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619Y1 -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619Y1
KR820002619Y1 KR2019820003553U KR820003553U KR820002619Y1 KR 820002619 Y1 KR820002619 Y1 KR 820002619Y1 KR 2019820003553 U KR2019820003553 U KR 2019820003553U KR 820003553 U KR820003553 U KR 820003553U KR 820002619 Y1 KR820002619 Y1 KR 820002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hagepool
expansion operation
contac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3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요시 우찌무라
Original Assignee
시부야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부야 료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부야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시부야 료오지 filed Critical 시부야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3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619Y1/ko

Links

Landscapes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로서,
제1도는 승강체의 상승상태 표시도.
제2도는 승강체의 하강상태 표시도.
본 고안은 회수된 용기에 관착되어 있는 왕관등의 바깥마개를 세병기나 충전기의 전공정 등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바깥마개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각종 병등의 용기를 회수하여서 재 사용할 경우에 불가결한 바깥마개의 제거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체에 확축(擴縮)이 가능하도록 지지한 바깥마개의 파지포올을 용기에 의하여 하강단을 규제하여 승강체와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키는 확축 조작부재에 의하여 바깥마개의 파지위치로 이행시켜 상승과 함께 이 파지포올에 의하여 바깥마개를 제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한다.
(1)은 상부의 본체(1a)와 그것의 하부의 덮개(1b)로 이루어진 승강체이며, 본체(1a)와 덮개(1b)사이의 공간(2)에는 파지포올(3)의 상부에 형성한 돌출부(3a)가 헐겁게 끼워지며, 대략 그 돌출부(3a)를 중심으로 파지포올(3)이 확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4)는 복수의 파지포올(3)사이에 권회한 스프링으로서, 그 스프링(4)의 힘에 의하여 파지포올(3)을 내방으로 오그라들게 한다.
그리고, (5)는 상기한 본체(1a)의 축부에 상하 접등이 가능하도록 지지시킨 확축 조작부재이며, 상대접등이 가능한 확축 조작부재(5)는 제1부재(5a)와 제2부재(5b)로 구성되었으며, 제1부재(5a)는 파지포올(3)의 테이퍼형 확축 조작면(3b)과 마찰되게 맞물려서 파지포올(3)의 의 각도를 규제하는 규제부(6)를 구비하고 있다.
타방 제2부재(5b)는 그 상단의 플랜지부(5a)에서 지름이 큰 원주형 공간부(8)내로 삽입되어 플랜지부(7)가 공간부(8)상하 단벽에 접하는 위치에서 각각 상하의 접등을 규제하고 있다. 이 제2부재(5b)는 압축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제1부재(5a)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용기(C)의 바깥마개(10)의 상면에 당접부(11)로 되어 있다. 더구나(12)는 조작부재(5)의 상승단을 규제하는 고정 스토퍼이며, 승강체(1)의 승강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다.
성기 구성에 관한 본 장치는 바깥마개(10)를 관착한 용기(C)에 대하여 제1도에 표시한 상태의 승강체(1) 즉, 확축 조작부재(5)가 고정 스토퍼(12)에 의하여 상승단이 규제되면, 이에 따라 승강체(1)는 최하단 위치로 점차 하강이 시작되는데, 이 상태는 제1부재(5a)의 규제부(6)의 대경부(6b)가 파지포올(3)의 확축 조작면(3b)에 접하고, 스프링(4)에 대항해서 파지포올(3)을 열어놓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확축 조작부재(5)의 제2부재(5b) 하단의 당접부(11)가 바깥마개(10)의 상면에 당접하여서 승강체(1)의 하강이 규제되므로 우선 제2부제(5b)는 정지하고, 제1부재(5a)는 계속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제2부재(5b)플랜지부(7)가 제1부재(5a)의 공간부(8)내를 상승하여 그 상단벽에 접하게 되면, 제1부재(5a)와 제2부재(5b)가 함께 정지상태로 유지하나, 이때 승강체(1)만이 계속 하강을 계속한다.
이로 인하여 제1부재(5a)의 규제부(6)와 파지포올(3)이 상대위치를 바꾸어 규제부(6)의 소경부(6a)가 확축 조작면(3b)과 접하게 되는 결과가 되어 스프링(4)의 힘에 의하여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포올(3)이 내측으로 오그라지는 순간 그 선단의 포올부(3c)가 용기(C)의 외벽에 접하게 된다.
물론 이때의 포올부(3c)는 바깥마개(10)의 하부에 오도록 미리 위치설정이 되어 있다.
제2도에서 표시한 상태로부터 승강체(1)를 상승시키면, 파지포올(3)과 제1부(5a)는 스프링(4)의 힘에 의하여 서로의 관계위치를 제2도와 같이 소경부(6)의 소경부(6a)가 확축 조작면(3b)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고, 반대로 압축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하방으로 압압되어 돌출된 제2부재(5b)는 파지포올(3)의 포올부(3c)와 바깥마개(10)의 하단사이의 틈새( )만큼 제1부재(5a)에 대하여 접동하여서 하방으로 하강한 다음 승강체(1)와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제2부재(5b)의 하단의 당접부(11)는 승강체(1)가 어느정도 상승케하여도 압축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항상 바깥마개(10)의 상면에 압압 접촉되어 있으므로 파지포올(3)의 포올부(3c)가 바깥마개(10) 하부 주연에 당접됨과 동시에 부상시키면 파지포올(3)의 포올부(3c)에 바깥마개(10)의 하부 주연이 괘설됨으로 바깥마개(10)는 용기(C)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이와같이 바깥마개(10)를 제거하여도 그 상면에는 제2부재(5b)의 하단 당접부(11)가 당접되어 있고, 또 그 하부주연이 파지포올(3)의 포올부(3c)에 괘설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승강체(1)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확축 조작부재(5)의 제1부재(5a)가 고정 스트퍼(12)에 당접하여서 상승이 규제되나, 한편 승강체(1)는 계속 상승하므로, 규제부(6)의 대경부(6b)가 재차 파지포올(3)의 확축 조작면(3b)과 접하여서 파지포올(3)을 바깥으로 벌어지게 하면 바깥마개(10)는 파지포올(3)의 포올부(3c)에서 제거됨과 동시에 낙하시킨다. 이 바깥마개(10)의 낙하동작시에는 확축 조작부재(5)의 제2부재(5b)가 압축스프링(9)의 힘에 의하여 급격하게 돌출하므로 바깥마개(10)를 확실히 파지포올(3)로부터 이탈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체(1)의 상승에서는 제1도와 같이 확축 조작부재(5)가 하강단에 위치하여서 다음의 동작에 대비하게 된다.
상기한 바깥마개 제거작업은 통상용기(C)의 연속적인 또한 간헐적인 반송중에 수행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본 장치는 용기반송 테이블 또는 컨베이어와 동시에 설치하여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나, 이와같은 이동기구 또는 동기기구는 용기충전기, 타전(打栓)기 등으로 알려져 있는 바이므로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이동기구 특히 회전이동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승강체(1)의 승강과 회전을 동시에 시키므로서 승강체(1)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한 바깥마개(10) 이탈 제거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정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이것을 회수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더구나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확축 조작부재(5)를 두 개 부재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바깥마개(10)를 안정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예를들면 제1부재(5a)와 제2부재(5b)를 제2도에 표시한 상태에서 일체로 한다. 즉, 확축 조작부재(5)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바깥마개의 제거는 가능하다. 이 경우 파지포올(3)의 수를 늘여서 포올만에 의한 바깥마개의 안전유지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축조작부내(5)의 용기와의 당접부(11)의 지름, 형상을 도시한 예와 같이 용기의 구부내(口部內)로 진입 가능하도록 설정하며, 당접부(11)에 의하여 바깥마개(10)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하면 바깥마개를 관착하지 않은 용기에 대하여서 파지포올(3)이 확축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파지포올의 불필요한 운동 및 이에 기인하는 구분의 파손, 병이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관한 바깥마개 제거장치는 승강체에 지지한 파지체와 승강체에 대하여 승하강이 가능하며, 용기에 따라서 하강만이 규제되는 확축 조작부재에 의하여 용기에 관착된 바깥마개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세병기, 충전기등의 전공정에 배치하여서 능률적인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승강체(1)의 본체(1a)와 덮개(1b)사이의 공간(2)에는 파지포울(3)의 상부에 형성한 돌출부(3a)가 확축이 가능하도록 파지포울(3)의 외주에 스프링(4)을 권회하여 감입하였으며, 본체(1a)의 축부에 상하 접동되도록 지지된 확축 조작부재(5)는 제1부재(5a)와 제2부재(5b)로 구성되고, 제1부재(5a)는 파지포울(3)의 테이퍼형 확축 조작면(3b)과 마찰계합되어 파지포울(3)의 열린 각도를 규제하는 규제부(6)를 형성하였으며, 제2부재(5b)는 그 상단의 플랜지부(7)가 제1부재(5a)의 대경통부(8)내로 삽입되어 상하의 접동이 규제되고, 그 하단에는 마개에 해당하는 당접부(11)를 형성하여서 된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
KR2019820003553U 1982-05-06 1982-05-06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 KR820002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553U KR820002619Y1 (ko) 1982-05-06 1982-05-06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553U KR820002619Y1 (ko) 1982-05-06 1982-05-06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630 Division 1979-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619Y1 true KR820002619Y1 (ko) 1982-12-27

Family

ID=1922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3553U KR820002619Y1 (ko) 1982-05-06 1982-05-06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6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2100B2 (ja) 内容物充填ボト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091453A (ko) 기판 파지 장치
JPS5824328B2 (ja) 抜栓機を備えたアンケ−サ
GB1484262A (en) Capping machine
US3538678A (en) Bottle stoppering machine
US3563287A (en) Machines for filling beer kegs and like containers
KR820002619Y1 (ko) 용기의 바깥마개 제거장치
CN103373680A (zh) 容器封口装置
US4177546A (en) Apparatus for inserting a resilient band on a container
US4122734A (en) Label stripping machine
US2995882A (en) Container closing apparatus
US2481495A (en) Closure-release mechanism
JPS5816557Y2 (ja) 容器の外栓外し装置
EP1846317B1 (en) Cork extractor
JP6834143B2 (ja) デキャッパ
KR102125947B1 (ko) 용기 운반용 홀더
JP6421382B2 (ja) 蓋体除去装置
EP0221442A2 (en) Semiautomatic device for discharging discarded aerosol tins, by vertical introduction of the tins in the device
JP2008007123A (ja) キャップ除去装置
US3805490A (en) Bottling apparatus
US3604742A (en) Apparatus for lifting objects with off-center necks
JPS5824873Y2 (ja) 容器の内栓外し装置
JP2008007122A (ja) キャップ除去装置
JPH038252B2 (ko)
FR2318104A1 (fr) Dispositif pour eliminer d'un col de bouteille l'anneau restant d'une capsule apres son ouver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