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473B1 - 음극 선관 - Google Patents

음극 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473B1
KR830002473B1 KR1019790001853A KR790001853A KR830002473B1 KR 830002473 B1 KR830002473 B1 KR 830002473B1 KR 1019790001853 A KR1019790001853 A KR 1019790001853A KR 790001853 A KR790001853 A KR 790001853A KR 830002473 B1 KR830002473 B1 KR 83000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athode ray
ray tube
oxid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663A (ko
Inventor
챨즈 보이드 대비드
에디윈 하지 헨리
알렌 덤프썬 대비드
Original Assignee
클라렌스, 알. 파티, 쥬니어
코오닝 글래스 워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렌스, 알. 파티, 쥬니어, 코오닝 글래스 워크즈 filed Critical 클라렌스, 알. 파티, 쥬니어
Priority to KR101979000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473B1/ko
Publication of KR83000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 선관
제1도는 유리에 있어서 온도와 점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는 음극선과 및 영상 표시 판넬과 이의 재료로서 개량된 유리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용 음극선관은 기본적으로 유리로된 표시 판넬, 판넬의 내벽상에 스크린을 형성하는 형광체 배열 패턴, 전자총이 고정되어 장치된 튜브형 목부분, 전자총과 판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중간 깔대기 부분, 및 전자 마스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극선관을 작동할시, 개공 배열 패턴이 설치된 전자 마스크는 전자총 출력의 일부를 차단하고 잔여분을 전자빔으로서 통과시킨다. 이 전자빔은 형광체 배열에 충돌하여 칼라 영상을 발생시킨다.
통상 세 그룹인 형광체 배열은 여러 형태를 취하지만, 보통 점(dot)이다. 물론 마스크 중의 전자통로 및 발생하는 전자빔은 형광체 점에 일치되지 않으면 안되며, 또 그와 같은 위치의 일치는 음극선관 조립 및 가공을 통하여 될수 있는 한 엄밀히 보존되지 않으면 안된다.
적어도 1964년 이전에는 마스크의 전자통로와 형광체 점과의 위치의 일치는, 음극선관의 각 부표의 프리트 실링이나 형광막의 배이크-아웃과 같은 열가공 공정의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관한 성질과 영향은 미합중국 특허 제 3,357,767호 (1967년 12월 12일, 출원인 피. 시. 샤퍼)에 비교적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불일치의 어느정도는 열처리시 유리 조성물 구조가 적어도 일부 변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밟혀졌는데, 이러한 형상은 압축성으로 알려졌으며 유리 조성물의 밀도 변화를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통상의 유리를 서냉시키는 공정은 유리중의 두드러진 변형을 감소시키는데는 충분하지만, 실제로는 구조적으로 안정한 유리 소지를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3,357,767호에는 음극선관을 제조할때 유리 판넬이 최종적으로 받는 열처리의 정도 및 시간이 동등한 예비 열처리를 유리 판넬에 실시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안했다.
유리의 압축성, 및 열가공시 발생하는 위치 불일치의 문제는 통상의 유리 서냉 스케줄을 연장시켜, 광학적 유리에서 굴절률을 제어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파인 아닐(fine anneal)에 가깝게 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이와같이 연장된 및/또는 개별 공정은 비용이 많이 들고 귀찮지만, 칼라 텔레비젼용 음극선관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물론, 압축성으로 알려진 구조적 불안정성에 대한 포텐샬이 최소로된 유리 판넬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상업적 생산에서 이용되는 서냉을 시킨 음극선관 판넬이 연장된 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음극선관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구조적 불안정성을 충분히 작게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와 같은 개량된 유리 판넬 및 이 유리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유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동시에,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 텔레비젼용 음극선관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제특성을 실질적으로 희생시키지 않는 상기와 같은 개량된 유리 판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제특성으로는, 음극선관에서 수상기 샷시로의 누전을 방지하기 위해 350℃에서 107보다 큰 전기 저항율(Log10R>n, 음극선관 작동시 위험량의 X선이 판넬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흡수력, 전자의 충돌에 의한 변색을 발생시키지 않고 프리트 실(frit seal)이 유리에 의해 판넬 부분과 깔대기 부분의 실(seal)을 가능하게 하는 적당한 열팽창 특성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의 성형 및 가공시 위험성이 없는 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900℃보다도 낮은 액상성 온도를 갖는 유리 조성물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서냉후 압축성이 낮으며, 변형점이 470℃ 이상이며, 액상선 온도가 900℃이하인,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는 음극선관 유리 판넬에 관한 것인데, 유리 조성은 뱃치(batch)에서 계산된 산화물의 중량 %를 기준으로, SiO2에 가하여, 1-3%의 Al2O3, 1.5-3%의 MgO, 2.5-4.5%의 CaO, 5-10%의 SrO, 3-10% BaO, 1-2.5%의 PbO, 6-10% Na2O, 4-8%의 K2O (여기서 SrO, BaO, CaO 및 MgO의 합계량은 15-24%이다)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Ma2O : K2O는 적어도 1:1이고 BaO: SrO 또한 적어도 1:1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고 0.4%의 불소를 함유시킬 수 있다. 칼라 텔레비젼 튜브용 유리 판넬에 보통 존재하는 산화물로 CeO2, TiO2, As2O3, Sb2O3, 및 공지의 유리 착색 산화물이 각 최고 1%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미합중국 특허 제 2,527,693호에는 불소 및 임의적으로 산화 바륨을 함유한 알칼리 금속 알루미노-실리케이트와 기타 2가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전기 유리가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422,298호에는 2층의 판넬을 갖는 음극선관이 기술되어 있는데, 외부층에는 음극선관 내에서 발생하는 X-선을 흡수하기 위한 산화납이 함유되어 있고 또한 X-선의 충돌에 의한 유리의 탈색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양의 산화 세륨이 함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2,388,866호에는, 양호한 전기 저항과 용융 용이성을 유지한채로, 산화납 및 산화 칼륨의 일부를 SrO로 대치시킨 전구용 칼륨-납 유리가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464,932호에는, 어떤 파장 범위에서는 산화 바륨과 비교하여 X-선 흡수제로서 유효한 SrO가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794,502호 및 제 3,627,549호에는, 임의적으로 CaO, MgO, 및 를 함유한 알칼리 금속, 바륨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로부터 만든 음극선관 판넬이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723,354호에는 바륨 산화물, 텅스텐, 아연, 및 X선 흡수제로서 납을 함유하며 추가로 소량의 마그네슘과 칼슘 산화물을 함유한 알카리 금속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가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805,107호에는 Sr과 Li이 산화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알카리 금속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유리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 유리에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987,330호에는, 지르코늄, 납, 바륨 및 스트론튬의 산화물을 함유시켜서 X-선 흡수성 내실투성 및 유리 성형성을 달성시킨, 특히 칼라 텔레비젼 음극선관 페이스 플레이트에 적합한 유리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가로 축은 온도(℃)(T)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유리 점도의 대수(Log10점도)를 나타낸다(점도의 단위는 포아제이다). 이 그래프는 주로 해결책을 나타내는 것보다 오히려 문제점을 제시하며, 절대치는 특히 중요하지 않다. 그렇지만, 그래프에 나타난 3개의 곡선은 후에 상술할 3종류의 유리에 대한 측정치에서 얻은 실제적 데이타에 의거한 것이다.
각 직선은 유리가 표시된 온도 범위를 통해 서서히 냉각될시 유리의 점도가 이론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통상의 상업적 생산에서 이용되는 서냉에 있어서의 냉각속도는, 구조조직을 위한 시간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유리 점도가 억압되는 속도이다. 이 억압되는 점도는 유리의 최초재가열시 보존되지만, 보다 높은 온도로 해방된다. 각 직선에 대응하여 이것과 교차되는 각 점선은 상업적 생산에 있어서의 서냉 공정 동안에 각 유리에 대하여 실제로 관측된 점도치를 나타낸다.
통상이 상업적 생산에 있어서의 서냉은 유리중의 변형을 적당히 감소시키지만 유리를 냉각시킬시 일어날수 있는 분자 배열 또는 구조의 완전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님이 명백하다. 통상의 상업적 생산에 있어서의 서냉을 한 유리중에는 동결된 변화가 남은 상태, 즉 구조적 불안정성이 남아서 이것이 재가열시에 해방된다. 환원하면 상업적 생산에 있어서의 서냉을한 유리 판넬중에는, 유리가 충분히 높은 온도, 특히 400내지 500℃의 범위로 가열될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분자 배열 즉 구조에 있어서 잔류 변화가 존재한다.
이러한 상기의 변화는 음극선관 어셈블리에 있어 프리트 실 및/또는 스크리 베이크 아우트시 일어나며, 이는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3,357,767호에 기술되어 있는 문제의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구조적 변화에 의해서 유리의 밀도가 더욱 높게될시, 유리 표면상의 형광체의 위치가 변화되고 위치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리에 있어서의 이와같은 변화는 일반적으로 압축성에 관계된 것이다.
점선(실제의 값)상의 점과 실선(평균치)상의 대응점과의 차는 온도가 하강할시 급히 증가한다. 이것은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평균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포렌샬 에너지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렇지만, 저온에서는 변화에 대한 매우 큰 포렌샬이 존재할지라도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는 속도 또한 대단히 느리다. 이것은 통상의 열처리 공정시 행한 경우의 변화량은 그 열처리 온도가 유리 변형점과 비교하여 낮다면 최소로할 수 있음을 암시해준다.
상술한 바에 의거하여, 만일 유리의 변형점이 충분히 높은 온도로 상승된다면, 압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점이 이론화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정시간후 열처리의 온도가 유리의 변형점보다 충분히 낮다면, 유리의 구조적 배열의 속도는 그 열처리 기간에 대단히 작은 압축성 밖에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느릴 것이다.
이러한 이론을 압축성의 문제에 적용하여 볼때 완전한 일치는 보여주지 않는다. 상기 이론은 어느정도의 정당성은 있지만, 사용한 유리의 형태에 따라 크게 변한다. 즉, 유리의 실제 화학적 성분에 따라 변하게 된다. 특별한 예로서, 415℃에서 또는 450℃에서 최고 1시간 동안 열처리를 할시, 상업적 생산에서 이용되는 서냉을 한 도면의 곡선 B의 유리에 발생하는 압축성의 양은, 예상과는 전혀 반대로, 곡선 C의 유리에 발생하는 압축성의 양보다도 다소 작은 것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이떠한 유리중에 발생하는 압축성의 정도는, 유리를 비슷하게 처리시킬시 곡선 A의 유리에 발생하는 것보다 실질적으로 낮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유리 조성물은 일정 시간 후의 열처리시 압축성의 정도가 비교적 낮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리 조성물의 상승된 변형점은 일정 시간후의 열처리시 점란성 변형을 최소로한다. 이러한 변형은 판넬의 실제 외형 또는 형태의 변화에 의해 명백해진다. 이는 프리트실이나 스크린 베이크 아우트시 중력에 의해 변화될 수 있거나 응극선과을 진공으로 할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일어날 수도있다. 여하간, 이러한 점탄성 변형은 전 불임일치에 또다른 중요한 기여를 한다.
특히 중요한 점은 유리 조성물의 액상선 온도이다. 이것은 유리가 냉각되고 이 냉각된 온도를 유지할시 유리내에서 결정화가 일어나는 온도이다. 점 불일치의 원인으로되는 압축력 및 점탄성 변형을 작게하는데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리 조성물의 액상선 온도는 900℃ 이하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칼라 텔레비젼 음극선관용 판넬 유리 조성물에 필요하는 다른 얼마간의 특성에 관하여 현존하는 시판용 판넬 유리보다도 거의 동일하거나 월등히 무수하다. 예를들면, 화학적 내구성, X선 흡수, 전기저항을 용융성, 및 전자 충격에 의한 내변색성 등의 표순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여러가지의 제특성을 만족하는 유리로서 본 발명은 유리 배치에서 계산된 산화물의 중량 %로, SiO2에 가하여 1-3%의 Al2O3, 1.5-3%의 MgO, 2.5-4.5%의 CaO, 5-10%의 SrO, 3-10%의 BaO, 1-2,5%의 PbO, 6-10%의 Na2O, 4-8%의 K2O (여기서 SrO, BaO, CaO 및 MgO의 총합계량은 15-24%임)인 조성을 지닌 유리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BaO: SrO가 적어도 1:1일 때, 그리고 Na2O: K2O가 적어도 1:1일때 가장 적합한 조성이 얻어진다. 0.4 중량 %이하의 불소를 첨가하는 것에 의하여 유리를 연화시켜도 좋고, 또는 TiO2, CeO2, Sb2O3, As2O3, 및 유리 착색제 산화물을 각 1%이상 함유시켜도 좋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불순물량 이외에 기타의 다른 산화물이 존재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각 유리 성분의 작용 및 각 유리 성분의 상기 한계량에 대하여서는 다음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리 조성 범위내에서는, 유리 점도의 조성에 의해 압축성이 크게 제어된다. 즉, 유리 변형점의 1℃ 증가에 대해 1.5내지 2.5ppm의 압축성이 저하된다. 또한 점도 곡선보다 기울기가 급격한 유리, 즉 변형점 부근 또는 그 이하의 낮은 온도보다도 용융 온도 범위내의 고온에 있어서 급속히 점도치가 증가하도록 유리가 보다 큰 압축성을 갖는 경향이다. 따라서, 압축성을 작게하기 위해서는, 변형점을 증가시키지만 평탄한 점도 곡선을 부여하는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소량의 알루미나(Al2O3)는 유리에 화학적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유리 변형점은 Al2O3함유량의 증가와 함께 급속히 상승하고, 또 점도 곡선도 평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Al2O3는 압축성의 문제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첨가물이다. 그렇지만, Al2O3가 증가함에 따라 액상선 온도는 증가하고 융점은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Al2O3의 함유량을 3% 이하이어야 하며 2%를 초과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변형점과 높은 전기 저항율을 모두 얻기 위해서는 칼슘 및 마그네슘 산화물(CaO, MgO)를 사용한다. 그렇지만, 이들은 액상선 온도를 조금밖에 증가시키지 못하므로 이들의 상한선을 지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산화물은 가격면의 이유로 인하여 백운석을 가한다.
SrO, BaO 및 PbO등을 사용하면 선으로부터 유리를 포호해준다. 즉 작동시 발생되는 X선을 흡수하는 능력을 유리에 부여해순다. 잘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PbO는, 전자 충격에 의한 유리의 변색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 범위의 양에서 사용되지 않으면 안된다. SrO는 BaO보다도 X선 흡수력이 크지만 고가이고 또 액상선 온도에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SrO 함유량은 필요로하는 X선 흡수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될 수 있는한 소량으로 유지시킨다.
알칼리 금속 산화물 Na2O 및 K2O는 유리의 열팽창을 및 연도(soft ness)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K2O는 Na2O보다도 전기저항율이 높고 유리를 연화시키지 않으므로 자주 사용되었다. 그렇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에 있어서는, 이들 특성을 CaO 및 MgO를 사용하여 유지시킨다.
일반적으로 유리의 액상선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K2O보다도 다량의 Na2O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상의 문제로 인하여, 유리중에 불소를 함유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소량의 불소를첨가하는 것은 유리의 액상선 온도를 어느정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불소는 액상선 온도를 저하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점도, 특히 변형점에 현저한 영향을 끼치므로, 그의 양을 극히 소량으로 억제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0.4% 이하의 불소를 배치중에 함유시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용융중에 일부는 휘발됨으로, 유리에 함유된 불소는 분석치로 약 0.3% 이하이다. 칼라 텔레비젼용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전압이 높기 때문에 변색을 방지하기 위한 첨가물을 판넬중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고, 통상 변색을 방지하는 목적에서 1% 이하의 산화 세륨(CeO2)이 이용된다. 산화비소 및 산화안티몬(As2O3및 Sb2O3)은 청등(淸
Figure kpo00001
)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산화티탄(TiO2)는 CeO2의 변색방지력을 높이하고 색도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며, 또 착색제 산화물은 음극선관 영상의 콘트라스트를 높히고 무체색을 얻는데 사용된다. 상기 각첨가물중 이외는 모두 항상 칼라 텔레비젼 음극선관의 유리판넬중에 존재하는 것이지만, 이들 첨가물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유리 조성물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종래의 X선 흡수를 위한 첨가물로서 잘 알려져 있는 산화 지르코늄, 산화 아연 및 산화 텅스텐의 사용을 본 발명의 유리에 있어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들 첨가물은 가격을 높히고, 압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지만, 이들이 주는 장점은 이들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산화붕소( B2O3)는 액상선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지만, 적당히 유리를 연화시키고 점도 곡선이 기울기를 크게하므로 그의 사용을 피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면의 각 곡선은 3종류의 실제적인 유리에서 얻어진 데이타에 의거한 것이다.
이들 3종류의 유리의 조성은 모두 알칼리금속, 알칼리 토금속 실리케이트에 포함된 것이며, 다소 차이가 있다. 각 조성을 유리 배치에서 계산된 산화물의 중량부로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 표 1에는 이들 유리에 대해 측정한 어느 정도의 관련 특성, 즉 연화점(S.P.), 변형점( St.P.), 열팽창율( Exp.) 및 액상선 온도(Liq)도 표시되어 있다. 온도는 모두 ℃이다.
[표 Ⅰ]
Figure kpo00002
유리 A는 X선 흡수 때문에 다량의 SrO를 사용하고, 전기 저항율 때물에 K2O를 주로한 전형적인 종래의 판넬용 유리(변형점 462℃)이다. 이 유리는 400내지 450℃인 후열처리를 할시, 대단히 큰 압축치를 갖는다. 유리 B는 앞축치가 충분히 작게된 본 발명의 유리이다. 유리 C는 ZnO, ZrO2및 B2O3가 함유된 점에서 다르며, 주된 알칼리 금속 산화물로서 K2O를 함유한 유리이다. 가장 높은 변형점을 갖는 유리 C가 이들 3종류의 유리중에서 가장 양호한 압축치를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지만, 상업생산에 사용되는 표준적인 서냉을 행한후, 415℃ 및 450℃의 온도에서 60분간 열처리를 행할시에 각 유리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측정 결과는 상기 예상과는 반대로 되는 것이었다.
다음 표 2에 나타난 압축치는 유리의 상대 운동량을 ppm으로 나타낸 것이고, 표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압축성에 관한한 유리 B가 가장 우수하다.
[표 2]
Figure kpo00003
다음의 표 Ⅱ에는 본 발명의 유리 조성물의 각 조성이 제반 특성과 함께 나타나 있다. 제반 특성은, 전기 저항율을 350℃에서 측정치의 상용대수(Log10R -350°)로 표시한 이외에는 표 1과 같다.
[표 Ⅲ]
Figure kpo00004
본 발명의 유리 조성물은 판넬용 유리에 대하여 통상 행해지는 방법에 따라 용융 가공된다. 예를들면, 표 3의 각 유리는 모래(sand), 장석, 석희, 형석(불소가 사용되는 경우), 탄산 스트론튬, 탄산 바륨, 탄산 나트륨, 일산화염, 탄산 칼륨 및 / 또는 질산 칼륨, 농축 세륨, 산화비소 및 안티몬산 나트륨 등의 심판용 각 원료를 혼합시킨 배치를 실험적으로 용융시켜 얻은 것이다. 적당한 배율의 배치를 충분히 혼합한후 도가니에 넣고, 이것을 1550℃의 온도로 전기적 가열시키고, 이 온도를 4시간 동안 유지시켜 충분히 용융시킨다.
그 후 시험을 행하기 위해 각 용융물을 슬랩 금형에 넣던가, 봉으로하여 잡아 올리던가, 또는 기타의 적당한 방법으로 가공한다. 압축성의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리 시료에 상업 생산에 있어서 사용되는 서냉과 동일한 서냉처리를 실시한다.
본 발명의 유리에 과하여진 일정한 제한이 중요함을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의 유리 계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점이 제한치를 조금 벗어난 일련의 유리 조성물이 다음의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에는 표 1 및 표 3과 동일하게 유리의 조성 및 제반 특성이 나타나 있다.
[표 Ⅳ]
Figure kpo00005
실시예 7은 불소 및 산화 나트륨의 함량이 높은 조합이 낮은 변형점을 부여하며 350℃에서의 Log10R 값은 한계치로 떨어뜨리는 것을 나타낸 유리이다. 불소를 제거하거나, 또는 Na2O와 K2O와 같은 기타의 성분을 조성한다던가, 또는 그 양쪽을 행하는 것으로 이들의 실점을 교정할 수 있고, 만족한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8은 본 발명의 유리에 있어서 함량이 BaO 함량 보다도 많을 때에 액산성 온도가 높게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상당히 악화한 동일한 문제가 실시예 9에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9의 유리에 있어서는 MgO및 CaO의 양쪽 함유량을 초과하고 있다.
실시예 9 및 10은 모두 SrO 및 BaO가 너무나 다량의 PbO로 치환될시, 변형점 및 점도 곡선의 기울기가 악영향을 받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1)

  1. 표시 판넬부분, 전자총이 장치된 목 부분, 중간 깔대기 부분 및 표시 판넬 상에 스크리인을 형성하는 형광 배열 패턴에 일치하는 개공배열 패턴을 갖는 전자 마스크로 이루어진 칼라 텔레비젼 수상 및 표시용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실리케이트 유리판넬이 낮은 압축성을 지니고, 470℃보다 높은 변형점과 900℃보다 낮은 액산성 온도를 지니며, 유리 조성물이, 산화물을 조성으로하여 배치로부터 계산된 것으로서, 실리카이외에, 주로 Al2O31-3중량 %, MgO 1.5-3중량 %, CaO 2.5-4.5중량 %, SrO 5-10중량 %, BaO 3-10중량 %, PbO 1-2.5중량 %, Na2O 6-10중량 %, K2O 4-8중량 %로 이루어진 것 SrO+BaO+CaO+MgO의 총함량이 15-24%임을 특징으로한 음극선관.
KR1019790001853A 1979-06-07 1979-06-07 음극 선관 KR830002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853A KR830002473B1 (ko) 1979-06-07 1979-06-07 음극 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853A KR830002473B1 (ko) 1979-06-07 1979-06-07 음극 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63A KR830000663A (ko) 1983-04-18
KR830002473B1 true KR830002473B1 (ko) 1983-10-26

Family

ID=1921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853A KR830002473B1 (ko) 1979-06-07 1979-06-07 음극 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4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63A (ko) 198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0115A (en) High absorbance Pb-containing glass for cathode ray tube picture screen
US5459110A (en) Highly chemically and thermally resistant borosilicate glass which is capable of forming a seal with tungsten
US4277286A (en) Lead-free glasses of high x-ray absorption for cathode ray tubes
US4337410A (en) Cathode-ray tube face-plate
EP0149740A2 (en) Cladding glass for optical fiber
JPH069241A (ja) 高い光透過性を有する鉛及びバリウムフリーのクリスタルガラス
US3805107A (en) Faceplate for television picture tube
JPH0640740A (ja) 陰極線管前面板用ガラス
US4737475A (en) Arsenic-free lead silicate vacuum tube glass
US2901366A (en) Glass composition
KR950008580B1 (ko) 음극선관 면판용 유리
US4179638A (en) Cathode ray tube panel
US3808154A (en) Glass used for face panels of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s
US4366252A (en) Fluorine-free, zirconia-free, X-ray absorbing silica based glass, containing oxides of lead, barium and strontium plus oxides of calcium, magnesium, sodium, potassium, cerium, titanium, arsenic and antimony
EP0360965B1 (en) Glass for projection cathode ray tube faceplate
US6251811B1 (en) Funnel glass for a cathode ray tube
JPH07101748A (ja) ガラス製パネル用基板
EP0131399B1 (en) Glass for cathode ray tube faceplate
KR940011124B1 (ko) X-선 흡수 유리 조성물
KR830002473B1 (ko) 음극 선관
JPH0431335A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
US4385128A (en) Germanium-containing glass of high infrared transmission and low density
JPH05221682A (ja) 珪酸鉛ガラス、珪酸鉛ガラスを用いたネックチューブおよび珪酸鉛ガラス製ネックを備えた陰極線管
US6956000B2 (en) Panel glass for cathode ray tube
JPS5884142A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