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433B1 -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적재장치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적재장치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433B1
KR930002433B1 KR1019870004471A KR870004471A KR930002433B1 KR 930002433 B1 KR930002433 B1 KR 930002433B1 KR 1019870004471 A KR1019870004471 A KR 1019870004471A KR 870004471 A KR870004471 A KR 870004471A KR 930002433 B1 KR930002433 B1 KR 930002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vable deck
wheel
vehicle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019A (ko
Inventor
후사오 가또오
요시오 우메즈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세끼 신지
가부시기가이샤 마루분
요꼬다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세끼 신지, 가부시기가이샤 마루분, 요꼬다 히데오 filed Critical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8Multilevel-deck construction carry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적재장치 및 그 사용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적재장치(2)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시III방향에서 본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적재장치(2)에서 자동차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화살표시V에 따라 지지봉(8),(9)만을 본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화살표시VI방향에서 본 도면.
제7도는 제1도의 기대(4)만을 본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 확대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Ⅸ-Ⅸ선 단면도.
제10도는 제2도의 가동덱(6)만을 본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화살표시XI 방향에서 본 도면.
제12도는 제1도의 기대(4), 가동덱(6), 지지봉(9) 및 걸림기구(11)의 요부확대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 지지봉(9)의 핀(176)을 걸어맞춤레버(l78)에 걸게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있어서 가동덱(6)을 기대(4)상에 중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화살표시XV방향에서 본 도면.
제16도는 제1도의 권취장치(l50)의 확대도.
제17도는 제16도의 화살표시XVII방향에서 본 도면.
제18도는 제7도의 XVIlI-XMIII선 확대단면도.
제19도는 제7도의 XIX-XIX선 확대단면도.
제20도는 제10도의 XX-XX선 확대단면도.
제21도는 제11도의 화살표시 XXl선 방향에서 본 도면.
제22도는 제4도의 XXII-XXII선에 따라 기대(4) 및 자동차 A를 본 단면도.
제23도는 제4도의 화살표시 XXIII에 따라 기대(4) 및 자동차 A를 본 도면.
제24도는 제4도의 화살표시 XXIV 따라 가동덱(6) 및 자동차 B를 도면.
제25도는 제4도의 화살표시 XXV에 따라 가동덱(6) 및 자동차 B를 본 도면.
제26도는 제23도에 도시된 죄임장치의 다른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27도는 제25도에 도시된 죄임장치의 다른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28도는 자동차 A,B를 적재한 본 방치를 지게차에 의해 콘테이너에 싣는 상황을 도시한 정면도.
제29도는 콘테이너내에 실어진 적재장치(2)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XXX-XXX선 확대단면도.
제31도는 제28도의 지게차(260)의 포오크(262)의 확대도.
제32도는 사용하고 있지 않는 복수개의 적재장치를 포개어싼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33도는 지지봉(9)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걸림기구(11)의 다른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정면도.
제34도는 제33도에 있어서 지지봉(9)의 핀(l76)을 걸어맞춤레버(178)에 겉게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35도는 상기 비사용위치에 있는 지지봉(9)을 가동덱(6)에 지지하기 위한 다른 걸림장치를 가춘기대(4), 가동덱(6), 지지봉(9) 및 걸림기구(11)의 요부확대 정면도.
제36도는 제35도에 있어서 지지봉(9)의 걸림맞춤레버(181)를 가동덱(6)의 핀(177)에 걸리게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37도는 제35도에 있어서 가동덱(6)을 기대(4)위에 중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화살표시 XXVIII 방향에서 본 도면.
제39도는 가동덱(6)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40도는 제39도의 화살표시 XXXX에 따라 가동덱(6)만을 본 도면.
제4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42도는 제41도의 화살표시 XXXXII방향에서 본 도면.
제43도는 제41도의 화살표시 XXXXIII방향에서 본 도면.
제44도는 제41도의 스토퍼기구(326)의 확대부분단면도.
제45도는 제41도의 적재장치(302)의 비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정면도.
제46도는 제41도의 적재장치(302)의 콘테이너 C에 실은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02 : 적재장치 4,304 : 기대
6,306 : 가동덱 8,9,322,324 : 지지봉
10,11,326,328 : 걸림기구
본 발명은, 콘테이너에 자동차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장치 및 그 사용방법의 갸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테이너에 적재해서 수송할때, 이 콘테이너에 단순히 자동차를 수평상태로 적재하고 있었던 한편, 콘테이너자체가 규격품인 경우가 많아, 그 경우 자동차를 적재한 상태에 있어서도 콘테이너내에 여유공간이 많아, 매우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여유, 공간을 극력 작게한 상태에서 자동차를 콘테이너내에 적재할 수 있는 적재장치 및 그 사용방법올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콘테이너내에 재치되는 동시에 자동차를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만 자주(自走)에 의해 적재가능하고 또한 대략 수평상태로 유지가능한 기대와, 한쪽단부가 상기 기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에 축착되고 상기 기대위에 대략 중합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기대위에 적재되는 상기 자동차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위치로 변위가능한 동시에 자동차를 상기 한쪽단부로부터 자주에 의해 적재하고 유지가능한 가동덱과 상기 기대와 상기 가동덱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이 가동덱을 상기 제2위치에 유지하는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기대는 이 기대가 재치되는 재치면에 대한 당접면과, 상기 기대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설된 차륜을 가지고, 상기 차륜은 상기 기대가 평평한 재치면에 재치되었을 때에 상기 당접면이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받는 접지반력이 충분히 유지되게 상기 차륜이 재치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또는 약간만 접촉되도록 상기 기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과 반대쪽의 단부가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약간 들어올려졌을 때에 상기 기대의 상기 당접면이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차륜만이 상기 재치면에 당접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기대에는 이 기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과 반대쪽의 단부를 들어올림장치에 의해 들어올릴때에 동 들어올림장치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적재장치 및 동 적재장치위에 2대의 자동차를 적재하고, 또 동 적재장치를 콘테이너내에 이송하는 사용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대위에 적재되는 자동차의 지붕판 앞가장자리부와 보닛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덱이 대략 평행으로 되게 미리 상기 사용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기대위에는 자동차를 그 지붕판 앞가장자리부와 보닛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이 상기 가동덱근처에 위치하도록 적재하고, 사이 가동덱위에는 자동차를 그 앞부분이 뒤부분 보다도 위가되는 상태로 상기 가동덱위에 적재하므로서 다음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적재장치위에 상기한 바와 같이 2대의 자동차를 적재하므로서 상기 기대상의 자동차와 가동덱위의 자동차가 그 일부를 서로 중합한 상태가 되나, 동사용위치에 있는 가동덱은 기대상의 자동차에 있어서의 지붕판 앞가장자리부와 보닛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략 병행으로 또한 동평근처에 위치하므로, 동가동덱위의 자동차에 있어서의 지붕판 앞가장자리부와 보닛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이 대략 수평상태로 되며, 또한 적재상태에 있는 양쪽의 자동차의 최대높이는 상기 기대위의 자동차의 차높이와 가동덱위의 자동차의 차높이를 합친것보다 대폭적으로 작게되고, 또 적재상태에 있는 양쪽의 자동차의 최대길이는 상기 기대위의 자동차의 전체길이와 가동덱위의 자동차의 전체길이를 합친 것보다도 대폭적으로 작게되며, 이에의해 2대의 자동차를 그 최대높이 및 최대길이를 극력 작게해서, 콘테이너내의 여유공간을 극히 작게한 상태로 콘테이너내에 적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어, 실용상 대단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대상의 자동차는 그 앞부분을 상기 가동덱으로 향하게하고, 가동덱위의 자동차는 그 앞부분을 위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으므로 양쪽의 자동차는 모두 본 적재장치에 전진해서 올라타게되어 후진해서 동적재장치위에 올라탈 필요가 없다. 따라서 미리 가동덱을 상기 제2위치에 유지한 상태로 자동차를 기대위에 적재하고 이어서 가동덱위에 자동차를 적재할 경우에도, 최초에 상기 비사용 위치에 있는가동덱위에 자동차를 적재하고 이어서, 동가동덱을 상기 사용위치에 유지한 후에 기대위에 자동차를 적재하는 경우에도 각 자동차를 자주(自走)에 의해 용이하게 적재장치위에 적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재장치에 있어서는, 적재하는 자동차의 크기가, 콘테이너내에 적재하였을 때에 동콘테이너의 내벽과의 사이에 충분히 여유가 있을 정도로 작은 것이라면, 상기 기대위 또는 가동덱위에 각각 적재하는 자동차의 방향을 상기한 방법과는 반대로해서 적게해도 충분히 스페이스효율을 올리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중(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적재장치를 총괄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적재장치(2)는 기대(4), 가동덱(6), 지지봉(8),(9) 및 걸림기구(10),(11)를 구비하고 있다.
기대(4)는 특히 제1도, 제4도, 제22도 및 제23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뻗은 종통(縱通)프레임(12),(14)과, 상기 종통프레임(12),(14)사이에 교설(橋設)된 크로스프레임(16),(18),(20) 및 (22)를 가지고 있다. 종통프레임(12),(14)의 제1도 좌단부는 상기 종통프레임(12),(14)의 재치면 G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위쪽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굴곡된 부분의 하면에는 브래킷(24),(26)이 각각 고착되어 있다.
양브래킷(24),(26)간에는 크로스프레임(28)이 교설되어 있다. 크로스프레임(20),(22)사이에는 보조프레임(30),(32)이 교설되어 있다. 크로스프레임(28),(16) 및 (18)위에는 재치되는 자동차 A의 차륜이 얹히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플레이트(34),(36)가 고착되어 있다. 이들 플레이트(34),(36)는 적재되는 자동차가 올라타기 쉽도록 제3도 좌단부에 슬로우프(34a),(3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크로스프레임(18),(20)사이에는 자동차 A의 차륜이 꼭끼어지는 차륜고정장치(38),(40)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차륜고정장치(38),(4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는 차륜고정장치(38)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륜고정장치(38)는 크로스프레임(38)은, 크로스프레임(l8),(20)사이에 고착된 단면 ㄴ자형의 프레임(42),(44)과 상기 프레임(42),(44)사이에 교설된 차륜이 꼭끼이는 간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바아(46)를 가지고 있다. 각 바아(46)는 제8도 및 제9도에 명백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각 단면이 산모양을 이루고 양쪽하면에는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핀(48),(50)이 고착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42),(44)에는 이들 핀(48),(50)이 삽통되는 복수개의 구멍(52)이 서로 동간격으로 상기 프레임(42),(4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핀(48),(50)이 관통하는 구멍(52)을 적당히 선택하므로서 바아(46)의 프레임(42),(44)에 대한 위치를 조절할 수가 있다. 또 핀(48),(50)에는 각각 상기 핀(48),(50)의 프레임(42)으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부재(54),(56)가 삽통되는 구멍(58),(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재(54),(56)는 각각 구멍(58),(60)에 대하여 걸림해제가 가능하게 되도록 충분한 탄성을 가진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종통프레임(l2),(14)의 제1도 좌단부하면에는 각각 차륜(62),(6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차륜(62),(64)는 기대(4)가 되시한 바와같이 평평한 재치면 G위에 재치된 상태에서는 단순히 재치면에 접촉만하게 또는 재치면 G으로부터 떨어지게 또 기대(4)의 타단부(제1도의 우단부)만을 약간량(예를들면 100∼200mm)들어올였을 때에 종통프레임(12),(14)의 하면이 재치면 G에 일체 접촉됨이 없이 차륜(62),(64)만이 재치면 G에 접지되게 설정되어 있다.
가동덱(6)은, 특히 제1도 제4도, 제l0도, 제1l도, 제24도 및 제25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뻗은 종통프레임(66),(68)과, 상기 종통 프레임(66),(68)사이에 교설된 크로스프레임(70),(72),(74),(76) 및 (78)을 가지고 있다. 종통프레임(66),(68)의 제1도 우단부하면에 각각 고착된 브래킷(80),(82)사이에는 크로스프레임(84)이 교설되며, 또 크로스프레임(70),(72) 사이에는 보조프레임(86),(88)이 교설되어 있다. 크로스프레임(74),(76),(78) 및 (84)위에는 재치되는 자동차 B의 차륜이 얹히는 길이방향으로 뻗은 플레이트 (90),(92)가 고착되어 있다. 이들 플레이트(90),(92)는 적재되는 자동차가 올라타기 쉽도록 제4도 우단부에 슬로우프(90a),(9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크로스프레임(72),(74)사이에는 자동차 B의 차륜이 꼭끼어지는 차륜고정장치(l02),(104)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차륜고정장치(102),(104)는 실질적으로 제8도 및 제9도에 따라서 상세하기 설명한 차륜고정장치(38)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통프레임(66),(68)은 제10도 우단부 바깥쪽면에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한 축(106),(l08)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들 축(106),(108)은 각각 기대(4)의 종통프레임(12),(14)의 제1도 우단부 상면에 고착된 힌지브래킷(1l0),(11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에의해 가동덱(6)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14)위에 중합하는 제1위치와,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1위치로부터 회전운동해서 상기 가동덱(6)의 타단부가 자동차 A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위치로 변위가능하다. 또 크로스프레임(84)에는 뒤에 설명하는 지게차의 포오크에 의해 본 장치(2)의 제1도 우단부를 들어올릴때에 상기 포오크가 걸어맞는 ㄷ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부재(1l4)가 고착되어 있다. 또 크로스프레임(70)에는 역시 뒤에 설명하는 지게차의 포오크에 의해 가동덱(6)의 제1도 좌단부를 들어올릴때에 상기 포오크가 걸이맞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걸어맞춤부재(115)가 고착되어 있다.
지지봉(8),(9)는 각각 일단부를 가동덱(6)의 프레임(66),(68)의 바깥쪽면에 고착된 한지브래킷(116),(118)에 상기 가동덱(6)의 폭방향에 따른 축선을 가진 축(120),(122)을 개재해서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봉(8),(9)은 가동덱(6)의 프레임(66),(68)의 바깥쪽면에 따른 비사용 위치와 선단부가 걸림기구(10),(11)에 걸어맞추어서 가동덱(6)을 상기 제2위치에 유지하는 사용위치로 변위할 수 있다. 또 양지지봉(8),(9)의 각 안쪽면에는 ㄷ자형의 브래킷(l24),(126)이 각각 고착되고, 양브래킷(l24),(126)은 연결로드(128)의 양단부가 각각 고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좌우의 지지봉(8),(9)이 서로 연동된다.
걸림기구(10),(1l)는 기대(4)의 종통프레임(12),(14)위에 각각 고착된 단면자형의 브래킷(130),(132)과 양브래킷(130),(132)에 각가 부착되는 스토퍼(134),(136)를 가지고 있다. 브래킷(130),(132)는 그 양측벽에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1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l34),(136)는 브래킷(130),(132)의 각 구멍(138)을 관통하는 보올트(140),(142)에 의해 상기 브래킷(130),(l32)에 고정된다. 이에의해, 특히 제12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가동덱(6)을 기대(4)에 대해서 위쪽으로 회전운동변위시켰을때에 지지봉(8),(9)의 하단부의 기대(4)에 대한 변위를 금지하고 가동덱(6)을 기대(4)에 대해서 경사한 제2위치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걸림기구(10),(11)에 있어서는 보올트(140),(142)가 관통하는 브래킷(l30),(132)의 구멍 (138)을 적당히 선택하므로서, 스토퍼(134),(136)의 브래킷(130),(132)에 대한 부착장치, 다시말하면, 가동덱(6)의 기대(4)에 대한 경가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30),(132)에는 지지봉(8),(9)의 하단부에 걸림가능한 복수개의 스토퍼(144)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걸림기구(10),(11)는 가동덱(6)이 제2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가동덱(6)의 아래쪽으로의 변위를 규제할 수는 있으나, 상기 가동덱(6)의 위쪽으로의 변위를 규제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가동덱(6)의 위쪽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죄임장치(1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죄임장치(146)는 기대(4)의 종통프레임(12),(14)위에 각각 설치된 권취장치(l48),(150)와 브래킷(130),(132)에 각각 설치된 활차(152),(154)와 가동덱(6)의 종통프레임(66),(68)의 바깥쪽면에 각각 고착된 링(156),(158)과 일단부가 링(156),(158)에 각각 걸려있고, 타단부가 권취장치(148),(150)에 각각 감겨지고, 중간부분을 활차(152),(154)에 각각 현가된 강철선제의 로우프(160)를 가지고 있다. 권취장치(148),(15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권취장치(150)를 제16도 및 제17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권취장치(150)는 종통프레임(14)상이 고착된 ㄷ자형의 브래킷(162)과, 동 브래킷(l6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된 로우프(160)를 권취하는 귄취축(164)과, 동 권취축(164)에 고정된 래칫휘일(166)과, 브랫킷(162)에 핀(168)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된 래치휘일(166)에 결합하여 권취축(164)의 로우프(160)를 인출하는 방향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포울(170)과, 래칫휘일(166)에 일방향 클래치(172)를 개재하여 장착된 레버(174)를 가지고 있다. 일방향 클래치(172)는, 권취축(164)에 로우프(16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레버(l74)를 회전운동할때에 권취축(164)을 연동시키고, 동레버(174)를 이것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할때에 귄취축(164)을 비연동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계지기구(10),(11)가 기대(4)상에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봉(8),(9)이 가동덱(6)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나 지지봉(8),(9)의 일단부를 기대(4)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봉(8),(9)의 각 타단부를 거는 걸림기구(10),(11)를 가동덱(6)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제12도∼제15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지지봉(9)의 안쪽면에는 핀(176)이 돌출되고 또 가동덱(6)의 종통프레임(68)의 바깥쪽면에는 지지봉(9)을 제l3도에 도시한 위치로 변위시켰을때 핀(176)에 걸어맞추어서 상기 지지봉(9)의 아래쪽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걸어맞춤 레버(178)가 핀(180)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맞춤레버(178)는, 핀(l76)이 들어가는 걸어맞춤부(l78a) 및 경사면(178b)을 가지며, 가동덱(6)이 제12도에 표시한 각도(제2위치)에 있을때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자신의 중량에 의해 수직으로 메어달린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가동덱(6)을 약간 들어올린 상태에서 지지봉(9)을 걸어맞춤레버(178)을 향해서 회전운동시키면, 핀(176)이 상기 걸어맞춤레버(178)의 훅부의 경사면(178b)에 당접(當接)해서 상기 걸어맞춤레버(178)를 약간량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며, 또 핀(176)이 경사면(178b)을 완전통과하면, 걸어맞춤레버(178)가 자신의 중량에 의해 다시 수직으로 메어달리며, 이 상대에서 지지봉(9)을 약간 내리므로서 핀(l76)이 걸어맞춤레버(l78)의 걸어맞춤부(178a)에 걸어맞추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비사용위치에 있는 지지봉(9)을 가동덱(6)에 유지하는 걸림장치가 구성된다.
또한, 지지봉(9)의 핀(176)이 걸어맞춤레버(178)의 걸어맞춤부(178a)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지지봉(9)의 일부가 가동덱(6)의 종통프레임(68)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덱(6)을 기대(4)위에 중합하였을때(제1위치)에는 지지봉(9)이 가동덱(6)에 대하여 상승되어서 핀(176)과 걸어맞춤레버(178)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한편, 기대(4)의 종통프레임(14)의 한쪽면에는 핀(182)이 돌설(突設)되어 있다. 이 팬(182)은 가동덱(6)을 제13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기대(4)위에 중합되도록 아래쪽으로 내렸을때에, 걸어맞춤레버(178)의 경사면(178b)에 걸어맞추어저서 상기 걸어맞춤레버(178)를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거의 수직으로 메어달린 상태로 회전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14도에 도시한 이 상태로부터 가동덱(6)을 서서히 올려가면 걸어맞춤레버(178)는 자신의 중량에 의해 수직으로 메어달린 상태에서 가동덱(6)과 함께 상승하나, 이에 걸어맞춤레버(178)는 그 걸어맞춤부(178a)가 지지봉(9)의 핀(176)에 걸어맞추어지는 일 없이 가동덱(6)과 함께 핀(176)보다도 위쪽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대(4)에 설치된 핀(182)의 임무는 다음과 같다. 즉, 만약 핀(l82)이 없었다면, 제13도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걸어맞춤레버(178)가 축(180) 또는 종통 프레임(68)의 바깥쪽면에 대해서 이물의 개입 또는 녹등의 원인에 의해 자신의 중량에 의거한 회전모멘트정도로는 회동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 가동덱(6)을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위시켜도, 걸어맞춤레버(178)가 종통프레임(68)에 대하여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위시켜도, 걸어맞춤레버(178)가 종통프레임(68)에 대하여 제l4도에 도시된 위치보다도 축(l80)을 중심으로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그 경우, 가동덱(6)을 제14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위쪽으로 회전운동시켜갈때에, 걸어맞춤레버(178)가 지지봉(9)의 핀(l76)에 걸어맞추어져서 상기 지지봉(9)이 가동덱(6)과 함께 위쪽으로 회전해버리는 불편이 발생한다. 그런데, 핀(182)은, 상기한 바와같이 가동덱(6)이 제l4도에 도시한 위치 회전운동되면, 걸어맞춤레버(178)의 경사면(178b)에 걸어맞추어져서 상기 걸어맞춤레버(178)를 강제적으로 수직으로 메어달린 상태로 변위시키므로, 상기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통프레임(68)의 바깥쪽면에 돌설된 핀(l83)은, 걸어맞춤레버(178)의 회전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의 임무를 이루고 있다. 또 이들핀(]76), 걸어맞춤레버(178) 및 핀(182)에 해당하는 것은, 지지봉(8)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이것은 상기 지지봉(8)은 연결로드(128),(제5,6도 참조)에 의해 지지봉(9)에 연동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자동차 A,B를 각각 기대(4) 및 가동덱(6)에 고정하기 위한 죄임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기대(4)위에 제4도 도시된 바와같이 적재된 자동차 A를 고정하는 죄임장치를 설명한다.
기대(4)의 크로스프레임(20)에는, 제7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2개의 권취장치(184)가 설치되어 있다,
권취장치(184)는, 제7도 및 제18도에 명백한 바와 같이 크로스프레임(20)에 고착된 브래킷(184a)과 브래킷(184a),(184a) 사이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축(184b)과 상기 권취축(184b)의 일단부에 고정된 래칫휘일(184c)과 브래킷(184a)에 축(184d)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래칫회일(184c)에 걸어맞추어저서 권취축(184d)의 인출방향의 회전을 지지하는 포을(184e)과, 래칫휘일(184c)에 고정되어 도시하지않은 랜치등의 공구가 걸어맞추어지는 6각형의 걸어맞춤부(184f)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2도에 도시한바와같이, 자동차 A의 앞부분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훅(186),(l88)에 일단부가 각각 걸린 강철선제의 로우프(190),(192)의 타단부를 각각 권취장치(184)에 감아서, 각 로우프(190),(l92)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므로서, 자동차 A의 앞부분을 기대(4)에 고정하고 있다.
또 제7도 및 제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대(4)의 크로스프레임(28)에는 권취장치(l94) 및 링(196),(198) 이 설치되며, 종통프레임(12)에는 링(200)이 설치되고, 종통프레임(14)에는 링(202)이 설치되어 있다. 권취장치(194)는 권취장치(184)와 실질적으로 동일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권취장치(194)는, 제7도 및 제19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크로스프레임(28)에 고착된 브래킷(194a)과, 권취축(194b)과, 래칫휘일(194c)과, 축(194d)과, 포을(194e)와, 걸어맞춤부(184f)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 부품에 의해 권취장치(184)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제2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부가 자동자 A의 뒷부분 아래쪽에 설치된 훅(206)에 걸린 강철선제의 로우프(208)의 타단부를 링(202)에 현가된 활차(210), 자동차 A의 뒤부분아래쪽에 설치된 훅(204)에 현가된 활차(212) 및 링(200)의 순서로 두루걸어서 권취장치(194)에 감아서 로우프(208)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므로서, 자동차 A의 뒤부분을 기대(4)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A의 뒤부분에 대해서는, 제2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단부가 링(202)에 걸린강철선제의 로우프(2l4)의 타단부를 훅(206)에 현가된 활차(216), 링(198), 링(l96), 훅(204)에 현가된 활차(218) 및 링(200)의 수서로 두루걸어서 권취장치(194)에 감으므로서 기대(4)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자동차 A의 뒤부분에 대해서는, 그 앞부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훅(204),(206)의 근처에 각각 권취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각 훅(204),(206)에 각각 선단부가 걸린 강철선제의 로우프를 각각 권취장치에 감으므로서, 기대(4)에 고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음에 가동덱(6)위에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재된 자동차 B를 고정하는 죄임장치를 설명한다. 가동덱(6)의 크로스프레임(70)에는 2개의 권취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권취장치(220)는 역시 권취장치(184)과 실질적으로 동일구조는 가지고 있다. 즉 권취장치(220)는 제10도 및 제20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크로스프레임 (70)에 고착된 브래킷(220a)과, 권취축(220b)과, 래칫휘일(220c)과, 축(220d)과, 포을(220e)과 걸어맞춤부(220f)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 부품에 의해 권취장치(I84)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제2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 B의 앞부분 아래쪽에 착설되어 있는 훅(222),(224)에 일단부가 걸린 강철선제의 로우프(226),(228)의 타단부를 각각 권취장치(220)에 감아서 로우프(226),(228)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므로서, 자동차 B의 앞부분을 가동덱(6)에 고정하고 있다.
또 제10도, 제11도, 및 제2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덱(6)의 종통프레임(68)에는 권취장치(230)가 설치되며, 크로스프레임(84)에는 링(232),(234)가 설치되고 브래킷(80)에는 링(236)이 설치되어 있다. 권취장치(230)는 권취장치(184)와 실질적으로 동일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권취장치(230)는 제11도 및 제21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종통프레임(68)에 고착된 브래킷(230a)과 권취축(230b)과 래칫휘일(230c)과 축(230d)과 포을(230e)과 걸어맞춤부(230f)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각 부품에 의해 권취장치(184)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제2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부가 자동차 B의 뒤부분아래쪽에 설치된 훅(238)에 걸린 강철선재의 로우프의 타단부를 링(236)에 현가된 활차(242), 링(234) 및 자동차 B의 뒤부분아래쪽에 설치된 훅(244)에 현가된 활차(246)의 순서로 두루걸어서 권취장치(230)에 감아서 로우프(240)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므로서, 자동차 B의 뒷부분을 가동덱(6)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B의 뒤부분에 대해서는 제2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부가 링(236)에 걸린 강철선재의 로우프(248)의 타단부를 훅(238)에 현가된 활차(250), 링(232), 링(234) 및 훅(244)에 현가된 활차(252)의 순처로 두루걸어서 권취장치(230)에 감으므로서, 가동덱(6)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자동차의 뒤부분에 대해서는 그 앞부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훅(238),(244)의 근처에 각각 권취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각 훅(204),(206)에 각각 선단부가 걸린 강철선제의 로우프를 각각 권취장치에 감으므로서, 가동덱(6)에 고정하는 것과 물론 가능하다.
그런데, 기대(4)의 종통프레임(12),(14)의 상면에는 가동덱(6)을 기대(4)위에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합시켰을 때에 그 가동덱(6)의 상면과 동일높이에 위치하는 4개의 포스트(254)가 고착되며, 또 각 포스트(254)의 상면에는 핀(256)이 돌설되어 있다. 또 기대(4)의 종통프레임(l2),(14)의 하면에는 각 핀(256)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각 핀(256)이 감합가능한 걸어맞춤구멍(15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덱(6)을 기대(4)상에 중합한 적재장치(2)의 핀(256)을, 위쪽으로 포개어싼 다른 적재장치(2)의 걸어맞춤구멍(258)에 감합(嵌合)하므로서, 비사용 상태에 있는 복수개의 적재장치(2)를 안정적으로 포개쌀수 있다.
다음에, 본 적재장치(2)의 실제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2대의 자동차의 적재장치(2)에서의 올라타는 순서는 2가지 있으나, 먼저 기대(4)위에 자동차 A가 올라타고, 이어서 가동덱(6)위에 자동차 B가 올라타는 제1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제1위치(제2도)에 있는 가동덱(6)을, 상기 가동덱(6)의 걸어맞춤부재(115)에 포오크를 걸어맞춘 지게차에 의해 제2위치(제1도), 측 지지봉(8),(9)의 하단부가 각각 걸림기구(10),(11)의 스토퍼(134),(136)에 걸리는 위치에 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가동덱(6)을 경량으로 제작되었으면, 상기 가동덱(6)을 제l위치로부터 수동에 의해 제2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이어서 일단부를 링(156),(l58)에 각각 걸게한 로우프(160)를 각각 권취장치(148),(150)에 의해 감아서, 각 로우프(160)에 충분한 장력을 부여하고, 이에 의해 지지봉(8),(9)의 하단부의 스토퍼(134),(136)에 대한 걸어맞춤 상태를 충분히 유지시킨다. 이어서, 기대(4)위에 제1도 좌측으로부터 자동차 A를 전진시켜서 올라타게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자동차 A의 전륜을 차륜고정장치(38),(40)위에 위치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서 자동차 A의 지붕판(A1)의 앞가장자리부와 보닛(A2)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이 가동덱(6)의 하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또한 근처위치가 되게 걸림기구(10),(l1)에 있어서의 스토퍼(134),(136)의 브래킷(130),(132)에 대한 위치 및 차륜고정장치(38),(40)에 있어서의 각 바아(46)의 프레임(42),(44)에 대한 위치가 미리 조정되어 있다. 또 자동차 A를 로우프(190),(l92) 및 (208)에 의해 기대에 고정한다. 그 다음에 가동덱(6)위에 제1도 우측으로 부터 자동차 B를 전진시켜서 올라타게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자동차 B의 전륜을 차륜고정장치(l02),(104)위에 위치시킨다. 또 자동차 B를 로우프(226),(228) 및 (240)에 의해 가동덱(6)위에 고정한다.
이에의해 2대의 자동차 A,B의 적재장치(2)에의 적재가 완료된다.
다음에, 처음에 가동덱(6)위에 자동차 B가 올라타고 이어서 기대(4)위에 자동차 B가 올라타는 제2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위치(제2도)에 있는 가동덱(6)위에 제2도 우측으로부터 자동차 B가 전진해서 올라타게하여 상기 자동차 B의 전륜을 차륜고정장치(102),(104)위에 위치시키고, 또 상기 차량 B을 로우프(226),(228) 및 (240)에 의해 가동덱(6)위에 고정한다. 또한, 이 로우프(226),(228) 및 (240)에 의한 고정작업은, 가동덱(6)이 제1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행해지므로, 극히 용이하게 행해진다.
이어서 자동차 B의 고정이 완료된 상기 가동덱(6)의 걸어맞춤부재(115)에 제2도 좌측으로 부터 접근시킨 지게차의 포오크를 걸어맞추고 상기 가동덱(6)을 제1도에 도시된 제2위치에까지 상승시켜, 지지봉(8),(9)의 하단부를 각각 걸림기구(10),(1l)의 스토프(134),(136)에 걸어 고정시킨다. 다음에 로우프(160)를 제l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루걸어서 각각 권취장치(148),(150)에 의해 충분한 장력을 부여한다.
그 다음에, 기대(4)위에 제1도 좌측으로부터 자동차 A를 전진시켜서 올라타게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자동차 A의 전륜을 차륜고정장치(38),(40)위에 위치시킨다. 이상태에 있어서 역시 상기한 제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A의 지붕판(A1)의 앞가장자리부와 보닛(A2)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이 가동덱(6)의 하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또한 근처위치가 되게, 걸림기구(10),(11)에 있어서의 스토퍼(134),(136)의 브래킷(130),(l32)에 대한 위치 및 차륜고정장치(38),(40)에 있어서의 각 바아(46)의 프레임(42),(44)에 대한 위치가 미리 조정되어 있다. 또 자동차 A를 로우프(190),(192) 및 (209)에 의해 기대(4)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2대의 자동차 A,B의 적재장치(2)에의 적재가 완료된다.
그리하여, 2대의 자동차 A,B의 적재장치에의 적재가 완료되면, 제2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게차(260)의 포오크(262)를 적재장치(2)의 걸어맞춤부재(114)에 걸어맞추어, 지게차(260)에 의해 적재장치(2)의 우단부를 100∼200mm정도 들어올려서 기대(4)의 종통프레임(12),(l4)의 하면을 적재면 G으로부터 완전히 뜨게하여 차륜(62),(64)만을 접지시키고 또 상기 지게차(260)를 전진시켜서 적재장치(2)를 콘테이너(264)내에 적재한다. 또한, 지게차(260)의 포오크(262)에는 제31도에 표시한바와같이, 걸어맞춤부재(114)에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2개의 돌기(270a),(270b)를 가진 어태치멘트(270)가 감합되고 또 도시하지 않는 보울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돌기(270a),(270b)는, 제2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게차(260)에 의해 적재장치(2)를 전진시킬때에 상기 지게차(260)가 약간의 궤도수정을 행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부재(114)의 폭보다도 충분히 큰 간격을 서로 가지고 있다.
또, 적재장치(2)를 콘테이너(264)내에 적재하는데 있어서는, 적재면과 콘테이너(264)내의 바닥면(266)과의 사이에 단차가 있기 때문에, 상기 콘테이너(264)의 입구에는 슬로우프(268)가 미리 설치된다. 상기 슬로우프(268)에는, 적재장치(2)의 차륜(62),(64)를 콘테이너(264)내의 소정위치에 안내하는 안내가 필요에 따라서 착설된다. 그리하여, 적재장치(2)는, 제3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테이너(264)내에 있어서, 기대(4)의 종통프레임(12),(14)과 상기 콘테이너(264)의 측벽(272),(274)과의 간격에 적당히 그 간격에 대응한 크기의 목재동으로 이루어진 블록(276),(278)을 박아넣으므로서, 상기 콘테이너(264)내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블록(276),(278)을 사용하는 대신에, 종통프레임(12),(l4)의 바깥쪽면에, 나사식 또는 레버식등의 기구에 의해 돌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돌출부재를 설치하여, 이 돌출부재를 콘테이너(264)의 측벽(272),(274)에 각각 당접시키므로서, 기대(4)를 콘테이너(264)내에 확고하게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2대째의 적재장치(2)도 콘테이너(264)내에 적재되어, 제2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대의 적재장치(2)가 콘테이너(264)내에 적재된다. 또, 적재장치(2)를 사용한 후에, 제2도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제l도에 도시한 상태로 할려면, 먼저 권취장치(148),(150)를 늦추는 동시에, 지게차등에 의해 가동덱(6)을 약간량 더 상승시켜서 그 위치에 유지한다. 그리하여, 그 상태로부터 지지봉(8),(9)를 제1도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핀(176)을 걸어맞춤레버(178)에 걸어맞춘후, 상기 지게차등에 의해 가동덱(6)을 제2도에 도시한 제1위치를 행해서 서서히 하강시켜, 상기 가동덱(6)을 기대(4)위에 중합시킨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에 설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가동덱(6)의 제2위치에 있을때에 자동차 B가 그 보닛 B2을 위로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덱(6)에 적재되므로, 자동차 A와 자동차 B가 그 일부를 서로 중합한 상태가되나,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가동덱(6)은 자동차 A에 있어서의 지붕판 A1의 앞가장자리부와 보닛 A2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또한 이 평면근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자동차 B에 있어서의 지붕판 B1의 앞가장자리부와 보닛 B2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이 대략 수평상태가 되고, 또한 적재장치에 있는 양쪽의 자동차 A와 B를 합친 최대높이는, 자동차 A의 차높이와 자동차 B의 차높이를 합친것 보다도 대폭적으로 작게되고, 또 적재장치에 있는 양쪽의 자동차 A와 B를 합친 최대길이는, 자동차 A의 전체길이와 자동차 B의 전체길이를 합친것보다도 대폭적으로 작게되며, 이에 의해서 2대의 자동차 A 및 B를 그 최대높이 및 최대길이를 극력 작게해서 여유공간을 극히 적게한 상태로 콘테이너(264)내에 적재할 수 있다고하는 효과가 있다. 본원출원인의 시험에 의하면, 미국내에서 철도등에 사용되고 있는 규격품의 콘테이너에 있어서 종래 통상의 적재방법으로 1대의 콘테이너에 2대의 자동차밖에 적재할 수 없었으나, 본 장치(2)를 사용하므로서, 1대의 콘테이너(264)에 4대의 자동차를 적재하는 확실한 전망이 섰다.
또, 적재장치(2)는 비사용 상태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덱(6) 및 지지봉(8),(9)이 함께 기대(4)위에 중합하도록 변위시켜서 극히 콤팩트하게 뭉칠 수 있고, 또한 제3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256)을 포개싸는 장치(2)의 걸어맞춤구멍(258)에 감합하므로서, 안정된 상태에서 다수 포개쌀 수 있으므로, 적재장치(2)를 단체(單體)로 수송할때에 있어서도, 대단히 스페이스 효율이 뛰어나고 또한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다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A는 그 앞부분을 가동덱(6)으로 향하게하고. 자동차 B는 그 앞부분을 위쪽으로 향하게 하기 때문에, 자동차 A 및 B는 모두 상기 적재장치(2)에 전진하여 올라타는 것으로되고, 후진해서 상기 적재장치(2)에 올라탈 필요가 없으며, 이에의해 각 자동차 A 및 B를 자주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적재장치(2)위에 적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자동차 A 및 B를 적재한 상태의 적재장치(2)를 평평한 재치면 G위에 재치한 상태에 있어서는, 기대(4)의 양 종통프레임(12) 및 (14)의 하면이 재치면 G에 꽉 당접하므로, 어떠한 상기 적재장치(2)의 이동을 규제하기 의한 장치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또 상기 적재장치(2)를 콘테이너(264)내에 적재할때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지게차에 의해 기대(4)의 제1도 우단부를 약간 들어올려서 상기 기대(4)의 하면을 재치면 G으로부터 뜨게해서 차륜(62),(64)만을 접지시키고, 그대로 그 지게차를 주행시켜서 적재장치(2)와 함께 자동차A 및 B를 콘테이너(264)내에 적재할 수 있으므로, 극히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적재장치(2)의 콘테이너(264)에의 적재작업을 행할 수 있다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9도에 도시한 콘테이너(264)는, 적재장치를 2대, 즉 4대의 자동차를 1대의 콘테이너에 적재할 수 있는 크기의 것이기 때문에, 1대의 적재장치만 적재가능한 콘테이너라도 전적으로 동일하게 본 실시예에 의한 적재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맡할것도 없다.
또, 지지봉(8),(9)의 하단부의 걸림기구(l0),(11)에 대한 걸림위치는, 상기 걸림기구(l0),(11)에 있어서의 스토퍼(134),(l36)의 브래킷(130),(132)에 대한 고정위치를 적당히 선택하므로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덱(6)의 제2위치에서의 기대(4)에 대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고, 또 자동차 A의 전륜이 꼭끼이는 차륜고정장치(38),(40) 및 자동차 B의 전륜이 꼭끼이는 차륜고정장치(102),(104)도 각 전륜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의해, 적재장치(2)에 자동차 A,B와는 다른 모양, 크기의 자동차를 적재할때도, 스페이스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적재할 수 있다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 가동덱(6)을 제1위치(제2도)로부터 제2위치를 향해서 상승시켜가는 도중애서, 지지봉(8),(9)의 하단부가 걸림기구(10),(11)의 각 스토퍼(144)를 차례로 타넘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가동덱(6)을 상승시켜가는 도중에서, 어떠한 원인으로 지게차등의 가동덱(6)을 상승하는 수단이 고장나서 가동덱(6)이 하강하기 시작해도 지지봉(8),(9)의 하단부가 걸림기구(10),(11)의 어느것인가의 스토퍼(144)에 걸려서 가동덱(6)이 그 위치에 유지되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된다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장치(2)를 사용후에, 그 가동덱(6)을 기대(4)위에 중합되도록 하강시킬때에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봉(9)의 핀(176)을 걸어맞춤레버(178)에 걸어맞춤으로서 지지봉(8),(9)을 가동덱(6)의 양측면에 따르게 할 수 있으므로, 지지봉(8),(9)의 하단부가 걸림기구(10),(11)의 스토퍼(134),(136) 혹은 스토퍼(144)에 걸리는 일없이 가동덱(6)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 가동덱(6)을 기대(4)위에 중합시키면, 제14도에 의해서 설명한 바와같이, 지지봉(9)이 걸림기구(11)의 브래킷(132)에 당접하여 가동덱(6)에 대해서 약간량 상승하여 핀(176)과 걸어맞춤레버(178)와의 걸어맞춤이 풀리는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레버(178)가 핀(182)에 의해 강제적으로 핀(176)에 대해서 비걸어맞춤위치로 변위되게 된다. 또 이 상태로부터 가동덱(6)을 상승시키면, 걸어맞춤레버(178)를 핀(176)에 걸어맞추는 일없이 상기 가동덱(6)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가동덱(6)을 제1위치(제2도)로부터 제2위치(제1도)를 향해서 상승시킬때에, 일부로 걸어맞춤레버(178)와 핀(178)과의 걸어맞춤을 푸는 작업이 불필요하제 된다고하는 효과가 있다.
제33도 및 제34도에 가동덱(6)을 제2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걸림기구(10),(11)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또한, 상기 제33도 및 제34도에 있어서 상기한 각 구성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상기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3도 및 제34도에 도시된 걸림기구(280)는, 기대(4)의 종통프레임(14)위에 각각 고착된 단면 ㄷ자형의 브래킷(l32)을 가지고 있으며, 이 브래킷(132)의 양측벽에는 구멍(282)이 서로 등간격을 두고 그 길이방향에 걸쳐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 브래킷(132)에는 지지봉(9)의 하단부에 당접하는 스토퍼(284)가 구멍(282)의 1개를 관통하는 보울트(286)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스토퍼(144)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고착되어 있다. 다른 한편, 지지봉(9)의 하단부는 설정반경 r을 가진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 원호와 동일축심을 가진 구멍(288)이 천설(穿設)되어 있다. 그리고, 제3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봉(9)의 하단부를 스토퍼(284) 및 브래킷(132)의 저면에 당접시키는 동시에, 브래킷(132)의 구멍(282) 및 지지봉(9)의 구멍(282)을 관통하는 보울트(290)에 의해 상기 지지봉(9)의 하단부를 브래킷(132)에 고정하므로서, 가동덱(6)을 제2위치에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봉(9)의 하단부가 스토퍼(284) 및 브래킷(132)의 저면에 당접한 상태에서 구멍(288)이 구멍(282)에 대응해서 위치하도록, 상기한 지지봉(9)의 하단부의 설정반경 r이 브래킷(l32)의 저면과 구멍(282)의 중심과의 거리에 동등하게 설정되며, 또 스토퍼(284)도 그 당접면이 지지봉(9)의 하단부에 당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기구(280)에 의하면, 보울트(290)에 의해 지지봉(9)의 위쪽으로의 변위도 규제할 수 있으므로, 로우프(160)에 의해 가동덱(6)의 고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 가동덱(6)이 제2위치에 있을때에 지지봉(9)의 하단부가 스토퍼(284) 및 브래킷(132)의 저면에 상시 당접하므로, 가동덱(6) 및 이 가동덱(6)위의 자동차의 중량을 스토퍼(284) 및 브래킷(132)의 저면에서 받은 것으로 되어, 보울트(290)에 하향의 대하중이 작용하지 않고, 강도상 극히 유리하다.
제35도∼제38도에 비사용위치에 있는 지지봉(9)을 가동덱(6)에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장치의 다른예를 도시한다. 또한, 제35도∼제38도에 있어서, 상기한 각 구성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상기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5도∼제38도에 도시한 걸림장치는, 가동덱(6)의 프레임(68)의 바깥쪽면에 돌설된 핀(177)과 지지봉(9)에 핀(l79)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된 핀(177)에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춤레버(181)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레버(181)는, 핀(177) 이 들어가는 걸어맞춤부(181a) 및 경사면(181b)을 가지며, 가동덱(6)이 제35도에 도시한 각도(제2위치)에 있을때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자신의 중량에 의해 수직으로 메어달린상태로 되어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가동덱(6)을 약간 들어올린상태에서 지지봉(9)을 핀(177)을 향해서 회전운동시키면, 상기 핀(177)이 상기 걸어맞춤레버(18l)의 훅부의 경사면(181b)에 당접하여 상기 걸어맞춤레버(178)를 약간량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며, 또 핀(177)이 경사면(181b)을 완전통과하면, 걸어맞춤레버(181)가 자신의 중량에 의해서 재차 수직으로 메어달리며, 이상태에서 지지봉(9)을 약간 내리므로서 핀(177)이 걸어맞춤레버(181)의 걸어맞춤부(18la)에 걸어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비사용위치에 있는 지지봉(9)을 가동덱(6)에 유지하는 걸림기구가 구성된다.
또한, 지지봉(9)의 걸어맞춤레버(181)의 걸어맞춤부(181a)가 핀(177)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제3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지지봉(9)의 일부가 가동덱(6)의 종통프레임(68)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의해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덱(6)을 기대(4)위에 중합하였을때(제1위치)에는, 지지봉(9)이 가동덱(6)에 대하여 상승되어서 핀(177)과 걸어맞춤레버(181)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 제35도∼제38도에 도시된 걸림기구도 상기한 제12도∼제15도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적재장치(2)의 사용방법에 있어서는 적재하는 자동차 A,B의 크기가, 콘테이너(264)내에 적재하였을때에 상기 콘테이너의 내벽과의 사이에 충분한 여유가 있을 정도 작은 것이라면, 자동차A,B의 방향을 상기한 방법과는 반대로해도 충분히 스페이스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 적재창치(2)에 있어서, 기대(4) 및 가동덱(6)을 적절한 헝상으로 변경하므로서 자동차 B가 제1위치(제l도)에 있는 가동덱(6)위에 제1도 좌측으로부터도 기대(4)의 일부를 경유해서 올라타는 것도 가능하다. 그 일례를 제39도 및 제40도에 의해서 설명하면, 상기 제1위치에 있는 가동덱(6)위에 그 좌단부로부터 자동차 B가 올라탈 수 있게 상기 가동덱(6)의 좌단부에 자동차 B의 차륜이 통과하는 슬로우프로서의 플레이트(292),(294)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292),(294)는, 가동덱(6)의 좌단부에 있어서 종통프레임(66),(68)사이 가설된 크로스프레임(296)과 크로스프레임(72)에 걸쳐서 배설(配設)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덱(6)위에 자동차 B가 올라타기 쉽도록 도면좌측이 아래가 되게 경사져 있다. 크로스프레임(296)은, 가동덱(6)을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들어올릴때에 지게차의 포오크가 용이하게 걸어맞춤을 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위쪽으로 만곡된 걸어맞춤부(296a)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구조를 채용했을 경우에도 자동차 B의 훅(222),(224)에 선단부를 각각 전 도시하지 않는 로우프에 각 권취장치를 적당하게 각각 종통프레임(66),(68)의 좌단부 근처에 배설한다. 또, 적재장치(2)에 있어서는, 차륜(62),(64)이 종통프레임(12),(l4)의 제1도 좌단부에 착설되어 있으나, 그 대신에 상기 종통프레임(12),(14)의 제1도 우단부를 재치면 G으로부터 떨어지게 위쪽으로 굴곡시키는 동시에 그 굴곡된 부분의 하면의 차륜(62),(64)을 착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차륜(62),(64)을 종통프레임(12),(14)의 양단부에 각각 착설하므로서, 기대(4)의 길이방향의 편리한쪽의 단부를 지게차로 들어올려서 상기 적재장치(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41도∼제4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41도∼제46도에 있어서, (302)는, 이 실시예에 관한 적재장치를 총괄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적재장치(302)는, 기대(304), 가동덱(306) 및 유지장치(308)을 구비하고 있다. 기대(304)는, 뒤에 설명하는 콘테이너내에 재치되는 동시에 1대째의 자동차 A가 대략 수평상태로 적재되게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기대(304)는,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뻗은 2개의 종통프레임(310) 및 (3l2)와, 양 종통프레임(310),(312)간에 가설된 판부재(314)를 가지고 있다. 이들 종통프레임(310),(312)은 기본적으로 재치면 G에 대하여 당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일단부에 있어서 재치면 G으로부터 떨어지게 위쪽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굴곡된 부분의 하면에는 각각 캐스터(316),(318)가 부착되어 있다. 캐스터(3l6),(318)는 기대(304)가 도시한 바와같이 평평한 재치면 G위에 재치된 상태에서는, 단순히 재치면 G에 접촉만하고, 또는 재치면 G으로부터 떨어지게, 또 기대(304)의 타단부(제4l도의 우단부)를 약간량(예를들면,100mm) 들어올렸을때에 종통프레임(310),(312)의 하면이 재치면에 일체 접촉됨이 없이 캐스터(316),(318)만이 재치면 G에 압접(歷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판부재(314)의 -제41도 우단부에는 후술하는 지게차등의 차량에 의해 상기 재치창치(302)의 우단부를 들어올릴때에 그 포오크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314a)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덱(306)은, 그 하단부를 축(320)에 의해 기대(304)의 종통프레임(310) 및 (31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기대(304)위에 대략 중합하는 제1위치(제45도)와, 1대째의 자동차 A에 있어서의 지붕판 A1의 앞가장자리부와 보닛 A2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또한 이 평균근처에 위치는 제2위치(제41도)에 변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 가동덱(306)은, 제2위치에 있을때에 2대째의 자동차 B가 그 보닛 B2을 위로한 상태로 적재되도록, 평판형상을 하고 있다.
지지장치(308)는, 지지봉(322),(324)과, 걸림기구(326),(328)를 가지고 있다. 지지봉(322),(324)은, 그 하단부를 각각 축(330)에 의해 기대(304)의 종통프레임(310),(31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각각 종통프레임(310),(312)위에 대략 중합하는 비사용위치(제45도)와 가동덱(306)에 걸어맞추어져서 상기 가동덱(306)을 그 제2위치에 유지하는 위치(제41도)로 변위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32a) 및 (324)의 상단부에는, 각각 걸림기구(326) 및 (328)에 걸리게되는 스토퍼핀(322),(324)이 배설되어 있다. 이들 걸림기구(326),(328)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걸림기구(326)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걸림기구(326)는, 가동덱(306)에 용접등에 의해 고착된 상자형의 베이스멤버(336)와, 이 베이스멤버(336)내에 용접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울트등에 의해 고착되어 지지봉(322)의 스토퍼핀(322)을 받아 고정하도록 아래쪽을 향해서 개구된 오목부가 형성된 받침부재(338)와, 베이스멤버(336)에 관통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받침부재(338)내에 위치하는 지지봉(322)의 변위를 금지하는 로드(340)를 가지고 있다. 또한, 걸림기구(326) 및 (328)은 지지봉(322) 및 (324)의 각 상단부를 각각 가동덱(306)에 걸리는 것이라면, 다른 형식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적재장치(302)의 작용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적재장치(302)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에 있어서는, 제1위치(제45도)에 있는 가동덱(306)을 수동으로 들어올려서, 지지봉(322) 및 (324)의 스토퍼핀(332) 및 (334)을 각각 스토퍼기구(326) 및 (328)에 의해 걸게 하므로서, 상기 가동덱(306)을 제2위치(제41도)로 유지한다. 그리하여, 1대째의 자동차를, 그 지붕판 A1의 앞가장자리부와 보닛 A2의 앞가장자리부가 극력 가동덱(306)의 하면에 접근하도록, 기대(304)의 제1도 좌단부로부터 판부재(314)위에 자주(自走)에 의해 적재한다. 그후, 기대(304)에 제41도 우단부로부터 2대째의 자동차 B를 자주에 의해 이 우단부에 미리 적재된 보조길판(補助道板)(342)을 통과해서 가동덱(306)위에 적재한다. 최후에, 양쪽의 자동차 A 및 B를 도시하지 않는 죄임장치에 의해 각각 기대(304) 및 가동덱(306)에 고정한다.
그리하여, 2대의 자동차 A 및 B의 적재장치(302)에의 적재가 완료되면, 보조길판(342)을 기대(304)로부터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는 지게차등의 들어올리는 기능을 갖춘 챠량에 의해 기대(304)의 제41도 우단부를 100mm정도 들어올려서 상기 기대(304)의 하면을 재치면 G으로부터 뜨게하고, 그대로 그 들어올리는 기능을 갖춘 차량을 움직이게 해서 적재장치(302)와 함께 자동차 A 및 B를 콘테이너 C내에 적재하고, 그후 적당하게 도시하지 않는 죄임장치에 의해 적재장치(302)를 콘테이너 C에 고정한다.
또한, 적재장치(302)의 콘테이너 C에의 적재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서 콘테이너 C와 이 콘테이너 C의 재치면과의 단차(段差)를 없애도록 도시하지 않는 보조길판이 사용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콘테이너 C내에 캐스터(316)(318)를 각각 안내하는 도시하지 않는 안내레일을 부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에 설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가동덱(306)이 제2위치에 있을때에 2대째의 자동차 B가 그 보닛 B2을 위로한 상태로 상기 가동덱(306)에 적재되므로, 1대째의 자동차 A와 2대째의 자동차 B가 그 일부를 서로 중합한 상태가 되나,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가동덱(306)은 1대째의 자동차 A에 있어서의 지붕판 A1의 앞가장자리부와 보닛 A2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또한 이 평면 근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2대째의 자동차 B에 있어서의 지붕판 B1의 앞가장자리부와 보닛 B2의 앞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수평이 대략 수평상태가 되며, 또한 적재상태에 있는 양쪽의 자동차 A와 B를 합친 최대높이는,1대째의 자동차 A의 차높이와 2대째의 자동차 B의 차높이를 합친것보다도 대폭적으로 작게되며, 또 적재상태에 있는 양쪽의 자동차 A와 B를 합친 최대길이는, 1대째의 자동차 A의 전체길이와 2대째의 자동차 B의 전체길이를 합친것보다도 대폭 작게 되어, 이에 의해 2대의 자동차 A 및 B를 그 최대높이 및 최대길이를 극력 작게해서 여유공간을 극력 적게한 상태에서 콘테이너 C내에 적재할 수 있다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적재장치(302)는 비사용상태에 있어서, 제4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덱(306) 및 지지봉(322),(324)가 공히 기대(304)위에 중합되게 변위시켜서 극히 콤팩트하게 뭉칠 수 있으므로, 적재장치(302)를 단체로 수송할때에 있어서도, 대단히 스페이스효율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A는 그 앞부분을 가동덱(306)을 향하고, 자동차 B는 그 앞부분을 위쪽을 향하게 하고 있으므로, 자동차 A 및 B는 모두 상기 적재장치(302)에 전진해서 올라타는 것으로 되어, 후진해서 상기 적재장치(302)에 올라탈 필요가 없으며, 이에의해 각 자동차 A 및 B를 자주에 의해 용이하게 적재장치(302)위에 적재할 수 있다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 자동차 A 및 B를 적재한 상태의 적재장치(302)를 평평한 재치면 G위에 재치한 상태에 있어서는, 기대(304)의 양 종통프레임(310) 및 (312)의 하면이 재치면 G에 만만하게 당접하므로, 아무런 상기 적재장치(302)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 상기 적재장치(302)를 콘테이너 C내에 적재할 때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들어올리는 기능을 갖춘 차량에 의해 기대(304)의 제4l도 우단부를 약간 들어올려서 상기 기대(304)의 하면을 재치면 G으로부터 뜨게하고, 그대로 그 들어올리는 기능을 갖춘 차량을 움직이게 해서 적재장치(302)와 함께 자동차 A 및 B를 콘테이너 C내에 적재할 수 있으므로, 극히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적재장치(302)의 콘테이너 C에의 적재작업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46도에 도시한 콘테이너 C는, 적재장치(302)는, 즉 4대의 자동차를 1개의 콘테이너에 적재할 수있는 타이프의 것이나, 1대의 적재장치만 적재 가능한 콘테이너라도 전적으로 동일하게 본 실시예에 의한 적재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덱(306)을 수동으로 그 제2위치로 변위시키고 있었으나, 기대(304)와 가동덱(306)과의 사이에 도시하지 않는 유체잭 또는 전동잭등의 신축기구를 설치하고, 이 신축기구에 의해 가동덱(306)을 변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종류의 신축기구를 채용했을때에, 상기 신축기구의 신축을 금지할 수 있는 록기구를 아울러 구비한 타이프의 것이라면, 상기한 걸림기구(326)(328)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이런종류의 신축기구에 있어서 충분한 파우어를 가진 것이라면, 제1위치(제45도)에 있는 가동덱(306)위에 자동차 B를 자주에 의해 적재하여 상기 가동덱(306)을 상기 신축기구에 의해 제2위치(제41도)로 변위시키고, 그후 자동차 B를 기대(304)위에 자주에 의해 적재하도록 구성하는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2대째의 자동차 B를 가동덱(306)위에 자주에 의해 적재할때에, 보조길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가동덱(306)의 아래가장자리부(304)에 있어서의 판부재(3l4)의 상면에 접근시켜서 단차를 작게하면, 보조길판(342)을 사용함이 없이 2대째의 자동차 B의 적재장치에의 적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동덱(306)의 상단부에 자동차 B의 전륜이 당접하는 스토퍼(306a)를 배설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 자동차 A의 치수가 미리 정해져 있으면, 기대(304)위의 소정위치에 자동차 A가 정지하도록 상기 기대(304)에 스토퍼(304a)를 배설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의해 자동차 A 및 B의 적재장치(302)에의 적재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콘테이너(264)내에 재치되는 동시에 자동차(A)를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만 자주(自走)에 의해 적재가능하고 또한 대략 수평상태로 유지가능한 기대(4)와, 한쪽단부가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에 축착되고 상기 기대(4)위에 대략 중합하는 제1위치(제2도)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기대(4)위에 적재되는 상기 자동차(A)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위치(제l도)로 변위가능한 동시에 자동차(B)를 상기 한쪽단부로부터 자주에 의해 적재하고 유지가능한 가동덱(6)과, 상기 기대(4)와 상기 가동덱(6)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이 가동덱(6)을 상기 제2위치(제l도)에 유지하는 지지봉(8,9)을 구비하고, 상기 기대(4)는 이 기대(4)가 재치되는 재치면(G)에 대한 당접면과,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설된 차륜(64)을 가지고, 상기 차륜(64)은 상기 기대(4)가 평평한 재치면(G)에 재치되었을때에 상기 당접면이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받는 접지반력이 충분히 유지되게 상기 차륜(64)이 재치면(G)에 접촉되지 않도록 또는 약간만 접촉되도록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64)과 반대쪽의 단부가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약간 들어올려졌을때에 상기 기대(4)의 상기 당접면이 상기 재치면(G)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차륜(64)만이 상기 재치면(G)에 당접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기대(4)에는 이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64)과 반대쪽의 단부를 들어올림장치(260)에 의해 들어올릴때에 동 들어올림장치(260)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 적재장치.
  2. 콘테이너(264)내에 재치되는 동시에 자동차(A)를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만 자주에 의해 적재가능하고 또한 대략 수평상태로 유지가능한 기대(4)와, 한쪽단부가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에 축착되고 상기 기대(4)위에 대략 중합하는 제1위치(제2도)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기대(4)위에 적재되는 상기 자동차(A)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위치(제1도)로 변위가능한 동시에 자동차(B)를 상기 한쪽단부로부터 자주에 의해 적재하고 유지가능한 가동덱(6)과, 상기 기대(4)와 가동덱(6)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이 가동덱(6)을 상기 제2위치(제1도)에 유지하는 지지봉(8,9)을 구비하고, 상기 기대(4)는 이 기대(4)가 재치되는 재치면(G)에 대한 당접면과,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설된 차륜(64)을 가지고, 상기 차륜(64)은 상기 기대(4)가 평평한 재치면(G)에 재치되었을때에 상기 당접면이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받는 접지반력이 충분히 유지되게 상기 차륜(64)이 재치면(G)에 접촉되지 않도록 또는 약간만 접촉되도록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64)과 반대쪽의 단부가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약간 들어올려졌을때에 상기 기대(4)의 상기 당접면이 상기 재치면(G)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차륜(64)만이 상기 재치면(G)에 당접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기대(4)에는 이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64)과 반대쪽의 단부를 들어올림장치(260)에 의해 들어올릴때에 동 들어올림장치(260)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114)가 형성된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 적재장치(2)의 사용방법으로서, 상기 적재장치(2)를 상기 콘테이너내에 재치하기전에 이 적재장치에 자동차(A,B)를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적재장치(2)를 상기 콘테이너의의 소망의 평지면에 놓고, 상기 제1위치(제2도)에 있는 상기 가동덱(6)위에, 이 가동덱(6)이 상기 기대(4)에 축착된 상기 일단부쪽으로부터 1대째의 자동차(B)를 자주에 의해 적재하고, 다음에 동 가동덱(6)을 들어올려 상기 지지봉(8,9)에 의해 상기 제2위치(제1도)에 유지하고, 그후 상기 기대(4)위에, 2대째의 자동차(A)를 상기 1대째의 자동차(B)의 적재방향과 반대로 되는 방향으로부터 자주에 의해 적재하고, 또 이들 2대의 자동차(A,B)를 적재한 상기 적재장치(2)의 상기 걸어맞춤부(114)를 상기 들어올림장치(260)에 걸어맞춤시켜 동 들어올림장치(260)에 의해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64)가 반대쪽의 단부를 들어올려 동 차륜(64)만을 상기 지면등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들어올림장치(260)에 의해 동 적재장치(2)를 동 차륜(64)에 의해 주행시켜서 상기 콘테이너(264)내로 이동시켜, 재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 적재장치의 사용방법.
  3. 콘테이너(264)내에 재치되는 동시에 자동차(A)를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만 자주에 의해 적재가능하고 또한 대략 수평상태로 유지가능한 기대(4)와, 한쪽단부가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다단부에 축착되고 상기 기대(4)위에 대략 중합하는 제1위치(제2도)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상기 기대(4)위에 적재되는 상기 자동차(A)의 위쪽에 위치하는 제2위치(제1도)로 변위가능한 동시에 자동차(B)를 상기 한쪽단부로부터 자주에 의해 적재하고 유지가능한 가동덱(6)과, 상기 기대(4)와 상기 가동덱(6)과의 사이에 개장되고 이 가동덱(6)을 상기 제2위치(제1도)에 유지하는 지지봉(8,9)을 구비하고, 상기 기대(4)는 이 기대(4)가 재치되는 재치면(G)에 대한 당접면과,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설된 차륜(64)을 가지고, 상기 차륜(64)을 상기 기대(4)가 평평한 재치면(G)에 재치되었을때에 상기 당접면이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받는 접지반력이 충분히 유지되게 상기 차륜(64)이 재치면(G)에 접촉되지 않도록 또는 약간만 접촉되도록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64)과 반대쪽의 단부가 상기 재치면으로부터 약간 들어올려졌을때에 상기 기대(4)의 상기 당접면이 상기 재치면(G)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차륜(64)만이 상기 재치면(G)에 당접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기대(4)에는 이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64)과 반대쪽의 단부를 들어올림장치(260)에 의해 들어올릴때에 동 들어올림장치(260)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114)가 형성된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 적재장치(2)의 사용방법으로서, 상기 적재장치(2)를 상기 콘테이너내에 재치하기전에 동 적재장치에 자동차(A,B)를 재치하게 하기 위하여 동 적재창치(2)를 동 콘테이너외의 소망의 평평한 지면등에 놓고, 상기 가동덱(6)을 들어올려 상기 지지봉(8,9)에 의해 상기 제2위치(제1도)에 유지하고, 다음에 상기 기대(4)위에 상기 가동덱(6)이 상기 기대(4)에 축착되어 회전운동하는 동 가동덱(6)의 회전운동선단이 위치하는 상기 일단부의 방향으로부터 1대째의 자동차(A)를 자주에 의해 적재하고, 또한 상기 가동덱(6)위에 상기 1대째의 자동차(A)의 적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는 동 가동덱(6)이 상기 기대(4)에 축착된 상기 한쪽단부쪽으로부터 2대째의 자동차(B)를 자주에 의해 적재하고, 그후 이들 2대의 자동차(A,B)를 적재한 상기 적재장치(2)의 상기 걸어맞춤부(114)를 상기 들어올림장치(260)로 걸어맞춤시켜 동 들어올림장치(260)에 의해 상기 기대(4)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차륜(64)과 반대쪽의 단부를 들어올려 동 차륜(64)만을 상기 지면등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들어올림장치(260)에 의해 동 적재장치(2)를 동 차륜(64)에 의해 주행시켜서 상기 콘테이너(264)로 이동시켜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 적재장치의 사용방법.
KR1019870004471A 1986-05-07 1987-05-07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적재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930002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04530 1986-05-07
JP10453086 1986-05-07
JP289655 1986-12-04
JP28965586 1986-12-04
JP61-289655 1986-12-04
JP104530 1987-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019A KR870011019A (ko) 1987-12-19
KR930002433B1 true KR930002433B1 (ko) 1993-03-30

Family

ID=2644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471A KR930002433B1 (ko) 1986-05-07 1987-05-07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적재장치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17557A (ko)
KR (1) KR930002433B1 (ko)
WO (1) WO1987006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6246A (en) * 1989-04-04 1992-04-21 Chance Martin D Movable platform for storing freight and automobiles
US5253975A (en) * 1989-12-21 1993-10-19 Taiyo Seiki Iron Works Co., Ltd. Car loading apparatus
US5213458A (en) * 1990-07-27 1993-05-25 Sea-Land Corpor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erized shipment of automobiles
WO1992010415A1 (en) * 1990-12-10 1992-06-25 Ramp International East Coast U.S.A., Inc. Movable platform for storing freight and automobiles
US5769591A (en) * 1993-02-04 1998-06-23 Kar-Tainer International, Inc.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packing vehicle bodies
FR2695087B1 (fr) * 1992-09-03 1994-09-30 Lohr Ind Plancher double mixte transformable en une structure porte-véhicules pour unité de transport.
US5454672A (en) * 1993-03-17 1995-10-03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djustable load-carrying frame for fully utilizing transport enclosure space
US5405181A (en) * 1993-04-08 1995-04-11 Watkins; John V. Safety device
US5344266A (en) * 1993-04-16 1994-09-06 Kolb Peter W Fully adjustable storage device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vehicles in containers
US5567111A (en) * 1993-12-28 1996-10-22 G & G Intellectual Properties, Inc. Method for handling and transporting wheeled vehicles
US5431525A (en) * 1994-01-18 1995-07-11 Scott; Richard C. Recreational vehicle carrier
AU2102995A (en) * 1994-03-17 1995-10-03 Kar-Tainer International Inc. Ramp apparatus
US5890855A (en) * 1994-04-15 1999-04-06 Claps; William R.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s
US5690453A (en) * 1994-04-15 1997-11-25 Global Transpor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cars
GB2291044A (en) * 1994-07-06 1996-01-17 Cargotec Flatracks and load-carrying systems
US5924248A (en) * 1995-08-02 1999-07-20 Kar-Tainer International Inc. Collapsible frame device
ZA966378B (en) * 1995-08-02 1997-07-18 Kar Tainer Internat Inc Collapsible frame device
US6010285A (en) * 1997-10-03 2000-01-04 Kar-Tainer International, Inc. Collapsible vehicle transportation frame
ZA987667B (en) * 1998-08-25 1999-05-31 Kar Tain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automobile transport system
US6196776B1 (en) 1999-09-09 2001-03-06 Salmon Pienaar Multiple automobile transport system
US7077067B2 (en) * 2002-07-24 2006-07-18 Toyota Motor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justable hold-down assembly
BRPI0415337A (pt) * 2003-10-10 2006-12-05 Rokko Engineering Co Ltd armações para carga dispostas num container
US7837428B2 (en) 2007-03-05 2010-11-23 SA Recycling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US8668425B2 (en) 2007-03-05 2014-03-11 SA Recycl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ight container loading
US8220613B2 (en) * 2009-07-22 2012-07-17 Jervis B. Webb Company Stackable carri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carrier assemblies
DE202010009806U1 (de) * 2010-07-02 2010-10-14 Holzindustrie Fürst zu Fürstenberg GmbH & Co. KG Transportgestell für den Transport von Fahrzeugkarosserien
US8353647B2 (en) * 2010-09-29 2013-01-15 Raildecks (2009), Inc. Collapsible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US8714895B2 (en) 2010-09-29 2014-05-06 Raildecks (2009), Inc. Collapsible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CN102120520A (zh) * 2011-04-08 2011-07-13 江西柯布克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双层轿车托盘
US9004832B1 (en) 2012-05-14 2015-04-14 Raildecks (2009), Inc. Intermodal container
KR101588959B1 (ko) 2014-07-03 2016-01-27 김동규 차량 적재용 2단 컨테이너
DE202016008705U1 (de) * 2015-03-11 2019-02-11 Franz Blum Hebbare Tragvorrichtung
FR3046577B1 (fr) 2016-01-07 2019-07-05 Lohr Industrie Palette repliable a deux niveaux de chargement
PL3604072T3 (pl) * 2018-08-03 2022-05-23 Kässbohrer Transport Technik Gmbh Podnoszone urządzenie noś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7294A (en) * 1929-09-07 1931-03-24 Arthur J Mcmullen Shipping automobiles
US2906405A (en) * 1956-02-16 1959-09-29 Clark Equipment Co Auto carrier
DE1052909B (de) * 1957-05-07 1959-03-12 Engelhard Lichtenfeld Zusammenlegbares Transportgestell fuer Kraftfahrzeuge
DE1480147A1 (de) * 1965-04-28 1969-09-04 Schoerling & Co Einrichtung zur Sicherung von Fahrzeugaufbauten,insbesondere Kraftfahrzeugaufbauten
US3378157A (en) * 1965-10-04 1968-04-16 Henry B. Jam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vehicles
US3618796A (en) * 1969-07-25 1971-11-09 Whitehead & Kales Co Vehicle loading and transport system
US3675795A (en) * 1970-04-27 1972-07-11 American Export Isbrandt Shipping container with racks for supporting vehicles therein
CA952375A (en) * 1972-05-04 1974-08-06 Youngstown Steel Door Company (The) Vehicle transporting apparatus
JPS5218673A (en) * 1975-08-01 1977-02-12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Simple two stage parking device
US4229131A (en) * 1977-01-21 1980-10-21 Maclean-Fogg Company Tiedown winch
DE2923428C2 (de) * 1979-06-09 1986-04-30 H. Spier + Sohn, 3282 Steinheim Stapel- und Fixiervorrichtung für Personenkraftwagen zu Transportzwecken
WO1981001997A1 (en) * 1980-01-13 1981-07-23 Y Yonahara Vehicle housing apparatus for marine transport
US4369009A (en) * 1980-06-06 1983-01-18 John Fulford Load carrying system
JPS5852035U (ja) * 1981-10-06 1983-04-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荷台の落下防止装置
JPS58183325A (ja) * 1982-04-19 1983-10-26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ダンプカ−の荷箱降下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7006895A1 (en) 1987-11-19
KR870011019A (ko) 1987-12-19
US4917557A (en) 199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433B1 (ko) 콘테이너용 2단식 자동차적재장치 및 그 사용방법
US5513941A (en) Rolling cargo apparatus
US4932830A (en) Motor vehicle and boat trailer
JP3212724U (ja) 立体式駐輪装置
EP0650420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goods storage
US20070107990A1 (en) Personnel lift apparatus
JPH02193733A (ja) 車輪止め
JP5421744B2 (ja) 充電機能付き駐車装置のパレット
US68576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uck tarp loading
US62837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aching cables from a center beam railcar
JPH06219666A (ja) 補償ロープ溝車用タイダウン機構
JPS6225597B2 (ko)
US7856936B2 (en) Lift lock security system
JP2766465B2 (ja) 駐車装置
WO2011158035A1 (en) Fall prevention system
CN107119953B (zh) 一种机械式轿厢防坠落装置
JPS61211460A (ja) 二段方式駐車装置
CN218579553U (zh) 一种提升机
JP3262725B2 (ja) ホースカー用の荷役装置
JPH0136874Y2 (ko)
JP3790936B2 (ja) 昇降装置における搬器の落下防止装置
JP3165375B2 (ja) 駐車装置における昇降用チェーン巻込み防止装置
CN207258946U (zh) 防坠安全器
JP2547770Y2 (ja) 駐車装置のパレット落下防止機構
WO1994003388A1 (en) Tro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