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017Y1 -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017Y1
KR900008017Y1 KR2019900008598U KR900008598U KR900008017Y1 KR 900008017 Y1 KR900008017 Y1 KR 900008017Y1 KR 2019900008598 U KR2019900008598 U KR 2019900008598U KR 900008598 U KR900008598 U KR 900008598U KR 900008017 Y1 KR900008017 Y1 KR 900008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ime
passenger
wait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가스 우메다
신다로 쓰지
Original Assignee
미쓰미시덴키 가부시기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396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4341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시덴키 가부시기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미시덴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08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0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제 1 도는 이 고안의 엘레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엘리베이터 대기시간 예측장치에서의 호출등록시간 계수수단, 승객수 계수수단, 호출기록 수단, 승객수시간 예측수단의 시스템구성표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서의 ROM에 짜넣은 프로그램의 구성을 표시하는 플로챠트.
제 4 도는 호출등록시간 T와 평균승객수 APASS(T)와 예측총승객대기시간 WTIME(T)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 5 도는 종래의 대기시간 예측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출등록장치 2 : 엘리베이터
3 : 호출등록시간계수수단 4 : 승객수검출수단
5 : 호출정보기록수단 6 : 승객대시시간예측수단
11 : CPU 12 : ROM
13 : RAM 14 : 타이머
15 : 입력회로 16 : 출력회로
그리고 도중 같은부호는 동일부분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함.
이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를 하는데 유효한 정보로 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서 기다리고 있는 승객의 대기시간을 예측하는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를 군으로서 효율적으로 운전하고 양호한 승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서 기다리고 있는 승객의 대기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 일반적으로는 승객별 대기시간으로 고려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호출이 등록된 후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소거될 때까지의 시간(호출등록시간)으로 대용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승강장에서 기다리고 있는 사람이 한사람이든 20명이든 같게되어 진실한 의미에서는 한사람 한사람의 대기시간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 못된다. 그래서 엘리베이터 도착시의 대기객수를 예측하고 호출등록 시간에 대하여 대기객수를 대응한 가중치를 부가하여 군관리에 이용하는 것이 고려되어 왔다. 대기객수예측의 예에는 일본특공소 57-16067호 공보가 있으며 또 대기객수의 가중치 부가에는 일본특공소 59-24061호 공보가 있다.
제 5 도에 상기 두가지예의 계략을 종합한 블록도를 표시한다.
이 제 5 도에서, 101은 호출이 등록된후 엘리베이터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연산하는 서비스예측시간 연산장치, 102는 단위시간당의 발생대기 객수를 미리 설정하는 대기객수 발생을 설정기, 103은 상기 서비스예측시간 연산장치(101)과 대기객수 발생을 설정기(102)의 출력에서 호출등록후에 도착하는 대기객수를 예측하는 예측대기객수 연산장치, 104는 호출등록시의 대기객수를 계측하는 대기객수 검출장치이다.
이 대기객수 검출장치(104)와 예측대기객수 연산장치(109)의 출력을 가산기(105)로 가산하여 그 가산결과와 서비스예측시간 연산장치(101)의 출력과를 곱셈기(106)로 곱셈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5 도에서 예를 들면 1층의 상승호출이 등록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호출에 대하여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가 34초후에 도착한다고 예측하였다고 하면 서비스예측시간 연산장치(101)의 출력은 34로 된다.
또 1층 상승방향에서는 10초간에 한 사람의 대기객수가 발생하는 것을 알고있을 때 대기객수 발생을 설정기는 1(인)/10(초)가 설정되어 그 출력은 0.1로 된다. 이에 따라 호출등록후에 0.1(인/초)×34(초)=3.4(인)의 대기객이 발생하는 것이 예상되므로 예측 대기객수 연산장치(103)의 출력은 3.4로 된다.
호출등록시의 대기객수는 호출을 등록한 사람이 한사람 뿐이라면, 대기객수 검출장치(104)의 출력은 1로 되어 가산기(105)의 출력이 4.4로 된다.
즉 엘리베이터 도착시에는 4.4인의 대기객이 예상된다.
그리고 곱셈기(106)의 출력은 34×3.4=149.6이 된다. 이것은 군관리를 하는 경우 1층의 상승호출은 34초로서 취급하지 않고 한사람 한사람의 대기시간을 평가하여 호출의 가중치로서 4.4배로 취급함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빌딩전체의 대기시간의 총화가 작게되도록 엘리베이터를 할당하는 시스템에서는 1층에서만 대기시간은 149.6초가 된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도 진실한 의미에서는 한사람 한사람의 대기시간을 고려한 것이 못된다.
왜냐하면 호출을 등록한 사람의 대기시간은 34초라도 기타 3.4인의 사람은 후에 도착하게 되므로 대기시간은 34초보다 작을 것이다.
극단으로 말하면 엘리베이터 도착직전에 승강장에 온 사람도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 사람의 대기시간은 대략 0초 일것이다.
이것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작게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대기객은 반드시 등간격으로 도착한다고는 할 수 없으며 통상은 집단으로 도착하므로 아주 의미있는 수치로는 되지않는다.
결국 호출을 등록한 사람 이외의 대기시간을 예측하지 못하는한 정확한 한사람 한사람의 대기시간을 산출할 수는 없으며 진실한 의미에서의 한사람 한사람의 승객의 대기시간이 합계상 작게되는 군관리를 실시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장에서 기다리고 있는 승객 한사람 한사람의 대기시간의 총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양호한 군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고안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는 호출등록시간과 그 호출에 대응하는 승객수를 기록하여 그 기록을 집게하여 승객 대기시간을 예측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호출등록시간과 승객수의 관계를 표시하는 함수를 구하고 이 함수로 시간에 대한 승객수를 적분함으로써 예측시간을 구한다.
이하 이 고안의 엘이베이터 대기시간 예측장치의 실시예를 제 1 도-제 4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그 한 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중, 1은 승강장에서의 호출을 등록하는 호출등록장치이며, 1a는 그 출력인 호출등록신호, 2는 엘리베이터이며, 2a는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신호인 승객수, 카위치, 방향에 대한 엘리베이터 상태신호이다. 또, 3은 호출이 등록되어 있는 시간을 계수하는 호출등록시간 계수수단으로 호출등록시간(3a)을 호출정보기록수단(5)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또 4는 호출에 서비스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승객을 계수하는 승객수 계수수단이며 승객수(4a)를 호출정보기록수단(5)에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 호출정보기록수단(5)은 상기호출등록시간(3a)과 승객수(4a)를 대응시켜 기록하는 것이다. 이 호출정보기록수단(5)에 의하여 승객별 대기시간의 총화를 승객대기시간 예측수단(6)으로 예측하고 예측승객대기시간(6a)을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즉 호출등록시간(X)와 승객수(Y)의 관계에 의하여 함수 Y=f(X)를 구하여 소정의 시간(t)에 대하여 -스 캔-f(X)dx를 승객별 대기시간의 총화로서 예측하도록 하고 있다.
제 2 도는 호출등록시간 계수수단(3), 승객계수수단(4), 호출정보기록수단(5), 승객대기시간 dP수단(6)의 시스템구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도중, 11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중앙처리장치(CPU), 12는 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판독전용기억장치(ROM), 13은 처리데이터를 기억하는 임의접근기억장치(ROM), 14는 규정시간후에 CPU(11)에 대하여 인터럽트(interrupt)를 걸도록한 타이머, 15는 호출등록신호(1a)나 엘리베이터상태신호(2a)를 입력하는 입력회로, 16은 예측층승객 대기시간(6a)을 출력하는 출력회로이다.
제 3 도는 ROM(12)에 짜넣은 프로그램을 구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21∼47은 플로챠트의 스텝이다.
제1표는 호출등록시간(3a)과 승객수(4a)를 기록한 예를 표시하며, 제 4 도는 호출등록시간 T와 평균승객수 APASS(T)와 예측층승객 대기시간 WTIME(T)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표 1]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주로 제 3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3 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변수령과 그 내용을 알파벳순으로 아래에 표시한다.
APASS(i) : 호출등록시간 i초의 경우의 평균대기객수(i=정수이고 이하같음), CALL : 호출계속시간, 호출이 없을시는 0, CSTP : 승색서비스중 엘리베이터가 호출에 대하여 응답하여 1층에서 출발할때까지 「1」. 기타는 「0」, K : 정수, L : 정수, M : 정수, NO(i) : 호출등록시간 i초의 호출수, PASS(i) : 호출발생순 i의 호출의 승객수 PTIME(i) : 호출발생순 i의 호출의 등록시간, SPASS(i) : 호출발생시간 i초의 호출의 승객수의화, T : 승객별 대기시간의 총화를 출력할 호출등록시간, WTIME(i) : 호출등록시간 i초의 경우의 승객별 대기시간의 총화, 스텝 21에서 시작하여 스텝 22에서 K이외의 변수를 「0」에, K를 1에 설정하여 타이머인터럽트를 1초가 되도록 초기설정한다.
스텝 23에서는 호출등록장치(1)에서 출력되는 호출등록신호(1a)가 입력회로(15)를 통하여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본다.
이예의 경우, 1층 상승호출에 관하여만 생각한다. 호출이 없으면 스텝 24에서 전주기에도 호출이 없었는지를 본다. 전주기에도 호출이 없으면 스텝 46으로 진행하여 스텝 47에서 프로그램을 루프상태로 한다.
(스텝 46에 관하여는 추후설명).
그리고 여기서 타이머(14)에서 1초후에 인터럽트신호가 입력되면 스텝 25에서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스텝 23에서 호출이 발생하였다고 하면 스텝 26a로 진행하여 호출계속시간을 「1」증가시킨다. 초기설정에서 CALL은 0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호출이 발생하고서 부터 1주기째는 「1」이 되며 스텝 46으로 진행한다.
이와같이하여 호출이 있는 한 호출계속시간을 표시하는 CALL은 1씩 증가한다.
35주기째는 엘리베이터가 호출에 응답완료하여 호출이 없어지면 스텝 24로 진해하지만 전주기에서는 CALL은 「0」이 아니므로 스텝 26으로 진행하여 CALL치를 RTIME(K)로 입력한다.
지금은 K=1이므로 RTIME(1)=34로 된다.
즉 호출발생순 1번째의 호출등록시간 34초라는 것이 된다.
이어서 다음 연산을 위하여 스텝 27에서 CALL을 「0」으로 하고, 스텝 28에서 호출 비스중 신호 CSTP을 「1」로 한다.
이것은 1층 상승호출에 대하여 엘리베이터가 도착하여 서비스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스텝 29에서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로 칭한다)가 1층에서 상승주행 하는지의 여부를 엘리베이터(2)로 부터 엘리베이터 상태신호(2a)를 입력회로(15)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검출한다.
또 승객이 탑승중에는 「NO」이지만 출발할때는 「yes」로 스텝 30으로 진행한다. 스텝 30에서는 엘리베이터가 정말로 호출에 대하여 서비스를 하였는가를 첵크하여 「yes」면 스텝31에서 CSTP을 「0」으로 한다음, 스텝32에서 승객수를 엘리베이터(2)로 부터 엘리베이터 상태신호(2a)를 입력회로(15)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검출한다.
승객수는 통상 카하부에서 설치한 저울에 의하여 중량을 검출하여 확인된다.
이 예에서는 1층에서 지하층이 없다고 하면 카가 출발할때 카내에 있는 승객수가 그대로 1층에서 탑승한 사람으로 할 수가 있다.
중간층에서는 이미 카내 탑승한 사람이 있기 때문에, 출발할때의 승객수에서, 그 층에서 가장 중량이 가볍게 되었을 때(하차객이 하차완료시)의 승객수를 감산하여 구한다.
이 예에서는, 4명이 있었다면 PASS(1)=4로 된다.
이것으로 제1번째의 호출의 호출등록시간이 34초, 그 당시의 승객수가 4명이라는 것이 된다.
다음에 스텝 33에서 K를 「1」 증가시켜서 다음의 호출에 대하여 또 기록한다.
2번째 호출의 호출등록시간이 5초, 그때의 승객수를 2명으로 하고, 3번째 호출은 호출등록시간이 28초, 그때의 승객수를 6명이라고 한다.
이와같이 하여 제 1 표와 같은 표가 작성될 수 있다.
K가 301이 되면 즉 300개의 호출이 기록되면 스텝(34)에서 스텝(35)로 진행하여 대기시간 예측에 들어간다.
먼저 스텝(35)에서 K를 「1」로 되돌린후 호출등록시간별의 승객수합계와 호출수를 구한다.
즉 스텝(36)에서 정수 L를 「1」로 한 다음 스텝(37)에서 승객수를 가산하여 간다.
호출발생순 「1」의 호출의 호출등록시간 RTIME(1)은 34, 승객수 PASS(1)은 4이므로 SPASS(34)에 우선 4가 입력되는 것이다.
스텝(38)은 호출수를 가산하여 가는 것으로 No(34)에 먼저 「1」이 입력되는 것이된다.
이와 같이하여 300개의 호출에 관하여 행하게 되므로 스텝 39에서 L=300에 이르지 아니하였으면 스텝 39a로 진행하며 「L」를 「I」로 증가시켜서 다음호출을 처리한다.
또 300개의 호출처리가 끝나면 스텝 39에서 스텝 40으로 진행한다.
스텝(0)에서는 정수 M을 「1」로 하여서 스텝 41에서 호출등록시간별 평균승객수를 연산한다.
호출등록시간 1초의 호출수를 「10」, 승객수의 합계를 「12」라고 하면 SPASS(1)/NO(1) = 1.2로 되어 평균승객수 APASS(1)는 1. 2가 된다.
스텝 42에서 다음 300개의 호출연산을 위하여 SPASS(M) 및 NO(M)을 「0」에 리세트(Reset)한 후 스텝 43에서 호출등록시간별 승객별 대기시간의 화를 구한다.
호출등록시간이 1초일 때는 WTIME(1) = WTIME(0) + APASS(1) × 1 = 0 + 1.2(초)로 된다.
여기서 APASS(1)에 곱셈하는 「L」는 1초단위이기 때문이다.
호출등록시간 2초일때의 평균승객수가 1.3명이라고 하면, 승객별 대기시간의 화는 WTIME(2) = WTIME(1) + APASS(2) × 1 = 1.2 + 1.3(초)로 된다. 이것을 스텝 44와 스텝 45로 M = 100이 될때까지 계속한다.
「100」은 단지 100초로 끊은것 뿐으로 큰 의미는 없다.
이와같이 하여 호출등록시간과 평균승객수의 관계가 제 4 도와 같다면 사선의 부분이 면적이 WTIME(T)로 되는 것이다. 즉, 호출등록시간과 평균승객수의 관계를 함수로 하였을때의 적분치로 된다.
여기서 WTIME(T)가 대기시간의 화가 되는가를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옆으로 잘라보면 종방향의 높이의 승객수를 횡방향의 길이의 호출대기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 4 도에서 굵은 스트립에서는 단위인수(이경우는 0.2인)가 약 13초의 대기시간이 되며, 각종대기시간을 가진 0.2인식 모으면은 호출등록시간 20초 일때의 승객별 대기시간의 화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스텝 46은 호출등록시간 T에 대한 승객별 대기시간의 화 WTIME(T)를 출력회로(16)을 통하여 출력하여 스텝 47에 이른다. 「T」는 실제의 호출할당을 하는 프로그램에서 인수로서 통상주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1초의 상승호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연히 다른 호출에 대하여도 처리된다.
그리고 호출은 1초마다 첵크하여 등록시간은 1초단위로 기록하도록 하였지만 그 시간은 변경가능하다.
예를들면 호출은 0.1초마다 첵크하고 등록시간은 5초간의 범위마다 기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승객수를 검출하는 장치는 카하부 저울뿐 아니고 초음파에 의하여 카의 출입구에서 인원수를 카운트하는 장치나 적외선등에 의하여 승강장의 대기객수를 카운트하는 장치등 여러가지 고려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고안의 목적과는 다른 날 서비스예측시간이 주어졌을때 엘리베이터의 도착시의 승객수를 예측하는 경우 제 4 도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행하면은 종래의 공지예에 대한 것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게된다.
이 고안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호출등록시간과 승객수를 기록하여 그 통계결과에 의하여 승객의 대기시간을 예측하도록 하였으므로 승객별 대기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군관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를 배차하도록 등록된 호출등록시간을 계수하는 호출등록시간 계수수단(3), 상기호출에 서비스하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인원수를 계수하는 승객계수수단(4), 상기 호출마다 상기 호출등록시간과 상기 승객수를 기록하는 호출정보기록수단(5), 이 호출정보기록수단(5)의 출력에 의하여 승객의 대기시간을 예측하는 승객대기시간 예측수단(6)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예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객대기시간 예측수단(6)은 승객별 대기시간의 총화를 예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엘레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승객 대기시간 예측수단(6)은 호출등록시간(x)와 승객수(y)의 관계에 의하여 함수 y=f(x)를 구하고, 소정의 시간 t에 대하여f(x)dx를 승객별 대기시간의 총화로서 예측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KR2019900008598U 1986-02-25 1990-06-18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KR900008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598U KR900008017Y1 (ko) 1986-02-25 1990-06-18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9615 1986-02-25
JP61039615A JPH0694341B2 (ja) 1986-02-25 1986-02-25 エレベ−タの待時間予測装置
KR1019860007177A KR870007836A (ko) 1986-02-25 1986-08-28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KR2019900008598U KR900008017Y1 (ko) 1986-02-25 1990-06-18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177A Division KR870007836A (ko) 1986-02-25 1986-08-28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017Y1 true KR900008017Y1 (ko) 1990-09-03

Family

ID=2729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598U KR900008017Y1 (ko) 1986-02-25 1990-06-18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0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25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calls entered at floors to cars of a group of elevators
KR860000668B1 (ko) 엘리베이터의 케이지(cage)호출 예측 연산장치
US4802557A (en) Wait time prediction apparatus for elevator
JP2529304B2 (ja) エレベ―タカ―コ―ルの最適割当て装置
US4503941A (en) Supervisory apparatus for elevators
JP2019081622A (ja) 外部システム連携配車システム及び方法
KR910000508A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및 그 군관리 방법
JP2583700B2 (ja) エレベータの割当装置
KR900008017Y1 (ko) 엘리베이터의 대기시간 예측장치
JP5082215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及び群管理方法
JPS62121186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S6334111B2 (ko)
KR100214685B1 (ko) 군관리 제어장치 및 그의 대기승객 검출방법
JPS61130188A (ja) エレベ−タの乗場呼び発生頻度予測方法
KR100237616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JP3783258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US5390765A (en)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JPS6131706B2 (ko)
KR100202705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시스템의 할당오류 정정방법
JP2673986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5139633A (ja) エレベータの特別客サービス運転装置
JPH0138752B2 (ko)
JPS598627B2 (ja) エレベ−タの特定階交通需要検出装置
JPS6233190B2 (ko)
JPH01542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