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860B1 - 지폐 수입 장치 및 지폐 수입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수입 장치 및 지폐 수입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860B1
KR880000860B1 KR1019830003105A KR830003105A KR880000860B1 KR 880000860 B1 KR880000860 B1 KR 880000860B1 KR 1019830003105 A KR1019830003105 A KR 1019830003105A KR 830003105 A KR830003105 A KR 830003105A KR 880000860 B1 KR880000860 B1 KR 880000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ill
holding
mone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23A (ko
Inventor
요시 가즈 묘리
오사무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오가다 마지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오가다 마지하루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닛본 고인고
Publication of KR84000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 수입 장치 및 지폐 수입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수입 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의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토우커부의 지폐 수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의 수입 제어방법의 1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5도 및 제6도는 제4도의 일부 블럭의 상세한 예를 각각 도시한 플로우 챠트.
제7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에스크로부의 변경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에스크로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수입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챠트.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등에서 사용되는 지폐 수입 장치 및 지폐 수입 장치에 있어서 지폐 수입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폐 수입 장치는, 적어도,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여 진짜 지폐는 받아들이고, 위조 지폐는 반환하는 기능을 갖는 지폐 식별 장치와, 수입된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일단 수입된 지폐를 필요에 따라서 반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납장치를 일시 보류 장치 즉 에스크로(escrow)장치로 구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경우, 여러 돈의 종류의 지폐를 취급하는 지폐 수입 장치에 있어서 일시 보류 장치는 한대 밖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예를들면, 일본국 특허원 소 57-125020호), 다른 돈의 종류의 투입 지폐를 혼합하여 일시 보류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특정한 지폐를 전문적으로 보류해 놓고, 이것을 거스름 돈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 지폐를 효과적으로 일시 보류를 할 수 있는 지폐 수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그와 같은 지폐 수입 장치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지폐 수입 제어를 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세히 말하면, 소정의 저액 돈의 종류의 지폐를 거스름 돈으로서 지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지폐 수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고, 또 그 외의 돈의 종류의 지폐도 거스름 돈으로서 지불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상술의 지폐 수입 장치에 있어서 지폐의 부정 취득을 방지할 수 있는 지폐 수입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의 여러가지 목적을 달성하는 지폐 수입 장치는, 지폐 식별 장치에서 진짜 지폐로서 수입한 지폐를 보류하고, 또 보류한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여러가지의 보류 장치와, 상기 지폐 식별 장치에서 상기 각 보류 장치에 이르는 지폐통로를 택일적으로 통과시키는 통로 전환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보류 장치를 여러개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그 중 적어도 1개는 소정의 저액 돈의 종류의 지폐 전용으로 보류할 수가 있어, 보류한 그 돈의 종류의 지폐를 거스름돈으로서 지불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돈의 종류의 투입 지폐에 관하여서도, 다른 보류 장치에 일시 보류하는 것에 의해, 투입금의 반환 청구가 있었을 때는 용이하게 반환할 수가 있다.
지폐의 수납량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스토우커(srocker)장치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보류장치가 가득차게 되었을 때, 스토우커 장치에 투입 지폐가 수납된다. 스토우커 장치에 수납된 지폐는 자동 반환 불가능하게 된다. 위조 지폐를 투입하여 반환 청구하는 것에 의해서 진짜 지폐를 사취하는, 부정에 대하여 서는, 투입 지폐 그것을 상기 각 보류 장치에 보류해 놓고, 그것을 전부 반환하는 것에 의해서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보류 장치가 가득차있을 때에 위조 지폐가 투입된 경우는, 위조 지폐가 스토우커 장치에 수납되어, 진짜 지폐를 보류 장치에서 반환해 버린다. 이와 같은, 좋지 못한 일이 비교적 고액의 돈의 종류에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저액 돈의 종류의 투입 지폐를 제1의 보류 장치에 정용으로 보류하고, 그 이외의 돈의 종류의 투입 지폐를 제2의 보류 장치에 보류하고, 1회의 물품 판매 동작이 행하여질때마다 제2의 보류 장치의 보류 지폐를 스토우커 장치로 이송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해, 제2의 보류 장치에는, 항상 그 때마다 투입 분만큼이 보류되게 되고, 따라서 가득찬 것에 의해서 제2의 보류 장치에 보류되어야할 투입 지폐가 스토우커 장치에 수납되는 일이 없게 되어, 반환 청구시에는 반드시 투입된 지폐만을 반환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제폐 수입 장치는, 삽입구(10)으로 삽입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 식별부(11)과, 이 식별부(11)에서 진짜 지폐로 판정된 지폐를 일시 보류(자동 반환 가능한 상태로 보류)하는 에스크로부(12)와 , 식별부(11)과 에스크로부(12)사이에 마련되어, 일단 수입된 지폐를 자동 반환이 불가능한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스토우커부(13)을 구비하고 있다. 에스크로부(12)는 2개의 재폐 보류장치(12-1), (12-2)를 구비하고 있고, 식별부(11)에 있어서 투입 지폐의 돈의 종류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소정의 저액 지폐(예를들면 천원권)를 제1의 보류장치(12-1)에 보류하고, 그 이외의 지폐(예를들면 5천원권 및 1만원군)을 제2의 보류 장치(12-2)에 보류한다. 투입 지폐를 그 돈의 종류에 따라 제1 또는 제2의 보류장치(12-1), (12-2)의 어느쪽인가로 유도하는 분기 제어를 하기 위하여, 플래퍼(flapper)(34)와 솔레이드 SOL이 마련되어 있다.
지폐 식별기(11)에 있어서 지폐 통로(1)의 입구 가까이에 지폐 센서 P1이 마련되어 있고, 통로(1)의 출구 가까이에 지폐 센서 P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폐 식별기(11)내에는 지폐의 진위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류가 또 마련되어 있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생략한다. 센서 P1, P2는 통로(1)을 사이에 두고 마련된 1쌍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로 되는 포토 센서이고, 다음에 기술하는 센서 P3~P7도 마판가지이다.
식별부(11)내의 지폐 반송용 모오터M1은, 식별부(11)내의 지폐의 보내기를 제어하는 것이고, 정회전일 때 수입 방향으로(스토우커부(13)쪽으로) 지폐를 반송하고, 역회전일 때는 반환 방향으로(삽입구(10)쪽으로) 지폐를 반송한다. 투입 지폐가 진짜 지폐로 판정되었을 때는 이것을 수입하고, 위조지폐로 판정되었을 때는 이것을 반환한다.
통로 1의 출구(센서 P2측의 출구)는 스토우커부(13)의 지폐 통로로 통하고 있다. 스토우커부(13)에 있어서 지폐 통로(2)의 수직 부분은, 왕복 기구(14)의 누름판(4)와 세로 길이의 찬넬 부재(5a), (5b)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지폐의 세로 길이에 거의 대응하고 있다. 스토우커부(13)의 지폐 통로(2)의 입구 부근에는 지폐 센서 P3이 마련되어 있다. 또 통로 (2)의 수직 부분의 입구와 출구에는 지폐센서 P4, P5가 마련되어 있다. 통로(2)의 출구는 에스크로부(12)의 지폐 통로(3)으로 통하고 잇다. 스토우커부(13)에 있어서, 지폐 통로(2)의 수직 부분을 사이에 두고, 한쪽의 측에는, 왕복 기구(14) 및 지폐 반송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측에는 지폐축적부(15)로 되어있다. 지폐 축적부(15)는, 지폐의 가로폭보다도 약간 좁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수직으로 배치된 2개의 세로 길이의 찬넬 부재(5a),(5b) 제2도 참조)와, 지폐의 표면 크기보다도 약간 넓은 크기를 가지며, 찬넬부(5a)(5b)에 평행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지폐 압축판(6)을 포함한다. 찬넬부재(5a),(5b)는 고정되어 있지만, 지폐 압축판(6)은 판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평행 이동이 가능하고, 적당하게 배치된 여러개의 압축 스프링 PS의 작용에 의하여 항상 찬넬 부재(5a), (5b)의 방향으로 눌리어지도록 되어있다.
왕복 기구(14)는, 지폐 압축판(6)에 거의 평행한 누름판(4)와, 이 누름판(4)에 거의 직각으로 고정된 구동판(7)과, 누름판(4) 및 구동판(7)을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모오터 M4 및 동력 전달 기구(벨트 8, 풀리(pulley)(9a), (9b))를 포함한다. 제1도에서는 구동판(7)은 절단되어 도시되어 있다. 모오터 M4는 소정의 장소에 고정되어 있고, 이 회전이 풀리(9a)에 전달되고, 또 벨트(8)을 거쳐서 풀리(9b)에 전달된다. 풀리(9a), (9b)는 구동판 (7)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풀리에 각각 마련된 돌기(17), (18)이 구동판(7)에 마련된 2개의 긴구멍(19), (20)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모오터 M4의 회전에 따라 풀리(9a), (9b)가 회전하면, 돌기(17), (18)이 원 운동하고 이것에 따라 돌기(17), (18)과 긴구멍(19), (20)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구동판(7)이 판면의 방향으로(좌우로)왕복 운동하고, 이 구동판(7)의 운동에 따라서 누름판(4)가 판면과 직각 방향으로 즉 지폐 압축판(6)의 방향으로(좌우로)왕복 운동한다. 풀리(9a),(9b)가 1회전하면, 구동판(7) 및 누름판(4)는 1왕복의 좌우 왕복운동을 하나. 통상 상태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4)는 지폐축적부(15)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고, 이 누름판(4)와 찬넬부재(5a)(5b)의 사이에 지폐통로(2)의 수직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4)의 세로의 길이는 지폐의 세로의 길이에 거의 대응하고 있지만, 가로폭은 지폐의 가로폭보다 좁고, 또 2개의 찬넬부재(5a), (5b)의 간격보다 좁다. 따라서 모오터 M4의 1회전에 의해서, 누름판(4)가 지폐 축적부(15)의 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을 할때, 그 누름판(4)가 2개의 찬넬 부재(5a), (5b)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토우커부(13)에 있어서, 지폐 반송 장치는 모오터 M3과, 이 모우터 M3의 회전이 전달되는 풀리(21)과, 이 풀리(21)의 회전에 벨트(22)를 거쳐서 전달되는 5개의 풀리(그 중 1개에만 부호(23)을 붙이고 있음)와, 5개의 풀리중 회전 방향이 같은 소정의 3개의 풀리에 같은 축에 마련된 3쌍의 지폐 반송 로올러(24), (25), (26)을 포함하고 있다. 지폐 반송 로울러(24)~(26)은 예를 들면 주위에 돌기가 달린 고무 제품의 로울러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한쌍의 로울러(25)는, 2개의 찬넬 부재 (5a), (5b)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치된 2개의 로울러로 된다. 모오터 M3의 회전이 풀리(21) 및 벨트(22)를 거쳐 5개의 풀리(23)에 전달되고, 그중 3개의 풀리를 거쳐서 지폐 반송 로올러(24)~(26)의 각 쌍에 같은 방향의 회전으로서 전달된다. 지폐 반송 로올러(24)~(26)과 찬넬부재(5a), (5b)의 사이에 지페의 양측을 끼워서 넣고, 그 로올러(24)~(26)의 회전에 따라 지폐를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모오터 M3은 정역 회전이 가능하고, 통로(2)내의 지폐를 수입 방향 또는 반환 방향의 어느쪽이라도 반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에스크로부(12)의 지폐 통로(3)은 플래퍼의 장소에서 2개로 분리되어 있고, 1개는 제1의 보류장치(12-1)로, 다른 1개는 제12의 보류장치(12-2)로 연결된다. 분기점의 앞에 지폐 반송 로올러(35)가 마련되어 있고, 이 로올러(35)는 모오터 M2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분기점을 통하는 지폐를 막히는 일없이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분기점의 장소에 마련된 플래퍼(34)는 통상시는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2의 보류 장치(12-2)로의 통로를 막고, 제1의 보류 장치(12-1)로의 통로를 개방하고 있지만, 솔레노이드 SOL이 힘을 가하면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전환되어, 제1의 보류 장치(12-1)로의 통로를 막고, 제2의 보류 장치(12-2)로의 통로를 개방한다. 각 보류 장치(12-1), (12-2)의 입구에는 지폐 센서 P6, P7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보류 장치(12-1) 및 (12-2)는 같은 구성이고, 지폐 유도 벨트(36a), (36b)와 그 벨트(36a), (36b)의 한쪽 끝을 고정한 제1의 드럼(37a), (37b)와, 이 제1드럼에 평행이고, 벨트의 다른 끝을 고정한 제2의 드럼(38a), (38b)와 제2의 드럼(38a), (38b)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오터 M5, M6을 포함하고 있다. 유도 벨트(36a), (36b)는, 예를들면 나선형 스프링이고, 제1의 드럼(37a), (37b)에 감겨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모오터 M5, M6을 정회전했을 때 벨트(36a), (36b)가 제2의 드럼(38a), (38b)에 감겨진다. 모오터 M5, M6이 역회전하였을 때 벨트(36a), (36b)가 제2의 드럼(38a), (38b)에서 풀려, 풀린분만큰 자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1의 드럼(37a), (37b)에 되감기게 된다. 삽입구(10)에 투입된 지폐는, 통로(1), (2), (3)을 통하여, 플래퍼(34)의 장소에서 한쪽의 보류 장치(12-1), (12-2)로 분기되고, 제2의 드럼(38a), (38b)를 중심으로 하는 감기대와 벨트(36a), (36b)의 사이에 진입하고,모오터 M5, M6의 정회전 구동에 따라서 벨트(36a), (36b)와 함께 드럼(38a), (38b)가 단단히 감겨진다. 제2의 드럼(38a), (38b)에 감겨진 지폐를 배출할 때는, 모오터 M5, M6을 역회전하여 벨트(36a), (36b)를 풀어내고, 이것에 따르는 지폐를 분기 장소를 거쳐서 통로(3)의 방향으로 배출한다. 물론, 모오터 M5와 M6의 구동은, 플레퍼(34)의 전환 위치에 따라서 택일적으로 행하여진다.
각 모오터 M5, M6의 구동 개시 및 정지의 타이밍은 지폐센서 P6, P7의 출력에 따라서 제어된다. 모오터 M5에 관련하여 엠프티(empty)검출기 ES1과 풀(full) 검출기 FS1이 마련되어 있고, 모오터 M6에 관련하여 엠프티 검출기 ES2와 풀 검출기 FS2가 마련 되어 있다. 모오터 M5, M6이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즉 드럼(38a), (38b)에 전혀 지폐가 감겨지지 않을 때 엠프티 검출기 ES1, ES2가 작동하여 각각의 엠프티를 검출한다. 모오터 M5, M6이 초기 위치에서 정회전 방향으로 소정 회전하였을 때, 도시하지 않은 기어 다운(gear down)기구를 거쳐서 마련된 풀 검출기 FS1, FS2가 작동하여, 풀인 것을 검출한다 1예로서, 드럼(38a)에 20매 정도의 지폐가 감겨졌을 때, 풀 검출기 FS1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 매수에는 여러가지로 매수로 설정하여도 좋다. 에스크로부(12)에는, 삽입구(10)에서 투입된 지폐가 통로(1), (2)를 통하여 도입되어 이 투입 지폐는 일시 보류한다. 투입 지폐를 에스크로부(12)로 보내는 경우는, 스토우커부(13)의 왕복 기구(14)는 작동하지 않고, 지폐 반송 장치(모오터 M3등)만이 작동하여, 지폐 식별부(11)에서 주어진 투입 지폐가 스토우커부(13)의 통로(2)를 통과하여 에스크로부(12)에 보내진다. 스토우커부(13)의 지폐 축적부(15)에는, 지폐 식별부(11)에서 주어지는 투입 지폐 또는 에스크로부(12)에서 배출된 지폐가 수납된다. 스토우커부(13)의 지폐 축적부(015)에 지폐를 수납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수납할 지폐가 지폐 식별부(11)쪽에서 보내주는 스토우커부(13)의 지폐 반송용 모오터 M3을 정회전하여 그 지폐를 통로(2)의 수직 부분에 끌어들인다. 한편, 수납할 지폐가 에스크로부(12)쪽에서 보내질 때는, 모오터 M3을 역회전하여 그 지폐 통로(2)의 수직 부분으로 끌어 들인다. 수납할 지폐가 통로(2)의 수직 부분 즉 누름판(4)와 찬넬 부재(5a), (5b)의 사이의 통로 부분으로 완전하게 들어갔을 때, 모오터 M3을 정지하고, 그 지폐를 그 장소에서 정지한다. 모오터 M3을 정회전 하고 있을 때는, 그 때까지 지폐를 검지하고 있던 센서 P4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서 지폐가 통로(2)의 수직 분분으로 완전히 들어간 것이 판명된다. 한편, 모오터 M3을 역회전하고 있을 때는, 그 때까지 지폐를 검지하고 있던 센서 P5가 지폐를 검지하지 않게 되는 것에 희해서 상술한 것이 판명된다. 모오터 M3을 정지한 후, 왕복 기구(14)의 모오터 M4를 1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통로(2)의 수직 부분에 있는 지폐를 지폐 축적부(15)에 수납한다. 이 수납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대응하는 개략도이며, 제3(a)도는 지폐 압축판(6)과 찬넬 부재(5a), (5b)의 사이에 아직 한장의 지폐도 축적되어 있지 아니할 때에 수납할 지폐(29)가 처음으로 통로(2)의 수직 부분으로 보내진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모오터 M4가 1회전되면, 0도에서 180도의 행정으로 누름판(4)가 지폐 압축판(6)의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통로(2)내의 지폐(29)를 압축판(6)의 방향으로 민다. 밀린 지폐(29)는 휘어지면서 누름판(4)와 함께 찬넬 부재(5a), (5b)의 사이를 통과하여, 압축판(6)에 접한다.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판(4)의 화살표 A방향의 움직임에 따라서, 압축판(6) 및 누름판(4)와 압축판(6)사이에 끼워진 지폐(29)가 압축 스프링 PS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스프링 PS를 압축하는 방향으로)이동한다. 모오터 M4가 180도에서 360도 까지 회전할 때, 누름판 (4)는 상술한 것과는 반대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고, 압축 스프링 PS의 복원력에 의해서 압축판(6) 및 지폐(29)가 누름판(4)와 함께 되돌아간다. 지폐(29)의 양측이 찬넬 부재(5a), (5b)에 서로 맞닿으면, 그 지폐(29) 및 압축판(6)의 움직임이 그 찬넬 부재(5a), (5b)에 의하여 정지 되고, 그 후는 누름판(4)만이 모오터 M4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하고, 모오터 M4의 1회전이 종료하였을 때 누름판(4)는 본래의 위치(통로(2)의 수직 부분을 형성하는 위치)까지 되돌아간다. 이상이, 스토우커부(13)에 있어서 지폐수납의 1싸이클 동작이며, 제3(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지폐(29)는 찬넬 부재(5a), (5b)와 지폐 압축판(6)사이에 수납된다. 압축 스프링 PS의 힘에 의하여, 찬넬 부재(5a), (5b)와 압축판(6)과의 사이에서 지폐(29)는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상의 지폐 수납 1ㅆㅏ이클의 반복에 의하여 새로 수납한 지폐(30)(제3(d)도참조)은 이미 압축판(6)과 찬넬 부재(5a), (5b)의 사이에 축적되어 있는 지폐(31)의 옆에 추가하게 된다. 즉 제3(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누름판(4)는 그의 가는 통로의 움직임에 의하여 새로운 지폐(30)을 지폐 (31)의 옆에 추가하고, 이들의 지폐(30), (31)과 압축판(6)을 함께 화살표 A방향으로 민다. 그후 누름판(4)가 다시 움직이면, 새로운 지폐(30)은 전의 지폐(31)과 찬넬 부재(5a), (5b)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지폐 압축판(6)과 찬넬 부재(5a), (5b)의 사이에서, 지폐를 새운 상태로 가로 방향으로 중첩해서 압축하여, 축적한다.
또, 왕복 기구(14)에 있어서, 구동판(7)의 아래쪽 또는 적당한 장소에 그 구동판(7)을 미꾸럼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미끄럼 운동 지지 베이스(32)(제1도)를 적당히 마련하면 좋다. 마찬가지로, 지폐 축적부(15)에 있어서, 지폐 축적 장소 및 압축판(6)의 아래쪽에 적당한 베이스판(33)(제1도)을 마련하고, 찬넬 부재(5a), (5b)를 고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지폐의 하부 및 압축판(6)의 아래 쪽을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하면 좋다.
에스크로부(12)에 보류한 지폐를 삽입구(10)으로 향하여 자동 반환할 때는, 모오터 M5 또는 M6, M2, M3, M1을 역회전 하여, 통로(3), (2), (1)을 통하여 지폐를 배출한다. 에스크로부(12)에 보류한 지폐를 회수하는 조작에 의하여 스토우커부(13)의 지폐 축적부(15)에 수납할 때는, 모오터 M5 또는 M2와 M3을 역회전하여, 1매의 지폐가 스토우커부(13)의 통로(2)의 수직 부분에 납입되었을 때 이들의 역회전을 정지하고, 그후, 상술한 바와 같이 왕복 기구(14)를 작동하여 축적부(15)에 지폐를 수납한다. 이와 같이하여, 회수 조작시는, 에스크로부(12)의 보류 지폐를 1매씩 차례로 스토우커부(13)의 축적부(15)로 이송한다. 물론 에스크로부12에서의 지폐의 배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래퍼(34)의 전환 위치에 따라서 제1, 제2의 보류 장치(12-1), (12-2)의 한쪽에서 택일적으로 행하여진다.
투입 지폐의 수입 제어법에는 몇 가지 예를 생각할 수 있다. 그의 일예는, 소정 저액 지폐를 제1의 보류 장치(12-1)이 가득차게 될 때까지 그 장치(12-1)에 수입되고, 가득차있을 때는, 스토우커부(13)에 수납하는 한편, 그 이외의 돈의 종류의 투입 지폐는 일단 제2의 지폐 보류 장치(12-2)에 수입되고, 1회의 판매 동작이 종료(또는 개시라도 좋다.)하였을 때 그 장치(12-2)에서 배출하여 스토우커부(13)에 수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제1의 보류 장치(12-1)에 보류한 소정 저액의 지폐를 거스름돈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일단 지폐가 투입된 후에 구입이 취소하였을 때, 투입된 고액 지폐를 제2의 보류 장치(12-2)에서 반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고묘하게 위조된 고액 지폐를 투입하고 취소하는 것에 의해서 투입금과 동일액의 다른 지폐에 의하여 사취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수입 제어 동작은 플로우 챠트로 도시하며 제4도와 같이 된다.
블럭(39)에서는 센서 P1이 ON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또, 센서 P1~P7의 ON은 지폐를 검지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한 지폐 삽입구(10)에 지폐가 투입되었을 때 센서 P1이 ON한다. 센서 P1이 ON 하였을 때에 모오터 M1의 정회전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투입지폐가 통로(1)내에 방송된다. 이 과정에서 투입 지폐의 진위 판정을 행하고, 위조 지폐로 판정되었을 때는 모오터 M1을 일단 정지하고, 이어서 역회전을 개시하여, 센서 P1이 ON에서 OFF로 변화하였을 때 모오터 M1을 정지한다(블러도(40), (41), (42)). 이것에 의하여, 위조 지폐가 삽입구(10)으로 되돌아 간다.
진짜 지폐로 판정되었을 때는 불럭(43)으로 가서, 센서 P3이ON 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YES이면, 투입된 지폐의 앞끝이 스토우커부(3)의 통로(2)에 들어간 것을 의미하고, 이것에 따라, 모오터 M3의 정회전을 개시한다. 모오터 M1, M3의 정회전에 의하여 지폐를 식별부(11)에서 스토우커부(13)내로 이송되어 간다. 잠시 후, 지폐의 뒷부분이 센서 P2를 통과하면 그 센서 P2가 OFF로 되고, 불럭(44)의 처리에 의하여 모오터 M1이 정지된다. 불럭(45)에서는, 지폐 식별부(11)에 의하여 진짜 지폐로 판정된 투입 지폐의 돈의 종류가, 제1의 보류 장치(12-1)에 수납할 소정의 저액 돈의 종류(예를 들면 천원)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YES이면 불럭(46)(제5도)의 처리를 행하고, NO이면 불럭(47)로 진행한다.
불럭(45)가 YES일 때, 즉 천원권이 투입된 경우에 대해서 제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불럭(46)에 있어서 최초의 판단 불럭(48)에서는, 제1의보류 장치(12-1)의 검출기 FS1이 ON 하고 있는(풀을 검출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하고 NO이면 불럭(49)이후의 처리를 행하고 투입 지폐를 제1의보류 장치(12-1)에 수납하고, YES이면불럭(50)이후의 처리를 행하고 투입 지폐를 스토우커부(13)의 지폐 축적부(15)에 수납한다. 이 불럭(48)의 판단은, 모오터 M3의 정회전 구동에 의하여 지폐의 뒤끝이 센서 P2의 위치에서 P4의 위치로 이동하는 사이에 확실하게 행하여 진다.
불럭(48)의 ON 의 루트(route)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모오터 M3의 정회전 지속에 의하여 지폐가 통로(2)내를 반송되어 가서, 잠시후 이 지폐의 앞끝이 통로(2)의 출구로 오면, 센서 P5가 ON하고, 불럭(49)가 YES로 된다. 이것에 따라 모오터 M2가 정회전을 개시한다. 솔레노이드 SOL은 힘이 없어진 상태이므로, 플래퍼934)는 이 제1의 보류 장치(12-1)로의 통로를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천원 지폐는 모오터 M2에 의하여 구동된 로올러(35)의 정회전에 따라서 제1의 보류 장치(12-1)로 도입된다. 불럭(51)에서는, 제1의 보류 장치(12-1)로의 분기 통로의 입구에 마련된 센서 P6이 ON 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지폐의 앞끝이 P6의 위치까지 오면 P6이 ON하고, 이것에 따라서 모오터 M5가 정회전을 개시한다. 모오터 M3, M2, M5의 정회전에 의하여 지폐는, 스토우커부(13)의 통로(2)에서 에스크로부(12)의 통로(3) 및 플래퍼에 의한 분기 장소를통과하여, 제1의 보류 장치(12-1)의 제2드럼(38a)의 감기대와 벨트(36a)의 사이로 보내저, 그 감기대에 벨트(36a)와 함께 감긴다. 지폐의 뒤끝이 센서 P5의 장소를 통과하면 P5가 OFF로 되고, 모오터 M3이 정지한다. 또, 지폐의 뒤끝이 센서 P6의 장소를 통과하면, P6이 OFF로 되어, 모오터 M2를 정지하고, 소정 시간의 대기를 설정한 후, 불럭(52)에서 모오터 M5를 정지한다. 이 시간 대기는, 지폐의 뒤끝이 센서 P6의 위치에서 제2의 드럼(38a)의 감기대 가까이 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정도의 짧은 시간이다.
불럭(48)의 YES의 루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오터 M3의 정회전 지속에 의하여 지폐가 통로(2)내를 반송되어 가서, 잠시후 이 지폐의 뒤끝이 센서 P4의 장소를 통과하면, 센서 P4가 OFF하고, 불럭(50)이 YES로 된다. 이것에 따라 불럭(53)의 처리에 의해서 모오터 M3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투입 지폐는 정확히 누름판(4)에 일치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음에 불럭(54)에서는 왕복 기구(14)의 모오터 M4를 1회전 구동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누름판(4)가 1회 왕복 운동하고, 통로(2)에 있는 지폐를 지폐 축적부(15)쪽으로 밀어내고, 그 축적부(15)에 수납한다.
이상과 같이, 제1의 보류 장치(12-1)의 보류 매수가 조성의풀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는, 소정 저액의 돈의 종류의 투입 지폐(천원권)를 그 장치(12-1)에 수납하고, 소정의 풀수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는 그 투입 지폐를 스토우커부(13)의 지폐 축적부(15)에 수납한다.
투입 지폐가 제1의 보류 장치(12-1)에 수납할 소정 저액의 돈의 종류(천원권)가 아닐때는, 즉 5천원군 또는 1만원권일 때는, 불럭(45)는 NO이며, 불럭(47)로 진행한다. 불럭(47)에서는, 솔레노이드 SOL을 힘을 가한 모드(mode)로 세트하고, 플래퍼(34)를 점선의 위치로 전환하여, 통로(2), (3)을 제2의 보류 장치(12-2)에 통한다. 다음에 행하는 불럭(55)의 처리는 제6도에 도시한 순서로 되며, 이것은 상술의 불럭(49)에서 (52)까지의 처리(제5도)와 대략 같은 처리이며, 불럭(49) 내지 (52)의 처리에서는 센서 P6의 출력에 따라서 모오터 M5를 제어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불럭(55)(제6도)에서는 센서 P7의 출력에 따라서 모오터 P6을 제어하고 있는 점만이 다르다. 즉, 5천원 또는 1만원의 투입 지폐는, 모오터 M3의 정회전에 따라서 통로(2)내를 반송되어 가서, 잠시후 지폐의 앞끝이 센서 P5에 의하여 검지되었을 때 모오터 M2가 정회전을 개시하고, 이 모오터 M2에 의하여 지폐는 점선 위치로 전환하고 있는 플래피(34)의 장소를 통과하여 제2의 보류 장치(12-2)쪽으로 보내져, 지폐의 앞끝이 센서 P7에 의하여 검지 되었을 때 모오터 M6이 정회전을 시작하고 최종적으로 지폐가 벨트(36b)와 함께 드럼(38b)에 감겨졌을 때 모오터 M6이 정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의 보류 장치(12-2)에 투입 지폐의 수납이 끝나면, 불럭(56)의 처리에 의하여 솔레노이드SOL이 힘이 없어져, 플래퍼(34)가 통상 위치로 되돌아간다.
제4도로 되돌아가서, 불럭(39)가 NO일때에 순환 루틴(routine)(새로운 지폐의 투입을 기다리고 있을 때)에 대하여 설명한다. 불럭(57)에서는 반환 보턴이 눌러졌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반환 보턴이 눌러지지 않은 때는 불럭(58)로 가서, 이 지폐 수입 장치를 탑재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판매 동작(투입 금액 및 구입자의 선택에 따른 상품 지불 동작)이 종료(또는 개시이어도 좋다)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또 종료하고 있지 않은 때는 NO의 루트를 통하여, 불럭(39)로 되돌아가, 투입 지폐를 또 수입할 준비를 한다. 판매 동작이 종료하였을 때, 불럭(58)은 YES로 되고, 불럭(59)이후의 처리에 의하여 제2의 보류 장치(12-2)내에서 일시 보류하고 있던 고액 투입 지폐를 지폐 축적부(15)에 수납한다.
불럭(59)에서는 솔레노이드 SOL을 힘을 가한 모드로 세트하고, 플래퍼(34)를 전환하여 제2의 보류 장치(12-2)를 통로(3), (2)로 통한다. 불럭(60)에서는 엠프티(empty)검출기 ES2가 ON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제2의 보류 장치(12-2)에 전혀 지폐가 보류되어 있지 아니할 때 ES2가 ON하고, 지폐가 보류되어 있으면OFF이다. ES2가 OFF이면, 불럭(61)의 처리에 의하여 모오터 M6, M2, M3을 역회전 개시하고, 드럼(38b)에 감겨져 있던 지폐를 배출한다. 센서 P7이 ON에서 OFF로 되었을 때9배출되 1매의 지폐의 뒤끝이 센서 P7의 장소를 통과하였을 때), 불럭(62)가 YES로 되고, 모오터 M6이 정지된다. 다음에 센서 P5가 ON에서 OFF로 되었을 때, 불럭(63)이 YES로 되고, 모오터 M2와 M3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의 보류 장치(12-2)에서 배출된 1매의 지폐가 통로(2)의 수직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불럭(64)의 처리에 의하여 모오터 M4를 1회전 구동하는 것에 의해, 그 지폐를 축적부(15)에 수납할 수가 있다. 불럭(64)의 처리를 종료하면, 불럭(60)으로 되돌아가, 제2의 보류 장치(12-2)가 비어있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의 보류 장치(12-2)의 지폐가 모두 배출될 때까지 불럭(61) 내지 (64)의 처리를 반복하여, 보류 지폐를 1매씩 축적부(15)에 수납한다. 보류 장치(12-2)가 비게되면, 불럭(65)로 이동하여, 솔레노이드 SOL을 힘을 없애서 정상 위치로 되돌린다. 반환 보턴이 눌렀을 때는 불럭(66)에서 반환처리를 행한다. 반환처리는, 우선, 제1의 보류 장치(12-1)의 모오터 M5 및 모오터 M2, M3, M1을 역회전하여 제2의 보류 장치(12-2) 보류 지폐를 삽입구(10)으로 향하여 전부 반환된다. 엠프티 검출기 ES2가 ON 했다면, 센서 P7, P5, P4, P1의 출력에 따라 모오터 M6, M2, M3, M1을 차례로 정지하고, 솔레노이드 SOL을 힘을 없애어 반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4도의 수입 제어법에 의하며, 소정 저액의 돈의 종류의 지폐(천원권)를 제1의 보류 장치(12-1)에 전용으로 보류할 수가 있어, 그 이외의 투입 지폐는 1회의 판매 동작이 행하여 지고 있는 동안만 제2의 보류 장치(12-2)에서 일시 보류되고 1회의 판매 동작이 종료하면 즉시 축적부(15)로 이송된다.
수입 제어법의 다른 예로서 제1의 보류 장치(12-1)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득차게 될 때까지 천원권을 수납하고, 제2의 보류 장치(12-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것이 가득차게 될때까지 5천원 및 1만원권을 수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가 있다. 이 방법은, 제4도의 불럭(58) 내지 (65)의 루틴을 제거하고(즉, 1회의 판매 종료마다 제2의 보류 장치(12-2)의 보류 지폐를 축적부(15)로 이송하는 것을 정지한다), 또 불럭(55)를 (46)과 마찬가지의 처리로 변경(FS2가 ON일 때는 축적부(15)에 수납한다)하는것에 의해서 실현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의 보류 장치(12-2)에서도 어느 정도 대량의 지폐를 보류할 수가 있으므로 전체로서 지폐 저장 가능량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제2의 보류 장치(12-2)가 가득차있을 때, 위조 지폐가 투입되면 이 위조 지폐가 축적부(15)에 수납되어 버리고, 그 때에 반환 보턴을 누르면 보류 장치(12-2)에 있는 진짜 지폐를 반환해 버리는 불합리한 점이 일어날 수가 있으며, 고액 지폐인 만큼 이와 같은 사취는 큰 손해를 가져온다. 이점은, 상술한 제4도의 예에 의하면, 고액 지폐는 투입된 지폐 그것이 반드시 제2의 보류 장치(12-2)에 보류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불합리한 점은 일어나지 않는다.
수입 제어법의 또 다른 예로서, 제1의 보류 장치(12-1)에 소정의 저액의 돈의 종류(천원권)을 상술한 바와 같이 보류하고, 제2의 보류 장치(12-2)에 다른 소정의 돈의 종류(예를 들면 5천원권)을 한 종류만(12-1)과 마찬가지로 가득차게 될 때까지 보류하고, 나머지 돈의 종류(예를 들면 1만원권)는 축적부(15)에 수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한 수입 제어의 처리 순서를 상술한 바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입 제어법의 또 다른 예로서, 지폐의 각 돈의 종류마다 전용의보류 장치를 설치하고, 각 보류 장치에 각각의 소정의 돈의 종류의 지폐를 가득차게 될 때까지 수납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지폐의 돈의 종류를 거스름돈으로써 지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한 에스크로부(12)의 1예를 3개의 보류 장치(12-1), (12-2), (12-3)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제7도에 도시한다. 개개의 보류 장치(12-1) 내지 (12-3)은 제1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며, 지폐 유도 벨트와, 그 한쪽끝을 고정한 제1의 드럼과, 그의 다른 쪽 끝을 고정한 제2의 드럼과, 제2의 드럼을 구동하는 모오터 M5, M6, M7과, 엠프티 검출기 ES1~ES3, 풀 검출기 FS1~FS3을 포함하고 있다. 플래퍼(34-1)은, 평상시는 통로(3)을 제1의 보류 장치(12-1)쪽으로 통하고 있으며, 솔레노이드 SOL1의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전환되어, 통로(3)을 제2 및 제3의 보류 장치(12-2), (12-3)의 쪽으로 통한다. 플래피(34-2)는, 평상시는 제2의 보류 장치(12-2)의 입구를 열고, 제3의 보류 장치(12-3)의 입구를 막고 있으며, 솔레노이드 SOL2의 힘의 가함에 의해서 전환되어, 제2의 보류 장치(12-2)막고, 제3의 보류 장치(12-3)을 개방한다. 통로(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오터 M2에 의하여 구동되는 지폐 로올러(35)가 마련되어 있다 또, 각 보류장치(12-1) 내지 (12-3)의 입구에는 지폐 센서 P6~P8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7도의 에스크로부(12)에 의한 수입 제어법의 1예를 제8도에 도시한다. 「P1ON」을 판단하기 위한 불럭(39)에서 모오터 M1을 정지하기 위한 불럭(44)까지는 제4도와 같다. 불럭(45A)에서는 투입 지폐의 돈의 종류를 확인하고, 천원권이면 불럭(46-1)로 진행하여, 제1의 보류 장치(12-1)에 수납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5천원권이면 불럭(67)을 거쳐서 (46-2)로 진행하여, 제2의 보류 장치(12-2)에 수납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1만원권이면 불럭(68)을 거쳐서 (46-3)으로 진행하여, 제3의 보류 장치(12-3)에 수납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불럭(67)에서는 솔레노이드 SOL1을 힘을 가하는 모드로 세트하고, 통로(3)을 제2의 보류 장치(12-2)로 통한다. 불럭(68)에서는 양 솔레노이드 SOL1 및 SOL2을 힘을 가한 모드로 세트하고, 통로(3)을 제3의 보류 장치(12-3)으로 통한다. 불럭(69)에서는 솔레노이드 SOL1을 힘을 없애고, 불럭(70)에서는 솔레노이드 SOL1 및 솔레노이드 SOL2의 힘을 없앤다. 각 불럭(46-1) 내지 (46-3)은 제5도에 도시한 불럭(46)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단 불럭(46-2), (46-3)에서는 제5도의 FS1, P6, M5가 각 보류 장치에 대응하여, FS2, FS3, P7, P8, M6, M7에 각각 치환된다. 또, 제8도에서는 불럭(39)의 NO의 루프(loop)에서는 불럭(57), (66')의 처리는 행하지만, 제4도의 불럭(58) 내지 (65)에 해당하는 처리(판매 종료마다 고액 지폐를 스토우커부(13)으로 이송하는 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단 불럭(66')는 제4도의 불럭(66)과는 약간 다르며, 제1의 보류 장치(12-1)뿐만 아니고, 제2, 제3의 보류장치(12-2), (12-3)에서도 반각할 매수만큼의 보류 지폐를 1매씩 배출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보류 장치(12-1) 내지 (12-3)에 여러매의 지폐를 각 돈의 종류마다 보류할 수가 있어, 각 돈의 종류의 지폐를 각 돈의 종류마다 보류할 수가 있어, 각 돈의 종류의 지폐를 거스름돈으로 지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지불한 지폐의 매수는 센서 P6~P8을 사용하여 카운트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류한 지폐를 자동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보류 장치를 여러개 마련하였으므로, 돈의 종류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투입 지폐를 보류할 수가 있고, 반환할 때 편리함과 동시에 보류 지폐를 거스름돈으로서도 사용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위조 지폐를 부정 사용을 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7)

  1.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 식별 장치와, 이 식별 장치에서 진짜 지폐로서 수입된 지폐를 보류하고, 또 보류한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여러개의 보류 장치와, 상기 지폐 식별 장치에서 상기 보류 장치에 이르는 통로를 낵일적으로 통과시키는 통로 전환장치를 마련한 지폐 수입 장치.
  2. 상기 각 보류 장치는, 유도 벨트와, 이 유도벨트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있고, 이 벨트를 풀 수 있도록 감아서 되는 제1의 드럼과, 이 제1드럼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도 벨트의 다른 쪽 끝이 고정되어 있고, 이 벨트를 감는 것이 가능한 제2의 드럼을 포함하며, 지폐를 수납할 때 상기 제2의 드럼에 상기 벨트와 함께 지폐를 감고, 이 상태에서 지폐를 보류하고, 지폐를 반환할 때 상기 제2의 드럼에서 상기 제1의 드럼에 상기 벨트를 되감아, 이것에 따르는 보류 지페를 배출하도록 한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지폐 수입 장치.
  3. 상기 통로 전환 장치는, 상기 지폐 식별 장치의 식별 결과에 따라서 제어되며, 소정의 저액의 돈의 종류의 지페를 적어도 1개의 상기 보류 장치에 전용으로 보류하도록 전환 제어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지폐 수입 장치.
  4. 상기 보류 장치의 수는 2개이고, 그중 1개에 소정 저액의 돈의 종류의 지폐를 전용으로 보류하고, 다른 1개에 나머지 돈의 종류의 지폐를 보류하도록 한 특허 청구의 범위 제3항 기재의 지폐 수입 장치.
  5. 상기 보류 장치의 수는, 상기 지폐 식별 장치로 수입 가능한 돈의 종류 수와 동일수이고 각 보류 장치를 각각의 돈의 종류에 개별적으로 대응시켜, 상기 통로 전환 장치에서는 상기 지폐 식별 장치로 식별된 돈의 종류에 따라서 소정의 보류 장치에 통로를 통하도록 한 특허 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지폐 수입 장치.
  6. 투입된 지폐의 전위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 식별 장치와, 이 지폐 식별 장치로 진짜 지폐로서 수입된 지폐를 보류하고, 또 보류한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제1 및 제2의 보류 장치와, 상기 지폐 장치에서 상기 각 보류 장치에 이르는 지폐 통로를 택일적으로 통과시키는 통로 전화 장치와, 상기 지폐 식별 장치로 수입된 지폐를 축적하기 위한 스토우커 장치를 구비하는 지폐 수입 장치에 있어서, 소정 저액의 돈의 종류의 지폐가 투입되었을 때 상기 제1의 보류 장치의 보류 매수가 소정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그 지폐를 상기 제1의 보류 장치에 수납하며, 상기 보류 매수가 상기 소정수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는 그 제폐를 상기 스토우커 장치에 수납하며, 상기 소정 저액의 돈의 종류 이외의 지폐가 투입되었을 때 그 지폐를 상기 제2의 보류 장치에 수납하고, 그 후 투입 지폐에 따른 물품 판매 동작이 행하여지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제2의 보류 장치의 보류 지폐를 상기 스토우커 장치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입 제어방법.
  7.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 식별 장치와, 이 지폐 식별 장치로 진짜 지폐로써 수입된 지폐를 보류하고, 또 보류한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가능한 여러개의 보류 장치와, 상기 지폐 식별 장치에서 상기 각보류장치에 이르는 지폐통로를 택일적으로 통과시키는 통로 전화 장치와, 상기 지폐 식별 장치로 수입된 지폐를 축적하기 위한 스토우커 장치를 구비한 지폐 수입 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지폐의 돈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통로 전화 장치를 제어하여 그 돈의 종류에 대응하는 소정의 상기 보류 장치에 투입 지폐를 수납하고, 수납할 상기 보류 장치의 보류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하고 있을 때는 그 투입 지폐를 상기 스토우커 장치에 수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의 수입 제어방법.
KR1019830003105A 1982-09-17 1983-07-07 지폐 수입 장치 및 지폐 수입 제어방법 KR880000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0.786 1982-09-17
JP57160786A JPS5952395A (ja) 1982-09-17 1982-09-17 紙幣受入装置及び紙幣の受入制御方法
JP160786 1982-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23A KR840006423A (ko) 1984-11-29
KR880000860B1 true KR880000860B1 (ko) 1988-05-26

Family

ID=1572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105A KR880000860B1 (ko) 1982-09-17 1983-07-07 지폐 수입 장치 및 지폐 수입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52395A (ko)
KR (1) KR880000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0394A (ja) * 1984-09-27 1986-04-23 オムロン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2725822B2 (ja) * 1989-03-08 1998-03-11 三洋電機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2003346210A (ja) * 2002-05-27 2003-12-05 Japan Cash Machine Co Ltd 紙幣取扱装置
GB2584138B (en) * 2019-05-23 2021-06-09 Innovative Tech Ltd A banknote valid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9472B2 (ko) * 1972-08-30 1980-08-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23A (ko) 1984-11-29
JPH0226274B2 (ko) 1990-06-08
JPS5952395A (ja) 198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1036A (en) Currency note dispensing system
US4747493A (en) Cash dispenser
JPS6330673B2 (ko)
JPS58221486A (ja) 入出金装置
JPS58221490A (ja) 入出金装置
JPS58221487A (ja) 入出金装置
JPS6145278B2 (ko)
KR880000860B1 (ko) 지폐 수입 장치 및 지폐 수입 제어방법
KR910009306B1 (ko) 지폐 수납 장치
JPS6330672B2 (ko)
CN114341957A (zh) 钞票存-取***和架构
JPH1166384A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券売装置
KR880002474B1 (ko) 지폐 수입 장치
JPH1166375A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装置
JP2001319261A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取扱法
JP4753271B2 (ja) 紙幣処理装置
JP2845619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S58221488A (ja) 入金装置
JPS58220043A (ja) 紙葉類の集積・取出し装置
JP3081257B2 (ja) 紙幣回収払出装置
JPH06156427A (ja) 銀行券処理装置
JPS58221493A (ja) 入金装置
JPH0672590A (ja) 紙幣処理装置
JP2645046B2 (ja) 紙葉類の処理装置
JPH0636207B2 (ja) 貨幣入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