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8602A - 전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8602A
KR20240078602A KR1020237002534A KR20237002534A KR20240078602A KR 20240078602 A KR20240078602 A KR 20240078602A KR 1020237002534 A KR1020237002534 A KR 1020237002534A KR 20237002534 A KR20237002534 A KR 20237002534A KR 20240078602 A KR20240078602 A KR 2024007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fet
converter
distribution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2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세이 티콘스키
로버트 엘. 마이어스
제임스 피. 노박
Original Assignee
라이테크 래보러토리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테크 래보러토리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라이테크 래보러토리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4007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86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4Constant-current suppl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8Three-wire systems; Systems having more than three wires
    • H02J1/084Three-wire systems; Systems having more than three wire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전력 시스템은 전원으로부터 배전 버스를 통해 부하로 전력을 제공하고, 전원의 출력 단자와 배전 버스 사이에 결합되는 스위칭 소자들의 네트워크와 병렬로 결합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전원이 배전 버스를 통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DC-DC 컨버터 및 스위칭 소자들 각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칭 소자들은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고, 다이오드들이 트랜지스터들의 기생 바디 다이오드들일 수 있다. 전원은 충전식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로부터의 출력 전압 레벨은 DC-DC 컨버터 및 다수의 활성 또는 비활성 트랜지스터들의 작동의 함수로서 제어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시스템
본 출원은 2017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국제 출원 번호 제PCT/US2017/068301호의 국내 단계 출원인 2020년 4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760,762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이들 둘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전 버스에 연결될 때 배터리 셀(battery cell)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셀들의 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관련될 수 있는 방면의 다양한 양태들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논의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양태들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섹션은 이러한 관점에서 읽어야 하며, 반드시 종래 기술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현대의 정보 기술 및 전기통신 시스템들에는 광범위한 배전 버스 전압들에서 작동하는 배전 버스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서버들은 통상적으로 메모리, 프로세서, 스토리지, 냉각 팬들 및 I/O와 같은 내부 서브시스템들(배전 버스가 공급 전압을 제공하는 이러한 내부 서브시스템들은 본 명세서에서는 "부하 회로" 또는 간단히 "부하"라고 함)에 12 볼트("V")를 배전한다. 유선 전기통신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48 V 배전 버스 전압 레벨을 사용하고, 무선 전기통신 및 셀 사이트 시스템들은 종종 24 V를 내부 배전 버스 전압 레벨로 사용한다. 배전 버스 전압 레벨들은 다르지만, 전술한 모든 시스템들은 정상 작동 시 이들 배전 버스들이 수십 또는 심지어 수백 암페어("A")의 전류를 전달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 버스 상에서의 최대 전압 변동이 원하는 공칭 값보다 높거나 낮은 고정값으로 제한됨을 보장하도록 이들 버스들 상의 전압을 조절해야 한다는 요구 사항들을 갖는 몇 가지 공통된 특성들을 공유한다. 조절된 배전 버스에는 공칭값에 지정된 전압 허용 오차가 적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허용 오차가 ±10 %인 12 V 배전 버스는 최대 레벨 13.2 V로부터 최소 레벨 10.8 V까지의 작동 범위를 가질 것이다.
지난 10년 내, 짧은 시간 동안 매우 높은 전류를 전달하도록 최적화된 배터리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배터리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한다(본 명세서에서, "배터리" 및 "셀"이라는 용어는 서로 바꿔서 사용할 수 있음). 이들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일부 장비 유형들에서는 AC 주 전원의 정전 시 장비의 단기 전기 백업 역할을 하는 기존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를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호되고 있다. 이들 고전력 배터리 시스템들은 매우 높은 방전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일무이하지만, 충전 전류를 느린 속도로만 받아들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방전 전류 대 충전 전류에 대한 이러한 비율은 현재의 상용 기술을 사용할 경우, 30:1 또는 심지어 40:1까지 높아질 수 있다.
오늘날 단기 백업 적용예들에 사용되는 고전력 배터리 시스템들은 전형적으로 고에너지를 처리할 수 있는 DC-DC 컨버터들(예를 들어, 출력 DC-DC 컨버터) 형태의 출력 레귤레이터들을 사용하여, 배터리 시스템의 출력 전압을 배전 버스 전압에 정합시키고 배전 버스로부터 배터리들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러한 역류는 안전하지 않은 충전 전류를 초래하고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오늘날의 많은 시스템들에서, 충전 전류는 방전 전류와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제공되며, 별도의 저전력 충전 DC-DC 컨버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선된 방식을 통해 배터리 시스템을 배전 버스에 직접 연결하면서 이러한 고전력 출력 DC-DC 컨버터를 제거하거나 더 높은 전기 효율 및 더 낮은 비용을 처리하는 다른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비용 절감 및 전기 효율 향상의 기회가 있다.
오늘날 배터리 시스템들을 전기 버스들에 직접 연결하는 종래 기술이 존재하며, 거의 모든 버스들은 충전 및 방전 전류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스위치형 소자들(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히 "스위치들"이라고도 함) 역할을 하는 하이-사이드 또는 로우-사이드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쌍들을 사용한다. MOSFET들은 제조 공정의 특성상 심지어 MOSFET이 스위치 오프된 경우에도 MOSFET을 통해 일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다이오드(즉, 기생 바디 다이오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들 적용예들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바디 다이오드는 많은 적용예들에서 문제를 나타내지만, 실제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는 이점으로 활용된다.
오늘날 많은 배터리 시스템들은 백-투-백(back-to-back) 방식으로 위치한 2 개의 스위치들을 사용하며, 스위치들 각각에는 각각의 스위치와 병렬인 기생 바디 다이오드나 스위치에 걸쳐 외부 다이오드가 포함된다. 정방향 다이오드(배터리로부터 부하를 향함)를 갖는 스위치는 "충전" 스위치(OFF 상태에서는 모든 충전 전류를 차단함)로 간주되며, 다른 스위치는 "방전" 스위치(OFF 상태에서는 모든 방전 전류를 차단함)로 간주된다. 이 방식은 다음 조건들이 충족되는 저전력 배전 버스들에 적용된다: (1) 버스의 총 전류 용량(버스에서 이용 가능하거나 버스에 결합된 부하에 의해 소비됨)이 배터리의 안전 충전 또는 방전 전류를 초과하지 않을 것, (2) 배전 버스 전압은 배터리가 방전된 후 완전히 충전될 수 있도록 필요할 때 충분히 높게 올릴 수 있도록 제어 가능할 것, 및 (3) 부하 회로의 허용 작동 전압은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즉, 0 % 충전 상태)의 최소 배터리 단자 전압 및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었을 때(즉, 100 % 충전 상태)의 최대 배터리 단자 전압 사이에 있거나 이들을 포함할 것. 그러나 배전 버스에 결합된 부하 회로들에 의해 요구되는 전압 허용 오차가 배전 버스에 공급되는 전압이 배터리의 완전 충전 전압 미만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엄격한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이 실용적이지 않으며; 버스로부터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전류가 배터리의 안전한 충전 전류 레벨을 초과할 때도 사용할 수 없다.
단일 또는 다중 셀 배터리 시스템들을 배전 버스들에 직접 연결하는 업계 표준은 휴대폰들 뿐만 아니라 노트북 및 태블릿 컴퓨터들을 위해 구현되는 것과 같은 저전력 시스템들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들은 충전 및 방전 제어를 위해 전술한 단일 트랜지스터 스위치들의 "백-투-백" 구성을 사용한다. 도 2는 스위치들의 "하이-사이드" 구성을 예시하며, 여기서 스위치들(Q1 및 Q2)(예를 들어, MOSFET들)은 스위치들이 배터리의 고전압 측(+ 측)에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스위치들(Q1 및 Q2)은 2 개의 스위치들 중 어느 스위치가 스위치 온되어 있는지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 및 방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제어기는 스위치들 각각에 결합되어 스위치들 중 어떤 스위치가 어떤 조건들에서 얼마의 기간 동안 스위치 온되는지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기에 의해 충전 및 방전 제어가 수행된다. 제어기는 배터리 건전 상태, 충전 레벨, 순간 용량, 전압, 전류, 온도 또는 설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개 변수들에 기초하여 충전 또는 방전을 허용하거나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스위치들, 이들의 기생 바디 다이오드들 및 제어기의 조합은 충전 제어(배전 버스로부터 배터리로의 충전 흐름 금지), 방전 제어(배터리로부터 배전 버스로의 충전 흐름 금지) 또는 배터리 단자들을 배전 버스로부터 완전히 전기적으로 격리(isolation)(어느 방향으로든 충전 흐름 금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스위치 제어 방식은 허용 충전 전류, 방전 전류 및 이용 가능한 버스 전류들이 크기가 비슷하거나, 허용 충전 전류가 이용 가능한 버스 전류보다 상당히 높은 많은 배터리 적용예들에서 작동한다. 랩탑 컴퓨터 배터리들은 충전 속도가 방전 속도와 대략적으로 같은, 예를 들어 1 C(즉, 공칭 배터리 용량인 C의 1 배) 근처인 전형적인 설계 포인트를 갖는다. 휴대폰 배터리들은 더 높은 충전 속도(예를 들어, 최대 4 C)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방전 속도는 매우 낮다. 이를 통해 휴대폰들을 빠르게 충전하는 동시에 한 번의 충전으로 긴 작동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이들 낮은 충전 및 방전 속도들에서, 스위치들의 기생 바디 다이오드들은 온도 상승 및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필요한 충전 및 방전 전류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적절한 열 및 전력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허용 방전 속도가 허용 충전 속도를 훨씬 초과하는 배터리 충전-방전 비대칭을 가진 시스템들의 실제 사례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백업 기능을 제공하는 배터리들은 통상적으로 충전 시간이 60 내지 90 분이고, 방전 시간이 빠르면 60 내지 90 초 내에 배터리가 완전히 소모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정상 충전과 정상 방전 전류들 사이의 이러한 매우 큰 차이(즉, 큰 충전-방전 전류 비대칭)는 도 2의 이중 스위치 제어 방식을 비실용적으로 만든다.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 스위치(Charge Control Switch)(Q1)에 나타나는 바디 다이오드는 전압 강하 및 전력 손실이 시스템 작동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사용할 경우 볼 수 있는 방전 전류를 전달하기에 전혀 적합하지 않다. 또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로서 갖는 엄격하게 조절된 +12 V 배전 버스의 예에서는, 이러한 적용예에 대해 선택된 배터리는 가능한 한 +12 V에 가까워야 한다(예를 들어, 셀당 4.0 V로 충전된 3 개 또는 4 개의 직렬 연결된 셀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불량한 순방향 전압 특성들을 처리하는 격리 다이오드(예를 들어, 기존 MOSFET들의 기생 바디 다이오드들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음)를 통해 +12 V 소스로부터 이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격리 스위치들 외에도, 조절 시스템들은 배터리 전압을 하나의 전압 레벨로부터 다른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전력 버스에 안전하게 연결할 때 전기 출력을 제어하도록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선형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특정값 또는 설정값에서 균일한 전압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직렬 패스 소자(예를 들어, 다이오드가 병렬인 트랜지스터)를 구동하는 연산 증폭기("OPAMP")를 포함하는 피드백 회로가 예시된다. 이러한 조절 시스템들에서, 도 3의 회로는 본질적으로 도 2의 방전 제어 스위치(Q2)를 대체하여, 직렬 패스 소자 전반에 걸친 최소 전압 강하가 선형 레귤레이터로의 입력과, 부하 회로의 지정된 작동 전압 임계값(예를 들어, 최소 허용 가능한 작동 전압 레벨) 내로 부하 단자의 전압을 낮추기에 충분한 출력 사이(즉, 배터리 단자와 부하 단자 사이)에서 전압 강하를 생성하는 크로스오버 지점까지 부하에서의 조절된 전압 출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선형 레귤레이터는 저전력 디바이스들용으로 구현될 때 만족스럽게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전력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결함들이 발생한다. 첫 번째는 직렬 패스 소자가 선형 모드에서 작동하여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사이의 전압 차이가 직렬 패스 소자에 부과되므로 전류가 높은 경우에는 매우 높은 전력 손실과 V*I 기반 발열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된 열은 환경으로 전달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 열이 직렬 패스 소자 패키지 내부에 집중되어 심지어 고전력 트랜지스터들도 빠르게 과열되어 고장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손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처리할 수 있는 패키지에는 직접 장착형 히트싱크와 디바이스 냉각을 위한 상당한 공기 흐름이 있는 매우 큰 물리적 패키지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고전력 배터리 시스템들은 물리적 공간 제한들과 제조상의 제약들이 있어 이러한 유형의 트랜지스터 패키징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PCB") 접점을 통해 충분한 열을 발산할 수 있는 표면 장착 트랜지스터("SMT")를 실용적으로 찾기는 어렵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들은 이들의 작동 모드로 인해 전기 효율이 훨씬 더 높을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전압을 고정된 버스 전압으로 변환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스텝 다운 또는 "벅" 컨버터는 작동을 위해 출력 전압보다 높은 입력 전압이 필요하며, 입력 전압 이상의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없다. 벅 컨버터의 전형적인 입력-출력 전압 관계는 도 4에 도시된다. 이를 위해서는, 컨버터로의 입력 전압을 높은 효율과 관리 가능한 스위칭 듀티 사이클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요구 레벨로 끌어 올리려면 직렬 셀 수가 더 많은 직렬 연결된 배터리 스택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셀들의 수는 비용, 회로 복잡성, 전체 회로 패키징 부피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구성요소 수 및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하나의 대안이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DC-DC 컨버터는 입력 전압이 정출력 전압보다 낮거나 같거나 높은지 여부에 관계없이 일정한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벅-부스트" 컨버터로서 실현되며, 이때 입력 전압이 너무 낮게 강하하면 입력 전류와 같은 컨버터 작동 매개 변수들이 너무 커져 안전한 작동을 계속할 수 없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벅-부스트 컨버터들에는 컨버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입력 저전압 보호 제한 또는 "UV 셧다운" 제한이 포함되어 있다. 벅-부스트 컨버터들을 사용하면 벅 컨버터를 사용할 때보다 직렬 셀 수를 줄일 수 있지만, 벅-부스트 컨버터를 위한 제어 회로의 중심을 이루는 집적 회로는 찾기가 더 어렵고 일반적으로 벅 컨버터들의 제어 집적 회로들("IC들")보다 더 비싸다. 벅-부스트 컨버터의 전형적인 입력-출력 전압 관계가 도 5에 도시된다. 현재 최첨단 구성―선형, 스위칭 벅 또는 스위칭 벅-부스트―에서 어떤 DC-DC 구성을 사용하든 관계없이, DC-DC 컨버터는 배터리 시스템의 최대 출력 전력을 처리하도록 전기적으로 그리고 또한 열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출력 전력 정격이 1500 와트인 배터리 시스템에는 배터리가 전달할 수 있는 최대 1500 와트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DC-DC 컨버터가 필요하다. 그 결과 배터리와 부하 회로들 사이에 결합되어야 하는 크고 값비싼 DC-DC 컨버터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배터리 (+) 단자와 출력 전압 단자(Vo) 사이에 위치한 DC-DC 컨버터를 도시하는 도 6에 묘사되어 있다. 배터리로부터 출력 전압 단자(Vo)로 전달되는 모든 전력은 DC-DC 컨버터를 통해 처리되어야 하므로, DC-DC 컨버터는 전달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전력을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크기 설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회로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2는 전원장치 및 부하에 결합된 배터리용 충전 및 방전 제어 시스템의 종래 기술의 예를 나타내는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3은 부하에 연결된 배터리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선형 레귤레이터 DC-DC 컨버터의 종래 기술의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스텝 다운(벅) 컨버터의 입력 전압 대 출력 전압 특성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스텝 업/스텝 다운(벅-부스트) 컨버터의 입력 전압 대 출력 전압 특성을 예시한다.
도 6은 조절된 출력 전압을 부하에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 및 제어기와 결합한 DC-DC 컨버터를 사용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7은 미국 공개 특허 출원 제2020/0350779호에 개시된 시스템의 회로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8은 4 개의 셀들이 직렬로 연결되고, 셀들은 리튬 망간 코발트 화학물질로 구성된 예시적인 리튬 이온 충전식 배터리의 서로 다른 가능한 부하 전류들에서의 전압 곡선들 대 충전 상태("SOC") 군의 도표를 예시한다.
도 9는 미국 공개 특허 출원 제2020/0350779호에 개시된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이진 시퀀싱 방식을 사용한 제어 단계들의 비제한적 표현을 예시한다.
도 10은 4 개의 셀들이 직렬로 연결되고 셀들이 리튬 철 인산염("LFP") 화학 물질로 구성된 예시적인 리튬 이온 충전식 배터리의 서로 다른 가능한 부하 전류들에서의 전압 곡선들 대 충전 상태("SOC") 군의 도표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류 제한 특성을 예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및 다양한 제어 임계값들 및 설정값들을 예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단순화된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14는 시스템 상태 결정 기능들을 구현하고, 제어 소자들에 신호들을 입력하며, 제어 소자들의 신호들을 출력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제어 소자들의 비제한적 예에 대한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태 결정 기능들을 구현하는 전자 회로의 비제한적 예에 대한 단순화된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입력 신호의 상이한 상태들에 기초하여 제어 소자들로부터의 출력 신호 레벨들을 도시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상태 결정 소자들의 비제한적 예에서 구현된 일련의 진리표들 및 제어 작동을 작동시킬 출력 신호 레벨들의 조합을 정의하는 진리표를 예시한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도 1에 예시된 FET/저항기 쌍들의 네트워크의 총 임피던스의 단계적 증가 또는 감소를 초래하는 몇몇 비제한적인 온/오프 제어들의 시퀀스들을 보여주는 일련의 표들을 예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공정의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19 내지 도 20은 도 1에 예시된 시스템의 출력 노드(Vo)에서의 전압의 순간 레벨, 출력 노드(Vo)에서의 전압의 기울기(상승 또는 하강) 및 시스템의 작동 동안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예시적 상황들에 대한 제어 신호들의 결과적인 순간 상태를 도시하는 시간 영역 분석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한들로서가 아닌 예시로서 도시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주요 특징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규칙에 따라, 회로도들 및 방정식들에서의 전류는 기호 i로 표시되고, 암페어 단위들 또는("A")로 표시된다.
선형 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들의 대안으로, 미국 공개 특허 출원 제2020/0350779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시스템들은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 단자 전압)을 부하 회로에 연결될 수 있는 출력(예를 들어, 배전 버스)에 연결하는 일련의 개별 제어식 스위치들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도 7 참조). MOSFET들이 스위치들로서 활용되는 경우, MOSFET들은 MOSFET들의 바디 다이오드들의 고유한 순방향 전압 강하들 및/또는 배터리로부터의 출력 전압 및 전류의 전달을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MOSFET와 직렬로 결합된 외부 저항(예를 들어, 저항 소자)을 이용하도록 미리 결정된(예를 들어, 프로그래밍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배터리 방전 DC-DC 컨버터를 대체하고, 높은 방전 전류들을 견디고, 그리고/또는 고출력으로 작동하는 선형 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들과 비교하여 많은 작동 모드들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전 제어 스위치들의 병렬 연결이 어떻게 배터리 방전 전압의 인가를 제어하고 동일한 출력 전압 조절을 제공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이제 예시적인 배터리의 특성 작동들에 대해 논의된다.
리튬 이온("Li-이온") 기반 충전식 배터리들과 같은 충전식 배터리들은 작동 전압 범위, 최대 방전 전류, 내부 임피던스 및 각각의 배터리 셀의 특정 용량을 규정하는 특정 화학 성분들 및 상이한 내부 물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매개 변수들 각각은 각각의 셀 유형에 고유한 방전 전압 대 방전 전류 곡선들("V-I 곡선들"이라고도 함) 군을 규정한다.
배터리들은 배터리의 각각의 셀 내에 포함된 활성 화학 물질들의 한정된 무게 또는 부피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은 특정 화학 에너지 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량은 주어진 전류 및 특정 최소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측정된 시간에서의 방전에 의해 측정된다. 용량은 전형적으로 밀리-암페어-시("mAh") 또는 암페어-시("Ah")로 보고된다. 이 용량은 본 명세서에서 1 시간 동안 배터리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연속 전류에 대응하는 문자 "C"로 표시되며, 그 결과 배터리는 충전 상태("SOC")가 100 %인 상태(즉, 최대 허용 전압까지 완전 충전)로부터 0 % SOC 상태(즉, 최소 허용 전압까지 완전 방전)로 방전된다. 임의의 주어진 방전 전류에 대해, 배터리의 단자 전압은 SOC에 따라 강하될 것이다. 배터리의 화학적 용량이 고갈됨에 따라 SOC가 100 %로부터 0 %로 감소할 것이다.
도 8은 니켈 망간 코발트("NMC")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4 개의 직렬 연결된 리튬 이온 충전식 셀들의 예시적인 배터리에 대한 서로 다른 가능한 부하 전류들에서의 전압 곡선들 대 SOC 군의 도표(즉, V-I 곡선들)를 보여준다. 이들 곡선들은 배터리 전류 및 SOC의 다양한 조건들에서 배터리 전압이 작동할 수 있는 예시적인 작동 범위를 규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플롯은 10 A, 12 A, 15 A 및 20 A의 전류 수요 동안 배터리가 1 Ah의 용량을 갖는 다양한 부하 전류들에서의 전압 곡선들 대 SOC를 나타낸다.
쉽게 알 수 있듯이, 임의의 주어진 SOC에서 배터리의 단자 전압은 전류 수요 증가의 함수로서 더 낮게 이동할 것이다. 전류 요구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압 스케일에서 곡선들 사이의 거리들은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 또는 임피던스에 기인한다. 내부 임피던스가 높을수록, 배터리 출력 단자들에 제시된 소정의 인가된 방전 전류에 대해 배터리 단자 전압이 더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SOC에서의 배터리 단자 전압은 SOC 뿐만 아니라 방전 전류 요구량에도 의존하며 특성 곡선들에 의해 규정된 작동 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8의 예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형적인 배터리들의 출력(방전) 전압들은 일정하지 않지만, 배터리 출력 단자들 및 SOC에 존재하는 방전 전류에 따라 가변적이므로 전형적인 배터리 자체에는 저장된 에너지가 배터리로부터 고갈되거나 부하 전류들이 변경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전압 범위 내에서 방전 전압을 조절하거나 유지하는 고유한 기능이 없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시스템들에서는 배전 버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임의의 전원들이 배전 버스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배전 버스 상의 최대 및 최소 전압 편차가 원하는 공칭 값보다 높거나 낮은 특정값, 즉 배전 버스에 결합된 부하에 의해 특정(예를 들어, 오류 없음) 작업을 보장하도록 용인될 수 있는 전압의 허용 범위(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로 언급됨)로 제한되도록 요구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압 레귤레이터들 또는 DC-DC 컨버터들이 배전 버스에 (예를 들어, 배터리 또는 다른 전원에 의해)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이러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 구현된 이유들 중 하나이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부하와 관련한 방전 배터리에 대한 작동 범위는 여러 구역들, 본 예에서는 구역 1, 구역 2, 구역 3 및 구역 4로 분할될 수 있다. 구역 1 영역은 부하의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아래에 있는 배터리 단자 전압 대 SOC 곡선들의 작동 지점들을 규정한다. 구역 2 영역은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 배터리 단자 전압 대 SOC 곡선들의 작동 지점들을 규정한다. 구역 3 영역은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위에 있는 배터리 단자 전압 대 SOC 곡선들의 특정 작동 지점들을 규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 구역 3 영역 내에서 작동하는 동안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부하에 제공되는 출력 전압의 보다 정밀한 제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도 9 참조).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역 3 영역의 상단 경계는 부하 전압의 공칭 값의 약 5 % 미만(예를 들어, 12 V 공칭 부하 전압의 경우 0.6 V, 24 V 공칭 부하 전압의 경우 1.2 V 등)만큼 구역 2 영역의 상단 경계 위에 위치한다. 구역 4 영역은 구역 3 영역 위에 있는 배터리 단자 전압 대 SOC 곡선들의 작동 지점들을 규정한다.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된 예시적인 배터리의 작동 범위도 유사한 구역들로 구분된다.
도 7은 미국 공개 특허 출원 제2020/0350779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시스템(700)의 회로 블록도를 예시한다. 시스템(700)은 N 개(여기서, N≥2)의 병렬 연결된 방전 스위치들(710a... 710d)(예를 들어, MOSFET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규정된 스위칭 구성을 통해 배터리(708)의 출력 단자를 배전 버스(704)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배터리 시스템(706)을 적용하며, 이들 각각은 저항기(750a... 750d)와 직렬로 결합되어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시스템(700)은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하여 확장되는 배터리 단자 전압들을 갖는 배터리들에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부하(705)에 의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8의 예에 도시된 구역 2 영역 참조).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전형적인 배터리들은 특정 작동 지점들의 단자 전압들이 많은 부하들에 의해 요구되는 이러한 좁게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난다. 따라서, 시스템(700)은 배터리(708)의 단자들에 존재하는 전압이 이 구역 2 범위보다 높더라도 배전 버스(704)에 공급된 전압을 실질적으로 도 8의 구역 2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 V ± 5 %의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로 조절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708)의 단자에 존재하는 전압은 일부 SOC 및 배터리 전류 조건들에서 배전 버스(704)의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예를 들어, 도 8의 예에 도시된 구역 3 영역 및 구역 4 영역 참조)보다 위에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부하(705)에 공급되는 전압은 구역 2 영역과 같은 다른 SOC 또는 배터리 전류 조건들 하에서 배전 버스(704)의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와 실질적으로 정합하도록 조정된다.
저항기들(750a... 750d) 각각은 상이한 저항값으로 구성될 수 있고, 시리즈들(750a... 750d) 내의 각각의 저항기의 저항값이 시리즈들의 이전 저항기보다 낮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저항(750b)는 저항기(750a)보다 낮은 저항값을 가지며, 저항기(750c)는 저항기(750b)보다 낮은 저항값을 갖는 등). FET/저항기 쌍들은 배전 버스(704)로부터 배터리를 직접 충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MOSFET)(711)를 통해 배터리 단자와 배전 버스(704) 사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FET(711) 뿐만 아니라 N 개의 FET들(710a... 710d) 및 그 쌍을 이루는 저항기 각각은 제어 라인들(721a.... 721e)을 통해 제어기(702)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저항값들을 갖는 저항기들(750a... 750d)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병렬로 연결된 방전 제어 FET/저항기 쌍들의 수 N은 제어기(702)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2 개로부터 임의의 개수에 이를 수 있다. 방전 제어 FET/저항기 쌍들의 수 N은 일반적으로 배터리(708)로부터 이용 가능한 최소 및 최대 전압들, 예상 최소 및 최대 출력 전류들의 범위, 요구되는 최소 및 최대 출력 전압 범위와 같은 다수의 인자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예를 들어, 도 8의 예에 도시된 구역 2 영역 참조)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음).
배터리(708)는 가장 높은 저항값 저항기(750a)와 쌍을 이룰 수 있는 FET(710a)로 시작하는 것과 같이, 제어기(702)에 의해 N 개의 FET들(710a... 710d) 중 하나 이상을 미리 결정된 방식(예를 들어, 순차적, 이진 카운팅 시퀀스 또는 임의의 다른 시퀀스)으로 활성화(예를 들어, 스위치 온)함으로써 배전 버스(704)에 결합될 수 있다. FET(710a)를 스위치 온하면, 전류는 부하(705)로 흐르기 시작하고, 배터리(708)의 단자 전압은 배터리 임피던스 특성 곡선에 따라 강하하기 시작할 것이다(예를 들어, 도 8 및 도 10 참조). FET/저항기 쌍(710a/750a)의 직렬 조합을 통해 부하(705)에 공급되는 전류가 충분히 높으면, FET/저항기 쌍(710a/750a)의 직렬 조합을 통한 전압 강하는 부하(705)에 공급되는 전압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으로 강하할 때까지 증가하며, 이는 부하(705)의 최소 조절 지점 사양(예를 들어,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의 하한)에 따라 (예를 들어, 제어기(702)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 임계값에 도달하여 출력 전압 센서(741)를 통해 제어기(702)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기(702)는 FET/저항기 쌍(710a/750a)을 스위치 오프하고, 저항기(750b)와 쌍을 이루는 FET를 스위치 온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일련의 저항기들(750a... 750d) 중에서 다음으로 가장 높은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FET(710b)와 직렬을 이루는 저항기(750b)는 저항기(750a)의 저항값보다 상당히 작은 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FET(710b)와 저항기(750b)의 직렬 조합을 통한 전압 강하는 FET(710a)와 저항기(750a)의 직렬 조합을 통한 전압 강하보다 낮을 것이다. 이것의 효과는 부하(705)의 최소 조절 지점 사양(예를 들어,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의 하한)과 관련된 앞서 언급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부하(705)에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증가시켜 부하(705)에 공급되는 출력 전압을 이 최소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여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하(705)에 공급되는 출력 전압은 N 개의 FET들(710a... 710d)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예를 들어, 상향 이진 카운팅 시퀀스 또는 다른 적합한 시퀀스에서) 부하(705)에 공급되는 전압을 증가시키거나, N 개의 FET들(710a... 710d)을 선택적으로 비활성화함으로써(예를 들어, 하향 이진 카운팅 시퀀스에서) 부하(705)에 공급되는 전압을 감소시키는데, 여기서 FET(710a)는 이진 순차 카운터의 최하위 비트와 연관되고, FET(710d)(또는 그 이상)는 최상위 비트와 연관되는 제어기(702)에 의해, 배터리 전압 센서(742), 출력 전압 센서(741) 및 전류 센서(707)를 통해 제어기(702)에 의해 감지되는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 전압들 및 부하 전류들이 변화하는 상태에서 적용예 조절 윈도우(예를 들어,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예를 들어, 도 8의 예에 도시된 구역 2 영역 참조)) 내에서 제어기(702)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제어기(702) 내에서 구현될 수 있는 조절 방식의 비제한적 예가 도 9에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N 개의 FET들(710a... 710d)의 제어기(702)에 의한 선택적 활성화를 위한 이진 카운팅 시퀀스의 함수로서 병렬 연결된 FET/저항기 쌍들 전반에 걸친 총 전압 강하를 도시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 전반에 걸친 전압 강하는 N2 개의 개별 단계들(예를 들어, N=4인 경우 16)로 본질적으로 0 V로부터 일부 원하는 최대 전압(본 예에서는 약 3.0 V)까지의 범위로 제어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706) 내에서 배터리(708)의 출력 단자와 부하(705)의 입력 단자(Vo)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부하(705)는 자신의 입력 전압을 배터리(708)의 단자 전압에서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 전반에 걸친 전압 강하를 뺀 값으로 간주한다. 이 기술에 의해,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에 전반에 걸친 임피던스를 조정(즉, 및 결과적으로 전압 강하)하기 위해, 제어기(702)에 의해 N 개의 FET들(710a... 710d)의 스위칭 온/오프를 통해 부하(705)에 공급되는 전압의 조절(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이 달성되고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N 개의 병렬 방전 스위칭 소자들(즉,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네트워크는 소스 전압(즉, 배터리(708)으로부터의)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지만(예를 들어, 도 8 참조), 부하 전류 및 SOC에 따라 변하는 고전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서 작동하도록(예를 들어, 제어기(702)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압 센서들(741, 742) 및 전류 센서(707)로부터의 정보는 입력 전압 및 출력 전압(즉, 배터리(708) 및 부하(705)) 둘 모두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해 제어기(702)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인 시스템(700)은 N 개의 고정 임피던스 소자들(즉, N 개의 FET들(710a... 710d) 및 관련 저항기들(750a... 750d))의 네트워크로서 구성되며, 이는 입력(즉, 배터리(708)) 및 출력(즉, 부하(705)) 상의 전압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제어기(702)에 의해 네트워크로 인/아웃 전환될 수 있다. 저항기들(750a... 750d)의 저항값을 변경하면, 개별 소자 임피던스들이 규정될 것이다. 각각의 FET/저항 쌍은 미리 결정된 인가된 전류에서 특정 전압 강하로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스템(700)은 배터리(708)와 부하(705) 사이의 가변적이고 제어 가능한 임피던스를 규정하는 소자들의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하(705)의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는 총 임피던스가 증가하고 부하(705)에 공급되는 전압이 감소하도록 제어기(702)에 의해 조정된다. 배터리(708)의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네트워크는 총 임피던스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에 전반에 걸친 전압도 감소되어 부하(705)에 공급되는 전압을 원하는 범위(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제어기(702)에 의해 재구성된다. 이어서, 배터리 전압으로부터 차감되는 네트워크 전반에 걸친 보상 전압 강하는 부하(705)에 공급되는 결과적인 전압이 시스템(700) 내의 다양한 N 개의 FET들/저항기 쌍들의 시퀀싱을 통해 제어되어 배터리 작동 지점이 구역 1, 구역 2 또는 구역 3 작동 범위들(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되는 것과 같음) 내에 존재할 때마다(예를 들어, 어떤 이유로든 드리프트) 고해상도 전압 매칭을 제공하도록, 임의의 수의 상이한 제어 기술들을 사용하여 제어기(7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시스템(700)은 공급된 배터리 전압을 부하(705)에 의해 요구되는 어느 정도 더 낮은 전압으로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역 1 영역에 대응하는 배터리 특성 곡선들의 일부 영역들은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구역 1 영역에 포함된 임의의 에너지는 시스템(700)에 의해 사용될 수 없으며, 본질적으로 고립된다. 구역 1 영역에는 이러한 V-I 곡선들 군으로 표시되는 총 배터리 에너지 중 극히 일부만 포함되지만, 다른 배터리 화학적 유형들 및 구성들은 사용할 수 없는 구역 1 영역에서 훨씬 더 많은 에너지가 고립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0 참조).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시스템(100)의 회로 블록도를 예시한다. 시스템(100)은 1차 전원의 장애가 있을 때 2차 전원으로부터 배전 버스를 통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지만, 1차 전원은 AC 전원에 결합된 전원 공급 유닛일 수 있는 반면 2차 전원은 배터리일 수 있다.
도 1에 대해 예시된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에서, 시스템(100)은 제어기(102)의 제어하에 배터리(108)의 출력 단자를 DC-DC 컨버터(170)를 통해 배전 버스(104)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시스템(106) 및 N 개(여기서 N≥1)의 병렬 연결된 방전 스위치들(110b... 110d)(예를 들어, MOSFET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스위칭 구성을 적용하며, 상기 스위치 각각은 저항기(150b... 150d)와 직렬로 결합되어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네트워크(본 명세서에서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라고도 함)를 형성한다.
저항기들(150b... 150d) 각각은 상이한 저항값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리즈(150b... 150d) 내의 각각의 저항기의 저항값이 시리즈 내 이전 저항기보다 낮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저항기(150c)는 저항기(150b)보다 낮은 저항값을 가지며, 저항기(150d)는 저항기(150c)보다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등). 그러나, 실시예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저항값들을 갖는 저항기들(150b... 150d)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은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MOSFET)(111)를 통해 배터리(108)의 양극 단자와 배전 버스(104) 사이에 유사하게 개재될 수 있으며, 배전 버스(104)로부터 직접 배터리(108)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FET(111) 뿐만 아니라 N 개의 FET들(110b... 110d) 각각은 제어 라인(121b... 121e)을 통해 제어기(102)에 의해 선택적이고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병렬로 연결된 방전 제어 FET/저항기 쌍들의 수(N)는 제어기(102)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하나 내지 임의의 수 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배터리(108)로부터 이용 가능한 최소 및 최대 전압들, 예상 최소 및 최대 출력 전류들의 범위, 및 요구되는 최소 및 최대 출력 전압 범위(예를 들어,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예를 들어, 도 8의 예에서 도시된 구역 2 영역 참조)에 의해 결정됨)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인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108)의 단자 전압들 및 부하 전류들의 변화는 배터리 전압 센서(142) 및 전류 센서(107)를 통해 제어기(10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하여 확장되는 유효 작동 지점들에서 배터리 단자 전압들을 갖는 배터리들에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부하(105)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구역 1, 구역 3 및 구역 4에 포함된 것과 같이 구역 2 영역 외부에 있는 배터리 작동 지점을 포함하는 배터리 작동 지점들의 전체 범위와 비교한 도 8의 예에 도시된 구역 2 영역 참조).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전형적인 배터리들 또는 직렬 연결된 배터리들은 거의 모든 경우에 대부분의 부하들에 의해 요구되는 더 좁고 엄격하게 제한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밖에 있는 특정 작동 지점들에 단자 전압들을 갖는다. 따라서, 시스템(100)은 공급된 배터리 전압을 실질적으로 이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조절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108)의 전압은 일부 SOC 및 배터리 전류 조건들에서 배전 버스(104)의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예를 들어, 도 8의 예에 도시된 구역 3 영역 및 구역 4 영역 참조)하고, 다른 SOC 또는 배터리 전류 조건들 하에서 배전 버스(104)의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도 8의 예에 도시된 구역 2 영역 참조)와 실질적으로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100)의 작동은 시스템(100) 내에 구현된 DC-DC 컨버터(170) 유형의 VIN 대 VOUT 및 출력 전류 제한 특성들(예를 들어, 도 11 참조)에 따라 구현되는 DC-DC 컨버터(170)를 구비한 시스템(700)의 작동과 유사하며, 부하(105)가 저전류(즉, 부하(105)에 의해 요구될 수 있는 최대 전류의 약 25 % 미만)를 요구하고, 예를 들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 4 영역에서의 시스템(100)의 작동에 대응하는 높은 충전 상태(예를 들어, 약 70 % 초과의 SOC 값)에서 배터리(108)가 작동할 때, 부하(105)로의 전류 전달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DC-DC 컨버터(170)는 도 4, 도 5 및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유형들(예를 들어, 선형 레귤레이터, 스위칭 벅, 스위칭 벅-부스트 등) 중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DC-DC 컨버터(170)는 종래 기술의 구현예들에서와 같이 배터리의 최대 출력 전력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지만, 시스템(100)에서 출력 전력의 균형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에 의해 전달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최대 출력 전력의 약 25 % 내지 30 %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DC-DC 컨버터의 상대적 비용 및 크기가 유사한 전력 전달 능력을 갖는 FET/저항기 쌍들의 네트워크보다 실질적으로 높기 때문에 DC-DC 컨버터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구현예들에 비해 시스템(100)의 이점을 제공한다.
도 4는 시스템(100) 내에서 DC-DC 컨버터(170)로서 구현하기에 적합한 스위칭 벅 컨버터의 비제한 예의 입력 대 출력 전압(VIN 대 VOUT) 특성들을 예시한다. VIN > VOUT 설정값의 경우, DC-DC 컨버터는 정상 벅 컨버터로서 작동하여 출력 전압 VOUT을 VOUT 설정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에 유의한다. 그러나 입력 전압 VIN이 강하하여 VOUT 설정값과 교차함에 따라, 출력 전압 VOUT이 VOUT 설정값 아래로 강하하고 본 예에서는 11 V로 도시된 일부 임계값에 도달할 때까지 입력 전압 VIN을 추적하게 된다. 이를 선형 레귤레이터 설계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로우 드롭아웃" 특성이라고 한다. VOUT 설정값은 본 명세서에서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예를 들어, 도 12 참조)으로도 지칭되며, 도 12 및 도 19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PSU(101)의 장애에 후속하여 DC-DC 컨버터(170)가 부하(105)에 전류를 공급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전압 레벨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벅-부스트 컨버터의 비제한적 예의 입력 대 출력 전압(VIN 대 VOUT) 특성들을 예시하며, 이는 또한 시스템(100) 내에서 DC-DC 컨버터(170)로서 구현하기에 적합하며, VIN < VOUT 설정값 일 때 DC-DC 컨버터가 자동으로 벅 모드(VIN > VOUT 설정값)로부터 부스트 모드로 전환되므로 전술한 "로우 드롭아웃" 특성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데, 이로써 UV 셧다운 입력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입력 전압 VIN에 관계없이 출력 전압 VOUT을 VOUT 설정값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도 11은 x축이 시간을 나타내는 시스템(100) 내에 구현된 DC-DC 컨버터의 전류 제한 특성들을 예시한다. 전류 제한 전이점(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이 정전압으로부터 정전류로 변하는 지점)이라고 하는 출력 전류 값 이하의 모든 DC-DC 컨버터 출력 전류들(Io)에 대해, DC-DC 컨버터는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VOUT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DC-DC 컨버터의 출력 전류 Io(도 11에서 점선으로 표시됨)가 전류 제한 전이점(Ilimit(A))에 도달하면, 출력 전압 VOUT은 약간 강하하거나, "처진다(droop)"고 표현된다. 이는 DC-DC 컨버터가 "정전압" 모드로부터 "처짐 전류 제한"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며, 여기서 출력 전압 VOUT은 Ilimit(A)와 Ilimit(A) + 수 퍼센트 사이의 좁은 범위의 출력 전류 값들에 대해 VOUT 설정값 미만으로 낮출 수 있다. 다시 말해, 0부터 Ilimit(A)까지의 임의의 전류 값에 대해,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 VOUT은 VOUT 설정값으로 유지된다. Ilimit(A)에 도달하면, 출력 전압 VOUT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출력 전류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이 처짐은 지속적으로 두드러지게 된다(Ilimit(A)에서의 전류 기울기는 평평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약간만 양수이다).
배터리(108)가 배전 버스(104) 내로 방전되도록 시스템(100)을 작동시키는 PSU(101)에서의 하드웨어 장애 또는 AC 정전(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PSU(101)의 장애라고 함)과 같은 이벤트 동안, 배터리(108)의 전압은 방전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예를 들어,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하할 것이며, 여기서 상이한 특성 곡선들에 의해 추적되는 바와 같이 전류에 있어서의 증분 증가들이 점점 더 낮은 전압들에 존재한다. 배터리 방전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108)의 전압이 이렇게 낮아지는 것은 각각의 배터리 셀의 내부 저항 또는 임피던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배터리(108)의 전압 강하량은 배터리(108)에 의해 부하(105)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 및 배터리(108) 내의 셀들 각각의 내부 임피던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배터리(108)의 셀들의 화학적 조성은 방전 이벤트 동안 배전 버스(104)를 전압 한계들 내로 유지하도록 전압 강하를 충분히 작게(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유지하면서, 셀들이 결합되는 배전 버스(104)의 최대 전력 요구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전압, 전류 용량 및 임피던스 특성들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시스템(100)은 DC-DC 컨버터(170)의 전류 제한 전이점(도 11에 묘사된 Ilimit(A) 참조) 미만인 부하(105)로 전달되는 전류들의 값들과 배터리(108)의 높은 충전 상태들에서, 배터리(108)의 V-I 곡선들의 군의 순시 작동 지점에 따라, DC-DC 컨버터(170)에 의해서만 또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 내의 일부 미리 결정된 수의 FET/저항기 쌍들과 조합한 DC-DC 컨버터(170)에 의해 전류가 부하(105)에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제 제어기(102)가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부하(105)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00)의 비제한적 예시적인 적용예 및 작동에 관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최종 용도 적용예와 관련된 부하에 의해 요구될 수 있는 전압 범위를 규정하는 적용예 조정 윈도우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는 공칭 또는 원하는 출력 전압 Vo 및 ± 퍼센트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원하는 출력 전압 Vo(예를 들어, 12 V) 및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예를 들어, ± 5 %)에 기초하여 시스템(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설정값들 및 임계값들의 비제한적 예에 대한 그래픽 표현을 예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도 8의 비제한적인 예시적 V-I 곡선들을 참조할 것이다.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가 도시되고 조절 하한(본 예에서는 12 V - 5 % = 11.4 V)으로부터 조절 상한(본 예에서는 12 V + 5 % = 12.6 V)까지 확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기(102)는 부하(105)에 공급되는 전압을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를 규정하는 조절 상한과 조절 하한 사이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또한 조절 상한 및 조절 하한 내에서 일부 다른 임계값들 및 설정값들이 시스템(100)의 설계 내로 구성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PSU(101)의 PSU 출력 전압 설정값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시스템(100)의 설계 중에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부하의 동적 특성, PSU 제어 루프의 응답 등의 함수로서), 본 예에서는 12.35 V(도 12에 묘사된 실선(2)으로 지정됨)로 선택된다. PSU(101)의 PSU 출력 전압 설정값에 대한 값은 PSU(101)에 의해 공급되는 정상 작동 출력 전압으로서 선택될 수 있으며,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선택될 것이다. PSU 출력 전압 설정값 미만으로 설정된 DC-DC 컨버터(170)의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이 있을 수 있으며, 본 예에서는 12.0 V로 선택된다(도 12에 묘사된 점선(3)으로 표시됨). 2 개의 제어 임계 설정값들, 즉 PSU 출력 전압 설정값과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 사이에 설정된 상부 제어 임계값("UST")(본 예에서는 12.3 V로 선택됨) 및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 미만 조절 하한 초과로 설정되는 하부 제어 임계값("LCT")(본 예에서는 LCT가 11.9 V로 선택됨)이 있을 수 있다. UCT 값 및 LCT 값은 도 14 및 도 15와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이러한 임계값들 및 설정값들의 활용에 대해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된다.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은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고, PSU 출력 전압 설정값보다 낮으며, LCT보다 높도록 선택되며, 시스템(100)의 동적 특성들을 분석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조절 상한 및 조절 하한(즉,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의 선택은 부하(105)의 사양 및 요구 사항들의 함수로서 결정될 수 있다. UCT의 값은 PSU 출력 전압 설정값 아래의 일부 적절한 값에서 선택될 수 있으므로, UCT 아래의 출력 전압 Vo의 감소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PSU(101)의 장애가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배터리 시스템(106)에 의해 부하(105)에 공급되는 출력 전압(Vo)이 너무 많이 증가하여 잠재적으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밖으로 증가할 수 있음을 배터리 시스템(106)에 알린다. LCT의 값은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 아래의 일부 적절한 값으로 선택되어 LCT 아래의 출력 전압 Vo의 감소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배터리 시스템(106)에 더 많은 전류가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108)로부터 부하(105)로 공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린다. 시스템(100)의 설계자에 의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 UCT 및 LCT에 대한 값들의 선택은 배터리(108)의 특정 특성들(예를 들어, 단자 전압, 특성 곡선 등), 부하(105)의 동적 특성들(예를 들어, 동적 부하 전류들의 크기 및 상승 시간 및 하강 시간) 및 CLOAD(160)로 지정된 시스템(100)의 유효 커패시턴스의 함수일 수 있다. 이 시스템 커패시턴스(CLOAD(160))는 시스템(100) 내의 출력 노드(Vo)에 결합된 커패시턴스들(예를 들어, PSU(101)의 피드백 제어 루프를 안정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도록 포함된 PSU(101)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출력 커패시터들, 과도 응답을 개선하거나 DC-DC 컨버터(170)의 제어 루프를 안정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DC-DC 컨버터(170)의 출력에 존재하는 임의의 출력 커패시터들, 부하(105)와 관련된 임의의 커패시턴스 및 배터리 시스템(106)의 설계자에 의해 추가된 임의의 다른 커패시턴스)의 합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은 시스템(100)의 단순화된 블록도를 나타내며, 이는 본 명세서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배터리(108)와 부하(105) 사이에 삽입되는 임피던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제어기(102)에 의해 출력 노드 Vo에서의 전압의 모니터링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다. 배터리 시스템(106) 및 PSU(101)는 출력 노드 Vo에서 배전 버스(104)에 결합된다. 또한, 출력 노드 Vo에서의 배전 버스(104)에는 부하(105) 및 시스템 커패시턴스 CLOAD(160)가 결합된다.
잘 알려진 회로 이론에 따르면, 시스템 내 임의의 노드에서의 임의의 전류들의 합계는 0이어야 한다. 따라서, 노드 V0에 존재하는 전류들의 합계는:
를 풀기 위해:
커패시터들의 특성 방정식들을 고려하면:
여기서,
위의 방정식에서,(i Batt+i Psu)가 i Load와 같으면 i Capacitance는 시간 기준으로 0이 되고, dVCapacitance/dt도 0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처럼, 출력 노드 Vo의 전압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i Batt+i Psu) > i Load인 경우, i Capacitance는 양수가 되고(즉, 시스템 커패시턴스 CLOAD(160)이 충전 중임), dVCapacitance/dt도 양수가 되며, 출력 노드 Vo의 전압은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대응적으로,(i Batt+i Psu) < i Load인 경우, i Capacitance는 음수가 되고(즉, 시스템 커패시턴스 CLOAD(160)은 부하(105)로 방전됨), dVCapacitance/dt도 음수가 되며, 출력 노드 Vo에서의 전압은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 이러한 변수들, 즉 시스템 커패시턴스 CLOAD(160)에 걸친 전압(즉, Vo) 및 시스템 커패시턴스 CLOAD(160) 내의 전류(C*dVCapacitance/dt)는 시스템(100)의 일련의 상태 변수들을 나타내며, 이러한 상태 변수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내에서 활용된다. C*dVCapacitance/dt는 양수일 수도 음수일 수도 있으며, 암페어(전류) 단위들을 갖는 반면, dVCapacitance/dt는 양수일 수도 음수일 수도 있으며, 볼트/시간 단위를 갖는다. 또한, dVCapacitance/dt은 또한 dVO/dt와 같으며 동일한 상태 변수를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4는 시스템(100)의 상태 변수들(즉, VodVO/dt)을 나타내는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상태 결정 시스템(141)(도 1 참조)에 대한 비제한 구현예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임계값 검출기(1401)는 출력 전압 Vo를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Vo를 UCT 및 LCT 한계들과 비교한다(도 12 참조). 임계값 검출기(1401)의 작동에 대한 진리표가 도 16의 표 16a에 도시된다. 출력 전압 Vo가 UCT보다 높은 전압 레벨이면, 신호 상부 제어 임계값 초과("UCTE") 신호가 로직 레벨 1로 설정되고, 출력 전압 Vo가 UCT 아래로 떨어지면, UCTE는 로직 레벨 0으로 재설정될 것이다. 출력 전압 Vo가 LCT보다 낮은 전압 레벨이면, 하부 제어 임계값 초과("LCTE") 신호가 로직 레벨 1로 설정되고, 출력 전압 Vo가 LCT보다 높게 상승하면, LCTE 신호가 로직 레벨 0으로 재설정될 것이다.
미분기(1402)는 출력 전압 Vo를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dVO/dT의 부호를 결정하여 dVO/dt > 0일 때마다 로직 레벨 1로 설정되는 dVO/dT 양의 신호와 dVO/dT > 0일 때마다 로직 레벨 1로 설정되는 dVO/dt 음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102)에 상태 변수 dVO/dt의 순시 부호를 제공한다. 미분기(1402)의 작동에 대한 진리표는 도 16의 표 16b에 도시되어 있다. UCTE, LCTE, dVO/dt 음 및 dVO/dt 양의 신호들(본 명세서에서는 총칭하여 "상태 결정 신호들"이라고도 함)은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신호 라인들(180)을 통해 제어기(102)로 전달된다. 진리표들 표 16a와 표 16b에는 허용되지 않음 또는 불가능으로 도시되는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출력 전압 Vo가 UCT 위와 LCT 아래 둘 모두에 동시에 있을 수 없으며, 이로 인해 UTCE = 1 및 LTCE = 1인 조건들은 동시에 발생할 수 없다.
제어기(102)는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상태 결정 신호들을 수신하고 도 18의 시스템 및 공정(1800)에 대해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16의 표 16c에 기재된 진리표에 따라 작동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5는 상태 결정 시스템(141)을 연산 증폭기(OP1) 및 전압 비교기들(CMP1... CMP4)로 구현하여 도 16의 표 16c에 도시된 진리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비제한적 예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예시하며, 여기서 비교기 기준값들은 도 12와 관련하여 제공된 예와 관련이 있다.
도 8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배터리(108)로 구현된 시스템(100)의 비제한적인 예를 고려하면, 구역 4 영역에서 작동할 때, DC-DC 컨버터(170)를 포함하면, 도 7의 시스템(700)과 관련하여 이전에 이용 가능했던 것보다 제로(0) 배터리 방전 전류까지 더 넓은 범위의 전류들에 대한 정확한 입력/출력 전압 차이에 대한 더 높은 제어 정밀도 뿐만 아니라 더 높은 전기 효율을 제공한다. 이는 도 9를 보면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FET/저항기 쌍들에 대한 임의의 개수 N에 대해, N2 개의 개별 제어 단계들을 이용할 수 있다. 시스템(700) 내 저항기들(710a... 710d)에 대한 저항값들이 감소하는 특성으로 인해, 제어 단계들의 세분성은 작동 범위에서 일정하지 않으며, 구역 3 영역(도 8 참조)에서 작동하는 동안 미세 제어가 가능함을 알 수 있지만(도 9에서, 이용 가능한 제어 단계들의 70 %가 0.5 V 이하의 VBAT-VO 차이 범위에 존재함), VBAT-VO 차이가 0.5 V 내지 3.0 V 범위인 구역 4 영역에서 작동하는 경우, 사용 가능한 제어 단계들 수가 적기 때문에 매우 조잡하고 부정확한 제어만 가능하다. 구역 4 영역은 이 범위에서는 저항 소자들의 V-I 손실들이 커질 것이기 때문에, 전기 효율이 낮은 작동 범위이다. 따라서, 구역 4 영역은 DC-DC 컨버터(170)의 통합에 의해 출력 전압 Vo의 조잡한 제어가 제공되는 곳인데, 이는 DC-DC 컨버터들이 이 영역에서 높은 효율을 갖도록 특별히 의도된 것과 같은 이러한 효율 문제들을 완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700)은 구역 4 영역에서 열악한 효율과 제어를 갖는 반면, 시스템(100)은 DC-DC 컨버터(170)를 통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완화하며, 이는 구역 4 영역에서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반면, 출력 전압 Vo의 더 미세한 제어는 도 18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총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표준 벅 DC-DC 컨버터 또는 벅-부스트 DC-DC 컨버터를 사용하는 선택은 배터리(108)의 특정 화학물질 및 구성에 대한 V-I 곡선들 뿐만 아니라 시스템(10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105)의 요구 사항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700)은 배터리 전압 미만의 전압들에서만 부하(705)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배터리(708)에는 사용할 수 없는 에너지가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역 1 영역은 부하에 대해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아래에 있는 배터리 작동 지점들을 식별한다. 배터리 작동 지점이 V-I 곡선들 군의 구역 1 영역에 존재할 때마다 배터리 에너지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구역 1 영역 내에 있는 V-I 곡선들의 결과 부분은 매우 작으며 SOC가 0에 가까운 매우 낮은 충전 상태들에서만 존재한다. 많은 최종 사용자 적용예들에서는 이렇게 이용 불가능한 구역 1 에너지는 그냥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표시된 V-I 곡선들을 도 10에 도시된 상이한 배터리 구성의 작동과 비교해 보면, 이는 1 A와 60 A 사이의 전류들에서 작동하는 철 인산염 배터리 셀들의 4개의 직렬 셀 구성의 V-I 곡선들을 나타낸다. 도 10의 철 인산염 배터리 시스템의 구역 4 영역 작동은 도 8의 니켈 망간 코발트 시스템보다 면적이 훨씬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12 V 시스템들에 유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도 10의 철 인산염 배터리 시스템의 구역 1 영역에 존재하는 곡선들의 영역은 도 8의 니켈 망간 코발트 시스템의 곡선들의 영역보다 훨씬 크다(예를 들어, 최대 부하 60 A에서 작동하는 경우, 최대 약 40 % SOC).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역 1 영역에 고립된 상당량의 사용할 수 없는 에너지를 의미하며, 이러한 배터리 시스템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자 하는 특정 적용예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잠재적인 해결책은, 이러한 유형의 컨버터는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의 전압보다 낮은 배터리 전압을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와 호환되는 출력 전압까지 승압할 수 있기 때문에, 도 7의 배터리 시스템(706)을 DC-DC 컨버터(170)에 대한 적절한 최대 전력 및 전류 제한 설정을 갖는 DC-DC 컨버터 설계(예를 들어, 벅-부스트 DC-DC 컨버터)를 구현하는 도 1의 배터리 시스템(106)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참고로, DC-DC 컨버터(170)가 출력 전압을 배터리(108)에 의해 공급되는 전압을 초과하여 승압할 때, 출력으로부터 배터리(입력)로의 전력 순환을 방지하기 위해 DC-DC 컨버터(170)용 벅-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DC-DC 컨버터(170)의 출력의 연결 지점은 (트랜지스터(111)의 소스측에 결합되는 FET/저항기 쌍들(110b... 110d 및 150b... 150d)과 비교하여) 트랜지스터(111)의 드레인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부스트 모드에서 작동할 때, 트랜지스터(111)가 스위치 오프되어 DC-DC 컨버터(170)의 출력으로부터 배터리(108)로의 어떠한 전력 순환도 차단된다. 부스트 모드에서 DC-DC 컨버터(170)의 작동의 결과는 배터리(108)가 구역 4 영역에서 방전되는 동안 전달되는 출력 전력의 100 %가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DC-DC 컨버터(170)를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구역 4 영역의 시스템(100)의 작동은 DC-DC 컨버터(170)의 전력 제한 및 전류 제한 전이점(Ilimit(A)) 이하의 전력 레벨에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시스템(100)이 컴퓨터 서버용으로 사용되는 적용예에서는, 낮은 SOC에서 배터리(108)로부터의 이러한 "전력 감소" 작동이 특별히 허용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도 17은 특정 배터리 및 부하 특성들 및 요구 사항들에 따라 제어기(102) 내에서 구현될 수 있는 FET/저항기 활성/비활성 시퀀스들의 몇 가지 비제한적인 예를 예시한다. 표 17a는 제어기(102) 내에서 구현될 수 있는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이진 카운팅 시퀀스를 나타낸다. FET들(110b, 110c 및 110d)은 이진 상향 카운팅 시퀀스에서 스위치 온될 수 있으며, 여기서 FET(110b)는 최하위 비트를 나타내고, FET(110d)는 최상위 비트를 나타내며, 각각의 후속 이진 숫자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감소하는 총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따라서, 한 번에 한 자리 이진수 위로 카운트하면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총 임피던스가 감소하고, 한 번에 한 자리씩 아래로 카운트하면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총 임피던스가 증가한다. 표 17b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총 임피던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FET(110b)가 스위치 온되고, 이어서 FET(110c)가 스위치 온되고(먼저 FET(110b)를 스위치 오프시키는 일 없이), 최종적으로 FET(110d)가 스위치 온되도록 이진 카운팅 모드에서보다는 순차적으로 온/오프로 전환될 수 있는 순차적 시퀀스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어기(102)는 모든 FET들이 스위치 오프될 때까지 최상위 비트 포지션에서 FET를 스위치 오프하고, 그 후 다음 최상위 비트 포지션에서 FET를 스위치 오프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순차적 시퀀스를 사용하면, 개별 임피던스 단계들의 수가 줄어들지만 임의의 주어진 임피던스 값에서 시작할 때 최소 또는 최대 임피던스 값에 더 빠르게 도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 17a에 표시된 이진 카운팅 시퀀스는 배터리(108)가 도 8에 표시된 것과 같은 NMC 배터리 셀들로 구성될 때, 제어기(102) 내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최소 전류 V-I 곡선 및 최대 전류 V-I 곡선에 의해 추적되는 영역의 약 20 %만이 구역 2 영역 내에 있고, 구역 2 영역 외부 영역의 대부분은 구역 2 영역 위 구역 3 및 구역 4에 위치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 17b의 순차적 시퀀스는 배터리(108)가 도 10에 표시된 것과 같은 철 인산염 배터리 셀들로 구성될 때 제어기(102)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및 최대 전류 V-I 곡선들에 의해 추적되는 영역은 구역 2 영역 내에 약 60 %가 있으며, 약 30 %만이 구역 2 영역 위 구역 3과 구역 4에 있다.
대안적인 이진/순차 또는 "하이브리드" 카운팅 접근 방식이 표 17c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이진 카운팅 시퀀스와 순차 시퀀스가 결합되어 있으며, FET들(110b 및 110c)은 이진 시퀀스로 작동하고, FET(110d)는 FET들(110b 및 110c)이 최대 이진 값에 도달한 후 순차적 순서로 추가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예를 통해 추가로 설명되며, 이는 현재 개시된 주제를 예시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서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제, 시스템(100)의 구현에 대한 비제한적 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12 V 예(Vo = 12 V)에서, 조절 상한은 12.6 V이고, 조절 하한은 11.4 V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를 규정한다. 예시적인 배터리(108)는 도 10에 도시된 4 개의 직렬 셀 인산철 배터리를 기반으로 하며, 최대 부하 전류는 60 암페어이고, 최소 부하 전류는 1 암페어이다. DC-DC 컨버터(170)는 적절한 벅 DC-DC 컨버터(도 4에 도시된 특성들을 가짐)로서 구성되며, 도 11에서와 같은 전류 제한 전이점 Ilimit(A)은 15 암페어 또는 부하(105)의 최대 전류의 25 %로 선택된다. 도 12에 묘사된 것처럼,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은 12.0 V로 설정되고, PSU 출력 전압 설정값은 12.35 V로 설정되며, UCT는 12.3 V로 설정되고, LCT는 11.9 V로 설정된다. 제어기(102)는 도 17의 표 17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를 상향 및 하향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저항기(150b)는 모든 저항기들(150b... 150d) 중에서 가장 높은 저항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항기(150b)에 대한 이 저항값은 최소 및 최대 부하 전류 설계 지점들의 허용된 V-I 곡선들에 의해 추적되는 배터리(180)에 대한 전압의 최대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이 저항값은 도 10에 도시된 지점 A(13.4 V)에서, 12.0 V이고 도 10에 도시된 지점 B로 표시되는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의 값을 빼서 식별될 수 있다. 그 후 결과는 저항기(150b)에 대해 원하는 저항값을 제공하는 DC-DC 컨버터(170)의 전류 제한 전이점(Ilimit(A), 또는 15 A)으로 나누어진다. 이 값들을 사용하면, 그 결과는:
소자(150b)의 저항값 = (13.4 V - 12.0 V) / 15 A
소자(150b)의 저항값 = 93 밀리-옴
저항기(150c)는 시퀀스에서 다음 가장 낮은 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저항기(150b)의 저항값의 1/10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9 밀리-옴). 저항기(150d)는 저항기(150c)의 값의 1/10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저항값(예를 들어, 0.9 밀리-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든 FET들이 스위치 온되어 있을 때,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총 저항은 0.8 밀리-옴이다. 이를 통해 최대 60 A의 부하에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 전체에서 총 48 밀리-볼트의 전압 강하를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 인산염 셀 특성 V-I 곡선들은 전류 제한 전이점 Ilimit(A)인 15 A를 초과하고, 규정된 최대 부하 전류 60 A 미만인 전류 값들의 경우 대부분 구역 2 작동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시스템(100)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병렬 FET/저항기 병렬 쌍들, 순차적인 FET 활성 시퀀스 및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순차 쌍에 대한 저항기 값들의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감소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100)이 도 8에 표시된 것과 같은 NMC 셀들로 구성된 배터리(108)로 구성된 경우, 시스템(100)은 더 많은 수의 FET/저항기 병렬 쌍들, 이진 카운팅 시퀀스 및 각각의 순차 쌍에 대해 더 점진적인 저항값 감소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V-I 곡선들의 상대적으로 더 많은 부분이 구역 2 작동 범위(즉,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위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올바르게 작동하는 경우(즉, AC 입력 전원이 존재하고, 지정된 값 내에 있고, 그리고/또는 PSU(101) 내에 하드웨어 장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PSU(101)는 전체 부하 전류를 부하(105)에 공급하기에 충분한 출력 전류 용량을 갖도록 설계된다. PSU(101)로의 AC 입력에 장애가 있거나 PSU(101) 내에 하드웨어 장애가 있는 경우, PSU(101)는 부하(105)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중단하고, 배터리 시스템(106)은 배터리(108)로부터 에너지를 방전하여 부하(105)에 전류를 공급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배터리 시스템(106)은 출력 노드(Vo)에서의 전압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절 상한 및 조절 하한에 의해 한정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와 조합하여 DC-DC 컨버터(170)에 의해 제공되는 전류 경로들 사이에 배터리(108)로부터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부하(105)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전류에 따라, 전류는 DC-DC 컨버터(170)와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소자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제어기(102)는 DC-DC 컨버터(170)와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 사이로서 방전 배터리(108)로부터의 출력 전류의 밸런싱을 제어하여 부하(105)에 공급되는 전압이 조절 상한과 조절 하한 사이에서(즉,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들은 전류 밸런싱 및 전압 조절 공정의 일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 예시적 전이들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배터리 시스템(106)에 의해 배터리(108)로부터 부하(105)로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비제한적인 예시적 공정이 이제 제어기(102)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도 18의 시스템 및 공정(1800)에 대해 설명된다. 본 예에서, DC-DC 컨버터(170)는 도 4에 따라 작동하고, 상태 결정 시스템(141)은 도 16의 표 16a 및 표 16b에 기재된 진리표들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제어기(102)는 도 16의 표 16c에 기재된 진리표 및 도 17의 표 17b에 기재된 FET 시퀀스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표 16a 및 표 16b에 기재된 진리표들에 따라 상태 결정 시스템(141)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은 신호 라인들(180)을 통해 제어기(102)에 의해 수신된다.
도 19 내지 도 20은 배터리(108) 및 PSU(101)로부터 출력 노드 Vo로의 출력 전압의 공급의 시스템(100)에 대한 예시적인 작동들 및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제어기(102)로 제공되는 신호들의 대응하는 전이들을 보여주는 시간 영역 분석을 도시한다. 도 19는 시간 간격 t0 내지 t10 동안의 예시적인 시간 영역 분석을 예시하는 반면, 도 20은 시간 간격 t10 내지 t21 동안의 예시적인 시간 영역 분석을 예시한다. 시스템 및 공정(1800)의 예시적인 작동은 도 19 및 도 20의 순시치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각각의 순시치의 순간 및 각각의 순시치 사이의 시간 간격들 동안 발생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9와 도 20은 스케일에 맞게 그려지지 않았으며 도시된 특정 시간 간격들은 마이크로초 단위로 측정될 수 있고, 다른 시간 간격들은 초 또는 분 단위로 측정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공정 블록(1801)에서, PSU(101)는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으며, 일부 이전 기간에 턴 온되었을 수 있다. 본 예에서 PSU(101)의 출력 전압 설정값은 12.35 V이며, 전체 부하 전류를 부하(105)에 공급한다. 또한, 일부 이전 기간에, 배터리 시스템(106)의 구성요소들은 초기화된다(공정 블록(1802 내지 1805) 주위의 점선으로 표시된다). 제어기(102)는 공정 블록(1802)에서(예를 들어, AC_OK 신호를 수신할 때) 초기화될 수 있다. 공정 블록(1803)에서, 제어기(102)는 신호 라인들(171 및 121b... 121d)을 통해 DC-DC 컨버터(170) 및 모든 FET들(110b... 101d)을 각각 스위치 오프한다. 공정 블록(1804)에서, 제어기(102)는 출력 노드(Vo)에 존재하는 전압이 PSU 출력 전압 설정값과 동일하다는 것(예를 들어, 출력 전압 Vo의 감지된 레벨이 신호 라인들(180)을 통해 제어기(102)에 제공되는 배터리 전압 센서(142)와 유사한 방식과 같이, 상태 결정 시스템(141) 내에서 구현되는 전압 센서에 의해)과, 신호 라인(112) 상의 AC_OK 신호가 존재한다는 것(예를 들어, 로직 레벨 1이 수신되고 있음)을 검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정 블록(1805)에서, DC-DC 컨버터(170)는 제어 신호(171)를 통해 턴온되고, 이에 의해 DC-DC 컨버터(170)는 출력을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본 예에서는 12.0 V)으로 안정화한다. 그러나, 출력 노드 Vo에서의 전압은 PSU(101)에 의해 12.35 V로 유지되기 때문에, DC-DC 컨버터(170)로부터 어떠한 전류도 흐르지 않으며, 부하(105)로의 모든 전류는 PSU(101)에 의해 공급된다. DC-DC 컨버터(170)가 출력을 안정화한 후의 어느 시점에서,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6)으로 진행하며, 신호 라인들(180)을 통해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제어기(102)에 의해 수신된 UCTE 또는 LCTE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상승 에지 전이에 의해 생성된 인터럽트를 기다린다. 이 대기 조건은 정상 상태 조건을 나타내며, 본 예에서는 도 19의 순시치 t0에 도시된 시스템 상태로 표시된다.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기(102)는 UCTE 신호(예를 들어, 도 19의 1901 참조) 또는 LCTE 신호(예를 들어, 도 19 및 도 20의 1902 참조)의 상승 에지(로직 레벨 0에서 로직 레벨 1로의 전환)를 수신하면 인터럽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인터럽트는 시스템 및 공정(1800)을 공정 블록(1806)으로부터 공정 블록(1807)으로 전이시키며, 여기서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의 상태 결정 신호들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를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기 위해 임의의 FET 제어 작동이 필요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평가된다.
시간 구간 t0 내지 t1 동안, 공정 블록(1806)에서의 이러한 정상 상태 조건은 계속된다. 제어기(102)는 FET들(110b... 110d)이 스위치 오프된 상태로 유지한다. 모든 부하 전류는 DC-DC 컨버터(170)의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 위의 지점에서 출력 노드 Vo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PSU(101)에 의해 계속 공급된다. 출력 노드 Vo에 공급되는 전압은 UCT보다 높으므로 UCTE 신호는 로직 레벨 1에 있고(도 16의 표 16a 참조), 전압 Vo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상태 결정 시스템(141)은 dVO/dt 양의 신호 및 dVO/dt 음의 신호를 로직 레벨 0 값들로 유지한다(도 16의 표 16b 참조). 제어기(102)가 여전히 UCTE 또는 LCTE 신호들 상의 상승 에지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공정 블록(1806)에는 인터럽트가 생성되지 않았다.
본 예시에서는 어떤 후속 기간에 PSU(101)의 AC 회선 장애 또는 하드웨어 장애가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AC_OK 신호(112)를 통해 제어기(102)에 신호 전달됨). 이는 도 19에서 순시치 t1로 지정되어 있다. 결국, PSU(101)의 출력 전압은 12.35 V로부터 강하하기 시작한다. 전압 Vo의 강하로 인해 CLOAD(160)는 이제 방전되어 전류의 일부를 부하(105)에 제공하고, PSU(101)는 전류의 나머지를 공급하게 된다. 전압 Vo가 순시치 t1에서 강하하기 시작하면 상태 결정 시스템(141)에 의해 감지되어 dVO/dt 음의 신호가 로직 레벨 0에서 로직 레벨 1로 전이된다(도 16의 표 16b 참조). 순시치 t1에 이어서, 전압 Vo는 UCT 아래로 충분히 감소하여, 상태 결정 시스템(141)은 UCTE 신호를 로직 레벨 1에서 로직 레벨 0으로 전이한다. 공정 블록(1806)은 여전히 UCTE 또는 LCTE 신호들이 로직 레벨 0에서 로직 레벨 1로 전이되어 발생하는 인터럽트를 기다리고 있다. 더 많은 에너지가 CLOAD(160)로부터 부하(105)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전압 Vo의 감소는 시간 간격 t1 내지 t2 동안 계속된다.
순시치 t2에서, 전압 Vo은 이제 12.0 V로 설정된 DC-DC 컨버터(170)의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강하한다. 이 시간 간격 t2 내지 t3 동안, DC-DC 컨버터(170)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가 순시치 t2에서의 제로 전류로부터 순시치 t3에서의 전류 제한 전이점 Ilimit(A) 까지 상승함에 따라, DC-DC 컨버터(170)를 통해 배터리(108)로부터 전류가 공급되어 전압 Vo를 고정 유지한다. 시간 간격 t2 내지 t3 동안 출력 전압 Vo의 이러한 변하지 않는 값에 응답하여,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제어기(102)에 의해 수신된 dVO/dt 음의 신호는 로직 0 값으로 되돌아간다(도 16의 표 16b 참조).
순시치 t3에서 전류 제한 전이점 Ilimit(A)에 도달하면, DC-DC 컨버터(170)는 전압 "처짐" 모드(도 11 참조)로 들어가고 CLOAD(160)이 다시 부하(105)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시작함에 따라 출력 전압 Vo가 감소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도 19에서 시간 간격 t3 내지 t4 동안 볼 수 있다.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제어기(102)로 전달된 dVO/dt 음의 신호는 이 시간 간격 동안 로직 레벨 1로 전이한다. 그러나, 공정 블록(1806)에는 아직 인터럽트가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기(102)는 도 16의 표 16c의 진리표에 따라 FET들(110b... 110d)을 스위치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도 17의 표 17b에 기재된 임피던스 시퀀스 0에 해당).
순시치 t4에서, 출력 전압 Vo는 LCT 아래에서 교차하여 상태 결정 시스템(141)이 LCTE 신호를 로직 레벨 0에서 로직 레벨 1(도 19 내 순시치 t4에서 1902로 표시됨)로 전이하고, 공정 블록(1806)에 의해 인터럽트가 생성된다.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7)으로 진행하며,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결정 신호의 레벨은 제어기(102)에 의해 판독된다. 도 16의 표 16a 및 표 16b의 진리표들에 따르면 신호들의 레벨들은 UCTE = 0, LCTE = 1, dVO/dt 양 = 0, dVO/dt 음 = 1이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8)으로 진행하여 이들 신호 레벨들이 도 16의 표 16c의 진리표에 기재된 조건 2b 또는 조건 3c 중 하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예에서는 순시치 t4에서 상태 결정 신호들의 레벨들이 표 16c의 조건 3c에 대응하도록 결정되기 때문에,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0)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제어기(102)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는 현재 임피던스 시퀀스 0에 있으므로(즉, 모든 FET들이 스위치 오프됨), 임피던스 감소를 나타내는 도 17의 표 17b의 다음 단계는 임피던스 시퀀스 1로 식별된다. 공정 블록(1810)에서, 제어기(102)는 제어 신호(121b)를 통해 FET(110b)를 스위치 온하여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임피던스 시퀀스 1의 구성으로 구성한다.
시간 간격 t4 내지 t5은 FET(110b)로 전송되는 스위치 온 신호의 제어 라인(121b)을 따라 전파 지연이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전파 지연은 순시치 t4에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공정 블록(1806)의 처리 시간, 공정 블록(1807, 1808 및 1810)의 실행 시간들, ON 신호가 제어기(102)로부터 FET(110b)로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신호 전파 시간 및 FET(110b)의 스위칭 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파 시간은 비교적 짧을 수 있지만(예를 들어, 마이크로초 정도) 임피던스 변화의 필요성이 처음 인식되는 순시치 t4와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 상태가 실제로 변경되고 시스템 상태 변수들이 응답하는 순시치 t5 사이에는 측정 가능한 시간 지연이 있을 수 있다.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과잉 교정(overcorrection)을 방지하기 위해, 공정 블록(1811)은 시스템 및 공정(1800)이 상태 결정 신호들의 상태를 다시 리셋하기 위해 공정 블록(1807)으로 복귀하기 전 선택적으로 시간 지연(예를 들어, 가능한 가장 긴 전파 지연 값과 동일함)을 삽입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순시치 t5는 전파 지연 기간의 종료를 나타내며, 이 시점에서 시스템 상태는 순시치 t4에서 취해진 제어 작동(즉, 전압 Vo의 증가)에 응답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순시치 t5 이후에,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7)으로 복귀한다.
순간 t5에서, 공정 블록(1811)의 선택적 전파 지연이 완료되고, FET(110b)는 이제 스위치 온으로 전환된다. 이전에 DC-DC 컨버터(170)를 통해서만 부하(105)로 흐르고 있던 배터리(108)에 의해 생성된 전류는 이제 부하(105)에 대한 제2 경로, 즉 FET(110b) 및 저항기(150b)를 통해 전달된다. 그 결과, 전류가 DC-DC 컨버터(17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DC-DC 컨버터(170)의 전류는 이제 전류 제한 전이점 아래로 강하하고, DC-DC 컨버터(170)의 출력 전압과 그에 따른 출력 전압 Vo은 12.0 V 설정값을 향해 다시 상승한다.
순시치 t5에 이어서, 공정 블록(1807)에서, 제어기(102)는 상태 결정 신호들을 다시 판독하고 제어를 공정 블록(1808)으로 전달한다. 도 19에 예시된 예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시간 간격 t5 내지 t6 동안, 전압 Vo는 LCT보다 낮지만 전압 Vo는 상승하고 있으며,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결정 신호들은 제어기(102)가 공정 블록(1808)에서 조건 3b(도 16의 표 16c 참조)에 따라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가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며, 이는 공정 블록(1808)으로부터 도출되는 "어느 쪽도 아님" 경로에 해당한다. 공정 블록(1812)에서, 신호들 UCTE 및 LCTE는 각각 로직 레벨 1에 대해 제어기(102)에 의해 평가된다. LCTE 신호가 로직 레벨 1로 유지되었으므로, 시스템 및 공정(1800)은 상승하는 출력 전압 Vo가 LCT 임계값(순시치 t6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표시됨)을 넘을 때까지 공정 블록(1812)으로부터 공정 블록(1807)을 거쳐 공정 블록(1808)으로 그리고 다시 공정 블록(1812)으로 연속적으로 순환하여, LCTE 신호가 로직 레벨 1에서 로직 레벨 0으로 전이하게 된다.
이때 순시치 t6에서, 출력 전압 Vo는 DC-DC 컨버터(170)로부터의 출력 전류가 계속 증가하기 때문에 계속 상승한다. LCTE 신호가 로직 레벨 0으로 전이한 후 공정 블록(1812)을 처음으로 호출하면,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2)을 종료하고 공정 블록(1806)으로 돌아가서 UCTE 신호 또는 LCTE 신호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승 에지에 의해 촉발되는 인터럽트를 위한 대기 조건을 다시 참여시킬 것이다.
도 19를 다시 참조하면, 시간 간격 t6 내지 t7의 제1 부분 동안, 출력 전압 Vo는 DC-DC 컨버터(170)에서 출력 전류가 상승함에 따라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인 12.0 V를 향해 계속 증가할 것이다. 결국에는 전류 제한 전이 지점에 도달하게 되며, 이는 순시치들 t6과 t7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에 표시된다. 이때 DC-DC 컨버터(170)는 다시 "처짐" 모드로 들어가고, 출력 전압 Vo가 강하하기 시작한다(도 11 참조). 이러한 dVO/dt의 역전은 순시치들 t6과 t7 사이의 중간에 발생하는 dVO/dt 양 및 dVO/dt 음의 신호 레벨 변화로 표시된다. 시간 간격 t6 내지 t7 동안, UCTE 또는 LCTE 신호들 중 어느 것에도 상승 에지가 없으므로, 인터럽트가 생성되지 않으며,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6)에 남아 있다.
순시치 t7에서, 출력 전압 Vo는 LCT와 교차하여 아래로 떨어지며, LCTE 신호(도 19 내 순시치 t7에서 1902로 표시됨) 및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고, 여기서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6)으로부터 공정 블록(1807)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제어기(102)는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결정 신호들을 판독한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8)으로 진행하여 상태 결정 신호들을 평가하며, 이는 UCTE = 0, LCTE = 1, dVO/dt 양 = 0 및 dVO/dt 음 = 1의 조합이 표 16c의 조건 3c에 대응함을 나타낸다. 그 결과,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0)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는 표 17b의 진리표에 따라 임피던스 시퀀스 1로 구성되므로, 조건 3c에 대응하는 임피던스 시퀀스의 다음 단계는 임피던스 시퀀스 2인 것으로 결정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제어기(102)는 FET(110b)를 스위치 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어 신호(121c)를 통해 FET(110c)를 온 상태로 전환한 다음, 공정 블록(1810)을 빠져나와 공정 블록(1811)으로 진행한다. 시간 간격 t7 내지 t8 동안,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1)에 남아 FET(110c)가 스위치 온으로 전환되기를 기다릴 수 있다.
순시치 t8에서, FET(110c)가 스위치 온으로 전환되었을 때, 배터리(108)에 의해 생성된 전류는 이제 DC-DC 컨버터(170), FET(110b)/저항기(150b) 쌍 및 FET(110c)/저항기(150c) 쌍을 통한 전도성 경로들을 가지게 된다. FET(110c)/저항(150c) 쌍을 통한 전도성 경로와 이 새로운 전도성 경로의 훨씬 낮은 임피던스를 추가하면 DC-DC 컨버터(170)로부터 더 많은 전류가 전환되어 전류가 Ilimit(A) 보다 낮은 레벨로 낮아지고, 따라서 현재 감소된 전류로 작동하는 DC-DC 컨버터(170)가 배터리 DC-DC 컨버터 설정값(본 예에서는 12.0 V)에서 출력을 조절하려고 시도함에 따라 출력 전압 Vo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할 것이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7)으로 진행하여 제어기(102)는 상태 결정 신호들을 판독한다. 공정 블록(1808)에서, 제어기(102)는 UCTE = 0, LCTE = 1, dVO/dt 양 = 1이고 dVO/dt 음 = 0이 되도록 결정되는 상태 결정 신호들의 레벨들을 평가한다. 상태 결정 신호들의 레벨들의 이러한 조합은 표 16c에 기재된 조건 3b에 해당하며, 필요한 임피던스 조치는 "없음"이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2)으로 진행하며, 전압 Vo가 LCT보다 낮으므로, LCTE=1이고,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2)으로부터 공정 블록(1807)을 거쳐 공정 블록(1808)으로 그 후 공정 블록(1812)으로 순환하고, 전압 Vo가 LCT를 초과하여 증가할 때까지 이 순환에 머물게 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순시치 t9는 출력 전압 Vo가 LCT를 초과하여 상승 및 교차하여 LCTE 신호가 로직 레벨 0으로 재설정되었음을 나타낸다(표 16a 참조). LCTE 신호가 로직 레벨 0으로 전이된 후에,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2)을 통해 다음 경로로 공정 블록(1806)으로 진행할 것이다. 시스템 및 공정(1800)은 UCTE 또는 LCTE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상승 에지에 의해 야기되는 다음 인터럽트까지 공정 블록(1806)에 남아 있을 것이다.
도 19에 표시된 바와 같이, t8 내지 t10을 포함하는 시간 간격은 부하(105)에 대한 전류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배터리(108)가 천천히 방전되는 정상 상태 조건을 나타낸다. 제어기(102)는 임피던스 조건 2 구성에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유지한다.
본 예에서, 순시치 t10dVO/dt가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값에서 상대적으로 큰 양의 값으로 갑자기 증가하는 출력 전압 Vo의 궤적에 불연속성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종류의 불연속성을 야기할 수 있는 조건은 부하(105)로의 전류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CLOAD(160)에 양의 전류가 흐르고 이에 상응하는 dVO/dt의 변화(증가)가 발생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시간 간격 t10 내지 t11 동안, 출력 전압 Vo의 값이 증가하고,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6)에서 인터럽트를 기다리고 있다.
순시치 t11은 출력 전압 Vo가 UCT를 상회하여 UCTE 신호의 상승 에지(도 20 내 순시치 t11에서 1901로 표시됨)를 야기하고 공정 블록(1806)에서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7)으로 진행하며,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결정 신호들은 제어기(102)에 의해 수신된다. 공정 블록(1808)에서, 제어기(102)는 이 상황에서 상태 결정 시스템(141)(도 16의 표 16a 및 표 16b 참조)에 의해 생성된 수신된 신호들을 UCTE = 1, LCTE = 0, dVO/dt 양 = 1 및 dVO/dt 음 = 0으로 평가한다. 표 16c에 따르면, 제어기(102)는 신호들의 조합이 조건 2b에 있다고 결정한다. 따라서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9)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제어기(102)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가 증가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는 현재 임피던스 시퀀스 2에서 구성되며(즉, FET(110b)는 스위치 온, FET(110c)는 스위치 온, FET(110d)는 스위치 오프), 제어기(102)는 표 17b로부터 임피던스의 증가가 임피던스 시퀀스 1에 구성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초래할 것이라고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제어기(102)는 제어 라인(121c)을 통해 FET(110c)를 스위치 오프시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임피던스 시퀀스 1의 구성으로 구성한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1)으로 진행하여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최대 전파 지연과 동일한 선택적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도 20을 다시 참조하면, 순시치 t12dVO/dt의 부호가 변경되고 dVO/dt 양 및 dVO/dt 음의 신호들의 로직 레벨들이 반전되는 임피던스 증가의 효과를 도시한다.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7)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결정 신호들의 레벨들은 제어기(102)에 의해 수신되고 판독된다. 공정 블록(1808)에서, 제어기(102)는 이 상황에서 상태 결정 시스템(141)(도 16의 표 16a 및 표 16b 참조)에 의해 생성된 수신 신호들을 UCTE = 1, LCTE = 0, dVO/dt 양 = 0, dVO/dt 음 = 1로 평가한다. 표 16c에 따르면, 제어기(102)는 신호들의 조합이 조건 2c에 있다고 결정한다. 공정 블록(1808)은 "어느 쪽도 아님" 경로에 의해 종료되고,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2)으로 진행한다. UCTE 신호는 로직 레벨 1에 유지되므로,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출력 전압 Vo가 UCT 아래로 강하할 때까지 공정 블록들(1807, 1808)을 거쳐 공정 블록(1812)으로 순환하여(도 20 내 순시치 t13에 표시됨), UCTE 신호가 로직 레벨 1에서 로직 레벨 0으로 전이된다(표 16a 참조). 공정 블록(1812)이 다음에 처리될 때, UCTE 또는 LCTE 신호들 중 어느 것도 로직 레벨 1에 있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2)을 종료하고 공정 블록(1806)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시스템 및 공정(1800)은 인터럽트를 다시 기다릴 것이다.
순시치 t14는 출력 전압 Vo가 LCT 아래로 떨어져서 LCTE 신호가 로직 레벨 0에서 로직 레벨 1(도 20 내 순시치 t14에서 1902로 표시됨)로 전환되어 공정 블록(1806)에서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7)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결정 신호들의 레벨들은 제어기(102)에 의해 수신되고 판독된다. 공정 블록(1808)에서, 제어기(102)는 이 상황에서 상태 결정 시스템(141)(도 16의 표 16a 및 표 16b 참조)에 의해 생성된 수신된 신호들을 UCTE = 0, LCTE = 1, dVO/dt 양 = 0 및 dVO/dt 음 = 1로 평가한다. 표 16c에 따르면, 제어기(102)는 신호들의 조합이 조건 3c에 있다고 결정한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0)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는 표 17b의 진리표에 따라 임피던스 시퀀스 1로 구성되며, 조건 3c에 대응하는 임피던스 시퀀스의 다음 단계는 임피던스 시퀀스 2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제어기(102)는 FET(110b)를 스위치 온 상태로 유지하고, 제어기(102)는 제어 신호(121c)를 통해 FET(110c)를 온 상태로 전환한 다음, 공정 블록(1810)을 종료하고 공정 블록(1811)으로 진행한다. 공정 블록(1811)에서, 선택적인 적절한 전파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공정 블록(1807)에서, 제어기(102)는 순시치 t15 직후에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결정 신호들을 판독한다. 공정 블록(1808)에서, 제어기(102)는 이 상황에서 상태 결정 시스템(141)에 의해 생성된 수신된 신호들을 평가하고(도 16의 표 16a 및 표 16b 참조), 상태 결정 신호들이 UCTE = 0, LCTE = 1, dVO/dt 양 = 0 및 dVO/dt 음 = 1인 순시치 t14에 있을 때와 같은 구성으로 상태 결정 신호들이 남아 있다고 결정한다. 표 16c에 따르면, 제어기(102)는 신호들의 조합이 조건 3c에 남아 있다고 결정한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0)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가 임피던스 시퀀스 2로 구성되므로, 조건 3c에 대응하는 임피던스 시퀀스 내의 다음 단계는 임피던스 시퀀스 3인 것으로 결정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제어기(102)는 FET들(110b 및 110c)를 스위치 온으로 유지하고, 제어기(102)는 제어 신호(121d)를 통해 FET(110d)를 온으로 전환한다. 이 비제한적인 예에 따르면,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는 이제 최저 임피던스 상태에 있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0)을 종료하고, 공정 블록(1811)으로 진행하며, 여기서는 선택적으로 순시치 t16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파 지연 시간 간격을 기다릴 수 있다.
순시치 t16 이후에,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1)으로부터 공정 블록(1807)으로 진행하며, 상태 결정 시스템(141)에 의해 생성된 상태 결정 신호들은 제어기(102)에 의해 수신된다. 공정 블록(1808)에서, 제어기(102)는 수신된 신호들을 평가하고, 상태 결정 신호들을 UCTE = 0, LCTE = 1, dVO/dT 양 = 1 및 dVO/dT 음 = 0으로 결정한다. 표 16c에 따르면, 제어기(102)는 신호들의 조합이 조건 3b에 있다고 결정한다. 시스템 및 공정(1800)은 어떠한 임피던스 작용도 취하지 않고, "어느 쪽도 아님"으로 표시된 경로를 통해 공정 블록(1808)을 종료하고 공정 블록(1812)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LCTE 신호는 로직 레벨 1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결정된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순시치 t1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전압 Vo이 LCT를 넘을 때까지 공정 블록들(1807, 1808)을 거쳐 그리고 다시 공정 블록(1812)으로 되돌아가는 연속적인 순환을 행한다. 이 시점에서, LCTE 및 UCTE 신호들은 둘 모두 로직 레벨 0에 있으며, 공정 블록(1812)을 통과하는 다음 단계에서,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6)으로 빠져나가, 다음 인터럽트를 기다린다.
순시치 t18dVO/dT의 변화를 나타내며, 이는 부하 전류의 증가와 같은 이벤트에 기인할 수 있다. 출력 전압 Vo는 UCT 및 LCT에 의해 설정된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공정 블록(1806)에는 인터럽트가 생성되지 않으며,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6)에 남아 있다. 순시치 t19는 부하(105)로 전달되는 전류의 감소가 있을 때 시스템(100)의 작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이벤트를 나타낸다. 출력 전압 Vo는 여전히 UCT 및 LCT에 의해 설정된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공정 블록(1806)에서 인터럽트가 생성되지 않는다. 시스템 및 공정(1800)은 인터럽트를 기다리는 공정 블록(1806)에 남아 있다.
순시치 t20은 출력 전압 Vo가 UCT를 상회하여 UCTE 신호(도 20 내 순시치 t20에서 1901로 표시됨)에 상승 에지가 발생하여 공정 블록(1806)에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때를 나타낸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07)으로 진행하며, 여기서 상태 결정 시스템(141)으로부터 수신된 상태 결정 신호들의 레벨들은 제어기(102)에 의해 수신되고 판독된다. 공정 블록(1808)에서, 제어기(102)는 이 상황에서 상태 결정 시스템(141)(도 16의 표 16a 및 16b 참조)에 의해 생성된 수신된 신호들을 UCTE = 1, LCTE = 0, dVO/dT 양 = 1 및 dVO/dT 음 = 0으로 평가한다. 표 16c에 따르면, 제어기(102)는 신호들의 조합이 조건 2b에 있다고 결정한다. 공정 블록(1808)은 경로 2b를 통해 종료되고, 공정 블록(1809)이 실행된다. 공정 블록(1809)에서, 제어기(102)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가 증가해야 하며,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는 현재 임피던스 시퀀스 3에 따라 구성되어 있으므로 증가된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도 17의 표 17b의 다음 단계는 임피던스 시퀀스 2로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제어기(102)는 임피던스 시퀀스 2에 따라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제어 라인(121d)을 통해 FET(110d)를 스위치 오프시킬 것이다. 그 후, 시스템 및 공정(1800)은 공정 블록(1811)으로 진행하여 본 명세서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최대 전파 지연(시간 간격 t20 내지 t21로 표현됨)과 동일한 선택적 대기 조건으로 진입한다.
배터리 시스템(106)은 배터리(108)의 에너지가 고갈되고 배터리 시스템(106)이 셧 오프될 때까지, 또는 AC 전원이 복원되고 PSU(101)가 다시 작동할 때까지 시스템 및 공정(1800)에 따라 출력 전압(Vo)을 조절하면서 배터리(108)를 계속 방전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상황에서, 제어기(102)는 모든 FET들이 스위치 오프될 때까지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도록(예를 들어, 도 17의 표 17b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DC-DC 컨버터(170)는 스위치 오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느 시점에서, 충전기(103)를 통해 배터리(108)로 충전이 복원될 수 있다. 배터리(108)의 에너지가 고갈되는 상황(예를 들어, 전압 센서(147)을 통해 감지된 배터리(108)의 단자 전압이 도 10의 구역 2 및 구역 1의 경계에 있는 전압과 동일한 레벨로 강하는 경우)에서, 제어기(102)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에서 모든 FET들을 스위치 오프시키고 DC-DC 컨버터(170)를 오프로 전환하는 것과 같이 함으로써 배터리 시스템을 턴 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의 예시적인 작동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는 몇 가지 단자 구성들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한 구성에서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 내의 모든 FET/저항기 쌍들이 스위치 오프되므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는 배터리(108)로부터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통해 부하(105)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시스템(100)의 초기 상태 동안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108)로부터의 전류는 DC-DC 컨버터(170)를 통해서만 공급될 것이며, DC-DC 컨버터는 부하(105)에 공급되는 전류가 증가하여 전류 제한 전이점 Ilimit(A)에 도달하는 지점까지 출력 전압 Vo를 UCT와 LCT 사이의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하고, DC-DC 컨버터(170)의 출력 전압은 떨어진다. DC-DC 컨버터(170)의 출력 전압이 LCT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기(102)가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를 감소시키고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 내의 모든 FET/저항기 쌍들이 스위치 오프되므로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는 제어기(102)에 이용할 수 있는 전체 범위의 임피던스 감소 작용들(예를 들어, 도 17의 표 17a, 표 17b, 표 17c 참조)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기(102)가 (예를 들어, 요구되는 부하 전류의 감소에 응답하여)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UCTE가 충분한 횟수만큼 촉발되어 모든 FET/저항기 쌍들이 스위치 오프될 때, 부하(105)로의 나머지 전류는 부하(105)로의 전류가 충분히 떨어져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를 통하는 전류를 위해 제공되는 임의의 추가적인 전도 경로들 없이 DC-DC 컨버터(170)가 출력 전압 Vo를 다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DC-DC 컨버터(170)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다른 단자 구성에서는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 내의 모든 FET/저항기 쌍들이 스위치 온되어 있고 제어기가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의 임피던스를 더 이상 감소시킬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7의 표 17a, 표 17b, 표 17c에 명시된 임피던스 시퀀스 중 하나에 따라). 예를 들어, 이는 V-I 곡선들의 배터리(108) 작동 지점이 구역 2의 하한에 있는 경우와 같이 부하 전류들이 높거나 그리고/또는 배터리 충전 상태가 낮은 조건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8 및 도 10 참조). 이러한 상황들에서, 선형 레귤레이터 또는 벅 컨버터를 DC-DC 컨버터(170)로서 사용하고 배터리(108)의 방전으로 인해 배터리(108)의 작동 지점이 구역 2 영역과 구역 1 영역 사이의 경계선에 근접할 때, 제어기(102)는 출력 전압(Vo)이 조절 하한(예를 들어, 도 12 참조)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하(105)에 공급되는 전류 또는 시스템(100)의 작동을 줄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벅-부스트 컨버터가 DC-DC 컨버터(170)로서 사용되는 경우, 부하(105)에 공급되는 전류가 전류 제한 전이점 미만의 값으로 감소되면 추가 옵션들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이 완료되면, 시스템(100)의 작동은 배터리(108)의 작동 지점이 허용된 최소 배터리 전압을 나타내는 구역 1 영역의 하단 경계에 도달할 때까지 DC-DC 컨버터(170)를 통해 배터리(108)의 방전을 계속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상황은 부하(105)에서의 단락 또는 시스템(100)의 설계점을 벗어나는 다른 과부하로서, 배터리 작동 지점이 배터리(108)의 허용된 특성 V-I 곡선들을 벗어나는 전류 레벨들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배터리(108)와 부하(105) 사이의 모든 전류 경로들을 종료함으로써(예를 들어, N 개의 FET/저항기 쌍 네트워크 내의 모든 FET/저항기 쌍들을 스위치 오프함으로써) 스스로를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C-DC 컨버터(170)는 또한 제어 라인(171)을 통해 스위치 오프될 수 있지만, 이는 DC-DC 컨버터(170)가 전류 제한 특성에 의해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전술한 설명의 결과로, 시스템(100)은 시스템(100)을 전압 레귤레이터로서(예를 들어, 배터리 백업 유닛 또는 DC UPS로 사용하기 위한) 구현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작동 전압 범위 내에서(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이러한 출력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배터리(108)가 방전될 때 배터리(108)로부터 부하(105)에 제공되는 출력 전압을 원하는 전압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배터리를 전원으로서 사용하는 것으로(예를 들어, 배터리 백업 목적으로) 개시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전원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시스템(100)은 조절되지 않은 출력 전압(예를 들어, 이러한 전원의 출력 전압은 특정 배전 버스 및 이에 관련된 부하에 대한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밖에서 변동됨)을 갖는 임의의 유형의 전원(배터리 대신)과 함께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예를 들어, 시스템 및 공정(1800))은 시스템, 방법 및/또는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예를 들어, 시스템 및 공정(1800)) 및 도 14에 도시된 임계값 검출 및 미분기 블록들은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 또는 본 명세서에서는 모두 일반적으로 "회로", "회로망",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양태들을 결합한 실시예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가 실현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에 실현된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그러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18의 도면들에 표시된 회로 블록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또는 기능들, 및 도 14 및 도 15의 도면들에 표시된 회로 블록도들의 블록들의 조합들 및/또는 기능들은 지정된 기능들 또는 작용들을 수행하거나 특수 목적의 하드웨어 및 컴퓨터 명령들의 조합들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의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예를 들어, 제어기(102))은 맞춤형 VLSI 회로들 또는 게이트 어레이들, 로직 칩들, 트랜지스터들, 제어기들 또는 다른 개별 구성요소들과 같은 기성품 반도체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예를 들어, 제어기(102))은 또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디바이스들로 구현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현재 공개된 주제의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단수를 나타내는 용어는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출원에 사용될 때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은 주어진 값이 종점보다 "약간 위" 또는 "약간 아래"일 수 있다고 규정함으로써 수치 범위 종점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으로"는 작용, 특성, 속성, 상태, 구조, 항목 또는 결과의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범위 또는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물체가 "실질적으로" 둘러싸여 있다는 것은 물체가 완전히 둘러싸이거나 거의 완전히 둘러싸여 있음을 의미한다. 절대적 완전성으로부터의 정확한 허용 편차 정도는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특정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하면, 완료에 근접했다는 것은 절대적이고 전체적인 완성을 달성한 것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가질 것이다. "실질적으로"의 사용은 작용, 특성, 속성, 상태, 구조, 항목 또는 결과의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결여를 나타내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과, 개체들의 목록에 대한 문맥에서 사용될 때 두 단어 사이에 부호 "/"의 사용은 개체들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A, B, C 및/또는 D"라는 문구는 A, B, C 및 D를 개별적으로 포함하지만, A, B, C 및 D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들, 및 하위 조합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기적 또는 전자적 회로망에서 경로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적으로 결합된"이라는 용어 또는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전기 에너지(즉, 전류)에 대한 전도 경로를 갖는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구성요소들이 결합되거나 전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전류가 전도 경로를 따라 흐를 필요는 없다. 구성요소들은 낮은 임피던스 와이어 등만을 포함하는 전도 경로와 직접 연결되거나, 전기 에너지가 전도 경로를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들 또는 더 높은 임피던스 구성요소들과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8)

  1. 배전 버스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배전 버스에 전달되는 출력 전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상기 출력 전압은 제1 전원에 의한 상기 배전 버스로의 전류 전달에 기인함―; 및
    상기 모니터링된 출력 전압이 DC-DC 컨버터의 전압 조절 설정값과 동일한 레벨로 강하할 때, 제2 전원으로부터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상기 배전 버스로 전류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제2 전원과 상기 배전 버스 사이에서 N 개의 FET/저항기 쌍들(N≥1)의 네트워크와 병렬로 결합되는,
    배전 버스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출력 전압이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강하할 때, 상기 제2 전원으로부터 상기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전 버스로 전류를 전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배전 버스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상기 네트워크 내 N 개의 FET들은 상기 모니터링된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강하하기 전에 상기 전류가 상기 DC-DC 컨버터에 의해 전달될 때 스위치 오프되어, 상기 모니터링된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강하하기 이전의 제1 기간 동안 상기 제2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전 버스로 전류가 전달되지 않는, 배전 버스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전 버스로 전달된 상기 전류는 상기 모니터링된 출력 전압이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강하한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상기 DC-DC 컨버터 및 상기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공유 방식으로 전달되는, 배전 버스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은 방전 배터리인, 배전 버스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출력 전압의 상기 강하는 상기 제1 전원의 장애에 기인하는, 배전 버스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출력 전압이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으로 강하할 때, 상기 제2 전원으로부터 상기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전 버스로 전류를 전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상기 네트워크 내 상기 N 개의 FET들 중 하나 이상을 스위치 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전 버스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8. 전원으로부터 배전 버스를 통해 부하로의 전류 전달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배전 버스로의 전압 공급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과 상기 배전 버스 사이에서 병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전도성 경로들 각각을 통해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배전 버스로 전달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상기 전압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경로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전원과 상기 배전 버스 사이에서 병렬로 결합되는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N 개의 FET/저항기 쌍들 각각은 저항기와 직렬로 결합되는 FET를 포함하는,
    전류 전달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상기 전압을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미리 결정된 시퀀스에 따라 상기 N 개의 FET들 각각을 선택적으로 스위치 온 및 오프함으로써, 상기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상기 네트워크의 총 임피던스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류 전달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저항기들 각각은 상이한 저항값을 갖는, 전류 전달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FET/저항기 쌍들의 상기 네트워크의 총 임피던스를 수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전압이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전압이 시간에 따라 강하할 때, 상기 총 임피던스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압이 제2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전압이 시간에 따라 증가할 때, 상기 총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미리 결정된 임계값들은 상기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 방법.
  12. 배전 버스를 통해 부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시스템으로서,
    전원;
    상기 전원의 출력 단자와 상기 배전 버스 사이에 결합되는 N 개(N>1)의 트랜지스터들의 네트워크―상기 N 개의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저항기와 직렬로 결합됨―;
    상기 전원의 상기 출력 단자와 상기 배전 버스 사이에서 상기 N 개의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네트워크와 병렬로 결합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DC-DC 컨버터 및 N 개의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네트워크의 활성/비활성의 함수로서 조절되는 출력 전압 레벨로 상기 전원이 상기 배전 버스를 통해 상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DC-DC 컨버터 및 상기 N 개의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네트워크를 선택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활성/비활성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하나 이상의 직렬-연결된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인, 전력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미리 결정된 시퀀스에 따라 N 개의 병렬-연결된 트랜지스터/저항기 쌍들의 특정 개수를 활성/비활성시킴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전체의 전압 강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 레벨은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되는, 전력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태 결정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상태 결정 시스템은,
    상기 출력 전압 레벨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미분기; 및
    상기 출력 전압 레벨이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2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일 때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임계값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퀀스에 따라 상기 N 개의 병렬-연결된 트랜지스터/저항기 쌍들의 특정 개수를 선택적으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활성/비활성시킴으로써 상기 출력 전압 레벨을 상기 지정된 부하 전압 허용 오차 범위 내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시스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출력 전압 레벨이 상기 제2 미리 결정된 임계값 미만이고, 상기 출력 전압 레벨이 시간에 따라 감소할 때, 상기 네트워크의 총 임피던스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회로망; 및
    상기 출력 전압 레벨이 상기 제1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출력 전압 레벨이 시간에 따라 증가할 때, 상기 총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회로망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네트워크와 병렬로 결합되는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전원의 최대 출력 전력의 약 30 % 이하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시스템.
KR1020237002534A 2021-10-19 2021-10-19 전력 시스템 KR202400786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1/055671 WO2023069082A1 (en) 2021-10-19 2021-10-19 Pow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8602A true KR20240078602A (ko) 2024-06-04

Family

ID=8605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2534A KR20240078602A (ko) 2021-10-19 2021-10-19 전력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197075A4 (ko)
KR (1) KR20240078602A (ko)
CN (1) CN116267028A (ko)
WO (1) WO2023069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65356B (zh) * 2023-07-06 2023-09-29 共模半导体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4898A1 (en) * 2008-12-31 2010-07-07 STMicroelectronics Srl Switching power supply system comprising cascaded PFC and resonant converters
DE102016205037A1 (de) * 2016-03-24 2017-09-28 Robert Bosch Gmbh Gleichspannungs-Konverter und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Gleichspannungs-Konverters
US11171507B2 (en) 2017-12-22 2021-11-09 Litech Laboratories, Inc. Connection of battery system to electrical distribution 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7075A4 (en) 2024-04-03
EP4197075A1 (en) 2023-06-21
CN116267028A (zh) 2023-06-20
WO2023069082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467B1 (ko) 전기적 분배 버스로의 배터리 시스템의 연결
US11695293B2 (en) Power system
Muniandi et al. A 97% maximum efficiency fully automated control turbo boost topology for battery chargers
US6163086A (en) Power supply circuit and a voltage level adjusting circuit and method for a portable battery-powered electronic device
US9667094B1 (en) Battery backup system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US8125189B2 (en) Systems for charging a battery in a closed loop configuration
US201601341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management
US7402986B2 (en) Power supply circuit for portable battery powered device
KR20070024493A (ko) 보다 작고 보다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전력 공급 모듈
CN107888087A (zh) 包括逻辑电路的电源
EP2807718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ntrol in distributed power architecture
GB2416606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portable battery powered device
US11424629B1 (en) Battery charging and discharging circuit and terminal devices
US102366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asymmetrical multi-tapped battery packs
US202200941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power delivery in power supply system
US11831167B2 (en) Persistent Dc circuit breaker
KR20240078602A (ko) 전력 시스템
US20190148955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TW202324897A (zh) 電源系統
US201600062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End Of Life For Multiple Batteries And/Or Battery Backup Units
CN117996876A (zh) 电池充电方法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