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734B1 -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734B1
KR910001734B1 KR1019870011197A KR870011197A KR910001734B1 KR 910001734 B1 KR910001734 B1 KR 910001734B1 KR 1019870011197 A KR1019870011197 A KR 1019870011197A KR 870011197 A KR870011197 A KR 870011197A KR 910001734 B1 KR910001734 B1 KR 91000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unit
telephon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782A (ko
Inventor
마사유끼 이이다
신이찌 쯔루후지
Original Assignee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음성 인식 전화기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음성 인식부의 블럭도.
제3도는 제1도의 전원 절환부의 블럭도.
제4도는 전원 절환부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제6도는 제1도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제7도는 제1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제8도는 제1도의 다른 실시예의 키 입력부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화부 2 : 수화부
3: 스피치 회로 4 : 전화 회선(공중 회선)
5 :음성 인식부 6A,6B,6C,6D : 제어부
7 : 속도 판정부 8 : 속도 제어부
9 : AC 아답터 10 : 전원 절환부
11 : 통화용 마이크 12 : 전력 검출부
13 : 표시부 14 : 키 입력부
15 : 회선 제어부 16 : 다이얼 메모리
17 : 등록 스위치 18 : 텐 키(Ten Key)
19 : 재다이얼 지시 스위치 20 : 백업(back up) 전원
21 : 스피커 22 : 스위치
23,24 : 다이오드 25 : 정 전압 회로
30 : 상용 전원 41 : 회선 전원
50 : 음성 인식용 마이크 51 : 음성 분석부
52 : 패턴 작성부 53 : 메모리
54 : 식별부 55 : 출력부.
본 발명음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음성 인식 기능을 다이얼 동작에 응용한 전화기가 여러 가지로 고안되어 있지만, 실용할 수 있는 정도로 높은 인식율과 인식 속도를 유지시키는 일이나 전화기가 갖고 있는 다기능의 동작 내용에 의해서는 고속 동작이 가능한 고성능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등의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소비 전류를 억제하는 COMS의 IC나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었지만, 이로해서 소비 전류는 동작 속도에 거의 비례되어 있고, 고속 동작의 필요한 음성 인식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소비 전류가 필요하다.이 때문에, 음성 인식 기능이나 다기능을 갖고 있는 소비 전류가 많은 전화기는 전화 회선(공중 회선)의 전원 공급만으로 모자라고, AC 아답터를 통한 상용 전원들에 의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화기로서는 항상고속 동작, 즉 항상 소비 전류가 많은 상태로 합해지고, 또한 상용 전원(AC) 정전시에는 전화기의 전원 공급을 할 수 없게 되어 전화기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 별도의 전원이 다운(down)된 경우에는 음성 지시에 의한 온 훅이 되지 않는다. 이때 수족이 자유로운 사람이라면 매뉴얼에 의한 온 훅도 가능하지만, 수족이 부자유스러운 신체장애자의 경우는 온 훅하는 수단이 곤란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온 훅을 행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회화 도중에 온 훅으로 되므로, 이 전원 회복을 기다려 재차 사용자가 다이얼하지 않으면 안 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즉 음성 인식 기능을 갖고 있는 전화기의 소비 전류가 많다는 점, 상용 전원등의 별도 전원이 정전시에 음성 지시에 의한 온 훅이 되지 않는다는 점, 또한 별도 전원의 정전시에 통상의 전화기로서도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음성 인식등 고속 처리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음성 인식부가 동작중에는 전원 절환부에 의해 복수의 전원은 제1전원(상용전원)으로 절환되고, 음성 인식부가 부동작중에는 전원 절환부에 의해 복수의 전원은 제2전원으로 절환되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제1전원 (상용 전원)을 사용할 있고, 사용빈도가 높은 통상전화기의 경우에 전류를 불필요하게 소비하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제1전원(상용 전원)의 전력 저하시 또는 정지시에는 제1전원(상용 전원)은 제2전원으로 절환되므로, 이 제2전원에 의해 전화기를 기능시켜서 음성 지시에 의해 온 훅시켜서, 통상 전화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지금부터 본 발명을 제1도 내지 제8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음성 인식 전화기의 블록도이다.
참조 번호(1)은 통화용 마이크(I1)를 통해서 입력된 음성들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송화부이고, 참조번호(2)는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화부이며, 참조 번호(21)은 스피커이고, 참조 번호(3)은 스피치 회로로 전화 회선(공중 회선 ; 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공중 회선(4)로부터는, 접속된 전화기가 기본적인 전화기능을 동작시키기에 필요한 전류 공급이, 약간이기는 하지만, 회선 전원(41)로부터 전기 신호화된 음서응로 중첩된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음성 인식부(5)는 음성 인식용 마이크(50)에서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6A)에 전하며, 제어부(6A)은 그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블록에 필요한 동작을 지시한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는 동화용과 음성 인식용이 별도로 배치되어 있지만, 동일한 마이크 하나로 음성을 취입하고, 전기 신호화된 음성을 도중에 분기하여, 각각의 용도에 맞는 형태로 이용해도 된다.
또한 음성 인식부(5)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분석부(51), 패턴 작성부(52), 메모리(53), 식별부(54) 및 출력부(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속도 판정부(7)은 제어부(6A)의 제어 내용은 감시함으로써, 그 시점에서 필요한 동작 속도, 즉 고속 동작인지 저속 동작인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속도 제어부(8)에 전한다. 속도 제어부(8)이 행하는 동작속도의 제어는 여러 가지 방법이 생각되지만, 제어부의 블록 속도를 제어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실시예에서의 전원 공급은 회선 전원(41) 또는 별도 전원 회로로서 상용 전원(30)에 접속된 AC 아답터(9)에 의하지만, 양자의 절환은 속도 판정부(7)의 지령을 받아서 전원 절환부(10)이 행한다.
실제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통상 전화기는 단순기능인 전화기로서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고속 처리는 불필요하므로, 제어부(6A)를 포함하는 각각의 블록은 속도 판정부(7)의 저속 동작이라는 판정결과를 받는 속도 제어부(8)에 의해 저속 동작되어지고, 이 결과로서 소비 전류는 작아지고, 회선 전원(41)만으로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등 고속 처리가 필요한 때에는 제어부(6A)를 포함하는 각각의 블록은 고속 동작이 필요하고 속도 판정부(7)의 고속 동작이라는 판정 결과를 받은 속도 제어부(8)에 의해 고속 동작되어진다. 이 결과로서 소비 전류가 증가하고, 회선 전원(41)만으로는 감당하지 못하므로 전원 절환부(10)의 동작에 의해서 AC 아답터(9)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게 된다.
이 전원 절환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도 판정부(7)의 결과를 받아서 스위치(22)로 행한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선 전원(41) 및 AC 아답터(9)의 출력을 다이오드(23,24)에서 논리합(OR)된 형태로 실현할 수도 있다. 제4도의 예에서는, 회선 전원(41)의 공급 전압 V1은 다이오드(23)을 통해서 정전압 회로(25)에 공급되고, 이로부터 각각의 블록으로 전압 V3으로서 전원이 공급된다. AC 아답터(9)의 공급 전압 V2는 동일하게 다이오드(24)를 통해서 정전압 회로(25)에 공급되지만, 회선 전원(41)의 공급 전압 V1보다도 조금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전압의 차 및 다이오드 특성의 의해, 공급 전원이 자동 절환이 행해진다. 즉, 소비 전류가 적은 경우는 회선 전원(51)로부터 전원 공급되고, 소비 전류가 증가한 경우는 AC아답터(9)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게 된다. 통상의 전화 기능으로서 동작하고 있을때의 각각의 전압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된다.
V1>V2>V3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급 전원의 자동 절환이 행해지기 때문에, 속도 판정부(7)의 결과를 받을 필요가 없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인데,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 번호(12)는 제어부(6B)와 AC 아답터(9)에 접속된 전력 검출부로서, 상용 전원(30)의 전압 저하나 정지를 검출하고, 제어부(6B)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참조번호(13)은 표시부로서, 제어부(6B)에 접속되고, 상용 전원(30)의 전압 저하나 정지시에 이것을 표시한다.
전화기 각각의 블럭으로의 전원 공급은 음성 인식등 고기능 및 다기능 처리하는데 필요한 고속 동작 때문에, 소비 전력이 많아져서 회선 전원(41)에서는 공급되지 않으면, AC 아답터(9)에 의한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수단에 의해, 전력이 전원 절환부(10)을 통해서 각각의 블록에 공급된다.
임시로, AC 아답터(9)의 공급원인 상용 전원(30)의 공급이 정지되면, AC 아답터(9)의 전압 저하를 전력 검출부(12)가 검출하고, 이 검출 신호를 제어부(6B)에 전한다.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6B)는 이 전압 저하가 계속해서 동작 불능 상태로 빠지기까지 음성 인식등 고기능·다기능 동작을 신속하게 종료하고, 조작자에 대하여 전원 절단에 대하여 음성 인식등 고기능·다기능 동작을 할 수 없는 뜻을 표시부(13)에 알린다. 이때, 제어부(6B)는 이 동작과 동시에 음성 인식등 고기능·다기능 동작이 종료하는 대로 전원 공급을 AC 아답터(9)로부터 회선 전원(41)에 절환하기 위한 지시를 전원 절환부(10)에 대하여 내보내어 전원이 절환된다. 이들 동작에 의해, 상용 전원등 별개 전원이 정지될때라도, 계속해서 기본적인 전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을 더욱 진척시킨 것이 제6도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인데, 제5도의 실시예 속도 판정부(7) 및 속도 제어부(8)을 덧붙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속도 판정부(7)은 항상 제어부(6C)의 제어 내용을 감시함으로써 필요한 동작 속도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속도 제어부(8)은 제어부(6C)를 포함하는 각각의 블록에 대하여 필요한 동작 속도 지시를 행한다.
실제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통상은 단순 기능의 전화기로서 동작하고 있다. 따라서, 고속 처리는 불필요하므로, 제어부(6C)를 포함하는 각각의 블럭은, 속도 판정부(7)의 저속 동작이라는 판정 결과를 받은 속도 제어부(8)에 의해 저속동작되어져서, 이 결과로서 소비 전류는 적어지고, 회선 전원(41)만으로도 전원은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등 고속처리가 필요한때는 제어부(6C)를 포함하는각각의 블럭은 고속 동작이필요하고, 속도 판정부(7)의 고속 동작이라는 판정 결과를 받은 고속 제어부(8)에 의해 고속 동작되어진다. 이 결과로서 소비 전루가 증가하고, 회선 전원(41)만으로는 감당하지 못하므로 상용 전원(30)으로부터 AC 아답터(9)를 통해서 전원 공급을 받게 된다. 만약, 상용 전원이 정지한 경우는 전력 검출부(12)는 전압 저하를 검출하고, 이하 상술한 처리에 의해 회선 전원(41)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단순 기능의 전화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전원 공급은 회선 전원(41) 또는 별도 전원 회로로서 상용 전원(30)에 접속된 AC 아답터(9)에 의하지만, 양자의 절환은 속도 판정부(7)의 지령을 받아서 전원 절환부(10)이 행한다. 또한,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5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 번호(20)은 전지등의 백 업(back up) 전원으로, 상용전원(30)과 동시에 전원 절환부(10)에 접속되어 있다. 참조 번호(14)는 텐 키(Ten Key)등의 키 입력부이고,참조 번호(16)은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기억하기 위한 다이얼 메모리로서, 각각 제어부(6D)에 접속되어 있다. 참조 번호(15)는 전화 회선(4)의 접속·전달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부이고, 참조 번호(3)은 스피치 회로로서 마이크(11) 및 스피커(21)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음성 인식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한 등록에 관해서 설명한다. 음성 및 전화 번호를 등록하기 위하여, 제8도에 도시한 키 입력부(14)의 등록 스위치(17)를 압압하면 표시부(13)에 음성 인식 전화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제어 명령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표시에 따라서 음성 인식용 마이크(50)으로부터 제어 명령의 음성 입력을 행한다. 음성이 입력되면, 음성 인식부(5)의 음성 분석부(51)에서 분석되어 패턴 작성부(52)에서 패턴이 형성된 후에 메모리(53)에 격납된다.
예를 들면, [오프 훅]으로 표시된 경우는, 음성 인식용 마이크(50)을 향해서 "오프 훅" 으로 발성한다. 다음에 [온 훅]으로 표시된 경우는, 음성 인식용 마이크(50)을 향해서 "온 훅"으로 발성한다. 다음에 [리다이얼]로 표시된 경우는, 음성 인식용 마이크(50)을 향해서 "리다이얼"로 발성한다. 다음에 [OK]로 표시된 경우는, 음성 인식용 마이크(50)을 향해서 '"OK"로 발성한다.
계속하여 숫자(1-0)의 음성 입력을 행하고, 최후에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텐 키(18) 또는 음성에 의해 입력하고, 다시 상대방의 이름을 음성으로 음성 인식용 마이크(50)으로부터 입력하여 등록을 종료한다. 이 때 입력된 상대방 전화 번호는 상대방 이름과 대응하게 되어 다이얼 메모리(16)에 격납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음성의 등록은 종료되고, 실제로 음성에 의해 사용되는 음성 인식 전화의 모우드로 된다.
다음에 음성 인식 전화 모우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음성 인식용 마이크(50)을 향해서 "오프 훅"으로 발성한다. 이 입력된 음성은 음성 인식부(5)의 음성 분석부(51)에서 분석되어 패턴 작성부 (52)에서 패턴이 형성된후 식별부(54)에서 메모리(53)의 내용과 조합되고, 오프 훅으로 판정되면, 그 취지를 출력부(55)를 통해서 제어부(6D)에 전한다. 제어부(6D)는 회선 제어부(15)에 전화 회선(4)를 접속하는 것을 지시하고, 회선 제어부(15)는 전화 회선(4)를 접속한다.
다음에 음성 인식용 마이크(50)에 상대방의 이름을 음성 입력한다. 예를 들면 "상요(三洋)"로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은 음성 인식부(5)에서 판정된다. 계속해서, "OK"가 인식되면, 이들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6D)는 상대방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다이얼 메모리(16)에 의해 취출되고, 이것을 회선 제어부(15)에 전한다. 회선 제어부(15)는 제어부(6D)로부터 수취한 전화 번호를 회선(4)로 출력한다. 이후 상대가 나오면 스프치 회로(3), 마이크(11), 스피커(21)에 의해 통화가 개시된다. 이상의 동작 전원으로는 회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및 상용 전원(30,AC 100V)가 사용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특징인 상용 전원((30,AC 100V)가 다운(down)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용 전원(30)이 다운되면, 상용 전원(30)의 전력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전력 검출부(12)로부터 그 취지가 제어부(6D)에 전달되고, 전원 절환부(10)은 전원을 상용 전원(30)으로부터 백업 전원(20)으로 절환한다. 여기에서, 백업 전원(20)은 최저 1-2분 정도의 통화를 할 수 있는 소형 전지이다.
표시부(13)은 상용 전원이 다운되었기 때문에 이후 이정 시간내에 온 훅할 것을 리다이얼을 선택할 수 있는 취지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리다이얼"로 음성 입력하고, 음성 인식부(5)가 "리다이얼"을 인식하면, 그 취지가 제어부(6D)에 전해진다. 이 동작은 키 입력부(14)내에 있는 리다이얼 지시 스위치(19)에 의한 스위치 조작이라도 좋다. 이들의 조작에 의해, 다이얼 메모리(16)내에 있는 리다이얼 영역에 리다이얼 하려는 전화 번호가 격납된다. 그리고, 소정 시간(예를 들면 1분)이 경과하면 전화 회선(4)를 자동적으로 온 훅한다.
상용 전원(30)이 회복된 경우에는, 전력 검출부(12)가 이것을 검출하고, 제어부(6D)는 회전 제어부(15)를 통해서 회선(4)의 접속을 행하며, 사용자에게 표시나 부저(buzzer)등에 의해 리다이얼되는 취지를 전함과 동시에,다이얼 메모리(16)내의 리다이얼 번호에 따라서 리다이얼한다. 이로써 상대가 다시 전화에 나옴으로써 통화가 재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성 인식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만 제1전원(상용 전원)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 빈도가 높은 통상의 전화기인 경우에는 회선 전원을 사용해서 전류를 쓸데없이 소비하는 일이 없으므로, 전화기 전체의 소비 전류를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전원(상용 전원)의 전력 저하시 또는 정지시에는 제1전원(상용 전원)은 제2전원으로 절환되므로, 이 제2전원에 의해 전화기를 기능시켜서 음성 지시에 의해 온 혹시키거나, 통상의 전화기로서 사용 할 수 있고, 재차 다이얼한다는 번거로움이 해소됨과 동시에, 전화기로서의 가동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입력된 음성등을 전기 신호로 변화하기 위한 송화부(1), 음성등을 출력하기 위한 수화부(2), 상기 송화부(1)과 수화부(2)를 전화 회선(4)에 접속하기 위한 스피치 회로(3), 입력된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여 식별·판정하는 음성 인식부(5), 상기 스피치 회로(3)과 음성 인식부(5)에 접속된 제어부(6A,6B,6C,6D), 제1전원(30)과 제2전원(20,41)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전원을 갖는 복수의 전원, 및 상기 복수의 전원 (20,30,41)과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복수 전원의 절환을 행하는 전원 절환부(10)를 구비하여, 상기 음성 인식부(15)가 동작중에는 상기 절환부(10)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원이 제1전원(30)으로 절환되고, 상기 음성 인식부(5)가 부동작중 또는 상기 제1전원(30)의 전력 저하시 또는 정지시에는 상기 전원 절환부 (10)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원이 상기 제2전원(20, 41)로 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이 상용 전원(30)이고, 또한 상기 제2전원이 회선 전원(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절환부(10)이 상기 제어부(6A.6C)의 소정 기능에 필요한 동작 속도를 판정하는 속도 판정부(7)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6A,6C)에 접속되고, 상기 속도 판정부(7)에 의해 저속동작 으로 판정된 때는 상기 전원 절환부(10) 의해 전화 회선(4)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고. 고속 동작으로 판정된 때는 상기 전원 절환부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30)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B,6C)에 상기 상용 전원(30)의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12)가 접속되고, 상기 전력 검출부(12)로부터의 전원 정지 신호에 기초해서 음성 인식 기능을 정지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 절환부(10)의 동작에 의해서 전화 회선(4)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받아서 기본적인 전화 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이 상용 전원(30)이고, 또한 상기 제2전원이 전지(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D)에 상기 상용 전원(30)의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12)와 회선과의 접속·절단을 제어하는 회선 제어부(15)가 접속되고, 상기 음성 인식부(15)가 동작중에 상기 상용 전원(30)의 전력이 저하하면, 상기 전력 검출부(12)로부터 검출 신호가 장기 제어부(6D)에 전달되며, 상기제어부(6D)가 상기 전원 절환부(10)에 의해 상기 상용 전원(30)을 상기 전지(20)으로 질환하고, 또한 소정시간 후에 상기 회선 제어부(15)에 의해 전화 회선(4)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
KR1019870011197A 1986-10-07 1987-10-06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KR910001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850586 1986-10-07
JP23850486 1986-10-07
JP61-238504 1986-10-07
JP61-238505 1986-10-07
JP24255486 1986-10-13
JP61-242554 1986-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782A KR880005782A (ko) 1988-06-30
KR910001734B1 true KR910001734B1 (ko) 1991-03-22

Family

ID=2733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197A KR910001734B1 (ko) 1986-10-07 1987-10-06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16735A (ko)
KR (1) KR910001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1472A (en) * 1990-08-10 1995-01-10 Tamura Electric Works, Ltd. Power source control apparatus for telephone set
US5396269A (en) * 1991-02-20 1995-03-07 Hitachi, Ltd. Television telephone
JPH0530502A (ja) * 1991-07-24 1993-02-05 Hitachi Ltd 一体型テレビ電話機
US5587735A (en) * 1991-07-24 1996-12-24 Hitachi, Ltd. Video telephone
JP2905616B2 (ja) * 1991-05-20 1999-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EP0778704A3 (en) * 1991-07-15 1997-08-20 Hitachi Ltd Teleconference module
EP0773686B1 (en) * 1991-07-15 1999-11-10 Hitachi, Ltd. Equipment for a teleconference
US5544243A (en) * 1993-05-17 1996-08-06 Vxi Corporation Telephone headset interface circuit
DE9417202U1 (de) * 1994-10-26 1995-02-16 Siemens AG, 80333 München Strom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 Telekommunikationsendgerät
DE19623827C1 (de) * 1996-06-14 1998-01-08 Siemens Ag Elektronische Sprechschaltungsanordnung
US6128384A (en) * 1997-12-22 2000-10-03 Vxi Corporation Self configuring telephone headset amplifier
FR2774839B1 (fr) * 1998-02-11 2000-06-23 Sagem Telecopieur comportant des moyens de prise de ligne a alimentation secourue
KR100480298B1 (ko) * 2001-10-1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 전원 전화 통화시 통화 안정화 전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200A (en) * 1978-10-23 1980-11-04 United Networks, Inc. Dialing system
US4585904A (en) * 1982-02-05 1986-04-29 General Telephone Inc. Programmable computerized telephone call cost metering device
US4578540A (en) * 1982-12-20 1986-03-25 At&T Bell Laboratories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4670628A (en) * 1984-04-19 1987-06-02 Boratgis James P Reprogrammable call forwar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16735A (en) 1990-04-10
KR880005782A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734B1 (ko) 전화기의 전원 절환 장치
KR0149155B1 (ko) 개인용 컴퓨터에서의 일반 전화 시스템 및 통화 방법
US5960358A (en) Telephone system providing a talking operation after main power supply failure
JPS61105949A (ja) 電話端末への電源制御方式
JPS63226165A (ja) 電話機の電源切換装置
JPH0638511Y2 (ja) コ−ドレス電話装置
KR100366771B1 (ko) 휴대전화의 충전기능을 구비한 전화기
KR200164773Y1 (ko) 보조 전원을 갖는 유/무선 전화기
KR200100368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JPH11234420A (ja) 端末網制御装置
JPH08251641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
KR20000044371A (ko) 전화기에 있어서 헤드셋 인터페이싱 방법 및 회로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JP2870063B2 (ja) ディジタル式ボタン電話装置
KR950005859B1 (ko) 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소모 최소화 방법
JPS639354A (ja) 通信端末装置
JP3382293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の端末装置の表示制御方法
KR0137643B1 (ko) 아이에스디엔 전화기
KR100315545B1 (ko) 자동응답전화기에있어서정전시자동응답방법및시스템
JP3678635B2 (ja) 電話機制御回路および電話機制御方法ならびにターミナルアダプタ
JPS63253747A (ja) コ−ドレス電話装置
JPH0723141A (ja) 給電回路
KR2001006478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9270830A (ja) データ通信装置
JPS63252031A (ja) コ−ドレス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