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136A -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 Google Patents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136A
KR20240036136A KR1020247007643A KR20247007643A KR20240036136A KR 20240036136 A KR20240036136 A KR 20240036136A KR 1020247007643 A KR1020247007643 A KR 1020247007643A KR 20247007643 A KR20247007643 A KR 20247007643A KR 20240036136 A KR20240036136 A KR 20240036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storage module
electrolyte
val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히로 나가사와
가츠요시 사쿠마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6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2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with means for neutralising or absorbing electrolyte; with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electrolyte through vent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73Containers for storing liquids; Delivery condui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전해액의 배출을 개선한다.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는, 축전 모듈 내의 압력에 따라 개방되어 축전 모듈의 압력을 개방하는 밸브체부(10)와, 밸브체부(10)와 축전 모듈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축전 모듈 내로부터 밸브체부(10)측으로 누출된 전해액을 저류 가능한 전해액 저류부(1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본 발명은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니켈 수소 전지 등의 축전 모듈에 있어서, 과방전 등에 의해 수소 가스 등의 기체가 발생하여 모듈 내가 소정의 압력이 되었을 경우에, 밸브가 열려 모듈로부터 기체를 배출하는 압력조정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축전 모듈용의 압력조정 밸브(이하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라고 한다)에 있어서, 간소한 구성으로, 바이폴라 전극 간의 복수의 내부 공간의 압력 조정이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국제공개 제2019/064843호
그런데,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는, 밸브가 열릴 때, 기체와 함께 전해액이 배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의 내부에는 전해액이 고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는, 하나의 배출구에 복수의 밸브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해액을 막힘 없이 배출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 종래의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는, 전해액을 막힘 없이 배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복수의 밸브체가 전해액에 침지된 상태로 되어 있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는, 복수의 밸브체가 동시에 개방되어 전해액이 배출되는 경우에, 전해액을 통해 복수의 셀 간에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해액의 배출을 개선할 수 있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는, 축전 모듈 내의 압력에 따라 개방되어 상기 축전 모듈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밸브체부와, 상기 밸브체부와 상기 축전 모듈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축전 모듈 내로부터 상기 밸브체부 측으로 누출된 전해액을 저류 가능한 전해액 저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상기 밸브체부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상기 밸브체부와 연통하는 공간을 갖는 공기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상기 전해액 저류부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일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기실과 타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기실을 연통하는 유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복수의 상기 공기실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에 의하면, 전해액의 배출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가 접속된 축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의 케이스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케이스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의 커버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커버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의 전해액 저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해액 저류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전해액 저류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가 접속된 축전 모듈(5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의 단면도이다. 도 2 이후에 있어서,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에 의해 나타낸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의 밸브체(30)의 축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Y축 방향은 전후 방향이라고도 한다.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 Y축 방향을 일단측, - Y축 방향을 타단측이라고도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를 + Y축 방향을 향해 본 방향을 정면 방향으로 한다. 전후 방향(Y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중 하나(X축 방향)를 폭 방향으로 한다. 폭 방향은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의 밸브체부(10)의 길이 방향이다. 폭 방향은 좌우 방향이라고도 한다. 또한, 전후 방향(Y축 방향) 및 좌우 방향(X축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Z축 방향)을 상하 방향 또는 높이 방향이라고도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우측, 좌측, 전방측, 후방측, 상측, 하측으로 설명할 때는 어디까지나 도면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나타내고, 실제의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는, 축전 모듈(500) 내의 압력에 따라 개방되어 축전 모듈(500)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밸브체부(10)와, 밸브체부(10)와 축전 모듈(500)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축전 모듈(500) 내로부터 밸브체부(10)측으로 누출된 전해액을 저류 가능한 전해액 저류부(130)를 구비한다. 압력조정 밸브(1)는, 축전 모듈(500)의 복수의 전극판을 유지하는 틀체(502)에 있어서, 틀체(502)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판 사이의 공간과 연통하는 개구(503)를 막는다.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밸브체부(10)는 일단이 개구(503)에 접속되고 내부에 내부 공간(S1)을 갖는다. 밸브체부(10)의 내부 공간(S1)에는 탄성 부재인 기둥 형상의 밸브체(30)가 수용된다. 밸브체부(10)는 일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바닥부(111)와, 타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부(113)와, 밸브체부(10)의 내부 공간(S1)에 설치되어 밸브체(30)를 수용 가능한 케이스 통형상부(114)와, 바닥부(111)를 관통하는 압력 도입부(115)와, 개구부(113)를 막는 덮개부로서의 커버부(116)와, 커버부(116)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측으로부터 밸브체(30)의 끝면(31)과 접하는 돌출부(117)를 구비한다. 전해액 저류부(130)는, 밸브체부(10)의 외부, 구체적으로는 틀체(502)의 개구(503) 및 압력 도입부(115)와 연통하고 있는 공간인 공기실(131)을 구비한다. 이하,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이하, "압력조정 밸브(1)"라고 한다.)는 밸브체(30)를 수용하여 축전 모듈(500)의 개구(503)에 부착되는 밸브체부(10)를 구비한다.
밸브체부(10)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밸브체부(10)는, 예를 들어, 대략 직육면체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밸브체부(10)의 형상은 개구(503)를 막을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밸브체부(10)의 크기도, 축전 모듈(500) 또는 개구(503)의 크기와 관련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밸브체부(10)는 케이스부(110)와 커버부(116)에 의해 각각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전해액 저류부(130)는 밸브체부(10)와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케이스부(110), 커버부(116), 및 전해액 저류부(130)의 재료는 동일한 재료이거나 상이한 재료일 수 있다.
도 5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의 케이스부(11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케이스부(110)의 A-A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110)는, 예를 들어 폭 방향의 치수가 높이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자형 부재이다. 케이스부(110)는 바닥부(111), 외주 벽부(112), 개구부(113), 케이스 통형상부(114), 및 압력 도입부(115)를 포함한다.
바닥부(111)는 케이스부(110)의 일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정 밸브(1)가 틀체(502)의 개구(503)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전해액 저류부(130)를 통하여 개구(503)를 향하도록 부착된다. 바닥부(111)는, 개구(503)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전해액 저류부(130)를 통하여 개구(503)를 막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부(112)는 바닥부(111)의 외주의 끝부에 설치되어 있다. 외주벽부(112)는 바닥부(111)의 상하 방향의 끝부(1111)에 설치되어 있다. 외주벽부(112)는 바닥부(111)의 상하 방향의 끝부(1111)로부터 타단측(- Y축 방향)으로 솟아오르는 벽 형상의 부재이다. 바닥부(111) 및 외주벽부(112)는 케이스부(110)의 내측에 있어서 외부와의 사이에서 격리되어 있는 내부 공간(S1)을 형성한다.
개구부(113)는 외주벽부(112)의 타단측의 끝부(1122)에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13)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부(110)의 내부 공간(S1)은 타단측이 외부에 대하여 개방된다.
케이스 통형상부(114)는 케이스부(110)의 내부 공간(S1)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 통형상부(114)는 케이스부(110)에 있어서 전후 방향(Y축 방향)을 축선 방향으로 하는 원통 형상 또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위이다. 내부 공간(S1)에는, 케이스 통형상부(114)가 1개 또는 복수 설치되어 있다.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케이스 통형상부(114)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 통형상부(114)는, 일단이 바닥부(111)의 타단측의 면인 내측면(1112)과 일체로 되어 있다. 케이스 통형상부(114)는 타단이 개구부(113)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 통형상부(114)는, 원통 형상 또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측의 수용 공간(S2)에 밸브체(30)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압력조정 밸브(1)는 내부공간(S1)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통형부(114)의 수에 대응하여, 밸브체(30)를 복수 수용할 수 있다.
압력 도입부(115)는, 케이스 통형상부(114)의 내측에 위치하는 바닥부인 통형상부 바닥부(1113)에 설치되어 있다. 압력 도입부(115)는 통형상부 바닥부(1113)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구멍이다. 즉, 압력 도입부(115)는, 통형상부 바닥부(1113)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관통하고 있다. 압력 도입부(1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상부 바닥부(1113)의 원형 또는 대략 원형의 중심 부근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압력 도입부(115)는, 통상, 원기둥 형상의 공간이지만, 이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타원기둥 형상이나 다각기둥 형상의 공간으로 할 수도 있다.
도 7은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1)의 커버부(11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커버부(116)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6)는, 예를 들어, 폭 방향의 치수가 높이 방향의 치수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판 형상 또는 대략 판 형상의 부재이다. 커버부(116)는 커버부 본체(1161) 및 돌기부(117)를 구비한다.
커버부 본체(1161)는 전술한 판 형상 또는 대략 판 형상의 커버부(116)의 개략 형상을 정하고 있다. 커버부 본체(1161)의 형상은, 케이스부(110)에 커버부(116)를 조합할 수 있으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부(117)는 커버부 본체(1161)로부터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 형상의 부위이다. 돌기부(117)는 케이스 통형상부(114)의 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16)와 케이스부(110)를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통형상부(114)의 원통면의 내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17)는, 커버부(116)와 케이스부(110)를 조합한 상태에 있어서, 일단측(+ Y축 방향)에 있는 케이스부(110)측으로 돌출하여, 케이스 통형상부(11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체(30)를 개구부(113)측으로부터 가압한다.
돌기부(117)는 밸브체(30)의 끝면(31)과 접하는 것이다. 케이스부(110)의 개구부(113)를 커버부(116)로 막음으로써, 돌기부(117)는 밸브체(30)를 가압한다. 밸브체(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력 도입부(115)를 기밀로 막는다.
돌기부(117)는, 케이스부(110)의 개구부(113)를 커버부(116)로 막음으로써 밸브체(30)를 가압할 수 있는 한, 그 형상이나 치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 타원기둥 형상, 다각기둥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 저류부(130)는 밸브체부(10)에 있어서 케이스부(110)의 바닥부(111)의 일단측에 부착되어 있다.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전해액 저류부(130)는, 복수, 예를 들어, 3개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단수가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9는 압력조정 밸브(1)의 전해액 저류부(1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전해액 저류부(130)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전해액 저류부(130)의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 저류부(130)는 공기실(131) 및 유로부(132)를 갖는다. 전해액 저류부(130)는 케이스부(110) 및 커버부(116)와 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해액 저류부(130)는 높이 방향(Z축 방향) 및 압력조정 밸브(1)의 폭 방향(X축 방향)의 치수에 대하여 전후 방향(Y축 방향)의 치수가 짧은 판 형상 또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실(131)은, 전해액 저류부(130)의 일단측(+ Y축 방향) 및 타단측(- Y축 방향)의 표면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실(131)은, 전해액 저류부(130)의 일단측(+ Y축 방향) 및 타단측(- Y축 방향)의 표면에, 공기실 개구부(1311)가 개구되어 있다. 공기실(131)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또는 대략 직사각형이다. 또한, 공기실(131)의 형상은, 축전 모듈(500)의 개구(503)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 혹은 압축가스 등을 저류할 수 있으면, 전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해액 저류부(130)에 있어서, 공기실(131)은, 예를 들어, 일단측(+ Y축 방향) 및 타단측(- Y축 방향)의 표면에 각각 2개소씩의 합계 4개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실(131)의 수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로부(132)는, 전해액 저류부(130)에 있어서, 일단측의 공기실(131) 및 타단측의 공기실(131)에 있어서의 각각의 바닥부(1312)를 관통하고 있는 구멍이다. 유로부(132)는 전해액 저류부(130) 일단측 및 타단측 모두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실(131)을 서로 연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전해액 저류부(130)는, 축전 모듈(500)의 개구(503)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 혹은 압축가스 등의 배출물의 배출 방향인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되어 부착되어 있다. 3개 중 1개의 전해액 저류부(130)는, 일단측의 공기실 개구부(1311)가, 틀체(502)의 개구(503)를 향하고 있다. 전해액 저류부(130)가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일단측의 공기실(131)은 틀체(502)의 개구(503)와 연통하고 있다.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3개 중 1개의 전해액 저류부(130)는, 타단측의 공기실 개구부(1311)가, 케이스부(110)의 압력 도입부(115)의 일단측의 개구(1151)를 향하고 있다. 전해액 저류부(130)가 이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타단측의 공기실(131)은 압력 도입부(115)와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전해액 저류부(130)는 서로 공기실(131) 및 유로부(132)가 연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해액 저류부(130)의 개수는 전술한 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해액 저류부(130)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압력조정 밸브(1)에서는, 전해액 저류부(130)의 체적을 늘릴 수 있다. 전해액 저류부(130)의 체적을 늘림으로써, 압력조정 밸브(1)는 넘치는 전해액이 증가한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30)는, 밸브체부(10)에 있어서의 케이스부(110)의 케이스 통형상부(114)에 수납되는 기둥 형상의 것이다. 밸브체(30)의 재료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 부재이다. 밸브체(30)의 재료는 탄성 부재인 한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밸브체(30)는 케이스 통형상부(114)에 있어서의 통형상부 바닥부(1113) 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밸브체(30)는 외경에 비해 밸브체(30)의 축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짧다.
밸브체(30)는, 기둥 형상인 것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외경에 비해 축 방향의 길이가 짧고, 이 "기둥 형상"이란, 판 형상, 디스크 형상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체(30)는, 대략 원반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밸브체(30)는, 케이스 통형상부(114)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압력 도입부(115)의 개구를 막는다. 밸브체(30)가 압력 도입부(115)를 막는 것에 의해, 압력 도입부(115)는, 압력조정 밸브(1)가 축전 모듈(500)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축전 모듈(500)의 내부가 소망하는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기밀 상태가 유지된다. 축전 모듈(500)의 내부의 압력(이하, 간단히 "내부 압력"이라고도 한다.)이 소망하는 값까지 상승했을 때에, 밸브체(30)는 축전 모듈(5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통형상부 바닥부(1113)로부터 떨어져 밸브가 개방된다. 여기서, 밸브체(30)가 통형상부 바닥부(1113)로부터 떨어지는 축전 모듈(500)의 내부 압력의 값은, 밸브체(30)가 개방됨으로써 축전 모듈(500)의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또한, 밸브체(30)가 통형상부 바닥부(1113)로부터 떨어지는 축전 모듈(500)의 내부 압력의 값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부 압력의 값은 밸브체(30)의 개체 차이(변동)나 경시 변화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값이다. 통형상부 바닥부(1113)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밸브체(30)와 통형상부 바닥부(1113)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이 간극으로부터, 축전 모듈(500) 내의 압축가스가 축전 모듈(500)로부터 압력조정 밸브(1) 내로 도입된다. 압력조정 밸브(1)의 내부에 압축가스가 도입됨으로써, 축전 모듈(500)은 내부의 압력이 저하된다. 축전 모듈(500) 내의 압력이 저하되면, 밸브체(30)는,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 통형상부(114)의 내부에 있어서의 원래의 위치, 즉 통형상부 바닥부(1113)와 접하는 위치로 돌아가, 압력 도입부(115)를 기밀로 막는다.
여기서,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밸브체(30)가 통형상부 바닥부(1113)로부터 떨어져서 밸브체(30)와 통형상부 바닥부(1113)와의 사이에 생긴 간극으로부터, 축전 모듈(500) 내의 압축가스가 배출될 때, 압축가스와 함께 전해액이 배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케이스 통형상부(114)의 내부에는 전해액이 쌓일 수 있다.
압력조정 밸브(1)는, 축전 모듈(500)의 개구(503)로부터 케이스부(110)로의 유로에 있어서의 압력 도입부(115)의 앞쪽(일단측)에, 공기실(131)을 갖는 전해액 저류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실(1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 모듈(500)의 개구(503)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 등의 배출물을 저류시킬 수 있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공간이다. 이 때문에, 압력조정 밸브(1)에 의하면, 공기실(131)을 가지는 것에 의해, 전해액 등의 배출물의 배출, 특히 급격한 압력의 변화에 의한 배출물의 분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압력조정 밸브(1)는, 공기실(131)에 의해 배출물의 배출을 억제함으로써, 복수의 밸브체(30)가 동시에 개방되어 전해액이 배출된 경우에, 전해액을 통하여 복수의 셀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조정 밸브(1)에 의하면, 축전 모듈(500)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에 의해 발생하는 과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개념 및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양태를 포함한다. 또, 전술한 과제 및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발휘하도록, 각 구성을 적절히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형상, 재료, 배치, 사이즈 등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용 형태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밸브체부(10)는 케이스부(110)와, 커버부(116)와, 전해액 저류부(130)가 각각 별체(별개의 부재)이지만, 이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부(110)와 전해액 저류부(130)는 일체일 수 있다. 즉, 압력조정 밸브(1)에 있어서, 공기실(131)은 케이스부(110)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공기실(131)은, 전해액 저류부(130)에 있어서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연통하고 있으면 되고, 전해액 저류부(130)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해액 저류부(130)에 있어서, 유로부(132)를 갖지 않고 공기실(131) 자체가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공기실(131)은, 예를 들어 전해액 저류부(130)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어 있고, 유로부(132)에 의해, 전해액 저류부(130)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 중 다른 쪽과 연통할 수도 있다.
1: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압력조정 밸브), 10: 밸브체부, 30: 밸브체, 31: 끝면, 110: 케이스부, 111: 바닥부, 112: 외주벽부, 113: 개구부, 114 : 케이스 통형상부, 115: 압력 도입부, 116: 커버부, 117: 돌기부, 130: 전해액 저류부, 131: 공기실, 132: 유로부, 500: 축전 모듈, 502: 틀체, 503: 개구, 1112: 내측면, 1113: 통형상부 바닥부, 1111, 1122: 끝부, 1151: 개구, 1161: 커버부 본체, 1311: 공기실 개구부, 1312: 바닥부

Claims (7)

  1. 축전 모듈 내의 압력에 따라 개방되어 상기 축전 모듈 내의 압력을 개방하는 밸브체부와,
    상기 밸브체부와 상기 축전 모듈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축전 모듈 내로부터 상기 밸브체부 측으로 누출된 전해액을 저류 가능한 전해액 저류부
    를 포함하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상기 밸브체부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상기 밸브체부와 연통하는 공간을 갖는 공기실을 갖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상기 전해액 저류부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일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기실과 타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공기실을 연통하는 유로부를 갖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복수의 상기 공기실을 갖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류부는 복수의 상기 공기실을 갖는,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KR1020247007643A 2021-09-16 2022-08-05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KR202400361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51487 2021-09-16
JP2021151487 2021-09-16
PCT/JP2022/030140 WO2023042571A1 (ja) 2021-09-16 2022-08-05 蓄電モジュール用圧力調整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136A true KR20240036136A (ko) 2024-03-19

Family

ID=8560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643A KR20240036136A (ko) 2021-09-16 2022-08-05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3042571A1 (ko)
KR (1) KR20240036136A (ko)
CN (1) CN117957708A (ko)
WO (1) WO202304257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4843A1 (ja) 2017-09-26 2019-04-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9671A (ja) * 2018-03-30 2019-10-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JP2019200962A (ja) * 2018-05-18 2019-11-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7057255B2 (ja) * 2018-08-24 2022-04-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4843A1 (ja) 2017-09-26 2019-04-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57708A (zh) 2024-04-30
WO2023042571A1 (ja) 2023-03-23
JPWO2023042571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378B1 (ko) 디개싱 유로를 구비한 배터리 팩
US10029474B2 (en) Liquid storage unit, liquid discharge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removing bubbles from liquid storage unit
JP4924273B2 (ja) 液体収容体
US8454139B2 (en) Liquid accommodating container, tank unit, and liquid ejecting system
US7090344B2 (en) Ink cartridge for use in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EP2907666B1 (en) Tank unit and liquid ejecting system having tank unit
CN1812158B (zh) 二次电池
CN100357107C (zh) 墨盒以及包括所述墨盒的喷墨打印机
US10135048B2 (en) Lead-acid battery
US20200067044A1 (en) Power storage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storage module
KR101249436B1 (ko) 잉크젯 프린터용 조압밸브
WO2021036686A1 (zh) 电池包和车辆
JP6756093B2 (ja) 鉛蓄電池
JP2010272264A (ja) 鉛蓄電池
KR20170097976A (ko) 배터리 팩
CN110710018B (zh) 车辆搭载用的电池组
JP5446326B2 (ja) 鉛蓄電池
KR20240036136A (ko) 축전 모듈용 압력조정 밸브
EP4213287A1 (en) Battery pack including foam ki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3022142B (zh) 液体容纳体
WO2023042541A1 (ja) 蓄電モジュール用圧力調整弁
JP2017098011A (ja) 車両用電池モジュール
US2001002630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k cartridges
JP7210925B2 (ja) 鉛蓄電池
JP7238288B2 (ja) 鉛蓄電池