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095B1 -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095B1
KR900006095B1 KR1019880001403A KR880001403A KR900006095B1 KR 900006095 B1 KR900006095 B1 KR 900006095B1 KR 1019880001403 A KR1019880001403 A KR 1019880001403A KR 880001403 A KR880001403 A KR 880001403A KR 900006095 B1 KR900006095 B1 KR 900006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larm
door
contro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838A (ko
Inventor
조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지전자
조상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지전자, 조상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지전자
Priority to KR101988000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095B1/ko
Priority to AU18164/88A priority patent/AU1816488A/en
Priority to BR8803010A priority patent/BR8803010A/pt
Publication of KR890012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의 전체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의 상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 주제어부의 상세 회로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경보호출부의 상세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키보드의 상세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타이머부의 상세 회로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적외선 송수신기의 상세 회로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리모콘의 송수신부의 상세 회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외부충격감지송신부의 상세 회로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경보부의 경보수신기의 상세 회로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키보드부의 적외선 송수신과정을 나타낸 상세 회로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충격센서부의 상세 회로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원콘트롤부의 상세 회로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도어제어구동 수신부의 상세 회로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초음파송수신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19도는 제18도의 일실시예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헤드라이트부의 상세 회로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스트로브플레쉬 및 증폭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22도는 제11도의 일실시예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플로우챠트.
제24도는 제23도의 일실시예도.
제25a,b도는 제24도의 상세플로우챠트로서, (a)는 리모콘입력신호상태에 따른 플로우챠트. (b)는 키입력신호상태에 따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격제어부 2 : 경보호출기
3 : 헤드라이트부 4 : 경보기
5 : 타이머 6 : 키보드
7 : 소음감지센서 8 : 충격센서부
9 : 초음파 및 접근센서 10 : 리모콘
11 : 전원제어릴레이부 12 : 도어부
13 : 스트로브플레쉬 및 증폭부 MPU : 마이크로컴퓨터
LI : 래치회로 Buf1,Buf2: 버퍼
PWR-TX : 전원제어송신부 PG-TX : 경보호출송신기
PG-RX : 경보호출수신기 SI-IX : 경보송신기
SI-RX : 경보수신기 EXS-RX : 적외선수신기
SS-TX : 충격감지센서 NSS : 소음감지센서
RE-RX : 리모콘수신기 RE-TX : 리모콘송신기
DRCTL-TX : 도어송신부 DRCTL-RX : 도어수신부
DR-DV : 도어구동부
본 발명은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내부에 도어개폐, 시동전원 온 오프 및 도난경보를 제어할 수 있는 마이크로컴퓨터를 내장한 주제어부를 설치하여 이 주제어부에 기억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암호가 기억된 리모콘을 가진 운전자만이 자동차의 도어개폐 및 시동 전원을 온 오프할 수 있게 하고 리모콘을 휴대하지 않은 침입자의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하거나 침입자를 퇴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자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업계에서도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이용한 전자화가 추진되고 있음에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자동차에 접근 또는 내부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는 장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아직까지도 단순한 금속열쇠와 자물쇠로써 자동차 및 자동차내의 귀중한 서류나 비품을 보호해야 하는 입장이었다.
그런데 자동차에 사용되는 금속열쇠의 경우 그 종류가 거의 한정되어 있고 그 중복성이 현저하여 도난으로부터의 안정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열쇠 없이도 자동차 문을 열어 차내에 놓아둔 귀중품을 도난당하거나 차내의 서류나 비품 등이 도난 또는 훼손당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운전석에서 시동키 스위치의 전선을 임의로 연결시켜 자동차를 기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자동차를 도난당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으며 그리고 금속열쇠 및 자물쇠인 경우 금속열쇠로 도어와 시동스위치를 일일이 직접 조작해 주어야 하므로 주머니에 휴대한 열쇠를 넣었다 꺼냈다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한 열쇠의 분실우려가 높았다. 최근에 도난경보용 리모콘 도어키가 소개되고 있으나 시동키를 위한 금속열쇠의 사용은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리모콘도어키와 금속열쇠를 이중으로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내부에 외부 및 내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도를 받아 자동차의 도어개폐 시동전원제어 도난감지 및 경보발령을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이 주제어부가 도어개폐 시동전원제어 도난감지 및 경보발량을 제어하도록 양호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과 상기 주제어부가 전원제어할 수 있는 상태에서 시동전원의 온 오프 및 경보모드시의 상태를 세팅하고 임의의 암호를 기억변경시킬 수 있는 키보드부와, 상기 주제어부에서 도난감지 및 경보발령제어상태에서 침입자가 자동차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초음파접근센서부, 자동차의 충격이나 소음을 감지하는 충격센서부 및 소음감지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들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주제어부가 받아 제어처리한후 경보를 알리는 경보기, 헤드라이트를 점멸하는 헤드라이트부, 침입자의 시야를 막아주는 스트로브플레쉬, 약속시간이나 기타 필요한 시간을 기억시키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미리 기억된 시간 및 자동차에 침입자가 경보음을 발하게 되는 경보 호출기와 상기 키보드의 조작에 따른 주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전원을 온 오프하는 전원제어 릴레이부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도어개폐제어신호를 받아 차량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부를 구비한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을 설치하여 리모콘에 의하여 자동차의 도어개폐 및 시동전원을 제어하고 침입자가 접근 또는 들어왔을때 이들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하게 함으로써 자동차의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의 전체블럭도로서 자동차밧데리(BAT)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드는 정전압부(가)와 상기 정전압부(가)로부터 전원전압을 받아 구동하면서 입력되는 신호를 미리 프로그램된 상태에 따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MPU), 래치회로(LT), 버퍼(BF1)(BF2) 램프(LAMP) 부서(BZ) 전원제어송신부(PWR-TX)로 구성하는 주제어부(1)와 주제어부(1)에서 제어된 신호를 받아 경보음 및 약속시간을 알려 사용자를 호출하는 경보호출송신기(PG-TX) 경보호출수신기(PG-RX)로 구성된 경보호출기(2)와 상기 주제어부(1)의 제어신호에 따라 헤드라이트를 점등점멸하는 헤드라이트부(3)와 상기 주제어부(1)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송수신기(SI-TX)(SI-RX)로 구성된 경보기(4)와 임의의 약속시간을 세트하고, 이 세트된 시간을 주제어부(1)가 감지제어하여 상기 경보호출기(2)에 약속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5)와 자동차의 시동전원 및 도어개폐암호 및 경보모드로 세팅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키보드(6)와 자동차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감지하는 소음감지센서(NSS)(7)와,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여 송신하는 적외선수신기(EXS-RX)와, 충격감지센서(SS-TX)로 된 충격센서부(S)와 침입자를 초음파 및 정전기로 감지하는 초음파 및 접근센서(9)와, 상기 주제어부(1)가 시동전원제어 도난감지 및 경보발령을 제어하도록 절체하는 리모콘송신기(RE-TX) 리모콘수신기(RE-RX)로 구성된 리모콘(10)과, 주제어부(1)로부터 스캔신호를 받아 제어신호를 재송수신하는 한쌍의 리모콘송수신기(RE-RX)(RE-TX1)(RE-TX)(RE-RX1)로 구성된 리모콘(10A)과 상기 키보드(6)로부터 눌러진 상태를 주제어부(1)가 감지하고 제어한후 이 제어신호에 의하여 자동차의 전원 및 시동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제어릴레이부(11)와 상기 리모콘(10)에 의하여 주제어부(1)에서 제어된 신호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송신부(DRCTL-TX) 도어수신부(DRCTL-RX) 도어구동부(DR-DV)로 구성된 도어부(12)와 상기 초음파 및 접근센서(9)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구동하는 스트로브플레쉬 및 증폭부(13)로 구성된다.
제3도 및 제2도의 주제어부(1)의 상세 회로도로서 각종신호와 입력되는 데이타를 제어하는 1칩으로 된 마이크로컴퓨터(MPU)에는 경보호출송신부(PG-TX) 및 충격센서부(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압공급부(가)와 구동을 표시하는 구동표시부(나)가 접속되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MPU)의 입력포트(port A)에는 제2도의 키보드(6) 타이머(5) 전원제어릴레이부(11) 초음파 및 접근센서(9) 소음감지센서(7) 충격센서부(8) 리모콘(10)의 신호 및 도어상태에 따라 경보 및 플레쉬를 구동시키는 도어신호부(다)가버퍼(Buf1)를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로컴퓨터(MPU)의 출력포트(portB)에는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 제어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2도의 전원제어릴레이부(11)를 구동시키는 전원제어송신부(PWR-TX)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출력포트(port B)는 도어송신부(DRCTL-IX)와 연결하여 도어 개폐 및 스트로브플레쉬를 구동토록 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MPU)의 데이타단자(DATA)에는 제2도의 키보드(6)를 버퍼(Buf2)를 통하여 연결되고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 제어되 데이타신호는 래치(LT)를 통하여 부신호(-)로 반전되어 경보기(4) 충격센서부(7) 경보호출기(2) 플레쉬(13) 및 전원제어릴레이부(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 경보호출부의 상세 회로도로서 제2도의 주제어부(1)의 마이크로컴퓨터(MPU)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경보호출송신부(SI-TX)와 경보호출수신부(SI-RX)로 구성된다.
즉 경보호출송신부(SI-TX)는 마이크로컴퓨터(MPU)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해독하는 디코더(DECORDER)와 마이크로컴퓨터(MPU)의 제어신호를 받아 수정발진기(X-tal)에 의하여 발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발진회로(A)와 입력신호를 매칭시켜주는 입력신호매칭회로(B)와, 발진회로(A)와 매칭회로(B)를 혼합하는 믹싱회로(C)와, 이 믹싱회로(C)에 의하여 믹싱된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회로(D)로 구성하여 송신안테나(ANT)로 변조신호를 송신하면 제5도의 경보호출수신부(SI-RX)에서는 수신안테나(ANT)를 통하여 변조된 주파수를 받아 복조하는 복조회로(E) 및 발진회로(A')와, 복조회로(E)에 의하여 복조된 신호를 검파하는 검파회로(F)와 검파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G)와 증폭회로(G)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를 해독하는 디코더(DECORDER)를 통하여 2개 발진회로를 갖는 타이머발진회로(OSC)로서 시정수만큼 발진시켜 경보음을 적당한 간격으로 스피터(SP)를 통하여 경보를 발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H는 경보호출기의 이상유무를 테스트하는 테스팅회로이다.
제6도는 키보드(6)를 나타낸것으로 4×4 매트릭스로 되어 자동차에 시동을 거는 시동보턴(S)과 시동을 오프하는 리세트보턴(R)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온 오프버턴(P) 비밀번호를 키보드상에 메모리시키고 삭제 시키는 메모리버턴(F) 기능을 갖고 있다.
이때 비밀번호를 변경시킬 수 있고 번호를 잘못눌렀을때는 리세트보턴(R)을 누르면, 잘못기억된 번호가 삭제되어 다시 기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억시킨 데이타는 키보드(Key Board)의 기능 버턴 눌려짐에 따른 데이타를 적외선으로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전달하게 된다.
제7도는 타이어부(7)를 나타낸것으로 정류부(7A)와 약속시간 및 날짜 등을 설정하는 키보드(key Board)와 이 키보드(Key Board)의 누름상태에 따른 신호를 받아 제어하는 마이콤(μ-Com)과, 제어된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하는 인버터회로(7B) 버퍼회로(7C) 7세그먼트(7-Seg)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부(7D)와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발생부(7E)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μ-processor)에 의하여 제어된 신호가 일치하였을때 약속시간을 적외선으로 알려주는 적외선발생부(7F)로 구성하였다.
제8도 및 제9도는, 제2도의 적외선송수신기의 상세 회로도로서 적외선송신기는 3상태버퍼(8A)와, 발진회로(8B) 적외선송신디코더(DECORDER)와 저항(R1)(R2) 발광다이오드(LED1)(LED2) 트랜지스터(TR1)(TR2)로 구성된 적외선송출회로(8C)로 구성되어 있고 적외선수신기는 적외선감지부(9A) 발진회로(8B) 인코더(ENCORDER) 데이타신호를 매독하는 디코더(DECORDER) 및 저항(R2-R4) 트랜지스터(TR1-TR3)로 구성된 신호전달회로(8D)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도어개폐상태에 따른 신호가 3상태버퍼(8A)를 통하여 디코더(DECORDER)와 적외선 구동회로(8B)를 통하여 적외선을 송출하면 이 송출된 신호는 적외선수신기의 적외선감지부(9A)에서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는 인코더(ENCORDER)에 의하여 데이타가 송출하며 이 신호는 디코더(DECORDER)로 해독되어 도어의 개폐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콘넥터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전달되게 된다.
제10도와 제11도는 리모콘의 송수신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로서 임의의 암호가 기억된 인코더(ENCORDER) 발진회로(10A) 트랜지스터(TR1) 발광다이오드(LED1)콘덴서(C2)(C3) 안테나(ANT)로 구성된 주파수송신부(10B)로 구성하여 스위치(SW) 온시키면, 임의의 암호가 기억된 데이타신호가 안테나(ANT)를 통하여 송신되면 이 송신된 신호는 제11도의 수신회로에서 수신하게 되는데 이때 수신회로는 정전압부(11A) 안테나(ANT) 저항(R1-R8) 콘덴서(C4-C9) 트랜지스터(TR1)(TR2)로 구성된 검파회로(11A)와 저항(R9-R13)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된 증폭회로(11B)와 저항(R14)(R15) 트랜지스터(TR3)로 구성된 인버터회로(11C)와, 입력되는 주파수를 하나신호로 해독하는 디코더(DECORDER) 발진회로(OSC1)(OSC2)로 구성하며 상기 송신회로로부터 송신된 주파수를 안테나(ANT) 및 검파회로(11A) 증폭회로(11B) 및 인버터회로(11C)를 통하여 송신호로부터 송신된 주파수를 그대로 받게되면 이 신호는 디코더(DECORDER)에 의하여 하나의 신호로 되어 제2도의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는 프로그램된 상태에 따라 제어하여 헤드라이트부(3), 경보기(4), 자동차의 도어부(11), 리모콘(10)(10A), 플레시(12), 등을 각각 구동시키게 된다.
제12도는 외부충격감지송신부에 대한 상세 회로도로서 자동차의 본네트나 자동차의 몸체에 충격이 있을 경우에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압전소자(PZ)와 가변저항(VR1) 저항(R1-R9) 콘덴서(C1-C2) 연산증폭기(op1)(op2)로 구성된 증폭회로(12A)와 콘덴서(C3) 저항(R10-R12)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된 인버터회로(12B)와 인코더(ENCORDER)와 저항(R14-R17) 콘덴서(C5-C8) 트랜지스터(TR1) 안테나(ANT)로 구성된 주파수발생회로(12C)로 구성하여 상기 자동차의 론네트가 기타 자체의 충격이 발생된 충격신호는 압저소자(PZ)에서 감지되고 이 감지된 신호는 충격감지송신부의 증폭회로(12A)에서 증폭되고 인버터회로(12B)에 의하여 반전되어 주파수발생회로(12C)의 안테나(ANT)를 통하여 송신하면 이 송신된 신호는 제11도의 수신회로에서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안테나(ANT)를 통하여 수신된 주파수는 검파회로(11A)에 입력되어 검파되고 검파된 신호는 다시 증폭회로(11B)를 통하여 증폭되어 인버터회로(11C)에 다시 반전되어 디코더(DECORDER)를 통하여 다시 하나의 신호로 만들어져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제어하고 이 제어된 신호를 경보송신기(SI-TX)를 통하여 경보수신기(SI-RX) 및 헤드라이트부(1)에 인가되어 경보발령 및 헤드라이트를 점멸시키게 된다.
제13도의 경보부의 경보수신부(SI-RX)의 상세 회로도로서 제5도의 경보수신부(SI-RX)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경보음을 발하도록 한것으로 경보수신부(SI-RX)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릴레이(RY) 트랜지스터(TR1)(TR2)로 구성된 릴레이구동부(13A)와 트랜지스터(TR3)(TR4) 저항(R2-R7) 콘덴서(C1-C3)로 구성된 경보음발진회로(13B)와 저항(R8)(R9) 콘덴서(C3-C5) 트랜지스터(TR5)(TR6)로 구성된 발진단속회로(13C)와 연산증폭기(OP1)(OP2) 스피커(SP) 가변저항(VR) 저항(R10-R14) 콘덴서(C7-C12)로 구성된 증폭부(13D)로 구성하여 상기 제5도의 경보수신부(SI-RX)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릴레이구동부(13A)를 통하여 릴레이를 구동시키면 경보음발진회로(13B)에 의하여 발진음이 발생되고, 이 발진음은 발진단속회로(13C)에 의하여 발진음이 단속되어 증폭부(13D)에 입력된다.
따라서 증폭부(13D)에서는 단속된 발진음을 증폭하여 스피터(SP)를 통하여 출력되게 된다.
제14도는 키보드부의 적외선송수신과정을 나타낸 상세 회로도로서 제6도의 매트릭스키보드(Key-Board)로부터 눌러진 키보드상태에 따라 데이타가 입력되는 인코더(Encorder)와 이 인코더(Encorder)에 의하여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TR1)(TR2)(TR3) 저항(R1-R4) 발광다이오드(LED1-LED3)로 구성된 적외선발생부(14A)로 구성하여 키보드에서 세트시킨, 신호상태 즉 키보드가 눌려진 상태에 해당하는 데이타의 적외선을 송출시키면 이 적외선은 제9도의 적외선수신기에서 받아 수신된 적외선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제2도의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입력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이를 제어하여 자동차를 기동시키거나 경보를 발하거나 임의의 비밀번호를 변경시키게 된다.
제15도는 자동차의 충격 또는 소음을 감지하는 충격센서부(8)의 상세 회로도로서 자동차의 도어 본네트나 트렁크에 설치하여 침입자에 의한 충격 또는 소음을 감지하도록 한 것으로 충격을 감지한 마이크(MIC)와 저항(R1-R6) 콘덴서(C1)(C2)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된 증폭회로(15A)와 저항(R7-R11) 콘덴서(C3-C6)로 구성된 필터(15B)와 콘덴서(C7-C9) 연산증폭기(OP2) 저항(R12-R14)으로 구성된 증폭회로(15C)와 대역폭을 넓히기 위하여 톤디코더(15D)(15E)로 구성하여 외부충격 소음을 마이크(MIC)에 의하여 감지한후 이 감지된 신호를 증폭회로(15A) 필터(156)를 통하여 필터하고 이 필터링 된 신호는 증폭회로(15C)에 의하여 증폭된 후 대역폭을 넓히는 본디코더(15D)(15E)에 의하여 일정시간 지연시킨후 이 지연된 신호를 제12도의 외부충격 수신부(EXS-RX)를 통하여 송신하면 외부충격수신부(EXS-RX)에서는 이 신호를 주제어부(1)의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입력시켜 프로그램된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데이타단자(DATA)를 통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제16도는 자동차의 전원컨트롤부에 관한 상세 회로도로서 제6도의 키보드(6)에 의하여 선택된 신호가 적외선수신부(IR-RX)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인가되면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는 이 신호를 제어하여 전원콘트롤부인 전원제어송신부(PWR-TX)에 인가시키게 된다. 이 전원제어송신부에서는 이 신호를 발진회로(16A)(16B)를 갖는 디코더(DECORDER1)와 이 디코더(DECORDER1)에서 출력된 신호를 해독하여 전원부와 시동부로 분리출력하는 디코더(DECORDER)와, 릴레이부(RY1)(RY2)와 저항(R4)(R5) 트랜지스터(TR1)(TR2)로 구성된 전원공급용구동회로(16C)와 릴레이(RY3) 트랜지스터(TR3) 저항(R6)으로 구성된 엔진시동용구동회로(16D)로 구성되어 상기 키보드(6)에 선택된 신호에 의하여 자동차에 전원공급 및 엔진의 시동을 걸게 된다.
제17도는 자동차의 도어제어구동수신부에 관한 상세회로도로서 제2도의 도어구동송신부(DRCT-TX)로 부터 발생되는 적외선 받아 동작하도록 되어있고 이 도어제어구동수신부(DRCT-RX)는 적외선감지센서(17A)와 발진회로(OSC)를 갖는 인코더(ENCORDER)와 인코더(ENCORDER)의 출력을 해독하는 디코더(DECORDER)와 디코더(DECORDER)에 출력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도어 및 창문을 제어하는 저항(R2)(R3),(R4)(R5) 트랜지스터(TR1)(TR2), (TR3)(TR4) 릴레이(RY1)(RY2), (RY3)(RY4)로 구성된 도어구동부(17B)와 창문구동부(17C)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는 제6도의 키보드(6)에 의하여 눌려진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 제어하여 도어송신부(DRCTL-TX)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면 도어송신부(DRCTS-TX)에서는 적외선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어제어수신부(DRCTL-RX)에서는 적외선신호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는 인코더(ENCORDER)를 거쳐 코드화된후 디코더(DECORDER)에 의하여 도어개폐신호와 창문개폐신호로 출력되어 도어구동부(17B)와 창문구동부(17C)로서 도어 및 창문을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제18도는 초음파송수신회로에 관한 상세회로도로서 자동차의 내부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감지하는 인버터(INV1-INV3) 저항(R1)(R2) 소움파마이크(MIC)로 구성된 초음파감시부(18A)와 초음파수신마이크(MIC) 저항(R3-R8) 콘덴서(C2-C4) 트랜지스터(TR1)(TR2)로 구성된 발진부(18B)와 콘덴서(C5)(C6) 다이오드(D1)(D2) 저항(R9)(C10)으로 구성된 정류부(18C)와 저항(R11-R13) 콘덴서(C7-C10) 인버터(INV4)로 구성된 증폭부(18D)와 인버터(INV5) 발광다이오드(LED) 트랜지스터(TR1) 저항(R17)(R18)로 구성된 표시부(18F)로 구성하여 차내의 침입자가 들어왔을때 초음파발진부(18B)로 이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는 발진부(18B)와 정류부(18C) 증폭부(18D)를 거쳐서 침입자의 이동에 따른 상태를 감지하여 제2도의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입력시켜 침입자에 대한 경보 또는 스트로브플레쉬를 동작시켜 침입자는 퇴치하게 되는 것이다.
제19도는 제18도의 일실시예도로서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도록 한 것으로 정전기를 감지하는 안테나(ANT)와 안테나(ANT)로부터 인체의 정전기를 감지하는 정전기감지검출부(19A)와 이 감지된 정전기를 증폭하는 증폭부(19B)와 증폭된 신호를 드레이시홀더레벨까지 검출하는 검출부(19C)와 검출된 신호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9D)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자동차의 내부에 침입자가 들어왔을때 초음파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침입자로부터 발생되는 정전기를 감지하여 이 감지된 상태에 따른 발진 증폭하여 제2도의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인가시키면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 이 신호를 제어하여 이 제어신호로 경보호출기(2) 헤드라이트(3) 경보기(4) 스트로브플레쉬 및 증폭부(13)를 구동시켜 침입자를 퇴치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20도는 헤드라이트부에 대한 상세회로도로서 콘덴서(C1)(C2) 레귤레이터(REG)로 구성된 정류부(20A)와 저항(R1-R4)(R10) 콘덴서(C3-C6) 코일(L) 다이오드(D1)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된 발진회로(20B)와 이 발진회로(20B)에 의하여 발진신호를 증폭하는 저항(R5-R11) 콘덴서(C7-C9) 트랜지스터(TR2)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된 증폭회로(20C)와 증폭된 신호를 반전하는 저항(R12-R14) 트랜지스터(TR3)로 구성된 인버터회로(20D)와 반전된 신호를 발진하는 발진회로(20E)와 발진회로(20E)의 출력신호에 따라 헤드라이트의 점멸을 제어를 하는 시정수회로(20F)와 저항(R18) 트랜지스터(TR4) 릴레이(RY)로 구성된 릴레이구동회로(20G)로 구성하여 제12도의 충격센서부(8) 경보호출기(2)의 경보송신부(SI-TX)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받아 발진회로(20B)를 거쳐 발진만 후 이 발진한 신호를 증폭회로(20B)로서 증폭하고 이 증폭된 신호는 인버터회로(20C)를 통하여 반전하면 인버터회로(20C)에서는 상기 경보송신부(SI-TX)에서 발생된 원신호가 그대로 출력되어 발진회로(20E)에 의하여 발진되어 출력되고, 이 출력신호는 헤드라이트의 점멸을 제어하는 시정수회로(20G)에 인가되어 릴레이구동회로(20F)를 제어함으로써 경보발령시 헤드라이트를 점등 점멸하며 경보를 알리게 되는 것이다.
제21도는 스트로브플레쉬 및 증폭회로의 상세회로도로서 자동차의 내부에 침입자가 들어왔을때 스트로브플레쉬가 발광하면서 차내의 스피커를 울려 침입자를 퇴치하도록 한것으로 즉 제2도의 마이크로컴퓨터(MPU)에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게 되는데 그 구성은 저항(R1)(R2) 트랜지스터(TR1) 릴레이(RY)로 구성된 릴레이구동회로(21A)와 저항(R3-R5) 콘덴서(C1-C2) 트랜지스터(TR2)(TR3)로 구성된 경보음발진부(21B)와, 가변저항(VR) 저항(R6-R10) 콘덴서(C3-C6) 트랜지스터(TR4)(TR5)로 구성된 경보음단속회로(21C)와 연산증폭기(OP1)(OP2) 스피커(SP) 가변저항(VR2) 저항(R11-R16) 콘덴서(C7-C12)로 구성된 증폭부(21D)와 트렌스(T1) 트랜지스터(TR6) 다이오드(D3)(D4) 저항(R17-R18) 가변저항(VR3) 콘덴서(C13-C16) 스트로브플레쉬(STROBO) 쌍방향성 2단자다리스터(SSS)로 구성된 플레쉬부(21E)로 구성하여 제2도의 마이크로컴퓨터(MPU)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릴레이구동회로(21A)로 구동시켜 스피커 SP를 단속함과 아울러 경보음발진부(21B)와 경보음단속회로(21C)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키면 이 경보음은 증폭부(21D)에 의하여 증폭되어 경보음을 발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릴레이구동회로(21A)에 의하여 스트로브플레쉬(STROBO)에 전원이 인가되어 플레쉬를 터트려 침입자의 사이를 가리게 하여 침입자의 행위를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도로서 리모콘을 휴대한 운전자가 자동차에 접근하면 마이크로컴퓨터(MPU)의 스캔신호에 의하여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자동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송수신(RE-TX1)(RE-RX)와, 휴대용리모콘(RE-TX)(RE-RX1)을 한쌍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그 회로구성은 제10도 및 제11도와 동일하다. 다만 휴대용리모콘(RE-TX)(RE-RX1)에는 스위치(SW)가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제2도의 마이크로컴퓨터(MPU)로부터 스캔신호가 송신되면 휴대용리모콘송수신기(RE-TX)(RE-RX1)에서는 이 신호를 받아 암호신호를 리모콘송수신기(RE-TX1)(RE-RX)에 보내면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는 이 신호를 받아 제어하되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두세번에 걸쳐 스캔신호를 재송출시켜 암호신호를 확인한 후 도어를 자동열도록 한 것이다.
제2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이크로컴퓨터(MPU)의 제어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먼저 시스템을 리세트시켜 초기상태로 만든 다음 이어서 리모컨(10) 신호가 입력되었나 키보드(6) 신호가 입력되었나를 판별하게 되는데 이때 리모콘(10) 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는 리모콘(10)에 의하여 자동차의 경보무장을 해제시키고 도어를 열게한 후 경보무장이 해제되었나 안되었나를 판별한다.
이어서 경보무장이 해제되었을 경우 차내로 들어가 자동차를 기동시키고자 할 경우 차내부에 설치된 키보드(6)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키보드(6)를 통하여 4자리 암호화된 숫자를 올바르게 눌렀으면 이 4자리숫자입력을 해독하고 비밀번호와 입력된 4자리숫자가 동일할 경우 경보음 2회 울리고 자동차에 전원이 인가되게 된다. 이때 비밀번호와 입력 4자리숫자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에러부저가 울린다.
이어서 운행을 하고싶으면 키보드(6)의 스타트 버튼(S)을 눌러 자동차에 시동을 걸어 운행을 하게 된다. 한편 운행후 차에서 내릴때나 자동차를 주차시키기 위해서는 키보드(6)의 리세트버튼(R)을 누르면 시동은 켜지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암호번호를 변경 또는 갱신하고져 할 경우에는 먼저 기능버튼을 누르면 경보음(BZ)이 울리고 리모콘 동작신호가 있는가 경보동작신호가 있는가를 판별하게 되는데 경보동작신호인 경우에는 경보동작은 온 또는 오프로 세트시키고 경보음(BZ)을 오프시킨다.
반면에 리모콘동작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키보드(6)를 비밀번호 갱신으로 세트되고 경보음(BZ)을 오프시킨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 갱신세트모드가 된 상태에서는 키보드(6)로부터 4자리숫자입력을 하고 경보음(BZ) 구동 비밀번호를 세트하게 된다.
한편 리모콘신호 입력이 들어왔을 경우에 상기 경보우장이 되었을 경우 경보가 해제 또는 무장이 토글되게 되는데 이때 사이렌을 1회 울리고 리모콘(10)의 신호가 3초이상 입력되었다 안되었나를 판별한 후 3초이상 입력되었을 경우 도어만 잠그고 사이렌을 1회울리고 엔진이 가동중인가 정지인가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엔진이 가동중이면 도어잠금 카운터 세트시키고 엔진이 가동중이 아닐때는 전원오프시켜 전원을 클리어시킨다.
한편 상기 리모콘(10)의 신호가 3초이상 입력되지 않았을 경우 자동차의 전원오프시키고 전원을 클리어시킨다. 이어서 차내에 사람이 있는가를 판별하는데 사람이 없으면 도어가 열려있나를 판별하여 도어가 잠겨있으면 도어잠금카운터를 세트하게 된다.
열려 있으면 도어열림플레그를 세트시키고 사이렌을 토글(toggle) 시킨후 10초이내 도어잠김을 판별하게 되고 이때 도어가 10초이내 잠겨지면 도어열림플레그를 클리어시킨후 다시 차내의 사람이 있는가 없는가를 확인하게 되고 도어가 10초이내 잠겨지지 않으면 도어잠금카운터를 세트한다.
이와 같이 도어잠금카운터 세트되고 난후 각종센서 및 타이머입력신호를 판별하게 되는데 이때 타이머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약속시간 경보를 송신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운전자에게 경보호출기(2)에 약속시간을 알려주게 되고, 상기 센서입력이 인가되면 내부센서 또는 외부센서 입력에 따라 경보시스템을 구동시켜 경보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24도는 제23도의 일실시예로서 한쌍의 리모콘송수신기(RE-TX1)(RE-RX)와 휴대용리모콘송수신기(RE-TX)(RE-RX1)를 갖고 주제어부의 스캔신호에 의하여 휴대용리모콘송수신기의 리모콘신호입력을 판별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리모콘확인신호송신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을 리세트시킨 상태에서 휴대용리모콘확인신호를 송신하면 제2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신호가 입력되나 안되나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리모콘신호가 입력되면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리모콘확인신호송신을 중지하고 리모콘확인신호가 없으면 다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다시 리모콘확인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마이크로컴퓨터(MPU)에 리모콘확인신호입력이 입력되면 이것은 마이크로컴퓨터(MPU)에서 에러임을 판별하여 다음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리모콘확인신호입력이 없으면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리모콘확인신호를 다시 송신하여 리모콘확인신호입력유무를 판별하게 되는데 이때 리모콘확인신호입력이 없으면 다음기능을 수행하고 리모콘확인신호입력이 있으면 다시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리모콘확인신호송신을 중지한 후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다시 리모콘입력신호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리모콘입력신호가 없으면 도어를 잠그고 리모콘입력신호유무를 확인한 후 리모콘입력신호가 있으면 도어를 열고 다시 리모콘확인신호송신을 다시 하게 된다. 왜냐하면 리모콘을 갖고 있는 운전자가 다시 그 자리를 떠났을 경우를 대비하여 안전을 기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상기 리모콘입력신호가 없으면 센서신호확인한 후 센서신호가 있으면 경보를 발령하고 센서신호가 없으면 타이머입력신호를 확인하여 없으면 리모콘입력을 다시 확인하고 타이머입력신호가 있으면 세빙시간 경보를 알려준다.
상기 리모콘입력신호가 있으면 도어를 열렸나 안열렸나를 확인하게 되는데 도어가 안열렸으면 다시 리모콘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수행하고 도어가 열려 있으면 제2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6)로부터 키 입력신호가 있느냐 없느냐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도 마찬가지로 키보드(6)로부터 스트로브신호입력이 들어왔을때 마이크로컴퓨터에서는 다시 리모콘확인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리모콘확인신호입력을 확인하게 되는데 리모콘확인입력신호가 없으면 다음 순서처리를 하고 리모콘확인신호입력이 있으면 키보드(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타를 받게 된다.
이때 키보드(6)의 스트로브신호가 없이는 데이타를 받아들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에 입력된 키기능에 대한 데이타 분석 및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석처리한 후 타이머신호입력 있느냐 없느냐를 확인한 후 타이머신호가 있으면 세빙시간 경보신호송신하고 도어가 닫혀있느냐를 확인하게 되고 상기 타이머신호가 없으면 도어가 닫혀있느냐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혀있지 않으면 다시 리모콘확인송신을 다시 반복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가 닫혀있으면 다시 키보드(6)의 키스트로브신호입력을 확인하게 되는 과정을 반복수행하다가 도어가 열려있나를 확인하게 되는데 도어가 열려있으면 다시 리모콘확인신호송신과정을 반복수행하고 도어가 열려있지 않으면 다시 상기 키스트로브신호입력 유무를 반복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두번반복하는 것은 운전자가 외부에서 차안에 탑승할 경우와 차안에 있는 경우에 따른 동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부에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센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초음파센서, 유리창을 깨는 등의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센서, 본네트를 파괴할때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자동차문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센서 등의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와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울려주는 사이렌스피커 헤드라이트를 점멸시키는 헤드라이트부 운전자가 소지한 경보호출기로 경보상태를 무선으로 알려주거나 경보기카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해 강력초음파를 자동출력시키거나 침입자의 시야를 가리게 하는 스트로브플레쉬를 설치시킴으로써 자동차에 침입자접근이나 내부로 침입되는 침입자를 각종센서 및 경보장치를 감지 경보함으로써 침입자를 손쉽게 퇴치할 수 있고 설령 차량에 설치된 센서 및 경보장치를 피하여 차내에 침입했더라도 키보드는 리모콘으로 경보해제를 하지 않고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키보드를 통하여 자동차를 가동시킬 수 없어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충격센서는 순간적인 감지신호에 대해서는 경보동작을 하지 않고 일정기간 동안 계속해서 신호가 감지될때만 경보동작을 하게 되어 어린이의 장난으로 자동차를 두드리거나 주위의 큰소음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감지된 신호는 무시하게 되어 안정되고 편리한 도난경보장치를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자동차의 도어개폐시동전원제어, 도난감지 및 경보발령을 하기위하여 입력되는 신호 및 데이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MPU), 래치회로(LT) 버퍼(Buf1)(Buf2) 전원제어송신부(PWR-TX)로 구성된 주제어부(1)와, 상기 주제어부(1)가 시동전원 제어할 수 있도록 시동전원의 온 오프 및 경보발령상태로 세팅하고 임의의 암호번호를 기억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키보드(6)와 상기 주제어부(1)가 도어개폐, 시동전원제어, 도난감지 및 경보발령을 제어하도록 암호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리모콘(10)과 상기 키보드(6)의 조작에 따른 주제어부(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전원을 온 오프하는 전원제어릴레이부(11)와 상기 리모콘(10)에 의하여 상기 주제어부(1)로부터 도어개폐 제어신호를 받아 차량도어를 개폐하는 도어제어부(12)와, 상기 주제어부(1)에서 도난감지 및 경보발령제어상태에서 자동차에 접근하는 침입자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주제어부(1)가 제어하여 경보를 발하는 경보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리모콘(10)은 스위치(SW)에 의하여 코드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신하는 리모콘송신기(RE-TX)와 무선주파수신호로 수신된 코드가 일치되었을때 주제어부(1)에 리모콘입력신호를 공급하는 리모콘수신기(RE-RX)로 구성하여 상기 스위치(SW)를 누를때마다 주제어부(1)가 도어를 잠그면서 경보상태 또는 도어를 열면서 경보해제상태로 상호전환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10)을 주제어부(1)의 신호에 의하여 코드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송신하는 리모콘송신기(RE-TX1)와 이 리모콘송신기(RE-TX1)와는 다른 주파수의 신호로 수신된 코드가 일치되었을 경우 주제어부(1)에 상기 리모콘송신기(RE-TX1)의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수신기(RE-RX)를 부가하고 이에 모드 및 무선주파수로 송수신되는 휴대용리모콘송수신기(RE-TX)(RE-RX1)로 구성하여 리모콘송수신기(RE-TX1)(RE-RX)의 상호통달거리내에 휴대용리모콘의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도어개폐 및 경보체제 또는 해제를 상호전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휴대하고 있는 리모콘송수신기(RE-TX)(RE-RX1)이 주제어부(1)에 접근시 2회이상을 빠른 시간내에 반복확인하여 인위적 조작에 의한 입력되는 리모콘신호를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전원 제어 및 도난경보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키보드(6)를 통하여 차량전원을 온시킬때 휴대용리모콘송수신기(RE-TX)(RE-RX1)가 존재시만 전원 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감지수단은 소음감지센서(7) 충격센서부(8) 초음파 및 접근센서(9)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센서(17A)로 구성되고 경보수단은 경보호출기(2) 헤드라이트제어부(3) 경보기(4) 플레쉬 및 증폭기(13) 약속시간을 상기 경보호출기(2)를 통하여 알려주도록 타이머(5)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시스템.
KR1019880001403A 1988-02-13 1988-02-13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KR900006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1403A KR900006095B1 (ko) 1988-02-13 1988-02-13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AU18164/88A AU1816488A (en) 1988-02-13 1988-06-20 Keyless ignition and security system
BR8803010A BR8803010A (pt) 1988-02-13 1988-06-20 Sistema de ignicao sem chaves e de seguranca para um automo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1403A KR900006095B1 (ko) 1988-02-13 1988-02-13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838A KR890012838A (ko) 1989-09-19
KR900006095B1 true KR900006095B1 (ko) 1990-08-22

Family

ID=1927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403A KR900006095B1 (ko) 1988-02-13 1988-02-13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00006095B1 (ko)
AU (1) AU1816488A (ko)
BR (1) BR88030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8581A1 (en) * 1999-06-22 2000-12-28 Dam Joo Park Network system for notifying burglary vehicles of dri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M282493A0 (en) * 1993-12-06 1994-01-06 Robert Bosch (Australia) Proprietary Ltd. A siren unit
CN111915858B (zh) * 2020-08-04 2022-03-29 山东科技大学 一种融合模拟量与数字量相关信息的报警方法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8581A1 (en) * 1999-06-22 2000-12-28 Dam Joo Park Network system for notifying burglary vehicles of dr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816488A (en) 1989-08-17
BR8803010A (pt) 1990-02-01
KR890012838A (ko) 198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4688A (en) Vehicle security system having enhanced remote transmitter security
US4897630A (en) Programmable alarm system having proximity detection with vocal alarm and reporting features
US5986571A (en) Building security system having remote transmitter code verification and code reset features
US6140939A (en) Biometric characteristic vehicle control system having verification and reset features
US4794368A (en) Programmable automobile alarm system having vocal alarm and reporting features
US5126719A (en) Remotely armed alarm system
US5790015A (en) Security apparatus
US4970494A (en) Radio controlled home security system
US6107914A (en) Vehicle anti-theft and anti-vandalism alarm
US5905432A (en) Vehicle anti-theft and anti-vandalism alarm
US7501937B2 (en) Vehicle security device including pre-warn indicator and related methods
GB2119548A (en) Locking system
US6323762B1 (en) Car jacking prevention system
KR900006095B1 (ko) 자동차의 시동전원제어 및 도난경보 시스템
US4337454A (en) Alarm unit for preventing theft of vehicles
CA2452296C (en) Vehicle security device having pre-war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6104309A (en) Anti-theft system for automotive electronic accessory with coded interlock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JP2871411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2001098812A (ja)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
GB2259390A (en) Vehicle alarm system
KR0140608Y1 (ko) 자동차의 도난 경보장치
GB2274531A (en) Vehicle theft alarm
WO1996036949A1 (en) Advanced automotive automation and security system
JPS621661A (ja) 無線式車両保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