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2801A - 휴대용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2801A
KR20240072801A KR1020220154812A KR20220154812A KR20240072801A KR 20240072801 A KR20240072801 A KR 20240072801A KR 1020220154812 A KR1020220154812 A KR 1020220154812A KR 20220154812 A KR20220154812 A KR 20220154812A KR 20240072801 A KR20240072801 A KR 20240072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blowing fan
case
heat sin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구
권준용
오동은
서원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2801A/ko
Priority to PCT/KR2023/014696 priority patent/WO2024106738A1/ko
Publication of KR20240072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2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서로 구획된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갖는 케이스(10,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20)의 내부에는 열전소자모듈(30)이 배치되고, 그 양표면에는 제1면(31)과 제2면(3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면(31)에 접촉되는 제1히트싱크(40)는 제1유로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면(32)에 접촉되는 제2히트싱크(60)는 상기 제2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송풍팬(80)은 상기 제1유로의 입구를 통해 제1방향(①)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제1방향(①)과 다른 제2방향(②)으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송풍팬(90)은 상기 제2유로의 입구를 통해 제1방향(①)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제1방향(①) 및 상기 제2방향(②)과 다른 제3방향(③)으로 토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공기조화기{Portab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더운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선풍기가 사용된다. 휴대용 선풍기는 대기 중의 공기를 흡기구와 송풍구를 통해 순환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일본 등록특허 7062266(선행기술1)에는 허리에 착용하고, 사용자의 상체로 바람을 송풍해주는 송풍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선행기술1은 송풍장치의 송풍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공기가 사용환경의 온도와 동일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냉기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냉방장치들도 공지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0140호(선행기술2)에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복의 포켓에 얼음팩을 넣어 사용자에게 냉기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2는 작업자가 간편히 착용하여 작업자의 더위를 식혀줄 수 있기는 하나, 얼음팩을 이용하므로 응결수가 많이 발생되어 작업자가 착용한 옷이 젖게 된다는 문제가 있고, 얼음팩이 녹기전까지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시간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94998호(선행기술3)에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풍을 만들어내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선행기술3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기를 만들고, 이를 사용자에게 송풍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선행기술3은 열전소자를 방열하기 위한 외기의 흡기구 및 배기구가 모두 제품의 측면에 형성되어 흡/배기 면적이 좁은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선행기술3은 열기가 배출되는 배기구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냉기 뿐 아니라 열기도 함께 느끼기 쉽고, 냉기가 송풍되는 방향과, 방열을 위해 외기가 흡기되는 방향이 서로 마주보기 때문에 냉방/방열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선행기술3은 열전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복수의 방열판과 복수의 열기방출팬을 포함하여 부품수가 많고, 제품의 크기와 무게가 큰 단점이 있다.
일본 등록특허 7062266(선행기술1) 한국 등록특허 제10-0890140호(선행기술2) 한국 등록실용 제20-0494998호(선행기술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가능하고,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소자의 흡열측 및 방열측에 각각 독립된 유로를 형성하고, 각 유로의 흡기구의 면적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기가 흡입되는 방향, 냉풍이 토출되는 방향, 그리고 열풍이 토출되는 방향이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립된 유로가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송풍팬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는 서로 구획된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갖는 케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열전소자모듈이 배치되고, 그 양표면에는 제1면과 제2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면에 접촉되는 제1히트싱크는 제1유로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면에 접촉되는 제2히트싱크는 상기 제2유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유로의 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히트싱크를 향해 배출하는 제1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2유로의 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히트싱크를 향해 배출하는 제2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로의 입구 및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1유로의 출구와 상기 제2유로의 출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처럼 외기가 흡입되는 방향(제1방향)은 같지만, 냉풍(냉방모드)이 토출되는 방향(제2방향)과 방열을 위한 온풍이 토출되는 방향(제3방향)이 서로 달라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냉풍은 온풍과 섞이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의 입구 및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착용면의 반대편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유로의 입구가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표면은 상기 케이스의 표면들 중 상대적으로 넓고, 후방을 향하고 있어 외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방향과 상기 제3방향은 각각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냉풍(냉방모드)과, 방열을 위한 온풍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무게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는 길이는 상기 제1송풍팬의 길이와 상기 제2송풍팬의 길이의 합의 1/10 미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내부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내부프레임에 형성된 소자장착홀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은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의 공기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열전소자모듈의 상기 제1면, 상기 제1히트싱크 및 상기 제1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공간에는 상기 열전소자모듈의 상기 제2면, 상기 제2히트싱크 및 상기 제2송풍팬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송풍팬은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송풍팬은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1유로의 입구와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히트싱크를 감싸고 상기 제1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송풍가이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가이드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유로의 출구가 상기 제2방향으로 개방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케이스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2유로의 출구가 상기 제3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케이스에는 상기 제1유로의 입구가 상기 제1방향으로 개방된 흡기하우징부와, 상기 제2유로의 입구가 상기 제1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송풍팬이 배치된 팬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케이스의 팬하우징부에는 상기 제2송풍팬과 상기 제2히트싱크가 적층될 수 있고, 상기 제2송풍팬과 상기 제2히트싱크의 적층높이는 상기 흡기하우징부의 높이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의 출구가 개방된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1유로의 입구가 개방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할 수 있고, 상기 제2유로의 출구가 개방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 및 제3방향과 각각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을 중심으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흡기하우징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유로의 입구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유로의 출구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유로의 출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장착부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제1송풍팬은 상기 제1장착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송풍팬은 상기 제2장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의 출구는 상기 제2송풍팬의 회전축 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각각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히트싱크의 상기 제1방향을 향한 면적은 상기 제1히트싱크의 상기 제1방향을 향한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트싱크의 상기 제1방향의 높이는 상기 제2히트싱크의 상기 제1방향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히트싱크의 표면 중 상기 제2방향을 향한 표면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공기조화기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이 가능하다. 이때, 열전소자의 흡열측 유로 및 방열측 유로가 서로 독립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냉풍(냉방모드)과, 방열을 위한 온풍이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온전하게 냉풍(또는 온풍(난방모드))만 전달될 수 있고,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공조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열전소자의 흡열측 유로 입구와, 방열측 유로 입구가 서로 같은 방향인 케이스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전면은 케이스의 표면들 중 상대적으로 넓고, 사용자의 신체와 반대방향인 후방을 향하고 있어 외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열측 유로의 입구와 방열측 유로 입구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면, 두 개의 송풍팬(제1송풍팬/제2송풍팬)이 같은 방향으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송풍팬이 같은 방향으로 외기를 흡입하므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흡기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외기가 흡입되는 방향(제1방향)과, 냉풍(냉방모드)이 사용자에게 토출되는 방향(제2방향), 그리고 방열을 위한 열풍(냉방모드)이 토출되는 방향(제3방향)이 각각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송풍의 방향은 나머지 흡기방향 또는 방열방향과 다르게 형성되어, 공기들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공기들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면, 보다 효과적인 냉방(또는 난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외기를 흡입하는 흡기구는 제1-1흡기구와 제1-2흡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1흡기구와 제1-2흡기구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개구되어, 보다 많은 외기가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냉풍(냉방모드)을 제공하기 위한 제1송풍팬과 방열을 위한 제2송풍팬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무게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분산될 수 있다. 이처럼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어느 한쪽으로 무게가 집중되지 않으면, 휴대용 공기조화기는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송풍팬과 제2송풍팬이 이격되면, 제1송풍팬의 흡기구와 제2송풍팬의 흡기구는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넓게 배치될 수 있어, 흡기구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송풍팬과 제2송풍팬이 이격되면, 제1송풍팬과 제2송풍팬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어느 한쪽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송풍팬의 배기구인 제1유로의 출구는 사용자에 가까운 제1케이스에 배치되고, 제2송풍팬의 배기구인 제2유로의 출구는 사용자로부터 먼 제2케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풍(냉방모드)은 사용자에게 가깝게 제공되면서도, 온풍은 사용자에게서 먼 위치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냉풍(냉방모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제1유로는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로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외기가 열전소자모듈과 열교환하는 면적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냉풍의 송풍 방향도 더욱 정확하게 유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의 후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의 사용예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고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일실시례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되는 방향을 표현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일실시례에서 케이스를 제거하고 제1송풍팬에 의한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표현한 평면도.
도 9는 도 1의 IX-IX'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X-X'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2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3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4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5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6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례는 외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시킨 후, 온도가 가변된 공기를 송풍하여 사용자에게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외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유로에 제1유로와 제2유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서로 독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각각 유동하는 외기는 서로 섞이지 않고, 또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례가 외기를 흡입하여 냉각/방열하고, 이를 송풍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전면을 바라본 모습이고, 도 2는 후면을 바라본 모습이다.
여기서 전면이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노출되는 외면을 의미하는데, 달리 표현하면 공기조화기가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면의 반대면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후면이란,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게 되는 면이라고 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착용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면이 노출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는 사용자가 벨트(B, 도 3참조) 등 의복이나 가방 등에 착용하고 사용할 수도 있지만, 착용하지 않고 파지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외관은 케이스(10,2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20)는 대략 육면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20)는 전후방향 두께와 좌우방향 폭 보다 상하방향의 높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20)는 플라스틱과 같이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20)는 제1케이스(10)와 제2케이스(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는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케이스(10,2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의 사이에는 빈 공간인 내부공간(S1,S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S1,S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열전소자모듈(30), 제1송풍팬(80), 제2송풍팬(90) 및 내부프레임(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례를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에, 상기 제1케이스(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후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20)는 일실시례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1케이스(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제1몸체부(11)는 대략 육면체일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부(11)는 상기 제2케이스(20)를 향한 면과, 후술할 제1-1흡기구(12), 그리고 제1송풍구(15)를 제외한 부분이 가로막힌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부(11)에는 제1-1흡기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흡기구(12)는 상기 제1몸체부(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흡기구(12)를 통해서 외기가 상기 내부공간(S1,S1')으로 흡입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1흡기구(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유로의 입구(12,22) 중 일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1흡기구(12)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후면의 중심부에서 일단부까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부(11)에서 상기 제1-1흡기구(12)의 안쪽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1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은 상기 제1몸체부(11)의 두께만큼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공간(S)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1흡기구(12)를 통해 외기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공간(S)에는 메인제어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는 본 실시례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에는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커넥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간(S)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배치될 수도 있다. 만약 배터리가 생략되면, 상기 커넥터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1흡기구(12)의 주변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스페이서(1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3)는 상기 제1몸체부(11)의 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3)는 상기 제1몸체부(11)의 후면이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상기 제1-1흡기구(12)가 가로막히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3)는 상기 제1몸체부(11)에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탈부착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스페이서(1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제1송풍구(15)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구(15)는 상기 내부공간(S1,S1')과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구(15)는 상기 제1유로의 출구가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송풍구(15)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송풍구(15)는 상기 제1몸체부(11)의 표면 중에서 상기 제1-1흡기구(12)와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보면, 상기 제1케이스(10)에는 상기 제1송풍구(15)에 연결되는 제1송풍덕트(58)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송풍덕트(58)는 상기 제1송풍구(15)에 연결되고, 상기 제1케이스(10)의 외부로 더 돌출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덕트(58)는 상기 제1송풍구(15)를 통해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사용자의 신체에 더 가깝게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 59는 덕트출구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송풍덕트(58)는 아래에서 설명될 송풍가이드(50)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송풍덕트(58)는 상기 송풍가이드(50)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송풍가이드(50)로부터 입출가능한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덕트(58)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20)의 착용을 쉽게 하도록, 상기 제1몸체부(11)에는 착용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용부(17)는 상기 제1몸체부(11)의 후면에서 돌출되고, 안쪽에는 착용공간(17a)이 좌우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착용부(17)는 상기 착용공간(17a)을 제외하고 상부와 하부가 상기 제1몸체부(11)에 연결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제2케이스(20)는 상기 제1케이스(10)와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20)는 상기 제1케이스(1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20)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미도시)로 상기 제1케이스(10)에 조립되거나, 후크구조(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1케이스(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케이스(20)의 골격은 제2몸체부(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부(21)는 대략 육면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부(21)는 상기 제1몸체부(11)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부(21)는 두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부(21)는 흡기하우징부(21)와, 팬하우징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흡기하우징부(21)와 상기 팬하우징부(25)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기하우징부(21)와 상기 팬하우징부(25)의 전체 길이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상기 흡기하우징부(21)에는 제1-2흡기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흡기구(22)는 상기 흡기하우징부(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흡기구(22)를 통해서 외기가 상기 내부공간(S1,S1')으로 흡입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2흡기구(22)는 제1유로의 입구(12,22)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2흡기구(22)는 상기 흡기하우징부(21)의 전면 전체에 걸쳐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흡기하우징부(21)의 안쪽에는 제2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간(S')은 상기 흡기하우징부(21)의 두께만큼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공간(S')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2흡기구(22)를 통해 외기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2흡기구(22)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케이스(10)의 제1-1흡기구(12)와 함께 상기 제1유로의 입구(12,2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1-2흡기구(22)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1-2흡기구(22)의 사이에는 제1송풍팬(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팬(80)이 동작되면,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1-2흡기구(22)에서 동시에 외기가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1-2흡기구(22)에 의해 제1유로의 입구(12,22) 면적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1-1흡기구(12) 또는 상기 제1-2흡기구(2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흡기하우징부(21)에 이웃한 위치에는 상기 팬하우징부(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부(25)는 상기 흡기하우징부(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팬하우징부(25)에는 제2송풍팬(90)이 배치되므로, 상기 팬하우징부(25)는 상기 제2송풍팬(9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흡기하우징부(21)의 아래쪽도 상기 제2공간(S')의 일부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부(25)에는 제2흡기구(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구는 상기 제2유로의 입구로 볼 수 있다. 상기 제2흡기구에는 상기 제2송풍팬(9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송풍팬(90)이 상기 제2흡기구를 막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이 상기 제2흡기구에 직접 배치되므로, 외기의 흡입량이 많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2송풍팬(90)이 상기 제2흡기구를 가로 막지 않고, 상기 제2흡기구의 안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팬하우징부(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히트싱크(60)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부(25)의 두께와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두께의 합이 상기 제2케이스(20)의 두께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2히트싱크(60)가 상기 팬하우징부(25)의 안쪽에 수납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공간(S1,S1')에는 열전소자모듈(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은 전원에 의해 제1면(31)이 흡열되어 저온부를 형성하고, 반대쪽인 제2면(32)이 발열되어 고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은 전원에 의해 제2면(32)이 흡열되어 저온부를 형성하고, 반대쪽인 제1면(31)이 발열되어 고온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열전소자모듈(30)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반대로 바꾸면,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의 제1면(31)을 통해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기능전환 버튼(미도시)을 눌러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열전소자모듈(30)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이 급격하게 반대로 전환되면 열전소자모듈(30) 양표면의 현저한 온도 차이에 의해 열전소자모듈(30)에 열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오프된 후에 전환되도록 소정의 시간의 완충구간(buffering region)을 둘 수도 있다.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의 상기 제1면(31)은 제1공간(S)을 향하고, 상기 제2면(32)은 상기 제2공간(S')을 향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면(31)은 후술할 제1히트싱크(40)를 향하고, 제2면(32)은 제2히트싱크(60)를 향할 수 있다. 상기 제1면(31)은 상기 제1히트싱크(40)로 냉기를 전도할 수 있고, 상기 제2면(32)은 상기 제2히트싱크(60)로 열기를 전도할 수 있다. 전원의 극성이 반대가 되면, 상기 제1면(31)은 상기 제1히트싱크(40)로 열기를 전도할 수 있고, 상기 제2면(32)은 상기 제2히트싱크(60)로 냉기를 전도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은 아래에서 설명될 내부프레임(70)의 소자장착홀(7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자장착홀(72)은 상기 내부프레임(70)에 관통된 부분이다.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은 상기 소자장착홀(72)을 통해서 상기 제1면(31)과 상기 제2면(32)이 각각 노출되고, 제1히트싱크(40)와 제2히트싱크(6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트싱크(40)는 상기 제1면(31)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트싱크(4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제1면(31)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제1히트싱크(40)에 전도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트싱크(40)의 제1베이스(41)는 상기 내부프레임(7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트싱크(40)의 제1베이스(41) 저면은 상기 제1면(31)에 접촉되고, 상기 제1베이스(41)의 위쪽으로 복수의 제1핀들(45)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핀들(45)은 각각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핀들(45)이 나란히 배치되면, 그 사이로 외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트싱크(40)는 송풍가이드(5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상기 송풍가이드(50)는 상기 제1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제1히트싱크(4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송풍가이드(50)는 상기 제1송풍팬(80)에서 토출된 외기가 상기 제1히트싱크(40)에 집중되고, 상기 제1히트싱크(40)를 통과한 외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송풍가이드(50)는 상기 제1히트싱크(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부프레임(7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송풍가이드(50)가 상기 내부프레임(70)에 고정되면, 상기 송풍가이드(50)의 후방은 상기 제1송풍팬(80)의 출구로 개방되고, 상기 송풍가이드(50)의 전방은 상기 제1송풍구(15)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가이드(50)는 외기가 흡입되는 제1방향(①)과 직교한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높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송풍가이드(50)가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케이스(10)의 높이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가이드(5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히트싱크(40) 및 상기 열전소자모듈(30)도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제1케이스(10)의 높이방향(도 8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히트싱크(40)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80)의 토출부(83)도 상기 제1히트싱크(40)와 마찬가지로 경사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히트싱크(40) 및 상기 송풍가이드(50)가 상기 제1공간(S) 내부에서 최대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트싱크(40)의 길이가 길어지면 상기 제1면(31)과 열교환하는 면적이 커질 수 있다. 상기 송풍가이드(50)의 길이가 길면 송풍되는 바람이 분산되지 않고 보다 정확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향(①)은 외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방향(①)은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2흡기구가 개방된 방향과 같다. 따라서, 상기 제1방향(①)은 외기가 흡입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1흡기구(12)는 제1유로의 입구(12,22)이고, 제2흡기구는 제2유로의 입구이며, 이들은 같은 방향으로 개방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2흡기구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제2케이스(20)의 같은 표면인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2케이스(10,20)의 전면이란, 도 3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향한 착용면의 반대면으로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2흡기구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면(도 9를 기준으로 우측면)과 반대면에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2흡기구가 형성될 수 있고, 주변부의 간섭 없이 외기가 흡입될 수 있고, 충분히 넓은 흡입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제1-2흡기구(22)가 개방된 방향은 상기 제1방향(①)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송풍팬(80)을 향해 양쪽에서 외기가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로의 입구(12,22)는 상기 케이스(10,20)의 전/후면에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에서 송풍되는 바람은 제2방향(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②)은 상기 송풍가이드(50)가 배치된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제2방향(②)은 상기 제1방향(①)과 다른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제2방향(②)은 상기 제1방향(①)과 직교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2방향(②)은 제1방향(①)과 직교한 방향(도 9의 X2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경사질 수도 있다.
상기 제2유로에서 송풍되는 바람은 제3방향(③)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방향(③)은 상기 제2히트싱크(60)가 개방된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제3방향(③)은 상기 제1방향(①) 및 제2방향(②)과 각각 다른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2방향(②)은 상기 제1방향(①)과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②)은 상기 제3방향(③)과 직교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2방향(②)은 제1방향(①)과 직교한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경사질 수도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히트싱크(60)는 상기 제2면(32)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트싱크(6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제2면(32)의 온기 또는 냉기가 제2히트싱크(60)에 전도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제2베이스(61)는 상기 내부프레임(7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제2베이스(61) 저면은 상기 제2면(32)에 접촉되고, 상기 제2베이스(61)의 위쪽으로 복수의 제2핀들(65)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핀들(65)은 각각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핀들(65)이 나란히 배치되면, 그 사이로 외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핀들(6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송풍팬(9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송풍팬(90)에 흡입된 외기는 곧바로 상기 복수의 제2핀들(65)에 전달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복수의 제2핀들(65)의 사이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들은 제2송풍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에 의해 흡입된 외기는 상기 제2유로를 통과 상기 제2송풍구를 통해 외부로 송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송풍구는 상기 제3방향(③)으로 개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풍기로 사용된다면, 상기 제2방향(②)으로 상기 제1히트싱크(40)의 냉기가 송풍되고, 상기 제3방향(③)으로는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온기가 송풍된다. 이때, 상기 제3방향(③)은 상기 제1송풍구(15)가 개방된 제2방향(②)과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냉기와 온기가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송풍구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양쪽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외기가 흡입되는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2흡입구는 제1방향(①)으로 개방되는데, 상기 제1방향(①)은 상기 제2방향(②) 및 제3방향(③)과 다른 방향이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 안쪽으로 흡입되는 외기는, 송풍되는 냉기 및 온기와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
상기 제2히트싱크(60)는 상기 제2케이스(20)에 배치된다. 상기 제1케이스(10)는 사용자의 신체에 닿지만, 상기 제2케이스(20)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떨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히트싱크(60)를 통해 상기 제2송풍구로 배출된 공기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이격된 높이로 송풍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제1송풍구(15)로 배출된 냉기(냉방모드) 또는 온기(난방모드)만 느낄 수 있다.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표면 중 상기 제2방향(②)을 향한 표면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10,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2핀들(65) 사이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2송풍구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2히트싱크(60)는 상기 팬하우징부(25)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부(25)에 별도의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케이스(20)의 팬하우징부(25)에는 상기 제2송풍팬(90)과 상기 제2히트싱크(60)가 적층된다. 상기 제2송풍팬(90)과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적층높이는 상기 흡기하우징부(2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흡기하우징부(21)와 상기 팬하우징부(25)는 전체적으로 유사한 높이를 가져, 전체적으로 통일된 미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상기 제1방향(①)을 향한 면적은 상기 제1히트싱크(40)의 상기 제1방향(①)을 향한 면적 보다 클 수 있다. 단면도인 도 9를 보면, 상기 제2히트싱크(60)가 제1방향(①)을 향한 면적은 제1히트싱크(40)가 상기 제1방향(①)을 향한 면적 보다 크다. 상기 제1면(31)에서 흡열 또는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반대면인 제2면(32)의 방열 또는 흡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히트싱크(60)는 상기 제2송풍팬(90)과 직접 마주볼 뿐 아니라, 제1히트싱크(40)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제2히트싱크(60)에는 단열부재(6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67)는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의 측면을 감싸,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의 제1면(31)과 제2면(32) 사이를 단열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67)는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제2베이스(61)에 접촉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열부재(67)는 상기 제2베이스(61)와 상기 내부프레임(70)의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도면부호 68은 상기 단열부재(67)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부로, 상기 관통부(68)를 통해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의 제1면(31)과 제2면(32)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제1히트싱크(40)의 상기 제1방향(①)의 높이(H1)는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상기 제1방향(①)의 높이(H2)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히트싱크(40)는 상기 제1송풍팬(80)과 제2방향(②)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핀들(45)은 측면 방향에서 상기 제1송풍팬(80)에서 토출된 외기를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제1핀들(45)은 상기 제2방향(②)과 직교한 제1방향(①)으로 높이가 클수록 흡입된 외기와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히트싱크(40)의 상기 제1방향(①)의 높이(H1)는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상기 제1방향(①)의 높이(H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보면,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의 사이에는 내부프레임(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70)은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의 사이의 내부공간(S1,S1')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70)은 상기 내부공간(S1,S1')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평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70)을 기준으로 상기 제1케이스(10) 쪽에는 제1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케이스(20) 쪽에는 제2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70)은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가 서로 섞이지 않고 독립된 경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70)은 상기 제1공간(S)의 공기와 상기 제2공간(S')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지 않도록 단열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내부프레임(70)은 합성수지, 실리콘 등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70)에는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이 배치되는 소자장착홀(72)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소자장착홀(72)에는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이 배치된다. 상기 소자장착홀(72)을 통해서 상기 제1면(31)은 상기 제1히트싱크(40)를 향해 노출될 수 있고, 제2면(32)은 상기 제2히트싱크(60)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70)에는 외기전달홀(74)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외기전달홀(74)은 상기 제1-2흡기구(22)로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제1송풍팬(80)의 흡입공간(8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외기전달홀(74)은 상기 흡입공간(82)과 상기 제1-2흡기구(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70)은 상기 제1공간(S)과 상기 제2공간(S') 사이에서 일정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내부프레임(70)은 간격유지부(7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75)는 상기 내부프레임(70)의 표면에서 상기 제1케이스(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75)는 상기 제2케이스(20)를 향해서 돌출될 수도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내부프레임(7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간격유지부(75)가 도 5와 다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75)는 상기 내부프레임(70)의 모서리에 배치된 외곽스페이서(78)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외곽스페이서(78)는 상기 제1케이스(10)와 상기 제2케이스(20)를 향해 각각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송풍팬(80)은 상기 제1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팬(80)은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히트싱크(40)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팬(80)은 흡입된 외기가 제1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유로는 상기 제1-1흡기구(12), 제1-2흡기구(22), 상기 제1송풍팬(80), 상기 송풍가이드(50) 및 상기 제1히트싱크(40), 상기 제1송풍구(15)로 이어지는 연속된 유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팬(80)은 외기를 제1방향(①)으로 흡입한 후에, 제2방향(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②)에는 상기 제1히트싱크(40)가 배치된다. 상기 제1송풍팬(80)은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1-2흡기구(22)를 통해서 동시에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송풍팬(80)은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의 입구(12,22)인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1-2흡기구(22)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팬(80)은 대략 원통형상의 팬하우징(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81)의 중심에는 상기 제1송풍팬(80)이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공간(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81)의 한쪽에는 흡입된 외기가 배출되는 토출부(83)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83)의 끝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팬토출구(85)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은 상기 제2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은 상기 팬하우징부(25)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부(25)은 상기 제2송풍팬(9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반대로, 상기 제2송풍팬(90)이 상기 제2케이스(20)의 일부를 구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은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히트싱크(60)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은 흡입된 외기가 제2유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2유로는 상기 제2흡입구, 상기 제2송풍팬(90), 상기 제2히트싱크(60), 상기 제2송풍구로 이어지는 연속된 유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은 상기 제2히트싱크(60)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송풍팬(90)에 의해 흡입된 외기는 곧바로 상기 제2히트싱크(6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트싱크(60)의 복수의 제2핀들(65) 사이사이로 유입된 외기는, 상기 복수의 제2핀들(65) 사이의 유로를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복수의 제2핀들(65) 사이의 유로의 출구인 제2송풍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송풍구의 방향은 제3방향(③)이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송풍팬(90)은 축류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의 축방향(도 9의 K2참조)과 상기 제2송풍팬(90)에 의한 외기의 흡입방향인 제1방향(①)이 같은 방향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은 모터를 포함한 팬중심부(91)와, 상기 팬중심부(91)에 연결된 팬블레이드(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블레이드(95)는 회전하면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블레이드(95)와 상기 팬하우징부(25)의 사이 공간을 제2유로의 입구, 즉 제2흡입구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1유로의 입구(12,22)와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의 입구(12,22)와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서로 같은 방향인 제1방향(①)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로의 입구(12,22)와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2케이스(20)의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는 면(도 9를 기준으로 우측면)과 반대면에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2흡기구가 형성될 수 있고, 주변부의 간섭 없이 외기가 흡입될 수 있고, 충분히 넓은 흡입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제1송풍팬(80)과 상기 제2송풍팬(90)은 상기 제1방향(①)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팬(80)의 중심축(K1)과, 상기 제2송풍팬(90)의 중심축(K2)는 서로 평행하되,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S1,S1')은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유로의 출구(도 9의 상단)에서 상대적으로 먼 제1장착부(A)와 상기 제1유로의 출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장착부(B)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송풍팬(80)은 상기 제1장착부(A)에 배치되고, 상기 제2송풍팬(90)은 상기 제2장착부(B)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의 높이방향 중심(X1참조)을 기준으로, 상기 제1송풍팬(80)은 상기 제1송풍구(15)에서 상대적으로 먼 제1장착부(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송풍팬(90)은 상기 제1송풍구(15)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장착부(B)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송풍팬(80)과 상기 제2송풍팬(90)은 상기 제1방향(①)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송풍팬(80)과 상기 제2송풍팬(90)이 상기 제1방향(①)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는 길이는 상기 제1송풍팬(80)의 길이와 상기 제2송풍팬(90)의 길이의 합의 10% 미만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송풍팬(80)과 상기 제2송풍팬(90)은 상기 제1방향(①)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 공기조화기가 높이 방향을 따라 무게가 분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어느 한쪽으로 무게가 집중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는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송풍팬(80)과 상기 제2송풍팬(90)에 의한 외기의 흡기구들도 서로 중첩되지 않으면서 넓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송풍팬(80)과 상기 제2송풍팬(90)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이 공기조화기의 어느 한쪽에 집중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의 일실시례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일실시례가 냉풍기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면,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의 제1면(31)은 흡열면이 되고, 제2면(32)은 방열면이 된다. 상기 제1면(31)에 접촉된 상기 제1히트싱크(40)는 냉기를 전달받아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팬(80)이 동작되면, 외기는 상기 제1송풍팬(8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이때 외기는 상기 제1방향(①)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외기는 상기 제1-1흡기구(12)와 상기 제1-2흡기구(22)를 통해 동시에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1-1흡기구(12)는 사용자의 후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고, 주변의 간섭없이 상기 제1-1흡기구(12)를 통해 외기가 흡입될 수 있다.
흡입된 외기는 제2방향(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②)에는 상기 제1히트싱크(40)가 배치되므로, 외기는 제1히트싱크(40)와 열교환하면서 냉각된 상태로 상기 송풍가이드(5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풍가이드(50)는 상기 케이스(10,20)의 높이 방향(도 8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내부공간(S1,S1')에서 송풍가이드(50)의 장착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가이드(50)를 지난 냉기는 상기 제1유로의 출구인 상기 제1송풍구(15)를 통해 사용자에게 토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송풍구(15)에는 상기 제1송풍덕트(58)가 연결되고, 덕트출구(59)를 통해 냉기가 송풍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송풍덕트(58)는 사용자의 의복 안쪽으로 삽입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면(32)은 방열면이 되고, 제2송풍팬(90)에 의해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송풍팬(90)이 동작되면, 외기는 상기 제2송풍팬(9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이때 외기는 상기 제1방향(①)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외기는 상기 제2흡기구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구는 상기 제1-1흡기구(1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후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고, 주변의 간섭없으며, 충분히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흡기구를 통해 원활하게 흡입된 외기는 제3방향(③)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3방향(③)에는 상기 제2히트싱크(60)가 배치되므로, 외기는 제2히트싱크(60)와 열교환하면서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히트싱크(60)는 상기 제2송풍팬(90)과 바로 마주보고 있어 제2송풍팬(90)에 의해 흡기된 외기는 곧바로 제2히트싱크(60)와 열교환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트싱크(60)를 지난 온기는 상기 제2유로의 출구인 상기 제2송풍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구는 상기 제1방향(①) 및 제2방향(②)과 각각 다른 제3방향(③)이다. 따라서 상기 제2송풍구로 배출되는 공기는 흡입되는 외기와 간섭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제동되는 공기와도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송풍구는 상기 제1케이스(10)가 아니라 제2케이스(20)에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송풍구로 토출된 온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온풍기 모드로 사용되는 것은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온풍기 모드에서는 상기 열전소자모듈(30)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반대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모드 전환은 사용자가 기능전환 버튼(미도시)을 눌러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열전소자모듈(30)에 열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오프된 후에 모드가 전환되도록 소정의 시간의 완충구간(buffering region)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2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다른 구조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상기 송풍가이드(5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송풍가이드(50) 없이, 상기 제1송풍팬(80)이 상기 제2방향(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송풍가이드(50)가 상기 제1케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3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다른 구조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상기 내부프레임(70)은 상기 내부공간(S1,S1') 전체를 가로지르지 않고, 상기 내부공간(S1,S1')의 일부만 가로막을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내부프레임(70)은 상기 열전소자모듈(30)이 배치되는 위치에만 구비되고, 반대쪽인 제1송풍팬(80) 쪽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70)이 생략된 부분에는 상기 흡기하우징부(21)가 배치되고, 상기 흡기하우징부(21)가 상기 내부프레임(70)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S1,S1')을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4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다른 구조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상기 제2케이스(20)에는 상기 흡기하우징부(21)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흡기하우징부(21) 없이, 상기 팬하우징부(25)만 상기 제2케이스(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흡기하우징부(21)가 상기 제2케이스(2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외기전달홀(74)이 상기 제1-1흡기구(12)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5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다른 구조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상기 흡기하우징부(21)의 내부에는 가이드경사면(27)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27)은 상기 제1-1흡기구(12)로부터 상기 외기전달홀(74)에 이르는 경로의 폭을 좁힐 수 있다. 상기 가이드경사면(27)은 외기가 자연스럽게 상기 제1송풍팬(80)을 향하도록 흡입경로를 만들 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공기조화기의 제6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다른 구조에 대해서만 살펴보면, 상기 제1송풍팬(80)은 축류팬으로 구성되고, 흡기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도 있다. 도 15에서 화살표①방향으로 외기를 흡입하고, 화살표②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데, 상기 화살표①방향과 화살표②은 같은 방향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케이스 12: 제1-1흡기구
15: 제1송풍구 20: 제2케이스
21: 흡기하우징부 22: 제1-2흡기구
25: 팬하우징부 30: 열전소자모듈
40: 제1히트싱크 50: 송풍가이드
60: 제2히트싱크 70: 내부프레임
80: 제1송풍팬 90: 제2송풍팬

Claims (22)

  1. 서로 구획된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양표면에는 상기 제1유로를 향한 제1면과 상기 제2유로를 향한 제2면이 각각 형성되는 열전소자모듈;
    상기 제1면에 접촉되는 제1히트싱크;
    상기 제2면에 접촉되는 제2히트싱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유로의 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히트싱크를 향해 배출하는 제1송풍팬;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유로의 입구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히트싱크를 향해 배출하는 제2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의 입구 및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유로의 출구와 상기 제2유로의 출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입구 및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착용면의 반대편을 향해 개방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팬은 상기 제1유로의 입구를 통해 제1방향으로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토출하며,
    상기 제2송풍팬은 상기 제2유로의 입구를 통해 제1방향으로 외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기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각각 다른 제3방향으로 토출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은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의 입구가 개방된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은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1송풍팬과 상기 제2송풍팬이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는 길이는 상기 제1송풍팬의 길이와 상기 제2송풍팬의 길이의 합의 1/10 미만인 휴대용 공기조화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내부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열전소자모듈은 상기 내부프레임에 형성된 소자장착홀이 배치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에는 상기 열전소자모듈의 상기 제1면, 상기 제1히트싱크 및 상기 제1송풍팬이 배치되고, 상기 제2공간에는 상기 열전소자모듈의 상기 제2면, 상기 제2히트싱크 및 상기 제2송풍팬이 배치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팬은 원심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송풍팬은 축류팬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상기 제1유로의 입구와 이웃하여 형성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히트싱크를 감싸고 상기 제1유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송풍가이드가 배치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송풍가이드는 상기 케이스의 높이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유로의 출구를 갖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케이스와의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유로의 출구를 갖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1유로의 입구를 갖는 흡기하우징부;와
    상기 제2유로의 입구를 갖고, 상기 제2송풍팬이 배치되는 팬하우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부에는 상기 제2송풍팬과 상기 제2히트싱크가 적층되고, 상기 제2송풍팬과 상기 제2히트싱크의 적층높이는 상기 흡기하우징부의 높이와 같거나 낮은 휴대용 공기조화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팬을 중심으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흡기하우징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유로의 입구가 각각 배치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입구가 개방된 제1방향은 상기 제1유로의 출구가 개방된 제2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제2유로의 출구가 개방된 제3방향은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각각 직교한 휴대용 공기조화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는 상기 제1유로의 출구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유로의 출구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장착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송풍팬은 상기 제1장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송풍팬은 상기 제2장착부에 배치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의 출구는 상기 제2송풍팬의 회전축 방향과 직교한 방향을 따라 양쪽으로 각각 개방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의 입구를 향한 상기 제2히트싱크의 면적은 상기 제2유로의 입구를 향한 상기 제1히트싱크의 면적 보다 큰 휴대용 공기조화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입구와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각각 제1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히트싱크의 상기 제1방향의 높이는 상기 제2히트싱크의 상기 제1방향의 높이 보다 큰 휴대용 공기조화기.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히트싱크의 표면 중 상기 제2유로의 출구를 향한 표면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22.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양표면에는 제1면과 제2면이 각각 형성되는 열전소자모듈;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제1유로;와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에는 상기 제1면에 접촉되는 제1히트싱크와, 상기 제1유로의 입구로 외기를 흡입하는 제1송풍팬이 배치되고,
    상기 제2유로에는 상기 제2면에 접촉되는 제2히트싱크와, 상기 제2유로의 입구로 외기를 흡입하는 제2송풍팬이 배치되며,
    상기 제1유로의 입구 및 상기 제2유로의 입구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유로의 출구와 상기 제2유로의 출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공기조화기.
KR1020220154812A 2022-11-17 2022-11-17 휴대용 공기조화기 KR20240072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12A KR20240072801A (ko) 2022-11-17 2022-11-17 휴대용 공기조화기
PCT/KR2023/014696 WO2024106738A1 (ko) 2022-11-17 2023-09-25 휴대용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812A KR20240072801A (ko) 2022-11-17 2022-11-17 휴대용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2801A true KR20240072801A (ko) 2024-05-24

Family

ID=9108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812A KR20240072801A (ko) 2022-11-17 2022-11-17 휴대용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72801A (ko)
WO (1) WO202410673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140B1 (ko) 2008-03-07 2009-03-20 황길연 냉기발산기능을 갖는 보호용 작업복
KR200494998Y1 (ko) 2019-11-15 2022-02-14 장윤희 휴대용 쿨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6433A1 (en) * 2006-05-02 2007-11-08 Bhatti Mohinder S Portable air conditioner
CN109838858A (zh) * 2017-11-28 2019-06-04 刘慧官 便携式空气冷却器
KR102611141B1 (ko) * 2018-11-27 2023-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220060865A (ko) * 2020-11-05 2022-05-12 이희웅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온풍기
KR102405996B1 (ko) * 2021-07-26 2022-06-08 김봉우 휴대용 냉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140B1 (ko) 2008-03-07 2009-03-20 황길연 냉기발산기능을 갖는 보호용 작업복
KR200494998Y1 (ko) 2019-11-15 2022-02-14 장윤희 휴대용 쿨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738A1 (ko)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29443A1 (zh) 无线充电设备
CN110932415A (zh) 一种无线充电器
CN107525171A (zh) 半导体空调扇
JP2023549161A (ja) 首掛け扇風機
RU26665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авления шума
WO2010021115A1 (ja) 熱交換装置とそれを用いた発熱体収納装置
CN106969430B (zh) 室外机及空调器
KR20240072801A (ko) 휴대용 공기조화기
JP2003101266A (ja) 電子回路収納ケース、室外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装置
CN210407158U (zh) 一种可穿戴的制冷循环设备
CN216744678U (zh) 便携式挂脖空调
JP654027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5315837B2 (ja) 熱交換装置とそれを備えた発熱体収納装置
CN210486148U (zh) 可穿戴的制冷循环设备
US20220082307A1 (en) Air-conditioned garment having semiconductor cooling system
KR1007601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WO2020233621A1 (zh) 制冷循环设备
KR20220023025A (ko) 냉장고
CN220524221U (zh) 导风装置及空调器
WO2020044473A1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CN219108094U (zh) 一种散热结构以及室内机机组
CN217594235U (zh) 一种除湿装置、户外设备和充电设备
CN113970228B (zh) 散热装置及酒柜
WO2024147439A1 (ko) 휴대용 공기조화기
CN218480699U (zh) 一种便携调温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