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729B1 - 아실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실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729B1
KR800000729B1 KR7502142A KR750002142A KR800000729B1 KR 800000729 B1 KR800000729 B1 KR 800000729B1 KR 7502142 A KR7502142 A KR 7502142A KR 750002142 A KR750002142 A KR 750002142A KR 800000729 B1 KR800000729 B1 KR 80000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
carboxylic acid
formula
preparation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밀코브스키 울프강
린케부덴
푼케 시에그프리어드
휘센스 롤프
리어프만 한스-궨더
스템머 베너
쥬그너 호스트
Original Assignee
홀스트 박사, 마손네 박사
칼리-케미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홀스트 박사, 마손네 박사, 칼리-케미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홀스트 박사, 마손네 박사
Priority to KR7502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729B1/ko

Link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실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Ⅱ)의 신규한 아실디아민류 및 그 산부가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가 1∼6개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으로서,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재쇄이며, R는 유리 또는 에스테르화된 하이드록실기,
A와 B는 벤젠환으로서, 그 각각은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알킬, 알콕시 같은 치환제를 하나이상 가질수 있다.
상기식에서 R1으로 나타내는 저분자량의 지방족기로서는, 예를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아밀, 헥실,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및 사이클로프로필메틸기 등의 알킬기가 있다. 또한, R1은 방향족으로 치환된 알킬기, 또는 에스테르화 또는 에테르화 또는 유리된 하이드록실기로 치환된 알킬기일 수도 있다. 벤젠환 A와 B는 할로겐 원자(염소, 브롬, 불소 또는 요오드원자), 또는 니트릴,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킬기(예를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또는 sec-부틸), 또는 알콕시기(예를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부톡시) 등의 같거나 상이한 치환체를 하나이상 가질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라 하기 구조식(Ⅲ)의 디아민을 하기 구조식(가)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 A,B,R1및 R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같고, X는 구조식(가)의 카르복실산이나 그의 유도체가 구조식(Ⅲ)의 디아민과 반응하여 HX로 떨어져 나가고 본원의 아실디아민을 형성시킬 수 있는 기중에서 선택된다. 이 반응은 카르복실아미드류와 에스테르류의 제조에 적당한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사용하여 적당한 용매중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일으킬 수 있다. 적당한 카르복실산 유도체에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카르복실산 무수물, 카르복실산 할로겐화물이 있다.
이 반응은 산결합제, 특히 트리에틸아민이나 피리딘등의 3급 아민인 적당한 산결합제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중에서 실시할 수 있다. 만약, 산결합제가 과량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것은 반응이 일어나는 용매로서의 작용도 할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반응은 산결합제 없이도 불활성 용매 중에서 일으킬 수 있다. 적당한 용매로는 예컨데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아세톤, 디옥산, 벤젠, 톨루엔 및 클로로벤젠이 있다. 반응온도는 사용된 특정의 카르복실산 유도체에 좌우되면, -30℃와 사용되는 용매의 비점 사이의 온도가 될 것이다. 반응은 표준압력 또는 가압하에 진행시킬 수 있다.
반응이 동몰량으로 수행된다면, R가 OH인 구조식(Ⅱ)의 이미드류가 먼저 생성된다. 필요한 경우, 이들 화합물중의 하이드록실기는 카르복실산 무수물 에스테르 또는 염화물과 같은 적당한 카르복실산 유도체로 에스테르화 시킬 수도 있다. 디아민 1몰에 대하여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2몰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이드록실기는 아미드 생성과 동시에 에스테르화될 것이다. 만약에, R1=H인 구조식(Ⅲ)의 화합물을 적당한 카르복실산 유도체 3몰과 반응시킨다면, 트리아실 유도체가 생성하게 될 것이다.
구조식(Ⅱ)의 아실 디아민류는 신규환벤조 -1,4-디아제핀 유도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용한 출발 물질이다. 이들 벤조디아제핀 유도체와 그의 제조방법은 한국 특허원 73-718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신규한 벤조디아제핀류는 구조식(Ⅱ)의 아실 디아민류로부터 직접 제조되거나, 또는 중간 물질인 1,5-벤조디아조신유도체를 경유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1,5-벤조디아조신 유도체 역시 신규 화합물로서, 그 제조방법은 한국 특허원 제 75-1637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트리에틸아민 84㎖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69.5㎖를 클로로포름 200㎖에 N-메틸-N-(2-하이드록시-3-아미노프로필)-4′-클로로-아닐린 128g을 용해시킨 용액에 차례로 가하였다. 24시간 후에 클로로포름 용액을 수세하고 건조시켰다. 다음에, 클로로포름을 진공 증류하여 제거하고 조생성물을 벤젠으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이 136-137℃인 N-메틸-N-(2-하이드록시-3-벤조일아미노프로필)-4′-클로로-아닐린 142.5g을 얻었다.
[실시예 2]
트리에틸아민 85㎖와 벤조일클로라이드 70㎖를 클로로포름 1ℓ에 N-메틸-N-(2-하이드록시-3-아미노프로필)-4′-클로로아닐린 59g을 용해시킨 용액에 차례로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동안 환류시킨후, 실시예 1에 기재한 방법대로 반응 종결하여 융점이 145-148℃인 N-메틸-N-(2-벤조일옥시-3-벤조일아미노프로필)-4′-크로로-아닐린 61g을 얻었다.
이상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을 얻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Claims (1)

  1. 다음 구조식(Ⅲ)의 디아민류를 다음 구조식 (가)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와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Ⅱ)의 아실 디아민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1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가 1∼6개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 또는 환상 지방족으로서,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직쇄 또는 분지쇄이며, A와 B는 벤젠환으로서, 그 각각은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알킬, 알콕시 및 알킬티오 기와 같은 치환체를 하나 이상 가질 수 있고, X는 구조식(가)의 카르복실산이나 그의 유도체가 상기 구조식(Ⅲ)의 디아민과 반응하여 HX로 떨어져 나가고 본원의 아실디아민류를 생성시킬 수 있는 기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KR7502142A 1975-09-30 1975-09-30 아실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0000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142A KR800000729B1 (ko) 1975-09-30 1975-09-30 아실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142A KR800000729B1 (ko) 1975-09-30 1975-09-30 아실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300718A Division KR780000217B1 (en) 1973-05-03 1973-05-03 Process for preparation of benzodiazepine derivativ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729B1 true KR800000729B1 (ko) 1980-07-30

Family

ID=1920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142A KR800000729B1 (ko) 1975-09-30 1975-09-30 아실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72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2326A (en) Cyclic sulphonyloxyimides
CZ283215B6 (cs) Způsob výroby 3-(alfa-methyxy)methylenbenzofuranonů
JPS5813535B2 (ja) アシルジアミンの製法
EP1200386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aproxene nitroxyalkylesters
KR800000729B1 (ko) 아실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308206A (en) Process for preparing derivatives of 5,11-dihydro-6h-pyrido[2,3-b][1,4]-benzodiazepin-6-one, and the final derivatives and synthesis intermediates obtained thereby
FI86183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7-amino-3-alkoximetyl-3-cefem-4-karboxylsyraderivat.
US4021464A (en) Boric acid esters
US3213104A (en) Cyclohexanespirohydantoins
US421280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ptionally substituted 2,3-indolinediones
US5654429A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3-amino-2-chloro-4-alkylpyridines
FI64166B (fi) Nytt foerfarande och mellanprodukt foer framstaellning av s-trietylfosfinguld-2,3,4,6-tetra-0-acetyl-1-tio-beta-d-glukopyranosid (auranofin)
KR100331251B1 (ko) 세팔로스포린의제조방법
US4228283A (en) Process for preparing pure 2-methyl-3-(β-hydroxyethylcarbamoyl)quinoxaline 1,4-di-N-oxide, and other compounds similar thereto
US4289894A (en) Pentachlorophenyl-phenyl malonate compound suitable for use as acylating agents
US4540786A (en) Preparation of 2-chloro-3-cyano-quinolines
US3707540A (en) 1,3-thiazines and their preparation
SU732267A1 (ru) Карборансодержащие алифатические нитрилы как промежуточный продукт в синтезе карборанилпропионовой кислоты
KR800000380B1 (ko) 3-이속사졸릴 요소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10001319B1 (ko) 신규한 이소부티라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26189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ptionally substituted 2,3-indolinediones
FI78075C (fi) Foerfarande och mellanprodukt foer framstaellning av 2-hydroximetyl-3-hydroxi-6-(1-hydroxi-2-tert.- butylaminoetyl)pyridin eller pirbuterol.
KR0161351B1 (ko) 신규 티아(디아)졸 초산의 반응성 포스페이트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910006981B1 (ko) 록사티딘 카르복실레이트 염산염의 새로운 제조방법
KR860008123A (ko) 신규 디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