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254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2540A
KR20240082540A KR1020220166273A KR20220166273A KR20240082540A KR 20240082540 A KR20240082540 A KR 20240082540A KR 1020220166273 A KR1020220166273 A KR 1020220166273A KR 20220166273 A KR20220166273 A KR 20220166273A KR 20240082540 A KR20240082540 A KR 20240082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drain pump
air conditioner
cas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백승조
송유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2540A/ko
Priority to US18/524,101 priority patent/US20240183574A1/en
Priority to EP23213620.0A priority patent/EP4379285A1/en
Publication of KR2024008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2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되는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 상기 응축수 수위가 기준치에 도달하면, 동작하는 수위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드레인펌프가 온(on)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인펌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는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실내공간의 공기를 열교환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열교환된 공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실내기 내부에 집수될 수 있다. 실내기 내부에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드레인팬이 배치된다. 또한, 실내기 내부에는 드레인팬에 집수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펌프가 배치될 수 있다.
실내기 내부에서, 드레인팬의 하측으로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드레인 하측으로 드레인펌프를 설치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다만, 천장형 공기조화기나,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서는, 드레인팬의 하측으로 여유공간이 부족하므로, 드레인팬의 상측에서 응축수를 자흡식으로 퍼올려 배출하는 자흡식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자흡식펌프는 소량을 물을 퍼올리기 위해 임펠러를 고속회전하므로, 높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2-0047698는, 내부 임펠러 구동소음 및 유동소음의 전달방지를 위한 방음부재 장착, 흡입구로 공기 유입 방지하여 흡입소음 저감, 구동 정지 시 잔류하는 응축수의 역류 방지 구조를 소음 저감 방법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수펌프의 작동에도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드레인펌프 제어로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작동 중 성능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회전속도(RPM) 제어를 통해 최저소음을 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되는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 상기 응축수 수위가 기준치에 도달하면, 동작하는 수위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드레인펌프가 온(on)된다.
상기 드레인펌프는, 특정시간 동안, 기설정된 특정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펌프는, 특정시간 동안, 계단식으로 속도가 상승하며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펌프는, 기설정된 특정속도로 동작하다가, 인가전류가 전류기준치보다 감소하면 오프(off)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펌프는, 기설정된 특정속도로 동작하다가, 모터토크가 토크기준치보다 감소하면 오프(off)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펌프는, 계단식으로 속도가 상승하며 동작하다가, 인가전류가 전류기준치보다 감소하면 오프(off)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펌프는, 계단식으로 속도가 상승하며 동작하다가, 모터토크가 토크기준치보다 감소하면 오프(off)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되는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 상기 응축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드레인펌프가 온(on)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펌프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센싱되는 수위별로 다른 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기준치는, 상기 수위센서가 센싱가능한 최소수위일 수 있다.
상기 기준치는, 0mm 이상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수펌프의 작동에도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레인펌프 제어로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작동 중 성능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회전속도(RPM) 제어를 통해 최저소음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팬과 드레인펌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와 도 6은 기존 드레인펌프 작동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펌프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펌프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개시를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레인팬과 드레인펌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인렛(14)이 형성되고 타측에 아웃렛(16)이 형성되는 케이스(10), 케이스(10) 내측에 배치되고, 인렛(14)에서 아웃렛(16)으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18), 케이스(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0), 열교환기(20) 하측에 배치되고 열교환기(20)로부터 낙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팬(30), 및 드레인팬(30)에 집수되는 응축수를 케이스(10)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펌프(4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공기가 유입되는 인렛(14)과 공기가 배출되는 아웃렛(16)이 형성되는 베이스패널(12)과, 베이스패널(12)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18)과 열교환기(2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커버(1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베이스패널(12)이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아웃렛(16)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22), 인렛(14)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4), 베이스패널(12)의 인렛(14)의 하측을 커버하는 인렛그릴(26)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8)은 아웃렛(16)의 상측에 배치된다. 드레인팬(30)은 인렛(14)과 아웃렛(16)이 사이에서 베이스패널(12)의 상측에 배치된다. 열교환기(20)는 인렛(14)에서 아웃렛(16) 측으로 갈수록 베이스패널(12)로부터 이격된 간격이 줄어들게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팬(30)은, 열교환기(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열교환기(20)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다.
드레인팬(30)은, 열교환기(2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드레인팬(30a)과, 제1드레인팬(30a)의 일측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드레인팬(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드레인팬(30a)은 열교환기(20)가 배치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드레인팬(30a)은 송풍팬(18)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드레인팬(30b)은 제1드레인팬(30a)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드레인팬(30b)은 제1드레인팬(30a)의 우측에 배치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드레인팬(30)의 일측에 드레인펌프(40)가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드레인팬(30b)의 일측에 드레인펌프(4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펌프(40)는, 펌프하우징(미도시), 펌프하우징(미도시)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임펠러(미도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펌프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펌프하우징 일측에 배치되고, 드레인팬(30)에 집수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96)를 더 포함한다. 또는, 공기조화기는 드레인팬(30)에 집수된 응축수의 수위가 일정 수준이 되면 동작하는 수위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센서부(140), 제어부(110), 드레인펌프(40), 메모리(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공기조화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압축기(130) 등 냉동 사이클 구성 수단들을 제어하여, 냉/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공기조화기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공기조화기 동작에 대한 설정데이터,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운전 기록, 다른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센서부(140)의 센싱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되도록 제어하고, 센서부(140)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함으로써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40)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센서부(140)는, 응축수 수위가 기준치에 도달하면, 동작하는 수위스위치 또는 응축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9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응축수 수위에 기초하여, 상기 드레인펌프(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인펌프(40)의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드레인펌프(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펌프(40)는, 드레인팬(3)보다 위에 설치되어, 수면이 차올라서 흡입할 수 있는 수준이 충족되면 흡입하여 배출한다. 이때 응축수가 물받이에 고여서 차오른 것을 수위로 표현하며, 수위스위치 혹은 수위센서(96)를 통해 모니터링 혹은 측정할 수 있다.
기존에는 드레인펌프(40)는 항상 작동하는 상태였고, 수위스위치가 드레인펌프(40)를 오프(OFF) 시키기 위한 그리고 오프가 가능한지 모니터링을 위한 역할이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위스위치나 수위센서(96)가 드레인펌프(40)를 온(ON)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즉, 기존에는 드레인펌프(40)가 항상 작동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필요시에만 드레인펌프(40)를 작동시킨다.
도 5와 도 6은 기존 드레인펌프 작동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기존 드레인펌프 작동시 특정 RPM으로 회전하고 상시 동작하는 경우의 인가 전류를 예시하고, 도 6은 그 작동 로직을 예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압축기(130)가 동작하고(S610), 특정시간(t1) 대기 후(S620), 드레인펌프(40) 모터 작동인가전류(I1)를 투입하여, 드레인펌프(40)를 온시킨다(S630).
특정 RPM에 대응하는 특정인가전류(I2)에 도달하면(S640), 드레인펌프(40)의 동작을 유지한다(S640). 즉, 특정인가전류(I2)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공기조화기 전원을 오프(OFF)하면(S650), 드레인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S660).
이와 같이, 기존에는 드레인펌프가 제품의 동작과 함께 동작하여 OFF 될때까지 일정 회전속도로만 작동했다. 실제 제품에 적용된 상당수의 드레인펌프는 회전수 가변이 가능한 BLDC 모터를 사용중이다. 그러나 도 5와 도 6 같이 작동시작하면 설계된 일정 회전속도로 계속 동작하게 되며, 환경의 변화(습도, 수위 등)에 따른 회전속도 가변이 없으며 따라서 그 효율도 매우 낮다.
이에 반하여, 응축수 수위가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수위스위치가 온되고, 상기 수위스위치의 온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40)가 온(on)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필요시에만 최적 혹은 최저 회전속도로 드레인펌프(40)가 작동한다. 즉, 기존에는 3100~3200 RPM으로 항상 동작하여 큰 소음을 항상 내고 있었다면, 본 실시 예들은, 드레인펌프(40)가 주어진 성능을 만족시키는 최소 RPM으로 동작하여 최소 소음을 만드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의 소음이라 함은 소음비중이 작은 모터의 전자기적 소음도 있으나 대부분 (유체 기계의) 비속도 증가에 따라 제곱꼴(지수함수)로 증가하는 유동소음을 의미한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펌프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드레인펌프가 특정속도(RPM)로 특정시간 회전하는 경우의 인가 전류를 예시하고, 도 8은 그 작동 로직을 예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수위스위치 특정수위(기준치) 인식에 따라, 드레인펌프(40)가 기설정된 속도와 시간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응축수 수위가 특정수위(기준치)에 도달하면, 수위스위치가 온(on)되고(S810), 제어부(110)는 드레인펌프(40)에 모터 작동인가전류(I1)를 투입하여, 드레인펌프(40)를 온시킨다(S820).
특정 RPM에 대응하는 특정인가전류(I2)에 도달하면(S83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인펌프(40)의 동작을 유지시킨다(S840). 또한, 특정시간(t2) 동작 후(S85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임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860). 즉, 특정인가전류(I2)가 특정시간(t2) 동안 유지된다.
도 9는 드레인펌프가 특정시간 동안, 계단식으로 속도(RPM)가 상승하며 특정시간 회전하는 경우의 인가 전류를 예시하고, 도 10은 그 작동 로직을 예시한 것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수위스위치 특정수위(기준치) 인식에 따라, 드레인펌프(40)가 특정시간 동안 계단식으로 속도(RPM)가 상승하며 동작할 수 있다.
응축수 수위가 특정수위(기준치)에 도달하면, 수위스위치가 온(on)되고(S1010), 제어부(110)는 드레인펌프(40)에 모터 작동인가전류(I1)를 투입하여, 드레인펌프(40)를 온시킨다(S1020). 또한, 제어부(110)는 모터 작동인가전류(I1)를 계단식으로 상승시킨다(S1020).
특정 RPM에 대응하는 특정인가전류(I2)에 도달하면(S103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인펌프(40)의 동작을 유지시킨다(S1040). 또한, 특정시간(t2) 동작 후(S105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임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1060). 즉, 특정인가전류(I2)가 특정시간(t2) 동안 유지된다.
도 11은 드레인펌프가 특정속도(RPM)로 인가전류(토크) 감소시까지 회전하는 경우의 인가 전류를 예시하고, 도 12는 그 작동 로직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수위스위치 특정수위(기준치) 인식에 따라, 드레인펌프(40)가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며 인가전류(토크) 감소시까지 동작할 수 있다.
응축수 수위가 특정수위(기준치)에 도달하면, 수위스위치가 온(on)되고(S1210), 제어부(110)는 드레인펌프(40)에 모터 작동인가전류(I1)를 투입하여, 드레인펌프(40)를 온시킨다(S1220).
특정 RPM에 대응하는 특정인가전류(I2)에 도달하면(S123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인펌프(40)의 동작을 유지시킨다(S1240). 모터토크가 급감하여 토크기준치보다 감소하면(S125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임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1260). 또한, 특정인가전류(I2)가 급감하여 전류기준치보다 감소하면(S125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임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1260).
도 13은 드레인펌프가 계단식으로 속도(RPM)가 상승하며 회전하고, 인가전류(토크) 감소시까지 동작하는 경우의 인가 전류를 예시하고, 도 14는 그 작동 로직을 예시한 것이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수위스위치 특정수위(기준치) 인식에 따라, 드레인펌프(40)가 계단식으로 속도(RPM)가 상승하며 동작하다가 인가전류(토크) 감소시까지 동작할 수 있다.
응축수 수위가 특정수위(기준치)에 도달하면, 수위스위치가 온(on)되고(S1410), 제어부(110)는 드레인펌프(40)에 모터 작동인가전류(I1)를 투입하여, 드레인펌프(40)를 온시킨다(S1420). 또한, 제어부(110)는 모터 작동인가전류(I1)를 계단식으로 상승시킨다(S1420).
특정 RPM에 대응하는 특정인가전류(I2)에 도달하면(S143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인펌프(40)의 동작을 유지시킨다(S1440). 모터토크가 급감하여 토크기준치보다 감소하면(S145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임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1460). 또한, 특정인가전류(I2)가 급감하여 전류기준치보다 감소하면(S145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임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1460).
기존에는 드레인펌프가 제품의 동작과 함께 동작하여 OFF 될때까지 일정 회전속도로만 작동했다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필요시에만 최적 혹은 최저 회전속도로 작동한다.
수위스위치를 사용하여 일정 수위가 되면 드레인펌프(40)를 ON 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도 7, 도 9, 도 11, 도 13와 같은 작동조합을 가질 수 있다.
- 특정 회전속도(RPM) + 특정 시간 동작
- 계단식 회전속도(RPM) + 특정 시간 동작
- 특정 회전속도(RPM) + 인가전류 감소시까지 동작
- 계단식 회전속도(RPM) + 인가전류 감소시까지 동작
(인가전류 감소시 : 토크 감소시, 유량 다 토출시)
도 15는 드레인펌프 RPM 별 소음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드레인펌프 RPM별 소음 추이를 보면, 1000 RPM 차이에 약 10 dB(a)의 소음(0.5m)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일정 RPM(2500 RPM)을 넘어가면 제곱꼴(지수함수)에 가깝게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기존 방식은 작동시 0 RPM에서 3200 RPM 까지 급격하게 한번에 올라가고, 물을 흡입할때 소음(0.5m)이 32 dB(a)까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4가지 동작조합은 이상의 급격한 소음 발생을 방지해 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위센서(96)에서 센싱되는 응축수 수위가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드레인펌프(40)가 온(on)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펌프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위센서(96)에서 특정수위(기준치)가 인식되면, 상기 드레인펌프(40)가 온(on)될 수 있다(S1610).
상기 드레인펌프(40)는, 상기 수위센서(96)에서 센싱되는 수위별로 다른 속도로 동작한다(S1620).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시간에 걸쳐 수위별 모터 특정인가전류(In)를 상기 드레인펌프(40)로 인기한다(S1620).
한편, 상기 기준치는, 상기 수위센서가 센싱가능한 최소수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치는, 0mm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위레벨은 최대 12단계를 가질 수 있다. (-)수위, 즉 수위 0mm 미만일 경우 수위센서(96)는 수위를 인식 못하는 경우가 존재하며, 이때도 하나의 단계(수위레벨)로 정의된다. 이 때, 드레인펌프(40)는 동작하지 않는다.(작동 OFF)
각 단계에 진입한(수위 조건에 따라) 드레인펌프는 특정 회전속도(RPM)로 동작하는 동작 제어로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총 12단계로 수위레벨을 정의하면 아래와 같이 수위별로 다른 회전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수위 0mm 미만: 수위 인식 못함, 드레인펌프 작동 OFF
수위 0mm: RPM 1300 (드레인펌프 작동 시작)
수위 1mm: RPM 1500
수위 2mm: RPM 1700
수위 3mm: RPM 1900
수위 4mm: RPM 2100
수위 5mm: RPM 2300
수위 6mm: RPM 2500
수위 7mm: RPM 2700
수위 8mm: RPM 2900
수위 9mm: RPM 3000
수위 10mm: RPM 3100
수위별 회전속도는 시중에 판매되는 드레인펌프의 최대 회전속도와 각각의 퍼포먼스 맵 상에서 성능 만족을 위한 최소 회전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수위별 속도(RPM)에 대응하는 수위별 모터특정인가전류(In)에 도달하면(S1630),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인펌프(40)의 동작을 유지시킨다(S1640).
이후 수위센서(96)에서 센싱되는 수위에 변화가 있으면(S1650), 상술한 과정 S1610 내지 S1640)을 반복한다.
한편, 수위가 0mm미만으로 떨어져, 수위 인식을 못하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레임펌프(4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1260).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드레인펌프(40)가 항상 최적의 혹은 최저의 회전속도로 동작하여 소음을 최소화 한다.
본 개시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케이스
18 : 송풍팬
40 : 드레인펌프
110 : 제어부

Claims (11)

  1.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되는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
    상기 응축수 수위가 기준치에 도달하면, 동작하는 수위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드레인펌프가 온(on)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펌프는,
    특정시간 동안, 기설정된 특정속도로 동작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펌프는,
    특정시간 동안, 계단식으로 속도가 상승하며 동작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펌프는,
    기설정된 특정속도로 동작하다가, 인가전류가 전류기준치보다 감소하면 오프(off)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펌프는,
    기설정된 특정속도로 동작하다가, 모터토크가 토크기준치보다 감소하면 오프(off)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펌프는,
    계단식으로 속도가 상승하며 동작하다가, 인가전류가 전류기준치보다 감소하면 오프(off)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펌프는,
    계단식으로 속도가 상승하며 동작하다가, 모터토크가 토크기준치보다 감소하면 오프(off)되는 공기조화기.
  8.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보내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
    상기 드레인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에 수집되는 응축수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
    상기 응축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기준치에 도달하면, 상기 드레인펌프가 온(on)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펌프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센싱되는 수위별로 다른 속도로 동작하는 공기조화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상기 수위센서가 센싱가능한 최소수위인 공기조화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는, 0mm 이상인 공기조화기.
KR1020220166273A 2022-12-02 2022-12-02 공기조화기 KR20240082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273A KR20240082540A (ko) 2022-12-02 2022-12-02 공기조화기
US18/524,101 US20240183574A1 (en) 2022-12-02 2023-11-30 Air conditioner
EP23213620.0A EP4379285A1 (en) 2022-12-02 2023-12-0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273A KR20240082540A (ko) 2022-12-02 2022-12-0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2540A true KR20240082540A (ko) 2024-06-11

Family

ID=8907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273A KR20240082540A (ko) 2022-12-02 2022-12-0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83574A1 (ko)
EP (1) EP4379285A1 (ko)
KR (1) KR20240082540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189B1 (ko) 2000-12-13 2002-1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수펌프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0426893B1 (ko) * 2002-03-08 2004-04-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천장형 에어컨의 배수 제어장치
JP4023209B2 (ja) * 2002-05-13 2007-12-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レンポンプ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7240112A (ja) * 2006-03-10 2007-09-20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10164205A (ja) * 2009-01-13 2010-07-29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102541595B1 (ko) * 2018-01-05 202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83574A1 (en) 2024-06-06
EP4379285A1 (en) 202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5016B2 (ja) ターボ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4882620B2 (ja) 遠心型送風機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乾燥機
KR10117645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61189B1 (ko) 배수펌프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57957B1 (ko)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KR20240082540A (ko) 공기조화기
KR20140125522A (ko) 터보팬
JP6721060B2 (ja) 空気調和機
CN217817108U (zh) 烟机结构及空调烟机
US20090226329A1 (en) Condensate Pump
KR101177771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터보팬 어셈블리
KR100382522B1 (ko) 공기조화기의 컨버터블형 실내기
KR101468740B1 (ko) 공기 조화기
KR2024009458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4216264B (zh) 一种除湿机及控制方法
KR20050048777A (ko) 이동식 공기 조화기
CN114251722B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070039327A (ko) 공기조화기
KR101133605B1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펌프
CN113776124A (zh) 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
CN118167688A (zh) 排水泵泵叶、排水泵及空调器
CN210602030U (zh) 一种开放式除湿机
KR101520495B1 (ko) 공기조화장치용 실외기
KR20240094584A (ko) 공기조화기
KR100377749B1 (ko) 벽매립형 일체형 공기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