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56B1 -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956B1
KR910005956B1 KR1019880014946A KR880014946A KR910005956B1 KR 910005956 B1 KR910005956 B1 KR 910005956B1 KR 1019880014946 A KR1019880014946 A KR 1019880014946A KR 880014946 A KR880014946 A KR 880014946A KR 910005956 B1 KR910005956 B1 KR 91000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auxiliary
loaded
loading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416A (ko
Inventor
박권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956B1/ko
Priority to JP1287277A priority patent/JPH02171994A/ja
Priority to GB8924809A priority patent/GB2226551B/en
Priority to US07/436,329 priority patent/US5044517A/en
Publication of KR90000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컵디스펜서를 보인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컵디스펜서의 제어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를 보인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의 보조컵적재대를 보인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보조컵적재대를 보인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컵디스펜서의 제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냉음료용컵 적재부 15 : 온음료용컵 적재부
16 : 냉음료용컵 공급 타레트 17 : 온음료용컵 공급 타레트
18, 19 : 투출구 20 : 보조컵적재대
22 : 지지수단 23 : 보조컵
28 : 보조컵 이동완료 검출 수단 31 : 보조컵적재 검출 수단
41, 42 : 투출구 감지부
43, 44 : 타레트 구동 및 보조컵 공급 제어부
45, 46 : 타레트 구동 제어 및 보조컵 공급 구동부
47 : 보조컵 이동부
본 발명은 크기가 다른 냉음료용컵과 온음료용컵을 적재하고, 구매자가 냉음료 또는 온음료를 구매함에 따라 그 적재한 냉음료용컵과 온음료용컵을 선택적으로 투출하는 자동 판매기의 컵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디스펜서내에 보조컵적재대를 형성하여 많이 판매되는 음료용컵을 많이 공급할 수 있게한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컵디스펜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 가이드(2) 및 프레임(3)으로 냉음료용컵 적재부(4)와 온음료용컵적재부(5)가 형성되고, 그 컵적재부(4)(5)내에는, 회전축봉(6A)(7A)에 지지판(6B-6E)(7B-7E)이 고정된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 공급 타레트(6)(7)가 설치되며, 컵 적재부(4)(5)의 저면에는 컵이 투출되는 투출구(8)(9)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출구(8)(9)의 상부에 컵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단락되는 투출구 컵 감지 스위치(SW8)(SW9)와, 공급타레트(6)(7)를 각기 회전시키는 타레트모타(M6)(M7)가 교류전원(AC)이 인가되는 전원단자(A1)(B1)사이에 접속되어 컵디스펜서의 동작을 제어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컵디스펜서 및 제어회로는 각 지지판(6B,6C)(6C,6D)(6D,6E)(7B,7C)(7C,7D)(7D,7E)의 사이에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을 각기 적재함과 아울러 지지판(6A,6B),(7A,7B)사이의 투출구(8),(9)의 상부에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을 절재하여 둔 상태에서 동작을 시키면, 구매자가 냉음료 또는 온음료를 구매함에 따라 투출구(8),(9)에 적재한 냉음료용컵 또는 온음료용컵이 선택적으로 하나씩 투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투출구(8)에 적재한 냉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되었다고 가정하면, 투출구(8)에 냉음료용컵이 적재되지 않음을 감지하는 투출구컴 감지 스위치(SW8)가 단락되고, 타레트 모타(M6)가 구동되어 공급 타레트(6)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지지판(6B,6C)사이에 적재한 냉음료용컵이 투출구(8)로 이동되고, 투출구컵 감지 스위치(SW8)가 개방되어 타레트 모타(M6)의 구동이 정지되며, 이와 같이 투출구(8)에 적재된 냉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됨에 따라 투출구컵 감지 스위치(SW8)가 단락되고, 타레트 모타(M6)가 구동되면서 지지판(6B,6C)(6C,6D)(6D,6E)사이에 적재한 냉음료용컵에 순차적으로 투출구(8)로 이동되어 투출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투출구(9)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될 경우에는 투출구컵 감지 스위치(SW9)가 단락되고, 타레트 모타(M7)가 구동되면서 지지판(7B,7C)(7C,7D)(7D,7E)사이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이 순차적으로 투출구(9)로 이동되어 투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컵디스펜서 및 제어 회로는 적재할 수 있는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의 수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여름철과 같이 냉음료가 많이 판매될 경우에는 온음료용컵이 많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냉음료용컵의 부족으로 인하여 판매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또한 겨울철과 같이 온음료가 많이 판매될 경우에는 온음료용컵의 부족으로 인하여 판매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많이 판매되는 음료용컵을 보다 많이 적재하고 투출되도록 함으로써 컵의 부족으로 인하여 판매 기회를 상실하는 것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는 컵디스펜서의 냉음료용컵적재부와 온음료용컵적재부의 사이에 보조컵적재대를 형성하여 많이 판매되는 음료용컵을 적재한 후 투출구에 적재한 컵의 투출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그 보조컵적재대에 적재한 음료용컵을 투출구로 이동시켜 투출 즉, 냉음료가 많이 판매될 경우에는 보조컵적재대에 냉음료용컵을 적재하고, 냉음료용컵 적재부의 투출구에 적재한 냉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되었을 때 그 보조컵적재대에 적재한 냉음료컵을 냉음료용컵 투출구로 적재한 냉음료용컵을 냉음료용컵 투출구로 이동시켜 투출시키며, 또한 온음료가 많이 판매될 경우에는 보조컵적재대에 온음료용컵을 적재하고, 온음료용컵 적재부의 투출구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되었을 때 그 보조컵적재대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을 온음료용컵 투출구로 이동시켜 투출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제3도 내지 제6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회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를 보인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1), 가이드(12) 및 프레임(13)으로 냉음료용컵적재부(14) 및 온음료용컵 적재부(15)가 형성되고, 컵 적재부(14)(15)내에는 회전축봉(16A)(17A)에 지지판(16B-16E)(17B-17E)이 고정된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 공급 타레트(16)(17)가 설치되며, 컵적재부(14)(15)의 저면에는 컵이 투출되는 투출구(18)(19)가 형성된 컵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냉음료용컵적재부(14)와 온음료용컵적재부(15) 사이에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을 선택적으로 적재하여 투출구(18,19)로 이동시키는 보조컵적재대(20)를 형성하였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보조컵적재대(20)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 제5도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부호(21)은 상부고정판이고, 부호(22)는 보조컵(23)이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지지 수단이다.
지지수단(22)은 상부 고정판(21)의 전방의 좌우 양측에 축핀(221)(221A)이 고정되고, 축핀(221,221A)에는 지지판(222)(222A)이 끼워짐과 아울러 지지판(222)(222A)이 내측으로 탄지되도록 스프링(223)(223A)이 설치되어 적재한 보조컵(23) 즉, 많이 판매되는 음료에 따라 판매자가 선택적으로 적재한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판(222)(222A)이 지지하게 된다. 부호(24)는 상부 고정판(21)의 상면에 고정된 기어 박스로서, 기어 박스(24)에는 컵이동용 직류 모타(241)가 내장되어 컵이동용 직류모타(241)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242)이 회전된다. 회전축(242)은 상부 고정판(21)의 하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회전축(242)의 하단부에는 커플러(25)로 회전축봉(26)이 연결되며, 회전축봉(26)에는 이동판(27)이 고정되어 컵이동용 직류모타(241)의 구동에 따라 이동판(27)이 좌·우로 회전되면서 보조컵(23)을 투출구(18)(19)로 이동시키게 된다.
부호(28)은 상기 이동판(27)의 회전에 따라 보조컵(23)이 투출구(18)(19)로 이동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보조컵 이동완료 검출 수단으로서, 보조컵 이동완료 검출수단(28)은 상기 회전축(242)이 상부 덮개판(29)의 상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회전축(242)에는 원형의 외주면에 요입부(281A)(282A)가 형성된 캠(281)(282)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축설되며, 상기 상부 덮개판(29)의 상면에는 이동상태 검출용 마이크로 스위치(283)(284)가 간격 유지구(285)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면서 레버(283A)(284A)가 상기 캠(281)(282)에 각기 접속되게 고정되어, 직류모타(241)의 구동에 따라 이동판(27)이 보조컵(23)을 이동시킬 경우에는 캠(281)(282)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283)(284)가 단락되고, 보조컵(23)을 이동시키지 않는 초기 상태 및 이동을 완료하였을 경우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83)(284)가 개방되게 하였다.
부호(30)는 프레임이고, 부호(31)은 보조컵(23)이 적재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보조컵적재 검출 수단이다.
보조컵적재 검출수단(31)은 프레임(30)의 수직부(301)에 축핀(311)이 설치되고, 축핀(311)에는 "
Figure kpo00001
"형 레버(312)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레버(312)가 전방 즉, 적재된 보조컵(23)의 방향으로 탄지되도록 스프링(313)이 설치되며, 프레임(30)의 측벽에는 고정구(314)가 고정되고, 고정구(314)에는 보조컵적재 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315)가 고정되어, 보조컵(23)이 적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마이크로 스위치(315)가 단락되고, 보조컵(23)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프링(313)에 의해 레버(312)가 전방으로 탄지되면서 마이크로스위치(315)의 레버(315A)를 눌러 마이크로 스위치(315)가 개방되게 하였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의 제어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출구(18)(19)의 상부에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이 적재되어 있는지를 각기 감지하는 투출구컵 감지 스위치(SW18),(SW19) 및 릴레이(RL11),(RL21)로 된 투출구 감지부(41)(42)와, 투출구(18)(19)에 컵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투출구 감지부(41)(42)의 제어에 따라 각기 타레트(16)(17)를 구동시켜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을 투출구(18)(19)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보조컵(23)의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스위치(RL111,RL131),(RL211,RL231), 릴레이(RL12),(RL22) 및 타레트 모타(M16)(M17)로 된 타레트 구동 및 보조컵 공급 제어부(43),(44)와, 보조컵(23)이 적재되어 마이크로 스위치(315)가 단락될 경우에 상기 타레트 구동 및 보조컵 공급 제어부(43),(44)의 제어에 따라 각기 타레트(16), (17)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보조컵(23)을 각기 투출구(18)(19)로 공급하게 하는 릴레이 스위치(RL121)(RL221), 다이오드(D11,D12),(D21,D22), 저항(R11-R13), (R21-R23), 콘덴서(C11), (C21), 트랜지스터(TR11),(TR21), 릴레이(RL13),(RL23) 및 마이크로 스위치(283), (284)로 된 타레트 구동제어 및 보조컵 공급 구동부(45),(46)와, 상기 타레트 구동제어 및 보조컵 공급 구동부(45)(46)가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선택 스위치(SW40)와, 상기 타레트 구동제어 및 보조컵 공급 구동부(45)(46)의 제어로 보조컵(23)을 투출구(18)(19)로 이동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32, RL133, RL132) 및 컵이동용 직류 모타(241)로 된 보조컵 이동부(47)로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릴레이 스위치(RL111)(RL211)(RL121)(RL131-RL133)(RL231,RL232)는 릴레이(RL11)(RL12)(RL21)(RL22)(RL31)(RL32)의 스위치로서, 릴레이(RL11)(RL21)(RL12)(RL22)가 구동될 때 릴레이 스위치(RL111)(RL211)(RL121)(RL221)가 단락되고, 릴레이(RL13)(RL23)가 구동될 때 릴레이스위치(RL132)(RL232,RL233)의 가동 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132)(a232,a233)에 단락되며, 릴레이(RL13)(RL23)가 구동되지 않을 때 렐레이 스위치(RL131)(RL231)가 단락됨과 아울러 릴레이 스위치(RL132,RL133),(RL232)의 가동 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132,b133,b232)에 단락되게 한다.
그리고, 투출구컵 감지 스위치(SW18)(SW19)는 투출구(18)(19)에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단락되고, 타레트 모타(M16)(M17)가 구동될 때 타레트(16)(17)가 회전되게 한다.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 부호 ZD는 정전압 다이오드이고, AC는 교류전원이며, VCC는 전원단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타레트(16)(17)의 각 지지판(16B,16C)(16C,16D)(16D,16E),(17B,17C)(17C,17D)(17D,17E)의 사이에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을 적재함과 아울러 지지판(16A,16B)(17A,17B) 사이의 투출구(18)(19)의 상부에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을 적재하고, 보조컵적재대(20)에 보조컵(23) 즉, 냉음료용컵 또는 온음료용컵을 적재한 상태에서 구매자가 냉음료 또는 온음료를 구매함에 따라 투출구(18)(19)의 상부에 적재한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이 하나씩 선택적으로 투출된다.
여기서, 냉음료가 많이 판매되는 보조컵적재대(20)의 이동판(27)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즉, 온음료용컵 적재부(15)로 회전시킨 후 보조컵(23)으로 냉음료용컵을 적재하고, 선택 스위치(SW40)의 가동 단자를 일측 고정단자(a40)에 단락시켰다고 가정하고, 투출구(18)의 상부에 적재한 냉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되면, 투출구(18)의 컵을 감지하는 투출구컵 감지 스위치(SW18)가 단락되고, 릴레이(RL11)가 구동되므로 릴레이 스위치(RL111)가 단락되어 릴레이(RL12)가 구동되고, 릴레이 스위치(RL121)가 단락된다.
이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RL121)가 단락되면,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저항(R1), 다이오드(D1), 보조컵적재감지용 마이크로 스위치(315), 릴레이 스위치(RL121) 및 다이오드(D11)를 통해 콘덴서(C11)에 충전되면서 트랜지스터(TR11)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그가 일정시간 동안 온 즉, 콘덴서(C11)의 충전 용량에 따라 약 1초동안 트랜지스터(TR11)가 온되어 릴레이(RL13)가 구동되므로 릴레이 스위치(RL131)는 개방되고, 릴레이 스위치(RL132,RL133)의 가동 단자는 일측 고정단자(a132,a133)에 각기 단락된다.
따라서, 타레트 모타(M16)가 구동되지 않아 타레트(16)는 회전되지 않고,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릴레이 스위치(RL133), 직류모타(241) 및 릴레이 스위치(RL132)를 통해 흐르면서 직류모타(241)가 정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직류모타(241)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기어박스(24)의 회전축(24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축봉(2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판(27)이 회전하게 되므로 적재한 보조컵(23) 즉, 냉음료용컵이 투출구(18)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지지판(222A)은 보조컵(23)의 이동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보조컵(23)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242)의 회전에 따라 캠(281)(282)이 회전하게 되므로 캠(281)(282)에 레버(283A)(284A)가 접촉된 마이크로 스위치(283)가 단락되고, 마이크로 스위치(283)의 단락에 따라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선택 스위치(SW40), 릴레이(RL13) 및 마이크로 스위치(283)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콘덴서(C11)의 충전이 완료되어 트랜지스터(TR11)가 오프되어도 릴레이(RL13)는 계속 구동되어 보조컵(23)을 투출구(18)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보조컵(23)이 이동되면 레버(313)가 스프링(31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315)의 레버(315A)를 누르게 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315)가 개방되고, 보조컵(23)이 투출구(18)로 완전히 이동되면, 감지 스위치(SW18)가 개방되어 릴레이(RL11)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릴레이 스위치(RL111)가 개방되어 릴레이(RL12)의 구동이 정지되고, 릴레이 스위치(RL121)가 개방되며, 또한 보조컵(23)의 이동이 완료됨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283)가 개방되고, 릴레이(RL13)의 구동이 정지되어 릴레이 스위치(RL131)가 단락되며, 릴레이 스위치(RL132)(RL133)의 가동 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132)(b133)에 단락되어 직류모타(241)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매자가 냉음료를 구매함에 따라 토출구(18)에 적재된 컵이 하나씩 투출되고, 투출이 완료되면, 상기와 같이 스위치(SW18)가 단락되고, 릴레이(RL11)가 구동되어 릴레이 스위치(RL111)가 단락되며, 릴레이(RL12)가 구동되어 릴레이 스위치(RL121)가 단락되나, 이때 보조컵적재대(20)에 보조컵(23)이 적재되지 않아 마이크로 스위치(315)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TR11)가 온되지 못하여 릴레이(RL13)가 구동되지 않게되고, 이에 따라 직류모타(241)는 구동되지 않고 릴레이 스위치(RL131)는 단락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타레트 모타(M16)가 구동되므로 타레트(17)가 회전하여 각 지지판(16B,16C)(16C,16D)(16D,16E)사이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이 투출구(19)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투출구(19)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될 경우에는 감지 스위치(SW19)가 단락되고, 릴레이(RL21)가 구동되어 릴레이 스위치(RL211)가 단락되며, 릴레이(RL22)가 구동되어 릴레이 스위치(RL221)가 단락되나, 이때 선택 스위치(SW40)의 가동 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40)에 단락되어 있으므로 릴레이(RL23)가 구동되지 못하여 직류모타(241)는 구동되지 않고, 릴레이 스위치(RL231)는 단락상태를 계속 유치자형 타레트 모타(M17)가 구동되므로 타레트(17)가 회전하여 각 지지판(17B,17C)(17C,17D)(17D,17E)사이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이 투출구(19)로 순차 공급된다.
즉, 보조컵(23)으로 냉음료용컵을 적재하였을 경우에, 투출구(18)에 적재한 냉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됨에 따라 바로 보조컵(23)을 투출구(18)로 이동시켜 투출시킨 후 지지판(16B,16C)(16C,16D)(16D,16E)사이에 적재한 냉음료용컵을 순차적으로 투출구(8)로 이동시켜 투출시키며, 투출구(19)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됨에 따라 지지판(17B,17C)(17C,17D)(17D,17E)사이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을 순차적으로 투출구(19)로 이동시켜 투출시키게 된다.
한편, 온음료가 많이 판매되어 보조컵적재대(20)의 이동판(27)을 냉음료용컵 적재부(14)로 회전시킨 후 보조컵(23)으로 온음료용컵을 적재하고, 선택 스위치(SW40)의 가동 단자를 타측 고정단자(b40)에 단락시켰다고 가정하고, 투출구(19)의 상부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되면, 투출구컵 감지 스위치(SW19)가 단락되고, 릴레이(RL21)가 구동되므로 릴레이 스위치(RL211)가 단락되어 릴레이(RL22)가 구동되고, 릴레이 스위치(RL221)가 단락된다.
이와 같이 릴레이 스위치(RL221)가 단락되면,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콘덴서(C21)에 충전되면서 콘덴서(C21)에 일정시간 동안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그가 온 되므로 릴레이 스위치(RL231)는 개방되고, 릴레이 스위치(RL232)의 가동 단자는 일측 고정단자(a232)에 단락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릴레이 스위치(RL232), 직류모타(241) 및 릴레이 스위치(RL133)를 통해 흐르게 되어 직류모타(241)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이 직류모타(24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와는 반대로 이동판(27)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적재한 보조컵(23) 즉, 온음료용컵이 투출구(19)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지지판(222)은 보조컵(23)의 이동에 따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되면서 보조컵(23)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되고, 또한 직류모타(241)의 구동에 따라 캠(281)(282)가 회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283)(284)가 단락되므로 트랜지스터(TR21)가 오프되어도 릴레이(RL23)는 계속 구동되어 보조컵(23)을 투출구(18)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보조컵(23)이 투출구(19)로 완전히 이동되면, 미이크로 스위치(315)가 개방되고, 투출구(19)의 컵을 감지하는 스위치(SW19)가 개방되어 릴레이(RL21)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릴레이 스위치(RL211)가 개방되어 릴레이(RL22)의 구동이 정지되고, 릴레이 스위치(RL221)가 개방되며, 또한 보조컵(23)의 이동이 완료됨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284)가 개방되고, 릴레이(RL23)의 구동이 정지되어 릴레이 스위치(RL231)가 단락되며, 릴레이 스위치(RL232)의 가동 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232)에 단락되어 직류모타(241)구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투출구(19)에 적재한 컵의 투출이 다시 완료되면, 감지 스위치(SW19)가 단락되고, 릴레이(RL1)가 구동되어 릴레이 스위치(RL211)가 단락되며, 릴레이(RL22)가 구동되어 릴레이 스위치(RL221)가 단락되나, 이때 보조컵적재대(20)에 보조컵(23)이 적재되지 않아 마이크로 스위치(315)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TR21)가 온되지 못하여 릴레이(RL23)가 구동되지 않게되고, 이에 따라 직류모타(241)는 구동되지 않고, 릴레이 스위치(RL231)는 단락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타레트 모타(M17)가 구동되므로 타레트(17)가 회전하여 각 지지판(17B,17C)(17C,17D)(17D,17E)사이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을 순차적으로 투출구(19)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투출구(18)에 적재한 냉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될 경우에는 감지 스위치(SW18)가 단락되고, 릴레이(RL11)가 구동되어 릴레이 스위치(RL111)가 단락되며, 릴레이(RL12)가 구동되어 릴레이 스위치(RL121)가 단락되나, 이때 선택 스위치(SW40)의 가동 단자가 타측 고정단자(b40)에 단락되어 있으므로 릴레이(RL13)가 구동되지 못하여 직류모타(241)는 구동되지 않고, 릴레이 스위치(RL131)는 단락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타레트 모타(M16)가 구동되므로 타레트(16)가 회전하여 각 지지판(16B,16C) 즉, 보조컵(23)으로 온음료용컵을 적재하였을 경우에, 투출구(19)에 적재한 냉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됨에 따라 바로 보조컵(23)을 투출구(19)로 이동시켜 투출시킨 후 지지판(17B,17C)(17C,17D)(17D,17E)사이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을 순차적으로 투출구(19)로 이동시켜 투출시키며, 투출구(18)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됨에 따라 지지판(16B,16C)(16C,16D)(16D,16E)사이에 적재한 온음료용컵을 순차적으로 투출구(19)로 이동시켜 투출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컵디스펜서에 보조컵적재대를 형성하여 많이 판매되는 음료용컵을 적재한 후 투출구로 이동시켜 투출시킴으로써 컵의 부족으로 인하여 음료의 판매 기회를 상실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이 분리적재되는 냉음료용컵 적재부(14) 및 온음료용컵(15)가 형성되고, 적재부(14)(15)내에는 냉음료용컵 공급 타레트(16) 및 온음료용컵 공급 타레트(17)가 설치됨과 아울러 투출구(18)(19)가 형성된 컵디스펜서에 있어서, 냉음료용컵 또는 온음료용컵을 보조컵(23)으로 선택적재할 수 있는 적재수단과, 적재한 보조컵(23)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22)과, 보조컵(23)을 투출구(18) 또는 투출구(19)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보조컵 이동 수단과, 보조컵(23)이 투출구(18) 또는 투출구(19)로 이동이 완료 -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보조컵 이동완료 검출 수단(28)과, 보조컵(23)이 적재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보조컵적재 검출 수단(31)을 갖는 보조컵적재대(20)를 상기 적재부(14)(15)사이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2. 냉음료용컵 적재부(14) 및 온음료용컵 적재부(15)에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이 각기 적재되고, 투출구(18)(19)에 적재된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의 투출이 완료됨에 따라 냉음료용컵 공급 타레트(16) 및 온음료용컵 공급 타레트(17)가 적재부(14)(15)에 적재된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을 투출구(18)(19)로 이동시키게 한 컵디스펜서의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투출구(18)(19)에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이 적재되어 있는지를 각기 검출하는 투출구 감지부(41),(42)와, 상기 투출구(18),(19)에 컵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투출구 감지부(41),(42)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타레트(16),(17)를 각기 회전시켜 상기 적재부(14),(15)에 적재한 냉음료용컵 및 온음료용컵을 투출구(18),(19)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보조컵(23)의 공급을 제어하는 타레트 구동 및 보조컵공급 제어부(43),(44)와, 상기 보조컵(23)이 적재되어 있을 때 상기 타레트 구동 및 보조컵 공급 제어부(343)(44)의 제어로 각기 상기 타레트(16),(17)가 구동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보조컴(23)을 투출구(18),(19)로 공급하게 하는 타레트 구동 제어 및 보조컵(23)을 각기 상기 투출구(18)(19)로 이동시키는 보조컵 이동부(4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의 제어 회로.
KR1019880014946A 1988-11-14 1988-11-14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 KR910005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946A KR910005956B1 (ko) 1988-11-14 1988-11-14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
JP1287277A JPH02171994A (ja) 1988-11-14 1989-11-02 自動販売機の補助カップ積載台を持つカップ分配器及びその制御回路
GB8924809A GB2226551B (en) 1988-11-14 1989-11-03 Cup dispenser having auxiliary cup loading rack of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circuit
US07/436,329 US5044517A (en) 1988-11-14 1989-11-14 Automatic vending machine having cup dispenser with auxiliary cup loading rack and control circuit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4946A KR910005956B1 (ko) 1988-11-14 1988-11-14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416A KR900008416A (ko) 1990-06-04
KR910005956B1 true KR910005956B1 (ko) 1991-08-09

Family

ID=1927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946A KR910005956B1 (ko) 1988-11-14 1988-11-14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44517A (ko)
JP (1) JPH02171994A (ko)
KR (1) KR910005956B1 (ko)
GB (1) GB2226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2828A (en) * 1991-10-01 1992-12-22 Unidynamics Corporation Cup dispenser
EP0545558B1 (en) * 1991-11-28 1997-01-15 Nippon Seiki K.K. Display panel with electroluminescent illumination
US5957040A (en) 1992-08-12 1999-09-28 Feola; Anthony V. Continuously operational high volume frozen confection dispensing machine
US7431176B2 (en) * 2005-06-17 2008-10-07 Barryco Technologies Inc. Dispensing machine to store and dispense elongated containers vertically
US8335587B2 (en) * 2006-05-08 2012-12-18 Anthony V. Feola Frozen confection machine
PL2369559T3 (pl) * 2010-03-11 2017-05-31 Rheavendors Services S.P.A. Automat towarowy i sposób dozowania napojów
US9930903B2 (en) 2013-08-27 2018-04-03 Anthony V. Feola Frozen confection machine
US10689240B1 (en) 2017-06-07 2020-06-23 Cornelius, Inc. Automated beverage dispensing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2183A (en) * 1950-10-26 1956-04-17 Glenmore Corp Cup dispensers
JPS58142496A (ja) * 1982-02-18 1983-08-24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飲料カツプ供給装置
JPS6057487A (ja) * 1983-09-07 1985-04-03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カップ送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44517A (en) 1991-09-03
GB2226551A (en) 1990-07-04
KR900008416A (ko) 1990-06-04
JPH02171994A (ja) 1990-07-03
GB8924809D0 (en) 1989-12-20
GB2226551B (en) 199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956B1 (ko) 자동 판매기의 보조컵적재대를 갖는 컵디스펜서 및 그 제어 회로
US4676398A (en)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s
US8132691B2 (en) Vending machine dispensing system
US4854477A (en) Control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dispensing mechanism
US3269595A (en) Article vending machine
US3294281A (en) Package vendor with helix shaped delivery spindle
US3386550A (en) Automatic electronic microwave cooking and vending machine
US5555965A (en) Battery operated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cylindrical and tetrahedron-shaped objects
EP0087141B1 (en) A drinking cup feeding devic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US2969650A (en) Ice making and vending machine
US4591070A (en) Article dispenser adjustable for different size articles
DK161272B (da) Udleveringsmekanisme til salgsautomat
US3881642A (en) Ice dispensing apparatus
US3530907A (en) Automatic beverage dispensing system
DK161271B (da) Udleveringsmekanisme til salgsautomat
US3283951A (en) Cup dispenser
US2586351A (en) Bottle vending machine
US4469242A (en) Delivery mechanism for a vending machine
US2176823A (en) Vending machine
US3045719A (en) Dispenser apparatus
US2684782A (en) Cube sugar dispenser
US3144965A (en) Ice storage and dispensing hopper
CN109204988A (zh) 一种原料下料用自动拆袋装置
US2874873A (en) Frozen food container vender
US2280323A (en)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