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321B1 - 가동 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가동 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321B1
KR930003321B1 KR1019890011825A KR890011825A KR930003321B1 KR 930003321 B1 KR930003321 B1 KR 930003321B1 KR 1019890011825 A KR1019890011825 A KR 1019890011825A KR 890011825 A KR890011825 A KR 890011825A KR 930003321 B1 KR930003321 B1 KR 930003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ode
valve
accumulator
se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623A (ko
Inventor
요시미 사오또메
기요쯔나 구찌끼
쓰요시 기따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900016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66C13/06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for minimising vibration of a b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use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e.g. during loading, engine start-up or switch-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 E02F9/2207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for reducing or compensating osci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3Hydraul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6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30Propulsion unit conditions
    • B60G2400/302Selected gear ratio; Transmission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동 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유압회로선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유압회로선도.
제 3 도는 유압회로의 제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 채용한 전기회로선도.
제 4 도는 제어의 플로우챠아트도.
제 5 도는 가동형 크레인의 대략적인 측면도.
제 6 도는 종래 장치의 유압회로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부움 20 : 엔진
21 : 트랜스미션기구 22, 23 : 주유압펌프
30 : 방향제어밸브 50 : 유압실린더
51, 52 : 오일챔버 53 : 어큐뮬레이터
60 : 제어기 62 : 모우드선택스위치
본 발명은 가동 또는 자주식 크레인 등에 있어서 거친 땅에서의 주행중에 생기는 진동 또는 흔들림 운동을 억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5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개 가동크레인을 피구동차륜(1)에 지지되는 차량본체(2)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움(3)을 구비하여 부움 승강실린더(4)를 통하여 수평축(5)주위를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종류의 가동크레인에서 차량본체(2)는 주행중에 노면의 기복이나 불규칙성 또는 차량본체의 급격한 가속이나 감속등에 의해 진동이나 흔들림상태에 놓이게 되며 부움(3)이나 다른 구성부재에 수직적인 흔들림을 수반시키고 이 흔들림은 다시 차량 본체의 진동에 더하여져서 차량의 운전자에게 불편한 승차감을 주게된다.
주행중의 그러한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59-182195에 개시되는 장치가 선행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제 6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선행기술장치는 부움 승강유압실린더(18)에 설치된 댐퍼기구(19)와, 실린더(18)의 부하를 유지하는 오일챔버(181)와 연통하는 도관(13)에 구비된 카운터밸런싱벨브(12), 및 도관(13)과 다른 오일챔버(182)에 연결된 도관(17) 또는 방향제어밸브(11)와 연통하는 도관(14)사이에 구비되는 전자전환밸브(16)와 셔틀밸브(15)를 채용하고 있다.
이 장치에 따르면, 전자전환밸브(16)가 A위치에 있을 때 방향제어밸브(11)가 부움업(boom-up)위치 또는 부움다운(boom-down)위치로 전환되면 오일압력이 실린더(18)의 오일챔버(181 또는 182)에 공급되어 실린더(18)를 신축시켜서 부움을 승강시킨다. 부움각도가 10°를 초과하는 경우 전환밸브(16)는 위치 B로 전환되지 않도록 연결 상태로 유지되며, 부움각도가 10°미만인 경우 전환밸브(16)는 연결상태에서 해방된다. 그후로 로커스위치가 결합위치로 작동되면 전자전환밸브(16)는 위치(B)로 전환되고 도관(13)은 전자전환밸브(16)를 통해서 도관(17)에 연통되며, 셔틀밸브(15)는 오일챔버(181,182)를 댐퍼(19)기구의 오일챔버(91)와 서로 연통하여 폐쇄회로를 형성하고 이로써 차량의 주행중에 차량본체(1)에 대한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부움각도만이 연결상태를 해제해야할지 유지해야할지를 판단하는 유일한 기준이 되는데, 즉 크레인의 작동중에 하중이 아직 매달린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나 부움이 신장상태에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부움각도가 10°이하로 되면 즉시 자동적으로 연결은 해제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전환밸브가 운전자의 실수나 기타의 원인으로 인해 위치(B)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또 차량의 주행작동후에 전자전환밸브(16)는 부움이 10°보다 작은면 계속해서 (B)위치에 남아있게 되어 실수로 인해 운전자가 이상태에서 부움의 신축 또는 매달린 하중을 들어올림등에 의해 크레인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크레인 작동중에 전환밸브(16)가 위치(B)로 전환되거나 차량의 주행작동후에 전환 밸브(16)가 아직 위치(B)에 남아있는 동안 크레인 작동이 시작되면, 실린더(18)의 하중을 유지하는 오일챔버(181)는 폐쇄회로에 의해 다른 오일챔버(182)에 연통되고 매달린 하중과 같은 하중을 유지하기 위해 오일챔버(181)에 작용하는 압력은 또한 다른 오일챔버(182)에도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오일챔버(181)안의 주피스톤(183)의 유효압력수용면적은 피스톤로드(184)의 단면적에 해당하는 면적이 되고 오일챔버(181)안의 하중유지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한다.
어떤 경우에는 매달린 하중의 중량이나 부움(3)의 길이에 따라 오일챔버(181)내의 하중유지압력은 카운터 밸런싱밸브(12)의 설정 해제압력레벨을 초과할 수 있으며 카운터 밸런싱밸브(12)의 과부하밸브블 개방하여 실린더(18)를 수축시키게 된다. 이때에 부움(3) 및 매달린 하중이 급강하여 차량본체(2)에 큰 충격을 주게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실린더(18)와 중공피스톤로드(내부실린더)(184)가 과부하에 의해 파손된다. 전술한 문제점에 더하여, 실린더(18)에 설치된 댐퍼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장치는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고, 제작이 복잡하게 되어 원가상승이 된다. 더욱이 댐퍼기구(19)의 오일챔버(191)가 오일챔버(182)와 항시 연통되므로 크레인 작동중에도 오일챔버(182)내의 압력변동의 영향하에 있게되며 그러므로 고장이 발생하기 쉽고 빈번한 수리 및 유지관리의 노력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의 전술한 문제점이나 결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좀더 상세히는 가동크레인의 진동이나 흔들림운동을 억제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실수에 의한 조작에도 불구하고 크레인 작동에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하중유지오일챔버와 유압실린더의 다른 오일챔버 사이의 연통을 방지하며(예를들면, 주행모우드로의 스위치 연결을 방지함), 한편 주행중에 차량본체의 흔들림 운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하여 운전자에게 눈에 띄도록 개선된 승차의 안정감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주행모우드중의 크레인 작동을 방지하여 실린더의 손상과 더불어 부움의 급강하를 방지하며 댐퍼기구의 고장도 적게하여 유지관리 및 작업성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주행모우드로 스위치 연결된 직후 차량의 주행작동의 초기단계에서 또는 장시간의 주행작동중에 실린더를 포함하는 폐쇄회로로부터 오일 누수로 인해 부움이 일정레벨이하로 내려갔을 경우에 부움을 주행적정레벨로 재설정하는 흔들림운동억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에 따라서, 피구동륜위에 지지되는 차량본체 ; 수평축 주위를 선회운동하도록 유압실린더를 통해 차량본체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부움 ; 차량본체에 장착되며 온오프 위치중 어느하나로 전환될 수 있으며 트랜스미션기구를 통해 엔진에 연결되는 주유압펌프 ; 주유압펌프의 오일압력을 상기 유압실린더의 제 1 하중유지주오일챔버 및 대향하는 제 2 오일챔버로 공급하거나 여기서부터 방출시키는 방향제어밸브 ; 유압실린더와 방향 제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카운터밸런싱밸브 ; 차량본체의 흔들림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유압 실린더와 카운터밸런싱 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어큐뮬레이터 ; 제1 및 제 2 오일챔버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와 연통하는 폐쇄회로를 형성하는 차량주행모우드와 폐쇄회로를 열며 개별적으로 제1 및 제 2 오일챔버로 오일압력을 공급하거나 여기서부터 방출시키는 작업 모우드 사이에서 작동모우드의 전환을 위한 모우드 선택장치 ; 주유압펌프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만 모우드선택장치의 주행모우드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가동형 크레인의 흔들림운동을 억제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모우드 선택장치는 예를들면, 제 2 오일 챔버를 방향제어밸브와 연통하도록 하는 작업모우드 위치와 오일압력이 제 2 오일챔버에서 방향제어밸브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주행모우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1 전환밸브 ; 오일압력이 유압실린더의 제 1 오일챔버로부터 제 2 오일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작업모우드 위치와 이들 두 오일챔버가 연통되도록 하는 주행모우드 위치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2 전환밸브, 및 제 2 오일챔버로부터 어큐뮬레이터로 오일압력의 유입을 막는 작업모우드 위치와 제 2 오일챔버를 어큐뮬레이터와 연통하게 하는 주행모우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3 전환밸브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모우드 선택장치의 제1 및 제 3 전환밸브는 전자전환 밸브로 구성되고, 한편 제 2 전환밸브는 제 3 전환밸브 및 어큐뮬레이터 사이의 어큐뮬레이터 도관으로부터 작용되는 파일롯 압력이 소정치 보다 낮아질때 작업모우드 위치를 취하며 그렇지 않으면 주행모우드 위치를 취하도록 된 전환밸브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장치는 트랜스미션 기구를 온오프시키는 트랜스미션 스위치, 작업 및 주행모우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우드 선택위치, 트랜스미션이 오프되고 모우드 선택스위치에 의해 주행모우드가 선택되면 각각의 전자밸브는 주행모우드위치로 전환되고 그렇지 않으면 작업모우드 위치를 유지하는 제어장치를 가진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 장치는 부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부움센서장치를 포함하고 제어기는 트랜스미션 기구의 오프상태표시신호, 모우드선택스위치에 의해 발생되는 주행모우드 선택신호 및 부움의 정상주행위치 표시신호를 받을 때 각각의 전자밸브를 주행모우드로 전환시키고, 그렇지 않을 때는 전자밸브를 작업 모우드 위치에 유지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본 장치는 엔진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보조유압펌프, 어큐뮬레이터에서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작업모우드 위치와 어큐뮬레이터에서 오일유출을 막기 위한 주행모우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제 4 전자전환밸브, 보조펌프에서부터 어큐뮬레이터로 오일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공급장치와 오일공급을 막는 방지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한 제 5 전자전환밸브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에서, 작동과정에서 운전자가 실수를 할때에도 주유펌프가 구동상태에 있는한 주행모우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린더를 승강시키는 부움의 제1 및 제 2 오일챔버를 서로 연통하게 하는 폐쇄회로의 형성을 방지한다. 이것은 또한 실린더의 하중유지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정도로 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부움의 급강하와 실린더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 유압 실린더의 외부에 구비된, 즉 유압실린더와 방향제어밸브 사이에 변위의 억제를 위한 댐퍼기구로서 구비되는 어큐뮬레이터는 유압 실린더 안에 설치되는 댐퍼기구에 비해 구조가 훨씬 간단하며 고장이나 유지관리의 측면에서 볼때도 훨씬 효율적이다.
더욱이 전술한 전환밸브의 결합은 작동중에 조작성 및 제어성이 향상된다. 부움은 주행모우드에 스위치 작동한 직후 작동의 초기단계에서 또는 오랜시간동안의 주행모우드에서의 작동이 계속될때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폐쇄회로로부터의 오일 누수로 인해 그 높이에서 떨어질 때에 보조유압펌프 및 제 5 전환밸브를 통해서 적당한 높이에서 주행위치에 용이하게 재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 및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잇점들은 후술하는 설명과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되는 첨부도면을 통하여 명백히 개시될 것이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20으로 표시된 엔진이 제 5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형 크레인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주유압펌프(22,23)가 동력전달기구(PTO)를 통해서 상기 엔진(20)에 연결되어 있다. 주유압펌프(22)의 방출측과 연통되는 도관(221)은 체크밸브(222)와 릴리이프 밸브(223)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방향제어밸브(30), 도관(31,32), 카운터밸런싱밸브(33), 모우드전환부재(40), 및 제1 그리고 제 2 도관(34.35)을 통해서 부움상승유압실린더(50 ; 제 5 도에서 실린더(4)와 대응)와 연결되어 있다. 방향제어밸브(30)에서 빼낸 도관(224)과 펌프(23)의 방출측의 도관(231)은 또다른 방향제어밸브를 통해서 부움신장 유압 실린더, 원치작동 유압 모우터 등과 같은 요소 액츄에이터에 연결된다.
모우드 전환부재(40)는 제1 내지 제 3 전환밸브(41 내지 43)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전환밸브(41)는 도관(32)을 제 2 도관(35)과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c)와 제 2 도관(35)으로부터 도관(32)쪽으로 오일의 유출을 막는 한편 오일흐름의 역류를 허용하는 위치(d)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다.
제 2 전환밸브(42)는 제 1 도관(34)으로부터 제 2 도관쪽으로의 오일흐름을 막는 한편 역방향으로 오일흐름을 허용하는 위치(e)와 이들 두 도관(34,35)을 서로 연통시키는 위치(f)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다.
제 3 전환밸브(43)는 진동억제 어큐뮬레이터(53)에 연결된 도관(54)으로부터 제 2 도관(35)쪽으로 오일흐름을 허용하는 한편 역방향으로 오일흐름을 막는 위치(g)와 도관(35,54)을 서로 연통하는 위치(h)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환밸브(41 내지 43)는 전자전환밸브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크레인 작동을 개시하기 위해서, 트랜스미션 스위치(61 ; PTO스위치)는 먼저 켜지고, 이에 따라 트랜스미션 기구(21)는 제어기(60)를 통해서 펌프(22,23)를 구동하도록 작동된다. 한편, 조정하지 않으면, 모우드 스위치(62)는 작업모드 위치에 있으며, 전환밸브(41 내지 43)가 각각 도시한 위치(c,e,g ; 작업모우드)에 유지(연결)된다.
방향제어밸브(30)가 부움-엎(boom-up)위치(a)로 전환되면, 펌프(22)의 방출오일은 실린더(50)가 신장 되도록 카운터-밸런싱 밸브(33)를 통해서 제 1 오일챔버내로 흐르고 제 2 오일챔버(52)에서 오일은, 제 1 전환밸브(41)와 방향제어밸브(30)를 통해서 탱크(24)로 복귀한다. 방향제어밸브(30)가 부움-다운 위치(b)로 전환되면 펌프(22)의 방출오일은 제 1 전환밸브(41)를 통해서 제 2 오일챔버(52)내로 역으로 흐르고, 이러한 오일압력에 의해서 카운터-밸런싱 밸브(33)는 제 1 오일챔버(51)에서 오일을 탱크(24)쪽으로 복귀시키도록 개방되며, 그러므로 실린더(50)를 수축시킨다.
실린더(50)가 신축 자유로이 신장되고 수축되면서, 제 5 도의 부움은 부움 각도를 조절하도록 피봇축(5)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러한 경우에, 고압이 부움(3)의 무게, 및 매달려 있는 하중 등에 의하여 제 1 오일챔버(51) 그리고 제 1 도관에서 발생한다. 하지만, 제 2 전환밸브가 위치(e)에 있으므로, 제 2 도관쪽으로, 말하자면 실린더(50)의 로드축으로 또는 탱크(24)쪽으로 고압오일이 흐를 가능성은 없다. 더욱이, 제 3 전환밸브(43)가 위치(g)에 있으므로 제 2 도관(35)에서의 오일이 어큐뮬레이터(53)쪽으로 흐를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압력오일은 어큐뮬레이터(53)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적절하게 부움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방향제어밸브(30)의 시프트(shift)범위(스푸울 개방면적)와 비례하는 적절한 비율로 실린더(50)의 제1 또는 제 2 오일챔버(51,52)에 공급된다.
그리고, 방향제어밸브(30)가 중간위치로 복귀하면, 펌프(22)로부터 실린더(50)의 각각의 오일챔버(51,52)로의 압력오일의 공급은 멈추게 되고, 또한 제 1 오일챔버(51)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은 원하는 각도위치에서 부움(3)을 유지하는 실린더(50)를 멈추도록 위치(e)에서 카운터-밸런싱밸브(33) 및 제 2 전환밸부(42)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이때에, 제 2 도관(35)은 위치(c)에서 제 1 전환밸브(41)와 방향제어밸브(30)의 쓰로틀(301)을 통해서 탱크(24)와 연통하여서 제 2 오일챔버(52)는 탱크압력과 같은 레벨이 된다. 위치(g)에서 제 3 전환밸브(43)는 도관(54)으로부터 도관(35)으로 오일을 흐르게 어큐뮬레이터(53)는 탱크압력과 같은 레벨이 된다.
도시하지 않은 또다른 방향제어밸브를 전환함으로써, 펌프(22,23)의 방출오일은 부움(3)을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그리고 매달린 하중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윈치 작동유압실린더와 마찬가지로 부움 신장 유압실린더에 공급된다.
트랜스미션 기구(21)가 켜지고 크레인 작동중에 주유압펌프(22,23)가 작동되므로, 전환밸브(41 내지 43)는 각각 위치(c,e,g)에 유지되며, 즉 제어기(6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작업모우드에 모두 연결된다. 그러므로, 이들 전환밸브(41 내지 43)는 모우드 선택 스위치가 운전자의 실수로 인해서 주행모우드로 전환될지라도 주행모우드 위치로 전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린더(50)의 두 오일챔버(51,52)가 폐쇄회로에 의해서 부주의로 서로 연통될 가능성은 없으며, 또한 제 1 오일챔버(5)에서 압력이 실린더(50)에 파손을 줄 정도의 비정상적인 높은 압력으로 증가될 가능성도 없다.
한편, 차량의 주행동안에 진동억제효과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부움(3)은 제 5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수축한 상태로 수축되며 또한 매달린 하중을 제거한 후에, 실린더(4 ; 제 1 도에서 50으로 도시함)는 바닥표면으로부터의 높이(H1), 말하자면 하부 한계높이(H0)보다 약간 높은 높이에서 부움의 선두끝을 유지하도록 가장 수축된 상태로부터 약간 신장되는 한편, 크레인후크(도시하지 않음)는 적당한 흔들림각도로 차량몸체와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부움의 높이는 도로상에서 법령에 의해 결정된 차량높이한계(H2)를 넘어 증가할 수는 없다. 따라서 주행중에 부움의 적절한 높이(H1)는 H0<H1<H2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적절한 상태에서 부움(3)을 유지한 후, 트랜스미션 스위치(61)는 펌프(22,23)가 멈추도록 꺼지며, 이에따라 트랜스미션-오프신호는 전환밸브의 연결을 제거하는 제어기(60)에 이송되어 전환밸브가 주행모우드 위치로 전환된다.
그후, 모우드 선택스위치(62)를 조종하여 주행모우드를 선택하여, 전환밸브(41 내지 43)가 제어기(60)에 의해서 위치(d,f,h ; 주행모두드 위치)로 각각 전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 1 도관(34)의 한쪽끝은 카운터-벨런싱 밸브(33)에 의해서 막히는 한편 제 2 도관(35)의 한쪽끝은 위치(d)에서 제 1 전환밸브(41)에 의해 막히고, 위치(h)에서 제 3 전환밸브를 통해서 어큐뮬레이터(53)와 연통하는 폐쇄회로에 의해서 위치(f)에서 제 2 전환밸브를 통해서 도관(34,35)은 서로 연통한다. 이어서, 실린더(50)의 제 1 오일챔버(51)에 작용하는 부하압력은 부하압력과 동등한 압력을 축적하도록 어큐뮬레이터(53)에 유도된다.
그리고, 차량이 주행하도록, 휠(1)은 차량구동기구에 의해서 구동된다. 차량이 주행하고 있을때 차량몸체(2)는 도로표면의 불규칙 또는 기복으로 인하여 또는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으로 인하여 진동하여 부움(3)이 실린더(50)의 수축 및 진동운동에 의해서 상하진동이 수반된다.
이때에, 실린더(50)의 두오일챔버(51,52)는 폐쇄회로에 의해서 어큐뮬레이터(53)와 그리고 서로 연통하여, 실린더(50)의 수축 및 신장운동으로부터 야기된 압력변동은 어뮤뮬레이터(53)와 폐쇄회로의 도관에서 압력손실에 의하여 진압되며, 이에 따라 승차감을 증진하도록 차량몸체(2)의 진동과 흔들림 운동이 억제된다.
차량주행동안에 트랜스미션기구(21)가 오프되고 펌프(22,23)가 작동중지되어, 방향제어밸브(30)가 운전자의 실수에 의해서 부품 상향레버를 건드림으로 인하여 차량주행동안 전환될지라도, 실린더(50)는 부움(3)이 부주의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동되지 않는다.
더욱이, 부움-신장방향 제어밸브(도시하지 않음) 또는 위치 승강작동용 방향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는 온-위치로 전환될지라도, 부움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지 않으며, 또는 매달린 부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실린더(50)의 제 1 오일챔버(51)에서 압력은 작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비정상적으로 높은 레벨에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위에, 펌프(22,23)의 작동정지는 에너지 절약의 효과를 가져오며, 엔진(20)의 동력은 차량구동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압력은 작업모우드에 탱크압력과 동일한 레벨이 된다.
그러므로, 작동모우드가 작업으로부터 주행모우드로 전환될때, 실린더(50)는 실린더(50)의 제 1 오일챔버(51)로부터 어큐뮬레이터(53)에서 축적된 압력오일의 압축체적에 어느정도 상응하는 주행모우드 작용의 초기위상으로 수축되며, 이것은 부움(3)이 최초로 조절된 높이로부터 하강하도록 야기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트랜스미션기구(21)가 오프되고 펌프(22,23)가 역시 오프되므로, 방향 제어밸브(30)가 전환될지라도, 실린더(50)는 신장되거나 또는 수축되지 않는다.
이것은 작동모우드를 차량주행모우드로 전환하기 전에 더욱 높은 레벨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면, 예상되는 부움의 하강과 상응하는 측정에 의하여 적당한 주행높이(H1)보다 더욱 높은 레벨으로 부움을 설정함으로서 피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제 2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를 채용하므로써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제 2 도에서 예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파이롯작동타입전환 밸브(420 : 제 2 전환밸브)는 제 1 도의 전자전환밸브(42) 대신 사용된다.
상기 전환밸브(420)는 파일롯도관(36)으로 유도되는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압력이 소정의 레벨보다 낮을때 위치(e)에서 유지되며, 소정의 레벨보다 높을때 위치(e)로 전환된다. 제 1 도의 제 3 전환밸브(43)와 다른 제 3 전환밸브(430)는 위치(h)에 있을때 어큐뮬레이터 도관(54)을 도관(35)과 연통시키면 위치(g)있을때 이들 도관(54,35)사이의 연통을 막는다.
제 4 전환밸브(44)는 어큐뮬레이터 도관(54)으로 부터 배출도관(55)쪽으로 오일유출을 허용하기 위한 위치(j)와 이러한 오일유출을 막기위한 위치(k)와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다.
제 5 전환밸브(45)는 도관(54)에 연결된 재충전(replensing)도관(56)과 보조유압펌프(25)의 배출도관(251)과의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펌프(25)로부터 어큐뮬레이터(53)로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위치(n)와 오일 재충전을 막기위한 위치(m)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하다.
보조펌프(25)는 엔진(20)과 직접 연결되며, 트랜스미션기구(21)의 온- 및 오프- 위치에도 불구하고 연속적으로 구동된다.
체크밸브는 57로 표시되어 있으며, 보조릴리프밸브는 252로 표시되어 있다.
제어기는 트랜스미션위치(61)의 온- 및 오프-신호, 부움길이센서(63), 부움각도센서(64) 및 매달린하중센서로 부터의 신호, 모우드선택스위치(62)로 부터의 모우드신호, 그리고 업 및 다운스위치(66,67)의 온- 및 오프-신호를 포함한 여러가지 입력신호를 수용하여 이들 입력신호를 기초로하여 전환밸브(41,430,441,451)를 솔레노이드(411,431,441,451)를 여자화 또는 비여자화 시킨다.
이들 밸브의 제어를 위해서, 제어기(60)는 예를들면, 제 3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전기제어회로를 갖추고 있다.
제 3 도에서, 모우드 선택스위치(62)는 작동모우드에서 꺼지며 또한 주행모우드에서 켜진다. 업 스위치는 통상 개방스위치이고, 다운스위치는 통상 폐쇄스위치이다. 각각의 전환밸브의 솔레노이드(411,431,441,451)는 상기에서 언급한 스위치, 연산유니트(68 ; 제어부재), 릴레이(R1내지 R4)그리고 각각의 릴레이 접촉을 통해서 바테리 또는 적당한 전원(69)와 연결된다.
연산유니트(68 ; 제어부재는)각각의 센서(63 내지 65)의 출력신호를 수용하며, 또한 이들신호가 차량주행을 위한 적당한 값, 말하자면,
Figure kpo00001
0+α, θ
Figure kpo00002
θ0+β, W
Figure kpo00003
W0+7
일때, 여기에서
ℓ =탐지된 부움길이
0=최소로 수축한 부움길이,
θ =탐지된 부움각도,
θ =주행중에 적절한 부움각도,
W =매달린 하중의 탐지된 무게,
W0=매달린 하중없이 기본무게,
α, β, γ=에러 공차이며
센서로부터 어느 한 신호가 주행을 하기 위한 적절한 값이 아닐때 회로를 개방한다.
제 3 도의 전기제어회로에 의해서 수행된 제어의 플로우챠아트가 제 4 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즉 제 2 도 내지 제 4 도에서, 트랜스미션스위치(61)를 온상태로 했을때 트랜스미션장치(21 ; PTO)는 주유압펌프(22,23)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작동된다.
그동안에, 보조펌프(25)는 트랜스미션장치(21)의 온 및 오프상태와 무관하게 향상 구동된다.
다른한편, 트랜스미션스위치(61)가 온상태가 되었을때, 제 3 도의 릴레이(R1)는 보통 릴레이의 폐쇄된 접축(R11, R12)을 개방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그러므로, 모우드 선택스위치(62)가 온상태(주행모우드)가 되었을지라도, 릴레이(R2내지 R4)는 작동되지 않고 모든 솔레노이드(411,431,441 및 451)을 여자화되지 않는 개방상태로 릴레이접점(R21, R31, R42및 R43) 한다. 즉 제어는 이제 단계(S1)으로부터 단계(Sυ)까지 진행한다.
결과적으로 전환밸브(41,430,44 및 45)는 각각 위치(c,g,i 및 m)에서 유지된다. 도관(54)은 제 4 전환밸브(44)를 통하여 배출회로(55)와 연통되어서, 어큐뮬레이터(53)를 탱크압력과 같은 레벨으로 만들고 그리고 제 2 전환밸브(420)를 위치(e)에 유지하게 한다. 이제, 각가의 전환밸브는 작동모우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방향제어밸브가 작동위치로 전환되면, 실린더(50)는 부움(3)을 접어 올리거나 또는 접어 내리기 위하여 제 1 도의 실시예에서 처럼 같은 식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된다. 부움(3)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고 그리고 매달려 있는 하중을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식의 크레인 작동을 다른 방향제어밸브를 전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조펌프(25)의 방출오일은 어큐뮬레이터(53)에 공급되지 않고 윈치의 브레이크 및 클러치장치에 공급된다.
크레인작동에 있어서, 각각의 전환밸브는 트랜스미션스위치(61)를 온상태로 작동모우드에 연결되어서 비록 모우드선택스위치(62)가 크레인 작동동안에 조작착오되어 온상태(주행모우드)가 된다고 할지라도 전환밸브(41,430 및 44)의 어느것도 차량주행 모우드에 전활될 수 없으며 전환밸브(420,45)의 어느것도 위치(f,n)에 전환될 수 없다.
따라서, 크레인 작동은 실린더(50)를 통하여 폐쇄회로를 형성하지 않고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차량의 주행작동을 시작하기 위하여, 트랜스미션스위치(61)는 부움을 상기 언급한 적당한 주행위치에 설정된 후에는 오프된다.
결과적으로 트랜스미션장치(21)가 오프되면, 주유압펌프(22,23)을 멈추게하고 통상적으로 폐쇄하는 접촉(R11,R12) 폐쇄시키기 위하여 제 3 도의 릴레이(R1)를 비여자화시킨다. 이때에 센서(63,63 및 65)로부터 수용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기(68)는 부움길이(ℓ), 부움각도(θ) 및 승강하중(W)의 무게가 주행하기 위하여 적당한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단계가 주행기에 적당한 것으로 발견되어진다면 회로는 폐쇄(제 5 도의 단계 S2→S3→S4→S5으로 진행)되며 그리고 수용되는 신호는 어느 하나가 주행하기 위하여 부적당한 것으로 발견되어진다면 회로는 개방(단계(S6)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센서부재(63,64 및 65)의 모든 감지되는 값은 주행하기 위하여 적당한 값이 되는 한, 릴레이(R2)는 모우드선택스위치(62)를 온상태(주행모우드)로 했을때 접촉(R21)을 폐쇄시키기 위하여 여자화되며 릴레이(R3)를 여자화시킨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될때 접촉(R31)은 폐쇄된다.
따라서, 릴레이의 자기유지접촉(R41)을 폐쇄시키기 위하여 여자화되며 그리고 솔레노이드(43,41)를 여자화시키기 위하여 접촉(R41,R41)을 폐쇄시킨다.
결과적으로, 제3 및 제 4 전환밸브(430,44)는 각각 위치(k,k)로 전환된다.
업스위치(66) 및 다운스위치(67)가 이 순간에는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솔레노이드(451)는 솔레노이드(411)가 여자화되는 동안에는 비여자화되며 제 5 전환밸브(45)를 위치(m)로 유지하고 그리고 제 5 전환밸브(41)를 위치(d)로 전환(단계(S5→S7→S9→S11)진행)시킨다.
전환밸브(41,430 및 44)는 위치(d,h, 및 k)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도관(35,54)은 서로 연통하여 도관(35)으로부터 도관(32)까지 그리고 도관(54)으로부터 도관(55)까지 오일흐름을 방지한다.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된 압력은 주행모우드로 전환된 후 즉시 초기 위상에서의 탱크압력에서 여전히 탱크압력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 2 전환밸브(420)는 위치(e)에 있으며 도관(34)으로부터 도관(35)까지 오일흐름을 방지한다.
게다가 도관(34)으로부터 도관(31)까지 실린더(50)의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운터 밸런싱 밸브(33)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부움(3)을 초기의 적당한 높이(H1)로 유지시킨다.
이제 업스위치(66)가 어큐뮬레이터(53)내부에서 압력을 축적하기 위하여 온상태로 되자마자. 솔레노이드(451)는 제 5 전환밸브(45)를 위치(n ; S7-S8)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여자화된다.
이때에, 트랜스미션(21)은 오프가 되고 주유압펌프(22,23)가 정시상태에 있을지라도, 항상 엔진(20)으로 항상 구동되는 보조펌프(25)로부터 오일압력은 전환밸브(45)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53)까지 공급되어서 그리고 어큐뮬레이터(53)내부에 축적된다. 어큐물레이터(53)의 축적된 압력이 설정레벨이 도달했을때, 제 2 전환밸브(420)는 위치(f)러 전환되어서 도관(34,35)을 서로 연통시킨다.
따라서, 업스위치(66)를 오프상태로 하였을대, 솔레노이드(451)는 비여자화되어서 제 5 전환밸브(45)를 (S7→S9→S11)로 나타낸 위치(m)로 복귀시킨다.
이런식으로, 전환밸브(41,420,430,44 및 45)는 각각 위치(d,f,h,k,m)으로 전환되어서 제 1 도에서 설명된 것처럼 같은 작용에 의하여 변위억제작용 효과를 수행하기 위하여 실린더(50)의 두오일챔버(51,52) 및 어큐뮬레이터(53)를 통하여 폐쇄회로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미션장치(21)가 크레인작동시에 펌프(22,23)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온상태가 될때, 각각의 전환밸브는 작업모우드에서 연결된다.
트랜스미션장치(21)가 차량주행 동안에 오프될 될때, 부움 길이센서(63), 부움각도센서(64) 및 매달려 있는 리프팅하중센서(65)로 감지된 값의 어느하나가 소정의 평균치가 되지 않는한 전환밸브의 각각은 모우드선택 스위치가 온상태로 된다고 할지라도 주행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작동실수가 있더라도 실린더(50)가 폐쇄된 회로를 형성한 가능성은 없으며 더욱이 작동상태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제 2 전환밸브(420)는 소정의 압력이 어큐뮬레이터(53)내부에서 축적된 후 도관(34,35)을 연통시키기 위하여 위치(f)로 이동되어서 실린더(50)는 제 1 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되었던 것처럼 어큐뮬레이터(53)의 압축량에 상응하는 크기로 주행모드우로 전환된 후 즉시 초기의 작동위상에서 일어나는 수축에서 벗어나며 그리고 보통 변위억제작용을 일으키는 반면에 차량주행동안에 부춤(3)을 초기에 설정된 적당한 높이(H1)로 유지시킨다.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압력은 보조릴리이프밸브(252)의 설정 압력레벨에 의존하여 설정된다. 그러나 정확도에서 오차 또는 릴리이프 밸브(252)의 설정상태에서 오차로 인하여 편차는 부움(3)이 적당한 주행위치에 있을때, 제 1 오일챔버(51)내부 하중유지압력과 어큐뮬레이터(53)내부의 축적된 압력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그리고 이 압력차는 실린더(50)로 하여금 제 2 전환밸브(420)를 초기에 설정된 적당한 레벨로부터 부움(3)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위치(f)로 이동시킴에 따라 수축되고 신장된다.
실린더(50)가 주행을 위하여 적당한 길이로부터 수축되는 경우에 있어서, 업스위치(66)은 온상태가 되며 이때문에 제 5 전환밸브(45)는 어큐뮬레이터(53)에 압력축적시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위치(n)로 전환되며, 도관(56) 및 그리고나서 부움이 초기의 적당한 높이(H1)까지 상승될때까지 위치(h)에 있는 제 3 전환밸브(430) 및 위치(f)있는 제 2 전환밸브를 통하여 제 1 오일챔버(51)까지 방출오일을 공급하여서 실린더(50)를 신장시킨다.
이때에, 제 2 도관(35)은 제 1 전환밸브(41)에 의하여 폐쇄되며 폐쇄회로에 의하여 도관(34,35)을 서로 연통시켜서 실린더(50)가 램실린더 식으로 신장할지라도 실린더(50)는 오일챔버(51,52) 내부압력을 비정상적으로 높은 레벨까지 증가시킬 가능성 또는 부움이 가장 짧은 거리에 있고 들어올리는 하중을 가지고 있는 않는 차량 주행모우드에서 파손될 가능성은 없다.
제 2 전환밸브(420)를 위치(f)로 전환시키는 어큐뮬레이터(53)의 축적된 압력에 의하여 실린더(50)가 적당한 주행길이를 넘어서 신장되는 경우에, 다운스위치(67)는 눌러진다(오프상태).
이렇게 행함으로써, 솔레노이드(411)는 비여자화(단계 S9→S10)되며 도관(35)을 도관(32)과 연통시키기 위하여 제 1 전환밸브(41)를 위치(c)로 복귀시킨다.
이때에 제 2 전환밸브(420)는 위치(f)에 있어서 실린더(50)의 제 1 오일챔버(51)내부 오일압력은 위치(f)에 있는 제 2 전환밸브, 위치(c)에 있는 제 1 전환밸브 및 방향제어밸브(30)의 쓰로틀을 통하여 탱크(24)까지 배출되며 실린더(50)를 수축시켜서 부움을 낮추게 한다.
부움(3)이 적당한 높이(H1)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다운스위치를 폐쇄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411)는 제 1 전환밸브(41)를 위치(d)로 전환하기 위하여 여자화(단계 S9→S11]된다.
작동이 이런식으로 차량주행모우드로 전환된 후에도 조차, 부움(3)의 예측할 수 없는 급강하가 실린더(50)에 의하여 방지되며 반면에 스위치(66,67)의 작동을 통하여 전환밸브(45,51)를 주행시킨 후에 보조펌프(25)로부터 오일압력을 이용함으로써 부움업 또는 부움다운을 바라는 대로 수행하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변위억제작용에 덧붙여서, 부움(3)은 적당한 높이(H1)까지 쉽게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트랜스미션스위치(61) 또는 트랜스미션장치(21)의 온 및 오프상태 사이에서 식별하는 대신에, 상기 언급한 제어는 주유압펌프의 회전운동 또는 흐름 비율 또는 이러한 펌프로부터 토출오일이 압력에 의하여 감지된 주유압펌프의 회전구동 또는 비구동상태를 기초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가동크레인에서, 상부 회전구조체는 차량의 주행 동안 상부회전구조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로크핀에 의하여 하부차량 구조체에 자주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로크핀센서부재의 출력신호는 제 3 도의 제어기에 전해니다. 예를들면, 로크핀이 맞물려(회전에 대하여 상부회전구조체를 맞물려서 움직이지 않도록 함)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제 4 도의 플로우챠트에서 하나의 단계가 첨가되며 만약 “예”이면 단계(S5)으로 “아니오”이면 단계(S6)으로 이동한다.
더욱이, 부움 길이센서부재(63), 부움각도센서부재(64), 리프팅하중센서부재(65) 및 로크핀센서부재에 의하여 감지된 값을 기초로 한 적당한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작동의 하나 또는 모든 것이 원한다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차의 안락은 차량의 주행동안 실린더 및 어큐뮬레이터를 들어올리는 부움의 진동억제장용에 의하여 개선되며 그리고 운전자가 운전실수를 하였다고 할지라도 실린더의 하중을 유지하는 제 1 오일챔버 내부에 비정상적인 압력증가는 확실히 방지될 수 있으며 부움의 예측할 수 없는 급상하 및 실린더의 과부하파손을 배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장치는 고장을 감지하고 그리고 유지 및 서어비스를 용이하도록 기여한다.
모우드 전환밸브부재가 전자식 타입의 제 1 내지 제 3 전환밸브를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 회로의 여러가지 부품에서 오일흐름을 주행 및 작동모우드 사이에서 모우드들 전환하는 작동에 영향을 미치고 그리고 차량주행 및 크레인 작동을 부드럽게 수행하기 위하여 적당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 2 전환밸브가 상기에서 설명된 것처럼 파일롯 작동식 전환밸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큰 능력 및 보다 높은 작동압력을 요구하는 작동에 대처할 수 있으며 그리고 장치의 실제적인 가치를 고양시킨다.
게다가, 각자의 전환밸브가 트랜스미션 스위치와 관련한 제어기에 의하여 그리고 선택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전환될때, 자동제어는 적당한 방법으로 일정하게 수행되며 더욱이 훨씬 안전하게 운전성 및 조종성을 고양시킨다.
부움길이와 같은 신호작동상태를 기초로 한 제어가 상기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첨가되는 곳에서, 제어의 정확성 및 안진은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엔진으로부터 항상 구동되는 보조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4 및 제 5 전환밸브를 결합하여 어큐뮬레이터에서 소정의 압력을 정확하게 축적하고 주행모우드로 전환된 후 즉시 작동의 초기단계에서 부움의 경미한 강하를 방지하며 따라서 부움을 주행을 위한 적당한 위치에 유지하여서 승차의 안락을 현저할 정도로 개선시키기 위하여 변위억제작용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Claims (6)

  1. 피구동륜위에 지지되는 차량본체 ; 수평축 주위를 선회운동하도록 유압실린더를 통해 차량본체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부움 ; 상기 차체에 장착되며 온오프 위치중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으며 트랜스미션기구를 통해 엔진에 연결되는 주유압펌프 ; 상기 주유압펌프의 오일압력을 선택적으로 제 1 하중유지 주오일챔버 및 대향하는 제 2 오일챔버에로 공급하거나 여기로부터 방출시키는 방향 제어밸브 ;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방향제어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카운터 밸런싱밸브 ; 상기 차체의 흔들림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유압실린더와 상기 카운터 밸런싱 밸브 사이에 구비되는 어큐뮬레이터 ; 상기 제1 및 제 2 오일챔버를 통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연통하는 폐쇄회로를 형성하는 차량주행모우드와 폐쇄회로를 개방하며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및 제 2 오일챔버로 오일압력을 공급하거나 여기서부터 방출시키는 작업모우드 사이에서 작동모우드의 전환을 위한 모우드 선택장치 ; 상기 주유압펌프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에만 상기 모우드 선택장치의 주행모우드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 선택장치는 상기 제 2 오일챔버를 상기 방향제어밸브와 연통하도록 하는 작업모우드 위치와 오일압력이 상기 제 2 오일챔버에서 상기 방향제어밸브에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주행모우드 위치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2 전환밸브 ; 오일압력이 상기 유압실린더의 상기 제 1 오일챔버로부터 상기 제 2 오일챔버에로 유입되는 막는 작업모우드위치와 이들 두 오일챔버가 연통되도록 하는 주행모우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2 전환밸브, 및 상기 제 2 오일챔버로부터 상기 어큐뮬레이터에로 오일압력의 유입을 막는 작업모우드 위치와 상기 제 2 오일챔버를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연통하게 하는 주행모우드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제 3 전환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드 선택장치의 상기 제1 및 제 3 전환밸브는 전자전환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전환밸브는 상기 제 3 전환밸브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 사이의 어큐뮬레이터 도관으로부터 작용되는 파일롯 압력이 소정치 보다 낮아질 때 작업모우드 위치를 취하여 그렇지 않으면 주행모우드 위치를 취하도록 된 파일롯 작동전환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지응로 하는 가동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기구를 온오프시키는 트랜스미션위치, 작업 및 주행모우드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모우드 선택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트랜스미션이 오프되고 모우드 선택스위치에 의해 주행모우드가 선택되면 각각의 전자밸브는 주행모우드 위치로 전환되고 그렇지 않으며 작업모우드 위치를 유지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움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부움센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트랜스미션기구의 오프상태 표시신호, 모우드 선택스위치에 의해 발생되는 주행모우드 선택신호 및 부움의 정상주행위치 표시신호를 받을 때 각각의 전자밸브를 주행모우드에로 전환시키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전자밸브를 작업모우드 위치에 유지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보조유압펌프, 상기 어큐뮬레이더에서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작업모우드 위치와 상기 어큐뮬레이터에서 오일유출을 막기 위한 주행모우드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제 4 전환밸브, 상기 보조펌프에서부터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오일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공급위치와 상기 오일공급을 막는 방지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가능한 제 5 전자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크레인의 흔들림 운동억제장치.
KR1019890011825A 1989-04-21 1989-08-19 가동 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KR930003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3250A JPH0662268B2 (ja) 1989-04-21 1989-04-21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装置
JP103250 1989-04-21
JP89-103205 1989-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23A KR900016623A (ko) 1990-11-14
KR930003321B1 true KR930003321B1 (ko) 1993-04-26

Family

ID=1434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825A KR930003321B1 (ko) 1989-04-21 1989-08-19 가동 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53723A (ko)
EP (1) EP0481120A1 (ko)
JP (1) JPH0662268B2 (ko)
KR (1) KR930003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6188A (en) * 1987-09-16 1992-05-2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Vibration suppressing device for wheeled construction equipment
JPH0662268B2 (ja) * 1989-04-21 1994-08-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装置
JPH0662269B2 (ja) * 1989-04-21 1994-08-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装置
JPH0662270B2 (ja) * 1989-05-10 1994-08-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装置
JPH0639317B2 (ja) * 1989-09-09 1994-05-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機構
US5579931A (en) * 1989-10-10 1996-12-03 Manitowoc Engineering Company Liftcrane with synchronous rope operation
US6758356B1 (en) 1989-10-10 2004-07-06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Liftcrane with synchronous rope operation
US5297019A (en) * 1989-10-10 1994-03-22 The Manitowoc Company, Inc. Control and hydraulic system for liftcrane
JPH0815998B2 (ja) * 1989-10-14 1996-02-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ホイール式クレーンの振動抑制装置
US5287699A (en) * 1990-01-16 1994-02-22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Automatic vibration method and device for hydraulic drilling machine
US5195864A (en) * 1991-08-28 1993-03-23 Case Corporation Hydraulic system for a wheel loader
US5147172A (en) * 1991-09-03 1992-09-15 Caterpillar Inc. Automatic ride control
KR970003508B1 (ko) * 1994-03-25 1997-03-18 한국원자력연구소 크레인의 진동방지를 위한 속도 제어 방법
US5520499A (en) * 1994-07-12 1996-05-28 Caterpillar Inc. Programmable ride control
DE4438899C1 (de) * 1994-10-31 1995-09-07 Hydac Technology Gmbh Energierückgewinnungsvorrichtung
DE29520328U1 (de) * 1995-12-22 1996-02-08 Hydac System Gmbh Steuerungsvorrichtung
US5897287A (en) * 1996-09-25 1999-04-27 Case Corporation Electronic ride control system for off-road vehicles
US5890870A (en) * 1996-09-25 1999-04-06 Case Corporation Electronic ride control system for off-road vehicles
US6009708A (en) * 1996-12-03 2000-01-0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Control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0547577B1 (ko) * 1998-12-31 2006-09-2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산업용 차량의 유압회로 복합제어장치_
DE19939796C1 (de) * 1999-08-21 2000-11-23 Orenstein & Koppel Ag Verfahren und Arbeitsmaschine zur Herstellung von Bodenflächen
KR20010019645A (ko) * 1999-08-28 2001-03-15 권상문 컨테이너 크레인의 충격방지 유압장치
GB2365407B (en) 2000-05-25 2003-10-08 Bamford Excavators Ltd Hydraulic system for wheeled loader
US7204086B2 (en) * 2000-05-25 2007-04-17 J.C Bamford Excavators Limited Method of operating a hydraulic system for a loader machine
DE502004004847D1 (de) * 2003-07-05 2007-10-18 Deere & Co Hydraulische Federung
CN1867737B (zh) * 2003-10-10 2010-04-28 株式会社小松制作所 用于工程车辆的行驶减振装置
EP1528262A1 (en) * 2003-10-29 2005-05-04 Hiab Ab A cra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rane
DE102004012945A1 (de) * 2004-03-17 2005-10-13 Cnh Baumaschin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wegungstilgung bei Baumaschinen
US7487707B2 (en) * 2006-09-27 2009-02-10 Husco International, Inc. Hydraulic valve assembly with a pressure compensated directional spool valve and a regeneration shunt valve
DE102011108851A1 (de) * 2011-07-28 2013-01-31 Liebherr-Werk Ehingen Gmbh Kransteuerungssystem
US10246854B2 (en) * 2016-10-26 2019-04-02 Wacker Neuson Production Americas Llc Material handling machine with rid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7044459B (zh) * 2017-06-06 2018-06-22 吉林大学 一种装载机联合供能液压***及其控制方法
FR3112337B1 (fr) 2020-07-07 2022-07-08 Manitou Bf Engin de manutention de charge
US20220282460A1 (en) * 2021-03-05 2022-09-08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terrain based control of self-propelled work vehicles
CN113266622A (zh) * 2021-04-20 2021-08-17 圣邦集团有限公司 一种稳定模块及设有该稳定模块的装车***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07161A (en) * 1965-04-06 L. Freedy Allan Hydraulic circuit for tractor mounted loaders
US3814265A (en) * 1973-08-20 1974-06-04 Harnischfeger Corp Hydraulic crane control system having means for deactivating control valves when operating limit is exceeded
FR2324899A1 (fr) * 1974-01-14 1977-04-15 Poclain Sa Installation hydraulique permettant un stockage d'energie aux faibles puissances d'utilisation
US4046270A (en) * 1974-06-06 1977-09-06 Marion Power Shovel Company, Inc. Power shovel and crowd system therefor
US4085587A (en) * 1975-11-03 1978-04-25 Leslie H. Garlinghouse Fail safe liquid power device
IT1073144B (it) * 1976-10-28 1985-04-13 Welko Ind Spa Apparecchiatura idraulica per l'alimentazione di liquido a due differenti pressioni ad un dispositivo idraulico
WO1981000598A1 (en) * 1979-08-30 1981-03-05 Caterpillar Tractor Co Selectively actuatable fluid control system for a work implement
US4367673A (en) * 1981-01-09 1983-01-11 Dresser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of a boom hoist device
US4674638A (en) * 1983-03-17 1987-06-23 Kobe Steel Ltd. Control for deflection reduction means
JPH0662268B2 (ja) * 1989-04-21 1994-08-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移動式クレーンの変位抑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23A (ko) 1990-11-14
JPH0662268B2 (ja) 1994-08-17
EP0481120A1 (en) 1992-04-22
JPH02282191A (ja) 1990-11-19
US4953723A (en) 199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321B1 (ko) 가동 크레인의 흔들림 운동 억제장치
KR920004527B1 (ko) 이동식 크레인의 변위억제장치
KR920010178B1 (ko) 이동식 크레인의 떨림 억제장치
KR100929420B1 (ko) 굴삭기의 붐 충격 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30001766B1 (ko) 이동기중기 변위억제를 위한 장치.
EP0866027B1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for industrial vehicles
JP5388787B2 (ja) 作業機械の油圧システム
US7530434B2 (en) Hydraulic system
KR100771027B1 (ko) 산업 차량의 제어 장치, 산업 차량, 및 산업 차량의 제어방법
US4995517A (en) Mechanism for suppressing vibrations of travelling crane
JPWO2011108550A1 (ja) 作業用車両のダンパ作動制御装置およびダンパ作動制御方法
CN104093994B (zh) 液压驱动***
JPWO2006090655A1 (ja) バッテリ式産業車両の荷役回生方法及び荷役回生システム
KR101669452B1 (ko) 포크 리프트의 유압 제어 장치
JP2005112516A (ja) 産業車両の荷役用油圧装置及び産業車両
JPH0742385U (ja) 作業車両の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の切換装置
JPH0732848A (ja) サスペンションの油圧制御装置
JP3000197U (ja) 建設車両の走行安定機構における作業装置降下抑制装置
JP3729029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重検出装置
KR100427336B1 (ko) 트럭의 로딩 시스템
JP4527860B2 (ja) クレーンの油圧ウインチの速度制御方法および同装置
CA2528670C (en) Hydraulic system
KR920009595B1 (ko) 차륜형 건설장비용 진동억제장치
JPH0513819Y2 (ko)
KR100660274B1 (ko) 지게차의 파워를 증대 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