치(1A)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바닥판(12B)은 내부에서 외부로 상향경사진 구배를 가지며,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B)가 밀접되게 얹혀지되 보다 큰 직경의 바닥판(12B)으로서 상기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의 회전반경 보다 큰 직경과 높이는 보다 낮은 원통(17)이 고정되고, 일정간격을 갖게 상기 원통보다 큰 직경과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B)의 높이보다 높으며 내경 소정위치에 안내편(18A)을 갖는 회전원통(18)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원통과 원통 사이의 바닥판 소정위치에 구멍(13A)으로 제2탈수장치로 슬러지 송출을 위한 파이프(P)가 연결설치되는 제1탈수장치(1B)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B)의 외측선단에는 원통(17) 내연과 접촉롤링되는 롤러(14R)가 경사지게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6. 제2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14A,14B)는 상호 일정간격을 갖게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중첩개재되어 모터(M1)의 원반축(15)에 고정하되 외측개구부가 원호상 등간격으로 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7. 제2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14A,14B)는 그 벽면 상하가 중심쪽으로 오목한 호형 단면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와권형 슬러지 가이더(14,14A,14B)의 벽면에 다수의 미세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9. 슬러지 폐기물의 유입구(11a,11b)가 위치된 유입공간부(31)로 돌출된 함체형의 내부에 격벽(32)으로서 지그재그상 통로를 갖게 함과 동시에 다수의 상하 한쌍의 가압롤러(33)를 가지는 콘베어(34)가 상호 엇방향으로 롤링되게 순차배열하되 출구측 공간부(35A)와 다음 순차의 입구측 공간부(35B)가 한 공간부(35)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미세홀(12h)이 천공된 바닥판(12C)으로 된 제1탈수장치(1C)를 갖는 상체부(10A)를 구비하며 최종 콘베어(34)의 출구측 공간부(35A)의 바닥판에 형성된 구멍(13B)이 파이프(P)로써 대체로 직교되게 설치되는 제1,제2원통형 케이스(21,23)로 연결되게 하며, 상기 상체부(10A)에는 배출관(16b)이 연결되어 하체부(20) 내부의 중앙집수부(20A)에 모여 배출케 하고, 저면 사귀에는 기둥(30)이 관통되어 패킹부재(30A)를 개재하여 너트(30B)로 착탈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콘베어(34)의 출구와 입구측의 공간부(35)에는 모터(m1)로 회전되는 스크류콘베어(36)가 종설되어 공간부(35A)에서 공간부(35B)로 슬러지 이송을 돕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페기물의 탈수장치.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2탈수장치(2)는 후방에 파이프(P)로 연결되는 제1원통형 케이스(21)의 내부에 제1스크류콘베어(22)를 내설하여 하체부(20)내에 설치되는 모터(M2)로 구동되며 전방 상부 및 하부측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공기 유입을 위한 팬(21F)과 탈수를 위한 미세홀부(21h)를 가지고 배출관(16a)으로 하체부(20)의 중앙집수부(20A)와 연결되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 선단과 대체로 직교되게 연결되는 제2원통형 케이스(23)의 내부에는 하체부(20)에 내설된 모터(M3)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제2스크류콘베어(24)을 내설하되 전방으로는 테이퍼부(25)와 그 선단으로 일정직경의 배출구(26)를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탈수장치(2)의 제2원통형 케이스(21)는 그 전방과 후방이 각각 대체로 직교되는 와권형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제2탈수장치(2)의 제1,제2원통형 케이스(21,23) 사이에는 제3탈수장치(4)를 설치하되 양측에 방진패킹(44)을 개재연결하는 함체(41)내에 제1원통형 케이스(21)내의 슬러지 유입속도 보다 빠르게 구동되는 상하롤러(42)를 설치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압출구조를 형성하며, 이 롤러 하부로는 미세홀(41h)을 갖는 바닥판을 개재하여 배출관(16b)으로 하체부(20)내의 중앙집수부(20A)로 배출처리케 함과 동시에 함체 상에 진동기(43)가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원통형 케이스(21)내의 슬러지 유입속도 보다 빠르게 구동되는 상하롤러는 중앙둘레에 각각 상기 제1스크류콘베어(22)의 연장된 축부(22A)가 관통되는 원호형홈(45)을 가지는 상하롤러(46)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콘베어(22)는 연장된 축부(22A)가 상기 상하롤러(46) 사이의 원호형홈(45) 사이를 관통하되 연장된 축부(22A)상에 스크류(22B)와 이를 커버하는 연장케이스(21C)를 가지면서 제2원통형 케이스(23)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배출구(26)의 내경둘레 일정간격으로는 요홈(26A) 또는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17.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제3탈수장치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KR1019930003844A 1993-03-13 1993-03-13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KR93001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844A KR930010764B1 (ko) 1993-03-13 1993-03-13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TW082103683A TW230765B (ko) 1993-03-13 1993-05-11
US08/060,006 US5503743A (en) 1993-03-13 1993-05-12 Device for dehydrating sludge waste
JP5127405A JPH084693B2 (ja) 1993-03-13 1993-05-28 スラッジ廃棄物の脱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3844A KR930010764B1 (ko) 1993-03-13 1993-03-13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764B1 true KR930010764B1 (ko) 1993-11-10

Family

ID=1935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844A KR930010764B1 (ko) 1993-03-13 1993-03-13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03743A (ko)
JP (1) JPH084693B2 (ko)
KR (1) KR930010764B1 (ko)
TW (1) TW2307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1071A2 (de) * 2015-02-19 2016-08-25 Next Generation Analytics Gmbh Filtervorrichtung und -verfahren
CN113398650B (zh) * 2021-07-19 2023-07-25 福建省环境保护设计院有限公司 一种工业废水污泥深度脱水的处理方法以及处理装置
CN113636673B (zh) * 2021-07-21 2022-05-20 深圳市粤昆仑环保实业有限公司 一种电镀废水重金属回收处理工艺
CN116639861B (zh) * 2023-07-21 2023-10-10 新乡市豪迈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污泥处理脱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1947A (en) * 1913-04-08 1917-01-09 Karl Kiefer Filtering apparatus.
US2516968A (en) * 1946-09-04 1950-08-01 Detrex Corp Filter-conveyer for solvent extractors
DE2421781C2 (de) * 1974-05-06 1984-06-14 Eberhard Hoesch & Söhne, 5160 Düren Etagendruckfilter mit horizontal ausgerichteten Filterplatten
US4066548A (en) * 1976-08-11 1978-01-03 Richard Henry Jones Sludge hydroextractor
US4186098A (en) * 1977-04-14 1980-01-29 Morris William 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JPS5471471A (en) * 1977-11-17 1979-06-08 Toray Ind Inc Thin sludge concentration (or condensing) device
JPS56118705A (en) * 1980-02-25 1981-09-17 Natl House Ind Co Ltd Filter for paint
JPS59183812A (ja) * 1983-04-01 1984-10-19 Takenaka Komuten Co Ltd 泥水用粗粒物除去装置
EP0164482A1 (de) * 1984-06-12 1985-12-18 Tenag Ag Plattenfilter
US4851132A (en) * 1985-04-29 1989-07-25 Cameron Iron Works Usa, Inc. Filtering case for separating a liquid from a solid, in particular for dehydrating slurries from industrial processes
NL8602703A (nl) * 1986-06-19 1988-01-18 Mudcleaning Services Werkwijze voor het winnen van een basissuspensie, die geschikt is voor het bereiden van een bij het roterend boren van een gat in de aardbodem te gebruiken boorspoelingsuspensie, uit bij het boren ontstane afgewerkte suspensie.
US5160440A (en) * 1986-10-29 1992-11-03 Josef Merai Procedure for the dewatering of sewage sludge and plant for procedure execution
SE456149B (sv) * 1987-02-18 1988-09-12 Hedemora Ab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avvattning och pressning av material medelst en skruvpress
JPH04166294A (ja) * 1990-10-31 1992-06-12 Yukio Kato 内式濾過装置
US5205941A (en) * 1991-08-02 1993-04-27 Kamyr, Inc. Feeding equalization for sludge presses
US5292434A (en) * 1992-04-07 1994-03-08 Benesi Steve C Filter apparatus and method using belt filter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77421A (ja) 1994-10-04
JPH084693B2 (ja) 1996-01-24
TW230765B (ko) 1994-09-21
US5503743A (en) 1996-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2980A (en) Method for treatment of waste water sludge
KR101565240B1 (ko)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17001022A (ja) 主軸及び無軸スクリュー区間を有するスラッジ脱水装置
KR930010764B1 (ko) 슬러지 폐기물의 탈수장치
KR20060091701A (ko)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슬러지의 열침투 분쇄탈수장치
JP6527014B2 (ja) 汚泥脱水乾燥システム
EP0615957A1 (en) Device for dehydrating sludge waste
JP3152648B2 (ja) 脱水機
US4651636A (en) Adjustable cone for hydra extractor
CN211284112U (zh) 污泥干化装置
KR2015006489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US573261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 from a material
GB2051600A (en) Paper pulp screen
KR101379344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N112479547A (zh) 污泥干化装置和操作方法
KR100378638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 분리장치
KR20000000709A (ko) 음식물찌꺼기의 분쇄장치 및 방법
JPH09220600A (ja) 固液分離装置
JPS61127000A (ja) スリツトロ−ラ式脱水装置
CN221028069U (zh) 一种环保工程用污泥脱水装置
ITRM970556A1 (it) Apparecchio per la vagliatura e la compattazione
KR100625114B1 (ko) 축산폐수 처리장치
CN216705433U (zh) 一种污粪处理资源化还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