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853A - 수직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까치발 구조체 - Google Patents

수직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까치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853A
KR20240054853A KR1020230036586A KR20230036586A KR20240054853A KR 20240054853 A KR20240054853 A KR 20240054853A KR 1020230036586 A KR1020230036586 A KR 1020230036586A KR 20230036586 A KR20230036586 A KR 20230036586A KR 20240054853 A KR20240054853 A KR 2024005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support
bas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4851B1 (ko
Inventor
김상희
김진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강건 filed Critical (주)대우강건
Priority to KR102023003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485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3658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84851B1/ko
Publication of KR2024005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4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4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2 수직어셈블리가 어퍼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교량 또는 교각에 설치 가능하고, 시공 시 구비해야 하는 까치발 구조체의 개수를 대폭 절감시키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직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까치발 구조체{Bracket structure having a vertical assembly is movably disposed}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교각의 난간에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한 까치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가설은, 교각 등과 같은 상부구조물을 세우고 그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강재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며 형강재 사이에 이음판을 재치시키고 그 위에 슬래브를 타설한 후, 양측에 돌출되는 난간부의 슬래브 타설을 위하여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슬래브를 형성시켜 난간이 구성되도록 하는 단계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까치발 구조체는, PC빔으로 교량을 시공할 때에는 교각(2) 위에 PC빔 등과 같은 상부구조물(1)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교각(2)의 하단측부에 끼워지는 직각 삼각형 구조를 가지는 받침대(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구조물(1)의 상단측부에 설치되는 슬래브나 난간용 거푸집(4)의 하부에 수평지지대(5)가 설치되며, 받침대(3)로부터 수평지지대(5) 사이에 복수개의 수직지지대(6)가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4)에 콘크리트(C)가 타설된다.
여기서, 상부구조물(1)에는 응력의 분산을 위한 헌치(hunch; H)가 설계 적용되기 때문에, 종래의 까치발 구조체는, 교각(2) 부분에 설치되는 받침대(3)에 상측에 수직으로 수직지지대(6)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6)가 수평지지대(5)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래서 종래의 까치발 구조체는, 헌치(H) 부분을 회피하여 많은 수의 지지대들이 서로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4746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11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009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설치를 위한 까치발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교각 또는 교각의 평판구조물(10)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110); 상기 어퍼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 1 수직어셈블리(1200); 상기 어퍼프레임(110) 및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을 연결하는 경사프레임(130); 상기 경사프레임(130) 또는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에 결합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저면에 밀착되는 로어프레임(140);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내측단(111) 및 외측단(11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수직어셈블리(2200); 상기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서포트프레임(310);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1 서포트부재(410);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서포트프레임(320);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2 서포트부재(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직어셈블리(1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을 감싸게 거치되는 제 1 수직베이스(1250);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1 수직프레임(1210);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2 수직프레임(1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을 감싸게 거치되는 제 2 수직베이스(2250);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2-1 수직프레임(2210);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2-2 수직프레임(2220);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프레임(110)과 체결결합되는 수직체결부재(22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상측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어퍼베이스(2255); 상기 어퍼베이스(2255)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1 사이드베이스(2251); 상기 어퍼베이스(2255)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2 사이드베이스(2252); 상기 제 2-1 사이드베이스(2251)를 관통하는 제 2-1 사이드체결홀(2253)과, 상기 제 2-2 사이드베이스(2252)를 관통하는 제 2-2 사이드체결홀(225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1 사이드체결홀(2253) 및 제 2-2 사이드체결홀(2254)이 일렬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까치발 구조체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일측면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제 1 슬릿(113); 및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타측면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제 2 슬릿(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릿(113) 및 제 2 슬릿(114)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수직체결부재(2260)는 볼트(2262) 및 너트(2264)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2262)가 상기 제 2-1 사이드체결홀(2253), 제 1 슬릿(113), 제 2 슬릿(114) 및 제 2-2 사이드체결홀(2254)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너트(2264)가 관통된 볼트(2262)에 체결결합되어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를 상기 어퍼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내측단(111) 측을 상기 평판구조물(10)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밀착부재(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1 수직프레임(1210) 및 제 1-2 수직프레임(1220)의 내부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 1 수직중공(215); 상기 제 2-1 수직프레임(2210) 및 상기 제 2-2 수직프레임(2220)의 내부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 2 수직중공(2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중공(215)에 삽입되는 제 1 서포트바(312); 상기 제 1 서포트바(312)의 상단에 되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5)가 배치되는 제 1 서포트부(3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포트부재(410)는, 상기 제 1 서포트바(312)가 관통되는 제 1 서포트바디(412); 상기 제 1 서포트바디(412)의 외측면에서 더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서포트핸들(414); 상기 제 1 서포트바디(412)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바(312)가 관통되는 제 1 서포트관통홀(415); 상기 제 1 서포트관통홀(415)에 형성된 제 1 홀나사산(411);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포트바(312)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 1 서포트나사산(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나사산(311) 및 제 1 홀나사산(411)이 치합되는 까치발 구조체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제 1 서포트프레임 및 제 2 서포트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헌치(H) 부분을 회피할 수 있고 설치부품의 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서포트부재가 서포트프레임과 치합된 상태에서 어퍼프레임에 지지되기 때문에, 슬래브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제 1 수직베이스를 기준으로 제 1-1 수직프레임 및 제 1-2 수직프레임이 대칭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중에 의한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교각의 설계에 따라 서포트부재 및 서포트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교량 또는 교각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더 폭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시공 시 구비해야 하는 까치발 구조체의 개수를 대폭 절감시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제 2 수직어셈블리가 어퍼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교량 또는 교각에 설치 가능하고, 시공 시 구비해야 하는 까치발 구조체의 개수를 대폭 절감시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설치 예시 1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설치 예시 2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설치 예시 3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1 수직어셈블리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 2 수직어셈블리의 일부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설치 예시 1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설치 예시 2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설치 예시 3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는 교량 또는 교각 설치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는, 교각 또는 교각의 평판구조물(10)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110)과, 상기 어퍼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 1 수직프레임(210)과, 상기 어퍼프레임(110) 및 제 1 수직프레임(210)을 연결하는 경사프레임(130)과, 상기 경사프레임(130) 또는 제 1 수직프레임(210)에 결합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저면에 밀착되는 로어프레임(140)과,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내측단(111) 및 외측단(112) 사이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수직프레임(220)과,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서포트프레임(310)과,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1 서포트부재(410)와,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서포트프레임(320)과,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2 서포트부재(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까치발 구조체가 평판구조물(10)의 우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좌측에 설치되는 경우 반대방향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어퍼프레임(110)은 수평하게 배치되고, 내측단(111)이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외측단(112)이 공중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프레임(110)은 내부가 빈 각 관 또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외측단(11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어퍼돌출부(115)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내측단(111) 측을 상기 평판구조물(10)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밀착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재(150)를 평판구조물(10)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내측단(111) 측에 어퍼고정브래킷(116)이 배치된다.
상기 어퍼고정브래킷(116)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브래킷홀(117)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재(150)가 상기 브래킷홀(117)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어퍼고정브래킷(116)이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측면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고정브래킷(116)이 도면을 기준으로 정면 측에 배치된다.
상기 브래킷홀(117)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재(150)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밀착부재(150)는, 상기 브래킷홀(117)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고정브래킷(116)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밀착관통부(152)와, 상기 밀착관통부(152)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상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관통부(15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밀착관통부(152)의 상단은 자유단을 형성한다.
상기 밀착부(154)가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상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어퍼프레임(110)을 통해 전달된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밀착부(154)가 상기 어퍼프레임(110)을 평판구조물(10)과 이격시킨다.
상기 밀착부재(150)를 회전시켜 상기 어퍼프레임(110) 및 평판구조물(10)의 이격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어퍼고정브래킷(116)의 높이가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고, 상기 어퍼고정브래킷(116)이 최대로 하강되어도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하단이 상기 밀착부(154)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평판구조물(10)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격거리를 최소한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퍼프레임(110), 경사프레임(130) 및 로어프레임(140)이 사각형 형태의 각 관으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용접 결합 시, 접촉면적 및 용접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경사프레임(130)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경사프레임(130)은 상측단(131)이 상기 어퍼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상기 평판구조물(10) 외측의 허공에 배치되고, 하측단(132)이 상기 평판구조물(10)과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경사프레임(130) 및 어퍼프레임(110)이 일렬로 배치되고, 탑뷰로 볼 때, 상기 경사프레임(130)이 어퍼프레임(110)에 의해 가려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프레임(130)의 하측단(132)이 상기 평판구조물(10) 아래까지 연장되게 배치된다.
상기 로어프레임(140)은 상기 평판구조물(10)의 하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하측면에 지지된다.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내측단(141)이 자유단 형태로 상기 평판구조물(10) 하측면에 밀착되고, 외측단(142)이 상기 경사프레임(130) 또는 제 1 수직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에 용접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외측단(142)이 상기 경사프레임(130)에 결합된다. 상기 로어프레임(140) 및 경사프레임(130)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어퍼프레임(110), 경사프레임(130) 및 로어프레임(140)이 일렬로 배치되고, 탑뷰로 볼 때, 상기 경사프레임(130) 및 로어프레임(140)이 어퍼프레임(110)에 의해 가려진다.
상기 어퍼프레임(110), 경사프레임(130) 및 로어프레임(140)을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하여 전후 방향으로의 휨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프레임(140)이 사각 각관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프레임(140)의 외측단(142)이 상기 경사프레임(130)의 상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경사프레임(130) 내부로 삽입된 후, 접촉된 면이 용접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로어프레임(140) 및 경사프레임(1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휨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이 상기 어퍼프레임(110)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이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과 어퍼프레임(110)이 용접결합된다.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 및 제 2 수직프레임(220)은 내부가 빈 파이프 또는 각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10)과의 용접결합이 용이하도록 사각 각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을 제 1 수직중공(215)라 하고,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을 제 2 수직중공(225)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상측단(211)이 상기 어퍼프레임(110)에 결합되고, 하측단(212)이 경사프레임(13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좌측면이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우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상측단(221)이 상기 어퍼프레임(110)에 결합되고, 하측단(222)이 경사프레임(13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이 어퍼프레임(110)의 좌우 중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길이가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은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제 1 수직중공(215)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중공(215)에 삽입되는 제 1 서포트바(312)와, 상기 제 1 서포트바(312)의 상단에 되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5)가 배치되는 제 1 서포트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서포트바(312)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 1 서포트나사산(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나사산(311)이 제 1 서포트부재(410)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제 1 서포트부재(410)에 지지된다.
상기 제 1 서포트부(314)는 상측으로 개구된 "∪"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제 1 지지대삽입홈(31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지지대삽입홈(313)에 수평지지대(5)가 상측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 1 서포트바(312)가 최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 1 서포트부(314)의 저면이 상기 제 1 서포트부재(410)의 상측과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트부재(410)는, 상기 제 1 서포트바(312)가 관통되는 제 1 서포트바디(412)와, 상기 제 1 서포트바디(412)의 외측면에서 더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서포트핸들(414)과, 상기 제 1 서포트바디(412)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바(312)가 관통되는 제 1 서포트관통홀(415)과, 상기 제 1 서포트관통홀(415)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나사산(311)과 치합되는 제 1 홀나사산(411)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상기 제 1 서포트핸들(414)을 잡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서포트부재(4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서포트핸들(414)은 제 1 서포트바디(412)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작업자는 양손으로 상기 제 1 서포트핸들(414)을 잡아 회전시킬 수 있다. 2개의 제 1 서포트핸들(414)을 구분할 경우, 제 1-1 서포트핸들 및 제 1-2 서포트핸들이라 한다.
상기 제 1 서포트바디(412)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관통홀(415)이 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상측단(211)이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상측면과 같은 높이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서포트바디(412)의 직경이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단면 폭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1 서포트바디(412)가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상측단(211)에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포트바디(412)의 저면이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상측단(211)에 지지될 경우,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상측단(211) 및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상측면에 동시에 거치되어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은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제 2 수직중공(225)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직중공(225)에 삽입되는 제 2 서포트바(322)와, 상기 제 2 서포트바(322)의 상단에 되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5)가 배치되는 제 2 서포트부(3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서포트바(322)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 2 서포트나사산(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서포트나사산(321)이 제 2 서포트부재(420)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제 2 서포트부재(420)에 지지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324)는 상측으로 개구된 "∪"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제 2 지지대삽입홈(323)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지지대삽입홈(323)에 수평지지대(5)가 상측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바(322)가 최하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 2 서포트부(324)의 저면이 상기 제 2 서포트부재(420)의 상측과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트부재(420)는, 상기 제 2 서포트바(322)가 관통되는 제 2 서포트바디(422)와, 상기 제 2 서포트바디(422)의 외측면에서 더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서포트핸들(424)과, 상기 제 2 서포트바디(422)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서포트바(322)가 관통되는 제 2 서포트관통홀(425)과, 상기 제 2 서포트관통홀(425)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서포트나사산(321)과 치합되는 제 2 홀나사산(421)을 포함한다.
작업자는 상기 제 2 서포트핸들(424)을 잡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서포트부재(42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제 2 서포트핸들(424)을 구분할 경우, 제 2-1 서포트핸들 및 제 2-2 서포트핸들이라 한다.
상기 제 2 서포트바디(422)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서포트관통홀(425)이 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상측단(221)이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상측면과 같은 높이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바디(422)의 직경이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단면 폭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서포트바디(422)가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상측단(221)에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서포트바디(422)의 저면이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상측단(221)에 지지될 경우,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상측단(221) 및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상측면에 동시에 거치되어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1 수직어셈블리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제 2 수직어셈블리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는, 교각 또는 교각의 평판구조물(10)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110)과, 상기 어퍼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 1 수직어셈블리(1200)과, 상기 어퍼프레임(110) 및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을 연결하는 경사프레임(130)과, 상기 경사프레임(130) 또는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에 결합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저면에 밀착되는 로어프레임(140)과,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내측단(111) 및 외측단(11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수직어셈블리(2200)과, 상기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서포트프레임(310)과,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1 수직프레임(210)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1 서포트부재(410)와,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서포트프레임(320)과,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2 수직프레임(220)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2 서포트부재(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직어셈블리(1200) 및 제 2 수직어셈블리(2200)의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제 1 수직어셈블리(1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을 감싸게 거치되는 제 1 수직베이스(1250)와,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전방)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1 수직프레임(1210)과,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후방)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2 수직프레임(1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수직프레임(1210) 및 제 1-2 수직프레임(1220)의 구조가 상기 제 1 실시예의 제 1 수직프레임(210)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상측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어퍼베이스(1255)와, 상기 어퍼베이스(1255)의 일단(본 실시예에서 전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1 사이드베이스(1251)와, 상기 어퍼베이스(1255)의 타단(본 실시예에서 후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1-2 사이드베이스(12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사이드베이스(1251)가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전면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1-2 사이드베이스(1252)가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후면을 감싸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는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의 길이(L)가 상기 제 1-1 수직프레임(1210) 및 제 1-2 수직프레임(1220)의 폭(W)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는 상기 제 1-1 사이드베이스(1251)를 관통하는 제 1-1 사이드체결홀(1253)과, 상기 제 1-2 사이드베이스(1252)를 관통하는 제 1-2 사이드체결홀(12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1 사이드체결홀(1253) 및 제 1-2 사이드체결홀(1254)이 일렬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수직프레임(1210)이 상기 제 1-1 사이드베이스(1251)에 용접결합되고, 상기 제 1-2 수직프레임(1220)이 상기 제 1-2 사이드베이스(1252)에 용접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를 기준으로 상기 제 1-1 수직프레임(1210) 및 제 1-2 수직프레임(1220)이 대칭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중에 의한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1-1 수직프레임(1210) 및 제 1-2 수직프레임(1220)의 상측단(1211)(1221)이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의 상측면과 같은 높이로 배치된다.
상기 제 1-1 수직프레임(1210) 및 제 1-2 수직프레임(122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 및 제 1 서포트부재(410)가 각각 2개 배치될 수 있다.
슬래브의 하중이 작을 경우, 1개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는 슬래브의 하중에 따라 제 1 서포트프레임(310) 및 제 1 서포트부재(410)의 개수를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교량 또는 교각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더 폭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시공 시 구비해야 하는 까치발 구조체의 개수를 대폭 절감시키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내측단(111) 및 외측단(112) 사이 중 어딘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슬릿(113) 및 제 2 슬릿(1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슬릿(113)이 전면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 2 슬릿(114)이 후면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슬릿(113) 및 제 2 슬릿(114)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을 감싸게 거치되는 제 2 수직베이스(2250)와,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전방)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2-1 수직프레임(2210)과,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후방)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2-2 수직프레임(2220)과,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프레임(110)과 체결결합되는 수직체결부재(2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 제 2-1 수직프레임(2210) 및 제 2-2 수직프레임(2220)의 구조가 상기 제 1 수직베이스(2150), 제 1-1 수직프레임(1210) 및 제 1-2 수직프레임(1220)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상측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어퍼베이스(2255)와, 상기 어퍼베이스(2255)의 일단(본 실시예에서 전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1 사이드베이스(2251)와, 상기 어퍼베이스(2255)의 타단(본 실시예에서 후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2 사이드베이스(22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사이드베이스(2251)가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전면을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제 2-2 사이드베이스(2252)가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후면을 감싸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는 하측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는 상기 제 2-1 사이드베이스(2251)를 관통하는 제 2-1 사이드체결홀(2253)과, 상기 제 2-2 사이드베이스(2252)를 관통하는 제 2-2 사이드체결홀(22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1 사이드체결홀(2253) 및 제 2-2 사이드체결홀(2254)이 일렬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체결부재(2260)는 볼트(2262) 및 너트(2264)가 사용된다.
상기 볼트(2262)가 상기 제 2-1 사이드체결홀(2253), 제 1 슬릿(113), 제 2 슬릿(114) 및 제 2-2 사이드체결홀(2254)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너트(2264)가 관통된 볼트(2262)에 체결결합되어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를 어퍼프레임(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를 기준으로 상기 제 2-1 수직프레임(2210) 및 제 2-2 수직프레임(2220)이 대칭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중에 의한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 2-1 수직프레임(2210) 및 제 2-2 수직프레임(1220)의 상측단(2211)(2221)이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의 상측면과 같은 높이로 배치된다.
상기 제 2-1 수직프레임(2210) 및 제 2-2 수직프레임(2220)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 및 제 1 서포트부재(410)이 각각 2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까치발 구조체는 제 2 수직어셈블리(2200)가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교량 또는 교각에 설치가능한 특징이 있고, 시공 시 구비해야 하는 까치발 구조체의 개수를 대폭 절감시키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까치발 구조체에 있어서,
    교각 또는 교각의 평판구조물(10) 상측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110);
    상기 어퍼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 1 수직어셈블리(1200);
    상기 어퍼프레임(110) 및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을 연결하는 경사프레임(130);
    상기 경사프레임(130) 또는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에 결합되고, 상기 평판구조물(10)의 저면에 밀착되는 로어프레임(140);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내측단(111) 및 외측단(11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수직어셈블리(2200);
    상기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서포트프레임(310);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1 수직어셈블리(1200)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1 서포트부재(410);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서포트프레임(320);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서포트프레임(320)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2 서포트부재(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직어셈블리(1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을 감싸게 거치되는 제 1 수직베이스(1250);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1 수직프레임(1210); 상기 제 1 수직베이스(125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2 수직프레임(1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을 감싸게 거치되는 제 2 수직베이스(2250);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2-1 수직프레임(2210);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2-2 수직프레임(2220);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프레임(110)과 체결결합되는 수직체결부재(22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직베이스(2250)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상측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어퍼베이스(2255); 상기 어퍼베이스(2255)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1 사이드베이스(2251); 상기 어퍼베이스(2255)의 타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 2-2 사이드베이스(2252); 상기 제 2-1 사이드베이스(2251)를 관통하는 제 2-1 사이드체결홀(2253)과, 상기 제 2-2 사이드베이스(2252)를 관통하는 제 2-2 사이드체결홀(225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1 사이드체결홀(2253) 및 제 2-2 사이드체결홀(2254)이 일렬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까치발 구조체는,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일측면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제 1 슬릿(113); 및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타측면을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제 2 슬릿(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슬릿(113) 및 제 2 슬릿(114)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수직체결부재(2260)는 볼트(2262) 및 너트(2264)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2262)가 상기 제 2-1 사이드체결홀(2253), 제 1 슬릿(113), 제 2 슬릿(114) 및 제 2-2 사이드체결홀(2254)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너트(2264)가 관통된 볼트(2262)에 체결결합되어 상기 제 2 수직어셈블리(2200)를 상기 어퍼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어퍼프레임(110)의 내측단(111) 측을 상기 평판구조물(10)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밀착부재(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1 수직프레임(1210) 및 제 1-2 수직프레임(1220)의 내부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 1 수직중공(215); 상기 제 2-1 수직프레임(2210) 및 상기 제 2-2 수직프레임(2220)의 내부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 2 수직중공(2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포트프레임(3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중공(215)에 삽입되는 제 1 서포트바(312);
    상기 제 1 서포트바(312)의 상단에 되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5)가 배치되는 제 1 서포트부(3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포트부재(410)는,
    상기 제 1 서포트바(312)가 관통되는 제 1 서포트바디(412);
    상기 제 1 서포트바디(412)의 외측면에서 더 외측으로 돌출된 제 1 서포트핸들(414);
    상기 제 1 서포트바디(412)를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바(312)가 관통되는 제 1 서포트관통홀(415);
    상기 제 1 서포트관통홀(415)에 형성된 제 1 홀나사산(411);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포트바(312)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 1 서포트나사산(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나사산(311) 및 제 1 홀나사산(411)이 치합되는 까치발 구조체.
KR1020230036586A 2023-03-21 수직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까치발 구조체 KR102684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586A KR102684851B1 (ko) 2023-03-21 수직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까치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572A KR102513956B1 (ko) 2022-10-19 2022-10-19 교량설치를 위한 까치발 구조체
KR1020230036586A KR102684851B1 (ko) 2023-03-21 수직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까치발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572A Division KR102513956B1 (ko) 2022-10-19 2022-10-19 교량설치를 위한 까치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853A true KR20240054853A (ko) 2024-04-26
KR102684851B1 KR102684851B1 (ko) 2024-07-15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460Y1 (ko) 2001-06-28 2001-10-17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 시공을 위한 까치발 설치장치
KR20030000991A (ko) 2001-06-28 2003-01-06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 시공을 위한 까치발 설치장치
KR200461116Y1 (ko) 2009-03-12 2012-06-22 홍양선 교량가설용 까치발 마운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460Y1 (ko) 2001-06-28 2001-10-17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 시공을 위한 까치발 설치장치
KR20030000991A (ko) 2001-06-28 2003-01-06 동국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 시공을 위한 까치발 설치장치
KR200461116Y1 (ko) 2009-03-12 2012-06-22 홍양선 교량가설용 까치발 마운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956B1 (ko) 202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8840B2 (ja) 柱梁架構の耐震補強構造
KR100926750B1 (ko) 보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101556232B1 (ko) 지지대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KR102684851B1 (ko) 수직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까치발 구조체
KR101766810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20240054853A (ko) 수직어셈블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까치발 구조체
KR101570677B1 (ko) 하이브리드 받침철물
KR101766808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102122889B1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1482979B1 (ko) 내부 전단 연결부가 형성된 덮개를 구비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CN213925887U (zh) 一种立柱钢筋装配式胎架
KR101308581B1 (ko) 기둥거푸집용 고정장치
KR20170044240A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101720103B1 (ko) 건축 구조물용 합성보
KR20220059515A (ko) 보일러 화로 내의 작업 발판 설치 구조
JP5827183B2 (ja) 天井補強構造及び接続金具
KR101931662B1 (ko)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JP3919443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用型枠支持機構
JPH07102788A (ja) 仮設用安全手摺り
KR20190091791A (ko) 내진형 조임틀 장치
KR102635664B1 (ko) 무주공간을 위한 장지간 철골조의 결합구조
JP4440687B2 (ja) 柱脚用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KR102298130B1 (ko) 철골보 단부 보강 시스템
KR102322585B1 (ko) 거푸집용 멍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