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480Y1 -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480Y1
KR830001480Y1 KR2019820001619U KR820001619U KR830001480Y1 KR 830001480 Y1 KR830001480 Y1 KR 830001480Y1 KR 2019820001619 U KR2019820001619 U KR 2019820001619U KR 820001619 U KR820001619 U KR 820001619U KR 830001480 Y1 KR830001480 Y1 KR 830001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synthetic resin
contact port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16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진
노남종
Original Assignee
호남전기 공업 주식회사
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전기 공업 주식회사, 박광순 filed Critical 호남전기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016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4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4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뚜껑을 뒤집어본 상태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스프링단자 확대평면도.
본 고안은 집합건전지의 합성수지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집합건전지는 6V의 경우, 종이로 만든 지관내에 1.5V의 원통형건전지 4개를 넣으면서 이 4개의 원통형 건전지의 음극과 양극을 도선을 통해 납땜하여 서로 직렬로 연결한 후 원통형 건전지가 서로 움직이거나 그 구성원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관내에 용융된 피치를 주입시켰으며 그 다음 인쇄된 종이케이스 또는 금속케이스에 넣어 제품을 완성하였으므로 지관삽입 및 납땜 작업이 복잡하고,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인원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재료가 많이 들어 비경제적이었다.
본건 위의 결점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집합건전지의 케이스를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만들되 이 합성수지제 케이스 내에는 케이스와 일체로된 칸막이를 형성하고, 뚜껑의 이면에는 판스프링으로 구성한 여러개의 연결접촉단자판을 리베팅하여 고착한 후 뚜껑을 케이스 위에 덮기만 하면 연결 접촉단자판에 의해 케이스 내에 수장된 복수개의 원통형 건전지 등이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건전지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1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만든 집합건전지의 케이스인데, 이 케이스(1) 내에는 +자형 칸막이 (2)를 케이스(1)와 동일체로 형성하여 케이스(1) 내를 4등분하여 +자형 칸막이(2)의 상단변에는 보조돌출편(3)을 돌설한다. 그런데 칸막이(2)에 의해 4등분된 케이스(1) 내에 4개의 원통형 건전지(4)를 삽입하면 +자형 칸막이(2)와 케이스(1)에 의해 건전지(4)는 요지부동하게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5는 케이스(1) 위에 덮는 뚜껑인데, 이 뚜껑(5)의 이면에는 4개의 원통형건전지(4)를 직렬로 연결하여 주는 접촉단자판(6), (6a), (6b), (6c), (6d)을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합성수지 리베팅(7)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접촉단자(6), (6a), (6b)은 건전지(4)의 양극단자(4a)와 접촉되는 양극접촉부(8)와, 그리고 음극 단자(4b)와 접촉되는 음극접촉부(8a)로 각각 구성되어 있고, 접촉단자판(6c)은 양극접촉부(8)만을 갖고 있으며 접촉단자판(6d)은 음극접촉부(8a)만을 갖고있다.
또한 양극접촉부(8)만을 갖고 있는 접촉단자판(6)은 스프링단자(9)와 동(銅) 리베팅(10)되어있고 음극 접촉부(8a)만을 갖고있는 접촉단자판(6d)은 스프링 단자(9a)와 동 리베팅(10a)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뚜껑(5)의 4개의 코너에서 케이스(1)내에 삽입하기 위한 원호형돌출편(11)이 돌설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조립하여 제품화할 때에는 우선, 원통형건전지(4)를 칸막이(2)에 의해 4등분된 케이스(1)내에 제1도와 같이 삽입하기만 하면 각 건전지(4)는 +자형 칸막이(2)와 케이스(1)의 내벽에 위해 요지부동하게 삽입되어 움직이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피치등으로 건전지 등을 고정시킬 필요가 없게된다.
그 다음 케이스(1) 위에 뚜껑(5)을 덮기 위해 원호형돌출편(11)을 케이스(1)내에 넣으면서 누르면 케이스(1) 위에 뚜껑(5)을 덮을 수 있는데, 이때 접촉단자판(6)의 양극접촉부(8)는 건전지(4)의 양극단자(4a)와 접촉되고, 음극접촉부(8a)는 그 좌측에 있는 건전지의 음극단자(4b)와 접촉되며, 또 접촉단자판(6a)의 양극접촉부(8)는 접촉단자판(6)의 음극접촉부(8a)와 접촉된 건전지의 양극단자와 접촉하고, 그리고 단자판(6a)의 음극접촉부(8a)는 단자판(6)이 양극접촉부(8)와 접촉된 건전지와 대각선 위치에 있는 건전지의 음극단자와 접촉된다.
그 다음 단자판(6b)의 양극접촉부(8)는 단자판(6a)의 음극접촉부(8a)와 접촉된 건전지의 양극단자와 접촉되고 단자판(6b)의 음극접촉부(8a)는 단자판(6)의 양극접촉부(8)와 접촉된 건전지의 우측위치에 있는 건전지의 음극단자와 접촉된다.
그리고 단자판(6c)의 양극접촉부(8)는 단자판(6b)의 음극접촉부와 접촉된 건전지의 양극단자와 접촉되고 단자판(6d)의 음극접촉부는 단자판(6)의 양극접촉부와 접촉된 건전지의 음극단자와 접촉된다.
위와같이 케이스(1) 위에 뚜껑(5)을 덮기만 하면 뚜껑(5)의 이면에 있는 각 단자판(6), (6a), (6b), (6c), (6d)에 의해 케이스(1)내에 삽입된 4개의 건전지(4)가 직렬로 접촉되므로 종래와 같이 4개의 건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도선으로 납땜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스프링단자(9), (9a)의 일단(12)(건전지의 양극 및 음극단자와 연결되는 부분)을 제4도와 같이 스프링단자(9), (9a)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형성시킴으로써 스프링단자(9), (9a)와 단자판(6c), (6d)을 동 리베팅하는데 매우 편리하게 된다.
종래에는 스프링단자의 일단(하단끝부분)이 스프링단자의 타단(상단끝부분)과 일직선, 즉 스프링단자의 내부측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를 건전지의 양극 및 음극과 연결함에 있어서 리베팅식으로 간편하게 연결하지 못하고 일일이 납땜하여 연결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 리베팅하여 간편하게 스프링단자를 단자판(6c), (6d)와 연결하여 건전지의 양극 및 음극단자와 연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형 칸막이(2)에 의하여 4등분된 합성수지제 케이스(1)내에 원통형 건전지(4)를 삽입하기만 하면 건전지가 움직이는 일이 없어 종래와 같은 피치등이 필요없게 되고 또 케이스(1) 위에 뚜껑(5)을 덮기만 하면 단자판(6) ,(6a), (6b), (6c), (6d) 등에 의해 4개의 건전지가 직렬로 또한 스프링단자(9), (9a)를 납땜하지 않고 단자판(6) ,(6a), (6b), (6c), (6d)과 동 리베팅(10)(10a)할 수 있는 잇점등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자형 칸막이(2)로 내부를 4등분한 합성수지 케이스(1)와, 합성수지 뚜껑(5)의 이면에 접촉단자판판(6) ,(6a), (6b), (6c), (6d)등을 일정간격을 두고 합성수지 리베팅(7)하여 고정시키고 스프링단자(9), (9a)와 단자판(6c), (6d)를 동 리베팅(10)(10a) 하여서 된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단자판(6), (6a), (6b)는 양극 접촉부(8)을 음극접촉부(8a)를 가지며 접촉단자판(6c)은 양극접촉부(8)만을, 그리고 접촉단자판(6d)은 음극접촉부(8a)만을 갖는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단자(9), (9a)이 하단끝부분(12)을 스프링단자(9), (9a)의 동체 바깥쪽으로 위치케 형성한 스프링 단자.
KR2019820001619U 1982-03-04 1982-03-04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KR830001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1619U KR830001480Y1 (ko) 1982-03-04 1982-03-04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1619U KR830001480Y1 (ko) 1982-03-04 1982-03-04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80Y1 true KR830001480Y1 (ko) 1983-08-13

Family

ID=1922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1619U KR830001480Y1 (ko) 1982-03-04 1982-03-04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4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5984A (en) Battery housing
US2702310A (en) Battery construction
KR940020612A (ko) 납-산 전지
JPS6182663A (ja) 電池取付装置
US3710299A (en) Low profile socket for integrated circuit pack
EP0724304B1 (en) Battery terminal of miniature electronic apparatus and structure for retaining the same
US7678499B2 (en) Short-circuit free battery receptacle
KR830001480Y1 (ko) 집합건전지용 합성수지제 케이스
US4371597A (en) Layer-built cell
US5709963A (en) Battery pack
US4495257A (en) Horizontal battery holder for cylinder cells
JP3384653B2 (ja) パック電池
US425323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 battery
US5744260A (en) Battery pack
JPS6038277Y2 (ja) 自立型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S6344945Y2 (ko)
JP2946669B2 (ja) チップ形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
JP2645872B2 (ja) 充電器
JPH0537402Y2 (ko)
JPH04534Y2 (ko)
KR870003130Y1 (ko) 건전지함의 소켓 삽탈장치
RU2042234C1 (ru) Гальваническая батарея
JPH019331Y2 (ko)
JPH0729739U (ja) パック電池
KR830001931B1 (ko) 적층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