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719A -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719A
KR20240049719A KR1020220128701A KR20220128701A KR20240049719A KR 20240049719 A KR20240049719 A KR 20240049719A KR 1020220128701 A KR1020220128701 A KR 1020220128701A KR 20220128701 A KR20220128701 A KR 20220128701A KR 20240049719 A KR20240049719 A KR 2024004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tructure
water supply
inspection box
piping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주
남현민
김종혁
조광범
김재건
안계현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2012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719A/ko
Publication of KR2024004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구조의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면이 실내로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점검박스(300); 일단이 점검박스(30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배관; 점검박스(300) 내부에 설치되고, 배관이 일측으로 연결되는 배관연결소켓(140); 일단이 점검박스(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연결면(110)에 노출되는 제 1 슬리브(130); 및 제 1 연결면(110) 상에서 함몰 형성됨으로서 제 1 슬리브(130)의 타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연결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A module structure having a pipe check box, a build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dule structures, and a method of connecting the module structure}
본 발명은 모듈 구조의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빌딩,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을 완공하기 위해 현장에서 모든 작업이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생산성 향상과 안전사고의 저감 필요성 증대로 OSC(Off-site Construction) 모듈러 방식을 활용한 건축물의 니즈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모듈러 방식의 건축은 모듈 구조체에 관한 콘크리트 타설, 설비, 배관, 전기, 통신, 조명 등 전체 공정의 80%가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건설 현장에서는 단순조립만하기 때문에 종래의 건축물에 비해 현장 공사기간을 최대 8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모듈러 방식의 건축은 현장 시공시 모듈 구조체 사이의 급수관 및 급탕관의 연결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는 외벽 및 바닥 철근에 배관을 고정 후 타설하여 시공하였으나 분할된 배관 연결인 경우, 연결부위가 많아서 누수에 대한 위험성이 높았다.
또한, 종래의 배관 시스템은 누수 발생시 감지가 어려우며 점검과 수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듈 구조체 사이의 급수관 및 급탕관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이 없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304405호(3차원 상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입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203580호(PC패널을 이용한 주택 시공방법),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21-0098598호(계단실을 중심으로 한 단독주택 모듈러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OSC(Off-site Construction) 모듈러 방식을 활용한 모듈 구조체 사이의 배관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검과 유지 관리가 편리한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면이 실내로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점검박스(300); 일단이 점검박스(30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배관; 점검박스(300) 내부에 설치되고, 배관이 일측으로 연결되는 배관연결소켓(140); 일단이 점검박스(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연결면(110)에 노출되는 제 1 슬리브(130); 및 제 1 연결면(110) 상에서 함몰 형성됨으로서 제 1 슬리브(130)의 타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연결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가 제공된다.
또한, 점검박스(300)는 박스도어(310)를 더 포함하고, 박스도어(310)를 개방했을 때 배관연결소켓(140) 영역까지 작업자의 손이 닿도록 배치된다.
또한, 점검박스(300)의 내면에는 점검박스 단열재(32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배관연결소켓(140)과 배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침수라벨(350)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배관은 제 1 급수배관(160)과 제 1 급탕배관(165)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급수배관(160)과 제 1 급탕배관(165)은 PB 가이드볼로 마감될 수 있다.
또한, 점검박스(300) 내부와 배관연결소켓(140)의 일측 사이에는 배관슬리브(150)가 더 설치된다.
또한, 점검박스(300)는 모듈 구조체의 바닥 영역 또는 천정 슬라브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일단이 매립되고, 타단이 제 2 연결면(210) 상에 노출되는 제 2 슬리브(230); 일단이 실내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슬리브(23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됨으로서 노출되는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구조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배관은 제 2 급수배관(260)과 제 2 급탕배관(265)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모듈 구조체인 제 1 모듈 구조체(100); 일단이 매립되고 타단이 제 2 연결면(210) 상에 노출되는 제 2 슬리브(230)와 일단이 실내로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슬리브(23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됨으로서 노출되는 배관을 포함하는 제 2 모듈 구조체(200); 및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제 1 연결면(110)과 제 2 연결면(210)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연결구(120)에 충진되는 콘크리트:50);로 구성되고,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배관과 노출되는 배관은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점검박스(300) 내에 설치된 배관연결소켓(140)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급수배관(160)은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과 연결되고, 제 1 급탕배관(165)은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전술한 모듈 구조체인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전술한 모듈 구조체인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사전 제작하는 단계(S100);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현장으로 운송하는 단계(S120);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단계(S140); 제 2 모듈 구조체(200)의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과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을 제 1 슬리브(130)내로 삽입하는 단계(S160);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밀착시키는 단계(S180); 점검박스(300) 내에서 제 1 급수배관(160)과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을 배관연결소켓(140)에서 연결하고, 제 1 급탕배관(165)과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을 배관연결소켓(140)에서 연결하는 단계(S200);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제 1 연결면(110)과 제 2 모듈 구조체(200)의 제 2 연결면(210)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연결구(120)에 콘크리트(50)를 충진하여 고정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구조체 사이의 배관을 점검박스를 통해 쉽고 빠르게 연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숙련자나 장비가 필요없고 현장의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건축물의 완공 후에도 점검박스를 통해 급수관과 급탕관의 점검과 유지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배관의 연결 부분에서 소량의 누수가 발생하거나 일시적인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추후 침수라벨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보수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가 밀착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제 1, 2 모듈 구조체(100, 200)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a 중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가 밀착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박스(300)의 박스 도어(310)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박스(300)의 내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가 밀착되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제 1, 2 모듈 구조체(100, 200)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는 아파트, 호텔, 빌딩, 오피스텔, 학교 등의 모듈러이다. 이러한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는 공장의 전용 생산 시설을 통해 대량 생산되며 현장으로 운송된 후 조립되어 완성된다.
제 1 모듈 구조체(100)에는 제 2 모듈 구조체(200)와 밀착되는 제 1 연결면(110)을 가지며, 제 1 연결면(110)에는 한쌍의 연결구(120)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120)는 슬라브부터 바닥까지 이어지는 좁은 통로이다. 필요에 따라 연결구(120)는 3개 이상 형성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제 2 모듈 구조체(200)에는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밀착되는 제 2 연결면(210)을 가진다. 선택적으로 제 2 모듈 구조체(200)에도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연결구(120)에 대응하는 연결구를 형성할 수 있다. 모듈 구조체는 연속 조립을 위해 복수의 연결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a 중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20)는 제 2 연결면(210)과 접하면서 폐공간을 형성하며, 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슬리브(130)의 일단은 점검박스(300)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타단은 연결구(120)내에서 제 1 연결면(110)까지 노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박스(300)의 박스 도어(310)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박스(300)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박스(300)는 대략 ㄱ-자 단면을 가진 육면체 형상의 철제 박스이고,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벽체 하부에 매립된다. 박스도어(310)는 바닥과 접하도록 위치하며, 도어 핸들(315)을 이용하여 개폐 가능하고, 개방시 내부로 작업자의 손을 넣어 작업이 가능하다. 박스도어(310)는 실내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점검박스(300)의 내부에는 슬리브 관통공(305)이 형성되어 제 1 슬리브(130)가 삽입된다.
점검박스 단열재(320)는 박스도어(310)의 내측, 점검박스(300)의 내면 등에 설치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급수배관(160)과 제 1 급탕배관(165)은 바닥 콘크리트 내에 위치하며, 배관연결소켓(140)까지 연장된다. 배관연결소켓(140)은 점검박스(300) 내에 고정되고, 일측으로는 제 1 급수배관(160)과 제 1 급탕배관(165)이 연결되어 있다.
배관슬리브(150)는 점검박스(300) 내면과 배관연결소켓(140)의 일측 사이에는 위치하며, 점검박스(300)의 내면에 고정된다. 배관슬리브(150)는 제 1 급수배관(160)과 제 1 급탕배관(165)이 배관연결소켓(140)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침수라벨(350)은 배관연결소켓(140), 배관슬리브(150), 제 1 급수배관(160), 제 1 급탕배관(165),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 및 점검박스(300)의 측면과 저면 등에 설치한다. 침수라벨(350)은 시험 운전시 누수 여부의 확인 및 완공후 사용 중 누수 여부의 확인에 사용될 수 있다.
PB 가이드볼로 제 1 급수배관(160)과 제 1 급탕배관(165)의 단부 및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과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의 단부를 마감함으로서 운송과 시공 중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슬리브(130)는 일단이 점검박스(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연결면(110)에 노출된다. 제 1 슬리브(130) 내로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과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이 삽입되며, 제 1 슬리브(130)는 제 2 슬리브(230)와 밀착된다.
제 2 모듈 구조체(200)는 제 1 연결면(110)에 대향하는 제 2 연결면(210)을 갖는다.
제 2 슬리브(230)의 일단은 제 2 연결면(210) 상에 노출되고, 타단은 바닥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
제 2 급수배관(260)의 일단은 실내의 목욕탕까지 연결되고, 중간 영역은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되며, 타단은 제 2 슬리브(23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이 된다.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의 노출 길이는 제 1, 2 모듈 구조체(100, 200)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슬리브(130)내에 삽입될 수 있으면 족하다.
제 2 급탕배관(266)의 일단은 실내의 목욕탕까지 연결되고, 중간 영역은 바닥 콘크리트에 매설되며, 타단은 제 2 슬리브(23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이 된다.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의 노출 길이는 제 1, 2 모듈 구조체(100, 200)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슬리브(130)내에 삽입될 수 있으면 족하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장에서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사전 제작한다(S100).
그 다음,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현장으로 운송한다(S120).
그 다음, 도 1a 및 도 3과 같이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인접하도록 배치한다(S140).
그 다음, 작업자는 제 2 모듈 구조체(200)의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과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을 제 1 슬리브(130)내로 삽입한다(S160).
그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밀착시킨다(S180).
그 다음, 점검박스(300) 내에서 제 1 급수배관(160)과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을 배관연결소켓(140)에서 연결하고, 제 1 급탕배관(165)과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을 배관연결소켓(140)에서 연결한다(S200). 이때, PB가이드볼이 제거되고, 침수라벨(350)이 곳곳에 부착된다. 적용되는 배관 연결은 통상의 배관 연결(예: 나사 연결, 퀵 스냅 조인트 등)이 될 수 있다.
그 다음,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제 1 연결면(110)과 제 2 모듈 구조체(200)의 제 2 연결면(210)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연결구(120)에 콘크리트(50)를 충진하여 타설함으로서 고정한다(S22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 1, 2 모듈 구조체(100)의 배관 연결 및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3개 이상의 모듈 구조체에 대해서도 전술한 구조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의 배관은 모듈 구조체의 바닥을 통해 시공되었으나 천정 슬라브를 통해 시공된 경우 점검박스를 벽체 상단에 매립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50 : 콘크리트,
100 : 제 1 모듈 구조체,
110 : 제 1 연결면,
120 : 연결구,
130 : 제 1 슬리브,
135 : 구조체 단열재,
140 : 배관연결소켓,
150 : 배관슬리브,
160 : 제 1 급수배관,
165 : 제 1 급탕배관,
200 : 제 2 모듈 구조체,
210 : 제 2 연결면,
230 : 제 2 슬리브,
260 : 제 2 급수배관,
262 : 노출된 제 2 급수배관,
265 : 제 2 급탕배관,
267 : 노출된 제 2 급탕배관,
300 : 점검박스,
305 : 슬리브 관통공,
310 : 박스도어,
315 : 도어핸들,
320 : 점검박스 단열재.

Claims (13)

  1. 일면이 실내로 노출되도록 매립되는 점검박스(300);
    일단이 상기 점검박스(30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배관;
    상기 점검박스(3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관이 일측으로 연결되는 배관연결소켓(140);
    일단이 상기 점검박스(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연결면(110)에 노출되는 제 1 슬리브(130); 및
    상기 제 1 연결면(110) 상에서 함몰 형성됨으로서 상기 제 1 슬리브(130)의 타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연결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박스(300)는 박스도어(3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도어(310)를 개방했을 때 상기 배관연결소켓(140) 영역까지 작업자의 손이 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박스(300)의 내면에는 점검박스 단열재(3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연결소켓(140)과 상기 배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침수라벨(350)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제 1 급수배관(160)과 제 1 급탕배관(1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급수배관(160)과 상기 제 1 급탕배관(165)은 PB 가이드볼로 마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박스(300) 내부와 상기 배관연결소켓(140)의 일측 사이에는 배관슬리브(15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박스(300)는 상기 모듈 구조체의 바닥 영역 또는 천정 슬라브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9. 일단이 매립되고, 타단이 제 2 연결면(210) 상에 노출되는 제 2 슬리브(230);
    일단이 실내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슬리브(23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됨으로서 노출되는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제 2 급수배관(260)과 제 2 급탕배관(2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구조체.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 구조체인 제 1 모듈 구조체(100);
    일단이 매립되고 타단이 제 2 연결면(210) 상에 노출되는 제 2 슬리브(230)와
    일단이 실내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슬리브(230)를 통해 외부로 연장됨으로서 노출되는 배관을 포함하는 제 2 모듈 구조체(200); 및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제 1 연결면(110)과 상기 제 2 연결면(210)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연결구(120)에 충진되는 콘크리트:5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배관과 상기 노출되는 배관은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점검박스(300) 내에 설치된 배관연결소켓(140)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급수배관(160)은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과 연결되고,
    제 1 급탕배관(165)은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13. 제 1 항에 따른 모듈 구조체인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제 9 항에 따른 모듈 구조체인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상기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사전 제작하는 단계(S100);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상기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현장으로 운송하는 단계(S120);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상기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단계(S140);
    상기 제 2 모듈 구조체(200)의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과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을 제 1 슬리브(130)내로 삽입하는 단계(S160);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와 상기 제 2 모듈 구조체(200)를 밀착시키는 단계(S180);
    점검박스(300) 내에서 제 1 급수배관(160)과 상기 노출된 제 2 급수배관(262)을 배관연결소켓(140)에서 연결하고, 제 1 급탕배관(165)과 상기 노출된 제 2 급탕배관(267)을 상기 배관연결소켓(140)에서 연결하는 단계(S200);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제 1 연결면(110)과 상기 제 2 모듈 구조체(200)의 제 2 연결면(210)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듈 구조체(100)의 연결구(120)에 콘크리트(50)를 충진하여 고정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
KR1020220128701A 2022-10-07 2022-10-07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 KR20240049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701A KR20240049719A (ko) 2022-10-07 2022-10-07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701A KR20240049719A (ko) 2022-10-07 2022-10-07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719A true KR20240049719A (ko) 2024-04-17

Family

ID=9087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701A KR20240049719A (ko) 2022-10-07 2022-10-07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71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580B1 (ko) 2020-09-11 2021-01-15 조용호 Pc패널을 이용한 주택 시공방법
KR20210098598A (ko) 2020-02-01 2021-08-11 박종태 계단실을 중심으로 한 단독주택 모듈러시스템
KR102304405B1 (ko) 2021-01-04 2021-09-23 (주)지산개발 3차원 상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입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598A (ko) 2020-02-01 2021-08-11 박종태 계단실을 중심으로 한 단독주택 모듈러시스템
KR102203580B1 (ko) 2020-09-11 2021-01-15 조용호 Pc패널을 이용한 주택 시공방법
KR102304405B1 (ko) 2021-01-04 2021-09-23 (주)지산개발 3차원 상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입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527B2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room module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KR101380127B1 (ko) 조립기준면을 적용한 bim 시스템 및 방법
JP2017066858A (ja) 附属枠、附属枠を有する窓、プレキャスト壁体及びそれらの製作組立方法
CN214942417U (zh) 一种预制pc混凝土消防栓箱洞口构造
CN105864524A (zh) 预埋管件的施工定位装置及该预埋管件的施工方法
CN110612373A (zh) 建筑物的预制预装饰体积建造
KR20240049719A (ko) 배관 점검박스를 갖는 모듈 구조체, 복수의 모듈 구조체로 이루어진 건축물 및 상기 모듈 구조체의 연결방법
CN210067138U (zh) 一种防水装配式预制混凝土墙体
PL181672B1 (en) Wall unit for high building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995453B1 (ko) 블록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CN114293686A (zh) 压型钢骨混凝土组合剪力墙、连接节点及施工方法
CN211257431U (zh) 装配式墙体
CN108999342B (zh) 预制模块化装配式框架结构柱-柱连接节点及制作方法
KR102263661B1 (ko)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밸브실 시공방법 및 그 밸브실 구조
KR20040076245A (ko) 철근콘크리트 벽식구조 철근망 지상조립(공장조립) 인양설치 공법
CN216893125U (zh) 一种榫卯式拼接房安装结构
CN214364323U (zh) 一种装配式管沟
KR200434389Y1 (ko) 위생배관 매설박스
CN220318868U (zh) 一种集成管线的装配式隔墙结构
JP4813969B2 (ja) 建物ユニットの配管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35541Y1 (ko) 스래브 매설상자
CN212613547U (zh) 一种包立管套件
JPH05132980A (ja) 住戸ユニツトからなる建築物の配管接続構造
CN214146797U (zh) 一种基于直接预埋法的水管防渗铺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