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727B1 -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727B1
KR910003727B1 KR1019870013732A KR870013732A KR910003727B1 KR 910003727 B1 KR910003727 B1 KR 910003727B1 KR 1019870013732 A KR1019870013732 A KR 1019870013732A KR 870013732 A KR870013732 A KR 870013732A KR 910003727 B1 KR910003727 B1 KR 910003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veloping roller
developing apparatus
voltage
developer car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092A (ko
Inventor
타이조오 오노
요시히로 가다야마
도오시 사이또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870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22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9222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423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8922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423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0437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7229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0437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7229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0437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72294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supply and before the regulating, e.g. means for preventing developer bloc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02Developer
    • G03G2215/0604Developer solid type
    • G03G2215/0614Developer solid type one-component
    • G03G2215/0619Developer solid type one-component non-contact (flying develop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상장치
제 1 도, 제 2 도, 제 3 도는 각각 종래예의 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한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5 도, 제 6 도, 제 7 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각성분의 구성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확대단면도.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
제 17 도, 제 18 도, 제 19 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각 부분의 구성도.
제 20 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로울러 2 : 토우너
3 : 호퍼 4 : 날
5 : 감광체 6 : 감광체
7 : 현상로울러 8 : 도전성퍼어브러시
9 : 전원 10 : 전압분배기
11 : 호퍼 12 : 토우너
13 : 현상로울러 14 : 토우너
15 : 호퍼 16 : 날
17 : 감광체 18, 19 : 도전성퍼어브러시
20 : 제1전원 21 : 제2전원
22 : 전하유지체 23 : 알루미늄기대
24 : 광도전체 25 : 대전기
26 : 직류고압전원 27 : 광학부
28 : 현상제 29 : 현상제담지수단
30 : 현상토우너 31 : 탄성체
32 : 중심쇠 33 : 탄성재료
34 : 케이스체 35 : 현상제저장수단
36 : 저장부 38 : 보급용개구부
45 : 현상로울러 베어링헤어 브러시 47 : 날
51 : 누설방지부재 53 : 제1전압인가수단
56 : 압압스프링 58 : 압압스프링
59 : 고정판 61 : 릴레이
본 발명은 전자사진을 용융한 복사기, 프린터등의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식 현상제를 사용한 현상방법으로서는, 대별해서 2성분계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과 성분계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2분된다.
2성분계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토우너와 캐리어의 혼합현상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토우너와 캐리어의 혼합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토우너 농도제어장치가 필요함과 동시에 캐리어의 열화(劣化)에 의해 전기적 교환등의 결점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최근에는 상기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1성분현상제 만을 사용하는 현상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현상법은,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54-43038호공보, 특개소 56-110963호공보, 미국특허 4,083,326호 공보등에 표시된 것이 있으며, 제 1 도, 제 2 도, 제 3 도에 그 구성을 표시한다. 또한 제 1 도~제 3 도의 부호는 설명을 위하여 발명자들이 부여한 것이다.
제 1 도(일본국 특개소 54-43038호공보)에 있어서, (1)은 현상 로울러, (2)는 토우너, (3)은 호퍼, (4)는 날, (5)는 감광체를 표시한다. 현상로울러(1)는 표면이 요철형상의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호퍼(3)로부터 토우너(2)가 공급된다. 다음에 현상로울러(1)가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현상로울러(1)의 표면에 접점(摺接)한 날(4)에 의해서 토우너(20는 소정극성으로 대전됨과 동시에 현상로울러(1)의 표면상에 코우팅된다. 다음에 대전한 토우너(2)는 감광체(5)의 정전잠상(靜電潛像)과 대향했을때에 비상하여 현상하는 것이다.
제 2 도(일본국 특개소 56-110963호 공보)에 있어서, (6)은 감광체, (7)은 감광체(6)에 접접하는 도전성 우레탄 재료로된 현상로울러, (8)은 현상로울러(7)에 접접하는 도전성 퍼어부러시, (9)는 도전성의 퍼어부러시(8)와 현상로울러(7)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10)은 전원(9)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압분배기, (11)은 토우너(12)를 수납한 호퍼이다.
호퍼(11)로부터 퍼어브러시(8)에 공급된 토우너(12)는, 퍼어브러시(8)에 의해 마찰대전되고, 다음에 전원(9)의 전압에 의해 퍼어브러시(8)로부터 현상로울러(7)위에 코우팅되고, 그후 감광체(6)의 정전잠상에 부착해서 현상되는 것이다. 또 현상한 결과, 소정의 현상농도를 얻을 수 없었을때에는 전압분배기(10)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다.
제 3 도(미국특허 4,080,326호 공보)에 있어서(13)은 현상로울러, (14)는 토우너, (15)는 호퍼, (16)은 날, (17)은 시이트형상의 감광체, (18),(19)는 현상로울러(13)에 접접하는 도전성퍼어브러시, (20)은 호퍼(15)와 도전성의 퍼어브러시(18)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의 전원, (21)은 도전성의 퍼어브러시(18)와 현상로울러(7)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의 전원이다. 또 제2의 전원(21)이 인가하는 전압은, 제1의 전원(20)이 인가하는 전압보다 크게하고, 또한 감광체(17)의 정전 잠상의 전압보다 낮게 구성되어 있다. 퍼어브러시(18)에 의해 마찰대전된 토우너(14)는 제1 및 제2의 전원(20),(21)의 전위차에 의해 호퍼(15)로부터 도전성퍼어브러시(18)를 개재해서 현상로울러(13)에 공급되고, 다음에 날(16)에 의해 평활화된 후, 감광체(17)의 정전잠상에 부착해서 현상하는 것이다. 다음에 현상후에 현상로울러(13) 위의 토우너(15)를 도전성의 퍼어브러시(19)에 의해 긁어떨어뜨려서 현상로울러 위의 현상이력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것에 있어서는 현상제(토우너)의 균일한 대전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어서, 고품위의 화상재현을 곤란하게하고 있었다.
즉, 제 1 도에 표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현상로울러 위의 표층의 토우너는 날과 접촉해서 마찰대전되고, 현상안된 현상로울러 위의 토우너는 날과 접촉하여 더욱 마찰대전된다. 따라서, 토우너의 과대전 문제가 있어서, 고품위의 화상재현을 곤란하게하고 있었다.
제 2 도에 표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퍼어브러시와 현상로울러와의 사이의 전계에 의해 퍼어브러시위의 대전토우너를 현상로울러 위에 코우팅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현상안된 현상로울러 위의 토우너 및 퍼어브러시내의 토우너는, 현상로울러와 퍼어브러시와의 접접에 의해 더욱 마찰대전된다. 또 호퍼로부터의 토우너는 한방향의 공급때문에 퍼어브러시내에 과잉된 저장이 발생한다. 따라서, 토우너의 과대전의 문제가 있어서, 고품위의 화상재현을 곤란하게하고 있었다.
제 3 도에 표시한 것에 대해서는, 2개의 퍼어브러시를 사용해서 한쪽의 퍼어브러시로 퍼어브러시 위의 대전토우너를 현상로울러 위에 코우팅하고, 다른쪽의 퍼어브러시로 현상후의 현상로울러위의 대전토우너를 긁어떨어뜨리는 것이다. 그 때문에, 제 2 도 및 제 3 도의 현상 후의 현상로울러 위의 토우너의 과대전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지만, 그러나 현상안된 퍼어브러시내의 토우너는, 다시 현상로울러와 접촉해서 마찰대전되기 때문에 과대전의 문제가 있어서, 고품위의 화상재현상을 곤란하게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현상기내의 토우너의 과대전을 방지하여 고품위의 화상을 얻는 현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현상장치는, 현상제 담지수단과 제1의 공급수단과의 사이에 현상재의 유출임을 규제하는 순환수단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에 본 랍염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도에서부터 제 8 도는 본 랍명의 제1실시예로서, 전자사진복사기에 사용한 예이다.
제 4 도에서 있어서, (22)는 전하유지체로서 정전(靜電)기록지, 감광드럼 등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하유지체(22)는 감광드럼으로서, 알루미늄의 기대(23)의 표면위에 산화아연, 셀렌, 유기광도전 재료등의 광도전체(24)를 담지한 것이다(따라서 이하, 전하 유지체(22)를 감광드럼(22)이라 칭함.) (25)는 대전기로서, 제1의 직류 고압전원(26)에 의해서 감광드럼(22)위의 광도전체(24)에 대응해서, 예를들면 산화아연의 경우는 마이너스, 셀렌의 겨우는 플러스의 코로나를 부여해서 광도전체(24)를 전면 대전시키는 것이다.
(27)은 광학부로서, 패턴광상(光像)을 감광드럼(22) 위에 투영해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28)은 현상제로서, 통상의 1성분 절연성토우너이다. 또한, 현상제(28)는 자성토우너이거나 비자성토우너라도 좋다. (29)는 현상제 담지수단으로서, 현상로울러(30)과 제2의 공급수단인 원통형상의 탄성체(31)로 구성되어 있다.
또, 현상로울러(30)는 예를들면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등의 금속로울러, 금속로울러의 표면을 수지로 코우팅한 로울러등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현상로울러(30)의 양단부외주면(30a),(30b) 평활면에서 중앙표면(30c)에 미세한 요철의 조면(粗面)을 형성하고, 감광드럼(22)에 대해서 일정간격을 가지고 설치하여, 예를들면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 타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 원통형상의 탄성체(31)는 퍼어브러시, 스폰지로 이루어진 로울러 등으로서, 중심쇠(32)의 외주면에 탄성재료(33)의 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의 탄성체(31)는 퍼어브러시로, 탄성재료(33)를 카아본을 함유한 레용섬유를 사용한 도전성의 퍼어로 구성하고 있다.
또 퍼어브러시(31)는 케이스체(34)에 포위되고, 현상로울러(30)의 표면과 접접하여, 예를들면 시계방향이고, 또한 현상로울러(30)의 주속(周速)이상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퍼어브러시(31)의 주속을 현상로울러(30)의 주속이상으로 하므로서, 현상로울러(30)에의 현상제(28)의 공급량을 증가해서 코우팅의 추종성을 좋게하고, 또 현상제(28)의 넘처흐름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현상공정후에 현상로울러(30)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현상제(28)를 긁어떨어뜨려서 현상로울러(30)위의 이력을 소거할 수 있다. 또 퍼어브러시(31)의 섬유는, 제 6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시에 현상제(28)가 퍼어브러시(31)의 양단외주부로부터 중앙부로이동하는 방향으로 스파이럴의 형상으로 하고 있다. (35)는 현상제 저장수단으로서, 현상제(28)를 수납한 저장부(36)와 현상제담지수단(29)에 공급하는 제1의 공급수단(3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저정부(36)는 일단부에 현상제(28)의 보급용 개구부(38)를 가지고 케이스체(34)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의 공급수단(37)은 중심쇠(39)의 외주면에 예를들면 두께 약 3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시이트 형상의 탄성부재(40)의 일단부를 고정하고, 중심쇠(39)를 회전도는 요동해서 현상제(28)를 현상제 담지수단(29)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심쇠(3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41)은 순환수단의 분리판(板)으로서, 제1의 공급수단(37)과 현상제담지수단(29)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현상제(28)를 제1의 공급수단(37)과 현상제담지수단(29)과의 사이에서 유출입시키는 개구부(42)를 가지고 있다. (43)은 긁어내기판으로서, 케이스체(34)의 일부로 형성하고, 퍼어브러시(31)와 접접해서 퍼어브러시(31)내의 현상제(28)의 양을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퍼어브러시(31)내의 과대전의 현상제(28)를 긁어 떨어뜨리는 것이다. (44)는 보급용 개구부(38)의 덮개이다.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45)는 현상로울러(30)의 베어링, (46)은 퍼어브러시(31)의 베어링이다. (47)은 현상제(28)의 층두께를 규제하는 층두께 규제수단인 날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우레탄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고무날을 사용하고 있으나, 날 재료로서는 다른 고무재료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나, 인청동, 스프링강등의 탄성금속이라도 좋고, 또 탄성금속 혹은 합성수지에 불소수지를 코우팅한 것등이라도 좋다. 또, 날(47)의 단면(端面)의 정밀도는 현상제(28)의 균일한 엷은층의 형성에 큰영향이 있음으로, 날(47)의 단부의 직선도는 0.15mm 이하로 정밀하게 마무리되어 있다. 또 날(47)은 현상로울러(30)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저장부(36)보다 하류쪽이고, 또한 감광드럼(22)과의 대향부보다 상류쪽에서 현상로울러(30)의 표면에 압접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날(47)의 폭은,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현상로울러(30)의 양단의 주면(30a),(30b)과 당접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48),(49)는 현상제(28)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재로서, 예를들면 직포, 부직포(펠트)나, 스폰지, 고부등의 탄성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시일재(48), (49)는 현상로울러(30)의 양단외주면(30a),(30b) 및 날(47)의 양단면에 당접되어 있다. (50)은 현상제(28)의 넘처흐름 방지수단으로, 퍼어브러시(31)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대향위치보다 상류쪽이고 또한 현상로울러(3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 넘처흐름 방지수단(50)은 U자형의 누설방지부재(51)와, 일단부를 누설방지부재(51)에 고정하고 타단부를 현상로울러(30) 표면에 가볍게 접촉하는 누설방지시이트(5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넘쳐흐름 방지수단(50)의 누설방지시이트(52)의 일단부를 케이스체(34)에 설치해도 좋다. 또, 누설방지시이트(52)의 폭은 현상로울러(30)의 양단의 주면(30a),(30b)과 당접하는 길이로 하고 또한 그 양단부는 제 7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현상로울러(30)의 양단부에 설치한 시일재(48),(49)에 의해 현상로울러(30)에 압접되어 있다. 또, 현상로울러(30)표면에 가볍게 접촉하는 쪽의 누설방지시이트(52)의 단부는, 퍼어브러시(31)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 누설방지시이트(52)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우레탄고무 등의 탄성재료가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로울러(30)와의 밀착성이 좋은 우레탄고무(이때의 두께는 50~200㎛정도가 바람직하다)를 사용하고 있다. 누설방지부재(51)는 스테인레스강이나 알루미늄등의 금속으로 제작되며, 현상제(28)가 만일 현상로울러(30)와 누설방지시이트(52)의 빈틈에서 새어나와도 아래쪽으로 낙하 하지 않도록 받아낸다.
이경우,누설방지시이트(52)에 의해서, 현상제(28)의 누설은 거의 완전하게 방지되므로 누설방지부재(51)의 용량은 적어도 좋다. 또한, 퍼어브러시(31)는 도전성재료를 사용하므로서, 현상로울러(30)위의 마찰대전한 현상제(28)의과대전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위를 균일하게하는 작용이었다. 따라서 퍼어브러시(31)는 비저항 1010Ω㎝정도이하, 바람직하게는 103Ω㎝내지 107Ω㎝의 도전성재료를 사용하는 쪽이 좋다. 또 퍼어브러시(31)로서는, 이 실시예와 같이 도전성의 레용섬유 뿐만 아니라 다른 도전성 섬유를 사용해도 좋고, 또 코우팅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정전식모로 제작한 퍼어브러시를 사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 원통형상의 탄성체(31)의 탄성재료(33)로서, 도전성의 스폰지, 도전성의 포목, 부드러운 와이어브러시를 사용해도 상기의 마찰대전, 코우팅등의 작용이 유효하게 행하여 짐은 물론이다. 또 현상제(28)가 1성분자성 토우너인경우는 중심쇠(32)로서 자기로울러를 사용하고, 그 외주에 자기브러시를 형성하여 원옹형상의 탄성체(31)로 하는 것도 유효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제1의 실시예 현상장치에 대해서 그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동작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감광드럼(22) 위의 광도전체(24)는 산화아연, 원통형상의 탄성체(31)는 알루미늄의 중심쇠(32) 위에 탄성재료(3)로서 카아본을 함유한 비저항이 약 105Ω㎝의 레용섬유를 3600개/㎠ 정도식모한 퍼어브러시, 현상로울러(30)의 표면조도(組度)는 5㎛ Rmax, 현상로울러(30)에 압접하는 날(47)의 선압력은 25g/cm, 감광드럼(22)과 현상로울러(30)의 간격은 0.15mm, 현상제(28)는 통상의 플러스대전성의 비자성 1성분토우너를 사용해서 실험하였다.
제 4 도에 있어서, 대전기(25)에 제1의 고압직류전원(28)에 의해 약 -6kV의 고압을 인가해서 마이너스의 코로나에 의해 감광드럼(22)의 전체면을 약 -600V로 마이너스 대전한다. 다음에 마이너스대전한 감광드럼(22)에 광학부(27)에 의해 할로겐램프등에 의해서 조사(照射)한 원고의 반사상(패턴광상)을 투영하면, 감광드럼(22) 위의 원고의 비화상부에 상당하는 부분은 반사광에 의해서 거의 OV에 가까운 잔류전위까지 제전(除電)되어 포지티브의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 사이에 저장부(36)내의 현상제(28)는 제1의 공급수단(37)에 의해 개구부(42)를 개재해서 퍼어브러시(31)내에 공급된다. 다음에 퍼어브러시(31)내의 과잉 현상제(28)는 긁어내기판(43)으로 긁어 내어져서 적당량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긁어내기판(43)이나 케이스테(34)와의 마찰에 의해 플러스대전한다. 다음에 퍼어브러시(31)내의 대전현상제(28)에 의해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사이에 전계(電界)가 발생하여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에 대전된 현상제(28)를 코우팅한다. 이때에 적당량으로 공급된 현상제(28)는 퍼어브러시(31)의 회전에 의해 현상로울러(30)의 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더 균일하게 플러스대전한다.
이때,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의 사이에는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고, 또한 케이스체(34)는 퍼어브러시(31)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음으로, 이들 사이에 전압을 인가했을때와 같이 강하게 대전한 현상제(28)일수록 이송되기 쉽다고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로울러(30)위에는 균일대전된 현상제(28)가 코우팅되어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수가 있다. 여기서는 코우팅된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의 현상제(28)의 층두께는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되어있고, 또한 얼마간의 흐트러짐이 있다. 계속하여 현상로울러(30)의 회전에 의해서 현상로울러(30)표면의 대전된 현상제(28)는 날(47)을 통과할때에 날(47)에 의해서 그 일부가 긁어내어져서 소정의 층두께, 즉 약 40㎛(이때의 층두께는 10㎛~70㎛정도가 바람직하다)로 규제된다. 또 날(47)의 단면은 0.15mm 이하의 직선도로마무리 되어 있음으로, 현상로울러(30) 위의 현상제(28)의 코우팅시에 층두께 얼룩이나 줄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날(47)에 당접한 현상제(28)는, 현상로울러(30)중앙부로부터 양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파이럴 형상으로된 퍼어브러시(31)의 회전에 의해 퍼어브러시(31)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현상로울러(30) 및 퍼어브러시(31)의 양단부 근방의 현상제(28)의 증대가 없고, 저장부(36)내의 현상제(28)의 높이가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날(47)의 양단면과당접한 시일재(48),(49)는, 현상로울러(30)의 양단외주면(30a),(30b)의 평활면에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로울러(30)가 회전해도 마모가 매우적고 또한 현상제(28)의 비산이나 누설이 없다.
또, 시실재(48),(49)는 날(47) 및 현상로울러(30)와 당접하는 접합면이 펼활면이고, 상기 접합부에 빈틈을 발생하는 일이없다. 따라서, 현상로울러(30)의 축방향으로 밀어부치는 분력(分力)에 의한 현상제(28)의 누설이 없다. 즉, 본 현상장치는 현상로울러(30) 위의 현상제(28)를 균일하게 대전하고, 또한 층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또 현상제(28)의 비산이나 누설이 없고, 또한 흐름 및 농도얼룩이 없는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감광드럼(22) 위의 마이너스 대전된 정전잠상이 현상로울러(30)위의 플러스 대전된 현상제(28)와 대향했을 때에, 현상제(28)가 감광드럼(22)위의 정전 잠상의 정전력에 의해 비상해서 그 잡상을 현상할 수 있다.
다음에 현상에 사용되지 않은 잉여 현상제(28)는 현상로울러(30)위에 부착한 그대로 더욱 하류쪽으로 운반되어 누설방지시이트(52)를 통과한다.
이때, 누설방지시이트(52)가 현상로울러(30)에 당접해 있기 때문에, 현상제(28)는 정전부착력에 의해서 그대로 케이스체(34)내에 운반되며, 한번 누설방지시이트(52)를 통과하면 재차 밖으로 누설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에 부착하고 있는 현상제(28)를 퍼어브러시(31)에 의해 긁어떨어뜨리고 현상로울러(30)의 이력을 소거한다. 따라서 고우스트가 없는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퍼어브러시(31)에 의해 긁어떨어뜨려진 현상제(28)는 퍼어브러시(31)로 반송되고, 다음에 긁어내기판(43)에서 긁어떨어뜨려져서 개구부(42)를 개재해서 저장부(36)내로 되돌아 오게되기 때문에, 현상로울러(30) 위의 현상제(28)는 과대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화질의 현상이 가능해진다.
또, 제1의 공급수단(37)은 상기 현상공정을 반복하고, 저정부(36)내의 현상제(28)의 양이 적어졌다고해도 시이트 형상의 탄성부재(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제 8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변위해서, 항상 현상제(28)를 개구부(42)를 개재해서 퍼어브러시(31)내로 공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저장부(36)의 바닥면의 경사각을 작게해도, 저장부(36)내의 현상제(28)를 최후까지 지장없이 퍼어브러시(31)에 공급할 수 있다. 또 현상제(28)는 저장부(36)내에서 시이트형상의 탄성부재(40)에 의해 교반되고 있기 때문에, 저장부(36)내의 현상제(28)의 높이가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현상로울러(30)와 감광드럼(22)의 주속을 동일속도로하고 있기 때문에, 잠상을 현상했을때의 에지효과를 없앨 수 있다.
본 현상장치는, 1개의 개구부를 형성한 분리판을 개재해서 현상되지 않고 남은 현상제를 케이스체내로 되돌리는 구성으로하였기 때문에 현상기내의 현상제의 과대전을 방지할 수 있고, 또 1개의 퍼어브러시로 현상로울러에의 현상제의 공급과 현상후의 현상로울러 위의 현상제를 긁어떨어뜨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지는 동시에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부가해서 현상제의 누설 및 비산이 없는 구성이기 때문에 현상장치의 배치제약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사진 복사기에 있어서의 정규현상(포지티브-포지티브현상)에 대해서 실험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레이저프린터등에 있어서의 반전현상(네거리브-포지티브현상)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할것도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가진 부재에는 동일번호를 붙여두었다. 제1의 공급수단(37)은 중심쇠(39)의 외주면에 적어도 2개의 날개(40a), (40b)를 가지고 저장부(36) 내에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 날개(40a), (40b)는 날개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하류쪽의 날개(40a)가 상류쪽의 날개(40b0보다 탄성력을 크게하고, 또한 날개(40b)의 일단부를 저장부(38) 내벽에 가볍게 접촉시키고, 날개(40a)의 일단부를 저장부내벽에 근접시켜 설치하고 있다. 또 날개(40a)에 개구구멍(40c)을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날개(40b)는 두께 약 3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등으로 이루어진 시이트형상의 탄성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탄성재료로서는 우레탄, 네오프렌등의 고무재료나, 폴리스틸렌, 테프론등의 탄성있는 합성수지필름이나, 인청동, 스프링강등의 탄성금속등이라도 좋다.
또 날개(40a)는 알루미판의 강체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강체재료로서는 스테인레스강등의 금속이나 그것에 불소수시를 코우팅한것 또는 경질의 수지, 세라믹 등이라도 좋다. 또 중심쇠(3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층두께 규제수단인 날(47)은 고정밀도의 조정을 필요로하지 않도록 현상로울러(30)에 압접해서 현상제(29)의 층두께를 규제하는 것이다. 또 날(47)의 상기 압접방향에 적어도 2층구조로 구성하고, 현상로울러(30)에 당접하는 쪽의 층(47a)을 다른쪽의 층(47b)보다 탄성계수를 적게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층(47a)을 우레탄고무와 층(47b)을 스프링용 인청동판의 탄성재료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층(47a)의 재료로서는, 다른 고무재료나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등이라도 좋고, 또 층(47b)의 재료로서는, 스프링강등의 탄성금속이라도 좋다. 또, 퍼어브러시(31)의 주속은 현상로울러(30)의 주속보다 느리게하고 있다. 그때문에, 형상공정후에 현상로울러(30)의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현상제를 긁어떨어뜨릴 수 있다. (53)은 제1의 전압인가 수단인 제2의 직류 고압전원으로서,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해서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에 대전된 현상제(28)의 층두께 조정을 하는 것이다. (54)는 제2의 직류고압전원(53)의 전류치를 검출하고, 현상제(28)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이다. (55)는 제3의 전압인가 수단으로서, 퍼어브러시(31)와 누설방지부재(51)와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해서 현상제(28)가 퍼어브러시(31)쪽으로 흡인되게하여 현상제(28)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현상제(28)는, 제1공급수단(37)으로부터 개구부(42)를 개재해서 퍼어브러시(31)내에 공급된다. 이때의 공급방법은, 탄성력이 높은 날개(40a)로 저장부(36)내의 대부분의 현상제(28)를 수송하고, 탄성력이 낮은 날개(40b)로 저장부(36)내벽의 현상제(28)를 가볍게 접촉수송한다. 따라서, 현상제(28)를 손상하는 일없이 최후까지 퍼어브러시(31)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 날개(41a)에 개구구멍(40c)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날개(40a)와 날개(40b)와의 사이에 현상제(28)가 사이에 끼는 일이없다. 따라서, 현상제(28)의 수송은 더 일정화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날개(40b)의 일단부를 저장부(36)내벽에 가볍게 접촉시키고, 날개(40a)의 일단부를 저장부(36)내벽에 근접시켜 설치하고 있으나, 2개의 날개(40a),(40b)의 일단부를 저장부(36)내벽에 대향시킴과 동시에 날개(40b)의 길이를 날개(40a)보다 저장부(36)내벽방향으로 길게하고 또 저장부(36)내벽에 근접시켜 설치해도 좋다. 이때의 동작은 저장부(36)내의 현상제(28)의 양에 의해 탄성력이 낮은 날개(40b)의 구부러지는 각도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저장부(36)의 현상제(28)가 다량일때에는 현상제(28)의 부하에 의해 날개(40b)가 구부러져서 대부분의 토우너는 날개(40a)에 의해 수송된다. 다음에 저장부(36)의 현상제(28)가 소량일때에는 날개의 탄성력으로 날개(40b)가 복귀해서 저장부(36)내벽의 현상제(28)를 가볍게 접촉수송할 수가 있다. 따라서, 현상제(28)를 손상하는 일 없이 최후까지 퍼어브러시(31)내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에 퍼어브러시(31)내의 과잉현상제(28)는 긁어내기판(43)으로 긁어내어져서 적당량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긁어내기판(43)이나 케이스체(34)와의 마찰에 의해 플러스 대전된다. 또 이 현상제(28)는, 퍼어브러시(31)의 회전에 의해 현상로울러(30)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반송되어,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에 대전된 현상제(28)를 코우팅한다. 다음에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사이에 제2의 직류고압전원(53)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에 대전된 현상제(28)의 층두께를 조정한다. 또, 제2의 직류고압전원(53)은, 인가하는 전압은 ±30V에서부터 ±250V 정도에서 층두께 조정이 가능하다.
또 이때, 예를들면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사이에 제2의 직류고압전원(53)으로 퍼어브러시(31)쪽을 플러스로한 전압을 인가하면, 그 사이의 전계에 의해서 현상제(28)가 퍼어브러시(31)로부터 현상로울러(30)에 이송될때, 현상제(28)속에 예를들면 미대전 및 역부호로 대전한 현상제(28)가 있었다고 해도 미대전의 현상제나 역부호로 대전한 현상제는 이송되기 어렵고, 정규로 대전한 현상제(28)만의 선별되어 현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 현상 상태에서는 퍼어브러시(31)내에 적당량의 현상제(28)가 있고, 그때문에 퍼어브러시(31)와 현상로울러(30)와 사이의 접촉저항이 높기 때문에 검출수단(54)의 전류치는 작다. 다음에 현상공정을 반복하고, 저장부(36)내의 현상제(28)및 퍼어브러시(31)내의 현상제(28)가 없어지면, 상기의 접촉저항이 낮아져서 검출수단(54)의 전류치가 크게된다. 따라서, 검출수단(54)의 전류치에 의해 저장부(36)내의 현상제(28)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또 현상제(28)는 저장부(36)내에서 날개(40a),(40b)에 의해서 교반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저장부(36)내의 현상제(28)의 높이가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는 제2의 직류고압전원(53)의 전압조정으로 코우팅된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의 현상제(28)의 층두께는 소장의 두께 이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얼마간의 흐트러짐이 있다. 또, 퍼어브러시(31)내의 현상제(28)를 제2의 직류고압전원(53)의 전압으로 현상로울러위에 비상부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현상제(28)가 소정층두께로 될때까지의 상승시작시간을 1초 이내로 빨리 할수 있으므로 여분의 대기시간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다음에 현상로울러(30)의 회전에 의해서 현상로울러(30)표면에 대전된 현상제(28)는 날(47)을 통과할때에 날(47)에 의해서 다시 플러스로 대전됨과 동시에, 일부가 긁어내어져서 소정의 층두께로 규제된다. 그 이유는, 현상로울러(30)와 당접하는 쪽의 층(47a)은 탄성계수가 작은 우레탄 고무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로울러(30)위의 현상제(28)와의 밀착성이 좋고, 또 다른쪽의 층(47b)은 탄성계수가 높은 인청동층으로 현상로울러(30)를 압압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로울러(30)위의 현상제(28)표면과 그 표면에 당접하는 날면과의 이루는 각(θ)을 크게 할수 있어, 현상로울러(30)와 날(47)사이의 현상제(28)의 고이는것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응축된 현상제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고, 그 결과, 현상로울러(30)위에 공급된 현상제(28)를 균일한 소정의 층두께로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농도 얼룩이 없는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감광드럼(22)위의 마이너스 대전한 정전잠상이 현상로울러(30)위의 플러스 대전한 현상제(28)와 대향 했을때에, 현상제(28)가 감광드럼(22)위의 정전잠상의 정전력에 의해 비상해서 그 잠상을 현상할 수 있다. 현상후,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에 부착하고 있는 현상제(28)를 퍼어브러시9310에 의해 긁어떨어뜨려서 현상로울러(30)의 이력을 소거한다. 따라서 고우스트가 없는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퍼어브러시(31)에 의해 긁어떨어뜨려진 현상제(28)는 퍼어브러시(31)로 반송되고, 다음에 긁어내기판(43)으로 긁어떨어뜨려져서 개구부(42)를 개재해서 저장부(36)내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현상로울러(30)위의 현상제(28)는 과대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화질의 현상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0 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가 붙어있다. 제1의 공급수단(37)의 날개(40a)에 개구구멍(40c)을 형성하고, 또한 중심쇠(3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층두께 규제수단인 날(47)은 제 11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현상로울러(30)와의 압접부를 볼록부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퍼어브러시(31)쪽의 볼록부능선(62)을 현상로울러(30)에 소간격(L)(L은 0.05~0.5mm가 좋음)을 두고배치되어 있다. 또, 퍼어브러시(31)의 주속은 현상로울러(30)의 주속과 동일하게 하고 있다. 제1의 전압인가수단(53)은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사이에 AC전압에 플러스의 DC전압을 중첩한 전압을 퍼어브러시(31)쪽에 인가해서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에 대전된 현상제(28)의 층두께 조정을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제 10 도에 있어서, AC전압에 DC전압을 중첩하는 제1의 전압인가수단(53)을 설치하므로서, 현상로울러(30)위에 현상제(28)를 소정 층두께 이상으로 코우팅할 수 있고, 또 현상후에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의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28)를 상기 AC전압에 의해 퍼어브러시(31)와 현상로울러(30)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켜, 현상로울러(30)의 이력을 소거, 현상제(28)끼리의 응집 및 현상로울러(30)에의 현상제(28)의 높은 부착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우스트가 없는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층두께 규제수단인 날(47)은 소간격(L)으로 현상로울러(30)위의 현상제(28)의 공급량을 균일화하고, 다음에 볼록부압접면에서 현상제를 균일한 소정의 층두께로 규제할 수 있다. 또 날(47)로 일부 긁어내어진 현상제(28)는, 후속하는 현상제(28)의 힘에 의해서 날(47)의 볼록부 벽면을 따라서 화살표 A방향으로 흐름을 변경해서 퍼어브러시(31)쪽으로 낙하한다. 이 결과, 상기 압접부 근방의 현상로울러(30)와 날(47)과의 대향부에서는 현상제(28)가 환류(還流)하기 대문에 더욱 균일한 코우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조정을 필요로하지 않고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농도얼룩이 없는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제1의 공급수단(37)의 중심쇠(3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날개(40a)의 일단부가 개구부(42)와 대향했을때에 날개(40a)와 날개(40b)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현상후의 현상로울러(30)위의 현상제(28)는 퍼어브러시(31)로 반송되고, 다음에 긁어내기판(43)으로 긁어떨어뜨려져 개구부(42)를 개재해서 저장부(36)내의 상기 공간부에 되돌려지고, 다음에 공간부의 현상제(28)는 날개(40b)의 탄성력으로 날개(40a)의 개구구멍(40c)으로부터 유출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현상제(28)의 과대전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긁어내기판(43)에 의한 긁어 떨러뜨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제4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2 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재에는 동일번호가 붙어있다. 또, 제1의 전압인가수단(53) 및 제1의 공급수단(3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사이의 제1의 전압인가수단(53)은 전압인가시에 대해서는 소정의 전압이상으로 전압을 인가하고, 전압인가시 이후에 대해서는 소정의 전압에 전압을 조정하는 것이다. 층두께 규제수단인 날(47)은 강성체로서 스체인레스강 등의 금속이나 그것에 불소수지를 코우팅한것, 또는 경질의 수지, 세라믹등으로 되어 있으며 압압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서 현상로울러(30)에 당접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제 12 도에 있어서,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사이에 제1의 전압인가수단(53)은, 전압인가시에 대해서는 소정의 전압이상으로 전압을 인간해서 퍼어브러시(31)로부터의 현상제(28)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또 전압인가시 이후에 대해서는 소정의 전압으로 전압을 제어하고 퍼어브러시(31)로부터의 현상제(28)의 공급능력을 높이므로서, 현상초기시 및 현상초기시 이후에 있어서 화상농도저하를 없게 할 수가 다. 또, 층두께 규제수단인 날(47)을 예를들면 금속의 강성체로 구성함으로써, 고무등에 비해 보다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고, 이것을 현상로울러(30)에 당접함으로서 줄이나 얼룩이 없는 균일한 현상제(28)의 엷은 층이 형성된다. 또, 제1의 전압인가수단(53)을 DC전압에 AC전압을 중첩하므로서, 현상후의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에 부착하고 있는 현상제(28)를 상기 AC전압에 의해 퍼어브러시(31)와 현상로울러와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켜, 현상로울러(30)의 이력을 소거, 현상제(28)끼리의 응접 및 현상로울러(30)에의 현상제(28)의 높은 부착력을 방지한다. 따라서 고우스트가 없는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3 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품에는 동일번호가 붙어있다. 또, 전압인가수단(53)의 전압은 전압인가시에 퍼어브러시(31)위의 대전현상제(28)를 현상로울러(30)위에 정량 공급되도록 서서히 전압을 상승시켜 두었다. 층두께 규제수단인 날(47)은 적어도 현상로울러(30)와의 압접부를 유체(流體)(47c)를 밀폐한 자루(47d)로 구성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우레탄고무의 부착판(47e)의 일단부에 공기의 유체(47c)를 밀폐한 우레탄시이트의 자루(47d)를 설치하고 있다. 또, 유체(47c)의 재료로서는, 질소등의 기체나 물, 에틸렌글로콜등의 저분자 유기물 수용액, 고분자 분산수용액, 고분자 용액등의 액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자루(47d)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테플론, 염화비닐수지등의 수지시이트, 다른 고무시이트 재료등이라도 좋다. 또 부착판(47e)의 재료로서는, 스프링강, 수지, 고무등의 탄성재료, 알루미늄, 철강, 수지등의 강체재료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제 13 도에 있어서,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사이에 제1의 전압인가수단(53)에 의해 그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서서히 상승시키므로서, 전압인가시 및 전압인가시 이후에 있어서도 퍼어브러시(31)위의 대전현상제(28)를 현상로울러(30)위에 정량 공급할수 있다. 따라서, 현상로울러(30)의 표면상에 대전된 현상제(28)를 균일하게 코우팅할 수 있다. 또, 현상로울러(30)와의 압접부가 적어도 유체(47c)를 밀폐한 자루(47d)로 구성되므로서, 현상로울러(30)위의 현상제(28)와 자루(47d)와의 말착성을 좋게할 수 있고, 또한 현상제로울러(30)위의 현상제(28) 표면과 날(47)과의 접촉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농도 얼룩이 없는 고품위의 화상을 얻을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4 도에 있어서, 제1의 공급수단(3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하고, 그이외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품이다. 이 실시예에서, 원통형상의 탄성체(31)는 탄성재료(33)로서 도전성의 스폰지를 사용하고, 이것을 알루미늄의 중심쇠(32)주위에 원통형상의 로울러로 형상한 것이다. 또, 원통형상의 탄성체(31)의 탄성재료(33)로서 도전성의 스폰지를 사용해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마찰대전, 코우팅등의 자공이 유효하게 행하여지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 현상로울러(30)와 원통형상의 탄성체(31)는 일정한 간격(이 간격은 0.1~0.5mm가 좋음)을 유지하여 근접위치에서 대향하고 있다. 이와같은 간격이 있어도 제1의 전압인가수단(53)의 전압으로 대전한 현상제(28)가 현상로울러(30)에 이송되는 것은 실험에서 확인되고 있다. (57)은 바이어스 전압인가 수단으로서 감광드럼(2)과 현상로울러(30)와의 사이에 직류의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층두께 규제부재(47)는 스테인레스 재료로된 강성체의 부착판(47e)의 일단부에 공기의 유체(47c)를 밀폐한 우레탄시이트의 자루(47d)를 설치하고 있다. 또 부착판(47e)은, 스프링강, 수지고무등의 탄성재료로된 압압스프링(58)에 의해서 현상로울러(30)에 당접되어 있다. 또, 날(47)은 그 일단부를 현상로울러(30)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현상로울러(30)와 원통형상의 탄성체(31)의 대향위치 보다 하류쪽이고, 또한 감광드럼(22)과의 대향부보다 상류쪽에서 현상로울러(30)의 표면에 압접시키고, 타단부를 현상로울러(30)의 회전시에 사이 압접부에서 받는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일단부가 현상로울러(30)면으로부터 달아나려고 작용하는 위치에서 케이스체(34)에 고정하고, 또 현상로울러(30)와의 압접부의 형상을 볼록부형상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제 14 도에 있어서, 층두께 규제수단(47)의 부착판(47e)을 예를들면 금속의 강성체로 구성하므로서, 현상로울러(30)의 축방향에 있어서 현상로울러(30)와 자루(47d)와의 접촉면적을 더욱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현상로울러(30)와의 압접부의 형상을 볼록부형상으로 함으로서, 날(47)로 일부 긁어낸 현상제(28)는, 후속하는 현상제(28)의 힘에 의해서 날(47)의 볼록부벽면을 따라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름을 변경하여 원통형상의 탕성체(31)쪽으로 낙하한다. 이 결과, 상기압접부 근방의 현상로울러(30)와 층두께 규제수단(47)과의 대향부에서는 현상제(28)가 환류함으로서 더욱 균일한 코우팅을 할 수 있다. 또 감광드럼(22)위에 정전잠상과 대향했을때에, 바이어스전압인가수단(57)으로감광)가 환류함으로서 더욱 균일한 코우팅을 할 수 있다. 또 감광드럼(22)위의 정전잠상과 대향했을 때에, 바이어스전압인가수단(57)으로 감광)작용에 의한 현상제(28)가 비상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현상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의 현상장치는 바이어스전압인가수단(57)의 전압이 AC전압 혹은 DC전압에 AC전압을 중첩한 것이라도 잘 대응할 수 있고, 또 바이어스 인가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5 도에 있어서, 제6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가능을 가진 부품에는 동일번호가 붙어 있다. 층두께 규제수단은 탄성체의 날(47)을 사용하고, 이 재료는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 날(47)은 그일단부를 현상로울러(30)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현상로울러(30)와 원통형상의 탄성체(31)의 대향위치 보다 하류쪽이고, 또한 감광드럼(22)과의 대향부보다 상류쪽에서 현상로울러(31)의 표면에 압접시키고, 타단부를 현상로울러(30)의 회전시에 상기 압접부에 있어서 받는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일단부가 현상로울러(30)쪽으로 먹어 들어갈려고 작용하는 위치에서 케이스체(34)에 고정되어 있다. 또 현상로울러(30)와의 압접부의 형상을 볼록부형상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예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제 15 도에 있어서, 날(47)의 압접부는 현상로울러(30)쪽으로 먹어 들어갈려고 작용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로울러(30)와 날(47) 사이에 현상제(28)의 고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제(28)까지의 응집 혹은 고화(固化)를 방지하는 효과가있다. 또, 날(47)은 현상로울러(30)와의 압접부의 형상을 볼록부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층두께 규제후의 현상로울러(30)와 날(47)의 대향거리가 확대하고, 현상로울러(30)위의 대전한 현상제(28)가 날(47)에 비상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더욱 균일한 코우팅을 할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6 도로부터 제 18 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이다. 제 16 도에 있어서, 제2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품에는 동일번호가 붙어져 있다. 현상로울러(30)의 양단부 외주면(30a)(30b)은 평활면이고, 중앙표면(30c)에는 미세한 요철의 조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제 17 도 및 제 18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요철의 조면(30c)은 현상제(28) 입자직경을 (D)로 하고, 소정의 층두께를 (h)로 하며, 상기 요철부의 깊이를 (H)로 할때, 0
Figure kpo00001
h-D〈H인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요철부의 깊이(H)는 요철내의 현상제(28)의 최하층 바닥면으로부터 현상로울러(30)의 최상 표면까지의 거리로 하고 있다. (59)는 비상수단인 고정판으로서, 케이스체(34)에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퍼어브러시(31)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접촉위치보다 상류쪽에서 퍼어브러시(31)의 외주에 접촉시키고, 또한 제 19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퍼어브러시(31)의 선단부를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제 16 도에 있어서, 퍼어브러시(31)가 회전하여 고정판(59)을 지나갈때에 퍼어브러시(31)의 복귀력으로 현상로울러(30)위에 현상제(28)를 제 19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비상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28)를 비상부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현상제(28)끼리의 응집이 없어지는 동시에 현상제(28)를 소정의 층두께로 할때까지의 상승시작시간을 더욱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여분의 대기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그 대향위치 근방의 상류쪽에 고정판(59)을 퍼어브러시(31)와 접촉하여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현상제(28)의 누설이 더욱 없어진다. 또, 제 17 도 또는 제 18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현상로울러(30)의 요철부 및 최표면상에 현상제(28)가 부착한 상태에서 소정의 층두께로 규제된다. 그 때문에, 최표면상의 현상제(28)에 의해 가는선 화상의 재현상을 좋게하고, 오목부내의 현상제(28)의 양을 일정하게 하므로서 균일농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0 도에 있어서, 제8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품에는 동일번호가 붙어 있다. (60)은 제2의 전압인가수단으로 현상로울러(30)와 고정판(59)과의 사이에 현상제(28)가 현상로울러(30)쪽으로 비상하도록 DC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2의 전압인가수단에 DC전압을 사용하고 있으나 AC전압에 DC전압을 중첩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 고정판(59)은 U자형의 누설 방지부재(51)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61)은 릴레이로서, 현상시에는 (S1)에 접촉되고, 비현상시에는 현상로울러(30)와 퍼어브러시(31)와의 사이에 현상시와 역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도록(S2)에 접속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제 20 도에 있어서, 제2의 전압인가수단(60)을 현상로울러(30)와 고정판(59)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므로서, 더욱 퍼어브러시(31)로부터의 현상제(28)의 비상량을 조정할 수 있는 동시에 그사이의 전계의 의해서 현상제(28)가 퍼어브러시(31)로부터 현상로울러(30)로 이송될때 현상제(28)속에 예를들면 미대전 및 역부호로 대전한 현상제(28)가 있었다고 해도 미대전의 현상제나 역부호로 대전한 현상제는 이송되기 어렵고, 정규로 대전한 현상제(28)만이 선별되어 현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비현상시에는 릴레이(61)에 의해(S2)에 접속하므로서, 현상로울러(30)위의 잉여현상제(28)를 전계에 의해 퍼어브러시(31)쪽으로 흡인하여 현상로울러(30)위의 현상이력을 소거할 수 있고, 또한 현상로울러(30)위의 현상제(28)가 없기 때문에 현상제의 습도등의 악영향이 없다.
본 발명은 이상으로 설명한 9개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현상제의 대전, 현상로울러에의 코우팅, 층두께 규제등, 각 요소의 조합에 의해서 더욱 다수의 구성이 가능한 것은 말할것도 없다. 또 본 발명은 비자성 1성분 현상제에 잘 적합하고, 또한 전하유지체와 비접촉의 구성이기 때문에 전하유체 위에 복수색의 현상제를 중첩해서 현상하는 컬러화상의 형상에도 유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상제 담지수단과 제1의 현상제 공급수단과의 사이에 현상제의 유출입을 규제하는 수순환수단을 형성한 간단한 구성으로, 현강기내의 현상제의 과대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화질의 현상이 가능해진다.

Claims (18)

  1. 현상제 담지수단과, 현상제 담지수단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저장부내에 설치한 제1의 공급수단과, 현상제 담지수단과 제1의 공급수단과의 사이에 상기 현상제를 유출입시키는 개구부를 가진 분리판으로 구성된 순환수단을 포함한 현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의 공급수단을 적어도 1개의 날개로 구성하고, 상기 날개가 현상제 담지수단에 대해서 저장부내에서 아래로부터 위로 회전하여 현상제 담지수단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현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의 공급수단은 적어도 2개의 날개로 구성하고, 상기 현상제의 공급의 현상제부하에 의해 2개의 날개면의 각도가 변화하는 현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수단은, 엔들리스형상의 현상제 담지체와, 현상제를 현상제 담지체에 공급하는 원통형상의 탄성체로 형성한 제2의 공급수단으로 구성한 현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는 표면을 요출의 조면으로 형성하고, 현상제 입자직경을 D로 하며, 소정 층두께를 h로 하고, 상기 요철부의 깊이를 H로 할때, 0
    Figure kpo00002
    h-0〈H인 관계로 한 현상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와 제2의 공급수단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현상제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제1의 전압인가수단을 설치한 현상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와 원통형상의 탄성체를 접촉시키고, 원통형상의 탄성체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상기 접촉위치보다 상류쪽에서 원통형상의 탄성체위의 현상제를 현상제 담지체 위로 비상 공급하는 비상수단을 설치한 현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와 비상수단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현상제의 비상공급량을 조정하는 제2의 전압인가수단을 설치한 현상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탄성체에 접접해서, 탄성체위의 과잉현상제를 긁어내고, 탄성체위의 현상제를 균일하게 하는 긁어내기 판을 형성한 현상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와 원통형상의 탄성체와의 접촉위치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와 원통형상의 탄성체를 순방향(順方向)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원통형상의 탄성체의 주속을 현상제 담지체의 주속을 현상제 담지체의 주속이상으로 한 현상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와 압접하는 위치에 현상제의 층두께를 규제하는 층두께 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압접부의 층두께 규제수단의 단부의 직선도 0.15mm 이하로 한 현상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와 압접하는 위치에 현상제의 층두께를 규제하는 층두께 규제수단을 설치하고, 층두께 규제수단의 적어도 압접부를 볼록부형상으로 형성한 현상정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층두께 규제수단의 원통형상의 탄성체쪽의 볼록부능선을 현상제 담지체에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한 현상장치.
  14. 제 4 항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탄성체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현상제 담지체와 원통형상의 탄성체와의 대향위치보다 상류쪽이고 또한 현상제 담지체의 아래쪽에, 현상제의 넘쳐흐름을 방지하는 넘쳐흐름 방지수단을 형성한 현상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넘쳐흐름 방지수단이, U자형의 현상제의 누설방지부재와, 일단부를 누설방지부재에 고정하고 탄단부를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가볍게 접촉한 현상제의 누설방지 시이트로 이루어진 현상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누설방지시이트를 50~200㎛두께의 고무로 구성한 현상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현상제 담치제의 양단부에 현상제의 시일재를 형성하고, 시일재를 누설방지 시이트를 개재해서 현상제 담지체에 압접하는 구성으로한 현상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시일재가 고무, 스폰지등의 탄성체 또는 직포, 부직포등의 천으로 구성된 현상장치.
KR1019870013732A 1986-12-02 1987-12-02 현상장치 KR910003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87015A JPH0782267B2 (ja) 1986-12-02 1986-12-02 非磁性1成分トナーによる非接触現像装置
JP61-289221 1986-12-04
JP28922286A JPS63142376A (ja) 1986-12-04 1986-12-04 現像装置
JP61289221A JPS63142375A (ja) 1986-12-04 1986-12-04 現像装置
JP61-289222 1986-12-04
JP61-287015 1986-12-12
JP62-4372 1987-01-12
JP62-4371 1987-01-12
JP62004371A JPS63172293A (ja) 1987-01-12 1987-01-12 現像装置
JP62004370A JPS63172290A (ja) 1987-01-12 1987-01-12 現像装置
JP62004372A JPS63172294A (ja) 1987-01-12 1987-01-12 現像装置
JP62-4370 1987-01-12
JP?61-287015 1987-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092A KR880008092A (ko) 1988-08-30
KR910003727B1 true KR910003727B1 (ko) 1991-06-08

Family

ID=2754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732A KR910003727B1 (ko) 1986-12-02 1987-12-02 현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47211A (ko)
EP (1) EP0270104B1 (ko)
KR (1) KR910003727B1 (ko)
DE (1) DE375113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245B1 (ko) * 1987-03-24 1992-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장치
US5134441A (en) * 1989-05-30 1992-07-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including the device
JP2827137B2 (ja) * 1989-12-05 1998-11-18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及び電子写真式記録装置
JPH087493B2 (ja) * 1989-12-26 1996-01-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US5170213A (en) * 1990-03-26 1992-12-08 Japan Imaging System, Inc. Developer unit utilizing a non-magnetic single component developer
JP2850504B2 (ja) * 1990-07-27 1999-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4260075A (ja) * 1991-02-15 1992-09-1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3000493B2 (ja) * 1991-07-15 2000-01-17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
CA2076806C (en) * 1991-08-27 1999-01-05 Hiroshi Hashizume Developing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 toner restricting member at a developing device
JP3073567B2 (ja) * 1991-09-27 2000-08-07 株式会社東芝 現像装置
EP0543630A3 (en) * 1991-11-22 1994-05-18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ing apparatus
DE69332495T2 (de) * 1992-09-09 2003-07-03 Kabushiki Kaisha Tec, Shizuoka Entwicklungsgerät
US6381434B1 (en) * 1996-11-14 2002-04-30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with electric field force directing a toner cloud for coating a developer carrying member
US5875378A (en) * 1996-12-20 1999-02-23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with hopper exit agitator
JPH11133736A (ja) * 1997-10-30 1999-05-21 Hitachi Ltd 現像装置
US6229980B1 (en) * 1997-12-12 2001-05-0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featuring first and second developer chambers and guide member for directing stripped-off developer
JPH11212362A (ja) * 1998-01-20 1999-08-06 Canon Inc 現像装置
JP3754820B2 (ja) * 1998-04-08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の現像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6263179B1 (en) * 1999-10-29 2001-07-17 Xerox Corporation Particle flow enhancing agitator article
US6308037B1 (en) * 2000-02-11 2001-10-2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electrostatic image
JP2004170789A (ja) * 2002-11-21 2004-06-17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KR100546825B1 (ko) * 2003-09-09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비산방지기능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및 그 제어방법
JP4289267B2 (ja) * 2004-09-29 2009-07-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08034B2 (ja) * 2006-02-10 2011-11-02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除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85584B2 (en) * 2007-06-29 2011-02-08 Eastman Kodak Company Self-cleaning electrophotographic toning roller system
JP2010139716A (ja) * 2008-12-11 2010-06-24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31882B2 (ja) * 2010-09-24 2014-06-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074C (ko) *
GB1396979A (en) * 1972-12-14 1975-06-11 Oce Van Der Grinten Nv Process and apparatus of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s
DD115766A1 (ko) * 1974-05-31 1975-10-12
US4083326A (en) * 1977-02-28 1978-04-11 Eastman Kodak Company Single component developer applicator apparatus
JPS5443038A (en) * 1977-09-10 1979-04-05 Canon Inc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device
JPS5614260A (en) * 1979-07-16 1981-02-12 Canon Inc Developing device
JPS5699364A (en) * 1980-01-11 1981-08-10 Olympus Optical Co Ltd Magnet roll developing device
JPS56110963A (en) * 1980-02-06 1981-09-02 Toshiba Corp Developing device
JPS57165866A (en) * 1981-04-07 1982-10-13 Toshiba Corp Developing device
DE3117296C2 (de) * 1981-04-30 1984-01-1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ntwicklerstation zur Entwicklung von auf einem Ladungsbildträger erzeugten Ladungsbilder
JPS57185052A (en) * 1981-05-09 1982-11-15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Developing method
US4468111A (en) * 1981-05-20 1984-08-28 Mita Industrial Company Limited Developing device for use on a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US4417802A (en) * 1981-11-19 1983-11-29 Xerox Corporation Particle dispenser
DE3205989A1 (de) * 1982-02-19 1983-09-01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wickeln eines auf einem aufzeichnungstraeger erzeugten elektrostatischen latenten bildes
JPS59188630A (ja) * 1983-04-12 1984-10-26 Mita Ind Co Ltd 静電複写機
JPS59232370A (ja) * 1983-06-15 1984-12-27 Toshiba Corp 現像装置
JPH079553B2 (ja) * 1984-08-09 1995-02-0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S6186771A (ja) * 1984-10-04 1986-05-02 Canon Inc 乾式現像装置
JPS61121071A (ja) * 1984-11-16 1986-06-09 Toshiba Corp 現像装置
JPS61163357A (ja) * 1985-01-16 1986-07-24 Ricoh Co Ltd 現像装置
KR920003245B1 (ko) * 1987-03-24 1992-04-25 마츠시타 덴끼 산교오 가부시끼가이샤 현상장치
US4766457A (en) * 1987-09-02 1988-08-23 Xerox Corporation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47211A (en) 1990-08-07
EP0270104A2 (en) 1988-06-08
KR880008092A (ko) 1988-08-30
DE3751137T2 (de) 1995-11-09
EP0270104B1 (en) 1995-03-08
DE3751137D1 (de) 1995-04-13
EP0270104A3 (en) 1990-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727B1 (ko) 현상장치
US5311264A (en) Developing apparatu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using one component developer
KR920003245B1 (ko) 현상장치
EP0205178A2 (en) Developing device
US73463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developer regulating member
JPH11212362A (ja) 現像装置
JPS6358470A (ja) 画像形成装置
JPS63139379A (ja) 現像装置
JPH01170969A (ja) 現像装置
JPS6229987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S63172291A (ja) 画像形成装置
JP7483546B2 (ja) 画像形成装置
JPS62288869A (ja) 現像装置及び端像形成装置
KR900007884B1 (ko) 현상장치
JPS63172290A (ja) 現像装置
JPH02302770A (ja) 現像装置
JPS62280878A (ja) 画像形成装置
JPS63235970A (ja) 現像装置
JP3993935B2 (ja) 画像形成装置
JP2808739B2 (ja) 現像装置
JPS63304278A (ja) 現像装置
JPS6396678A (ja) 画像形成装置
JPH02301784A (ja) 現像装置
JPS63172294A (ja) 現像装置
JP2001051497A (ja) 現像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