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111B1 - 플라스틱제 버클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111B1
KR890000111B1 KR1019870005887A KR870005887A KR890000111B1 KR 890000111 B1 KR890000111 B1 KR 890000111B1 KR 1019870005887 A KR1019870005887 A KR 1019870005887A KR 870005887 A KR870005887 A KR 870005887A KR 890000111 B1 KR890000111 B1 KR 89000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hole
male member
li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028A (ko
Inventor
세이히꼬 이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ublication of KR88000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스틱제 버클
제1도는 버클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버클의 연결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벨트장착부의 요부 단면도.
제7도는 동 벨트의 장착상태의 설명도.
제8도는 타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벨트 1 : 버클
2 : 숫부재 3 : 암부재
4 : 구멍부 33 : 구멍측면
34 : 수납오목부
본 발명은 분리가능한 숫부재나 암부재등으로 된 플라스틱제 버클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예를들면, 벨트나 스트랩(Strap)등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런류의 버클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특개소54-31338호)에서 서로 분리가능한 숫부재와 암부재로 되고 상기 암부재는 중공의 통형을 이루고 그 일단에 상기 숫부재가 삽입될 구멍부를 구비해서된 플라스틱 제의 버클은 종래의 공지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암부재는 그 중공 내부에 숫부재를 받아들이는데 그치고 그 중공내부는 활용되지 못하였다. 특히 오늘날에 와서는 버클이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됨에 따라서 그 용도에 맞는 여러가지 요구나 요망이 요청되어 왔다. 예를들면 그 요구의 하나로서 버클자신의 기능을 손상함이 없이 무엇인가 수납공간이 없이 무엇인가 수납공간이 있으면 편리하다는 요구가 그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요구를 만족하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에서 그 내용을 실시예에 따라서 제1도의 구조와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암부재(2)의 중공내부에는 적어도 한쪽에 개페가능한 구멍측면(33)을 갖는 작은 물건등의 수납용인 수납오목부(3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버클과 같이 숫부재(2)와 암부재(3)를 서로 연결, 분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버클과는 달리 구멍측면(33)을 벌리어 수납 오목부(34)내에 수납물(도시없음)을 넣어서 그 구멍측면(33)을 닫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실시예에 의거 설명한다. 제1도중, 1은 플라스틱 버클을 표시하며, 이버클(1)은 상호 분리 가능한 숫부재(2) 암부재(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숫부재(2)는 제1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경사부(4)와, 이 경사부(4)의 전면 양단에서 앞을 향하여 연장한 좌우 한쌍의 탄성대(5),(5)와 상기 경사부(4)의 후면에서 뒷면을 향하여 연장한 대체로
Figure kpo00001
자형 벨트 장착부(6)를 구비하고 플라스틱으로 일체 성형하여서 된 것이다. 또 상기 경사부(4)의 전면에는 대체로 중앙의 전방으로 짧게 연장하여 결정위치된 유동방지용 돌기(7)를 일체적으로 튀어나오게 설치하여져 있다. 또 양 탄성대(5)의 끝부분에는 좌우 외방향으로 길게 뻗은 화살형의 걸림부(8)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걸림부(8)의 후단을 경사시켜 뒷쪽으로 경사진 걸림끝단부(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밸트 장착부(6)는 제6도, 제3도및 제4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경사부(4)의 후면 좌우양단에서 뒷쪽으로 연장하여 서로 마주 보이게 한 평행한 한쌍의 측편(10),(10)과 양측편(10)사이에 가로질러 설치되고 인접한 한쌍의 다각형면단의 바아(11),(12)를 구비하며 양바아(11),(12)의 일방 여기서는 내측 바아(11)의 양단을 양측편(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있다.
또한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바아(11)의 양단에서 좌우 한쌍의 축(13),(13)을 튀어나오게 설치하고 양축(13)은 양측편(10)에 관통한 축구멍(14),(14)에 각각 끼워져 있다.
또 이 축(13)과 축구멍(14)은 성형시에 축(13)을 남겨놓고 축구멍(14)을 타발성형하면 된다. 또 회전바아(11)는 제6도에서와 같이 대체로 마름모꼴로 변형한 6각형 단면형성을 이루고 있지만 단순히 마름모꼴등의 4각형도 된다. 본 실시예의 의한 회전바아(11)는 타방의 고정바아(12)의 저면(15)과 대체로 평행한 폭이 좁은 제1면(16)과 이 제1면(16)에 예각적으로, 예를들면 대체로 수직으로 세워진 제2면(17)을 구비하여 양면(16),(17)사이에는 타방의 고정바아(12)와 마주한 각부(18)를 형성한다. 기타 제2면(17)에 둔각적으로 예를들면 대체로140°의 각도로 접한 경사진 윗쪽으로 연장한 제3면(19)을 갖고 이 제3면(19)에는 회전 바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횡홈(20)을 형성, 이 횡홈(20)에 의하여 밸트(B)의 폭방향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 기타의 제4-6면(21)내지(23)은 먼저 설명한 제1-제3면과 축심에 대하여 각각 대칭면을 이루고 있음으로 이는 생략한다. 상기 고정 바아(12)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양측편(10)의 내측면에 연이어 설치하고, 앞서 설명한 수평한 저면(15)과 이 저면(15)에 예각적으로 예를들면 대체로 수직으로 세운 입상면(24)을 구비하고 양면(15),(24)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바아(11)의 각부(18)와 서로 마주한 고정각부(25)를 형성한다
상기 입상면(24)은 상기 회전바아(11)의 정지상태의 제2면(17)과 평행으로 마주한 양면(17)(24)의 대향 간격을 벨트(B)의 두께보다도 충분하게 크게한다. 또 입상면(24)의 높이 중간에는 제6도에서와 같이 회전바아(11)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는 맞닿음부(26)를 형성하고 있다. 이 맞닿음부(26)는 회전바아(1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때에 그 제2면(17)과 접하는 하향진 하면을 구비하여, 이하 면으로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회전바아(11)의 반시계 둘레의 회전을 지지한다. 또 고정바아(12)의 저면(15)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회전바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횡홈(27)을 형성, 이 횡홈(27)에 의하여 벨트(B)의 폭방향의 이동을 저지한다. 한편, 상기 암부재(3)는 제3도-제5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적어도 한쪽에 상기 숫부재(2)의 양 탄성대(5)가 그 탄성을 이용하여 내향으로 휘어지면서 통과 가능한 구멍부(28)를 구비하고 폭이 넓은 상하벽(29),(30)과 폭이 좁은 좌우 양측벽(31),(31)에 의하여 사방을 둘러싼 편평한 중공통형을 이룬 본체케이스(32)와 이 본체케이스(32)의 후단에서 뒤쪽으로 연장한
Figure kpo00002
자형 벨트 장착부(6')를 구비하여 플라스틱으로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또 상기본체 케이스(32)의 중공내부에는 폭이 넓은 상하벽(29),(30) 어느 일방에 구멍측면(33)을 갖는 수납오목부(34)를 형성, 이 수납오목부(34)의 구멍측면(33)을 뚜껑체(35)로 개폐가 가능토록 되어 있다. 또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는, 이 뚜껑체(35)를 암부재(3)와는 별도로 플라스틱으로 성형하도록 하였으나 뚜껑체(35)가 암부재(3)와 얇은 골재로 서로 연접시켜 암부재(3)와 일체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성형하도록해도 무방하다. 더욱더 실시예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본체 케이스(32)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폭이 넓은 상,하벽(29),(30)과 폭이좁은 좌우 양측벽(31)을 구비한 외에 전면의 양단에 뚫어 설치한 구멍부(28)를 제외하고는 앞쪽은 앞벽(36)으로 막고 그 후면은 후벽(37)으로서 전부 막혀있다. 또 본체 케이스(32)의 내부에는 약측벽(31)에 대향시켜서 그 내측으로 구멍부(28)의 좌우횡홈폭과 같은 간격으로 한쌍의 내벽(38),(38)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내벽(38)과 측벽(31)과의 사이에 제3도에서와 같이 일단이 구멍부(28)에 맞닿고 상기 숫부재(2)의 탄성대(5)가 통하는, 전후가 가늘고 속이빈 좌우 한쌍의 통로(39),(39)를 형성한다. 또 양내벽(38)의 사이에 그 주위가 앞벽(36), 후벽(37) 및 내벽(38)의 각 내측면에서 나란히 그 상벽이 상벽(29)으로 막히고 그 구멍측면(33)이 하벽(30)으로 크게 열려진 수납오목부(34)를 형성한다. 또 상기 양측벽(31)에는 상기 숫부재(2)의 탄성대(5)의 걸림부(8)가 끼워질 상기 통로(39)에 열려진 좌우 한쌍의 공간부(40),(40)를 뚫어 설치하고 이 공간부(40)를 폭이 넓은 상하벽(29)(30)으로 일부 갈라놓음과 동시에 그 후면을 상기 탄성대(5)의 걸림부(8)의 걸림끝단부(9)와 같은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걸림끝단부(9)에 반대방향으로 걸리는 걸림끝단부(41)를 형성한다.
또 상기 앞벽(36)에는 그 중앙에 숫부재(2)의 경사부(4)에서 튀어나오게 설치된 돌기(&)가 끼워질 작은 사각형의 통공(42)를 뚫어 설치한다. 한편, 상기 수납오목부(34)와 뚜껑체(35)사이에는 제3도-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뚜껑체(35)를 수납오목부(34)의 구멍부(28)에 걸리는 해제가능한 걸림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이 걸림수단은 뚜껑체(35)에서 수직한 톱니형상의 돌기(43)를 갖는 탄성걸림편(44),(45)과 수납오목부(34)의 내벽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43)를 반대방향으로 끼워맞추는 걸림구멍(46),(47)으로 구성되나 이외에 뚜껑체(35)에 걸림단부를 형성해두고 수납오목부(34)의 내벽면에서 이 걸림끝단부에 반대방향으로 걸어맞춤되는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탄성걸림편(44)(45)은 뚜껑체(35)의 앞쪽 양측으로 한쌍을 설치하고 그 후단 중앙에는 한개를 형성하며 전자는 대체로 직선적으로 길게 연장하고 그 길이 중간부에서 앞을 향한 돌기(43)를 구비하고 후자는 후향으로 J자형으로 굴곡하고 그 끝부분에서 후향의 돌기(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구멍(46),(47)는 앞벽(36)의 양측과 후벽(37)의 중앙에 각각 뚫어 설치하고 후자는 후벽(37)을 관통하여 그 구멍 가장자리에는 얇은 홈(48)을 구성하고 있다. 또 수납오목부(34)의 가장자리에는 걸림구멍(46)에 근접시켜서 걸림 편(44)이 끼워질 L자형의 안내벽(49)을 형성해두면 된다. 또 상기 암부재(3)의 벨트 장착부(6')는 숫부재(2)의 벨트 장착부(6)에 비하여 극히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벽(31)을 그대로 뒷쪽방향으로 연장시켜 그 연장단부(31')와의 사이에 상하로 얇은 판상의 가로대(50)로 가로질러 설치하였다. 물론, 숫부재(2)의 벨트 장착부(6)와 같은 구조로 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 숫부재(2)와 암부재(3)의 사용순서를 설명하면 미리 암부재(3)의 수납오목부(34)의 구멍측면(33)을 뚜껑체(35)로 닫아 두고 양부재(2)(3)의 벨트 장착부(6),(6)에 벨트(B)를 각각 장착한다. 먼저 수납오목부(34)의 구멍측면(33)을 닫을 때는 뚜껑체(35)의 걸림편(44),(45)을 안으로 향하여 구멍측면(33)에 뚜껑체(35)를 끼워맞추면 된다. 즉, 걸림편(44)을 안내벽(49)의내측에 끼워 뚜껑체(35)를 구멍측면(33)을 향하여 누르면 각 걸림편(44),(45)이 휘어지면서 수납오목부(34)에 끼워져 각 돌기(43)는 걸림구멍(46),(47)에 끼워진 위치에서, 각 걸림편(44),(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각 돌기(43)가 걸림편(44),(45)에 "탁"하며 끼워져 수납오목부(34)의 구멍측면(33)에 뚜껑체(35)를 걸리게 한다. 이어서 숫부재(2)의 벨트 장착부(6)에 벨트(B)를 장착할때에는 벨트(B)의 자유단(B')을 제6도안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바아(12)의 저면(15)을 미끄러지게 하면서 회전바아(11)의 제1면(16), 제6면(20), 제5면(19)의 순으로 외측에서 감아서 위로 꺼내고 상측에서 하향으로 접어서 양바아(11),(12)의 간격내를 통하여 끌어내리고 앞서 통한 벨트(B)와 고정바아(12)의 저면(15)사이에 그 앞부분이 삽입되도록 하여 외부로 빼낸다. 그리고 벨트(B)를 조일때에는 자유단(B')을 제6도에서 표시한 a방향으로 당기면 된다.
즉 벨트(B)의 자유단(B')을 당기면 벨트(B)는 양바아(11),(12)의 각면을 당겨진 방향에 순서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대하여 벨트(B)를 풀때에는 벨트(B)를 순서로 되돌려서 회전 바아(11)의 상방의 되돌림 포인트에서 일단 풀어두고 벨트(B)의 기단부를 제6도에 표시한 b방향으로 당겨 돌리는 것만으로 벨트(B)를 간단하게 이완시킬 수가 있다. 이와같이 하여 벨트(B)의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벨트(B)의 기단부를 제6도에 표시한 b방향에 되돌려지면, 이에 당겨진 회전바아(11)는 그 축(13)을 지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따라 회전바아(11)의 제2면(17)내지는 그 각부(18)가 벨트(B)를 끼워 고정바아(12)에 점차 접근하고, 양바아(11),(12)의 대향 간격이 점차 좁아져 회전바아(11)의 제2면(17)내지는 그 각부(18)가 벨트(B)를 끼워 고정바아(12)의 맞닿음부(26)의 하면에 닿아 그 회전을 저지한다(제7도). 이 정지위치에 있어서는, 벨트(B)는 상하로 마주보는 회전바아(11)의 각부(18)와 고정바아(12)의 고정각부(25)에 감아져 대체로 Z자상으로 구부려진다.
그러므로서 사용중에 벨트(B)에서 빠지는 방향(제7도중의 b방향)의 힘이 가해졌을때에도 벨트(B)의 길이 중간이 양각부(18),(22)에 강하게 감겨져 밀착되고 벨트(B)의 빠짐을 저지한다. 이에 대하여 벨트(B)에 빠지는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회전바아(11)에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방생하기 때문에 이 회전력으로 회전바아(11)의 제2면(17)내지는 그 각부(18)가 맞닿음부(26)의 하면을 강하게 밀어 양자 사이의 벨트(B)를 양측에서 끼움과 동시에 회전바아(11)의 각부(18)가 맞닿음부(26)의 각[角(26')]이 벨트(B)에 상하 서로 엇갈리게 되어 벨트(B)의 빠짐을 저지한다. 이 작용에 있어서는 벨트(B)의 기단부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벨트(B)와의 마찰과 함께 회전바아(11)의 단면형성이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다. 또 암부재(3)의 벨트 장착부(6')에 벨트(B)의 자유단을 가로대(50)를 통하여 접어서 접어진 끝부분을 벨트(B)의 기단부에 포개어합친 상태로 재봉부착하면 된다.
다음에 암부재(2),(3)의 착탈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숫부재(2)의 양탄성대(5)를 제1도에서와 같이 암부재(3)의 본체케이스(32)의 각 구멍부(28)에 각각 맞추어 삽입하면 된다. 즉 숫부재(2)의 탄성대(5)를 삽입하면 그 앞부분의 걸림부(8)의 외측면은 각구멍부(28)의 내측주위에 맞닿고 구멍부(28)의 내측주위에 눌리워 양탄성대(5)는 그 기단부에서 서로 내향으로 휘어져 구멍부(28)를 통과하고 통로(39)내로 진행핸다. 그리고 탄성대(5)의 걸림부(8)는 공간부(40)에 도달하면 그 탄성력으로 복원하여 걸림부(8)의 공간부(40)에 "탁"하면서 끼워지고 이때의 걸림부(8)는 후단의 걸림끝단부(9)는 공간부(40)의 후단의 걸림턱(41)에 걸리고 양탄성대(5)는 통로(39)내에서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불능하게 구속되고 숫부재(2)와 암부재(3)가 서로 연결된다. 또 이때에 숫부재(2)의 돌기(7)는암부재(3)의 앞벽(36)의 통공(42)에 끼워지게 되어 연결후 유동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데는 각 공간부(40)에서 양탄성대(5)를 손으로 동시에 약간 누르면 된다. 즉 양탄성대(5)를 누르면 양탄성대(5)는 서로 내향으로 휘어져 걸림부(8)의 걸림끝단부(9)가 공간부(40)의 걸림턱(41)에서 빠져나오므로서 양탄성대(5)는 그 탄성력으로 복원하면서 통로(39)를 후퇴하여 구멍부(28)를 향하여 눌러져 후퇴하고 구멍부(28)에서 힘차게 튀여나와 양부재(2),(3)가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분리된다.
또 양부재(2),(3)를 착탈할때 발생하는 탄성대(5)의 휨성은 양내측(38),(38)에 의하여 필요이상으로 휘어지는 것이 저지되므로서 탄성대(5)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암부재(3)의 수납오목부(34)를 사용하는 데는 먼저 뚜껑체(35)를 벗기고 나서 수납오목부(34)안에 수납물(도시없음)을 넣고 뚜껑체(35)를 다시 닫으면 된다. 뚜껑체(35)를 벗기는데는 걸림구멍(47)을 통하여 걸림편(45)의 돌기(43)를 눌러주면 된다.
즉, 홈(48)에서 돌출하고 있는 돌기(43)를 손이나 드라이버의 끝을 이용하여 눌러주면 J자형의 걸림편(45)이 밀리어 그 돌기(43)는 걸림구멍(47)에서 그 걸림이 해제되므로 뚜껑체(35)와 구멍측면(33)사이에 손이나 돌기등의 끝을 밀어넣어 뚜껑체(35)를 경사지게 열고 타방의 걸림편(44)의 돌기(43)를 걸림구멍(46)에서 벗겨져 그 걸림편(44)을 안내구멍에서 벗겨 뚜껑체(35)를 벗기면 된다. 이와같이 하여 뚜껑체(35)를 벗기면 수납오목부(34)의 구멍측면(33)이 개방됨으로 그 구멍측면(33)에서 수납오목부(34)내에 예를들면 지페나 메모된 종이등의 작게 꾸겨진 것이나 소형의 메모전용 메모지를 넣어 그 구멍측면(33)에 뚜껑체(35)를 재차 장착하여 상기한 순서로 뚜껑체(35)를 재차 장착해두면 상벽(29)에 가리워져 수납오목부(34)의 존재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담배 포켓트로서도 활용할 수도 있다. 또따른 수납오목부(34)의 이용방법으로서는 마이크로스위치나 조명장치를 넣을 수 있는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마이크로 스위치(도시없음)를 넣어두면 그 조작돌기(도시없음)를 앞벽(36)의 통공(42)에 두고 숫부재(2)의 돌기(7)로서 조작 돌기를 압압조작시키도록 하면된다.
이와같이 해두면 숫부재(2)의 붙이고 떼는 것을 신호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으로서 응용분야를 넓힐 수가 있다. 예를들면, 자동차의 시이트 벨트의 버클로서 이용하면 사이드 브레이크가 해제된 시점에서 시이트 벨트의 장착이 도지 않았거나 불완전 해도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하케하여주고 시이트 벨트의 장착이 되지 않았거나 불완전해도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발생케하여 주고 시이트 벨트의 적정한 장착을 촉구할 수가 있다. 또 수납 오목부(34)를 암부재(3)의 본체케이스(32)중앙부에 형성했으나 그외에 본체케이스를 상하2단으로 분리하고 그 하측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수납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수납오목부(34)의 구멍측면(33)을 하벽에 형성시켰으나 물론 상벽(29)에 형성해도 되고 그 외에 제8도에서와 같이 수납오목부(34)의 전방을 앞벽(36)으로 막지 않고 형성하여 그 열려진 구멍전면을 수납오목부(34)의 구멍측면(33)으로 해도 된다.
이와같이 수납오목부(34)의 열려진 구멍전면을 구멍측면(33)으로 한 경우에는 그 상하면은 상벽(29)과 하벽(30)으로 막는 것은 물론 숫부재(3)를 삽일할때에 그 경부(4)의 전면(4')으로 상기 구멍측면(33)을 닫을 수가 있으므로서 구멍측면(33)을 막을 뚜껑을 생략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버클과 달리 구멍 측면(33)을 열어 수납오목부(34)내에 수납물을 넣고 그 구멍측면(33)을 닫을 수 있게 하므로서 수납물을 떨어뜨리거나 분실하는 일이 없어서 응용범위가 넓은 가치있는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납오목부(34)내에 지폐나 메모류를 작게 접어 넣을 수 있으므로 담배 포켓트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수납오목부(34)내에 마이크로 스위치나 조명장치의 기능을 활용한 이용방법이 될 수 있다.

Claims (1)

  1. 서로 분리가능한 숫부재(3)와 암부재(2)로 되고 상기 암부재(2)는 편평한 중공통형을 이루고 그 일단에 상기 숫부재(3)가 삽입되는 구멍부(28)를 구비한 플라스틱제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2)의 중공내부에는 적어도 일단에 개폐가 가능한 구멍측면(33)을 갖는 소물 수납용 수납오목부(3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제의 버클.
KR1019870005887A 1986-12-25 1987-06-10 플라스틱제 버클 KR890000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308019A JP2824836B2 (ja) 1986-12-25 1986-12-25 プラスチック製の雌雄型バックル
JP61-308019 1986-12-25
JP86-308019 1986-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028A KR880007028A (ko) 1988-08-26
KR890000111B1 true KR890000111B1 (ko) 1989-03-08

Family

ID=1797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887A KR890000111B1 (ko) 1986-12-25 1987-06-10 플라스틱제 버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24836B2 (ko)
KR (1) KR890000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841A (ja) * 2000-11-15 2002-05-21 Ykk Corp 小物入れ
ES2322743B1 (es) * 2007-06-29 2010-04-06 Zobele España, S.A. Hebilla de liberacion rapida con medios difusores de sustancias volatiles.
KR100995471B1 (ko) * 2008-07-15 2010-11-18 백지숙 휘슬이 장착된 버클
KR101639370B1 (ko) * 2015-01-21 2016-07-13 (주)경도상사 분리조작이 용이한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8905U (ko) * 1979-05-02 1980-11-15
JPS5941106U (ja) * 1982-09-10 1984-03-16 正垣 良郎 ズボン用ベルト金具
JPS6027951U (ja) * 1983-07-30 1985-02-25 直井 高一郎 マーカーとグリーンフオークとを備えたホルダー
JPS6198202A (ja) * 1984-10-18 1986-05-16 エドガ−・サンドバル 収納部付きバツ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60602A (ja) 1988-07-04
JP2824836B2 (ja) 1998-11-18
KR880007028A (ko)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068B1 (ko) 플라스틱제 버클
US5441182A (en) Garment hanger with locking information clip
JPS6244649Y2 (ko)
US3967351A (en) Clasp
KR920002010Y1 (ko) 슬라이드 파스너의 해제를 저지하는 장치
US3844000A (en) Clasp
JPH0551110U (ja) バックル
JP2004160166A (ja) バックル
TWI383757B (zh) Zipper with the slider
US10588383B2 (en) Buckle
KR890000111B1 (ko) 플라스틱제 버클
US20040025310A1 (en) Buckle
CN111150180A (zh) 拉链用连结件
KR910002844Y1 (ko) 버 클
US3440697A (en) Buckles for safety belts
US3932917A (en) Buckle assembly for motor vehicle safety belts
JP2003175952A (ja) 留め具
EP0466446A1 (en) Detachable two-piece buckle
JP3130211B2 (ja) バックル
JP4021549B2 (ja) 雄留め具
US4999886A (en) Plug and socket buckle assembly
JP2005058442A (ja) バックル
JP2578176Y2 (ja) 衣服用ベルト
JPH09164007A (ja) 紐止め具
JPH10327909A (ja) スライドホ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