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613A -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613A
KR20240067613A KR1020220148826A KR20220148826A KR20240067613A KR 20240067613 A KR20240067613 A KR 20240067613A KR 1020220148826 A KR1020220148826 A KR 1020220148826A KR 20220148826 A KR20220148826 A KR 20220148826A KR 20240067613 A KR20240067613 A KR 2024006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tion
medicine
main body
user
p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영
김수련
Original Assignee
김나영
김수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영, 김수련 filed Critical 김나영
Priority to KR102022014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7613A/ko
Publication of KR2024006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6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4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약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게값과 압력값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인 약 복용 관리 장치는 알약이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알약 수용부와, 약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부를 구비하는 약포 수용부와, 알약 수용부 및 약포 수용부 각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알약 수용부 내의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감지하고, 약포 수용부 내의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을 감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MEDICATION MANAG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S}
실시예는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게값과 압력값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의 복용은 질병의 치료나 예방을 목적으로 의사나 약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하게 된다. 이렇게 약을 복용하는 경우 약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분이나 작용에 따라 인체 내에서 분해 및 흡수되는 과정과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처방 과정에서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간이 정해진다.
감기 등과 같이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약의 경우에는 처방 과정에서 지시하는 복용 시간을 정확히 지키지 않아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결핵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에 복용을 하여야 병세가 악화되거나 합병증이 유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병세를 호전시킬 수 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현상과 식생활 습관의 변화로 인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과 같은 만성질환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만성질환을 치료 및 관리하기 위해 복용자는 장시간에 걸쳐 많은 종류의 약을 복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환자의 복약 순응도(Medication adherence)가 매우 중요하다.
복약 순응도는 의사가 처방한 약을 복용자가 정확하게 복용하는 정도를 말하고, Overdosing, Underdosing, Misdosing와 같은 복약 비순응(Non-adherence)은 질병 상태를 악화시키고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키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복약기(Medication Dispenser)는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약을 배출하고 복약 시각 알림을 통해 복용자의 복약을 돕는 개인건강기기로써, 현재 복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복용자가 실제로 약을 복용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의도적인 복약 비순응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무게값과 압력값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인 약 복용 관리 장치는 알약이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알약 수용부와, 약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부를 구비하는 약포 수용부와, 알약 수용부 및 약포 수용부 각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알약 수용부 내의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감지하고, 약포 수용부 내의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을 감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약포 수용부는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케이스와, 수용부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들이 관통되어 개방된 양측면을 구비하고 약포가 삽입 및 배출되는 출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출입부에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며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약포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에는 오목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본체부는 내부나 측면에 제어 장치들을 수용하는 본체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부 케이스의 제 1 면은 수용부 케이스의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2 면은 출입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1 면에는 알약의 무게 또는 약약 수용부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가 장착되고, 본체부 케이스의 제 2 면에는 약포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약포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가 장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2면에 인접한 면에는 약포의 용이한 배출을 위한 홈이 형성된다.
또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알약 수용부와 본체부 및 약포 수용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복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으며 피부 접촉에 따른 접촉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접촉 센서와, 접촉 센서로부터의 접촉 감지값에 따라서 복용자의 파지를 확인하고, 무게 센서로부터의 무게값와,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값에 따라서 알약이나 약포의 감소를 확인하여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표시부나 스피커나 진동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기저장된 복용 일정에 따라서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고, 미 복용 시에 표시부나 스피커나 진동부를 통하여 복용 알람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하여 복용자 통신 단말기나 보호자 통신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복용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는 무게값과 압력값을 이용하여 복용자의 약 복용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하되, 접촉 감지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약 복용 유무의 정확성을 확보하였으며, 약포 및 알약 보관이 동시에 가능하다. 또한, 약통의 무게를 감소시켜 포터블한 형태를 지원하며,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통해 보호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복약 정보(복용 유무)를 업데이트하며, 위급상황이 감지되면 119 등 위기관리 센터에 자동으로 연동되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그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의 사시도들이다.
약 복용 관리 장치(100)는 알약이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S1)을 구비하며, 일측에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8)를 구비하는 알약 수용부(10)와, 약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S2)을 구비하고,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부(17)를 구비하는 약포 수용부(20)와, 알약 수용부(10) 및 약포 수용부(20) 각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알약 수용부(10) 내의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감지하고, 약포 수용부(20) 내의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을 감지하는 본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알약 수용부(10)는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S1)을 구비하고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2a)가 도어(8)에 의해 개폐되는 수용부 케이스(2)와, 케이스(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복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8)는 예를 들면, 케이스(2)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개방구(2a)와의 결합을 위한 결착 후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수용부 케이스(2)의 일측면(2b)은 본체부(30)를 대향하며, 탈착 가능하게 본체부(30)에 결합된다. 알약 수용부(10)는 복용자가 알약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혹은 반투명 소재가 사용된다. 수용부 케이스(2)의 다른 일측면에는 키링 걸이를 위한 홈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약포 수용부(20)는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 2 수용 공간(S2)이 형성된 수용부 케이스(12)와, 수용부 케이스(12)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들이 관통되어 개방된 양측면을 구비하고 약포가 삽입 및 배출되는 출입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출입부(17)에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며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약포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17a)가 형성되며, 개방부(17a)에는 오목 형태의 홈(17b)이 형성된다. 출입부(17)의 개방된 일측면이 본체부(30)를 대향하여, 본체부(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약포 수용부(20)는 약포의 양을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 혹은 반투명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고무 소재를 포함한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된다.
본체부(30)는 내부나 측면에 제어 장치들을 수용하는 본체부 케이스(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1 면(22a)은 수용부 케이스(2)의 일측면(2b)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2 면(22b)은 출입부(17)의 개방된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된다.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1 면(22a)에는 알약의 무게 또는 약약 수용부(10)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26)가 장착된다.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2 면(22b)에는 약포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약포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23)가 장착된다.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1 및 제 2 면들(22a, 22b) 각각에 접하는 제3면(22c)에는 시각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5)와, 복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복용 시작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24)가 장착된다. 또한, 본체부 케이스(22)의 제 2면(22b)에 인접한 면에는 약포의 용이한 배출을 위한 홈(22d)이 형성된다.
도 2a 및 2b에서와 같이, 결합 상태에서의 약 복용 관리 장치(100)의 알약 수용부(10)와 본체(30) 및 약포 수용부(20)가 그 순서로 적층되어 결합되며, 출입부(17)의 개방부(17a)를 통하여 약포가 삽입되며, 제 2 수용 공간(S2)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약포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구(17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된다. 홈(22d)과 홈(17b)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홈(22d)과 홈(17b) 사이에 약포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된다. 복용자가 홈(22d)과 홈(17b) 사이에서 노출되는 약포의 일부분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거나 끌어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약 복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약 복용 관리 시스템은 약(알약이나 약포)를 보관 수용하며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100)와, 통신 기능을 지니는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과, 통신 기능을 지니며 복용자의 보호자가 지니는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와, 통신 기능을 지니는 관리 서버(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약 복용 관리 장치(100)와,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와,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 및 관리 서버(400)(예를 들면, 클라우드 시스템 등) 각각은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다.
관리서버(400)에는 의료 정보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을 수행하여 복용자의 복약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관리자가 복용자나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복약 정보를 직접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약 복용 관리 장치(100)는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 및/또는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 및/또는 관리 서버(400)에 기기별 고유 인식 번호에 의해 페어링되거나 제품 등록되며, 이러한 통신 방식은 본 실시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약 복용 관리 장치(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약포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압력값을 프로세서(40)에 인가하는 압력 센서(23)와, 사용자로부터 입력(예를 들면, 복용 시작 입력, 복용 시간 연장 입력, 복용 일정의 초기화 입력, 복용 일정의 갱신 입력 등)을 획득하여 프로세서(40)에 인가하는 입력부(24)와, 프로세서(40)로부터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복용 여부 알림, 복용 안내, 복용 알람 등)에 대한 표시 신호를 수신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5)와, 상술된 바와 같이, 알약에 관련된 무게값(알약 수용부(10)의 무게값)을 감지하여 프로세서(40)에 인가하는 무게 센서(26)와, 프로세서(40)로부터 음향 출력 신호를 인가 받아 음 방출하는 스피커(27a)와, 프로세서(40)로부터의 진동 출력 신호를 인가 받아 진동하는 진동부(27b)와, 알약 수용부(10)와 본체부(30) 및 약포 수용부(2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복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으며 피부 접촉에 따른 접촉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40)에 인가하는 접촉 센서(28)와,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와,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 및 관리 서버(400) 중의 어느 하나 이상과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9)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복용자의 복용 일정의 갱신(또는 저장) 기능과, 복용 일정에 따른 복용 안내 기능과, 복용자의 복용 여부의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부(미도시), 스피커(27a), 진동부(27b), 통신부(29) 등은 본 실시예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어,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되며, 입력부(24)와, 표시부(25)와, 무게 센서(26)는 상술되었다.
접촉 센서(28)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해 약 복용 관리 장치(100)를 손으로 파지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캐패시턴스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접촉 센서(28)는 접촉 감지값을 프로세서(40)에 인가하고, 프로세서(40)는 인가된 접촉 감지값과, 기준 접촉 감지값을 비교한다. 기준 접촉 감지값은 복용자의 손이나 피부가 접촉 센서(28)에 접촉된 경우의 최소 접촉 감지값에 해당된다. 프로세서(40)는 인가된 접촉 감지값이 기준 접촉 감지값 이상이면, 복용자가 약 복용 관리 장치(100)를 손으로 파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용 일정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복용 시간(예를 들면, 아침 8시)와, 복용 시간 범위(예를 들면, 30분)를 포함한다.
먼저, 복용자의 복용 일정의 갱신(또는 저장) 기능이 설명된다.
프로세서(40)는 입력부(24)를 통하여 복용 일정을 입력 받아 저장하거나, 통신부(29)를 통하여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나 관리 서버(400)로부터 복용 일정을 수신하여 저장하여, 복용자의 복용 일정을 처음으로 저장하거나, 이전 복용 일정을 신규의 복용 일정으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0)는 복수의 복용 일정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복용자가 현재의 복용 일정에서 신규의 복용 일정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입력부(24)를 통하여 복용 일정의 변경 입력(예를 들면, 2초 이상의 지속 입력 등)을 입력하면, 프로세서(40)는 복용 일정의 변경 입력에 따라서 새로운 복용 일정에 따른 복용 안내 기능과 복용 여부 확인 등을 수행한다.
또한, 복용자가 약 복용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거나, 새로운 복약 처방 후 현재 잔존하는 복용 일정을 초기화시키고 싶을 경우, 입력부(24)를 통하여 복용 일정의 초기화 입력을 입력하면, 프로세서(40)는 복용 일정의 초기화 입력에 따라 현재 복용 일정을 초기화(삭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 또는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는 는 복용 일정과, 복용약(예를 들면, 알약, 약포 등의 복용양도 포함) 등을 포함하는 복용약 정보와, 복용자 정보(예를 들면, 이름, 주소, 병명 등)을 저장하며, 관리 서버(400)에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전송한다. 관리 서버(400)는 복용약 정보와, 복용자 정보를 각 복용자별 데이터로 저장하며, 복용자별 데이터는 추가적으로 복용자의 복용 여부 정보(예를 들면, 복용 했음, 복용 안했음)를 포함한다. 약 복용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500)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여, 복용약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복용 일정에 따른 복용 안내 기능이 설명된다.
프로세서(40)는 타이머를 내장하며, 표시부(25)를 통하여 시간 범위(예를 들면, 아침, 점심, 저녁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40)는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빨간색과 같은 미복용 안내를 표시부(25)에 표시하고, 복용자가 약을 복용한 경우에는 초록색과 같은 복용 알림(복용하였음을 알림)을 표시부(25)에 표시한다.
또한, 복용자가 복용 일정 중에서 복용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만큼 연장하고 싶을 경우에, 복용자가 입력부(24)를 통하여 연장 입력(예를 들면, 1초 미만의 입력 등)을 입력하면, 프로세서(40)는 가장 근접한 복용 시간을 기설정된 시간만큼 연장시킨다.
또한, 프로세서(40)는 복용 시간으로부터 복용 시간 범위 이내에 복용 확인이 되지 않았을 경우, 제 1 기준 시간(예를 들면, 2 분) 후 표시부(25)와, 스피커(27a) 및 진동부(27b)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제 1 복용 안내(또는 알람)를 실시한다. 또한, 프로세서(40)는 위의 제 1 복용 안내 이후에, 제 2 기준 시간(예를 들면 8분) 이내에 복용자가 약을 복용하지 않은 경우, 표시부(25)와, 스피커(27a) 및 진동부(27b)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동작시켜 제 2 복용 안내(또는 알람)을 수행하고, 통신부(29)를 통하여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 및/또는 관리 서버(400)에 미복용 알림을 전송한다.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또는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를 통하여 보호자는 복용자인 환자의 미복용을 인지하고, 전화연결 기능을 통해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하여 복용자의 안부 확인 및 복용 안내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복용자 통신 단말기(200)를 통하여 복용자와 통화가 안되거나, 안부 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또는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를 통하여 관리 서버(400)나 긴급 출동 시스템에 복용자에 대한 신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보호자 통신 단말기(300)는 긴급 출동을 위해, 복용자의 질병 정보나 주소 등의 복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 서버(400)나 긴급 출동 시스템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복용자의 복용 여부의 확인 기능이 설명된다.
프로세서(40)는 복용자의 파지와 약의 무게 감소 모두를 확인한다. 프로세서(40)는 복용자의 파지를 접촉 센서(28)로부터의 접촉 감지값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약포의 감소를 감지하기 위해, 프로세서(40)는 압력 센서(23)로부터의 압력값의 감소 변화를 확인하며, 압력값의 감소는 약포의 개수의 감소에 해당되므로, 약의 복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알약의 감소를 감지하기 위해, 프로세서(40)는 무게 센서(26)로부터의 무게값의 감소 변화를 확인하며, 무게값의 감소는 알약의 개수의 감소에 해당되므로, 약의 복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약의 복용이 복용 시간 전후의 복용 시간 범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면, 복용 시간이 오전 8시이고, 복용 시간 범위가 30분인 경우, 오전 7시 30분부터 오전 8시 30분 사이의 시간
즉, 프로세서(40)는 복용 시간 전후의 복용 시간 범위 이내에, 복용자의 파지 상태에서, 약포나 알약의 감소가 있어야만, 복용자가 약을 복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프로세서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기능들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23: 압력 센서 26: 무게 센서
28: 접촉 센서

Claims (5)

  1. 알약이 수용되는 제 1 수용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위해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는 알약 수용부와;
    약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입부를 구비하는 약포 수용부와;
    알약 수용부 및 약포 수용부 각각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알약 수용부 내의 알약의 투입과 배출을 감지하고, 약포 수용부 내의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을 감지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약포 수용부는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케이스와, 수용부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들이 관통되어 개방된 양측면을 구비하고 약포가 삽입 및 배출되는 출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출입부에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며 약포의 삽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약포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에는 오목 형태의 홈이 형성되며,
    본체부는 내부나 측면에 제어 장치들을 수용하는 본체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부 케이스의 제 1 면은 수용부 케이스의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2 면은 출입부의 개방된 일측면을 대향하여 결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1 면에는 알약의 무게 또는 약약 수용부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가 장착되고, 본체부 케이스의 제 2 면에는 약포의 일부분에 접촉되어 약포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가 장착되며, 본체부 케이스의 제 2면에 인접한 면에는 약포의 용이한 배출을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알약 수용부와 본체부 및 약포 수용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어, 복용자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으며 피부 접촉에 따른 접촉 감지값을 생성하여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접촉 센서와, 접촉 센서로부터의 접촉 감지값에 따라서 복용자의 파지를 확인하고, 무게 센서로부터의 무게값와, 압력 센서로부터의 압력값에 따라서 알약이나 약포의 감소를 확인하여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표시부나 스피커나 진동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기저장된 복용 일정에 따라서 복용자의 복용 여부를 판단하고, 미 복용 시에 표시부나 스피커나 진동부를 통하여 복용 알람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약 복용 관리 장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하여 복용자 통신 단말기나 보호자 통신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복용 여부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 복용 관리 장치.
KR1020220148826A 2022-11-09 2022-11-09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 KR20240067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826A KR20240067613A (ko) 2022-11-09 2022-11-09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826A KR20240067613A (ko) 2022-11-09 2022-11-09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613A true KR20240067613A (ko) 2024-05-17

Family

ID=9133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826A KR20240067613A (ko) 2022-11-09 2022-11-09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76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4893U (ja) 携帯型薬剤ディスペンサー
JP3213184U (ja) 点眼剤ディスペンサー
US20110112686A1 (en) Device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nd/or indicating a medicament dosage regime
EP2485704B1 (en) Medication dispenser
US20160354283A1 (en) Sensor-based medication systems
US7269476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JP2019213886A (ja) センサーを使用した投薬計画に対する遵守の監視
US8985388B2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20100100237A1 (en) Smart Medicine Container
US20090259336A1 (en) Smart Medicine Container Assembly
JP7325791B2 (ja) 服薬管理装置とそのシステム
US20220211582A1 (en) Inhaler compliance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Omotosho et al. Medication adherence: a review and lessons for developing countries
KR100786170B1 (ko) 약물투약 알람 시스템
KR20240067613A (ko) 위급 상황 감지가 가능한 약 복용 관리 장치
JP5967792B1 (ja) 薬袋服薬管理装置、薬袋服薬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07265A (ko) 약품 보관함
US201901338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medication
ES2942668T3 (es) Apoyo para los pacientes con la ingesta repetida de medicamentos
TW200426656A (en) Separation of validated information and functions in a healthcare system
JP2018140138A (ja) 服薬管理システム付き服薬支援装置
US10881585B2 (en) Pill compliance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US20220148704A1 (en) Nutriment track and alert system
EA006618B1 (ru) Сиг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ощения приема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KR20220095570A (ko) IoT 복약관리 시스템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