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96965A -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6965A
KR20240096965A KR1020220177852A KR20220177852A KR20240096965A KR 20240096965 A KR20240096965 A KR 20240096965A KR 1020220177852 A KR1020220177852 A KR 1020220177852A KR 20220177852 A KR20220177852 A KR 20220177852A KR 20240096965 A KR20240096965 A KR 20240096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orker
accident prevention
logistics site
safety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제헌
Original Assignee
황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제헌 filed Critical 황제헌
Priority to KR102022017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96965A/ko
Publication of KR2024009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696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2Bounding box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ritical Care (AREA)
  • Nur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는, 항만을 포함하는 물류 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물류 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상태를 판단하고, 안전장비의 비정상 착용이 판단될 때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비정상 착용의 사실을 통지하며, 촬영영상에서 작업자의 외관 특성을 근거로 소속사를 판단해 소속사의 안전 신뢰도 평가시 반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at Logistics Sit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항만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성격을 갖는 전체 물류현장을 대상으로 관리자와 작업자, 그리고 각 하역(회)사간 유기적인 관계 형성은 물론 CCTV와 인공지능(AI) 중심의 원격 안전 관리 체계를 실현시킬 수 있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만하역현장 근로자의 재해율은 전 산업평균 재해율의 2배에 육박할 정도로 높은 수준이다. 항만은 재해율 1위인 광업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재해율을 가지는 현장이다. 항만은 대형 컨테이너가 드나들고 위험 액체가 든 컨테이너가 많으며 장소 자체가 광활하다. 이러한 특성상 항만에서는 사고가 빈번하며, 등록되지 않은 컨테이너 또는 위험물이 든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데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각종 항만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새로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단순 안전 교육이나 캠페인과 같은 형식적인 예방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평택항 고 이선호씨의 사망사고의 경우 기본적인 안전장비 미지급과 각종 운행장비의 노후화, 그리고 부적절한 사고 대응이 주 원인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안전 체계 미흡과 하역사 간 강한 독립적인 성향에 따른 의사소통 부재임을 알 수 있다. 즉 항만이 가지는 고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항만 구조에 맞는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인공지능 기술과 커뮤니티를 접목시켜 사고 예방은 물론 항만 내부의 결속력과 발빠른 신고 대응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48776호(2019.11.2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16040호(2021.02.0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35156호(2021.11.30)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4029호(2021.07.1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88189호(2022.06.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항만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성격을 갖는 전체 물류현장을 대상으로 관리자와 작업자, 그리고 각 하역(회)사간 유기적인 관계 형성은 물론 CCTV와 인공지능(AI) 중심의 원격 안전 관리 체계를 실현시킬 수 있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는, 항만을 포함하는 물류 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물류 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상태를 판단하고, 안전장비의 비정상 착용이 판단될 때 상기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상기 비정상 착용의 사실을 통지하며, 상기 촬영영상에서 상기 작업자의 외관 특성을 근거로 소속사를 판단해 상기 소속사의 안전 신뢰도 평가시 반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영상 내에서 안전장비를 미착용하는 사람에 설정되는 바운딩 박스 부위의 이미지를 캡쳐해 인공지능의 이피션트넷(Efficientnet)을 통과시켜 지정 소속사의 작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류현장의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긴급도움요청(SOS)을 위한 버튼 및 소속이 서로 다른 작업자들의 소통을 위한 복수의 소통 메뉴를 포함하는 메인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SOS의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작업자의 사용자 정보를 사고처리 관계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면서 상기 작업자의 현재 모습을 촬영하는 촬영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소통 메뉴로서 상기 물류 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책을 건의하는 안전신문고의 제1 항목 및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던 사례를 공유하는 아차사고 게시판의 제2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항만을 포함하는 물류 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물류 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상태를 판단하고, 안전장비의 비정상 착용이 판단될 때 상기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상기 비정상 착용의 사실을 통지하며, 상기 촬영영상에서 상기 작업자의 외관 특성을 근거로 소속사를 판단해 상기 소속사의 안전 신뢰도 평가시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속사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영상 내에서 안전장비를 미착용하는 사람에 설정되는 바운딩 박스부위의 이미지를 캡쳐해 인공지능의 이피션트넷을 통과시켜 지정 소속사의 작업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류현장의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긴급도움요청(SOS)을 위한 버튼 및 소속이 서로 다른 작업자들의 소통을 위한 복수의 소통 메뉴를 포함하는 메인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SOS의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작업자의 사용자 정보를 사고처리 관계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면서 상기 작업자의 현재 모습을 촬영하는 촬영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소통 메뉴로서 상기 물류 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책을 건의하는 안전신문고의 제1 항목 및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던 사례를 공유하는 아차사고 게시판의 제2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하나만으로 작업일정 및 작업관리 등 분리된 작업 단계를 하나로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CCTV와 인공지능의 연동으로 현장 내 사용자의 장비착용 여부, 익사사고 방지를 위한 사람식별 등 원격감시 식별 서비스를 제공하여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 장비착용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 해당 구역 담당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고, 회사 구분을 통해 안전평가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SOS 원터치 긴급버튼으로 해당 위치를 회사, 공사, 인근 소방서에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려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유게시판 기능을 제공해 하역사 및 공사의 전파 사항을 쉽게 공지할 수 있고, 또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고 예방은 물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의사소통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현장의 안전사고예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관리 예방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관리 예방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현장의 안전사고예방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의 동작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현장의 안전사고예방 시스템(90)은 촬영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및 안전사고 예방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2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촬영장치(100)와 안전사고 예방장치(130)가 다이렉트(예: P2P 등) 통신을 수행하거나,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촬영장치(100)는 항만뿐 아니라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물류현장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장치(100)는 일반적인 CCTV를 포함할 수 있지만, 최근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해상도가 좋은 IP 카메라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촬영장치(100)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고정된 영역만 촬영하는 고정식 카메라뿐 아니라, 팬(pan), 틸트(tilt), 줌(zoom) 등의 동작을 통해 특정 영역을 다양한 형태로 촬영할 수 있는 PTZ 카메라가 사용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는 촬영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영상분석장치를 내부에 탑재할 수도 있다. 물론 내부에 탑재되는 영상분석장치는 에지장치가 될 수도 있지만, 내부에 탑재되는 경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별도의 압축(encoding)이나 복원(decoding) 동작없이 처리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4차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5G 통신망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가 처리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통신망의 망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1차적으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장치를 촬영장치(100)에 탑재하여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의 분석 결과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촬영영상이나 영상의 분석 결과를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항만을 포함하는 물류현장의 작업자들이나 그 작업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들, 그리고 물류현장에서 작업자들에게 위험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적절한 조치를 위하여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는 소방관 등의 사건, 사고 처리 관계자들이 소지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관리자나 사고처리 관계자의 경우에는 데스크탑 컴퓨터나 랩탑 컴퓨터 등 PC 기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또 태블릿PC, 스마트폰, 나아가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등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작업자들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장치와 같이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를 소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장치를 통해 작업자들의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또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먼저 위치추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GPS 모듈,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 등을 포함하므로 이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물론 항만 등의 물류현장 내에 있을 때만 해당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은 작업자들이 착용하는 안전모나 작업복, 작업화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장치와 같은 통신장치를 통해서도 추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의 위치추적과 관련해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해당 장치들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면서 주변의 통신망(120)에 포함되는 액세스포인트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때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식별정보를 통해서는 작업자를 이미 매칭하였으므로 이를 통해 작업자를 인식할 수 있고, 또 신호의 신호세기 등을 이용해서는 거리나 방향을 측정해 이를 근거로 작업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무엇보다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서로 소속이 다른 작업자들의 특성상 커뮤니티 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의 안전사고 예방장치(130)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10)에는 도 1의 안전사고 예방장치(130)에 접속하기 위한 앱을 탑재할 수 있으며, 이를 실행하여 해당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작업자들의 소속이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항만과 같이 같은 곳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자들은 항만 등과 관련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관리자와 작업자, 그리고 각 하역사간 유기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안전관리체계의 효율성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만의 작업자들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도 1의 안전사고 예방장치(130)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자신의 작업일정이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작업자들은 자신이 위급한 상황에 처해있을 때 SOS 버튼을 선택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앱을 실행하여 메인화면상에서 SOS 버튼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긴급상황에서 도움 요청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외부에 터치를 위한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거나, 전원버튼을 짧게 누를 때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작업자들은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자유게시판 항목(혹은 메뉴)에서는 다양한 주제로 소속이 다른 작업자들과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또 안전신문고 항목을 통해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개선을 요구하는 내용을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이 건설공사 중 사고가 발생할 뻔했던 사례를 '아차사고게시판'의 항목에 등록할 수도 있으며, 소모임을 위한 소모임게시판에서 모임과 관련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이외에도 커뮤니티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항만공사나 하역회사별로 구내식단표를 확인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부여된 접속 권한에 따라 자신의 식단표만 확인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작업자들이 이용하는 위의 서비스들은 작업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들도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얼마든지 사용 가능하다. 다만,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자신이 관리하는 작업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면, 작업자들은 관리자의 항목에 접속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이 가령 작업자나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동일한 메인화면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작업자는 작업자에게 허용된 항목에만 접속이 가능하며, 관리자는 관리자에게 허용된 항목에만 접속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회원등록 등의 절차를 진행할 때, 작업자나 관리자와 같은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의 인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차별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방관 등과 같이 사건이나 사고의 대처를 위한 관계자들은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이용하여 도 1의 안전사고 예방장치(130)에 접속하여 위의 안전사고예방이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서비스를 이용하기보다는 물론 커뮤니티 형성에 참여할 수도 있지만, 인접하는 항만 등의 물류현장에서 사건이나 사고가 발생할 때 조속하게 출동하여 대처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안전사고 예방장치(130)에서 사건, 사고의 발생시 회사, 공사, 인근 소방서 등에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릴 수 있도록 연락처 등의 정보를 등록하는 동작이 사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로부터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SOS 요청이 있을 때,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해당 작업자의 위치를 근거로 기설정되어 있는 관계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도움요청 내용을 전달하여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관계자들은 이의 경우 해당 작업자의 사고와 관련한 촬영장치(110)의 촬영영상을 제공받아 현재 모습을 확인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촬영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물론 촬영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인공지능 기술과 커뮤니티를 접목시켜 사고 예방은 물론 가령 항만 내부의 결속력과 발 빠른 신호 대응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설치되는 앱을 통해 사고예방 및 커뮤니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항만을 포함하여 물류현장을 대상으로 관리자와 작업자, 그리고 각 하역사간 유기적인 관계형성은 물론 CCTV와 인공지능 중심의 원격 안전관리체계를 실현시킬 수 있는 하나의 스마트 안전플랫폼으로서 동작한다고 볼 수 있다. 앱 하나만으로 작업일정 및 작업관리 등 분리된 작업 단계를 하나로 통합하여 효율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CCTV와 AI 연동으로 현장 내 사용자의 장비착용 여부, 익사사고 방지를 위한 사람식별 등 원격 감시식별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시간 확인도 가능하다. 장비착용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 해당 구역 담당자(혹은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고 회사 구분을 통해 안전 평가에 반영할 수 있다. SOS 원터치 긴급버튼으로 해당 작업자의 위치를 회사, 공사, 인근 소방서에 즉각적으로 사고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자유게시판 기능을 제공해 하역사 및 공사 전파사항을 쉽게 공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과 기술을 통해 사고예방은 물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의사소통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도 1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며, 도 2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한 촬영영상에서 인공지능 DCNN 기반의 객체 검출기 등을 통해 사람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DCNN 기반의 객체 검출기는 다양한 검출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의 딥러닝을 동작을 위한 검출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은 욜로 v7(Yolo v7)이 사용될 수 있다.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검출된 객체의 인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전장비로서 안전모의 착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의 착용여부로부터 해당 작업자의 소속(회)사를 판단할 수 있으며, 물론 안전모뿐 아니라, 작업복의 화소 데이터값을 근거로 소속사를 판단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안전모나 작업복의 회사로고 등의 마크를 확인하여 판단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특정 소속사의 작업자들이 근무 태도가 나쁘다고 판단될 때 해당 소속사의 신뢰도 평가시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물론, 안전모에 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번호를 근거로 어떠한 작업자인지 특정할 수 있으며, 또 안전모에 블루투스 등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이를 통해 안전모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어떠한 작업자인지 특정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이외에도 CCTV 영상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사용자 장비 착용 여부를 분석하는 것 이외에 만약 장비를 올바르게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가 존재하면 작업 구역 담당자에게 알림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CCTV가 설치될 때 장치식별정보와 위치를 기설정하므로 CCTV가 있는 곳의 위치를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촬영영상은 어떠한 CCTV에서 제공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은 어렵지 않다. 따라서, CCTV의 위치를 근거로 해당 관할 구역의 안전을 담당하는 구역 담당자 또는 작업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해당 사실을 통지하여 작업자에게 즉각적인 시정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작업자에게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촬영영상의 분석 결과 작업자가 바닥에 쓰러져 있는 경우(S210), 물론 이러한 이상 행동의 경우 사건이나 사고 감지를 위한 이벤트 데이터를 기설정하고 영상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이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작업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앱을 통해 위기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사고 발생시 작업자가 쓰러질 경우 이를 인식하여 CCTV 영상을 보여줄 수 있으며, 가령 SOS 기능이 작동하게 되면 인근의 CCTV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사고 발생 시점부터의 촬영영상을 지속적으로 관제센터나 사고를 조치하기 위한 관계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관련 사실을 통지해 줄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안전관리 및 커뮤니티 앱과 연계하여 단순 안전 중심의 서비스 제공이 아닌 안전과 함께 커뮤니티를 부합한 다목적 안전관리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안전사고 예방과 효율적인 업무 처리, 그리고 각각의 분리된 관련자 및 하역사간 통합을 실현할 수 있다. 현장 내 CCTV와 AI 기술을 연동하여 장비 착용 유무를 판별하고 착용장비를 구별하여 각 하역사의 노동자를 실시간으로 구별해낼 수 있어 안전에 관한 회사 자체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게시판을 제공하여 상부 전달사항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전파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구체적으로 감시 카메라 실시간 확인 동작, 실시간 감시 내용 알림 동작, 그리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안전장비 미착용 감지 동작, 나아가 인공지능을 이용한 컨테이너 파손 감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감시 카메라 실시간 확인을 위해 먼저 관리자는 항만 내 기존 CCTV와 안전관리 앱을 연동하여 노동자의 움직임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앱을 통한 카메라의 원격조종은 불가능할 수도 있지만 고정형 카메라의 각 구역 확인은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상황실이나 중앙 통제실에서 확인이 가능할 수 있지만, 이를 넘어 인가받은 관리자 앱을 통해 편리하게 작업자의 움직임과 작업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감시내용 알림 동작과 관련해서는 CCTV와 AI 기술을 접목시켜 안전장비 착용 유무를 확인한다. 만약 장비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거나 미착용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앱을 통해 모든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알림과 동시에 불량한 모습의 캡쳐 화면을 제공하여 해당 작업자의 소속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추후 회사 패널티 등 안전 규정에 관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알림을 받은 관리자는 본인 소속 작업자들에게 이를 실시간으로 통보할 수 있으며 더욱 빠른 안전 대비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쓰러진 경우에는 해당 사고현장을 감지하고 관리자 및 해당 작업자 그리고 상황실에 이 상황이 자동으로 전달된다. 작업자 구별은 안전모나 다른 안전장비에 컬러, 문구 등을 다르게 표현함으로써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안전장비 미착용 감지 동작과 관련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장 CCTV 영상을 입력으로 하며 욜로(Yolo v7)를 통해 안전 장비를 착용했는지와 사고 현장을 감지한다(S200). 이때, 욜로(yolo v7)는 2022년 6월에 업데이트된 객체 탐지(object Detect) 기술로, 5 ~ 160 FPS 범위의 속도와 정확도 측면에서 현재까지 나온 모든 Object Detector의 성능을 능가한다. 이는 면적이 넓어 관리하기 어려운 항만 현장의 안전을 보좌하는데 적절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욜로를 통과한 이미지는 안전장비 착용 여부 감지와 동시에 사고 현장을 감지한다(S210). 먼저 안전 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이 감지된다면, openCV(Open Source Computer Vision)을 활용해 해당되는 바운딩 박스를 이미지로 저장하고 이피션트넷(Efficientnet)을 통과하여 어떤 회사 사람이 착용하지 않았는지 판단한다(S210, S220). openCV는 실시간 컴퓨터 비전을 목적으로 한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이다.
여기서 Efficientnet은 CNN 모델의 한 종류로, 부류(혹은 종류)(class)를 분류하는 모델이다. ImageNet에서 기존 ConvNet보다 8.4배 작으면서 6.1배 빠르고 더 높은 정확도를 갖는 특징이 있다. 즉 많은 사진이 들어와도 빠르게 연산이 가능하여 사람이 많이 있더라도 빠르게 처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모델을 사용한다. 이때, 회사를 구분하는 방법은 안전모와 안전 조끼에 붙은 회사별로 고유한 스티커를 이용해 구분할 수도 있다(S230). 단순히 구분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엑셀 파일과 연동하여 날짜별, 회사별 안전 실태를 확인할 수 있는 파일로 생성하도록 동작한다. 이를 통해서 어떤 회사가 안전 복장을 착용하지 않는지 구분하고, 이를 통해 공사에서 각 회사의 안전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S240).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다음으로 사고 현장이 감지되었을 경우, 앱과 연동하여 사고 현장이라고 감지된 장소에 대해 알람을 울리고, CCTV를 보여줄 수 있다(S250, S260). 이때, 사고 현장은 사람이 쓰러져 있는 경우와 바다에 빠져있는 경우 두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근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인공지능을 이용한 컨테이너 파손 감지와 관련해 보면,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추가적으로 yolo v7과 CCTV를 이용해 컨테이너 파손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적인 요소(예: 태풍, 장마 등) 혹은 내부적인 요소(예: 작업 실수 등)로 발생하는 컨테이너 손상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안전사고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물류현장에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이를 인공지능 프로그램으로 분석함으로써 분석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한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손상을 통해 작업자에게 미칠 영향을 예측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이를 통해 안전사고에 철저히 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노후화나 컨테이너의 노후화가 작업자에게 미칠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경우 많은 사례를 학습하게 되고 학습 과정에서 노후화와 관련한 연식이나 작업자의 작업 상황을 학습함으로써 이와 유사한 상황이 전개되거나 전개될 것으로 판단될 때,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주의를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CCTV와 원터치 SOS 기능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oT 기반의 스마트 횡단보도 서비스를 적용한 사례를 살펴보면,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는 8,581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39.7%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7년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차량의 정지 위반 건수가 70% 감소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항만 역시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여 관련 종사자의 안전 예방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항만 내 CCTV를 활용하여 회사별 안전장비 착용유무를 확인하고 노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과 철저한 감시체계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앱 내 CCTV 확인과 원터치 긴급출동 서비스로 회사, 공사, 인근 소방서, 상황실 간 신속한 정보 공유와 발빠른 대처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너울의 상용화를 통해서 항만에서 발생하는 안전불감증에 관한 고질적인 문제와 사고 예방으로 산재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것이다. 최근 사례를 살펴보면 산재 사망자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많은 기업에서 첨단 IT 기술을 동원해 산재의 고리를 끊어보려는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해가스 감지볼을 예로 들 수 있다. 항만 내 밀폐된 공간에 감지볼을 던져 놓기만 하면 100미터 밖에서도 유해가스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작업 동료에게 자동으로 전송됨으로써 재해를 근원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외에도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에어백 조끼, 해양교통체계인 바다 네비게이션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기업들의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안전 및 커뮤니티 앱 플랫폼의 상용화를 통해서 항만에서 발생하는 안전불감증에 관한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산재비용을 절감하고 불필요한 예방 및 투자비용 또한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뮤니티 기능의 자료수집을 통해 실무에 필요한 기술을 도입하고 동호회 등 친목활동의 공간을 제공하여 공사, 회사, 노조의 관계자들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노동조합의 조합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임금교섭의 진도율은 추세적으로 낮아지는 가운데 2020년 특히 저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너울의 커뮤니티 기능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의사소통이 조직효율성에 미치는 연구 결과(손석희 외, 2011)에 따르면 "상관과의 의사소통, 비공식적인 루트를 통한 의사소통으로 조직원에 대한 행동 통제가 이루어지며, 조직 구성원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명확히 함으로써 동기 부여를 제공한다. 조직 구성원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발생시킴으로써 감정 표현이라는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조직내에서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너울의 커뮤니티 기능을 통해 항운노조와 다수의 하역회사 간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는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노사를 대표해 의견을 조율하는 기존 방식을 대신해 익명성을 보장한 개개인의 생생한 목소리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노사간 신속한 대응책 마련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단순 커뮤니티 플랫폼 서비스가 아닌 활용성에 기반을 둔 소통의 장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안전관리 예방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안전관리 예방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안전사고 예방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안전관리 예방장치(130)가 구성되거나, 안전사고 예방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촬영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혹은 압축/복원),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촬영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제어부(310)에 전달한다. 물론 촬영장치(100)는 촬영영상을 전송할 때, 자신의 장치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해당 식별정보도 제어부(31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는 항만 등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촬영장치(100)의 위치정보를 기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촬영장치(100)가 촬영영상을 전송할 때 식별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촬영장치(100)의 위치정보는 해당 촬영장치(100)에서 촬영되는 촬영영상 내에 작업자의 사고가 감지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작업자들이나 관리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앱이 실행될 때 다양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해당 서비스 화면은 작업자들이 자신의 작업일정이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관리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작업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소속이 다르지만 항만 등의 작업을 위해 모인 작업자들의 커뮤니티를 위한 활동이 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긴급한 상황에서 SOS를 요청하는 등 다양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서비스 화면을 설명하면서 좀더 다루기로 한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안전사고 예방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에서 도 1의 촬영장치(100)에서 제공한 촬영영상을 복원 즉 디코딩하여 제공하면 해당 영상의 화소 데이터 등을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영상 분석을 위해 안전사고 예방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안전사고 예방부(320)에서 영상 분석 결과 특정 작업자가 안전모 등의 장비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거나, 또 작업자에게 사건,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안전사고 예방부(320)의 요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의 장비 착용이 불량한 경우, 해당 작업자의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해당 작업자가 지나는 영역의 안전을 관리하는 구역 담당자에게 이의 사실을 통지하여 조속한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310)는 서로 다른 소속의 작업자들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활동할 때 이에 대한 서비스 화면을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310)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 안전사고 예방부(320)를 제어하여 내부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가령 안전사고 예방부(320)에서 GUI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메인화면을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된 메인화면상에서 SOS 요청을 위한 버튼이 선택될 때 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한 후 이를 근거로 근거리에 위치하여 사건이나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소방관 등에게 관련 사실을 통지하여 조속한 조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관 등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관련 영상을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안전사고 예방부(320)는 앞서 도 1의 안전사고 예방장치(130)의 동작을 설명하면서 충분히 살펴본 바와 같이, 도 1의 촬영장치(100)를 통한 실시간 확인 동작, 실시간 감시내용 알림, 또 인공지능을 이용한 안전장비의 미착용 감지 동작, 또 인공지능을 이용한 컨테이너 파손 감지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안전사고 예방부(320)는 촬영장치(100)의 촬영영상이 수신되면, DCNN 객체 검출기를 통해 촬영영상 내에서 사람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람 객체를 분석하여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는 등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작업자의 작업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이의 사실을 통지하여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부(320)는 사람 객체의 안전모 등의 마크, 또 작업복 등을 통해 해당 작업자가 어느 회사의 소속인지를 판단해 해당 회사의 안전평가시 신뢰도 평가에 반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뢰도 평가는 매월 또는 연 단위로 얼마나 많은 작업자들이 안전에 소홀했는지를 판단하여 이를 신뢰도 평가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부(320)는 영상 분석을 통해 사람 객체에서 이벤트 상황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경우라면 사람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즉 서 있어야 하지만, 수평하게 바닥에 엎드려 있는 경우, 이의 경우에는 지면과의 관계를 기설정하였으므로 이를 근거로 해당 사람에게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의 경우 안전사고 예방부(320)는 제어부(310)에 요청하여 조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령 이의 경우 신속한 조치를 위한 대응방안은 기설정되므로 그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 현장이 감지되었을 때 감지된 장소에 대해 알람을 울리고 CCTV를 보여주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그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부(320)는 서로 다른 소속사의 작업자들이 많이 활동하는 항만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커뮤니티 활동의 경우에도 친목도모 등을 통해 사건이나 사고의 발생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이루어지는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이후에 도 4a 내지 도 4f에서 서비스 화면을 설명하면서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도 1의 촬영장치(100)의 촬영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 예방부(320)에서 분석되는 분석 결과를 임시 저장한 후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도 1의 DB(130a)로 제공해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안전사고 예방부(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안전사고 예방부(320) 및 저장부(3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안전사고 예방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안전사고 예방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a 내지 도 4f를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안전관리 예방장치(130)에 접속하여 도 4a에서와 같은 메인화면을 제공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메인화면상에는 크게 (상단) 네비게이션 바, 주요게시판아이콘, 제휴사이트 및 내부사이트 바로가기 버튼, 그리고 작업일정 메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단 네비게이션 바는 화면 상단에 고정되어 항상 표시되는 네비게이션으로 좌측에는 SOS 신고를 위한 버튼이 배치해 있고 중앙에는 금일의 기상정보와 작업 진행도가 요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우측에는 검색버튼과 자신의 정보를 볼 수 있는 마이페이지로 넘어가는 버튼이 있다. 주요게시판 아이콘은 화면 상단에 위치하며, 자주 사용하는 게시판들을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간편하게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식단표, 자유게시판, 소모임, 안전신문고 등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휴사이트 및 내부사이트 바로가기 버튼은 사내 홈페이지와 관련 웹사이트를 연계하여 해당 사이트로 쉽게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작업일정은 관리자가 자신이 관리하는 작업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작업자는 오늘의 작업을 표시하여 바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b는 SOS 화면을 보여준다. 도 4a에서 좌측의 SOS 신호를 위한 버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화면상에 나타날 수 있다. SOS 기능은, 사고 발생시 화면상 SOS 버튼을 한 번의 클릭으로 회사, 공사, 가령 울산의 경우 울산소방본부, 해경에 즉각적으로 사고 발생을 알리는 기능이다. 이에 따라 가령 도 1의 안전관리 예방장치(130)로부터 현재 위치와 신고자의 정보가 한 번에 전송될 수 있다. 사고 발생시 신고자와 소방본부간에 연락을 통해 요구자의 응급처지에 대하여 지원을 받을 수 있고 항만공사에서는 위급사항 메뉴얼에 따라 대처할 수 있다.
도 4c는 작업계획 화면을 보여준다. 작업계획 관리 기능은 메인화면상에서 하단 네비게이션바의 작업계획을 누르면 진입할 수 있으며, 현재 작업의 체크리스트를 작성 및 완료하여 제출할 수 있는 기능이며 모든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도 4c의 화면 하단의 완료버튼이 활성화되어 누를 수 있게 되고 완료버튼을 누를시 간단하게 서명 제출할 수 있다. 또한 수정을 위하여 화면 하단의 수정 버튼을 눌러 수정모드에 들어가면 작업우측에 (-)표시가 된 삭제버튼과 하단에 (+) 표시가 된 추가버튼이 생겨 새로운 작업을 추가시킬 수 있다. 추가버튼 하단에는 수정완료 버튼과 수정 취소버튼이 있을 수 있다.
도 4d는 게시판 화면을 보여준다. 도 4d의 화면은 메인화면에서 하단 커뮤니티 메뉴(혹은 항목)를 눌러 진입할 수 있다. 게시판 리스트 및 식단표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또한 도 4d의 화면상에는 아차사고 게시판이 표시된다. 해당 게시판은 건설공사 중 사고가 발생할 뻔했으나 직접적으로 인적·물적 피해 등이 발생하지 않은 사고로서 크고 작은 건설사고의 전조증상을 '아차사고'라고 하며 아차사고들의 사례가 공지되는 게시판이다. 다양한 사고 유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게시판이다. 도 4d에서 볼 때, 식단표는 항만공사나 하역회사별로 구내식단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식단표를 확인하는 기능이다.
도 4e는 도 4d의 게시판 화면에서 자유게시판 항목을 선택해 진입한 화면을 보여준다. 실시간으로 방문수가 높거나 댓글이나 추천수가 높은 글을 인기글로 지정해 상단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익명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적용하여 거부감을 제거하여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여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f는 감시카메라 화면을 보여준다.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CCTV 메뉴를 선택하여 진입할 수 있다. 관리자의 경우 관리 구역 내에 있는 CCTV 화면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CCTV 메뉴를 선택할 때 해당 관리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식별정보가 도 1의 안전사고 예방장치(13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때 관리자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해당 관리자의 관리 구역을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CCTV 영상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안전관리 예방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예방장치(130)는 항만을 포함하는 물류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100)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한다(S500). 물론 촬영장치(100)는 물류 현장의 여러 곳에 설치되어 가령 고정된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영상을 안전관리 예방장치(130)로 전송할 때 자신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 예방장치(130)는 수신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물류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상태를 판단하고, 안전장비의 비정상 착용이 판단될 때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비정상 착용의 사실을 통지하며, 촬영영상에서 작업자의 외관 특성을 근거로 소속사를 판단해 소속사의 안전 신뢰도 평가시 반영할 수 있다(S510).
가령 항만의 특성은 여러 소속사들이 모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항만 등의 특성이 반영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전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관리 예방장치(130)는 항만 등에서 어떠한 소속사의 작업자들이 안전에 소홀한지 판단하여 소속사의 평가 등을 통해 안전에 더욱 만전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작업자들간에 이질감이 형성될 때 안전사고의 대처에 미흡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예방장치(130)는 소속이 서로 다른 작업자들간에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또 사고 발생시에도 빠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관리에 철저히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안전관리 예방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촬영장치 110: 사용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안전사고 예방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안전사고 예방부 330: 저장부

Claims (10)

  1. 항만을 포함하는 물류 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물류 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상태를 판단하고, 안전장비의 비정상 착용이 판단될 때 상기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상기 비정상 착용의 사실을 통지하며, 상기 촬영영상에서 상기 작업자의 외관 특성을 근거로 소속사를 판단해 상기 소속사의 안전 신뢰도 평가시 반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영상 내에서 안전장비를 미착용하는 사람에 설정되는 바운딩 박스 부위의 이미지를 캡쳐해 인공지능의 이피션트넷(Efficientnet)을 통과시켜 지정 소속사의 작업자인지를 판단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류현장의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긴급도움요청(SOS)을 위한 버튼 및 소속이 서로 다른 작업자들의 소통을 위한 복수의 소통 메뉴를 포함하는 메인화면을 제공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SOS의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작업자의 사용자 정보를 사고처리 관계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면서 상기 작업자의 현재 모습을 촬영하는 촬영영상을 제공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소통 메뉴로서 상기 물류 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책을 건의하는 안전신문고의 제1 항목 및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던 사례를 공유하는 아차사고 게시판의 제2 항목을 포함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6.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항만을 포함하는 물류 현장에 설치되는 촬영장치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물류 현장 내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상태를 판단하고, 안전장비의 비정상 착용이 판단될 때 상기 작업자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상기 비정상 착용의 사실을 통지하며, 상기 촬영영상에서 상기 작업자의 외관 특성을 근거로 소속사를 판단해 상기 소속사의 안전 신뢰도 평가시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의 구동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속사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영상 내에서 안전장비를 미착용하는 사람에 설정되는 바운딩 박스부위의 이미지를 캡쳐해 인공지능의 이피션트넷을 통과시켜 지정 소속사의 작업자인지를 판단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의 구동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물류현장의 작업자들이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서비스 요청시 긴급도움요청(SOS)을 위한 버튼 및 소속이 서로 다른 작업자들의 소통을 위한 복수의 소통 메뉴를 포함하는 메인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SOS의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작업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작업자의 사용자 정보를 사고처리 관계자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면서 상기 작업자의 현재 모습을 촬영하는 촬영영상을 제공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의 구동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소통 메뉴로서 상기 물류 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예방책을 건의하는 안전신문고의 제1 항목 및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던 사례를 공유하는 아차사고 게시판의 제2 항목을 포함하는,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20177852A 2022-12-19 2022-12-19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40096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52A KR20240096965A (ko) 2022-12-19 2022-12-19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52A KR20240096965A (ko) 2022-12-19 2022-12-19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6965A true KR20240096965A (ko) 2024-06-27

Family

ID=9171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852A KR20240096965A (ko) 2022-12-19 2022-12-19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9696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76B1 (ko) 2017-06-14 2019-11-26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정보보호 취약진단 시스템
KR102216040B1 (ko) 2020-06-15 2021-02-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 컨테이너 터미널 3차원 안전관리 시스템
KR200494029Y1 (ko) 2020-01-22 2021-07-19 (주)사이버텔브릿지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 수집이 가능한 항만 작업자용 헬멧 부착형 장치
KR102335156B1 (ko) 2021-03-18 2021-12-03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지능형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8189A (ko) 2020-12-18 2022-06-27 설윤호 항만 관리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776B1 (ko) 2017-06-14 2019-11-26 동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항만물류정보시스템의 정보보호 취약진단 시스템
KR200494029Y1 (ko) 2020-01-22 2021-07-19 (주)사이버텔브릿지 작업자의 위치 및 상태정보 수집이 가능한 항만 작업자용 헬멧 부착형 장치
KR102216040B1 (ko) 2020-06-15 2021-02-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항만 컨테이너 터미널 3차원 안전관리 시스템
KR20220088189A (ko) 2020-12-18 2022-06-27 설윤호 항만 관리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35156B1 (ko) 2021-03-18 2021-12-03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지능형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1219B2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f people
US8400317B2 (en) System for providing real time locating and gas exposure monitoring
WO2020211428A1 (zh) 一种园区******及方法
US1161562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enforcing distancing rules
US201501459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ed surveillance
CN111611439B (zh) 消防安全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53534A (ko) 딥러닝기반 행동인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WO2007046844A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a catastrophic event and coordination of response
US11861911B2 (en) Video analytics platform for real-time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airplane safety processes
JP2016181896A (ja) リアルタイム位置基盤イベント発生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端末制御方法
KR101668555B1 (ko) 작업 현장 영상 데이터 내의 작업자 인식 방법
Yang et al. Opportunities for improving construction health and safety using real-time H&S management innovations: a socio-technical-economic perspective
CN115410354A (zh) 工业厂区的安全预警方法、装置和安全预警***
KR102157201B1 (ko) 사고기록정보와 이미지에 기반한 재난 상황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96965A (ko) 물류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6880262A (zh) 基于智能装备的安全管控方法及***
Sun Smart prisons
KR102639250B1 (ko) 공사 현장에 관한 안전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서버,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4399A (ko) 사용자 참여형 보안 감시 관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기록매체
Zou et al.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IMPROVING CONSTRUCTION WORKERS’HEALTH AND SAFETY
US20230230379A1 (en) Safety compliance system and method
Batistatos et al. A Technological Framework For Leveraging First Responders' Efficiency and Safety
KR102512861B1 (ko) 전자명판을 이용한 소방재난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286418B1 (ko) 사용자 참여형 보안 감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방법
Simo et al. First responders' localization and health monitoring during rescue op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