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416A -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416A
KR20240059416A KR1020220140634A KR20220140634A KR20240059416A KR 20240059416 A KR20240059416 A KR 20240059416A KR 1020220140634 A KR1020220140634 A KR 1020220140634A KR 20220140634 A KR20220140634 A KR 20220140634A KR 20240059416 A KR20240059416 A KR 20240059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waterproof
waterproof connector
conne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0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416A/ko
Publication of KR2024005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의 일측 단부가 상대 커넥터와 접촉가능한 터미널(100); 상기 터미널(1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와 결합되는 와이어(200); 상기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1몸체(310) 및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3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방수리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우징(300); 및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고, 상기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를 둘러싸는, 파이프 형상의 커버(400)를 포함하는 방수커넥터(10)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1방수리브(320) 및 커버(400)가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가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WATERPROOF CONNECTOR AND WATERPROOF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방수성능이 향상되는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 중에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방수성이 중요시되는 경우가 있다. 방수기능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커넥터 내부에 고무재질의 방수시일을 설치하거나 커넥터 전체를 실리콘 재질의 밀봉부재로 감싼다.
그러나, 커넥터 내부에 방수시일을 설치 및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커넥터 전체를 밀봉부재로 감싸면 밀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밀봉부재가 쉽게 손상될 수 있어서 방수성능이 낮고 커넥터를 체결 및 체결해제할 때마다 커넥터를 밀봉부재로 다시 감싸거나 밀봉부재를 제거해야 하므로 리웍(re-work) 작업이 번거로우며 커넥터 체결 시 발생하는 소리 또는 진동 등이 밀봉부재에 막혀서 작업자에게 전달되지 않으므로 커넥터의 체결확인이 어렵고 체결불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방수성능이 향상되며 상대 커넥터와 용이하게 체결, 체결해제 및 체결확인할 수 있는 방수커넥터가 요구된다.
KR 10-2010-0070893 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방수성능이 향상되는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홀더의 탈착이 용이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방수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대 커넥터와 용이하고 정확하며 안정적으로 체결 및 체결해제할 수 있고 체결불량이 감소하며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수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되는 방수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품 공용화가 가능해서 제조, 보관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는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의 일측 단부가 상대 커넥터와 접촉가능한 터미널(100); 상기 터미널(1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와 결합되는 와이어(200); 상기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1몸체(310) 및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3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방수리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우징(300); 및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고, 상기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를 둘러싸는, 파이프 형상의 커버(400)를 포함하는 방수커넥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400)는, 상기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둘러싸는 제2몸체(410) 및 상기 제2몸체(410)의 내주면을 따라 제2몸체(41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제2방수리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상기 제1몸체(3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상기 제1몸체(31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면리브(UR), 제1측면리브(SR1), 제2측면리브(SR2), 제1코너리브(CR1) 및 제2코너리브(CR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리브(UR)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을 따라 제1몸체(3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상면(US)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리브(S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적어도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리브(SR2)는, 상기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을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으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적어도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리브(C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1모서리면(CS1)을 따라 상기 제1모서리면(C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 상방 및 제2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모서리면(CS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리브(UR) 및 제1측면리브(SR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코너리브(CR2)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2모서리면(CS2)을 따라 상기 제2모서리면(CS2)으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 상방 및 제2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2모서리면(CS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리브(UR) 및 제2측면리브(SR2)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방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형성되는 한 쌍의 기준부위(RP),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형성되는 오프셋부위(OP) 및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와 상기 오프셋부위(OP)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위(C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 및 상기 오프셋부위(OP)에 대응하여 제1방향의 타방으로 요입되는 오목부(C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오프셋부위(OP) 및 오목부(CO)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는 체결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측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몸체(3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터미널(100)을 고정하는 홀더(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500)는, 상기 제1몸체(3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몸체(3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P) 또는 홈에 걸림되는 탄성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방향을 둘러싸는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과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리브(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기 제1몸체(310) 중에서 상기 탄성편(52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상기 홀더(500)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330)를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330)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지지리브(330)는 상기 제1방수리브(32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제1방향의 위치는 상기 제1방수리브(320) 중에서 탄성편(520)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부분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면리브(UR), 제1측면상단리브(SUER1) 및 제1코너리브(CR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리브(UR)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을 따라 제1몸체(3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상면(US)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상단리브(SUE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리브(C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1모서리면(CS1)을 따라 상기 제1모서리면(C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 상방 및 제2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모서리면(CS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리브(UR) 및 제1측면상단리브(SUER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탄성편(520)은 상기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부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제1방향의 위치는 상기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단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400)는,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고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부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제1커버(C1); 및 상기 하우징(300) 및 제1커버(C1)와 결합되고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나머지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의 나머지를 둘러싸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제2커버(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C1) 및 제2커버(C2)는 서로 마주하여서 결합되는 제1결합면(CS1) 및 제2결합면(CS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면(CS1) 또는 제2결합면(CS2)에는 제1결합면(CS1) 또는 제2결합면(CS2)을 따라 중첩돌기(430)가 돌출 형성되고 제2결합면(CS2) 또는 제1결합면(CS1)에는 제2결합면(CS2) 또는 제1결합면(CS1)을 따라 상기 중첩돌기(430)가 삽입되는 중첩홈(4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방수커넥터(10)인 제1방수커넥터(10a); 및 상기 방수커넥터(10)이고,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와 체결되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상대 커넥터인, 제2방수커넥터(10b)를 포함하는 방수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하우징(300)의 상기 제1몸체(310)는,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선단부가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12a);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선단부가 상기 삽입부(312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삽입부(312a)의 선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후단부가 삽입부(312a)와 결합되는, 랩핑부(3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는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하우징(300)의 상기 제1몸체(310)의 상기 삽입부(312a) 및 랩핑부(314a)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방수커넥터(10)인 제1방수커넥터(10a); 및 상기 방수커넥터(10)이고,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와 체결되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상대 커넥터인, 제2방수커넥터(10b)를 포함하는 방수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커버(400)가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커버(400)일 수 있다.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커버(400)가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커버(400)일 수 있다.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커버(400)가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와이어(200)의 인출 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커버(400)가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와이어(200)의 인출 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커넥터(10)가,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의 일측 단부가 상대 커넥터와 접촉가능한 터미널(100); 상기 터미널(1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와 결합되는 와이어(200); 상기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1몸체(310) 및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3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방수리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우징(300); 및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고, 상기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를 둘러싸는, 파이프 형상의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예컨대, 하우징 내부의 터미널 또는 터미널과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위)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1방수리브(320)를 넘어야 하고 제1방수리브(320)와 커버(400) 사이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제1방수리브(320) 및 커버(400)가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400)는, 상기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둘러싸는 제2몸체(410) 및 상기 제2몸체(410)의 내주면을 따라 제2몸체(41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제2방수리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하우징(300)과 커버(400) 사이를 통과해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1방수리브(320)뿐만 아니라 제2방수리브(420)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물의 유입이 더 어려워지므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상기 제1몸체(3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하우징(300)과 커버(400) 사이를 통과해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2방수리브(420)와 제1몸체(310) 사이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물의 유입이 더 어려워지므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둘러싸지 않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제2방수리브(420)가 둘러쌀 수 있다(도 23, 도 33). 따라서, 필요(예를 들면, 홀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방수리브를 소형화하려는 등의 필요)에 따라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둘러싸지 않도록 구성되더라도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방수리브(420)는 상기 제1몸체(31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제2방수리브(420)를 통과하기 더 어려워지므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방수리브(420)가 제1방수리브(320)보다 방수커넥터(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커버(400)의 제2방수리브(420) 및 제2몸체(410)가 제1방수리브(320)를 둘러싸므로 물이 제1방수리브(320)를 통과하여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기 더 어려워진다. 따라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둘러싸지 않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제2방수리브(420)가 가리거나 덮거나 둘러쌀 수 있다(도 23, 도 33). 따라서, 필요(예를 들면, 홀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방수리브를 소형화하려는 등의 필요)에 따라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둘러싸지 않도록 구성되더라도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면리브(UR), 제1측면리브(SR1), 제2측면리브(SR2), 제1코너리브(CR1) 및 제2코너리브(CR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리브(UR)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을 따라 제1몸체(3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상면(US)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리브(S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적어도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면리브(SR2)는, 상기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을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으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적어도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리브(C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1모서리면(CS1)을 따라 상기 제1모서리면(C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 상방 및 제2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모서리면(CS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리브(UR) 및 제1측면리브(SR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코너리브(CR2)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2모서리면(CS2)을 따라 상기 제2모서리면(CS2)으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 상방 및 제2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2모서리면(CS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리브(UR) 및 제2측면리브(SR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0)의 제1몸체(310)의 상면(US)에 고이거나 흐르는 물이, 제1방수리브(320)의 상면리브(UR), 제1/제2측면리브(SR1/SR2) 및 제1/제2코너리브(CR1/CR2)에 가로막혀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면리브(UR), 제1/제2측면리브(SR1/SR2) 및 제1/제2코너리브(CR1/CR2)를 따라 아래로 흘러내려서 방수커넥터(10)를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방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형성되는 한 쌍의 기준부위(RP),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형성되는 오프셋부위(OP) 및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와 상기 오프셋부위(OP)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위(C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 및 상기 오프셋부위(OP)에 대응하여 제1방향의 타방으로 요입되는 오목부(CO)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오프셋부위(OP) 및 오목부(CO)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는 체결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홀더(500)를 통한 물 유입을 방지하려는 등의 필요에 의해서 제1방수리브(320) 중에서 일부분(기준부위-RP)이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돼야만 해서, 제1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체결부(340)가 커버(40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는(즉 외부로 노출가능한), 상기 일부분(기준부위-RP)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없더라도, 제1방수리브(320)의 다른 일부분(오프셋부위-OP)이 상기 일부분(기준부위-RP)보다 하우징(300)의 제1방향의 타단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체결부(340)가 커버(40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는(즉 외부로 노출가능한), 상기 다른 일부분(오프셋부위OP)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34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를 상대 커넥터와 용이하게 체결 및 체결해제할 수 있고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체결부(34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방수커넥터(10)의 체결 및 체결해제 시 소리 또는 진동 등이 손 등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커넥터(10)가 높거나 깊은 곳에 위치해서 방수커넥터(10)의 체결 및 체결해제를 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더라도 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방수커넥터(10)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체결 및 체결해제할 수 있고 체결불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40)가 터미널(100)과 직접 결합되는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의 체결 및 체결해제가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40)가 제1방수리브(320)의 오프셋부위(OP) 및 커버(400)의 오목부(CO)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300)의 제1방향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방수커넥터(10)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방수리브(320)가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기준부위(RP)와 오프셋부위(OP)를 포함하더라도, 기준부위(RP)와 오프셋부위(OP)가 연결부위(CP)에 의해서 연결되므로 물이 제1방수리브(320)를 통과하기 어려워서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측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몸체(3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터미널(100)을 고정하는 홀더(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500)는, 상기 제1몸체(3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몸체(3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P) 또는 홈에 걸림되는 탄성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방향을 둘러싸는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과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리브(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기 제1몸체(310) 중에서 상기 탄성편(52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상기 홀더(500)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330)를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제1방향을 둘러싸는 둘레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둘러싸더라도, 제1방수리브(320)에 간섭되지 않고 손가락 또는 막대 등으로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를 탄성변형시켜서 홀더(500)를 하우징(300)/제1몸체(3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더(500)의 탄성편(520)을 지지/고정하기 위해서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에 지지리브(330)가 형성되면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이 지지리브(330)에 가로막히므로 손가락 또는 막대 등으로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편(520)을 탄성변형시켜서 홀더(500)를 하우징(300)/제1몸체(31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되 제1몸체(310) 중에서 탄성편(52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제1방수리브(320)에 간섭되지 않고 손가락 또는 막대 등으로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편(520)을 탄성변형시켜서 홀더(500)를 하우징(300)/제1몸체(3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300)/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길이가 작더라도 제1방수리브(320)에 간섭되지 않고 홀더(500)를 하우징(300)/제1몸체(3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둘러싸지 않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홀더(500)의 탄성편(520)이 둘러쌀 수 있다(도 23, 도 33). 따라서, 홀더(500)의 탄성편(520)이 제1방수리브(320)와 함께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리브(330)가 홀더(500)의 탄성편(520)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한 쌍의 지지리브(330)가 홀더(500)의 이동방향 및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홀더(500)의 착탈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홀더(500) 및 지지리브(330)가 커버(400)에 의해서 둘러싸이므로 홀더(500) 및 지지리브(330)를 통해서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330)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지지리브(330)는 상기 제1방수리브(3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리브(330) 및 제1방수리브(320)가 상호 결합되어서 상호 지지하므로 지지리브(330) 및 제1방수리브(32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방수커넥터(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방수커넥터(1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제1방향의 위치는 상기 제1방수리브(320) 중에서 탄성편(520)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부분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500)의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가 제1방수리브(320)와 나란히 배치되므로, 홀더(500)의 탄성편(520)이 제1방수리브(320)와 함께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면리브(UR), 제1측면상단리브(SUER1) 및 제1코너리브(CR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리브(UR)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을 따라 제1몸체(3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상면(US)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상단리브(SUE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리브(C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1모서리면(CS1)을 따라 상기 제1모서리면(C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 상방 및 제2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모서리면(CS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리브(UR) 및 제1측면상단리브(SUER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탄성편(520)은 상기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부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제1방향의 위치는 상기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단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300)의 제1몸체(310)의 상면(US)에 고이거나 흐르는 물이 제1방수리브(320)의 상면리브(UR), 제1코너리브(CR1) 및 제1측면상단리브(SUER1)와 홀더(500)의 탄성편(520)에 가로막혀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면리브(UR), 제1코너리브(CR1), 제1측면상단리브(SUER1) 및 탄성편(520)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려서 방수커넥터(10)를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400)는,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고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부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제1커버(C1); 및 상기 하우징(300) 및 제1커버(C1)와 결합되고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나머지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의 나머지를 둘러싸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제2커버(C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C1) 및 제2커버(C2)는 서로 마주하여서 결합되는 제1결합면(CS1) 및 제2결합면(CS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면(CS1) 또는 제2결합면(CS2)에는 제1결합면(CS1) 또는 제2결합면(CS2)을 따라 중첩돌기(430)가 돌출 형성되고 제2결합면(CS2) 또는 제1결합면(CS1)에는 제2결합면(CS2) 또는 제1결합면(CS1)을 따라 상기 중첩돌기(430)가 삽입되는 중첩홈(4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제1커버(C1)와 제2커버(C2) 사이를 통과해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1결합면(CS1)과 제2결합면(CS2) 사이뿐만 아니라 중첩돌기(430)와 중첩홈(440) 사이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중첩돌기(430)와 중첩홈(440)이 물의 유입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커넥터조립체가, 상기 방수커넥터(10)인 제1방수커넥터(10a); 및 상기 방수커넥터(10)이고,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와 체결되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상대 커넥터인, 제2방수커넥터(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하우징(300)의 상기 제1몸체(310)는,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선단부가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12a);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선단부가 상기 삽입부(312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삽입부(312a)의 선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후단부가 삽입부(312a)와 결합되는, 랩핑부(3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는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하우징(300)의 상기 제1몸체(310)의 상기 삽입부(312a) 및 랩핑부(314a)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제1방수커넥터(10a)와 제2방수커넥터(10b) 사이를 통과해서 제1방수커넥터(10a) 또는 제2방수커넥터(10b)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1방수커넥터(10a)의 랩핑부(314a)와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 사이 및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와 제1방수커넥터(10a)의 삽입부(312a) 사이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제1방수커넥터(10a)와 제2방수커넥터(10b)가 체결된 경우에 체결부위를 통한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커넥터조립체가, 상기 방수커넥터(10)인 제1방수커넥터(10a); 및 상기 방수커넥터(10)이고,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와 체결되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상대 커넥터인, 제2방수커넥터(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커버(400)가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커버(400)일 수 있다.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커버(400)가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커버(400)일 수 있다.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커버(400)가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와이어(200)의 인출 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커버(400)가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와이어(200)의 인출 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커버(400)가 암형 및 숫형 커넥터(제1방수커넥터 및 제2방수커넥터)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부품 공용화가 가능해서 방수커넥터(10)의 제조, 보관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200)의 인출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커버(400)가 요구되더라도, 각 종류 별로 동일한 커버(400)가 암형 및 숫형 커넥터(제1방수커넥터 및 제2방수커넥터)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200)의 인출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커버(400)에 대해서도 부품 공용화가 가능해서 방수커넥터(10)의 제조, 보관 및 유지관리 비용이 더욱 절감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4는 도 1 내지 도 4의 방수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도 5 내지 도 7), 평면도(도 8 및 도 10), 저면도(도 9), 평면 단면도(도 11), 정면도(도 12), 측면도(도 13), 측면 단면도(도 14)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3 및 도 4의 방수커넥터의 하우징 및 홀더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우징에 홀더가 결합되기 전과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 내지 도 4의 방수커넥터의 제1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6은 도 17 내지 도 20의 제1커버에 도 1 내지 도 16의 하우징 및 홀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도 21), 측면도(도 22), 도 21의 A-A'단면도(도 23), 도 21의 B-B'단면도(도 24), 도 21의 C-C'단면도(도 25) 및 도 22의 D-D'단면도(도 26)이다.
도 27 내지 도 30은 도 1 내지 도 4의 방수커넥터의 제2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1 내지 도 36은 도 27 내지 도 30의 제2커버에 도 1 내지 도 16의 하우징 및 홀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도 31), 측면도(도 32), 도 31의 A-A'단면도(도 33), 도 31의 B-B'단면도(도 34), 도 31의 C-C'단면도(도 35) 및 도 32의 D-D'단면도(도 36)이다.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41 내지 도 43은 도 37 내지 도 40의 방수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4 및 도 45는 도 37 내지 도 40의 방수커넥터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6 및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8 및 도 49는 도 46 및 도 47의 방수커넥터조립체의 평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방수커넥터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방수커넥터]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10)는 터미널(100), 와이어(200), 하우징(300) 및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커넥터(10)는 홀더(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터미널(100), 와이어(200), 하우징(300), 홀더(500) 및 커버(400)의 순서로 살펴본다.
[터미널, 와이어]
터미널(100)은 제1방향(예컨대,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미널(100)은 제1방향의 일측(예컨대, 전측) 단부가 상대 커넥터와 접촉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미널(10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가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할 수 있다.
와이어(200)는 터미널(100)의 제1방향의 타측(예컨대, 후측)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도면과 달리 와이어(200)는 길게 연장되어서 커버(40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하우징]
도 5 내지 도 14는 도 1 내지 도 4의 방수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도 5 내지 도 7), 평면도(도 8 및 도 10), 저면도(도 9), 평면 단면도(도 11), 정면도(도 12), 측면도(도 13), 측면 단면도(도 14)이다.
도 5 내지 도 14를 더 참조하면, 하우징(300)은 제1몸체(310) 및 제1방수리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지지리브(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체결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310)는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몸체(310)는 내부에 터미널(100)을 수용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방수리브(320)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3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예컨대, 상하방향 및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2).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방수리브(320)는 상면리브(UR), 제1측면리브(SR1), 제2측면리브(SR2), 제1코너리브(CR1) 및 제2코너리브(CR2)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도 6, 도 8, 도 12 내지 도 14). 또한, 제1방수리브(320)는 하면리브(LR), 제3코너리브(CR3) 및 제4코너리브(CR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5, 도 6, 도 9, 도 12 내지 도 14).
상면리브(UR)는 제1몸체(310)의 상면(US)을 따라 제1몸체(3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상면리브(UR)는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상면(US)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측면리브(SR1)는 제1몸체(310)의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예컨대, 좌우방향)의 일측면(SS1, 예컨대 우측면)을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예컨대, 오른쪽)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제1측면리브(SR1)는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적어도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예컨대, 상단부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측면리브(SR1)는 제1측면상단리브(SUER1)를 반드시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상단리브(SUER1)는, 제1측면리브(SR1)의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고,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예컨대, 상단부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면리브(SR2)는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 예컨대, 좌측면)을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으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예컨대, 왼쪽)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면리브(SR2)는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적어도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상단부를(예컨대, 상단부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측면리브(SR2)는 제2측면상단리브(SUER2)를 반드시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면상단리브(SUER2)는, 제2측면리브(SR2)의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고,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상단부를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상단부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상단부를(예컨대, 상단부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코너리브(CR1)는,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1모서리면(CS1)을 따라 제1모서리면(C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 상방 및 제2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모서리면(CS1)을(예컨대, 제1모서리면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코너리브(CR1)는 상면리브(UR) 및 제1측면리브(SR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코너리브(CR1)는 상면리브(UR) 및 제1측면상단리브(SUER1)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코너리브(CR2)는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2모서리면(CS2)을 따라 제2모서리면(CS2)으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 상방 및 제2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2모서리면(CS2)을(예컨대, 제2모서리면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코너리브(CR2)는 상면리브(UR) 및 제2측면리브(SR2)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코너리브(CR2)는 상면리브(UR) 및 제2측면상단리브(SUER2)를 연결할 수 있다.
6항//이에 따라, 하우징(300)의 제1몸체(310)의 상면(US)에 고이거나 흐르는 물이, 제1방수리브(320)의 상면리브(UR), 제1/제2측면리브(SR1/SR2) 및 제1/제2코너리브(CR1/CR2)에 가로막혀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면리브(UR), 제1/제2측면리브(SR1/SR2) 및 제1/제2코너리브(CR1/CR2)를 따라 아래로 흘러내려서 방수커넥터(10)를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측면리브(SR1)는 제1측면하단리브(SLER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측면리브(SR2)는 제2측면하단리브(SLER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하단리브(SLER1)는, 제1측면리브(SR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하단부를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하단부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하단부를(예컨대, 하단부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면하단리브(SLER2)는, 제2측면리브(SR2)의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고,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하단부를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하단부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하단부를(예컨대, 하단부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면리브(LR)는 제1몸체(310)의 하면(LS)을 따라 제1몸체(310)의 하면(LS)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하면리브(LR)는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하면(LS)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코너리브(CR3)는 제1몸체(310)의 하면(L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3모서리면(CS3)을 따라 제3모서리면(CS3)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 하방 및 제2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3모서리면(CS3)을(예컨대, 제3모서리면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코너리브(CR3)는 하면리브(LR) 및 제1측면리브(SR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코너리브(CR3)는 하면리브(LR) 및 제1측면하단리브(SLER1)를 연결할 수 있다.
제4코너리브(CR4)는 제1몸체(310)의 하면(L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4모서리면(CS4)을 따라 제2모서리면(CS2)으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 하방 및 제2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4모서리면(CS4)을(예컨대, 제4모서리면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코너리브(CR4)는 하면리브(LR) 및 제2측면리브(SR2)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코너리브(CR4)는 하면리브(LR) 및 제2측면하단리브(SLER2)를 연결할 수 있다.
제1방수리브(320)는 한 쌍의 기준부위(RP), 오프셋부위(OP) 및 한 쌍의 연결부위(CP)를 포함할 수 있다(도 7, 도 10).
한 쌍의 기준부위(RP)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단(예컨대, 후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방(예컨대, 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기준부위(RP)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오프셋부위(OP)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보다 제1방향의 타측(예컨대,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부위(CP)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한 쌍의 기준부위(RP)와 오프셋부위(OP)를 연결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부위(CP)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제1방향을 향하여 제2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리브(330)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리브(330)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리브(330)는 제1방향을 둘러싸는 둘레방향(예컨대,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리브(330)는 후술하는 홀더(500)의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과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리브(330)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지지리브(330)는 제1방수리브(320)와 결합될 수 있다.
9항//이에 따라, 지지리브(330) 및 제1방수리브(320)가 상호 결합되어서 상호 지지하므로 지지리브(330) 및 제1방수리브(32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방수커넥터(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방수커넥터(1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체결부(340)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40)는 상대 커넥터와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340)는 오프셋부위(OP) 및 오목부(CO)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34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홀더]
도 15 및 도 16은 도 3 및 도 4의 방수커넥터의 하우징 및 홀더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우징에 홀더가 결합되기 전과 결합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더 참조하면, 홀더(500)는 하우징(300)의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측부(예컨대, 후측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홀더(500)는 제1몸체(310)의 내부에 수용된 터미널(100)을 고정할 수 있다.
홀더(500)는 제3몸체(510) 및 탄성편(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몸체(510)는 하우징(300)의 타측에 삽입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3몸체(510)는 터미널(100)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편(520)은 하우징(300)의 제1몸체(3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편(520)은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P, 도 15) 또는 홈에 걸림될 수 있다.
탄성편(52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편(520)은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방수리브(320)는 제1몸체(310) 중에서 탄성편(52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커버(400)는 홀더(500) 및 한 쌍의 지지리브(330)를 둘러쌀 수 있다(도 22, 도 23, 도 25, 도 32, 도 33, 도 35).
8항//이에 따라,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제1방향을 둘러싸는 둘레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둘러싸더라도, 제1방수리브(320)에 간섭되지 않고 손가락 또는 막대 등으로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를 탄성변형시켜서 홀더(500)를 하우징(300)/제1몸체(3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더(500)의 탄성편(520)을 지지/고정하기 위해서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에 지지리브(330)가 형성되면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이 지지리브(330)에 가로막히므로 손가락 또는 막대 등으로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편(520)을 탄성변형시켜서 홀더(500)를 하우징(300)/제1몸체(310)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되 제1몸체(310) 중에서 탄성편(52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므로, 제1방수리브(320)에 간섭되지 않고 손가락 또는 막대 등으로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편(520)을 탄성변형시켜서 홀더(500)를 하우징(300)/제1몸체(3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300)/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길이가 작더라도 제1방수리브(320)에 간섭되지 않고 홀더(500)를 하우징(300)/제1몸체(3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반면에,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 중에서 탄성편(52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부분을 중복하여서 둘러싸도록 형성되면, 손가락 또는 막대 등으로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탄성편(520)을 탄성변형시킬 때에 제1방수리브(320)에 간섭되지 않으려면 탄성편(520)이 제1방수리브(320)로부터 제1방향으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하우징(300)/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둘러싸지 않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홀더(500)의 탄성편(520)이 둘러쌀 수 있다(도 23, 도 33). 따라서, 홀더(500)의 탄성편(520)이 제1방수리브(320)와 함께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리브(330)가 홀더(500)의 탄성편(520)을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한 쌍의 지지리브(330)가 홀더(500)의 이동방향 및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홀더(500)의 착탈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홀더(500) 및 지지리브(330)가 커버(400)에 의해서 둘러싸이므로 홀더(500) 및 지지리브(330)를 통해서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제1방향의 위치는 제1방수리브(320) 중에서 탄성편(520)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부분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위치와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단과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일단이 동일한 수직선(V) 상에 위치할 수 있다(도 23, 도 33).
10항//이에 따라, 홀더(500)의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가 제1방수리브(320)와 나란히 배치되므로, 홀더(500)의 탄성편(520)이 제1방수리브(320)와 함께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탄성편(520)은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부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도 16, 도 23).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제1방향의 위치는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단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단과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단의 제1방향의 일단이 동일한 수직선(V) 상에 위치할 수 있다(도 23, 도 33).
11항//이에 따라, 하우징(300)의 제1몸체(310)의 상면(US)에 고이거나 흐르는 물이 제1방수리브(320)의 상면리브(UR), 제1코너리브(CR1) 및 제1측면상단리브(SUER1)와 홀더(500)의 탄성편(520)에 가로막혀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상면리브(UR), 제1코너리브(CR1), 제1측면상단리브(SUER1) 및 탄성편(520)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려서 방수커넥터(10)를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커버(400)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고 하우징(3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400)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제1커버(C1) 및 제2커버(C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 내지 도 4의 방수커넥터의 제1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6은 도 17 내지 도 20의 제1커버에 도 1 내지 도 16의 하우징 및 홀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도 21), 측면도(도 22), 도 21의 A-A'단면도(도 23), 도 21의 B-B'단면도(도 24), 도 21의 C-C'단면도(도 25) 및 도 22의 D-D'단면도(도 26)이다.
도 27 내지 도 30은 도 1 내지 도 4의 방수커넥터의 제2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1 내지 도 36은 도 27 내지 도 30의 제2커버에 도 1 내지 도 16의 하우징 및 홀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도 31), 측면도(도 32), 도 31의 A-A'단면도(도 33), 도 31의 B-B'단면도(도 34), 도 31의 C-C'단면도(도 35) 및 도 32의 D-D'단면도(도 36)이다.
도 17 내지 도 26을 더 참조하면, 제1커버(C1)는 하프 파이프 형상일 수 있고 하우징(3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C1)는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할 수 있다. 제1커버(C1)는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예컨대, 후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부 및 와이어(200)의 단부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도 21 내지 도 26).
또한, 도 27 내지 도 36을 더 참조하면, 제2커버(C2)는 제1커버(C1)와 대응하는 하프 파이프 형상일 수 있고 하우징(300) 및 제1커버(C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버(C2)는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할 수 있다. 제2커버(C2)는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나머지 및 와이어(200)의 단부의 나머지를 둘러쌀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도 31 내지 도 36).
즉, 예컨대 제1커버(C1) 및 제2커버(C2)가 결합된, 파이프 형상의 커버(400)는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할 수 있고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예컨대, 후측)에 해당하는 부분 및 와이어(200)의 단부를 둘러쌀 수 있다.
1항//이에 따라,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예컨대, 하우징 내부의 터미널 또는 터미널과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위)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1방수리브(320)를 넘어야 하고 제1방수리브(320)와 커버(400) 사이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제1방수리브(320) 및 커버(400)가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400)는 제2몸체(410) 및 제2방수리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제1커버(C1) 및 제2커버(C2)가 각각 제2몸체(410) 및 제2방수리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7 내지 도 19, 도 27 내지 도 29).
제2몸체(410)는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도 21 내지 도 26, 도 31 내지 도 36).
제2방수리브(420)는 제2몸체(410)의 내주면을 따라 제2몸체(41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방수리브(420)는 제1방수리브(320)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할 수 있다(도 21, 도 23 내지 도 26, 도 31, 도 33 내지 도 36).
2항//이에 따라, 물이 하우징(300)과 커버(400) 사이를 통과해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1방수리브(320)뿐만 아니라 제2방수리브(420)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물의 유입이 더 어려워지므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예컨대, 상하방향 및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2방수리브(420)는 제1몸체(3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 도 2, 도 21, 도 25, 도 26, 도 31, 도 35, 도 36).
3항//이에 따라, 물이 하우징(300)과 커버(400) 사이를 통과해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2방수리브(420)와 제1몸체(310) 사이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물의 유입이 더 어려워지므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둘러싸지 않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제2방수리브(420)가 둘러쌀 수 있다(도 23, 도 33). 따라서, 필요(예를 들면, 홀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방수리브를 소형화하려는 등의 필요)에 따라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둘러싸지 않도록 구성되더라도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방수리브(420)는 제1몸체(31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할 수 있다(도 1, 도 2, 도 21, 도 24 내지 도 26, 도 31, 도 34 내지 도 36).
4항//이에 따라, 물이 제2방수리브(420)를 통과하기 더 어려워지므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2방수리브(420)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에, 제2방수리브(420)는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21, 도 23, 도 24, 도 26, 도 31, 도 33, 도 34, 도 36).
5항//이에 따라, 제2방수리브(420)가 제1방수리브(320)보다 방수커넥터(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커버(400)의 제2방수리브(420) 및 제2몸체(410)가 제1방수리브(320)를 둘러싸므로 물이 제1방수리브(320)를 통과하여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기 더 어려워진다. 따라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를 둘러싸지 않는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제2방수리브(420)가 가리거나 덮거나 둘러쌀 수 있다(도 23, 도 33). 따라서, 필요(예를 들면, 홀더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방수리브를 소형화하려는 등의 필요)에 따라 제1방수리브(320)가 제1몸체(310)의 외주면의 소정구간(S, 도 13)을 둘러싸지 않도록 구성되더라도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방수리브(320)가 한 쌍의 기준부위(RP), 오프셋부위(OP) 및 한 쌍의 연결부위(CP)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7, 도 10), 커버(400)는 한 쌍의 기준부위(RP) 및 상기 오프셋부위(OP)에 대응하여 제1방향의 타방으로 요입되는 오목부(CO)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도 2, 도 17 내지 도 19, 도 27 내지 도 29). 이 때에, 체결부(340)는 오프셋부위(OP) 및 오목부(CO)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7항//이에 따라, 예를 들면 홀더(500)를 통한 물 유입을 방지하려는 등의 필요에 의해서 제1방수리브(320) 중에서 일부분(기준부위-RP)이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돼야만 해서, 제1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체결부(340)가 커버(40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는(즉 외부로 노출가능한), 상기 일부분(기준부위-RP)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없더라도, 제1방수리브(320)의 다른 일부분(오프셋부위-OP)이 상기 일부분(기준부위-RP)보다 하우징(300)의 제1방향의 타단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체결부(340)가 커버(40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는(즉 외부로 노출가능한), 상기 다른 일부분(오프셋부위OP)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체결부(34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를 상대 커넥터와 용이하게 체결 및 체결해제할 수 있고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체결부(34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방수커넥터(10)의 체결 및 체결해제 시 소리 또는 진동 등이 손 등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커넥터(10)가 높거나 깊은 곳에 위치해서 방수커넥터(10)의 체결 및 체결해제를 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더라도 소리 또는 진동 등으로 방수커넥터(10)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체결 및 체결해제할 수 있고 체결불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40)가 터미널(100)과 직접 결합되는 하우징(3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의 체결 및 체결해제가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40)가 제1방수리브(320)의 오프셋부위(OP) 및 커버(400)의 오목부(CO)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300)의 제1방향의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방수커넥터(10)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방수리브(320)가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기준부위(RP)와 오프셋부위(OP)를 포함하더라도, 기준부위(RP)와 오프셋부위(OP)가 연결부위(CP)에 의해서 연결되므로 물이 제1방수리브(320)를 통과하기 어려워서 물이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400)는 홀더(500) 및 한 쌍의 지지리브(330)를 둘러쌀 수 있다(도 22, 도 23, 도 25, 도 32, 도 33, 도 35).
한편, 제1커버(C1) 및 제2커버(C2)는 서로 마주하여서 결합되는 제1결합면(CS1) 및 제2결합면(CS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도 17 내지 도 20, 도 27 내지 도 30).
제1결합면(CS1) 또는 제2결합면(CS2)에는 제1결합면(CS1) 또는 제2결합면(CS2)을 따라 중첩돌기(430)가 돌출 형성되고 제2결합면(CS2) 또는 제1결합면(CS1)에는 제2결합면(CS2) 또는 제1결합면(CS1)을 따라 상기 중첩돌기(430)가 삽입되는 중첩홈(440)이 형성될 수 있다(도 17 내지 도 20, 도 27 내지 도 30).
12항//이에 따라, 물이 제1커버(C1)와 제2커버(C2) 사이를 통과해서 방수커넥터(10)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1결합면(CS1)과 제2결합면(CS2) 사이뿐만 아니라 중첩돌기(430)와 중첩홈(440) 사이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중첩돌기(430)와 중첩홈(440)이 물의 유입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으므로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방수커넥터]
제1방수커넥터(10a)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6의 방수커넥터(10)일 수 있다. 제1방수커넥터(10a)는 터미널(100a), 와이어(200a), 하우징(300a) 및 커버(40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방수커넥터(10a)는 홀더(5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제1방수커넥터(10a)의 터미널(100a), 와이어(200a), 하우징(300a), 커버(400a) 및 홀더(500a)는 전술한 방수커넥터(10)의 터미널(100), 와이어(200), 하우징(300), 커버(400) 및 홀더(500)와 대응할 수 있다.
제1방수커넥터(10a)의 하우징(300a)의 제1몸체(310a)는 삽입부(312a) 및 랩핑부(314a)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내지 도 11, 도 13, 도 14).
삽입부(312a)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터미널(100a)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삽입부(312a)의 선단부(도 5 내지 도 14에서는 제1방향의 일단부)가 상대 커넥터(예컨대,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랩핑부(314a)는 선단부 및 후단부(도 5 내지 도 14에서는 제1방향의 타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랩핑부(314a)의 선단부는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삽입부(312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삽입부(312a)의 선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랩핑부(314a)의 선단부와 삽입부(312a) 사이에 제1방향의 일방으로 개방되는 삽입홀(H)이 형성될 수 있다(도 11, 도 14).
랩핑부(314a)의 후단부는 삽입부(312a)와 결합될 수 있다.
제1방수커넥터(10a)의 커버(400a)의 후단부는 제2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와이어(200a)를 둘러싸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커버(400a)의 후단부가 제2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방수커넥터(10a)의 와이어(200a)가 제2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4).
제1방수커넥터(10a)와 관련하여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전술한 방수커넥터(10)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제2방수커넥터]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41 내지 도 43은 도 37 내지 도 40의 방수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4 및 도 45는 도 37 내지 도 40의 방수커넥터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7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10), 즉 제2방수커넥터(10b)는 터미널(100b), 와이어(200b), 하우징(300b) 및 커버(4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방수커넥터(10b)는 홀더(5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수커넥터(10b)의 터미널(100b), 와이어(200b), 하우징(300b), 커버(400b) 및 홀더(500b)는 전술한 방수커넥터(10)의 터미널(100), 와이어(200), 하우징(300), 커버(400) 및 홀더(500)와 대응할 수 있다.
제2방수커넥터(10b)의 하우징(300b)은 제1방수커넥터(10a)의 하우징(300a)과 달리 랩핑부(314a) 및 삽입홀(H)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방수커넥터(10b)의 커버(400b)의 후단부(도 37 내지 도 45에서는 제1방향의 타단부)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커버(400a)와 달리 제2방향으로 절곡되지 않고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37 내지 도 40, 도 44, 도 45). 이에, 와이어(200b)를 둘러싸는 제2방수커넥터(10b)의 커버(400b)의 후단부가 제1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방수커넥터(10b)의 와이어(200b)가 제1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도 37 내지 도 40).
제2방수커넥터(10b)와 관련하여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전술한 방수커넥터(10)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방수커넥터조립체]
도 46 및 도 4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8 및 도 49는 도 46 및 도 47의 방수커넥터조립체의 평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6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커넥터조립체(1)는 전술한 제1방수커넥터(10a) 및 제2방수커넥터(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수커넥터(10b)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대 커넥터일 수 있고 제1방수커넥터(10a)와 체결될 수 있다.
제2방수커넥터(10b)의 하우징(300b)의 선단부(도 46 내지 도 49의 제1방향의 일단부)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하우징(300a)의 제1몸체(310a)의 삽입부(312a) 및 랩핑부(314a)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도 48, 도 49). 즉, 제2방수커넥터(10b)의 하우징(300b)의 선단부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하우징(300a)의 제1몸체(310a)의 삽입부(312a) 및 랩핑부(314a) 사이의 삽입홀(H)에 삽입될 수 있다.
13항//이에 따라, 물이 제1방수커넥터(10a)와 제2방수커넥터(10b) 사이를 통과해서 제1방수커넥터(10a) 또는 제2방수커넥터(10b)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물이 제1방수커넥터(10a)의 랩핑부(314a)와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 사이 및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와 제1방수커넥터(10a)의 삽입부(312a) 사이를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제1방수커넥터(10a)와 제2방수커넥터(10b)가 체결된 경우에 체결부위를 통한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방수커넥터(10)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방수커넥터(10a)의 커버(400)가 제2방수커넥터(10b)의 커버(400)일 수 있고, 제2방수커넥터(10b)의 커버(400)가 제1방수커넥터(10a)의 커버(400)일 수 있다.
즉 도 50과 같이, 도 46 내지 도 49의 제2방수커넥터(10b)의 커버(400b)가 제1방수커넥터(10a)의 커버(400)로서 제1방수커넥터(10a)의 하우징(300a)에 결합될 수 있고, 도 46 내지 도 49의 제1방수커넥터(10a)의 커버(400a)가 제2방수커넥터(10b)의 커버(400)로서 제2방수커넥터(10b)의 하우징(300b)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방수커넥터(10a)의 커버(400a)가 제1방수커넥터(10a)의 와이어(200a)의 인출 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방수커넥터(10b)의 커버(400b)가 제2방수커넥터(10b)의 와이어(200b)의 인출 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를 가질 수 있다.
14항//이에 따라, 동일한 커버(400)가 암형 및 숫형 커넥터(제1방수커넥터 및 제2방수커넥터)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부품 공용화가 가능해서 방수커넥터(10)의 제조, 보관 및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200)의 인출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커버(400)가 요구되더라도, 각 종류 별로 동일한 커버(400)가 암형 및 숫형 커넥터(제1방수커넥터 및 제2방수커넥터)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200)의 인출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커버(400)에 대해서도 부품 공용화가 가능해서 방수커넥터(10)의 제조, 보관 및 유지관리 비용이 더욱 절감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방수커넥터조립체 10: 방수커넥터
10a: 제1방수커넥터 10b: 제2방수커넥터
100: 터미널 200: 와이어
300: 하우징 310: 제1몸체
320: 제1방수리브 330: 지지리브
340: 체결부
400: 커버 410: 제2몸체
420: 제2방수리브
500: 홀더 510: 제3몸체
520: 탄성편

Claims (14)

  1.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의 일측 단부가 상대 커넥터와 접촉가능한 터미널(100);
    상기 터미널(100)의 제1방향의 타측 단부와 결합되는 와이어(200);
    상기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1몸체(310) 및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제1몸체(31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방수리브(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우징(300); 및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고, 상기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며, 상기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를 둘러싸는, 파이프 형상의 커버(400)를 포함하는,
    방수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400)는, 상기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을 둘러싸는 제2몸체(410) 및 상기 제2몸체(410)의 내주면을 따라 제2몸체(410)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돌출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방수리브(32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제2방수리브(420)를 포함하는,
    방수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상기 제1몸체(3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방수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상기 제1몸체(310)와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방수커넥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링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방수리브(420)는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방수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면리브(UR), 제1측면리브(SR1), 제2측면리브(SR2), 제1코너리브(CR1) 및 제2코너리브(CR2)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리브(UR)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을 따라 제1몸체(3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상면(US)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리브(S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적어도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측면리브(SR2)는, 상기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을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으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적어도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코너리브(C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1모서리면(CS1)을 따라 상기 제1모서리면(C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 상방 및 제2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모서리면(CS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리브(UR) 및 제1측면리브(SR1)를 연결하고,
    상기 제2코너리브(CR2)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타측면(SS2)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2모서리면(CS2)을 따라 상기 제2모서리면(CS2)으로부터 제2방향의 타방, 상방 및 제2방향의 타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2모서리면(CS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리브(UR) 및 제2측면리브(SR2)를 연결하는, 방수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방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서 형성되는 한 쌍의 기준부위(RP),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형성되는 오프셋부위(OP) 및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와 상기 오프셋부위(OP)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위(CP)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400)는 상기 한 쌍의 기준부위(RP) 및 상기 오프셋부위(OP)에 대응하여 제1방향의 타방으로 요입되는 오목부(CO)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오프셋부위(OP) 및 오목부(CO)의 제1방향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와 체결되는 체결부(340)를 더 포함하는, 방수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310)의 제1방향의 타측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몸체(3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터미널(100)을 고정하는 홀더(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500)는, 상기 제1몸체(3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몸체(31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제1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P) 또는 홈에 걸림되는 탄성편(52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제1몸체(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방향을 둘러싸는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탄성편(520)의 둘레방향의 양쪽 측면과 접하거나 인접하여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리브(330)를 더 포함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기 제1몸체(310) 중에서 상기 탄성편(520)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400)는 상기 홀더(500)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330)를 둘러싸는, 방수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330) 중에서 적어도 한 개의 지지리브(330)는 상기 제1방수리브(320)와 결합되는, 방수커넥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제1방향의 위치는 상기 제1방수리브(320) 중에서 탄성편(520)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부분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방수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리브(320)는 상면리브(UR), 제1측면상단리브(SUER1) 및 제1코너리브(CR1)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리브(UR)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을 따라 제1몸체(310)의 상면(US)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상면(US)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상단리브(SUE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따라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고,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의 상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코너리브(CR1)는, 상기 제1몸체(310)의 상면(US) 및 제1몸체(310)의 제2방향의 일측면(SS1)을 연결하는 제1몸체(310)의 제1모서리면(CS1)을 따라 상기 제1모서리면(CS1)으로부터 제2방향의 일방, 상방 및 제2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되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상기 제1모서리면(CS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면리브(UR) 및 제1측면상단리브(SUER1)를 연결하고,
    상기 탄성편(520)은 상기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부에 배치되되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탄성편(520)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제1방향의 위치는 상기 제1측면상단리브(SUER1)의 하단의 제1방향의 일측 단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방수커넥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400)는,
    상기 하우징(300)과 결합되고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부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제1커버(C1); 및
    상기 하우징(300) 및 제1커버(C1)와 결합되고 하우징(300) 중에서 적어도 상기 제1방수리브(320)의 제1방향의 타측에 해당하는 부분의 나머지 및 상기 와이어(200)의 단부의 나머지를 둘러싸는 하프 파이프 형상의 제2커버(C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C1) 및 제2커버(C2)는 서로 마주하여서 결합되는 제1결합면(CS1) 및 제2결합면(CS2)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면(CS1) 또는 제2결합면(CS2)에는 제1결합면(CS1) 또는 제2결합면(CS2)을 따라 중첩돌기(430)가 돌출 형성되고 제2결합면(CS2) 또는 제1결합면(CS1)에는 제2결합면(CS2) 또는 제1결합면(CS1)을 따라 상기 중첩돌기(430)가 삽입되는 중첩홈(440)이 형성되는, 방수커넥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수커넥터(10)인 제1방수커넥터(10a); 및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수커넥터(10)이고,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와 체결되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상대 커넥터인, 제2방수커넥터(1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하우징(300)의 상기 제1몸체(310)는,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터미널(1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선단부가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12a);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임의의 평면에 수직투영한 경우에, 선단부가 상기 삽입부(312a)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서 삽입부(312a)의 선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후단부가 삽입부(312a)와 결합되는, 랩핑부(314a)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선단부는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하우징(300)의 상기 제1몸체(310)의 상기 삽입부(312a) 및 랩핑부(314a) 사이에 삽입되는,
    방수커넥터조립체.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수커넥터(10)인 제1방수커넥터(10a); 및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수커넥터(10)이고,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와 체결되는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상대 커넥터인, 제2방수커넥터(1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커버(400)가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커버(400)일 수 있고,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커버(400)가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커버(400)일 수 있고,
    상기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커버(400)가 제1방수커넥터(10a)의 상기 와이어(200)의 인출 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를 가지고,
    상기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커버(400)가 제2방수커넥터(10b)의 상기 와이어(200)의 인출 방향에 따라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를 가지는,
    방수커넥터조립체.
KR1020220140634A 2022-10-27 2022-10-27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 KR20240059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34A KR20240059416A (ko) 2022-10-27 2022-10-27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634A KR20240059416A (ko) 2022-10-27 2022-10-27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416A true KR20240059416A (ko) 2024-05-07

Family

ID=9107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634A KR20240059416A (ko) 2022-10-27 2022-10-27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4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93A (ko)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93A (ko)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831B1 (ko) 인클로저 조립체
JP6612535B2 (ja) ケーブルを保護するため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ハウジングをコルゲートチューブ上に結合するためのファスナ、およびコルゲートチューブをハウジングに封止するための封止要素
JP3120354U (ja) ダイキャストアダプタ
KR910006741A (ko) 이중 광섬유 커넥터 및 그와 함께 단말된 케이블
EP2815464B1 (en) Housing for a contact device
WO2017139942A1 (zh) 一种工业连接器和连接结构
US4486062A (en) Waterproof connector
US6913395B2 (en) Assembly including an optical fiber socket and an optical fiber plug
JP2013047803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KR20240059416A (ko) 방수커넥터 및 방수커넥터조립체
JP2016200631A (ja) 防水プラグ及びレセプタクル
CN113341508B (zh) 一种光口组件及光模块
CN211062961U (zh) 一种卡扣式带屏蔽的金属过孔连接器
CN111061016A (zh) 一种具有保护外壳的光纤连接器
JP5302107B2 (ja) 防水型コネクタ
CN218919899U (zh) 一种过线座设备及其堵塞结构
JP2022513812A (ja) 複数の空間方向において接触するためのプラグコネクタ部
CN216563719U (zh) 防水连接器以及电子设备
KR100942230B1 (ko) 광커넥터
CN217740894U (zh) 电连接器
KR102395601B1 (ko)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JP2004185926A (ja) 電源コンセント・プラグ接続セット
CN218101664U (zh) 一种gnss天线
CN218731937U (zh) 连接器保护壳以及连接器组件
CN217306797U (zh) 一种多合一连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