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5051A - 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 - Google Patents

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5051A
KR20240085051A KR1020220170075A KR20220170075A KR20240085051A KR 20240085051 A KR20240085051 A KR 20240085051A KR 1020220170075 A KR1020220170075 A KR 1020220170075A KR 20220170075 A KR20220170075 A KR 20220170075A KR 20240085051 A KR20240085051 A KR 20240085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rea
letters
input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기호
Original Assignee
양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기호 filed Critical 양기호
Priority to KR102022017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5051A/en
Priority to PCT/KR2023/019356 priority patent/WO2024122977A1/en
Publication of KR20240085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50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키보드 자판을 크게 두 개 영역(예를 들어, 좌수 영역과 우수 영역)으로 나누고, 제 1 영역에 일본어 히라가나의 대표문자(「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를 배치하고, 다른 제 2 영역에 「い→う→え→お」단 선택을 위한 플릭키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divides the computer keyboard into two areas (for example, the left-hand area and the right-hand area), places a representative character of Japanese hiragana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in the first area, and place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Japanese hiragana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in the second area. It is characterized by placing a flick key for selecting 「い→う→え→お」 in the area.

Description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및 이러한 키 어레이를 갖는 컴퓨터 키보드{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노트북, 넷북 등의 키보드 자판이나 터치 스크린 자판의 키 어레이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플릭 입력(Flick intput) 방식을 활용한 키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nfiguration of a key array of a keyboard or touch screen keyboard of a personal computer, word processor, laptop, netbook, etc., and more specifically, to a key array utilizing the flick input method of a smartphone. will be.

휴대 전화기 등의 휴대형 문자 입력 장치에서는, 키를 배치하는 면적이 적기 때문에, 한정된 수의 키밖에 배치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하나의 문자 입력을 하는 데 많은 키 조작이 필요하였다. 예를 들면, 종래의 휴대 전화기인 경우, 일본어 입력에서는 0부터 9의 버튼에 도 1의 Japanese 50-character kana syllably의 각각의 행을 할당시키고, 그 행에 대응하는 5문자는, 키의 누름 횟수에 따라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하도록 하고 있었다. In portable text input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he area for arranging keys is small, so only a limited number of keys can be arranged. Because of this, many key operations were required to input one charac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in Japanese input, each row of the Japanese 50-character kana syllably in Figure 1 is assigned to buttons 0 to 9, and the fiv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at row are the number of key presses. According to this,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were to be entered.

즉, 종래에는, 각 행의 5문자를 별개의 키에 할당하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의 이동이 많아, 특히 초보자에게 있어서는, 시선이 디스플레이와 키의 왕복으로 되기 때문에, 입력 효율이 매우 나쁘다. 또한, 예를 들면,「あ, い, う, え, お」가 할당되어 있는 키에 대해서는, 그 키를 1회 누르면「あ」의 입력이 되고, 2회 누르면「い」의 입력이 되며, 마찬가지로, 3회로「う」, 4회로「え」, 5회로「お」의 입력이 된다. 따라서,「お」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5회의 누름이 필요하고, 또한,「い」를 입력할 생각으로 3회 키를 누른 경우에는, 문자가 일주할 때까지 다시 키를 누를 필요가 있어, 사용자의 스트레스 증가로 이어졌다. 최근,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1문자 전(前)으로) 복귀」키를 탑재하는 휴대 전화기가 나왔지만, 기본적으로 별도의 키에 할당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입력 효율이라는 점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한, 대체 수단으로서,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 마우스에 의해 문자 선택이 가능한 소프트 키보드의 사용이 고려되지만,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화면의 반 이상이 소프트 키보드에 의해 점유된다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conventionally, because the five characters in each row are assigned to separate keys, the fingers move a lot and, especially for beginners, their gaze go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display and the keys, which results in very poor input efficiency. Also, for example, for keys to which 「あ, い, う, え, お」 are assigned, pressing the key once will input 「あ」, pressing it twice will input 「い」, Likewise, 「う」 is input in 3 circuits, 「え」 in 4 circuits, and 「お」 in 5 circuits are input. Therefore, 5 presses are required to input 「お」, and also, if you press the key 3 times with the intention of entering 「い」, you need to press the key again until the character goes around, thereby compromising the user's control. This led to increased stress.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obile phones equipped with a "return to previous one character" key have been released, but since it is basically assigned to a separate key in many cases, it is effective in terms of input efficiency. It's hard to say what the method is. Additionally, as an alternative, the use of a soft keyboard capable of selecting characters using a mouse has been considered in personal computers, etc., but since the size of the display is sm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more than half of the screen is occupied by the soft keyboard.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서는 간이형 문자 입력 방식을 채용함으로서 해결하고 있다. Considering this problem,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solve it by adopting a simple character input method.

그러나, 특허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1-265501 호)은 히라가나를 입력하는 경우, 1 라인상에 모든 행의 특정한 문자(예를 들면「あ, か,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를 배치하기 때문에, 휴대 전화와 같은 사이즈가 작은 디스플레이에서는 시인성이 나쁘게 되는 것이 예상된다. 또한,「あ행」에 포커스가 있는 경우,「は행」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우 키 혹은 좌 키 중 어느 쪽에 의해 이동하려고 하여도 반드시 5회의 키의 누름이 필요하게 된다. However,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1-265501) states that when hiragana is input, specific characters (for example, 「あ, か,さ, た, な, は, ま) in every line on one line. , や, ら, わ'), it is expected that visibility will be poor in small displays such as mobile phones. Additionally, when the focus is on the “A row”, in order to move to the “A row”, you must press the key five times, regardless of whether you try to move with the right or left keys.

또한, 특허문헌 2(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0-155643 호)에서는 상기 문제점 외에, 환형상으로 함으로써, 모든 행의 표시를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도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시인성의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155643),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display is made to have an annular shape, making it impossible to display all rows. For this reason, in this case as well, a problem of visibility arises as in Patent Document 1.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3(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13849 호)은 입력을 보다 적은 키를 이용하며, 또한, 상하, 좌우 키를 포함하는 그 주위의 키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자 입력에 의해 발생하는 손가락이나 시선의 이동을 매우 적게 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특허문헌 3의 문자 입력 장치는, 일본어 50음 배열의 히라가나 입력인 경우, 표시 화면상의 문자 입력 영역의 제1행(5)째에「あかさたな」, 제2행째에「はまやらわ」가 표시된다. 좌우 키(1a, 1b)로 포커스 위치 혹은 문자 위치를 이동(あ→か→さ→ㆍㆍㆍ)시키고, 포커스의 위치가「な」까지 오면, 다음에 포커스를 맞추는 문자를「はまやらわ」의 블록으로 전환한다. 표시되는 문자의 전환은, 예를 들면, 하 키(2b)로 다음 문자(예를 들면 あ→い→う→…)로 이동하고, 상 키(2a)로 그 그룹의 가장 먼 문자(예를 들면, あ→お→…)로 이동한다. 그리고,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포커스가 맞춰지면, 결정 키(3)로 문자를 입력하고, 그것에 의해, 화면을 점유하지 않아, 시인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나 시선의 이동을 매우 적게 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13849) uses fewer keys for input and also uses surrounding keys, including up, down, left and right keys, to replace the conventional method. Provided is a text input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ovement of fingers or gaze caused by text input. Referring to FIG. 2, the character input device of Patent Document 3 displays "あかさたな" in the first line (5) of the character input area on the display screen and "は" in the second line when inputting hiragana in the Japanese 50-sound arrangement.まやらわ” is displayed. Move the focus position or character position (あ→か→さ→ㆍㆍㆍ) with the left and right keys (1a, 1b), and when the focus position reaches “な”, the next character to focus on is “はまやらわ”. Switch to the block of 」. To switch displayed characters, for example, use the down key (2b) to move to the next character (e.g. あ→い→う→…), and use the up key (2a) to move to the furthest character in the group (e.g. For example, move to あ→お→… ). Then, when the focus is on the character you want to input, you enter the character with the decision key (3). This not only has good visibility as it does not occupy the screen, but also allows you to enter the character with very little movement of your fingers or eyes. Disclosed is a character input device capable of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3은 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행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화면에 표시된 글자들을 보면서 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행간 이동 동작을 취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 있어서 좌키 또는 우키를 최대 5번을 눌러야하며, 만약 사용자가 입력 방법에 서툴러서 좌키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인데도 우키를 선택한 경우에는, 원하는 행을 찾기 위해서 좌키 및/또는 우키를 10번 이상 눌러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행 선택을 하기 위해 좌키 또는 우키를 매우 여러 번 반복하여 입력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할 문자를 찾은 후 입력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매번 결정키를 눌러야하는 번거로움도 존재한다. However, in Patent Document 3, in order to select a line using the left and right arrow keys, you must move between lines using the left and right arrow keys while looking at the letter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process, you must press the left or right key up to 5 times. , If the user is not good at inputting methods and selects the right key even though it would be advantageous to select the left key,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left key and/or the right key must be pressed more than 10 times to find the desired row.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 order to select a row, the left or right key must be input repeatedly many times. In addition,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ss the decision key every time to complete the input after finding the character to input.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특허문헌 4(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7-0071480 호)는 숫자 키, 방향이동 키 및 행 변환 키(예: #키)의 총 입력횟수가 최소 1회, 최대 5회만으로 모든 일본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일본어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4의 일본어 입력 방법은, 히라가나 또는 카타가나의 각 행의 대표문자에 각각 해당하는 다수 개의 행 선택 키(12), 탁음 및 반탁음으로의 행 변환을 위한 행 변환 키(14), 및 단 선택을 위한 방향이동 키(16)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다수 개의 행 선택 키(12) 중 하나를 선택하여 행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행 변환 키(14)의 선택여부 및 선택횟수를 통해 상기 (a) 단계에서 결정된 행의 탁음 또는 반탁음으로의 변환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방향이동 키(16)의 선택여부 및 선택횟수를 통해 상기 결정된 행의 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cognizing this problem, 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7-0071480) provides that the total number of inputs of the number keys, direction movement keys, and row change keys (e.g., # key) is at least 1 and at most 5. Provides a Japanese input method and device that can input Japanese characters. Referring to FIG. 3, the Japanese input method of Patent Document 4 includes a plurality of row selection keys 12 corresponding to representative characters of each line of hiragana or katakana, and a row conversion key for converting rows into consonants and semi-voices. (14), and a directional movement key (16) for row selection as a method of inputting Japanese using a mobile terminal (10), comprising: (a)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row selection keys (12); determining the row; (b) Whether or not the row conversion key 14 is selected and the number of times it is selected determines whether the row determined in step (a) is converted to a clear sound or a semi-clear sound, and whether the direction movement key 16 is selected; and determining the stage of the determined row based on the number of selections.

JPJ.P. 2001-265501 2001-265501 AA JPJ.P. 2000-155643 2000-155643 AA KRKR 10-0913849 10-0913849 B1B1 KRKR 2007-0071480 2007-0071480 AA

상기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는 일본어 가나의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로 이루어지는 각 행의 대표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달리하고 있지만, 각 행의 대표문자를 선택한 후 상,하 방향이동 키를 이용하여 단 선택을 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즉, 선택된 각 행의 대표문자(あ)의 전환을 위한 단 선택은, 예를 들면, 하 키(도 2의 2b, 도 3의 16)를 이용하여 다음 문자(예를 들면 あ→い→う→…)로 이동하고, 상 키(도 2의 2a, 도 3의 16)를 이용하여 그 그룹의 가장 먼 문자(예를 들면, あ→お→…)로 이동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3 and Patent Document 4 above have different methods for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each line, which consists of the Japanese kana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but after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each line, use the up and down direction keys. It is the same in that it is used to make a selection. In other words, the step selection for switching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あ) of each selected line is, for example, using the ha key (2b in Fig. 2, 16 in Fig. 3) to select the next character (for example, あ→い→う) →…), and use the up key (2a in Figure 2, 16 in Figure 3) to move to the farthest character in the group (for example, あ→お→…).

이로 인해, 일본어 히라가나 "て"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행의 대표문자인 "た"를 선택한 후 하 키(도 2의 2b, 도 3의 16)를 연속하여 3번 클릭하여야 한다. Because of this, in order to input Japanese hiragana "て", you must select "た",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the line, and then click the ha key (2b in Figure 2, 16 in Figure 3) three times in succession.

이는 점점 더 간결하고, 단순한 문자 입력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반하는 것이다. This runs counter to consumers' demands for increasingly concise and simple text input.

한편, 플릭(Flick)은 손가락을 터치하면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빠르게 스크롤하는 체스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 자판에 응용되고 있다. Meanwhile, Flick refers to a gesture of quickly scrolling horizontally or vertically while touching a finger, and is mainly applied to touch screen keyboards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본 발명자는 이러한 플릭 입력 방식을 컴퓨터 키보드 자판이나 터치스크린 자판에 적용할 경우 매우 간편하고, 간결하게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The present inventor found that when applying this flick input method to a computer keyboard or touch screen keyboard, Japanese can be input very simply and concisely.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이 문제점에 기인하는 기술적 요구에 기인한 것으로서 각 행의 대표문자(「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중 어느 하나의 전환을 위한 단 선택에 플릭 입력(Flick input) 방식을 적용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과제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needs resulting from thes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ult of a flick input (Flick) on the selection of one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in each line. The main technical task is to apply the input method.

이러한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이나 정보통신장치의 입력장치에 일본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 어레이(key array)는, 일본어 히라가나「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가 배치되어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를 「い」단,「う」단,「え」단,「お」단으로 변환하기 위한 플릭키(Flick key)가 배치되어 있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into an input device of a computer system 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se technical problems includes あかさたなはま, which is the letters of the Japanese hiragana "あ" unit. A first area where Yarawa is placed; A second area where a flick key is placed to convert the letters of the 「あ」 unit,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into 「い」, 「う」, 「え」, and 「お」.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다른 제 2 양태는, 상기 제 1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플릭키는 상기 제 2 영역의 특정 키(unspecified key)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い」단 변환키,「う」단 변환키,「え」단 변환키 및「お」단 변환키를 차례대로 배치하여 십자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first aspect, the flick key is an “い” stage change key and “う” clockwise around an unspecified key in the second area.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cross shape by arranging the Dan conversion key, the 「え」 Dan conversion key, and the 「お」 Dan conversion key in order.

본 발명의 다른 제 3 양태는, 상기 제 2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가 상기 제 2 영역의 영문자 "k"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second aspect, the specific key is arranged on the English letter "k" key in the second area.

본 발명의 다른 제 4 양태는, 상기 제 3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あ,か,さ", "た,な,は", "ま,や,ら" 순서대로 3행,3열로 배치하고, 상기 "わ"를 2행,1열에 해당하는 "た"의 인접하는 왼측 키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key array of the third aspect, wherein the first area contains the keys "あ,か,さ", "た,な,は", and "ま,や,ら" in that order. It is arranged in 3 rows and 3 columns, and the "わ" is placed on the left key adjacent to "た" corresponding to the 2nd row and 1st column.

본 발명의 다른 제 5 양태는, 상기 제 4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는 히라가나 "か,さ,た,は"에 탁점()을 찍어서 탁음으로 변환시키거나 소문자가 있는 문자를 소문자(小)로 변환시키는 탁음/소문자키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key array of the fourth aspect, wherein the second area includes a dot in the hiragana characters "か,さ,た,は" (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placement of a sound/lowercase key that converts a character into a sound by pressing ) or converts a character with a lowercase letter into a lowercase letter (小).

본 발명의 다른 제 6 양태는, 상기 제 5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い」단 변환키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ら를「い」단의 글자들인 い,き,し,ち,に,ひ,み,り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fifth aspect,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is the letters of the “あ” stage in the first area: あ, か, さ, た, な, It is characterized by converting は, ま, ら into the letters of the 「い」 unit, 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본 발명의 다른 제 7 양태는, 상기 제 5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う」단 변환키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를「う」단의 글자들인 う,く,す,つ,ぬ,ふ,む,ゆ,る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fifth aspect,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is the letters of the “あ” stage in the first area: あ, か, さ, た, な, It is characterized by converting は, ま, や, ら into the letters of the 「う」 unit,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본 발명의 다른 제 8 양태는, 상기 제 5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え」단 변환키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ら를「え」단의 글자들인 え,け,せ,て,ね,へ,め,れ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fifth aspect, the “え” stage conversion key is the letters of the “あ” stage in the first area: あ, か, さ, た, な, It is characterized by converting は, ま, ら into the letters of the 「え」 group,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본 발명의 다른 제 9 양태는, 상기 제 5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お」단 변환키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를「お」단의 글자들인 お,こ,そ,と,の,ほ,も,よ,ろ,を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fifth aspect, the “お” stage conversion key is the letters of the “あ” stage in the first area: あ, か, さ, た, な, It is characterized by converting は, ま, や, ら, わ into the letters of the 「お」 group,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본 발명의 다른 제 10 양태는, 상기 제 5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는, 입력된 일본어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정보 객체들을 리스트로 나열하는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릭키를 상,하,좌,우의 방향키로 전환하거나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중 특정한 객체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객체를 확정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프리딕션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fifth aspect, the specific key is selected by pressing the flick key while a prediction text listing informatio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Japanese hiragana is output. It is characterized as a prediction key for switch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selecting a specific object from the prediction text, or generating a command to confirm the selected object.

본 발명의 다른 제 11 양태는, 상기 제 10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딕션 키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플릭키는 상,하,좌,우의 방향키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11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10th aspect, when the prediction key is selected while the prediction text is output, the flick key changes to a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본 발명의 다른 제 12 양태는, 상기 제 11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딕션 키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정보 객체들중 첫번째로 위치하는 객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eleventh aspect, when the prediction text is output, the object located first among the information objects is selected as the prediction key is selected. Characterized by input.

본 발명의 다른 제 13 양태는, 상기 제 12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릭키를 상,하,좌,우의 방향키로 이용하여 상기 정보 객체들의 리스트중 원하는 객체를 찾아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13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12th aspect, when the prediction text is output, the flick key is used as a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to select a desired item from the list of information objects. It is characterized by finding and entering an object.

본 발명의 다른 제 14 양태는, 상기 제 13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い」단 변환키는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좌측 키에 배치되고, 상기「う」단 변환키는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상측 키에 배치되고, 상기「え」단 변환키는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우측 키에 배치되며, 상기「お」단 변환키는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하측 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14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13th aspect,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is disposed on a left key adjacent to the specific key, and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is located on the specific key. is placed on the adjacent upper key, the “え” stage conversion key is placed on the right key adjacent to the specific key, and the “お” stage conversion key is placed on the lower key adjacent to the specific key. Do it as

본 발명의 다른 제 15 양태는, 상기 제 14 양태의 키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탁음/소문자키는 상기 십자형태를 갖는 플릭키의「う」단 변환키에 인접하는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15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key array of the 14th aspect, the consonant/lowercase key is arranged on the right side adjacent to the "う" stage change key of the cross-shaped flick key. .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16 양태로서의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는, 사용자의 좌수가 놓이는 제 1 영역과; 사용자의 우수가 놓이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15 양태중 어느 하나의 키 어레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keyboard as an input device for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other six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rea where the user's left hand is placed; comprising a second area where the user's rainwater is placed; The key array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eenth aspects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본 발명의 다른 제 17 양태는, 상기 제 16 양태의 키보드에 있어서, 상기 탁음/소문자키를 2번 연속하여 누르게 되면, 반탁음으로 변환시키는 반탁음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17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keyboard of the 16th aspect, when the consonant/lowercase key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it functions as a semi-consonant sound that is converted into a semi-consonant sound.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18 양태로서의 터치스크린 자판은,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15 양태중 어느 하나의 키 어레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ouch screen keyboard as another 18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key array of any one of the 1st to 15th aspects above.

본 발명의 다른 제 19 양태는, 상기 제 18 양태의 터치스크린 자판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자판의 좌수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자판의 우수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19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ouch screen keyboard of the 18th aspect, the first area is arranged in the left-hand area of the keyboard, and the second area is arranged in the right-hand area of the keyboard.

본 발명의 다른 제 20 양태는, 상기 제 19 양태의 터치스크린 자판에 있어서, 상기 탁음/소문자키를 2번 연속하여 누르게 되면, 반탁음으로 변환시키는 반탁음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20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ouch screen keyboard of the 19th aspect, when the consonant/lowercase key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it functions as a semi-consonant sound that is converted into a semi-consonant soun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좌수와 우수의 검지, 중지, 약지를 상,하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히라가나 50음도의 모든 일본어 문자 뿐만 아니라 탁음, 반탁음, 소문자 등의 일본어 문자를 손쉽게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not only all Japanese characters of the 50 hiragana sounds, but also Japanese characters such as consonants, semiconsonants, and lowercase letters, simply by moving the user's left and right index, middle, and ring fingers up and down.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환경과 가까운 젊은 세대에게 플릭키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컴퓨터용 일본어 자판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usability of Japanese keyboards for computers is being improved by introducing the Flicky method to the younger generation who are close to mobile environments such as smartphones.

또한, 본 발명은 일본어 히라가나를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중 어느 하나 선택 → 플릭키 선택"이라는 최대 2단계 선택 과정만으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put Japanese hiragana with only a two-step selection process of "select one of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 select Flicky".

또한, 본 발명은 프리딕션 텍스트의 특정 객체를 선택함에 있어서 기존과 같이 방향키나 마우스를 이용하지 않고, 자판의 우수 영역에 존재하는 플릭키를 활용함으로써 프리딕션 객체의 선택을 간편화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selection of a prediction object by utilizing the flick key located in the superior area of the keyboard rather than using the arrow keys or mouse as before in selecting a specific object of the prediction text.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본어의 50음도 배열을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2는 특허문헌 3에 따른 일본어 입력 장치의 외관 구성도이다.
도 3은 특허문헌 4에 따른 일본어 입력 장치의 외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키 어레이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키 어레이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된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한자 후보군을 프리딕션 텍스트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프리딕션 텍스트상에서 변환하고자 하는 한자를 플릭 키를 이용하여 찾아가는 과정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Figure 1 is a table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50 sounds in Japanese.
Figure 2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Japanese input devic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Figure 3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Japanese input devic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Figure 4 show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for Japanese inp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ayout diagram showing the key array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ayout diagram showing the key array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Chinese character candidate group corresponding to hiragana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ed as prediction text.
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of finding the Chinese character to be converted in the prediction text using the flick ke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processe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processe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must be interpreted with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f there is no other definition in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they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pertain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 are omitted. The drawing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ensure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dditionally,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represented by like symbols wherever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bers in each drawing refer to like elements.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본어 입력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200)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컴퓨터 시스템(200)은 메모리(270)와, 여기에 연결되어 고속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260), 입력 장치(240) 및 출력 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4 show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200 for Japanese inp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computer syste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270, at least on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260 connected to the memory 270 and performing high-speed operation, an input device 240, and an output device. It may include (250).

여기에서, 상기 입력 장치(240)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 키보드나 터치스크린 자판으로서 도 5 또는 도 6의 키 어레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장치(250)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나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전자 잉크(e-ink)와 같이 문자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Here, the input device 240 is a computer keyboard or touch screen keyboard for inputting Japane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ferably has the key array of Figure 5 or Figure 6. The output device 250 refers to a display that can display text or images,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electronic ink (e-ink).

상기 CPU(260)는 컴퓨터 시스템(200)에 내장되어 전체적인 동작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이다. CPU(260)에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262)와,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264) 및 컴퓨터 시스템(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66)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PU 260 is a processor built into the computer system 20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processing overall operations. The CPU 260 includes an ALU (Arithmetic Logic Unit: 262) for performing calculations, a register 264 for temporary storage of data and instructions, and a controller 266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uter system 200. It can be done.

상기 메모리(270)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인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 등의 보조 메모리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상기 메모리(270)가 여러 가지 저장 성능을 구비하는 제품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The memory 270 generally includes a high-speed main memory in the form of storage media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ROM (Read Only Memory), auxiliary memory such as flash memory, and electric, magnetic, optical or other storage media. It may include a device that stores data.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emory 270 is a product with various storage capabiliti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200)은 OS(Operating System)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OS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동작 및 리소스의 지정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응용 프로그램은 OS를 통하여 이용 가능한 컴퓨터 리소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집합이다. 상기 OS 및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270)에 상주될 것이다. Additionally,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system 200 may include an operating system (OS)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The OS is a set of softwar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uter system 200 and the designation of resources. An application program is a set of software that performs tasks requested by the user by using computer resources available through the OS. The OS and applications will reside in memory 270.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입력장치(240)인 키보드나 터치스크린 자판을 통해 입력되는 키코드를 일본어(예를 들어, 히라가나 또는 카타가나)로 변환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메모리(270)에 상주하는 일본어 입력 응용 프로그램인 키코드 변환 프로그램(272)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Japanese input application resides in the memory 270 to convert the key code input through the keyboard or touch screen keyboard, which is the input device 240, into Japanese (for example, hiragana or katakana) and display it. It may include a key code conversion program 272, which is a program.

상기 일본어 입력 응용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협력하여, 키보드나 자판상의 키를 단독으로 혹은 다수의 키 조합에 의하여 조작시 발생하는 신호를 접수하고 이를 분석하며, 미리 할당된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한 일본어 문자열이 입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Japanese input applic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receives and analyzes signals generated when a key on the keyboard or keyboard is operat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ultiple keys, performs a pre-assigned task, and as a result It performs a function that allows the specific Japanese character string desired by the user to be entered.

상기 키보드나 터치스크린 자판에서 전달된 단수 혹은 복수의 키코드는, 필요시 상기 키코드 변환 프로그램(272)에 의해 미리 지정된 특정 일본어 히라가나 또는 카타가나로 변환이 되어 최종 입력된다. 입력된 결과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출력장치(250)에 표시된다.The single or plural keycodes transmitted from the keyboard or touch screen keyboard are converted into specific Japanese hiragana or katakana pre-designated by the keycode conversion program 272 when necessary and finally input. The input results are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250 of the computer system 200.

<제 1 실시예><First Exampl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키 어레이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컴퓨터용 키보드는 터치스크린 자판 형태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하는 키 어레이의 구성은 동일한 형태로 터치스크린 자판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gure 5 is a layout diagram showing the key array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keyboard shown in FIG. 5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a touch screen keyboard. That is,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key array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a touch screen keyboard.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어레이가 컴퓨터용 키보드 자판으로 구현된 예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key arr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mplemented as a computer keyboard.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터용 자판(100)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둘로 나누되, 제 1 영역인 좌수(왼손)영역(110)과 제 2 영역인 우수(오른손) 영역(120)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5, the computer keyboard 10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with the first area being the left hand area 110 and the second area being the right hand area 120. It is desirable to divide it into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일본어 히라가나 50음도는 10행, 5열의 행렬로 구성되는데, 각 열의 대표 글자인 1행의 가나는「あ,い,う,え,お」이고, 각 행의 대표 글자인 1열에 해당하는「あ」단은「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로 이루어진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1, Japanese hiragana 50 sounds are composed of a matrix of 10 rows and 5 columns. The kana of row 1,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each column, is 「あ,い,う,え,お」,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each row is 「あ,い,う,え,お」 The 「あ」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w of letters consists of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상기 제 1 영역인 좌수 영역(110)에는 일본어 히라가나 50음도의 각 행의 대표글자인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인 우수 영역(120)에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을 「い」단,「う」단,「え」단,「お」단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키(122,123,124,125)가 배치된다. In the first area, the left-hand area 110, the letters of the “あ” column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which are representative letters of each line of the 50 Japanese hiragana sounds, are placed, and in the second area, the right-hand area 120 ), conversion keys 122, 123, 124, 125 for converting the letters in the “あ” group of the first area 110 into “い”, “う”, “え”, and “お” are arranged.

상기 제 1 영역(110)에는 상기「あ」단의 글자들중 "あ,か,さ,た,な,は,ま,や,ら"를 3행,3열로 배치하고, 상기 「あ」단의 글자들중 "わ"를 2행,1열에 해당하는 "た"와 인접하게 배치한다. 즉, 상기 "わ"를 상기 "た"의 왼쪽 키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irst area 110, among the letters in the “あ” column,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are arranged in 3 rows and 3 columns, and the “あ” column Among the letters, place "わ" adjacent to "た" corresponding to the 2nd row and 1st column.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place the “わ” on the key to the left of the “た”.

물론, 상기 "わ"는 상기 3행,3열로 이루어진 키 블록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키 어느 곳이든 모두 배치가 가능하다. Of course, the “わ” can be placed anywhere on the keys of the first area 110 adjacent to the key block consisting of 3 rows and 3 columns.

상기 제 2 영역(120)에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을 「い」단,「う」단,「え」단,「お」단으로 변환하기 위한 플릭키(Flick key)(122,123,124,125)가 배치된다. In the second area 120, the letters of the “あ” unit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of the first area 110 are replaced with “い”, “う”, “え”, and “お”. Flick keys (122, 123, 124, 125) for converting to a single stage are placed.

여기서, 상기 플릭키(Flick key)는 손가락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빠르게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체스처를 통해서 원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키를 의미한다. Here, the Flick key refers to a key that generates a desired command through a gesture of quickly moving the finger up, down, left, or righ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릭키(Flick key)는 상기 제 2 영역(120)의 임의의 특정 키(unspecified key)(예를 들어, 영문자 "k"키)를 중심으로 좌측에 「い」단 변환키(122), 상측에 「う」단 변환키(123), 우측에 「え」단 변환키(124), 하측에 「お」단 변환키(125)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The Flick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い” conversion key on the left side of an unspecified key (for example, the English letter “k” key) in the second area 120. (122), it is configured by arranging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123) at the top, the “え” stage conversion key (124) at the right, and the “お” stage conversion key (125) at the bottom.

즉, 상기 특정 키를 중심으로 좌측에서 시계방향으로 「い」단 변환키(122), 「う」단 변환키(123), 「え」단 변환키(124), 「お」단 변환키(125)를 차례대로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플릭키(Flick key)들은 상기 특정 키를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배치된다. That is, clockwise from the left centered on the specific key,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122),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123), the “え” stage conversion key (124), and the “お” stage conversion key ( 125) are placed in order. Accordingly, the flick keys are arranged in a cross shape centered on the specific key.

상기 「い」단 변환키(122)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ら를 「い」단의 글자들인 い,き,し,ち,に,ひ,み,り로 변환한다. The “い” column conversion key 122 converts the letter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which are the letters of the “あ” column of the first area 110, into the letters of the “い” column. Convert to い,き,し,ち,に,ひ,み,り.

상기 「う」단 변환키(123)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를「う」단의 글자들인 う,く,す,つ,ぬ,ふ,む,ゆ,る로 변환한다. The “う” group conversion key 123 converts the letter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which are the letters of the “あ” group in the first area 110, into the “う” group. Converts to the letters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상기「え」단 변환키(124)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ら를「え」단의 글자들인 え,け,せ,て,ね,へ,め,れ로 변환한다. The “え” column conversion key 124 converts the letter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which are the letters of the “あ” column in the first area 110, to the letters of the “え” column. Convert to え,け,せ,て,ね,へ,め,れ.

상기「お」단 변환키(125)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를「お」단의 글자들인 お,こ,そ,と,の,ほ,も,よ,ろ,を로 변환한다. The “お” column conversion key 125 changes the letters of the “あ” column of the first area 110, which are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to “お”. Convert to single letters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さ")를 선택한 후 상기「え」단 변환키(124)를 누르면 컴퓨터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에는 "せ"가 선택되어 표시된다. For example, after selecting one of the letters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of the “あ” column (for example, “さ”) in the first area 110, use the “え” column conversion key ( When 124) is pressed, “せ”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omputer system 200.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을「い」단,「う」단,「え」단,「お」단으로 변환하는 것은 도 1의 히라가나 오십음도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을 「い」단으로 변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あ"는 "い"로, "か"는 "き"로, "さ"는 "し"로, "た"는 "ち"로, "な"는 "に"로, "は"는 "ひ"로, "ま"는 "み"로, "ら"는 "り"로 변환된다. The letters of the above “あ” unit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are converted into “い” unit, “う” unit, “え” unit, and “お” unit to correspond to the hiragana 50 notes in FIG. 1. For example, to explain the case of converting the letters in the above 「あ」 unit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into 「い」 unit, “あ” becomes “い” and “か” becomes “き” "さ" becomes "し", "た" becomes "ち", "な" becomes "に", "は" becomes "ひ", "ま" becomes "み", "ら" " is converted to "り".

상기「い」단 변환키(122)는 상기 특정 키가 영문자 "k"키인 경우,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좌측(左側) 인 영문자 "j"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い」단 변환키(122)에는 영문자 "j"와 더불어 도형 "◀"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pecific key is the English letter "k" key,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122 is preferably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j" key to the left of the adjacent specific key.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lish letter "j" and the figure "◀" are displayed on the "い" column conversion key 122.

상기「う」단 변환키(123)는 상기 특정 키가 영문자 "k"키인 경우, 상기 특정 키의 상측(上側)인 영문자 "i"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う」단 변환키(123)에는 영문자 "i"와 더불어 도형 "▲"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123 is preferably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i” key above the specific key when the specific key is the English letter “k” key.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lish letter "i" and the figure "▲" are displayed on the "う" change key 123.

상기「え」단 변환키(124)는 상기 특정 키가 영문자 "k"키인 경우,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우측(右側)인 영문자 "l"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え」단 변환키(124)에는 영문자 "l"과 더불어 도형 "▶"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pecific key is the English letter "k" key, the "え" stage conversion key 124 is preferably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l" key adjacent to the right of the specific key.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lish letter "l" and the figure "▶"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え" change key 124.

상기「お」단 변환키(125)는 상기 특정 키가 영문자 "k"키인 경우, 상기 특정 키의 하측(下側)인 영문자 "m"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お」단 변환키(125)에는 영문자 "m"과 더불어 도형 "▼"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お” stage conversion key 125 is preferably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m” key below the specific key when the specific key is the English letter “k” key.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lish letter "m" and the figure "▼"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お" change key 125.

또한, 상기 제 2 영역(120)에는 히라가나 "か,さ,た,は"에 탁점()을 찍어서 탁음으로 변환시키거나 소문자가 있는 문자를 소문자(小)로 변환시키는 「탁음/소문자키」(126)가 더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area 120, the hiragana characters "か,さ,た,は" have dots ( A "high-pitched sound/lowercase key" (126) that converts a letter into a lowercase sound or converts a lowercase letter into a lowercase letter (小) can be further placed.

예를 들어, 상기 「탁음/소문자키」(126)는 상기 십자형태를 갖는 플릭키(122,123,124,125)에 인접하는 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う」단 변환키(123)의 인접하는 우측 키인 영문자 "o"키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ud/lowercase key” 126 is placed on a key adjacent to the cross-shaped flick keys 122, 123, 124, and 125, and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adjacent to the “う” change key 123. It is more preferable to place it on the English letter "o" key.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키보드의 키 어레이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컴퓨터용 키보드는 터치스크린 자판 형태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하는 키 어레이의 구성은 동일한 형태로 터치스크린 자판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gure 6 is a layout diagram showing the key array of a computer keyboar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keyboard shown in FIG. 6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a touch screen keyboard. That is, 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key array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a touch screen keyboard.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어레이가 컴퓨터용 키보드 자판으로 구현된 예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key arr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mplemented as a computer keyboard.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용 자판(100)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둘로 나누되, 제 1 영역인 좌수(왼손)영역(110)과 제 2 영역인 우수(오른손) 영역(120)으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6, the computer keyboard 10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with the first area being the left hand area 110 and the second area being the right hand area 120. It is desirable to divide it into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일본어 히라가나 50음도는 10행, 5열의 행렬로 구성되는데, 각 열의 대표 글자인 1행의 가나는「あ,い,う,え,お」이고, 각 행의 대표 글자인 1열에 해당하는「あ」단은「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로 이루어진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1, Japanese hiragana 50 sounds are composed of a matrix of 10 rows and 5 columns. The kana of row 1,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each column, is 「あ,い,う,え,お」, an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of each row is 「あ,い,う,え,お」 The 「あ」 unit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w of letters consists of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상기 제 1 영역인 좌수 영역(110)에는 일본어 히라가나 50음도의 각 행의 대표글자인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인 우수 영역(120)에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을 「い」단,「う」단,「え」단,「お」단으로 변환하는 변환키나 상,하,좌,우의 방향 변환을 위한 방향키로서 기능하는 플릭 키(Flick key)(122,123,124,125)와 프리딕션 키(Prediction key)(121)가 배치된다. In the first area, the left-hand area 110, the letters of the “あ” column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which are representative letters of each line of the 50 Japanese hiragana sounds, are placed, and in the second area, the right-hand area 120 ) is a conversion key that converts the letters in the “あ” column of the first area 110 into “い”, “う”, “え”, and “お” or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Flick keys (122, 123, 124, 125) and prediction keys (121) that function as direction keys for conversion are arranged.

상기 제 1 영역(110)에는 상기「あ」단의 글자들중 "あ,か,さ,た,な,は,ま,や,ら"를 3행,3열로 배치하고, 상기 「あ」단의 글자들중 "わ"를 2행,1열에 해당하는 "た"와 인접하게 배치한다. 즉, 상기 "わ"를 상기 "た"의 왼쪽 키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irst area 110, among the letters in the “あ” column,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are arranged in 3 rows and 3 columns, and the “あ” column Among the letters, place "わ" adjacent to "た" corresponding to the 2nd row and 1st column.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place the “わ” on the key to the left of the “た”.

물론, 상기 "わ"는 상기 3행,3열로 이루어진 키 블록에 인접하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키 어느 곳이든 모두 배치가 가능하다. Of course, the “わ” can be placed anywhere on the keys of the first area 110 adjacent to the key block consisting of 3 rows and 3 columns.

상기 제 2 영역(120)에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을 「い」단,「う」단,「え」단,「お」단으로 변환하거나 상,하,좌,우의 방향 변환을 위한 플릭키(Flick key)(122,123,124,125)와 더불어 프리딕션 키(prediction key)(121)가 배치된다. In the second area 120, the letters of the “あ” unit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of the first area 110 are replaced with “い”, “う”, “え”, and “お”. Flick keys (122, 123, 124, 125) for converting to a stage or changing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as well as a prediction key (121) are placed.

여기서, 상기 플릭키(Flick key)는 손가락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빠르게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체스처를 통해서 원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키를 의미한다. Here, the Flick key refers to a key that generates a desired command through a gesture of quickly moving the finger up, down, left, or righ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상기 프리딕션 키(121)는 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를 통해 일본어 히라가나가 입력됨과 동시에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될 때 상기 플릭키의 기능을 히라가나의 단을 변환시키는 변환키에서 상,하,좌,우의 방향키로 전환하거나 프리딕션 텍스트중 특정한 객체를 선택하거나 이렇게 선택된 객체를 확정하기 위한 명령 키이다. The prediction key 121 uses the function of the flick key when Japanese hiragana is input through the keyboar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prediction text is output at the same time as up, down, left, and This is a command key for switching to the right direction key, selecting a specific object from the prediction text, or confirming the selected object.

여기서,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라 함은, 입력되는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보들(예를 들어, 한자, 가타가나 등)을 예측하여 리스트화하고, 이를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prediction text means predicting and listing various information (eg, kanji, katakana, etc.) corresponding to the input hiragana and displaying it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도 7 및 도 8에서는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의 정보가 입력된 히라가나(예를 들어, "に")와 독음이 같은 한자 후보군을 리스트로 나열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s 7 and 8 show a list of Chinese character candidates that have the same pronunciation as the hiragana (for example, "に") into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prediction text is input.

따라서, 본 실시예의 키보드 자판을 이용하여 특정한 히라가나를 입력하면, 이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프리딕션 키(121)를 선택하면, 상기 플릭 키는 변환키에서 방향키로 전환되어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상의 객체들을 검색하기 위한 상,하,좌,우의 방향키로서 기능하게 된다. Therefore, when a specific hiragana is input using the keyboard of this embodiment, the prediction text corresponding to this hiragana is output. At this time, when the prediction key 121 is selected, the flick key is converted from a conversion key to a direction key and functions as a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to search for objects in the prediction text.

또한, 상기 프리딕션 키(121)는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상의 리스트중에서 첫번째 객체를 선택하거나 상기 플릭키에 의해 선택되는 객체를 확정하기 위한 명령 키로도 기능한다. Additionally, the prediction key 121 also functions as a command key for selecting the first object from a list on the prediction text or confirming the object selected by the flick ke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릭키(Flick key)(122,123,124,125)는 상기 프리딕션 키(121)를 중심으로 좌측에 「い」단 변환키(또는 ◀키)(122), 상측에 「う」단 변환키(또는 ▲키)(123), 우측에 「え」단 변환키(또는 ▶키)(124), 하측에 「お」단 변환키(또는 ▼키)(125)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The flick keys (122, 123, 124,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entered around the prediction key 121, and include an “い” level conversion key (or ◀ key) 122 on the left, and an “う” level conversion key on the upper side. (or ▲ key) 123, the “え” stage conversion key (or ▶ key) 124 on the right, and the “お” stage conversion key (or ▼ key) 125 at the bottom.

즉, 상기 상기 프리딕션 키(121)를 중심으로 좌측에서 시계방향으로 「い」단 변환키(또는 ◀키)(122),「う」단 변환키(또는 ▲키)(123),「え」단 변환키(또는 ▶키)(124),「お」단 변환키(또는 ▼키)(125)를 차례대로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플릭 키(Flick key)(122,123,124,125)는 상기 프리딕션 키(121)를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배치된다. That is, clockwise from the left around the prediction key 121,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or ◀ key) 122,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or ▲ key) 123, and the “えArrange the “お” conversion key (or ▼ key) (125) in order. Accordingly, the flick keys 122, 123, 124, and 125 are arranged in a cross shape with the prediction key 121 as the center.

상기 「い」단 변환키(122)는 상기 히라가나 입력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ら를 「い」단의 글자들인 い,き,し,ち,に,ひ,み,り로 변환하거나 좌측 방향키(◀키)로 동작한다. In the hiragana input mode, the “い” column conversion key 122 converts the letters of the “あ” column of the first area 110, such a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into “い”.い, き, し, ち, に, ひ, み, り or operate with the left arrow key (◀ key).

상기 「う」단 변환키(123)는 상기 히라가나 입력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를「う」단의 글자들인 う,く,す,つ,ぬ,ふ,む,ゆ,る로 변환하거나 상측 방향키(▲키)로 동작한다.In the hiragana input mode,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123 uses the letter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which are the letters of the “あ” stage in the first area of the first area 110. Convert や, ら to the letters う, く, す, つ, ぬ, ふ, む, ゆ, る, or use the upper arrow key (▲ key).

상기「え」단 변환키(124)는 상기 히라가나 입력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ら를「え」단의 글자들인 え,け,せ,て,ね,へ,め,れ로 변환하거나 우측 방향키(▶키)로 동작한다.In the hiragana input mode, the “え” stage conversion key 124 uses the letter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which are the letters of the “あ” stage of the first area 110. , ら can be converted to the letters え, け, せ, て, ね, へ, め, れ, or operate with the right arrow key (▶ key).

상기「お」단 변환키(125)는 상기 히라가나 입력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를「お」단의 글자들인 お,こ,そ,と,の,ほ,も,よ,ろ,を로 변환하거나 하측 방향키(▼키)로 동작한다.In the hiragana input mode, the “お” column conversion key 125 uses the letter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which are the letters of the “あ” column of the first area 110. Convert わ to the letters お,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or use the down arrow key (▼ key).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10)의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さ")를 선택한 후 상기「え」단 변환키(124)를 누르면 컴퓨터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에는 "せ"가 선택되어 표시된다. For example, after selecting one of the letters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of the “あ” column (for example, “さ”) in the first area 110, use the “え” column conversion key ( When 124) is pressed, “せ” i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computer system 200.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을 「い」단,「う」단,「え」단,「お」단으로 변환하는 것은 도 1의 히라가나 오십음도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을 「い」단으로 변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あ"는 "い"로, "か"는 "き"로, "さ"는 "し"로, "た"는 "ち"로, "な"는 "に"로, "は"는 "ひ"로, "ま"는 "み"로, "ら"는 "り"로 변환된다. The letters of the “あ” unit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are converted into the “い” unit, “う” unit, “え” unit, and “お” unit to correspond to the hiragana 50 notes in Figure 1. For example, to explain the case of converting the letters in the above 「あ」 unit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into 「い」 unit, “あ” becomes “い” and “か” becomes “き” "さ" becomes "し", "た" becomes "ち", "な" becomes "に", "は" becomes "ひ", "ま" becomes "み", "ら" " is converted to "り".

상기 프리딕션 키(121)는 컴퓨터 시스템(200)의 키보드 자판의 제 2 영역(120)의 영문자 "k"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프리딕션 키(121)에는 영문자 "k"와 더불어 프리딕션 텍스트(210)를 상징하는 "□"이라는 도형이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diction key 121 is preferably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k” key in the second area 120 of the keyboard of the computer system 20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lish letter "k" and the shape "□" symbolizing the prediction text 210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prediction key 121.

상기 「い」단 변환키(122)는 상기 프리딕션 키(121)의 인접하는 좌측(左側)인 영문자 "j"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い」단 변환키(122)에는 영문자 "j"와 더불어 방향을 나타내는 도형 "◀"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122 is preferably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j” key on the left side of the prediction key 12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lish letter "j" and the figure "◀" indicating the direction are displayed on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122.

상기「う」단 변환키(123)는 상기 프리딕션 키(121)의 상측(上側)인 영문자 "i"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う」단 변환키(123)에는 영문자 "i"와 더불어 방향을 나타내는 도형 "▲"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123 is preferably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i” key above the prediction key 12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lish letter "i" and the figure "▲" indicating the direction are displayed on the "う" change key 123.

상기「え」단 변환키(124)는 상기 프리딕션 키(121)의 인접하는 우측(右側) 인 영문자 "l"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え」단 변환키(124)에는 영문자 "l"과 더불어 방향을 나타내는 도형 "▶"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え” short conversion key 124 is preferably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l” key, which is adjacent to the right of the prediction key 12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lish letter "l" and the figure "▶" indicating the direction are displayed on the "え" change key 124.

상기「お」단 변환키(125)는 상기 프리딕션 키(121)의 하측(下側)인 영문자 "m"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お」단 변환키(125)에는 영문자 "m"과 더불어 방향을 나타내는 도형 "▼"가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お” stage conversion key 125 is preferably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m” key below the prediction key 12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lish letter "m" and the figure "▼" indicating the direction are displayed on the "お" change key 125.

또한, 상기 제 2 영역(120)에는 히라가나 "か,さ,た,は"에 탁점()을 찍어서 탁음으로 변환시키거나 소문자가 있는 문자를 소문자(小)로 변환시키는 「탁음/소문자키」(126)가 더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area 120, the hiragana characters "か,さ,た,は" have dots ( A "high-pitched sound/lowercase key" (126) that converts a letter into a lowercase sound or converts a lowercase letter into a lowercase letter (小) can be further placed.

예를 들어, 상기 「탁음/소문자키」(126)는 상기 십자형태를 갖는 플릭 키(122,123,124,125)에 인접하는 키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う」단 변환키(123)의 인접하는 우측 키인 영문자 "o"키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high-pitched/lowercase key” 126 is preferably placed on a key adjacent to the cross-shaped flick keys 122, 123, 124, and 125, and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adjacent to the “う” change key 123. It is more preferable to place it on the English letter "o" key.

<일본어 히라가나 입력><Enter Japanese hiragana>

도 5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자판이나 도 6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자판의 히라가나 입력모드를 이용하여 일본어 히라가나를 입력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inputting Japanese hiragana using the hiragana input mode of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or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is as follows.

먼저, 본 실시예들의 키보드 자판(100)의 제 1 영역(110)에 사용자의 좌수를 그리고 제 2 영역(120)에 우수를 놓은 상태에서 좌수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히라가나의「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First, with the user's left number drawn in the first area 110 of the keyboard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s and the right number placed in the second area 120, the "あ" unit of hiragana to be input using the left number Select one of the letters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이때,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은 상기 제 1 영역(110)내에 3행,3열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수의 검지, 중지, 약지를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원하는「あ」단의 글자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letters in the “あ” column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are arranged in 3 rows and 3 columns in the first area 110, the desired number can be reached simply by moving the index, middle, and ring fingers of the left hand down and up. You can easily select the character in the 「あ」 unit.

한편, 입력하고자 하는 최종적인 히라가나가「あ」단의 글자(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플릭키(122,123,124,125)를 사용하여 원하는 히라가나로 변환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inal hiragana to be input is not the character in the 'あ' column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use the flick keys (122, 123, 124, 125) to convert it to the desired hiragana.

즉, 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역(110)으로부터 히라가나의 「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우수를 이용하여 플릭 키(122,123,124,125)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That is, after selecting one of the letters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of the Hiragana "あ" from the first area 110 using the left hand, select any one of the flick keys (122, 123, 124, 125) using the right hand. Choose.

이때, 상기 플릭키(122,123,124,125)는 상기 제 2 영역(120)내에 십자형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의 검지, 중지, 약지를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원하는 플릭키(122,123,124,125)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lick keys (122, 123, 124, and 125) are arranged in a cross shape in the second area 120, the desired flick keys (122, 123, 124, 125) can be easily selected by simply moving the index, middle, and ring fingers down and up.

예를 들어, 일본어 "がくせい"를 본 실시예에 따른 도 5 및 도 6의 키보드 자판(100)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For example, the Japanes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an example of inputting the Japanese word "がくせい" using the keyboard 100 of FIGS. 5 and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일본어「が 」입력)(Enter Japanese 「が」)

먼저, 좌수를 이용하여 제 1 영역(110)의 "か"를 선택함과 동시에 우수를 이용하여 제 2 영역(120)의「탁음/소문자키」(126)를 선택한다. First, select “か” in the first area 110 using the left digits and at the same time select the “low/lowercase key” 126 in the second area 120 using the right digits.

(일본어「く」입력)(Enter Japanese “く”)

좌수를 이용하여 제 1 영역(110)의 "か"를 선택함과 동시에 우수를 이용하여 제 2 영역(120)의「う」단 변환키(123)를 선택한다. “か” in the first area 110 is selected using the left digits, and at the same time,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123 in the second area 120 is selected using the right digits.

(일본어「せ」입력)(Enter Japanese 「せ」)

좌수를 이용하여 제 1 영역(110)의 "さ"를 선택함과 동시에 우수를 이용하여 제 2 영역(120)의「え」단 변환키(124)를 선택한다. “さ” in the first area 110 is selected using left numbers, and at the same time, the “え” stage conversion key 124 in the second area 120 is selected using right numbers.

(일본어「い」입력)(Enter Japanese “い”)

좌수를 이용하여 제 1 영역(110)의 "あ"를 선택함과 동시에 우수를 이용하여 제 2 영역(120)의「い」단 변환키(122)를 선택한다.“あ” in the first area 110 is selected using the left digits, and at the same time,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122 in the second area 120 is selected using the right digits.

<한자 변환><Chinese character conversion>

도 6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자판을 이용하여 입력된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한자로 변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에서는 프리딕션 텍스트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객체가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한자 후보군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는 한자 이외의 다른 예측 가능한 모든 정보들(예를 들어, 가타가나 등)을 예측 객체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rocess of converting input Hiragana into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using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is as follows. In Figure 6, an example is explained in which the information object displayed through the prediction text is a candidate group of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hiragana. However, the prediction tex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predictable information other than Chinese characters (e.g. For example, katakana, etc.) can of course be included as a prediction object.

먼저, 도 6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자판(100)의 제 1 영역(110)에 사용자의 좌수를 그리고 제 2 영역(120)에 우수를 놓은 상태에서 좌수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히라가나의「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First, with the user's left number drawn in the first area 110 of the keyboard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and the right number placed in the second area 120, the user wants to input using the left number. Select one of the letters in the 「あ」 unit of hiragana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이때, 상기「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은 상기 제 1 영역(110)내에 3행,3열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수의 검지, 중지, 약지를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원하는「あ」단의 글자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letters in the “あ” column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are arranged in 3 rows and 3 columns in the first area 110, the desired number can be reached simply by moving the index, middle, and ring fingers of the left hand down and up. You can easily select the character in the 「あ」 unit.

한편, 입력하고자 하는 최종적인 히라가나가「あ」단의 글자(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플릭키(122,123,124,125)를 사용하여 원하는 히라가나로 변환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inal hiragana to be input is not the character in the 'あ' column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use the flick keys (122, 123, 124, 125) to convert it to the desired hiragana.

즉, 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영역(110)으로부터 히라가나의 「あ」단의 글자들(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우수를 이용하여 플릭 키(122,123,124,125)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That is, after selecting one of the letters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of the Hiragana "あ" from the first area 110 using the left hand, select any one of the flick keys (122, 123, 124, 125) using the right hand. Choose.

이때, 상기 플릭키(122,123,124,125)는 상기 제 2 영역(120)내에 십자형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의 검지, 중지, 약지를 아래, 위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원하는 플릭 키(122,123,124,125)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flick keys 122, 123, 124, and 125 are arranged in a cross shape in the second area 120, the desired flick keys 122, 123, 124, and 125 can be easily selected by simply moving the index, middle, and ring fingers down and up.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키보드 자판의 히라가나 입력모드에서 좌수를 이용하여 제 1 영역(110)에서 "な"키를 선택하고, 우수를 이용하여 제 2 영역(120)에서 「い」단 변환키(122)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히라가나 "に"를 입력한다. For example, in the hiragana input mode of the keyboard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な” key is selected in the first area 110 using the left digit, and the “い” key is selected in the second area 120 using the right digit. 」However, enter the hiragana character “に” by selecting the conversion key 122.

이에 따라, 상기 입력된 히라가나 "に"와 독음이 동일한 한자 후보군이 도 7과 같이 프리딕션 텍스트(210)로 출력된다. Accordingly, a group of Chinese character candidates that have the same pronunciation as the input hiragana "に" are output as prediction text 210, as shown in FIG. 7.

이때, 프리딕션 키(121)를 선택하면, 커서 바(cursor bar)(211)가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210)상의 한자 후보군중 첫번째 한자인 "日本"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플릭키(122,123,124,125)가 상,하,좌,우의 방향키로 전환된다. At this time, when the prediction key 121 is selected, the cursor bar 211 is located at the first Chinese character “日本” among the Chinese character candidates on the prediction text 210, and the flick keys 122, 123, 124, and 125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witched with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이때, 변환하고자 하는 한자가 첫번째 후보인 "日本"인 경우에는 커서 바(cursor bar)(211)가 놓여 있는 상태에서 프리딕션 키(121)를 한번 더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될 한자를 "日本"으로 확정한다. At this time, if the Chinese character to be converted is the first candidate "日本", select the prediction key 121 once more while the cursor bar 211 is positioned, and the Chinese character to be input will be "日本" Confirm with

한편, 변환하고자 하는 한자가 커서 바(211)가 놓여 있는 첫번째 한자가 아닌 경우, 도 8과 같이 플릭키중 아래 방향키(▼키)(125)를 이용하여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210)의 한자 후보군으로 커서 바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210)의 한자 후보군중 두번째 한자인 "入力"이 변환하고자 하는 한자인 경우, 플릭키중 아래 방향키(▼키)(125)를 한번 클릭하여 커서 바(211)를 두번째 한자인 "入力"에 위치시켜서 입력될 한자를 선택하고, 확정한다. 즉, 플릭키중 아래 방향키(▼키)(125)를 이용하여 커서 바(211)를 두번째 한자인 "入力"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 3의 키(방향키로 기능하는 플릭키를 제외한 모든 키)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력될 한자를 현재 커서 바(211)가 위치하고 있는 객체(예를 들어, "入力")로 선택하여 확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hinese character to be converted is not the first Chinese character on which the cursor bar 211 is located, use the down arrow key (▼ key) 125 among the flick keys as shown in FIG. 8 to select the Chinese character candidates of the prediction text 210. Move the cursor bar with . At this time, if the second Chinese character “入力” among the Chinese character candidates in the prediction text 210 is the Chinese character to be converted, click the down arrow key (▼ key) 125 among the flick keys once and move the cursor bar 211 to the second Chinese character. Select the Chinese character to be entered by placing it in the Chinese character "入力" and confirm. That is, use the down arrow key (▼ key) 125 among the flick keys to position the cursor bar 211 on the second Chinese character, “入力,” and use the third key (all keys except the flick key that functions as a direction key). By selecting , the Chinese character to be input can be selected and confirmed as the object on which the cursor bar 211 is currently located (for example, "入力").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키 어레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키보드, 터치스크린 자판 등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원리를 통해 키스킨(key skin), 키캡(key cap), 스티커(sticker) 등의 형태로 제작하여 기존의 영문 자판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key ar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to computer keyboards, touch screen keyboards, etc. as described above, but can be used in the form of key skin, key cap, sticker, etc. through the same principle.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nd apply it to existing English keyboards.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는 사용자의 좌수와 우수의 검지, 중지, 약지를 상,하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히라가나 50음도의 모든 일본어 문자 뿐만 아니라 탁음, 반탁음, 소문자 등의 일본어 문자를 손쉽게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not only all Japanese characters of the 50 hiragana sound levels, but also consonants, semi-consonants, lowercase letters, etc., by simply moving the user's left and right index, middle, and ring fingers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Japanese characters.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환경과 가까운 젊은 세대에게 플릭키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컴퓨터용 일본어 자판의 사용성을 개선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usability of Japanese keyboards for computers is being improved by introducing the Flicky method to the younger generation who are close to mobile environments such as smartphones.

또한, 본 발명은 일본어 히라가나를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중 어느 하나 선택 → 플릭키 선택"이라는 최대 2단계 선택 과정만으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put Japanese hiragana with only a two-step selection process of "select one of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 select Flicky".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100 : 컴퓨터용 키보드 자판, 110 : 제 1 영역, 120 : 제 2 영역, 121 : 프리딕션 키, 122 :「い」단 변환키, 123 :「う」단 변환키, 124 :「え」단 변환키, 125 : 「お」단 변환키, 126 : 탁음/소문자키100: computer keyboard, 110: first area, 120: second area, 121: prediction key, 122: 「い」 Dan conversion key, 123: 「う」 Dan conversion key, 124: 「え」 Dan conversion key Key, 125: 「お」 Dan conversion key, 126: Sound/lowercase key

Claims (20)

컴퓨터 시스템이나 정보통신장치의 입력장치에 일본어를 입력하기 위한 키 어레이(key array)에 있어서,
일본어 히라가나「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가 배치되어 있는 제 1 영역과;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를 「い」단,「う」단,「え」단,「お」단으로 변환하기 위한 플릭키(Flick key)가 배치되어 있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In a key array for entering Japanese into an input device of a computer system 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 first area where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which is the letters of the Japanese hiragana 「あ」 unit, is arranged;
A second area where a flick key is placed to convert the letters of the 「あ」 unit,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 into 「い」, 「う」, 「え」, and 「お」.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릭키는 상기 제 2 영역의 특정 키(unspecified key)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い」단 변환키,「う」단 변환키,「え」단 변환키 및「お」단 변환키를 차례대로 배치하여 십자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flick key is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the “え” stage conversion key, and the “お” stage conversion key in a clockwise direction centered on the unspecified key in the second area.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a cross sha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가 상기 제 2 영역의 영문자 "k"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2,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wherein the specific key is placed on the English letter “k” key in the second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あ,か,さ", "た,な,は", "ま,や,ら" 순서대로 3행,3열로 배치하고, 상기 "わ"를 2행,1열에 해당하는 "た"의 인접하는 왼측 키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3,
In the first area, “あ,か,さ”, “た,な,は”, “ま,や,ら” are arranged in 3 rows and 3 columns in the order, and “わ” corresponds to the 2nd row and 1st column.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laced on the left key adjacent to "た".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는 히라가나 "か,さ,た,は"에 탁점()을 찍어서 탁음으로 변환시키거나 소문자가 있는 문자를 소문자(小)로 변환시키는 탁음/소문자키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4,
In the second area, there are dots on the hiragana "か,さ,た,は" (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haracterized in that a key/lowercase key is further disposed to convert a letter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い」단 변환키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ら를 「い」단의 글자들인 い,き,し,ち,に,ひ,み,り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5,
The “い” group conversion key converts the letters of the “あ” group in the first area,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into the letters of the “い” group, い, き, し,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haracterized by conversion to ち, に, ひ, み, り.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う」단 변환키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를「う」단의 글자들인 う,く,す,つ,ぬ,ふ,む,ゆ,る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5,
The “う” group conversion key changes the letters of the “あ” group in the first area, such a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to the letters of the “う” group, う, く,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haracterized by conversion to す,つ,ぬ,ふ,む,ゆ,る.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え」단 변환키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ら를「え」단의 글자들인 え,け,せ,て,ね,へ,め,れ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5,
The “え” column conversion key converts the letters of the “あ” column in the first area,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ら, into the letters of the “え” column, え, け, せ,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haracterized by conversion to て,ね,へ,め,れ.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お」단 변환키는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あ」단의 글자들인 あ,か,さ,た,な,は,ま,や,ら,わ를「お」단의 글자들인 お,こ,そ,と,の,ほ,も,よ,ろ,を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5,
The "お" group conversion key changes the letters of the "あ" group in the first area, such as 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 to the letters of the "お" group, お,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haracterized by conversion to こ, そ, と, の, ほ, も, よ, ろ, を.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는, 입력된 일본어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정보 객체들을 리스트로 나열하는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릭키를 상,하,좌,우의 방향키로 전환하거나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중 특정한 객체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객체를 확정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프리딕션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5,
The specific key switches the flick key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while a prediction text listing information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Japanese hiragana is output, or selects a specific object among the prediction text.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haracterized as a prediction key for generating a command for selecting or confirming a selected objec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딕션 키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플릭키는 상,하,좌,우의 방향키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10,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wherein when the prediction key is selected while the prediction text is output, the flick key is converted into a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딕션 키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정보 객체들중 첫번째로 위치하는 객체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11,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wherein in a state where the prediction text is output, the object located first among the information objects is selected and input by selecting the prediction ke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딕션 텍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플릭키를 상,하,좌,우의 방향키로 이용하여 상기 정보 객체들의 리스트중 원하는 객체를 찾아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12,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characterized in that while the prediction text is output, the flick key is used as a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 to find and input a desired object from the list of information object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い」단 변환키는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좌측 키에 배치되고,
상기「う」단 변환키는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상측 키에 배치되고,
상기「え」단 변환키는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우측 키에 배치되며,
상기「お」단 변환키는 상기 특정 키의 인접하는 하측 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13,
The “い” stage conversion key is placed on the left key adjacent to the specific key,
The “う” stage conversion key is placed on the upper key adjacent to the specific key,
The “え” short conversion key is placed on the right key adjacent to the specific key,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wherein the “お” stage conversion key is placed on a lower key adjacent to the specific ke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탁음/소문자키는 상기 십자형태를 갖는 플릭키의「う」단 변환키에 인접하는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을 위한 키 어레이.
According to claim 14,
A key array for Japanese input, wherein the consonant/lowercase key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djacent to the “う” terminal conversion key of the cross-shaped flick key.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에 있어서,
사용자의 좌수가 놓이는 제 1 영역과;
사용자의 우수가 놓이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의 키 어레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키보드.
In the keyboard as an input device for a computer system,
a first area where the user's seat is placed;
comprising a second area where the user's rainwater is placed;
A computer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array of any one of claims 1 to 15 is arranged in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탁음/소문자키를 2번 연속하여 누르게 되면, 반탁음으로 변환시키는 반탁음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키보드.
According to claim 16,
A computer keyboard that functions as a semi-vocal sound that converts it into a semi-volatile sound when the key/lowercase key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의 키 어레이를 갖는 터치스크린 자판.A touch screen keyboard having the key array of any one of claims 1 to 1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자판의 좌수 영역에 배치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자판의 우수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자판.
According to claim 18,
A touch screen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rea is placed in the left-hand area of the keyboard, and the second area is placed in the right-hand area of the keyboar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탁음/소문자키를 2번 연속하여 누르게 되면, 반탁음으로 변환시키는 반탁음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자판.
According to claim 19,
A touch screen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as a semi-volatile sound that is converted into a semi-volatile sound when the consonant/lowercase key is pressed twice in succession.
KR1020220170075A 2022-12-07 2022-12-07 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 KR2024008505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075A KR20240085051A (en) 2022-12-07 2022-12-07 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
PCT/KR2023/019356 WO2024122977A1 (en) 2022-12-07 2023-11-28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computer keyboard having same key ar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075A KR20240085051A (en) 2022-12-07 2022-12-07 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5051A true KR20240085051A (en) 2024-06-14

Family

ID=9137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075A KR20240085051A (en) 2022-12-07 2022-12-07 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85051A (en)
WO (1) WO2024122977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4390A (en) * 2001-04-05 2002-10-18 Kenwood Corp Character data inputting method
KR101216840B1 (en) * 2012-04-04 2013-01-09 허우영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JP2017027096A (en) * 2015-07-15 2017-02-02 圭司 中川 Software keyboard program,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20190140135A (en) * 2018-06-10 2019-12-19 유승민 Japanese Keypad for smartphone
KR20210058291A (en) * 2019-11-14 2021-05-24 황재엽 Japanese input system with easy layout and it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22977A1 (en) 202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8672A (en) Dynamic predictive keyboard
US5818437A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computer
KR101056565B1 (en) Efficient Method and Device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
JP6000385B2 (en) Multilingu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JP4242270B2 (en) Pen input system and method for computing devices
US10747334B2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046914B1 (en) Recursive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60279433A1 (en) Method of mapping characters for a mobile telephone keypad
KR101285413B1 (en) Letter input method of touch type using touch screen
KR20170133047A (en) Virtual keyboard strucutre for mobile devic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using virtual keyboard for mobile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contain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application stored in media for executing the same
KR20240085051A (en) A key array for inputting Japanese and a computer keyboard having such a key array
KR20220005417A (en) hangeul simple easy keyboard system
KR102332178B1 (en) Time shortening keyboard system for disabled person and methods for use
EP2524283A1 (en) Virtual keyboard
EP2916200A2 (en)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KR101483170B1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Simple English Keypad
KR20130004648A (en) Multi-language text input device with word processing function on touch screen panel
KR20200006714A (en) 16key Hangul Uni Pad
KR101194119B1 (en) Character display and input method having character display pannel
KR100609287B1 (en) Plus Keypad
KR20190066161A (en) 16key Hangul Sswipee Pad
KR20230140202A (en) Key array for inputting a romaji and keyboard of having the same
KR1006230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or the English alphabet to provide scroll function by using a touch sensor array
US20120120012A1 (en) Method for inputting digital characters
US20200150779A1 (en) Key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