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5624A - 숙면을 제공하는 목침 - Google Patents

숙면을 제공하는 목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5624A
KR20240075624A KR1020220172736A KR20220172736A KR20240075624A KR 20240075624 A KR20240075624 A KR 20240075624A KR 1020220172736 A KR1020220172736 A KR 1020220172736A KR 20220172736 A KR20220172736 A KR 20220172736A KR 20240075624 A KR20240075624 A KR 20240075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illow
leg
sleep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filed Critical 김대영
Publication of KR2024007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5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면 제공용 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잠을 자는 동안에 사용자의 머리를 직접 받쳐주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의 네곳 모퉁이 부분에 형성된 베개다리부를 포함하고 있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딱딱하고 견고한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정면에서 바라볼 때 그 양쪽에서 그 중앙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라운드를 형성하면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받침판의 두께는 그 중앙부위가 가장 얇고, 그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멀어져 감에 따라 점점 두꺼워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개다리부는, 정면에서 볼 때, 전면좌측다리와 전면우측다리와 후면좌측다리와 후면우측다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전면부분과 그 후면부분에서는 보강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그 측면부분에서는 보강대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기가 자연스럽게 흘러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된 열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외부롤 발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에게 숙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숙면을 제공하는 목침{Wooden pillow for a good night's sleep}
본 발명은 목재를 가공하여 만든 베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이 숙면을 취할 경우 사용자들의 머리 부분을 시원하게 해주고 목의 경추를 충분하게 쉴 수 있도록 해주는 목재 베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평생을 살아가면서 대략 사회적인 활동을 하는데 1/3 정도, 휴식을 취하는데 1/3 정도, 그리고 잠을 자는데 1/3 정도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적인 활동은 대부분 낮에 이루어지는 반면에, 잠은 대부분 밤에 이루어지게 되고, 휴식은 이들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사람들이 잠을 자는 것에 대하여, 이전에는 사회생활의 일부를 허비하는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인간의 잠은 인간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밤에 잠을 깊이 있게 잘 자는 것, 다시 말해 야간의 좋은 숙면은 주간의 사회활동에 필수적인 것으로 점차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사람들이 밤에 이루는 숙면은 단순한 피로회복의 차원을 넘어서서, 건강하고 건전한 사회활동의 기본 전제 조건으로 밝혀지고 있는 바, 낮에 소진하였던 에너지를 다시 충전시킬 기회를 보장해주고, 신체의 각종 기관들이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여 다음 날 다시 새롭게 활동할 수 있는 토대를 준비하도록 해주며, 주간에 입력을 받았던 각종 정보들을 뇌의 중추신경에 의해 적절한 부위에 전달하고 보관하여 논리정연한 지식정보의 축적에 기여하도록 해주며, 신체 내부에서 자율신경계의 도움을 받아 각종 영양성분들과 단백질의 합성 및 분해 작용 등을 원만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에 기초하여, 최근에는 충분하고 완전한 숙면이 더욱 활동적이고 적극적인 사회활동의 기본조건이 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더욱 편안하고 편리하며 효과적인 숙면을 위한 베개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오늘날 개량되어진 베개들은 대부분 푹신하고 감촉이 좋은 침구류에 발맞추어, 사용자들이 잠을 잘 경우, 그들의 머리 부위가 완전히 잘길 정도로 이루어진 베개들이거나, 각종 기능적인 기구들을 부착한 베개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베개들은 인간이 잠을 잘 경우, 그들이 신체들이 완전하고 충분하게 쉴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본 발명과 관련하여, 그 선행기술로 여겨질 수 있는 종래의 베개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7403호 (공고일: 2002. 3. 1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9355호 (공고일: 2003. 10. 1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6001호 (공고일: 2022. 10. 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1189 (공개일: 2012. 11. 05.); 등록특허공보 제10-0984564호 (공고일: 2010. 09. 24.); 등록특허공보 제10-1635472호 (공고일: 2016. 07. 01.)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숙면을 취하고자하는 자들이 잠을 자는 동안에, 그 숙면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베개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숙면자의 머리와 그 숙면자의 척추의 사이에 위치한 경추부분에 대해서는 어떠한 자극적인 요소를 부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베개 사용자들에게 요구되는, 충분하고도 필요한 숙면을 제공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숙면 제공용 베개는, 사용자들이 잠을 자는 동안에 사용자의 머리를 직접 받쳐주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의 사면 귀퉁이 부분에 형성된 베개다리부를 포함하고 있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딱딱하고 견고한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받침판의 중앙 부분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그 양쪽에서 그 중앙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라운드를 형성하면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받침판의 두께는 숙면을 취하는 자의 머리가 직접 놓여져 맞닿는 머리 접촉부에서 가장 얇고, 그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멀어져 감에 따라 점점 두꺼워지게 되고, 상기 베개다리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다리 연결부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개다리부는 정면에서 볼 때 전면좌측다리와 전면우측다리와 후면좌측다리와 후면우측다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좌측 다리와 상기 전면우측다리는 상기 받침판 및 전면보강대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후면좌측다리와 상기 후면우측다리는 상기 받침판 및 후면보강대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좌측다리와 상기 후면좌측다리는 상기 받침판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전면우측다리와 상기 후면우측다리는 상기 받침판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숙면 제공용 베개는, 사용자가 잠을 청하기 위해 그의 머리를 베개 위에 올려 놓을 경우, 그의 머리를 자연스럽게 받침판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 때, 그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량을 직접 전달받게 되고, 그 열량을 그 저면에서 외부 공기에 의해 쉽고 빠르게 소진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재질을 목재로 형성할 경우, 그 목재 특유의 자연산 향기를 숙면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그 목재를 편백나무로 선택할 경우, 그 편백나무에서 나오는 천연 피톤치드향을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면 제공용 베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면을 취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생된 열량을 신속하고 안전하고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을 취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들의 경추가 외부로부터 어떠한 힘을 받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의 경추가 수면 상태에서 충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하나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높이조절기구를 사용한 실시예에 관한 사진자료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들에게 충분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베개(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숙면 제공용 베개(100)는, 사용자들이 잠을 자는 동안에 사용자의 머리를 직접 받쳐주는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의 사면 귀퉁이 부분에 형성된 베개다리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0)은 딱딱하고 견고한 목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베개를 목제 재질로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2가지로, 그 중 하나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과 베개의 접촉 부위를 최소화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에게 취침시에 목재로부터 나오는 천연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과 베개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취침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다른 신체 부위가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러한 점은 푹신푹신한 재질로서는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딱딱한 소재의 베개는 자는 동안 머리가 베개의 속으로 꺼지거나 베개의 속으로 파묻히지 않고 단단하게 받쳐주게 된다. 쿠션감이 있는 소재의 베개는 피부가 닿는 접촉 부분에 포근한 감촉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긴 하지만, 상대적으로 잠을 자는 동안 그 부위의 근육은 긴장을 유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베개 속으로 들어가 있는 머리의 무게를 지탱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쿠션감이 있는 베개를 사용하였을 경우, 숙면을 취할 수 없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취침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베개에서 우러나오는 천연 향을 제공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에서, 본 발명은 베개의 재질로서 편백나무 또는 캄포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나무 베개로부터 천연 피트치드 향을 만끽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10)은 평평하게 이루어져 있지 아니하고, 그 중앙 부위가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는 반면에 좌우 양쪽 방향의 끝단부위는 약간 올라가 있는 상태를 이루고 있고, 그 저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110)은 그 좌우 양단 끝에서 그 중앙 부위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점차 내려가게 되는 라운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는 상기 받침판(110)의 중앙 부분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그 양쪽에서 그 중앙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라운드를 형성하면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받침판(110)의 두께는 숙면을 취하는 자의 머리가 직접 놓여져 맞닿는 머리 접촉부에서 가장 얇고, 그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멀어져 감에 따라 점점 두꺼워지게 되고, 상기 베개다리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다리 연결부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중앙부분의 두께(D1)는 그 중간 부분의 두께(D2)보다 얇고, 상기 중간 부분의 두께(D2)는 그 양쪽 끝단부의 두께(D3)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상호 비교하면, 상기 중앙부분의 두께(D1) < 상기 중간 부분의 두께(D2) < 상기 양쪽 끝단부의 두께(D3)의 관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부분의 두께(D1)는 베개의 다른 부분의 두께 보다 가장 얇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받침판(110)의 형상을 그 중앙부위를 가장 얇은 형태로 만들고, 이들을 라운드 형상으로 제조한 이유는, 크게 2가지로 축약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숙면을 취하는 자의 머리를 그 중앙 부위에 올 수 있도록 하고, 다른 부위에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다른 선행 기술들에서도 이미 설명되고 있다. 그 둘째는 숙면을 취하는 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량을 가장 쉽게 그 주변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방출되는 열량은 동일한 면적과 동일한 온도 차이를 기준으로 할 때, 그 전열매체의 두께(D)에 반비례한다는 원칙을 고려한 것이다. 이를 관련된 식(1)으로 살펴보면,
이때, Q는 베개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머리의 열량,
r은 목재의 전열계수,
A는 머리의 닿는 부위의 면적,
T1 - T2는 머리의 온도와 목재의 온도 차이, 그리고
D는 목재의 두께이다.
따라서, 베개의 두께(D)가 얇을수록 그 베개로부터 방출되는 열량(Q)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숙면자의 머리에서 방출되는 열량(Q)은 본 발명의 베개의 측면에 완전히 비어 있는 빈공간의 통풍공간(180)을 통하여 흘러들어가거나 흘러나오는 공기들로 인하여 쉽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숙면 베개는 아직 소개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에 의한 베개(100)는 상기 받침판(110)의 아래쪽 네 곳 모퉁이에 다리를 가지고 있는 베개다리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개다리부(120)는, 정면에서 볼 때, 전면좌측다리(122)와 전면우측다리(124)와 후면좌측다리(126)와 후면우측다리(128)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다리는 상기 받침판(110)의 저면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판(110)에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면좌측다리(122)와 상기 전면우측다리(124)는 서로 이격되어 있지만, 상기 받침판(110) 및 전면보강대(13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면좌측다리(126)와 상기 후면우측다리(128)는 역시 서로 이격되어 있지만, 상기 받침판(110) 및 후면보강대(13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관계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베게(100)를 베고 잠을 자고자 할 때, 사용자의 머리 무게로 인하여 상기 받침판(110)이 아래쪽으로 내리 눌러지는 힘을 대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베개다리부(120)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전면좌측다리(122)와 상기 후면좌측다리(126)는 상기 받침판(110)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면우측다리(124)와 상기 후면우측다리(128)는 상기 받침판(110)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상기 전면보강대(132) 또는 상기 후면보강대(13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좌측다리(122)와 상기 후면좌측다리(126)를 상기 받침판(110)에 의해서만 연결시키고, 상기 전면우측다리(124)와 상기 후면우측다리(128)를 상기 받침판(110)에 의해서만 연결시키는 이유는, 본 발명의 베개(100)의 기능 중의 하나인 사용자의 머리에서 나오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키는 기능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면보강대(132) 및 상기 후면보강대(134)와 동일한 기능의 부재를 두지 않고, 그 대신 그 위치를 빈 공간으로 남겨 둠으로써, 그 빈공간을 통하여 주변의 공기가 자유롭게 흘러들어가거나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베개들의 경우, 대부분 바닥에 밀착시키거나 설혹 다리부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본 발명과 같은 통풍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아니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통풍 구조를 더욱 명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바닥면(G)에서 상기 받침판(110)의 저면까지는 완전히 비어 있는 통풍공간(180)을 형성한다. 상기 통풍공간(180)을 형성하는 길이(H)는 상기 받침판(110)의 양쪽 끝단부의 두께(D3)에 비하여 최소한 2배 내지 4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통풍공간(180)의 길이(H)가 상기 두께(D3)의 2배 보다 짧을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에 의한 통풍 효과가 좋지 못한 반면에, 상기 통풍공간의 길이(H)가 상기 두께(D3)의 4배 이상일 경우에는 베개(100)의 높이가 너무 높아져서 사용자가 베개를 사용하는데 불편하므로 적합하지 못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본 발명의 숙면 제공용 베개(100)는, 사용자가 잠을 청하기 위해 그의 머리를 베개 위에 올려 놓을 경우, 그의 머리를 자연스럽게 받침판의 중앙 부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이때, 그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량을 그 저면에서 외부 공기에 의해 쉽고 빠르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재질을 목재로 형성할 경우, 그 목재 특유의 자연산 향기를 숙면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그 목재를 편백나무로 선택할 경우, 그 편백나무에서 나오는 천연 피톤치드향을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베개(100)는 상기 전면보강대(132) 또는 상기 후면보강대(134)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양쪽에 지압돌기(136)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압돌기(136)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베개(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자리 또는 뭉쳐있는 근육을 풀어주기 위한 지압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베개(100)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베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높이조절 부재(150)를 별도로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 부재(150)는 본 발명의 베개(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필요한 경우, 하나의 조절부재 또는 복수의 조절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필요상, 제1 조절부재(10)와 제2 조절부재(20) 및 제3 조절부재(30)로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조절부재들은 각각 결합용 돌기부(12)와 결합용 구멍부(14)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베개(100)를 직접 그 위에 놓여주게 되는 제3 조절부재(30)의 경우에는, 그 사각 모서리부에 양각으로 튀어나온 결합돌기(32)를 포함하고 있거나 음각으로 움푹 패여 들어간 결합홈(34)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베개(100)는 상기 받침판(110)에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는 열배출통로(138)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배출통로(138)는 상기 받침판(110)에서 사용자의 머리가 접촉되는 부위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상기 통풍공간(180)으로 연결되는 통로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베개(100)는 상기 받침판(110)의 표면에 기능성 부재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부재 장착부(11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부재 장착부(112)는 사용자의 머리에 피로감을 쉽게 해소시키거나 긴장감을 풀어줄 수 있는 기능성 부재를 장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그 중앙 부위에 하나의 센터구멍과 6개의 주변구멍들로 구성되어 있는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베개(100)는 사용자가 누워 있을 경우,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베개(100)의 받침판(110)의 오목하게 들어간 중앙 부위에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의 경추부위에 대해서는 어떠한 부재도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경추부위에 아무런 자극도 부여하지 않으며, 취침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경추와 그 주변의 근육들은 충부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쉴 수 있는 것이고, 그 다음 날 상쾌한 기분으로 다시 하루 일과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숙면 제공용 베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숙면 제공용 베개
110 : 받침판, 112 : 기능부재 장착부,
120 : 베개다리부, 122 : 전면좌측다리,
124 : 전면우측다리, 126 : 후면좌측다리,
128 : 후면우측다리, 132 : 전면보강대,
134 : 후면보강대, 136 : 지압돌기,
138 : 열배출통로.

Claims (6)

  1. 사용자들이 잠을 자는 동안에 사용자의 머리를 직접 받쳐주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의 사면 귀퉁이 부분에 형성된 베개다리부를 포함하고 있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딱딱하고 견고한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받침판의 중앙 부분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그 양쪽에서 그 중앙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라운드를 형성하면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받침판의 두께는 숙면을 취하는 자의 머리가 직접 놓여져 맞닿는 머리 접촉부에서 가장 얇고, 그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멀어져 감에 따라 점점 두꺼워지게 되고, 상기 베개다리부에 상응하는 위치의 다리 연결부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개다리부는, 정면에서 볼 때, 전면좌측다리와 전면우측다리와 후면좌측다리와 후면우측다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좌측 다리와 상기 전면우측다리는 상기 받침판 및 전면보강대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후면좌측다리와 상기 후면우측다리는 상기 받침판 및 후면보강대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좌측다리와 상기 후면좌측다리는 상기 받침판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면우측다리와 상기 후면우측다리는 상기 받침판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숙면 제공용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두께를 상호 비교할 경우,
    중앙부분의 두께(D1)는 그 중간 부분의 두께(D2)보다 얇고,
    상기 중간 부분의 두께(D2)는 그 양쪽 끝단부의 두께(D3)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상호 비교할 때, 상기 중앙부분의 두께(D1) < 상기 중간 부분의 두께(D2) < 상기 양쪽 끝단부의 두께(D3)의 관계를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숙면 제공용 베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그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면좌측다리와 후면좌측다리를 서로 연결시키고, 전면우측다리와 후면우측다리를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받침판의 저면과 바닥면 사이는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통풍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통풍공간은 바닥면과 상기 받침판의 저면의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통풍공간의 길이(H)는 상기 받침판(110)의 양쪽 끝단부의 두께(D3)에 비하여 최소한 2배 내지 4배 정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숙면 제공용 베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그의 저면에 전면 보강대와 후면 보강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면 보강대와 후면 보강대는 그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모두 지압돌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숙면 제공용 베개.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사용자의 머리가 접촉되는 부위 또는 그 근처에, 사용자의 머리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는 열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숙면 제공용 베개.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그의 표면에 기능성 부재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능부재 장착부(11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숙면 제공용 베개.
KR1020220172736A 2022-11-22 2022-12-12 숙면을 제공하는 목침 KR20240075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428 2022-11-22
KR20220157428 2022-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5624A true KR20240075624A (ko) 2024-05-29

Family

ID=9127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736A KR20240075624A (ko) 2022-11-22 2022-12-12 숙면을 제공하는 목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562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03Y1 (ko) 2001-12-12 2002-03-12 문형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0329355Y1 (ko) 2003-05-29 2003-10-10 원유훈 다용도 베개
KR100984564B1 (ko) 2004-02-27 2010-10-01 디터 람사우어 박벽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장착되는 잠금체
KR20120121189A (ko) 2011-04-26 2012-11-05 이기오 높이 조절 베개
KR101635472B1 (ko) 2015-01-22 2016-07-01 (주)아이에이치파트너스 기능성 베개
KR200496001Y1 (ko) 2020-12-28 2022-10-11 지용희 경추 목 베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03Y1 (ko) 2001-12-12 2002-03-12 문형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KR200329355Y1 (ko) 2003-05-29 2003-10-10 원유훈 다용도 베개
KR100984564B1 (ko) 2004-02-27 2010-10-01 디터 람사우어 박벽에 형성된 개구부 내에 장착되는 잠금체
KR20120121189A (ko) 2011-04-26 2012-11-05 이기오 높이 조절 베개
KR101635472B1 (ko) 2015-01-22 2016-07-01 (주)아이에이치파트너스 기능성 베개
KR200496001Y1 (ko) 2020-12-28 2022-10-11 지용희 경추 목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5957B2 (en) Health pillow
KR101579519B1 (ko) 기능성 베개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JP2002177116A (ja) 頚椎保護用首枕
KR102280491B1 (ko) 경추 서포트가 구비된 이중 베개
US5615432A (en) Head and neck support device
US6061857A (en) Hugging mattress with holes for a user's arms
KR101559482B1 (ko) 기능성 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KR101036224B1 (ko) 지압용 배게
KR20240075624A (ko) 숙면을 제공하는 목침
KR100939081B1 (ko) 베개
KR20140130885A (ko) 경추베개
JP2004321229A (ja)
JP3231962U (ja) 機能性枕
KR200493435Y1 (ko) 경추 베개
JP3097991U (ja) 調整型枕の構造
KR200496001Y1 (ko) 경추 목 베개
KR102123260B1 (ko) 기능성 베개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20220008166A (ko) 경추 베개
KR101895003B1 (ko) 기능성 베개
KR102644695B1 (ko) 편안한 숙면 베개
KR102339565B1 (ko) 경추 보호 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