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512A -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512A
KR20240041512A KR1020220120608A KR20220120608A KR20240041512A KR 20240041512 A KR20240041512 A KR 20240041512A KR 1020220120608 A KR1020220120608 A KR 1020220120608A KR 20220120608 A KR20220120608 A KR 20220120608A KR 20240041512 A KR20240041512 A KR 2024004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electric vehicle
tube structure
water tank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하
Original Assignee
이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하 filed Critical 이지하
Priority to KR102022012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512A/ko
Publication of KR2024004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5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8Wall construction hollow-walled, e.g. double-walled with spa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자동차에 화재시 전기자동차를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 리프팅하거나 인양하여 이동시키는 과정 없이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서 전기자동차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2개의 튜브구조체를 수평이동시켜 위치시킨 후 방수마감체로 연결하여 신속하게 조립하여 기립시킨 후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침수될 정도의 수위로 물을 채움으로써 배터리 재발화에 의한 2차 전기자동차 화재를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는 수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화재발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침수시켜 냉각을 통해 안정화시키는 수조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동차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수평 이동을 통해 설치되는 제1튜브구조체(1)와; 전기자동차 둘레로 수평 이동된 제1튜브구조체의 개방된 일측단을 막는 제2튜브구조체(2)와; 상기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가 접하는 모서리 부위를 체결하여 수밀시키는 방수마감체(3)를 포함하여, 전기자동차의 리프팅 또는 인양 과정 없이 화재가 난 장소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신속하게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Rapid installation of water tank for preventing recurrence of electric vehicle fir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1차 화재가 진압된 후 별도의 차량 리프팅 또는 인양 과정 없이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장소에서 2개의 튜브구조체를 수평 이동시켜 전기자동차 둘레에 신속 설치하고 담수하여 고열의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물속에 침수시켜 냉각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재발화에 의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자동차 대신에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배터리에 기인한 차량화재가 종종 발생되고 있는데, 일반적인 내연자동차 화재와 달리 소화기 등으로 1차적으로 화재가 진압되었다 하더라도 배터리가 재발화하여 2차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치명적 단점이 있다.
배터리가 재발화하는 이유 중 하나는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배터리가 자동차의 한정된 공간안에 고용량의 전지셀들이 조밀하게 배치되고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밀폐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의 침투가 어려워 진화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화재 발생시 전지셀을 구성하는 셀분리막이 파손되면서 수천~수만도의 온도로 치솟는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이 동반되면서 배터리가 완전히 타버릴 때까지 불이 꺼지지 않게 된다.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을 위해서 사용되는 물은 보통 내연기관차의 화재 진화에 소요되는 물의 10배 이상의 물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100배 이상의 물이 사용된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1차 화재진압 후 추가적으로 배터리를 안정화시켜 재발화를 방지시키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미국이나 노르웨이 등과 같은 국가에서는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시에 차량에 물을 살수한 후 물에 접은 방화담요로 차량을 덮은 다음 해당 전기자동차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수조 내에 침수시키는 방법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은 현실에서는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의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서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크레인의 접근과 수조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적용이 어려우며, 특히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인접 차량에까지 확대되어 대형 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전기자동차 화재시 1차로 화재를 진압한 후 배터리의 재발화를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를 침수시켜 안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조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전기자동차의 재발화 방지를 위해 전기자동차 주변에 설치되는 수조장치 기술은 중량물인 전기자동차를 리프팅 수단을 이용해 들어올리는 과정을 가진 후 바닥에 방수판체를 설치하고 주변에 테두리벽체 등을 설치한 다음 담수하는 과정이 필요하여 신속하게 전기자동차를 침수시켜 재발화를 방지하기 어려워 화재진압이 복잡하고 과도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수조장치는 전기자동차의 재발화 방지를 위해 전기자동차 자체를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옮겨 수조장치에 넣는 과정이 필요하여 신속하게 전기자동차를 침수시켜 재발화를 방지하기 어려워 화재진압이 복잡하고 과도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수조장치는 전기자동차를 침수시키는 구조가 주로 전기자동차의 둘레를 감싸는 일체형 수조구조체를 인양장비 등을 이용해 화재가 1차 진압된 전기자동차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리도록 구성되어 이를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장소의 상부 공간 구조가 협소하거나 경사가 진 장소일 경우 신속하게 전기자동차를 침수시켜 재발화를 방지하기 어려워 화재진압이 복잡하고 과도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수조장치는 설치구조가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 화재가 1차 진압된 전기자동차를 침수시켜 재발화를 방지하는데 과도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수조장치는 전기자동차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배터리의 재발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터리가 잠길 정도의 높이인 1m 내외면 충분한데도 수조의 설치 높이가 전기자동차의 높이 만큼 높아 불필요한 구조가 많고, 이에 따라 수조장치의 무게가 증가하여 휴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과 수조에 과도하게 물을 담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376222(2022.03.15.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409287(2022.06.10.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431474(2022.08.08. 등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339405(2021.12.09.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 화재시 배터리 재발화에 의한 2차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자동차를 리프팅하거나 인양하여 이동시키지 않고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서 전기자동차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2개의 튜브구조체를 수평이동시켜 위치시킨 후 방수마감체로 연결하여 신속하게 조립 후 배터리가 침수될 정도의 수위로 물을 채워 고열의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수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화재발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침수시켜 냉각을 통해 안정화시키는 수조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동차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수평 이동을 통해 설치되는 제1튜브구조체와;
전기자동차 둘레로 수평 이동된 제1튜브구조체의 개방된 일측단을 막는 제2튜브구조체와;
상기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가 접하는 모서리 부위를 체결하여 수밀시키는 방수마감체를 포함하여 전기자동차의 리프팅 또는 인양 과정 없이 화재가 난 장소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신속하게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1튜브구조체는 전기자동차의 둘레 3면을 감싸게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 충전을 통해 벽체 역할을 하는 제1튜브와; 상기 제1튜브 하단에서 내측방향으로 펼쳐져 누수를 방지하는 제1바닥방수부와; 상기 제1바닥방수부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의 제1바닥방수부를 유지시키는 제1바닥지지부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튜브구조체는 내부에 유체 충전을 통해 벽체 역할을 하는 제2튜브와; 상기 제2튜브 하단에서 내측방향으로 펼쳐져 누수를 방지하는 제2바닥방수부와; 상기 제2바닥방수부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바닥지지부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1튜브는 전기자동차 주변을 감싸도록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1튜브는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3개의 단위 제1튜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1바닥지지부 또는 제2바닥지지부는 무게를 가지는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사출물 또는 분절된 복수개의 사출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방수마감체는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가 접하는 모서리 부위에 각각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거나, 또는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가 접하는 부위 그리고 상기 제1튜브구조체를 구성하는 모서리 부위에 각각 부착수단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는 각각 적어도 1개의 주입구와 배수구가 형성되어 개별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1튜브구조체를 3개의 제1단위튜브로 구성하고 각 제1단위튜브 마다 2개의 주입구를 형성해 이웃하는 제1단위튜브의 주입구 간을 연결구로 연결하고 나머지 1개의 주입구에서 유체를 공급하여 순차적으로 충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에 고리를 형성하여 로프로 고리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서로 간을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는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발생 후 1차 화재 진압이 이루어지면, 전기자동차를 리프팅 수단을 사용하여 상승시키거나 인장장치를 사용하여 인양하여 옮기는 과정 없이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장소에서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를 수평 이동시켜 전기자동차 둘레에 위치시킨 후 전개시킨 다음 공기 또는 물과 같은 유체를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에 주입하여 기립시키고 방수마감체로 튜브구조체 간의 모서리 부위를 연결하여 간단히 수조장치를 조립 후 신속하게 물을 채움으로써 전기자동차 하부에 위치한 배터리가 침수되어 안정화됨으로써 재발화에 의한 2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는 종래처럼 일체로 구성된 수조장치가 전기자동차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져 설치되는 것이 아닌 둘레가 분리된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가 전기자동차 둘레에 위치 후 간편히 조립되고,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 내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수조장치의 벽을 이루게 되면 내측 공간에 물을 담수하여 최소 배터리 설치 높이까지만 침수시키면 충분하여 화재가 발생한 전기자동차 주변 공간 구조물의 높이 제약이나 경사지와 같은 평탄도 등에 구애 받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는 끝단에 바닥지지부가 형성된 바닥방수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1튜브구조체가'ㄷ'자 또는 'U'자 형태로 접는 구조 또는'ㄷ'자 또는 'U'자 형태로 3개의 단위 튜브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져 수평 이동을 통해 한번에 전기자동차 둘레를 감싼 다음, 개방된 제1튜브구조체의 일측단을 끝단에 바닥지지부가 형성된 바닥방수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2튜브구조체로 막은 후, 유체 충전을 통해 기립된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 간을 방수마감체가 부착되어 체결함과 동시에 모서리 틈새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도록 간편한 설치구조와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 포개어 휴대하기 좋아 소방차 등의 적재함에 보관하다가 비상시 사용자가 신속하게 수조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는 단층으로 구성된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의 높이가 1m 내외여서 차량 주위로 설치 후에 약 70 ~ 100cm의 물을 담수하면 전기자동차의 바닥에 설치된 배터리가 충분히 잠길 수 있기에 많은 인력과 물 공급이 필요 없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설치형 수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설치형 수조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침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의 단면도 및 배터리 침수 수위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튜브구조체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속설치형 수조장치의 주요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에 유체를 공급하는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에 연결구를 이용해 유체를 공급하는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 간의 결속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설치형 수조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속설치형 수조장치에 전기자동차가 침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의 단면도 및 배터리 침수 수위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튜브구조체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속설치형 수조장치의 주요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는 전기자동차(5)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진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그리고 상기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가 접하는 모서리 부위를 연결해 체결하면서 수밀시키는 방수마감체(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는 화재가 발생한 전기자동차의 리프팅 또는 인양 과정 없이 화재가 난 장소에서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를 수평이동시켜 전기자동차(5) 둘레에 위치시킨 후 방수마감체(3)로 연결하여 신속하게 조립 후 배터리가 침수될 정도의 수위로 물을 채워 고열의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냉각시킴으로써 배터리 재발화에 의한 2차 전기자동차 화재를 신속하게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로 이루어진 수조장치의 크기는 승용 전기자동차 또는 트럭과 같은 상용 전기자동차에 따라 크기에 맞게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승용 전기자동차 일 경우 물이 담수되는 내부의 크기는 약 3 ×6 m 정도이고, 외부 크기는 약 4.6 ×7.6 m(튜브 지름 80cm) 정도일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수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 발명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의 사용시기는 최초 전기자동차 화재시 물로 진압 후 질식소화포로 차량을 덮어 추가 확산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 내부 온도가 일정온도(예를 들면 50도 또는 기준으로 설정한 임의의 온도) 이하로 떨어진 걸 확인 후 차량 주위로 설치하는게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화재가 1차 진압된 전기자동차라도 온도가 높을 때에는 아무리 난연 제품으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를 만든다 하더라도 복사열 때문에 원활한 설치가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본 발명이 특정 온도 조건에 설치 시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을 설명한다.
제1튜브구조체(1)는 난연성질을 가지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제품으로 이러한 난연성질을 가지는 합성 고분자섬유 또는 난연성 무기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섬유로 제조하면 된다. 예를 들면 합성 고분자섬유로 클로로프렌의 중합체인 네오프렌 같은 합성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특정 합성 고분자섬유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난연성 합성 고분자섬유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제1튜브구조체(1)는 전기자동차의 둘레 3면을 직각 또는 라운드 형태 즉,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감싸게 형성된 구성으로, 내부에 유체(공기 또는 물) 충전을 통해 벽체 역할을 하는 제1튜브(11)와, 상기 제1튜브의 원주 방향 중 일 지점(바닥면과 접하는 하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직교되게 내측방향으로 펼쳐져 누수를 방지하는 제1바닥방수부(12)와, 상기 제1바닥방수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의 제1바닥방수부를 유지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바닥지지부(13)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제1튜브(11)는 보통 원통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4각 튜브 형태 또는 다각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튜브(11)의 높이는 적어도 전기자동차(5)의 배터리(51)가 완전히 침수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어 70 ~ 100cm 정도로 담수 높이를 형성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제1튜브구조체(1)의 높이는 제1튜브의 높이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제1튜브(11)는 내부에 유체(물 또는 공기)를 충전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주입구(1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튜브(11)에 유체가 주입되면 벽체 역할을 수행하여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내측 공간에 담수될 수 있는 수조장치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제1튜브(11)는 충전된 유체를 배출시 보다 신속한 배출을 위해 배수구(112)가 형성된다. 배수구(112)의 개수는 제1튜브에 최소 1개만 있어도 되지만 빠른 배출을 위해 각 측면마다 1개씩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튜브(11)는 도면상에는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충전된 유체가 적정 압력이상일 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한 과압방지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111)는 물 또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구조의 하이브리드 형태 주입구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공기 주입 크기에 맞는 작은 구경을 가진 주입구와 물 주입 크기에 맞는 큰 구경을 가진 주입구 구조가 함께 형성된 하이브리드 구조로 구성하면 된다. 사용시 공급 가능한 유체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크기의 작은 구경을 덮은 뚜껑만 열거나 큰 뚜껑을 열면 된다. 하이브리드 구조의 주입구는 하나의 큰 구경 주입구 뚜껑에 작은 구경의 주입구가 뚜껑으로 덮힌 이중 구조로 구성하거나 2개의 주입구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형태로 주입구를 구성함으로써 화재가 난 전기자동차 주변의 상황에 따라 물 또는 공기 주입이 어려운 상활 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주입구는 하이브리드 형태이기 때문에 주입 가능한 물 또는 공기 중 공급 가능한 유체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주입구는 물 또는 공기 단독 주입 뿐만 아니라 물과 공기를 함께 공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공기를 주입 후 자동차 둘레에 배치 후 물을 주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물을 공급하면 제1튜브(11)의 무게가 무거워져 담수되는 물의 수압에 대응하는 강한 벽체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물이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지 않아도 벽체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유체 공급은 유체가 물일 경우 펌프를 이용하고, 공기일 경우는 에어블로워(또는 압축공기 실린더)를 통해 공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성질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는 이유는 주입구의 구조가 하이브리드 구조로 이루어져 선택된 유체에 따라 필요한 구경에 맞는 주입구 뚜껑만 열면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튜브(11)는 1차 화재가 진압되어 일정 온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간 전기자동차 주변에 간단히 수평이동하여'ㄷ'자 또는 'U'자 형태로 전기자동차 주변을 감쌀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구성시의 장점은 설치할 곳이 평탄한 곳이 아닐 경우에 보통의 경우 설치가 어렵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튜브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지형의 단차를 극복하거나 자갈 등과 같이 불균일한 바닥면 상태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하나로 이루어진 제1튜브를 이용해'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꺽거나 휘어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처음부터 하나의 제1튜브 형상이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제1튜브 형상을 하나로 이루어진 제1튜브를 이용해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구성시 한 개의 장변을 중심으로 단변 2개를 이용하여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구성할 수 도 있고, 한 개의 단변을 중심으로 장변 2개를 이용하여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튜브를 1개가 아닌 3개의 단위 제1튜브로 'ㄷ'자 또는 'U'자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때 3개의 단위 제1튜브는 제1바닥방수부(12)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독자적으로 단위 제1튜브와 제1바닥방수부로 이루어져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튜브 형상을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구성시 한 개의 장변을 중심으로 단변 2개를 이용하여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한 개의 단변을 중심으로 장변 2개를 이용하여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전기자동차의 둘레에 다양한 측면에서 접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제 1튜브의 구성에 따라 내부에 유체(물 또는 공기)를 충전하기 위한 주입구(111)는 적어도 1개 이상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로 이루어진 제1튜브로 구성시는 1개만 있어도 충분하고, 필요시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단위 제1튜브로 구성시는 각 단위 제1튜브 마다 1개씩 구성할 수 있고, 필요시 복수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닥방수부(12)는 제1튜브와 일체로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주변 바닥에 깔려 완성된 수조장치에 물이 충전시 제1튜브를 통해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제1바닥방수부가 구비되지 않으면 담수된 수압에 의해 제1튜브의 하부와 지면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어 많은 물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제1바닥방수부가 구비되면 담수된 수압이 하부방향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높은 수밀력을 제공하여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물이 담수되어 물 사용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제1바닥방수부(12)는 난연성질을 가지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제품으로 이러한 난연성질을 가지는 합성 고분자섬유 또는 난연성 무기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섬유로 제조하면 된다. 예를 들면 합성 고분자섬유로 클로로프렌의 중합체인 네오프렌 같은 합성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특정 합성 고분자섬유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난연성 합성 고분자섬유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바닥방수부(12)의 폭방향 길이는 전기자동차를 리프링하는 과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바퀴 내측 공간까지는 깔리지 않을 정도의 폭방향 길이를 가지면 충분하다.
즉, 이 정도로 제 1 바닥부가 펼쳐져도 충분한 수밀력을 가지게 된다. 그 이유는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가 벽체를 이룬 상태에서 물이 담수되면 물의 수압이 하부로 작용하면서 제1바닥방수부를 누르기 때문에 충분한 수밀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물론 일부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이는 무시할 정도로 수조장치의 주목적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에 비하면 아주 미량일 뿐이다.
제1바닥방수부(12)는 제1튜브(11) 형성시 함께 형성하여 제조해도 되고, 제1튜브(11)를 먼저 제조후 후가공을 통해 형성해도 된다. 중요한 것은 제1튜브(11)와 일체화 되어 평소에는 제1튜브(11)와 함께 접힌 상태나 말린 상태를 유지해 함께 저장되고 비상시 신속히 펼침상태를 유지하여 물이 담수될 때 이를 저장할 수 있게 바닥부분으로의 수밀력만 제공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제1바닥방수부(12)는 제1튜브(11)가 하나로 구성될 경우에는 하나의 4각 구조의 제1바닥방수부(12)로 구성하고, 제1튜브(11)가 3개의 단위 제1튜브 또는 하나의 연속된 튜브로 구성되어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성형시는 제 1튜브의 경계부마다 절개하여 3개의 제1바닥방수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바닥방수부(12)는 제1튜브(11)가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전기자동차쪽으로 수평이동하기 전에 겹침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서로간에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고정수단이 없어도 수압에 의해 겹침부위가 눌리고, 또한 방수마감체(3)가 제1튜브(11) 및 제2튜브(21) 간의 모서리부를 연결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상기 제1바닥지지부(13)는 제1바닥방수부(12)가 신속하게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구성으로 무게를 가지는 사출물로 구성된다. 사출재료는 난연성 합성 고분자수지재 또는 금속재일 수 있다.
제1바닥지지부(13)는 하나의 사출물로 구성하거나 분절된 복수개의 사출물로 제1바닥방수부의 길이만큼 형성하면 된다.
상기 제1바닥지지부(13)가 필요한 이유는 비상시 제1튜브(11)로부터 제1바닥방수부(12)를 펼칠 때 제대로 펴지지 않거나 바람 또는 담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제1바닥방수부(12)가 펄럭이거나 밀려나거나 담수된 물에 의해 부력을 받아 뜰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충분한 방수성능을 제공하지 못해 담수된 물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전기자동차 주변까지 펼져지는 역할과 부력에 의해 제1바닥방수부가 뜨지 않을 정도의 무게로 구성된 제1바닥지지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보관을 위해 접을때도 제1바닥지지부가 있으면 신속하게 제1바닥방수부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제1바닥지지부(13)의 설치위치는 제1바닥방수부의 끝단 상부면 또는 제봉을 통해 끝단 내측에 위치하면 된다. 끝단 하단에도 물론 설치할 수는 있지만 제1바닥방수부가 약간 들뜰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제2튜브구조체(2)는 상기 수평이동된 제1튜브구조체의 개방된 일측단 부분을 막아 전기자동차의 둘레를 감쌈으로써 수조장치의 벽체를 완성시키는 구성이다.
제2튜브구조체(2)는 난연성질을 가지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제품으로 이러한 난연성질을 가지는 합성 고분자섬유 또는 난연성 무기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섬유로 제조하면 된다. 예를 들면 합성 고분자섬유로 클로로프렌의 중합체인 네오프렌 같은 합성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특정 합성 고분자섬유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난연성 합성 고분자섬유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제2튜브구조체(2)는 내부에 유체(공기 또는 물) 충전을 통해 벽체 역할을 하는 제2튜브(21)와, 상기 제2튜브의 원주 방향 중 일 지점(바닥면과 접하는 하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직교되게 내측방향으로 펼쳐져 누수를 방지하는 제2바닥방수부(22)와, 상기 제2바닥방수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의 제2바닥방수부를 유지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바닥지지부(23)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제2튜브(21)는 보통 원통 튜브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4각 튜브 형태 또는 다각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2튜브(21)의 높이는 적어도 전기자동차(5)의 배터리(51)가 완전히 침수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어 70 ~ 100cm 정도로 담수 높이를 형성하면 된다. 이에 따라 제2튜브구조체(2)의 높이는 제2튜브의 높이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제2튜브(21)는 내부에 유체(물 또는 공기)를 충전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주입구(2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튜브(21)에 유체가 주입되면 벽체 역할을 수행하여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내측 공간에 담수될 수 있는 수조장치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제2튜브(21)는 충전된 유체를 배출시 보다 신속한 배출을 위해 배수구(212)가 형성된다. 배수구(212)의 개수는 제2튜브에 최소 1개만 있어도 된다. 다만 제2튜브가 수조장치를 구성시 단변이 아닌 장변으로 구성시는 빠른 배출을 위해 2개로 형살할 수 있다.
또한 제2튜브(21)는 도면상에는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충전된 유체가 적정 압력이상일 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한 과압방지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튜브(21)는 1차 화재가 진압되어 일정 온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간 전기자동차 주변에 상기 제1튜브구조체(1)가 수평이동하여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감싸면 나머지 개방된 1개의 면을 막아 벽체를 이룰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2바닥방수부(22)는 제2튜브와 일체로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의 주변 바닥에 깔려 완성된 수조장치에 물이 충전시 제2튜브를 통해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제2바닥방수부가 구비되지 않으면 담수된 수압에 의해 제2튜브의 하부와 지면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어 많은 물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제2바닥방수부가 구비되면 담수된 수압이 하부방향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높은 수밀력을 제공하여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물이 담수되어 물 사용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제2바닥방수부(22)는 난연성질을 가지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제품으로 이러한 난연성질을 가지는 합성 고분자섬유 또는 난연성 무기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섬유로 제조하면 된다. 예를 들면 합성 고분자섬유로 클로로프렌의 중합체인 네오프렌 같은 합성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특정 합성 고분자섬유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난연성 합성 고분자섬유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바닥방수부(22)의 폭방향 길이는 전기자동차를 리프링하는 과정이 필요없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바퀴 내측 공간까지는 깔리지 않을 정도의 폭방향 길이를 가지면 충분하다.
즉, 이 정도로 제2바닥부가 펼쳐져도 충분한 수밀력을 가지게 된다. 그 이유는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가 벽체를 이룬 상태에서 물이 담수되면 물의 수압이 하부로 작용하면서 제2바닥방수부를 누르기 때문에 충분한 수밀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물론 일부 누수가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이는 무시할 정도로 수조장치의 주목적인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에 비하면 아주 미량일 뿐이다.
상기 제2바닥방수부(22)는 제2튜브(21) 형성시 함께 형성하여 제조해도 되고, 제2튜브(21)를 먼저 제조후 후가공을 통해 형성해도 된다. 중요한 것은 제2튜브(21)와 일체화 되어 평소에는 제2튜브(21)와 함께 접힌 상태나 말린 상태를 유지해 함께 저장되고 비상시 신속히 펼침 상태를 유지하여 물이 담수될 때 이를 저장할 수 있게 바닥부분으로의 수밀력만 제공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제2바닥방수부(22)는 상기 제1튜브(11)의 제1바닥방수부(12)와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고정수단이 없어도 수압에 의해 겹침부위가 눌리고, 또한 방수마감체(3)가 제1튜브(11) 및 제2튜브(21) 간의 모서리부를 연결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상기 제2바닥지지부(23)는 제2바닥방수부(12)가 신속하게 펼쳐지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구성으로 무게를 가지는 사출물로 구성된다. 사출재료는 난연성 합성 고분자수지재 또는 금속재일 수 있다.
제2바닥지지부(23)는 하나의 사출물로 구성하거나 분절된 복수개의 사출물로 제2바닥방수부의 길이만큼 형성하면 된다.
상기 제2바닥지지부(23)가 필요한 이유는 비상시 제2튜브(21)로부터 제2바닥방수부(22)를 펼칠 때 제대로 펴지지 않거나 바람 또는 담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제2바닥방수부(22)가 펄럭이거나 밀려나거나 담수된 물에 의해 부력을 받아 뜰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충분한 방수성능을 제공하지 못해 담수된 물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전기자동차 주변까지 펼져지는 역할과 부력에 의해 제2바닥방수부가 뜨지 않을 정도의 무게로 구성된 제2바닥지지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보관을 위해 접을때도 제2바닥지지부가 있으면 신속하게 제2바닥방수부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제2바닥지지부(23)의 설치위치는 제2방수바닥부의 끝단 상부면 또는 제봉을 통해 끝단 내측에 위치하면 된다. 끝단 하단에도 물론 설치할 수는 있지만 제2바닥방수부가 약간 들뜰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방수마감체(3)는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간의 모서리부에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31)으로 부착되어 서로 간을 체결하면 벽체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틈새를 메워 수밀시키는 구성이다. 부착수단(31)을 한실시예로 벨크로테이프 구성시 일측은 제1튜브구조체(1) 또는 제2튜브구조체(2)에 형성되고 타측은 이와 접하는 각 방수마감체(3)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방수마감체(3)는 수조장치를 구성하는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간에 적어도 2개만 있으면 된다.
다만, 제 1 튜브구조체가 복수의 단위튜브로 형성될 경우 틈새가 있으므로 4개를 구성해야 한다.
또한 담수된 물의 수압에 대한 구조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제 1 튜브구조체가 단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도 모서리 부분에 2개를 추가하여 전체적으로 4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방수마감체(3)는 난연성질을 가지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제품으로 이러한 난연성질을 가지는 합성 고분자섬유 또는 난연성 무기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섬유로 제조하면 된다. 예를 들면 합성 고분자섬유로 클로로프렌의 중합체인 네오프렌 같은 합성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특정 합성 고분자섬유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난연성 합성 고분자섬유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상기 방수마감체(3)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수조장치 당 보통 복수개로 구성되어 부착된다.
한 실시예로 제1튜브구조체(1)를'ㄷ'자 형태로 형성하고 제2튜브구조체(2)로 일측단을 마감하여 수조장치를 구성시 최소 2개의 방수마감체(3)가 구비되면 된다. 다만, 3개의 단위 제1튜브로 이루어질 경우 4개가 필요하다. 또한 제1튜브구조체(1)가 1개의 제 1튜브로 ㄷ'자 형태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도 확실한 형태 유지를 위해서는 틈새가 없는 나머지 2곳을 보강하여 전체 4개의 방수마감체(3)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약 제1튜브구조체(1)를 'U'자 형태로 형성하고 제2튜브구조체(2)로 일측단을 마감하여 수조장치를 구성시는 최소 2개만 있으면 된다. 다만, 이 경우도 확실한 형태 유지를 위해서는 틈새가 없는 나머지 2곳을 보강하여 전체 4개의 방수마감체(3)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마감체(3)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간의 모서리부에 부착되도록 서로간에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을 구비하여 구조적으로 형성되는 틈새 또는 경계부를 통한 물의 누수를 막기 위한 구조라면 그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신속한 설치 편의성 및 담수된 물의 수압에 대한 내수압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원판 구조 방수재를 분할한 구조. 즉, 2개의 직선과 1개의 호로 이루어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수마감체(3)는 수조장치의 벽체 역할을 담당하는 곡률 구조를 가지는 제1튜브(11) 및 제2튜브(21) 간을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으로 부착하여 연결하면서 모서리부위가 라운드진 형상을 제공하여 담수된 물의 수압에 균일한 내수압을 제공하여 장시간 담수된 구조에도 강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바닥을 이루는 제1바닥방수부(12)와 제2바닥방수부(22)와의 체결부위는 직선 형태로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으로 체결되어 강한 결속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에 유체를 공급하는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에 연결구를 이용해 유체를 공급하는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를 구성하는 제1튜브(11) 또는 제2튜브(12)는 내부에 유체(물 또는 공기)를 충전하기 위한 주입구(111, 2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체가 주입되면 벽체 역할을 수행하여 전기자동차가 위치한 내측 공간에 담수될 수 있는 수조장치의 외형을 이루게 된다.
특히 제1튜브(11)는 1차 화재가 진압되어 일정 온도 이하로 온도가 내려간 전기자동차 주변에 간단히 수평이동하여'ㄷ'자 또는 'U'자 형태로 감쌀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하나로 이루어진 제1튜브를 이용해'ㄷ'자 또는 'U'자 형태로 접은 후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처음부터 3개의 단위 제1튜브 또는 한 개의 제1튜브로 'ㄷ'자 또는 'U'자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해도 된다.
만약 3개의 단위 제1튜브로 'ㄷ'자 또는 'U'자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시 주입구는 각 단위 제1튜브 마다 형성하여 각각 공기 또는 물 같은 유체를 주입시키도록 구성해도 되고, 단위 제1튜브 마다 2개의 주입구(111, 211)를 형성하여 하나의 제1튜브는 일측 주입구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고, 다른 2개의 단위 제1튜브는 연결구(113)를 이용해 연결되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단위 제1튜브와 1개의 제2튜브를 동시에 연결구로 이웃하는 제1튜브 또는 제2튜브와 1개씩 연결하여 동시에 2곳에서 유체가 공급되어 충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튜브구조체(2)도 제2튜브(12)에 독자적인 주입구를 이용해 유체를 주입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이웃하는 제1튜브구조체(1)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2개의 주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체 공급은 유체가 물일 경우 펌프를 이용하고, 공기일 경우는 에어블로워(또는 압축공기 실린더)를 통해 공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성질의 유체가 공급될 수 있는 이유는 주입구의 구조가 하이브리드 구조로 이루어져 선택된 유체에 따라 필요한 구경에 맞는 주입구 뚜껑만 열면 되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 간의 결속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는 방수마감체(3)로 서로간을 연결하여 방수 및 결속하는 방식 외에도 보다 강한 결속력을 제공하여 벽체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튜브(11)와 제2튜브(21) 간의 상부쪽 내부 둘레 쪽에 고리(41)를 형성하고 로프(42) 등으로 고리를 관통하여 서로 간을 체결하는 결속수단(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속수단(4)을 구비하면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가 형성한 수조장치에 담수된 물의 수압이 바깥 방향으로 가해질 때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 둘레를 따라 이어진 결속수단이 단단히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을 이용해 수조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이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다만 이하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 중에서 대표적인 것을 예시한 것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 형태가 더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실시예)
먼저 최초 전기자동차 화재시 물로 진압 후 질식소화포로 차량을 덮어 추가 확산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 내부 온도가 수조장치 설치가 가능한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진 걸 확인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미리 성형되거나 현장에서 해당 형태를 가지게 만든 제1튜브구조체(1)를 전기자동차 주위를 감싸도록 수평이동시켜 위치시키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제2튜브구조체(2)를 전기자동차 주위를 감싼 제1튜브구조체(1)의 개방된 일측단에 위치시켜 전기자동차 주위를 완전히 감싸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를 구성하는 제1바닥방수부(12)와 제2바닥방수부(22)를 제1바닥지지부(13)와 제2바닥방수부(22)를 이용해 펼쳐 전기자동차 바닥 주변 바닥에 근접시키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제1튜브(11)와 제2튜브(21)의 주입구를 통해 유체(물 또는 공기)를 주입시켜 기립시켜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 단계는 화재가 난 환경에 따라 제1튜브(11)와 제2튜브(21)에 공기만 주입하거나 물만 주입하는 단계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공기를 먼저 주입하여 형태를 갖춘 후 추가적으로 물을 주입하여 담수된 물의 수압을 확실히 지지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마다 유체를 각각 주입하여 공급 하거나, 또 다른 방법으로 제1튜브구조체(1)를 3개의 단위 제1튜브로 'ㄷ'자 또는 'U'자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 하였을 경우는 연결구로 이웃하는 단위 제1튜브간을 연결한 후 어느 하나의 단위 제1튜브 주입구 한 곳에만 하나의 에어블로워 또는 펌프 만을 연결하여 유체를 주입하여 순차적으로 유체가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방수마감체(3)로 제1튜브(11)와 제2튜브(21) 및 제1바닥지지부(13)와 제2바닥방수부(22) 간을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으로 접착시켜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간의 모서리부를 체결하면서 수밀작업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때 방수마감체(3)는 최소한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간의 모서리부 2곳만 설치하면 되지만, 추가적으로 제1튜브구조체(1)의 나머지 모서리부에도 보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선택적으로 부착수단(4)으로 상기 제1튜브(11)와 제2튜브(21)에 형성된 고리 간을 로프 등으로 관통하여 체결하는 단계를 가질 수 있다.
이후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에 수위가 70 ~ 100cm 정도가 되도록 물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완전히 침수시켜 일정 시간동안 냉각을 통해 안정화 시키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배터리의 안정화가 종료되면 제1튜브(11)와 제2튜브(21)의 배수구를 통해 유체를 배출시킨 후 접어서 차량 등에 적재시키면 단계를 가진다.
(제 2 실시예)
먼저 최초 전기자동차 화재시 물로 진압 후 질식소화포로 차량을 덮어 추가 확산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 내부 온도가 수조장치 설치가 가능한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진 걸 확인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미리 성형되거나 현장에서 해당 형태를 가지게 만든 제1튜브구조체(1)과 제2튜브구조체(2)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립시켜 벽체를 완성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때 각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마다 공기를 각각 주입하여 공급 하거나, 또 다른 방법으로 제1튜브구조체(1)를 3개의 단위 제1튜브로 'ㄷ'자 또는 'U'자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 하였을 경우는 연결구로 이웃하는 단위 제1튜브간을 연결한 후 어느 하나의 단위 제1튜브 주입구 한 곳에만 하나의 에어블로워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순차적으로 유체가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공기가 주입된 제1튜브구조체(1)를 전기자동차 주위를 감싸도록 수평이동시켜 위치시키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제2튜브구조체(2)를 전기자동차 주위를 감싼 제1튜브구조체(1)의 개방된 일측단에 위치시켜 전기자동차 주위를 완전히 감싸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를 구성하는 제1바닥방수부(12)와 제2바닥방수부(22)를 제1바닥지지부(13)와 제2바닥방수부(22)를 이용해 펼쳐 전기자동차 바닥 주변 바닥에 근접시키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방수마감체(3)로 제1튜브(11)와 제2튜브(21) 및 제1바닥지지부(13)와 제2바닥방수부(22) 간을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으로 접착시켜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간의 모서리부를 체결하면서 수밀작업하는 단계를 가진다.
이때 방수마감체(3)는 최소한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간의 모서리부 2곳만 설치하면 되지만, 추가적으로 제1튜브구조체(1)의 나머지 모서리부에도 보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선택적으로 공기가 주입된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에 추가적으로 물을 주입시키는 단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 마다 물을 각각 주입하여 공급 하거나, 또 다른 방법으로 제1튜브구조체(1)를 3개의 단위 제1튜브로 'ㄷ'자 또는 'U'자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 하였을 경우는 연결구로 이웃하는 단위 제1튜브간을 연결한 후 어느 하나의 단위 제1튜브 주입구 한 곳에만 하나의 펌프만을 연결하여 물을 주입하여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선택적으로 부착수단(4)으로 상기 제1튜브(11)와 제2튜브(21)에 형성된 고리 간을 로프 등으로 관통하여 체결하는 단계를 가질 수 있다.
이후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가 제공하는 내부 공간에 수위가 70 ~ 100cm 정도가 되도록 물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완전히 침수시켜 일정 시간동안 냉각을 통해 안정화 시키는 단계를 가진다.
이후 배터리의 안정화가 종료되면 제1튜브(11)와 제2튜브(21)의 배수구를 통해 유체를 배출시킨 후 접어서 차량 등에 적재시키면 단계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제1튜브구조체 (2) : 제2튜브구조체
(3) : 방수마감체 (4) : 결속수단
(5) : 전기자동차 (11) : 제1튜브
(12) : 제1바닥방수부 (13) : 제1바닥지지부
(21) : 제2튜브 (22) : 제2바닥방수부
(23) : 제2바닥지지부 (31) : 부착수단
(41) : 고리 (42) : 로프
(51) : 배터리 (111) : 주입구
(112) : 배수구 (113) : 연결구
(211) : 주입구 (212) : 배수구

Claims (8)

  1. 화재발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침수시켜 냉각을 통해 안정화시키는 수조장치에 있어서,
    전기자동차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수평 이동을 통해 설치되는 제1튜브구조체(1)와;
    전기자동차 둘레로 수평 이동된 제1튜브구조체의 개방된 일측단을 막는 제2튜브구조체(2)와;
    상기 제1튜브구조체와 제2튜브구조체가 접하는 모서리 부위를 체결하여 수밀시키는 방수마감체(3)를 포함하여, 전기자동차의 리프팅 또는 인양 과정 없이 화재가 난 장소에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신속하게 냉각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구조체(1)는 전기자동차의 둘레 3면을 감싸게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 충전을 통해 벽체 역할을 하는 제1튜브(11)와; 상기 제1튜브 하단에서 내측방향으로 펼쳐져 누수를 방지하는 제1바닥방수부(12)와; 상기 제1바닥방수부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의 제1바닥방수부(12)를 유지시키는 제1바닥지지부(13)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튜브구조체(2)는 내부에 유체 충전을 통해 벽체 역할을 하는 제2튜브(21)와; 상기 제2튜브 하단에서 내측방향으로 펼쳐져 누수를 방지하는 제2바닥방수부(22)와; 상기 제2바닥방수부의 끝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바닥지지부(23)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11)는 전기자동차 주변을 감싸도록 'ㄷ'자 또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1튜브(11)는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3개의 단위 제1튜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지지부(13) 또는 제2바닥지지부(23)는 무게를 가지는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사출물 또는 분절된 복수개의 사출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마감체(3)는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가 접하는 모서리 부위에 각각 부착수단(31)에 의해 부착되거나, 또는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가 접하는 부위 그리고 상기 제1튜브구조체(1)를 구성하는 모서리 부위에 각각 부착수단(31)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는 각각 적어도 1개의 주입구와 배수구가 형성되어 개별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고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구조체(1)를 3개의 제1단위튜브로 구성하고 각 제1단위튜브 마다 2개의 주입구를 형성해 이웃하는 제1단위튜브의 주입구 간을 연결구(113)로 연결하고 나머지 1개의 주입구에서 유체를 공급하여 순차적으로 충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구조체(1)와 제2튜브구조체(2)에 고리(41)를 형성하여 로프(42)로 고리를 관통하도록 구성된 결속수단(4)을 더 포함하여 서로 간을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KR1020220120608A 2022-09-23 2022-09-23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KR20240041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608A KR20240041512A (ko) 2022-09-23 2022-09-23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608A KR20240041512A (ko) 2022-09-23 2022-09-23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512A true KR20240041512A (ko) 2024-04-01

Family

ID=9066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608A KR20240041512A (ko) 2022-09-23 2022-09-23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51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405B1 (ko) 2021-04-14 2021-12-14 이온어스(주)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KR102376222B1 (ko) 2021-06-09 2022-03-1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KR102409287B1 (ko) 2021-11-19 2022-06-15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431474B1 (ko) 2022-06-17 2022-08-1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405B1 (ko) 2021-04-14 2021-12-14 이온어스(주)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KR102376222B1 (ko) 2021-06-09 2022-03-1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KR102409287B1 (ko) 2021-11-19 2022-06-15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431474B1 (ko) 2022-06-17 2022-08-11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222B1 (ko)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KR102431474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진압 수조
KR102503331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KR102409287B1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US7213494B2 (en) Blast protection structures
RU2419562C2 (ru) Взрывозащищенная и экологичная заправочная станция для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газа)
KR102431466B1 (ko) 전기자동차 화재시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안정화방법
CA2541966A1 (en) Fire-retarding device on storage tanks
JP2007529710A (ja) 衝風緩和装置及び衝風緩和構造
US20220134154A1 (en)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and / or preventing the taking or resumption of an electric vehicle fire, associated operating method comprising a step of first lifting the vehicle off the ground
KR20240041512A (ko) 전기자동차 화재시 재발화 방지를 위한 신속 설치형 수조장치
KR102626312B1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598807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진압용 침수장치
KR101307374B1 (ko) 폭발물용 방폭 튜브
KR102614637B1 (ko) 자동차의 화재 진압용 모듈형 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난차량
CN110949893B (zh) 用于地上油库的应急***及地上油库
RU2359723C2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 вертикальных резервуарах
KR102539154B1 (ko) 질식소화포를 상단에 구비한 튜브형 전기차 화재진압장치
KR102514985B1 (ko)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US20170130580A1 (en) Telescopic mine roof support
KR102670457B1 (ko) 튜브형 수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장 소화방재 시스템
KR102516605B1 (ko)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절첩식 배터리 침수조
KR102567278B1 (ko) 전기 자동차용 이동식 소화 주차장
KR101136433B1 (ko) 자동 팽창식 안정화 오일 펜스 구조물
RU2424967C1 (ru) Мягкий полимерный резервуар для воды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