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362A - 정착기의 냉각 구조 - Google Patents

정착기의 냉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362A
KR20240036362A KR1020220115107A KR20220115107A KR20240036362A KR 20240036362 A KR20240036362 A KR 20240036362A KR 1020220115107 A KR1020220115107 A KR 1020220115107A KR 20220115107 A KR20220115107 A KR 20220115107A KR 20240036362 A KR20240036362 A KR 20240036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lider
outlet
printing medium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준
노승훈
김영훈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2011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362A/ko
Priority to PCT/US2023/015109 priority patent/WO2024058819A1/en
Publication of KR20240036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1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nd/or cooling areas or units, two step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인쇄 장치는,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부와,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송풍기를 구비한다. 덕트는 송풍기로부터의 냉각풍을 정착기로 안내한다. 덕트는 외측벽, 외측벽에 송풍기와 대향하게 형성된 입구, 및 정착기와 대향하는 출구를 구비한다. 슬라이더는 출구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덕트의 입구로부터 출구로 냉각풍을 안내하기 위하여 유연한 안내 부재가 마련된다.안내 부재의 출구측 단부가 슬라이더의 단부에 연결되며 안내 부재의 입구측 단부가 덕트의 외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Description

정착기의 냉각 구조{cooling structure for fuser}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인쇄 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정착기는 인쇄 매체에 전사된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정착기는 인쇄 매체의 폭보다 큰 정착 영역을 갖는다. 정착 영역의 온도는 소정의 정착 온도로 유지된다. 정착 온도가 높을수록 정착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나, 높은 정착 온도는 정착기와 인쇄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수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은 인쇄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로서, 제1, 제2슬라이더가 제1, 제2덕트의 출구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인쇄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로서, 제1, 제2슬라이더가 제1, 제2덕트의 출구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인쇄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예에서, 제1슬라이더가 제1덕트의 출구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예에서, 제1슬라이더가 제1덕트의 출구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인쇄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부와,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구비한다. 정착기는 인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가장 큰 인쇄 매체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정착 영역을 구비한다. 인쇄 매체의 크기에 따라서, 정착 영역은 통지 영역과 비통지 영역을 구분될 수 있다. 통지 영역은 인쇄 매체가 통과되는 영역이며, 비통지 영역은 인쇄 매체가 통과되지 않는 영역이다. 정착 영역의 온도는 소정의 정착 온도로 유지된다. 비통지 영역은 인쇄 매체로 열을 빼앗기지 않기 때문에 통지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과열될 가능성이 있다. 과열은 정착기의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정착기가 과열되면, 정착기 주변의 인쇄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부정적인 열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통지 영역이 과열되지 않도록 비통지 영역에 냉각풍을 공급할 수 있다. 비통지 영역의 폭은 인쇄 장치에 사용되는 인쇄 매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개시의 인쇄 장치에는 비통지 영역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서 냉각풍이 공급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덕트 구조가 채용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부와,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송풍기를 구비한다. 가변 덕트 구조의 일 예는, 덕트, 슬라이더, 및 유연한 안내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덕트는 송풍기로부터의 냉각풍을 정착기로 안내한다. 덕트는 외측벽, 외측벽에 송풍기와 대향하게 형성된 입구, 및 정착기와 대향하는 출구를 구비한다. 슬라이더는 출구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덕트의 입구로부터 출구로 냉각풍을 안내하기 위하여 유연한 안내 부재가 마련된다. 안내 부재는 슬라이더의 단부로부터 덕트의 입구 쪽으로 연장되어 덕트의 외측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안내 부재의 출구측 단부가 슬라이더의 단부에 연결되며 안내 부재의 입구측 단부가 덕트의 외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출구의 개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가 이동됨에 따라서 안내 부재의 입구측 단부는 덕트의 외측벽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안내 부재가 유연하게 구부러진다. 이에 의하여, 덕트는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며, 송풍기로부터 입구를 통하여 덕트 내부로 유입된 냉각풍이 출구로 자연스럽게, 또 효과적으로 안내되며, 정착기의 비통지 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변 덕트 구조는 피벗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피벗 부재가 슬라이더의 단부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고, 안내 부재는 피벗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안내 부재와 피벗 부재가 함께 덕트를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피벗 부재는 안내 홈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다. 안내 홈은 슬라이더가 출구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로부터 출구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로 이동될 때에 피벗 부재의 슬라이더에 대한 각도가 점차 커지도록 피벗 부재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가 제1위치와 제2위치에 각각 위치된 때에 피벗 부재가 슬라이더에 대한 각도를 각각 제1각도와 제2각도라 할 때에, 제2각도는 제1각도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출구의 개구량의 변화하더라도 송풍기로부터 입구를 통하여 덕트 내부로 유입된 냉각풍이 출구로 자연스럽게, 또 효과적으로 안내되어, 정착기의 비통지 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인쇄 장치는 토너 화상 형성부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은 토너 카트리지와 정착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의 송풍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토너 카트리지는 송풍기의 상류측에, 정착기는 송풍기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정착기의 열이 토너 카트리지에 영향을 덜 미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술한 가변 덕트 구조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쌍을 이루어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슬라이더는 랙-피니언 구동 구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슬라이더, 다시 말하면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에 각각 제1랙 기어부와 제2랙 기어부가 마련되고, 제1랙 기어부와 제2랙 기어부는 피니언과 맞물린다. 모터는 피니언을 회전시킨다. 모터가 회전됨에 따라서 한 쌍의 슬라이더가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동 구조는 작고 제한된 공간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모터로 한 쌍의 슬라이더를 구동할 수 있어 저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부와, 상기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냉각풍을 상기 정착기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송풍기와 대향하게 형성된 입구와 상기 정착기와 대향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덕트와, 상기 출구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덕트를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개구량 조절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부와, 상기 토너 화상 형성부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와, 상기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와, 상기 토너 카트리지와 상기 정착기 사이에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각각 입구와 상기 정착기와 대향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제1, 제2덕트와, 각각 상기 제1, 제2덕트의 상기 입구를 통하여 냉각풍을 공급하는 제1, 제2송풍기와, 각각 상기 제1, 제2덕트의 상기 출구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슬라이딩 가능한 제1, 제2개구량 조절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인쇄 장치의 예들을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인쇄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정착기(1)의 냉각과 관련된 가변 덕트 구조를 상세히 도시하며, 인쇄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는 생략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토너 화상 형성부(2)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 형성부(2)의 예시적인 구조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X, Y, Z는 서로 직교하는 세 방향을 각각 표시한다. 예시적으로, Y 방향은 인쇄 매체(P)의 폭방향이며, Z 방향은 인쇄 매체(P)가 후술하는 정착 닙(N)을 통과하는 방향이며, X 방향은 Y 방향과 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정착기(1)는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정착시킨다. 예를 들어, 정착기(1)는 정착 부재(11)와 백업 부재(12)를 구비한다. 정착 부재(11)와 백업 부재(12)가 서로 맞물려 정착닙(N)을 형성한다. 인쇄 매체(P)는 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정착닙(도 6: N)을 통과한다. 정착닙(N)에서 정착 부재(11)로부터 인쇄 매체(P)로의 열전달이 일어난다.
정착 부재(11)는 예를 들어 정착 롤러일 수 있다. 정착 롤러는 중공 금속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코어의 외주에 분리성 향상을 위한 이형층이 마련될 수 있다. 이형층은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PFA: perfluoroalkoxy),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s), FEP(fluorinated ethylene prophylene) 등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히터는 중공 코어의 내부에 배치되어 정착 롤러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로서, 할로겐 램프가 채용될 수 있다. 백업 부재(12)는 정착 롤러와 대향되는 백업 롤러일 수 있다. 백업 롤러는 내열 탄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정착 롤러와 백업 롤러는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하여 서로 가압되어 정착닙(N)을 형성한다. 인쇄 매체(P)는 토너 화상이 형성된 화상면이 정착 롤러를 향하도록 정착닙(N)에 진입되며, 정착 롤러와 백업 롤러가 회전되면 정착닙(N) 내부의 인쇄 매체(P)가 이송될 수 있다.
정착 부재(11)는 예를 들어 정착 벨트일 수 있다. 정착 벨트는 유연한 베이스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층은 스테인레스 스틸, 니켈, 니켈 동 등의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층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 폴리아미드(polyamide) 필름, 폴리이미드아미드(polyimideamide) 필름 등의 정착 온도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폴리머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층의 백업 부재(12) 쪽 면 또는 양면에 이형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형층은 분리성이 우수한 수지층일 수 있다. 이형층은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PFA: perfluoroalkoxy),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s), FEP(fluorinated ethylene prophylene) 등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교적 넓고 평탄한 정착 닙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층과 이형층 사이에는 탄성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탄성층은 정착 온도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층은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백업 부재(12)는 정착 벨트와 대향되는 가압 롤러일 수 있다. 가압 롤러는 내열 탄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정착 벨트의 내측에 히터가 배치되어 정착 벨트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로서, 정착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할로겐 램프, 정착 벨트의 내주에 접촉되어 정착 벨트를 직접 가열하는 세라믹 히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정착 벨트의 내측에 지지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정착 벨트를 사이에 두고 지지 부재와 가압 롤러가 서로 가압되어 정착닙(N)을 형성한다. 인쇄 매체(P)는 토너 화상이 형성된 화상면이 정착 벨트를 향하도록 정착닙(N)에 전입되며, 가압 롤러가 회전되면 정착 벨트가 순환 주행되며, 정착닙(N) 내부의 인쇄 매체(P)가 이송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정착닙(N)이 전체적으로 정착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히터를 제어한다. 인쇄 매체(P)는 센터 피딩 방식으로 정착기(1)를 통과할 수 있다. 센터 피딩 방식은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의 중심이 정착기(1)의 폭방향(Y)의 중심, 예를 들어 정착닙(N)의 폭방향(Y)의 중심선(CL)과 일치된 상태에서 인쇄 매체(P)가 이송되는 방식을 말한다. 정착닙(N)의 폭은 인쇄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인쇄 매체(P)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최대 크기의 인쇄 매체(P)가 정착닙(N)을 통과하는 경우에도, 정착닙(N)의 폭방향(Y)의 가장자리 영역은 인쇄 매체(P)가 통과되지 않은 비통지 영역이 된다. 정착닙(N) 중에서 인쇄 매체(P)가 통과되는 영역을 통지 영역이라 한다. 작은 인쇄 매체(P)가 통과되는 경우, 비통지 영역의 폭이 커진다. 비통지 영역에서는 정착기(1), 예를 들어 정착 부재(11)로부터 인쇄 매체(P)로의 직접적인 열전달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비통지 영역의 온도는 통지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으며, 비통지 영역이 과열될 가능성이 있다.
비통지 영역의 과열은 정착 부재(11), 백업 부재(12) 등 정착기(1)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열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정착기(1)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정착기(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인쇄 장치의 내부 부재들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감광체의 감광층이 열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토너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토너의 물성이 열에 의하여 저하될 수 있다.
비통지 영역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 장치는 냉각풍을 비통지 영역에 공급하는 냉각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냉각 구조는 송풍기(제1송풍기)(31)와 덕트(제1덕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31)는 냉각풍을 정착기(1)에 제공한다. 송풍기(31)의 송풍 방향은 예를 들어 X 방향이다. 본 예에서 두 개의 송풍기(31)가 도시되어 있으나, 송풍기(31)는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덕트(4-1)는 송풍기(31)로부터의 냉각풍을 정착기(1)로 안내한다. 덕트(4-1)는 송풍기(31)와 대향된 입구(41-1)와, 정착기(1)와 대향된 출구(41-2)를 갖는다. 예를 들어 덕트(4-1)는 송풍기(31)와 대향된 외측벽(41-4)을 구비할 수 있다. 입구(41-1)는 외측벽(41-4)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출구(41-2)는 입구(41-1)와 송풍 방향(BD)으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측벽(제1측벽)(41-3)은 덕트(4-1)의 폭방향의 일측벽을 형성한다. 송풍기(31)에 의하여 입구(41-1)를 통하여 덕트(4-1) 내부로 유입된 냉각풍은 출구(41-2)를 통하여 정착기(1)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통지 영역의 폭은 사용되는 인쇄 매체(P)의 폭에 따라서 변한다. 냉각풍이 통지 영역에까지 공급되면 통지 영역의 온도가 정착 온도로 유지되지 못하여 정착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인쇄 장치에 채용된 냉각 구조는, 비통지 영역의 폭의 변화에 대응하여 냉각풍을 공급할 수 있는 가변 덕트 구조(100)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가변 덕트 구조(100)의 일 예로서, 출구(41-2)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구량 조절 부재(제1개구량 조절 부재)(5)를 구비한다. 개구량 조절 부재(5)에 의하여 비통지 영역의 폭에 맞추어 출구(41-2)의 개구량이 조절될 수 있다. 개구량 조절 부재(5)는 출구(41-2)의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의 개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량 조절 부재(5)는 폭방향(Y)으로 슬라이딩되어, 출구(41-2)의 개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입구(41-1)로부터 출구(41-2)로의 자연스러운 냉각풍의 유동을 확보하기 위하여, 개구량 조절 부재(5)는 덕트(4-1)를 입구(41-1)로부터 출구(41-2)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개구량 조절 부재(5)의 일 예는, 슬라이더(제1슬라이더)(51)와 유연한 안내 부재(제1안내 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51)는 출구(41-2)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쇄 매체(P)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더(51)의 단부(51a)와 측벽(41-3)과의 사이에 출구(41-2)가 형성된다. 안내 부재(52)는 출구측 단부(52a)와 입구측 단부(52b)를 구비한다. 출구측 단부(52a)는 슬라이더(51)의 단부(51a)에 연결된다. 슬라이더(51)의 단부(51a)는 슬라이더(51)의 폭방향(Y)의 양단부 중에서 정착닙(N)의 폭방향(Y)의 중심선(CL)으로부터 먼 단부이다. 입구측 단부(52b)는 덕트(4-1)의 외측벽(41-4)에 예를 들어 폭방향(Y)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입구측 단부(51b)는 외측벽(41-4)의 내표면, 즉 정착기(1)와 대향하는 표면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측벽(41-4)에는 안내 부재(52)의 입구측 단부(52b)를 폭방향(Y)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조, 예를 들어 슬라이딩 지지 홈, 슬라이딩 지지 레일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안내 부재(52)의 입구측 단부(52b)에는 지지 구조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 구조와 안내 구조는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안내 부재(52)는 슬라이더(51)의 단부(51a)로부터 슬라이더(51)에 대하여, 다시 말하면 폭방향(Y)에 대하여 각도(AG)를 이루면서 덕트(4-1)의 외측벽(41-4)으로 연장된다. 각도(AG)는 예각일 수 있다. 안내 부재(52)는 탄성을 갖는 유연한 시트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부재(52)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안내 부재(52)는, 측벽(41-3)과 함께, 덕트(4-1)를 입구(41-1)로부터 출구(41-2)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출구(41-2)의 폭은 입구(41-1)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안내 부재(52)에 의하여 형성되는, 입구(41-1)로부터 출구(41-2)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의 덕트(4-1)는 입구(41-1)를 통하여 덕트(4-1) 내부로 유입된 냉각풍이 자연스럽게 출구(41-2)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이에 의하여, 냉각풍의 유동 저항, 및 이로 인한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슬라이더(51)는 예를 들어, 랙-피니언 구동 구조에 의하여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슬라이더(51)에 랙 기어부(제1랙 기어부)(51c)가 마련될 수 있다. 랙 기어부(51c)는 피니언(82)과 맞물린다. 모터(81)는 피니언(82)을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피니언(82)이 모터(81)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81)를 정/역회전시켜 슬라이더(51)를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덕트(4-1)의 출구(41-2)의 개구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인쇄 장치에서 인쇄 매체(P)는 센터 피딩 방식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의 양쪽 외측에 각각 비통지 영역들이 생기며, 이 두 비통지 영역으로 냉각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인쇄 장치는 제2송풍기(32)와 제2덕트(4-2)를 구비한다. 제2송풍기(32)는 냉각풍을 정착기(1)에 제공한다. 제2송풍기(32)의 송풍 방향은 예를 들어 X 방향이다. 본 예에서 두 개의 제2송풍기(32)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2송풍기(32)는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2덕트(4-2)는 제1덕트(4-1)와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된다. 제2덕트(4-2)의 구조는 제1덕트(4-1)의 구조와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이다. 제2덕트(4-2)는 제2송풍기(32)로부터의 냉각풍을 정착기(1)로 안내한다. 제2덕트(4-2)는 제2송풍기(32)와 대향된 입구(42-1)와, 정착기(1)와 대향된 출구(42-2)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2덕트(4-2)는 제2송풍기(32)와 대향된 외측벽(42-4)을 구비할 수 있다. 입구(42-1)는 외측벽(42-4)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출구(42-2)는 입구(42-1)와 송풍 방향(X)으로 마주보게 위치된다. 측벽(제2측벽)(42-3)은 제2덕트(4-2)의 폭방향(Y)의 일측벽을 형성한다. 제2송풍기(32)에 의하여 입구(42-1)를 통하여 제2덕트(4-2) 내부로 유입된 냉각풍은 출구(42-2)를 통하여 정착기(1)로 배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제2덕트(4-2)의 출구(42-2)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2개구량 조절 부재(6)를 구비한다. 제2개구량 조절 부재(6)는 제1개구량 조절 부재(5)와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된다. 제2개구량 조절 부재(6)의 구조는 제1개구량 조절 부재(5)의 구조와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중심선(CL)에 대하여 대칭이다. 제2개구량 조절 부재(6)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제1개구량 조절 부재(5)와 대칭되게 슬라이딩되어, 제2덕트(4-2)의 출구(42-2)의 개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입구(42-1)로부터 출구(42-2)로의 자연스러운 냉각풍의 유동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2개구량 조절 부재(6)는 제2덕트(4-2)를 입구(42-1)로부터 출구(42-2)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개구량 조절 부재(6)의 일 예는, 제2슬라이더(61)와 유연한 제2안내 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슬라이더(61)는 출구(42-2)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제2슬라이더(61)와 대칭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슬라이더(61)의 단부(61a)와 측벽(42-3)과의 사이에 출구(42-2)가 형성된다. 제2안내 부재(62)의 출구측 단부(62a)는 제2슬라이더(61)의 단부(61a)에 연결되고, 입구측 단부(62b)는 제2덕트(4-2)의 외측벽(42-4)에 예를 들어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된다. 제1덕트(4-1)의 외측벽(41-4)과 제2덕트(4-2)의 외측벽(42-4)은 일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측벽(42-4)에는 제2안내 부재(62)의 입구측 단부(62b)를 폭방향(Y)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2안내 부재(62)의 입구측 단부(52b)에는 지지 구조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안내되는 안내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안내 부재(62)는 제2슬라이더(61)의 단부(61a)로부터 제2슬라이더(61)에 대하여, 다시 말하면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에 대하여 예를 들어 예각인 각도(AG)를 이루면서 제2덕트(4-2)의 외측벽(42-4)으로 연장된다. 제2안내 부재(62)는 탄성을 갖는 유연한 시트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안내 부재(62)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안내 부재(52)는, 측벽(42-3)과 함께, 제2덕트(4-2)를 입구(42-1)로부터 출구(42-2)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제2안내 부재(62)에 의하여 형성되는, 입구(42-1)로부터 출구(42-2)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의 제2덕트(4-2)는, 입구(42-1)를 통하여 제2덕트(4-2) 내부로 유입된 냉각풍이 자연스럽게 출구(42-2)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이에 의하여, 냉각풍의 유동 저항, 및 이로 인한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제2슬라이더(61)는 예를 들어, 랙-피니언 구동 구조에 의하여 인쇄 매체(P)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다. 제2슬라이더(61)에 제2랙 기어부(61c)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랙 기어부(61c)는 피니언(82)과 맞물린다. 예를 들어, 제1랙 기어부(51c)와 제2랙 기어부(61c)는 피니언(8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상하 방향(Z)으로 대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81)가 피니언(82)을 회전시키면, 제1, 제2슬라이더(51)(61)가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서로 대칭되게 슬라이딩되며, 따라서 제1, 제2덕트(4-1)(4-2)의 출구(41-2)(42-2)의 개구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제2개구량 조절 부재(5)(6)를 구동하는 구동 구조는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제1, 제2덕트(4-1)(4-2) 사이의 여유 공간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구조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인쇄 장치의 크기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랙-피니언 구동 구조는 제1, 제2슬라이더(51)(62)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동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제1, 제2슬라이더(51)(61)가 제1, 제2덕트(4-1)(4-2)의 출구(41-2)(42-2)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인쇄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로서, 제1, 제2슬라이더(51)(61)가 제1, 제2덕트(4-1)(4-2)의 출구(41-2)(42-2)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가변 덕트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가장 큰 인쇄 매체(P1)가 인쇄에 사용된다. 인쇄 매체(P1)는 센터 피딩 방식으로 정착기(1)를 통과한다. 정착닙(N) 중에서 인쇄 매체(P1)가 통과되는 영역이 통지 영역(PA1)이다. 예를 들어 통지 영역(PA1)의 폭은 인쇄 매체(P1)의 폭과 동일하다. 통지 영역(PA1)의 양측의 두 비통지 영역(NPA1)은 인쇄 매체(P1)가 통과되지 않는다. 비통지 영역(NPA1)의 폭은 최소가 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검지된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인쇄 매체(P1)의 폭 정보에 따라서 모터(81)를 구동하여 제1, 제2슬라이더(51)(61)를 제1, 제2덕트(4-1)(4-2)의 출구(41-2)(42-2)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제2안내 부재(52)(62)는 각각 제1, 제2슬라이더(51)(61)에 대하여, 즉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에 대하여 예각인 각도(AG1)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제2덕트(4-1)(4-2)는 입구(41-1)(42-1)로부터 출구(41-2)(42-2)를 향하여 수렴하는 구조가 된다. 제1, 제2송풍기(31)(32)에 의하여 송풍 방향(BD)으로 공급되는 냉각풍은 입구(41-1)(42-1)를 통하여 각각 제1, 제2덕트(4-1)(4-2)로 유입되며, 수렴하는 유동 통로를 따라 자연스럽게 출구(41-2)(42-2)로 배출되며, 정착기(1)의 두 비통지 영역(NPA1)에 공급된다. 이에 의하여, 큰 인쇄 매체(P1)가 정착기(1)를 통과할 때에 두 비통지 영역(NPA1)의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가장 작은 인쇄 매체(P2)가 인쇄에 사용된다. 인쇄 매체(P2)는 센터 피딩 방식으로 정착기(1)를 통과한다. 정착닙(N) 중에서 인쇄 매체(P2)가 통과되는 영역이 통지 영역(PA2)이며, 통지 영역(PA2)의 양측의 두 비통지 영역(NPA2)의 폭은 최대가 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검지된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인쇄 매체(P2)의 폭 정보에 따라서 모터(81)를 구동하여 제1, 제2슬라이더(51)(61)를 제1, 제2덕트(4-1)(4-2)의 출구(41-2)(42-2)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제2안내 부재(52)(62)의 입구측 단부(52b)(62b)는 제1, 제2덕트(4-1)(4-2)의 외측벽(41-4)(42-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유연하게 휘어진다. 제2위치에서, 제1, 제2안내 부재(52)(62)는 제1, 제2슬라이더(51)(61)에 대하여, 즉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에 대하여 예각인 각도(AG2)를 갖는다. 각도(AG2)는 각도(AG1)와 동일할 수 있으며 클 수도 있다. 각도(AG2)는 제1, 제2안내 부재(52)(62)의 탄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제1, 제2덕트(4-1)(4-2)는 입구(41-1)(42-1)로부터 출구(41-2)(42-2)를 향하여 수렴하는 구조가 된다. 제1, 제2송풍기(31)(32)에 의하여 송풍 방향(X)으로 공급되는 냉각풍은 입구(41-1)(42-1)를 통하여 각각 제1, 제2덕트(4-1)(4-2)로 유입되며, 수렴하는 유동 통로를 따라 자연스럽게 출구(41-2)(42-2)로 배출되며, 정착기(1)의 두 비통지 영역(NPA2)에 공급된다. 이에 의하여, 작은 인쇄 매체(P2)가 정착기(1)를 통과할 때에 두 비통지 영역(NPA2)의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인쇄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본 예의 인쇄 장치는, 개구량 조절 부재가 피벗 부재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개구량 조절 부재(5)는 슬라이더(제1슬라이더)(51)의 단부(51a)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 부재(제1피벗 부재)(53)를 구비한다. 안내 부재(제1안내 부재)(52)의 출구측 단부(52a)는 피벗 부재(53)에 연결된다. 안내 부재(52)와 피벗 부재(53)는 덕트(제1덕트)(4-1)를 입구(41-1)로부터 출구(41-2)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피벗 부재(53)는 슬라이더(51)에 대하여, 다시 말하면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에 대하여 각도(AGG)를 갖는다. 피벗 부재(53)는 슬라이더(51)가 폭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각도(AGG)가 변하도록 안내 홈(제1안내 홈)(54)에 의하여 안내된다. 본 예에서, 안내 홈(54)은 슬라이더(51)가 출구(41-2)의 개구량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중심선(CL)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각도(AGG)가 점차 증가되도록 피벗 부재(53)를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안내 홈(54)은 중심선(CL)에 가까워질수록 슬라이더(51)로부터 멀어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피벗 부재(53)의 제1단부(54a)는 슬라이더(51)의 단부(51a)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되는 피벗 축을 형성한다. 피벗 축은 도 3에서 상하 방향(Z)일 수 있다. 피벗 부재(53)의 제2단부(54b)는 안내 홈(54)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 돌기를 형성한다. 슬라이더(51)가 출구(41-2)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에 위치된 때의 각도(AGG)를 제1각도(도 4: AGG1), 슬라이더(51)가 출구(41-2)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에 위치된 때의 각도(AGG)를 제2각도(도 5: AGG2)라 하면, 안내 홈(54)은 제2각도(AGG2)가 제1각도(AGG1)보다 크게 되도록 피벗 부재(53)를 안내한다.
제2개구량 조절 부재(6)는 제2슬라이더(61)의 단부(61a)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피벗 부재(63)를 구비한다. 제2안내 부재(62)의 출구측 단부(62a)는 제2피벗 부재(63)에 연결된다. 제2안내 부재(62)와 제2피벗 부재(63)는 제2덕트(4-2)를 입구(42-1)로부터 출구(42-2)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제2피벗 부재(63)는 제1피벗 부재(53)와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으로 대칭되게 위치된다. 제2피벗 부재(63)는 제2슬라이더(61)에 대하여, 다시 말하면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에 대하여 각도(AGG)를 가지며, 제2슬라이더(61)가 제2덕트(4-2)의 출구(42-2)의 개구량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중심선(CL)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각도(AGG)가 점차 증가되도록 제2안내 홈(64)에 의하여 안내된다. 이를 위하여, 제2안내 홈(64)은 중심선(CL)에 가까워질수록 제2슬라이더(61)로부터 멀어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피벗 부재(63)의 제1단부(64a)는 제2슬라이더(61)의 단부(61a)에 피벗될 수 있게 연결되는 피벗 축을 형성한다. 제2피벗 부재(63)의 제2단부(64b)는 제2안내 홈(64)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 돌기를 형성한다. 제2슬라이더(61)가 제2덕트(4-2)의 출구(42-2)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에 위치된 때의 각도를 제1각도(AGG1), 제2슬라이더(61)가 제2덕트(4-2)의 출구(42-2)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에 위치된 때의 각도를 제2각도(AGG2)라 하면, 제2안내 홈(64)은 제2각도(AGG2)가 제1각도(AGG1)보다 크게 되도록 제2피벗 부재(63)를 안내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예에서, 제1슬라이더(51)가 제1덕트(4-1)의 출구(41-2)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예에서, 제1슬라이더(51)가 제1덕트(4-1))의 출구(41-2)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와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슬라이더(61)는 제1슬라이더(51)와 폭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가변 덕트 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인쇄 매체(P1, P2), 통지 영역(PA1. PA2)과 비통지 영역(NPA1, NPA2)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가장 큰 인쇄 매체(P1)가 인쇄에 사용된다. 인쇄 매체(P1)는 센터 피딩 방식으로 정착기(1)를 통과한다. 정착 영역(HA) 중에서 인쇄 매체(P1)가 통과되는 영역이 통지 영역(PA1)이며, 통지 영역(PA1)의 양측의 두 비통지 영역(NPA1)은 인쇄 매체(P1)가 통과되지 않는다. 비통지 영역(NPA1)의 폭은 최소가 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검지된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인쇄 매체(P1)의 폭 정보에 따라서 모터(81)를 구동하여 제1, 제2슬라이더(51)(61)를 제1, 제2덕트(4-1)(4-2)의 출구(41-2)(42-2)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제2안내 부재(52)(62)와 제1, 제2피벗 부재(53)(63)는 각각 제1, 제2슬라이더(51)(61)에 대하여, 즉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에 대하여 예각인 제1각도(AGG1)를 갖는다. 제1, 제2피벗 부재(53)(63)와 제1, 제2안내 부재(52)(62)에 의하여, 제1, 제2덕트(4-1)(4-2)는 입구(41-1)(42-1)로부터 출구(41-2)(42-2)를 향하여 수렴하는 구조가 된다. 제1, 제2송풍기(31)(32)에 의하여 송풍 방향(BD)으로 공급되는 냉각풍은 입구(41-1)(42-1)를 통하여 각각 제1, 제2덕트(4-1)(4-2)로 유입되며, 수렴하는 유동 통로를 따라 자연스럽게 출구(41-2)(42-2)로 배출되며, 정착기(1)의 두 비통지 영역(NPA1)에 공급된다. 이에 의하여, 큰 인쇄 매체(P1)가 정착기(1)를 통과할 때에 두 비통지 영역(NPA1)의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가장 작은 인쇄 매체(P2)가 인쇄에 사용된다. 인쇄 매체(P2)는 센터 피딩 방식으로 정착기(1)를 통과한다. 정착 영역(HA) 중에서 인쇄 매체(P2)가 통과되는 영역이 통지 영역(PA2)이며, 통지 영역(PA2)의 양측의 두 비통지 영역(NPA2)의 폭은 최대가 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검지된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인쇄 매체(P2)의 폭 정보에 따라서 모터(81)를 구동하여 제1, 제2슬라이더(51)(61)를 제1, 제2덕트(4-1)(4-2)의 출구(41-2)(42-2)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제2슬라이더(51)(61)가 중심선(CL)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제1, 제2피벗 부재(53)(63)는 제1, 제2안내 홈(54)(64)에 안내되어 각도(AGG)가 제1각도(AGG1)로부터 점차 증가된다. 제1, 제2안내 부재(52)(62)의 입구측 단부(52b)(62b)는 제1, 제2덕트(4-1)(4-2)의 외측벽(41-4)(42-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유연하게 휘어진다. 제2위치에서, 제1, 제2피벗 부재(53)(63)와 제1, 제2안내 부재(52)(62)는 제1, 제2슬라이더(51)(61)에 대하여, 즉 인쇄 매체(P)의 폭방향(Y)에 대하여 예각인 제2각도(AGG2)를 갖는다. 제2각도(AGG2)는 제1각도(AGG1)보다 크다. 제1, 제2피벗 부재(53)(63)와 제1, 제2안내 부재(52)(62)에 의하여, 제1, 제2덕트(4-1)(4-2)는 입구(41-1)(42-1)로부터 출구(41-2)(42-2)를 향하여 수렴하는 구조가 된다. 제1, 제2송풍기(31)(32)에 의하여 송풍 방향(X)으로 공급되는 냉각풍은 입구(41-1)(42-1)를 통하여 각각 제1, 제2덕트(4-1)(4-2)로 유입되며, 수렴하는 유동 통로를 따라 자연스럽게 출구(41-2)(42-2)로 배출되며, 정착기(1)의 두 비통지 영역(NPA2)에 공급된다. 본 예에서, 제2각도(AGG2)는 도 2의 각도(AG2)보다 크다. 따라서, 입구(41-1)(42-1)를 통하여 유입된 냉각풍이 제1, 제2피벗 부재(53)(63)와 제1, 제2안내 부재(52)(62)에 안내되어 더 자연스럽게 출구(41-2)(42-2)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작은 인쇄 매체(P2)가 정착기(1)를 통과할 때에 두 비통지 영역(NPA2)의 과열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인쇄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쇄 장치의 일 예는, 인쇄 매체(P)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부(2)와, 정착기(1)와, 정착기(1)의 비통지 영역에 냉각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각 구조를 구비한다. 냉각 구조는 송풍기(30)과 가변 덕트 구조(100)를 구비할 수 있다. 가변 덕트 구조(1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변 덕트 구조(100)는 제1, 제2개구량 조절 부재(5)(6)를 구비할 수 있다. 송풍기(30)는 제1, 제2송풍기(31)(32)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화상 형성부(2)는, 감광체, 예를 들어 감광 드럼(212)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인쇄 장치의 일 예는 토너 화상 형성부(2)에 공급될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9)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화상 형성부(2)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본 예의 토너 화상 형성부(2)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칼라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 형성부(2)는 복수의 현상기(210), 노광기(250), 중간 전사 벨트(260), 전사 롤러(270), 정착기(28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기(210)는 옐로우(Y: Yellow), 마젠타(M:magenta), 시안(C:cyan),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4개의 현상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현상기(210)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4개의 토너 카트리지(3)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다.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토너는 각각 4개의 토너 카트리지(3)로부터 4개의 현상기(210)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기(210)는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212)과 현상 롤러(211)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기(210)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대전롤러(215)는 감광 드럼(212)을 균일한 표면 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킨다. 노광기(2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212)에 조사하여 감광 드럼(212)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211)는 현상기(210)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 드럼(212)과 대향된 현상 영역으로 공급한다. 현상 롤러(211)에 인가되는 현상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토너가 현상 영역을 가로질러 정전잠상으로 공급되며,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중간 전사 벨트(260)는 복수의 지지 롤러들(262, 263, 264, 265)에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 전사 벨트(260)를 사이에 두고 4개의 현상기(210)의 감광 드럼(212)과 마주보는 위치에 4개의 중간 전사 롤러(261)가 배치된다. 중간 전사 롤러(261)에 인가되는 중간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감광 드럼(212)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260)로 중간전사된다. 클리닝 부재(217)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 드럼(212)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전사 롤러(270)는 중간 전사 벨트(260)와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한다. 인쇄 매체(P)는 픽업 롤러(202)에 의하여 급지 카세트(201)로부터 픽업되어 경로(291)를 따라 전사닙으로 공급된다. 전사 롤러(2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 전사 벨트(260) 상의 토너화상이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정착기(1)는 인쇄 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인쇄가 완료된 인쇄 매체(P)는 배출 롤러(292)에 의하여 배출된다.
송풍기(30)는 토너 카트리지(9)와 정착기(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 방향으로 토너 카트리지(9), 송풍기(30), 정착기(1)가 순차로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30)의 송풍 방향은 X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송풍기(30)의 송풍 방향(X)을 기준으로 하면, 토너 카트리지(9)는 송풍기(30)의 상류측에, 정착기(1)는 송풍기(30)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냉각풍이 토너 카트리지(9)로부터 정착기(1) 쪽으로 공급되므로, 정착기(1)로부터 토너 카트리지(9)로의 열 전달을 줄일 수 있으며, 열에 의한 토너 카트리지(9) 내부의 토너의 뭉침, 변형, 특성 저하를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부;
    상기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
    송풍기;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냉각풍을 상기 정착기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외측벽, 상기 외측벽에 상기 송풍기와 대향하게 형성된 입구, 및 상기 정착기와 대향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상기 출구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
    출구측 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에 연결되며 입구측 단부가 상기 덕트의 외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연한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덕트를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단부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벗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부재의 상기 출구측 단부는 상기 피벗 부재에 연결된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와 상기 피벗 부재는 상기 덕트를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인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출구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와 상기 출구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에 각각 위치된 때에 상기 피벗 부재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제1각도와 상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피벗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더 구비하는 인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화상 형성부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은 상기 토너 카트리지와 상기 정착기 사이에 위치되는 인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송풍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토너 카트리지는 상기 송풍기의 상류측에, 상기 정착기는 상기 송풍기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인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인쇄 매체의 상기 폭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제1덕트와 제2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기은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에 각각 대응되는 제1송풍기과 제2송풍기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에 각각 대응되는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에 각각 연결된 제1안내 부재와 제2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에 각각 마련되는 제1랙 기어부와 제2랙 기어부;
    상기 제1랙 기어부 및 상기 제2랙 기어부와 맞물리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10.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부;
    상기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
    송풍기;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냉각풍을 상기 정착기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상기 송풍기와 대향하게 형성된 입구와 상기 정착기와 대향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덕트;
    상기 출구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덕트를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를 향하여 수렴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개구량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량 조절 부재는,
    상기 출구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와 상기 출구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각도가 변화되는 피벗 부재;
    출구측 단부가 상기 피벗 부재에 연결되고, 입구측 단부는 상기 입구가 형성된 상기 덕트의 외측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연한 한내 부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상기 피벗 부재의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각도가 점차 증가되도록 상기 피벗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구비하는 인쇄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인쇄 매체의 상기 폭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되는 제1덕트와 제2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에 각각 대응되는 제1송풍기와 제2송풍기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량 조절 부재는 상기 제1덕트와 상기 제2덕트에 각각 대응되며, 상호 대칭되게 상기 인쇄 매체의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개구량 조절 부재와 제2개구량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14. 인쇄 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 화상 형성부;
    상기 토너 화상 형성부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
    상기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
    상기 토너 카트리지와 상기 정착기 사이에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되며, 각각 입구와 상기 정착기와 대향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제1, 제2덕트;
    각각 상기 제1, 제2덕트의 상기 입구를 통하여 냉각풍을 공급하는 제1, 제2송풍기;
    각각 상기 제1, 제2덕트의 상기 출구의 개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슬라이딩 가능한 제1, 제2개구량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개구량 조절 부재 각각은,
    상기 출구의 개구량이 최소가 되는 제1위치와 상기 출구의 개구량이 최대가 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인쇄 매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단부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 피벗 부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에 각각 위치된 때에 상기 피벗 부재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제1각도와 상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피벗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홈;
    출구측 단부가 상기 피벗 부재에 연결되고, 입구측 단부는 상기 입구가 형성된 상기 덕트의 외측벽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연한 한내 부재;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KR1020220115107A 2022-09-13 2022-09-13 정착기의 냉각 구조 KR20240036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07A KR20240036362A (ko) 2022-09-13 2022-09-13 정착기의 냉각 구조
PCT/US2023/015109 WO2024058819A1 (en) 2022-09-13 2023-03-13 Cooling structure for f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07A KR20240036362A (ko) 2022-09-13 2022-09-13 정착기의 냉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362A true KR20240036362A (ko) 2024-03-20

Family

ID=8587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107A KR20240036362A (ko) 2022-09-13 2022-09-13 정착기의 냉각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6362A (ko)
WO (1) WO20240588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9033A (ja) * 2005-09-13 2007-03-29 Canon Inc 画像加熱装置
JP5930779B2 (ja) * 2012-03-09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
JP5677601B2 (ja) * 2013-04-26 2015-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62413B2 (ja) * 2017-11-21 2022-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819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5989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JP6229422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609991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with an axial flow fan for cooling a portion of a heating rotatable member
US7567766B2 (en) Fixing device with temperature contro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025746A1 (en) Image heating apparatus
US2022001731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7142420A (ja) 記録媒体分離部材、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078303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fixing device
CN107797414B (zh) 图像形成设备
JP4940929B2 (ja) 定着装置
KR20240036362A (ko) 정착기의 냉각 구조
JP5011149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908540B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016772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43277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KR20200122929A (ko) 인쇄 화상의 균일한 광택도를 구현하는 클리어 토너의 도포량을 이용한 포토 피니싱 장치
JP7247518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US9128436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921735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heaters
JP7456256B2 (ja) 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31064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127603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73089B2 (ja)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03908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77394B2 (ja) 湾曲矯正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