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1574A -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1574A
KR20240061574A KR1020230091831A KR20230091831A KR20240061574A KR 20240061574 A KR20240061574 A KR 20240061574A KR 1020230091831 A KR1020230091831 A KR 1020230091831A KR 20230091831 A KR20230091831 A KR 20230091831A KR 20240061574 A KR20240061574 A KR 20240061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engaging member
engaging
shaft
dr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오고세
타케시 이쿠타
쿠니오 타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4006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15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8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a bell or a flash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계합(係合)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멈춤링의 빠짐이나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스풀(3)과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外周面)에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부(71a)가 형성된 회전 부재(71)와, 요동축(搖動軸)(7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부재(71)의 요철부(71a)에 탄발적으로 계합하는 계합 부재(72)와, 계합 부재(72)를 소정의 요동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73)와, 계합 부재(72)의 요동축(75)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74)를 구비한 구성의 스풀 발음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SPOOL SOUNDING MECHANISM AND DUAL-BEARING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의 회전 시에 발음하는 스풀 발음 기구로서, 스풀과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外周面)에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회전 부재와, 요동축(搖動軸)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부재의 요철부에 탄발적으로 계합(係合)하는 것으로 발음하는 발음 멈춤쇠(계합 부재)와, 발음 멈춤쇠를 소정의 요동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계합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 방향으로의 빠져나감을 규제하는 멈춤링을 구비한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7098호
그렇지만,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크게 한면 발음 멈춤쇠의 날뜀(덜걱거림)이 커지고, 그 발음 멈춤쇠를 누르는 멈춤링의 부하도 커지고, 멈춤링이 빠지거나, 파손하거나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계합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멈춤링의 빠짐이나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풀 발음 기구의 태양(態樣) 1은, 낚시용 양 베어링 릴에 설치되고, 스풀의 회전 시에 발음하는 스풀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풀과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된 회전 부재와, 요동축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요철부에 탄발적으로 계합하는 계합 부재와, 상기 계합 부재를 소정의 요동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계합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풀 발음 기구의 태양 1에 의하면, 압박 부재에 의하여 요동 중심 위치가 되도록 압박되어 있는 계합 부재가 규제 부재에 의하여 요동축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보지(保持)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요동하는 계합 부재의 부하가 멈춤링에 대하여 직접 작용하는 것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계합 부재에 부여하는 압박 부재의 압박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규제 부재에 의하여 계합 부재가 크게 날뛰도록 요동하는 것이 저감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계합 부재의 요동축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멈춤링이 빠지거나, 파손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풀 발음 기구로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의 태양 2는, 태양 1의 스풀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계합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 방향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 부재와, 상기 계합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 방향의 타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 부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계합 부재가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규제 부재에 의하여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규제 부재와 제2 규제 부재에 의하여 계합 부재가 크게 날뛰도록 요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태양 3은, 태양 1 또는 태양 2의 스풀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요철부에 계합하는 계합 위치와, 상기 요철부와 계합하지 않는 비계합 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가 계합 부재의 위치를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로 선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계합 부재를 계합 위치로 하여 회전 부재의 요철부에 계합시켜 발음시키거나, 발음이 불필요한 때에 계합 부재를 비계합 위치로 이동시켜 무음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적의(適宜)한 위치에 계합 부재를 배치하는 것으로, 요철부와 계합 부재와의 계합 상태(맞닿는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계합 부재에 의한 발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부에 대한 계합 부재의 계합 상태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계합 부재의 요동을 저감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스풀 발음 기구로서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태양 4는, 태양 3의 스풀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요동축이 관통 가능하고,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계합 위치와 상기 비계합 위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요동축을 안내 구멍으로 안내시켜 이동시키는 것으로, 요동축과 함께 계합 부재를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요동축은 안내 구멍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옆으로 흔들리는 것 없이 안정된 이동이 되고, 계합 부재의 요동도 안정시킬 수 있다.
(5) 본 발명의 태양 5는, 태양 2의 스풀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부재 및 상기 제2 규제 부재는,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한 쌍의 제1 규제 부재와 제2 규제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 부재 전체에 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계합 부재를 보다 강고하게 보지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태양 6은, 태양 3 또는 태양 4의 스풀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계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압박 부재와 계지(係止)하는 계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압박 부재의 압박력이 계지부에 작용한 상태로 계합 부재를 보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부재가 항상 압박 부재에 의하여 압박되어 크게 요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태양 7은, 태양 1 내지 태양 6 중 어느 하나의 스풀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와 상기 규제 부재가 일체(一體)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계합 부재를 보지하는 규제 부재에 대하여 압박 부재가 일체화되고, 압박 부재로 계합 부재를 안정된 자세에 의하여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계합 부재의 날뜀(덜걱거림)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스풀의 직경 치수가 바뀌어도 회전 부재의 요철부의 피치를 변경하기만 하면 되고, 압박 부재를 스풀의 직경 치수에 맞춘 별도의 부재로 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8) 본 발명의 태양 8은, 태양 1 내지 태양 7 중 어느 하나의 스풀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요동축의 일단(一端)에 계지되고, 상기 규제 부재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보지 부재에 의하여 규제 부재의 요동축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합 부재는 규제 부재와 보지 부재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보다 확실히 규제된다.
(9)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양 베어링 릴의 태양 9는, 태양 1 내지 태양 8 중 어느 하나의 스풀 발음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스풀 발음 기구의 효과를 가지는 낚시용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에 의하면, 계합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멈춤링의 빠짐이나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을 핸들 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풀 발음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스풀 발음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풀 발음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스풀 발음 기구의 요부(要部) 단면도이다.
도 8은 계합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계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의한 스풀 발음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視認)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양 베어링 릴로서, 양 베어링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양 베어링 릴(이하, 양 베어링 릴(1)이라고 한다)은,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중형의 레버 드래그 릴이다.
양 베어링 릴(1)은, 통상(筒狀)의 릴 본체(10)와, 릴 본체(10)의 중심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축(2)과, 스풀축(2)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 스풀(3)과, 릴 본체(10)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핸들(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 베어링 릴(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4)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5)와, 스풀(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6)를 릴 본체(10)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10)는, 금속제의 좌우 한 쌍의 접시 형상의 우측판(10A) 및 좌측판(10B)과, 우측판(10A) 및 좌측판(10B)을 전후 및 하부에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11)와, 우측판(10A)의 외방(外方)을 덮는 우 커버 부재(12A)와, 좌측판(10B)의 외방을 덮도록 좌측판(10B)과 일체 형성된 좌 커버 부재(12B)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11)에는, 양 베어링 릴(1)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부(13)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우측판(10A), 좌측판(10B), 연결부(11) 및 좌 커버 부재(12B)는, 금속의 절삭 가공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우 커버 부재(12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를 이루고, 우측판(10A)의 외방을 덮는다. 또한, 우측판(10A) 및 좌측판(10B)은, 스풀(3)이 통과 가능한 개구(開口)를 가지고 있다. 좌 커버 부재(12B)의 내부에는, 스풀축(2)의 좌단(左端)을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스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좌 커버 부재(12B)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3)의 회전에 따라 발음하는 스풀 발음 기구(7)가 설치되어 있다(도 4 ~ 도 9 참조).
핸들(4) 측의 우 커버 부재(12A)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徑)방향 및 축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팽출부(膨出部)(122)가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22)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전달 기구(5)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부(122)에는, 핸들(4)의 핸들축(4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통부(筒部)(123)와, 드래그 레버(80)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 통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 통부(123) 및 제2 지지 통부(124)는, 각각 축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
스풀축(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 커버 부재(12B)의 보스부(도시 생략)와, 우 커버 부재(12A)에 의하여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2)은, 외주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베어링(221), 제2 베어링(222)에 의하여 스풀(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 베어링(221) 및 제2 베어링(222)의 축 방향 내측면은, 스풀(3) 및 스풀축(2)에 의하여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2)과 스풀(3)은,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스풀축(2)은, 드래그 기구(6)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스풀(3)과 함께 이동한다.
(스풀)
스풀(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감기 몸통부(31)와, 줄 감기 몸통부(31)의 양단(兩端)에 일체 형성된 플랜지부(32)를 가지고 있다. 우측의 플랜지부(32A)의 단면(端面)에는, 드래그 기구(6)를 구성하는 드래그 디스크(61)가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핸들)
핸들(4)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2)의 하방(下方)에 스풀축(2)과 평행으로 배치된 통상의 핸들축(40)의 돌출단(突出端)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축(40)은, 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된 핸들 암(arm)(41)과, 핸들 암(41)의 선단부(先端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42)를 가지고 있다. 핸들 암(41)은, 금속제의 판상(板狀) 부재이고, 기단부(基端部)에 형성된 비원형의 상기 관통 구멍에 핸들축(40)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 전달 기구)
회전 전달 기구(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저 2속으로 전환 가능한 변속 조작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변속 조작 기구(50)는, 핸들(4)의 핸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고속 감기용의 제1 메인 기어(51) 및 저속 감기용의 제2 메인 기어(52)와, 제1 메인 기어(51) 및 제2 메인 기어(52)에 각각 맞물리는 상태로 스풀축(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피니언 기어(53) 및 제2 피니언 기어(54)와, 제1 메인 기어(51) 및 제2 메인 기어(52) 중 어느 일방(一方)과 핸들축(40)을 결합하고 회전을 전달하는 계합편(係合片)(도시 생략)과, 계합편의 위치를 제1 메인 기어(51)에 계합하는 고속 위치 또는 제2 메인 기어(52)에 계합하는 저속 위치 중 일방에 설정하는 조작축(55)을 가지고 있다. 조작축(55)은,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 부재에 의하여 계합편을 통하여 축 방향 외측과 제2 메인 기어(52) 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제1 피니언 기어(53)는, 예를 들어 비자성의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내식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통상 부재이다. 제1 피니언 기어(53)는, 우단(右端)이 스풀축(2)의 외측에서 팽출부(122)에 장착된 제4 베어링(5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피니언 기어(53)의 좌단은, 드래그 기구(6)의 피니언 기어 칼라(6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제2 피니언 기어(54)는, 제1 피니언 기어(53)와 마찬가지의 재질의 통상 부재이고, 좌단이 드래그 디스크(61)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계합편은, 핸들축(40)의 슬릿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조작축(5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40)의 관통 구멍에 삽통(揷通)되어 있다. 조작축(55)의 도 3 우측의 단부(端部)는, 핸들 암(41)의 축 방향 외방(도 3 우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조작축(55)을 도 3 좌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축(55)은, 핸들축(40)의 돌출단에 비틀어 박힌 핸들(4)을 핸들축(40)에 고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너트 부재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
드래그 기구(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3)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래그 디스크(61)와, 핸들(4)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되고, 드래그 디스크(61)의 핸들(4) 측의 제1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피니언 기어 칼라(62)와, 핸들(4)로부터의 회전이 전달되고, 드래그 디스크(61)의 반(反) 핸들(4) 측의 제2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스풀축(2)과 연동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드래그 받이(63)와, 드래그 디스크(61)와 드래그 받이(63)를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64)와, 스풀축(2)을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65)를 구비하고 있다.
드래그 디스크(61)는, 스테인리스제의 원반상(圓盤狀)의 제동 디스크이고, 스풀(3)과 함께 회전한다. 드래그 디스크(61)는, 스풀(3)의 핸들 측(우측)의 플랜지부(32A)의 외주부(外周部)로부터 스풀축(2)의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스풀(3)의 우측의 플랜지부(32A)와 드래그 디스크(61)와의 사이에는, 드래그 디스크(61)를 우측의 플랜지부(32A)와의 사이에서 이반시키는 코일 용수철(23)이 개재(介在)되어 있다. 코일 용수철(23)은, 드래그 레버(80)를 이간(離間) 위치로부터 협지(挾持) 위치와의 사이의 중간 위치가 될 때까지는, 스풀(3)에 있어서의 우측으로의 이동과 함께 드래그 디스크(61)를 우측으로 압압(押壓)하도록 압박한다. 이 때, 드래그 디스크(61)는, 피니언 기어 칼라(62)의 제1 마찰판(621)(후술한다)에 접촉하는 것으로 마찰력이 생겨 드래그력이 발생한다.
피니언 기어 칼라(62)는, 핸들(4)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기어부(제1 피니언 기어(53))로부터 스풀축(2)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반상의 원반부를 형성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 칼라(62)는, 드래그 디스크(61)의 제1면(61a)에 대향하는 제1 마찰판(621)을 가진다. 피니언 기어 칼라(62)에는, 스풀축 방향으로 드래그 받이(63)를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받이(63)는, 스풀축(2)과 함께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스풀축(2)의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원반상의 원반부를 형성하고 있다. 드래그 받이(63)는, 스풀축(2)에 대하여 제3 베어링(63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드래그 받이(63)는, 드래그 디스크(61)에 대향하는 제2 마찰판(631)을 가진다. 드래그 받이(63)에는, 피니언 기어 칼라(62)의 볼록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구멍부(도시 생략)를 가지고, 피니언 기어 칼라(62)와 함께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 칼라(62)의 제1 마찰판(621) 및 드래그 받이(63)의 제2 마찰판(631)은, 예를 들어 카본 그래파이트(carbon graphite)나 섬유 강화 수지 등의 내마모성재제의 와셔(washer) 형상의 원판 부재이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취부(取付) 볼트에 의하여,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압박 부재(64)는, 접시 용수철에 비하여 고부하 하에 있어서 선형성을 가지고, 안정된 드래그 커브가 얻어지는 특성을 가지는 다층 권취형의 파형(波型) 원환상(圓環狀) 코일 스프링이 채용되고 있다.
압박 부재(64)는, 드래그 레버(80)를 이간 위치와 협지 위치와의 중간 위치로부터 협지 위치를 향하여 요동 조작하는 것으로, 압박 부재(64)의 압박력에 의하여 드래그 받이(63)를 우측으로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받이(63)의 제2 마찰판(631)은, 먼저 피니언 기어 칼라(62)의 제1 마찰판(621)에 접촉하고 있는 드래그 디스크(61)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즉, 드래그 디스크(61)는, 제1 마찰판(621)과 제2 마찰판(631)에 의하여 협지되어 마찰력이 생겨, 보다 큰 드래그력이 발생한다.
덧붙여, 코일 용수철(23)의 압박력은, 압박 부재(64)보다도 작고, 압박 부재(64)의 압박력이 작용하기 전(이간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의 사이)에 작용한다. 그 때문에, 드래그 기구(6)에서는, 이간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의 사이에서는 코일 용수철(23)만의 압박력으로 드래그력이 작용하고, 중간 위치로부터 협지 위치까지의 사이에서는 코일 용수철(23)의 압박력에 더하여 압박 부재(64)의 압박력으로 드래그력이 작용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이동 기구(6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레버(80)의 협지 위치 측으로부터 이간 위치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드래그 디스크(61), 피니언 기어 칼라(62) 및 드래그 받이(63)가 각각 스풀축 방향으로 이간하도록, 스풀축(2)을 반 핸들 측(좌측)으로 이동시키고, 드래그 레버(80)의 이간 위치 측으로부터 협지 위치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피니언 기어 칼라(62) 및 드래그 받이(63)로 드래그 디스크(61)를 협지하도록, 스풀축(2)을 핸들(4) 측(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드래그 기구(6)에서는, 드래그 레버(80)의 이간 위치로부터 협지 위치 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피니언 기어 칼라(62) 및 드래그 받이(63)로 드래그 디스크(61)를 협지하도록, 스풀축(2)을 핸들(4) 측(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스풀(3)의 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동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기구(65)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 커버 부재(12A)의 제2 지지 통부(124)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래그 레버(80)와, 드래그 레버(80)의 도 2에 도시하는 시계 방향의 요동에 따라 스풀축(2)을 끌어당겨 우방(右方)으로 이동시키는 인장 기구(도시 생략)와, 스풀축(2)을 좌방(左方)으로 압박하여 드래그 레버(80)의 반시계 방향의 이동에 따라 스풀축(2)을 좌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압박 부재(64)와, 제2 지지 통부(124)에 지지되는 스풀축(2)의 단부에 장착되고 드래그 레버(80)의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조정 손잡이(83)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레버)
드래그 레버(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3)이 자유 회전 가능한 드래그 프리(free) 상태에 대응한 이간 위치와 드래그 기구의 최대 드래그 상태에 대응한 최대 위치(협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우 커버 부재(12A)의 제2 지지 통부(124)의 외주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프리 위치와 최대 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하도록 요동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드래그 레버(80)는, 스풀축(2)의 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되고 우 커버 부재(12A)의 측면으로 돌출한 제2 지지 통부(124)의 외주부에 요동 가능(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장착부(81)와, 장착부(81)의 상면(上面)으로부터 선단부(경방향 외방)를 향하여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한 조작부(82)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81)는, 이동 기구(65)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는 캠 부재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고, 조작부(82)의 요동 조작에 따라, 스풀축(2) 및 스풀(3)을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장착부(81)는, 외형이 대략 원형의 통상의 부분이다. 장착부(81)의 측면 중앙부에는, 스풀축(2)이 장착되어 있고, 스풀축(2)의 단부에는, 캡 형상의 드래그 조정 손잡이(83)가 장착되어 있다. 장착부(81)에는, 조작부(82)가 일체 성형 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지지 통부(124)는, 우 커버 부재(12A)의 팽출부(12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지지 통부(124)에 조작부(82)의 일부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레버(80)를 소정의 드래그 제동 위치(여기에서는 협지 위치)에서 위치 결정한다.
조작부(82)는, 장착부(81)의 상면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전후 방향(전(前)방향은 도 1에서 시계 회전의 방향, 후(後)방향은 도 1에서 반시계 회전의 방향)으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 베어링 릴(1)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6)의 드래그력을 강약 조정하는 경우에는, 드래그 레버(80)를 요동시킨다. 드래그 레버(80)를 도 1에 있어서 가장 바로 앞쪽의 요동 위치인 드래그 해방 위치에 배치하면, 드래그 기구(6)에 있어서, 드래그 디스크(61)로부터 피니언 기어 칼라(62) 및 드래그 받이(63)의 마찰판(621, 631)이 이반하여 드래그 개방 상태가 되고, 스풀(3)이 자유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캐스팅을 행할 수 있다. 그것으로부터,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드래그 레버(80)를 요동 조작하면 스풀축 방향 외방(도 3의 우측)으로 서서히 이동하고 스풀축(2) 및 스풀(3)이 서서히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피니언 기어 칼라(62) 및 드래그 받이(63)의 드래그 디스크(61)로의 압접력이 강해지고, 드래그력이 강해진다.
(스풀 발음 기구)
도 4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발음 기구(7)는, 스풀(3)의 회전에 따라 발음 가능한 기구이다. 스풀 발음 기구(7)는, 스풀(3)과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부(71a)가 형성된 회전 부재(71)와, 요동축(7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부재(71)의 요철부(71a)에 탄발적으로 계합하는 계합 부재(72)와, 계합 부재(72)를 소정의 요동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73)와, 계합 부재(72)의 요동축(75)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74)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부재(7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회전 중심을 스풀축(2)과 동축(同軸)으로 하여, 스풀(3)에 고정되는 원판상(圓板狀)의 장착판(여기에서는 스풀(3)의 좌(左) 플랜지(32B))에 일체 형성되고, 스풀(3)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 부재(71)는, 외주(外周)에 기어 톱니 형상의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71a)를 가지고 있다.
요동축(75)의 축 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일치하는 방향, 즉 스풀축(2)의 축 방향으로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요동축(75)은, 규제 부재(74)에 대하여 삽통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요동축(75)은, 도 7에 도시하는 계합 부재(72)를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로 이동 조작하는 부재이다. 요동축(75)은, 축부(751)와, 축부(751)의 축 방향의 일단(좌단부(左端部))에 설치되고 좌 커버 부재(12B)의 외측에 위치하는 손잡이 부재(752)와, 축부(751)의 타단(他端)(우단부(右端部))에 계지되고, 규제 부재(74)를 보지하는 멈춤링(753)(보지 부재)을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부재(752)는, 축부(751)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멈춤링(753)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751)의 선단 외주부를 따라 형성되는 둘레 홈(754)에 감합(嵌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멈춤링(753)은, 와셔(756)를 개재시켜 규제 부재(74)에 지지된다. 축부(751)는, 규제 부재(74)에 관통하여 형성된 한 쌍의 긴 구멍(74a, 74b)(후술한다)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축부(751)에는, 규제 부재(74)의 후술하는 제1 규제 부재(74A)와 제2 규제 부재(74B)와의 사이에 개재된 계합 부재(72)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용자가 손잡이 부재(75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요동축(75)이 규제 부재(74)의 긴 구멍(74a, 74b)으로 안내되어, 안내되는 축부(751)에 지지되는 계합 부재(72)가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계합 부재(72)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요동축(75)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단부(721)와, 기단부(721)로부터 연장되고 선단이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부재(71)의 요철부(71a)와 충돌을 반복하는 타격부(722)와, 기단부(721)와 타격부(722)와의 사이에 형성된 잘록부(723)(계지부)를 가지고 있다. 계합 부재(72)는, 요철부(71a)에 계합하는 계합 위치와, 요철부(71a)와 계합하지 않는 비계합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잘록부(723)에는, 계합 부재(72)가 계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압박 부재(73)의 대향부(73a)가 양측으로부터 계지한다.
계합 부재(72)의 기단부(721)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72a)이 형성되어 있다. 계합 부재(72)의 축 구멍(72a)이 요동축(75)에 삽통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부재(72)는, 요동축(75)을 중심으로 한 요동이 가능한 구성이 되어 있다.
압박 부재(73)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고, 원주(圓周)의 일부를 노치(notch)한 것과 같은 형상의 대향부(73a)를 가지는 C자 통상의 용수철부(731)와, 용수철부(731)의 중간 부분에 판상으로 형성된 취부부(732)를 가지고 있다. 용수철부(731)의 노치 부분에는, 한 쌍의 대향부(73a)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용수철부(731)는, 노치 부분의 대향부(73a)끼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용수철부(731)는, 타격부(722)가 계합 위치에 진출한 상태에서, 대향부(73a) 사이에 계합 부재(72)의 잘록부(723)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취부부(732)는, 나사 부재(733)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판(734)과 장착판(33)과의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다.
규제 부재(74)는, 계합 부재(72)의 요동축(75)의 축 방향의 좌측(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 부재(74A)와, 계합 부재(72)의 요동축(75)의 축 방향의 우측(타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 부재(74B)를 가진다.
제1 규제 부재(74A)는, 판상을 이루고, 계합 부재(72)의 일방(좌측)에 배치된다. 제2 규제 부재(74B)는, 판상을 이루고, 계합 부재(72)의 타방(우측)에 배치된다. 제1 규제 부재(74A)와 제2 규제 부재(74B)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되고, 연결부(741)와 함께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규제 부재(74A)와 제2 규제 부재(74B)와의 사이에 계합 부재(72)는 배치된다. 제1 규제 부재(74A)와 제2 규제 부재(74B)와의 이간은, 계합 부재(72)의 두께와 거의 동등하다. 제1 규제 부재(74A) 및 제2 규제 부재(74B)는 각각, 계합 부재(72)에 근접 혹은 접촉하고 있다. 제1 규제 부재(74A) 및 제2 규제 부재(74B)에는, 각각 요동축 방향으로 겹지는 위치에 긴 구멍(74a, 74b)(안내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74a, 74b)에는, 요동축(75)이 삽통되어 지지된다.
제1 규제 부재(74A)에는, 판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고정부(74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부(742)는, 제1 규제 부재(74A)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중앙에 고정 구멍(742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구멍(742a)에 도시하지 않는 볼트가 조여져 좌측판(10B)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풀 발음 기구(7) 및 양 베어링 릴(1)의 작용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스풀 발음 기구(7)는, 양 베어링 릴(1)에 설치되고, 스풀(3)의 회전 시에 발음한다. 스풀 발음 기구(7)는, 스풀(3)과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부(71a)가 형성된 회전 부재(71)와, 요동축(7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부재(71)의 요철부(71a)에 탄발적으로 계합하는 것으로 발음하는 계합 부재(72)와, 계합 부재(72)를 소정의 요동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73)와, 계합 부재(72)의 요동축(75)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74)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압박 부재(73)에 의하여 요동 중심 위치가 되도록 압박되어 있는 계합 부재(72)가 규제 부재(74)에 의하여 요동축(75)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보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요동하는 계합 부재(72)의 부하가 멈춤링(753)에 대하여 직접 작용하는 것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부재(72)에 부여하는 압박 부재(73)의 압박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규제 부재(74)에 의하여 계합 부재(72)가 크게 날뛰도록 요동하는 것이 저감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계합 부재(72)의 요동축(75)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멈춤링이 빠지거나, 파손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풀 발음 기구(7)로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74)는, 계합 부재(72)의 요동축(75)의 축 방향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 부재(74A)와, 계합 부재(72)의 요동축(75)의 축 방향의 타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 부재(74B)를 가진다.
그 때문에, 계합 부재(72)가 축 방향 양측으로부터 규제 부재(74)에 의하여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규제 부재(74A)와 제2 규제 부재(74B)에 의하여 계합 부재(72)가 크게 날뛰도록 요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부재(72)는, 요철부(71a)에 계합하는 계합 위치와, 요철부(71a)와 계합하지 않는 비계합 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가 계합 부재(72)의 위치를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로 선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계합 부재(72)를 계합 위치로 하여 회전 부재(71)의 요철부(71a)에 계합시켜 발음시키거나, 발음이 불필요한 때에 계합 부재(72)를 비계합 위치로 이동시켜 무음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적의한 위치에 계합 부재(72)를 배치하는 것으로, 요철부(71a)와 계합 부재(72)와의 계합 상태(맞닿는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계합 부재(72)에 의한 발음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부(71a)에 대한 계합 부재(72)의 계합 상태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계합 부재(72)의 요동을 저감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스풀 발음 기구(7)로서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74)는, 요동축(75)이 관통 가능하고, 계합 부재(72)를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긴 구멍(74a, 74b)을 가진다.
그 때문에, 요동축(75)을 긴 구멍(74a, 74b)으로 안내시켜 이동시키는 것으로, 요동축(75)과 함께 계합 부재(72)를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요동축(75)은 긴 구멍(74a, 74b)에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옆으로 흔들리는 것 없이 안정된 이동이 되고, 계합 부재(72)의 요동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규제 부재(74A) 및 제2 규제 부재(74B)는,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제1 규제 부재(74A)와 제2 규제 부재(74B)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 부재(074) 전체에 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계합 부재(72)를 보다 강고하게 보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부재(72)는, 계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압박 부재(73)와 계지하는 잘록부(723)를 가진다.
그 때문에, 압박 부재(73)의 압박력이 잘록부(723)에 작용한 상태로 계합 부재(72)를 보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부재(72)가 항상 압박 부재(73)에 의하여 압박되어 크게 요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축(75)의 일단에 계지되고, 규제 부재(74)를 보지하는 멈춤링(753)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멈춤링(753)에 의하여 규제 부재(74)의 요동축(75)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합 부재(72)는 규제 부재(74)와 멈춤링(753)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보다 확실히 규제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스풀 발음 기구(7) 및 양 베어링 릴(1)에서는, 계합 부재(72)의 이동에 의하여 멈춤링(753)의 빠짐이나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것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에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想定)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의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형의 레버 드래그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풀 발음 기구(7)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1)이면, 모든 양 베어링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변형예에 의한 스풀 발음 기구(7A)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에 의한 스풀 발음 기구(7A)는, 압박 부재(73A)와 규제 부재(74)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계합 부재(72), 규제 부재(74) 및 요동축(75)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변형예에 의한 압박 부재(73A)는, 링을 반으로 나눈 한 쌍의 반할(半割) 링부(735)가 서로 링 형상을 형성하도록 마주본 상태로 규제 부재(74)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반할 링부(735)는, 연재(延在) 방향의 일단(고정단(固定端)(73b))이 규제 부재(74)의 연결부(741)에 접속되어 있다. 반할 링부(735)의 타단의 대향부(73a)는, 계합 부재(72)의 잘록부(723)(계지부)에 계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의한 스풀 발음 기구(7A)에서는, 계합 부재(72)를 보지하는 규제 부재(74)에 대하여 압박 부재(73A)가 일체화되고, 압박 부재(73A)로 계합 부재(72)를 안정된 자세에 의하여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계합 부재(72)의 날뜀(덜걱거림)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스풀(3)의 직경 치수가 바뀌어도 회전 부재(71)의 요철부(71a)(도 6 참조)의 피치를 변경하기만 하면 되고, 압박 부재(73A)를 스풀(3)의 직경 치수에 맞춘 별도의 부재로 할 필요가 없고, 나아가 부품 점수를 저감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규제 부재(74)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부재(72)의 축 방향의 양측으로 제1 규제 부재(74A)와 제2 규제 부재(74B)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한 쌍의 규제 부재(74A, 74B)를 설치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규제 부재(74A) 및 제2 규제 부재(74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은 아니고, 별체(別體)로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축(75) 및 계합 부재(72)가, 회전 부재(71)의 요철부(71a)에 계합하는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를 이동 가능하지만, 이와 같이 비계합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계합 부재(72)가 항상 요철부(71a)에 계합하는 계합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규제 부재(74)에 있어서, 요동축(75)의 축부(751)를 안내하는 긴 구멍(안내 구멍)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부재(72)에 압박 부재(73)의 대향부(73a)가 계지하는 잘록부(723)(계지부)가 설치되어 있지만, 계지부가 다른 부위여도 무방하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은 잘록 형상인 것에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압박 부재(73)의 대향부(73a)로 계합 부재(72)의 타격부(722)에 계지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1: 양 베어링 릴(낚시용 양 베어링 릴)
2: 스풀축
3: 스풀
4: 핸들
6: 드래그 기구
7: 스풀 발음 기구
71: 회전 부재
71a: 요철부
72: 계합 부재
721: 기단부
722: 타격부
723: 잘록부(계지부)
73: 압박 부재
74: 규제 부재
74A: 제1 규제 부재
74B: 제2 규제 부재
75: 요동축
753: 멈춤링(보지 부재)
80: 드래그 레버

Claims (9)

  1. 낚시용 양 베어링 릴에 설치되고, 스풀의 회전 시에 발음하는 스풀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풀과 함께 회전하고, 외주면(外周面)에 둘레 방향을 따라 요철부가 형성된 회전 부재와,
    요동축(搖動軸)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상기 요철부에 탄발적으로 계합(係合)하는 계합 부재와,
    상기 계합 부재를 소정의 요동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계합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를 구비한 스풀 발음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계합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 방향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 부재와,
    상기 계합 부재의 상기 요동축의 축 방향의 타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 부재
    를 가지는, 스풀 발음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요철부에 계합하는 계합 위치와, 상기 요철부와 계합하지 않는 비계합 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스풀 발음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요동축이 관통 가능하고, 상기 계합 부재를 상기 계합 위치와 상기 비계합 위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구멍을 가지는, 스풀 발음 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제 부재 및 상기 제2 규제 부재는,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풀 발음 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부재는, 상기 계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압박 부재와 계지(係止)하는 계지부를 가지는, 스풀 발음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와 상기 규제 부재가 일체(一體)로 설치되어 있는, 스풀 발음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축의 일단(一端)에 계지되고, 상기 규제 부재를 보지(保持)하는 보지 부재를 구비한 스풀 발음 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풀 발음 기구를 구비한 낚시용 양 베어링 릴.
KR1020230091831A 2022-10-31 2023-07-14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 KR20240061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74566 2022-10-31
JP2022174566A JP2024065612A (ja) 2022-10-31 2022-10-31 スプール発音機構および魚釣用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1574A true KR20240061574A (ko) 2024-05-08

Family

ID=9079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831A KR20240061574A (ko) 2022-10-31 2023-07-14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38387A1 (ko)
JP (1) JP2024065612A (ko)
KR (1) KR20240061574A (ko)
CN (1) CN1179416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7098A (ja) 2008-07-08 2010-01-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7098A (ja) 2008-07-08 2010-01-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41663A (zh) 2024-04-30
US20240138387A1 (en) 2024-05-02
JP2024065612A (ja) 202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8688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KR10169422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변속 조작 기구
KR101942880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JP2011019427A5 (ko)
KR101217156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KR101815621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사운드 발생 장치
US7163167B2 (en) One way clutch for spinning reel
KR20140113475A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JP5242353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KR20050001416A (ko) 이중 베어링 릴의 발음 장치
KR20240061574A (ko) 스풀 발음 기구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
KR20100039219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KR20240062914A (ko) 드래그 레버 및 낚시용 양 베어링 릴
KR102656379B1 (ko)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장치
KR20140143080A (ko) 낚시용 스피닝 릴 및 그 로터 제동 장치의 제동 조작 레버
TW202418991A (zh) 捲筒發音機構及釣魚用雙軸承捲線器
JP562406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切換装置
JP2024065759A (ja) 魚釣用両軸受リール
TW202418988A (zh) 釣力閥推桿及釣魚用雙軸承捲線器
JP2019115284A (ja) ドラグつまみ、及び釣り用リール
JP2013146245A5 (ko)
TW202418990A (zh) 釣魚用雙軸承捲線器
JP200331011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5130741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004736A (ja) 両軸受け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