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001B1 - 마주스컬아미드 c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주스컬아미드 c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001B1
KR860001001B1 KR8201009A KR820001009A KR860001001B1 KR 860001001 B1 KR860001001 B1 KR 860001001B1 KR 8201009 A KR8201009 A KR 8201009A KR 820001009 A KR820001009 A KR 820001009A KR 860001001 B1 KR860001001 B1 KR 860001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zusculamide
water
majusculamide
methanol
dichlorom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490A (ko
Inventor
엘리오트 무어 리챠드
스튜어트 마인더스 죤
Original Assignee
빅토르 칼 블뤠드
유니버시티 오브 하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토르 칼 블뤠드, 유니버시티 오브 하와이 filed Critical 빅토르 칼 블뤠드
Publication of KR83000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5Unicellular algae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2Cyclic peptides with only normal peptide bonds in the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89Algae ; Processes using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주스컬아미드 C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마주스컬아미드 C의 적외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은 마주스컬아미드(majusculamide) C로 명명된 신규 시클릭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주스컬아미드 C는 해저 유기체 특히 청녹조류 링비아 마주스컬라(Lyngbya majuscula)가 주요소인 해조류에 함유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러한 조류는 마샬군도에 위치한 에네웨탁(Enewetak) 환초의 석호에 있는 해저봉(Pinnacle)에서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자원 특히 해저유기체, 그 중에서도 특히 심해의 청녹조류인 링비아 마주스컬라로부터 마주스컬아미드 C를 분리해 내는 것에 관한 것이다. 자연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부산물이 없이 실제로 순수한 마주스컬아미드 C도 또한 본 발명의 한 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진균류 병원체를 저지하는 마주스컬아미드 C의 용도와 마주스컬아미드 C를 함유하는 살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진균류 병원체는 해마다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일으킨다. 이러한 식물병원체에 대한 효과적인 신규약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살진균제는 특정 진균에 대한 효과면에서 종래의 살진균제와는 다르다. 또한 내성 진균류가 자주 발견되어 신규의 효과적인 약제를 만들 필요가 끊임없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마주스컬아미드 C로 명명된 신규 시클릭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마주스컬아미드 C는 수 많은 진균류 병원체, 예를 들면 토마토 고갈병 및 포도 백분병원균에 대해 유용하다.
마주스컬아미드 C는 지금까지 해조류에서 발견되었으며, 특히 오실라토리아세아(Oscillatoriaceae)과의 심해 해초인 총녹조류 링비아 마주스컬라의 주성분이다. 여기에서 사용한 '심해'란 약 25 내지 100피트의 깊이를 말한다. 이 말은 에네웨탁 석호의 얕은 바닷물 즉, 20피트 이하의 깊이에서 발견되는 링비아 마주스컬라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거기에서 발견되는 천해 링비아는 마주스컬아미드 C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해조류는 마살균도의 에네웨탁 환초에 있는 석호에서 발견된다. 본 발명의 해조류는 마주스컬아미드 C외에도 "잠수부의 가려움증"[참조 Mynderse et al., Science 196, 538-540(1977]으로 불리는 심한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독소인 데브로모아플리시아톡신(debromoaplysiatoxin)을 생성한다. 이 독소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마주스컬아미드 C로부터 분리한다.
마주스컬아미드 A와 B는 하와이 및 에네웨탁에서 발견되는 여러가지의 천해 링비아 마주스컬라의 친유성 주성분이다. [참조 마너등, J. Org.Chem.42, 2815-2819 (1977)]. 마주스컬아미드 B는 N-[(S)-2-메틸-3-옥소데카노일]-D-N,O-디메틸티로실-L-N-메틸발린아미드이다. 마주스컬아미드 A는 마주스컬아미드 B의 (2R)-2-메틸-3-옥소데카노일에피머이다. 마주스컬아미드 A와 B는 마주스컬아미드 C를 함유한 심해의 링비아 마주스컬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마주스컬아미드 C는 천연자원, 예를 들면 청녹조류 링비아 마주스컬라로부터 이 분야의 숙련가에게 자명한 기술을 사용하여 분리해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주스컬아미드 C를 분리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동결건조된 해조류를 핵산, 아세톤 및 메탄올로 완전히 추출해 내는 것이다. 다음에 유기용매 추출물을 합치고 증발시켜 추출물을 수득한다. 추출물을 헥산과 90% 수성 메탄올에 분배시키고 메탄올성 부분을 디클로로메탄 및 80% 수성 메탄올에 분배시킨다. 디클로로메탄 부분을 세파덱스(LH-20)상에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마주스컬아미드 C를 수득하고 이것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하여 정제시킨다.
마주스컬아미드 C는 필드-데좁션(field-desorption) 질량 스펙트럼 데이타에 근거한 분자량이 약 984인 백색 무정형 고체이다.
마주스컬아미드 C는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과 같은 용매에는 가용이며 물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마주스컬아미드 C의 비선광도 [α]D는 -96°(c 2.5, CH2Cl2)이다. KBr디스크 법으로 측정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 적외선 스펙트럼(IR)은 제 1 도에 나타나 있다. 제 1 도에서 나타난 것처럼 적외 스펙트럼은 하기와 같이 최대흡수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1
에탄올을 용매로 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 자외 흡수 스펙트럼은 278nm(ε1420)과 230nm(ε5900)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낸다.
1H 및13C 핵자기공명(NMR)스펙트럼과 질량 스펙트럼 분석으로 마주스컬아미드 C의 분자조성은 C50H80N8O12인 것을 알았다. 핵자기 공명 분석결과는 또한 두개의 글리실 단위, 하나의 알라닐 단위, 하나의 N-메틸발릴단위 및 하나의 N,O-디메틸티로실 단위가 존재함을 나타낸다. 마주스컬아미드 C를 산 가수분해(1.5N HCl, 25% 에탄올-물, 24시간 환류)하면 L-알라닌, 글리신, L-N-메틸발린, L-N, O-디메틸티로신, L-N-메틸-이소로이신, 2-하이드록시-3-메틸펜타노일글리신, 2-아미노-3-옥소-4-메틸펜탄(염산염으로서 분리) 및 3-아미노-2-메틸펜타노산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하기의 8개 서브-유니트(1a 내지 1h)는 마주스컬아미드 C의 분자식 중의 모든 원자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2
표 1은 마주스컬아미드 C에 대한 260MHZ에서의1H NMR 데이타이다.
[표 1]
마주스컬아미드 C의1H NMR 씨그날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캐미칼 쉬프트는 클로로포름-d를 용매로 한 ppm 값을 나타낸다. 시그날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하나의 양성자를 나타낸다.
**s=단일선, d=이중선, dd=이중선의 이중선, tdd=이중선 이중선의 삼중선( Triplet of doublet of doublets), dq=사중선의 이중선, ds=칠중선의 이중선, p=오중선.
마주스컬아미드 C에 대한13C NMR 데이타가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
듀테리오클로로포름*을 용매로 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13C NMR 시그날
Figure kpo00005
*케미칼 쉬프트는 ppm으로 나타냈다. 다중성은 괄호안에 표시되어 있다.
표 3은1H NMR과13C NMR 스펙트럼에 근거하여 마주스컬아미드 C의 구조에 관해 지을 수 있는 결론이다.
[표 3]
1H NMR 및13C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마주스컬아미드 C에 대한 구조적 결론
Figure kpo00006
마주스컬아미드 C에 대한 고분해능 전자충격 질량 스펙트로 스코피에서 프래그먼트를 관찰하여 계산하여 표 4에 요약했다.
[표 4]
마주스컬아미드 C의 고분해능 질량 스펙트럼 데이타
Figure kpo00007
질량 스펙트럼 데이타에 근거한 배열은 글리실-N-메틸이소로이실글리신-N-메틸발릴-N,O-디메틸티로실 배열이 마주스컬아미드 C에 존재함을 시사한다.
듀퐁 조박스 C-8 4.6mm×25cm칼럼, 아세토니트릴 : 물(15 : 85) 유동상 및 유출속도 2ml/분을 사용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상에서 마주스컬아미드 C의 정체시간(retention time)은 약 14.7분이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특성들에 근거하여 마주스컬아미드 C의 구조는 구조식 2의 구조로 가정할 수 있다.
Figure kpo00008
또한 본 발명은 마주스컬아미드 C가 용해될 수 있는 유기용매로 해조류를 추출한 후에 크로마토그래피시켜 화합물을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여, 주요소로서 청녹조류 링비아 마주스컬라를 함유하는 심해 해조류로부터 마주스컬아미드 C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마주스컬아미드 C를 진균이 있는 장소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여 식물-병원성 진균을 저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균이 있는 장소는 식물의 한부분(예를 들면 잎, 줄기, 꽃, 또는 뿌리)이거나 진균이 존재할 수 있는 토양일 수 있다. 마주스컬아미드 C는 뿌리에서 싹으로 이전하는 것 같다. 따라서 식물 전체를 통하여 살진균효과를 얻기 위해서 종자, 뿌리 등에 시용할 수 있다. 시용율은 보호해야 할 식물의 장소와 진균감염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온실용에 있어서 살진균제는 활성성분 약 1내지 약 200ppm,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0ppm 농도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토양이 흠뻑젖게 시용한다. 이 분야의 숙련가들에게 이해되고 있는 바와 같이 들에서 사용되는 시용율은 통상 온실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크며 약 25내지 약 1000ppm이다.
적절한 시험결과 토마토 고갈병의 원인균인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 포도 백분병의 원인균인 플라스모포라 비티콜라(Plasmopora viticola), 리조토니아(Rhizoctonia) 잎 마름병 원인균인 리조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를 포함하여 수많은 진균에 대해 마주스컬아미드 C가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유효량의 마주스컬아미드 C를 하나 이상의 농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 또는 희석제와 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한 살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마주스컬아미드 C 0.05 내지 95중량% 이외에 물,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석유 증류물 및기타 분산매질, 계면활성 분산제, 유화제 및 미세하게 분쇄한 불활성 고체가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농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함유한다. 이러한 조성물중 마주스컬아미드 C의 농도는 조성물을 식물에 직접시용할 것인지 또는 물과 같은 부가적인 불활성 담체로 희석하에 궁극적인 처치 조성물을 만들 의도인가에 따라서 다르다.
처치 조성물은 농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체 또는 고체 농축물(사용시에 원하는 농도로 희석한다)로 제조하여 가장 간편하게 제형화한다. 유화성 액체 농축물은 활성성분 약 1내지 약 10% 중량와 유화제를 적당한 수-불혼화성 유기액체에 넣어 제조할 수 있다. 그러한 농축물은 물로 더욱 희석하여 수중유 유제 형태의 분무 혼합물을 만들 수 있다. 그러한 분무조성물은 활성 화합물, 수-불혼화성 용매, 유화제 및 물로 구성된다. 적당한 유화제는 비이온성 또는 이온성 형태 또는 그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여기에는 알킬렌 옥사이드와 페놀 및 유기산과의 축합생성물, 솔비탄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콤플렉스 에테르 알콜, 이온성 아릴알킬 설포네이트 형태 등이 포함된다. 적당한 수-불혼화 유기 액체에는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족 탄화수소 및 석유 증류물과 같은 그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고체농축 혼합물은 약 10내지 약 50중량%의 활성 화합물을 미세하게 분쇄한 고체담체(예 : 벤토나이트, 플러토(Fuller's earth), 규조토, 실리카수화물, 규조토실리카, 운모, 탈크, 쵸크 등)에 넣어 제조할 수 있다. 그러한 농축물은 경우에 따라 직접 사용하기 위해 산포 조성물로서 제제화할 수 있거나, 경우에 따라 부가적인 불활성 고체담체로 희석하여 마주스컬아미드 C 약 0.05내지 1 중량%를 함유한 산포용 분말로 만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 즉, 분산 및 습윤제를 마주스컬아미드 C와 함께 고체담체에 넣어 약 10내지 약 25 중량%농도의 습윤성 분말 농축물(물 또는 기타 하이드록실화된 담체에 분산시켜 분무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을 만들 수 있다. 적당한 계면활성제에는 축합된 아릴설폰산과 그의 나트륨염, 나트륨리그노설페이트, 설포네이트-옥사이드 축합 혼합물, 알킬아릴 폴리에테르알콜, 설포네이트/비이온성 혼합물, 음이온성 습윤제 등이 포함된다.
또한 마주스컬아미드 C를 액제, 분산액, 에어로졸 조성물 및 식물 처치 또는 토양에 시용하는데 허용할 수 있는 기타 매질에 가할 수 있다.
항진균 조성물은 분무, 산포, 침지 또는 드랜칭(drenching)과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감염되거나 저항력이 약한 식물 또는 토양표면에 시용한다. 분무방법이 바람직하며 특히 많은 식물이 포함될 때 그러한 처치가 더 빠르고 더 균일하기 때문이다. 분무시에는 통상 감염되었거나 저항력이 약한 표면에 분산액으로 완전히 젖게 한다. 이들이 고체 농축물의 유제이든지 수성 분산제이든지 간에 분무조성물을 사용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저지되어야 할 진균이 토양에 있는 곳에는 항진균 화합물을 토양에 직접 사용하거나 여러가지 불활성 고체 또는 액체 희석제로 희석하여 토양에 시용할 수 있다. 시용하는 한 방법은 활성성분의 분산액 또는 유제를 토양 표면에 분무하는 것이다. 토양의 표면상에 시용하여 피복시킨채로 남겨두거나 화반, 괭이질 또는 기타 공지의 방법으로 토양에 시용시킨다. 시용하는 또다른 방법은 분산액 또는 유제형태로 하여 드랜치(drench)로써 활성성분을 토양에 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온실에서 토양에 서식하는 진균류를 저지하는데 있어서 시용율은 활성성분 약 5내지 약 200ppm으로 다양하다.
마주스컬아미드 C는 또한 파종하기전에 종자소우크(soak)로서 종자에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종자 소우크제제는 에탄올-아세톤 혼합물,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 등과 같은 부형제와 함께 마주스컬아미드 C를 함유한다.
종자 소우크로서 사용시 시용율이 마주스컬아미드 C 약 50내지 약 400ppm에서 저지시킬 수 있다. 종자를 약 4시간동안 제제에 담가 둔후 회수하여 파종한다.
시험관내 표준 한천-희석 시험에서의 식물병원성 진균류에 대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 활성이 표 5내지 10에 요약되어 있다. 이 시험에서 95% 수성에탄올중의 마주스컬아미드 C 100배 용액을 사용했다. 마주스컬아미드 C 용액(0.1ml)과 50℃에서 용해시킨 한천(9.9ml)을 혼합했다. 접종 플럭(6mm 직경)을 각 평판 배지 중앙에 놓고 콜로니의 성장 반경을 측정한다. 성장지대는 플럭 가장자리로부터 콜로니 가장자리까지 측정한 것이다.
[표 5]
시험관내 한천 희석법에서의 마주스컬아미드 C의 활성
Figure kpo00009
표 5에서 주어진 결과를 사용하여 계산한 병원균에 대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 ED50치는 표 6에 요약되어 있다.
[표 6]
마주스컬아미드 C에 대한 ED50
Figure kpo00010
[표 7]
시험관내 한천-희석법에서 마주스컬아미드 C 및 리도밀의 활성
Figure kpo00011
표 7에서 주어진 결과를 사용하여 계산한 병원균에 대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 ED50치는 표 8에 요약되어 있다.
[표 8]
마주스컬아미드 C의 ED50
Figure kpo00012
표 9에서 리도밀-감수성균 2균주 및 리도밀-내성균 2균주에 대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 활성을 비교했다.
[표 9]
시험관 내에서 리도밀-내성균주에 대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 활성
Figure kpo00013
a : V-8한천 배지를 100ppm리도밀로 유지
b : 플럭상에 성장 없음 c : 대조
표 9에서 주어진 결과를 사용하여 계산한 병원균에 대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 ED50치는 표 10에 요약되어 있다.
[표 10]
리도밀-내성균주에 대한 마주스컬아미드 C의 ED50
Figure kpo00014
토마토 고갈병원 균인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및 포도 백분병 원인균이 플라스모포라 비티콜라에 대해 생채내에서 실험시 마주스컬아미드 C는 유효하였다. 이러한 시험에서 마주스컬아미드 C는 0.05% 트윈 20이 가해진 아세톤 : 에탄올(1 : 1) 용매중에서 제제화된 것이다.
토마토잎의 윗면이 위가되게 페트리디쉬 중의 고무 매트상에 놓는다. 또한 포도잎의 아랫면에 위가되게 테트리디쉬중 고무 메트상의 여과지상에 놓는다. 잎모양의 피검화합물 분무용액을 잎모양당, 용량당 두개의 리플리키트(replicate)를 사용하여 잎상에 둔다. 잎을 건조시키고 페트리디쉬 바닥에 물(약 10ml)을 가한다.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유주자 현탁액을 토마토 잎에 접종시킨다. 플라스모포라 비티콜라 포자낭 현탁액을 포도잎에 접종시킨다. 토마토잎을 15℃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실온에서 5일간 배양시킨다. 포도잎은 20℃에서 조명 상자에서 7일간 배양한다.
1은 심한 질병이며, 5는 무병인 1내지 5등급으로 잎을 평가한다. 식물독성도 또한 0가 손상이 없고, 5가 심한 손상인 0내지 5등급으로 식물 독성을 평가한다.
표 11은 이러한 실험의 결과이다.
[표 11]
싱체내에서 마주스컬아미드 C의 활성
Figure kpo00015
a : 두 리플리케이트 평균
b : 백화 현상의 징후
c : 대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해 준다.
[실시예 1]
출발물질은 에네웨탁 환초의 석호에서 수집할 수 있는 청녹조류 링비아 마주스컬라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링비아 마주스컬라는 에네웨탁 석호에 있는 리퍼 8피타클로부터 수심 약 35내지 약 60피트에서 수집했다. 해조류는 붉은 색이고 머리카락 모양으로 자랐다. 해조류를 바닷물로 헹구어 오염성 유기체를 제거한다.
수집하여 동결시킨 링비아 마주스컬라(습윤중량 3kg)를 균질화(homogenize)시켜서 클로로포름 : 메탄올 (1 : 2) 혼합물로 추출한다. 물을 여액에 가하고 클로로포름층을 물로 반복 세척한 다음 무수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발 제거하면 조추출물이 (22g) 수득된다.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추출물을 4.7×40cm 플로리실 럼럼(<200 메쉬)상에 크로마토그래프 한다.
칼럼을 헥산(400ml), 헥산 : 클로로포름 혼합물(9 : 1, 200ml ; 3 : 1, 300ml ; 1 : 1, 400ml), 클로로포름(400ml) 및 클로로포름 : 메탄올 혼합물(9 : 1, 400ml ; 3 : 1, 400ml ; 1 : 1, 200ml)로 용출시킨다. 하기의 분획(fraction)을 모았다.
Figure kpo00016
헥산 : 클로로포름 (1 : 1) 및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수집한 분획 5 및 6으로부터 용매를 제거시킨 후에 각각 순수한 마주스컬아미드 C 2.14g 및 1.94g을 수득한다.
클로로포름 : 메탄올(9 : 1)을 사용하여 플로리실 컬럼을 계속 용출시키면 조(粗) 데브로모아플리시아톡신이 수득되며, 실리카겔 칼럼상에서 정제하면 순수한 데브로모아플리시아톡시 400mg이 수득된다.
세파덱스 LH-20 1.5cm×1.15cm 칼럼상에서 플로리실칼럼으로부터 수집한 분획 5번을 클로로포름 : 메탄올 (1 : 1)을 용출제로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프하여 분획을 모아서 프로톤 핵자기 공명으로 확인해 보면 첫번째가 지방화합물 및 엽록소이며, 다음이 특히 순수한 마주스컬아미드 C(1.69g)이었다.
[실시예 2]
본 실험에서 사용한 링비아 마주스컬라는 에네웨탁 석호에 있는 사우스 메드렌 피나클로부터 수심 35 내지 60피드에서 수집했다. 동결건조 시킨 링비아 마주스컬라(748g)을 핵산, 아세톤 및 메탄올로 각각 완전히 추출하고 추출물을 합하여 건조시키면 19g의 추출물이 수득된다. 이 조 추출물을 헥산(500ml) 및 90% 메탄올(100ml) 사이에 분배시킨다. 생성된 메탄올층을 물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500ml)으로 추출한다.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키면 4.8g의 갈색 반고체가 수득되며 이는 조추출물 25% 또는 건조 해초 0.6%에 해당된다.
겔 여과에 의해 디클로로메탄 추출물로부터 마주스컬아미드 C를 분리해 낸다. 디클로로메탄 추출물(1.5 내지 2.0g)을 용매계로서 CH2Cl2: CH3OH (1 : 1)을 사용하여 180×2.5cm LH-20 세팍덱스 컬럼을 통해 여과시켜 50ml씩의 분획을 모은다. 조(粗) 마주스컬아미드 C는 3번째 분획에서 용출된다.
마주스컬아미드 C를 와트만 파티실 ODS-2 역상칼럼을 사용하여 HPLC시켜 더욱 정제시킨다. 조 마주스컬아미드 C 30mg, CH3CN : H2O (7 : 3) 유동상, 21.1kg/cm2의 압력 및 유출속도 1ml/min를 사용하여 정제한다. 마주스컬아미드 C는 약 100 내지 110분간 체류된다. 용출물을 증발시키면 투명한 무정형 고체가 수득된다.

Claims (1)

  1. 주성분으로 청녹조류 링비아 마주스컬라(Lyngbya majuscula)를 함유하는 심해조류를 가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다음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분리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분자량이 약 984이고, 실험식이 C50H80N8O12이며, 비선광도 [α]D가 -96°(c 2.5, CH2Cl2)이고, 적외선 스펙트럼이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에탄올 중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에서는 278nm(ε1420) 및 230nm(ε5900)에서 최대흡수를 나타내고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및 아세톤과 같은 용매에 가용성이나 물에는 불용성이고 하기 1a 내지 1h의 서브유니트 구조 및 글리실-N-메틸이소로이실글리실-N-메틸발릴-N,O-디메틸티로실의 서브유니트그룹을 함유하며, 하기의 가정구조식 2를 갖는 백색 무정형 고체인 마주스컬아미드 C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7
KR8201009A 1981-03-09 1982-03-09 마주스컬아미드 c의 제조방법 KR860001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241,812 US4342751A (en) 1981-03-09 1981-03-09 Majusculamide C
US241,812 1981-03-09
US241812 1981-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490A KR830008490A (ko) 1983-12-10
KR860001001B1 true KR860001001B1 (ko) 1986-07-26

Family

ID=2291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009A KR860001001B1 (ko) 1981-03-09 1982-03-09 마주스컬아미드 c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342751A (ko)
EP (1) EP0060121B1 (ko)
JP (1) JPS57159795A (ko)
KR (1) KR860001001B1 (ko)
BR (1) BR8201231A (ko)
CA (1) CA1188683A (ko)
DE (1) DE3261418D1 (ko)
DK (1) DK98182A (ko)
GB (1) GB2094805B (ko)
GR (1) GR75171B (ko)
IL (1) IL651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6749B1 (fr) * 1985-02-05 1987-04-30 Goemar Lab Sa Produit a base d'algues et de chlorure d'aluminium, application comme fongicide ou bactericide et procede de traitement de plantes utilisant un tel produit
US4863955A (en) * 1985-06-06 1989-09-05 Eli Lilly And Company Scytophycins
US4996229A (en) * 1985-06-06 1991-02-26 University Of Hawaii Scytophycins
DE3687188T2 (de) * 1985-06-06 1993-04-22 Richard Elliott Moore Scytophycine.
US5260214A (en) * 1988-07-19 1993-11-09 Takara Shuzo Co. Aureobasidium pullulans which produces antibiotic R106
US5057493A (en) * 1988-07-19 1991-10-15 Takara Shuzo Co., Ltd. Novel antibiotics r106
JP2639737B2 (ja) * 1990-01-23 1997-08-13 寳酒造株式会社 新規r106類化合物
US5091368A (en) * 1990-08-08 1992-02-25 Harbor Branch Oceanographic Institution, Inc.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blue-green algae
DK223690D0 (da) * 1990-09-17 1990-09-17 Novo Nordisk As Hidtil ukendte forbindelser
US20100210745A1 (en) * 2002-09-09 2010-08-19 Reactive Surfaces, Ltd. Molecular Healing of Polymeric Materials, Coatings, Plastics, Elastomers, Composites, Laminates, Adhesives, and Sealants by Active Enzymes
US20050058689A1 (en) * 2003-07-03 2005-03-17 Reactive Surfaces, Ltd. Antifungal paints and coatings
US20040109853A1 (en) * 2002-09-09 2004-06-10 Reactive Surfaces, Ltd. Biological active coating components, coatings, and coated surfaces
US20100233146A1 (en) * 2002-09-09 2010-09-16 Reactive Surfaces, Ltd. Coatings and Surface Treatments Having Active Enzymes and Peptides
JP4026491B2 (ja) * 2002-12-13 2007-12-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SE0203700D0 (sv) * 2002-12-16 2002-12-16 Bohlin Lars On-Growth Inhibiting Compounds
US8618066B1 (en) 2003-07-03 2013-12-31 Reactive Surfaces, Ltd., Llp Coating compositions having peptidic antimicrobial additives and antimicrobial additives of other configurations
ES2281274B2 (es) * 2005-12-21 2008-07-16 Universitat De Girona Peptidos ciclicos antimicrobianos.
WO2011034931A2 (en) * 2009-09-15 2011-03-24 Reactive Surface, Ltd. Anti-fouling paints and coatings
FR3074998B1 (fr) * 2017-12-18 2020-03-27 Laboratoires Goemar Procede pour identifier et isoler des composes bioactifs a partir d'extraits d'algues
EP3697202A4 (en) 2018-09-13 2021-07-21 Heliae Development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IRECTLY REDUCING THE INCIDENCE OF FUNGAL PATHOGENIC ACTIVITY IN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490A (ko) 1983-12-10
CA1188683A (en) 1985-06-11
DE3261418D1 (en) 1985-01-17
US4342751A (en) 1982-08-03
IL65165A0 (en) 1982-05-31
EP0060121B1 (en) 1984-12-05
BR8201231A (pt) 1983-01-18
GB2094805B (en) 1985-02-20
JPS57159795A (en) 1982-10-01
IL65165A (en) 1984-12-31
GB2094805A (en) 1982-09-22
DK98182A (da) 1982-09-10
GR75171B (ko) 1984-07-13
EP0060121A1 (en) 198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001B1 (ko) 마주스컬아미드 c의 제조방법
KR20190054871A (ko) 트레베지아 팔마타(Trevesia palmata)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RU1834639C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гербицида корнексистин ил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й с разомкнутым кольцом кислоты, или ее соли
US11000039B2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nematode comprising grammicin compound as effective ingredient and uses thereof
WO2022088912A1 (zh) 一种防治植物病原细菌的化合物及其应用
SU1050564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нитротиофена
KR101802911B1 (ko) 코지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4165714B2 (ja) 作物抗真菌剤として使用されるソルダリンおよびその誘導体
KR940010036B1 (ko) 마크로사이클릭 화합물의 제조방법
US3992551A (en) Antisiotic substances B-41,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insecticides acaricides
KR102634925B1 (ko) 폴리알티아 롱지폴리아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2634924B1 (ko) 폴리알티아 롱지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US3992552A (en) Antibiotic substance B-41,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insecticides and acaricides
KR101983026B1 (ko) 소나무재선충에 대해 살선충 활성을 가지며, 스펙티나빌린을 분비하는 스트렙토마이세스 스펙타빌리스 an091965 균주 및 이의 용도
CZ517789A3 (en) Microbiological process for preparing macrocyclic active substance
KR100832745B1 (ko) 리그난계 화합물, 레조시놀계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육두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2670172B1 (ko) 트리코더마 롱기브라키아툼 균주로부터 유래된 살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US3966914A (en) Antibiotic substances B-41, their production and their use as insecticides and acaricides
AU5264796A (en) Xenorxides with antibacterial and antimycotic properties
KR102604427B1 (ko) 트리코더마 롱기브라키아툼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US5773263A (en) Production aflastatin A from streptomyces sp.,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JPS6053597B2 (ja) 新抗生物質n−461物質、その製法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園芸用殺菌剤
KR20230001353A (ko) 트리코더마 롱기브라키아툼 균주로부터 유래된 살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JP5254097B2 (ja) 植物病害防除剤
KR101008318B1 (ko) 백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