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390A -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390A
KR20240041390A KR1020220119935A KR20220119935A KR20240041390A KR 20240041390 A KR20240041390 A KR 20240041390A KR 1020220119935 A KR1020220119935 A KR 1020220119935A KR 20220119935 A KR20220119935 A KR 20220119935A KR 20240041390 A KR20240041390 A KR 20240041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ed vehicle
tilt
impact
rollov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운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선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선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선랩
Priority to KR102022011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390A/ko
Publication of KR2024004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62J45/415Inclination sensors
    • B62J45/4151Inclination sensors for sensing lateral inclination of th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으로서, 이륜차의 충격 발생 여부를 파악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 발생시 상기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하여 전복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Rollover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two-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륜차의 충격 발생 여부를 파악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 발생시 상기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하여 전복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는 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그대로 외부 충격에 노출되므로 자동차 사고 발생 경우보다 탑승자의 상해 정도가 현저히 크게 발생된다.
이러한 이륜차의 전복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이륜차의 전복 사고를 파악하는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륜차의 속도, 충격량, 기울어짐 등을 측정하여 전복 사고를 판단하고 있다.
종래기술들은 이륜차의 속도, 충격량, 기울어짐 등의 다양한 요소를 모두 측정하고 판단하므로 그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전력이 소모되는데, 이러한 기술 구성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교체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이륜차의 전복 사고 판단을 위해 속도, 충격량, 기울어짐 등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연산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 처리 용량이 요구되고 또한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에 시간이 소요되어 전복 사고 발생시 응급 상황 전파가 지체되는 문제가 된다.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064145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824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륜차의 전복 사고 여부를 장치의 저전력 운영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종래 기술의 경우, 이륜차의 속도, 충격량, 기울어짐 등의 다양한 요소를 모두 측정하고 판단하므로 그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전력이 소모되어 수시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교체해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이륜차의 전복 사고 판단을 위해 속도, 충격량, 기울어짐 등의 다양한 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연산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 처리 용량이 요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아울러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에 시간이 소요되어 전복 사고 발생시 응급 상황 전파가 지체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의 일실시예는, 전복 감지 장치가, 이륜차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판단 단계; 상기 전복 감지 장치가, 상기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여 충격 발생을 판단하는 충격 판단 단계; 상기 전복 감지 장치가, 충격 임계값 이상의 충격 발생시 상기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어짐 측정 단계; 및 상기 전복 감지 장치가, 기울기 임계값 이상의 기울어짐 발생시 전복 사고로 판단하는 전복 사고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 판단 단계는, 상기 이륜차의 사용 중인 상태에서 충격 감지 수단이 상기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실시간 감지하며, 상기 기울어짐 측정 단계는, 상기 충격 감지 수단이 제1 충격 임계값 이상의 충격 발생시 인터럽트 신호를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신호 전달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기울기 측정 센서로 측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가 상기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고 기울어짐 측정치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울어짐 측정치 전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복 사고 판단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가 기울어짐 측정치를 제1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하여 제1 기울기 임계값 이상의 기울어짐 발생시 전복 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기울어짐 측정치 전달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이륜차 상의 복수의 위치에 장착된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로 측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복수의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 각각으로부터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를 전달받으며, 상기 전복 사고 판단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가,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를 상호 대비 및 제1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하여 상기 이륜차의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충격량과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을 기초로 전복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전복 사고 상황을 기초로 응급 레벨을 판단하고, 응급 레벨에 따라 응급 조치 지원부가 사전에 설정된 레벨별 응급 조치를 수행하는 응급 조치 수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주행 판단 단계는, 상기 이륜차의 사용 중 상태와 주차 상태를 구분 판단하여, 주차 상태의 경우 대기 모드로 판단하는 대기 모드 판단 단계; 및 대기 모드 판단에 따라 전원 공급부가 충격 감지 수단의 전원 공급은 유지하면서 상기 전복 감지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수면 상태로 전환하는 수면 상태 전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충격 감지 수단이, 상기 이륜차에 대한 충격 감지시 충격량이 제2 충격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충격 감지 단계; 상기 충격 감지 수단의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부가 웨이크 업(wake up)되어 상기 전복 감지 장치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활성화 전환 단계; 상기 중앙 제어부가, 기울기 측정 센서를 제어하여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어짐 판단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부가, 제2 기울기 임계값 이상의 기울어짐 발생시 전복 사고로 판단하는 전복 사고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의 일실시예는,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고, 설정된 충격 임계값 이상의 충격 발생시 인터럽트 신호를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충격 감지 수단;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여 기울어짐 측정치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울기 측정 센서;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를 제어하여 기울어짐 측정치를 전달받고, 기울어짐 측정치가 설정된 기울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전복 사고로 판단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충격 감지 수단에 상시 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중앙 제어부 및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 감지 수단은, 상기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는 충격 감지 센서; 및 충격량을 설정된 충격 임계값과 대비하여 충격량이 충격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신호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는, 상기 이륜차 상의 복수의 위치에 복수개가 장착되어 각 위치별 기울어짐을 측정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를 상호 대비 및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하여 상기 이륜차의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충격량과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을 기초로 전복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전복 사고 상황을 기초로 응급 레벨을 판단하며, 상기 응급 레벨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레벨별 응급 조치를 지원하는 응급 조치 지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응급 조치 지원부는, 상기 응급 레벨에 따라 음향을 방출하는 음향 방출부; 상기 응급 레벨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부; 및 상기 응급 레벨에 따라 응급 정보를 응급 기관의 서버 또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복 감지 장치를 저전력으로 운영하면서 이륜차의 전복 사고 여부를 빠른 시간 내에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량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1단계와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량 발생시에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여 전복 여부를 판단하는 2단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순차적인 조건 판단 과정 수행을 통해 중앙 제어부의 리소스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을 통해 이륜차를 사용 중이지 않은 주차된 상태에서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따른 전복 상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수면 모드 상황에서는 최소한의 전력 소모를 통해 충격 여부만을 감지하고 일정 수준의 충격 발생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어 전복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이륜차의 전복 여부에 대한 항시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주행시 회전 구동을 통해 전기 생산이 가능한 이륜차일지라도 정차 또는 주차 등으로 인해 전기 생산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전기 구동 이륜차와 같이 전기 생산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등 지속적인 전기 소모가 이륜차 운용에 부담이 되는 상황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전복 감시 장치의 저전력 운용을 통해 이륜차의 전복 감지가 항시 가능하게 된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는 이륜차의 전복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응급 상황별로 응급 조치를 수행함으로써 탑승자의 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의 일실시예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에서 충격 감지 수단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를 통해 전복 상황을 감지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에서 수면 상태 중 전복 상황을 감지하는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륜차에 센서가 배치된 일례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이륜차의 전복시 본 발명에 따른 각 측정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륜차의 충격 발생 여부를 파악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 발생시 상기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하여 전복 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의 일실시예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100)는 충격 감지 수단(110), 기울기 측정 센서(130), 중앙 제어부(MCU)(150),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응급 조치 지원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100)의 각 구성은 하나의 통합된 장치로 이륜차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각 구성이 분리되어 이륜차 상의 적절한 위치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충격 감지 수단(110)은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고 설정된 충격 임계값 이상의 충격 발생시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중앙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충격 감시 수단(110)과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에서 충격 감지 수단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충격 감지 수단(110)은 충격 감지 센서(211)와 인터럽트 신호 제공부(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111)는 이륜차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111)로는 기존 공지된 다양한 감지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인터럽트 신호 제공부(215)는 충격 감지 센서(111)가 측정한 충격량이 충격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중앙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이륜차에 가해진 외부 충격 정도를 판단하는 충격 임계값은 사전에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륜차가 운행 중인 상태에서 충격 판단 기준이 되는 제1 충격 임계값과 이륜차가 주차된 상태에서 충격 판단 기준이 되는 제2 충격 임계값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령, 이륜차가 운행 중인 상태에서는 일정 수준의 충격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므로, 상대적으로 제1 충격 임계값은 높게 설정될 수 있고, 이륜차가 주차된 상태에서는 일정 수준 이하로만 충격이 발생되므로 상대적으로 제2 충격 임계값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충격 감지 수단(110)은 이륜차가 운행 중인 상태 및 주차된 상태에서 상시로 외부 충격을 감지하므로 전원 공급부(190)는 충격 감지 수단(110)으로 항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기울기 측정 센서(130)는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130)로는 기존 공지된 다양한 감지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울기 측정 센서(130)는 중앙 제어부(150)로부터 측정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고 기울어짐 측정치를 중앙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50)는 각 구성을 제어하여 이륜차의 전복 사고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제어부(150)는 충격 감지 수단(110)으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전달되면, 기울기 측정 센서(130)로 측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기울기 측정 센서(130)를 통해 이륜차의 기울어짐 측정치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150)는 기울어짐 측정치가 기울기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여 이륜차의 전복 사고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륜차의 전복 여부를 판단하는 기울어짐 임계값은 사전에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륜차가 운행 중인 상태에서 전복 여부 판단 기준이 되는 제1 기울기 임계값과 이륜차가 주차된 상태에서 전복 여부 판단 기준이 되는 제2 기울기 임계값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이륜차가 운행 중인 상태에서는 이륜차의 회전시 일정 수준 이상으로 기울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1 기울기 임계값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고, 이륜차가 주차된 상태에서는 일정 수준 초과하여 기울어질 수 없으므로 제2 기울기 임계값은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서 중앙 제어부(150)는 이륜차의 전복 사고 발생시 응급 조치 지원부(170)로 응급 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응급 조치 지원부(170)는 중앙 제어부(150)로부터의 응급 조치 요청에 따라 설정된 응급 기관의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가령, 응급 조치 지원부(170)는 GPS 등을 보유하여 이륜차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위치 정보와 함께 전복 사고 정보를 응급 기관의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충격 감지 수단(110)으로 항시 전원을 공급하면서 다른 구성들에 대해서는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원 공급부(190)는 중앙 제어부(150)의 측정 제어 신호에 따라 기울기 측정 센서(130)로 전원을 공급하여 기울기 측정 센서(130)가 기울기 센싱을 수행할 있다.
또는 이륜차가 주차된 상태로서 대기 모드의 경우, 전원 공급부(190)는 충격 감지 수단(110) 이외의 다른 구성들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충격 감지 수단(110)의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해당 구성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를 통해 이륜차의 전복 사고를 감지할 수 있는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를 통해 전복 상황을 감지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이륜차(10)에 충격 임계값 이상의 충격 발생시 기울기 측정 센서(130)는 이륜차(10)에 대한 기울어짐을 측정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50)는 기울어짐 측정치를 기초로 이륜차(10)의 전복 여부를 판단하는데, 가령, 이륜차(1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기울어짐 측정치 A1이 기울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중앙 제어부(150)는 이륜차(10a)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만약 이륜차(1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기준으로 기울어짐 측정치 A2가 기울기 임계값 이상으로 큰 경우, 중앙 제어부(150)는 이륜차(10b)를 전복 상황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를 통해 이륜차 전복을 감지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전복 감지 장치(100)는 이륜차가 주차된 상태에서는 대기 모드(S110)를 유지하면서 이륜차의 주행 여부를 판단(S120)할 수 있다. 이륜차의 주행 여부는 시동, 속도, 사용자에 의한 모드 전환 등 다양한 방식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수단(110)은 이륜차가 사용 중인 상태에서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실시간 감지(S130)하면서 충격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충격 감지 수단(110)은 충격량과 충격 임계값을 대비(S140)하여 이륜차에 가해진 충격량이 충격 임계값 이상이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S150)시켜 중앙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평상시 전복 감지 장치(100)는 충격 감지 수단(110)만이 동작함으로써 전복 감지 장치(100)가 저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격 감지 수단(110)은 이륜차가 주행 중인 상태에서는 충격량을 제1 충격 임계값과 대비하는데, 여기서 제1 충격 임계값은 이륜차가 주차된 상태에서 충격 판단 기준이 되는 제2 충격 임계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충격 감지 수단(110)으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전달되면, 중앙 제어부(150)는 기울기 측정 센서(130)에 측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기울기 측정 센서(130)의 센싱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50)로부터 측정 제어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기울기 측정 센서(130)는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S160)하고, 기울어짐 측정치를 중앙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50)는 기울어짐 측정치를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S170)하여 기울어짐 측정치가 기울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이륜차의 주행 중 발생되는 일반적인 기울기 범위로서 정상 상태로 판단(S180)할 수 있다. 만약 기울어짐 측정치가 기울기 임계값 이상으로 큰 경우, 이륜차의 전복 상황으로 판단(S190)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격 감지 수단(110)은 이륜차가 주행 중인 상태에서는 기울어짐 측정치를 제1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하는데, 여기서 제1 기울기 임계값은 이륜차가 주차된 상태에서 기울어짐 판단 기준이 되는 제2 기울기 임계값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륜차의 전복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응급 조치 지원부(170)는 응급 기관의 서버나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 등으로 전복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감지하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량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1단계와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량 발생시에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여 전복 여부를 판단하는 2단계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순차적인 조건 판단 과정 수행을 통해 중앙 제어부의 리소스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는 대기 모드에서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를 보다 저전력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에서 수면 상태 중 전복 상황을 감지하는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전복 감지 장치(100)는 이륜차의 사용 중 상태와 주차 상태를 구분하여 판단하며, 주차 상태인 경우를 대기 모드로 판단(S210)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전복 감지 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90)는 충격 감지 수단(110)에만 전원 공급을 유지하면서 충격 감지 수단(110) 이외의 전복 감지 장치(100)에 구비된 다른 구성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S220)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차단에 따라 전복 감지 장치(100)는 수면 상태(Sleep)로 전환(S230)할 수 있다. 전복 감지 장치(100)의 수면 상태에서 충격 감지 수단(110)은 지속적으로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S240)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수단(110)은 실시간 충격을 감지하면서 충격 감지시 충격량과 제2 충격 임계값을 대비(S245)하여 충격량이 제2 충격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이륜차에 무리가 가지 않는 일시적인 충격으로써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수면 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만약 충격량이 제2 충격 임계값 이상으로 큰 경우, 충격 감지 수단(110)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S250)시키고 이를 중앙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수단(110)으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는 중앙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중앙 제어부(150)가 웨이크 업(Wake up) 전환(S255)됨으로써 전복 감지 장치(100)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50)는 기울기 측정 센서(130)에 측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기울기 측정 센서(130)의 센싱 동작을 제어하며, 기울기 측정 센서(130)가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S260)하고 이를 중앙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150)는 기울어짐 측정치를 제2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S2650)하여 기울어짐 측정치가 제2 기울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이륜차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의 기울어짐으로 정상 상태로 판단(S270)할 수 있다.
만약, 기울어짐 측정치가 제2 기울기 임계값 이상으로 큰 경우, 중앙 제어부(150)는 이륜차의 전복 상황으로 판단(S280)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륜차가 주차된 수면 상태에서 전복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응급 조치 지원부(170)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복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 이륜차를 사용 중이지 않은 주차된 상태에서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따른 전복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수면 모드 상황에서는 최소한의 전력 소모를 통해 충격 여부만을 감지하고 일정 수준의 충격 발생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어 전복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저전력으로 이륜차의 전복 여부에 대한 항시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주행시 회전 구동을 통해 전기 생산이 가능한 이륜차일지라도 정차 또는 주차 등으로 인해 전기 생산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전기 구동 이륜차와 같이 전기 생산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등 지속적인 전기 소모가 이륜차 운용에 부담이 되는 상황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전복 감시 장치의 저전력 운용을 통해 이륜차의 전복 감지가 항시 가능하게 된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는 이륜차의 전복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응급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그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거나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충격 감지 수단(210)은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고 설정된 충격 임계값 이상의 충격 발생시 인터럽트 신호를 중앙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는 이륜차 상의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는 이륜차의 위치별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이륜차의 탑승자를 감지하는 탑승 감지 센서(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륜차에 센서가 배치된 일례를 도시한다.
이륜차(10)의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에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가 배치될 수 있으며, 기울기 측정 센서의 배치 위치와 배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륜차(10)의 안장에는 탑승 감지 센서(240)가 배치될 수 있다. 탑승 감지 센서(240)는 압력 감지 센서를 적용하여 안장에 가해지는 압력 정도로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50)는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를 제어하여 이륜차의 기울어짐을 측정하고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이륜차의 전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250)는 탑승 감지 센서(240)를 통해 이륜차의 탑승자를 감지하고 탑승자의 이탈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서 중앙 제어부(250)는 복수개의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를 통해 이륜차의 각 위치별 기울어짐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를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하여 이륜차의 전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250)는 충격 발생시부터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가 지속적으로 각 위치별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시간에 따른 각 위치별 기울어짐 정도의 변화와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 간의 차이 정도를 산출하여 이륜차의 기울어짐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50)는 이륜차에 가해진 충격량, 탑승자의 이탈 여부, 시간 경과에 따른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 등을 종합하여 이륜차의 전복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제어부(250)는 이륜차의 전복 사고 상황을 기초로 응급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응급 조치 지원부(270)는 전복 사고 상황별 응급 레벨과 각 응급 레벨별 응급 조치 사항이 설정되어 있으며, 중앙 제어부(250)는 응급 조치 지원부(270)에 설정된 전복 사고 상황별 응급 레벨을 기초로 이륜차의 전복 사고 상황에 대한 응급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응급 조치 지원부(270)는 중앙 제어부(250)에서 판단된 응급 레벨에 따라 해당 응급 조치 사항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응급 조치 지원부(270)는 음향 방출부, 광 방출부, 통신부, 응급 조치 설정부, 사용자 조작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응급 조치 설정부(270)는 응급 레벨별로 음향 방출부, 광 방출부, 통신부 등을 제어하는 응급 조치 사항을 보유하고, 해당 응급 레벨에 대응되는 응급 조치 사항을 기초로 음향 방출부, 광 방출부, 통신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응급 조치 설정부에는 응급 레벨별로 음향 방출부의 방출 음향의 크기, 방출 음향 종류 등의 응급 조치 사항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응급 조치 설정부에는 응급 레벨별로 광 방출부의 광 방출 세기, 광 색상, 점멸 여부 등의 응급 조치 사항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응급 조치 설정부에는 응급 레벨별로 대응 기관 서버 주소, 사용자 단말 주소 또는 전화 번호 등과 응급 레벨별로 대응 기관 서버, 사용자 단말 등으로 전송하는 응급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전복 감지 장치(200)의 각 구성으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전복 감지 장치(200)를 통해 이륜차의 전복 사고 상황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응급 레벨별 응급 조치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전복 감지 장치(200)는 이륜차가 주차된 상태에서는 대기 모드(S310)를 유지하면서 이륜차의 주행 여부를 판단(S120)하고, 이륜차가 주행을 시작(S320)하면 충격 감지 수단(210)은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실시간 감지(S330)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수단(210)은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충격 임계값과 대비(S340)하여 충격량이 충격 임계값 이상이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S350)시켜 중앙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 임계값은 앞서 설명한 제1 충격 임계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50)는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받으면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를 제어하여 각 위치별 기울기를 측정(S410)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50)는 복수의 기울어짐 측정치를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S420)하여 복수의 기울어짐 측정치 모두가 기울기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이륜차를 정상 상태로 판단(S430)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기울어짐 측정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기울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중앙 제어부(250)는 지속적으로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를 제어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각 위치별 기울기를 지속적으로 측정(S440)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 임계값은 앞서 설명한 제1 기울기 임계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50)는 시간에 따른 각 위치별 기울어짐 정도의 변화와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 간을 대비하여 차이 정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이륜차의 기울어짐 상황을 판단(S450)할 수 있다.
아울러 중앙 제어부(250)는 시간 경과에 따라 이륜차에 가해진 충격량, 탑승자의 이탈 여부, 시간 경과에 따른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 등을 종합하여 이륜차의 전복 사고 상황을 추론하여 판단(S460)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50)가 이륜차의 전복 사고 상황을 판단하는 일례로서, 도 9는 이륜차의 전복시 본 발명에 따른 각 측정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다.
상기 도 9의 (a)는 충격 임계값 이상의 최초 충격 발생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를 나타내고, 상기 도 9의 (b)는 이륜차의 충격량과 안장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다.
이륜차의 충격량 S을 항시 감지하면서 이륜차에 충격 임계값 ST 이상의 충격이 발생하면, 각 위치별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데, 상기 도 9의 (a)에서 기울어짐 측정치 L1은 이륜차의 앞쪽 부분에 대한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내고, 기울어짐 측정치 L2는 이륜차의 뒤쪽 부분에 대한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낸다.
시간 t1 시점에서 측정된 충격량 S가 충격 임계값 ST를 초과하므로, 중앙 제어부(250)는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를 제어하여 이륜차의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에 대한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한다.
시간 t1 시점에서 이륜차의 뒤쪽 부분에 대한 기울어짐 측정치 L2는 기울기 임계값 LT 미만이지만, 이륜차의 앞쪽 부분에 대한 기울어짐 측정치 L1은 기울기 임계값 LT를 초과하므로, 중앙 제어부(250)는 기울기 측정 센서(230a, 230b)를 제어하여 이륜차의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에 대한 기울어진 정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시간 t2 시점에서 2차 충격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이륜차의 앞쪽 부분에 대한 기울어짐 측정치 L1은 급격히 상승하여 시간 t3 시점에 기울어짐 측정치 L1은 90도에 도달하여 이륜차의 앞쪽 부분이 지면에 닿게 된다. 또한 이륜차의 뒤쪽 부분에 대한 기울어짐 측정치 L2도 시간 t2 시점부터 보다 급격히 상승하여 시간 t4 시점에 기울어짐 측정치 L2는 90도에 도달하여 이륜차의 뒤쪽 부분이 지면에 닿게 된다.
이러한 시간에 따른 각 위치별 기울어짐 정도와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 간의 차이 정도를 고려하면, 이륜차의 앞쪽 부위에서 시간 t1 시점에 1차 충격이 발생되고 시간 t2 시점에 보다 큰 2차 충격이 발생되어 이륜차가 앞쪽부터 전복된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충격량과 시간 경과에 따른 기울어짐 정도의 변화를 기초로 얼마나 큰 전복 사고인지를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안장 압력 P는 최초 충격이 발생된 시간 t1 시점부터 2차 충격이 발생된 시간 t2 시점까지 완만히 하강하다가 2차 충격이 발생된 시간 t2 시점에서 급격히 하락하여 0인 지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시간 t2 시점에 탑승자가 이륜차로부터 이탈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앙 제어부(250)는 시간에 따른 각 위치별 기울어짐 정도의 변화와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 간의 차이 정도를 통해 이륜차의 기울어짐 상황을 추론하여 판단할 수 있고, 아울러 시간 경과에 따라 이륜차에 가해진 충격량과 탑승자의 이탈 시점 등을 추론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추론 결과를 토대로 중앙 제어부(250)는 이륜차의 전복 사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250)는 파악된 전복 사고 상황을 응급 조치 지원부(270)에 보유된 전복 사고 상황별 응급 레벨에 대응시켜 응급 레벨을 판단(S470)할 수 있다.
일례로서, 이륜차가 어느 부위부터 전복되었는지, 충격량은 어느 정도인지, 시간 경과에 따른 각 위치별 기울어짐 정도의 변화가 얼마나 급격하게 나타나는지,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 간의 차이 정도가 얼마나 크게 나타나는지를 레벨별로 분류하여 응급 레벨이 설정될 수 있으며, 중앙 제어부(250)는 파악된 전복 사고 상황을 분류된 전복 상황에 대응시켜 응급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중앙 제어부(250)는 판단된 응급 레벨을 응급 조치 지원부(270)로 전달하며, 응급 조치 지원부(270)는 해당 응급 레벨에 대응되는 응급 레벨별 응급 조치를 수행(S480)할 수 있다.
가령, 응급 레벨이 상, 중, 하로 분류되어 설정되고, 응급 레벨 상의 경우, 응급 조치로서 응급 조치 지원부(270)는 광의 색상을 변경하면서 가장 세게 방출하고, 사이렌의 음향 신호를 가장 크게 방출하며, 응급 기관의 서버와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위치 정보와 전복 사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응급 레벨 하의 경우, 응급 조치로서 응급 조치 지원부(270)는 탑승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안내 음성을 방출하고, 일정 시간 내에 탑승자가 사용자 조작부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면 응급 조치 수행을 종료하지만, 만약 일정 시간 내에 탑승자가 사용자 조작부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응급 레벨을 상향 조정하여 그에 따른 응급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응급 조치 지원부(270)가 수행하는 응급 레벨별 응급 조치는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륜차의 전복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응급 상황별로 응급 조치를 수행함으로써 탑승자의 피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이륜차,
100, 200 : 전복 감지 장치,
110, 210 : 충격 감지 수단,
111 : 충격 감지 센서,
115 : 인터럽트 신호 제공부,
130, 230a, 230b : 기울기 측정 센서,
150, 250 : 중앙 제어부,
170, 270 : 응급 조치 지원부,
190, 290 : 전원 공급부,
240 : 탑승 감지 센서.

Claims (12)

  1. 전복 감지 장치가, 이륜차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는 주행 판단 단계;
    상기 전복 감지 장치가, 상기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여 충격 발생을 판단하는 충격 판단 단계;
    상기 전복 감지 장치가, 충격 임계값 이상의 충격 발생시 상기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어짐 측정 단계; 및
    상기 전복 감지 장치가, 기울기 임계값 이상의 기울어짐 발생시 전복 사고로 판단하는 전복 사고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판단 단계는,
    상기 이륜차의 사용 중인 상태에서 충격 감지 수단이 상기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실시간 감지하며,
    상기 기울어짐 측정 단계는,
    상기 충격 감지 수단이 제1 충격 임계값 이상의 충격 발생시 인터럽트 신호를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신호 전달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기울기 측정 센서로 측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가 상기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고 기울어짐 측정치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울어짐 측정치 전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복 사고 판단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가 기울어짐 측정치를 제1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하여 제1 기울기 임계값 이상의 기울어짐 발생시 전복 사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짐 측정치 전달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이륜차 상의 복수의 위치에 장착된 복수의 기울기 측정 센서로 측정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복수의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 각각으로부터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를 전달받으며,
    상기 전복 사고 판단 단계는,
    상기 중앙 제어부가,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를 상호 대비 및 제1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하여 상기 이륜차의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충격량과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을 기초로 전복 사고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가 상기 전복 사고 상황을 기초로 응급 레벨을 판단하고, 응급 레벨에 따라 응급 조치 지원부가 사전에 설정된 레벨별 응급 조치를 수행하는 응급 조치 수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판단 단계는,
    상기 이륜차의 사용 중 상태와 주차 상태를 구분 판단하여, 주차 상태의 경우 대기 모드로 판단하는 대기 모드 판단 단계; 및
    대기 모드 판단에 따라 전원 공급부가 충격 감지 수단의 전원 공급은 유지하면서 상기 전복 감지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수면 상태로 전환하는 수면 상태 전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면 상태에서,
    상기 충격 감지 수단이, 상기 이륜차에 대한 충격 감지시 충격량이 제2 충격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충격 감지 단계;
    상기 충격 감지 수단의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상기 중앙 제어부가 웨이크 업(wake up)되어 상기 전복 감지 장치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활성화 전환 단계;
    상기 중앙 제어부가, 기울기 측정 센서를 제어하여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어짐 판단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부가, 제2 기울기 임계값 이상의 기울어짐 발생시 전복 사고로 판단하는 전복 사고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방법.
  8.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고, 설정된 충격 임계값 이상의 충격 발생시 인터럽트 신호를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충격 감지 수단;
    상기 중앙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이륜차의 기울어짐 정도를 측정하여 기울어짐 측정치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울기 측정 센서;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를 제어하여 기울어짐 측정치를 전달받고, 기울어짐 측정치가 설정된 기울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전복 사고로 판단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충격 감지 수단에 상시 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중앙 제어부 및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감지 수단은,
    상기 이륜차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측정하는 충격 감지 센서; 및
    충격량을 설정된 충격 임계값과 대비하여 충격량이 충격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터럽트 신호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측정 센서는,
    상기 이륜차 상의 복수의 위치에 복수개가 장착되어 각 위치별 기울어짐을 측정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각 위치별 기울어짐 측정치를 상호 대비 및 기울기 임계값과 대비하여 상기 이륜차의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충격량과 각 위치별 기울어짐 상황을 기초로 전복 사고 상황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전복 사고 상황을 기초로 응급 레벨을 판단하며,
    상기 응급 레벨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레벨별 응급 조치를 지원하는 응급 조치 지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조치 지원부는,
    상기 응급 레벨에 따라 음향을 방출하는 음향 방출부;
    상기 응급 레벨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부; 및
    상기 응급 레벨에 따라 응급 정보를 응급 기관의 서버 또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KR1020220119935A 2022-09-22 2022-09-22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240041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935A KR20240041390A (ko) 2022-09-22 2022-09-22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935A KR20240041390A (ko) 2022-09-22 2022-09-22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390A true KR20240041390A (ko) 2024-04-01

Family

ID=9066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935A KR20240041390A (ko) 2022-09-22 2022-09-22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39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45B1 (ko) 2011-02-14 2011-09-15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KR101882478B1 (ko) 2017-03-06 2018-07-30 주식회사 아이오티스퀘어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45B1 (ko) 2011-02-14 2011-09-15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이륜차의 사고감지장치 및 방법
KR101882478B1 (ko) 2017-03-06 2018-07-30 주식회사 아이오티스퀘어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5948B2 (ja) 二輪車の事故自動通報装置
EP2913230B1 (en) Control device for occupant protection device
EP1705466A1 (en) Vehicle occupant discriminating system
JP2007230273A (ja) バッテリ上り防止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4098785A (ja) 車両乗員検知装置
KR20130086965A (ko) 운전 보조 장치
US20200331553A1 (en) Accident determination system, and accident determination method
JPWO2004005087A1 (ja) 車両用盗難防止方法及び装置
JP2002329300A (ja) 車両の走行安全装置
JP5108552B2 (ja) 車両制御装置、及び鞍乗型車両
CN105882409A (zh) 汽车自动熄火的方法及***
KR20240041390A (ko) 이륜차 전복 감지 장치 및 방법
JP6089841B2 (ja) 車載緊急通報装置
JP6699570B2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US67296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occupant safety system based on crash severity
KR20160066412A (ko)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CN109501896A (zh) 一种电动车报警***
CN211107151U (zh) 一种汽车
CN109613378A (zh) 车辆点火检测方法以及装置
CN219651067U (zh) 一种自动回位安全拉手总成及车辆
KR102579859B1 (ko) 차량용 사고 인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286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7290614B2 (ja) 通報システム、通信装置、通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29897A (ja) 自動二輪車用の緊急通報端末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4752645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