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568Y1 - 필 기 구 - Google Patents

필 기 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568Y1
KR820002568Y1 KR7900515U KR790000515U KR820002568Y1 KR 820002568 Y1 KR820002568 Y1 KR 820002568Y1 KR 7900515 U KR7900515 U KR 7900515U KR 790000515 U KR790000515 U KR 790000515U KR 820002568 Y1 KR820002568 Y1 KR 820002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se
writing
axial direction
lower shaft
guid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꼬 세끼구찌
Original Assignee
이시가와 히데아끼
제부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가와 히데아끼, 제부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가와 히데아끼
Priority to KR7900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43K24/14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with cam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and for feeding the writing-cores
    • B43K24/18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and for feeding the writing-cores with a revolving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06Pen or pencil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2Combinations of pens and pencil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 기 구
제1도는 볼펜 요소와 샤프 펜슬 요소가 수납 위치에 있는 본 고안 필기구의 내부 구조를 표시하는 일부 표면 파단도,
제2도는 제1도와는 배면측의 일부 단면 파단도,
제3도도 같은 샤프펜슬 요소가 상부 축 케이스의 회동으로 필기 위치로 온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 단면 파단도,
제4도는 제3도의 필기 위치에 있는 샤프펜슬 요소를 연심을 밀어내기 위하여 상부축 케이스를 하방축 방향으로 추이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 단면 파단도,
제5도는 볼펜 요소가 필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만곡 케이싱 측에서 본 파단도.
제6a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b)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c)도는 C-C선 단면도,
제7도는 캄 기구를 표시하는 파단 사시도,
제8도는 샤프펜슬 요소의 내부 구조를 표시하는 일부 단면도,
제9도는 캄 기구 각요소의 분해 설명도,
제10a-d도는 양 샤프 펜슬 요소의 필기위치, 수납위치 및 연심 밀어내는 위치까지의 움직임을 캄 기구와의 관련에서 설명하기 위한 전개 설명도.
본 고안은 노크(Knock)식 샤프펜슬 요소와 볼펜 요소를 한 개의 공동 축 케이스에 수납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다시 자세히 말하면 본 고안은 노크식 샤프펜슬 요소(이하 펜슬요소라고 함)와 볼펜 요소를 하부 축 케이스에 수납하고 이 하부 축 케이스에 관련해서 축 주위로 왕복 자재로히 회동이 가능하며, 또 이 양필기 요소에 계합하여 이들 요소를 축 방향으로 교호로 추이시킬 캄기구를 수납한 상부 축 케이스를 축 주위로 회동시키므로서 전기 양 필기 요소를 하부 축 케이스의 필기 선단 개구에서 필기 위치로 전진시키던가 또는 이 하부 축 케이스 내의 수납위치로 후퇴시키도록 하고 그렇게하는데 전기 펜슬 요소가 필기위치에 있을 때는 상부 축 케이스가 하부 축 케이스에 대해서 축 방향으로 일정 구간 추이가 가능해지고, 이럼으로서 전기 펜슬 요소의 심을 밀어내는 작동을 하고, 전기 볼펜 요소가 필기 위치에 있을 때는 상부 축 케이스가 하부 축 케이스에 대해서 추이 불능케 계지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인 것이다.
종래 2색의 볼펜 요소를 하부 축 케이스에 수납하고, 이들 필기 요소에 계합할 캄 기구를 수납한 상부축 케이스를 축 주위로 일정 각도 왕복 회동시키므로서 교호로 양 필기 요소를 필기 위치 또는 수납위치에 수납토록한 필기구는 알려지고 있지만, 이 필기구의 기구로는 상부 축 케이스는 축방향으로 추이 불능하니까 볼펜 요소 대신에 펜슬 요소를 수납하여도 노크 조작을 할 수는 없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생각해낸 것으로, 상부 축 케이스를 축 주위의 좌우 어느쪽으로든 회동시키므로서 펜슬 요소와 볼펜 요소가 교호로 필기 위치로 추이되고, 펜슬 요소가 필기 위치로 추이됐을 때는 상부 축 케이스가 하부 축 케이스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일정 구간 추이 가능해지며, 이럼으로서 심을 밀어 내는 작동을 할 수 있으며, 볼펜 요소가 필기 위치로 추이됐을 때에는 상부 축 케이스의 축방향으로의 추이가 저지되도록 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양 필기 요소의 필기 위치로의 교호의 추이가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되며 더구나 축 스라이드식의 심 밀어내기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복합 필기구를 제공코자 함이다.
이하 도면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의해서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볼펜 요소와 샤프펜슬 요소가 수납위치에 있는 본 고안의 필기구의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일부단면 단파도, 제2도는 제1도와는 배면측인 일부 단면 파단도, 제3도도 같은 샤프 펜슬 요소가 상부 축 케이스의 회동으로 필기 위치로 온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 단면 파단도, 제4도는 제3도의 필기 위치에 있는 샤프펜슬 요소를 연심을 밀어내기 위하여 상부 축 케이스를 하방의 축 방향으로 추이시킨 상태를 표시하는 일부 단면 파단도, 제5도는 볼펜 요소가 필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만곡 케이싱 측에서 본 파단도. 제6a도는 제1도 A-A선 단면도, (b)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c)도는 제3도의 C-C선 단면도, 제7도는 캄 기구를 표시하는 파단 사시도, 제8도는 샤프 펜슬 요소의 내부 구조를 표시하는 일부 단면도, 제9도는 캄 기구 각 요소의 분해 설명도, 제10a-d도는 양샤프 펜슬 요소의 필기 위치, 수납위치와 연심 밀어내기 위치로의 움직임을 캄 기구와의 관련에서 설명하기 위한 전개 설명도이다. 도면에서(1)은 하부 축 케이스이고, 이 하부 축 케이스(1)내에 펜슬 요소(3)와 볼펜 요소(3′)가 수납되어 있다. 양 요소(3)(3′) 후단은 연결 스리브(4′)(4)를 끼고 롯드(5)(5′)에 연결되고, 이 롯드(5)(5′) 상단부에 스라이더(7)(7′)가 있다.
하부 축 케이스(1)의 상부 내강에는 커프링 스리브(19)가 꼭끼게 갑입되고, 이 커프링 스리브(19)내로 안내 스리브(9)의 하부 축(20)이 끼어든다.
안내 스리브(9)에 형성된 링 모양 돌기(21)는 하부 축 케이스(1)상단면에 닿아서 스토퍼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하부 축 케이스(1)와 안내 스리브(9)와는 강고하게 연결된다.
안내 스리브(9)는 원통 모양이고, 스라이더(7)(7′)를 축방향으로 안내할 가이드구(10)(10′)(제10도 참조)가 직경방향으로 서로 180도 떨어져 서로 대립하여 천설되어 있다.
이 가이드구(10)(10′)내에 롯드(5)(5′) 선단에 있는 스라이더(7)(7′)가 롯드(5)(5′)에 꼽혀있는 코일스프링(6)(6′) 도움으로, 탄성적으로 보지되고 또 이 가이드구(10)(10′)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안내된다. 가이드구(10)(10′)하방은 폭을 줄인단부(20′)가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6)(6′) 하단이 이 단부(20′)에 의해서 지지된다.
안내 스리브(9) 정부에는 단부를 거쳐 축두(16)가 형성되고, 이 축두(16)에는 그 주위에 제9도와 제10도의 전개도에 표시한 형상의 캄(18)이 형성되어 있다.
캄(18)은 제10도에서 알 수 있듯이 최하부 평탄면(18a), 이에 연속되는 양측 경사면(18b),(18b′)로 이루어졌으며, 이들 경사면의 경사각은 동일하며 또 캄(18)이 축두(16) 전주(全周)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만곡 케이싱(8)의 부채꼴 스토퍼(12) 중심측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부분(17a)을 남기고 형성된다. 안내 스리브(9)는 제1도-제4도, 및 제9도에 표시하듯 만곡 케이싱(8)내에 접동자재로히 삽입된다.
이 만곡 케이싱(8)에는 특히 제9도, 제10도에서 분명하듯이 스라이드 캄면이 형성된다. 이 스라이드 캄면은 도면에서 분명하듯이 그 정상에 평탄부(15)가 있고 이 평탄부(15)를 정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하방에서 합류할 스라이드 경사면(13)(13)이 있고, 이들 양 경사면(13)의 합류 위치에 절결 계합부(14)가 형성된다. 이 절결 계합부(14)는 스라이더(7)(7′) 표면에 돌설된 화살촉형 계합부(11)(1′)의 선단부에 계합되도록 절결되어 있다. 이 화살촉형 계합부(11)(11′)의 경사면이 만곡 케이싱(8)의 회동에 대응하여 스라이드 캄면과 계합하여 접동한다. 한편 만곡 케이싱(8)의 상단 내주에는 제6도, 제7도, 제9도에서 알 수 있듯이 부채꼴 스토퍼(12)가 돌설되어 있다. 이 스토퍼(12)는 후술하듯이 축두(16)의 캄(18)과 계합한다. 고정링(17)은 안내 스리브(9) 외측에 만곡 케이싱(8)을 감입한 다음에 축두(16)에 감착된다(제3도, 제4도).
이 고정링(17)은 만곡케이싱(8)이 제3도의 위치로 왔을 때 부채꼴 스토퍼(12)와 협동하여 스프링(6)(6′)의 압압력으로 인한 만곡 케이싱(8)이 상방으로 추이하는 것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부 축 케이스(2)는 만곡 케이싱(8) 외주에 감착 고정되고 그 하단부는 하부축 케이스(1)의 상단과 서로 접동 가능케 겹쳐져 있다. 만곡 케이싱(8)은 후술하듯이 안내 스리브(9)에 대해서 축 주위의 좌우 어느쪽으로도 회동 가능하며 또 펜슬 요소(3)가 필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일정 구간만큼 축 방향으로 추이 가능케 되니까 케이스(2)는 안내 스리브(9)에 연결 고착된 하부 축 케이스(1)에 대해서, 똑같이 좌우 어느쪽으로 든지 회동이 가능하며, 또 펜슬 요소(3)가 필기 위치에 있을때는 축방향으로 일정구간 추이가능하다(상세는 후술한다).
펜슬 요소(3)에는 척 기구부가 있다.
이 척 기구부를 제8도에 도시한다. (5)는 전기한 롯드이고, 연심(30)의 저장통을 겸한다. 롯드(5) 하부외측으로 연결 스리브(4)가 감착 고정되고, 이 연결스리브(4)하부 내측을 중간 추이 스리브(22)가 고착되고, 이 스리브(22)에 척(25)이 고착되어 있다.
펜슬 본체 케이싱(3a) 선단부에는 펜슬 선단 구부(口部)(3b)가 형성된다. 이 케이싱(3a)은 그 상부에 연결통(3c)가 연결되고 연결통(3c) 상단과 연결 스리브(4) 하단과의 사이에 스프링(23)이 중간에 끼워져 있다.
커버 케이싱(24)은 연결 스리브(4)와 연결통(3c)과를 피복하고 있으며 펜슬 본체케이싱(3a)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연결통(3c) 하단과 충격저지 단부(3e)와의 공간에는 척(25)와 함께 작동할 조임 스리브(26)가 축방향으로 접동 자재로히 내장되어 있으며, 이 조임 스리브(26) 내강의 개구경(徑)은 선단 구부(3b)측으로 점차 커지도록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27)은 선단 구부(3b)에 내장된 고무모양의 탄성 보지링이다.
선단 구부(3b) 상부에는 펜슬 본체(3)가 연심을 밀어 내기 위하여 하부 축 본체(1)의 선단 개구부(29)쪽으로 추이될 때에 이 개구부(29) 내측에 충접할 충지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척 기구에 의한 연심(30) 밀어내는 모양은 후술한다.
다음에 제10도의 전개도에 의하여 본 고안의 필기구에서 펜슬, 요소와 볼펜 요소의 필기 위치 또는 수납위치로의 전진 후퇴 추이의 모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b도는 양 필기 요소(3)(3′)가 함께 수납 위치에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안내 스리브(9)의 가이드구(10)(10′)내에서 안내될 롯드(5)(5′) 선단부의 화살촉 모양 계합부(11)(11′)의 경사면은 각각 만곡 케이싱(8)의 스라이드 경사면(13)(13)거의 중간에 대하여 스프링(6)(6′)의 도움으로 탄성적으로 닿아있다. 또 이때 만곡 케이싱(8) 정부에 있는 부채꼴 스토퍼(12)는 축두(16)의 캄(18) 경사면(18b)에 와서 닿는다. 양 필기 요소(3)(3′) 하방에 표시한 일점쇄선은 하부축 케이스(1)의 선단 개구(29)의 위치를 나타낸다.
우선 볼펜 요소(3)를 필기 위치로 전진 추이 시키기 위하여서는 상부축 케이스(2), 즉 이것에 고착된 만곡 케이싱(8)을 제10a도에 표시하는 위치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있어 펜슬 요소(3)의 화살촉 모양계합부(11)의 경사변은 만곡 케이싱(8)의 스라이드 경사면(13)에 대하여 접동하면서 상승하여 평탄부(15)에서 계지된다. 한편 볼펜 요소(3′)의 화살촉 모양 계합부(11)는 만곡 케이싱(8)의 스라이드 경사면(13)에 대하여 하강하면서 접동하고, 이 스라이드 경사면의 정점에 이르면 절결 계합부(14)에 계합된다.
그때 만곡 케이싱(8)의 부채꼴 스토퍼(12)는 캄(18)의 최하부 평탄면(18a)과 안내 스리브(9) 정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t)내로 끼어든다. 따라서 만곡 케이싱(8)은 제10b도의 위치에서 극히 조금 하방으로 추이된다.
이 틈새(t)의 크기는 스토퍼(12)가 여기에 끼어들었을 때에 안내 스리브(9)에 대하여 만곡 케이싱(8)이 축방향으로 추이불능한 치수이다.
이 제10a도의 상태에서 볼펜 요소(3)는 필기 위치로 오고 그때 만곡 케이싱(8) 및 이에 고착된 상부측 케이스(2)는 축방향으로 추이 불능케 계지된다.
다음에 펜슬 요소(3)를 필기 위치로 전진 추이시키기 위하여는 상부 축 케이스(2) 즉 만곡 케이싱(8)을 제10c도에 표시하는 위치로 회동(제10a도 위치에서 제180도, 제10b도 위치에서는 90도의 회동)한다. 이 회동에 있어 펜슬요소(3)의 화살촉 모양 계합부(11)의 경사변은 만곡 케이싱(8)의 스라이드 경사면(13)상을 하방으로 접동하여가고, 마지막엔 스라이드 경사면의 정점인 절결 계합부(14)에 계합하고 정지한다.
이리하여 펜슬요소(3)는 필기 위치로 오게 된다.
한편 부채꼴 스토퍼(12)는 캄(18)의 경사부위를 상방으로 접동하여(17a)의 위치까지 가서 캄(18)과의 계합에서 풀려 나지만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축두(16)에 감착된 고정링(17)의 하단면에 당접하여서, 스프링(6)(6′)의 압압력으로 인한 안내 스리브(9) 상방으로의 일단을 저지당한다.
또 부채꼴 스토퍼(12)가 상기 위치로 오므로서 만곡 케이싱(8)의 안내스리브(9)에 대한 위치는 부채꼴 스토퍼(12)의 이동에 대응해서 상방으로 추이된다.
전기한 바와 같이 제10c도의 상태에서 부채꼴 스토퍼(12)는 캄(18)의 경사면(18b)에서 해당된(17a)의 위치에 있고 스프링(6)(6′)의 압압력 때문에 고정링(17)에 닿아있으며 만곡 케이싱(8), 즉 상부 축 케이스(2)를 축방향인 하방으로 압압하므로서 제10d도에 표시하는 위치로 하등 저지받지 않고도 자유로히 추이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이 만곡 케이싱(8)의 축방향으로의 추이로써 당연히 펜슬 요소(3)는 축방향으로 추이된다.
본 고안에서는 만곡 케이싱(8)의 축방향으로의 추이에 따르는 펜슬 요소(3)의 추이거리가 펜슬 요소(3)의 충격 저지부(28)가 하부축 케이스(1) 선단 개구부(29)에 당접해서 심을 밀어내는 작동을 할 수 있는 치수가 되도록 제10c도의 상태에서 부채꼴 스토퍼(12) 하면과 안내 스리브(9)의 정면과의 거리 즉 부채꼴 스토퍼(12)가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추이 가능 거리가 정해져 있다.
이리하여 만곡 케이싱(8) 즉 이것에 고착된 상부 축 케이스(2)를 축방향으로 압압하고 해방시키면서 왕복 추이시키므로서, 원활하고도 확실한 펜슬 요소의 심 밀어내기 작동을 하고 필기 가능한 상태가 된다. 펜슬 요소(3)의 연심 밀어내기를 제8도로 설명한다. 펜슬 요소(3)가 제10c도에 표시하는 필기 위치로 오고 이어서 하부축 케이스를 고정시켜서 상부 축 케이스(2) 즉 만곡 케이싱(8)을 압압하여서 화살표 방향으로 추이시키면 펜슬 요소(3)는 제10d도에서 표시하듯이 더욱 하방으로 추이되고, 제7도에서 표시하듯이 펜슬 요소(3)의 충격저지부(28)가 하부축 케이스(1) 개구부(29)에 닿는다. 다시 만곡 케이싱을 하방으로 압압 추이시키면 충격저지부(28)가 개구부(29)에 닿아 있기 때문에 롯드(5)에 연결된 연결 스리브(4)가 스프링(23)의 스프링 압(押)에 거슬러서 커버케이싱(24)에 작용하여 펜슬 요소 선단측으로 접동한다. 연결 스리브(4)의 접동으로 이에 연결된 중간 추이스리브(22)와 척(25)이 펜슬 요소 선단측으로 추이되고 그때 척(25)과 조임 스리브(26)의 같은 작동으로 보지되어 있는 연심(30)이 펜슬 요소 선단측으로 밀려나간다. 그러나 척(25)이 펜슬 요소 선단측으로 다시 밀리면 이 척과 함께 추이하던 조임 스리브(26)가 충격저지 단부(3e)에 닿아서 그 추이가 정지되니까 이 척(25)이 조임스리브(26)에서 떨어지고, 연심(30)은 척(25)의 보지력으로부터 풀려난다. 이리하여 연심(30)은 조임 스리브(26)에서 떨어지고, 연심(30)은 척(25)의 보지력으로부터 풀려난다. 이리하여 연심(30)은 조임 스리브(26)의 추이 거리만큼 밀려나간다. 이어서 만곡 케이싱(8), 즉 상부 축 케이스(2)에 대한 압압을 풀면 연심(30)이 탄성 보지링(27)으로 보지된 채의 상태에서 스프링(23)의 도움으로 척(25), 중간추이 스리브(22), 연결 스리브(4), 롯드(5)가 원 위치로 복귀 추이되고 척(25)은 다시 연심(30)을 단단히 보지한다.
상기한 상부 축 케이스(2)의 압압에 의한 왕복추이를 되풀이 하므로서 연심(30)을, 선단 구부(3b)의 개구부(3d)로부터 필기하기 좋은 상태로 빼낼 수가 있다.
또 롯드(5) 내강부(5a)에는 예비심을 저장할 수가 있고, 연심(30)에 이어서 이 예비심을 연속적으로 밀어낼 수가 있다.
내강부(5a)로 예비심을 보충하는 것은 롯드(5)에 대해서 연결스리브(4)를 감탈 가능케 함으로서 보충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펜슬 요소와 볼펜 요소를 상부 축 케이스의 회동에 의해서 교호로 필기위치와 수납위치로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갖다놓을 수 있고 또 상부 축 케이스를 축방향으로 추이 하므로서 노크 식으로 심 밀어내기 작동을 할 수 있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도 내구성이 뛰어난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단 개구부(29)를 가진 하부축케이스(1), 축방향으로 뻗고 직경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가이드홈(10),(10′)을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상기 하부축케이스(1)의 후단개부에 고착된 안내 슬리이브(9) 상기 하부 축 케이스(1)의 선단개구부(29)에 필기선단을 향해서 전기 하부 축 케이스내에 배치되고, 또한 각각의 후단부에 상기 가이드홈(10),(10′)의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안내되는 슬라이더(7),(7′)를 가진 노크식 샤아프펜슬요소(3)와 볼펜요소(3′), 상기 안내 슬리이브(9)의 주위에 좌우 모든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또한 이 안내슬리이브(9)에 관하여 축방향으로 일정구간 추이가능하게 이 안내 슬리이브를 포위하고 있고, 180° 회동때마다 상기 양 필기요소(3),(3′)를 교대로 필기위치에 전진시키거나 혹은 수납위치로 후퇴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더(7),(7′)와 스프링 압력에 의해 맞물리는 슬라이드 경사면(13)과 절결맞물림부(14) 및 평탄부(15)를 하단면에 형성한 만곡케이싱(8)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 슬리이브(9)는 그 머리부에 축두(16)를 갖추어 이 축두주위에 캠(18)을 구비하고, 또 상기 만곡케이싱(8)의 상단에는 상기 캠(18)과 맞물리는 부채꼴스톱퍼(12)가 구비되며 상기 캠(18)과 부채꼴스톱퍼(12)는 상기 펜슬 요소(3)가 상기 하부 축 케이스(1)의 선단개구부(29)에서 돌출하고 있을 때는 서로의 맞물림이 풀려서 상기 안내 슬리이브(9)에 대한 상기 만곡 케이싱(8)의 축방향의 왕복추이가 가능하게 되어 이 추이가 상기 절결 맞물림부에 맞물리는 상기 슬라이더(7)를 통하여 필기 위치에 있는 상기 펜슬 요소(3)에 전달되어서 노크동작에 의하여 연심의 조출이 행하여지며, 다른 한편 상기 볼펜 요소(3′)가 상기하부 축 케이스(1)의 선단개구부(29)에서 돌출하고 있을 때는 서로 맞물려 상기 만곡 케이스(8)의 축방향으로의 추이가 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7900515U 1979-01-30 1979-01-30 필 기 구 KR820002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515U KR820002568Y1 (ko) 1979-01-30 1979-01-30 필 기 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515U KR820002568Y1 (ko) 1979-01-30 1979-01-30 필 기 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568Y1 true KR820002568Y1 (ko) 1982-12-13

Family

ID=1921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515U KR820002568Y1 (ko) 1979-01-30 1979-01-30 필 기 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5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7822A (en) Composite writing instrument
KR820002568Y1 (ko) 필 기 구
KR820002567Y1 (ko) 복식 필기구
US4270869A (en) Composite writing instrument
JP2520409B2 (ja) 筆記具
JP2566095Y2 (ja) 複式筆記具
JP7210843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810001460B1 (ko) 필기구
US11065907B2 (en) Hand tools, cosmetic devices and writing instruments
JP7508103B2 (ja) 筆記具
JP2018187828A (ja) 軸筒内に収容されるスライド部材及びそれを備える筆記具
KR19980065067U (ko) 복합필기구
KR930005088B1 (ko) 복합 필기구
JP3286510B2 (ja) 複合筆記具における筆記機構
JPH0721388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2566094Y2 (ja) 複式筆記具
JP2560149Y2 (ja) 複式筆記具
KR840002388Y1 (ko) 필 기 구
JP2534040B2 (ja) 複合筆記具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2006150725A (ja) 出没式筆記具
JP2566099Y2 (ja) 複式筆記具
JPS6217265Y2 (ko)
JP2566097Y2 (ja) 複式筆記具
JP3602213B2 (ja) 複式筆記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