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092B1 - Three dimensional hou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hree dimensional hou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92B1
KR910008092B1 KR1019870700311A KR870700311A KR910008092B1 KR 910008092 B1 KR910008092 B1 KR 910008092B1 KR 1019870700311 A KR1019870700311 A KR 1019870700311A KR 870700311 A KR870700311 A KR 870700311A KR 910008092 B1 KR910008092 B1 KR 910008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ment
lifting
fork
storage
f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준이찌 고우
Original Assignee
준이찌 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24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86272A/en
Priority claimed from JP6110565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64103A/en
Priority claimed from JP61109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68475A/en
Priority claimed from JP6111567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75989A/en
Priority claimed from JP6112630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84862A/en
Priority claimed from JP6113454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91372A/en
Priority claimed from JP6121668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0781A/en
Application filed by 준이찌 고우 filed Critical 준이찌 고우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86/000509 external-priority patent/WO198700240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92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입체격납장치 및 그 제어방법Stereoscopic enclosure and control method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자동차용의 입체격납장치의 입체격납탑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of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for automobiles incorporating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같은 입체격납탑의 조작판을 나타내는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panel of the sam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제3도는 같은 입체격납탑의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m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제4도는 같은 입체격납탑의 지상 1층 부분을 나타내는 횡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ground floor of the sam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제5도는 조작판의 주요부를 확대한 정면도.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operation panel.

제6도는 입체격납장치의 전기 블록회로도.6 is an electric block circuit diagram of a three-dimensional enclosure.

제7a도 네지 제19도는 구동제어 조작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FIG. 7A and FIG. 19 are flow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제7a도 및 제7b도는 지하 및 지상 출고동작을 나타내고,7a and 7b shows the operation of the underground and above ground,

제8a도 및 제8b도는 지하 및 지상 입고 동작을 나타내고,8a and 8b show the underground and ground receiving operation,

제9도 및 제9b도는 지하 동시 입출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9 and 9b are flow charts showing simultaneous simultaneous entry and exit operations.

제10a도 및 제10b도는 지상 동시 입출고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0A and 10B are flow charts showing the simultaneous ground entry and exit operation.

제11도는 상방 수취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1 is a flowchart showing an upward receiving operation.

제12도는 상방 복귀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2 is a flowchart showing an upward return operation.

제13도는 상방 수취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3 is a flowchart showing an upward receiving operation.

제14도는 하방 수취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4 is a flowchart showing a downward receiving operation.

제15도는 하방 복귀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5 is a flowchart showing a downward return operation.

제16도는 상방 수송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6 is a flowchart showing upward transport operation.

제17도는 하방 복귀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7 is a flowchart showing a downward return operation.

제18도는 하방 수송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8 is a flowchart showing a downward transportation operation.

제19도는 상방 복귀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19 is a flowchart showing an upward return operation.

제20a도 내지 제20e도는 양 승강포오크및 횡단 격납포오크의 상방출고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20A to 20E are diagrams showing an upwardly outgoing operation of both lifting fork and transverse containment fork.

제21a도 내지 제21d도는 양 승강포오크및 횡단 격납포오크의 하방출고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21A to 21D are diagrams showing downwardly released operation of both lifting forks and crossing containment forks.

제22a도 내지 제22d도는 양 승강포오크및 횡단 격납포오크의 상방입고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22A to 22D are diagrams showing the uplift storage operation of both the lifting forks and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s.

제23a도 내지 제23d도는 양 승강포오크및 횡단 격납포오크의 하방 입고동작을 나타내는 도면.23A to 23D are views showing the downward receiving operation of both the lifting forks and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s.

제24도는 제1도어 열림 방지부를 구비한 승강포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2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fork provided with the first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제25도는 차를 탑재한 횡단 격납포오크를 나타내는 측면도.25 is a side view showing a transverse containment fork in which a car is mounted.

제26도는 제2도어 열림방지부를 구비한 횡단격납포오크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verse containment fork having a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FIG.

제27도,제28도는 각각 제2도어 열림 방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27 and 28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제29도는 자동차-폭 감지기를 설치한 승입장의 측면도.FIG. 29 is a side view of a landing with an automobile-width detector.

제30도는 자동차-폭 감지기를 설치한 승입장의 정면도.FIG. 30 is a front view of a cab with a car-width detector.

제31도는 격납공간과 승강공간을 복수열로 설치한 입체격납탑을 나타내는 평면도.FIG. 31 is a plan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having a plurality of rows of storage spaces and lifting spaces.

제32도는 입체격납탑의 또 다른 실시태를 나타내는 평면도.32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제33도는 제32도의 격납탑에서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FIG. 33 is a front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ontainment tower of FIG.

제34도는 승강공간의 전후에 격납공간을 설치한 입체격납탑을 나타내는 평면도.34 is a plan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before and after the lifting space.

제35도는 승강공간의 전후에 격납공간을 설치한 입체격납탑의 측면에서 본 사시도.FIG. 3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in which a storage space is provided before and after a lifting space. FIG.

제36도는 승강공간의 전후에 격납공간을 설치한 입체격납탑의 변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36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in which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lifting space.

제37도는 실시예 2의 입체격납탑을 나타태는 정면도.37 is a front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of Example 2. FIG.

제38도는 이의 고정 승입대를 나타내는 측면도.38 is a side view of its fixed carriage.

제39도는 승강포오크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39 is a side view of the lift fork.

제40도는 실시예 3의 입체격납탑을 나타내는 정면도.40 is a front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of Example 3. FIG.

제41도는 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Fig. 41 is a plan view showing main parts thereof.

제42도는 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4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thereof.

제43도는 또다른 변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43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variation.

제44도는 또다른 변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44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variation.

제45도는 실시예 4의 입체격납탑을 나타내는 정면도.45 is a front view of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of Example 4. FIG.

제46도는 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4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thereof.

제47도는 실시예 4의 또다른 변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47 is a perspective view of yet another vari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제48도는 실시예 5를 나타내는 평면도.48 is a plan view showing Example 5;

제49도는 이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4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thereof.

제50도는 종래의 입체격납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5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고정부재 3, 17, 101, 104 : 포오크2: fixing member 3, 17, 101, 104: fork

4 : 지지부재 5a, 5b, 5a, 5b : 승강포오크4: supporting member 5a, 5b, 5a, 5b: lifting fork

8 : 부호기 9, 15 : 구동회로8: encoder 9, 15: drive circuit

7 : 체인 6 : 가이드 레일7: chain 6: guide rail

10, 11, 12 : 롤러프레임 14 : 활자10, 11, 12: roller frame 14: letterpress

16 : 고정부재 18 : 지지프레임16: fixing member 18: support frame

21 : 리미트스위치 20 : 횡단격납포오크21: limit switch 20: crossing containment fork

77, 26 : 감지기 23 : 확인장치77, 26: detector 23: confirmation device

28 : ROM 29 : RAM28: ROM 29: RAM

30, 32, 35, 36, 38, 39, 43 : 램프 34, 37, 47, 48, 49, 50, 51, 52 : 스위치30, 32, 35, 36, 38, 39, 43: lamps 34, 37, 47, 48, 49, 50, 51, 52: switches

45 : 버저 33, 40, 41, 44, 46 : 구동회로45: buzzer 33, 40, 41, 44, 46: drive circuit

60, 61 : 개방방지부재 66 : 운반대차60, 61: opening preventing member 66: transport cart

71, 82 : 승입대 72a : 전륜71, 82: passenger seat 72a: front wheel

72b : 후륜 79 : 돌출물72b: rear wheel 79: protrusion

80 : 피트 81, 87 : 凹부80: feet 81, 87: shoulder

89 : 롤러 102 : 와이어89: roller 102: wire

X, Y : 격납공간 E1 : 승입장X, Y: Containment space E1: Arrival hall

M2 : 횡행모우터 C : 격납물M2: Transverse motor C: Containment

A : 조작회로 P : 격납탑A: control circuit P: storage tower

본 발명은 격납물의 입고처리 또는 출고처리를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함은 물론 그 조작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입체 격납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quickly and safely as well as simplifying the operation of the storage and receipt of the storage.

종래에는, 입체격납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실용신안 공개 제 소54-62286호에 기재된 고안이 있으며. 이는 본 제50도에서 나타내는 것같이 포오크(101a)를 설치한 승강포오크(101)을 와이어(102)로 중앙부의 공간에 매달아내리고 그 중앙부의 공간의 양측의 각층의 격납공간에 구비된 횡단레일(103)상에 횡단포오크(104)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테면 자동차를 격납하는 경우, 일층부분에 설치된 적재위치에서 자동차를 탑재한 승강포오크(101)을 소정의 횡단격납포오크(104)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 매달아 올린다. 그리하여, 다음에 횡단격납포오크(104)를 횡행시켜서, 승강포오크(101)의 포오크(101a)의 밑에 횡단격납포오크(104)가 오게하고, 승강포오크(101)을 서서히 낮혀서 두 포오크(101a,104a)를 일치시켜 자동차를 횡단격납포오크(104)에 탑재하고, 자동차를 운반한 승강포오크(101)은 다시 적재위치까지 매달아 내림과 동시에 횡단격납포오크(104)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주차를 완료시키도록 되어 있다.Conventionally, in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for example, there is a design describ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4-62286. As shown in FIG. 50, the lifting forks 101 provided with the forks 101a are suspended by wires 102 in the center space, and the transverse rails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s on each floor on both sides of the space in the center space. The crossfork 104 is provided on the 103. For example, when storing a car, the lifting fork 101 mounted with the car is suspended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redetermined cross-containing fork 104 at a loading position provided on the first floor. Thus,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104 is traversed next so that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104 comes under the fork 101a of the lift fork 101, and the lift fork 101 is gradually lowered to bring the two forks 101a,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104 in accordance with the coincidence of 104a, and the lifting fork 101 carrying the car is suspended again to the stowed position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104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complete parking. It is supposed to be.

또한, 이러한 종류의 입체격납장치에 있어서는, 이를테면 적재위치보다 위로 격납물을 입고하는 경우(상방입고)에는 먼저 지정된 횡단격납포오크(104) 위에 격납물이 없는가를 확인한 후, 그 횡단 격납포오크(104) 상방의 격납물의 입고조작 명령에 따라 스위치를 조작하고 또는, 횡단격납포오크(104)에서 격납물을 출고할때는, 그 횡단격납포오크(104)의 위에 격납물의 유무를 확인한 후, 상기 승강포오크(101)에 대해서 출고 명령을 보내 그 출고를 시행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type of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device, for example, when storing the containment above the loading position (upward storage), after confirming that there is no containment on the designated cross containment fork 104, the cross containment fork 104 ) When the switch is operated in response to a storage operation command of the upper containment, or when the containment is released from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104, afte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inment on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104, the lifting fork 101 We send out order for and execute the release.

또한, 재차 상기 적재위치 위쪽으로 격납물을 입고하는 때에는 먼저 승강포오크(101)을 소정위치까지 승강시킨 후, 횡단포오크(104)를 승강공간의 중앙위치까지 횡단시키고 횡단이동이 끝나면 승강포오크(101)의 하강을 개시한다. 그리하여 승강포오크(101)이 상기 적재위치에 되돌아오면 상기 횡단격납포오크(104)가 격납공간으로 복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wearing the containment above the loading position again, the lifting fork 101 is first eleva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n the crossing fork 104 is traversed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lifting space and the lifting fork 101 is completed when the crossing movement is completed. Start the descent). Thus, when the lifting fork 101 returns to the stowed position, the transverse storage fork 104 returns to the storage space.

위쪽에서 출고하는 경우(상방출고)에는 횡단 격납포오크(104)가 중앙위치에 도달하고난 후 승강포오크(101)를 상승시키고, 아래에 입고하는 경우(하방입고)에는 횡단 포오크(104)가 중앙위치에 도달한 후 승강포오크(101)의 하강을 개시한다.When leaving from the upper side (upward release), after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104 reaches the center position, the lifting fork 101 is raised, and when it is received below (the lower receipt), the crossing fork 104 is centered. After reaching the position, the lowering of the lifting fork 101 is started.

따라서, 격납물을 탑재한 승강포오크(101)은 횡단 격납포오크(104)의 높이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정확하게 매달아 올린 후 승강포오크(101)의 바로 아래로 횡단시켜 두 포오크(101a,104a)가 정확히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이 종래의 장치는 승강포오크(101)의 높이, 와이어(102)의 신장도, 포오크(101a,104a)의 편향도 등의 영향때문에 포오크(101a,104a)를 일치시키는 방법이 번거롭고 불편하였다.Therefore, the lifting fork 101 mounted with the containment is suspended up to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104 and then traversed directly below the lifting fork 101 so that the two forks 101a and 104a are precisely positioned. Make sure they match. In this conventional apparatus, the method of matching the forks 101a and 104a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height of the lifting forks 101, the elongation of the wire 102, the deflection of the forks 101a and 104a, and the like.

또한, 횡단격납포오크(104)는 포오크(104a)의 한쪽을 승강포오크(101)의 포오크(101a)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개방시켜 놓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횡단 격납포오크(104)는 포오크(104a)가 개방된 측면의 반대방향인 측면에서만 지지하게 되어 결국 한쪽만 지지하므로 탑재된 격납물체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하여는 그 구조를 견고하게 해야하는 필요성 때문에 제작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104 is inserted between the forks 101a of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s 101, one of the forks 104a must be opened. Therefore,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104 is supported only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pen side of the fork 104a, so that only one side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104 is supported. There was a costly production problem.

또한, 상기 입체 격납장치에 있어서는 격납공간내의 횡단격납 포오크(104)상에 격납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상세히 확인하고 나서 승강포오크(101)에 대한 입고조작명령이나 출고조작명령에 대응하는 입고조작스위치 또는 출고조작스위치를 선택하여 조작하지 않으면 안된다.Further, in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fter confirming in detail whether or not there is a containment on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104 in the storage space, the receiving operation switch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operation command or the leaving operation command for the lifting fork 101 Alternatively, you must select a factory control switch to operate it.

또한 상방입고시와 하방입고시에 있어서는 승강포오크(101)가 적재위치까지 되돌아오는 동작이 완료되면 횡단 가능 포오크(104)의 복귀동작을 개시하고, 상방출고시와 하방입고시에 있어서는 횡단격납포오크(104)가 승강공간의 중앙위치에 도달하고난 후 승강포오크(101)의 상승 및 하강동작을 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lifting fork 101 is returned to the stowed position, the return operation of the traverseable fork 104 is started at the time of the up and down stocking,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at the time of the up and down stocking. After 104 has reached the center position of the lifting space, the lifting fork 101 starts to move up and down.

따라서, 입고처리 또는 출고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길게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receipt processing or the delivery processing takes a long tim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승강포오크및 횡단포오크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따라서 제조비용이 적은 입체격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of lifting forks and crossing forks,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us low in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고설정 및 출고설정을 간단하고 안전하게 실시하여 격납물의 입출고를 행할 수 있는 입체격납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carrying out storage in and out of storage by simply and safely performing receipt and delivery settings.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격납물을 신속 및 안전하게 수송하여 격납할 수 있는 입체 격납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enclosur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transporting and storing an article quickly and saf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면을 유효하게 이용함은 물론 손쉽게 격납물을 입고처리 및 출고처리할 수 있은 입체격납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use the ground effectively and easily receive and store the storage.

본 발명에서, 승강공간(E)에서 상승 및 하강하는 승강포오크유닛이 한쌍의 승강포오크(5a,5b)로 구성되어 있고, 이 승강포오크(5a,5b)의 상승/하강 동작 및 상기 승강공간(E)에 인접한 격납공간(X,Y)에 배치한 횡단 격납포오크(20)의 횡단이동에 의해서 격납물C를 자유로이 수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격납물C의 입출고를 구조가 간단한 승강포오크(20)로서 신속 및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fork unit which rises and falls in the lifting space E is composed of a pair of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lifting /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lifting space ( Containment C can be freely transported by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transverse storage forks 20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adjacent to E). Therefore, the entry and exit of the containment C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afely as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 20 having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적재위치(E1)내의 상부의 적어도 한 쪽에 격납물(C)의 측면 돌출물(79)를 감지하는 폭(width) 감지기(77)를 설치한다. 따라서 격납물C를 적재한 승강포오크(5a,5b)가 안전하게 상승하는지의 여부를 격납물C의 전체 높이의 위치에서 용이하게 확인이 되므로 안전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dth detector 77 for detecting the side projection 79 of the containment (C) on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loading position (E1).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lifting forks 5a and 5b on which the containment C is loaded is safely ascertained at the position of the total height of the containment C, so that it is safe.

본 발명에서 각 격납공간(X,Y)내에 있는 격납물(C)의 유무를 확인하는 확인장치(23,29)와 각 격납공간(X,Y)에 대응하는 조작명령스위치(34,37)등을 설치한다. 그리하여 상기 조작명령스위치(34,37)는 그 격납공간(X,Y)내에 격납물(C)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출고명령스위치역할을, 격납물이 없는 경우에는 입고명령 스위치 역할을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ation devices 23 and 29 for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inment C in each of the storage spaces X and Y, and operation command switches 34 and 37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torage spaces X and Y. Install the lamp. Thus, the operation command switches 34 and 37 serve as the release command switch when the containment C is present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and the receipt command switch when there is no containment.

따라서, 조작자는 입고설정이나 출고설정을 매회마다 선택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입고나 출고설정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set the goods receipt or the goods issue without having to select the goods receipt setting or the goods issue setting every time.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격납물C의 입출고를 행하는 경우, 승강포오크(5a,5b)와 횡단격납포오크(20)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는 때에는 그렇게 실행한다. 또한, 승강포오크(5a,5b)보다 먼저 지정위치에 도달해야 하는 횡단격납포오크(20)가 먼저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횡단격납포오크(20)가 그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승강포오크(5a,5b)를 횡단격납포오크(20)의 직전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oring and receiving the storage C, when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al storage forks 20, it is executed as such. In addition, when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which should reach the designated position before the lifting fork 5a, 5b does not reach first, the lifting fork 5a, 5b until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reaches its position. ) Was stopped at the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s 20.

따라서, 격납물(C)의 입출고를 신속히 실시함과 동시에 횡단 격납포오크(2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킬수 있어서, 매우 안전하다.Therefore, when the entry and exit of the containment C is promptly carried out and the abnormality arises in the crossing storage fork 20, the lifting forks 5a and 5b can be stopped and it is very safe.

또한 본 발명은 승강포오크(5a,5b)가 지정된 격납공간(X,Y)에 대해서 입고를 끝내고서 다시 적재위치(E1)에 되돌아 가기 전에 다른 격납공간(X,Y)에서 연속적으로 격납물C를 출고할 수 있어서 입출고조작을 용이 및 신속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fork (5a, 5b) is stored in the other storage space (X, Y) continuously in the other storage space (X, Y) before returning to the stowed position (E1) after finishing the receipt of the specified storage space (X, Y) Can be shipped from the factory, and the entry and exit operation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가장 좋은 형태를 아래에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bes 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입체 자동차 격납장치에 관한 실시예 1에 관하여 제1도 내지 제23도에서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relating to a three-dimensional vehicle storage device incorpora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면중, 조작판(1)은 입체 자동차 격납장치를 구동제어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입체 자동차 격납장치의 구동제어 조작회로 A를 내장함과 동시에,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자동차 입체격납탑 P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한다.In the figure, the operation panel 1 is for driving control op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vehicle enclosure, and incorporate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of the three-dimensional vehicle enclosure and simultaneously shows the three-dimensional vehicle storage tower P as shown in FIG. Place it adjacent to.

본 실시예에서, 지상 12층 지하 5층으로 되는 상기 입체격납탑(P)의 중앙부에는 격납물인 자동차(C)를 수용하는 승강공간(E)이 구비되어 상승 및 하강하며, 각 층에 있는 승강공간(E)의 좌우 양측에는 자동차 C를 격납하는 격납공간 (X,Y)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1층의 승강공간(E)에는 자동차(C)의 적재위치인 승입장 E1이 있다. 제4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승입장 E1의 양측부분에 있는 빈칸 S에는, 배전판등이 설치되고 동시에 자동개폐문 D를 끼워서 상기 승입장 E1에 누구나 출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동 개폐문 D승입장 E1의 상황에 따라서 한쪽만 열리는 자동개폐문으로 해도 좋다. 그리하여, 이 자동개폐문 D는 입구 입고감지기(26)가 승입장 E1에 차 C가 존재하는 상태를 감지하면 열리고 반면에 운전자 및 승객이 하차하거나 입출고설정 스위치 (34,37)이 조작되면 닫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 C가 격납공간 (X,Y)에서 승입장 E1로 되돌아오면, 상기 자동개폐문 D는 열리고 운전자가 차 C를 운전하여 상기 입구 입고감지기(26)에서 신호가 끊기면 다시 닫히게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vating space (E) for accommodating the vehicle (C)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P), which is a five stories underground 12 stories above the ground, and the lift on each floo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 E, the storage spaces X and Y for storing the automobile C are provided. In addition, there is a boarding point E1 which is a loading position of the car C in the lifting space E of the first floor. As shown in Fig. 4, in the blank spaces S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hall E1, a distribution board and the like are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an entrance and exit door D1 is fitted to allow anyone to enter and exit the entrance hall E1. In addition, it is good also as an automatic opening / closing door which opens only one si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said automatic opening / closing door D entrance gate E1. Thus,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oor D is opened when the entrance receiving sensor 26 detects the state in which the car C is present in the arrival hall E1, while closing when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get off or the entry / exit setting switches 34 and 37 are operated. have. In addition, when the car C returns to the entrance E1 in the storage space (X, Y),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oor D is opened and is closed again when the driver runs the car C and the signal is cut off at the entrance receiving sensor 26.

역시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상 1층의 승강공간 E에 설치된 낙하방지판 F는 작업자등이 실수로 지하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게다가 지하출고 또는 지하입고는 양승강 포오크(5a,5b)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후방으로 철회시킬 수 있게 설계하였다.Also, as shown in FIG. 1, the drop preventing plate F installed in the lifting space E on the ground floor is designed to prevent an accidental fall of workers or the like, and the underground lifting or underground loading is a lifting lift fork 5a, It was designed to be retracted backward so as not to disturb 5b).

이 낙하 방지판 F는 지하 1층의 좌우에 설치된 격납공간 X,Y의 천정방향으로 횡단 및 후퇴하여 양 승강 포오크(5a,5b)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 낙하방지판 F를 설치하는 대신 양 승강 포오크(5a,5b)의 포오크(3)의 선단 사이의 거리를 짧게하고, 또한 이 포오크(3)의 수를 증가시켜서 작업자등이 지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The fall preventing plate F is crossed and retracted in the ceiling direction of the storage spaces X and 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basement 1 floor so as not to interfere with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In addition, instead of installing the drop preventing plate F, the distance between the tips of the forks 3 of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is shortened, and the number of the forks 3 is increased so that an operator or the like falls down the ground. May be prevented.

이 경우, 승입장 E1의 입구부분에 대협 안전책(safety fence)(도시는 안됨)을 설치하여, 양 승강포오크(7a,7b)가 상승 또는 하강하기 전에 자동적으로 이 안전책을 폐쇄하여 작업자등의 추락 위협을 방지한다.In this case, a safety fence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entrance E1, and the safety fence is automatically closed before both lifting forks 7a and 7b rise or fall. To prevent the threat of falling.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 같이 좌우 한 쌍의 좌승강 포오크(5a) 및 우승강포오크(5b)는 4각형 기둥형상의 고정부재(2)와 이 고정부재(2)에서 일정 간격을 두어 내부 돌출한 다수의 포오크(3)와 이 고정부재(2)의 전후 양단에 구비된 상하 방향으로 확장하는 4개의 지지부재(4)로 된 승강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각 지지부재(4)가 상기 승강공간 E의 네 귀퉁이에 설치한 승강 가이드레일(6)에 의해서 인도되고 그 결과 이 좌·우 승강포오크(5a)와 (5b)의 승강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포오크(3)의 선단간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air of left and right lifting forks 5a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s 5b are formed in a quadrangular columnar fixing member 2 a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xing member 2. The lifting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forks 3 protruding inside and four support members 4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provided at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xing member 2. Each of the supporting members 4 is guided by the elevating guide rails 6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elevating space E, and as a result, the elevating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elevating forks 5a and 5b is possible. In addition, the tip of each fork (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eparated by a certain interval.

상기 지지부재(4)는 그 상단이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6)내를 통과하는 체인 (7)의 하단에 연결되고, 이 체인(7)이 입체격납탑 P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모우터 M1에 의하여 말아올려져 상기 양승강 포오크(5a,5b)가 구동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는 항상 같은 높이로 병행하여 같은 속도로 구동 및 승강하고 동시에, 상기 승강모우터 M1의 바깥축에 설치된 회전식 부호기(rotary encoder)(8)에 의해서 항상 그의 절대위치가 계측되고 있다.The support member 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hain 7 whose upper end passes through the elevating guide rail 6, and the chain 7 is attached to the elevating motor M1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As a result,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re driven up.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re always driven and raised at the same speed in parallel at the same height,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always absolute by a rotary encoder 8 provided on the outer axis of the lifting motor M1. The position is being measured.

또한 상기 승강보우터 M1는 승강모우터 구동회로(9)로 구동·제어하고 또한 판독출력(read-out)전용 기억장치(ROM)(28)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에 의해서 상기의 구동회로(9)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elevating motor M1 is driven by the elevating motor drive circuit 9 and controlled by a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which operates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stored in a read-out memory device (ROM) 28. By this, the driving circuit 9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정지 상태에서 50cm 상승하면 양 승강포오크(5a,5b)는 저속으로 상승되는 저속운전형태에서 양 승강포오크(5a,5b)를 고속으로 상승되는 고속운전형태로 바뀌어지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is a high-speed operation of both lifting fork (5a, 5b) in the low-speed operation mode in which both lifting fork (5a, 5b) is raised at a low speed when both lifting fork (5a, 5b) rises 50cm from the stop It is changed to the form of high speed operation that rises.

또한, 상기한 것같은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정지상태에서 50㎝하강하면 양승강 포오크(5a,5b)를 저속으로 하강시키는 저속운전형태에서 양 승강포오크(5a,5b)를 고속으로 하강시키는 고속운전형태로 변경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위험방지의 목적으로, 횡단격납포오크(20)가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보다 아래의 위치에 있는 이미 승강공간 E에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는 고속운전을 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Further,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as described above has both lift forks 5a in a low spee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lift and lift forks 5a and 5b are lowered at a low speed when the lift and lift forks 5a and 5b are lowered by 50 cm from the stop state. Is changed to a high speed operation mode in which 5b) is lowered at high spe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the purpose of risk prevention, the high speed operation is not performed when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s already waiting in the lifting space E, which is located below both of the lifting forks 5a and 5b. .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상기 각 층의 격납공간(X,Y)의 상기 양측에는 긴사각형 상자형태의 지지수단 역할을 하는 횡단로울러프레임(10) 및 (11)이 있고, 승강 공간 E의 전후 양 모서리에는 역시 지지수단인 횡단로울러프레임(12)이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횡단로울러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4개의 활차(14)를 일정간격을 두어 설치하고, 또한 각 활차(14)의 지지축은 상기 횡단 로울러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한 체인(도시안됨)으로 연결하고 횡단로울러프레임(10)의 한 끝에 설치한 구동수단인 횡단모우터(M2)에 의해서 상기 체인을 통해 이 활차를 구동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횡단 로울러프레임(11,12)에도 같은 활차(14)체인, 횡단모우터(M2)를 설치한다.As shown in FIG. 1 and FIG. 3, the transverse roller frames 10 and 11 which serve as a support means in the form of an elongated rectangular box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spaces X and Y of each layer. Both front and rear corners of the space E are provided with a transverse roller frame 12, which is also a supporting mea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roller roller frame 10, four pulleys 14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upport shaft of each pulley 14 is installed inside the transverse roller frame 10 (not shown). And a crossover motor M2, which is a driving mean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ross roller frame 10, to drive the pulley through the chain. The traverse roller frames 11 and 12 are provided with the same pulley 14 chain and a transverse motor M2.

또한 횡단모우터 M2는 상술한 승강모우터(M1)과 유사하게, 횡단모우터 구동회로(15)로 구동제어하고 이 회로는 또한 구동제어 조작회로(A)에 의해서 제어된다.The traverse motor M2 is drive controlled by the traverse motor drive circuit 15 similarly to the lift motor M1 described above, which is also controlled by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횡단로울러프레임(10) 사이에 가설된 포오크고정부재(16)는 양 승강포오크(5a,5b)의 포오크(3)의 선단 사이의 간격보다 폭이 좁게 설치되어 있다. 포오크고정부재(16)의 양측에서 직각으로 확장하는 다수의 포오크(17)는 상기 포오크(3)과 구별되도록 이격 배치되어 있다.The fork fixing member 16 provided between the transverse roller frames 10 is provided with a width narrower than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front-end | tip of the fork 3 of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 plurality of forks 17 extending at right angles on both sides of the fork fixing member 16 are spaced apart from the forks 3.

상기 포오크고정부재(16), 포오크(17) 및 포오크고정부재(16)의 전후 양단에 대해서 직각이 되도록 설치된 지지프레임(18)으로 횡단격납포오크(20)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8)을 각각 횡단 로울러프레임(10)의 각 활차(14)위에 놓아서, 상기 횡단모우터 M2가 구동되면 상기 횡단격납포오크(20)가 격납공간(X)에서 승강공간(E)로 다시 승강공간(E)에서 격납공간(X)로 왕복이동할수 있게 된다.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s constituted by the support frame 18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ork fixing member 16, the fork 17 and the fork fixing member 16. Thus, the support frame 18 is placed on each pulley 14 of the transverse roller frame 10, so that when the transverse motor M2 is driven,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moves up and down in the storage space X. ), It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forth from the lifting space (E) to the storage space (X).

또한, 횡단 로울러프레임(11)상의 동일한 횡단격납포오크(20)가 격납공간(Y)에서 승강공간(E)으로 다시 승강공간 E에서 격납공간 Y으로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와 횡단격납포오크(20)는 상기 승강공간 E속에 있어서 수직으로 배치된 후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면 그 사이에 차(C)를 운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on the transverse roller frame 1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reciprocating movement is possible from the storage space Y to the lifting space E again from the lifting space E to the storage space Y. Thus,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re vertically arranged in the elevating space E, and then, when cro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r C can be transported therebetween.

또한, 횡단포오크(20)가 승강공간(E)의 중심위치에 도달하면, 후방-모서리 중심부의 횡단 로울러프레임(12)의 중앙에 설치된 제한 스위치(21)가 작동하여 횡단포오크(20)를 정지시킨다. 또한 횡단포오크(20)가 승강공간(E)에서 격납공간(X,Y)의 중앙위치에 복귀하면 후방의 각 횡단 로울러프레임(10,11)의 한 끝에 설치된 제한스위치 (22)가 작동하여 횡단포오크(20)를 정지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transverse fork 20 reaches the center position of the lifting space E, the limit switch 21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roller frame 12 at the center of the rear edge is operated to stop the transverse fork 20. Let's do it. In addition, when the transverse fork 20 returns 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torage spaces X and Y in the lifting space E, the limit switch 22 installed at one end of each of the transverse roller frames 10 and 11 at the rear is operated to traverse. The fork 20 is stopped.

또한,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와 횡단격납포오크(20)상에 놓이는 차 C의 문이 완전히 닫혀있지 않고, 승강 또는 횡단도중 진동에 의해 문이 열려서 문 또는 시설을 손상시키는 것과 같은 사고를 일으키는 일도 있다.In addition, accidents such as damaging the door or facility by opening the door by vibrating during lifting or crossing, without the doors of the car C placed on both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being completely closed. It may cause.

이점에 있어서, 제24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앞바퀴측의 프오크(3a)와 뒷바퀴측의 포오크(3b)사이에 간격(L)을 두어, 양 고정부재(2)의 상부 중앙에 파이프 또는 금속봉등(금속판, 목판, 합성수지판도됨)으로 만든 제1문 열림방지부(60)를 설치한다. 또한, 이 제1문 열림방지부(60)의 높이는 제25도에서 나타내는 것같이 차 C의 문 아랫부분이 접촉되는 정도의 높이로 설치한다.In this regard, as shown in FIG. 24, a pipe or a metal rod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wheel fork 3a and the rear wheel fork 3b with a gap L, in the upper center of both fixing members 2. A first door opening preventing part 60 made of a back plate (also made of a metal plate, a wooden board, and a synthetic resin board)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height of this 1st door opening prevention part 60 is installed in the height which the lower part of the door of car C contacts, as shown in FIG.

또한, 제26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횡단격납포오크(20)의 포오크고정부재(16)에 설치한 앞바퀴측의 포오크(17a)와 뒷바퀴측 포오크(17b)사이의 간격1은 상기 포오크(3a)와 포오크(3b)사이의 간격 ι보다 협소하다. 그리하여 이 간격내의 포오크고정부(16)의 양단부에 파이프 또는 금속을 사용하여 채널형상으로 만든 제2문 열림방지부 (61)의 기초단부를 고정시킨다. 제27도에 나타낸 것같이 자유단부를 윗방향으로 꺽어서, 차 C의 문 아랫부분과 접촉하는 높이가 되도록 설치한다.Moreover, as shown in FIG. 26, the space | interval 1 between the fork 17a of the front wheel side and the fork 17b of the rear wheel provided in the fork fixing member 16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s the said fork 3a and the said fork 17a. Narrower than the spacing ι between the forks 3b. Thus, the ends of the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1 made of a channel shape using a pipe or metal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fork fixing portion 16 within this gap. As shown in Fig. 27, the free end is bent upwar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door of the car C.

또한, 제2문 열림방지부(61)구성에 있어서, 제28도에 나타낸 것같이 L자형tkd으로 구부러진 지지부(62a)의 기초단부를 간격l내의 포오크고정부(16)의 양측에 고정하고, 지지부(62a)의 자유단부에는 판형상의 도어받이부(62b)의 중심부분을 고정한다. 또한 주차장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제1문 열림방지부(60) 및 제2문 열림방지부 (61)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the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1, as shown in FIG. 28, the base ends of the supporting portions 62a bent in the L-shaped tdk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fork fixing portion 16 in the interval l , The central part of the plate-shaped door receiving part 62b is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support part 62a. Furth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parking lot, any one of the first door opening preventing part 60 and the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art 61 may be omitted.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한 제1문 열림방지부(60) 및 제2문 열림방지부(61)는 승강공간 E 내에 있어서 양 승강포오크(5a,5b)와 횡단격납포오크(20)가 상하방향으로 교차하는 경우에는 앞바퀴측의 포오크(17a)와 뒷바퀴측의 포오크(17b) 사이의 간격 L보다 적은 간격ι이 되도록 설치한 제2문 열림방지부(61)가 상기 간격 L의 영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차(C)의 운반에 장애를 주지 않는다. 제1문 열림방지부(60) 또는 제2문 열림방지부(61) 때문에 승강 공간 E내에서 차를 운반하는 것을 포함해서 언제나 문열림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0 and the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tersect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n the lifting space 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1 provided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he fork 17a on the front wheel side and the fork 17b on the rear wheel side passes through the area of the gap L,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nsport of the car (C). Due to the first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0 or the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1,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due to the door opening at all times, including transporting the car in the lifting space E.

각 격납공간 X,Y의 전후 양단벽의 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하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확인장치 역할을 하는 한쌍의 재고감지기(23)는 각 격납공간 X,Y 내에 차C가 격납되었는지의 여부를 항상 탐지한다.A pair of stock detectors 23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the lower side slightly off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end walls of each storage space X and Y, and serving as a checker,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r C is stored in each storage space X and Y. Always detect

또한, 상기 승입장(E1) 후방의 양측에는 발광체(24)를 설치하고 가까운쪽의 상기 양 승강가이드 레일(6)에는 수광체(light receiving element)(25)를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지상에서 약 60㎝의 높이에 설치하였으며, 이들이 입구 입고감지기(26)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입구 입고감지기(26)는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상에 차 C가 높여 있는지의 유무를 탐지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에 검출신호을 보낸다.In addition, light emitters 24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entrance E1, and light receiving elements 25 are diagonally opposed to both lifting guide rails 6 in the vicinity. It was installed at a height of 60 cm, and they constitute the entrance sensor 26. Thus, the entrance receiving detector 26 detects whether or not the difference C is high on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G.

또한, 승입장 E1의 양 승강가이드 레일(6) 사이에 출입감지기(27)를 설치하여 상기 승입장 E1내에 사람의 출입여부를 감지하여 구동제어조작회로 A에 감지신호를 보낸다. 이 출입감지기(27)는 양 승강포오크(5a,5b) 및 횡단 격납포오크(20)이 입출고 동작중에 있어서 상기 승입장 E1에 사람이나 차 C의 출임유무를 감지하면 상기 입출고 동작을 비상정지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n entrance detector 27 is installed between the elevating guide rails 6 of the entrance hall E1 to detect whether a person enters and exits the entrance hall E1,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G. The entrance sensor 27 is configured to emergency stop the entry and exit operation when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rson or car C at the entrance hall E1 during the entry and exit operation. have.

또한, 제29도 및 제30도에 나타낸 것같이, 간격(78)이 있는 한쌍의 자동차-폭 감지기(77)을 설치하여 승입장(E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이 승입장(E1)의 양측벽에서 차 C가 안전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자동차-폭 감지기(77)는 상기 승입장 E1의 양측벽과 상기 간격(78)이내까지 접근하지 않는가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어 조작회로 A에 감지신호를 보낸다.Further, as shown in FIG. 29 and FIG. 30, a pair of car-width detectors 77 having a gap 78 are provided so that both sides of the entrance E1 are respective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trance of the entrance E1. Ensure car C is safely lifted from the wall. That is, the vehicle-width detector 77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s not approached to both side walls of the entrance hall E1 and within the distance 78, and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따라서, 양 승강포오크(5a,5b)가 차 C를 탑재하고 상승하거나, 또는 상기 차 C에 이 차 C의 측면방향으로 확장한 돌출부(79)가 있어서 상기 자동차-폭 감지기(77)가 이 돌출부(79)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기(77)는 구동제어조작회로 A에 감지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렇게 되면,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의 입고동작을 비상정지시키고, 다시 승입장(E1)의 하부까지 승강포오크(5a,5b)를 복귀시킬 수 있다.Thus,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mount with the car C and ascend, or the car C has a projection 79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ar C so that the car-width detector 77 has this projection. Upon detection of 79, the detector 77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In this case,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an emergencyly stop the receiving operation of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nd return the lifting forks 5a and 5b to the lower part of the entrance hall E1 again.

이 경우, 자동차-폭 감지기(77)는 승입장소(E1)의 상부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포오크(5a,5b)의 상승에 따라 모든 높이에서 차 C의 돌출부(79)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매우 안전하다.In this case, since the car-width detector 77 is provid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entry point E1, the protrusions of the car C at all heights as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re raised. It is very safe because it can detect 79.

제2도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1)의 중앙에서 약간 벗어난 좌측에 수직으로 배열한 일렬 승강기층수표시등(30)은 입체격납탑(P)의 지상 12층 지하 5층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위로부터 순서대로 12,11,10,9,…3,2,1,1,2,3,4,5의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구동제어 조작회로(A)가 양 승강포오크(5a,5b)의 위치를 나타내는 회전식 부호기(8)에서 나온 계측레이타를 근거로 하여 양 승강포오크(5a,5b)의 위치를 산출하고, 램프구동회로(31)을 제어하여 양 승강포오크(5a,5b)가 위치하는 층에 해당하는 표시램프(3 0)이 점등되게 되어 있다. 상기 각 표시램프(30)의 좌측에는 각 격납공간 X,Y에 대응해서, 그의 격납공간 X 내에서 이어서의 격납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로서의 제고 표시램프(32X)를 같은 식으로 우측에는 각 격납공간 Y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장치로서의 재고 표시램프(32Y)를 설치한다.In FIG. 2, the line elevator floor number indicator 30, which is arranged vertically on the left side slightly off the center of the operation panel 1, corresponds to the fifth floor of the twelve stories above ground level of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In order from 12,11,10,9,… The numbers 3, 2, 1, 1, 2, 3, 4 and 5 are assigne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alculates the positions of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on the basis of the measurement radar from the rotary encoder 8 indicating the positions of the lifting and lifting forks 5a and 5b. The furnace 31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play lamp 30 corresponding to the floor on which the lift forks 5a and 5b are located is lit. On the left side of each of the display lamps 30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torage spaces X and Y, the storage display lamp 32X serving a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subsequent storage state within the storage space X is similarly stored on the right side. The stock display lamp 32Y as the display device is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pace Y.

그리하여, 상기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각 격납공간 X내에 설치된 재고감지기 (23)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격납공간 X내에 차 C가 재고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소정의 격납공간 X에 대응하는 상기 재고표시램프(32X)를 램프구동회로 (33)을 제어하여 점등하고, 격납공간 Y내에 차 C가 재고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재고표시램프(32Y)를 상기와 같이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orresponds to the predetermined storage space X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 C is in stock in the predetermined storage space X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inventory sensor 23 installed in each storage space X. The stock display lamp 32X is turned on by controlling the lamp drive circuit 33,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r C is in stock in the storage space Y, the stock display lamp 32Y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상기 재고표시램프(32X)의 좌측에 설치된 조작명령 스위치인 입출고설정 스위치(34)는 그의 표시부가 상하로 나누어져, 상측에는 입 표시가 부착된 입고 설정램프 (35)가 하측에는 출 표시가 부착된 출고설정 램프(36)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재고표시램프(32Y)의 우측에는 상기와 같은 조작명령 스위치로서의 입출고설정 스위치(37)이 설치되어, 이 입출고설정 스위치(37)의 상측에는 입표시가 부착된 입고설정램프 (38)이 하측에는 출 표시가 부착된 출고설정램프(39)가 내장되어 있다.The input and output setting switch 34, which is an operation command switch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tock display lamp 32X, has its display section divided up and down,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of the stock setting lamp 35 with the entrance mark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The factory setting lamp 36 is incorpor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ock display lamp 32Y, an entry and exit setting switch 37 as an operation command switch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and an entry and exit setting lamp 38 having an entry mark is located above the entrance and exit setting switch 37. Has a built-in factory setting lamp 39 with an exit marking attached thereto.

상기 재고감지기(23)에서부터의 검출데이타과 구동제어조작회로 A에 접속된 양 승강포오크(5a,5b) 및 횡단 격납포오크(20)의 입출고동작을 순서대로 기억시킨 기억수단역할을 하는 판독 및 기억할 수 있는(writeable) RAM(29)에 저장한 입고 데이타에서 구동 제어조작회로 A가 소정의 격납공간 X내에 차 C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입출고설정 스위치(34)는 입고명령 스위치로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Read and memorize, which serves as a storage means in which the detection data from the inventory sensor 23 and the entry and exit operations of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storage fork 20 connected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are sequentially stored. If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C in the predetermined storage space X from the receipt data stored in the writeable RAM 29, the entry and exit setting switch 34 is configured to operate as a receipt command switch. .

이때 입고설정램프(35)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에 의해서 램프구동회로(40)를 제어하여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incoming set lamp 35 is controlled to turn on the lamp drive circuit 40 by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G.

또한, 역으로 상기 입출고 설정스위치(34)는 상기와 같은 수준으로 구동제어 조작회로 A가 소정의 격납공간 X내에 차 C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고명령 스위치로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출고설정램프(36)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에 의해서 램프구동회로(41)를 제어하여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 car C is present in the predetermined storage space X at the same level as the above, the entry and exit setting switch 34 is configured to operate as the release command switch. Thus, the factory setting lamp 36 is controlled by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o turn on the lamp drive circuit 41.

또한, 상기 입출고설정 스위치(3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입출고 설정스위치 (37)은 구동제어 조작회로 A가 재고감지기(23)에서의 검출데이타와 RAM(29)에서의 상기 입고 데이타에서의 소정의 격납 공간에 차 C가 없다고 판단되면 입고명령 스위치입고명령 스위치기 램프구동회로(40)에 의해서 입고설정 램프(38)은 점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입출고 설정 스위치(37)은 구동제어조작회로 A가 소정의 격납공간 Y내에 차 C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고명령 스위치로 작동하여 상기 램프구동회로 (41)에 의해 출고설정 램프(39)가 점등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warehouse setting switch 34, the warehouse setting switch 37 store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in the detection data in the inventory sensor 23 and the predetermined storage in the goods receipt data in the RAM 29.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C in the space, the storage setting lamp 38 is turned on by the storage command switch lamp command circuit lamp drive circuit 40. In addition,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 car C is in the predetermined storage space Y, the input and output setting switch 37 operates as a factory command switch, and the factory setting lamp 39 is turned on by the lamp driving circuit 41. It is supposed to be.

상기 조작판(1)의 우상에 설치한 고장표시 램프(43)는 그 입체격납장치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 있어서 구동제어 조작회로A에 접속시킨 램프구동회로(44)에 의해 점등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장표시램프(43)의 점등과 동시에 조작판(1)에 내장시킨 고장경고 버저(45)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에 접속시킨 버저 구동회로(46)에 의해 울리도록 되어 있다.The failure display lamp 43 provid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operation panel 1 is turned on by the lamp drive circuit 44 connected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t the same time as the failure display lamp 43 is turned on, the failure warning buzzer 45 incorporated in the operation panel 1 is caused to ring by the buzzer drive circuit 46 connected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G.

상기 고장표시 램프(43)의 아래에 설치한 버저정지 스위치(47)는 상기 구동제어조작회로 A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장경고 버저(45)를 정지하는 데도 사용된다. 상기 버저정지 스위치(47)의 아래에 설치된 전원 공급용의 키이 스위치(48)는 이 입체 격납장치의 전원을 공급-중단하는데 사용된다.The buzzer stop switch 47 provided below the fault indication lamp 43 is used to connec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and stop the fault warning buzzer 45 at the same time. The key switch 48 for power supply provided under the buzzer stop switch 47 is used to supply-stop the power of this three-dimensional enclosure.

상기 키이 스위치(48)의 아래에 설치된 안전확인 스위치(49)는 상기 구동제어 조작회로 A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입구 감지기(27)이 사람이나 차 C의 출입을 감지하여 실시한 양 승강포오크(5a,5b) 및 횡단격납 포오크(20)의 비상정지를 해제하는데에 사용한다. 그리하여 이후에 상기 안전확인 스위치(49)의 하측에 설치된 구동제어 조작회로 A에 접속시킨 운전스위치(50)를 누르면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 및 횡단격납 포오크(20)의 입출고 동작이 다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The safety confirmation switch 49 installed below the key switch 48 is connected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and at the same time, both lift and lift forks 5a, which the entrance sensor 27 detects the entrance and exit of a person or a car C, 5b) and the emergency stop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Thus, when the operation switch 50 connected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afety confirmation switch 49 is pressed later, the entry / exit operation of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s again performed. It is supposed to be done.

다시 입출고설정 스위치(34,37)에 의해서 입출고동작을 설정한 후 상기 운전스위치(50)를 눌러서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 및 횡단격납포오크(20)의 입출고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After the entry and exit operation is set by the entry and exit setting switches 34 and 37, the operation switch 50 is pressed to start the entry and exit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storage fork 20.

상기 운전스위치(50)의 하측에 설치된 취소 스위치(51)는 상기 입출고설정스위치(34,37)에 의해서 설정한 입출고동작을 취소하거나, 새롭게 별도의 입출고동작을 설정하여 바로잡는 경우에 사용한다. 취소 스위치(51)의 하측에 설치된 비상정지 스위치(52)는 상기 구동제어조작회로 A에 접속시키고,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 및 횡단 격납포오크(20)의 입출고 동작을 긴급 정지시키는 경우에 사용한다.The cancel switch 51 provided below the operation switch 50 is used to cancel the entry / exit operation set by the entry / exit setting switches 34 and 37 or to set a new entry / exit operation to correct it. When the emergency stop switch 52 provided below the cancel switch 51 is connected to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he emergency stop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storage fork 20 is stopped. Used for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입체 격납장치의 고장시, 조정시등의 경우에 대비해서 조작판(1)에 대해서 강제입출고 단추(도시안됨) 및 각 격납공간 X,Y에 대응하는 각 수동 입고 설정스위치와 각 수동출고설정 스위치(도시안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강제입출고 버튼을 켜면,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입구입고감지기(26)에 근거하여 승입장 E1내에 차 C의 유무의 판단과 또한 재고감지기(23) 및 RAM(29)에 기억시킨 입고 데이타에 근거한, 격납공간 X,Y 내에 차의 존재유무의 판단에 관계없이 상기 수동 입고설정 스위치가 켜지면 양 승강포오크(5a,5b),횡단 격납 포오크(20)에 대한 입고동작을 행하게 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n the case of failure, adjustment, etc. of the three-dimensional enclosure, the manual entry and exit buttons (not shown) and the respective manual receipt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torage spaces X and Y are prepared. A setting switch and each manual factory setting switch (not shown) are installed. When the forced entry and exit button is turned o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r C in the entrance hall E1 based on the entrance entrance detector 26, and also stores the storage data stored in the inventory detector 23 and the RAM 29. Based on the above, when the manual receiving setting switch is turned 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r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the receiving operation for both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storage forks 20 is performed.

또한, 같은 모양으로 상기 강제입출고 버튼을 켜면,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입구 입고감지기(26)에 근거한 승입장 E1내에 차의 존재유무의 판단과 또한 재고 감지기 (23) 및 RAM(29)에 기억시킨 입고데이타에 근거한 격납공간 X,Y에 차에 존재 유무의 판단에 관계없이 상기 수동 출고설정 스위치가 켜지면 양 승강포오크(5a,5b), 횡단격납포오크(20)에 대해 입고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Further, when the forced entry / exit button is turned on in the same manner,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tores the judgmen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r in the entrance hall E1 based on the entrance reception sensor 26, and also stores it in the inventory sensor 23 and the RAM 29. Regardless of whether the car is present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based on the received storage data, when the manual release setting switch is turned on, both lifting and lower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storage fork 20 are operated. It is.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의 입체격납장치의 작용를 제7a도에서 제19도에 나타내어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for automobile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hown in FIGS.

먼저, 제1도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것같이 지상 11층의 격납 공간 Y안에 격납된 차 C를 지상으로 출고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기 격납공간 Y내에 대응하는 입출고설정 스위치(37)을 누른다. 그렇게 하면,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입출고설정 스위치(37)가 켜져있는지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1에 있어서, 입출고설정스위치(37)가 켜진것으로 판단하고, 재고감지기(23)에 근거한 그 출고설정층에 해당하는 격납공간 Y내에 차 C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2의 처리동작을 실행한다.First, as shown by the imaginary line in FIG. 1, when the car C stored in the storage space Y on the 11th floor is unloaded to the ground, the operator pushes the entry / exit setting switch 37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Y. T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judges that the warehouse setting switch 37 is turned on in step 1 of determining whether the warehouse setting switch 37 is turned on, and based on the stock sensor 23, the factory setting floor.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2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r C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Y is executed.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가 격납공간 Y내에 차 C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RAM(29)에 기억시킨 입고 데이타에 근거하여 다시 격납공간 Y내에 차 C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3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us,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 car C exists in the storage space Y,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again checks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r C in the storage space Y based on the receipt data stored in the RAM 29. The process of step 3 of judging is performed.

여기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입구입고감지기(26)에 근거하여 승입장 E1에 차 C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4의 처리동작을 행하여, 승입장 E1에 차 C가 없음이 확인되면, 출고설정램프(39)를 켜는 단계 5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다음에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작업자가 운전스위치(50)을 작동시켰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6의 처리동작을 한 후, 운전스위치(50)이 켜진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고설정층이 지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7의 처리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그 출고설정층이 6층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8의 처리동작을 실행한다.Here,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 of judg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r C in the entrance hall E1 based on the entrance arrival / detection sensor 26,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entrance hall E1,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5 of turning on the setting lamp 39 is performed. Nex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operator has operated the operation switch 5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n, the factory setting floor is grounded.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7 for judging whether or not it is carried out is executed, and the processing operation for step 8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factory setting layer is six or more floors.

이 경우, 출고설정층이 지상 11층이기 때문에, 단계 9에서 설명한 상방 수취동작으로 옮겨진다.In this case, since the factory setting layer is the eleventh floor above, it is shifted to the upward receiving operation described in step 9.

상기 단계 9는 제11도에 나타내는 상방 수취동작으로서, 상기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제20a도에 나타낸 것같이 횡단격납 포오크(20)의 중앙으로의 이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양 승강 포오크(5a,5b)의 상승을 시발시키는 단계 A1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또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가 50㎝ 상승한 후에는 저속 운전에서 고속 운전으로 바뀌어 운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제20b도에서 나타낸 것같이 양 승강포오크(5a,5b)가 출고설정층의 횡단격납포오크(20)의 수평위치보다 50㎝가까이로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2의 처리동작을 행한다.Step 9 is an upward receiving operation shown in FIG. 11, wherei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tarts moving to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s shown in FIG. 20A, and at the same time, both lifting forks 5a,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A1 is started to start rising of 5b). Further,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is configured to switch from low speed operation to high speed operation after the two lift forks 5a and 5b rise by 50 cm. 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judges whether or not the two lifting forks 5a, 5b have reached 50 cm closer than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of the factory setting floor as shown in FIG. 20B. The processing operation of A2 is performed.

거기서, 횡단격납포오크(20)이 중앙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A3의 처리동작을 하여, 중앙에 도달하면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를 상기 고속운전에서 저속 운전으로 전환하여 상승시켜, 양 승강포오크(5a,5b)가 출고 설정층의 횡단격납 포오크(20)의 수평위치보다 50㎝상방위치에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10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erein,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A3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has reached the center is performed, and when it reaches the center,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are switched from the high speed operation to the low speed operation and then raised. In step 10, it is determined whether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reach 50 cm abov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of the factory setting floor.

만일, 상기 단계 A3의 처리동작에서 횡단 격납포오크(20)가 아직 중앙위치에 도달하지 않은때에는, 횡단격납포오크(2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어서,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키는 단계 A3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다시 고장표시램프(43)을 점등시켜 고장경고 버저(45)를 올리는 단계 A5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종료한다. 다음에,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10에 있어서 양승강포오크(5a,5b)가 횡단 격납포오크(20)의 수평위치보다 50㎝상방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는 단계 11에 나타내는 상방 복귀동작을 실행한다.If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has not yet reached the central position in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A3, it indicat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thereby stopp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A3 is performed, and the failure display lamp 43 is turned on again to carry out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A5 of raising the failure warning buzzer 45, and then ends. Nex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upward return operation shown in step 11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10 that the lift and lower forks 5a and 5b have reached 50 cm above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Run

상기 단계 11는 제12도에 나타낸 상방 복귀동작으로서, 구동 제어조작회로 A는 제20c도에 나타낸 것같이 먼저 양 승강 포오크(5a,5b)를 정지시키는 단계 B1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횡단 격납포오크(20)를 되돌려 이동시키는 단계 B2의 처리동작을 행한 후, 단계 B3에 있어서 제20d도에 나타낸 상태가 되는 복귀완료를 확인하는 처리동작을 행하고, 거기서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저속운전에서 고속운전으로 전환시켜 하강시키는 단계 B4의 처리동작을 취한다.The above step 11 is an upward return operation shown in FIG. 12, an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rst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B1 of stopp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s shown in FIG. 20C. 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B2 of moving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back, and then performs a processing operation of confirming completion of return to the state shown in FIG. 20d in step B3, where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B4 is performed in which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re switched from the low speed operation to the high speed operation and lowered.

다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제20e도에서 나타낸 상태로 되고, 지상 1층(승입장 E1)보다 50㎝ 가까이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B5의 처리동작을 행한 후, 단계 B6에서 양 승강포오크(5a,5b)를 고속운전에서 저속운전으로 전환시켜 정지시키는 처리동작을 행한다.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again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B5 in which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re in the state shown in Fig. 20e, and are determined to have reached 50 cm closer than the ground floor 1 (entrance E1). Thereafter, in step B6, a proc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which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re switched from the high speed operation to the low speed operation to stop.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단계 11의 처리동작을 완료하면, 출고를 한 격납공간 Y에 대응하여 점등되어 있는 출고설정 램프(36)를 끄고 재고표시 램프(32Y)를 끄고 동시에, RAM(29)에 기억시킨 입고, 데이타를 지우는 단계 12의 처리동작을 행해, 지상 11층에 있는 격납공간 Y에서 C의 출고동작을 전부 완료시킨다. 또한, 상기 출고동작은 격납공간 X내에서의 차 C의 출고동작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처리동작을 거쳐서 행한다.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ompletes the processing in step 11, the drive setting operation lamp 36 turns off the factory setting lamp 36 which is li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torage space Y which has been shipped, and turns off the stock display lamp 32Y, and at the same time, the RAM 29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12 for storing the stored goods and erasing data is performed to complete all the shipping operations of C in the storage space Y on the 11th floor above the ground. Incidentally, the above-mentioned outgo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ing operation similarly also in the outgoing operation of the difference C in the storage space X.

또한, 상기 출고동작에 있어서는 출고설정층은 6층보다 위에 있었지만, 이것이 5층 이하인 경우에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8의 처리동작에서 단계 13에서 나타낸 것같이 상방수취로 동작이 옮겨진다.In the above-mentioned delivery operation, the factory setting floor was above the sixth floor. However, if it is five floors or les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hifts the operation to the upward reception as shown in step 13 in the processing operation in step 8 above.

상기 단계 13은 제13도에 나타내는 상방 수취동작으로서, 상기 제11도에 나타낸 상방 수취동작과는 상이하며,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단계 C1에서 횡단 격납포오크(20)를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처리동작을 향한 후, 횡단 격납포오크(20)이 중앙에 도달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2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e step 13 is an upward receiving operation shown in FIG. 13,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pward receiving operation shown in FIG. 11, an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moves the transverse storage fork 20 to the center in step C1. Afterward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C2 i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has reached the center.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횡단 격납포오크(20)가 중앙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면, 양 승강포오크(5a,5b)를 상승시키는 단계 C3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다시 양 승강포오크(5a,5b)가 상기 출고설정층 보다 50㎝ 상승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14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us,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onfirms that the transverse storage forks 20 have reached the center, the driving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C3 of raising both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nd again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The process of step 14 i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rises by 50 cm from the factory setting layer.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14에 있어서, 양 승강포오크(5a,5b)의 상승을 확인하면, 상기 출고설정층이 11층이었던 경우의 단계 11의 처리동작 이하의 처리동작을 향하고 종료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출고동작은 언제나 출고설정층이 지상에 있지만, 출고설정층이 지하인 경우에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7의 처리동작에서 반드시 단계 15에 나타낸 수취동작으로 옮겨진다.In step 14,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onfirms the rise of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ends toward the processing operation following the processing operation in step 11 when the factory setting layer is the 11th floor. Further, in the above two release operations, the factory setting layer is always on the ground, but when the factory setting layer is undergroun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is shifted from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7 to the receiving operation shown in step 15 above.

제14도에 있어서 상기 단계 15는 수취동작으로서, 제21a도에 나타낸 것같이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를 하강시키는 단계 D1의 처리동작을 한 후, 출고설정층의 양 승강포오크(5a,5b)의 수평위치 보다 양 승강포오크(5a,5b)가 50㎝ 하강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2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D2에 있어서 양 승강 포오크(5a,5b)를 정지시키는 단계 D3의 처리동작을 행함과 동시에, 제21b도에 나타낸 것 같이 횡단 격납포오크(20)을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4의 처리동작을 행한다.In Fig. 14, the step 15 is a receiv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21A,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D1 of lower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n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D2 is performed to judge whether or not both of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re lowered by 50 cm from the horizontal positions of the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D3 of stopp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in step D2, and simultaneously moves the transverse storage fork 20 to the center as shown in Fig. 21B.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D4 for moving is performed.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횡단 격납포오크(20)의 중앙에서 도달을 확인하는 단계 D5의 처리동작을 행한 후, 상기 횡단 격납포오크(20)의 도달을 확인하면 제21c도에 나타낸 것 같이 양 승강포오크(5a,5b)를 상승시키는 단계 D6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D5 of confirming the arrival at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nd then confirms the arrival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s shown in Fig. 21C.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D6 is performed to raise (5a, 5b).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상기 출고층의 횡단 격납포오크(20) 보다 50㎝ 상방에 도달한 것을 확인하는 단계 16의 처리동작을 행하여 그 도달을 확인하고서 단계 17에 나타내는 하방 복귀동작으로 전환한다.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16 which confirms that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have reached 50 cm above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of the shipping floor, and confirms the arrival thereof. The operation returns to the downward return operation shown in 17.

상기 단계 17은 제15도에 나타내는 복귀동작으로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제21d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횡단 격납포오크(20)을 복귀시키는 단계 E1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동시에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지상 1층의 승입장 E1에의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2의 처리동작을 행해, 그의 도달을 확인하면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키는 단계 E3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e above step 17 is a return operation shown in FIG. 15, an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E1 of returning the transverse storage fork 20 as shown in FIG. 21D. Therefore, at the same time,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E2 in which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determine whether the landing fork E1 has reached the first floor of the first floor, and confirms that the lifting fork 5a,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E3 for stopping 5b) is performed.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출고를 행한 격납공간 X,Y에 대응하는 출고설정 램프(36)을 끄고, 재고표시 램프(32X,32Y)를 끄고 동시에 RAM(29)에 기억시킨 입고 데이타를 지우는 단계 12의 처리동작을 행하여 이의 지하 출고동작을 종료한다.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urns off the factory setting lamps 36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s X and Y that have been shipped, turns off the stock display lamps 32X and 32Y, and simultaneously erases the goods receipt data stored in the RAM 29.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12 is performed to terminate its underground shipping operation.

다음에, 입고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은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작업자의 입출고설정 스위치(34,37)의 작동을 단계 1에서 확인하고, 격납공간 X,Y 내에 차 C의 존재유무를 재고감지기(23)에 의해서 확인하는 단계 2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차 C가 없다고 확인되면, 이번에는 그의 설정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의 존재유무를 RAM(29)에 의해서 확인하는 단계 18의 처리동작을 행한다.Next, referring to the receiving operatio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onfirms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s input and output setting switches 34 and 37 in step 1, and check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The process of step 2 confirmed in step 23) is performed. Thu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drive C operation circuit A does not exis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18 in which the presence of the car C in the set storage space X, Y is confirmed by the RAM 29 at this time.

거기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만일 상기 단계 2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없다고 확인된 것에도 관계없이,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없다고 판단한 때에는 상기 재고감지기(23)이 RAM(29)의 고장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하여, 고장 표시램프(4 3)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고장경고버저(45)를 울리는 단계 19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종료한다.Therein,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in step 2, the inventory sensor 23 determines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It is judged that it is a failure of (29). Thus, the fault display lamp 4 3 is turned on,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ing operation in step 19 of ringing the fault warning buzzer 45 is performed and ends.

또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와 같이 상기 RAM(29)에 대해 격납공간 X,Y 내에 차 C의 존재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3에서 단계 2와 모순되는 결과를 얻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19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종료한다.Further,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obtains a result inconsistent with the step 2 in the step 3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fference C in the storage space X and Y with respect to the RAM 29 as described above, Processing operation ends.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18의 처리동작에 의해 격납 공간 X,Y 내에 차 C가 없음이 확인되면, 제8도에서 나타내는 단계 20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상기 단계 20에서 구동제어조작회로 A는 승입장 E1내에 차 C의 존재유무를 입구 입고감지기 (26)에 의해서 판단하여, 승입장 E1내에 차 C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입고설정램프 (35,38)로 점등시키는 단계 21의 처리동작을 행한다.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C in the storage space X, Y by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18,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20 shown in FIG. In the above step 20,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judg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ar C in the arrival hall E1 by the entrance receiving sensor 26,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C exists in the arrival hall E1, the loading setting lamps 35, 38 The process of step 21 of lighting by () is performed.

다음에,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입고설정층이 지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22의 처리동작을 행한 후, 입고설정층이 지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때는 다시 운전단계 50 이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4에 나타내는 상방 수송의 동작으로 옮긴다.Nex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22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storage set floor is above groun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set layer is above ground again, operation step 50 is ionized. It moves to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upward transport shown by.

상기 단계 24는 제16도에 나타내는 상방 수송동작으로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먼저 제22a도에 나타낸 것 같이 양 승강포오크(5a,5b)를 상승시키는 단계 F1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상기 입고설정층 보다 50㎝ 상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2의 처리동작을 행해, 그의 상승을 확인하면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키는 단계 F3의 처리동작을 행함과 동시에 제22b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횡단 격납포오크(20)은 승강공간 E2의 중앙에 이행시키는 단계 F4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횡단격납포오크(20)의 중앙도달을 확인하는 단계 F5의 처리동작을 향해, 횡단 격납포오크(20)을 정지시키는 단계 F6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제22c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양 승강포오크(5a,5b)를 하강시키는 단계 F7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승강포오크(5a,5b)가 입고설정층보다 1층분 하강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5의 하나의 처리동작을 행해, 그의 하강을 확인하면 단계 25의 2에 나타내는 하강 복귀동작으로 옮긴다.The above step 24 is the upward transport operation shown in Fig. 16, an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rst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F1 of rais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s shown in Fig. 22A. 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F2 in whic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both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re raised by 50 cm from the storage setting layer. While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F3 for stopping 5b) is carried out, the transverse storage fork 20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F4 for shifting to the center of the lifting space E2 as shown in FIG. 22B.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F6 of stopping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toward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F5 of confirming the central delivery of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F7 of lower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s shown in Fig. 22C. 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one processing operation in step 25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lifting lift forks 5a and 5b are lowered by one floor than the storage setting floor. Move to descending return operation.

상기 단계 25의 2는 제17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하강 복귀 동작으로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제22d도에 나타낸 것 같이 횡단격납포오크(20)를 복귀시키는 단계 G1의 처리동작을 행함과 동시에 양 승강포오크(5a,5b)가 지상 1층에의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2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구동제어조작회로 A는 단계 G2에 있어서 양 승강포오크(5a,5b)가 지상 1층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키는 단계 G3의 처리동작을 행한다.Step 2 in Step 25 is the falling return operation as shown in Fig. 17, an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step G1 of returning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s shown in Fig. 22D, and simultaneously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G2 determines whether the lifting forks 5a and 5b have reached the ground floo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G2 that both lift forks 5a and 5b have reached the ground floor,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G3 to stop both lift forks 5a and 5b.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입고설정 램프(35,38)을 오프, 재고표시램프 (32X,32Y)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입고설정층에 대한 입고동작 완료를 나타내는 입고 데이타를 RAM(29)에 세트하는 단계 26의 처리 동작을 행해, 그의 지상 입고동작을 종료한다.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urns off the goods receipt setting lamps 35 and 38, activates the stock display lamps 32X and 32Y, and sends goods receipt data indicating completion of the goods receipt operation to the goods receipt setting floor to the RAM 29. The processing operation in step 26 of setting is performed, and the ground receiving operation is completed.

다음에, 입고설정층이 지하인 경우에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22에서 지하로 판단하여, 운전스위치(5)가 켜져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27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운전스위치(50)가 켜진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28에 나타내는 하방 수송의 동작으로 옮긴다.Next, in the case where the incoming set floor is undergroun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judges the underground in step 22, and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27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switch 5 is turned on. Thu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hifts to the operation of the downward transportation shown in step 28.

상기 단계 28은 제18도에서 나타내는 하방 수송동작으로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먼저 제23a도에 나타낸 것 같이 횡단격납포오크(20)를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H1 처리동작을 행하고, 그의 도달을 단계 H2에 의해서 확인하면 제23b도에 나타낸 것같이 양 승강포오크(5a,5b)를 하강시키는 단계 H3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e above step 28 is a downward conveyance operation shown in FIG. 18, wherei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rst performs a step H1 processing operation of moving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to the center as shown in FIG. 23A, and reaches its arrival. If confirmed by H2, as shown in FIG. 23B,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H3 for lower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is performed.

또한 다시 지하 5층보다 아래의 층을 설정하여 그 층에 입고하는 경우에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단계 H1 내지 단계 H3의 처리동작을 하는 대신에, 횡단 격납포오크(20)을 승강공간 E의 중앙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양 승강포오크(5a,5b)를 하강시킨다. 그리하여, 양 승강포오크(5a,5b)가 상기 입고층의 직전의 50㎝에 도달한 시점에서 횡단격납포오크(20)의 중앙위치로의 도달을 확인한다. 거기서 만일 횡단격납 포오크(20)의 아직 중앙위치로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는 횡단격납 포오크(20)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어서,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키고, 고장표시 램프(43)를 점등시켜 고장경고 버저(45)를 울리고 종료한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floor is set below the fifth floor and is received in the floor,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moves the crossing storage fork 20 to the lifting space E instead of performing the processing operations of the above steps H1 to H3. While moving to the center position of both lifting fork (5a, 5b) is lowered. Thus, the arrival at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s confirmed when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reach 50 cm immediately before the storage layer. If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has not yet reached the center position, it indicates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so that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re stopped, and the fault indication lamp 43 Lights up and a failure warning buzzer 45 sounds and ends.

또한, 상기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후기하는 단계 29의 처리동작을 행한다.If there is no abnormality,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29 to be described later.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입고층보다 50㎝ 하강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9에서 하강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30에서 나타내는 승강복귀동작으로 옮긴다.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hifts to the lifting return operation shown in step 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ifting lift forks 5a and 5b are lowered in step 29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owering forks 5a and 5b are lowered by 50 cm from the wearing floor.

상기 단계 30은 제19도에서 나타내는 상승 복귀동작으로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먼저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키는 단계 J1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제23c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횡단 격납 포오크(20)를 다시 이동시키는 단계 J2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e step 30 is a rising return operation shown in FIG. 19, in which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rst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J1 of stopp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nd as shown in FIG. 23c, the transverse storage fork.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J2 for moving (20) again is performed.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횡단격납포오크(20)의 복귀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제23d도에 나타낸 것 같이 양 승강포오크(5a,5b)를 상승시키는 단계 J4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us,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onfirms that the return of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has been complete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J4 of rais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s shown in Fig. 23D.

그 위에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지상 1층에의 도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J5의 처리동작을 행해, 그의 도달을 확인하면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키는 단계 J6의 처리동작을 행한다.On tha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J5 in which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reach the first floor above ground, and stops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when they confirm their arrival.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J6 is performed.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26과 같은 방법으로 입고 설정램프 (35,38)을 오프, 재고표시램프(32X,32Y)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RAM(29)에 입고데이타를 설정하는 단계 31의 처리동작을 행해 이 지하입고 동작을 종료시킨다.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urns off the storage setting lamps 35 and 38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26, operates the stock display lamps 32X and 32Y, and sets the storage data in the RAM 29 at the same time. Processing operation 31 is carried out to terminate this underground loading operation.

다음에, 지하 동시 입출고를 행하는 경우의 구동제어 조작회로 A의 처리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in the case of simultaneous simultaneous entry and exit is explained.

이 처리동작은 지하에서 먼저 입고동작을 행한 후 다시 지상 1층에 양 승강포오크(5a,5b)를 되돌려 보내기 전에 연속적으로 지하의 격납공간 X,Y에 입고되어 있는 다른 차 C를 출고시키는 처리동작이다.This processing operation is a processing operation which first leaves the other car C stor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spaces X and Y before return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to the ground floor. to be.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먼저 지하입고를 상기 단계 22에서 확인한 후, 단계 27에서 운전스위치(50)를 켜기전에 또 한번 단계 32에서 입출고설정 스위치(34,37)가 켜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입출고설정 스위치 (34,37)가 켜지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27로 되돌려서 처리동작을 반복한다.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rst checks the underground storage in step 22,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entrance / exit setting switches 34 and 37 are turned on again in step 32 before turning on the operation switch 50 in step 27. Thus, if the input and output setting switches 34 and 37 are not turned o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7 again to repeat the processing operation.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32에서 입출고설정 스위치(34,37)가 켜진 것으로 판단되면, 그의 출고설정층이 지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33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출고설정층이 지하가 아닌 경우에는 다시 상기 단계 27로 되돌려 처리동작을 행하고, 출고설정층이 지하이면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지의 여부를 재고감지기(23)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단계 34의 처리동작을 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32 that the entrance and exit setting switches 34 and 37 are turned o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33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ctory setting floor is underground. Thus, if the factory setting floor is not undergrou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above step 27, and if the factory setting floor is underground,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ventory sensor 23 whether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34 is performed.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34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없다고 판단한 때에는 다시 RAM(29)에 의해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의 존재를 확인하는 단계 35의 처리동작을 행해 차 C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의 격납공간 X,Y에서 출고는 안되는 것으로서, 다시 단계 27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us,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in step 34,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35 of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by the RAM 29 agai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C, the storage of the storage spaces X and Y is not to be released, and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27 is performed again.

상기 단계 35에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만일 상기 단계 34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에도 관계없이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재고감지기(23)이 RAM(29)의 고장인 것으로 판단한다.In step 35,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 X, Y eve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4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storage space X, Y. It is determined that 23 is a failure of the RAM 29.

따라서, 고장표시 램프(43)을 점등함과 동시에, 고장경고 버저(45)를 울리는 단계 36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종료한다.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단계 34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37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단계 34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에도 관계없이 단계 37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계 36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종료한다.Therefore, the failure indication lamp 43 is turned on and the processing of step 36 in which the failure warning buzzer 45 is sounded is complete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37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C in the storage space X, Y in step 34. Thus, if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storage space X, Y in step 37,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 X, Y in step 34,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36 And exit.

역으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37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다고 판단되면 그 격납 공간 X,Y에 대응하는 출고설정 램프(36,39)을 켜고, 운전스위치(50)가 온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38의 처리동작을 행해, 운전스위치(50)이 켜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9도에 나타내는 단계 39 즉 하방 수송동작으로 옮긴다. 상기 단계 39는 제19도에 나타내는 이미 설명한 상승 복귀 동작인것으로서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Conversel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7 that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urns on the factory setting lamps 36 and 39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s X and Y, and the operation switch 50.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38 for checking whether or not it is turned on is carried ou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n, the process moves to step 39 shown in FIG. The above step 39 is the already described rising return operation shown in FIG. 19,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단계 39의 처리동작을 완료시킨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방금 행한 입고층보다 1층분 하강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40의 처리동작을 행해, 양 승강포오크(5a,5b)가 1충분 하강한 것을 확인하면, 그 입고층의 다음의 출고동작을 해야만하는 출고설정층이 상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41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which has completed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39,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wo lifting forks 5a, 5b have descended by one floor from the storage floor just performed, When 5a, 5b) is confirmed to have descended by one,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1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actory setting floor that should perform the next shipping operation of the stocking layer is upward.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입고층의 다음의 출고설정층의 쪽이 상방인 것으로 판단되면 양 승강 포오크(5a,5b)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횡단 격납포오크(20)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42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횡단격납 포오크(20)의 복귀를 확인하는 단계 43의 처리동작을 행한 후, 그 입고단계 43의 처리동작을 행한 후, 그 입고층에 대응하는 입고설정램프(35,38)을 끄고, 재고표시램프 (32X,32Y)를 켜고 동시에 그 입고층에 대응하는 RAM(29)에 대한 입고 데이타를 설정하는 단계 44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tops both lifting forks 5a, 5b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t the crossing storage fork 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ext factory setting floor of the receiving floor is upward. The processing of step 42 is performe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3 which confirms the return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nd then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receiving step 43, and then the storage setting lamps 35 and 38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layer. ), The inventory display lamps 32X and 32Y are turned on,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4 of setting the goods receipt data for the RAM 29 corresponding to the goods receipt floor is performed.

다음에,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44의 처리동작을 행해, 입고동작을 완료하면, 단계 45에 나타낸 상방 수취동작으로 옮긴다. 상기 단계 45는 제13도에 나타내고 이미 설명한 상방수취동작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4 above, and when the receiv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hifts to the upward receiving operation shown in step 45. Step 45 is the upward reception opera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3,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45의 동작을 완료하면 양 승강포오크(5a,5b ) 그의 출고층 보다 50㎝ 더 상승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46의 처리동작을 행해, 단계 47에 나타낸 하방복귀동작으로 옮긴다. 상기 단계 47은 제15도에 나타내고 이미 설명한 하방복귀동작과 같은 것으로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ompletes the operation of the step 45,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6 which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re 50 cm higher than the shipping floor thereof, and then returns downward shown in step 47. Move to action. Step 47 is the same as the downward return operation shown in FIG. 15 and has not been described.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47의 처리동작을 완료하면, 그 출고층에 대응하는 출고설정 램프(36,39)를 끄고, 재고표시 램프(32X,32Y)를 끄고 동시에 그 출고층에 대응하는 RAM(29)의 입고데이타를 지우는 단계 48의 처리동작을 하여 지하에서의 동시 입출고동작을 종료한다.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omplete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step 47, the factory setting lamps 36 and 39 corresponding to the factory floor are turned off, the inventory display lamps 32X and 32Y are turned off, and at the same time, the factory control lamps corresponding to the factory floor are turned off.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8 for erasing the incoming data of the RAM 29 is performed to complete simultaneous entry and exit operations in the basement.

또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41의 처리동작에서 입고층의 다음의 출고설정층의 쪽이 하방인 것으로 판단되면, 횡단격납포오크(20)로 본래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49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입고 설정 램프(35,38)을 끄고, 재고표시 램프 (32X,32Y)를 켜고 동시에 그의 입고층에 대응하는 RAM(29)에 입고 데이타를 설정시키는 단계 50의 처리동작을 행하다.Further, if it is determined in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1 that the next factory setting floor is lower in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1,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49 of returning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to its original position. Do it. 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urns off the goods receipt setting lamps 35 and 38, turns on the stock indication lamps 32X and 32Y and simultaneously sets the goods receipt data in the RAM 29 corresponding to the goods receipt floor thereof. Perform an action.

다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를 상기 입고층에서 1층분 내려온 시점에서 정지시키는 단계 51의 처리동작을 행해, 상기 단계 45 이하의 처리동작을 행해 그의 지하 동시 입출고 동작을 종료한다.T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51 which stops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t the time when the first floor is lowered from the storage floor by one floor, and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above step 45 and the simultaneous simultaneous entry and exit operation of the basement. To exit.

다음에, 지상 동시 입출고를 행하는 경우의 구동제어 조작회로 A의 처리동작을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in the case of simultaneous simultaneous entry and exit.

이 처리동작은 지상에서 먼저 입고동작을 행한 후, 다시 지상 1층에 양 승강포오크(5a,5b)를 되돌려 보내기전에, 연속적으로 지상의 격납공간 X,Y 내에 입고되어 있는 다른 차 C를 출고시키는 처리동작이다.This proc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first receiving the other car C stored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on the ground before performing the storage operation on the ground first and then returning the lifting forks 5a and 5b to the ground floor again. Processing operation.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먼저 지상입고를 상기 단계 22에서 확인한 후, 단계 23에서 운전스위치(50)을 켜기전에 또한번 단계 52에서 입출고설정 스위치(34,37)가 켜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하여, 입출고설정 스위치 (34,37)이 켜진 경우에는 다시 단계 23에 되돌리는 처리동작을 되풀이하게 되어 있다.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first checks the ground receipt in step 22,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incoming and outgoing setting switches 34 and 37 are turned on in step 52 before turning on the operation switch 50 in step 23. Thus, when the entrance and exit setting switches 34 and 37 are turned on, the processing operation to return to step 23 is repeated.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52에서 입출고설정스위치(34,37)가 켜진 것으로 판단되면 그 출고설정층이 지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53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출고설정층이 지상이 아닌 경우에는 다시 상기 단계 23에 되돌리는 처리동작을 행해 출고설정층이 지상이면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지 없는지를 재고감지기(23)에 근거하여 판단하는 단계 54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54에서 공간격납 X,Y 내에 차 C가 없다고 판단할때는 다시 RAM(29)에 의해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55)의 처리 동작을 행해 차 C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때에는 그 격납공간 X,Y에서의 출고는 되지 않는 것으로서, 다시 단계 23의 처리동작을 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52 that the entrance and exit setting switches 34 and 37 are turned o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53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ctory setting layer is above the ground. Thus, if the factory setting floor is not on the grou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3 again. If the factory setting floor is on the ground,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ventory sensor 23 whether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54 is performed. 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space storage X and Y in step 54, the processing operation in step 55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 car C is in the storage space X and Y by the RAM 29 agai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ar C, the storage of the storage spaces X and Y is not released, and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23 is performed again.

상기 단계 55에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만일 상기 단계 54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데도 관계 없이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는 상기 재고감지기(23)이 RAM(29)의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다. 따라서, 고장표시 램프(43)을 점등시킴과 동시에 고장경고 버저(45)를 울리는 단계 56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종료한다.In step 55,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 inventory sens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 X, Y,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storage space X, Y in step 54). It is determined that 23 is a failure of the RAM 29. Therefore, the processing of the step 56 of turning on the failure indication lamp 43 and ringing the failure warning buzzer 45 is performed and ends.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단계 54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때에는 다시 RAM(29)에 의해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57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단계 54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C가 있다고 판단했는데도 관계없이 단계 57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없다고 판단되는 때에는 상기 단계 56의 처리동작을 행하고 종료한다.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in step 54,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57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by the RAM 29 again. . 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56 and ends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54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storage space X, Y, even though it is determined in step 54 that there is C in the storage space X, Y. .

역으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57에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다고 판단한 때에는 그 격납공간 X,Y에 대응하는 출고 설정램프(36,39)을 켜고, 운전스위치(50)가 켜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58의 처리동작을 행해, 운전스위치(50)이 켜진것으로 판단되면, 제10도에서 나타내는 단계 59 즉 상방 수송동작으로 옮긴다. 상기 단계 59는 제16도에 나타내고 이미 설명한 상방 수송동작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contrary,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57 that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urns on the factory setting lamps 36 and 39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s X and Y, and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n. The process of step 58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 light is turned on is perform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witch 50 is turned on, the process shifts to step 59 shown in FIG. Since step 59 is shown in FIG. 16 an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단계 59의 처리동작을 완료한 구동제어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 5b)가 방금 행한 입고층 보다 1충분 하강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60의 처리동작을 행해, 양 승강포오크(5a,5b)가 1층분 하강한 것을 확인하면, 그의 입고층의 다음에 출고동작을 해야만 하는 출고설정층이 상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61의 처리동작으르 행한다.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which has completed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59,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have descended by more than one of the storage floors which have just been performed, When it is confirmed that 5a, 5b) has been lowered by one floor,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1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actory setting floor that should be released next to the stock floor is upward.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입고층의 다음의 출고설정층의 쪽보다 상방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횡단격납포오크(20)을 본 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2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횡단격납 포오크(20)의 복귀를 확인하는 단계 63의 처리동작을 행한 후, 그의 입고층에 대응하는 입고설정 램프(35,38)을 끄고, 재고표시 램프(32X,32Y)를 켜고 동시에 그 입고층에 대응하는 RAM(29)에 입고 데이타를 설정하는 단계 64의 처리동작을 행한다.Thu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is located above the next factory setting floor of the storage floor, both of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s 5a and 5b are stopped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s returned to this position. The process of step 62 is carried ou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3 of confirming the return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nd then turns off the storage setting lamps 35 and 38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floor thereof, and then displays the stock display lamps 32X and 32Y. ),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4 of setting the stock data in the RAM 29 corresponding to the stock floor is performed.

다음에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64의 처리동작을 행해 입고동작을 완료하면 단계 65에 나타내는 상방 수취동작으로 옮긴다. 상기 단계 65는 제13도에 나타내고 이미 설명한 상방수취동작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Nex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4 above, and when the receiv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hifts to the upward receiving operation shown in step 65. Since step 65 is shown in FIG. 13 and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67의 처리동작을 완료하면 그 출고층에 대응하는 출고설정 램프(36,39)을 끄고, 재고표시램프(32X,32Y)를 끄고 동시에, 그 출고층에 대응하는 RAM(29)의 입고 데이타를 지우는 단계 68의 처리동작을 행해 이 지상동시 입출고 동작을 종료한다.Whe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complete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7, the factory setting lamps 36 and 39 corresponding to the factory floor are turned off, the stock display lamps 32X and 32Y are turned off, and at the same time, the factory control lamps correspond to the factory floor.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8 of erasing the incoming data of the RAM 29 is performed to complete the above-ground simultaneous entering and leaving operation.

또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단계 61의 처리동작에서 입고층의 다음의 출고설정층의 쪽이 하방에 있다고 판단되면, 횡단격납포오크(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 69의 처리동작을 행한다. 그리하여,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입고설정램프(35, 38)을 끄고, 재고표시 램프(32X,32Y)를 켜고 동시에 그의 입고층에 대응하는 RAM (29)에 입고 데이타를 설정하는 단계 70의 처리동작을 행한다.Further, when it is determined in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1 that the next factory setting floor of the storage floor is below,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69 of returning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to its original position. . Thus,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urns off the stock setting lamps 35 and 38, turns on the stock display lamps 32X and 32Y, and simultaneously sets the stock data in the RAM 29 corresponding to the stock floor thereof. Perform the operation.

다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양 승강포오크(5a,5b)를 정지시키는 단계 71의 처리동작을 행해, 상기 단계 65 이하의 처리동작을 행해 그의 지상동시 입고동작을 종료한다.Agai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step 71 for stopp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nd performs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above step 65 and finishes the ground simultaneous receiving operation.

이상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고감지기 (23) 및 RAM(29)에 근거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더욱이 승입장 E1에 차 C가 있는 것을 판단하고서 처음으로 작업자에 의해서 조작된 입고설정스위치(34,37)을 입고 명령 스위치로서 작용시키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C in the storage space X, Y based on the high detector 23 and the RAM 29, and stores the storage space X, Y.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vehicle, and furthermo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ar C in the entrance hall E1, and the goods receiving setting switches 34 and 37 operated by the operator are operated for the first time as the command switch.

따라서, 작업자가 만일 실수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이미 존재하는데도 입고설정스위치(34,37)을 조작하였더라도 구동제어 조작회로는 A는 입고동작을 행하지 않으므로 매우 안전하다. 또한, 승입장 E1에 차 C가 없는데도 구동제어 조작회로 A가 입고동작을 행하는 일은 없게 되어 쓸데 없는 입고동작을 하는 염려가 있다.Therefore, even if the operator has accidentally operated the goods receipt setting switches 34 and 37 even if the car C already exists in the storage space X and Y,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is very safe since A does not perform the goods receipt operation. Moreover, even if there is no car C in the entrance hall E1,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does not carry out a receipt operation,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of carrying out useless reception operation.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와 같이 재고감지기(23) 및 RAM(29)에 근거하여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다고 판단하며, 더욱이 승입장 E1에 차 C가 없음을 확인하고서야 처음으로 작업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입고설정 스위치(34,37)을 출고명령 스위치로서 작용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만일 실수로 격납공간 X,Y 내에 차C가 없는데도, 입출고 설정스위치(34,37)을 조작하고고정부도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출고조작을 행하는 일이 없이 매우 안전하다. 또한, 격납공간 X,Y 내에 차 C가 있고, 더욱이 승입장 E1에서 차 C가 존재하는데도 구동제어 조각회로 A가 출고동작을 행하는 일이 없으므로 매우 안전하다.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judges whether or not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based on the stock sensor 23 and the RAM 29 as described above, and determines that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Further, only after confirming that there is no car C in the entrance hall E1, the goods receipt setting switches 34 and 37 operated by the operator for the first time act as the release command switches. Therefore, even if the operator accidentally does not have a car C in the storage space X, Y, the entry / exit setting switches 34 and 37 and the fixed-level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are very safe without carrying out the shipping operation. In addition, there is a car C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Moreover, even if the car C exists in the entrance hall E1, the drive control engraving circuit A does not carry out a shipping operation, which is very safe.

또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그 처리동작에 있어서, 양 승강 포오크(5a,5b)를 소정의 간격(50㎝ 또는 1층분)의 상승 또는 하강시켜 횡단격납포오크(20)을 승강공간 E의 중앙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격납공간 X,Y 내에 복귀시켜도 좋다고 판단되면,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처리동작을 동시에 병행시켜 상기 횡단격납포오크(20)을 이동 또는 복귀시킨다. 따라서 상기 처리동작에 요하는 시간을 관측시킬 수가 있다.Further, in the processing operatio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raises or lowers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50 cm or one floor) to move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to the center of the lifting space E. When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position or return to the storage space X, Y, the transverse storage fork 20 is moved or returned simultaneously with the processing operation for raising or lowering the two lifting forks 5a, 5b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ing operation can be observed.

또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방 수취동작에 있어서, 출고설정층이 지상 1층보다 6층 이상의 상방에 있는 경우에는 횡단격납 포오크(20)의 중앙에의 이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양 승강포오크(5a,5b)의 상승을 개시하므로, 횡단격납포오크(20)의 중앙에 도달한 후 양 승강포오크(5a,5b)를 상승시키는 경우 보다 처리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upward receiving operatio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starts the movement to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when the factory setting floor is 6 floors or more above the first floor above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Since the rise of 5a, 5b is started, the time required for a processing operation can be shortened more than when raising both lifting forks 5a, 5b after reaching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더우기,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상기 처리동작을 행함에 있어서, 양 승강포오크(5a,5b)가 상기 횡단포오크(20) 보다도 50㎝ 하방에 도달한 시점에서 횡단 격납포오크(20)이 중앙에 도달할 것을 확인한다. 그리하여, 횡단격납포오크(20)가 정상적으로 중앙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상기 수취동작이 계속되고 횡단격납 포오크(20)에 이상이 발생하면 즉시 양 승강포오크(5a,5b)의 상승을 정지시켜 위험을 피할 수가 있다.Furthermore, i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reaches the center when the two fork lifters 5a and 5b reach 50 cm below the transverse fork 20 in performing the processing operation. Make sure you do Thus, if the receiving operation continues only when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reaches the center normally and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the lift of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is immediately stopped to avoid the danger. There is a number.

또한, 구동제어 조작회로 A는 지상동시 입출고동작 또는 지하동시 입출고동작에서는 양 승강포오크(5a,5b)가 입고동작을 완료하여, 이 양 승강포오크(5a,5b)가 차 (C)를 탑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상 1층에 되돌아오기 전에 연속적으로 출고동작을 행해, 거기서 지상 1층으로 양 승강포오크(5a,5b)를 복귀시킨다. 따라서, 양 승강포오크(5a,5b) 및 횡단격납포오크(20)의 여분의 처리동작이 생략되어, 처리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작업자의 조작도 용이하게 한다.In the drive control operation circuit A,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complete the receiving operation in the ground simultaneous entering and leaving operation or underground simultaneous entering and leaving operation, so that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do not mount the vehicle C. Before returning to the ground floor on the first floor, the shipping operation is performed continuously, and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re returned to the ground floor. Therefore, the extra processing operation of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s omitted, which not only shortens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ing operation but also facilitates the operator's operation.

또한 승입장 E1에 양 승강포오크(5a,5b)가 내리고 있어, 차 C가 그 위에 탑재된 때에 한해서 자동개폐문(D)이 개방되며, 그 이외의 경우에는 언제나 폐쇄되어 있어서, 주차 때문에 승인되는 차 C의 승객은 빈칸 S에 안전하게 출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승객은 출고를 위해 격납공간 X,Y에서 호출하는 중에 차 C를 기다리는 사이에도 이 빈칸 S에서 기다리면 일기나 계절에 의해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기 때문에 안전하다.In addition,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re lowered in the entrance E1, and the automatic opening / closing door D is opened only when the car C is mounted thereon. Otherwise, the car is always closed and is approved for parking. Passenger C can safely enter and leave space S. Therefore, passengers are safe because they do not suffer from weather or seasons if they wait in this blank S while waiting for car C while calling from containment spaces X and Y to leave the car.

또한, 제1도어 열림방지부(60) 및 제2도어 열림방지부(61)를 고정부(2) 또는 횡단격납포오크(20)에 설치하면 차 C의 승강 또는 횡단이동중의 진동에 의해서 완전하게 닫히지 않는 문이 열릴 경우에도 상기 고정부(2) 또는 횡단격납포오크(20)에 의해 도어나 시설을 손상시키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게다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0 and the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1 are installed in the fixed portion 2 or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the vehicle C is completely lifted or lowered by the vibration during the lifting or crossing movement. Even when the door which is not closed is opened, the accident which damages a door or a facility by the said fixing part 2 or the transversal containment fork 20 can be prevented, and also safety can be improved.

또한, 양 승강포오크(5a,5b)는 좌우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적재물인 차 C의 중량이 균등히 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차 C의 수용에서 양 승강포오크(5a,5b)의 포오크(3)와 횡단격납포오크(20)의 포오크(17)를 대체로 같은 높이의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일이 없이 승강공간 E1 내에서 미리 대기하고 있는 횡단격납포오크(20)에 대해서 양 승강포오크(5a,5b)로 상방이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교차시키는 것 만으로서 차 C의 수송을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차 C의 수송의 경우에 양 승강포오크(5a,5b)의 정확한 높이를 제어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수송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게 끝나서 매우 편리하다.In addition, since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the weight of the difference car C as a load is equally appli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Unlike the conventional ar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orks 3 of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fork 17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re generally stopped at the exact position of the same height without receiving the car C. The car C can be transported only by intersecting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s 20 waiting in the space E1 in advance from above or below with the lifting forks 5a and 5b. Therefore, in the case of transportation of the car C, it is not necessary to control the exact height of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nd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the time required for transportation is short.

더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차 C 이외의 것도 격납시키는 입체격납장치로 응용하거나, 체인(97)의 대신 와이어로서 양 승강포오크(5a, 5b)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하든지, 양 승강포오크(5a,5b)와 횡단격납포오크(20) 등이 승강공간 E내에서 상하방향으로 교차하여 차 C의 수송을 끝내,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가 소정 간격으로 하강 또는 상승하여서 횡단 격납 포오크(20)을 격납공간 X,Y 내에 복귀시키는 간격을 50㎝ 보다 길게하거나 짧게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s applied to, for example,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for storing other than the car C, or lifting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s wires instead of the chain 97. Either way,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ntersect in the lifting space 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finish transportation of the car C, so that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are lower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ternatively, the interval for returning the transverse storage forks 20 to the storage spaces X and Y may be longer or shorter than 50 cm.

또한, 제31도에 나타낸 것 같이 격납공간 X,Y 승강공간 E의 구석으로 다시 격납공간 X,Y 승강공간 E를 다수열로 설치한 입체격납탑 P로 구체화하여 실시하여도 좋다.Further, as shown in FIG. 31, it may be embodied as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in which the storage spaces X and Y lifting spaces E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again in the corners of the storage spaces X and Y lifting spaces E. FIG.

더욱이, 제32도, 제33도에서 나타내는 것 같이, 격납공간 X,Y 승강공간 E의 구석에 다시 격납공간 X,Y 승강공간 E를 다수열로 설치한 입체격납탑 P에 구체화하여 실시함과 동시에 승입장 E1의 중앙부 및 회전열의 승압장 E1의 전방부분에 대해서 차 C의 전후방향에 따라 차륜(65)를 복수개로 설치한다. 그리하여, 승강공간 E내에서 상기 횡단격납포오크(20)과 같이 양 승강포오크(5a,5b)와 상하방향으로 교차시켜 차 C를 수송가능한 포오크(66a)를 양측에 비치한 운반대차(66)을 상기 차륜(65)상에 탑재한다. 그리하여 이 차륜(65)에 설치한 도시안된 모우터에 의해서 포오크(66a)상에 차 C를 탑재한 상기 운반대차(66)을 회전열의 승입장 E1의 전방으로부터 임의의 승입장 E1까지 이동이 가능케 하여 실시하고, 차 C의 승입장 E1에 대한 승입 및 승입장 E1에서의 퇴출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실시하여도 좋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s. 32 and 33,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P having a plurality of columns of storage spaces X and Y lifting spaces E is installed in the corners of storage spaces X and Y lifting spaces E.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wheels 65 are provid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r C with respect to the center part of the entrance cab E1 and the front part of the boost boom E1 of the rotary train. Thus, in the elevating space E, the carriage trolley 66 having the forks 66a for transporting the car C on both sides by crossing the elevating forks 5a and 5b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like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s 20 is provided. It is mounted on the wheel 65. Thus, an unillustrated motor provided on the wheel 65 enables the transport trolley 66 on which the car C is mounted on the fork 66a to be moved from the front of the entrance hall E1 in the rotational row to an arbitrary entrance hall E1. The vehicle C may be carried out so as to smoothly move in and out of the boarding point E1 of the car C.

또한, 제34도, 제35도에 도시한 것 같이 승강공간 E의 전후에 격납공간 X,Y를 설치한 입체격납탑(P)로 구체화하여, 각 격납공간 X,Y 승강공간 E의 양측에는 상기 횡단 로울러프레임(10,11,12)과 같이 활차(14)를 비치한 횡단로울러프레임(10,11,12 )위를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횡단격납포오크(20)이 이동함에 의하여, 격납공간 X,Y와 승강공간 E와의 사이를 이동 및 재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다.34 and 35,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P provided with the storage spaces X and Y before and after the lifting space E is embodied, and on both sides of each storage space X and Y lifting space E, respectively.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which moves longitudinally over the cross roller frames 10, 11, and 12 having the pulley 14, such as the cross roller frames 10, 11, and 12, moves to conta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move between X, Y and the lifting space E so that it can be moved again.

또한, 상기 승강공간 E내에는 그 후방 양측의 설치된 승강 가이드레일(6)에 의해서 승강이 안내되도록 하는 고정부(2)와 이 고정부(2)에 승입장 E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돌출되게 설치한 다수의 포오크(3)로 승강포오크(5a)를 구성한다. 같은 모양으로 상기 승강공간 E내에는 그 전부양측에 설치한 승강 가이드레일(6)에 의해서 승강이 안내되는 고정부(2)와 이 고정부(2)에서 승강장 E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돌출하게 설치한 다수의 포오크(3)로 승강포오크(5b)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space E is projected so that the elevating guide is guided by the elevating guide rails 6 provided at both rear sides thereof and protrudes parallel to the fixed portion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trance length E1.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 5a is constituted by the large number of forks 3 provided. In the same way, in the lifting space E, the fixing portion 2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by the lifting guide rails 6 installed on both sides thereof, and protrudes from the fixing portion 2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ding length E1.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 5b is constituted by the large number of forks 3 provided.

그리하여 상기 격납공간 X,Y내의 횡단격납포오크(20)를 승강공간 E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교차시킴에 의하여 차 C를 수송할 수 있게 하여 실시하여도 좋다.Thus, the vehicle C may be transported by crossing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s 20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in the elevation space 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와 같게 제36도에서 도시하는 것 같이 승강공간 E와 격납공간 X,Y를 전후 방향으로 설치한 입체격납탑 P에 있어서, 양 고정부(2)의 내측면 중앙에서 포오크지지부(2a,2b)를 그의 말단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돌출 설치해, 이 포오크지지부(2a,2b)에서 다수의 포오크(3)를 수직으로 고정한다. 다시 각 횡단 로울러 프레임 (10,11,12)상에 탑재해, 격납공간 X,Y와 승강공간 E와의 사이를 이동 및 복귀할 수 있는 황단격납포오크(20)의 양쪽지지프레임(18) 중앙부 사이를 연결부(20a)로서 연결함과 동시에, 두 지지프레임(18)에서 다수의 포오크(17)를 수직으로 돌출 설치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6, in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provided with the elevating space E and the storage space X, Y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fork support part 2a is center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both fixing parts 2, 2b is protru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ends thereof, and the forks 3 are fixed vertically at the fork supporting portions 2a and 2b. It is mounted on each transverse roller frame (10, 11, 12) and between the centers of both support frames (18) of the stepped containment fork (20) which can move and return between the storage space (X, Y) and the lifting space (E). Is connected as a connecting portion 20a,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forks 17 protrude vertically from the two support frames 18.

그리하여, 상기 횡단격납포오크(20)를 승강공간 E내에서 포오크지지부(2a,2b )의 말단사이의 간격에 연결부(20a)를 대응시켜, 상기 포오크(3)와 포오크(17)가 상호 횡단격납포오크(20)와 양 승강포오크(5a,5b)를 상하 방향으로 교차시킴에 의하여 차(C)를 수송할 수 있게 설치하여도 좋다.Thus,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s 20 correspond to the connecting portions 20a at intervals between the ends of the fork supporting portions 2a and 2b in the lifting space E so that the forks 3 and the forks 17 cross-contain each other. The car C may be transported by crossing the fork 20 and the two lifting forks 5a and 5b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승강공간 E의 뒤에 설치한 격납공간 X에 다시 후방으로 격납공간 Y를 설치해, 전측의 격납공간 Y에서 다시 후방의 격납공간 Y로 차 C를 수송가능하도록 실시해도 좋다.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Y may be further installed rearward in the storage space X provided behind the elevator space E so that the car C can be transported from the front storage space Y to the rear storage space Y again.

또한 빈칸 S를 운전자의 빈칸으로 해서 사용하는 대신에 빈칸 S를 차 C의 대피소로서 사용해, 승입장 E1내의 양 승강포오크(5a,5b)에 대해 효율적으로 차 C를 수송하도록 실시해도 좋다.Instead of using the space S as the driver's space, the space S may be used as a shelter for the car C, and the car C may be efficiently transported to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in the entrance E1.

[실시예 2]Example 2

다음의 실시예 2에 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한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The following Embodiment 2 will only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por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Embodiment 1 abov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입체격납탑 P 대신에 제3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승입장 E1보다 밑에 있는 층은 생략한 입체격납탑 P를 사용하고, 승입장 E1의 다른 상면 중앙에는 고정승입대(71)을 설치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stead of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a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having omitted a lower layer than the landing board E1 as shown in FIG. 37 is used. The fixed platform 71 is installed.

그리하여, 제38도에 도시하는 것 같이 상기 고정승입대(71)상에 차 C를 탑재할 때에, 그 전륜(72a) 및 후륜(72b)이 위치하는 상기 고정승입대(71)의 양측면으로부터는 각각 다수의 지지포오크(73a, 73b)를 돌출설치한다. 다시 전륜 (72a)에 지지포오크(73a)는 상기 고정승입대(71)의 양측면에 배치해, 상기 전륜(72a)의 외주면과 잘 조화된 곡면을 형성한다. 이 곡면에 대응하는 고정승입대(71)에 양측면에는 상기 전륜 (72a)의 존재를 감지하는 입구 입고감지기(26)을 설치한다.Thus, when the vehicle C is mounted on the fixed carriage 71 as shown in FIG. 38, from both sides of the fixed carriage 71 on which the front wheel 72a and the rear wheel 72b are located.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orks 73a and 73b is protruded. Again, the support forks 73a on the front wheels 72a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carriage 71 to form a curved surface that harmonizes well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wheels 72a. On both sides of the fixed carriage 71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an inlet wearing detector 26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front wheel 72a is provided.

또한, 상기 지지포오크(73a,73b)는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가 승입장 E1 내에 위치할 때, 그 포오크(3)와 서로 상위되게 교차해서 차 C를 수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support forks 73a and 73b ar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car C while crossing the forks 3 with each other when the lifting and lifting forks 5a and 5b are located in the entrance hall E1.

이 승강포오크(5a,5b)의 전륜측의 포오크(3a)를 제39도에 도시한 것 같이 상기 지지포오크(73a)와 유사하게, 전륜(72a)의 외주면과 잘 조화된 고정부(2)의 측면에 배치하여도 좋다.As shown in FIG. 39, the fork 3a on the front wheel sid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s 5a and 5b is similar to the support fork 73a, and the fixing part 2 is well harmoniz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wheel 72a. You may arrange in the side surface.

이 경우 승강중의 차 C가 전후로 이동함이 없이 안전하게 차 C를 수직이동 및 수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r C can be vertically moved and transported safely without moving back and forth during the ascent.

또한, 상기 입구 입고감지기(26)가 차 C를 감지하면, 차 C가 고정승입대(71)에 꼭맞게 탑재된 것을 운전자에게 형광표시 또는 음성표시등에 의해 알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륜(72a)와 대응하는 지지포오크(73b)를 만곡시켜 고정승입대(71)의 양측면에 배치해, 그 만곡부에 대응하는 고정승입대(71)의 양측면에 상기 입구 입고감지기(26)을 설치해 실시해도 좋다.In addition, when the entrance arrival sensor 26 detects the car C, the driver C is informed to the driver by a fluorescent display or a voice display that the car C is properly mounted on the fixed carriage 71. Further, the front wheels 72a and the corresponding support forks 73b are curved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platform 71, and the entrance arrival sensor 26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platform 71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ortion. You may install and implement.

[실시예 3]Example 3

다음에, 실시예에 3게 관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다른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Next, only por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third embodiment.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승입장 E1의 지상면에 대해서 지지포오크(73a,73b)를 비치한 고정승입대(71)을 설치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40도에 도시하는 것 같이 승입장 E1의 지상면을 파내려가서 갱(pit)(80)을 만들고, 이 갱(80)내에 설치한 모우터 (81)에 의해서 승입장 E1의 지상면과 같은 높이로 배설한 회전판으로서의 회전 승입대(82)를 회전 가능하게 배설하여 실시한다.In Example 2, the fixed platform 71 provided with the support forks 73a and 73b is provided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boarding point E1.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0, the ground of the boarding point E1 is shown. Rotating platform 82 as a swivel plate excavated from the surface to form a pit 80 and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ground surface of the landing board E1 by a motor 81 installed in the gang 80. It is carried out by rotatably disposing.

그리하여 상기회전승입대(82)의 양측면에서는 다수의 지지포오크(83)을 돌출설치해, 양 승강포오크(5a,5b)에서 설치한 포오크(3)과 상위하게 상하방향으로 교차함에 의해서 차 C를 수송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승입대(82)가 승입대 E1의 지상면에서 회전하는 경우 그 전후 양단부가 승입장 E1의 양측에 설치된 빈칸 S의 지상면과 접하지 않게, 제41도에 도시한 것 같이 상기 빈칸 S의 지상면의 승입장E1측에는 우묵하게 들어간 홈(84)이 있다. 또한, 상기 양 승강포오크(5a,5b)의 양단에 설치한 체인(7)은 횡단로울러 프레임(12)보다 더 바깥으로 배치하여, 상기 회전승입대 (82)의 회전에 대한 장애가 없도록 배치되어 있다.Thus, a plurality of support forks 83 are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rotary lift table 82, and the car C is transported by crossing the forks 3 provided at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t is possible. In addition, when the rotary platform 82 rotates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platform E1, as shown in FIG. 41,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do not contact the ground surface of the blank 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atform E1. On the entrance E1 side of the ground surface of the blank S, there is a recessed groove 84. In addition, the chains 7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forks 5a and 5b are arranged outward from the transverse roller frame 12 so as to be free from obstacles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platform 82. .

거기서, 차 C를 탑재한 양 승강포오크(5a,5b)를 갱(80)안까지 내려 회전승입대 (82)에 차 C를 수송한 후, 제42도에 도시한 것 같이 모우터(81)을 회전시켜 회전승입대(82)를 회전시키면, 승입장 E1내에서 차 C의 전후방향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reafter, both lifting forks 5a and 5b equipped with the car C are lowered into the gang 80, and the car C is transported to the rotary platform 82. Then, the motor 81 is moved as shown in FIG. When the rotation carriage stand 82 is rotated by rotating, the direction of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ar C can be changed in the entrance hall E1.

또한 제43도에 도시한 것 같이 회전승입대(82)의 양단부(82a,82b)가 회전승입대(82)의 회전시에 대응하는 홈(84)의 외주면상에 로울러(86)을 설치해, 상기 모우터 (81)의 대신에 로울러 구동모우터(87)을 설치해, 이 로울러 구동모우터(87)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회전승입대(82)의 양단부(82a,82b)가 구동하여 이 회정승입대(82)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3, both ends 82a and 82b of the rotary platform 82 provide a roller 86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84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platform 82. The roller drive motor 87 is provided in place of the motor 81, and both ends 82a and 82b of the rotary carriage 82 are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roller drive motor 87. The positive entrance 82 can be driven to rotate.

또한 제44도에 도시한 것 같이 회전승입대(82)의 양단부(82a,82b)에 로울러 (89)을 설치하고, 다시 상기 한쪽의 단부(82a)에는 상기 로울러(89)를 회전구동시키는 로울러 구동모우터(90)을 설치한다. 그리하여, 회전승입장(82)의 회전시에 상기 양단부(82a,82b)가 대응하는 홈(84)의 외주에 가이드 레일(91)을 배치해, 그의 로울러 구동모우터(90)의 회전에 따라, 회전승입대(8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4, the rollers 89 are provided at both ends 82a and 82b of the rotary platform 82, and the rollers for rotating the rollers 89 are rotated at one end 82a. Install the drive motor 90. Thus, when the rotary entrance 82 is rotated, the guide rails 91 ar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rooves 84 to which the both ends 82a and 82b correspond,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ller drive motor 90 thereof. , Rotation platform 82 to rotat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격납공간 X,Y에 격납되는 차 C가 출고될 때, 승강장 E1에 하강한 그 위치에서 회전승입대(82)를 회전시켜, 차 C의 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차 C의 승입은 제42도에서와 같이 승입장 E1의 전방(화살표 121 또는 122의 방향)으로도 승입이 되어 편리하다. 다시 차 C의 방향전환을 행하는 회전판 때문에 입체격납탑 P의 부지 이외에도 별도로 그의 용지가 필요없어 건축부지의 이용효율을 높이는데 극히 유효하다.Therefore, when the car C stored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is relea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car C can be changed by rotating the rotary platform 82 at the position lowered to the platform E1, thereby making it very convenient. . In addition, the car C is carried in and convenient to the front of the boarding point E1 (direction of arrow 121 or 122) as shown in FIG. Because of the rotating plat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ar C again, the site of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P is not required, and its paper is not necessary, which is extremely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building site.

[실시예 4]Example 4

다음에, 실시예 4에 관하여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한 부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Next, only the part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ourth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제45도 및 제46도에 도시한 것 같이 승강공간 E의 우측에만 격납공간 Y을 설치해, 좌측의 격납공간 Y와 지하의 격납공간을 생략한 입체격납탑 P를 사용해서 실시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45 and 46, the storage space Y is provided only on the right side of the elevating space E, and the storage space Y on the left side and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in which the underground storage space is omitted are performed. .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입체격납 P를 건설하는 부지가 협소해도 입체격납탑 P를 건설할 수가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tower P can be constructed even if the site for constructing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P is narrow.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47도에 도시하는 것 같이 승강공간 E 및 격납공간 Y의 뒤쪽으로 다시 승강공간 E 및 격납 Y를 설치해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보다도 부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승강공간 E의 좌측에만 격납공간 X를 설치한다든가, 지하의 격납공간 Y를 설치해 실시해도 좋다.In addition,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only to the said embodiment, As shown in FIG. 47, the lifting space E and the storage Y may be provided in the back of the lifting space E and the storage space Y again. In this case, the site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than in the above embodiment. 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X may be provided only in the left side of the lifting space E, or the underground storage space Y may be provided.

[실시예 5]Example 5

다음에 실시예 5에 관하여는 제48도 및 제49도에 따라서 설명한다.Next,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8 and 49. FI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의 변형예로서 사용하는 제36도에 도시하는 승강공간 E 격납공간 X,Y를 전후방향으로 설치한 입채격납탑 P의 경우, 전측의 격납공간 X를 생략하여 실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에 4에서 승강공간 E의 우측에만 격납공간 Y를 설치한 입체격납탑 P를 사용한 것이 상이하고, 승강공간 E의 뒤쪽에 격납공간 Y를 설치한 입체격납탑 P를 사용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trapping containment tower P provided with the lifting spaces E storage spaces X and Y shown in FIG. 36 used a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storage space X on the front side is omitted. Doing.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in which the storage space Y is provided only on the right side of the lifting space E in the above embodiment 4 is different, and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in which the storage space Y is installed behind the lifting space E is used. Doing.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입체격납탑 P의 폭방향의 부지가 좁아도 입체격납탑 P를 건설할 수가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sit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is narrow,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tower P can be construc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can change arbitrarily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of this invention.

Claims (25)

승강포오크(fork) 유닛과 또한 이것이, 상하이동하는 승강공간 (E)과 이 승강공간(E)의 좌우 및 전후측면 중 한면에 설치한 다수의 격납공간(space)(X,Y)과, 이 격납공간(X,Y)과 승강공간(E) 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횡단격납포오크(20)로서 구성되며, 이 횡단격납포오크(20)와 상기 승강포오크(5a,5b)를 서로 교차시켜 격납물(C)를 이들 사이로 수송할 수 있는 입체격납장치에 있어서, 승강포오크유닛이 한 쌍의 포오크(5a,5b)로 구성되고, 각 횡단격납포오크(20)는 고정부(16)와 또한 이 고정부에 붙어 있고 승강포오크와 맞물릴 수 있는 포오크(17)로 구성되고, 또한 각 횡단격납포오크는 횡단 로울러프레임(10,11,12)에 장착된 구동수단(M2)에 의해 구동되는 지지수단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격납장치.The lifting fork unit and also the lifting space (E) which moves east and right, and a plurality of spaces (X, Y) install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sides of the lifting space (E), and It is configured as a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containment space (X, Y) and the lifting space (E), by crossing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and the lifting fork (5a, 5b) In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containment (C) therebetween, the lifting and lowering fork unit is composed of a pair of forks (5a, 5b), each cross-containing fork 20 and the fixed portion 16 and also It consists of a fork 17 attached to this fixed part and engageable with the lifting fork, and each transverse containment fork is supported by a drive means M2 mounted to the transverse roller frames 10, 11, 12.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which can be supported by means. 제1항에 있어서, 승강공간(E)의 전방과 후방에 격납공간(X,Y)를 제공한 입체격납장치.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spaces (X, Y) are provid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lifting space (E). 제1항에 있어서, 승강공간(E)의 좌측과 우측에 격납공간(X,Y)를 제공한 입체격납장치.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spaces (X, Y)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space (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 승강공간(E)과 격납공간(X,Y)으로 된 다수의 행렬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놓여있고 그리하여, 격납물을 승강공간(E)의 적재위치 (E1)을 통과한후, 선두행렬 아래의 각 격납공간(X,Y) 행렬에도 격납할 수 있도록 된 입체격납장치.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 plurality of matrices each of the lifting space E and the storage spaces X and 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us the storage position of the lifting space E After passing through E1),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can be stored in each of the storage space (X, Y) matrices below the leading matrix.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공간(E)의 적재위치(E1)와 전방에 있는 지면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운반대차(66)가 있고, 이때의 운반대차(66)에는 한쌍의 승강포오크(5a,5b)와 교차하여 운반대차(66)위의 격납물(C)을 이 승강포오크(5a,5b)에 운반할 수 있는 포오크(66a)를 설치한 입체격납장치.The transport cart 66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re is a transport cart 66 that can move between the loading position E1 of the lifting space E and the ground in front.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apparatus which has the fork 66a which cross | intersects a pair of lifting forks 5a and 5b, and can carry the containment C on the transport trolley 66 to this lifting forks 5a and 5b. 제1항에 있어서, 승강공간(E)의 전방과 후방에는 다수의 격납공간(X,Y)을 나란히 배치하고, 승강공간(E)의 적재위치(E1)을 통과한 후, 선두행렬 아래의 각 격납공간 (X,Y)에도 격납물(C)을 격납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적재위치(E1)와 전방의 지면사이를 이동하는 운반대차(66)를 설치하여, 이 운반대차(66)에 구비된 포오크(66a)를 한쌍의 승강포오크(5a,5b)와 교차시켜 운반대차(66)위의 격납물(C)을 승강포오크(5a,5b)에 운반할 수 있게 한 입체격납장치.2. The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X, 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front of and behind the lifting space (E),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loading position (E1) of the lifting space (E), A storage cart 66 can be stored in each of the storage spaces X and Y, and at the same time, a carriage trolley 66 for moving between the loading position E1 and the ground in front of the storage trolley 66 is provided. A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device in which the fork (66a)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with the pair of lifting forks (5a, 5b) to transport the containment (C) on the transport cart (66) to the lifting forks (5a, 5b). 제1항에 있어서, 격납공간(X,Y)을 승강공간(E)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도 나란히 배치하여 격납물(C)이 승강공간(E)의 적재위치(E1)을 통과하여 선두 행렬 뒤의 격납공간 (X,Y)에도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적재위치(E1)와 전방의 지면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운반대차(66)를 설치하고, 이 운반대차(66)에 구비된 포오크(66a)를 이용하여 한 쌍의 승강포오크(5a,5b)에 운반대차(66)위의 격납물(C)을 수송할 수 있는 입체격납장치.The storage space (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spaces (X, Y)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space (E), and are also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containment (C) is placed in the lifting space (E). And a carriage trolley 66 which can enter the storage space (X, Y) behind the leading matrix and move between the stowage position E1 and the ground in front of it.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containment (C) on the transport cart 66 to a pair of lifting forks (5a, 5b) using the fork (66a) provided in the. 제1항에 있어서, 승강포오크(5a,5b)가 좌우 한쌍으로 설치된 것인 입체격납장치.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forks (5a, 5b) are provided in a pair of right and left. 제1항에있어서, 승강포오크(5a,5b)가 전후 한쌍으로 설치된 것인 입체격납장치.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forks (5a, 5b) are installed in front and rear pairs. 제7항에 있어서, 전후 한쌍의 승강포오크(5a,5b)의 앞뒤에 설치한 고정부(2)의 중앙에 포오크지지부(2a,2b)를 장착하고, 이 포오크지지부(2a,2b)에 포오크(3)를 고정시키고, 또한 상기 승강포오크(5a,5b)의 포오크(3)와 맞물리는 포오크(17)가 앞뒤로 설치되어 있는 횡단격납포오크(20)을 각층의 격납공간(X,Y) 에 배치하는 것으로 된 입체격납장치.The fork support portion (2a, 2b) is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fixed portion (2)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pair of front and rear lifting forks (5a, 5b), and the fork support portion (2a, 2b) (3) is fixed and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s 20, on which the forks 17 engaged with the forks 3 of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re provided back and forth, are placed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of each floor.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device which we arranged. 제1항에 있어서, 격납물(C)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는 변경판(turntable) 역할을 하는 회전승입대(82)가 승강공간(E)의 적재위치(E1)에 설치되어 한 쌍의 승강포오크(5a,5b)와 맞물리고 구동수단(87,90)으로 이 회전승입대(8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된 입체격납장치.The lifting platform 82 serving as a turntable capable of rotating the direction of the containment C is provided at a loading position E1 of the lifting space E so as to provide a pair.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which engages with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nd rotates the rotary lift table 82 by the driving means 87 and 90. 제1항에 있어서, 격납물(C)이 자동차(C)인 입체격납장치.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inment (C) is an automobile (C). 제1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승강포오크(5a,5b)의 고정부(2)의 윗면에는 자동차 (C) 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1도어 열림방지부(60)를 장착시켜서 된 입체격납장치.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 first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 of the pair of lifting forks (5a, 5b) to prevent the door of the automobile (C) from being opened.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횡단격납포오크(20)의 포오크고정부(16)의 양측에는 자동차(C) 문의 열림을 방지하는 제2도어 열림방지부(61)가 있고 한 쌍의 승강포오크(5a,5b)의 전륜측의 포오크(3a)와 후륜측의 포오크(3b) 사이의 간격(L)보다도 제2도어 열림방지부의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 입체격납장치.The two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s (61) for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automobile (C) door on both sides of the fork fixing portion (16)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nd the pair of lifting forks (5a). And the second door opening preventing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distance L between the fork 3a on the front wheel side and the fork 3b on the rear wheel side of 5b). 제12항에 있어서, 자동차(C)를 탑재하는 상기 횡단격납포오크(20)의 포오크(17), 승입대(71,82)의 지지포오크(73a,83) 및 한쌍의 승강포오크(5a,5b)의 포오크(3a)중 하나이상을 자동차(c)의 전륜(72a) 또는 후륜(72b)의 외주와 조화를 이룬 곡면형태로 배치하여 이 전륜(72a)이나 후륜(72b)이 곡면속에 들어가 고정되도록 한 입체격납장치.13. The fork 17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the support forks 73a and 83 of the carriages 71 and 82, and the pair of lifting forks 5a and 5b according to claim 12, At least one of the forks 3a of the wheel) is arranged in a curved shape in harmony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wheel 72a or the rear wheel 72b of the vehicle c so that the front wheel 72a or the rear wheel 72b enters the surface speed and is fixed. Stereoscopic enclosure as much as possible. 승강포오크(5a,5b)와 또한 이들이 상하이동하는 승강공간(E)와 이 승강공간 (E)의 좌우 및 전후측면증 한면에 설치한 다수의 격납공간(X,Y)과 또한 이 격납공간 (X,Y)과 승강공간(E)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횡단격납포오크(20)로 구성되고, 이 횡단격납포오크(20)와 상기 승강포오크(5a,5b)를 서로 교차시켜 격납물(C)를 이들 사이로 수송할 수 있는 입체격납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재위치(E1) 윗쪽에 있는 격납공간에 격납물(C)을 입고하는 경우 상기 격납공간에 대한 승강포오크(5a,5b)의 하강 및 횡단격납포오크(20)의 복귀동작과 또한 적재위치(E1) 윗쪽의 격납공간으로부터 격납물(C)을 출고하는 경우 승강공간(E)에 대한 승강포오크(5a,5b)의 상승 및 횡단격납포오크(20)의 이동동작이 동시 실행되고 한편, 승강포오크(5a,5b)보다 먼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해야 하는 횡단격납포오크(20)가 먼저 도달하지 않은 때에는 횡단격납포오크(20)가 소정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승강포오크(5a,5b)를 횡단격납포오크(20)의 직전위치에 정지시키도록 된 입체격납장치의 제어방법.Lifting forks 5a, 5b and also the lifting spaces (E) in which they move, and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X, 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spaces (E), and on the one side of the lifting spaces (E) and also this storage space ( It consists of a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X, Y) and the elevating space (E),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and the elevating fork (5a, 5b) cross each other to contain the containment (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C) therebetween, in the case of storing the containment C in the storage space above the loading position E1, the lifting forks 5a and 5b for the storage space. Of the lowering and transverse containment forks 20 and the lifting forks 5a and 5b relative to the lifting spaces E when the containment C is released from the storage space above the stowed position E1.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s simultaneously executed, while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before the lifting forks 5a and 5b. When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to reach has not reached first, the lifting fork 5a, 5b is stopped at the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until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Control method of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승강포오크(5a,5b)와 또한 이들이 상하이동하는 승강공간(E)과 이 승강공간 (E)의 좌우 및/전후 측면중 한면에 설치한 다수의 격납공간(X,Y)과 또한 이 격납공간 (X,Y)과 승강공간(E)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횡단격납포오크(20)로 구성되고, 이 횡단격납포오크(20)와 상기 승강포오크(5a,5b)를 상호교차시켜 격납물(C)을 이들 사이로 수송하는 입체격납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탑재위치(E1) 아래쪽에 있는 격납공간에 격납물(C)을 입고하는 경우 상기 승강공간 (E)에 대한 승강포오크(5a, 5b)의 하강과 횡단격납포오크(20)의 이동동작이 또한 적재위치(E1) 아래의 격납공간으로부터 격납물(C)을 출고하는 경우 격납공간(X,Y)에 대한 승강포오크(5a,5b)의 상승 및 횡단격납포오크(20)의 복귀동작과 동시 실행되고 한편, 승강포오크(5a,5b)보다 먼저 소정위치에 도달해야 할 횡단격납포오크(20)가 먼저 도달하지 않는 때에는, 횡단격납포오크(20)가 소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승강포오크(5a,5b)를 횡단격납포오크 (20)의 직전위치에 정지시키도록 된 입체격납장치의 제어방법.Lifting forks 5a, 5b and also the lifting spaces (E) in which they move, and the multiple storage spaces (X, Y) install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and / or front sides of the lifting spaces (E) and also this storage space. Consists of a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X, Y) and the lifting space (E), the cross-containment fork 20 and the lifting fork (5a, 5b) cross each other to contai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for transporting (C) therebetween, in the case where the containment (C) is put into the storage space below the mounting position (E1), the lifting forks 5a, The lowering fork 5a, 5b relative to the containment space X, Y when the lowering of 5b) and the movement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lso release the containment C from the containment space below the stowed position E1. And the return operation of the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an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before the lifting forks 5a and 5b. When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to be reached does not reach first, the lifting fork 5a, 5b is stopped at the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until the crossing containment fork 20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Control method of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승강포오크(5a,5b)와 또한 이들이 상하이동하는 승강공간(E)과 이 승강공간 (E) 의 좌우 및 전후측면중 한면에 설치한 다수의 격납공간(X,Y)과 또한 이 격납공간 (X,Y)과 승강공간(E) 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횡단격납포오크(20)로 구성되고, 이 횡단 격납포오크(20)와 상기 승강포오크(5a,5b)를 상호 교차시켜 격납물 (C)을 이들 사이로 수송하는 입체격납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각 격납공간( X,Y)내의 격납물(C)의 유무를 확인하는 확인장치(23,29)와 각 격납공간(X,Y)의 격납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32X,32Y)를 설치함과 동시에, 각 격납공간(X,Y)에 대해서 하나의 조작명령스위치(34,37)를 설치하고, 한편 이 조작명령스위치(34,37)는 격납공간(X ,Y)내에 격납물(C)가 존재하는경우에는 출고명령스위치로서 또한 격납물(C)이 없는 경우에는 입고명령스위치로 각각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어방법.Lifting forks 5a, 5b and also the lifting spaces (E) in which they move, and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X, Y) install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ifting spaces (E) and also the storage spaces ( It consists of a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X, Y) and the lifting space (E),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and the lifting fork (5a, 5b) cross each other to contain the containment (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which transports C) between them, the identification apparatuses 23 and 29 which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inment C in each storage space X and Y, and each storage space X and Y In addition to providing display devices 32X and 32Y for indicating the storage state of the storage device, one operation command switch 34 or 37 is provided for each storage space X and Y, and the operation command switch ( 34 and 37 are the release command switches when the containment (C) exists in the storage space (X, Y), and the goods receipt command switch when the containment (C) is not present The control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work. 제18항에 있어서, 격납공간(X,Y)내의 격납물(C)의 유무는 입고동작으로 기억시키고, 출고동작으로 그의 기억을 지워버리는 기억장치(29)와 각 격납공간(X,Y)에 설치된 감지기(23)에 근거하여 판단하게 된 제어방법.19. The storage device (29)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orage (C) in the storage space (X, Y) is stored in the storage operation and the storage device (X, Y) erases its memory by the shipp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at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or (23) installed in. 제18항에 있어서, 격납공간(X,Y)내에 격납물(C)이 없는 경우에는 , 조작명령스위치(34,37)로 격납공간(X,Y)에 대한 입고명령을 내렸을때 적재위치(E1)의 승강포오크(5a,5b)에 격납물(C)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입고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제어방법.The storage position (20)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when there is no containment (C) in the storage spaces (X, Y), the storage position (when the storage order (X, Y) is issued to the storage spaces (X, Y) by the operation command switches (34, 37). A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 stocking operation is started in the state where the containment (C) exists in the lifting forks (5a, 5b) of E1). 제18항에 있어서, 격납공간(X,Y)내에 격납물(C)이 존재하는 경우, 조작명령스위치(34,37)로 격납공간(X,Y)에 대하여 출고명령을 내렸을때 적재위치(E1) 의 승강포오크(20)에 격납물(C)이 없는 상태에서 출고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The storage position (20)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when the containment (C) exists in the storage space (X, Y), the storage position (when the storage instruction (X, Y) is issued to the storage space (X, Y) by the operation command switches (34, 37). A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ving operation is started in the state where there is no containment (C) in the lifting fork (20) of E1). 승강포오크(5a,5b)와 또한 이들이 상하이동하는 승강공간(E)과 이 승강공간 (E)의 좌우 및 전후측면중 한면에 설치한 다수의 격납공간(X,Y)과 또한 이 격납공간 (X,Y)과 승강공간(E)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횡단격납포오크(20)로 구성되고, 이 횡단격납포오크(20)와 승강포오크(5a,5b)를 서로 교차시켜 격납물(C)을 이들 사이로 수송하는 입체격납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승강포오크(5a,5b)가 상승하여 격납물(C)의 적재위치(E1) 윗쪽의 격납공간(X,Y)에 격납물(C)를 입고한 후 상기 적재위치(E1)에 되돌아오기전에 입고동작을 끝낸 격납공간(X,Y)보다 윗쪽 또는 아래쪽의 또다른 격납공간에 있던 격납물(C)을 이곳으로 출고한후 상기 적재위치(E1)에 승강포오크(5a,5b)를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격납장치의 제어방법.Lifting forks 5a, 5b and also the lifting spaces (E) in which they move, and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X, Y) install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ifting spaces (E) and also the storage spaces ( It consists of a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X, Y) and the elevating space (E),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and the elevating fork (5a, 5b) to cross each other containment (C)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device for transporting between them,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re raised so that the containment C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above the loading position E1 of the containment C. After returning to the storage position (E1) and before returning to the stowage position (E1), the storage (C) in another storage space above or below the storage space (X, Y) that has finished the stocking operation is shipped to this place and then loaded. A control method for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forks (5a, 5b) are returned to the position (E1). 승강포오크(5a,5b)와 또한 이들이 상하이동하는 승강공간(E)과 이 승강공간 (E)의 좌우 또는 전후측면중 한면에 설치한 다수의 격납공간(X,Y)과 또한 이 격납공간(X,Y)과 승강공간(E) 사이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횡단격납포오크 (20)로 구성되고, 이 횡단격납포오크(20)와 승강포오크(5a,5b)를 상호 교차시켜 격납물(C)를 이들 사이로 수송하는 입체격납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승강포오크(5a,5b )가 하강하여 격납물(C)의 적재위치(E1) 아랫쪽에 격납공간(X,Y)에 격납물(C)을 입고한 후 적재위치(E1)에 되돌아오기전에, 입고동작을 끝낸 격납공간(W,Y)보다 윗쪽 아랫쪽의 또다른 격납공간에 있던 격납물(C)를 이곳으로 출고하고난 후 상기 적재위치 (E1)에 승강포오크 (5a,5b)를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격납장치의 제어방법..Lifting forks 5a and 5b, and also the lifting spaces E, which are moved up and down, and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X and 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spaces E, right and left, and also the storage spaces ( It consists of a transverse containment fork 20 installed to reciprocate between X, Y) and the elevating space (E), and the cross containment fork 20 and the elevating fork (5a, 5b) to cross each other containment (C)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device for transporting between them, the lifting forks 5a and 5b are lowered and the containment C is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s X and Y below the loading position E1 of the containment C. After returning to the storage position (E1) after returning to the storage position (E1), after the storage of the containment (C) in another storage space above the lower storage space (W, Y) that finished the stocking operation A control method for a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by returning the lifting forks 5a and 5b to the position E1. 제1항에 있어서, 승강공간 내부에 있는 격납물적재위치(E1)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배열된 자동차-폭 감지기(77)가 승강포오크의 이동에 따라 격납물(C)의 측면 돌출부(79)를 감지할 수 있게 된 입체격납장치.The side-projection of the containment (C)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width detector (77) arranged front-rear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ment loading position (E1) inside the lifting space is moved as the lifting fork moves. 79) A three-dimensional enclosure that can detect it. 제24항에 있어서, 자동차-폭 감지기(77)가 격납물(C)의 돌출부(79)를 감지했을 때 승강포오크(5a,5b)의 상승이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격납장치.25. The three-dimensional containment device as claimed in claim 24, wherein the lifting fork (5a, 5b) is stopped when the vehicle-width detector (77) detects the projection (79) of the containment (C).
KR1019870700311A 1985-10-08 1986-10-04 Three dimensional hou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9100080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224585 1985-10-08
JP60224585A JPS6286272A (en) 1985-10-08 1985-10-08 Fork type delivery apparatus in three-dimensional housing tower
JP61105653A JPS62264103A (en) 1986-05-08 1986-05-08 Operation instruction in solid housing apparatus
JP86-105654 1986-05-08
JP86-105653 1986-05-08
JP86-109005 1986-05-13
JP86-109006 1986-05-13
JP61109005A JPS62268475A (en) 1986-05-13 1986-05-13 Turntable for fork type automatic parking area
JP86-115675 1986-05-20
JP61115675A JPS62275989A (en) 1986-05-20 1986-05-20 Automatic switching door in parking area
JP86-126303 1986-05-30
JP61126303A JPS62284862A (en) 1986-05-30 1986-05-30 Fork for parking car
JP86-134549 1986-06-10
JP61134549A JPS62291372A (en) 1986-06-10 1986-06-10 Fork type bicycle parking apparatus with sensor
JP61216684A JPS6370781A (en) 1986-09-12 1986-09-12 Sky parking tower
JP86-216684 1986-09-12
PCT/JP1986/000509 WO1987002405A1 (en) 1985-10-08 1986-10-04 Vertical stor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092B1 true KR910008092B1 (en) 1991-10-07

Family

ID=2757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311A KR910008092B1 (en) 1985-10-08 1986-10-04 Three dimensional hou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0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6860B2 (en) 1995-03-27 2015-06-02 Canon Kabushiki Kaisha Coupling part, photosensitive drum,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6860B2 (en) 1995-03-27 2015-06-02 Canon Kabushiki Kaisha Coupling part, photosensitive drum,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8254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parking structure
US9752341B2 (en) Vehicle parking with automated guided vehicles, vertically reciprocating conveyors and safety barriers
KR20190052807A (en) Automated parking facility with lift-type vehicle parking stand
KR0145422B1 (en) Multi-deck parking structure
JP2006342501A (en) Box-shaped circulation type parking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WO2002099228A1 (en) A parking machine, a park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parking cars
KR910008092B1 (en) Three dimensional hou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138110A (en) Safety device for mechanical parking system
KR102604402B1 (en) Parking facility
JP2663045B2 (en) Self-failure detection method of detection device in mechanical parking device
JP3562439B2 (en) Loading system
KR100257111B1 (en) Movable platform for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JPH04881B2 (en)
JPH0375441B2 (en)
KR102326242B1 (en) Parking facility and method for incoming and outgoing vehicles in parking facilities
JPS6339329Y2 (en)
JP2548120Y2 (en) Multi-level parking device
JPH08312186A (en) Inclination detector for lifting-lowering base
KR19990038686A (en) Lift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elevator parking facility
JP3240490B2 (en) Vehicle parking / unloading device for multi-story parking system
KR940005914Y1 (en) Multi-storied parking apparatus with containers
JP3712147B2 (en) 3 column type elevating parking system
JP2578010Y2 (en) Elevator parking device with transfer device
JP2006070674A (en) Parking equipment
JP2577037Y2 (en) Power supply device for moving floor of multi-story parking 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