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4333A -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 Google Patents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4333A
KR20240104333A KR1020220186378A KR20220186378A KR20240104333A KR 20240104333 A KR20240104333 A KR 20240104333A KR 1020220186378 A KR1020220186378 A KR 1020220186378A KR 20220186378 A KR20220186378 A KR 20220186378A KR 20240104333 A KR20240104333 A KR 20240104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rinkable film
label
styren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4333A/ko
Publication of KR2024010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4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B32B7/028Heat-shrink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표면층; 상기 표면층의 일면에 적층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상기 표면층이 적층된 면과 반대쪽 면에 적층된 내면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 및 내면층은 스티렌계 공중합체, 스티렌 호모중합체, 및 고무변성 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대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중량비가 2.5:1 내지 5:1일 수 있다.

Description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Heat shrinkable film for label, label including the film and container having the label attached thereto}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료용 용기로 사용되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병에는 타 상품과의 차별화나 고객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용기 외측에, 인쇄층이 인쇄되어 있는 열수축성 라벨을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라벨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및/또는 폴리올레핀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라벨이 부착된 음료용 PET 용기는 사용후 분쇄되어 펠렛화된 후 재생 공정을 거쳐 용기로 재생된다.
상기 재생 공정은 펠렛화된 용기를 물에 투입하여 비중 차이에 의해 가벼운 물질과 무거운 물질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벼운 물질은 물에 뜨는 물질로서 비중이 1 미만인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재질의 용기 뚜껑 조각이고, 무거운 물질은 물에 가라앉는 물질로서 비중이 1 이상인 열수축성 라벨이나 PET 필름 조각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비중 분리 효율이 좋은, 비중이 1 미만인 열수축성 라벨이 요구되고 있다. 비중이 1 미만인 라벨 재료로는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올레핀계 수지는 열수축률 및 시밍(seaming)성과 같은 가공성 부여가 어려워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하여 필름을 성형하고 있다. 그러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하더라도 투명성이 저하되고 인쇄 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열수축율 저하로 굴곡이 심한 용기의 적용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비중 분리법에 의한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필름의 열수축률, 투명성, 가공성, 및 인쇄품질이 우수하고 굴곡이 심한 용기의 적용에 적합한 열수축성 라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 측면은 필름의 열수축률, 투명성, 가공성, 및 인쇄품질이 우수하고 굴곡이 심한 용기의 적용에 적합한 비중이 1 미만의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을 제공한다.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측면은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라,
표면층;
상기 표면층의 일면에 적층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상기 표면층이 적층된 면과 반대쪽 면에 적층된 내면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 및 내면층은 스티렌계 공중합체, 스티렌 호모중합체, 및 고무변성 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대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중량비가 2.5:1 내지 5:1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표면층 또는 내면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71 중량%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표면층 또는 내면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8 중량%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표면층 또는 내면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표면층 및 내면층은
적어도 1종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C) 또는 이들의 블렌드;
적어도 1종의 범용 스티렌 호모중합체(GPPS) 또는 이들의 블렌드; 및
적어도 1종의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프로필렌 중합체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ASTM D792에 따라 측정된 밀도가 0.88 g/cm3 내지 0.92 g/cm3일 수 있다.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90 ℃ 내지 130 ℃의 ASTM D1525에 따른 Vicat 연화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의 비중, 상기 중간층의 비중, 및 상기 내면층의 비중은 각각 1.02 내지 1.05, 0.85 내지 0.95, 및 1.02 내지 1.05일 수 있다.
상기 표면층 7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상기 중간층 56 중량부 내지 86 중량부, 및 상기 내면층 7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의 두께, 상기 중간층의 두께 및 상기 내면층의 두께는 각각 5 ㎛ 내지 9 ㎛, 22 ㎛ 내지 40 ㎛, 및 5 ㎛ 내지 9 ㎛일 수 있다.
1 미만의 비중을 가질 수 있다.
0.96 미만의 비중을 가질 수 있다.
100 ℃에서 55%~65%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가질 수 있다.
60 ℃에서 5% 이하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가질 수 있다.
ASTM D1003에 따른 헤이즈값이 3.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면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내면층 중 적어도 한 층은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종 이상의 첨가제는 항산화제, UV 안정제, 블로킹 방지/슬립제, 조핵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열수축률, 투명성, 가공성, 및 인쇄품질이 우수하고 굴곡이 심한 용기의 적용에 적합하며, PET 병과의 분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의 일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이라는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들 조합"이라는 용어는 기재된 구성요소들 하나 이상과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 기재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및/또는"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들의 앞에 "적어도 1종", "하나 이상", 또는 "1종 이상"이라는 표현은 전체 구성요소들의 목록을 보완할 수 있고 상기 기재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또는 "위에" 배치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일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거나 상기 구성요소들 사이에 개재된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또는 "위에 직접" 배치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개재된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계 수지", "~ 계 중합체", "~계 폴리머", 또는/및 "~ 계 공중합체"는 "~ 수지", "~ 중합체", "~계 폴리머", "~ 공중합체", 또는/및 "~ 수지, 중합체, 폴리머, 또는 공중합체의 유도체"를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열수축성(heat shrinkable)"이란 열에 의해 수축되어 점착성을 갖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중"은 어떤 물질의 질량을 상기 물질과 같은 부피를 갖는 표준물질(즉, 1atm 및 23℃의 물)의 질량으로 나누어 얻어진 비율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일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표면층(11), 중간층(12) 및 내면층(1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중간층(12)과 표면층(11) 또는 중간층(12)과 내면층(11') 사이에 접착층을 포함하지 않는 접착층 비함유 필름이다. 접착층을 통해 중간층(12)과 표면층(11) 또는 내면층(11')이 적층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상기 필름의 수축시에 접착층이 타층에 추종되지 않아, 층간 박리로 대표되는 외관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층 비함유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및/또는 폴리올레핀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열수축률 및 시밍(seaming)성과 같은 가공성 부여를 고려하여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표면층(11) 및 내면층(11')에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사용된다면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인쇄 품질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열수축률이 저하되어 굴곡이 심한 용기에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표면층(11) 및 내면층(11')은 스티렌계 공중합체, 스티렌 호모중합체, 및 고무변성 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수지가 사용된다. 이러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저온 수축성이 우수하기에 우유나 요쿠르트 등의 유가공 제품의 용기용 라벨에 적합하다. 또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가볍고 과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뜨거운 음료 제품의 용기용 라벨로 사용시 열수축 후에도 라벨 외관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인쇄 가공시 인체에 무해한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기에 친환경적이다. 또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우수한 투명성을 가지며 용기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컷성이 우수하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대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중량비는 2.5:1 내지 5: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대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중량비는 2.7:1 내지 5:1이거나 2.9:1 내지 5:1이거나 3:1 내지 5:1이거나 3.2:1 내지 5:1이거나 3.5:1 내지 5:1이거나 3.7:1 내지 5:1이거나 4:1 내지 5:1이거나 또는 4:2 내지 5:1일 수 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대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내라면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열수축률, 투명성, 시밍, 실링, 및 라벨링과 같은 가공성, 및 인쇄품질 모두 우수하며, 굴곡이 심한 용기에 적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표면층 또는 내면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71 중량% 내지 90 중량%이거나 73 중량% 내지 90 중량%이거나 75 중량% 내지 90 중량%이거나 77 중량% 내지 90 중량%이거나 80 중량% 내지 90 중량%이거나, 또는 82 중량%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표면층 또는 내면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8 중량% 내지 25 중량%이거나 10 중량% 내지 25 중량%이거나 12 중량% 내지 25 중량%이거나 14 중량% 내지 25 중량%이거나 16 중량% 내지 25 중량%이거나, 또는 18 중량%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서 이들 간의 중량비를 전술한 범위 내로 하여 열수축률, 투명성, 시밍, 실링, 및 라벨링과 같은 가공성, 및 인쇄품질 모두 우수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표면층 또는 내면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 내지 3 중량%이거나, 또는 1 중량%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고무변성 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라면 필름면 끼리의 블로킹이 일어나기 어렵고 투명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예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화물,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화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수소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HSBR)(예를 들면, JSR제, 제품명 ”다이너론(Dynaron) 1320 P", "다이너론(Dynaron) 1321 P","다이너론(Dynaron) 2324 P” 등)를 들 수 있다.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화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티렌 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SEBS)(예를 들면 JSR제, 제품명 ”다이너론(Dynaron) 8601 P”,”다이너론(Dynaron) 9901 P” 등)를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예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등의 스티렌계 ABA 형 블록공중합체(트리블록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SB),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SISI) 등의 스티렌계 ABAB 형 블록공중합체(테트라블록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IS) 등의 스티렌계 ABABA형 블록공중합체(그래픽스 태블릿 잠금 장치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SI), 스티렌-에틸렌-부틸렌의 공중합체(SEB),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공중합체(SEP) 등의 스티렌계 AB형 블록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등의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 공중합체(SEBC) 등의 A-B-C형 스티렌 올레핀 결정계 블록 폴리머;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예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 및 스티렌- 에틸렌-부틸렌-스티렌-에틸렌-부틸렌의 공중합체(SEBSEB)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 호모중합체는 어택틱, 신디오택틱, 또는 이소택틱일 수 있다.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은 매우 규칙적인 입체화학 구조, 즉 고도로 신디오택틱 구성을 갖는 폴리스티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측기의 페닐기 및 치환된 페닐기는 중합체 주쇄에 대해 반대 위치에 교대로 위치한다.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sPS)의 예로는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m-메틸스티렌), 폴리(p-삼차-부틸스티렌), 폴리(p-클로로스티렌), 폴리(m-클로로스티렌), 폴리(p-플루오로스티렌), 수소화된 폴리스티렌, 상기 중합체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전술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중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한다. 어택틱 폴리스티렌은 불규칙한 입체화학 구조를 가진 폴리스티렌을 포함할 수 있다. 측기의 페닐기 및 치환된 페닐기는 중합체 주쇄를 따른 위치에 무작위로 위치한다. 적합한 어택틱 폴리스티렌은 범용 폴리스티렌(GPPS)일 수 있다. 범용 폴리스티렌 (GPPS)은 약 2.55의 Dk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중합체의 예로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을 들 수 있다.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의 예로는 부타디엔에 스티렌을 그라프트 중합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스티렌-부타디엔 그라프트 집합체);폴리 부타디엔 고무를 스티렌 모노머에 용해하고, 이 용액을 괴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현탁 중합을 허거나 또는, 단순하게 기계적으로 혼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요 스티롤 E640(동양 스티렌 주식회사제), PSJ-폴리스티렌 H6872(PS 재팬 주식회사제) 등의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은, 폴리스티렌상과 고무상으로 이루어진 2상 구조를 채택하고 있고, 폴리스티렌상 중에 고무상이 분산하고 있는, 이른바 해(海)-도(島) 구조를 취하고 있다.
폴리스티렌상에 분산하고 있는 고무상의 입자지름은 1~3㎛일 수 있고, 예를 들면 2~2.5㎛일 수 있다. 고무상의 입자지름이 1㎛ 이상이면, 필름표면이 개질되어 블로킹 등의 문제를 생기기 어렵다. 고무상의 입자지름이 3㎛ 이하이면, 인쇄 가공시에 잉크 미인쇄 부분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내충격성 폴리스티렌은 예를 들어, 용융질량흐름지수(MFR, 200 ℃ 온도, 49.03 N 하중)는 1.5~10 g/10분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8 g/1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표면층(11) 및 내면층(11')은 적어도 1종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C) 또는 이들의 블렌드; 적어도 1종의 범용 스티렌 호모중합체(GPPS) 또는 이들의 블렌드; 및 적어도 1종의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층(11) 및 내면층(11')은 저온 및 고온 수축성과, 투명성이 우수하며, 용기를 리사이클하기 위해서 사용 후의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을 떼어낼 수 있도록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이 절취선에 있어서의 컷성이 우수하다.
중간층(12)은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압출 특성, 연신 특성 및 열수축성을 갖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코-아미드), 폴리(에테르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폴리[2-(2-에톡시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2-(2-에톡시에톡시)에틸비닐에테르-b-(2-메톡시에틸비닐에테르)],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아크릴산), 폴리(에틸렌-코-벤질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1-부텐), 폴리(에틸렌-코-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부틸 메타크릴레이트-코-메타크릴산), 폴리(에틸렌-코-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1-헥센),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폴리(에틸렌-코-메틸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메틸 아크릴레이트-코-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코-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노르보넨), 폴리(에틸렌-코-1-옥텐), 폴리(에틸렌-코-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 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코-(에틸렌 노르보넨)], 폴리(에틸렌-코-프로필렌-코-노르보넨), 폴리(에틸렌-코-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코-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ε-카프로락톤), 폴리(프로필렌-코-1-부텐-코-에틸렌), 폴리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메틸펜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프로필렌 중합체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ASTM D792에 따라 측정된 밀도가 0.88 g/cm3 내지 0.92 g/cm3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ASTM D792에 따라 측정된 밀도가 0.89 g/cm3 내지 0.92 g/cm3 또는 0.90 g/cm3 내지 0.92 g/cm3일 수 있다.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0.85 내지 0.95의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90 ℃ 내지 130 ℃의 ASTM D1525에 따른 Vicat 연화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90 ℃ 내지 160℃의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용융점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내열성이 우수하여 라벨에 사용될 경우 블로킹 현상이 방지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저온 수축성이 우수하다.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예를 들어, 100 ℃ 내지 130 ℃의 용융점을 가질 수 있다.
표면층(11)의 비중 및 내면층(11')의 비중은 각각 중간층(12)의 비중 보다 크다. 표면층(11)의 비중 및 내면층(11')의 비중 중 적어도 하나가 중간층(12)의 비중 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강도(stiffness)가 낮아져서 그의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표면층(11) 및 내면층(11')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아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에 강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간층(12)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아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전체 무게를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면층(11)의 비중, 중간층(12)의 비중, 및 내면층(11')의 비중은 각각 1.02 내지 1.05, 0.85 내지 0.95, 및 1.02 내지 1.05일 수 있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표면층(11) 7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중간층(12) 56 중량부 내지 86 중량부, 및 내면층(11') 7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층(11), 중간층(12) 및 내면층(11')의 함량이 각각 상기 범위이내이면, 1 미만의 비중을 갖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표면층(11), 중간층(12) 및 내면층(11')의 두께는 각각 5 ㎛ 내지 9 ㎛, 22 ㎛ 내지 40 ㎛, 및 5 ㎛ 내지 9 ㎛일 수 있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1 미만의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비중이 1 이상이면, 이 필름(10)을 포함하는 라벨(미도시)이 PET 병(미도시)에 부착되어 사용된 경우, 상기 PET 병을 재활용할 때 상기 라벨이 비중 분리법에 의해 분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예를 들어, 0.96 미만의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100 ℃에서 55%~65%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가질 수 있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60 ℃에서 5% 이하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가질 수 있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이 100 ℃에서 55%~65%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가질 경우에는, 열수축이 잘 되어 굴곡이 심한 용기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라벨용 열수축용 필름(10)이 60 ℃에서 5% 이하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가질 경우에는, 자연적인(natural) 수축을 억제하여 제품 크기를 본래대로 유지할 수 있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ASTM D1003에 따른 헤이즈값이 3.0 이하일 수 있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우수한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표면층(11), 중간층(12) 및 내면층(11') 중 적어도 한 층은 1종 이상의 첨가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종 이상의 첨가제는 항산화제, UV 안정제, 블로킹 방지/슬립제, 조핵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아미노페놀, 알킬페놀, 에톡시퀸, 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T(butylated hydroxytoluene),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4,6-비스(옥틸티오메틸)-o-크레졸), 알킬페닐렌디아민, 글루타티온, 페록시다제, SOD(superoxide dismutas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안정제는 힌더드 아민, 유기 니켈 화합물(organonickel compound), 살리실산염, 파라벤, 벤조페논, 장뇌 유도체(camphor derivative), 신나메이트 유도체(cinnamate derivativ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방지/슬립제는 실리카, 규조토, 카올린, 탈크, 에루카미드(erucamide), 플루오로엘라스토머(fluoroelastomer), 올레아미드(oleamide), 스테아르아미드(atearamide), 베넨아미드(benenamid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핵제는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Na 금속염(예를 들어, 소듐 벤조에이트),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Zn 금속염(예를 들어, 징크 디벤조에이트),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Al 금속염(예를 들어, 염기성 알루미늄 디벤조에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디소듐-p-페놀술포네이트, 디소듐-p-히드록시벤조에이트,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의 소듐 이오노머, 징크 페닐 포스피네이트, 징크 페닐 포스포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첨가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평판 필름이나 원형 튜브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름의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연신되어 내면이나 외면에 인쇄가 가능한 성질을 갖는다.
이하, 전술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를 설명한다.
먼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 호모중합체, 및 고무변성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표면층(11) 및 내면층(11')의 스티렌계 수지 원료 조성물을 150~180℃ 온도의 압출기에 공급한다. 여기에,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중간층(12)의 원료 조성물을 투입하고 200~250℃의 온도로 용융 공압출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표면층/중간층/내면층의 3층 미연신 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미연신 시트를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하고, 상기 냉각된 시트를 1축 연신하고, 상기 1축 연신된 필름을 2축 연신하고, 이후 열처리하여 표면층/중간층/내면층의 층비를 조절한다.
상기 냉각된 미연신 시트를 1축 연신하여 1축 연신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된 미연신 시트를 롤 가열 및 적외선 가열(heater)이라는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하고, 우선 길이방향으로 연신하여 1축 연신 필름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연신은 2개 이상의 롤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연신 온도는 상기 스티렌계 수지와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로 설정하고, 연신 배율은 1.01~1.5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1축 연신된 필름을 2축 연신하여 2축 연신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1축 연신된 필름을 연속적으로 상기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이하, 「폭방향」이라고 함)으로 2축 연신하는 단계이다. 이때, 폭방향의 연신은 상기 스티렌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와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중 높은 것(이하, 「높은 유리전이온도」라고 함) 보다 높은 온도부터 시작하여, 상기 높은 유리전이온도 보다 5~70℃ 높은 온도까지 승온시키면서 수행될 수 있다. 폭방향 연신 과정에서의 승온은 연속적이어도 좋고, 단계적(순차적)이어도 좋지만 통상 순차적으로 승온시킨다. 예를 들어, 텐터의 폭방향 연신 영역을 필름 주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누고, 영역마다 소정 온도의 가열 매체를 흘림으로써 승온시킨다. 이 때, 폭방향 연신의 배율은 3∼5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2축 연신된 필름을 열처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2축 연신된 필름을 주행시키면서 열고정 또는 열 이완 등의 열처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2축 배향 필름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이에, 얻어진 2축 연신 필름의 결정 배향을 완료시켜 평면성과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텐터 내에서 80∼120℃의 온도로 1∼30초간의 열처리를 행하고, 균일하게 서냉한 후에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권취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을 포함하는 라벨(미도시)을 제공한다.
상기 라벨은 잉크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층은 상표, 유통 기한, 함유 성분, 사용상의 주의사항이나 사용법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인쇄층은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의 표면층(11), 중간층(12) 및/또는 내면층(11')에 볼록판 인쇄법(relief printing), 오목판 인쇄법(intaglio printing) 또는 평판 인쇄법(lithographic printing)에 의해 잉크 조성물을 인쇄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미도시)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는, 예를 들어, PET 병 또는 유리병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5: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의 제조
도 1의 구성을 갖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먼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C)(Denka 631M, Basf HS70, ASAHI Kasei 860S, Ineos styrolution KR52), 범용 스티렌 호모중합체(GPPS)(Kaofu 525HF, Toyo styrene G100C, Ineos styrolution 147F, Kumho 125), 및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Kumho 455TVL, Kumho 450PG, Toyo strene H350, Ineos styrolution 576H)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첨가하여 표면층/내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면층/내면층 형성용 조성물을 180℃로 가열된 압출기에 공급하였다.
이와 별도로,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로서 프로필렌 중합체(Lotte chemical SFI740P, Lotte chemical SFC851, SK geocentric R150L)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Dow chemical 2045G, Dow chemical 2047G, Dow chemical 5230G, Dow chemical 5400G, SK geocentric smart154)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율로 첨가하여 중간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중간층 형성용 조성물을 220℃로 가열된 상기 압출기에 공급하여 다이에서 하기 표 3에 기재된 층 두께의 표면층/중간층/내면층으로 구성된 3층의 시트상으로 성형하였다.
상기 성형된 시트를 표면 온도 23℃의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고, 이를 가열하여 길이방향으로 1.05배 연신후 냉각하였다. 계속해서 길이 방향으로 1축 연신한 필름의 양 끝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텐터로 이송하여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폭방향)으로 5배율로 연신하였다. 이후, 텐터 내에서 100℃로 열고정을 수행하고, 실온(약 25℃)까지 냉각하여 하기 표 3에 기재된 두께를 갖는 2축 연신 필름(즉,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들 및 조성을 갖는 표면층/내면층 형성용 조성물 및 중간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고, 하기 표 3에 기재된 층 두께의 표면층/중간층/내면층으로 구성된 3층의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3층의 시트상의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10)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표면층
(wt%)
631M 40 0 0 0 82.5 0 30 0
HS70 0 80 32.5 0 0 0 19 70
860S 40 0 50 60 0 0 0 0
KR52 0 0 0 22.5 0 58 0 0
525HF 9 0 0 16.5 0 0 0 0
G100C 10 0 0 0 16.5 0 50 0
147F 0 0 16.5 0 0 40 0 0
125 0 19 0 0 0 0 0 29
455TVL 0 1 0 0 0 0 0 0
450PG 0 0 1 0 0 0 0 0
H350 0 0 0 1 0 0 0 0
576H 1 0 0 0 1 2 1 1
중간층
(wt%)
SFI740P 70 0 0 100 70 20 0 0
SFC851 0 50 0 0 0 30 80 0
R150L 0 20 50 0 0 0 0 30
2045G 30 0 0 0 0 0 0 0
2047G 0 20 0 0 0 50 0 50
E5230G 0 10 0 0 0 0 0 20
5400G 0 0 50 0 0 0 20 0
Smart154 0 0 0 0 30 0 0 0
내면층
(wt%)
631M 40 0 0 0 82.5 0 30 0
HS70 0 80 32.5 0 0 0 17 88
860S 40 0 50 60 0 8 0 0
KR52 0 0 0 22.5 0 50 0 0
525HF 9 0 0 16.5 0 0 0 0
G100C 10 0 0 0 16.5 0 50 0
147F 0 0 16.5 0 0 40 0 0
125 0 19 0 0 0 0 0 0
455TVL 0 1 0 0 0 0 0 0
450PG 0 0 1 0 0 0 0 0
H350 0 0 0 1 0 0 0 0
576H 1 0 0 0 1 2 3 2
함량비(wt%) 표면층 20 15 10 7 22 35 5 10
중간층 60 70 80 86 56 30 60 80
내면층 20 15 10 7 22 35 5 10
평가예 1: 열수축률 평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을 120mm×120mm로 절단하여 초기 치수를 측정하고 다양한 온도의 온수조에 30초 동안 침지시킨 후의 치수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수축률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MD 방향(machine direction)은 길이방향을 의미하고, TD 방향(transverse direction)은 폭방향을 의미한다.
[수학식 1]
열수축률(%) = (수축전 치수 - 수축후 치수)/수축전 치수 * 100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MD 방향
(%)
50℃ 0 0 0 0 2 3 1 0
60℃ 2 2 0 1 2 4 1 0
70℃ 3 3 1 2 3 4 2 2
80℃ 3 3 2 2 3 6 2 2
90℃ 3 4 2 3 3 10 4 3
100℃ 3 4 3 3 3 15 7 8
TD
방향
(%)
50℃ 2 0 1 1 2 6 2 1
60℃ 4 3 5 5 5 12 6 5
70℃ 10 5 12 13 12 5 2 10
80℃ 35 25 23 30 32 25 20 20
90℃ 55 45 43 45 57 35 25 28
100℃ 65 58 55 65 63 40 30 3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100 ℃에서 55%~65%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60 ℃에서 5% 이하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여,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100 ℃에서 수축율이 부족한 30%~40%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60 ℃에서 5% 이상의 자연수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TD 방향 열수축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굴곡이 심한 용기에 대해 적용할 수 있으며, 자연적인 수축을 억제하여 제품 크기를 본래대로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평가예 2: 비중 평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전체 및 각 층의 밀도를 JIS K 7112에 따라 밀도구배관법(density gradient column method)에 의해 측정한 후, 23℃의 물의 밀도와의 비에 의해 비중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예 3: 두께 평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전체 및 각 층의 두께를 두께 측정기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중 두께(㎛)
필름
전체
표면층 중간층 내면층 필름
전체
표면층 중간층 내면층
실시예 1 0.953 1.024 0.906 1.024 40 8 24 8
실시예 2 0.941 1.024 0.906 1.024 45 6.75 31.5 6.75
실시예 3 0.932 1.023 0.91 1.023 50 5 40 5
실시예 4 0.917 1.023 0.9 1.023 45 3.15 38.7 3.15
실시예 5 0.957 1.023 0.906 1.023 40 8.8 22.4 8.8
비교예 1 0.98 1.022 0.91 1.022 40 14 12 14
비교예 2 0.954 1.03 0.904 1.03 45 9 27 9
비교예 3 0.936 1.026 0.914 1.026 45 4.5 363 4.5
평가예 4: 헤이즈값 평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에 대하여, 일본 니폰덴소쿠사의 오토메틱 디지털 헤이즈미터에 샘플을 수직으로 놓고, 수직으로 놓여진 시료의 직각 방향으로 0nm~700nm의 파장을 갖는 빛을 투과시켜 나타난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예 5: 인쇄특성 평가
니트로셀루로오스계 잉크를 상기 각 필름의 표면에 도포한 후, 레이저 블레이드(razor blade)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각 필름의 도포면에 격자무늬를 만들었다. 이어서, 상기 각 필름의 도포면에 3M사의 610M 스카치테이프를 접착한 후 이를 신속히 제거하였을 때(rub-off test) 테이프 접착면에 잉크의 전사 정도를 확인하여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3M 테이프에 대한 잉크 전사율 0%
△: 3M 테이프에 대한 잉크 전사율 30% 미만
Х: 3M 테이프에 대한 잉크 전사율 30%
평가예 6: 기계적 강도 평가
30℃ 및 상대습도 85%의 분위기하에서 28일간 보관한 후 최대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인장 시험(시험편 폭: 15 mm, 시험편 길이: 120 mm, 척간 거리: 20 mm, 인장 속도 200 m/분, 온도 23℃, 샘플수: 20)을 수행하여 신장도 5% 이하로 파단한 시험편수를 계산하고, 이하의 판단기준으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신장도 5% 이하로 파단한 시험편수의 전체 시험편수에 대한 비율(%)을 초기 파단율로 기록하였다.
○: 0~5개(초기 파단율 0 내지 25%)
△: 6~14개(초기 파단율 30 내지 70%)
×: 15~20개(초기 파단율 75 내지 100%)
평가예 7: 내블로킹성 평가
롤러 타입의 라미네이터기를 사용하여 필름 코팅 면을 맞대어, 120℃의 온도로 2㎏/cm2의 압력하에 5mpm(meters per minute)의 속도로 열압착시킨 후 박리시켜 내블로킹성을 아래의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끈적거림 없이 깨끗이 박리된다.
△: 붙어있는 자국이 남으나, 박리 가능한 수준이다.
×: 필름간의 융착이 발생되어, 박리 불가능한 수준이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헤이즈값(%) 2 2 2.5 2 1.5 8 10 12
인쇄특성 × ×
기계적 강도 × ×
내블로킹성 × ×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에 비해 헤이즈값이 현저하게 낮았다. 즉,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투명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은 비교예 2∼3에서 제조된 각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에 비해 인쇄특성, 기계적 강도 및 내블로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1: 표면층
11': 내면층 12: 중간층

Claims (20)

  1. 표면층;
    상기 표면층의 일면에 적층된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상기 표면층이 적층된 면과 반대쪽 면에 적층된 내면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 및 내면층은 스티렌계 공중합체, 스티렌 호모중합체, 및 고무변성 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 대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중량비가 2.5:1 내지 5:1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표면층 또는 내면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71 중량% 내지 90 중량%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호모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표면층 또는 내면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8 중량% 내지 25 중량%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스티렌계 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표면층 또는 내면층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 내지 3 중량%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및 내면층은
    적어도 1종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SBC) 또는 이들의 블렌드;
    적어도 1종의 범용 스티렌 호모중합체(GPPS) 또는 이들의 블렌드; 및
    적어도 1종의 내충격성 폴리스티렌(HIPS) 또는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프로필렌 중합체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ASTM D792에 따라 측정된 밀도가 0.88 g/cm3 내지 0.92 g/cm3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90 ℃ 내지 130 ℃의 ASTM D1525에 따른 Vicat 연화점을 갖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비중, 상기 중간층의 비중, 및 상기 내면층의 비중은 각각 1.02 내지 1.05, 0.85 내지 0.95, 및 1.02 내지 1.05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7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상기 중간층 56 중량부 내지 86 중량부, 및 상기 내면층 7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 상기 중간층의 두께, 및 상기 내면층의 두께는 각각 5 ㎛ 내지 9 ㎛, 22 ㎛ 내지 40 ㎛, 및 5 ㎛ 내지 9 ㎛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1 미만의 비중을 갖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0.96 미만의 비중을 갖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100 ℃에서 55%~65%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갖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60 ℃에서 5% 이하의 TD 방향 열수축률을 갖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ASTM D1003에 따른 헤이즈값이 3.0 이하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내면층 중 적어도 한 층은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첨가제는 항산화제, UV 안정제, 블로킹 방지/슬립제, 조핵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20. 제19항에 따른 라벨이 부착된 용기.
KR1020220186378A 2022-12-27 2022-12-27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KR20240104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378A KR20240104333A (ko) 2022-12-27 2022-12-27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378A KR20240104333A (ko) 2022-12-27 2022-12-27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4333A true KR20240104333A (ko) 2024-07-05

Family

ID=91948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378A KR20240104333A (ko) 2022-12-27 2022-12-27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043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507B2 (en) Silicone-free multilayer shrink film for high speed packaging lines
JPWO2010084832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US20040234800A1 (en) Multilayer shrink film for high speed packaging lines
WO2001038434A1 (fr) Film etire a base de resin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1606915B1 (ko)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JP6702068B2 (ja) 半透明性延伸フィルム
JP6540325B2 (ja) 半透明性延伸フィルム
EP3466679B1 (en) Translucent stretched film
JP4370498B2 (ja) 熱収縮性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JP6700616B2 (ja) 半透明性延伸フィルム
JP4644946B2 (ja) オレフィン系多層収縮フィルムおよび包装材
JP5235667B2 (ja) 多層熱収縮性スチレン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40104333A (ko)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JP3774113B2 (ja) 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
JP4364085B2 (ja) 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成形品、容器
CA3162264C (en) Oriented multilayer shrink films with polystyrene skin layer
JP3835970B2 (ja) 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
WO2008069132A1 (ja) フォトルミネッセンス熱収縮性フィルム
JP2004284197A (ja) ポリプロピレン系熱収縮性フィルム
JP3914656B2 (ja) 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
JP2005068317A (ja) 熱収縮性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JP2003340987A (ja) 多層ポリスチレン系熱収縮フィルム
JPH11245350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シュリンクラベル
JP2005239799A (ja) 熱収縮性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JP2004209905A (ja) 熱収縮性包装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